第 61 輯 - 한국일본문화학회

Journal of Japanese Culture
•第 61 輯•
2014. 5
韓國日本文化學會
Journal of Japanese Culture
目
次
․指示詞「こう」の分類について ··················································································· 近 悠 美… 5
․日本語の「にかかわらず」と「を問わず」について ·························································· 金 昌 男…25
․한일 영화제목의 번역 전략 비교 ··············································································· 조 영 희…43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의 통시적 연구(1) ······················································ 片 茂 鎭…63
-副詞語를 중심으로․이광수「명치천황어제근역」의 번역대본 연구 ·······················································박 상 현…83
․일본 근세문예에 나타난 금전관 ·················································································양 선 희…99
-『츠레즈레구사』『장자교』『일본영대장』을 중심으로․遠藤周作『おバカさん』論 ·································································································· 松橋幸代…115
- 『東海道中膝栗毛』との比較を通して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의『생혈(生血)』론········································································ 朴 裕 美…133
- 유코(ゆう子)의 ‘성’에 대한 자각을 중심으로 ․역도산 만화와 고도경제성장기 표상 ·······································································임 상 민…151
-하루키 에츠미「역도산이 찾아왔다」론․조선시대 후기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한 고찰 ············································김 현 정…173
- 동시대 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근세일본의 상인의 발전과 상가경영 ············································································· 이 덕 훈…193
․동북아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과 그 가능성 ················································崔 聖 伯…215
-韓․中․日을 중심으로․독도・센카쿠제도・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정부의 차별적 영유권 인식 ··········· 최 장 근…241
■彙報 ······················································································································································261
■韓國日本文化學會 任員名簿···················································································································285
■韓國日本文化學會 會則··························································································································287
指示詞「こう」の分類について
1)近
悠 美*
(e-mail: [email protected])
⋡ᰴ
1.はじめに
2.先行研究
2.1.金水木村田窪(1989)
2.2.小出(2011)
3.指示詞「こう」の性質に関する仮説
4.調査対象と方法
5.それぞれの指示詞「こう」の用法
5.1.言語指示としての「こう」
5.2.動作指示としての「こう」
5.3.状況指示としての「こう」
6.まとめ
1.はじめに
本稿ではૠ指示詞「こう」の分類について述べるૡ山内(2009)ではૠOPIデータにお
1)
ける「こう」 の出現回数がૠ初級1回,中級2回,上級1回であったのに対しૠ超級
2)
は173回であったことからૠ超級になるとフィラー 「こう」の使用回数が急増するということ
3)
を明らかにしているૡ このようにૠフィラー「こう」は日本語学習者のレベルを知るための重
* 檀国大学校 外国語大学 日本語科 専任講師
1) 山内(2009)ではૠ指示詞とフィラーの区別はせずに調査を行なっているૡ
2) フィラーとはૠ「あのー」や「えーと」などૠ「それ自身命題内容を持たずૠかつ他の発話と狭義の
応答関係接続関係修飾関係にないૠ発話の一部分を埋める音声現象(山根2002:p.49)」の
ことであるૡ
3) 山内博之(2009)『プロフィシエンシーから見た日本語教育文法』ひつじ書房.pp.12-13
6#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3䭋
要な手掛かりでありૠまたૠフィラー「こう」の機能を明らかにすることはૠ日本語教育にお
いて重要な課題となるૡ
一方ૠ「こう」にはフィラーだけでなく指示詞もあるૡそれぞれの用例は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1) 男は電話の相手に向かってૠわたしとは完全に無関係にこう言ったૡ「そりゃまたૠすご
4)
い偶然じゃないか」喫茶店を出るときૠ
5)
(BCCWJ)
(2) 三十歳ぐらいでやっとこう大人の仲間入りだと思うんですいやもしかしたらもっと上かも (CSJ)
6)
(1)の「こう」は「そりゃまたૠすごい偶然じゃないか」という発話を指示しૠ動詞「言
7)
う」に係っている ことからૠ指示詞「こう」であると考えられるૡ一方ૠ(2)の「こう」は指
示対象も係り先も明確でないことからૠフィラー「こう」であると考えられるૡ「こう」にはフィ
ラーだけでなく指示詞もあることからૠ両者をともに研究対象とする必要があるૡ
そこでૠ本稿では指示詞「こう」とフィラー「こう」の関係を明らかにするための準備段階と
してૠ指示詞「こう」のみを研究対象としૠ以下の2点を主張するૡ
①指示詞「こう」がૠ「言語指示」「動作指示」「状況指示」の三つに分類できるૡ
②省略可能な指示詞「こう」がૠ指示詞「こう」とフィラー「こう」をつないでいるૡ
①の「言語指示」とはૠ従来からある「文脈指示」のことであるૡ文脈指示はૠ会話
や文章だけでなくૠ意志ૠ感情ૠ思考内容などૠ言語全般を指示していることからૠ本
稿では言語指示としたૡ次にૠ「動作指示」とはૠ従来からある「現場指示」のことで
あるૡ「こう」は「これ」「この」とは違いૠ物ではなく動作を指示していることからૠ本稿
では動作指示としたૡそしてૠ「状況指示」とはૠ本稿で新たに立てた分類のことであ
るૡ状況や状態を指示している「こう」をૠ本稿では状況指示としたૡ
またૠ②の「指示詞「こう」とフィラー「こう」をつないでいる」とはૠ指示詞「こう」に
は省略が可能なものと不可能なものがありૠ省略可能な指示詞「こう」はૠ省略が可能
である点がフィラーと共通していることからૠ省略可能な指示詞「こう」がૠ指示詞「こ
う」とフィラー「こう」をつないでいるのではないかૠということであるૡ
4)
5)
6)
7)
本稿の用例に記されているૠ「こう」の二重下線ૠ指示詞「こう」の指示対象の一重下線ૠ指示詞「こ
う」の係り先の囲み線はૠすべて筆者によるものであるૡ
BCCWJとはૠ国立国語研究所が作成した『KOTONOHA「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
検索デモンストレーション』(Balanced Corpus of Contemporary Written Japanese)のことであ
るૡなおૠ現在は『KOTONOHA「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少納言』という名称になっ
ているૡ
CSJとはૠ国立国語研究所と情報通信機構が開発した『日本語話し言葉コーパス』(Corpus of Spontaneous
Japanese)のことであるૡ
本稿ではૠ指示詞「こう」の係り先の範囲を特定しやすくするためにૠ係り先の範囲は活用形までとしたૡ
指示詞分類 ······················································································· 近 悠 美…7
2.先行研究
2.1.金水木村田窪(1989)
最初にૠ指示詞「こう」の分類に関する先行研究を概観するૡ指示詞「こう」の分類
に関する論文はૠ管見の限りでは見当たらなかったがૠ学習者向けに書かれたものにૠ金
水木村田窪(1989)があるૡ
8)
金水木村田窪(1989)ではૠ指示詞「こう」には以下の用法があるとしているૡ
Ⅰ.動作や作用の様態を表す用法
Ⅱ.動作や作用の結果の状態を表す用法
Ⅲ.発言や思考の内容を表す用法
Ⅳ.性質状態の程度が大きいことやૠ様態の程度量が大きいことを表す用法
まずૠⅠの用法の用例として(3)を挙げているૡ
(3)「お箸の持ち方を教えてください」
「右手の指にこう挟んで,こう動かすのです」
(金水木村田窪1989:p.56)
(3)は手を動かしながら箸の持ち方を説明しておりૠ「こう」は箸を持っている動作を表し
ていることからૠⅠの用法であるとしているૡ
またૠ金水木村田窪(1989)ではૠⅠの用法の「こう」についてૠ指示詞と動詞の
間に他の言語が入るときはૠ「こう/そう/ああ」は使えないとしておりૠその用例として(4)
を挙げているૡ
(4) ラケットは,{*こう/こんな風に/こうして/こうやって}フェイスと手のひらが平行になる
ような位置で握るとよいૡ (金水木村田窪1989:p.57)
金水木村田窪(1989)ではૠ(4)のように「こう」と動詞の間に他の言語が入ってい
る場合はૠ指示詞「こう」が使えないとしているૡしかしૠ話し言葉の場合ૠ手を動かしな
がら発話しているのであればૠ「こう」と動詞の間に他の言語が入っていてもૠ「こう」を
使うことができるのではないだろうかૡ
次にૠⅡの用法の用例として(5)を挙げているૡ
8)
金水敏木村英樹田窪行則(1989)『日本語文法 セルフマスターシリーズ4 指示詞』くろしお
出版.p.56ૠp.59ૠp.61ૠp.68
8#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3䭋
(5)「このご飯少しかたいですね」
「ええ,炊くときに水が少ないとこうなるんです」 (金水木村田窪1989:p.59)
(5)は目の前にあるご飯について話しておりૠ「こう」はご飯の状態を表していることか
らૠⅡの用法であるとしているૡ
次にૠⅢの用法の用例として(6)を挙げているૡ
(6) 登美子は,こう言いながら入ってきたૡ
「おはようございますૡきょうもよろしくお願いいたします」
(金水木村田窪1989:p.61)
(6)の「こう」はૠ「おはようございますૡきょうもよろしくお願いいたします」という登美子
の発言内容を表していることからૠⅢの用法であるとしているૡ
そしてૠⅣの用法の用例として(7)を挙げているૡ
(7) こう暑いと,勉強がはかどりませんねૡ (金水木村田窪1989:p.68)
(7)の「こう」はૠ暑いという状況の程度が大きいことを表していることからૠⅣの用法で
あるとしているૡ
金水木村田窪(1989)は学習者向けに書かれたものであるためૠ分かりやすさを優
先してૠ四つの用法に分類しているのだと思われるૡしかしૠⅡの用法とⅣの用法は根本
的には同じ原理であると考えられることからૠ指示詞「こう」は本質的には三つの用法に分
かれるのではないだろうかૡ
2.2.小出(2011)
次にૠ「こう」に関する先行研究を概観するૡ指示詞やフィラーに関する先行研究は数
多く報告されているがૠ「こう」を研究対象の中心としたものはૠ管見の限りでは小出
(2011)のみであるૡ
小出(2011)ではૠ日本語学習者の発話に見られるフィラー「こう」の性質とૠ超級にな
るとフィラー「こう」の使用回数が増える理由についてૠフィラー「こう」とフィラー「この」
を比較しながら考察しているૡしかしૠ小出(2011)はフィラーのみを研究対象としておりૠ指
示詞は研究対象としていないૡ
「こう」にはフィラーだけでなく指示詞もあることからૠ指示詞「こう」も研究対象にしなけ
ればૠフィラー「こう」について明らかにすることはできないのではないだろうかૡ
指示詞分類 ······················································································· 近 悠 美…9
3.指示詞「こう」の性質に関する仮説
本稿ではૠ指示詞「こう」の分類を明らかにするためにૠ表1のような仮説を立てたૡ
表1.「こう」の分類とその性質
ಽ㘃
ᜰ␜⹖
⸒⺆ᜰ␜
േ૞ᜰ␜
ᜰ␜ኻ⽎
ࡈࠖ࡜࡯
⁁ᴫᜰ␜
޽ࠅ
⸒⺆
ଥࠅవ
േ૞
ߥߒ
⁁ᴫ߿⁁ᘒ
޽ࠅ
ߥߒ
指示対象についてૠ言語指示の指示対象は「言語」ૠ動作指示の指示対象は「動
作」ૠ状況指示の指示対象は「状況や状態」としたૡしかしૠフィラーは指示対象が明
確でないことからૠ「なし」としたૡ
またૠ係り先についてはૠ指示詞は「あり」としたがૠフィラーは係り先が明確でないこと
からૠ「なし」としたૡ
そしてૠそれぞれの分類の用例は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まずૠ(8)は言語指示としての「こう」の用例であるૡ
(8) やがてૠその表情がやわらいだかと思うとૠこう言った ૡ「これからはૠやるかやられ
るかなのよ」彼女はバッグを拾いあげるとૠ (BCCWJ)
(8)の指示対象は「これからはૠやるかやられるかなのよ」という言語でありૠ動詞「言
う」に係っていることからૠ言語指示に分類したૡ
次にૠ(9)は動作指示としての「こう」の用例であるૡ
(9) 「このはちまきのねじり方が分からないんだけどૠどうねじればいいのૡ」
「こうねじればいいんだよૡ」 (作例)
(9)の指示対象はૠ発話者がはちまきをねじっている動作でありૠ動詞「ねじる」に係っ
ていることからૠ動作指示に分類したૡ
次の(10)はૠ状況指示としての「こう」の用例であるૡ
(10) 音調指令の大きさをૠ強調普通抑圧の三段階に量子化しましたૡえーૠ各値はこうなって
9) おります 9)
CSJは話し言葉を文字化したコーパスであるがૠそこには発話以外の情報も記されているૡ
(CSJ)
10#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3䭋
(10)の指示対象はૠ音調指令の大きさを量子化した際の各値の状態でありૠ動詞「な
る」に係っていることからૠ状況指示に分類したૡ
そしてૠ(11)はフィラーとしての「こう」の用例であるૡ
(11) 三十歳ぐらいでやっとこう大人の仲間入りだと思うんですいやもしかしたらもっと上かも
(=(2))
(11)はૠ指示対象も係り先も明確でないことからૠフィラーに分類したૡ
本稿ではૠ表1の仮説をもとにૠそれぞれの指示詞「こう」の用法について考察するૡ
4.調査対象と方法
本稿ではૠ話し言葉のコーパスである『日本語話し言葉コーパス』(以下CSJ)とૠ書
き言葉のコーパスである『KOTONOHA「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検索デ
モンストレーション』(以下BCCWJ)から用例を収集したૡ
CSJとはૠ学会講演や模擬講演などの話し言葉を文字化したコーパスのことであるૡ
CSJから用例を収集した理由はૠ書き言葉よりも話し言葉の方がૠ動作指示としての「こ
う」が多く出現すると考えられたためであるૡ
CSJにはૠ学会講演ૠ模擬講演ૠその他という独話タイプૠ学会講演インタビューૠ
模擬講演インタビューૠ課題指向対話ૠ自由対話という対話タイプૠそしてૠ再朗読ૠ
朗読という朗読タイプの計3タイプ9音声ファイルが収録されているૡ本稿ではૠ言語指
示,状況指示だけでなくૠ動作指示も多く出現すると思われる学会講演のファイルを使用し
たૡしかしૠ学会講演のファイルのみだとૠ発話内容ૠ文体ૠフォーマルさなどに偏りが生
じる可能性があるためૠ模擬講演のファイルも使用したૡなおૠ指示詞「こう」の品詞は
副詞であることからૠ用例を収集する際にはૠ副詞「こう」の用例に限定したૡ検索の結
10)
果ૠCSJからは2704例収集したૡ
一方ૠBCCWJとはૠ書籍や白書などの書き言葉を収集したコーパスのことであるૡ
BCCWJを使用した理由はૠ話し言葉よりも書き言葉の方がૠ指示詞「こう」の指示対象
と係り先が明確に現れると考えられたためであるૡなおૠBCCWJにはૠ書籍ૠ白書ૠ国
(例) 音調指令の大きさを<ベル>強調普通抑圧の三段階に量子化しました(F えー)各値はこうなっ
ております ((10)を改変)
しかしૠ本稿では<ベル>や(F えー)のような発話以外の情報は考察の対象ではないためૠ適宜ૠG G
句読点に置き換えたり省略を行なったૡ
10) 検索した際は2705例であったがૠそのうちの1例は指示詞「こう」でもフィラー「こう」でもない用例
であったためૠ予め調査対象から除外したૡ
(CSJ)
(例) まૠ感動詞でそこそこうまく行ってૠ国会ではૠのૠではૠが接続詞に 指示詞分類 ····················································································· 近 悠 美…11
会会議録ૠ教科書ૠYahoo!知恵袋ૠYahoo!ブログという6種類のジャンルがあるがૠ
本稿ではૠ内容ૠ文体ૠフォーマルさなどに最も偏りがないと思われる書籍のみから用例を
収集したૡまたૠ6種類のジャンルにはそれぞれ下位分類がありૠ書籍には11種類の下
11)
位分類 があるがૠ内容や文体などの偏りを避けるためૠ本稿では書籍全体から用例を
12)
収集したૡ検索の結果ૠBCCWJからは用例を321例収集したૡ
次にૠ調査対象外の「こう」について述べるૡ調査対象外の「こう」は以下のとおりで
あるૡ ①連体詞の「こういう」「こういった」「こうした」やૠ副詞としての用法の「こうやって」「こうし
て」の「こう」
②接続詞としての用法の「こうして」の「こう」
③慣用句の一部となっている「そうこう」「どうこう」の「こう」
それぞれの調査対象外の「こう」の用例はૠ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12) この問題はૠ前項にもあるようにૠ飼い主がその犬の個性を理解しようとせずૠ“犬とはこう
いうモノ”というステレオタイプのイメージに縛られたままૠG G
(13) 最後にこうして得られた格フレームをまとめて格フレーム辞書を作ります
(BCCWJ)
(CSJ)
(14) きちんと取れたのはૠ何と出発の一週間前のことでしたૡえૠこうしてૠ何とかその当日に辿
り着いた訳ですが (CSJ)
(15) ですからૠこの観点から語彙をどうこうということはૠ殆ど不可能であろうという風に思います (CSJ)
まずૠ(12)(13)は調査対象外①の用例であるૡ(12)の「こう」は「こういう」という連体
詞の一部であることからૠ本稿では調査対象外としたૡ(13)の「こう」はૠ「こう」が「し
て」に係っているのではなくૠ「こうして」が動詞「得る」に係っていることからૠ本稿では
調査対象外としたૡ
次にૠ(14)は調査対象外②の用例であるૡ(14)の「こう」は「こうして」で接続詞とし
ての用法であることからૠ本稿では調査対象外としたૡ
そしてૠ(15)は調査対象外③の用例であるૡ(15)の「こう」は「どうこう」という慣用句
の一部となっていることからૠ本稿では調査対象外としたૡ
11)
書籍の下位分類はૠ総記ૠ哲学ૠ歴史ૠ社会科学ૠ歴史科学ૠ技術工学ૠ産業ૠ芸術美術ૠ言
語ૠ文学ૠ分類なしૠの11種類であるૡ
12) BCCWJでは検索件数が500件以上の場合はૠ500件までしか表示されないようになっているૡ
またૠ500例のうち179例は指示詞「こう」やフィラー「こう」ではない用例であったためૠ予め調査対
象から除外したૡ
(例) レンネンカンプが受けた負方向の感銘はいっこうに薄くならなかったૡG G G G G G G G G G G (BCCWJ)
12#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3䭋
以上の結果ૠCSJには2704例のうち調査対象外の「こう」の用例が879例含まれておりૠ
BCCWJには321例のうち調査対象外の「こう」の用例が216例含まれていたૡ
またૠCSJは話し言葉のコーパスであるためૠ文脈からは指示詞「こう」であると思われ
てもૠフィラー「こう」であるという可能性も否めないૡそこでૠ指示詞「こう」の用例のみ
を取り出すためにૠ1825例すべての用例の音声を聞きૠ以下の方法で指示詞とフィラーの
分類を行なったૡ
①「こう」のアクセントの高さが1拍目と2拍目で異なる場合は指示詞であるૡ
②「こう」のアクセントの高さが1拍目と2拍目で同じ場合はフィラーであるૡ
日本語の形態素アクセントにはૠ1拍目と2拍目の高さが異なるというルールがあるૡし
かしૠそのルールに当てはまらない場合もあるૡ用例は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16) 非常にこう丹念でこう緻密なこう取材がもうとてもこう映像に (CSJ)
(16)は「こう」が連続していることからૠフィラーとしての「こう」であると思われるૡさら
にૠ(16)は発話の際に「こう」に高低アクセントをつけると不自然になってしまうૡしたがっ
てૠ本稿では「こう」のアクセントの高さが1拍目と2拍目で同じ場合はフィラーであるとし
たૡ
そしてૠ「こう」の集計結果は表2のとおりであるૡ
表2.「こう」の性質による集計結果
⸒⺆ᜰ␜
േ૞ᜰ␜
⁁ᴫᜰ␜
ಽ㘃ਇ᣿
ࡈࠖ࡜࡯
ว⸘
%5,
㧤
㧞
$%%9,
㧜
㧝
㧝
ว⸘
㧤
㧟
集計の結果ૠ指示詞「こう」の出現数はૠCSJ,BCCWJともにૠ多い方から順に言
語指示ૠ状況指示ૠ動作指示であったૡ
CSJはૠ言語指示54例ૠ動作指示8例ૠ状況指示34例ૠ分類不明2例ૠそし
てૠフィラーが1722例であったૡ学会講演では手を動かしながら発話している可能性があ
ることからૠ動作指示としての「こう」が多く出現すると思われたがૠ音声と文字だけでは
13)
14)
分類不明とはૠ動作指示としての「こう」であるか否かを明確にす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こう」のことであるૡ
(例) 実は真ん中なんですૡあーૠだえはえんૠG えーૠこうかૡG G G G G G G G G (CSJ)
1825例のうちૠ音声が消されていたために聞くことができなかった用例が5例あったためૠそれらにつ
いては予め合計数から除外したૡ
指示詞分類 ····················································································· 近 悠 美…13
動作指示であるかどうかを判断す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ためૠあまり用例を収集することができ
なかったૡ
一方BCCWJはૠ言語指示75例ૠ動作指示0例ૠ状況指示28例ૠ分類不明1
例ૠそしてૠフィラーが1例であったૡBCCWJは書き言葉のコーパスであるがૠ書き言
葉の場合は手を動かすという動作を指示することができないためૠ動作指示がなかったのだ
と思われるૡまたૠ書き言葉の中には小説の会話文などのような話し言葉が紛れ込んでしま
うこともあるためૠフィラーが1例含まれていたのだと思われるૡ
5.それぞれの指示詞「こう」の用法
5.1.言語指示としての「こう」
第一にૠ言語指示としての「こう」を考察するૡ
言語指示の分類のルールはૠ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言語を指示しているૡ
言語指示としての「こう」の用例は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17) やがてૠその表情がやわらいだかと思うとૠこう言ったૡ「これからはૠやるかやられるかなの
よ」彼女はバッグを拾いあげるとૠ (=(8))
(18) 少しだけましになったૡ「なぜૠそこまでこだわる」冷徹非情な青年をしてこう訊かせた
のはૠ苛立ちよりも諦めのためであったૡ (BCCWJ)
(19) それをいくら男が主張したところで女はこう言ったっきり口ごもるだろうૡ「そりゃそうだけど…」そして
心の中でつぶやくのだૡ (BCCWJ)
(17)の指示対象は「これからはૠやるかやられるかなのよ」という言語でありૠ係り先は
動詞「言う」であるૡ(18)の指示対象は「なぜૠそこまでこだわる」という言語でありૠ係
り先は動詞「訊かせる」であるૡ(19)の指示対象は「そりゃそうだけど…」という言語であ
りૠ係り先は動詞「言う」であるૡ
次にૠ(20)(21)(22)は指示対象に引用の「と」「って」が含まれている用例であるૡ
(20) これしか出てないようですられる敬語があるかどうかそれからૠえーૠ受益表現とこう名付けましたけども
(CSJ)
(21) 立てなくていいんだとこういうことらしいですૡまૠこれにはこれから期待しなきゃいけないんだ
ろうとこう思ってます (CSJ)
(22) それでその時私はこう思ったわૡひょっとしてૠこういう経験したのは私が初めてじゃないん
14#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3䭋
じゃないかって」 (BCCWJ)
(20)の指示対象は「受益表現と」という言語でありૠ係り先は動詞「名付ける」であ
るૡ(21)の指示対象は「まૠこれにはこれから期待しなきゃいけないんだろうと」という言語
でありૠ係り先は動詞「思う」であるૡ(22)の指示対象は「ひょっとしてૠこういう経験した
のは私が初めてじゃないんじゃないかって」という言語でありૠ係り先は動詞「思う」であ
るૡ
用例を見ていった結果ૠ言語指示としての「こう」の場合はૠ指示対象に引用の
「と」「って」が含まれている場合とそうでない場合があることが明らかとなったૡそこで次
にૠ指示対象に引用の「と」「って」が含まれているか否かについてૠ「こう」の有無と
いう観点から考察するૡ用例は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23)「わかったらૠ刀をしまって立てૡ野次馬がこちらを見ているのがわからぬか」(こう/×
ɐ)言った楓はૠついて来いというように豊太のほうに顎をしゃくるとૠG G G G G G (BCCWJ)
(24) 色々催促したらですねૠまૠ二十個は間違いないですねと(こう/○ɐ)言うんですよ
(CSJ)
(23)の場合は「こう」を省略すると許容されにくくなるがૠ(24)の場合は「こう」を省略し
ても許容されると思われるૡ(23)は指示対象に引用の「と」「って」が含まれていないた
めૠ許容されにくくなると考えられるૡ一方ૠ(24)は指示対象に引用の「と」が含まれてい
るためૠ許容されると考えられるૡ
加藤(2010)によるとૠ引用の「と」「って」と動詞の間に挿入されている「こう」「こう
15)
いう風に」などはૠ省略しても問題がないとしているૡ 加藤(2010)ではૠこのような「こう」
16)
「こういう風に」を「指示語挿入休止系」 と呼んでおりૠ一度「と」「って」の部分で
ポーズを置きૠ指示詞で先行部分を受ける形をしているものをૠ話し言葉の特徴の一つで
17)
あるとしているૡ このことからૠ(24)にも指示対象に引用の「と」が含まれておりૠまたૠ話
し言葉であることからૠ指示語挿入休止系の「こう」であると思われるૡそのためૠ「こ
う」を省略しても許容されるのではないだろうかૡ
それではૠ以下の場合はどうだろうかૡ
(25) あなたは百年前どこにいたのか?たいていの人は(こう/○ɐ)答えるはずだૡどこにもい
15)
16)
17)
加藤陽子(2010)『日本語研究叢書25 話し言葉における引用表現―引用標識に注目して―』くろ
しお出版.p.73
加藤(2010)ではૠ「こう」「こういう風に」「そう」などを「指示語」と呼びૠ一方ૠ本稿では「指
示詞」と呼んでいるがૠ両者の意味は同じであるૡ
加藤陽子(2010)『日本語研究叢書25 話し言葉における引用表現―引用標識に注目して―』くろ
しお出版.p.73
指示詞分類 ····················································································· 近 悠 美…15
なかったૠとૡ (BCCWJ)
(25)もૠ「こう」を省略しても許容されると思われるૡしかしૠ(25)はBCCWJから収集し
た用例でありૠまたૠ「こう」の位置も引用の「と」と動詞の間ではないૡしたがってૠ話
し言葉に限らず書き言葉の場合であってもૠまたૠ「こう」の位置が引用の「と」「って」
と動詞の間でなくてもૠ指示対象に引用の「と」「って」が含まれていればૠ「こう」の
省略が可能になるのではないかと思われるૡこのことからૠ省略可能な言語指示としての
「こう」であるかを判断する際にはૠ指示対象に引用の「と」「って」が含まれているか
否かという点がૠ最も重要ではないだろうかૡ
そしてૠ(26)(27)はૠ指示対象がコンテクスト外にある用例であるૡ
(26) いつも遊んでくれる友だちがૠ算数が分からないで困っていたときに「こう考えてこうすれば
いいんだよ」と教えましたૡ (BCCWJ)
(27) この変化していくさまが非常にૠそのૠ懐かしく思うし昔はあの辺はこうだったなんてい
うこと非常に歩くたんびに思い出してるような感じです
(CSJ)
(26)の指示対象はૠ算数の問題の解き方を説明しているときの言語でありૠ係り先はૠ
一つ目の「こう」は動詞「考える」ૠ二つ目の「こう」は動詞「する」であるૡ(26)は指
示対象がないように思われるがૠ算数の問題の解き方は複数想定できૠ「こう」がそれら
を受けていると考えられることからૠ(26)にも指示対象がある可能性が高いૡそのためૠ
(26)は言語指示としての「こう」であると考えられるૡ(27)の指示対象はૠ昔の様子を思い
出しながら話しているときの言語でありૠ係り先はૠコピュラ「だ」であるૡ(27)も指示対象
がないように思われるがૠ昔の様子の内容は複数想定できૠ「こう」がそれらを受けている
と考えられることからૠ(27)も言語指示としての「こう」であると考えられるૡ
5.2.動作指示としての「こう」
第二にૠ動作指示としての「こう」を考察するૡ
動作指示の分類のルールはૠ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①手で何かを指し示すૠあるいは手を動かしながら話さないと違和感があるૡ
②目の前にあるものの動きを指示しているૡ
はじめにૠ分類のルール①に当てはまる用例は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28)「このはちまきのねじり方が分からないんだけどૠどうねじればいいのૡ」
「こうねじればいいんだよૡ」 (29) ボールをこう投げるとૠ遠くに飛びますよૡ (=(9))
(作例)
16#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3䭋
(30) 音がこう来ましてこっからこう行くと考えられますがその時にૠえૠ左の耳に注目しますとこう
来ます (CSJ)
(28)の指示対象はૠ発話者がはちまきをねじっているときの動作でありૠ係り先は動詞
「ねじる」であるૡ(29)の指示対象はૠ発話者がボールを投げているときの動作でありૠ
係り先は動詞「投げる」であるૡ(30)の指示対象はૠ発話者が音の流れを説明していると
きの手の動きでありૠ係り先はૠ一つ目と三つ目の「こう」は動詞「来る」ૠ二つ目の
「こう」は動詞「行く」であるૡ(30)は学会講演の発話であることからૠ発話者は手を動
かしながら発表していると思われるૡそのためૠ(30)は動作指示であると考えられるૡ
次にૠ分類のルール②に当てはまる用例は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31) ポチが尻尾をこう振っているときはૠ遊んでほしいということを表現しているんですૡ
(作例)
(32) コロがこう動いているときはૠエサが欲しいということを表現しているんですૡG G G (作例)
(31)の指示対象はૠ発話者の目の前でポチが尻尾を振っている動作でありૠ係り先は
動詞「振る」であるૡ(32)の指示対象はૠ発話者の目の前でコロが動いている動作であ
りૠ係り先は動詞「動く」であるૡ
次にૠ(33)(34)(35)はૠ「こう」と動詞の間に動作を詳しく説明する言語が含まれている
用例であるૡ
(33) ムラが出ないようにૠ毛先をこう細かく動かします ૡ (作例)
(34) 私はૠ眠くなってくるとこう頬をつねります ૡ (作例)
(35) ラケットはૠこうフェイスと手のひらが平行になるような位置で握るとよいૡG G ((4)を改変)
(33)の指示対象はૠ発話者が毛先の動かし方を説明しているときの動作でありૠ係り先
は「細かく動かします」であるૡ(34)の指示対象はૠ発話者が眠くなってくるときに行なう動
作でありૠ係り先は「頬をつねります」であるૡ(35)の指示対象はૠ発話者がラケットの握
り方を説明しているときの動作でありૠ係り先は「フェイスと手のひらが平行になるような位置
で握る」であるૡ
金水木村田窪(1989)ではૠ「こう」と動詞の間に他の言語が入っている場合はૠ
18)
指示詞「こう」を使うことができないとしている がૠ手を動かしながら発話している場合であ
ればૠ「こう」と動詞の間に他の言語が入っていてもૠ指示詞「こう」の使用は可能であ
ると思われるૡそのためૠ本稿では動作指示としての「こう」に分類したૡ
18)
金水敏木村英樹田窪行則(1989)『日本語文法 セルフマスターシリーズ4 指示詞』くろしお
出版.p.57
指示詞分類 ····················································································· 近 悠 美…17
用例を見ていった結果ૠ動作指示としての「こう」にはૠ「こう」と動詞の間に動作を詳
しく説明する言語が含まれている場合とそうでない場合があることが明らかとなったૡそこで次
にૠ「こう」と動詞の間に動作を詳しく説明する言語が含まれているか否かについてૠ「こ
う」の有無という観点から考察するૡ用例は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36) 腕を(こう/×ɐ)振れば ૠもっと速く走れるようになるよૡ (作例)
(37) ムラが出ないようにૠ毛先を(こう/○ɐ)細かく動かします ૡG G G G G G G G G ((33)を改変)
(36)の場合は「こう」を省略すると許容されにくくなるがૠ(37)の場合は「こう」を省略し
ても許容されると思われるૡ
動作指示としての「こう」はૠ発話の際の手の動きや目の前にあるものの動作を表すた
めૠ(36)のように「こう」と動詞の間に動作を詳しく説明する言語が含まれていないとૠ許
容されにくくなると考えられるૡ一方ૠ(37)は「こう」と動詞の間に動作を詳しく説明する言
語が含まれているためૠ「こう」を省略しても許容されると考えられるૡ
5.3.状況指示としての「こう」
第三にૠ状況指示としての「こう」を考察するૡ
状況指示の分類のルールはૠ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状況や状態全体を指示しているૡ
状況指示としての「こう」の用例は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38)「このご飯少しかたいですね」
「ええૠ炊くときに水が少ないとこうなるんです」 (=(5))
(39) 音調指令の大きさをૠ強調普通抑圧の三段階に量子化しましたૡえーૠ各値はこうなって
おります (=(10))
(40) ぼくは―みなも―お竜さんが発狂したのではないかと疑ったૡ「ええいૠこうなっちゃもうしか
たがねえૡおらあすっぱり尻尾を出すぜ」お竜さんは言い―
(BCCWJ)
(38)の指示対象はご飯の状態でありૠ係り先は動詞「なる」であるૡ(39)の指示対象
はૠ音調指令の大きさを量子化した際の各値の状態でありૠ係り先は動詞「なる」であ
るૡ(40)の指示対象はૠお竜さんがみんなから疑われている状況でありૠ係り先は動詞
「なる」であるૡ
次の(41)(42)はૠ条件節「と」の中に「こう」が含まれている用例であるૡ
(41) こう暑いと,勉強がはかどりませんねૡ (=(7))
18#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3䭋
(42) 万事ぬかりはないはずだがૠこう連絡が途絶えるとૠ何か重大なことが起こりૠ混乱して
いるのではないかとおもえてくるૡG G G G G G G
(BCCWJ)
(41)の指示対象は暑いという状況でありૠ係り先は形容詞「暑い」であるૡ(42)の指示
対象はૠ連絡が途絶えているという状況でありૠ係り先は「連絡が途絶える」であるૡ
(41)(42)はૠいずれも条件節「と」の中に指示詞「こう」が含まれているૡ(41)の主節
は「勉強がはかどりませんね」ૠ(42)の主節は「何か重大なことが起こりૠ混乱しているの
ではないかとおもえてくる」であることからૠ条件節「と」の中に指示詞「こう」が含まれて
いる場合はૠ主節には悪い方向へと程度が高くなっている状況を表す文がくると言えるので
はないだろうかૡ
それではૠ以下の場合はどうだろうかૡ
(43) こう暑いとૠビールが飲みたくなりますねૡ (作例)
(44) [マンガ本を読んでいて]
こう面白いとૠ早く続きが読みたくなりますૡ (作例)
(43)の指示対象は暑いという状況でありૠ係り先は形容詞「暑い」であるૡ(44)の指示
対象はマンガ本を読んでいるという状況でありૠ係り先は形容詞「面白い」であるૡ
(43)(44)の「こう」もૠ(41)(42)の「こう」と同様に条件節「と」の中に指示詞「こう」
が含まれているૡしかしૠ(43)の主節は「ビールが飲みたくなりますね」ૠ(44)の主節は
「早く続きが読みたくなります」であるようにૠ悪い方向へと程度が高くなっているのではな
くૠ願望を表していると思われるૡ一見するとૠ(41)(42)と(43)(44)には共通点がないようだ
がૠどちらも自分が理想としている状況ではないという点が共通していると思われるૡこのこと
からૠ条件節「と」の中に指示詞「こう」が含まれている場合はૠ主節にはあまり望ましく
ない状況を表す文がくると考えるのが妥当ではないだろうかૡ
またૠ金水木村田窪(1989)ではૠ(38)(39)と(40)(41)(42)(43)(44)は別の用法で
19)
あるとしている がૠ(38)から(44)は状況や状態を指示していることからૠ根本的な原理は同
じであると思われるૡそのためૠ(38)から(44)は同じ用法であると考えられるૡ
次の(45)(46)はૠ状況が詳しく言語化されている用例であるૡ用例は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45) 本人は腕のないことを気にして真面目に作っているのにૠどうしてこうૠ煮損なった上に焦
がしてしまった煮豆のような風味になるのだろうૡG G G G G G (BCCWJ)
(46) 気づかれる心配はなかったૡ「ちくしょうૠなんだってૠこうなにもかもぐずぐずしてるんだろう!」ホブソ
ンが泣きごとを言ったૡ 19)
(BCCWJ)
金水敏木村英樹田窪行則(1989)『日本語文法 セルフマスターシリーズ4指示詞』くろしお
出版.p.59ૠp.68
指示詞分類 ····················································································· 近 悠 美…19
(45)の指示対象はૠ煮損なった上に焦がしてしまった煮豆のような風味になるという状況で
ありૠ係り先は「煮損なった上に焦がしてしまった煮豆のような風味になる」であるૡ(46)の
指示対象はૠなにもかもぐずぐずしているという状況でありૠ係り先は「なにもかもぐずぐずし
て」であるૡ
用例を見ていった結果ૠ状況指示としての「こう」の用例にはૠ指示詞「こう」が指し
示している状況が詳しく言語化されている場合とそうでない場合があることが明らかとなったૡ
そこで次にૠ指示詞「こう」が指し示している状況が詳しく言語化されているか否かについ
てૠ「こう」の有無という観点から考察するૡ用例は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47) ぼくは―みなも―お竜さんが発狂したのではないかと疑ったૡ「ええいૠ(こう/×ɐ)なっ
ちゃもうしかたがねえૡおらあすっぱり尻尾を出すぜ」お竜さんは言い―
((40)を改変)
(48) 本人は腕のないことを気にして真面目に作っているのにૠどうして(こう/○ɐ)ૠ煮損なった上
に焦がしてしまった煮豆のような風味になるのだろうૡ ((45)を改変)
(47)の場合は「こう」を省略すると許容されにくくなるがૠ(48)の場合は「こう」を省略し
ても許容されると思われるૡ
状況指示としての「こう」は状況や状態を表すためૠ(47)のように指示詞「こう」が指し
示している状況が詳しく言語化されていないとૠ許容されにくくなると考えられるૡ一方ૠ(48)
は指示詞「こう」が指し示している状況が詳しく言語化されているためૠ「こう」を省略して
も許容されると考えられるૡ
6.まとめ
はじめにૠ本稿では以下の2点を主張したૡ
①指示詞「こう」がૠ「言語指示」「動作指示」「状況指示」の三つに分類できるૡ
②省略可能な指示詞「こう」がૠ指示詞「こう」とフィラー「こう」をつないでいるૡ
まずૠ主張①を明らかにするためにૠ本稿では指示詞「こう」の性質に関する仮説を立
てૠそれぞれの指示詞「こう」の用法を考察したૡ
最初にૠ言語指示としての「こう」の用例は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49) 少しだけましになったૡ「なぜૠそこまでこだわる」冷徹非情な青年をしてこう訊かせた
のはૠ苛立ちよりも諦めのためであったૡ (=(18))
(49)の指示対象は「なぜૠそこまでこだわる」という言語でありૠ動詞「訊かせる」に
20#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3䭋
係っていることからૠ言語指示としての「こう」に分類したૡ
次にૠ動作指示としての「こう」の用例は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50) ボールをこう投げるとૠ遠くに飛びますよૡ (=(29))
(50)の指示対象はૠ発話者がボールを投げるときの動作でありૠ動詞「投げる」に
係っていることからૠ動作指示としての「こう」に分類したૡ
そしてૠ状況指示としての「こう」の用例は以下のとおりであるૡ
(51) ぼくは―みなも―お竜さんが発狂したのではないかと疑ったૡ「ええいૠこうなっちゃもうし
かたがねえૡおらあすっぱり尻尾を出すぜ」お竜さんは言い―
(=(40))
(51)の指示対象はૠお竜さんがみんなから疑われているときの状況でありૠ動詞「なる」
に係っていることからૠ状況指示としての「こう」に分類したૡ
そしてૠ指示詞「こう」とフィラー「こう」はૠ表3のようにつながっているのではないだろ
うかૡ
表3.指示詞とフィラーのつながり
ᜰ␜⹖
ࡈࠖ࡜࡯
Ԙ⸒⺆ᜰ␜㧔⋭⇛ਇน㧕
ԛ⸒⺆ᜰ␜㧔⋭⇛น㧕
ԙേ૞ᜰ␜㧔⋭⇛ਇน㧕
Ԝേ૞ᜰ␜㧔⋭⇛น㧕
Ԛ⁁ᴫᜰ␜㧔⋭⇛ਇน㧕
ԝ⁁ᴫᜰ␜㧔⋭⇛น㧕
Ԟࡈࠖ࡜࡯
以下ૠ①から⑦の用例を順番に見ていくૡ①②③の用例はૠ省略不可能な指示詞
「こう」の用例であるૡ
① それをいくら男が主張したところで女は(こう/×ɐ)言ったっきり口ごもるだろうૡ「そりゃそうだけど…」
そして心の中でつぶやくのだૡG G G G G G G G G G G G G G G G G G
② 腕を(こう/×ɐ)振れば ૠもっと速く走れるようになるよૡ ((19)を改変)
(=(36))
③「このご飯少しかたいですね」
「ええ,炊くときに水が少ないと(こう/×ɐ)なるんです」
((5)を改変)
①は指示対象に引用の「と」が含まれていないためૠ「こう」を省略すると許容されにく
くなると思われるૡ次にૠ②は指示詞「こう」と動詞の間に動作を詳しく説明する言語が含
まれていないためૠ「こう」を省略すると許容されにくくなると思われるૡそしてૠ③は指示詞
「こう」が指し示している状況が詳しく言語化されていないためૠ「こう」を省略すると許容
指示詞分類 ····················································································· 近 悠 美…21
されにくくなると思われるૡ
次にૠ④⑤⑥の用例はૠ省略可能な指示詞「こう」の用例であるૡ
④ これしか出てないようですられる敬語があるかどうかそれからૠえーૠ受益表現と(こう/○ɐ)
名付けましたけども ⑤ 私はૠ眠くなってくると(こう/○ɐ)頬をつねります ૡ ((20)を改変)
((34)を改変)
⑥ 気づかれる心配はなかったૡ「ちくしょうૠなんだってૠ(こう/○ɐ)なにもかもぐずぐずして
るんだろう!」ホブソンが泣きごとを言ったૡG G G G G G G G G G G G G G G G G G G G G G G ((46)を改変)
④は指示対象に引用の「と」が含まれているためૠ「こう」を省略しても許容されると思
われるૡ次にૠ⑤は指示詞「こう」と動詞の間に動作を詳しく説明する言語が含まれてい
るためૠ「こう」を省略しても許容されると思われるૡそしてૠ⑥は指示詞「こう」が指し示
している状況が詳しく言語化されているためૠ「こう」を省略しても許容されると思われるૡ
そしてૠ⑦はフィラー「こう」の用例であるૡ
⑦ 非常に(こう/○ɐ)丹念で(こう/○ɐ)緻密な(こう/○ɐ)取材がもうとても(こう/○ɐ)映像に
((16)を改変)
⑦は「こう」が連続しているため係り先を特定することが難しくૠ更にૠ「こう」に高低アク
セントをつけると不自然になることからૠフィラーであると思われるૡ
省略可能な指示詞「こう」とフィラー「こう」はૠ「こう」の省略が可能である点が共
通しているૡこのことからૠ主張②「省略可能な指示詞「こう」がૠ指示詞「こう」とフィ
ラー「こう」をつないでいるૡ」と言えようૡ
今後の課題はૠより多くの用例を収集してૠそれぞれの指示詞「こう」の用法を明確に
することであるૡなおૠ本稿では動作指示としての「こう」の用例がほぼ作例であったた
めૠ今後は実例からも用例を収集したいૡ
またૠ本稿では指示詞「こう」のみを研究対象としたがૠ今後は本稿をもとにフィラー
「こう」の機能について考察しૠ指示詞との連続性の実態を明らかにしていきたいૡ
22#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3䭋
【参考文献】
加藤陽子(2010)『日本語研究叢書25話し言葉における引用表現―引用標識に注目して―』
くろしお出版.pp.72-74
金水敏木村英樹田窪行則(1989)『日本語文法 セルフマスターシリーズ4 指示詞』
くろしお出版.pp.56-70
小出慶一(2011)「日本語学習者の発話に見られるフィラー「こう」について」『埼玉大学紀要
(教養学部)』第46巻第2号ૠ埼玉大学教養学部.pp.99-112
益岡隆志田窪行則(1992)『基礎日本語文法―改訂版―』くろしお出版.p.112
山内博之(2009)『プロフィシエンシーから見た日本語教育文法』ひつじ書房.pp.2-63
山根智恵(2002)『日本語研究叢書15日本語の談話におけるフィラー』くろしお出版.
pp.49-51
【コーパス】
独立行政法人国立国語研究所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2004)『日本語話し言
葉コーパス』第1刷
独立行政法人国立国語研究所『KOTONOHA「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検
索デモンストレーション』<http://www.ninjal.ac.jp/kotonoha>(検索日:2011年
4月8日)
【謝辞】
本稿はૠ韓国日本文化学会2013年度第45回秋季国際学術大会における口頭発表
『指示詞「こう」の分類について』の内容に基づいてૠ執筆したものであるૡ口頭発表
の際にはૠ多くの先生方から貴重なご意見をいただいたૡまたૠ本誌の匿名査読者の方
からもૠ貴重なご助言をいただいたૡ記して感謝申し上げたいૡ
指示詞分類 ····················································································· 近 悠 美…23
ⷐᣦ
本稿はૠ指示詞「こう」の分類について述べたものであるૡ山内(2009)ではૠフィラー「こ
う」は超級話者になると使用回数が急増するということを明らかにしているૡこのようにૠフィラー
「こう」は日本語学習者のレベルを知るための重要な手掛かりでありૠまたૠフィラー「こう」
の機能を明らかにすることはૠ日本語教育において重要な課題となるૡしかしૠ「こう」にはフィ
ラーだけでなく指示詞もあることからૠ両者をともに研究対象とする必要があるૡ
そこでૠ本稿では指示詞「こう」とフィラー「こう」の関係を明らかにするための準備段階とし
てૠ指示詞「こう」のみを研究対象とし ૠ それぞれの指示詞「こう」の用法について考察し
たૡ
考察の結果ૠ指示詞「こう」はૠ言語を指示対象とする「言語指示」ૠ発話の際の手の
動きや目の前にあるものの動作を指示対象とする「動作指示」ૠそしてૠ本稿で新たに立てた
分類でありૠ状況や状態を指示対象とする「状況指示」の三つに分類できるということが明ら
かとなったૡ
またૠ指示詞「こう」には省略が可能なものと不可能なものがありૠ省略可能な指示詞「こ
う」とフィラー「こう」はૠ「こう」の省略が可能であるという点が共通していることからૠ省略
可能な指示詞「こう」によってૠ指示詞「こう」とフィラー「こう」がつながっているということが
明らかとなったૡ
キーワード : ࡈࠖ࡜࡯‫ޔޠ߁ߎޟ‬ᜰ␜⹖‫ޔޠ߁ߎޟ‬ᜰ␜ኻ⽎‫⺆⸒ޔ‬ᜰ␜‫ޔ‬
േ૞ᜰ␜‫⁁ޔ‬ᴫᜰ␜‫⇛⋭ޔ‬น⢻ߥᜰ␜⹖‫ޠ߁ߎޟ‬
G ൳!!!!ֵ!;!3125/!3/!39
!2౛!੗হ!;!3125/!4/!26!
!3౛!੗হ!;!3125/!5/!!6
日本語
の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について
金 昌 男*
1)
(e-mail: [email protected])
目次
1. はじめに
2. 考察対象および方法 3. 分析結果
3.1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が名詞に接続する場合
3.2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が動詞に接続する場合
3.3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が形容詞に接続する場合
4. まとめ
1.
はじめに
日本語の表現の中には、たとえば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ように形は異っても意
が類似しているものがあるが、これらは前に来る成分によって置き換えが可能な場
合と不可能な場合がある。
泉原(2007:565)は、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置き換えが可能な例として以下の例
を挙げている。なお、用例の下線と太字は筆者によるものである。(以下同様)
味 用法
(1)野外園遊会は、晴雨を問わず/にかかわらず、決行いたします。
(2)これからは、性別を問わず/にかかわらず、能力のある人をチームに迎えたい。
(3)新しい人材を発掘するため、経験の有無を問わず/にかかわらず、採用したい。
* 金剛大學校, 副教授, 日本語學
2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つまり、上記の(1)~(3)は 晴雨 性別 有無 に を問わず と にかかわらず が接続し
ている例であるが、これらはすべて を問わず と にかかわらず の置き換えが可能である。
また、泉原(2007:566)は を問わず と にかかわらず のうち一方のみ可能な例として以下
のものを挙げている。
(4)溶鉱炉は火を落とせないので、昼夜を問わず、稼働している。
(5)フリーサイズですから、男女を問わず、お召しいただけます。
(6)映画祭は、国の内外を問わず、優れた作品を募集している。
(7)出欠にかかわらず、同封の返信用葉書にて、お知らせください。
(8)成績の良し悪しにかかわらず、全員が参加することに意義がある。
(9)勝つか負けるかにかかわらず、最後まで正々堂々と戦ってほしい。
上記の(4)~(6)は 昼夜 男女 内外 に を問わず が接続しているが、これらの例は
にかかわらず に置き換えが不可能である。その反面、(7)~(9)は 出欠 良し悪し 勝つ
か負けるか に にかかわらず が接続されているが、これらの例はすべて を問わず に置き
換えが不可能な場合である。 また、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接続形態については、上記の(4)~(8)のように名詞
に接続している例と、(9)の 動詞原型か+動詞原型かにかかわらず の例と、さらに以下の
(10)の 動詞原型と+動詞否定形(ない)とを問わず の例と、(11)と(12)の 動詞原型 と 形
容詞原型+形容詞原型 に接続している例があるが、実際にはこれより多様な形態の例が
使用されている。
(10)君が望むと望まないとを問わず、事態は私の予想した通りに動いている。(目黒2001:577)
(11)ところが、国際法で規定しているにかかわらず、この言葉(= 中立 )は、
具体的な問題にぶつかると、どうもはっきりしない。(森田 松木1989:120)
(12)値段の高い安いにかかわらず、いい物は売れるという傾向があります。(友松1996:288)
しかし、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接続形態について述べている先行研究をみると、
私見が及んだ限りでは小林(2004)しか見つかっていない。小林(2004)の記述をまとめると
<表1>のようになる。
<表1>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接続形態1)
接続形態
にかかわらず
を問わず
1)< 表 1> の中の にかかわらず と を 問 わず の … の 用例 は 紙幅 の 関係 で 省略 してあるので 小林
(2004:51-52)を参照して頂きたい。
の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について ········································································ 金 昌 男…27
日本語
名
詞
動
詞
形
容
詞
(結果)結果、判決、得点、…
(種類)機種、性別、年齢、… 年齢、年齢層、国籍、…
(時間)時間、曜日、日程、…
なし
( 状態 / 変化 ) 状況、動向 / 動 所属
き、変化、…
(自然現象)天候、季節、悪天 天候、四季
①単一名詞N
候
(基準)規約、既定、条件、…
なし
(相違)違い、宗教の別
相違
( 質 量 ) 大 きさ 、 仕 事 量 、 程 体積、質量、温度、…
度、…
( そ の 他 ) 希 望 、 努 力 、 目 有責性、所属団体、学校
的、…
②対の名詞NN’(1) 男女、有無、有り無し、… 新旧、昼夜、男女、…
/ 与党野党 / 肯定否 平日、週末/ハード、ソフ/中
③対の名詞NN’(2) 公立私立
定、…
央地方、…
季節 や 時間、長短 や 内容、 キリスト 教徒、セルビア 教徒/
④対の名詞NN’(3) 実績や名声、…
仏教、キリスト教、…
⑤三つ以上の名詞
業種、地域、性別、年
なし
の並列NN’N”
齢、…
⑥Nの如何
努力、体制、理由、…
理由、事業手法、程度、…
⑦Nであるかどうか であるかどうか、であるなし
八路軍であると村民であると
⑧不定称代名詞 だれ彼
だれ彼
するしない
、 あるなし 、 したしな
①V(か)/Vない(か) い、するかしないか
なし
②かどうか
住んでいたかどうか
なし
③その他
講ずると否と、好むと好まざると
なし
①A/A
高い安い、いい悪い
なし
②AかA’か
高いか安いか
なし
③Aかどうか/否か うるさいかどうか、上手か否か
なし
④Aであるなし
積極的であるなし
なし
上記の<表1>で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接続形態をみると、まず名詞接続につい
ては ①単一名詞N、②対の名詞NN’(1)、③対の名詞NN’(2)、④対の名詞NN’(3)、
⑤三つ以上の名詞の並列NN’N”、⑥Nの如何、⑦Nであるかどうか、⑧不定称代名詞
の8つを挙げている。また動詞接続は ①V(か)/Vない(か)、②かどうか、③その他 の3
つを、さらに形容詞は ①A/A、②AかA’か、③Aかどうか/否か、④Aであるなし の4つ
の形態を挙げている。しかし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実例をみるとこれより多くの接続
形態が見られている。
また、小林(2004:52-53)は「 にかかわらず は名詞の他に、形容詞、動詞にも接続す
るが、この用法は を問わず には見られない」と述べているが、 を問わず の例をみると、
2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を問わず が動詞と形容詞に接続している例も多く見られている。
以上のように、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は多様な接続形態を持っており、さらに接続
形態別に違いがあるため、日本語学習者が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を正確に区別して
使うことは容易なことではない。
そこで、本稿では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について、多様な実例を資料とし、それぞ
れがどのような接続形態をなしているのか、また各接続形態別にどの程度の用例数が見ら
れるのかを考察し、両者の違いを明らかにする。さらにこのようなデータを基にして先行研究
における不備な点を補足したい。なお日本語学習者および日本語教育者に僅かながら役
立つ資料を提供したい。
および方法
2. 考察対象
本稿で考察対象とした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用例はすべて国立国語研究所が
構築した『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BCCWJ)2)を利用して収集したものであ
る。また考察の対象とした用例数は にかかわらず が1.306例と を問わず が1.132例で合
計2.438例である。
については、まずそれぞれの用例を対象に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前に来
る成分を考察した結果、両者とも名詞、動詞、形容詞に接続されていることから、接続形態
をこの三つの品詞に分類して考察を行った。さらに名詞の場合は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前に来る名詞数をもとに 名詞一つ、名詞二つ、名詞三つ以上 と、その他に ①N(の)如
何、②N(の)いずれ、③Nかどうか、④Nか否か、⑤NとNと、… の20形態に、また動詞の
場合は ①V(原型)とVざると、②V(原型)Vない、③V(原型)、④V(原型)とVないと、⑤V(原
型)かどうか、… の19形態に、また形容詞は ①A(原型)A(原型)、②A(語幹)、③A(語
幹)くない、④A(原型)か否か、⑤A(語幹)でない の5形態に分類し、それぞれの用例および
用例数について考察した。さらにこのようにして得たデータを基にして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
ず の違いについて比較検討を行った。
考察方法
3. 分析結果
まず、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接続形態について考察した結果をまとめると
<表2>のようになる。
2)『現代日本語書き言葉均衡コーパス』における検索対象は、新聞、雑誌、書籍、白書、ベストセ
ラー、知恵袋、ブログ、法律、国会会議録、広報誌、教科書、韻文に分類され、ジャンルにまた
がって 1 億 430 万語 のデータを 格納 しており 、各 ジャンルについて 無作為 にサンプルを 抽出 している
(https://chunagon,ninjal,ac,jp/searchより)。
の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について ········································································ 金 昌 男…29
日本語
<表2>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接続形態の品詞別用例数
表現 用例数
にかかわらず
を問わず
品詞
用例数
割合
用例数
名詞(N)
1.103
84.46%
1.091
動詞(V)
187
14.32%
40
形容詞(A)
16
1.23%
1
計
1.306
100.01%
1.132
割合
96.38%
3.53%
0.09%
100%
上記の<表2>をみると、 にかかわらず は1.306例のうち、名詞に接続している例が
1.103例で84.46%を占めており、次に動詞に接続している例が187例で14.32%、形容詞
の例が16例で1.23%である。また を問わず は1.132例のうち、名詞接続の例が1.091例
で96.38%、次に動詞が40例で3.53%、形容詞が1例(0.09%)である。つまり、この結果
から、 にかかわらず の84.46%が、また を問わず の96.38%が名詞に接続して使われて
いることがわかった。
以下で、名詞、動詞、形容詞それぞれについて考察を行うことにする。
3.1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が名詞に接続する場合
まず、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名詞接続形態をみると、一つの名詞に接続してい
る例と二つまたは三つ以上の名詞に接続している例が見られている。その名詞と用例数をみ
ると<表3>のようになる。
<表3>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名詞接続と用例数3)
表現
にかかわらず
接続
接続形態
用例
①N一つ
有無、大小、年齢、多
寡、区分、結果、規模、
障害、多少、生死、性
別、変化、金額、種類、
季節、内容、長短、意
思、意志、
公立 私立、景気 不景
気、意識 無意識、女性
男性、有料 無料、都市
部 農村部、営利 非営
…
②N二つ
(%)
用例数
923
(90.85)
78
(7.68)
を問わず 用例
男女、東西、昼夜、内
外、大小、国籍、年
齢、季節、有無、種
類、年代、世代、左
右、四季、規模、場
所、前後、
有名 無名、男子 女
子、有償 無償、文系
理系、良性 悪性、有
価 無価、直接 間接、
…
(%)
用例数
585
(61.32)
338
(35.43)
3)<表3>のNは名詞を指し、 ①N一つ は名詞が一つ、 ②N二つ は名詞が二つ、 ③N三つ以上 は
が つ
であることを意味する。以下同様。
名詞 三 以上
3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ごみ 資源、職業や学
利、
歴、
…
③N三つ以上
のぞみ ひか
や
15
パート アルバ (1.48)
性 年齢 収入、
、地域性 気候 風
土、正社員
、女性 男性 年齢、
り こだま
イト
計
…
1.016
(100)
プロ ア
新刊 既刊、
、
身分 年齢 学歴、小説
戯曲 映画、年齢 場所
時間、既婚 未婚 未亡
人、男性 女性 子
、
マ …
も …
31
(3.25)
ど
954
(100)
上記の<表3>は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名詞接続形態とその用例数をまとめたも
のである。それぞれの用例数をみると、 にかかわらず は1.016例に対し、 を問わず は954
例で前者が後者より多く見られた。また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はどちらも ①N一つ の
例がもっとも多く、その用例数は前者が923例(90.85%)に対し、後者は585例(61.32%)で
前者が後者より多い。その一方、 ②N二つ については前者が78例(7.68%)に対し、後
者は338例(35.43%)で後者が前者よりかなり多く見られた。つまり、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
わず の名詞接続においてはどちらも ①N一つ に接続している例がもっとも多く見られてお
り、また ②N二つ においては特に を問わず の例が にかかわらず より多く見られた。
また、小林(2004:54)は「庵(2001)と岡本(2000)では にかかわらず は 男女 のような反
対概念を含む語は受けないとあるが4)、実際の用例にはそのような例は多く見られた」と述
べ、その例として 男女、有無、大小、晴雨、昼夜、良し悪し、有り無し、勝負、多
少、出欠、長短、生死 の12個を挙げている。しかし、本調査ではさらに多くの用例が見
られたが、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用例とその用例数を挙げると<表4>のようになる。
<表4>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に見られる反対概念を含む名詞
表現
用例
名詞
数
用例
数
(98)
(25)
(10)
(5)
(3) し
ち け(3) ありなし(3)
(2)
(2)
(1)
(1)
(1)
(1)
にかかわ (2)
31 176
らず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1)
有無
、大小
、多寡
、多少 、長短 、善
悪
、勝 負
、
、高低 、成否 、貧
富 、昼夜 、内外 、前後 、新旧 、古今東西
、夏冬 、是非 、難易 、美醜 、高下 、男
女 、貴賤 、公私 、老若男女 、寒暑 、事前事
後 、盛衰 、東西 、晴雨 、出欠
し(3)
4)小林(2004:54)が【中ハ】と【大】から引用している例を挙げると以下のものがある。
この競技は男女 〈○を問わず/×にかかわらず〉 参加できます。【中ハ】
男女 〈○を問わず/×にかかわらず〉、楽しめるスポーツだ。【大】
なお、上記の【中ハ】は庵(2001)を、また【大】は岡本(2000)を指しているが、本稿では分かりやす
くするため、それぞれ庵(2001)と岡本(2000)で表すことにする。以下同様。
の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について ········································································ 金 昌 男…31
日本語
(64)
(45)
(41)
(28)
(24)
(22)
(19)
(6)
(5)
(4)
(4)
(3)
(3)
(2)
(2)
(
を問わず 2)
(2)
(2)
(2)
(2)
(2)
36 300
(2)
(1)
(1)
(1)
(1)
(1)
(1)
(1) ありなし(1)
(1)
(1)
(
1) (1) (1) (1)
上記の<表4>は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例に見られる反対概念を含む名詞と用例
数をまとめたものである。まず にかかわらず の場合をみると、小林(2004)では12個の名詞
を挙げているが、本調査では31個の名詞の例が見られている。つまり、小林(2004)の12
男女
、東西
、昼夜
、内外
、大小
、老
若男女
、有無
、左右 、前後 、貴賤 、古今
東西 、新旧 、老若 、長短 、夏冬 、是非
、上下 、多少 、正否 、公私 、官民 、古今
、貴庶 、厚薄 、南北 、高低 、善悪 、豊
凶 、賛否 、
、官私 、朝夕 、都鄙
、朝晩 、異同 、晴雨
個5)
のみならず
多寡、高低、成否、貧富、内外、前後、新旧、古今東西、夏冬、
是非、難易、美醜、高下、貴賤、公私、老若男女、寒暑、事前事後、盛衰、東西
の20個の にかかわらず の例が見られた。また、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を比較して
みると 、前者は31個 に 対し 、後者 は36 個 でその 差 は5個 のみである。 このことから、庵
(2001)と岡本(2000)の「 にかかわらず は 男女 のような反対概念を含む語は受けない」
という記述とは異なり、 にかかわらず においても を問わず のように反対概念を含む名詞に
も普通に使われていると言える。但し、用例数をみると、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が176
例と300例であることから、後者の使用比率が前者より高いことがわかる。
また、<表4>では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両方に見られる名詞は「有無、大小、
多少、長短、ありなし、善し 悪し 、高低、男女、東西、昼夜、内外、老若男女、前後、貴
賤、古今東西、新旧、夏冬、是非、公私、晴雨」の20個が見られたが、それぞれの用例
数をみると、 にかかわらず にもっとも多い 有無 については にかかわらず が98例に対し、 を問わず
は19例で大差を見せている。その一方、 を問わず については 男女 が64例、 東西 が45例、
昼夜 が41例、 内外 が28例、 老若男女 が22例に対し、 にかかわらず はどちらも1例ずつで
その差が大きい。つまり、 を問わず の例が多く見られている 男女、東西、昼夜、内外、老若男
女 はすべて相補関係にある熟語であることから6)、 を問わず は相補関係にある名詞を受ける場合
が多いと考えられる。
その他に、小林(2004)では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名詞接続形態の例として Nの
如何 、 Nであるかどうか 、 不定称代名詞 の三つを挙げているが7)、本調査ではさら
5)本調査では小林(2004)の12個の中で にかかわらず が 生死 に接続している例は見つからなかった。
6)森田 松木(1989:71)では、 相補関係にある熟語とは、 そのどちらの区別なしに の意味で、けっきょく両者を
総合したもの、 その他 の生じる余地のないことを意味する。 と説明している。
7)小林(2004)の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名詞接続形態の例は次の通りである。
接続形態
如何
①Nの
にかかわらず
…
努力、体制、理由、
を問わず
…
理由、事業手法、程度、
3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に多様な接続形態が見られた。その接続形態と用例をみると<表5>のようになる。
<表5>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名詞接続形態と用例数
接続形態
①N(の)如何
②N(の)いずれ
③Nかどうか
④Nか否か
⑤NとNと
⑥NかNか
⑦NとかNとか
⑧Nである
⑨Nであるか(Nであるか)
Nであるかどうか
Nであるか否か
NであるかNでないか
NだのNだの
NであるのかNであるのか
Nであるかないか
Nであると(Nであると)
Nであると否と
Nたると(Nたると)
誰彼(だれかれ)
NであれNであれ
計
にかかわらず
を問わず
61
1
1
3
0
3
1
6
5
1
3
1
1
0
0
0
0
0
0
0
87
57
3
2
1
17
6
0
0
12
4
5
0
0
2
1
9
3
11
3
1
137
つまり、<表5>をみると、まず にかかわらず については、 ①N(の)如何 の例が61例で
もっとも多く、次に ⑧Nである が6例、 ⑨Nであるか(Nであるか) が各5例、 ④Nか否
か、⑥NかNか、
N であるか 否 か が 各 3 例 ずつ 見 られた 。 その 他 にも ②N( の ) いず
れ、③Nかどうか、⑦NとかNとか、
Nであるかどうか、
NであるかNでないか、
 Nだ
のNだの の例が各1例ずつで合わせて12形態が見られた。
それに対し、 を問わず については、 ①N(の)如何 の例が57例でもっとも多く、次に
⑤NとNと が17例、 ⑨Nであるか(Nであるか) が12例、 Nたると(Nたると) が11例、
Nであると(Nであると) が9例、 ⑥NかNか が6例、 Nであるか否か が5例、 
Nであるかどうか が4例、 ②N(の)いずれ、
Nであると否と、
誰彼(だれかれ) が3例
ずつ、また ③Nかどうか、
NであるのかNであるのか が各2例、 ④Nか否か、
Nで
②Nであるかどうか
③不定称代名詞
であるかどうか、であるなし
だれ彼
であると村民であると
八路軍
彼
だれ
の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について ········································································ 金 昌 男…33
日本語
あるかないか、
NであれNであれ が1例ずつで合わせて16形態が見られた。つまり、 に
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名詞接続形態は にかかわらず が12形態と を問わず が16形
態見られている。この結果から、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名詞接続においては、どち
らも小林(2004)が提示している三つの形態より多様な例が使われ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また、各形態別にみると、特に を問わず では ⑤NとNと が17例、 Nたると(Nたる
と) が11例、 Nであると(Nであると) が9例、 Nであると否と が3例見られているのに
対し、 にかかわらず ではどれも一例も見られなかった。これらの形態はすべて N~と の
形を取っていることから、 にかかわらず は N~と の形には接続しにくいと予測できよう。 以下で、 にかかわらず の12形態と を問わず の16形態の一部の例をみると、まず に
かかわらず については以下の例が見られている。
(13)その他諸外国とは、政治体制の如何にかかわらず友好関係を促進している。【我が国】
(14)一国にとりましても勝敗いずれにかかわらず、損害を齎らすものでございます。【青鞜】
(15)共働きかどうかにかかわらず、一般的な夫婦の仕事と家庭・家事の関係についての意識
をみてみよう。【国民】
(16)平成4年十月二十日最高裁第3小法廷判決により、予納法人税が破産財団債権か否
かにかかわらず、予納申告義務があることとなりました。【企業】
(17)新契約が従業員にとって有利か不利かにかかわらず、当該従業員の同意、承諾がなけれ
ば、これをなし得ず、使用者が一方的になし得るものでないことは、、、【国会5】
(18)金持ちとか貧乏人とかにかかわらず、「よそとうちは違うんだ」とはっきりいわなきゃ駄目だよ。
そういって拒絶するなり、一線を引くなりする親の意思がいちばん必要なんだ。【だから】
(19)そうして大正十四年(千九百二十五年)の初め、緒方さんが部長の中の最年少であるにか
かわらず、一躍編集局長となった。【男でござる】
(20)高齢者介護が行われる場が、在宅であるか施設であるかにかかわらず、本当に利用者
の身になったサービス提供が進んでいくことになると考えられる。【厚生】
(21)われわれアメリカ人は日曜日にはみんなが同じような休み方をする―それが最も休息に適した
方法であるかどうかにかかわらず、家に閉じ込もって静かにしているのである。【マーク】
(22)まず株式会社でそういう病院を運営すること自身は、厚生年金病院であるか否かにかか
わらず極めて限定的に、現時点では困難なものというふうに理解をしておるところでござい
ます。【国会7】
(23)自分が売ったものであるか売ったものでないかにかかわらず、一定期間預かって運用を約
して、そうして利益提供を約する、、、【国会2】
(24)早川のSFとミステリーは、作家だの作品だのにかかわらず、ある時期まで殆ど揃っちまっ
ているのだ。【お元気ですか】
つまり、上記の例は にかかわらず の12形態それぞれについて1例ずつ取り上げたもので
3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ある。それぞれの例をみると、 ①N(の)如何、②N(の)いずれ、③Nかどうか、④Nか否
か、⑥NかNか、⑦NとかNとか、⑧Nである、⑨Nであるか(Nであるか)、
Nであるかど
うか、
Nであるか否か、
NであるかNでないか、
NだのNだの の12形態の例が見ら
れた。
また、 を問わず の例には以下のものが見られている。
(25)今後、隊員の選抜は出身地の如何を問わず、当人の志望に基づいて行なう。【ニッポン】
(26)アメリカ側から、日本の単独干渉、あるいは日米の共同干渉のいずれを問わず反対との意
見が表示されたとしるされている。【シベリア】
(27)そこで、法律上の夫婦かどうかを問わず、ファミリーとしての「家団」に居住権があり、夫が死
亡しても、「家団」の居住権はそのまま継続するという考え方が提唱されています。【知恵袋】
(28)工事現場に配置される技術者(配置技術者)については、専任か否かを問わず、原則、
出向社員は認められていません。【新経審】
(29)情報通信は、社会経済のあらゆる分野における活動の活性化・効率化を促し、先進国と
開発途上国とを問わず、社会経済の発展に不可欠なインフラである。【通信白書】
(30)質的か量的かを問わず、どんな研究も、みずからが発見したことが他人にとっても知る意義のある
、真実の、新しい発見であることを説得的に論述しなければならないからである。【社会調査法】
(31)これにつきましては、日本の国内で行われる労働でありますれば、それが日本人であるか外
国人であるかを問わず適用されるということになっておりまして、、、【国会4】
(32)芸術家であるかどうか、魔術師であるかどうかを問わず、あらゆる人間が、知覚器官をいっそう完成
に近づける新しい感動を引きうけるだけで、世界の魔術的知識を前進させるのです。【魔術的】
(33)したがって、在留が法的に合法的であるか否かを問わず、九十日以上我が国に在留する
外国人は登録の義務を負うわけであります。【国会3】
(34)その製品が最終製品であるのか半製品であるのかを問わず、直接投資は子会社による製
品の効率的生産を目的とする。【台湾】
(35)それが外見的にそれと判断できるものであるかないかを問わず一様に同じ程度に少しずつ狂気に蝕
まれていたため辛うじて見せかけの正気の水準で平衡が保たれていたといえるのだ。【虚航船団】
(36)ですが労苦に伴う収穫、否、生存中であると死後であるとを問わず時が与える賞賛ただ一
つを考えてみるだけでも、あらゆる苦労もまだ十分ではないと思われましょう。【修辞学論集】
(37)被告人は、公判廷における自白であると否とを問わず、その自白が自己に不利益な唯一の
証拠である場合には、有罪とされない。【刑事】
(38)さりながら彼らは父方たると母方たるとを問わず、遺産の相続は許されず、また親族と第三者
とを問わず、遺言による遺贈の類も受納叶わぬものとする。【ローマ帝国】
(39)朝鮮人囚人が逃亡中、各地方に警戒網が張られ、旅行中の朝鮮人は誰彼を問わずパス
ポートが厳重に調査された。【サハリン】
(40)権利変換計画の策定に当たっては、各権利者その権利の大であれ小であれを問わず、各
の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について ········································································ 金 昌 男…35
日本語
に
の
を
に
されるような権利変換計画が定められるべきであろう
権利者 従前 権利 十分 保全
と、、、【国会1】
上記の例は を問わず の16形態について1例ずつ取り上げたものであるが、それぞれを
みると、 ①N(の)如何、②N(の)いずれ、③Nかどうか、④Nか否か、⑤NとNと、⑥Nか
Nか、⑨Nであるか(Nであるか)、
Nであるかどうか、
Nであるか否か、
Nであるのか
Nであるのか、
Nであるかないか、
Nであると(Nであると)、
Nであると否と、
Nたる
と(Nたると)、
誰彼( だれかれ ) 、
N であれN であれ の16 形態 の例が 見られた。 しか
し、本調査では ⑦NとかNとか、⑧Nである、
NであるかNでないか、
NだのNだの
の例は1例も見つからなかった。
3.2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が動詞に接続する場合
まず、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が動詞に接続している形態と用例数をみると<表6>の
ようになる。
<表6>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動詞接続形態と用例数
にかかわらず
接続 表現
接続形態
①V(原型)とVざると
②V(原型)Vない
③V(原型)
④V(原型)とVないと
⑤V(原型)かどうか
⑥Vた
⑦V(原型)か否か
⑧V(原型)と否と
⑨V(原型)か
Vたかどうか
Vたか
Vたか否か
Vた~ない
Vようと~まいと
V(原型)と
V(原型)と
Vたと否と
Vたとしない
V(原型)と~ずと
Vたわけではない
計
用例
むと まざると
できるできない
このような食い違いがある
関与するとしないと、
採用するかどうか
設置していた
本人が同意するか否か
好むと否と
どちらを選択するか
接種したかどうか
誰が起動したか
支えてきたか否か
子供が出来た出来ない
納得しようとしまいと
国内に由来すると外国に由来
すると
アメリカで生まれたと否と
立件したとしない
政府の言うと言わずと
聞いたわけではない
好 好
理解
用例
数
55
47
18
12
10
10
7
7
4
4
2
2
2
2
1
1
1
1
1
187
を問わず
用例
なし
のパソコンで う わない
その いかなる による
するとしないと
を えるかどうか
なし
認知されているか否か
米国を指定国とすると否と
国内にあるか国外にあるか
同意を与えたかどうか
なし
なし
なし
なし
同一の日時場所において行われ
ると異なる日時場所で行われると
なし
なし
なし
なし
前
使 使
文書 他
方法
承認
二千五百万円 超
用例
数
0
1
5
1
2
0
2
4
21
1
0
0
0
0
3
0
0
0
0
40
3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上記の<表6>では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が動詞に接続している形態とその用例数
をまとめたものである。その接続形態と用例数をみると、 にかかわらず は19形態の187例に
対し、 を問わず は9形態の40例でどちらも前者が後者より多く見られている。
また、接続形態別には、 にかかわらず は187例のうち、 ①V(原型)とVざると が55例
でもっとも多く、次に ②V(原型)Vない が47例、 ③V(原型) が18例、 ④V(原型)とV
ないと が12例の順に見られた。それに対し、 を問わず は40例のうち、 ⑨V(原型)か が
21例でもっとも多く、次に ③V(原型) が5例、 ⑧V(原型)と否と が4例、 V(原型)と
V(原型)と が3例の順に見られている。この結果では、 にかかわらず は ①V(原型)とV
ざると 、 ②V(原型)Vない 、 ④V(原型)とVないと などの否定形に接続している例がわ
りと多く見られている。つまり、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否定形接続の用例数をみる
と、 ①V(原型)とVざると は前者が55例に対し、後者は1例も見つからず、また ②V(原
型)Vない は47例と1例、 ④V(原型)とVないと は12例と1例で特に前者は否定形接続の
例が多く見られている。
また、小林(2004:52-53)では「 にかかわらず は名詞の他に、形容詞、動詞にも接続
するが、この用法は を問わず には見られない」と述べて、 にかかわらず の動詞接続形
態について、 ①動詞V(か)/Vない(か):するしない、あるなし、したしない、するかしない
か 、 ②かどうか:住んでいたかどうか 、 ③その他:講ずると否と、好むと好まざると の
三つの形式を挙げている。しかし、本調査では<表6>に示したように、 にかかわらず は19
形態(187例)が見つかり、また を問わず は9形態(40例)が見つかった。この結果から、
にかかわらず については小林(2004)が示しているものより多様な形態が使われており、また
を問わず は小林(2004)とは異なり、9形態の40例が使われ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以下で、本調査で見つかった を問わず の一部の例を挙げることにする8)。
(41)前のパソコンは使わないということで通常はプリインストールソフトは、前のパソコンで使う 使わな
いを問わず、それ以外では使えないのが一般的です。【知恵袋】
(42)はり紙、立看板その他何らの方法をもつてするを問わず、債務者の借入れに関する事実その他
債務者等の私生活に関する事実を債務者等以外の者に明らかにすること。【法律】
(43)「この条約は、二以上の締約国の間に生ずるすべての宣言された戦争またはその他の武力紛
争の場合について、当該締約国の一が戦争状態を承認するとしないとを問わず適用する」と規
定して、この点を明らかにしている。【国際法】
(44)女性に対する暴力とは、公的生活で起きるか私的生活で起きるかを問わず 、性別に
基づく暴力行為であって、、、【男女】
8)それぞれの用例に付いている【 】は用例出典の略語であり、詳細なことは後半の〈用例出典〉のところを参照し
て頂きたい。
の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について ········································································ 金 昌 男…37
日本語
(45)夫婦が姓の選択において同一の権利を持つこと、また両親が婚姻しているかどうかを
問わず 子の権利は同一であること、子供に対するあらゆる差別を禁止し...【国会 6】
(46)それが議論に関連性があるか否かを問わず名誉毀損を構成しうるのであって、たとえ議
論にみずから参加した場合であっても、甘受する義務などないと考える。【法的空間】
(47)これに対し社会保障法は、従属労働関係にあると否とを問わず、現代社会にあってその生存
権を脅かされている社会的生活弱者である生ける人間を対象として、、、【社会保障法】
(48)「当該事業場の労働者は、就業規則の存在および内容を現実に知っていると否とにかかわら
ず、また、これに対して個別的に同意を与えたかどうかを問わず、当然に、その適用を受けるも
のというべきである」とされた。【労働法】
(49)現代社会にあってその生存権を脅かされている社会的生活弱者である生ける人間を対象とし
て、拠出 給付の保険技術方式をとると、無拠出の社会援護方式をとるとを問わず、国家の行
財政責任によって、かつ国家の政策的必要行政水準設定により、、、【社会保障法】
つまり、上記の例は本調査で見つかった を問わず の9形態(40例)について一例ずつ取
り上げたものである。この他にも を問わず が(50)のように形容詞に接続している例も見られ
ている。
(50)二千年の時を越えて日本人である自分の心をこれだけ打つのか、“優れたものは、古い新しい
を問わず、また洋の東西を問わず、まさに時空(時間 空間)を越えて人の心に感動を与えるのだ”
と、、、【復活】
以上、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が動詞および形容詞に接続している形態について考
を った結果、 を問わず も にかかわらず と同様に動詞と形容詞に対しても実際に使わ
れていることが確認できた。
察 行
3.3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が形容詞に接続する場合
まず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が形容詞に接続している例と接続形態をみると<表7>の
りである9)。
通
<表7>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形容詞接続形態と用例数
にかかわらず
接続 表現
接続形態
用例数
①A(原型)A(原型)
9
②A(語幹)
3
9)ここで言う 形容詞 には 形容動詞(な形容詞) も含まれている。
を問わず
用例数
1
0
3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③A(語幹)くない
④A(原型)か否か
⑤A(語幹)でない
計
2
1
1
16
0
0
0
1
上記の<表7>をみると、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形容詞接続形態においては、
にかかわらず は五つの形態と16例が見られているのに対し、 を問わず は一つの形態と一
が見られた。つまり、このことから、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形容詞接続において
は前者が後者より多く使われていると言えよう。
また、それぞれの用例数をみると、 にかかわらず は ①A(原型)A(原型) が9例でもっと
も多く、次に ②A(語幹) が3例、 ③A(語幹)くない が2例、 ④A(原型)か否か と ⑤
A(語幹)でない が1例ずつである。その一方、 を問わず は ①A(原型)A(原型) の例
が一例見られただけである。
その例の一部を挙げると以下のものがある。
例
(51)移町道民税の税率は所得の多い少ないにかかわらず 、一律十%に変わっていま
す。【広報】
(52)邪馬台国の男は身分の高い低いにかかわらず 刺青を入れていると「魏志倭人伝」
には書いてあります。【知恵袋】
(53)足首を縛り、さらに手を後ろで縛って一気に身を投げれば、泳ぎの上手い下手にかか
わらず溺れ死ぬ。【完全自殺】
(54)もっとも、若女将としては一つの座敷にばかりいるわけにもいかない。客の好き嫌いにか
かわらず、いちおう、全部の座敷に顔を出さなければならない。【化粧】
(55)一般的に贈り物ってのは、贈り物をしてくれた相手がエライとかエラくないにかかわらず、
ありがたくいただくのがもらった者の礼儀だと心得ていたが、、、【平壌】
(56)この推測が正しいか否かにかかわらず、英語の子音と日本語の母音がなぜ比較されなけれ
ばならないのかという理由を番組内できちんと説明すべきだったと思います。【英語習得】
(57)しかも、熟度判定が簡単でないにかかわらず、未熟果が何%かは混入してよいという
ものでなく、確実に百%熟果収穫を要求される。【野菜】
つまり、(51)の 多い少ない と(52)の 高い低い は ①A(原型)A(原型) の例で、(53)
の 上手い下手 と(54)の 好き嫌い は ②A(語幹) の例である。また(55)の エライとかエ
ラくない は ③A(語幹)くない の例で、(56)の 正しいか否か は ④A(原型)か否か 、ま
た(57)の 簡単でない は ⑤A(語幹)でない の例である。
また、 にかかわらず の形容詞接続形態について小林(2004:52-53)は、 ①A/A(高い
安 い 、 いい 悪 い ) 、 ②A か A’ か ( 高 いか 安 いか ) 、 ③A かどうか / 否 か ( うるさいかどう
か、上手か否か) 、 ④Aであるなし(積極的であるなし) の四つを挙げているが、本調査
の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について ········································································ 金 昌 男…39
日本語
では ②AかA’か と ③Aかどうか の例は見られなかった。その一方、上記の(53)と(54)の
②A(語幹)+にかかわらず の例と、(55)の ③A(語幹)くない+にかかわらず の例は本調
査で新しく見られたものである。
なお、本調査では を問わず が形容詞に接続している例も ①A(原型)A(原型)+を問わ
ず の形態で一例見られているが、その例は(50)の例を参照して頂きたい。
4.
まとめ
以上、 にかかわらず の1.306例と を問わず の1.132例を対象に、それぞれの前に来る
成分について考察を行った。その結果をまとめると以下のようになる。
1) にかかわらず については、1.306例のうち、名詞が1.103例(84.46%)、動詞が187
例(14.32%)、形容詞が16例(1.23%)で、また を問わず については、1.132例のうち、名
詞が1.091例(96.38%)、動詞が40例(3.53%)、形容詞が1例(0.08%)でどちらも名詞接
続の例がもっとも多く見られた。
2)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名詞接続については、両者とも N一つ に接続している
例がもっとも多く、用例数は前者が923例(90.85%)に対し、後者は585例(61.32%)で前者
が多く見られた。その一方、 N二つ に接続している例は にかかわらず が78例(7.68%)に
対 し 、 を 問 わず は 338 例 (35.43%) で 後者 がより 多 く 見 られている 。 その 他 にも 、小林
(2004)では Nの如何、Nであるかどうか、不定称代名詞 の三つの形態を取り上げている
が、本調査においては にかかわらず の12形態の例と、 を問わず の16形態の例が見つ
かったわけである。
また、庵(2001)と岡本(2000)では「 にかかわらず は 男女 のような反対概念を含む語
は受けない」と述べているが、本調査では にかかわらず が反対概念を含む名詞を受けて
いる例が31名詞の176例が見られた。このことから、反対概念を含む名詞に対しても にか
かわらず が実際に使われ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3)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動詞と形容詞接続形態の例をみると、 にかかわらず
は187例と16例、また を問わず は40例と1例で動詞も形容詞も にかかわらず の例が多く
見られている。また小林(2004)では「 にかかわらず は名詞の他に、形容詞、動詞にも接
続するが、この用法は を問わず には見られない」と記述しているものの、本調査では を
問わず の動詞接続の例が40例と形容詞接続の例が1例見られた。このことから、 を問わ
ず も にかかわらず と同様に動詞にも形容詞にも接続して使われ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以上、本稿では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前に来る成分を中心に考察し、両者の
接続形態の違いを明確にした。今後は両者の意味 用法について考察を行うが、特に に
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前に来る名詞については、国立国語研究所(2004)の『分類語彙
4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に従い、1)抽象的関係、2)人間活動の主体、3)人間活動ー精神および行為、4)生産物およ
び用具、5)自然物および自然現象の五つに分類し、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が取れる名詞
表
の違いを明らかにする。なお、本研究で提示した資料が日本語学習者および日本語教育
者に僅かながら役立つことを願っている。
【參考文獻】
3 (2001)『 を える のための ハンドブック』スリーエーネットワーク
(2007)『
い け 』
pp.565-566
2 (2000)『くらべてわかる
ノート』 YMCA
(2004)『
』
(2004) にかかわらず を わず によらず
センター pp.51-54
2 (1996)『どんな どう う
』( )アルク p.288. p.428
(2001)『일본어 표현문형 사전』동양문고 p.577
(1989)『
』( )アルク p.71. p.120
庵 功雄外 名
中上級 教 人
日本語
泉原省二
日本語類議表現使 分 辞典 研究社
岡本牧子外 名
日本語表現文型
大阪
日本語教師会
国立国語研究所
分類語彙表 増補改訂版 大日本図書株式会社
小林幸江
問
意味用法 東京外国語大学
留学生日本語教育
論集
友松悦子外 名
時 使 日本語表現文型辞典 株
目黒真実
森田良行 松木正恵
日本語表現文型 株
〈 用例出典〉
( )(2004) お ですか
(LBs9_00019)【お ですか】
(2003) ハイ
(PB32_00281)【 】
( )/
( )/
( )(2001)
の と
(PB13_00359)【 】
(2004) ! の
(PB45_00024)【 】
|ほか (1992)
(LBg3_00113)【 】
ギボン( )/
( )(1987) ローマ
(LBb2_00032)【ローマ 】
おとふけ(2008)
(OP04_00002)【 】
(1989)
(LBd6_00004)【 】
ぎょうせい(2003) (OW6X_00116)【 】
ぎょうせい(2003) (OW6X_00069)【 】
(1980)(OM11_00006)【 1】 (1986)(OM31_00002)【 2】
(1987)(OM35_00003)【 3 4】 (1997)(OM55_00003)【 5】
新井素子 著
元気
廣済堂出版
元気
石丸元章
平壌
文藝春秋
平壌
大橋修 著 竹俣耕一 著 野村智夫 著
企業再建 清算 会計 税務 中央経済社
企業
大見忠弘
復活 日本 半導体産業 財界研究所
復活
香西茂
著
国際法概説 有斐閣
国際法
著 朱牟田夏雄 訳
帝国衰亡史 筑摩書房
帝国
広報
北海道十勝支庁音更町
広報
倉田久男
野菜園芸大百科 農山漁村文化協会
野菜
厚生労働白書
厚生
国民生活白書
国民
国会会議録
国会 、
国会
国会会議録
国会
、
国会
の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について ········································································ 金 昌 男…41
日本語
(2002)(OM65_00003)【国会6】、(2005)(OM65_00006)【国会7】
( )(1991)『青鞜』女性解放論集 岩波書店 (LBf3_00087)【青鞜】
( )(2002) 社会保障法 有斐閣 (LBq3_00053)【社会保障法】
( )(2004) ニッポンの創業者 ダイヤモンド社 (LBs3_00031)【ニッポン】
( )(1994) 完全自殺マニュアル 太田出版 (OB4X_00182)【完全自殺】
( )(1992) 刑事司法を考える 勁草書房 (LBg3_00053)【刑事】
Q&A(2002) 日刊建設通信新聞社 (PB25_00281)【新経審】
(1998) 男女共同参画白書 大蔵省印刷局 (OW5X_00096)【男女】
(1996) 大蔵省印刷局 (OW5X_00233)【通信白書】
( )(1992) 虚航船団 新潮社 (LBg9_00049)【虚航船団】
ディオニュシオス(著)/木曽明子(訳)(2004) 修辞学論集 京都大学学術出版会 (PB48_00011)【修辞
学論集】
中窪裕也、野田進、和田肇|著(2003) 労働法の世界 有斐閣【労働法】
中村壽宏(著)(2000) 新たな法的空間の出現とその衝撃 サイバーロー研究会編 日本評論社
(LBo0_00001)【法的空間】
永野周志(著)(2002) 台湾における技術革新の構造 九州大学出版会 (PB26_00050)【台湾】
ビートたけし(著) だから私は嫌われる 新潮社 1991 (OB4X_00193)【だから】
法律 貸金業法(1983) (OL2X_00096)【法律】
細川隆元(著)(1981) 男でござる 山手 (OB2X_00208)【男でござる】
細谷千博(著)(2005) シベリア出兵の史的研究 岩波書店 (PB52_00023)【シベリア】
朴亨柱(著)(1990) サハリンからのレポート 御茶の水書房 (LBe3_00025)【サハリン】
マーク トウェイン(著)/飯塚英一(訳)(1996) マーク トウェインコレクション 彩流社 (LBk9_00249)【マーク】
盛山和夫(著)(2004) 社会調査法入門 有斐閣 (PB43_00359)【社会調査法】
若林茂則(2004) 英語習得の 常識 非常識 大修館書店 (PB48_00063)【英語習得】
渡辺淳一(1982) 化粧 朝日新聞社 (OB2X_00243)【化粧】
我が国の政府開発援助(財)(1997) 国際協力推進協会 (OW5X_00900)【我が国】
Yahoo! 知恵袋(2005) (OC12_04578)(OC11_01705)(OC08_05914)(OC02_02388)【知恵袋】
Jouffroy, Alain.(著)/小山尚之(訳)/星埜守之(訳)/永井敦子(訳)/鈴木雅雄(訳)(1997) 魔術的芸
術 河出書房新社 (LBl7_00054)【魔術的】
国会会議録
斉賀琴 著
佐藤進 著
童門冬二 著
鶴見済 著
下村幸雄 著
新経審
総理府
通信白書
筒井康隆 著
4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要旨
本稿では、 にかかわらず の1.306例と を問わず の1.132例を資料とし、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接続形態について考察を行った。その結果、以下のことがわかった。
1)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接続形態をみると、 にかかわらず は、1.306例のうち、名
詞が1.103例(84.46%)、動詞が187例(14.32%)、形容詞が16例(1.23%)で、また を問わず
は、1.132例のうち、名詞が1.091例(96.38%)、動詞が40例(3.53%)、形容詞が1例(0.08%)
でどちらも名詞接続の例がもっとも多く見られた。
2)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名詞接続においては、両者とも N一つ に接続している例
がもっとも 多 く 、用例数 は にかかわらず が 923 例 (90.85%) に 対 し 、 を 問 わず は 585 例
(61.32%)で前者が後者より多く見られた。その一方、 N二つ の用例数は にかかわらず が
78例に対し、 を問わず は338例で後者がより多く見られている。その他にも、小林(2004)は
Nの如何、Nであるかどうか、不定称代名詞 の三つの接続形態を挙げているが、本調査で
は にかかわらず の12形態と を問わず の16形態の例が見られ、小林(2004)より多様な形態
が使われ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また、庵(2001)と岡本(2000)では「 にかかわらず は 男女 のような反対概念を含む語は受
けない」と述べているが、本調査では反対概念を含む名詞を受けている にかかわらず の例が
31名詞の176例が見られた。このことから、反対概念を含む名詞に対しても を問わず と同様に
にかかわらず の接続が可能であることがわかった。
3)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動詞と形容詞接続形態については、 にかかわらず は187
例と16例、また を問わず は40例と1例で動詞も形容詞も にかかわらず の例が多く見られてい
る。また にかかわらず は ①V(原型)とVざると 、 ②V(原型)Vない 、 ④V(原型)とVない
と のように否定形に接続している例がもっとも多いのに対し、 を問わず の否定形接続の例はご
く僅かしか見られなかった。また小林(2004)では「 にかかわらず は名詞の他に、形容詞、動
詞にも接続するが、この用法は を問わず には見られない」と記述されているが、本調査では
を問わず の動詞接続の例が40例と形容詞接続の例が1例見られた。このことから、 を問わず
においても にかかわらず と同様に動詞にも形容詞にも接続して使われ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以上、本稿では にかかわらず と を問わず の前に来る成分を中心に考察し、両者の接続
の いを明確にした。今後は両者の意味 用法の違いについて考察を行いたい。
形態 違
キーワード: にかかわらず、を問わず、名詞、動詞、形容詞、原型、接続形態
투
고 : 2014. 2. 28
1차 심사 : 2014. 3. 15
2차 심사 : 2014. 4. 5
한일 영화제목의 번역 전략 비교
1)
조 영 희*
()(((e-mail: [email protected])
目 次
1.
2.
3.
4.
머리말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번역 유형의 분류 및 비교
번역 유형 분석을 통한 번역 전략 비교
4.1 음역의 번역 전략 비교
4.2 의역 및 개역의 번역 전략 비교
4.3 부제의 번역 전략 비교
5. 맺음말
1. 머리말
1998년 일본 영화가 개방된 이후로, 일본 영화 수입은 서서히 늘어 1998년 3
편에 불과하던 수입 일본 영화는 2009년에는 31편으로 증가하였다.1) 또한 IT
기술이 발전하면서, 영화를 비롯한 일본 영상물을 접할 수 있는 기회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영화를 통해 일본어를 접한다고 할 때, 가장 먼저 보는 사람에
게 인식되는 것은 영화의 제목이다. 물론, 제목 이외의 홍보 영상이나 선전 문
구 역시 영향을 미치지만, 제목은 영화의 모든 것을 압축적으로 전달하는 매개
이며 영화 선택에 있어서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어떤 영화를 이야기할
때 홍보 영상이나 선전 문구까지 떠올리기는 쉽지 않지만, 영화의 제목을 빼고
는 그 영화를 논할 수 없다. 다시 말하자면, 한국에 수입된 일본 영화 제목의
* 금강대학교 조교수 일본어학 어휘론, 통번역학
1) 『한국영화연감』(2010), pp.62-78 참조.
4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한국어 제목은, 일본 영화를 통해 일본어 및 일본 문화를 접할 가능성을 여는
데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일본에서 개봉되는 한국
영화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영화 제목의 번역은 다른 텍스트의 번역과는 차별화되는 특성이 있다. 영화
제목 번역은 기본적으로 영화 제작자의 의도를 살려 원제목에 충실하게 번역
되어야 하지만, 동시에 영화는 관객에게 소비되는 상품이기 때문에 소비자인
관객의 구미를 당길 수 있도록 번역되어야 한다. 즉, 제작자의 의도를 살려 영
화의 내용을 잘 표현하는 동시에 다른 나라 관객의 입맛에 맞도록 잘 포장되
어야 한다. 2004년 일본에 개봉된 한국 영화 ‘생활의 발견’의 일본어 제목은
‘気まぐれな唇’였다. 로맨스물과는 거리가 먼 원제목 대신에 로맨스 장르의 영화
임을 관객에게 어필하는 제목으로 번역한 예이다. 이처럼, 수입 영화 제목은
영화의 상품가치를 높이는 전략에 따라 번역되고 있고, 그 전략은 한국과 일본
이 다를 것이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 선택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영
화 제목 번역 양상의 한일 비교를 통하여, 한국과 일본의 영화 제목의 번역 전
략을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영화제목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한국영화 제목을 어휘론적 관점에서 고찰한
연구와, 외국영화 제목이 한국어로 번역되는 양상을 고찰한 연구로 나뉜다. 전
자에 해당하는 연구로는 박광진(1999)「한국영화제목의 어휘적 연구」와 박경
애(2005)「한국 영화 제목의 형태・어휘론적 연구: 일제강점기, 해방기, 2000년
대를 중심으로」이 있으며, 이들 연구에서는 한국 영화 제목을 단어형과 문장
형, 어종 및 어절 등의 기준으로 분류하여, 한국 영화 제목의 어휘론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외국영화 제목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의 번역양상에 대한 연구에는 미국 영
화를 대상으로 한 지은영(2001)「수입영화 제목의 번역유형에 관한 연구: 미국
영화를 중심으로」와 옥욱진(2009)「수입영화 제목 영화 유형별 전략」이 있
고, 일본 영화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는 김수경(2007)「한국 일본 양국의 영화
제목 번역양상 연구-문화적 배경이 번역에 미치는 영향-」, 최지순(2011)
「Out of Africa는 愛と哀しみの果て로 번역될 수 있는가-미국영화 제목의
한・일어 번역 양상-」이 있다. 지은영(2001)과 옥욱진(2009)의 연구는 미국영
화 제목의 번역양상 및 번역전략 분석 보다는 잘못된 영화 제목 번역, 즉 오역
한일 영화제목의 번역 전략 비교 ················································································ 조 영 희…45
의 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다.
김수경(2007)은, 한국에 수입된 일본 영화와 일본에 수입된 한국 영화의 번
역된 영화 제목을 한자어형, 외래어형, 혼종어형 등의 어종에 따라 분류하고,
직역, 의역, 개역, 음역, 기타의 번역유형별로 분류하여 장르별 특성을 고찰하
였다. 최지순(2011)은, 역대 아카데미상 수상작과 2000년대에 개봉된 미국 영
화가 한국과 일본에서 번역된 제목을 직역, 음역, 의역, 개역, 혼합형, 서브타이
틀형, 원어표기명의 번역유형으로 분류하여 번역 양상을 비교하고, 한국과 일
본에서 번역된 동형제목 및 연대별, 장르별 번역유형에 대해 고찰하였다. 김수
경(2007)과 최지순(2011)의 고찰은, 한일 수입영화 제목의 번역에 대해, 전체적
인 번역유형의 경향을 제시하고 한국과 일본의 영화 제목 번역 양상을 비교한
점은 평가할만하나, 결과적으로 그와 같은 경향이 나타나는 원인이 되는 한국
과 일본의 번역 전략의 차이에 대한 분석은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의 연구 결과를 참고하면서, 한국과 일본의
수입 영화 제목의 번역 전략의 차이에 대해 고찰하기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으로는, 일본 영화의 수입이 시작된 1998년
부터 2009년까지 한국에 수입된 일본 영화와 일본에 수입된 한국 영화의 제목
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번역유형을 분류, 비교하고 번역 전략에 대해 분석해보
기로 한다. 한국에 수입된 일본 영화는 영화진흥위원회가 매년 편찬하고 있는
『한국영화연감』(1999-2010)의 ‘외국영화 개봉일람’의 목록2)을 이용하여 조사
하였고, 일본에 수입된 한국 영화는 시네마코리아 홈페이지3)의 ‘일본공개작품
리스트’의 한국어 원제목과 일본어 제목을 자료로 이용하였다. 단, 극장에서 정
식 공개되지 않고, 일본 내 영화제에서 상영되거나, 극장 상영 없이, 비디오나
DVD로 출시되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그
밖에,
자료
조사의
정확도를
기하기
위해,
네이버영화4),
映画
-MovieWalker5), 映画.com6) 의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추가 조사하였다. 그 결
과, 1998년부터 2009년 동안 한국에 수입된 일본 영화는 322편, 일본에 수입된
한국 영화는 336편으로 집계되었다.
7)
2) 『한국영화연감』의 ‘외국영화 개봉일람’ 은 한국 내 개봉일을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으나 2007년
도에 발행된 『한국영화연감』(2007)만은 등급부여 일자를 기준으로 하는 ‘외국영화 수입일람’으로
작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국영화연감』(2007)의 ‘외국영화 수입일람’ 목록에 있는 일본 영화 중에
는 수입 후 등급은 부여되었으나, 한국 내에서 개봉되지 않은 작품도 있을 수 있음을 밝혀 둔다.
3) http://www.cinemakorea.org
4) http://movie.naver.com
5) http://movie.walkerplus.com
6) http://eiga.com
7) 일본에 수입된 한국 영화는 1998년부터 2003년까지는 편수가 가장 많은 2003년도에도 스무 편을
채 넘기지 못했으나, 2004년도에는 전년도인 2003년도의 두배 이상인 40편으로 늘어난다. 2003년
4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3. 번역 유형의 분류 및 비교
지금까지 참고한 선행연구에서는, 연구에 따라 약간씩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
으로 번역 유형을 음역, 직역, 의역, 개역, 기타 등으로 나누고 있다. 본 논문에
서는 번역 유형을 일반적인 분류법으로 나누기 전에, 원제목과의 유사도에 따
라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고 보았다. 첫 번째 그룹은, 원제목과 번역
제목 간의 어순 및 문법구조가 같으며, 단어 단위의 의미 역시 일대일로 대응
하는 단계이다. 단, 원제목의 발음을 번역 언어로 발음 나는 대로 표기한 음역
도 원제목과 번역 제목 간의 어순 및 문법구조가 일치하기 때문에 여기에 포
함된다고 보았다. 두 번째 그룹은, 어순 및 문법구조가 부분적으로 일치하면서,
원제목과 번역 제목 간 단어 단위의 의미가 부분적으로 일대일로 대응하는 단
계이다. 세 번째 그룹은 어순 및 문법구조가 다르고 의미면에서도 원제목과 번
역된 제목 간에 단어 단위의 의미가 대응하는 부분이 전혀 없는 단계이다. 이
세 단계를 Ⅰ, Ⅱ, Ⅲ 그룹이라고 하면, 원제목과 번역 제목 간의 대응 관계는
다음과 같이 도식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원제목과 번역 제목 간의 유사도는
Ⅰ그룹이 가장 높고, Ⅱ, Ⅲ 그룹으로 갈수록 유사도가 낮아진다.
원제목
Ⅰ 그룹
X
Ⅱ 그룹
X
Ⅲ 그룹
X
→
→
→
번역 제목
X'
X'+Y
Y
위 분류는 다시, 일반적인 번역 유형의 분류와 대응시켜 나타낼 수 있다.
본고에서 사용하는 번역 유형의 용어 및 개념은 선행연구 지은영(2001), 옥욱
진(2009), 김수경(2007), 최지순(2011)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나, 선행연구에 따라
개념의 정의에 약간씩 차이가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번역 유형의 용
어 및 개념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기술하기로 한다. 부제가 있는 영화 제
목의 번역 유형을 분류할 때는, 원제목의 번역만을 대상으로 하고, 부제는 고
려하지 않았다. 한일 간 부제의 번역 양상에 대해서는 다른 절에서 분석하기로
한다. 이하, ‘K’는 한국어 원제목, ‘J’는 일본어 원제목, ‘K'’는 한국어 번역 제
목, ‘J'’는 일본어 번역 제목을 의미한다
일본 열도에 분 「冬のソナタ」열풍에 기인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한일 영화제목의 번역 전략 비교 ················································································ 조 영 희…47
《Ⅰ그룹》
● 음역
원제목의 발음을 번역 언어의 발음방식에 따라 옮겨 표기한 것.
→
예) 유령(K) ユリョン(J')
→
우리학교(K) ウリハッキョ(J')
→
荒神(J) 아라가미(K')
단, 영어 단어 중, ‘호텔’ ‘피아노’ ‘파프리카’처럼 번역 언어에 대체할
단어가 없고, 일반적으로 외국어라는 인식이 없는 단어를 번역 언어의
발음 체계에 따라 옮긴 것은 음역이 아닌 직역에 포함.
● 직역
원제목의 어순 및 문법구조에 변화가 없고, 원제목의 단어가 일대일로
대응하는 번역 언어의 단어로 치환된 경우.
→
예) 여자는 남자의 미래다(K) 女は男の未来だ(J')
→
容疑者Xの献身(J) 용의자 X의 헌신(K')
원제목의 고유명사를 한자표기 그대로 옮긴 것, 또는 부호나 숫자를
그대로 옮겨놓은 것도 직역에 포함.
→
예) 태백산맥(K) 太白山脈(J')
● 기타
→ 3-4×10월(K')
3-4×10月(J)
원제목과 번역 제목의 어순 및 문법구조가 일치하면서 복수의 번역 유
형인 경우.8)
예)
リトル・チュン(J)→
리틀 청(K')
→愛しのサガジ(J')
내사랑 싸가지(K)
《Ⅱ그룹》
● 의역
원제목의 어순 및 문법구조가 부분적으로 일치하면서, 원제목의 단어
중 일부가 의미상 일대일로 대응하는 번역 언어의 단어로 치환된 경
우
→
예) 송환(K) 送還日記(J')
→
東京少女(J)→미래를 걷는 소녀(K')
그해 여름(K) 夏物語(J')
단, 아래 예와 같이 ‘?’ ‘・’ 등의 문장 부호가 생략 또는 첨가된 것은
의역이 아닌, 직역에 포함.
→쉘 위 댄스(K')
예) Shall we ダンス?(J)
8) 기타에 포함되는 것은 전부 ‘직역+음역’ 또는 ‘음역+직역’이다.
4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キッズ・リターン(J)→
키즈 리턴(K')
《Ⅲ 그룹》
● 개역
원제목과 번역 제목의 어순 및 문법구조가 일치하지 않고, 원제목의
단어와 의미적으로 대응하는 단어가 번역 제목에 없는 경우.
→燃ゆる月(J')
호로비츠를 위하여(K)→私のちいさなピアニスト(J')
天然コケッコー(J)→마을에 부는 산들바람(K')
예) 단적비연수(K)
다음 표 1은 수입 일본 영화와 수입 한국 영화 제목을 원제목과의 유사도에
따른 Ⅰ, Ⅱ, Ⅲ 그룹 및 번역 유형에 따라 분류, 집계한 결과이다. 이하, 괄호
안의 숫자는 백분율을 의미한다.
표 1 원제목과의 유사도 및 번역 유형에 따른 분류
번역유형
(J K')
→
Ⅰ그룹
234(72.6)
Ⅱ그룹
60(18.7)
Ⅲ그룹
28(8.7)
322(100.0)
음역
76(23.6)
직역
151(46.9)
기타
7(2.2)
의역
60(18.6)
개역
28(8.7)
계
번역유형
(K J')
→
영화 편수
322(100.0)
Ⅰ그룹
207(61.6)
Ⅱ그룹
60(17.9)
Ⅲ그룹
69(20.5)
336(100.0)
영화 편수
음역
41(12.2)
직역
164(48.8)
기타
2(0.6)
의역
60(17.9)
개역
69(20.5)
계
336(100.0)
수입 일본 영화와 수입 한국 영화를 비교하면, Ⅰ그룹은 일본 영화의 한국어
번역의 비율이 높고, Ⅱ그룹은 뚜렷한 차이가 없으며, Ⅲ그룹은 한국 영화의
일본어 번역의 비율이 높다. 즉, 원제목과의 유사성은 일본 영화 제목의 한국
어 번역이 한국 영화 제목의 일본어 번역 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Ⅰ그
룹 내에서는 직역은 별 차이가 없으나, 음역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
4. 번역 유형 분석을 통한 번역 전략 비교
한일 영화제목의 번역 전략 비교 ················································································ 조 영 희…49
4.1 음역의 번역 전략 비교
표 1에 의하면 Ⅰ그룹의 음역은 일한 번역과 한일 번역을 비교했을 때, 일한
〉
번역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번역 유형이다(23.6% 12.2%). 선행연구 김수
경(2007)에서도 1998년부터 2007년 4월까지 극장공개나 영화제를 통해 한국과
일본에 소개된 영화를 대상으로, 수입된 일본 영화 제목의 번역 유형 중
32.1%가 음역형 제목이며, 우리나라의 번역 방식이 일부에 편중되어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하고 있다.
앞의 (표-18)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음역형 제목이 한국 영화제목에서는 37개로 전
체의 11.1%, 일본 영화 제목에서는 76개로 전체의 32.1%의 분포를 차지하여 특히 일
본 영화에서 음역형 제목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과 일본 영화에 음역형 제목이
많이 나타나고 있고 특히 우리나라에서 상영된 일본 영화의 1/3이 음역형 제목이라고
하는 사실은 우리나라의 번역 방식이 일부에 편중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
주는 일례라고 할 수 있다.
김수경(2007, p.44)
본 논문에서는 음역의 성격에 따라 ‘팬시 댄스(K')’와 같이 영어로 음역된
것과 ‘하나비(J')’, ‘ユリョン(K')’과 같이 한국어 또는 일본어로 음역된 것으로
나누어 검토하기로 한다. 먼저, 원제목에서 영어 음역 제목9)이 차지하는 비중
과 번역 제목에서 영어 음역 제목이 차지하는 비중을 그래프1, 2로 비교해보기
로 한다.
그래프1 원제목의 영어 음역 제목 비교
한국 영화
49
원제목
273
영어 음역 제목
영어 음역 제목 이외
일본 영화
원제목
71
0%
265
50%
100%
그래프2 번역 제목의 영어 음역 제목 비교
한국 영화
의 일본어
번역 제목
일본 영화
의 한국어
번역 제목
95
227
영어 음역 제목
영어 음역 제목 이외
67
0%
269
50%
100%
아래의 예는 원제목이 영어 음역 제목인 영화의 예이다.
텔미썸딩(K)
버터플라이(K)
예스터데이(K)
H(에이치)(K)
9) 영어 음역 제목이란, 영어를 한국어 또는 일본어 발음대로 표기한 제목 또는 알파벳으로 표기한
제목을 말한다. ‘인샬라’(아랍어), ‘イルマーレ’(이탈리아어)와 같이, 영어 외의 외국어 제목도 소수
있으나, 대부분이 영어로 된 제목이므로, 영어 음역 제목으로 총칭하기로 한다.
5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화이트 발렌타인(K)
ファンシダンス
정글쥬스(K)
バトル・ロワイアル(J)
(J)
Love Letter(J)
ブラック ナイト(J)
그래프 1을 보면, 일본 영화 원제목이 한국 영화 원제목 보다 영어 음역 제
〉49편: 15.0%). 일반적으로 한국어 보다 일본어의 외래
목이 많다(71편: 22.0%
어 사용이 빈번하다는 지적이 있는데, 영화 제목에도 그러한 현상이 반영된 결
과일 것이다. 그래프 2에서 번역 제목의 영어 음역 제목을 비교해보면, 한국
영화 제목의 일본어 번역이 일본 영화 제목의 한국어 번역 보다 영어 음역의
비율이 더 높았다(95편: 28.3%
〉67편: 20.8%).
10)
그래프1, 2의 비교를 통해 한
국에 비해 일본에서는 영화의 원제목과 번역 제목 모두 한국 보다 영어 음역
제목을 선호함을 알 수 있다.
→
영어 음역은 다시 ‘해피엔드(K) ハッピーエンド(J')’와 같이 원제목이 영어
→
음역 제목인 것을 그대로 영어 음역한 것과, ‘초록 물고기(K) グリーンフィッ
シュ(J')’와 같이 원제목이 영어 음역이 아닌 것을 영어 음역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일한 번역의 영어 음역 제목 95편 가운데, 영어 음역 원제목이 영어
음역으로 번역된 것은 44편고, 원제목이 영어 음역이 아닌 것이 영어 음역으로
번역된 것은 51편이었다. 그러고 이 51편 중 대부분은 영화 수출 과정에서 배
급사가 한국어 원제목과 함께 붙인 영어 원제목을 그대로 영어 음역하거나 또
는 영어 원제목의 일부분을 음역한 것이었다.
→ペパーミント・キャンディー(J')
Gas Station!)(K)→アタック・ザ・ガス・ステーショ
박하사탕(Peppermint Candy)(K)
주유소 습격사건(Attack The
ン!(J')
→ジェイル・ブレーカー(J')
평범하기(Being Normal)(K)→ビーイング・ノーマル(J')
어린신부(My Little Bride)(K)→マイ・リトル・ブライド(J')
물론, 이러한 예 이외에 ‘하루(A day)(K)→エンジェル・スノー(J')’, ‘남남북녀
(Namnam Buknyeo, Love Of South And North)(K)→ラブ・インポッシブル-恋の
광복절 특사(Jail Breaker)(K)
統一戦線-(J')’처럼, 영어 원제목과는 상관없는 제목으로 영어 음역된 예도 있
으나 많지 않다. 결론적으로, 일본에서는 원제목이 영어 음역 제목이 아닌 한
국어 제목인 경우에도 영어 음역으로 번역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 경우 수출
과정에서 붙여진 영어 원제목을 음역하는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10) 제목 중 일부에 영어가 포함된 ‘사무라이 픽션’(K') ‘초코초코 대작전’(K') ‘글래머 승부사 리카’
(K')의 3편은 제외하였다.
한일 영화제목의 번역 전략 비교 ················································································ 조 영 희…51
알 수 있다.
한편, 한국에 수입된 일본 영화는 67편 중, 62편이 원제목이 영어 음역인 제
목이 영어로 음역된 것이었고, 일본어 원제목이 영어로 음역된 것은 5편에 불
과해, 영어 음역 원제목이 다시 영어 음역되는 예가 압도적으로 많다.
영어 음역에 이어서 한국어 음역과 일본어 음역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전
체 음역에서 영어 음역을 빼면, 일본 영화 제목의 한국어 음역(25편:7.8%)과
한국 영화 제목의 일본어 음역(8편:2.4%)의 비율은 낮아지지만, 여전히, 일본
영화 제목을 한국어로 음역한 비율이 높다. 다만, 한국어 음역의 경우, 다음과
같이 일본어 제목의 한국어 음역과, 영어 원제목의 한국어 음역의 두 가지 가
능성이 있는 예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
影武者(kagemusha,Shadow Warrior)(J) 카게무샤(K')
→
花火(Hana-bi)(J) 하나비(K')
うなぎ(Unagi,The
→
Eel)(J) 우나기(K')
→
楢山節考(Narayama Bushiko, Ballad Of Narayama)(J) 나라야마 부시코
(K')
→
呪怨2(Ju-on: The Grudge2) (J) 주온(K')
→
さくらん(Sakuran)(J)→사쿠란(K')
駅-STATION-(Eki)(J)→엑기(K')
荒神(Aragami)(J) 아라가미(K')
위에서 예를 든 영화의 영어 원제목은 일본어 제목을 영어로 음역한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로 번역된 제목만 두고 보면, 이것이 일본어 원제목을 한국어로
음역한 것인지, 일본어 원제목을 영어로 음역한 것을 다시 한국어로 음역한 것
인지 단정 짓기 어렵다. 앞서 지적한대로, 영어 원제목이 적지 않은 영향을 끼
치고 있기 때문에 영어 원제목을 한국어로 음역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들 영화 제목의 특징은,
‘影武者, 楢山節考, 花火, 座頭市, 御法度,
荒神’처럼 영화 제목에 일본 고유의 문화 또는 풍습과 관련된 어휘를 포함하고
있는 영화가 많은데 그 이유는 영어에 대응하는 개념이 없어 번역이 어렵기
때문에 영어 원제목을 붙일 때, 일본어 제목을 영어 발음대로 음역했기 때문일
것으로 짐작된다.
영어 원제목을 한국어로 음역했을 가능성이 있는 영화들을 제외하고 비교한
다면, 일본 영화 제목의 한국어 음역과, 한국 영화 제목의 일본어 음역에서 유
의미한 차이를 인정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선행연구 김수경(2007, p.44)에서 지
적했듯이 한국어 음역을 일본 영화 제목의 특징적인 번역 유형으로 단정 짓기
5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는 어렵다고 생각된다.
4.2 의역 및 개역의 번역 전략 비교
직역이 아닌 의역 및 개역의 번역 방식을 취한다는 것은, 직역만으로는 영화
내용을 관객에게 인지시키는 영화 제목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작용했을 때, 그것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써 직역이 아닌 의역과 개역이
라는 번역 유형이 선택된다고 생각된다. 이하에서는 의역 및 개역의 예를 중심
으로 영화 내용을 관객에게 효과적으로 인지시키기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전
략 하에 의역과 개역이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기로 한다. 먼저 한국과 일본에 공
통적으로 보이는 의역과 개역의 번역 전략부터 살펴본 후, 이어서 한쪽에만 특
징적으로 나타나는 번역 전략에 대해 분석하기로 한다.
첫 번째, 제목에 고유명사나 고유의 문화 혹은 풍습과 관련된 어휘를 포함하
고 있는 경우, 의역 및 개역의 전략이 취해지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는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고유명사나 고유의 문화 혹은 풍습과 관련된 개념은, 번역
언어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어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직역이 불가능하므로,
직역 이외의 음역 또는 의역, 개역의 번역 유형을 취할 수 밖에 없다. 고유명
사의 경우, 고유명사가 단독으로 영화 제목으로 쓰였을 때는 대부분 ‘弟切草(J)
→오토기리소우(K')’, ‘쉬리(K)→シュリ(J')’처럼, 발음
나는 대로 옮겨지나, 구나
문장 속에 고유명사가 포함된 경우에는 의역 또는 개역이 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11) 다음은 고유명사를 포함한 제목의 번역 예이다.
●의역
→
たそがれ清兵衛(J)→황혼의 사무라이(K')
SR サイタマノラッパー(J)→거기엔 래퍼가 없다(K')
2001 용가리(K)→怪獣大決戦ヤンガリー(J')
효자동 이발사(K)→大統領の理髪師(J')
獣兵衛忍風帖(J) 무사 쥬베이(K')
●개역
ユダ(J)→비밀여행(K') 下妻物語(J)→불량공주
あずみ(J)→소녀검객 아즈미 대혈전(K')
단적비연수(K)→燃ゆる月(J')
여자, 정혜(K)→チャーミング・ガール(J')
밀양(K)→シークレット・サンシャイン(J')
모모코(K')
11) 본 논문의 번역 유형 분류에서는 고유명사의 음역은 직역으로 분류하였다.
한일 영화제목의 번역 전략 비교 ················································································ 조 영 희…53
다음은 고유의 문화 또는 풍습과 관련된 어휘를 포함한 영화 제목의 예이다.
수입 한국 영화에는 상대적으로 역사물이 적어, 한국 고유의 문화 또는 풍습과
관련된 어휘를 포함한 제목의 예는 일본 영화와 비교했을 때, 많지 않다.
●의역
→너를 보내는 숲(K')
子連れ狼-三途の川の乳母車-(J)→아들을 동반한 검객(K')
殯の森(J)
●개역
シコふんじゃった(J)→으랏차차
스모부(K')
→
口裂け女0-ビギニング-(J)→나고야 살인사건(K')
망종(芒種)(K)→キムチを売る女(J')
장화, 홍련(K)→箪笥-たんす-(J')
鬼平犯科帳(J) 자객(K')
판
두 번째, TV 방영 시리즈물과 구분하기 위한 ‘극장 ’ 같은 영화의 버전을
나타내는 표현이나, 시리즈명 등이 첨가 또는 생략되면서 의역이 되는 경우,
또는 시리즈물 제목을
새로운 개역된 제목으로 바꾸는 경우이다. 수입 일본 영
화의 한국어 번역의 예가 많은데, 한국과 달리 일본에서는 TV에 방영해서 인
랜 시간
기가 있을 경우, 영화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고, 또 시리즈물 중에는 오
걸쳐 제작되는 전통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TV시리즈물이 동
시에 극장판으로 제작되기도 하는 애니메이션의 예가 많았다.
●의역
らせん(J)→링-라센-(K')
劇場版ポケットモンスター-ミュウツーの逆襲-(J)→포켓몬스터-뮤츠의 역습(K')
L change the WorLd(J)→데스노트 L-새로운 시작-(K')
ヱヴァンゲリヲン新劇場版-序-(J)→에반게리온-서(序)-(K')
낮은 목소리 3-숨결-(K)→息づかい(J')
여고괴담 세 번째이야기-여우계단(K)→狐怪談(J')
●개역
여고괴담 두 번 째 이야기(K)→少女たちの遺言(J')
에
세 번째, 영화의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원제목에
는 없는 영화 속에 직접 등장하는 소재를 제목에
우이다.
넣어 의역 또는 개역하는 경
5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의역
キラー・ヴァージンロード(J)→신부의 수상한
ワイルド・フラワーズ(J)→와일드매치(K')
여행가방(K')
→
집으로(K)→おばあちゃんの家(J')
동갑내기 과외하기(K)→同い年の家庭教師(J')
東京少女(J) 미래를 걷는 소녀(K')
●개역
→
感染列島(J)→블레임-인류멸망 2011-(K')
下妻物語(J)→불량공주 모모코(K')
完全なる飼育(J)→신주쿠 여고생 납치사건(K')
必殺4-恨みはらします-(J)→검객(K')
텔미썸딩(K)→カル(J')
낮은 목소리 2(K)→ナヌムの家II(J')
시월애(K)→イルマーレ(J')
블루(K)→SSU(J')
장화, 홍련(K)→箪笥-たんす-(J')
화려한 휴가(K)→光州5・18(J')
가을로(K)→ノートに眠った願いごと(J')
Super Tornado(J) 글래머 승부사 리카(K')
‘キラー・ヴァージンロード’, ‘텔미썸딩’과 ‘시월애’는 영화에 직접적으로 등장하는
칼
‘시체가 든 가방’, ‘ ’, 사건이
펼쳐지는 장소인 ‘일마레’ 등의 영화 속 소재를
넣어 번역한 예이다. ‘장화, 홍련’ 역시 원제목에서는 전래 동화의 이름
을 따서 영화의 분위기를 살렸지만, 번역된 제목에서는 영화 속에서 중요한 소
재로 등장하는 ‘箪笥’로 번역되었다. 또, ‘화려한 휴가’는 영화 속 사건 소재인
‘광주5.18’을 제목에 넣어, 영화 내용이 광주5.18과 관련된 내용임을 분명히 하
제목에
였고, ‘가을로’ 역시 영화의 중요한 소재인 일기장과 연관시켜 영화 제목을 개
역하였다. ‘Super Tornado’과 ‘下妻物語’는 각각 영화 속 주인공의 이름을 번역
제목에
넣은 예이다. ‘完全なる飼育’은 영화 속 사건 내용인 ‘신주쿠 여고생 납
치사건’으로 제목을 개역하였고, ‘必殺4-恨みはらします-’는 ‘검객’이라는 한국어
제목을 통해 주인공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상은, 한국과 일본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의역과 개역의 번역 전략이
었다. 다음은 한국 영화 제목의 일본어 번역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번역 전
략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표 1에서 지적한대로, 일본 영화 제목의 한국어
번역이 한국 영화 제목의 일본어 번역 보다 개역의 비율이 높았는데, 그 이유
는 일본 영화 제목의 한국어 번역에서, 개역을 중심으로 특징적인 번역 전략이
구사되었기 때문이다. 그 전략이란, 영화의 분위기나 장르적 특성을 드러내는
한일 영화제목의 번역 전략 비교 ················································································ 조 영 희…55
표현을 제목에 사용하여 영화의
영화에서 가장
색깔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수입 일본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로맨스 장르이기 때문에, 이 전략은
로맨스장르의 영화에서 뚜렷하게 드러난다.
●로맨스
→
신부수업(K)→恋する神父(J')
똥개(K)→トンケの蒼い空(J') 도마뱀(K)→とかげの可愛い嘘(J')
극장전(K)→映画館の恋(J')
시간-타임-(K)→絶対の愛(J')
첫눈(K)→初雪の恋-ヴァージン・スノー-(J')
잠복근무(K)→恋の潜伏捜査(J') 하루(K)→エンジェル・スノー(J')
생활의 발견(K)→気まぐれな唇(J')
클래식(K)→ラブストーリー (J')
화성으로 간 사나이(K)→天国からの手紙(J')
인어공주(K)→初恋のアルバム-人魚姫のいた島-(J')
아는 여자(K)→小さな恋のステップ(J')
밤과 낮(K)→ アバンチュールはパリで(J')
중독(K) 純愛中毒(J')
●감동 드라마
안녕, 형아(K)→奇跡の夏(J')
발레교습소(K)→僕らのバレエ教室(J')
●범죄,스릴러
섬(K)→魚と寝る女(J') 쓰리, 몬스터(K)→美しい夜、残酷な朝(J')
보트(K)→ノーボーイズ、ノークライ(J')
●코미디
가문의 영광(K)→大変な結婚(J')
‘중독’ ‘신부수업’ ‘도마뱀’ ‘극장전’ ‘시간-타임-’ ‘잠복근무’ ‘생활의 발견’ ‘아
는 여자’ 등의 한국 영화 제목만으로는, 영화의 내용이 로맨스와 관련된 것임
을 짐작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일본어 번역 제목에서는 ‘恋愛’, ‘恋する’, ‘恋’,
‘小さな恋’, ‘初恋’ 등의 한국어 원제목에 없는 표현을 일본어 번역 제목에 첨가
하여 영화의 장르적 특성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전략이 구사되고 있다. 이와 같
은 전략 하에 제목에 첨가되는 표현의 특징은, 그것이 구체적으로 영화에 등장
하는 사건이나 사물을 가리키는 표현이 아닌, 영화 장르의 이미지와 결부된 표
렇기 때문에 로맨스 장르에는 ‘恋愛’, ‘恋する’, ‘恋’ 같은 직
현이라는 것이다. 그
접적으로 연애나 사랑과 관련된 표현 외에도, ‘可愛い’, ‘気まぐれ’와 같은 로맨스
물의 이미지를 환기시키는 감각적인 형용사나, ‘エンジェル’, ‘ヴァージン’, ‘アバン
チュール’
똥
같은 외래어도 자주 사용된다. 또, ‘ 개(K)
→トンケの蒼い空(J')’ ‘청춘
5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K)
→プライベートレッスン-青い体験-(J')’의
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청 의 이미지
를 환기시키는 특정 표현이 반복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그 밖에도 ‘奇跡の’ ‘僕
암시하는 표현이라 할 수 있고, 코미디 장르인 ‘가문의
영광’은 한국어 제목에는 웃음을 암시하는 표현이 없으나, 번역 제목에서는 결
혼을 수식하는 형용사로 어울리지 않는 형용사 ‘大変な’을 써서 결혼과 관련된
소동을 암시하고 있다. 또 ‘섬(K)→魚と寝る女(J')’의 원제목인 ‘섬’은 특정한 이
미지를 연상시키지 않는 제목이지만, 번역된 일본어 제목에서는 스릴러 장르의
らの’는
감동 드라마를
분위기가 드러나고 있다. 한편, 일본 영화 제목의 한국어 번역에서도, 이처럼
특정 장르를
암시하는 표현을 구사하여 영화의 분위기를 구체화하는 번역 전
략의 예를 볼 수 있으나 일본 영화의 한국어 번역처럼 많지 않아, 주된 전략이
라고는 보기 어렵다.
●의역
いぬのえいが(J)→우리개 이야기(K')
チョコレート・アンダーグラウンド(J)→초코초코
●개역
대작전(K')
→
東京ゴッドファーザーズ(J)→크리스마스에 기적을 만날 확률(K')
TANNKA-短歌-(J)→사랑에 눈뜨다(K')
‘いぬのえいが’는 직역을 하면 개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영화라는 정보만 전달
되지만 ‘우리’ 라는 표현을 붙임으로써 관객에게 친근감을 유발하고, 감동 드라
female-フィーメイル-(J) 그녀의 은밀한 사랑일기(K')
마라는 영화의 분위기를 전달한다. ‘チョコレート・アンダーグラウンド’의 직역 제목
콜렛’ 은 초콜렛 금지에 반대하여 지하에서 초콜렛을 밀조하는 영화
속 내용을 객곽적으로 전달하는 제목이지만, 번역 제목에서는 초콜렛을 초코초
코로 번역하여 애니메이션에 걸맞게 운율을 살려 번역하는 동시에 코미디, 모
험물이라는 장르의 성격을 원제에 없는 ‘대작전’이라는 표현으로 나타냈다.
‘지하의 초
‘female-フィーメイル-’ 의 번역 제목 ‘은밀한 사랑’ 은 여성의 성과 사랑을 주제
낸다.
로 한 영화임을 원제목 보다 직접적으로 나타
또 ‘TANNKA-短歌-’ 역
시, 로맨스 장르와는 거리가 먼 제목이지만, 번역 제목에서는 ‘사랑’이라는 표
현이 들어가 영화의 성격이 분명해졌다. ‘東京ゴッドファーザーズ’는 직역하면 ‘대
죄
킬 수 있지만, 개역된 제목의 ‘크리스마
스’ ‘기적’ 같은 표현은 가족애를 주제로 하는 감동 드라마의 성격을 전달한다.
부’라는 표현이 들어가 범 물을 연상시
4.3 부제의 번역 전략 비교
한일 영화제목의 번역 전략 비교 ················································································ 조 영 희…57
영화제목 중에는 부제가 있는 제목이 있는데,12)
한국 영화와 일본 영화 중,
부제가 있는 제목을 조사한 결과, 한국에 수입된 일본 영화는 322편 중, 약
20%에 해당하는 66편의 영화가 부제가 있는 반면, 일본에 수입된 한국 영화는
336편 중 부제가 있는 영화가 16편, 약 4.8%로, 일본 영화의 부제의 비율이 높
았다. 한편, 번역된 제목을 비교해보면, 일본 영화를 한국어로 번역했을 때는
부제가 있는 제목이 45편(13.4%)으로 원제목 보다 번역 제목에서 부제가 있는
제목의 비율이
줄어드는
→
반면(20.0% 13.4%), 한국 영화 제목을 일본어로 번
역했을 때는 부제가 있는 제목이 46편(14.3%)으로, 원제목 보다 번역된 제목에
→
서 더욱 늘어난다(4.8% 14.3%). 다시 말해, 일본 영화는 한국 영화에 비해 영
화 원제목에 부제를 다는 것을 선호하며, 수입 한국 영화 제목의 일본어 번역
에서도, 부제를 다는 것이 선호되는 경향이 보인다. 따라서, 부제 달기를 수입
한국 영화 제목의 일본어 번역 과정에서 보이는 특징적인 번역 유형으로
수 있을 것이다.
꼽을
다음으로 영화 제목에서의 부제의 기능 분석을 통해, 어떠한 번역 전략 하에
부제가 선택되는지 알아보기로 한다. 일본 영화의 원제목 또는 일본어로 번역
된 한국 영화의 제목에서, 부제의 역할은 다음의 세 가지 정도로 요약될 수 있
다. 첫 번째, 시리즈물의 버전, 또는 시리즈물의 내용을 나타내기 위해 부제를
붙이는 경우이다. 특히, 여러 해에
부분 부제가 붙는다.
花より男子-ファイナル-(J)
完全なる飼育-赤い殺意-(J)
着信あり-ファイナル-(J)
걸쳐 시리즈물로 제작되는 애니메이션은 대
完全なる飼育-秘密の地下室-(J)
リング0-バースデイ-(J)
名探偵コナン-ベイカ-街の亡靈-(J)
DEATH NOTE-デスノートthe Last name-(J)
ワンピース-カラクリ城のメカ巨兵-(J)
두 번째, 제목의
읽는 법이 관객에게 생소할 때, 부제를 단다.
鉄道員-ぽっぽや-(J)
female-フィーメイル-(J)
シルミド-SILMIDO-(K')
M-エム-(K')
鰐-ワニ-(K')
人狼 JIN-ROH(J)
霊-リョン-(K')
세 번째, 원제목만으로는 유추하기 어려운 영화 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
12) 『한국영화연감』의 외국영화 개봉일람에는 부제를 표시하는 부호가 통일되지 않고 혼용되거나,
부제를 표시하는 부호 없이 본 제목
에
기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EX
MACHINA-エ ス キナ-’와 같이 부제를 나타내는 부호를 ‘-’로 통일하여 표기하였다.
ク マ
옆 병
5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보를 부제를 통해 제공하는 경우이다.
ベクシル-2077日本鎖国-(J)
ストレンヂア-無皇刃譚-(J)
東京タワー-オカンとボクと、時々、オトン-(J)
台風太陽-君がいた夏-(K')
覆面ダルホ-演歌の花道-(K')
沈黙の叫び-元日本軍「慰安婦」たちの声-(K')
ベクシル’만으로는 영화의 내용을 짐작하기 어려우나, ‘2077日本鎖
고유명사인 ‘
国’이라는 부제가 영화의 시대적 배경과 사건에 대한 정보를 주고 있다. ‘ストレン
칼과 관련된 액션 시대극이
라는 정보를 관객에게 전달한다. ‘東京タワー’는 부제를 통해, 자식과 어머니를 둘
러싼 드라마임을 알 수 있고, ‘覆面ダルホ’는 제목만으로는 트로트 가수가 등장하
는 코미디 장르를 연상시키기 어려운 점을 부제를 통해 보완하고 있다.
ヂア’의
부제 역시, 원제목만으로는 짐작하기 어려운,
한편, 한국 영화 제목 및 한국어로 번역된 일본 영화 제목에서의 부제의 역
할은 첫 번째, 시리즈물의 버전 또는 시리즈물의 내용을 나타내거나, 두 번째,
악
한글 표기만으로는 의미파 이 어려운 제목에 한자어를 부제로 명기하거나, 원
제목의 의미에 대응하는 영어 단어를 명기하는 것이다.
가문의 위기-가문의 영광 2-(K)
설-(K')
빙우-氷雨-(K)
M-엠-(K)
게드 전기-어시스의 전
망종-芒種-(K)
시간-타임-(K)
투사부일체-두사부일체 2-(K)
형사-Duelist-(K)
일본 영화의 원제목 및 한국 영화 제목의 일본어 번역 제목에서 볼 수 있었던
부제의 세 번째 기능, 즉 영화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은 한국 영
화 및 한국어 번역 제목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한국 영화와 일본 영화의
이 차이점이 시사하는 것은, 한국 영화 제목을 일본어로 번역할 때, 영화 내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관객에게 전달하려는 전략이 취해지고
있고, 그 수단으로 부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상으로, 한국과 일본의 영화 제목 번역 전략을 비교하여본 결과, 양쪽에
공통된 전략이 있는 반면, 한국 영화 제목의 일본어 번역에서만 특징적으로 나
타나는 번역 전략 또한 있음이 밝혀졌다. 그 결과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영화
제목 번역의 전략의 방향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
영화 제목의 한국어 번역에 있어서는, 고유명사나, 일본 특유의 문화나 풍습과
관련된 어휘를 포함한 제목을 의역 또는 개역하는 번역 전략을 볼 수 있었다.
한일 영화제목의 번역 전략 비교 ················································································ 조 영 희…59
쩔
이것은 원제목의 성격상 직역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
수 없이 의역 또는
개역을 해야 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원제목의 성격에 의해
번역 전략이
규정되는 수동적인 번역이라 할 수 있다. 영화에 부수적으로 동반
된 정보인 영화의 버전이나 시리즈명을 첨가 또는 생략하여 의역 또는 개역하
는 경우 역시, 일정 부분 영화 원제목의 성격에 의해
규정된 수동적인 번역 전
략에 해당된다. 반면, 한국 영화 제목의 일본어 번역에서는 일본 영화 제목의
한국어 번역과 마찬가지로 수동적인 번역에 해당하는 번역 전략도 볼 수 있었
지만, 한국 영화 원제목에 없는 표현을 번역 제목에
넣어 영화의 분위기나 장
르적 특성을 드러내거나, 부제를 통해 영화와 관련된 부가적인 정보를 전달하
는 적극적인 번역 전략이 구사되고 있었다.
5. 맺음말
본 논문에서는 1998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에 수입된 일본 영화와 일본에
수입된 한국 영화의 영화 제목의 번역 유형을 분류, 비교하고 그 결과를 분석
하여 한국과 일본의 영화 제목의 번역 전략을 비교하였다. 번역 유형의 비교에
서 한국과 일본의 영화 제목 번역에서 차이가 보이는 음역과 의역 및 개역에
서 나타나는 번역 전략을 비교한 결과, 일본 영화 제목의 한국어 번역에서는
영화 원제목의 성격에 의해 번역 유형이
규정되는 수동적인 번역 전략이 구사
되고 있는 반면, 한국 영화 제목의 일본어 번역에서는 원제목에 없는 표현을
구사하여 영화의 분위기나 성격 등을 드러내는 적극적인 번역 전략이 취해지
혔다.
고 있어, 한국과 일본의 번역 전략에 차이가 있음을 밝
【참고문헌】
김수경(2007)「한・일 양국의 영화제목 번역 양상 연구-문화적 배경이 번역에 미
치는 영향-」, 중 대학교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44
박광진(1999)「한국영화제목의 어휘적 연구」, 충남대학교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pp.47-55
박경애(2005)「한국 영화 제목의 형태・어휘론적 연구:일제강점기, 해방기, 2000년
대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44-53
앙
육
육
육
6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커뮤니케
영화진흥위원회(1998-2009)『한국영화연감』,
이션북스
옥욱진(2009)「수입 영화 제목 영화 유형별 전략」, 부산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pp.7-11
조재영(1995)「번역방법의
유형과
번역의
단계」,
『언어와
언어학』20,
pp.105-112
지은영(2001)「수 영화 제목의 번역 유형에 관한 연구: 미국영화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7-15
최지순(2011)「Out of Africa는 愛と哀しみの果て로 번역될 수 있는가-미국영화제목
의 한・일어 번역양상-」, 중 대학교 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pp.16-19
尾野治彦(2004)「日英語の 映画のタイトルにおける表現の 違いをめぐって 「感覚のスキー
マ」と「行為のスキーマ」の観点から 」,『北海道武蔵女子短期大学紀
要』36, pp.66-74
업
앙
육
─
─
한일 영화제목의 번역 전략 비교 ················································································ 조 영 희…61
要 旨
本稿では、1998年から2009までに韓国に輸入された日本映画及び日本に輸入された韓国
映画の映画題目の翻訳パターンを分類・比較し、その結果に基づいて韓国と日本の映画題
目の翻訳戦略について比較を行った。まず、翻訳パターンを分類・比較した結果、原題目と
の類似度は日本の映画題目の韓国語翻訳が韓国の映画題目の日本語翻訳に比べてより高い
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具体的な翻訳パターンの分析では、英語の原題目を韓国語に音訳し
た可能性のあるものを除くと、音訳の比較では、目立つ違いはみられなかった。意訳と改訳を
分析した際、韓国と日本 に共通してみられる映画題目の 翻訳戦略として次の 三つがあげられ
る。第一、固有名詞と固有の文化及び風習と関連した語彙を含む映画の題目を意訳・改訳
する戦略である。第二、映画のバージョンやシリーズ名を省略または追加して意訳・改訳する
戦略である。第三、映画の内容と直接かかわりのある映画の素材を表す語彙を加えて映画に
かかわる情報を提供する戦略である。次に、韓国の映画題目の日本語翻訳にだけみられる特
徴的な翻訳戦略としては、映画のジャンル的特性や映画の雰囲気と関連性のある表現を追加
し、意訳または改訳したり、副題を通じて映画とかかわる情報を伝える戦略があげられる。結論
として、日本の映画題目の韓国語翻訳では、映画の原題目の性格によって翻訳パターンが決
まる受動的な翻訳戦略が行われている反面、韓国の映画題目の日本語翻訳では原題目にな
い表現を加えて映画の雰囲気や性格などを伝えようとする積極的な翻訳戦略が行われていること
が明らかになった。
キーワード: 映画題目の翻訳 翻訳戦略 音訳 直訳 意訳 改訳
투
고 : 2014. 2. 28
1차 심사 : 2014. 3. 15
2차 심사 : 2014. 4. 5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의 통시적
연구(1)*1)
―副詞語를 중심으로―
片 茂 鎭**
(e-mail: [email protected])
1. 들어가기
2. 일본어의 副詞와 副詞化 過程
3. 연구방법
4. 『交隣須知』의 副詞語
4-1. 漢字副詞 어휘의 증가
4-2. 副詞語의 意味 分化
4-3. 轉成副詞化
5. 맺음말
目 次
1. 들어가기
18세기 초 江戸期에 일본에서의 최초의 한국어 학습서로 성립된『交隣須
知』는 明治期를 통하여 일본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 한국어 학습서이다. 이
『交隣須知』가 한일어의 역사적 연구자료로서 그 가치가 높은 것은, 성립 당
시의 原「交隣須知」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苗代川本>(19C 前期에 筆寫?)
을 비롯한 일련의 古寫本類는 대략 18세기의 언어를 반영하고 있고, <小田
本>(1795)이나 <서울大本>(1868~1873)과 같은 增補本類는 대략 18세기 후반
에서 19세기 전반, 初刊本(1881년)은 19세기 후반, 그리고 明治37년(1904)에 간
*
**
본 연구는 2013년도 단국대학교 대학연구비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단국대학교 교수, 일본어학
6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행된 校訂本은 20세기 초의 韓日語를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苗代川本>을 기준으로 하여 古寫本類>增補本類>初刊本>校訂本으로
이어지는 異本들의 언어현상은 양국어의 통시적 연구자료로서 절호의 가치성
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관점에서『交隣須知』의 언어를 다루
어 왔는데(片茂鎭(2010,2011.2012.2013)), 본고에서는 副詞語의 변화상에 대하여
통시적인 관점에서 고찰하자 한다. 특히 근대시기의 부사어에 관한 연구는 대
략 明治期의 문헌자료에 나타난 일정 부사나 副詞語類의 사용례를 조사・분석
한 것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1),『交隣須知』와 같이 이본들 간에 존재하는
언어사용의 차이점(변화상)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없다고 할 수 있다2).
2. 일본어의 副詞와 副詞化 過程
현대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부사들 중에는 이미 上代나 中古에 부사어로 기
능한 것도 있지만, 대략 중세기(11세기〜16세기)에 그 성립이 인정되는 어휘들
이 주를 이룬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浜田1991:200 참조). 그런 가운데 중
세 이후의 근세(江戸時代)나 현대(明治 이후)에 와서 비로써 부사로서의 品詞
性을 획득한 것들도 있다. 다시 말해서, 일본어의 부사는 고유 부사어를 바탕
으로 하면서 주로 用言이 부사화의 과정을 거친 轉成副詞로써 다양한 修飾的
機能을 담당하고 있다고 정리할 수 있다.
본래 일본어의 부사는 體言的 性格이 강한「情態」부사적 의미를 가지는 것
들로부터「程度」부사적, 혹은「陳述」부사적으로 사용되는 부사어로 확산, 재
생산되는 경향으로 파악할 수 있는데(徳田1983:66-67 참조), 그 중심에는 주로
용언으로부터 전성되어 程度副詞的으로 사용된 어휘가 많다고 할 수 있다. 결
국 일본어의 부사는 중세시기에 성립된 것들을 주로 하면서 그 후 18세기를
중심으로 한 근세시기에 語彙史的으로 기능 및 의미변화 과정을 거치면서3),
19세기 명치시기 이후 현대어에서는 보다 다양한 부사어가 사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 松井(1977), 趙宏(2003), 増井(1988) 등.
2) 成玧妸(2010)는 본고의 『交隣須知』를 포함하는 明治期 朝鮮語學習書類에 나타난 情態副詞의 연
구로, 明治時代에 발간된 40종의 한국어학습서류를 대상으로 전체적인 사용례를 조사・고찰하고
있다.
3) 江戸時代 前期에는 오늘날에는 볼 수 없는 의태・의성어를 포함하여 다양한 부사어휘가 나타나며
(坂梨1982:493), 『捷解新語』의 경우에도 原刊本의 부사어가 改修本에서 다양화된 형태로 나타나
는 바와 같이, 특히 부사의 변화는 이 시기에 현저했다고 볼 수 있다(安田1973:315).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의 통시적 연구(1) -副詞語를 중심으로- ··············· 片 茂 鎭…65
단, 일본어의 부사는 고유어보다는 다른 품사로부터 전성되어 부사로 기능하
는 전성부사가 많다고 할 때4), 이와 같은 전성부사와 그 전 단계인 ‘副詞化 過
程’과 관련하여 그 단어가 활용어의 영역을 벗어나서 부사로 一語化(轉成副詞
化) 한 것으로 판단할 것인가, 아니면 그 과정에 있는 것인가를 판단하는가에
대해서는 조사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맡겨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3. 연구방법
본 연구는『交隣須知』를 통하여 일본 근세시기의 부사어가 어떤 변화상을
거쳐 현대어에 이르는가 하는 역사적 변천의 一面을 고찰하는 것이므로, 일단
부사는 일본 고유어를 중심으로 한다. 따라서 <苗代川本>의 색인에서 순수하게
부사로 분류된 어휘를 일차적 대상으로 하였다5). 그리고 이차적으로는「重ね
て」와 같이 동사의 連用法이 一語化하여 부사로 전성되어 사용되는 連語(동사+
접속조사)도 부사로 취급하도록 한다. 그 이유는 동사의 연용법의 경우는『交隣
須知』에서 이미 고루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단「よく」「確かに」처럼 형용사
나 형용동사의 연용형이 다음의 용언을 수식하여 부사적으로 기능하는 連用法
의 경우는 부사화에 대한 판단이 애매한 관계로, 일단 다음과 같은 기준을 설정
하여 그것에 해당하는 어휘만을 포함하기로 한다. 그리고「慇懃に」「隠々と」처
럼 통시적 변화 정도가 낮은 순수 漢字語나 漢字 疊語에 조사가 붙어서 사용되
는 부사, 그리고 의태・의성어 등도 가능한 한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이하『交隣須知』의 부사화 판단에 관한 객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
서는 <苗代川本>의 일본어 단어별 총색인에서 다음과 같은 3가지 기준에 의
하여 부사어를 선정하도록 한다.
(1) 색인에서 부사로 품사 분류된 어휘(예,「いこう」「いたって」등)
(2) 색인에서 부사로 품사 표시는 안 되어 있지만, 名詞+助詞, 동사의 連用形+
「て」의 連語 형태로 부사로 사용되는 어휘(예,「いたずらに」「重ねて」등)
(3) 형용사(형용동사)의 連用形이 다음의 用言을 수식하여 부사적 기능을
하는 용례만 있는 경우.
4) 현대일본어에서 일단 ‘副詞’라고 불리는 것들의 대부분은 다른 종류의 말로부터 轉成, 혹은 몇 개
의 단어가 합쳐진 連語 내지 慣用句的인 것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浜田1970:208).
5) 단, 명사의 부사적 용법에 관여하는 때를 나타내는 名詞나 數詞, 「こう, そう」와 같은 지시부사는
대상에서 제외한다.
6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특히 이 (3)의 경우에 있어 조사자의 주관이 상대적으로 개입될 소지가 많
은 부분이다. 다시 말해서 형용사「よい」의 예를 들면, 「よく(よう)」의 형태로
古典語에서부터 부사로 사용된 용례들이 많은 것으로 보아6), 부사화의 과정을
거쳐 이미 오래전부터 부사어로 기능하는 단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交
隣須知』의 <苗代川本>에는「よく」「よう」와 같은 連用法, 다시 말해서 부사적
용법의 용례 외에도「よい」「よけれ」「よかろ」와 같은 다양한 활용형의 사용
례가 보인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일단 본래 형용사라는 語性을 우선하
여 부사어 대상에서 제외하고, 연용법의 용례가 있는 것만을 대상으로 한다.
이 점「確かに」처럼 형용동사의 연용형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단 이러한 것들
은 활용어의 부사적 용법으로 보고, 부사화의 과정에 있는 것들로서 4-3에서
별도로 다루기로 한다.
4.『交隣須知』의 副詞語
이와 같은 부사어 선정 기준에 의한 결과, 부록의【자료】에서 보는 것과 같
이 약 80여 개의 부사어(개별어수)가 추출되었다. 本稿에서는 서로 類義語的
관계에 있는 부사어를 50여개의 어휘 항목으로 재정리하여 부사 변화의 경향
성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자료】의 분류는 <苗代川本>의 부사를 기준으로
하고, 그것의 한국어 對譯을 기준으로 유의어별로 재분류. 표기는 가능한 한
원문대로 한다)
4-1. 漢字副詞 어휘의 증가
【자료】에서 보면 부사어는 일단 和語・漢語・俗語類에 속하는 다양한 語種
으로 분포한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고유어(和語)가 주를 이루는 가운데 初刊本
이후, 특히 校訂本에서 한자의 부사어가 증가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交隣須知』에서 가장 빈도수가 높은 것은 한국어 ‘하, 너모, 오, 심히(이),
장, 만히’ 등의 對譯에 해당하는 정도부사들인데, 그 중 初刊本의「たくさんに,
だいいち」, 校訂本의「始終, 大変, 大層, たくさん, いちばん, 是非」등이 한자어 부
사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たいへん, たいそう, たくさん」이 있다. 이「たいそう」
「たいへん」과 같은 어휘는 初刊本에는 없고 校訂本에만 나타나는 한자어이
다7).
6) 이와 같은 副詞化의 판단은 1차적으로 『広辞苑』『日本国語大事典』(第二版)과 같은 일본어대사
전 상의 용례가 참고가 될 것이다.
7) 이하 인용문의 <濟>는 濟州本(1880년), <ア>는 アストン本(1846), <対>는 対馬本(1855년경 筆寫),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의 통시적 연구(1) -副詞語를 중심으로- ··············· 片 茂 鎭…67
[2022]
<苗/二08a>
貂
돈피 털은 오 덥외
<濟/二02a>
貂
돈피 털은 오 덥외
<初/二02a>
貂
돈피 털은 오 덥오니
<校訂/072>
貂皮
[1584]
<苗/一43b>
キネヅミノ ケハ イコフ ヌクウゴサル
トンビノ 毛ハ イカウ アタヽカニゴサル
ノ 毛ハ イカウ アタヽカニゴザル
貂
돈피 오 덥외다
は 大層 暖かでございます。
貂皮
妻娚
<ア/一51a>
妻娚
<初/一40b>
妻男
<校訂/097>
妻男
쳐남이 부(妹夫) 오 졉(待接)
ニョフホフノキョ(ウ)タイガ イモフトノ夫 イコウ トリモチマスル
쳐남이 부 오 졉
ノ
ガ 姉聟ヲ イカウ トリモチマスル
ノ
ガ 妹聟ヲ ヒドク トリモチマス
女房 兄弟
쳐남이 부(妹夫)를 오 졉(待接)허옵데
女房 兄弟
쳐남(妻男)이 부(妹夫)를 오 졉(待接)옵데다
の が 姉婿を 大へん 大事にいたします。
妻 弟
「たいそう」는 江戸後期의 국학자인 平田篤胤의「古道大意」(1813) 및 그 이
후의 문헌에도 사용례가 보이긴 하지만8), 당시에는 그다지 사용이 일반적이지
않았던 것 같다9). 이「たいそう」는 다음의「たいへん」과 더불어 명치20년대 이
후에 朝鮮語學習書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정도부사이다(성윤아2010:68
참조). 따라서 初刊本에서「たいそう」나「たいへん」의 사용례가 보이지 않는다
고 해서 그 말이 당시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은 아닐 것이며, 단지 당시의 일반
적인 상황이 반영된 결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또한 江戸時代의 寫本類에서 대표적인 정도부사로 많이 사용되던「いこう」
(いかし>いかう>いこう)가 校訂本에서「たいへん, たいそう」로 교체되었다. 이「い
こう」는 명치14년의 初刊本에서 일부 사용례가 보이지만, 그 이후의 조선어학
습서에서도 완전히 모습을 감추게 된다10). 그리고 역시 같은 漢字副詞인「たく
<ソ>는 서울대본(1868년~1873년), <武>는 武藤本(1873년)의 略稱이다.
8) 『日本国語大辞典』(第二版) 古道大意・上「此の世界は大造(タイサウ)広く大きいことで、国も勿論たんと有
る」
9) 물론 당시의 부사를 전부 망라한 것은 아니지만, 湯沢幸吉郎(1936, 1957)가 江戸時代에 새롭게 사
용되기 시작한 부사어를 중심으로 주된 부사의 용례를 수집해 놓은 副詞의 節에도 이와 같은 어
휘의 예는 보이지 않는다(『徳川時代言語の研究』『増訂 江戸言葉の研究』참조).
10) 성윤아(2010)의 조사에 의하면, 명치20년대 발간된 조선어학습서류에는 사용례가 없다.
6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さん(沢山)」의 경우는 寫本類에는 그 예가 없고11), 刊本類 특히 校訂本에서 많
이 사용되었다(初刊本에는 1예).
[1033]
<苗/一03b> 霰 싼눈이 만히 오니 맛치 이 려디 듯외
アラレガ ヨケイニ フッテ チョフド 米ノフッタヨフニゴザル
<ア/一05a> 霰 눈이 만히 오니 맛치 이 려지 듯외
アラレカ タント フッテ 丁度 米ノ落タヤウニコサル
<對/一05a> 霰 눈이 만히 오니 맛치 이 려지 듯외
アラレガ ヨケイニ フッテ 丁度 米ノフルヤウニゴサル
<初/一04a> 霰 락눈이 만이 오니 맛치 이 려지는 듯허외다
霰ガ タント フリテ 丁度 米ノフルヤウニゴザリマス
<校訂/007> 霰 락이눈이 만히 오닛가 맛치 비가 오 것 소
が 澤山 降るのが 丁度 米の降るやうてす。
霰
단, 형용동사의 부사형으로「たくさんに」의 예가 初刊本에 2개 정도 보인다.
[1039]
<苗/一04a> 著霜 서리가 이 치니 나모닙히 누[느]르러 다 러디
シモガ イカフ フッテ 木ノ葉ガ キバミテ ミナ ヲチマスル
<ア/一05b> 著霜 서리가 오 치니 나모닙히 누러 다 러지고니
シモカ ツヨウ フッテ 木ノ葉ガ キハンテ ミナ ヲツル
<初/一04b> 著霜 서리가 만이 오니 나무닙히 누르러 다 러지[치]겟다
シモカ 澤山ニ 降リタニヨリ 木ノ葉ガ 黃ミテ 皆 落チル
결과적으로『交隣須知』에서의 이와 같은 경향은 明治時代 이후에 어휘와
표기에 있어 漢字가 많이 사용되었다는 시대적・사회적 배경과 궤를 같이한다
고 할 수 있다. 그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初刊本은 당시의 언어현실을 반영
하면서도 동시에 전 시대의 것을 답습한다는 보수적인 측면도 인정된다. 한편
校訂本은 적극적으로 당시의 언어현실을 반영하려는 의도를 엿볼 수 있다. 그
이전의 異本에서 사용되지 않았던「蛇度, 屹度(きっと)」와 같은 当て字가 校訂
本에서 사용된 것도 그러한 시대적 반영의 일면이라고 할 수 있겠다.
[4191]
<苗/四12b>
必
반시 됴흔 일이 이실거시니 가 녀오나라
11) たいへん(大変) : 명사로서는 太平記、東海道中膝栗毛 등에 「重大なこと」의 의미로 사용된 예는
있다. たいそう(大層) : 명사로서 「はなはだしいさま」의 의미로 誹風柳多留 등에 예가 보인다.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의 통시적 연구(1) -副詞語를 중심으로- ··············· 片 茂 鎭…69
ヒツヂョフ ヨイ コトガ アロフニヨリ ユイテコイ
<小/四15a>
必
<初/四15a>
必
<校訂/312>
必
반시 됴흔 일인가 시브니 가 보소
必定
ヨイ コトガ アラウニヨリ ユキテ見サシャレイ
반드시 됴흔 일이 잇슬 시니 가 겨오라
必
ヨイ コトガ アラウニヨリ ユイテコヨ
필연(必然) 됴흔 일이 잇슬 거시니 가셔 겨오라
屹度
4-2. 副詞語의 意味 分化
いヽ 事が あるから いって 來て見。
일본어는 18세기를 중심으로 한 근대시기에 특히 부사에 많은 변화가 있었
다고 하는데, 『交隣須知』는 그러한 언어변화의 양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의 주된 내용은 ‘副詞 意味의 分化(細分化)’라고 할 수
있다.
우선『交隣須知』에서의 부사 의미의 분화는 특히「あまり」「いこう」와 같은
정도부사에서 두드러진다(【자료】No.1). 다시 말해서, 寫本類에서 初刊本까지
는 미분화 상태의「あまり」가 校訂本에서「あまり, たいへん, ひどく, どうも」와 같은
다양한 부사어로 분화된 형태로 나타난다. 「いこう」의 경우는 初刊本에서부터
「いこう」를 포함하는 다양한 부사어의 형태로 나타나고, 校訂本에서는 古形의
「いこう」가 없어진 대신에「たいへん」「たいそう」와 같은 당시의 일반적인 부
사어로 교체되어 나타난다. 浜田敦(1970:222-223 참조)는 朝鮮資料에서의 이와
같은 현상, 특히 정도부사에서 同義, 類義語가 많이 병존하는 언어현상을「程
度遞減의 법칙」으로 설명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정도의 심한 정도를 나타내
는 말이 자주 사용됨으로 점차 신선함을 잃게 되고, 그에 따라 정도의 심한 정
도를 나타내는 힘이 감소해 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 많은 同意類義語가
동일한 시기에 공존하게 된다.『交隣須知』의 예를 들면, <苗代川本>에서 현
대어의「たいへん」에 해당하는 부사어로「いかう, あまり, いたって, おおいに」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あまり」의 경우는 校訂本에서 분화가 일
어나고 있지만 다른 부사어의 경우는 대략 增補本類를 거쳐 初刊本에 이르는
과정에서 일반적인 현상으로 나타난다.
한편 위와 같은 정도부사에서의 의미 분화와는 대조적으로, 初刊本에서의 다
양한 부사어가 校訂本에서 특정한 부사어로 통합되는 경우도 보인다. 상태부사
「さっそく, じきに, すぐに, つい」등은 校訂本에서 주로「すぐ(に)」로 통합되고 있
는 것이 그 예이다. 물론『交隣須知』에서의 이와 같은 현상만을 가지고 일본
어 부사의 통시적 변화의 한 경향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더구나 校訂本에서의「すぐ(に)」는 물론, 이전의 異本에서 사용된「さっそく, じき
7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に, すぐに, つい」등도 현대어에서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것은 당시
보다 일반적인 어휘의 채용이라는 校訂本에서의 편집 의도의 문제로 생각된다.
또한 정도부사의 경우도 校訂本에서 사용어가 당시 일반적인 몇 개의 부사어
로 단순화한 결과로도 볼 수 있겠다.
4-3. 轉成副詞化
현대어에서 副詞라고 하는 것의 대부분은 실은 다른 종류의 단어에서 轉成,
또는 복수 단어의 連語 내지 慣用句的인 것으로부터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우선【자료】로 제시된『交隣須知』의 부사를 보면, 校訂本으로 갈수록 일본
어의 부사가 다양화(세분화)되어 가는 통시적인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
고 다른 품사에서의 전성부사화라는 관점에서 보았을 때, 우선 동사의 부사적
용법, 다시 말해서 動詞의 連用形+助詞에 의한 連語는 이미 대부분 부사어의
위치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イタッテ, キワメテ, カエッテ, ハジメテ, カエッ
テ」등과 같은 부사어는 古寫本類인 <苗代川本>에서부터 사용되고 있다. 또한
<苗代川本>에서 순수한 부사이었던 것이 校訂本에서 다양한 형태의 연어 내
지는 관용구적인 표현으로 나타나는 것을 하나의 경향으로 파악할 수 있다.
(カタカナ語는 <苗代川本>에서 사용된 부사)
どこまでも(←イコウ), 絶へず(←ヒタスラ), どうかすると(←モシ), いっそのこ
と(←イッソ), 立ち入って(←サノミ), つまらぬことに(←イタヅラニ), もちよっ
とで(←ヲヲカタ), いつのまにか(タチマチ), 出來る樣に(←ナルダケ), 其儘にし
て(←ヤハリ), いヽ鹽梅に(←ヒツヂャウ) 등
물론 이 중에는「絶へず」「いつのまにか」와 같이 이미 부사화 한 것이 있지
만, 대부분은 보다 현대적인 관점에서의 連用修飾表現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그러한 측면에서 부사 어휘의 확대 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었던 주된 이
유로는 전술한 한자어의 채용과 더불어 특히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法을 들
수 있겠다.
樂に(←スコブル), 靜に(←ソロリト), かすかに(←チラチラト)
ひどく(←アマリ,タント), 少く(←チット), よく(←トクト)
이러한 형용사・형용동사의 부사적 용법이 初刊本 이후, 특히 校訂本에 나타
나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 중「よく」등은 이미 고대 문헌에서부터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의 통시적 연구(1) -副詞語를 중심으로- ··············· 片 茂 鎭…71
부사어로 기능하는 용례가 있어 부사화가 완료된 어휘로 간주할 수 있겠다. 그
리고 그 외의 것들도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그 과정이 완료되었거나 혹은
그 과정에 있다는 언어현실을 반영하는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부
사화의 과정을 거쳐 현대어에서는 부사로 이행을 마친 것들이 확대되었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交隣須知』에 나타나는 형용사와 형용동사의
연용법에 대하여 대표적인 예를 들어 검토하기로 한다.
(1) 形容詞의 連用法
「うまく」는 校訂本에서만 보이는 형용사의 연용형이다. 다른 사본류에서는 終
止形・連體形의「うまい」의 형태로만 사용되고, 부사적 용법「うまく」나 ウ音便
形인「うまう」의 사용례는 보이지 않는다. 단, 古寫本類의 <文政本>(1827年)에
「うまう」의 사용례가 1예 보일뿐이다.
<文/三48a> 咂 입을 라 머그니 장 맛나온가
クチ ナメヅリシテクワシャルカ キツウ ウマウゴザル
이와 같은 어휘에 속하는 형용사로는「ひどく」를 들 수 있고, 역시 형용사
「おおきい」의 非音便形「おおきく」의 형태도 校訂本에서만 보인다. 예를 들면
「ひどく」는 刊行本에만 나온다.
[3445]
<苗/三32b>
結縛
결박고 오 치니 못 견여 
<ソ/三65b>
結縛
결박고 가더니 퇴오 마즌가 시브외
<武/三61a>
結縛
결박고 오 치니 니러나지 못
<初/三45a>
結縛
결박(結縛)허고 가더니 되오 마즌가 시푸오
<校訂/155>
結縛
결박(結縛)여 가더니 되오 마잣가 보오
シバッテ キツウ タヽイテ コタエガトウコサリマスル
シバッテ ユキマシタニ キツウ タヽカレタソウニゴサル
シバッテ ツヨウ タヽイタニ タチアガリヱマセヌ
シバッテ 往タニ ヒドク タヽカレタサウニゴザル
られて いったが ひどく なぐられたやうでございます。
위의 예를 보면, 사본류에서의「きつう」나「つよう」와 같은 古形의 형용사의
連用的 用法이 初刊本과 校訂本과 같은 刊本類에서「ひとく」로 교체된 예이다.
그러나 刊本類라 하더라도 初刊本과 校訂本에서 동일하게「ひどく」로 나타나는
예는 위의 1예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初刊本에서의 이「ひどく」가 校訂本에서
縛
다른 일반적인 부사로 교체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7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그리고 이「きつい」는「きつう」의 형태로『交隣須知』에서는 주로 부사적으
로 사용된 형용사라고 할 수 있다. [3548]과 같이 <苗代川本>와 같은 古寫本
類에「きつい」의 사용례가 보이나, 이것은 한국어 부사 ‘장’의 對譯으로 사용
된 것이다. 그리고 非音便形인「きつく」가 사용된 예는 初刊本에 1예가 보일
정도이다12).
[3548]
<苗/三40b> 兵符 병부 쟝슈게 장 듕 거시올레
ハ タイショフノ方ニ キツイ ヲモイ モノテゴサル
『交隣須知』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부사는 형용사「よい」의 연용형인
「よふ(よう)・よく」이다. 우선 이 부사의 일반적인 사용 실태는 다음과 같다13).
兵符
*동사는 일반동사, ( )는 용례수
苗代川本
增補本類
よ
よく+동사(17)
く
よく+동사(68)
よふ+동사(34)
よう+동사(30)
よ よふ+ござる(68)
う よう+ござる(6)
よふ+ある(2)
よふ+ない(2)
よう+동사(167)
よふ+ござる(1)
よう+ござる(191)
よう+ある(4)
よう+ない(9)
初刊本
よく+동사(76)
よう+동사(12)
よう+ござる(74)
よう+ある(7)
校訂本
よく+동사(81)
よく+ござる(1)
よく+ある(5)
よく+ない(9)
よう+ござる(32)
다시 말해서, 古寫本類인 <苗代川本>에는「よふ」, 增補本類에는「よう」와
「よく」, 初刊本과 校訂本의 刊本類에서는「よく(旨く)」형태가 주로 쓰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는 각 異本 간에 있어 사용 실태가 다르
게 나타난다.
12) [3902]
<ソ/二73a> 癢 려온  오 글그면 그러오니
カユイ トコロヲ キツウ カケバ ヒリツク
<初/二52a> 癢 려운 데를 되우 글그면 시원허니라
カユイ 處ヲ キツク カケバ キミガヨーゴザル
<校訂/143> 癢 려운 데를 되오 굵으면 시원니라
かゆい 處を 思ひきり 搔くのは いヽ氣持だ。
13) 初刊本에서의 「ヨー」표기도 「よう」에 각각 포함(+일반동사(3), +ござる(12), +ある(1)).
숫자는 그리 많지 않지만,「きみよい、ここちよい」와 같은 복합어도 포함.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의 통시적 연구(1) -副詞語를 중심으로- ··············· 片 茂 鎭…73
우선 「する」를 포함하는 일반동사 앞에 오는 非音便形「よく」는 <苗代川
本>에서 校訂本으로 갈수록 그 사용례가 늘어나고, 일반동사 앞에 오는 音便
形「よう(よふ)」는 刊本類로 갈수록 그 사용례가 줄어들다가 校訂本에서는 사용
례가 제로가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일반동사 앞에 오는 부사형은「よう」에서
「よく」로 통일되어 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音便形「よう」는 寫本類에서
일반동사와 공손한 표현의「ござる」앞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語形인데, 이
것이 校訂本으로 갈수록 일반동사 앞에 오는 예는 줄어들고,「ござる」앞에만
쓰이는 용법으로 고정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寫本類와 初刊本에서 일반동사
및 보통체의 「ある」나 否定의 「ない」와 같은 다양한 표현형식에 사용되던
音便形 ウ가 校訂本에서 非音便形 ク로 교체되게 된다.
[2706]
<苗/二60a> 漆 칠이 둇치 아니니 부 뎡칠로 여 주소
ヌリカ ヨフナイニヨリ カナラス ホンヌリニ シテクタサレイ
<ソ/三21b> 漆
칠이 둇치 아니니 부 뎡칠로 여 주옵소
ウルシカ ヨウナイニヨリ 必ス シャウノウルシヲヌッテ下サレイ
<初/三14b> 漆 칠이 둇치 아니니 부듸 됴흔 칠노 야 주옵소
漆ガ ヨウゴザラヌニヨリ 必 ヨイ 漆ヲ シテ下サレヨ
<校訂/250> 漆 칠(漆)이 됴치 아니니 부 됴흔 칠(漆)노 여 주시오
が よくないから 是非 いヽ 漆で塗って下さい。
漆
한편 音便形「よう」는 보조동사「ござる」앞에 와서「ござる」와 함께 쓰임으
로 공손한 표현을 나타내는 형식으로만 사용되게 된다. 이와 같은 경향은 다른
형용사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1799]
<苗/二01b>
翡翠
비(翡翠) 빗치 곱외
<ア/一69b>
翡翠
빗 빗치 곱외
<初/一55a>
翡翠
비는 빗치 곱외
<校訂/079>
翡翠
ヒスイハ イロガ ウツクシウフゴサル
ヒスイハ 色ガ 美ウコサル
ハ 色ガ ウツクシウゴザル
翡翠
비(翡翠) 빗치 곱외다
は 色か 美しうございます。
翡翠
7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특히 校訂本에서의 이와 같은 용법은「ございます」앞에서만 형용사의 ウ音便
形이 사용되고 있는 현대어와 동일한 양상으로 나타낸다14). 단, 校訂本에서 다
른 형용사가 모두「ございます」앞에서 ウ音便形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2313]
<苗/二30b> 大柑子 대감 서리을 맛쳐야 빗치 곱외
クネンホハ シモヲウケテコソ イロガ ヲツクフシフコサル
<ソ/二32b> 大柑子 대감 서리 마자야[여] 빗치 곱오니
クネンボハ 霜ヲ逢テコソ 色ガ ウツクシウゴサル
<初/二23b> 大柑子 대감(大柑子)는 서리를 마자야 빗치 곱외
クネンボハ 霜ニアフテコソ 色ガ ウツクシウゴザル
<校訂/055> 柑子 감(柑子) 서리를 마자야 빗치 곱외다
は 霜があたらないと色が美しくございませぬ。
「ございます」앞에서 音便形「うつくしう」가 아니라 非音便形「うつくしく」로 사용
된 예이다. 이와 같은 예가 5,6예 보인다. 寫本類와는 달리 표준적인 ク形의 표
蜜柑
출을 의도한 校訂本의 편집성향으로, 현대어로의 과정에서 과도기적인 현상으
로 이해할 수 있겠다.
(2) 形容動詞의 連用法
대표적인 예로「ほんとに」가 있다.
[4201]
<苗/四13b> 正 졍 그러셰면 틈을 어더 보오리
タシカニ サヤウナイキヲヒナラハ ヒマヲモトネテミマセフ
<小/四16a>
正
뎡 그러지연졍 다시 틈을 어더 보오리
<初/四16a>
正
졍(正) 그러허면 틈을 어더 보오리라
タシカニ サウシタギデゴサラバ 重テ スキヲ求テ見マセウ
マサニ サヤウナギナラバ ヒマヲエテ見マセウ
14) 「て」에 접속할 때의 ウ音便形 현상도 대략 위 표의 일반동사가 後接하는 경우와 비례한다. 즉,
<苗代川本>에서는 -くて形보다는 -ふて와 -うて形, 增補本類에서는 -うて形이 많고, 初刊本에서는
非音便形의 -くて形이 많다가 校訂本에서는 모두 -くて形만 사용되고 있다. 가령 형용사 「ちいさい」
의 예를 들면, <苗代川本>에서의 非音便形은 모두 8예가 나오는데 그 중에 6예가 「ない」의 활
용형인「ナクテ」이다. 이「ない」가 增補本類에서는 상대적으로「ナクテ」의 非音便形(35예)이 音便
形(14예)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初刊本에 와서는 チイサクテ>チイサウテ로 非音便形과 音
便形이 역전된다. 初刊本에서는 非音便形 35예 중 音便形은 7예에 불과하며, 「ない」의 音便形은
없고 모두「ナクテ」이다. 이러한 경향이 校訂本에서는 音便形은 없고 -クテ와 같은 非音便形으로
통일되게 된다.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의 통시적 연구(1) -副詞語를 중심으로- ··············· 片 茂 鎭…75
<校訂/318>
正
졍(正) 그러면 틈을 어더 보오리다
ほんとに そうなら 折を見てゐましょう。
校訂本에서 「ほんとう」의 축약형인「ほんと」에 「に」가 붙어 부사로, 「の」
가 붙어 連體的으로 사용된 예들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ほんと」를 語幹으로
하는「ほんとに」는 새롭게 사용된 부사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밖에 다른 형용동사의 예로「非常に, 不思議に, 奇麗に」등을 들 수 있는데,
결국 이러한 것들은 현대어와 동일한 용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1724]
<苗/一55a> 膽 셩이 하 나니 담(膽)이 리
ハラガキツフタッテ キモガニヱマスル
<ア/一62b> 膽 셩이 하 나니 담이 리고니
ハラガアマリタ(ッ)テ キモガ フルイマスル
<初/一49b> 膽 분(憤)이 하 나니 담이 니는구나
腹ガアマリ立テ 膽ガ フルフ
<校訂/118> 膽 분(憤)이 하 나니 담(膽)이 니고나
に が って 膽が ふるへる。
非常 腹 立
이러한 것들도 정도부사의 주변적・과도기적인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たいへん」도 실은「たいへんだ」라고 하는 형용동사
에서 전성된 것이고,「たいそう」또한 명사적 용법에서 부사로 전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いこう」도 본래「いかし」라고 하는 형용사에서 전성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日本語의 副詞는 體言이나 用言의 특정한 語形으로부터 이행해
온 것이 많다고 할 때, 특히 용언과 관련해서는 連用修飾의 형태가 독자적으로
부사화한 것에서부터, 그 용언의 다른 활용형이 없어진 결과 고립되어 부사로
편입된 어휘 등, 副詞化의 과정과 정도는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과정
이 校訂本에 잘 나타나있다고 할 수 있다.
5. 맺음말
일본어 부사는 통시적으로 정도부사를 중심으로 의미의 분화 과정을 거쳐서
현대어에 이르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交隣須知』를 통해서 그러한 부사의
의미 분화가 明治時期에서의 漢字語의 활성화에 힘입어 다른 품사, 특히 用言
으로부터의 轉成副詞, 혹은 副詞化 過程에 있는 부사어들이 그 역할을 주로
담당한 결과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校訂本에서는 기존의 일부 형
7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용사의 連用法을 당시의 일반적인 부사어 형태나 부사적 표현으로 적극 교체
하여 당시의 언어현실을 반영하려는 편집의도를 엿볼 수 있었다. 동시에【자
료】로 제시된『交隣須知』의 異本 間 副詞語의 표출 현황은, 일본어 부사의
통시적 연구자료 뿐만이 아니라 個別語의 語史를 연구하는 데에도 유용한 정
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2010)「明治期朝鮮語会話書における程度副詞の使用状況と推移」『日本言語文
化』17, pp.61-76, 日本言語文化学会
趙 宏(2003)「明治20年代の速記資料における程度副詞の文体的特徴をめぐって」『学芸
国語国文学』35, pp.1-10, 東京学芸大学国語国文学会
片茂鎭(2010)「『交隣須知』筆寫本과 刊行本의 일본어 어휘 비교」『일본문화학 보』45, pp.47-66, 한국일분문화학회
(2011)「『交隣須知』筆寫本과 刊行本의 한국어 어휘 비교」『일본문화학 보』49, pp.119-134
(2012)「刊本類『交隣須知』에 의한 한일 근대어의 통시적 연구」『일본문 화학보』55, pp.95-116
(2013)「근대 한일어 대역자료『交隣須知』를 통한 한일 양국어의 통시적 연구(1)― 한국어를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58, pp.99-122
坂梨隆三(1982)「近代の文法Ⅱ(上方語)」『講座国語史4 文法史』大修館書店, pp.
467-536
徳田政信(1983)「三矢文法説の構造と特色」『近代文法図説』明治書院
浜田敦(1970)「副詞など」(『朝鮮資料による日本語研究』岩波書店, pp.207-227)
(1991)「中世の文法」『日本文法講座3 文法史』明治書院
増井典生(1988)「江戸語における形容詞「いかい」とその衰退について」『国語学研究』
28,pp.41-49, 東北大学文学部
松井栄一(1977)「近代口語文における程度副詞の成長」『松村明還暦記念国語学と国語
史』pp.737-758, 明治書院
安田章 (1973)「 重刊改修捷解新語解題 」『 三本対照捷解新語 ( 釈文・索引・解題
篇)』京都大学国文学会, pp.275-337
湯沢幸吉郎(1936)「副詞」『徳川時代言語の研究』刀江書院, pp.227-242
(1957)「副詞」『増訂 江戸言葉の研究』pp.315-334
成玧妸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의 통시적 연구(1) -副詞語를 중심으로- ··············· 片 茂 鎭…77
『
【자료】 交隣須知
No
한국어
대역
』의 副詞
苗代川本
* ○ 안의 숫자는 용례수
古写本類
増補本類
初刊本
校訂本
あんまり④
アマリ⑭
アマリ②
アマリ(ニ)
㊱
アマリ⑩
あまり②
餘り①
へん①
大
ひどく①
どうも①
コトノホカ
殊ノ外①
①
イカウ①
하,너모,
イコウ⑧
이,오,
イカウ⑥
심히(이),
1
キツウ④
イカウ②
イコウ①
タント①
アマリ③
イカウ(55)
ツヨウ②
ダ②
イコウ①
甚
キツウ①
장,만히,
무한히(이)
부지기수
(ㅣ),
ヨケイニ⑪
タント⑦
ヨケイニ⑤
タント③
ニ①
ツヤウ①
餘慶
タント⑧
イタッテ①
大ニ①
바로,즉시,
2
즉제,겨,
몃
サッソク⑤
サッソク⑤
ヂキニ①
ジキニ①
ヂキニ①
サッソク①
スグニ①
スグニ①
サッソク①
ツイ①
3
혀,일졍,
응당,반
시
キワメテ⑤
キワメテ②
ヨケイニ⑯
タント⑦
カギリノウ
②
タント⑧
ヨケイニ②
スギテ②
アマリ②
イカウ②
イコウ①
キツウ②
イカウ①
余リ①
ひどく①
イカウ⑪
ニ①
オビタヽシ
ウ①
ダ①
ヒドク①
キツウ①
モ①
ヨケイニ④
タント③
①
ニ①
ク①
タント④
ヨケイニ②
タクサンニ
①
大へん④
大そう(層)③
ひどく①
甚だ①
大ゑん①
澤山
甚
最
無限
餘計
多
イカウ①
ヒドク①
早速⑦
早速④
ジキニ⑥
ジキニ②
早速②
早速①
ツイ④
ツイ①
キワメテ⑮
キワメテ⑤
キット③
キット①
サッソク⑤
サッソク①
どこまでも①
澤山(に)⑥
雲の如く①
澤山(に)⑥
ひどく①
大へん①
大へん①
すぐ③
直ぐに①
直樣①
すぐに①
其儘 ①
すぐ①
直ぐ①
屹度①
きっと①
つまりは①
7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ヒツヂャウ
③
4
5
6
7
브
로,조,
갓곰
맛치,막,마
치
必(ズ)②
必①
ゼヒ①
カナラズ①
ゼヒ①
ヒタスラ④
ヒタスラ③
々①
ヲリヲリ①
ヲリヲリ①
セツセツ①
セツセツ②
ヒタト①
ヒタト①
チョウド③
チャウド②
テウド①
チョウド③
②
テウド①
イヨイヨ④
イヨイヨ①
아모리,
イカニモ②
과연
イカヨウ①
10
11
12
折
丁度
더옥
イカニ②
9
必定
ヒョット①
カナラズ⑥
ナヲ②
8
ヒツヂャウ
①
①
절로,연,
연히(이)
셔,일즉
그저,다만,
오직,갓
뎍게,젹젹,
져기
シゼント⑤
トク④
トクヨリ①
ナヲ②
タント①
イカニ①
イカニ(モ)
②
ドノヨウナ
①
イカニ①
イカホド①
シゼント④
ト①
必定
必定
必③
必竟①
極メテ①
必(ズ)⑬
必⑥
ゼヒ①
ヒタスラ③
ヲリヲリ③
セツセツ③
ヒタト②
ヒタスラ③
ヲリヲリ①
ヒタスラ②
ヒタト①
ヲリヲリ③
ヒタト①
丁度⑫
チャウド④
ナヲモ③
イヨイヨ①
ナヲマタ①
ナヲ③
ナヲナヲ③
イカニ⑦
蛇度①
屹度①
いヽ鹽梅に①
是非②
必①
必ず①
ヒタスラ②
ヲリヲリ①
ヒタト②
絶へず①
始終①
ヒタスラ①
たびたび①
ヒタスラ①
ヒタスラ①
丁度④
テウド①
第一①
イヨイヨ③
ナホ①
ナホ①
ナホナホ①
イカニ②
始終①
丁度③
一番①
なほ(も)②
いよいよ①
①
一入
どんなに①
イカニ(モ)
④
眞ニ①
イカニ①
實に①
どんな①
イカニ③
イカニ①
どれほど①
自然
シゼント⑩
自然ト③
自然に②
自然と②
トク③
早
トク④
カツテ①
もう③
くに①
タダ④
チット①
チットヅツ
②
ヒツジャウ
⑥
キワメテ④
①
③
チットヅツ
④
トク⑭
ク②
ハヤク①
タダ⑫
ソ ノ マ マ
(ニ)②
スクナウ③
チトヅツ③
シゼント①
タダ②
ソノママ①
ヒトヘニ①
スクナウ①
チットヅツ
①
疾
ただ②
少く①
少しづつ①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의 통시적 연구(1) -副詞語를 중심으로- ··············· 片 茂 鎭…79
チト①
13
혹
モシ(ハ)④
チト①
モシ①
ケック①
14
도로혀
カエッテ②
15
쳔쳔히(이)
챤챤히
ジワジワ①
ソロソロ②
16
하로,
하리
イッソ②
17
미리
カネテ②
18
오
19
굿여,굿
나
カヘッテ①
ジワジワ①
ソロソロ①
ソロソロ③
却テ②
カネテ②
サノミ②
却
カヘッテ②
反って②
ソロソロ②
ソロソロ①
そろそろ①
ソロソロ③
ソロソロ②
イッソ①
そろそろ②
いっそのこと①
たとへ①
カネテ⑤
サゾカシ①
ムシロ①
カネテ①
兼テ①
サゾ②
サノミ⑥
サノミ②
20
잠간
ザンジ②
チョット②
チョト④
ザンジ②
チョト②
21
못,죡히
スコブル②
スコブル①
スコブル⑤
スコブル②
22
만히(이)
ソロリト②
ソロリト②
シヅカニ⑤
ジット①
シズカニ①
トクト②
トクト①
시,셔
23
히,히,낫
낫치
24
로,별로
25
아직
26
27
28
부로,
부러
계요,계오,
겨오
쇽졀업시
ベツニ①
カエッテ①
マアダ①
マダ①
ベッシテ①
ミダリニ①
メッタニ①
ヨウヤク②
イタヅラニ
①
ヤウヤウニ
①
どうかすると②
もしや①
反って①
サゾ④
サゾカシ①
モシハ
カヘッテ①
ケック①
カヱッテ②
テ②
ケック①
イッソ⑥
サゾ①
サゾカシ①
モシ(ハ)⑮
少シヅツ①
チト①
或シ(ハ)③
委(ウ)②
トクト②
一々②
兼て②
嘸草①
まことに①
何にも①
立ち入って①
鳥ッ渡②
少し①
樂に①
そっと①
靜に①
トクト①
クワシク①
はっきり①
よく①
イチイチ①
ベツニ①
ベッシテ①
ベツニ①
シテ①
別
別に①
格別に①
マダ④
マダ②
まだ②
ミダリニ②
メッタニ①
メッタニ③
ヤウヤク⑤
ヤウヤウニ
①
イタヅラニ
③
センカタナ
サニ①
ミダリニ①
メッタニ①
やたらに①
ヤウヤウ①
ワヅカニ①
もう①
ムダニ①
つまらぬことに
①
8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29
30
믈며
각각
イワンヤ①
オノオノ①
31
거의
ヲヲカタ①
32
마내
ヲリフシ① 33
둘러
クルリト①
34
감히
ケッシテ①
35
몰슉
36
쾌히
37
그대지
①
サホドニ①
38
이믜
スデニ①
39
40
41
42
실로
극열
약간
믄득
ジツニ①
シゴク①
スコシ①
タチマチ①
チョイチョ
43
뎜뎜히(이)
クルリト①
テ①
アヱテ①
敢
①
サッパリト
(이)
45
가지로
トモニ①
46
47
48
49
어이
되도록
비로소
오히려
ナント①
ナルダケ①
ハジメテ①
マダモ①
50
만일
マンイチ①
51
그저
ヤハリ①
52
블과
ワヅカ①
53
부러
ワザト①
54
야흐로
モッバラ①
오라히
イワンヤ④
ヲノヲノ①
スデニ②
ニ①
ヲヲカタ①
ツイニ③
旣
コトゴトク
イ①
チラチラト
①
44
各々①
ヲリフシ①
クルリト④
テ②
アヱテ①
ナニト①
ナルダケ①
ハジメテ①
まして①
ホトンド①
もちよっとで①
それぞれ①
ツイニ①
ぐるっと①
ノコラズ③
ノコラズ①
のこらず①
サッパリト
④
サホドニ④
スデニ③
ニ①
ジツニ①
シゴク②
シ①
タチマチ①
チョイチョ
イ④
チラチラト
④
トモトモニ
②
トモニ①
ドウゼンニ
①
ナニト①
ナルダケ④
ハジメテ④
マダモ④
マンイチ③
①
ヤハリ①
ワヅカ②
ワズカ①
ワザワザ②
モッバラ②
モッパラ②
サッパリト
①
サホドニ①
心よく①
少
イ①
各
クルリト①
敢
旣
チョイチョ
況ヤ①
々
萬一
敢テ①
己ニ①
實ニ①
極ク①
少シ②
タチマチ①
チョイチョ
イ①
遠ク①
そんなに①
もう①
ほんとの①
①*
いくらか①
いつのまにか①
極暑
ずたずたに①
かすかに①
共ニ①
一緖に①
ドーシテ①
ナルダケ①
ハジメテ①
ナホモ①
出來る樣に①
始めて①
萬一①
ソノママ①
まだ①
萬一①
其儘にして①
ワヅカ①
ワザワザ①
モッパラ①
わざわざ①
今丁度①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의 통시적 연구(1) -副詞語를 중심으로- ··············· 片 茂 鎭…81
要 旨
の は
に て
を に の
を て
にい
たるものと思われるが、『交隣須知』を通して、そのような副詞の意味分化が明治時期におい
て漢字語の活性化に伴い、とくに副詞化による用言からの転成副詞、もしくはその過程にあると
も言える副詞語がその役割を担ってきた過程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なお校訂本では、それま
での形容詞の連用法を当時の一般的な副詞語、または副詞的な表現などに積極交代して当
時の言語現実を反映しようとする編集意図をもうかがい知ることができた。同時に<資料>として
提示した、『交隣須知』における日本語副詞の表出状況はそれの通時的研究のためにも、ま
た個別語の語史を研究する上でも有効な情報を提供するものと思われる。
日本語 副詞 、通時的 見 、程度副詞 中心 意味 分化過程 経 現代語
,
,
,
,
,
キーワード: 交隣須知 日本語副詞 転成副詞 校訂本 副詞化 通時的研究
투
고 : 2014. 2. 28
1차 심사 : 2014. 3. 15
2차 심사 : 2014. 4. 5
이광수「명치천황어제근역」의
번역대본 연구*
박 상 현**
(e-mail: [email protected])
目 次
1. 머리말
2.「명치천황어제근역」의 전(全) 작품
3.「명치천황어제근역」의 번역대본
4. 맺음말
1. 머리말
いくさ船」1)라는
춘원(春園) 이광수는 1941년 5월에「
天皇)의
와카(和歌)2)
제목 하에 명치천황(明治
6수(首)를 조선어로 옮겼고, 같은 해 7월에는「明治天皇
御製謹譯」(이하,「명치천황어제근역」)이라는 타이틀 하에 명치천황의 와카
17수, 그해 9월에는 18수를 각각 조선어로 번역했다. 그리고 그는 이들 와카를
모두『신시대(新時代)』3)에 발표했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인으로서는 최초로 근대장편소설인『무정(無情)』을 쓴 이
광수가 제국일본의 와카를 조선어로 옮겼다는 것도 무척 흥미로운 사실이지만,
*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한림
대학교 일본학연구소가 수행하는 중점연구소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연구임
(NRF-413-2011-2-A00001)
** 경희사이버대학교 부교수 일본문화학
1) ‘병선’ 혹은 ‘군함’을 말한다.
2) 천황이 손수 지은 와카를 보통 ‘御製’라고 부른다.
3) 신시대사가 1941년 1월에 태평양전쟁이라는 시국적 배경에서 창간한 대중잡지. 여기에는
전쟁 및 전쟁에 협력하는 글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8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우리를 더욱 놀라게 하는 것은 그가 번역한 작품이 다름 아닌 명치천황이 직
접 지은 와카(御製)였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사실은 국어국문학계와 일어일문
학계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선행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4) 비교적 이른 시기에 이루어진 연구로는 임종국(1966)의『친
일문학론』5), 이경훈(1988)의『이광수의 친일문학연구』6), 최현식(2008)의「이
광수와 ‘국민시’」7)가 있는 정도다. 그리고 이들 연구는 주로 이광수가 왜 명
치천황의 와카를 조선어로 옮겼는가 곧 번역의도를 분석한 것이거나, 명치천황
의 와카를 번역한 텍스트인「명치천황어제근역」에는 어떤 와카가 실려 있는
가 곧 번역작품을 분석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최근에「명치천황어제근역」8)에 관한 적지 않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연구자
는 박상현이다. 우선 그(2014a)는
춘원 이광수의 명치천황어제근역연구 에
서 이광수가 명치천황의 와카를 조선어로 옮길 때, 그가 번역문에 조선어역과
함께 일본어원문도 동시에 제시하는 번역 방식 곧 대역(對譯)을 선택한 필연
성과 함께, 와카의 리듬인 5음(音) 7음 5음 7음 7음을 준수하면서 명치천황의
와카를 조선어로 옮긴 필연성에 대해서도 논증했다. 즉 이광수가 명치천황의
할 때 대역 방식을 선택한 것은, 그가 이 방식이 당시 식
민지 조선에 요구되었던 조선인의 황국신민화(번역문에서 조선어역이 담당)와
일본어 보급(번역문에서 일본어원문이 담당)에 적합한 번역 방식이라고 생각
와카를 조선어로 번역
했기 때문이었다. 한편 이광수가 명치천황의 와카를 조선어로 옮길 때 조선인
익숙하지 않은 와카의 리듬인 5 7 5 7 7을 준수하면서 조선어역을 한 것
에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즉 거기에는 와카 창작 등을
에게
9)
4)
참고로 일본에서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단행본은 다수 있지만 논문은 다음과 같이 몇
편에 지나지 않는다.
広瀬誠(1992)「昭和天皇御製の語彙と御詠風―明治天皇御製と対比して」『富山女子短期大学
紀要』、富山女子短期大学.
田中綾(2007)「明治天皇御製をめぐる昭和十年代―文部省『国体の本義』等と御歌所所員『明
との
5)
6)
7)
8)
9)
治天皇御製謹話』 対比」『日本近代文学会北海道支部会報』、日本近代文学会北海道支
部.
임종국(1983) 친일문학론민 문제연구소(초
1966). 445-446 .
이경훈(1998)『이광수의 친일문학연구』태학사. 194 .
최현식(2008) 이광수와 ‘국민시’ 상 학보, 상 학 . 324 .
명치천황의 와카를 조선어로 번역한 텍스트인「
船」(1941년 5월)와「명치천황어제근
역」(동년 7월) 및「명치천황어제근역」(동년 9월)을 모두 아우 는 명 으로
으로
「명치천황어제근역」을 사 한다.
이광수는 1939년 2월에 折
歌
(동양지광(
) 수록)라는 타이틀로
창작 와카 9수를, 1942년 1월에는
( 신시대 수록)라는 제목으로 창작 와카 7수
를 각각 발표했다.
한 1941년 1월에는 同胞 寄 (박문서관)을
간했는 , 이 단행
본에도 8수의 창작 와카를 실었다. 본고에서는 지면 관계상 折
歌
에 실
창작 와카만
고로 인 한다.
족
판
허
쪽
허 회
いくさ
용
참
또
용
쪽
르
칭
앞
東洋之光
りにふれて へる
元日
쪽
に す
출
데
りにふれて へる
린
이광수「명치천황어제근역」의 번역대본 연구 ························································ 박 상 현…85
내면화되어 있었던 점, 명치천황이 손수 읊은
‘신성한 텍스트’에 대한 이광수의 존경과 경외가
통해 와카의 리듬이 이광수에게
와카인
明治天皇御製 라는
던 점이 들어간다.
다음으로 그(2014b)는「『명치천황어제근역』의
있었
10)
번역사적
園) 이광수의 번역 방식을 중심으로」에서 이광수의
위치
연구-춘원(春
명치천황어제근역 이
갖
위치를 고찰했다. 즉 제국일본은 일제 말기인 1940년대에 들
어 식민지 조선에 일본어를 보다 널리 보급함과 동시에 조선인의 황국신민화
에 열을 올리고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국일본의 요청에 서두수와 김억
등은 와카나 일본의 근대시를 조선어로 번역할 때, 번역문에 일본어원문과 함
께 조선어역을 제공하는 대역 방식으로 응답했다. 물론 이때 일본어원문은 일
본어 보급의 역할을, 조선어역은 황국신민화의 역할을 각각 수행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중층적인 역할을 하는 번역 방식을 구체적으로 처음 시도한 것, 곧
그 전범을 보여준 것이 다름 아닌 이광수의 명치천황어제근역 이었다. 이것이
바로 일본운문작품의 조선어역에서 이광수의 명치천황어제근역 이 갖고 있는
번역사적 위치라고 지적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선행연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광수가 번역 텍스트인
명치천황어제근역 을 발표했을 때, 그가 무엇을 번역대본으로 했는지가 아직
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다. 과연 그는 명치천황이 손수 읊었다는 10만수의 방대
한 와카 를 전부 감상한 후, 그 가운데서 총 41수의 와카를 엄선하여 조선어
로 발췌 번역했던 것일까? 그렇지 않으면 일단 누군가에 의한 발췌된 명치천
황의 와카 중에서 다시 취사선택하여 그것을 조선어로 옮겼던 것일까?
고 있는 번역사적
11)
12)
のいづくはわが家ならざらむ仰ぐ御光果てしあらねば
(2)好き人の文読む程に何時となく念仏申す身となりにけり
(3)韓土の二千萬の民草と君わが君と仰ぎまつらむ
(4)とこしへの濁りに喘ぐ黃河の流も澄みて君が代となる
(5)常闇の我が魂の夜も明けぬらむかの雲の端に映ゆる曙
(6)恩愛の覇絶ちてぞ恩愛のえにしのものを救ひこそせめ
(7)われと云ふかたきを討ちて四十八年そのたゝかひは去年も今年も
(8)まごゝろのしめす真にひたすらにわれは生きなむその日その日を
(9)ひととせを又なすなくて過ごしけりあくる年はと又誓ひつゝ
(1)天地
ねむぶち
からづち
ふたちよろづ
とこやみ
たま
あけぼの
よそや
とせ
こぞ
ことし
まこと
집
10) 박상현(2014a) 춘원 이광수의 명치천황어제근역연구 일본학연구제41 , 단국대학
교일본연구소. 191-211 .
11) 박상현(2014 )「『명치천황어제근역』의 번역사적
치 연구-춘원(春園) 이광수의 번역
방식을 중심으로」『일본연구』제21 , 고려대학교 일본연구
. 171-172 .
12) 明治会(1941)『明治天皇御集』新潮社. 1-258頁.
여기에는 명치천황의 와카 10만수 가운
1687수가
선되어 있다.
b
쪽
위
집
데
엄
센터
쪽
8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2.「명치천황어제근역」의 전(全) 작품
터 1912년까지 천황의 자리에 있었는데, 그는 재위(在位)
명치천황은 1867년부
약 10만수에 달하는 와카를 창작했다고 전해진다. 이광수는 우선 1941년
5월에 명치천황의 와카 6수를 조선어로 옮겨「いくさ船」(Ⅰ)라는 제목 하에 발
중에
표했다.13) 다음으로 그는 같은 잡지에「명치천황어제근역」이라는 타이틀 하
Ⅱ
Ⅲ
에 1941년 7월( )에는 17수, 9월( )에 18수의 명치천황의 와카를 각각 조선
어로 번역했다.14) 이광수가 조선어로 옮긴 명치천황의 와카
면 다음과 같다.
총 41수를 인용하
Ⅰ :「いくさ船」(1941년 5월)
明治天皇御製
(
海軍에 關하여 지으신것 몇首)
15)
にかちてかへりしいくさ船けふもかゝれりしながはの沖
(1)16)戦
謹譯.
싸홈싸호아 이기고 돌아오는 싸호는배들 오늘도 들어오네 시나가와 앞바다
すゝめてふ旗につれつゝいくさ船かろくも動く浪の上かな
(2)
旗발의 군호 따라 싸호는배들 가벼이도 달리는 바다의 물결이어
(3)あたの船うちしりぞけていくさびと大海原の月や見るらむ 謹譯. 원수의 배를 쳐물려치고 나서 사흘아비들 가없는 난바다의 달바라고 있으리
謹譯. 나아가라는
なみ遠くてらすともしびかゝげつゝ仇まもるらむわがいくさぶね
(4)
謹譯.
멀리 물결을 불들어 비최면서 (기나긴밤에) 敵兵을 지키리라 우리 싸홈하는배
に
よばふ声すなりいさををつみし船やいりくる
(5)港江 万代
르
네 勝戰하야 功세운 배들어오나브다
謹譯. 浦口 머리에 萬歲萬歲 부 는 소리 들리
いさましくかちどきあげて沖つ浪かへりし船を見るぞうれしき
(6)
謹譯.
긔운차게도 승전鼓喊 지르며 물결 혀치고 돌아오는 배 보니 깃븜도 깃블시고
謹譯 香山光郞
17)
Ⅱ :「명치천황어제근역」(1941년 7월)
義18)
いくさ
래
몇
마 후
Ⅲ
등
밑 海軍 關하
쓰
Ⅱ
香山光郞 謹
씨개
13) 그는「
船」아 에 소제목으로 ‘明治天皇御製’를, 그리고 다시 그
에 ‘
에
여 지으신 것
首’를 두었고, 번역을
에는 ‘謹譯 香山光郞’라고
고 있다.
14) 이광수는 번역을
친
에 각각 ‘謹譯
(1941년 7월,
)’ 그리고 ‘
譯(1941년 9월, )’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
’는 이광수의 창
명이다.
15) 어 기와 표기
은 원문 그대로. 이 소제목은 이광수가 인 것임.
16)
번 는 편의적으로 인 자가
인 것임. 이하 동일.
17) 이광수(1941a)「
船」『신시대』신시대사. 20-21 .
띄 쓰
괄호 호
いくさ
끝낸 후
香山光郞
香山光郞
용
붙
붙
쪽
이광수「명치천황어제근역」의 번역대본 연구 ························································ 박 상 현…87
にあまるおも荷なりとも国の為人のためにはいとはざらなむ
(1)身
내힘에 겨운 무거운 짐이라도 나라 위하야 남을 위하야서는 싫여하지아니하리라
おのが身はかへりみずして人のため尽すぞひとの務なりける
(2)
몸을랑은 돌아보지않고서 남을 위하야 힘다함이 사람의 구실인줄 알아라
제
をりにふれて
(3)天をうらみ人をとがむることもあらじわがあやまちを思ひかへさば
あめ
늘 원망코 남의 탓을 하올줄 바이없으니 이내 몸의 허물을 돌려생각하오면
하
述懐
ひろき世にたつべき人は数ならぬことに心をくだかざらなむ
(4)
널은세상에 나설만한 사람은 하잘것없는 일일래어 마음을 괴롭히지않으리
をりにふれて
(5)早苗とるしづが菅笠いにしへの手ぶりおぼえてなつかしきかな
내
롱삿갓 옛날모양을 보는듯한저이고, 그리도 情다워라
논에 모 는 農夫의 도
鏡
といふくにのかゞみとなるばかりみがけますらを大和だましひ
(6)国
울
나라라하는 나라들의 거 이 도일 만하게
人
닦아라 사내들아 야마도의 마음을
かくばかりことしげき世にたへぬべき人をえたるがうれしかりけり
(7)
오늘날 같이 일많은 세상에 견디어나갈 사람을 얻사옴이 깃사온 일이러라
農夫
もるしづが心はやすからじ種おろすより刈りあぐるまで
(8)山田
밭지키는 農夫의 마음 편할날이 없으리 씨를 뿌릴때부터 거둬들이기까지
논
運動
ことしあらば軍のみちにたゝむ身は野をも山をもふみならさなむ
(9)
일있을때면
心
(10)
싸홈하는 일 맡을 이몸이어든 들에서나 山에서나 달리기 이키리라
かざらむと思はざりせばなかなかにうるはしからむ人のこゝろは
꾸미리라는 생각곧 아니하면 어지간히들 아름다왔을 것을 사람의 마음이여
光陰如矢
ふことつらぬかむ世はいつならむ射る矢のごとくすぐる月日に
(11)思
생각한 일을 일우어지을날이 그 언젤든가 쏜살같이 光陰은 흘러가는데
神祇
(12)
いつはらぬ神のこゝろをうつせみの世の人みなにうつしてしがな
짓이없는 하나님의 마음을 믿을수없는 온 세상사람의게 다 옴겨나주었으면
거
18) 이 소제목은 명치천황이
붙인 것임. 이하 같음.
8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蟲声非一
(13)
さまざまの蟲のこゑにもしられけりいきとしいける物のおもひは
러
가지가지의 버 지소리로도
神祇
(14)
알아볼것이, 목숨있는 萬物의 생각하는 생각을
わがくには神のすゑなり神祭る昔の手ぶり忘るなよゆめ
우리나라는
검님의 자손이니 검님위하는 예부터 전하는법 잊을시라 꿈에나
따
맡은일 힘써하는 나랏백성의 몸성하게 튼튼케 하여주고 싶어라
をりにふれて
(15)みちみちにつとめいそしむ国民の身をすくよかにあらせてしがな
제길 라서
寄国祝
(16)萬民
こゝろあはせて守るなる国にたつ身ぞ嬉しかりける
든백성이 마음을 모호아서 지키는나라 이나라에선 이몸이 기쁨고 기쁠시고
모
夢
(17)
たらちねの親のみまへにありとみし夢のをしくも覚めにけるかな
옵
님 뫼옵고 있다고 보던 그꿈이 아깝게도 깨어져 버렸세라
謹譯 香山光郞
사모하 는 어머 을
19)
Ⅲ :「명치천황어제근역」(1941년 9월)
正述心緒 よもの海みなはらからと思ふ世になど波風のたちさわぐらむ
(1)
핫백성이 모다 동포형제로 살세상이 어찧다 바람물결 이리로 설레는고
をりにふれて 천
のあめにのぼれるこゝちしていすゞの宮にまゐるけふかな
(2)久方
높고 거륵한 하늘에 오르옵는 마음을 가지고 이스즈의 神宮에 뵈옵는 오늘이어
神祇
に まゐりしていのるかな国と民とのやすからむ世を
(3)神垣 朝
검님뫼신데, 아침에 절하삷고, 비옵는 말슴, 나라와 백성들이, 태평하올 세상을
思
のうへやすかれとおもふのみわが世にたえぬ思なりけり
(4)国民
백성이, 평안하여지라는 오직 한 생각, 평생에 끄님없는 나의 생각이랏다
우리
にふれて(明治三十七年日露戦争中)
(5)夢さめてまづこそ思へ軍人むかひしかたのたよりいかにと
折
꿈이깨어서, 맨처음 생각기는, 우리군사들, 나아가는 곳에서, 오는기별 어떤가
(6)おのが身にいたでおへるもしらずしてすゝみも行くかわが軍びと
제 몸이 맞아 중한 상처 생김도 모르고서리, 앞으로앞으로만 나아가는 내군사
b
쪽.
19) 이광수(1941 )「明治天皇御製」『신시대』신시대사. 32-35
이광수「명치천황어제근역」의 번역대본 연구 ························································ 박 상 현…89
(7)戦のにはのおとづれいかにぞとねやにも入らずまちにこそまて
전장으로서, 무슨 기별 오나고, 밤이 깊도록, 자리에 들지않고 고대고대하여라
(8)石だゝみかたきとりでも軍人みをすてゝこそうち砕きけれ
돌로 쌓은, 굳고굳은 城壘도, 우리군사의, 몸버려 부듸쳐서, 깨트려내었어라
(9)久しくもいくさのにはにたつひとは家なる親をさぞ思ふらむ
오랜세월을, 전장에서 싸호는 우리 군사들, 고향에둔 어버이, 생각간절할것을
(10)はからずも夜をふかしけりくにのため命をすてし人をかぞへて
어느사이에, 한밤을 새었어라, 나라위하야, 목슴바친 사람의, 수를 세이노라고
述懐
つひにならざらめやは国のため民のためにとわがおもふこと
(11)末
마츰내에야 아니될줄 있으리, 나라위하야 백성을 위하야서 하는 나의생각이
民
の いよいよはげめちよろづの民もこゝろをひとつにはして
(12)国 為
위하야, 힘쓸 때는 왔어라, 오늘야말로 만백성이 마음을 하나로 도모아서
나라
誠
(13)
とき遲きたがひはあれどつらぬかぬことなきものは誠なりける
듼 수는 있어도, 반듯이 한번, 일우고야 말기는 참된 마음이러라
비록 이른수 더
をりにふれて
(14)思ふことつらぬかずしてやまぬこそ大和をのこのこゝろなりけれ
마음먹은일, 일우지아니하고는, 말지않는 이, 야마도 사나히의, 마음이라 하더라
蝸牛
のさまはいかゞあらむとかたつぶりをりをり家を出でて見るらむ
(15)世
세상형편이, 어떻게 되는가고 저달팽이는, 때때로 집을 나와 돌라보나 보도다
山家鄰
(16)谷川
のおなじ流の水汲みて鄰へだてぬみやまべのさと
골짜구니에, 흐르는 한 시내의, 물길어먹고, 너나 없이 사노라, 산골의 마슬사람
鶴思子
(17)
まへになりうしろになりし雛まもるたづの心のあはれなるかな
(18)
まごゝろをうたひあげたる言の葉はひとたびきけば忘れざりけり
앞을 섰다가, 뒤로도 따르면서, 새끼 지키는, 두루미의 마음여, 가엽기도 한지고
歌 속 마음을, 그대로 읊어내인 참된 노래는, 한번 들어 다시는, 잊혀지지않더라
香山光郞 謹譯
20)
c
쪽.
20) 이광수(1941 )「明治天皇御製」『신시대』신시대사. 42-45
9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렇다면 이광수는 방금 인용한「명치천황어제근역」, 곧 Ⅰ Ⅱ Ⅲ에 실려 있
는 총 41수의 명치천황의 와카를 조선어로 번역할 때 무엇을 번역대본으로 삼
았을까? 아쉽게도 그는「명치천황어제근역」의 번역대본에 관한 정보를 전혀
남겨두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들은 일단 가설을 세워 이 문제를 해결할 수밖에
없는데, 서론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그 가능성은 크게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하나는 그가 명치천황이 남긴 10만수에 달하는 방대한 와카를 하나도 빠짐없
이 전부 감상한 후, 거기서 총 41수의 와카를 엄선하여 조선어로 발췌 번역했
을 가능성이다. 다른 하나는 이미 발췌되어 있는 명치천황의 와카 중에서 자신
이 다시 취사선택하여 조선어로 옮겼을 가능성이다. 이런 두 가지 가능성 가운
데 현실적으로는 전자의 가능성보다 후자의 가능성이 더 타당해 보인다.
그럼 지금부터 후자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면서「명치천황어제근역」의 번역
대본에 대해 좀 더 고찰해보자.
그
3.「명치천황어제근역」의 번역대본
췌되어 있던
필자는 이광수가 이미 발
집(和歌集)
명치천황의 와카
같은 것을
참조하여 번역 텍스트인「명치천황어제근역」을 발표했다고 가정하고 있다. 하
지만 그렇다고 해서「명치천황어제근역」의 번역대본을 추정하는 것은 결코
용이하지 않다. 이광수가 참조했을 것으로 보이는 명치천황의 와카를 발췌한
번역대본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명치천황의 와카를 발췌하여 편집한 것을 보
통 ‘明治天皇御集’라고 명명하는데, 우선 일제강점기에 내지(內地)에서 출간된
것으로는 다음 <표1>과 같은 것이 있다.
<표1>
기호
편집(저)자
도서명
출판사
출판연도
A
臨時編纂部
明治天皇御集
出版者不明
1919
B
文部省
明治天皇御集
文部省
1922
C
高久貞義
明治天皇御集暗誦百首
國民新聞社
1923
D
佐佐木信綱
明治天皇御集謹觧
朝日新聞社
1923
明治天皇御集 :
E
三室戸敬光
中央歌道会
1925
類題謹解
F
G
H
舟越石治
御集奉誦普及會
三室戸敬光
明治天皇御集
昭憲皇太后御集
明治天皇御集 :
昭憲皇太后御集
謹解類題明治天皇御集
内外書房
1929
御集奉誦普及會
1929
忠君愛國山水會
1932
이광수「명치천황어제근역」의 번역대본 연구 ························································ 박 상 현…91
I
J
K
L
M
国民精神振興会
出版部
國民精神振興會
祭祀學會
富士言靈會
N
明治會
O
P
Q
岩波書店
明治神宮社務所
佐佐木信綱
武田祐吉
明治天皇
昭憲皇太后御集
明治天皇御集
明治天皇御集
明治天皇御集 : 類題
明治天皇御集(岩波文庫)
: 宮内省藏版
明治天皇御集(新潮文庫)
: 宮内省藏版
明治天皇御集
昭憲皇太后御集
明治天皇御集謹解
明治天皇御集 :
類纂謹註
出版部
国民精神振興会
出版部
國民精神振興會
祭祀學會
大和屋書店
1933
1934
1935
1935
岩波書店
1938
新潮社
1939
明治神宮社務所
1940
第一書房
1941
明治書院
1943
내지에서 출간된 것 가운데 식민지 조선에서 주로 유
통됐다고 추정되는
아래 <표2>와 같은 것이 있다.
<표2>
기호
편집(저)자
도서명
출판사 출판
소장처
연도
B
文部省
明治天皇御集
文部省
1922
중앙도서관
중앙도서관
D 佐佐木信綱 明治天皇御集謹觧 朝日新聞社 1923 서울대
明治天皇御集
중앙도서관
F
舟越石治
内外書房
1929
昭憲皇太后御集
서울대
明治天皇御集
중앙도서관
M
岩波書店
(岩波文庫)
岩波書店
1938
서울대
: 宮内省藏版
明治天皇御集
明治神宮社
O 明治神宮社務所 昭憲皇太后御集
1940
중앙도서관
務所
P 佐佐木信綱 明治天皇御集謹解 第一書房 1941 중앙서도서관
울대
방금 검토해본 것과 같이 일제강점기에 내지에서 간행된 것(<표1> 참조)과
당시 식민지 조선에서 널리 유통되었을 것(<표2> 참조)을 같이 살펴보면, 결
국 <표1>과 <표2>에서 겹치는 것은 B의『明治天皇御集』, D의『明治天皇御
다음으로 일제강점기에
것21)으로는
립 앙
요
앙
삼았 참
았
울
울
21) 여기서는 국 중 도서관(이하, 중 도서관)과 서 대도서관(이하, 서 대)에 소장되어
있는 도서를 그 주
근거로
다.
고로 국 도서관도
해보 으나, ‘明治天皇御
集’에 관
도서는 보이지 않 다.
련된
회
검색
았
9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M의『明治天皇御集(岩波文
庫): 宮内省藏版』, O의『明治天皇御集 昭憲皇太后御集』, P의『明治天皇御集
謹解』이다. 따라서 이광수는 이들 도서 가운데서「명치천황어제근역」의 번역
대본을 선택했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 특히 필자는 이 중에서도 M의 궁내성장
판(宮内省藏版)『明治天皇御集』가 가장 유력하다고 추정하고 있다. 이것이 이
와나미문고(岩波文庫)로 식민지 조선에 널리 유통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가설을 세우고 필자는 이광수의「명치천황어제근역」과 궁내성장
판『明治天皇御集』 를 면밀히 비교 분석해보았다. 그렇다면 그 결과는 어떤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을까? 그것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너무나도 놀랍게도「명치천황어제근역」에 번역 소개되어 있는 명치천
황의 와카 총 41수가 하나도 빠짐없이 궁내성장판『明治天皇御集』에 모두 수
록되어 있었다. 다만「いくさ船」(Ⅰ)에는 ‘明治天皇御製-海軍에 關하여 지으신
것 몇 首’라는 통일된 제목(類題) 하에 명치천황의 와카 6수가 번역 소개되어
있었는데, 궁내성장판『明治天皇御集』에는 다음과 같이 6수의 와카에 각각 독
립된 제목이 달려 있었다.
集謹觧』, F의『明治天皇御集 昭憲皇太后御集』,
22)
海上船
にかちてかへりしいくさ船けふもかゝれりしながはの沖
(1)戦
軍艦 すゝめてふ旗につれつゝいくさ船かろくも動く浪の上かな
(2)
海上月
あたの船うちしりぞけていくさびと大海原の月や見るらむ (3)
軍艦 なみ遠くてらすともしびかゝげつゝ仇まもるらむわがいくさぶね
折りにふれて
(5)港江に万代よばふ声すなりいさををつみし船やいりくる
凱旋観艦式に臨みて
(6)いさましくかちどきあげて沖つ浪かへりし船を見るぞうれしき23)
(4)
に みて’까지의
르는
명칭으로 ‘明治天皇御製-海軍에 關하여 지으신 것 몇 首’와 같은 타이틀을 붙
였다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그가 원문(原文)에 이런 식으로 ‘개입’한 것은「명
치천황어제근역」을 읽을 조선인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조치였을 것이다.
이런 추정은 아래와 같은 이광수의 ‘개입’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이것은 이광수가 ‘海上船’ 이하 ‘凱旋観艦式 臨
精選
22) 여기에는 명치천황의 와카 1687수가 정선(
)되어 있다.
23)
(1938)『明治天皇御集(岩波文庫): 宮内省藏版』. 37-126頁.
岩波書店
제목을 아우
이광수「명치천황어제근역」의 번역대본 연구 ························································ 박 상 현…93
세하게 인용한「명치천황어제근역」(Ⅲ)에는 ‘折にふれて
제2장에서 이미 자
24)
さめてまづこそ思へ軍人むかひしか
(明治三十七年日露戦争中)’라는 타이틀 하에「夢
たのたよりいかにと」(꿈이깨어서, 맨처음 생각기는, 우리군사들, 나아가는 곳에서,
오는기별 어떤가),「おのが身にいたでおへるもしらずしてすゝみも行くかわが軍びと」(제
몸이 맞아 중한 상처 생김도 모르고서리, 앞으로앞으로만 나아가는 내군사) 등
과 같은 와카가 총 5수 실려 있는데, 궁내성장판『明治天皇御集』에는 그 제목
にふれて’로만
이 ‘折
나와 있다. 곧 ‘明治三十七年日露戦争中’이 부연 설명되어
런 부연 설명도 결국에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折にふれ
て)’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창작 배경 등을 식민지 조선의 독자에게 알기 쉽게
전달하기 위한 장치였음에 틀림없다.
둘째,「명치천황어제근역」에 실려 있는 명치천황의 와카는 기본적으로 시대
순으로 나열되어 있다. 예를 들어「いくさ船」(Ⅰ)라는 타이틀 하에 게재되어 있
는 6수의 와카는 1896(명치29년)에서 1905(명치38년) 사이에 제작된 것인데, 그
것이 시대순으로 실려 있다.
이것을 <표>로 정리해보면 다음 <표3>과 같다.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25)
<표3> 「명치천황어제근역」과 궁내성장판『明治天皇御集』
「명치천황
궁내성장판
명치천황의 와카
にかちてかへりしいくさ船けふもかゝれりしながは
戦
沖
の
すゝめてふ旗につれつゝいくさ船かろくも動く浪の
上かな
あたの船うちしりぞけていくさびと大海原の月や見る
らむ なみ遠くてらすともしびかゝげつゝ仇まもるらむわが
いくさぶね
港江に万代よばふ声すなりいさををつみし船やいりく
る
いさましくかちどきあげて沖つ浪かへりし船を見るぞう
れしき
어제근역」
1896년
(명치29)
1903년
(명치36)
1904년
(명치37)
1904년
(명치37)
1904년
(명치37)
1905년
(명치38)
『明治天皇御集』
쪽
67쪽
80쪽
93쪽
101쪽
126쪽
37
런 경향은 기본적으로「명치천황어제근역」(Ⅱ)에 수록되어 있는 17
수에도,「명치천황어제근역」(Ⅲ)에 게재되어 있는 18수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물론 예외적으로 다음 <표4>와 같이 시대 순이 거꾸로 나오는 경우도 있
그리고 이
にふれて’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의 의미이다.
24) ‘折
25)
고로
있다.
참
궁내성장판『明治天皇御集』에서는 37쪽에서 126쪽까지 페이지순으로 배치되어
9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기는 하지만,
큰
틀에서 보면「명치천황어제근역」에 실려 있는 명치천황
의 와카는 기본적으로 시대
순으로 배열되어 있고, 그것은 그대로 궁내성장
판『明治天皇御集』에 연동되어 있다. 곧「명치천황어제근역」에 게재되어
있는 명치천황의 와카는 궁내성장판『明治天皇御集』에서는 페이지순으로
나와 있다. <표4>는「명치천황어제근역」(Ⅱ)을 재정리한 것이다.
<표4> 「명치천황어제근역」과 궁내성장판『明治天皇御集』
명치천황의 와카
にあまるおも荷なりとも国の為人のためにはいとはざ
らなむ
おのが身はかへりみずして人のため尽すぞひとの務な
りける
あめ
天をうらみ人をとがむることもあらじわがあやまちを思ひ
かへさば
ひろき世にたつべき人は数ならぬことに心をくだかざら
なむ
早苗とるしづが菅笠いにしへの手ぶりおぼえてなつか
しきかな
国といふくにのかゞみとなるばかりみがけますらを大和
だましひ
かくばかりことしげき世にたへぬべき人をえたるがうれし
かりけり
山田もるしづが心はやすからじ種おろすより刈りあぐる
まで
ことしあらば軍のみちにたゝむ身は野をも山をもふみな
らさなむ
かざらむと思はざりせばなかなかにうるはしからむ人の
こゝろは
思ふことつらぬかむ世はいつならむ射る矢のごとくすぐ
る月日に
いつはらぬ神のこゝろをうつせみの世の人みなにうつし
てしがな
さまざまの蟲のこゑにもしられけりいきとしいける物のおも
ひは
わがくには神のすゑなり神祭る昔の手ぶり忘るなよゆめ
身
「명치천황
어제근역」
1909년
(명치42)
1909년
(명치42)
1910년
(명치43)
1909년
(명치42)
1904년
(명치37)
1904년
(명치37)
1904년
(명치37)
1904년
(명치37)
1904년
(명치37)
1904년
(명치37)
1904년
(명치37)
1911년
(명치44)
1911년
(명치44)
1910년
(명치43)
궁내 판
성장
『明治天皇御集』
196쪽
196쪽
197쪽
쪽
77쪽
92쪽
95쪽
96쪽
97쪽
97쪽
98쪽
217쪽
213쪽
209쪽
193
이광수「명치천황어제근역」의 번역대본 연구 ························································ 박 상 현…95
みちみちにつとめいそしむ国民の身をすくよかにあらせ
てしがな
萬民こゝろあはせて守るなる国にたつ身ぞ嬉しかりけ
る
たらちねの親のみまへにありとみし夢のをしくも覚めにけ
るかな
1910년
(명치43)
1910년
(명치43)
1910년
(명치43)
쪽
209쪽
208쪽
210
결국 이와 같은 두 가지 점들은 우리들에게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려준다. 즉
이광수는 궁내성장판『明治天皇御集』를 참조해서 명치천황의 와카를 조선어
로 번역하여「명치천황어제근역」에 실었다. 또한 그는 궁내성장판『明治天皇
御集』에 실려 있는 와카를 페이지 순서대로 감상하면서 조선어로 번역 소개
할 명치천황의 와카를 선정했다. 그래서 선정된 명치천황의 와카가 기본적으로
는 궁내성장판『明治天皇御集』에서 페이지순으로 나와 있었던 것이다.
26)
4. 맺음말
춘원 이광수는 1941년 5월에서 9월에
하여『신시대』에
총
걸쳐 명치천황의 와카를 조선어로 번역
41수를 발표했다.「명치천황어제근역」이 그것이다.「명
치천황어제근역」이라는 번역 텍스트는 국어국문학계와 일어일문학계의 관심
족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논한 선행연구는 지금까지 그
다지 많지 않았다. 비교적 빠른 시기에 나오는 것으로는 임종국(1966)의『친일
을 끌기에 부 함이
문학론』, 이경훈(1988)의『이광수의 친일문학연구』, 최현식(2008)의「이광수
와 ‘국민시’」가 있는 정도다. 이들 선행연구는 주로 이광수가 왜 명치천황의
찰한 것이거나, 그의 번역 텍스트
와카를 조선어로 번역했나 곧 번역의도를 고
인「명치천황어제근역」에는 어떤 와카가 게재되어 있는가 곧 번역작품을 고
찰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최근 들어「명치천황어제근역」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연구자는 박상현
이다. 우선 그(2014a)는
춘원 이광수의 명치천황어제근역연구 에서이광수가
할 때, 번역문에 조선어역과 동시에 일본어원
명치천황의 와카를 조선어로 번역
공하는 번역 방식 곧 대역을 선택한 필연성과 함께, 와카의 리듬
인 5음 7음 5음 7음 7음을 지키면서 명치천황의 와카를 조선어로 옮긴 필연성
에 대해서도 논증했다. 다음으로 그(2014b)는「『명치천황어제근역』의 번역사
문도 함께 제
26)
참
< >
오 B D
크 겹
OP
集
살펴 았
고로 표2 에 나 는 , , F, , 의『明治天皇御 』도 모두
보 지만, 여기
에 수록되어 있는 명치천황의 와카와 번역 텍스트인「명치천황어제근역」에 실려 있는
명치천황의 와카는
게 치지 않는다는 점을
다.
밝혀둔
9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위치 연구-춘원(春園) 이광수의 번역 방식을 중심으로」에서는 이광수의
명치천황어제근역 이 갖고 있는 번역사적 위치를 고찰했다.
하지만 방금 인용한 이와 같은 몇몇 연구성과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광수
가 명치천황어제근역 을 발표했을 때, 그가 무엇을 번역대본으로 삼았는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광수의「명치천황어제
근역」과 궁내성장판『明治天皇御集』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이광수가 궁내성
장판『明治天皇御集』를 번역대본으로 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
적
27)
【참고문헌】
집
박상현(2014a) 춘원 이광수의 明治天皇御製謹譯연구 일본학연구제41 , 단국
대학교일본연구소. 191-211 .
(2014 )「『明治天皇御製謹譯』의 번역사적
치 연구-춘원(春園) 이광수의
번역 방식을 중심으로」『일본연구』제21 , 고려대학교 일본연구
. 171-172 .
이경훈(1998)『이광수의 친일문학연구』태학사. 194 .
이광수(1941a)「
船」『신시대』신시대사. 20-21 .
(1941 )「明治天皇御製」『신시대』신시대사. 32-35 .
(1941 )「明治天皇御製」『신시대』신시대사. 42-45 .
임종국(1983) 친일문학론민 문제연구소(초 1966). 445-446 .
최현식(2008) 이광수와 ‘국민시’ 상 학보, 상 학 . 324 .
(1938)『明治天皇御集(岩波文庫): 宮内省藏版』. 37-126頁.
明治会(1941)『明治天皇御集』新潮社. 1-258頁.
______
______
______
쪽
b
b
c
いくさ
족
궁내
센터
쪽
쪽
쪽
판
쪽
허 회 쪽
허
岩波書店
27)
위
쪽
쪽
집
판 저 底本
성장 을
본(
)으로 한『明治天皇御集』에는 1939년에 신조사(新潮社)가 신조
문고(新潮文庫)로 발간한『明治天皇御集』도 있다.
라서 이광수가 명치천황의 와카를
조선어로 옮길 때, 이와나미문고의『明治天皇御集』가 아 라 신조문고의『明治天皇御
集』를
조했을 가 성을
전
배제하기는 어 다. 다만 국 중 도서관과 서 대도
서관에 신조문고의『明治天皇御集』가 소장되어 있지 않다는 사실은 역시 이와나미문고
의『明治天皇御集』의 가 성을 더욱
여주고 있다. 하지만 설사 이광수가 신조문고의
『明治天皇御集』를 번역대본으로 했다고 하더라도, 신조문고와 이와나미문고는 모두
성장 을
본으로 한『明治天皇御集』이었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그
의미에서
국
이광수는 명치천황의 와카를 조선어로 번역
때
성장 을
본으로 한『明治天皇
御集』를
조했다고 말 수 있 다.
참
능
완 히
능
내
판 저
참
할
렵
따
니
립 앙
울
높
겠
할
궁내
판 저
런
궁
결
이광수「명치천황어제근역」의 번역대본 연구 ························································ 박 상 현…97
要 旨
は
から9月にかけて、明治天皇の御製計41首を朝鮮語で訳し、それ
を『新時代』に発表した。「明治天皇御製謹譯」がそれである。「明治天皇御製謹譯」と
いうものはとても興味深いテキストであるものの、それに関する先行硏究は未だに多いとは言えな
い。林鍾國(1966)『親日文學論』、李京塤(1988)『李光洙の親日文學硏究』、崔賢植
(2008)「李光洙と ‘國民詩’」があるほどだった(いずれも韓国語論著)。これらの先行硏究は
主に李光洙がなぜ「明治天皇御製」を朝鮮語で飜譯したか、すなわち飜譯意圖を論じたり、
「明治天皇御製謹譯」というテキストにはどんな御製が載せられているのか、すなわち飜譯作
品を考察したものがほとんどだったと言える。
最近 「明治天皇御製謹譯」 の 研究 に 力 を 入 れている 硏究者 は 朴相鉉 である 。 まず 、彼
(2014a)は 春園李光洙の明治天皇御製謹譯硏究 の中で、李光洙が明治天皇の御製を
朝鮮語で訳した際、飜譯文に朝鮮語譯と同時に日本語原文も提供する飜譯のやり方、すなわ
ち對譯を選んだ必然性や、5 7 5 7 7を尊重しつつ明治天皇の御製を朝鮮語で翻訳した必然
性について論じた。次に、朴(2014b)は「『明治天皇御製謹譯』の飜譯史的な位置硏究春園李光洙の飜譯のやり方を中心として」の中で、 明治天皇御製謹譯 の飜譯史的な位置
づけを試みた。ところが、今まで見てきたような先行研究があったにもかかわらず、李光洙が何
を翻訳台本として 明治天皇御製謹譯 を發表したかについては明らかにされていなかった。本
稿では李光洙の「明治天皇御製謹譯」と宮内省藏版『明治天皇御集』を比較した結果、
彼は宮内省藏版『明治天皇御集』を底本として明治天皇の御製を訳した可能性が相当高い
ことを明らかにした。
春園李光洙 1941年5月
キーワード: 李光洙、和歌、明治天皇御製謹譯、翻訳、翻訳台本、朝鮮語
투
고 : 2014. 2. 28
1차 심사 : 2014. 3. 15
2차 심사 : 2014. 4. 5
일본 근세문예에 나타난 금전관*1)
-『츠레즈레구사』『장자교』『일본영대장』을 중심으로 양 선 희**
(e-mail: [email protected])
2)
목 차
Ⅰ. 들어가며
Ⅱ.『츠레즈레구사』에 나타나는 금전
Ⅲ. 『장자교』의 교훈
Ⅳ. 『일본영대장』의 금전 양상
Ⅴ. 맺음말
Ⅰ. 들어가며
일본의 화폐경제는 근세 이전 중세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주지하는 바와
같이 중세 때는 국가에서 돈을 주조 발행한 적이 없이 외국화폐인 중국의 화
폐가 상품의 교환수단으로 사용되었다.1) 한편으로, 쌀과 베가 상품뿐만 아니라
통화의 기능도 담당하였다. 이와 같은 것이 15세기 이후 상품 유통의 발전에
따라 돈의 수요가 증대되고, 마침내 17세기 중반에는 일본 독자의 화폐를 주조
발행하기에 이른다. 2)
사이카쿠는 통화제도가 정착하게 된 17세기 말인 겐로쿠 시대에 활약하던 작
가로서 그의 작품에서는 금전을 소재로 하여, 금전에 의한 인간의 모습을 다양
*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NRF-2011-35C-A00683)
** 한남대학교 시간강사 일본근세문학
1) 本多博之(2010)「天下統一と貨幣」『西鶴と浮世草子研究』Vol.3 ,笠間書院, pp.115-116
2) 간에이(寛永) 연간(1630년대), 마침내 일본 독자의 「새돈」(寛永通宝)을 주조·발행하게 된다(앞의
注1의 책, p.120). 그리고 『일본영대장』권4의3에도 “새로 주조한 간에이통보를 이백관 준비해서
(新銭弐百貫調へ)”라는 말도 찾아볼 수 있다.
10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 가운데에서도 『일본영대장(日本永代蔵), 이하 ‘영대장’
이라고 함』(1688년 간행)은 경제소설이라 일컬어져 왔다.
그런데 이 작품의 부제를 보면 ‘대복신장자교(大福新長者教)’3)라고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서 앞서 간에이(寛永) 4년에는 근세의 가나조시인『장자교(長者
教)』(1627년 간행)가 간행되었다. 그리고 근세인의 사상에 영향을 끼쳤다고
말해지는 중세수필인『츠레즈레구사(徒然草)』가운데 제217단에는 ‘대복장자
(大福長者)가 말하길’ 이라는 문장으로 시작하여 부자(長者)의 금전에 대한 가
치와 이에 따른 교훈적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 작품은 ‘대복신장
자교’ ‘장자교’ ‘대복장자가 말하길’ 이라는 공통점으로 인해 지금까지 치부, 처
세훈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영향관계를 언급해 왔다. 한편, 『영대장』은 상인
들의 치부담을 그리고 있는 경제소설로서 인식되어져, 이와 같은 점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된 경향이 있다4). 하지만, 본고에서는 화폐제도가 수립된 근세 17
세기라는 점에 주목하여 중세와는 다른 근세인의 금전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츠레즈레구사』에서 보여지는 금전에 대한 생각과 가치관을 살펴보고,
『장자교』와『영대장』에서 그려진 금전 묘사를 검토함으로써 전자의 영향
및 상이점이 규명되리라 생각한다. 따라서 일본 근세인이 갖고 있는 금전에 대
한 사고와 가치관이 선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3)『日本永代蔵』의 해설에 의하면,“ ‘대복신장자교(大福新長者教)’ 라고 부제를 붙인 것은 간에이 4년
간행된 『장자교(長者教)』를 의식한 것으로 쵸닝의 살아가는 길을 보여주려고 하는 교훈적인 의
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라고 한다(麻生磯次·冨士昭雄訳注(1993),『日本永代蔵』(決定版対訳
西鶴全集十二),明治書院, p.209).
4) 浅野晃(1979)는 「経済小説の光と影·日本永代蔵」(「西鶴·創造の秘儀」『国文学』,6月,学灯社)에
변
성
회
서, 사이카쿠가 주 에 모아진 여러 가지 경제사 의 정보를 처리하고 작품화해 가는 중에 금은에
대한
과 인간 과의 모 상 의 모습, 는 금은의 마 대로 인간이 는
하는 운명의 양
상을 보게 된다고 하며,
한 경제사 가운데서 전고 하면서 때로는
하고 때로는
해져
하는 상인들의 과 그 자를 묘사해 내고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谷脇理史(1999)는
(「最初の経済小説『日本永代蔵』の処世訓」『季刊アーガマ』147巻,6月)에서, 부자가 되기 한 처
세훈에 대한 언급은『日本永代蔵』이전 문학작품에도 있었으나 단
교훈을 나 해 은 것에
가 다. 이에 비해 『日本永代蔵』는 독자가 알고 있는 처세훈을 간명하게 적
심을
고
있어 겐로쿠 상인들의 생각을 대 해 주고 있으며, 상인들이
하고 생각하고 있던 처세훈을 비
로소 문자화한 것이다 라고 한다. ヤン·シーコラ(2005)는 「西鶴と致富譚ー井原西鶴の作品にみる町人像
及びその変遷」(『国文学解釈と鑑賞』, 3月,至文堂)에서 치부의 공자의 이 기에서 다 는 목
들을 거하고,
상인의 목으로는 지 와 아이 어를
리로 들고 있다. 한편, 田中伸
(1973)는 「西鶴の描いた金銭 日本永代蔵 (「西鶴·近世小説の源流」『国文学解釈と鑑賞』3月号,
至文堂 )에서, 『日本永代蔵』는 설화적 단편에 의해 정리되어진 작품이기에 은 모 을 갖고 있
다고 한다. 그 모 의 근 에는 작품의 발상에 있어 『長者教』의 영향을 부정 수 없다고 하
며, 『長者教』의 교훈은 기본적으로 쌀에 기초를 는
경제의 리에 서 있는 전시대의 유
에 지나지 는 것을 「新長者教」의 교훈의 기초로 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 상 자본주
의 시대에 있어서 그 경제활 은 금은이 갖는 가치의 장기능과 유 적 기능이 서로
복
한 상 을 보이고 있어 거기에 이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집념
몰락
순 극
또
격렬
회
빛 림
깝
성
악 투
순히
변
열
특히
평
순
황
않
덕
〈
저
동
차
혜
〉
겪 변천
번성
디
두 농업
삼
저
실감
성
실천윤
윤
동
빈궁
위
열 놓
절히 핵 찌르
야
많
루 덕
할
순
물
업
얽혀 잡
예
난 금전관 ················································································ 양 선 희…101
일본 근세문 에 나타
Ⅱ. 『츠레즈레구사』에 나타나는 금전
우선,『영대장』의 금전에 대한 묘사를 보기 전에 『영대장』의 금전관에 영
향을 끼쳤을 『츠레즈레구사』의 제217단을 보기로 한다5). 이 단에서 주목하
고 은 것은 다음과 같이 부자(大福長者)가 부(富)를 이 는 마음가 에 대해
서 말하는 내용과『츠레즈레구사』의 작가 요시다 겐 의 비 이다.
싶
코
떤
난
히 먼저
람 오래
누
람
루
쳐두 오
짐
평
산
야
어 부자가 말하기를 “ 구라도 만사를 제
고 로지 재 을 모아 한
다. 가 해서는 사는 보 이 없다. 부자만이 인간이다. 재 을 모으려고 한다
면 당연
부자의 마음을 수행해 한다. 그 마음이 다른 것이 아니
다. 사 은
살 수 있는 재라고 생각해 한다. 그 반대로 가 , 인생은
아침이슬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거나 해서는
된다. 이것이
주의
해
일이다. 다음으로는, 일 모 일을 자신이 원하는 대로 해서는
된다. 구라도 세상을 사는
자신에게 남에게
이 이 없이 생
다. (중 ) 어 사소한 일에도 돈을 소비해서는
된다. 다음, 돈을 하인
처 생각하고 대로 사용하려고 한다면 언제까지나 가 의 로 을 면치
것이다. 주나 신처 외경하고 받들고
자기 대로 사용해서는
된다. 다음, 부 러운 일을 당하는 일이 있어도 화내거나 원 해서는
된
다. 다음, 정 해 하며 약 은 게 지
한다. (중 ) 돈이 이고 어
가면 음주가 여 을 일 거나 거처를
거나 원하는 바를 이 거나 하지
는 아도 마음은 언제나
다”고 하였다. 원 사 은 원하는 바를 이 려
고 재 을 추구하는 것이다. 돈을 재 로 보는 것은 그것으로
을
시
수 있기 때문이다.
은 일어나도 그것을
시 수가 없고, 돈은 있어
도 지 는다면 가
이나 다 없다.
거 이 있 는가. 이 부자의
가 침은 세상적인 인간적인
을 고, 가 을 슬 해서는
된다는 의
로도
수 있다.
을
시
으로 기보다는
려 재 이 없는
6)
편이 다. (하 )
야할
누
긴
럼
못할
안
않
킬
략 떤
맘
군
끄
직 야
무 색
물
쓰 않
르
취할
낫
략
존
야
야
안
산
란
령
첫 번째
절 든
동안
든
안
든 욕망 끝
안
난 괴 움
럼
결코
뜻
망
안
속 굳 켜야
략
쌓 늘
삼
꾸미
루
즐겁
래 람
루
물
욕망 충족
욕망
충족 킬
난뱅
름 무슨 즐 움 겠
욕망 끊 난 퍼
안
미
욕망 충족 켜 낙 삼
오히 물
난
5) 重友毅(1974)는 “단지 대복장자(부자)의 말을 전하는 것만이 아니고 그것을 비 하고
야
곳
유하는
에 주된 의 가 있고, 『영대장』 한 그 의향을 이어받은 것이었다”고 한다(「『徒然草』と西
鶴」『西鶴の研究』,文理書院).
6) 或大福長者の言はく、「人は万をさしおきて、ひたふるに徳をつくべきなり。貧しくては生けるかひなし。富めるのみ
미
또
を人とす。徳をつかんと思はば、すべからく、まづその心づかひを修行すべし。その心と言ふは、他のことにあら
ず。人間常住の思ひに住して、かりにも無常を観ずる事なかれ。これ第一の用心なり。次に万事の用をかなふべ
からず。人の世にある、自他につけて所願無量なり。(中略)小要をも為すべからず。次に、銭を奴のごとくして
使ひもちゐる物と知らば、永く貧苦を免るべからず。君のごとく、神のごとく畏れ尊みて、従へもちゐることなかれ。
次に、恥に臨むといふとも、怒り恨むる事なかれ。次に正直にして約を固くすべし。(中略)銭積りて尽きざる時
は、宴飮·声色を事とせず、居所を飾らず、所願を成ぜざれども、心とこしなへに安く楽し」と申しき。抑人は所願
10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위의
난
람
축
인용문에서 ‘부자’는 가 해서는 사는 보 이 없으니 ‘부를 적’하라고
한다. 그리고 부를 이 는 마음가 에 대해서는 다음의 다 가지를 언급하였
다. 사 은
사는 재로 상을 올리지 말 것.
구를
는 일을
자제 것.
돈을 자기 대로 사용하지 말 것. 수치를 당하 라도 화내거
나 원 하지 말 것. 정 과 약 은 지 것.
한편, 이와 같은 부자의 생각에 대해, 요시다 겐 는 재 을 모으는 것은 원
하는 바를 이 기 해서인데, 돈이 있어도 지 는 것은 가 한 자와 다를
바 없다고 비 하고 있다. 게다가
을
시
으로 기보다는 재 이
없는 편이 다고 한다. 이와 같은 겐 의 ‘재 ’에 대한 생각은 다음과 같이
제18단, 제38단, 제140단에도 기술되어 있어 보기로 한다.
루
짐
무 떠
① 람 오래
존
할 ③
뜻
망
⑤ 직 속
루 위
평
낫
람
않
④
킬
섯
②욕
채우
더
코 물
쓰 않
난
욕망 충족 켜 낙 삼
코 물
몸 짐
욕 집
우 물
산
물
물
(제18단)사 으로서 자신의 가 을 간소하게 하고 사치를 리치고 재
도 소유하지 고 이 세상의 이 에 착하지 는 것이
한 것이다. 로
7)
부
인으로 부 하게 된 경 는 드 었다. (하 )
터현
귀
물 많
몸
번뇌 래 매개물
떠 칠
물 긴 더
될
략 않
훌륭
략 키
령죽
틀림
예
홀
물 악
황
북두칠성
위 람
성
(제38단)재 이 으면 자신의 을 지 는 일에 소 해진다. 재 은 해
을 사고
를 초 하는
이다. 설
은 후에 금으로
을
받 정도의 재 을 남 다 하 라도,
없이 주 의 사 들에게는 가
신 것이
것이다. (하 )8)
죽
좋 않
두
감스럽
산
혜
람 할
쌓 두
꼴불견 좋
싶 허무
산 터무
많
겠노
겨
악
략 (제140단) 은 후 재 을 남기는 것은 지 로운 사 이
일이 아니다. 그
리 지도 은 것들을 아 는 것도
이고, 은 것들은 자가 마
나 마음을 었을까 어
하다. 유 이
니없이 은 것은 어 경
보다 유
다. “내가 받
라” 며 나서는 자들도 생 서 사후에
이
9)
일어나는 것은 추 하다. (하 )
망
얼
떤 우
분쟁
を成ぜんがために、財を求む。銭を財とする事は、願ひをかなふるが故なり。所願あれどもかなへず、銭あれども
用ゐざらんは、全く貧者とおなじ。何をか楽しびとせん。このおきては、ただ人間の望みを断ちて、貧を憂ふべから
ずと聞えたり。欲を成じて楽しびとせんよりは、しかじ、財なからんには。(下略)(p.261-262) 본고에서 인용한
『츠레즈레구사』의 본문은 神田秀夫 他2 校注·訳者(1990)「日本古典文学全集」(27),小学館을
로 한다.
7) 人はおのれをつづまやかにし、奢りを退けて、財を持たず、世をむさぼらざらんぞいみじかるべき。昔より、賢き人の
富めるは稀なり。(下略)(p.106)
8) 財多ければ身を守るに貧し。害を買ひ、わづらひを招くなかだちなり。身の後には金をして北斗をささふとも、人のた
めにぞわづらはるべき。(下略)(p.122)
9) 身死して財残る事は、智者のせざるところなり。よからぬ物蓄へ置きたるもつたなく、よき物は、心をとめけんとはかな
し。こちたく多かる、まして口惜し。「我こそ得め」などいふ者どもありて、あとにあらそひたる、様あし。(下略)
(p.207)
트
텍스
예
난 금전관 ················································································ 양 선 희…103
일본 근세문 에 나타
듯
물
코
이상의 인용문을 통해서 알 수 있 이, 겐 는 제217단에서 부자가 부를
적해 한다는 의 과는 리, 재 을 소유하지 는 것이 명한 일이
며, 재 은 해 과 고초를 러들이는
로서, 자식을 해 재 을 남
는 것은 지
지 한 일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
제108단에서는 “한 은 돈이라고 하나 조금
이다 보면 가
이를
부자로 만들어준다. 그 기에 장사 은 한 이라도 진정 중요하게 여기는
이다(一銭軽しといへども、是をかさぬれば、貧しき人を富める人となす。されば、
商人の一銭を惜しむ心、切なり。)”라고 하여 검약함으로써 돈을 모으는 것과
상인들의 금전에 대한 가치관에 대해서 언급하기도 하였다.
축
겨두
야
물
법
견
달
불
악
혜롭 못
푼 푼
렇
꾼
않
매개물
푼
위
씩쌓
현
산
난뱅
Ⅲ. 『장자교』의 교훈
야
방법
첫째
다음으로는, 『장자교』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서의 내용은 카마다 ,
나바 , 이즈
라는 세 장자(長者, 부자)가 마을 아이에게 부자가 되는
을 가
주는 이 기이다. 그 서 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돈
을 모으는 일은 소에 심 하는 것이다.
, 검약해서 한
모여 부
자가 되는 것이지, 자기 부자가 되려고 하는 것은 가 의 원인이 된다.
,
한 것을 함부로 려고 하지 마라. 전을 기는 고 일전을 모으기는
어 다. 소 자신의 수에 맞게 생활해라. 검약을 하 라도 남에게
을
받지 도 해라. 리해서 검약하고 가 에 전 해 한다. 이후의 내용은
본 적으로 부자가 되기 한 교훈을 서술하고 있는데, 게 여
의 목으
10)
로 나 어져 있다. 즉, 부자가 되기 한 생활상의 행
리와 함 그와 반
대되는 행 도 나 함으로써 교훈하는 내용이다. 이 중에서도
‘ 소의
마음가 에 관한 것(つねにたしなみの事)’을 소 하면 다음과 같다.
야 미야
르쳐
야
두
평 열 히
둘째
갑
저축
쓰
십 쓰
렵 평
분
않 록
궁
업 념
격
위
뉘
위
동 열
짐
개
푼씩
난
쉽
더
야
크 덟개
동윤
께
첫 번째
셋째
미움
항
평
분별 있는 것
정직해야 하는 것
삼 인내해야 하는 것
사람은 도둑, 불은 화재라고 생각하여 주의해야 하는 것
오 고집을 버리고 타인의 이견을 듣는 것
제일
제이
제
제사
제
10)「つねにたしなみの事、けいこすべき事、たのみある人のうた、やくにたたぬもののうた、きやうくんのうた、ふくのか
み十人御子、びんぼ神十人御子、右十人を毎日くるべき事」로 여
의 목으로 되어 있다.(p.10-15)
본고에서 인용한『장자교』의 본문은 中村幸彦校注(1975)『近世町人思想』(日本思想大系59),岩波
書店 을
로 한다.
텍스트
덟개 항
10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든 회 무익
칠 스
꺼
팔 잡 무익
너무
몸 손
십 람
밀접 친 친
동할
높 람
람 귀
야
누
끊임
귀
깊 닭
제육
제
제
제구
제
모 후 는
한 것
사치 런 마음을 리는 것
담은
한 것
타인에게
관용하면, 자신의 에 해가 되는 것
사 마다 관계가
한 한 구로 행
필요는 없다. 하지만 이
은 사 선한 사 은 사 려고 해 한다. 구나 거리를 지 고
없이 사 어 주의 은 과 같이 되는 것을 교제가 능 한 사 이
라고 한다.11)
덕
두 않
숙 람
위의 내용 이외에, 금전과 관련하여 주목되는 내용만을 들어 보면 ‘교훈의 노
래(きやうくんのうた)’라는 항목에 “고생해서 돈을 저축해라.” “돈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인간 보잘 것 없고, 가난만큼 서글픈 일은 없다”12)고 한다. 또한, ‘복신
의 열 아이들(ふくのかみ十人御子)’ 이라는 항목의 끝 부분에서는 “아까운 것을
팔고 원하는 것을 사지 않고, 돈을 주인이라고 생각해라. 주인을 도대체 부린
단 말인가”13)라고도 한다. 그리고 본서의 말미에는 “부유한 사람은 필시 유람,
재미있는 일만 있을 것이다. 이것을 보더라도 돈이 필요한 것이다. 돈은 불에
넣어도 손해 보지 않고 물에 넣어도 썩지 않는다. 점점 더 빛나는 것이기 때문
에, 카마다야, 나바야, 이즈미야 이 세 사람의 금언을 잘 분별해서 아주 적은
돈이라도 헛되이 사용해서는 안 된다”14)라는 말로 이야기를 끝맺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장자교』에 대해서 『近世町人思想』(岩波書店,1975)의
해설에 의하면 이 책은 간에이 4년(1627)의 고활자본·정 본과 함 이전에 사
본이 재 고, 그로부
토쿠(正徳,1711 1715)까지 약 백년간
생명을 갖
는 책으로 그 아 작도 이 있으며 근세 전 를 통해서 쵸닝의 도의 초보의
교훈이 되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이어서 사이카쿠가 『영대장』(1688)
을 간 을 때, 부제로 ‘대복신장자교(大福新長者教)’라고 붙인 것도 이 책의
유행을 이 기하는 하나의 자 가 된다고까지 설명하고 있다15). 한편, 野間光
존 했
터쇼
류 많
출 했
야
∼
판
체
께
긴
료
11) 第一 ふんべつの事、第二 しやうじきにすべき事、第三 かんにんすべき事、第四 人はぬす人、火はじやうまう
と、こゝろへべき事、第五 じやうじきをやめ、いけんにつくべき事、第六 こうくわいいらざる事、第七 まんきを、い
むべき事、第八 ざうたんむやくの事、第九 ようしや半吉の事、第十 人ごとに、ふかくちゐんだて、いらざる事さ
れども、大人·ぜんにんには、ちかづくべし。いづれも、へだてず、よせず、にわとりのごとくなるを、めいじんといふ
なり。(p.10-11)
12)(上略)らくするな、(中略)ぎんをもたねば、にむげんのかずならず、あさましき次第なり。(p.12)
13) をしき物をうりて、ほしき物をかわずして、銀をば、しうとおもへ。しうを、そもやつかふものか。(p.13)
14) うとき人は、さぞゆさん、おもしろき事のみ、おはすらん。なにゝつけても、かねのほしさよ。それきんは火に入て
も、そんせず、水にいりても、くちず、いよいよひかります物なれば、かまだや·なばや·いづみ屋、この三人のきん
げんを、よくよくふんべつして、一ふん一りんにても、おろそかにつかふべからず。(p.16)
15) 앞의 注10과 같은 책. (p.409-410)
예
난 금전관 ················································································ 양 선 희…105
일본 근세문 에 나타
辰은 이런 『장자교』가 하나의 작품으로서
완성된
그 시초는 『츠레즈레구
사』의 제217단에 ‘대복장자(大福長者)가 말하길’ 이라는 대목에서 발한다고
한다16). 한 重友毅도 『장자교』계통에 하는 일련의 을거리도 나중 것
일수 『츠레즈레구사』의 영향을
하게 보인다고 말한다17). 즉, 『장자
교』는 『츠레즈레구사』의 영향에 의해 발생된 쵸닝 치부처세의 교훈서라고
이 기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논고는, 앞에서 『장자교』의 내용을 서 알 수 있 이 수
만한다고 생각한다. 다만, 붙이고 은 것은『츠레즈레구사』제217단의 ‘대복
장자는 부를 적’하는 것을 강조하나, 『장자교』는 교훈서 게 그
을 서
술하면서
검약을 강조하고, 가 에 전 하기를 가
다는 점이다. 게다
가
로운 것은 『츠레즈레구사』의 대복장자는 ‘돈을 자기 대로 사용하지
말라’고 하나, 『장자교』에서는 ‘아주 적은 돈이라도 되이 사용해서는
된
다’고 하여 돈은 사용하는 것 을
에 고 있다는 점이다.
록
또
현저
속
야
흥미
덧
축
특히
읽
봐
싶
업
출
답
르친
념
임 염두 두
듯
헛
긍할
방법
뜻
안
Ⅳ. 『영대장』의 금전 양상
1. 금전과 노후생활
우선,
권1의1「初午は乗ってくる仕合」에 보이는 ‘금전’에 대한 묘사를 보기로
한다.
인간생애의 가장 중요한 일은 처세이기 때문에 사농공상은 말할 것도 없고
승려·신직 어떤 직업이라도 검약의 신의 신탁에 의해 돈을 모으도록 해야 한
다. 이 돈이라는 것은 부모 이외의 목숨의 부모이다. (생략) 죽어버리면 돈도
무슨 도움이 되랴 기와나 돌보다도 못한 것이다. (중략) 그러나 남겨두면 자
손을 위한 것이 되는 것이다. 남몰래 생각하니 세상의 모든 인간의 바람은 무
엇이든 돈의 힘으로 할 수 없는 일은 없다. 18)
16) 野間光辰(1938)「『長者教』考」『国語国文』4月, p.159
17) 重友毅는 『일본영대장』의 부제「新長者教」는 당대의 독자에게
귀에 익숙한 『長者教』의 이
름을 이용해서 내용의 일면을 빨리 이해시키려교 한 명칭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며, 영향관계를 찾
는다면 『츠레즈레구사』의 제217단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고 한다. (앞의 注5 와 같은 책,
p.93)
18) 一生一大事、身を過るの業、士農工商の外、出家·神職にかぎらず、始末大明神の御託宣にまかせ、金銀を
溜るべし。是、二親の外に命の親なり。(中略)死すれば何ぞ、金銀、瓦石にはおとれり。(中略)然りとい
へども、残して子孫のためとはなりぬ。ひそかに思ふに、世に有程の願ひ、何によらず銀徳にて叶はざる事、(p.4)
본고에서 인용한 『영대장』의 본문은 麻生磯次·富士昭雄著(1993)『日本永代蔵』(決定版対訳西鶴
10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란
삶
무엇
여기에서 ‘돈’이 인간의 에 있어서
보다 중요하고 가치가 있다는 것
을 ‘목 ’에 비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돈도 음 앞에서는 아 런 소용이 없
으나, 남
면 자 을 한 일이 된다고 말한다.
하면 인간의 바라는 바
는 돈으로 해
수 없는 일이 없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돈의 가치에 대한 언급은 『츠레즈레구사』의 제 217단에서는 “부
자만이 인간이다” 『장자교』에서는 “돈을 가지고 있지 으면 인간 보 것
없다”라는
으로
의 이만 있을 뿐 인간 에 있어서
필요한 것
을 강조하고 있다. 그 에도 의 인용문을 통해서 주목하고 은 부 은 ‘
음 앞에서는 그 을 발 하지 하는 돈’에 대한 인식과 ‘자식을 해 재 을
남
고자 하는 것’ 을 들 수 있다. 후자의 바로 이 내용은 앞의 『츠레즈레
구사』제38단, 제140단에서『츠레즈레구사』의 작자 겐 가 재 을 남
는
것은 지 로운 자의 일이 아니며 유 으로 인해
이 일어나는 것은 추 하
19)
다는 것과는 다 다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권3의1「煎じょう常とはかはる問薬」에는 재 가가 된 사 이 나이 70이
되어서 여생을 기는 내용이 있다.
숨
겨두
결할
표현
겨두
혜
손 위
표현 차
럼 위
힘 휘 못
르
분쟁
산
즐
두히
무
왜냐
삶
산
할
죽
않
코
꼭
싶
산
잘
임
분 죽
위 산
겨두
악
람
갈 입
략 돌
코
저녁
둑친
즐 눈
임 풀
략
터
될
무
깨닫
노
든즐 움 즐
냈
처음으로 상의하의 모
다 비단으로 아 고, (중 ) 아가는 길에 비
끼 거리의 연 을 구경하고,
에는 바
구들을 모아서 기고,
내리
는
은 신 를 마시는 모 을 베 고, (중 ) 하시바 화장 의 연기가
이라는 것을 알고 (인생의 상한 것을
고), 영리하게도 후의 생활
비를 도로 마련해 어, 세상의 모
거 을 기며 지 다.20)
몸
동안
극
차
별
두
젊어서는 인색하리만큼 검약의 생활을 하던 사람이 부자가 된 후에 노후를 여
유 있게 보낸다는 내용이다. 이와 같은 내용은 권4의1「祈るしるしの神の折敷」
에서도 볼 수 있다.
이 사 은 은
람 많 종업원을 두고 만사를 처리하게 하고, 자신은 하고 싶은 대로
텍스트
산 겨
겠
번
야
될
산
람
겨 산 탕
찬
산
색 빠 산 탕
ね』에서는 아들의 낭비하는 모습을 보고 검약하는 여동생의 아들을 양자로 삼았으나 이 또한 주
색으로 재산을 탕진하는 내용도 그려져 있다. 이와 같이 『영대장』에서는 2대에 걸쳐 재산을 보
존하는 예는 찾아 볼 수 없고, 대부분 자수성가에 의해 부자가 된 사람들의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
全集12)明治書院 을
로 한다.
19) 『영대장』에서 자식에게 재 을 남 주고자 하는 것은, 후술하 지만 돈이 돈을 다는 인식,
즉 자본이 있어 부자가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한편으로는, 권1의2『二代目に破る扇の
風』에서는 유 을 받은 아들이 바 기가 생 유 을 진하거나, 권5의3『大豆一粒の光堂』도
마 가지로 유 을 받은 아들이 주 에 져 재 을 진하는 내용이다. 권5의5『三匁五分曙のか
다.
はじめて上下共に飛騨紬に着替、(中略)下向に、木引町の芝居を見物、夜は碁友達をあつめ、雪のうちに
は壺の口を切り、(中略)羽芝の煙となる身を知て、老の入前かしこく取置、世に有程のたのしみ暮し。(p.78)
20)
예
난 금전관 ················································································ 양 선 희…107
일본 근세문 에 나타
즐기며, 젊은 때의 노고를 만회하였다. 이것이 진정한 인간의 재산의 보전법이
다. 설령 만관의 돈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노후까지도 그 몸을 움직여서 신경
쓰며 세상을 사는 사람은 일생은 꿈과 같이 허무한 것을 모르는 자로 이래서
는 아무리 돈을 모아도 아무런 이익도 없을 것이다.21)
위의 두 예문을 통해서 보듯이 『영대장』에서는 젊어서는 돈을 모으고 노후
에는 모은 재산을 쓸 줄 아는 자가 지혜로운 자라고 이야기하고 있는 듯하다.
이것은 앞서 기술했듯이 죽음 앞에서는 아무런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돈에 대
한 인식이 내재되어 있는 사고에서 나오는 금전관이기도 하였다.22) 이러한 내
용은 앞서 봤던 『츠레즈레구사』『장자교』에서는 볼 수 없는 내용이다. 즉,
『츠레즈레구사』의 부자의 언설에서 부를 축적하라고는 하였으나, 모은 재산
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이것은『장자교』또한 마찬가지였다.
2. ‘돈이 돈을 번다’는 인식
절
겠
직 업 힘
못 않
버
『영대장』에서는 다음 3 에서 기술하 지만, 검약과 정 , 가 에 써서
돈을 모아
것을 묘사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지 게 돈을 는 데에 있
어서 자본이 있어
것을 강조한다.
를 들면, 권5의4「朝の塩籠夕の油
桶」의 서 에는,
야할
두
야할
지금은 돈이 돈을
수 없다.23)
예
버는 시절이기
야
질녘
름 저녁
열 히
결
때문에
좀처럼 방심해서는
세상살이를
할
라고 말하고 있다. 이 이 기의 주인공은 아침에는 식초와 간장, 점심에는 소
금, 해
에는 기 ,
에는 말 을 만들어서 는 , 장사
을 바
어 가며 심 생활한 과, 50세 남 되어 돈
관 을 검약해서 모
다고 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자본이 어 정도 모여 만 부자가 된다고 묘
사하고 있다.
손
않 밑천
굽
짓
느
파 등 할 물건
삼십칠 몬
야
푼 손
했
예
매 벌
꾸
았
이 남자는 장사에 을 대고 나서, 한 도 해를 본 가 없고, 년 었지
만, 원
마 되지 는
으로 시작 기 때문에 금 백 이 되는 것은
래얼
량
쉽
21) 此人、数多の手代を置て諸事さばかせ、其身は楽を極め、わかひ時の辛勞を取かへしぬ。是ぞ人間の身のも
ちやうなり。たとえば万貫目持たればとて、老後迄其身をつかひ、気をこらして世を渡る人、一生は夢の世とはしら
ず、何か益あらじ。(p.111-112)
22) 본 화의 마지 에 「とても向へは持て行ず、なふてならぬ物は銀の世中」(p.79)라고 되어 있어, 내세
예
에는 가져가지
막
못하지만, 이 세상에서는 필요한 것이 돈이라고 하고 있다.
23) 今は銀がかねを設る時節なれば、中々油断して渡世はなりがたし。(p.167)
10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않았
스
량
지
다. 가까 로 백 이 되어서는 점점 돈이
부자가 되었다.24)
늘어나서 결국 아즈마구니의
위와 같이 ‘돈이 돈을 번다’ 는 인식은 권2의3「才覺を笠に着る大黒」의 주인공
의 행동을 통해서도 보여주고 있다. 주인공은 유곽에서의 유흥으로 재산을 탕
진하자 부모로부터 의절되고 집에서 쫓겨나게 된다. 여비조차 없던 주인공은
교토에서 에도로 향하던 중, 어느 동네의 마을 아이들로부터 죽어버린 수소만
한 검은 개를 얻는다. 이걸 구워서 효험 있는 늑대의 찜구이25) 라고 해서 팔
아 남긴 돈으로 여비도 하고 나머지 돈으로는 장사의 밑천으로 삼았다. 그리고
열심히 장사를 하여 십년도 지나기 전에 큰 부자가 되었다. 게다가 이와 같은
묘사 가운데, 작가는 한 등장인물을 통해서,
넓
렇 쉽 벌
역
삼몬
이 은 에도이지만 일본 전 의 영리한 자가 모이기 때문에
의 돈이라
도 그 게 게 수는 없어. 어
돈이 돈을 는 세상이기 때문에26)
차피
버
라는 말을 언급하기도 한다.
의 의 화 이외에 권6의4「身躰かたまる淀川のうるし」에도 “이것은 자신의
기지로 부자가 된 것이 아니라 타고 행운이라는 것이다. 그리고는 돈이 돈을
어 그 이 을 세상에 리 알리게 되었다(これらは才覺の分限にはあらず、てん
せいの仕合なり。おのづと、金がかねまうけして、其名を世上にふれける。)”라는 대목
도 있다.
이상과 같이 돈이 돈을 는 세상으로, 자본이 없이는
부를 이 지 하는
세상인 것이다. 그러 로, 권6의2「見立て養子が利発」에 “부모의 유 이 없어
서는 어 재 가가
수 없는 것이다(親よりゆづりなくては、すぐれてふうきにはな
りがたし)”라고 되어 있 이, 앞서 1 에서도 기술 지만, 부모는 자식에게 유
을 남 주려고 하였던 것이다.
위 둘 예
벌
름
뛰 난 산
산
겨
널
므
난
버
될
듯
큰
절
루 못
산
했
24) 此男、商売に取付て此かた、一銭も損をしたる例なく、年々に利得を求めたれ共、元すこしの事なれば、金子
百両になる事、中々むつかしく、漸百両に積て、それより次第に東長者となりぬ。(p.167)
25) 본고의『영대장』
p.58 注35 에 의하면, “ 를 대라고 인 것은 대의 구이는 한
(寒), 기, , 경련에 의한 통증에
이 있다고 하여 초
보신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며
텍스트 〈 〉
개 늑
속
늑 찜
산 냉위
효험
겨울
계절적으로도 비싸게 팔렸기 때문이다”라고 한다. 이 예화의 주인공이 집에서 쫓겨난 것은 한겨울
이었다. 그리고 본문에「これは疳の妙薬になる犬なり。(中略)さては諸人の為ぞ」라고 되어 있으나, 개
의 찜구이가 아닌 늑대의 찜구이 라고 속인 것은 좀 더 비싸게 팔기 위한 상술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6) 此廣き御城下なれ共、日本のかしこき人の寄會、銭三文、あだにはもうけさせず、只銀がかねをためる世の中、
(p.57)
예
난 금전관 ················································································ 양 선 희…109
일본 근세문 에 나타
3. 재산축적의 방법과 마음가짐
럼
위
떠
그 , 다음으로는 돈을 모으기 해서는 어 한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생활
리로
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1) 검약
앞서 1 의
인용문에서 ‘검약의 신의 신 에 의해 돈을 모으도 해
한다’에
것과 같이 ‘검약’에 의해 돈은 모아지는 것이라고 하고 있
다. 검약이라는 말과 검약에 대한 내용이 앞에서 본 권1의1을 비 하여, 권1의
2, 권1의3, 권2의1, 권2의3, 권3의1, 권3의4, 권4의5, 권5의1, 권5의3, 권5의5에
나타 다. 그 , 이 가운데에서도 검약의 중요 을 어 게 묘사하고 있는지,
를 들어보기로 하 다. 권2의1「世界の借屋大將」의 주인공의 경 는 영리해서
그 자신
로의
만으로 재 가가 된 사 이다. 이 주인공은 소에 은
검소하게 고, 설맞이 은 에서 는 것은 거 고 이 이 간다고 하
며,
을 따져
에 기고, 나 를 심어도 작
을 심고, 아이는 서당
에 보내지 고 에서
가
교토에서도 영리한 로
는
만사
에 검약한 생활을 하는 주인공으로 그려지고 있다. 권5의3「大豆一粒の光堂」
은 소 이었던 사 이 자신의 리와
으로
재 가가 된 이 기이다.
부자가 된 사 이 자,
들은 그의 유 에 관심을 갖고 자신들에게도 유
이
되어 있지 을까 내심 기대를 고 있었다. 그러나 유언장에는 모
재 은 외아들인 자식에게 남 져 있었다. 다만, 자신이 사용 던 의복과 가재
도구를
들에게 나 주 다는 내용뿐이었다. 이와 같은 인 한 주인공의 행
에 대해, 작가는 주인공이 검약해서 이 재 이기에
들이 원한다고 해
도 그 게 이
리는 없다고 하여 비 보다는 정당화시 고 있는 점에 주
목하게 된다. 이 대목은 그 만 검약의 생활은 재 가가 되기 한 목 가운
데 하나였던 것을 시사하는 말이라
수 있 다.
(2) 정
‘정 ’이라는 말이 언급되거나 정 의 중요 을 이 기하는 내용으로 권1의5,
권3의3, 권4의3, 권4의4, 권5의1, 권6의1을 들 수 있다. 돈을 모으 라도 정 한
으로 부자가 되어 한다는 것이다. 그 로서, 권1의5「世は欲の入れ札に
仕合せ」에서는
면을 생각해서 수에 맞지 는 생활을 하고 치레에 신
경 는 세상인데,
이
한 것을 기지 는 정 하고도 지 로운
인의 이 기를 그리고 있다. 이
인은 을 기 해 자신의 을 지
수 있는
권을 마을 사 들에게
가 에 내 는다. 그 서
권에 당
된 사 에게는 을
주고, 남 수 금으로는 을 고 다시 부자가 되었
다는 이 기이다. 권4의4「茶の十徳も一度に皆」에서는 정 하지 한 장사 으
윤
삼았
절 첫 번째
밑줄 친
야
난
럼
스스
입
탁
롯
겠
노력
성
산
떡 집 찧
손익
떡집 맡
무
않 집 직접 르쳐
농
농 꾼
궁
농 꾼 죽 친척
산 분배
않
산
겨
친척
눠 겠
동
렇 많 줄
큼
직
방법
록
직
직
야
람
떻
룬 산
난
겠
성
평
번 롭 손 많
두콩
딸
딸 키우 등
노력
산
걸
할
우
예
큰 산
옷
야
든
했
색
산
야
친척
키
위 덕
더
직
예
체
분
않
겉
쓰
집안 몰락
숨 않 직
혜 미망
야
미망 빚 갚 위
집 차 할
입찰
람
싼 격 놓
래 입찰
첨
람
집 넘겨
긴 익
빚 갚
야
직 못
법
11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결국 자기 자신의 목숨까지 잃게 된 상인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차(茶)
팔아서 큰 부자가 된 주인공은 도리에 어긋난 욕심이 생겨 차 껍질을 섞어
차를 팔기에 이른다. 그런데 이 나쁜 짓을 하늘이 벌하셨는지 주인공은 미
쳐버렸고, 마을을 돌아다니면서 자신이 스스로 그 비밀을 내뱉고 다니자 비열
하다고 하여 상대해주는 사람조차 없게 되었다. 몸은 점점 쇠약해지고 자신이
죽게 되면 많은 재산은 누구의 차지가 될 것인지를 억울해 한 나머지 돈을 움
켜쥐고 눈을 뜬 채로 죽어버린다. 즉, 돈을 모으는데 있어서 정직할 것을 강조
하고 인간의 지나친 욕심이 불러온 돈의 해악을 잘 묘사한 예화라고 할 수 있
겠다.
(3) 가업에 힘쓰기
‘가업에 힘써야 한다’ 는 것을 언급한 곳은 권1의1, 권2의2, 권2의3, 권2의5, 권
3의1, 권4의1, 권4의5, 권5의2, 권5의4, 권6의2를 들 수 있다. 부자가 되기 위해
서 검약, 정직에 못지않게, 중요시하는 것이 가업에 힘쓰는 것이라고 한다. 예
를 들면, 권3의1「煎じよう常とはかわる問薬」에서, 부자가 되기 위한 처방전을 말
해 주는데, 다음과 같은 처방을 내놓는다. “일찍 일어나기 다섯냥, 가업에 힘쓰
기 스무냥, 저녁일 하기 여덟냥, 검약하기 열냥, 건강하기 일곱냥, 이것을 합한
오십냥의 약을 곱게 가루로 갈아서 (중략) 아침저녁으로 마시면, 큰 부자가 되
지 못할 일은 없다”27)고 한다. 여기에서 보듯이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가업에
힘쓰는 것이 무엇보다 중시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검약하기를 강조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가업에 힘쓴다는 것은 권5의4「朝の塩籠夕の油
桶」의 결말 부분에 “귀족은 시 짓는 일을, 무사는 활쏘기 말 타기의 기술에
힘쓰고, 상인은 계산을 잘하고 저울의 바늘을 실수하는 일이 없도록 해서 부지
런히 매상장부를 쓰는 게 좋다”28)고 묘사하고 있듯이, 신분을 막론하고 각자
자신의 일에 힘써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으로, 재산을 축적하는 방법과 마음가짐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런
데, 앞에서 본 ‘마음가짐’과 재치(才覚), 궁리하기 등의 지혜가 있다고 해도, 여
기에서 일일이 예를 들어 기술하지는 않겠으나, 작가는 ‘돈이 돈을 버는 세상’
이므로 ‘자본이 있어야 부자가 된다’는 것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이 점은 이미
앞의 2절에서도 일부 논한 바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기술한 ‘재산축적의 방법
과 마음가짐’의 내용은 『영대장』에서 처음으로 언급된 것은 아니다. 우선,
‘검약하기’는 표현이 달라서 그렇지,『츠레즈레구사』제217단의 부자의 언설에
로
를
서
△
△
△
△
△
27) 朝起五両
家職弐十両
夜詰八両
始末拾両
達者七両 此五十両を細にして、(中略)
是を朝夕呑込からは、長者にならざるといふ事なし。(p.74)
28) 公家は敷嶋の道、武士は弓馬、町人は算用こまかに、針口の違はぬやうに、手まめに、当座帳付べし。
(p.170)
예
난 금전관 ················································································ 양 선 희…111
일본 근세문 에 나타
든
안
‘모 일을 자신이 원하는 대로 해서는
된다’고 말하였고, 『장자교』에서는
‘검약’이라는 말은
이나 나타날 정도로 강조된 바 있다. ‘정 하기’는 『츠
레즈레구사』『장자교』에서 언급되어 고, ‘가 에
기’는 『장자교』에서
도 볼 수 있었다. 즉, 검약, 정 , 가 에
기 의 부자가 되기 한 마음
가 은 『영대장』이전부 서 들 사이에서
되어지고 전해져 내려 생
활 리였을 것이다. 앞의 3장‘『장자교』의 교훈’에서 기술
이, 『장자교』
부 의 교훈서를 통해서 서 들에게 교훈되어 을 가능 이 다. 이러한 시대
적 경에 의해 자연 레 『영대장』의 각각의 이 기에서
되어 던 것이
29)
라고 생각한다.
몇번
짐
윤
류
배
스
직
졌
업 힘쓰
직 업 힘쓰 등
터 민
실천
위
온
했듯
졌
성 크
야
표현 졌
민
Ⅴ. 맺음말
예
얽힌
일본 근세문 인 사이카쿠소설은 금전에
다양한 인간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그 중에서도『영대장』에 나타나는 금전에 대한 사고와 가치관에 대해
고 해 보 다. 『영대장』에는 『츠레즈레구사』의 금전에 관한 가치와 사고
를 살펴보
이 중세시대의 금전에 대한 인식과 가치관이
고 있는 것은
사 이다. 그리고 근세의 가나조시인『장자교』의 부(冨)를 이 기 한 생활
상의
리가 『영대장』의 이 기의
에서
되어지고 있기도 하였
다. 하지만 중세
경제시대의 금전에 대한 사고와 본 적인 화폐경제시대로
들어선 근세의 금전에 대한 사고에는 이가 있음을 인 수 있었다. 중세시
대에는 돈을 모으고 부를 이 는 것에 관심이 있었다고 하면, 근세초기『장자
교』를 거 『영대장』이
된 근세전기 상 자본주의 시대가 도 하자 돈
을 모아 부를 이 는 것뿐만 아니라 소비하기 해 모으는 것으로 인식되어진
다는 점이다. 어서는 심 일을 하여 돈을 모으고 후에는 모은 재 으로
세상의 거 을 기며 었을 때의 고를 만 하는 것이 진정한 재 의 보
전 이라고 한다. 그리고 돈이 돈을 는 세상 즉, 자본주의 시대에 대한 인식
에 의해 부모는 자식에게 재 을 유 으로 남 주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근
세인은 돈의 가치를 인정하고
함은
그것을 향수
아는 지 로운
을 추구하였다.
찰
실
았
았듯
실천윤
쳐
법
야
농업
루
출판
루
젊
열 히
즐 움 즐 젊
곳곳
표현
격
확 할
차
업
위
노
회
버
산 산
겨
저축 물론
삶
흐르
루 위
래
노
산
산
할줄
혜
흥미
29) 한편,
로운 것은『영대장』권6의4「身躰かたまる淀川のうるし」에는 「有長者の詞に、「ほしき物を
かはず、おしき物を売れ」とぞ、此心のごとく、かせぎて奢りをやむれば、よきに極まる事なり」(p.200)라고 되어
팔
느 민 럼
않
읽
있는 점이다. 이것은 앞서 『장자교』에서 “아까운 것을 고 원하는 것을 사지 고”라고 교훈한
것을 그대로 인용한 이다. 작가인 사이카쿠도 여 서 들처 『장자교』를 었다는 증이라
수 있을 것이다.
할
예
방
11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참고문헌】
김충영·엄인경 공역(2010)『쓰레즈레구사』,도서출판 문
浅野晃(1979)「経済小説の光と影·日本永代蔵」『国文学』(「西鶴·創造の秘儀」),6月,学灯社
麻生磯次·冨士昭雄訳注(1993),『日本永代蔵』(決定版対訳西鶴全集十二),明治書院
今泉忠義 訳注(2001),『改訂 徒然草』, 角川書店
神田秀夫 他2 校注·訳者(1990)『徒然草』(日本古典文学全集27),小学館
重友毅(1974) 「『徒然草』と西鶴」『西鶴の研究』,文理書院
田中伸(1973)「西鶴の描いた金銭 日本永代蔵」『国文学解釈と鑑』(西鶴·近世小説の源流),
3月号, 至文堂, pp.97-102
谷脇理史(1999)「最初の経済小説『日本永代蔵』の処世訓」『季刊アーガマ』147 巻,6 月,
―
pp.83-96
中村幸彦校注(1975)『近世町人思想』(日本思想大系59), 岩波書店
野間光辰(1938)「『長者教』考」『国語国文』4月, p.159
(1948) 「『長者教』考」『西鶴新攷』, 筑摩書房
本多博之(2010)「天下統一と貨幣」『西鶴と浮世草子研究』Vol.3 ,笠間書院, pp.115-116
ヤン·シーコラ(2005)「西鶴と致富譚」『西鶴 挑発するテキスト』(国文学解釈と鑑賞別冊)3月,
至文堂, pp.225-234
吉江久弥(1969)「西鶴の世界」『国文学解釈と鑑賞』第三十四巻第十一号, 至文堂
―――
예
난 금전관 ················································································ 양 선 희…113
일본 근세문 에 나타
要 旨
本稿は、近世文芸に現われた金銭に対する認識とその価値観の究明を試みたものである。
初めに中世の随筆である『徒然草』と仮名草子である『長者教』における金銭に対する認識
とその価値観を探り、次いで『日本永代蔵』の金銭についての内容を検討し、前者の影響を
考察しつつ、両者の比較を試みた。『日本永代蔵』には、『徒然草』において考察したよう
な中世の金銭に対する認識と価値観が流れているのは事実である。また『長者教』に見られる
富を成すための生活上の実践倫理が、『日本永代蔵』の話の中にも表現されている。しかし
中世の農業経済時代の金銭に対する思考と、本格的な貨幣経済時代に入ってからの近世の
金銭に対する思考には差異があるのが確認できた。つまり、中世時代には金を貯め、富を成
すにだけ関心があるとしたら、近世初期の『長者教』を経て『日本永代蔵』の出版された近
世の前期の商業資本主義の時代がくると金を貯め、富をなすだけではなく、使うために貯める
のであると認識されている点である。若いときには一生懸命に働いて金を貯め、老後には貯めた
財産で世を楽しみながら若いときの労苦を取り返すのが真の財産の保存法であるという。そして
金が金を儲ける世、言わば資本主義に対する認識によって親は子に財産を遺産として残そうとし
たのである。このように近世の人は金の価値を認め、貯蓄するとともにそれを享受する生き方を追
求したと考えられる。
キーワード: 日本永代蔵、徒然草、長者教、金銭観、老後、お金、
商業資本主義
투
고 : 2014. 2. 28
1차 심사 : 2014. 3. 15
2차 심사 : 2014. 4. 5
遠藤周作『おバカさん』論
- 『東海道中膝栗毛』との比較を通して ૟
1)
松橋幸代*
(e-mail: [email protected])
聺G 触
1.
2.
3.
4.
5.
はじめに
『膝栗毛』とユーモアに対する遠藤の思い
二作品に登場する笑いの比較
二作品における登場人物像の比較
おわりに
1. はじめに
遠藤周作の『おバカさん』は1959年(昭和34年)3月26日から同年8月15日まで「朝
日新聞」夕刊に掲載された作品であるૡそれまで純文学の傾向が強かった遠藤にとってૠ
最初のユーモア小説と位置づけられているこの作品はૠ作家本来のユーモアの感性を一
作品として完成させたものとして意味深いと言えようૡしかしૠ遠藤作品における多くの先行
研究ではૠ純文学作品を中心に彼の描くキリスト像を追求したものが大部分でありૠ『お
バカさん』の研究においてもその傾向が強いૡ遠藤はいわゆる純文学と呼ばれる『沈黙』
や『深い河』のみならずૠ女性雑誌に掲載された『わたしが棄てた女』や北杜夫と
の対談を綴った『狐狸庵VSマンボウ』など幅広い読者層に絶大な人気を博した作家であ
りながらもૠその研究対象となる作品には偏りが見られるૡ
純文学の対極に大衆文学は位置づけされることが多いがૠ小嶋洋輔は「遠藤周作「中
間小説論」ー書き分けを行なう作家」の中でૠ「書き分ける作家としての遠藤周作像が強
く浮かび上がる」1)と述べているૡ小嶋は遠藤の中間小説の特徴としてૠ時代背景を現在に
* 忠南大学校,招聘教授,近代日本文学専攻
XX]#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4䭋
合わせૠメディアに登場する芸能人や著名人ૠまた社会的事件をモチーフにしたものが多く
取り入れられている事を挙げているૡそして「第三の新人」の一人であった遠藤が「カトリッ
ク作家」という肩書きを持ちながらも数多くの中間小説やエッセイを書き続けたことの意義はૠ
読者との距離を縮めૠ作家自身の意図を伝える場ૠ手段として用いていると指摘しているૡ
遠藤自身も多くの対談集の中でૠ「書いてることはどちらもそんなに変わってないと思うん
ですૡ(中略)広い読者とコミュニケートするためにૠ漢字はできるだけ使わないようにすると
かૠ『沈黙』ならおそらく切り捨てる部分も書いたりもするૡしかしૠそれは技術的な問題で
しょうねૠ書いてること自体はૠそうセパレートものはないつもりなんです」2)と語っていることか
らもૠ遠藤は純文学とエンターテイメント的なユーモア小説との間で明確な線引きをして執筆
しているわけではないというのは明らかであるૡ
このような遠藤のような言説からもૠ遠藤の作品研究が現在のような純文学中心であるの
はૠ何か片手落ちのような気がしてならないૡ確かに遠藤はカトリック作家という位置づけの
ためૠ彼の描くイエス像に関する研究が中心となるのは否めないૡしかしૠより広範囲な読
者とのコミュニケートを望んだという遠藤をより多角的に分析するにはૠ純文学のみならず
ユーモア小説やその他のジャンルにおいてもૠより積極的な研究が必要であると考えるૡ
岡保生はૠ遠藤周作『第二ユーモア小説』の解説において「(中略)この『膝栗毛』
という作品がૠ遠藤周作の内部に実にふかく喰い入っていたのだૠと思わせられるૡその後
の遠藤がૠ江戸時代の咄本ૠ滑稽本ૠ黄表紙のたぐいを愛読したにしてもૠやはり『膝
栗毛』の影響をまず第一に考えるべきだろう」3)と述べているૡそこで今回はૠ遠藤が中
学三年の時ૠ十返舎一九の『東海道中膝栗毛』4)(以下『膝栗毛』)にかなり傾倒しૠ
また晩年になってからも愛読書であったという『膝栗毛』が彼のユーモア作品に大きく影響
を与えているのではないかという仮説のもとૠ最初のユーモア小説である『おバカさん』にど
の程度反映されているのかを見ていきたいૡ検証方法としてૠ『膝栗毛』に登場する滑稽
と『おバカさん』に登場するユーモアを対比しૠその類似性から検討していくものとするૡ
2. 『膝栗毛』とユーモアに対する遠藤の思い
遠藤の年譜5)を見るとૠ周作少年は1935年(昭和10年)ૠ名門私立灘中学に入学した
1) 小嶋洋輔(2007)「遠藤周作「中間小説論」ー書き分けを行なう作家」,千葉大学人文研究no36.p.60
2) 遠藤周作,井上ひさし(1974)「神とユーモア」『文学界』,文藝春秋.p.172
3) 遠藤周作(1975)『第二ユーモア小説集』,講談社.p.333
4) 本稿において『東海道中膝栗毛』のテキストは中村幸彦校注(2003)『新編日本古典文学全集81』,小学館
を用いૠ引用頁数は括弧の中に数字で表記するものとするૡ
5) 本稿で引用した年譜はૠ著者の自作年譜ૠ広石廉二「遠藤周作年譜」(「三田文学」1997年冬季号)及
び笠井秋生山根道公編「年譜」(『作品論遠藤周作』笠井秋生玉置邦雄編2000年1月)ૠ著者の自伝
遠藤周作『おバカさん』論 - 『東海道中膝栗毛』との比較を通して - 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 松橋幸代ˎXX^
がૠ学年が進むにつれ能力別クラスの最下位であるD組になってしまいૠ学校の授業にも
ついていけずૠ先生に殴られるためと叱られるためだけに登校していたとあるૡそして中学三
年生の時ૠ十返舎一九の『東海道中膝栗毛』に痛く熱中しૠ弥次喜多を理想の人物と
したૡ周作少年は『膝栗毛』を読むだけでは飽き足らずૠ実際に自分も同じような滑稽道
中を試みようとૠ夏休みに同じクラスの友人を誘いૠ西国街道を京に向かう旅に出たこともあ
るૡ八月の暑さはこの二人の道中を弥次喜多のような滑稽道中どころかૠ苦痛しか与えな
ユー モア
ૠ ૠ ૠ ૠ ૠ ૠ
かったがૠこの経験から遠藤は「滑稽というのは現実にあるのではなくૠ創り出すもの(傍
点本文そのまま)だということが身に沁みてわかった」6)と回想しているૡまたૠ「戦争が烈
しくなった学生時代ૠふたたび古本屋でこれを見つけૠむさぼるように讀んだ」7)とも言って
いるૡ
なぜૠ遠藤がこれほどまでに『膝栗毛』に魅了されたのだろうかૡ具体的に遠藤が
『膝栗毛』をどのように讀んでいたのかを垣間見ることができる文章があるので紹介しようૡ
「日本経済新聞」に1989年6月1日から30日まで連載された「私の履歴書」の中の一部
であるૡG
今でも仕事が行きづまり辛い時はこの「膝栗毛」や江戸の滑稽本を読むૡ外国に行く
時も「膝栗毛」の文庫本を鞄に放り込むૡロンドンやニューヨークのホテルでこの本を開く
と日本人のよさや日本人の臭さが感じられるからだૡたしか仏文学者の渡辺一夫先生が
同じことを書いておられたૡ
しかし近頃ૠこの本を本当は寂しい本だなと思うようになったૡ「伊勢物語」という寂しい
男の人生の旅物語が古典にあるが ૠ 「膝栗毛」はこの「伊勢物語」のパロディなの
だૡ同じように「身を用なき者に思いて」ヤジキタが伊勢に旅だつ話だからであるૡ人生と
いう雨のふる街道をトボトボ歩く二人のうしろ姿がむしろ今の私の眼にうかぶようになったૡ8)
また『膝栗毛』の魅力について遠藤はૠ北杜夫との対談の中で「弥次喜多の笑いは
馬鹿笑いの要素が非常に多い」9)と指摘するૡさらにૠ「明治の文学者たちが戯作を引
き継がなかったために生じた一番の弊害はૠ日本語に対して一方的な見方しかできなくなっ
たこと」10)を前述の井上ひさしとの対談で指摘しૠ井上の「日本語というのは語呂合わせ
が宿命のことばでありૠいろんなことばの遊びがこれほど自由にできることばはそうない」11)と
的エッセイ等を参照の上ૠ調査等によって補いૠ山根道公の編集によって作成したものを参考にしたૡ
6) 加藤宗哉富岡幸一郎[編](2009)『遠藤周作文学論集 文学篇』,講談社.p.314
7) 前掲書6) p.315
8) 遠藤周作(2000)『遠藤周作文学全集14』,新潮社.p.271
9) 遠藤周作(1974)『日本人を語るー遠藤周作対話集ー』,小学館.p.213
10) 前掲書2)p.173
11) 前掲書2) p.173
XX_#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4䭋
いう意見にも同意しているૡそしてૠ「ユーモア文学の場合ૠ一番のエッセンスはことばと
間……」12)が重要だと認識しているૡこのことからも『おバカさん』の執筆においても日本
語ならではの言葉遊びの特徴をふんだんに盛り込んだのではないかという仮説が立てられ
るૡ特にૠ遠藤はユーモア小説の位置づけについて「近代文学の中でૠ笑いのあるも
のૠユーモアのあるものはૠどうも正当な評価を受けていないૠというか地位が低いという
か……」13)という認識を持っていたこともわかるૡ
遠藤が求めたユーモアとはૠ作家が上から下を見て批判するような笑いではなくૠ読者
に安心感を与えることが重要でありૠ作家は内容に沿って「話術ならぬ筆述を加えて創作
をしなければならない」14)ことを指摘しているૡけれども昨今の文学界の現実はૠユーモラ
スな随筆などは小説よりも見出しも小さくૠ粗略に扱われるということに多少の不満も漏らして
いるૡ
このようにみていくとૠ遠藤はユーモア小説に対してૠ読者に笑いを与えるための工夫に
創作技術がかなり必要であるのにもかかわらずૠそれが正当に評価されていないという点ૠ
そしてユーモアというジャンルはૠ読者との距離を縮めるためのひとつのアプローチ法だという
ことを意識していたということがわかるૡこのためにૠ遠藤は狐狸庵山人というもう一つのキャ
ラクターを創り出すことになったがૠかえってこれは遠藤の読者が二分される要因のひとつとも
なっているૡ狐狸庵という名の由来について遠藤順子『夫の宿題』の中ではૠ次のように
説明されているૡ
日本人にわかる言葉で宗教を語らなければૠキリスト教の布教などといっても意味がない
しૠ単なる独善による押しつけではૠ自己満足のから廻りになってしまうことがわかったのだと
思いますૡ いわゆる狐狸庵ものはૠこうした背景があって生まれてきたとおもいますૡ (中
略)「純文学は誰のためでもないૠ俺自身のために書いているんだ」とよく言っておりまし
たૡですから逆に「狐狸庵」ものは読者に対するサービスૠことに受験ૠ受験と勉強に追
い立てられている若い読者へのサービスというか励ましの気持ちがあったのでしょうૡ15)
『沈黙』や『海と毒薬』のような重いテーマを扱った小説から読み始めた読者にとっ
てૠ狐狸庵ものはくだらなく軽薄なものに映りૠ逆にエッセイやぐうたらシリーズから接近した
読者がૠ純文学作品の方にも興味を持って読み始める場合があるようにૠ一人の読者が
遠藤周作や狐狸庵先生に関心を寄せૠ作品を手にとるという現象があらわれたのであるૡ
遠藤自身ૠユーモア小説の価値の再認識を強めるとともに自らがユーモア小説というジャン
ルにおいて日本の文学界に一石を投じようとする強い挑戦の意志のあらわれとしてૠ純文学
12)
13)
14)
15)
前掲書2) p.174
前掲書2) p.172
前掲書9) p.221
遠藤順子(1998)『夫の宿題』,PHP研究所.p.76
遠藤周作『おバカさん』論 - 『東海道中膝栗毛』との比較を通して - 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 松橋幸代ˎXX`
のみならず多くのユーモア作品の執筆に至ったと見ることもできようૡ
遠藤はૠ自分は決してキリスト教布教のために小説をかいているのではなくૠ「私の小説
を読んでૠ結果としてૠキリスト教に魅力を感じてくれたらૠ私もいいなとは思うけどૠ無理や
りにどうですૠきれいでしょうૠ立派でしょうというのはૠ文学をゆがめるからしませんよ…
…」16)と語っているがૠ妻順子氏の<日本人にわかる言葉で宗教を語らなければૠキリス
ト教の布教などといっても意味がない>という言葉はૠまさにૠ遠藤がユーモアを表現するの
にはૠことば(日本語)をいかに駆使しながら表現するかということと切っても切れない問題
と結び付けられるૡ前述の井上ひさしとの対談の中でもૠ「世界ユーモア文学全集」の翻
訳を読んでもૠ全然おもしろくないのはૠ外国語を日本語に訳したものではૠそのおもしろさ
やおかしさが日本人には通じないからでありૠ逆に日本のものを外国語に訳したときに外国
人がおもしろいと感じૠ外国でも通用するものとなり得るかૠという問題が同様に発生すると
語っているૡ
ここでૠ思い出されるのが「母親がくれたこの洋服をૠおれの身体に合った和服に仕立
て直してみようと考えるようになった」17)という遠藤の言葉であるૡ外国の宗教であるキリスト
教を日本人に合うキリスト教というものに変化させる作業がૠ遠藤の作家としての一生を賭け
たテーマであったがૠこのことはユーモア作品を執筆する上において純文学だけでは読者に
伝わりにくいものをૠ作風やアプローチの仕方を変化させながら我々に「日本人に合うキリ
スト教」を形を変えて伝えようとした姿勢ではなかっただろうかૡこのことを暗示するようなૠ遠
藤の文学におけるユーモアについて次のような言説があるૡ
だがૠ私が夢想するのはૠ文学における笑いが疎外された人間と人間ૠ人間と外界の
関係を再び回復するためにつかわれないかということであるૡ私は笑いには幾種類もあると
いったがૠ近代文学が逆手につかった風刺の笑いが人間の孤独を深めるものであったのに
たいしૠこの新しい笑いは人間の回復に役立たないかということであるૡもちろん私自身にも
その笑いがどのような笑いかわからないૡしかしその人間関係回復のための真の笑いをもし
文学者が発見できたならば……ૡ18)
遠藤は自らの小説家としての一貫したテーマを持ち続けた作家であったと同時にૠ笑いの
文学において人間回復に役立つ方法を模索していた作家であったともいえようૡここでૠ作
家本人がなぜ「軽小説」を書くかという製作の秘密を打ち明けた文があるのでૠ引用し検
討してみるૡ
16) 遠藤周作(1983)『私にとって神とは』,光文社.p.190
17) 前掲書16)p.11
18) 前掲書6)p.313
XYW#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4䭋
自分にある固定したイメージをつくられると息苦しい感じがしてならないૡ私は三年に一度
ぐらいの割合で堅くるしい小説を書くのでૠそれが発表されたあとૠ読者から私がૠ世界ૠ
人生に悩みぬいたようなイメージを抱かれるのではないかと思うとૠたまらなく嫌であるૡ実際
にそんな手紙を読者からもらうとૠ自分が偽善者のような気がしてૠ精神衛生上とてもわる
いૡ
だからそのあと私は色々な形で自分が軽薄な人間であるということを自分の読者に知ら
せようとする ૡ 周作が臭作になりかわろうとするのはたいてい堅苦しい作品を書いたあと
だૡ19)
ここで述べられている「堅くるしい小説」というのはૠ『海と毒薬』や『沈黙』『死海
のほとり』などૠ遠藤自身の問題に向き合う<俺自身のために書いている>作品のことであ
るૡそして<周作が臭作になりかわろうとする>のはૠ自分自身の固定されるまじめなイメー
ジを払拭するためとૠ純文学で見せる顔だけが遠藤の顔ではないことを読者に向けたメッ
セージとも受け取れるૡ周囲から作り上げられる自分自身のイメージとૠ本来の自分との格
差が耐えられなかったという遠藤がૠ精神的なバランスを保つためにユーモア小説や狐狸
庵シリーズを執筆したというのは十分納得できるૡけれども果たしてそれだけの理由でૠあれ
ほどの膨大な量のエッセイやユーモア小説群を執筆し得たかという疑問が湧いてくるૡ
遠藤の発表した作品を年譜に沿ってみてみるとૠ確かに純文学を書き終えたあとにエッセイ
や雑誌掲載の短編などの執筆が増えているのがわかるૡこの事実を踏まえૠもう一歩踏み
込んで考えてみるならば前述の<文学における笑いが疎外された人間と人間ૠ人間と外界
との関係を再び回復するためにつかわれないか>という言説を遠藤の『膝栗毛』を読む姿
勢と重ね合わせることはできないだろうかૡ遠藤は戦争中に『膝栗毛』を読んでいた頃の
エピソードとして「あれを読むとまだ日本人は信じられるという感じがするからですૡ戦争
中ૠ日本人がもういやになったときૠ弥次喜多読んでるとૠまだ日本人は信じられるって気
にさせられたからですૡ(中略)そこに人間を信じようという気持もあったような気がするૡ」20)
と語っているからであるૡ
この部分から推察するとૠ遠藤は人間が人間を殺しあう戦争という残酷な現実を目の当
たりにしૠ生きることとは何かૠ死と背中合わせの毎日を過ごしながら人間不信の感情を抑
え切れなかった時ૠ『膝栗毛』の世界により深く入り込んだのであるૡそして青年時代の遠
藤に救いを与えૠ戦争の苦しみの最中であったからこそ弥次喜多の笑いに救われૠさらに
人間を<信じる><信じたい>という祈りにも似た感情を発見したのかもしれないૡまたૠ
「ユーモアというのはૠ高みから見るんじゃなくてૠ劣等者の視点からものを見た場合に成
立する」21)という言葉からはૠ遠藤のユーモア小説に多く登場する「バカでお人よし」な人
19) 遠藤周作(1972)『ぐうたら人間学』,講談社.p.46
20) 前掲書2)p.170
21) 前掲書2)p.169
遠藤周作『おバカさん』論 - 『東海道中膝栗毛』との比較を通して - 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 松橋幸代ˎXYX
物像が浮かび上がるૡ
以上のような点をふまえた上でૠ次ではこれまで遠藤が描いてきた純文学小説の形とは異
なりૠ初めてのユーモア小説としてのデビュー作である『おバカさん』にૠ遠藤の新しい試
みとしてどのようなユーモアが盛り込まれているのかを検討してみるૡまた『膝栗毛』に登場
する滑稽と『おバカさん』に登場するユーモアがどの程度類似性が見られるかૠ笑いの要
素と登場人物像に着目しૠ整理してみるૡ
3. 二作品に登場する笑いの比較
『東海道中膝栗毛』は1802年(享和2年)から1814年(文化11年)まで長期にわたっ
て十返舎一九によって書かれた長編旅物語であるૡ一九は日本第一の流行作家になりૠ
原稿料だけで生活を維持することができた最初の職業作家であるૡ作品の中には狂歌が
多く挟まれておりૠ浄瑠璃ૠ歌舞伎ૠ浮世草子ૠ落語ૠ川柳などに関する一九の素養が
生かされているૡ長編としての一貫性が整っているとは言いがたい作品ではあるがૠ旅先で
の珍しい出来事やハプニングはもちろんのことૠ庶民の間にも<お伊勢参り>がブームとな
りૠ巷に普及しただけでなく大ベストセラーとなった作品であるૡ
遠藤は『おバカさん』の連載開始を前に「朝日新聞」に「作者のことば」として次のよ
うなメッセージを発しているૡG
哀しいがૠ明るい小説を書いてみたいと思いますૡまずૠ主人公はぼくが平生からあこがれている ような人物ですૡその主人公を作者はあえておバカさん─そう呼びますૡ(中略)しかし「おバカさ
ん」とはバカという意味ではありませんૡ母親がいたずら小僧に「オバカサン」そうささやく
時のあのやさしい愛情を作者はこの小説の主人公に抱いているのであるૡ22)
遠藤はૠここで「バカ」の意味を明確に定義しているૡ決して上から見下ろす視点から
相手を馬鹿にする笑いではなくૠそこには<やさしい愛情>のまなざしが窺えるૡ
ではૠここから長年にわたって遠藤の愛読書であった『膝栗毛』が『おバカさん』の作
品中にどれほど滑稽の素材として投入されૠ反映されているのかを検討してみたいૡ
まずૠことばの面白さについてみていこうૡ前述のとおりૠ『膝栗毛』には言葉のリズム
感や七五調ૠ狂歌ૠ駄洒落などさまざまな日本語独特の面白さが数多く取り込まれてい
るૡどんな作品においてもૠ題名や書き出しというのはその作品の顔となる最も重要な部分
22) 遠藤周作(1999)『遠藤周作文学全集第5巻』,新潮社.p.339
本稿において『おバカさん』の引用文は上記の全集に収録されている頁数を括弧の中に数字で表記するものとす
るૡ
XYY#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4䭋
であるૡそこでまずૠ『おバカさん』と『膝栗毛』の書き出しに注目してみようૡ『おバカさ
ん』の書き出しは「梅一輪ૠ一輪ほどのあたたかさが終わって―」(9)であるがૠこれは
いうまでもなく嵐雪の句からの借用でありૠこの冒頭の一句はまさに『膝栗毛』を連想させ
るような書き出しであるૡ『膝栗毛』の冒頭部分である<道中膝栗毛発端>をみるとૠ
「武蔵野の尾花がすゑにかゝる白雲と詠みしは」(22)とあるૡこの五七調のリズムはૠ
実に日本語の独特のリズム感がありૠ遠藤の指摘する日本的なユーモアのことばのリズム
を如実にあらわしている部分であると考えられるૡ日本的なことばのリズムを重視した遠藤が
『膝栗毛』の影響を受けૠ作品の冒頭で取り入れたと見ることはできないだろうかૡ
またૠ両作品において当時の流行語を作品の中に取り込んでいる部分も類似点を見せて
いるૡ例えば『膝栗毛』においてૠ言葉を逆に話すことでおかしみを表現しているものとして
「真赤に腹を立て」というところを「まっくろに腹を立て」(37)といったりૠ「面白い」を「面
黒い」(72)ૠ「工面」を「めんく」(155)ૠといったものが挙げられるૡこのような通言
が一般化された言葉を取り入れૠおもしろさを引き出しているૡそして『おバカさん』でも
「魅力」を「ミリキ」ૠ「3K」(11)(当時の若い女性が欲しがる三つの代表物として
「恋人」「車」「株」の頭文字をとったもの)などといった流行語を登場させているૡそ
の他にも言葉の音の響きや繰り返しのリズムで滑稽をあらわしている箇所も両作品に見られ
るૡ「ちやれやれૠちやりとはちやわいもないことをૠちやべらしやるૡちやつきからのんだは
ちやばかりૠちやとうしゆのちやけをૠちやぶくしたおぼへはごちやらぬૡわるいちやれだチヤ
ハૠૠૠૠ」(165)の部分では「ちや」という言葉の反復とそのリズム感におかしみがあ
るૡこれと同じように『おバカさん』においてもこのような語句の音の響きや繰り返しのリズムで
ユーモアを表現している部分が見られるૡ差出人が女性であると勘違いし疑っている妹に
対しૠ潔白をはらそうとする兄隆盛が手紙の開封を促す一場面がそれであるૡ「開いても
らいましょうૡハッキリ目の前で開いてもらいましょう」(16)という隆盛の切られ与三のような切
り口上で啖呵を切る口調におかしさがあるૡこの部分ではૠリズミカルな歌舞伎の狂言の台
詞を言わせૠぐうたらな兄が一瞬巴絵をひるませる効果をも与えているところに読者の笑いを
誘いૠさらに生き生きとした場面の演出に一役買っているૡ
その他にૠ言葉の意味のはき違いによる滑稽も両作品にあらわれているૡこれはૠ日本
語の特徴のひとつでもある同音異義語の多さによるものであるがૠことば遊びのユーモアの
ひとつでもあるૡ喜多が京での「盲禄」という言葉の意味を知らなかったためにૠ観客たち
に馬鹿にされたと勘違いする場面がこれにあたるૡ
北八「弥次さんきいたかૡこつちの役者にはૠいろ/\のへんちきな名があるૡ大根だの盲 録だのとૠよもや俳名じやアあるめへ
弥次「大かた役者の仇名だろう
北八「そんなら今出た役者がもうろくだなૡヨウ/\ૠもうろくありがてへぞ
遠藤周作『おバカさん』論 - 『東海道中膝栗毛』との比較を通して - 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 松橋幸代ˎXYZ
トいうとૠ見物にどつとおちがきてૠきやうげんは見ずにૠきた八のほうばかりみてૠどつ/\とわらひながら
「イヤ向ふさじきのもうろくさまૠ大でけ/\
けんぶつ「あほよ/\ૠ向ふさじきのૠもうろくのあほうヤアイ
北八「なんだૠむかふさじきのもうろくたアૠなんのこつたૡはなつたらしめら
弥次「ハૠૠૠૠૠはなつなたしたア手めへのこつたは
北八「なぜ/\
弥次「上がたでૠもうろくといふはૠ折助のことだはૡ手めへ紺のかんばんをきてゐるからૠそれで みんなにૠひやかされるのだは (396)
この場面はૠ弥次が幟を仕立て直した安物の着物を着ていたことで失敗した場面であ
るૡ「もうろく」という言葉の意味を知らなかった喜多が役者の名前とはき違えたところにおか
しさがあるૡまたૠ弥次と団子屋のばばの対話の中に出てくる「孫」と「馬子」を勘違い
した話も同様であるૡ
ばゞ「わしは子どもはおざんない
弥二「そんなら孫か
ばゞ「インネૠ子がなけりやア孫もおざんない
弥二「ハテノおめへの孫でなけりやアૠたしかどこのか孫であつた
ばゞ「インネૠ馬士じやアおざんないૡとなりのかごやの子でおざるは (120)
このように同音異義語を駄洒落にしてૠおちにする落語も数多く存在しૠまた現代のお笑
いにおいても通用するユーモアであるૡ一方『おバカさん』にも本来の言葉の意味ではな
くૠ隠語として使われている言葉が本来の意味とはまったく異なって使われているという滑稽な
場面があるૡ
「小便しよったんやૠあのパンスケめが……」
「まあૠあの子……小便したんですか」
(ショウベン……)
なるほど……大きな顔に微笑をうかべてガストンはうなずいたૡ(65)
ガストンはૠこの「小便」という言葉を辞書的な意味で理解したのだがૠ実はૠ娼婦が
客から金を巻き上げたあとにૠ便所に行くと称して逃げてしまうという意味でここでは使われて
いるૡ外国人であるガストンはૠ「ショウベン」の隠語を知らずに娼婦に逃げられた男にマ
ジメな顔をして人間の生理的な「小便」について他人を怒る権利はないૠと口論になるとこ
ろにユーモアがあるૡまたૠこの他にも隠語として「宿」を「ドヤ」ૠ「助けてもらう」「ス
ケてもらう」ૠ日雇い労働者の意の「ニコヨン」等が作品中に多く使われているૡこのよう
XY[#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4䭋
な隠語を取り入れることによりૠ一層作品を庶民的な感覚にする効果を与えつつૠ遠藤の
言う「読者との距離感を縮める」役割を果たしているといえようૡ
またૠ『膝栗毛』二編上の「道中膝栗毛後編凡例」(84)の中では方言について
の説明があるૡ例えば「恐ろしい」ということを相嘐では「おつかない」と言いૠ駿嘐では
「ゑずい」と言いૠ遠州では「こはい」という言葉遣いをすることを紹介しているૡさらに遠
州では「九ツ」を「けゝねつ」と言いૠ「心なし」を「けゝれなし」ということも挙げてい
るૡこれと同じように『おバカさん』では山形の方言について次のように説明されているૡ巴
絵のことを「めんこいお方ですなっス」(154)と女中は誉めたがૠこれは「きれいな方で
すね」という山形弁であるૡまたૠ「長旅でこわうございましたでしょૡちゅうこうで東京から
おいででしたか」(154)という言葉を隆盛は「ちゅうこう」は「急行」とすぐに理解できた
がૠ「こわい」という言葉の意味がわからずに「電気機関車だからこわいことはなかったで
すが……」と答えたૡ山形地方ではૠ「疲れた」という意味が「こわい」という言葉であると
女中は説明するૡさらにこの場面では作家がユーモアを増長させるためૠ隆盛に山形弁の特
徴がわかるように単語を羅列しながらつぶやかせているૡ
「そうかૡ煙草のピースのことをペーシૠバスのことをバシૠジドウシャのことはズドウシャૠ
今日のことはチョウૠシンブンのことはスンブンか」
隆盛は二階で女中を相手に言葉の研究であるૡ
(するとૠウンコのことはエンコૠシッコのことはスッコというわけだな)……彼はすぐ心の名
かでまた品のよくないことを考えるૡ(155)
この場面では山形の方言の特徴を端的に捉えた上でૠ『膝栗毛』に多く登場する糞尿
譚の部分までも類似させૠ読者の笑いを誘う場面となっているૡ一九は『膝栗毛』の中で
地方によって発音が変化したりૠことばの意味が変わってしまうおもしろさを描きૠそこから生
まれる誤解を弥次喜多のおもしろさにつなげているૡこの手法と同じように遠藤も『おバカさ
ん』の中に山形弁の特徴を用いてことばのおもしろさを表現したと言えようૡ
遠藤のユーモア作品やエッセイには「ウンコ」「オシッコ」などの単語の他に「オナラ」
「便所」などૠ人間の生理現象に関する糞尿譚が多いことも特徴であるがૠこの点にお
いても『膝栗毛』の影響が大きかったと言えるのではないだろうかૡ『膝栗毛』には排泄
物に関する話が随所にあらわれているૡ遠藤の作品はૠ『膝栗毛』に比べるとそれほど露
骨ではないがૠそれでも『おバカさん』にも次のような場面があるૡ
「おいૠミッちゃん」
突然ૠ壁ごしに男の声がきこえるૡ
「おれナૠ便所さૠいきてえだ」
「うるさいわね……寝かしてよ……」
遠藤周作『おバカさん』論 - 『東海道中膝栗毛』との比較を通して - 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 松橋幸代ˎXY\
「薄情なこといわずૠ起きてくんろよ」
「うるさいなあ……洗面台のなかにしてしまいなさいよ……」
(中略)
サラૠサラૠサラ……ૡ
かぼそい水の流れるような音がきこえてきたૡ男が女に言われたように部屋のすみにある洗
面台のなかにおしっこをしているらしいのであるૡ(63)
『膝栗毛』には性的な内容で滑稽をあらわしている箇所があるがૠ遠藤は露骨な性描
写は忌避する作家として知られるૡしかしૠ人間の生理に関する性的な表現にはかなりこだ
わりがあるようであるૡ上記の引用以外にもૠ街中で出会った娼婦の描写にもそれがあらわ
れているૡ『膝栗毛』における性的な滑稽はかなり露骨である反面ૠ遠藤は登場人物の
人間像ૠ特に娼婦という階層の人間像を引き立てる効果を出すために用いたと考えられ
るૡ二作品は性的な滑稽が登場するという点では類似しているがૠその用途は異なるといえ
ようૡ
またૠ勘違いのおもしろさの象徴として「ふんどし」が挙げられるૡ『膝栗毛』にはૠ褌
にまつわるおもしろ話が何度も登場するૡ例えば二編上の「浮世道中膝栗毛後編」に
はૠ喜多が白い手拭いをかぶると顔が白くなってとても粋に見えるという話を聞いてૠ袂から
さらしの手拭いを出して被る場面があるૡすれ違う女たちがくすくす笑うのでૠ喜多は自分
が粋な男に見られているとばかりに上機嫌になったがૠ実は頭に被っていたのはさらしではな
く木綿の褌だったのであるૡ
弥二「わらつたはづだ手めへの手拭を見やૡ木綿さなだのひもがૠさがつていらア
北八「ヤア/\ૠこりや手拭じやアねへૡゑつちうふんどしであつた
弥二「手めへゆふべૠふろへはいるときૠふんどしを袂へいれてૠそれなりにわすれたはお
かしいૡ大かたけさૠ手水をつかつてૠ顔もそれでふいたろふૡきたねへおとこだ
北八「そふよૡどうりこそわるぐさい手ぬぐひだとおもつた(89)
これはૠ手ぬぐいだと思っていたものが実は褌だったૠという勘違いがおもしろくૠまた喜
多が粋なところを見せようとしてわざわざ被ったのにもかかわらずૠ褌の紐がさがっていたとい
うところが笑いのツボであるૡこれと同様に『おバカさん』にも「フンドシ」が登場するૡガ
ストンが日本に着いた最初の日ૠ隆盛と巴絵と一緒に入った寿司屋での場面であるૡ
「これૠネエ……」得意そうに大声で説明するૡ「マルセイユの日本船の人タナカさんૠ
くれましたよ」
客や店の若い衆がじっと注目する中でガストンは悠々とそのヒモを首に結んで無邪気に
笑ったૡ
「日本のナプキンつけましょう……」
巴絵と隆盛をのぞいて店中の者は爆笑したૡガストンが首につけたのは男が前をかくすフン
XY]#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4䭋
ドシだったのであるૡ(37)
『おバカさん』のガストンは外国人であるためૠフンドシがナプキンと似ていると認識したと
ころにユーモアがあるૡガストンはタナカさんに「コレハナンデアルカ」と質問したにもかかわ
らずૠ若くて純情な船員は真実を打ち明けられずૠ「これは……日本人のナプキンૠであり
ます」と答えたのだったૡしかもૠガストンは赤城丸を訪問した記念にૠと自分のネクタイとわ
ざわざ交換を申し出て手にいれたのであるૡこのようないきさつをみるとૠガストンに悪い点は
まったくないのだがૠこの事件によって巴絵はガストンに対して「(いくら外国人だって─バ
カૠバカだわૡ本当にこの男ૠバカじゃないかしら)」(38)と軽蔑と怒りを抑えられなかっ
たૡ巴絵のガストンに対する期待が決定的に大きく裏切られૠナポレオンの祖先とは名ばか
りのまぬけな人物であることがここではっきりと示されるૡ
4. 二作品における登場人物の比較
この節では二作品における登場人物における滑稽の比較をしてみるૡまず『膝栗毛』の
弥次喜多の人物像に迫ってみるૡ弥次は駿河出身の商人であったがૠ旅役者に入れ込
み男色にふけって親の財産を食いつぶし仕方なく江戸に出てきた男であるૡ一方喜多は弥
次が入れ込んだ旅役者でありૠ弥次の食客として養われているが商売上手でもあるૡこの
二人の珍道中の始まりはお伊勢参りであるがૠ身分制度にしばられることもૠ女房にもしば
られるのも嫌になってしまったૠ日常の退屈さからの脱出の旅ともいえるૡ江戸っ子ではない
二人が粋がって失敗する滑稽も『膝栗毛』のあちこちにちりばめられているがૠ田舎者で
ある自身をなんとかごまかそうとするところにおかしさがあるૡ例えばૠ子供を相手に算用をご
まかす場面ૠ駕の下敷の金をごまかしたりする場面などがそれであるૡしかしૠこれらの道
徳心を欠いたことから発生する事件はૠ決して計画的なものではないのが特徴でありૠ二
人は悪気のない愚昧な人物として描かれているૡ『おバカさん』においてこのような人物とし
て描かれているのはૠ言うまでもなくガストンであるૡガストンにはまったく悪気はないのである
がૠその行動は常識を外れておりૠまた道徳的な観念の欠陥による行為が読者の笑いを誘
うૡガストンが「今日からこのイヌさんૠみんなのお友だちૡわたしと同じお友だち」(42)と隆
盛の家族に許可も得ずૠ勝手に野良犬を拾ってきてしまう場面などがそれに当たるૡ
またૠ文化や習慣の違いによる滑稽も盛りこまれているૡ『膝栗毛』の中でも特に有名
な場面のひとつである「小田原の風呂騒動」はૠ弥次喜多が小田原の風呂の入り方を
知らずに失敗する話であるૡ一方『おバカさん』ではૠガストンが浴衣を着たまま靴を履
きૠ近所を歩き周り巴絵を苛立たせる場面があるૡどちらもその土地(国)の習慣やマナー
遠藤周作『おバカさん』論 - 『東海道中膝栗毛』との比較を通して - 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 松橋幸代ˎXY^
を知らずに顰蹙を買うという点で類似しているૡその他におでんを初めて見たガストンが
「腐ったパンの切れはしをいくつも細い木の棒にさした(69)」ものに見えた場面やૠ娼婦の
前で「礼節正しいフランスの人であるからૠ御婦人の前では脱帽すべきだろうと思った(6
9)」ことなどはૠ外国人であるガストンの目から見る日本の姿を写し出しૠその独特の見方
や行動が笑いに結び付いているૡ
隆盛の家を出て泊まるところのないガストンをૠ娼婦たちは知り合いの占師のところへ連れ
ていくがૠ『膝栗毛』のなかにも八編中に弥次喜多が占いをしてもらう場面が登場するૡ
ここではૠ宝くじに当たったことをト師が当てられるかどうかを試すૡト師の適当な占いにૠ二
人は結局十六銅を取られてしまうૡ二人の大らかさとト師との駆け引きが面白さを引き出して
いるがૠ『おバカさん』に登場する占師の面白さはૠ老人言葉が理解できないガストンと
のやり取りとૠ占師の独特な視点でガストンを観察する場面にあらわれているૡ
「ナポレオン……なるほどૠそれで合点もいくૡまずわしの透視にあやまりはなかですたいૡ
おわかりかなૠ人の顔を見てその運命ૠ性格などを見通す―申しおくれたがૠわしは川井
蜩亭と呼ぶ東洋の占師です」
「わたしの名……ガス」
ガストンは隆盛からつけられた愛称をそのまま老人に教えたૡ
「ガス?ガスと申すはここからでるガスですか」老人はまじめくさって自分のやせたおしりを
指さしたૡ「名前も面白いがૠ実際ふしぎなお顔ですたい……あんたのは」
「ハイૠハイ」
「近ごろめったにお目にかからん人相じゃけん……」(73)
占師の老人の口調のみならずૠここでも「オナラ」を話題にしながらユーモアを描いてい
るૡしかしૠこの後の展開でこの老人は単に占いをする人間というよりはૠ社会批判の代弁
者として描かれておりૠまた自分のやっている占い自体を信じてはいないと告白するૡ『おバ
カさん』の占師はユーモアの表現のためだけに登場するのではないという点においてૠ『膝
栗毛』の卜師よりも重みのある登場人物であるૡ
またૠ『膝栗毛』には道中で出会うさまざまな人間が描かれているૡその性格もさまざま
であるがૠ特にお互いに損をしないように騙し合ったりૠごまかしたりする話が多く登場するૡ
しかしૠ結局のところ弥次喜多はそれを恨むことも無くૠ「ワッハッハ」と笑い飛ばす豪快さ
があるૡ計画的に騙したりૠ仇を討ったりするような場面も無いૡそれはૠ弥次喜多が一箇
所にとどまる事をせずにどんどん次の場所に移動することによってૠ一期一会の事件の面白
さと新鮮さが読者にもうけたのであろうૡ『おバカさん』の中ではガストンを中心に場所の移
動が行われているૡもちろんૠガストン単独で移動しているのではなくૠガストンは殺し屋遠
藤を決して捨てないという使命で旅をするのだがૠガストンがフランスから日本に移動する際
に起きた事件や日本に到着してからの事件もૠ江戸っ子ではない弥次喜多が道中で繰り
広げるさまざまな事件と重なる部分が見えるૡそれは外国人のガストンが日本の常識を知ら
XY_#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4䭋
ずに失笑を買う場面と類似していると言えようૡ
そしてぐうたらな性格の隆盛と現代風のチャッカリした妹の巴絵の性格との対比も作品中で
は笑いを引き出す大きな鍵となっているૡ特にૠ冒頭の部分ではこの兄妹の関係について
幼い頃から現在に至るまでૠその力関係の推移をユーモアを交えて描いているૡ
隆盛の経験から言うとૠ妹は子供の時から兄貴という男性にたいするૠ監視人でありૠ批
判者であるૡ特に生意気ざかりの十四ૠ五歳をすぎるとૠもうイケませんૡ彼女たちは兄貴
のどんな小さなアラや失敗でも決して見のがさないૡ
「お父さまに言いつけるから」
(中略)
早い話がチャッカリした巴絵は生活力においても彼を凌駕しているのであるૡ(11)
その他に『膝栗毛』ではモノを擬人化して滑稽を表現している部分があるがૠ『おバカ
さん』では反対に人間を魚に喩えている場面がユーモラスであるૡフランスの情緒ૠパリ
ムードを売り物にしているコーヒーショップに来ている客たちの姿の描写であるૡ
喫茶店の客の顔は魚に似ているૡ
なにを思索しているのかくるしそうな顔をした文学青年の目はボラの目のようだૡ
甘いシャンソンの音楽にうっとりしているムード娘ૡこれは十匹一円のメダカૡ
その娘をひそひそと小声で口説いている中年男はスケソウダラのようにいやらしいૡ(46)
さらに『膝栗毛』では歴史上の人物などに対する一般的概念を破壊するようなૠ例えば
源九郎義経や静御前ૠ片岡などを田舎者のあだ名として取り扱いૠ笑いを引き出す効果
を出しているがૠ『おバカさん』の作品でも次のように隆盛と巴絵の命名由来について説明
している部分にあらわれているૡ
「第一名前がよろしくないૡ九州鹿児島の出身で漢学者であった祖父が男の子には西郷
ૠ ૠ ૠ ૠ ૠ
ドンのような大人物になるべしとૠはじめての孫に隆盛という名をつけたૡ名は体をあらわさず
(傍点論者)でૠ隆盛の場合は一向に豪放磊落な大人物の面影はないがૠ巴絵の方は
あの木曽義仲にしたがった巴御前のようにૠ勝気でૠ負けず嫌いでૠチャッカリでૠつまり
当世風の近代娘に育ってしまったのであるૡ(10)
祖父の思惑通りの西郷隆盛のような人物とは程遠いぐうたらな隆盛の姿とૠ巴御前のよう
な気質を持ちながら男を見くびる性格の巴絵を歴史上の人物を引用しૠその人物像との
ギャップを持たせることで笑いを引き出しているૡ
またૠ弥次喜多の性格をみるとૠ臆病者でありながら強がりの性格をもっておりૠ虚飾家
でもあるという点が笑えるૡ体面を飾りૠ法螺を吹くおかしみでありૠ意地汚く嘘つきな人物
遠藤周作『おバカさん』論 - 『東海道中膝栗毛』との比較を通して - 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 松橋幸代ˎXY`
であるૡ駕の下敷から金を着服する話において普通の盗人と異なる点はૠその着服した金
を使って駕舁におごってやりૠ景気のいいところを見せૠけっして自己の利益のための着服
ではないというところがૠ憎めなく無邪気な人物像を浮かびあがらせるૡまたૠ四編上には
駕舁が文盲であるのをいいことにૠ百人一首を持ち出して歌人ぶる話が登場するがૠ弥次
喜多のおおらかで裏のない単純な性格がうかがえるૡ
一方ૠガストンが隆盛の家で食事をご馳走になる場面ではૠたくさんの皿数をみて子供
のように「一つૠ二つૠ三つૠ四つૡたくさんૠたくさん」(40)と子どものように喜ぶ姿が
描かれているૡそして隆盛の家に向かう途中ૠタクシーの中から三歳児のように車の窓にし
がみつきながら外を眺めるガストンの姿もૠ子供のように素直で無邪気な人物像を表現して
いるૡ
このようにૠ弥次喜多の無邪気な性格とガストンの子供のような性格で憎めない人物像は
類似しているૡ大人の常識を破りૠ相手を傷つけることのない嘘や見栄ૠそして素直さゆえ
の失敗が読者の笑いを誘うのであるૡ
『滑稽文学論』23)の著者である麻生磯次は『膝栗毛』の中にあらわれる滑稽について
詳細に分類しているがૠその中の一つに卑俗化の滑稽として「歴史上の人物などに対する
一般的概念を破壊するが如きૠ例へば源九郎義経ૠ静御前ૠ亀井ૠ片岡などをૠ田舎
者のあだ名として取り扱ふが如きもૠ同種の技巧に属する」滑稽を指摘しているૡこのよう
に『膝栗毛』の中では歴史上の人物を卑俗化することでおかしみを表現しているがૠ『お
バカさん』においてもナポレオンの祖先であるというガストンを卑俗化しているという点で共通
点が見られるૡガストンの場合にはૠ外見は馬面で白痴のようにニタッと笑いૠ服装はしわ
だらけでチンチクリンの短いズボンを穿いているૡ知性の無さはૠ手紙の文字や漢字の間
違いや文章力で暴露されるૡまたૠ簡単な単語しか理解できずૠたどたどしい日本語しか
話せないためૠ自由な意思疎通も不可能であるૡさらに全財産は3000円しかなくૠ空腹で
ひもじい思いをしૠ所持品もたった一つの信玄袋だけであるૡこれは読者の期待度を大きく
外すためにૠ作家の細かい描写によってより卑俗化が徹底されている部分と言えようૡ
ૠ ૠ
またૠガストンが野良犬を「イヌさん(傍点筆者)」(41)と人間と同格のように「さん」
をつけて呼びૠ「ナポレオン」(70)という自分と同じ名前を与えた部分があるૡこの場面
においてૠ犬という動物をあたかも人間のように扱うガストンの態度や言葉遣いにૠやはり
ユーモアの効果があらわれているૡしかしその一方でૠガストンが自分の寂しさを分かち合
う存在としてのモチーフを位置づけるための効果も持たせているૡ
その他にૠ弥次喜多が「十返舎一九」を名乗って招待を受ける話があるがૠ『おバカ
さん』でも巴絵が目にする新聞の記事についての部分においてૠ「毎朝ૠ隆盛と会社に
出かける朝食の食卓でૠはしを動かしながらこの巴絵がサッと目を走らす新聞のページはૠ
23) 麻生磯次(1954)「膝栗毛の洒落と滑稽」『滑稽文学論』,東京大学出版会.p.121
XZW#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4䭋
三面記事でも映画欄でもないૡましてこの「おバカさん」というような小説でもないૡもっとも
実用的なる証券欄であるૡ」(12)のようにૠ作中に『おバカさん』という同様のタイトルの
小説を登場させる部分があるૡこれはૠ読者の笑いを引き出すだけでなくૠより作品の世
界と読者を近づけるのに効果的な手法であるૡそしてૠ何よりも殺し屋の名前が「遠藤」
でありૠ作者の名前と同一にしたことも注目すべき点であろうૡ
5. おわりに
以上ૠ遠藤最初のユーモア小説である『おバカさん』においてૠ遠藤の愛読書であっ
た『東海道中膝栗毛』に登場する滑稽とどのくらい類似性をあらわしているかについて分析
してみたૡその結果ૠ『膝栗毛』に多く登場する日本語独特の言葉の洒落や滑稽が
『おバカさん』にもかなり多くあらわれ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ૡ特に作品の顔とも言える冒頭部
分において嵐雪の句を引用したことからみてもૠ『膝栗毛』の冒頭の七五調の書き出しを
意識したのではないかと思われるૡまたૠ『おバカさん』はフランス人青年を中心として物語
が展開するためૠ導入部分はより日本的な情趣を漂わせたいという意図があったかもしれな
いૡさらに物語の前半部分に多くの笑いを含ませているのはૠ読者の心をつかむためとも言
えるだろうがૠこの作品構成は『膝栗毛』も同様であるૡ
『膝栗毛』では旅の途中で出会うさまざまな人間模様を描きつつૠ弥次喜多の失敗を
面白おかしく描いているૡ一方『おバカさん』も外国人であるガストンが日本の文化や常
識を知らずに失敗してしまうおかしさが描かれているૡ弥次喜多の失敗もૠガストンの失敗も
その土地(国)の人間ではないことからくる誤解の失敗であるૡ両者とも他人を傷つけるよ
うなユーモアはあらわれていないૡこれはまさに遠藤が目指している新しい笑いのユーモアで
あるૡ遠藤は人間回復のための笑いを『膝栗毛』に求めた読み方をしたようであるがૠ自
身の最初のユーモア小説である『おバカさん』にもかなり多くの点において類似点を見せて
いることが指摘できたૡこのようにૠこの二作品には共通した笑いの要素が多く組み込まれて
いると言えるがૠ性的な滑稽においては『膝栗毛』が露骨なものが多いことに比べૠ『お
バカさん』の場合ૠ性描写というよりは生理的な排泄行為の描写を用いながらૠ人物像の
イメージを引き出すために用いているという点で異なっているૡ
またૠ遠藤の『膝栗毛』の読み方として単なる大法螺吹きの笑いだけにとどまらずૠ人
間の人生の哀しみや寂しさを弥次喜多に感じていることにも注目すべきであるૡ弥次喜多も
結局は地方にも江戸にも住みえなかった人物でありૠガストンもまた隆盛のところにずっととどま
る事ができない人物であるૡ遠藤のユーモア作品処女作である『おバカさん』にも笑いの
裏側にひそむ人間の哀しみを見つめる目が注がれているૡ
遠藤周作『おバカさん』論 - 『東海道中膝栗毛』との比較を通して - 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½ 松橋幸代ˎXZX
【參考文獻】
麻生磯次(1954)「膝栗毛の洒落と滑稽」『滑稽文学論』,東京大学出版会. p.121
遠藤周作(1972)『ぐうたら人間学』,講談社. p.46
遠藤周作,井上ひさし(1974)「神とユーモア」『文学界』10月号,文藝春秋. p.172~174
遠藤周作(1974)『日本人を語るー遠藤周作対話集ー』小学館. p.215
遠藤周作(1975)『第二ユーモア小説集』,講談社. p.332~333
遠藤周作(1983)『私にとって神とは』,光文社. p190
遠藤周作(1999)『遠藤周作全集第5巻』,新潮社. p.9~12,16,36,40,42,65,69,
339
遠藤周作(2000)『遠藤周作文学全集第14巻』,新潮社. p.271
遠藤順子(1998)『夫の宿題』,PHP研究所. p.76
加藤宗哉富岡幸一郎[編](2009)『遠藤周作文学論集文学篇』,講談社. p.313~317
小嶋洋輔(2007)「遠藤周作「中間小説論」─書き分けを行なう作家─」,千葉大学人文
研究no36. p.313
十返舎一九校注中村幸彦(2000)『東海道中膝栗毛』新編日本古典文学全集81,小学館.
p.76
山根道公(2005)『遠藤周作 その人生と『沈黙』の真実』,朝文社. p.432
XZY# 䤆䌛䈝五䶩䋼佛佛䩀 94䭋
蘶G 覄
遠藤周作の『おバカさん』はૠ1959年3月から同年8月まで朝日新聞夕刊に掲載された作品
であるૡ遠藤にとって最初のユーモア作品であるがૠ遠藤は本名以外に「狐狸庵山人」とい
うもう一つの顔をもつ作家としても知られるૡ遠藤自身ૠ意図的に分裂させて書いてはいないと言
うがૠ遠藤の作品研究においては純文学作品を扱ったものが多くૠユーモア小説に対する研究
はまだ少ないૡそこで今回はૠ遠藤が幼少時代から晩年まで愛読していたという『東海道中膝
栗毛』の滑稽の要素が『おバカさん』にも影響を与えているのではないかという仮定のもとૠ二
作品の類似点を探ってみたૡ
その結果ૠ『おバカさん』の中には日本語の語呂合わせのおもしろさとことば遊びが多く取り入
れられておりૠとくに冒頭部分においては『膝栗毛』と同様に五七調で始まっているૡまた弥次
喜多とガストンの性格や行動ૠそして物語のハプニング発生の背景においても類似性が見られ
たૡ外国人であるガストンが日本の習慣を知らずに失敗することやૠ言葉の意味を取り違えたり
することはૠ弥次喜多がその土地の文化を知らずに大失敗をしてしまう場面と似ているૡ
このようにૠ『おバカさん』と『膝栗毛』の二作品には共通する笑いが多く見られたことによ
りૠ遠藤の愛読書であった『膝栗毛』が遠藤のユーモア小説の世界に少なからず影響を与え
たと見ることができようૡ
G G ျၽၗୖG 東海道中膝栗毛ૠ滑稽ૠユーモアૠ遠藤周作ૠおバカさんૠ
五七調ૠ言葉のリズム
G ൳!!!!ֵ!;!3125/!3/!39
!2౛!੗হ!;!3125/!4/!26!
!3౛!੗হ!;!3125/!5/!!6
!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의『생혈(生血)』론
- 유코(ゆう子)의 ‘성’에 대한 자각을 중심으로 -
朴 裕 美*
1)
(e-mail: [email protected])
目 次
1.
2.
3.
4.
5.
시작하며
‘처녀성 신화’의 굴레
신체 이미지로서의 ‘금붕어’
성적 이미지로서의 ‘박쥐’
마치며
1. 시작하며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 1884~1945)는 메이지 말기부터 다이쇼 초기에 걸
쳐 주로 활약한 여류작가로, 일본 “여성 최초의 자립한 직업작가”1)로 평가받
는다.
그러나 도시코의 작품은 “페미니즘 비평의 관점에서 정면으로 작품분석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그 자유분방한 연애와 파란만장한 삶 등 작품 외측에서의
시점, 그리고 여기에서 파생된 선입관으로 평가되는 일이 많”2)아 오랜 동안
정당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했다.3) 오히려 도시코의 작품에 그려진 적나라한
* 충남대학교 강사. 근현대일본문학 전공
1) 岩淵宏子 北田幸恵 編(2005) 『はじめて学ぶ日本女性文学史ー近現代編』, ミネルバ書房. p.58
메이지를 대표하는 여성작가로는 이미 히구치 이치요(樋口一葉)가 있으며, 그녀 역시 경제적 자립
과 생계유지를 목적으로 집필활동을 했으나 실질적으로 그에 상응하는 수입을 벌어들이지는 못했
다. 따라서 다무라 도시코야말로 직업작가로서 경제적 자립을 이룬 최초의 여성으로 평가받는다.
2) 水田宗子(2005)「ジェンダー構造の外部へー田村俊子の小説」渡辺澄子 編集『今と言う時代の田村俊子ー
俊子新論』所収, 至文堂, p.137 참조
13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성적 관계나 관능적 표현에만 주목해 폄하되곤 했다.
그런 도시코가 “근현대 여류문학의 출발기에 위치하는 작가”4)로 재평가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후반 페미니즘 문학비평의 시점에서 여성문학 작품이
분석되면서부터이다. 이런 작업을 통해 여성을 억압하는 대립자로서의 남성을
묘사하고 여성의 섹슈얼리티의 문제와 그로 인한 내면의 갈등을 대담하게 그
려낸 도시코의 작품이 높게 평가되기에 이른다.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생혈(生血)』은, 연인이라 생각되는 유코(ゆう子)와
아키지(安芸治)가 여관에서 하룻밤을 함께 보낸 후 맞이하는 이튿날 아침의
모습과 두 사람이 여관을 나와 아사쿠사(浅草) 거리를 배회하는 해질녘까지의
정경을 담은 두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두 사람이 관계를 맺은 후 아키지의 태연한 모습과는 달리, 유코는
아키지에 대한 증오와 자기혐오의 감정을 드러내며 가학적 행동을 보이기까지
한다. 이에『생혈』은 “도시코 문학의 중심 테마인 남녀의 상극이 최초로 등장
하는 작품”5)이라는 평가와 함께 주로 ‘남녀양성 상극’의 관점에서 연구되었다.
더욱이 이 작품이 일본 최초의 여성문예지이자 “일본 여성해방운동의 원점”6)
으로 평가받는『세이토(青鞜)』의 창간호(1911. 9)7)에 게재되었다는 사실이 이
러한 관점에 힘을 실어주었다.
도시코는 작품에서 연인과 관계를 맺은 후 유코가 일으키는 마음의 동요를
예리한 감각적 묘사와 상징적 표현을 통해 집요하게 그려내고 있다. 따라서 작
품은 유코의 시선과 의식의 흐름을 쫓아 전개되어 “아키지 부재의 이야기”8)라
할 만큼 남성의 존재는 미미하다. 또한 “남녀의 다툼을 중심으로 한 작품으로
보기에는 유코와 아키지의 관계는 전개다운 전개도 없이”9) 끝을 맺는다. 더욱
3) 도시코는 작가로서의 전성기를 보내고 창작활동에 먹구름이 끼기 시작할 무렵에 스즈키 에쓰(鈴木
悦)와 염문을 뿌리고, 남편 다무라 쇼교(田村松魚)와 결별한다. 그리고 1918년 캐나다로 이주한 스
즈키를 쫓아 일본을 떠나, 18년간 캐나다에 체류한다. 스즈키와 사별한 후 1936년 일본에 돌아와
재기를 다질 무렵 후배 여류작가 사타 이네코(佐多稲子)의 남편인 19세 연하의 구보카와 쓰루지로
(窪川鶴次郎)와 스캔들을 일으키고 중국으로 떠나 그곳에서 생을 마감한다. 이러한 도시코의 연애
에 얽힌 사생활을 이유로 폄하되곤 했다.
4) 黒澤亜里子(2000) 「田村俊子」『女性文学を学ぶ人のために』, 世界思想社. p.107
5) 長谷川啓(1992) 「作品鑑賞『生血』」 今井泰子外編『短編 女性文学 近代』, 桜楓社. p.51
6) 村上信彦(1983) 「『青鞜』とその時代」 『平塚らいてう著作集』第1卷 付錄 , 大月書店. p.6
7) 히라쓰카 라이초(平塚らいてう)등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세이토사(青鞜社)의 월간 동인지로 1911년
9월에 창간되어 1916년2월에 영구 휴간을 맞이하기까지 햇수로 6년간 총 52권이 발행되었다.
자각한 ‘신여성(新しい女)’으로서 봉건적인 家제도의 질곡으로부터의 해방을 주장하고, 현모양처주
의와 싸우며 남성지배사회에 의해 강요된 여성의 미덕을 타파하는 등 일본 페미니즘의 선구적 위
치를 점하고 있다.
8) 鈴木正和(1996) 「彷徨する<愛>の行方 田村俊子『生血』を読む 」『近代文学研究 第十三号』,
日本文学協会近代部. p.6
9) 岡西愛濃(2006. 1․2) 「田村俊子「生血」論─ゆう子の目線から見えるもの(特集 近代)」『解釈』52, 解
―
―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의『생혈(生血)』론 ········································································· 朴 裕 美…135
이 남녀상극을 중심으로 한 기존 관점으로는 작품의 결말에서 박쥐가 소녀의
생혈을 빠는 환각을 보며 “남자가 자신의 몸을 끌어안고 어디든 좋으니 데려
가 주었으면 하”는 유코의 심리를 규명하는 데 있어 적지 않은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기존의 남녀상극을 중심으
로 한 연구경향에서 탈피, 유코가 섹슈얼리티를 자각하게 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먼저 유코의 자기혐오가 무엇에 기인하는지를 메이지 말기부터 다이쇼기에
걸쳐 일본 여성들을 옭아매고 있던 정조관념과 처녀성 신화 등의 시대상황을
바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어 1장에서 유코를 상징하는 금붕어가 2장에서는 박쥐로 변해간다는 점에
주목하고, 유코의 내면의 동요와 심리를 나타내는 상징적 표현의 조명을 통해
그녀가 내적 갈등을 거쳐 이르게 되는 변화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는 자신의 신체와 성적 본능을 이해하지 못했던 유코가 내면에 잠재되어있던 ‘성
적 욕망’을 자각하는 과정임을 확인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2. ‘처녀성 신화’의 굴레
1898년 개정된 메이지 민법은 가부장적 부권제도를 보다 강고히 확립한 것
이었다. 천황을 정점으로 한 ‘家’와 그 호주의 상징인 ‘父’와 ‘夫’의 권리를 확장
하여 질서의 안정을 꾀하는 가운데, 여성은 보다 약한 존재로 재구성되고 비호
의 이름 아래 권리가 없는 자로서 행동과 발언의 제한을 받았으며 가정이라는
틀 속에 갇히게 되었다.
그 일면을 살펴보면 가족은 호주의 의지에 반하여 그 거처를 정할 수 없으
며 가족이 혼인하기 위해서는 호주의 동의를 얻어야 했고 아내의 재산은 남편
이 관리하도록 했다. 또한 여성에 대해서는 간통죄라는 이름으로 그 죄를 엄중
히 물어 남편에게 아내에 대한 이혼청구권을 부여했다. 그러나 아내는 남편이
간통죄로 형벌에 처해진 경우, 즉 상대여성이 기혼자로 그 여성의 남편에게 고
소당한 경우에만 이혼청구가 가능했는데, 그도 ‘父兄 혹은 친척의 대리’를 필요
로 했다. 반면 남자는 첩이나 성매매를 오히려 자랑거리의 하나로 생각할 정도
로 성에 대해 자유로웠다. 이처럼 개정된 메이지 민법은 남녀 성차에 의한 ‘이
중규범’을 통해 법적으로 묵인된 남성의 성적 방종의 대극에 여성의 정조와 순
결이라는 억압적 성규범을 위치시켰다.
釈学会. p.24
13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처녀’는 원래 성경험의 유무와는 관계없이 미혼의 여성을 가리키는 말이었
으나 메이지 초기 ‘조화기론(造化機論)’이라는 이름 아래 구미의 통속 성과학서
의 번역본이 다수 출판되기 시작하면서 메이지 말부터 다이쇼 초에 걸쳐 처녀
와 정조의 의미에 변화가 일어난다. 이 조화기론을 바탕으로 한 메이지 성과학
이 가져온 것 중 하나가 처녀막의 발견과 이에 수반하는 처녀성 관념의 부상
이다.
조화기론에 의해 소녀와 성경험이 있는 여성을 식별하는 방법으로 처녀막의
유무가 소개되고 그것이 처녀의 육체적 증거로 인식되면서 일본인은 처녀성에
얽매이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여성이 한번 남성과 관계하면 피가 더러워진다
는 속설이 유포되었는데, 혼탁해진 피는 다른 남성과 결혼한다 해도 태어난 아
이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유전학의 이름을 빌린 순결주의가 여성을 속박
했다.10)
여성에게 성에 대한 무지를 요구하고 처녀성을 결혼 전 여성의 존재가치로
여기는 성규범은 이처럼 메이지기 유입된 성과학에 의해 그 이론적 뒷받침을
얻었다. 근대의 가부장제 아래에 혈통과 가계가 중시되어 성교 경험이 없는 순
결의 상태를 육체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더럽혀지지 않은 처녀라는 관념이 형
성되어 여성의 결혼조건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11)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러한 가부장적 성차의 사회를 타파하고자 하는 여성들
의 반론이 거세지고 자신의 삶을 스스로 개척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운동이 활
발해진 시대이기도 하다. 이들은 삶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성의 자기결
정권을 강하게 주장하며 여성들의 자유연애와 로맨틱 러브에 대한 이상화를
가속화시켰다.
한편 이러한 성규범에 대해 무타 가즈에(牟田和恵)는 “여성들이 자각적으로
자신의 섹슈얼리티에 엄격한 족쇄를 채우는” 세태를 지적하며 “이는 제도상의
강압이나 교육에 의한 이데올로기 주입에 의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자아에 자
각한 여성들의 자기 확립의 수단으로서 진전되었다”12)고 규정한다. 여성들은
10) 이토 노에(伊藤野枝)는 「정조에 대한 잡감(貞操についての雑感)」(『青鞜』제5권2호, 1915년)에서
“최근에 내가 들은 바에 의하면 여성이 일단 남성과 접촉하면 혈구에 변화가 일어나 곧바로 그
여성은 순수한 존재가 아니게 된다. 때문에 다음에 다른 남성과 접촉할 때에는 역시 그 여성의 혈
구는 처음 남성에 의해 영향 받은 상태에서 또 두 번째 남성의 영향을 받기에 만약 두 번째 남자
사이에서 아이가 태어난다 해도 그 아이는 순수한 두 번째 남성과 여성 사이의 아이가 아니라 얼
마간 처음 남자의 영향이 있다”고 언급하며 당시 유포되고 있던 이 성지식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다.
11) 井上輝子外編集(2002) 『女性学事典』, 岩波書店. p.209 참조
더불어 ‘정조’는 “특정의 대상에게 지조를 지키는 일”이라는 의미였으나 “이성관계의 순결을 유지
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쓰이게 되었다. [青木保 外編(2000) 『女の文化ー近代日本文化論8』, 岩波書
店, p.205]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의『생혈(生血)』론 ········································································· 朴 裕 美…137
구습이나 남성들의 권력에 대항하며 ‘처녀성’과 ‘정조’라는 엄격한 성규범을 ‘자
기 확립’의 일환으로 스스로 내면화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신여성’들의 기성도덕에 대한 도전이 가져온 위기감은 ‘처녀회’와
같은 조직을 통해 미혼 여성은 처녀가 아니면 안 된다는 젠더 이데올로기를
강화시키려는 반동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런 상반된 이데올로기의 맞물림
으로 사회는 기존 가치체계와 성규범의 혼란 속에 놓이게 되었으며 유코의 내
적 갈등과 혼돈 역시 이런 사회 상황과 연동하고 있다 하겠다. 남녀의 자유연
애가 이상화될수록 이러한 성규범은 현실적으로는 교제하는 남녀 사이의 사랑
의 귀결로서의 성관계와 충돌을 일으킬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작품에는 유코와 아키지가 관계를 갖게 된 날의 정황이나 두 사람의 관계에
대한 구체적 묘사는 없으나, 이들이 혼전관계를 갖은 연인이며 그 일이 남자의
강압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는 사실은 충분히 추측 가능하다. 자유연애가 동
경의 대상이었던 시대, 사랑하는 연인과 첫날밤을 보낸 유코는 그러나 순결을
지키지 못했다는 죄의식으로 인해 사랑에서 오는 행복보다는 더럽혀졌다는 자
기혐오에 빠지게 된다.
설령 살갗을 다 태울 정도로 뜨거운 눈물로 내 몸을 씻어낸대도 자신의 몸
은 원래 상태로 돌이킬 수 없다. 이제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
다. (중략) 모공 하나하나에 바늘을 쿡 찔러 넣어 살점을 한 겹씩 도려낸다
해도 나에게 한 번 배어든 더러움은 도려낼 수 없다. (26)13)
작품 속 유코가 느끼는 위와 같은 자기혐오는 앞서 살펴본 시대 상황에 의
한 바가 크다. 양처현모주의에 의해 여성에게만 처녀의 순결을 소중히 여기는
가치관이 만들어지고 결혼 후에는 정조를 강요받으며 여성이 성을 의식하는
것조차 음란하게 여기는 성도덕이 강화된 시대에, 이런 가치관을 내재화한 유
코에게 있어 혼전관계는 수치스러운 돌이킬 수 없는 죄악과 같았다.
이는 유코가 ‘처녀성 신화’에 구속되어있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유코
는 처녀를 순결한 존재로 이상화하고 처녀성 상실을 불결로 보는 남성 중심적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고 있기에 혼전관계는 수치스러운 죄악일 뿐 아니라 자
신의 소중한 일부의 상실을 의미한다. 이는 작품의 표현을 빌리자면 남자의
‘웃음’과 여자의 ‘눈물’로 상징될 것이다.
12) 牟田和恵(1996) 『戦略としての家族』, 新曜社. p.138
13) 田村俊子 「生血」『青鞜』 創刊号
<『青鞜』復刻版(1983) 不二出版>을 텍스트로 하며, 인용문의 한국어 번역은 필자에 의함.
또한 ( ) 안의 숫자는 텍스트의 쪽수를 나타냄.
13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비단 모기장 자락을 입에 물고 여자가 울었다. 남자는 바람에 펄럭이는 발
에 어깨를 부딪치면서 창문너머로 거리의 불빛을 바라보았다. 남자는 갑자기
웃었다. 그리고,
“어쩔 수 없잖아.”
하고 말했다.(23~24)
유코가 “비단 모기장 자락을 입에 물고” 울고 있는 반면 아키지는 “어쩔 수
없잖아”라는 말과 함께 웃음을 흘린다. 이러한 여자의 ‘눈물’과 남자의 ‘웃음’은
“성교 후에 느끼는 성차의 감정을 노골적으로 작품 내에 제시하는 역할”14)을
한다. 유코의 눈물은 첫경험이나 처녀상실이라는 사태 그 자체에서 오는 것이
기도 하나, 여자가 남자와 관계를 갖는 것은 남자가 여자와 관계를 갖는 것과
동일하지 않다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아키지가 여유를 보이며 태연한
반면, 유코는 아키지와의 관계로 인해 순결을 지키지 못했다는 죄의식과 몸이
더럽혀졌다는 자기혐오를 짊어져야 하며 부정한 여자라는 사회의 낙인을 감수
하며 살아야 한다. 또한 앞으로 아키지라는 한 남자에게 구속되어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하녀는 곧바로 방을 치우러 들어왔다. 유코를 보자 미소 지으며 인사했지만
그녀는 돌아보지 않았다.(중략)
여관 유리문을 여닫으며 아침 청소를 하는 소리가 시끄럽게 들려온다. 전차
가 지나가는 소리가 났을 때 유코는 이 여관이 대로변 안쪽의 주택가와 마주
하고 있다는 사실을 떠올리고 갑자기 두려워졌다. 이 여관을 어떻게 빠져나가
지, 하녀에게 뒷문으로 나가게 해 달라고 부탁할까, 유코는 그런 생각을 하며
소매에서 종이를 꺼내 가늘게 찢더니 상처 난 손가락을 싸맸다.(26~27)
이제 유코는 청소하기 위해 들어온 여관의 하녀와 마주 대할 수도 없으며
여관이 대로변 주택가에 접해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두려움에 떨게 된다. 이러한
유코의 죄의식과 자기혐오는 한편으로 그녀가 자신의 욕망의 주체가 아니라
남성의 성적 욕망의 대상이라는 한계를 넘어서지 못했음을 말해준다.
그녀는 자신을 남자에게 “유린당한 여자”라고 하는데, 이처럼 유코는 자신의
성을 주체화하지 못한 채 연인인 아키지와의 관계마저도 ‘유린’이라는 말로밖
에 표현하지 못한다. 여성은 “오랜 역사의 시간을 거치며 공적으로 유통하는
표현시스템으로부터 소외되고 배제되어”15)왔다. “여성에게 있어 최대의 소외는
14) 앞의 논문 8) p.3
15) 水田宗子(1992) ヒロインからヒーローへ─女性の自我と表現, 田畑書店. p.213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의『생혈(生血)』론 ········································································· 朴 裕 美…139
언어에 의한 소외”16)라는 말처럼 여성의 성은 여성자신에 의해 표현되지 못하
고 남성의 관점에 의해 추측되고 표현되어진다. 또한 진정한 자신의 내면이나
자아의 존재를 부정당한 채 사회가 만든 성역할 규범이나 전형적 모습으로 구
현되었다. 때문에 유코는 남성중심의 사회가 혼전관계를 갖은 여성에게 부여한
강요된 죄의식과 ‘더러워졌다’는 표현을 통해 자신의 혼란스러운 내면을 묘사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유린’은 성관계가 아키지의 강제에 의한 것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남성이 주도하는 성의 ‘수동적 대상’으로서 자신을 의식하는 유코의 감
각이라 하겠다. “당시 성욕은 남자에게만 공인되었으며 여자의 성은 남자의 욕
망에 부응”17)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졌기에 설령 유코가 자발적으로 아키지와
관계를 갖었다 해도 이를 자주적으로 표현할 언어와 사고가 유코에게는 주어
지지 않았던 것이다.
3. 신체 이미지로서의 ‘금붕어’
성에 대한 관심자체가 ‘타락’이라 인식되던 시대, 연인과의 성관계조차 ‘유린’
으로밖에 표현할 수 없는 유코는 아키치와의 관계가 그녀의 신체에 일으킨 새
로운 감각과 ‘성’에 대한 이끌림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한 채 극심한 내적 혼
란을 겪으며 이러한 갈등과 혼란을 가학적 형태로 표출시키게 된다.
작품은 전날 밤의 여운이 남아있는 어스름한 새벽녘 여관에서 시작된다. 아
키지가 세수하러 간 사이 유코는 툇마루에 홀로 서서 그의 발소리를 들으며
멍하니 정원을 바라보고 있다. 그녀의 눈에 비친 정원은 “어젯밤 잠잘 때 덮은
얇은 이불을 아직 걷지 않은
한 하늘 빛” 아래에 마당 가 히 “ 간 , 하
이 황홀하게 눈꺼 을 드리우고” 있다. 이와 같은 표현에서 보이 이
그녀의 감각은 아침이 되어서도 전날 밤의 일에서 어나지 못한 채 나른함에
싸여있다. 더욱이 툇마루 밖으로 내민 발바 을 “
이 은 에서 불어오는
비단결 같은 바람이 살포시 간질이 스쳐지나간다”고 하는 유코의 감각은 관
능적이기까지 하다.
이처럼 아침의 정경을 묘사하는 소설의 첫 장면은 청각과 시각, 촉각이라는
감각표현을 통해 남자와 밤을 함께 보낸 후 유코에게 새 게 촉발된 신체감각
이 여전히 그녀의 의식을 지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얀꽃
풀
듯
득 빨 꽃
엿 듯
듯
벗
닥 축축 젖 땅
롭
―
16) 山崎真紀子(2005)『田村俊子の世界 作品と言説空間の受容』, 彩流社. p.133
17) 渡辺澄子(1998)『日本近代女性文学論』, 世界思想社. p.7
14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그런데 이처럼 나른함과 관능의 여운 속에서 어항 속 금붕어를 사랑스럽게
바라보며 하나하나 이름을 지어주던 유코는, 새 간 금붕어가
리를 들며
물속으로 도망치는 모습에 문
전날 밤의 일을 떠올리게 되면서 갑자기 공격
적으로 돌변한다.
빨
득
릿
풍겼
꼬
흔
금붕어의 비 한 냄새가
다.
무 냄새인지도 모른 채 유코는 가만히 그 냄새를 았다.
‘남자 냄새.’
문 이런 생각이 들자 오 소름이 끼 다. 그리고 손끝에서 발끝까지
가가 전해지는 것처럼 떨 다.
‘ 어. 정말 어.’
을 쥐고 가에 대항하고 은 심정─ 어젯밤부터
번이나 그런 기분에 사로잡
던가.
유코는 한 손을 어항에
집어넣어 증오스러운
금붕어를 움 잡았다.
‘눈을 찔러
테야.’(24)
슨
득
혔
싫
칼
렸
싫
뭔
맡
싹
쳤
찌릿찌릿 뭔
싶
몇
쑥
버릴
듯
릿
켜
맡
전날 밤의 기억과 함께 금붕어의 비 한 냄새를 게 되고 그것이 남자의
냄새로 느 지는 순간 유코는 “ 을 쥐고 무언가에 대항하고
은 심정”에 사
로잡혀 금붕어의 눈을 르게 된다.
이러한 유코의 가학적인 행동에 대해 종래에는 “남자의 냄새를 발하는 금붕
어는 남자 대신 찔리게 되었다”18)는 설명이 일반적이다. 즉, ‘금붕어’는 남자의
이미지로 해석되어 유코가 금붕어의 눈을 르는 것은 남성에 대한 증오에 의
한다고 이해되어 왔다.19)
그러나 금붕어에 이름을 여주며 사랑스러워하는 시점에서는 금붕어는 극
히 ‘여성적인 이미지’20)를 지니고 있으며 그 금붕어로부터 ‘남자의 냄새’를
았다는 점에
안한다면 유코가 “금붕어에서 남성과 관계 맺은 후의 여성의
껴
칼
찌
싶
찌
붙
맡
착
18) 長谷川啓(1987) 「作品鑑賞『生血』」『短編女性文学 近代』, 桜楓社 p.53
19) 黒澤亜里子는 아키지의 웃음에서 성관계후에 남성이 느끼는 성적 우월감, 여성을 정복한 데서 오
는 일종의 여유를 느끼고 유코의 마음속에 남성에 대한 증오심이 생 으며 이런 가운데 금붕어
의 냄새와 남성의 냄새, 정 이 겹쳐지면서 유코의 증오를 가중시켰다고 설명한다. [(1995)「近代
日本文学における<両性の相剋>の問題─田村俊子の「生血」に即して」『ジェンダーの日本史 下』,東京
大学出版会. (2002)「ジェンダーと<性>」『ジェンダーの日本近代文学』, 翰林書房]
20) 스즈키 마사카즈(鈴木正和)는 “유코는 그 일이 있기 전 어항 속
마리의 금붕어에게 ‘ 니시보
리(紅しぼり)’ ‘히가노코(緋鹿の子)’ ‘아 보노(あけぼの)’ ‘아라레고 (あられごもん)’ 등의 이름을 이
고 있었다. 이들 이름은 말할 필요도 없이 여성 기모노의 염 법이나 무 의 명 에서 온 것이
다.”라고 지적하고 있다. (鈴木正和(1996. 2)「彷徨する<愛>の行方─田村俊子『生血』を読む」『近
代文学研究』通号13, 日本文学協会近代部会. p.4)
겼
액
케
몇
몬
색
베
늬
칭
붙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의『생혈(生血)』론 ········································································· 朴 裕 美…141
신체를 보았다”21)는 해석에 더 무게가 실린다. 즉, 유코는 금붕어에게서 아키
지와 관계를 맺은 자신을 떠올린 것이라 하겠다.
또한 여관을 나와 아사쿠사 거리를 배회하던 유코가 아름 고
된 여성과
자신의 모습을 비교하는 장면이나 유코에게 눈이 찔려 은 채 정원에 려진
금붕어에 대한 묘사를 통해서도 유코와 금붕어의 관 성을
수 있다.
련
답 앳
열
죽
답 앳
버
엿볼
아름 고 된 모습을 유코는 작 하는 하늘 아래에서 물끄러미 바라보았
다. 그리고 부러워했다. 이 게 어젯밤의 몸을 그대로 염에 드러낸 자신에
게서는
에 어가는 생선과 같은 악 가 나는 것 같았다. 유코는
가
가 자신의 몸을 집어 던져
으면 하는 기분이 들었다.(29)
렇
땡볕 썩
폭
취
버렸
랗
붉
룩
누군
윤
꽃 늬
잃
금붕어의 비늘이 파 게 빛나고 있다. 은 얼 이 말라 기를 었다. 금
붕어는 입을 동그 게 벌리고 위를 향한 채 어 있다. 무 무용부채를
쳐놓은 했던 리지느러미는 힘없이 오그라들어
쳐져있다.
유코는 잠시 금붕어를 들여다보고 있다가는 정원으로 던져
다. 징 돌
위로 떨어진 금붕어 위로 때마침 한순간 반 이며 떠오르는 하늘빛이 미하
게 금붕어를 감싸더니 사방으로 펴지며 어졌다.(25)
듯
꼬
랗
흩
죽
축
버렸
짝
폭
펼
희
검
땡볕 썩
잃 꼬
유코는 자신에 대해 “어젯밤의 몸을 그대로 염에 드러”낸 채 “
에
어가는 생선의 악 ”를 기고 있다고 표현하는데, 이는 기를 고 리지느
러미를 힘없이
늘어뜨린 채 햇빛이 비치는 정원에
려진 금붕어의 이미지
와 상응한다. 그리고 유코가 금붕어를 정원으로 던져
이 자신의 몸을
가가 던져
으면 하고 바라는 부분에서도 이는 분명히 드러난다.
즉, 금붕어가 상징하는 것은 남성과 관계를 맺은 유코 자신의 신체로 금붕어
의 눈을 르는 행위는 남성의 냄새가 스민 여성의 신체를 혐오하고 거부하는
행위, 즉 더럽혀진 유코 자신에 대한 응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
라 유코의 이러한 행동에는 자신이 처했던 일에 대한 ‘재현’의 의미가 더해지
고 있다.
유코가 으로 금붕어를 를 때 그 은 금붕어를 관통해 그녀 자신의 집
게손가락마저 상처 입히고 마는데, 그 손가락에 맺힌 “루비와 같은 작은 방
울”은 처녀를
은 상징으로 아키지가 자신에게 한 일을 금붕어에 재현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금붕어를 음으로 고 가는 것은 여성의 처녀성 상실이
바로
음과 같은 의미라는 사실을 말해준다. 몸의
기가 사라지고 오그라들
취 풍
축
군
윤
버
버렸듯
버렸
누
찌
핀
찌
잃
죽
21) 앞의 논문 9) p.25
핀
죽
몰
핏
윤
14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축
죽
어 힘없이
늘어진 채
은 금붕어는 “유코의 심정의 상징이며 신체 이미
지”22)를 그대로 전해준다.
그러나 여기에서 간과할 수 없는 점은 금붕어에게서 남자의 냄새를 은 유
코가 “손끝에서 발끝까지
”한 ‘떨림’을 느끼며 이러한 자신의 신체 반
응에 대항하 가학적 행동을 한다는 사실이다. 이는 금붕어가 유코로서는 무
엇이라 명명할 수 없는 설고 새로운 감각을 자극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그리
고 지난밤부터 유코가
번이고 저항하려 했던 것 역시 ‘남성’이라는 존재 자
체가 아니라 남성과의 관계에서 깨어나기 시작한
수 없는 ‘감각’에 대해서
라 하겠다.
앞서 언급했 이 유코의 집게손가락에 맺힌 “루비와 같은 작은
방울”이
그녀의 처녀성 상실을 시한다는 것은 부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런데 남
자에게 유린당한 아 의 상징과 같은 손가락을 입에 문 채
과 로움에
눈물을 흘리던 유코는 동시에 “자신의
을 마치 사랑하는 이의 가 에 대고
있을 때와 같은 감미로움”을 느끼는가 하면, “입 의 따 함”에 사로잡히기도
한다.
맡
찌릿찌릿
듯
낯
몇
듯
픔
알
핏
암
뺨
맷
묻
술
뜻
슬픔 괴
슴
슬프
유코는 얼굴을 소 자락에 은 채 울었다. 울고 또 울어도
다. 그러나
자신의 을 마치 사랑하는 이의 가 에 기대고 있을 때와 같은 감미로움이
아 히 눈물에 여 흐른다.
‘지금 손가락을 물었을 때 입 의 온기를 느 는데 그것이
이리도
것일까 ’ (25~26)
뺨
련
섞
슴
술
?
꼈
왜
슬픈
쾌
벨
미쓰이시 아유미(光石亜由美)는 “유코의 의식은 위기감과 락의 레 에서
갈 질 한다”23)고 언급하는데, 이처럼 고통과 감미로움이 공존하는 유코의 육
체적 감각은 바로 그녀 안에 일어나고 있는 상반된 감정을 드러내고 있다. 이
는 성도덕에 기초한 죄의식이나 자기혐오와는 다른, 이제 막 성에 눈 뜨기 시
작한 여성이 갖는 자신의 몸과 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유코가 소 자락에서 종이를 꺼내 상처 난 손가락을 싸매어 감
이 아키지와의 관계에 의해 깨어나기 시작한 이러한 새로운 감각은 여성이라
면 으로 드러내서는 안 되는 금기의 대상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그 기에 소
설 첫 장면에서 나른함과 관능의 여운을
기 금붕어의 이름을 지어주던 유
코는, 금붕어가 기는 비 한 냄새로 인해 그러한 신체적 감각이 아키지와의
팡 팡
맷
췄듯
겉
풍
릿
즐 듯
렇
22) 王紅(1998) 「田村俊子「生血」論 ─<少女>から<女>へ」『人間文化研究年報』제22호,
子大学大学院人間文化研究科. p.2の38
23) 光石亜由美(1996. 12) 『名古屋近代文学研究』通号14, 名古屋近代文学研究会. p.55
お茶の水女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의『생혈(生血)』론 ········································································· 朴 裕 美…143
듯 가학적 행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관계에 의한 것임을 느끼고 이를 거부하
4. 성적 이미지로서의 ‘박쥐’
낮
쬐
여관을 나온 유코는 한 의 뜨거운 태양이 내리 는 아사쿠사 거리를 아키
지를 따라 걷는다. 미로와 같이 무질서한 거리의 모습은 동요하는 유코의 불안
과 혼돈을 그대로 보여준다. 유코로서는 자신 안에서 일어나기 시작한 새로운
감각, ‘성’에의 이끌림에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특히 아사쿠사 거리를 비추는 강 한 햇빛은 두 사람을 집요하게 쫓으며 유
코 안에 내재화된 성도덕을 자극하여 죄의식을 이끌어내는 매개체 역할을 하
고 있다. “햇 이 내리 는 거리는 뜨 게 달구어진 동판을 아놓은
바라
보는 눈 도 내 는 결마저도 고통스”럽고, “머리카락이 불 에 타들어가는”
아 을 느끼며 양산을 게 내려 햇빛을 피하려 하는 유코의 모습은 죄의식
과 상실감에 로워하는 그녀의 내면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렬
픔
볕
길
괴
쬐
뱉 숨
낮
렬 볕
옷 색깔
겁
깔
길
써
깔
빼앗겨버 듯 겨
듯
투
마치 강 한 햇 에 제 빛 을 모두
린
구 져 주름 성이인 두
사람의 은
을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바래있었다. (중략) 불에 달 인
두를
것처럼 그들의 목 미에는 뜨거운 햇빛이
내려 고 있었고 하
선은 이미 바 마른 먼지로 덮여 은 적갈 으로 물들어 있었다. (27)
버
댄
싹
겨
덜
뒤
옅
색
버 듯
쨍쨍
쬐
깔 잃 옷
군
얀
뒤
태양은, 구 져 주름지고 바래 린
제 빛 을 은 과 먼지로 덮여
적갈 으로 변한 선을 비추며 지난밤에 있었던 두 사람의 일을 상기시킨다.
이런 유코와는 달리 아사쿠사 거리에서 스쳐지나간 아름 고 된 모습의
여성은 작 하는 태양 아래에서도 “뒷목 미가 명하고 하 게 보”이며, 치
자락에 감기는 발마저도 새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유코는 이 여성의 모
습에서 아키지와 관계를 맺기 전의 자신을 발견하고 부러움을 느 다. 이처럼
햇빛은 ‘더러워진’ 유코의 몸을 극명하게 보여주며 죄의식을 일으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햇빛을 피해 그늘을 는 유코의 모습은 죄의식과 자기
혐오를 느끼며 한편으로는 이러한 죄의식에서 어나고자 하는 유코의 마음을
보여준다 하겠다.
그 기에 유코는 햇빛이 차단된 어두운 가설극장 안으로 들어가서야 비로소
자신의 내면에서 일어나고 있는 선 변화와 마주할 수 있었다. 극장 안에서
유코의 죄의식이나 상실감은 이제 “무언가
해야 할 일이 있었는데 하는
색
열
버
덜
얀
투
낀
찾
렇
답 앳
얗
낯
벗
슬퍼
맛
14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희
생각”정도로 그 의미가 미해져가는 반면 그녀 안의 새로운 감각이 의식 밖
으로 드러나기 시작한다.
갯짓
널빤
커
꼬
날
소리를 가까이에서 들었다. (중략)
지에서 다란 물고기의
리지느러미 같은 은 물체가 움직이고 있는 것이 눈에 들어왔다. 유코는 잠
자코 그 움직임을 바라보았다. 물체의 움직임이 추자 유코는 부채로 그
은 물체를 살며시
다. 부채로 잡아끌자 그 은 물체는 점점
지 밖으
로 끌려 나온다. 1척정도 나왔을 때 그
을
보고는
그것이 박쥐의
한쪽 날개라는 것을 아 차 다. 유코는 하고 부채를 떨어뜨 다. (중략)
그 의 벽 새로 해질녘의 황혼빛이 흘러들고 있다.(34)
검
멈
검
윤곽 힐끔
툭
눌렀
알
옆
렸
―
널빤
검
렸
틈
권태감에 반쯤 잠들어 있던 유코의 의식을 깨운 건 바로 ‘박쥐’의 날갯짓 소
리였다. 처음에 유코는 이 소리를 물고기의 꼬리지느러미에서 나는 것으로 생
각했으나 사실 이것은 물고기가 아니라 박쥐의 날개였다. 금붕어가 유코의 신
체이미지를 상징한다고 을 때, 처음에 물고기인
았던 물체가 박쥐라는
사실은 바로 유코의 변화를 의미한다.
금붕어가 남자와 혼전 관계를 맺었다는 죄의식과 자기혐오를 짊어진 유코라
면 어 속에서 고개를 든 박쥐는 성적 욕망을 지 여성으로서의 그녀를 대변
한다. 이 박쥐의 환각과 함께 극장 안으로 비쳐드는 해질녘의 황혼빛은 그녀의
죄의식을 자극하던 한 의 강한 태양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박쥐로 이미지화
된 성의 자각이 고개를 들면서 그녀의 죄의식이 점점 힘을 게 되리라는 사
실을 보여준다.
여기에서 또 하나 주목해야 할 사항은 박쥐의 등장과 함께 유코가 곧 지
니고 있던 부채를 떨어뜨 다는 점이다. 유코는 성관계 후의 자신에 대해 주름
성이의 자락과 먼지로 덮인 선, 그리고 몸에서 진동하는 생선 는 악
등으로 표현하며 자신의 모든 것에 대해 더러움을 느끼고 혐오감을 드러낸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일하게 이전의 이미지를 그대로 지 것이 바로 부채
였다.
가설극장 안에 들어와서 “부채질할 때마다 어디선가 아 본 것 같은 향수
내음이
다”고 표현하 이 부채는 유코 자신이 어
다고 생각하는 순
수, 처녀의 영처럼 아키지와 관계하기 전의 그녀를 상기시키는 존재였다. 이
러한 부채를 관능의 눈 , 즉 박쥐의 등장과 함께 유코가 떨어뜨리는 것은 이
제 그녀가 이전의 자신과 결별하리라는 것을 시하는 부분이라 하겠다.
이 고 해가 저물고 어 이 내리기 시작하자 유코는 “박쥐가 연노랑 남자
하카마(袴)를 입은 여자아이의 생혈을 고 있”는 환각과 함께 “자신의 몸을
남자가 끌어안고 어디든지 좋으니 데려가 주” 바란다.
봤
줄알
둠
닌
낮
투
취
옷
잃
렸
뒤
줄
버
썩
닌
풍겼
잔
윽
맡
잃 버렸
듯
뜸
둠
암
빨
길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의『생혈(生血)』론 ········································································· 朴 裕 美…145
착취
박쥐가 소녀의 생혈을 빠는 환각에 대한 종래의 견해는 경제적
라는 관
점에서 박쥐는 소녀들을 고용하여
하는 곡예단 고용주와 이러한 소녀들의
상황을 방관하 곡예를 기고 있는 관 들을 의미한다는 해석과 함께 남녀
양성 상극의 관점에서 여성을 구속하는 남성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24) 그
러나 이러한 관점으로는 환각과 함께 “자신의 몸을 남자가 끌어안고 어디든지
좋으니 데려가 주”
바라는 유코의 심리를 명확히 규명하는 데 어려움이 따
른다.
이 환각 속에 등장하는 하카마차림의 여자아이는 가설극장에서 유 유코의
눈 을 사로잡았던 소녀이다.
듯
착취
즐
객
길
독
길
득
문 정신을 차리자 연노랑빛 하카마를 입은 후리소데 차림의 여자 아이가
무대에 나타났다 (중략) 여자아이는 무대 위에 반 이 워서 발끝으로 우산
을 돌 다. 새하 토시가 가느다란 손목을 감싸고 있었다. 무대 양편으로
소 자락이 드리워졌다.
(중략) 정강이보호대도 새하 다. 그리고 조그마한
선, 연노랑빛 비단
으로 만들어진 남자 하카마의 주름이 때때로 흐트러졌고, 늘어뜨린
소 자
락이 들 다. (32)
맷
렸
듯 누
얀
얗
긴
흰버
긴 맷
흔 렸
얀버
얀
끗
얀색
이 소녀는, 그 이미지가 하
선이나 새하 토시 등 깨 한 하
이라는
점과 미성년 혹은 미혼여성의 상징과 같은 후리소데(振袖)를 입고 있다는 데
서 아직 성을 지 못하는 여성, 즉 ‘처녀’를 상징하는 것으로
수 있다.
그리고 햇빛 아래에서는 내재화된 성도덕이 자극되어 죄의식이 일어나는 반
면 어 속에서는 육체적 자각이 고개를 드는 유코의 내면적 흐름을
때, 환
각 속의 여자아이와 박쥐는 육체와 성에 대한 비유로 저항할 수 없는 성의 힘
이 형상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유코가 비로소 자신의 내부에 잠재되어
있던 성과 관능에의 욕망을 자각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아키지에게 갑자기 손을 잡힌 유코가 손가락의 상처를 감고 있던 종이가 어
알
볼
둠
볼
둘 싼 착취
24) 鈴木正和(1996)는 “사회라고 하는 보편화 속에서의 남녀의 ‘성애’를 러
의 구조가 문학표
현으로 언어화되었다.”고 하며 남녀양성 상극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彷徨する<愛>の行方
田村俊子『生血』を読む 」『近代文学研究 第十三号』, 日本文学協会近代部. p.12 )
岡西愛濃(2006. 1․2)는 “박쥐라는 이미지를 통해 소녀들을 고용한 행업자가 먼저 떠오르나, 예
능보다도 한시라도 리 더위를 피하고자 아들어온 관개도 무관하지 않다. 작품에는 행업자에
대한 설정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박쥐를 통해 관 이라는 존재를 떠올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
다. (「田村俊子「生血」論─ゆう子の目線から見えるもの(特集 近代)」『解釈』52, 解釈学会. p.28 )
이지 (2007. 5)은 “박쥐가 상징하는 것은 여자를 지배하려는 남자 즉, 여자아이를 고용한 곡예단
고용주와 아키지이다.”라고 기 하고 있다.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의 생혈(生血)론 여성적
언어의 특징을 중심으로-」日本文化學報 韓國日本文化學會. p.198 )
―
―
빨
숙
찾
술
흥
객
릴
흥
–
14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엔
느 사이 가 이미
맡
벗겨져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 순간, 다시 비릿한 ‘남자
의 냄새’를 게 되면서 작품은 끝을 맺는다. 손가락에 난 상처가 처녀상실의
상징이었 이 이를 감고 있던 종이는 처녀를 어 린 “소녀의 비애, 수치, 분
노의 기분을 담고 있으며, 그 시점에서 유코가 느끼고 있는 사람에게 보여주고
지 않은 자신의 치부(정신적)에의 미 ”25)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감
고 있던 종이가
졌다는 것은 유코 안에 감추어져있던 성적 욕망이 표출되
고 표현되리라는 사실을 시한다. 그러나 이는 아직까지 남자가 ‘손을 잡음’으
로 해서 촉발되고 비로소 으로 표출될 수 있는 욕망이라는 한계를 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성에 대한 표현이나 관심과 단 된 채 무지를 요구받았던 여성으로서는 자
신의 성을 자각할 수 있는 상황을 스스로 만들기란 어려웠으며, 때문에 남성으
로부터 촉발되어 자각에 이르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오히려 일반적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생혈』과 동시대에 쓰인 여성작가의 소설에는 자유연애나 혼전관계를 경
험하는 유코와 같은 여성들의 등장이 그리
설지만은 않다. 그러나 대부분은
극도의 죄의식이나 상실감, 불안을 이 내지 못한 채 음 등 비극적 결말을
맞이하게 된다.26)
물론 처녀성의 가치를 내재화하고 있던 유코 역시 통과의 처럼 죄의식과
자기혐오의 시간을 거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유코가 여성을 억압하는 이
러한 이데올로기의 틀에 갇히지 않고 자신의 ‘성’을 자각하게 되었기에 결말은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흐를 수 있었다.
듯
싶
잃 버
련
벗겨
암
겉
벗
절
겨
낯
죽
례
5. 마치며
『생혈』은 일반적으로 다무라 도시코 문학의 중심 테마인 남녀양성 상극이
최초로 등장하는 작품이라는 평가와 함께 주로 남녀양성 상극의 관점에서 연
25) 앞의 논문 22) p.2の41
26) 「생혈」이 게재되었던 『세이토』에는 이 외에도 다수의 작품에서 혼전 성경험을 갖게 된 여성
들의 심리가 그려지고 있는데, 아라키 이쿠(荒木郁)의  기 전(死の前)(제2권 10호)에는 연인과
첫경험 후
수 없는 고 에 시달리다 음에 이르는 오사토(お里)가 등장한다.
연인 기노시타(木下)는 오사토가 근무하는 상관(商館)의 단골고 으로 세상에 대한 체면을 내세
우며 그녀와의 사이를 비 로 한다. 남자의 주도적인 행동에 들여진 작은 새처럼 유순하게 따
르기만 하던 그녀는 남자와 첫 관계를 맺게 된다. 오사토는 처녀를 은 자신의 몸을 영혼이 없
는 ‘고
어리’에 비유하며 히스테 한 행동을 반복하고, 고 에 시달리며 소리처럼 “되 지
않으면 안 ”라고 고통스럽게 규하다 고 만다.
알
깃덩
돼
열
밀
죽
절
릭
죽
죽
객
길
잃
열
헛
찾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의『생혈(生血)』론 ········································································· 朴 裕 美…147
구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편향된 연구에서 탈피하여 ‘금붕어’와 ‘박쥐’가 남성의 상
징이 아
유코의 신체적 이미지를 나타낸다는 관점에서 유코의 내면의 동요
와 심리를 나타내는 상징적 표현에 초점을 맞추었다.
먼저 유코의 자기혐오가 무엇에 기인하는지를
히기 위해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바탕으로 일본여성들을 구속하던 처녀성 신화와 연애결혼이데올로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 유코를 상징하던 ‘금붕어’가 ‘박쥐’로 변화되는 데 주목하여 자신의 신
체와 성을 이해하지 못했던 유코가 이 고 내면에 잠재되어있던 ‘성’을 자각하
게 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유코는 아키지와의 관계를 통해 새 게 느끼게 된 성적 감각을 어떻게 표현
할지 지 못했으며 이를 표현할 자신의 언어를 갖지 못했다. 이에 남성중심의
사회가 혼전관계를 갖은 여성에게 부여한 강요된 죄의식과 ‘더러워졌다’는 표
현을 통해 자신의 혼란스러운 내면을 묘사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는 사회가 여성에게 부여한 언어로 유코 자신이 느끼는 감각을 그대로 언
어화한 것이 아니다. 물론 유코 역시 사회이데올로기로서의 처녀성의 가치를
내재화하고 있었기에 통과의 처럼 죄의식과 자기혐오의 시간을 거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유코는 이러한 구속과 틀에 갇히지 않고 결국 자신 안에 내
재되어 있던 성을 자각하고 성적 욕망을 표출하면서 동시대의 여성들과는 다
른 면모를 드러낸다.
앞서 언급했 이 여성은 오랜 동안 공적인 표현시스템으로부터 배제되어왔
다. 또한 진정한 자신의 내면이나 자아의 존재를 부정당한 채 사회가 만든 성
역할 규범이나 전형적 모습으로 구현되었다. 그 기에 여성이 여성으로서의 자
신을 자각하고 자신에 대해 말한다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작업이다. 여성
스스로가 자신의 ‘성’을 이야기하고 있는『생혈』의 선구적인 면모 역시 바로
이 점에 있다 하겠다.
닌
밝
윽
롭
알
례
듯
렇
14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參考文獻】
숙
—
이지 (2007. 5)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의 생혈(生血)론 여성적 언어의 특
징을 중심으로-」日本文化學報, 韓國日本文化學會
青木保外 編(2000) 『女の文化ー近代日本文化論8』, 岩波書店
岡西愛濃(2006) 「田村俊子論 ゆう子の目線から見えるもの 」『解釈』52, 解釈学会
井上輝子外編集(2002) 『女性学事典』, 岩波書店
岩淵宏子 北田幸恵編(2005) 『はじめて学ぶ日本女性文学史ー近現代編』, ミネルバ書房
黒澤亜里子(1995) 「近代日本文学における<両性の相剋>の問題─田村俊子の『生血』
に即して」『ジェンダーの日本史 下』, 東京大学出版会
(2000) 「田村俊子」『女性文学を学ぶ人のために』, 世界思想社
(2002) 「ジェンダーと<性>」『ジェンダーの日本近代文学』, 翰林書房
鈴木正和(1996) 「彷徨する<愛>の行方 田村俊子『生血』を読む 」『近代文学研
究第十三号』, 日本文学協会近代部
長谷川啓(1992) 「作品鑑賞『生血』」 今井泰子外編『短編女性文学近代』, 桜楓社
水田宗子(1992) ヒロインからヒーローへ─女性の自我と表現, 田畑書店
光石亜由美(1996. 12) 「<女作者>が性を描くとき─田村俊子の場合」『名古屋近代文学
研究』通号14, 名古屋近代文学研究会
牟田和恵(1996) 『戦略としての家族』, 新曜社
村上信彦(1983) 「『青鞜』とその時代」『平塚らいてう著作集』第1卷 付錄, 大月書店
山崎真紀子(2005) 『田村俊子の世界 作品と言説空間の受容』, 彩流社
渡辺澄子(1998) 『日本近代女性文学論』, 世界思想社
王紅(1998) 「田村俊子「生血」論─<少女>から<女>へ」『人間文化研究年報』제22
号, お茶の水女子大学大学院 人間文化研究科
―
―
―
―
―
다무라 도시코(田村俊子)의『생혈(生血)』론 ········································································· 朴 裕 美…149
要 旨
の
は
に された作品であり、従来の
田村俊子文学研究では、俊子の文学における男女相克のテーマは『生血』にはじまると評価
されてきた。
本論では「金魚」と「蝙蝠」の表象は男性ではなく、ヒロイン「ゆう子」の身体に結び付い
ているという観点からゆう子の心理を表す表現を中心に考察を試みた。
まず、ゆう子の自己嫌悪がどこに起因するのかを明らかにするため、当時、女性を縛り付け
ていた「処女神話」と「恋愛結婚イデオロギー」について探ってみた。
また、ゆう子の象徴である「金魚」が「蝙蝠」に変わるということから、この変化は自分の
「性」に無知な女であったゆう子が内面のセクシュアリティに目覚めていく意味であることが糺明
できる。
ゆう子は安芸治との性関係を結ぶことによって感じるようになった性的な感覚を明確に言い表し
得る言葉が分からない。男性中心の語彙の下で構築されている言葉に従わざるを得なかったゆ
う子は男性中心の社会で婚前交渉をした女性に付与し、強いられた罪意識と「汚れた」という
表現をもって自分の混沌した内面を表すよりほかなかった。
無論、ゆう子も社会イデオロギーを内在していたため、通過儀礼のように、罪悪感と自己嫌
悪の時間を持た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しかしゆう子はこのような束縛から脱け出し、自分のセク
シュアリティに目覚め、これを表出することで同時代の女性とは違う結果を迎えるようになる。女
性は長い間、公的に流通する表現のシステムから疎外されてきた。それゆえ女性が女性として
の自分について語ることは何より大事な作業である。女性自ら自分のセクシュアリティを語ってい
る『生血』の先駆的な意味もこの点にあると言える。
田村俊子 『生血』 、『青鞜』創刊号(1911年9月) 掲載
キーワード: 生血、青鞜、田村俊子、処女神話、
の
イデオロギー
セクシュアリティの自覚、
女性 表現、恋愛結婚
투
고 : 2014. 2. 28
1차 심사 : 2014. 3. 15
2차 심사 : 2014. 4. 5
역도산 만화와 고도경제성장기 표상*
-하루키 에츠미「역도산이 찾아왔다」론 임 상 민**
(e-mail: [email protected])
次
目
1.
2.
3.
4.
5.
들어가며-쇼와 레트로 붐과 역도산
역도산과 ‘점령’의 연속성
역도산과 ‘맥아더’
아메리카니즘과 ‘스모’
나오며 1. 들어가며-쇼와 레트로 붐과 역도산
현재 일본에서는 2005년에 공개된 영화「ALWAYS 3번가의 석양」(야마자
키다카시감독, 2005년12월5일개봉)을 시작으로 고도경제성장기를 회고하는 이
른바 ‘쇼와 30년대 붐’이 이슈화되고 있는데, 수많은 쇼와 복고풍의 박물관 및
커버음반, 만화, 영화, 장난감, 음식 등이 쇼와 30년대에 청소년 시절을 겪은
이른바 베이비붐 세대(=단카이세대)뿐만 아니라, 동시대를 경험하지 못한 젊은
세대까지도 가상체험 노스탈리지(virtual nostalgia)를 느끼며 소비되고 있다.
문화평론가 아사바 미치아키(浅羽通明)1)에 의하면, 쇼와 레트로 붐을 이야기할
*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NRF-2011-35C-A00711)
** 동의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조교수, 일본근현대문학전공
1) 浅羽通明(2008)『昭和三十年代主義』幻冬舎, pp.40~42. 아사바 미치아키는 레트로 붐 속
에서 회자되는 ‘꿈=파워’와 ‘마음=인정’이라고 하는 정형화된 담론은 경제 불황인 현재이
기 때문에 고도경제성장기였던 ‘쇼와 30년대’를 그리워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이상
경제성장을 기대할 수 없는 현재이기 때문에 다시 회생할지도 모르는 ‘꿈=파워’를 ‘쇼와
15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때 자주 언급되는 주요 담론은 지금 현대인들이 상실한 쇼와 30년대의 ‘꿈=파
워’와 ‘마음=인정’이라고 지적하고 있는데, 영화 속에서 동시대의 이러한 모습
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 다름 아닌 텔레비전 앞에 온 동네 사람들이
둘러앉아 웃고 울고 마음 졸이고 흥분하면서 프로레슬링을 시청하는 장면이다.
특히, 이 장면은 다른 장면과 달리 관객들의 몰입도를 높이기
서 슬로모
으로 영상 리되어 있는데, 흥미로 점은 라 관 속 주인공이 바로 역도산
이라는 점이다. , 라 관 속에서 국인 레슬러에 가라
(空手チョッ
プ)을 리는 역도산은, ‘ 전 쇼 에서 아 회생하지 못하고 더구나 국인
스를 가지고 있던 일본 대 앞에서, 한의 국
언을 모조리 때려
히는 역도산은 자 감과 자부 을 어 주는 국민적 히어로였다’2)라고 하는
사전적 의미에 비 어 도
수 있 이, 역도산은 전 쇼 와 미국
스를 치
주는 아이 이었다는 사실을
수 있다.
한, 영화 속에서는 카
를 영하고 있는 스 키 오 가 텔레비전을 보
러 모여 동네 사람들 앞에서 ‘시작하기 전에 한마 하 습니다. 여러분
분에
에도 텔레비전이 찾아왔습니다. 이 보면, 전 에서 아 아
13년
’라고 전과 점령기의 기 에 대 서 이야기를 시작하려고 하
자, 동네 할 니로부 ‘으이그, 이제 인사는 으니까 른 어’라고 비난을
하고, 텔레비전 앞에 모인 동네 사람들로부 도 ‘ 리, 리’라고 지 한다.
, 동 영화는 전과 점령기의 기 을 절단하는 형 로 고도경제성장기를 그
려 고 있는데, 이러한 고도경제성장기 상은 2005년의 동 영화를 전
서
형성되는 쇼와 레트로 붐을 둘러 담론에서도
인할 수 있다.
를 들면, 다카하 모로히로(高畑基宏)는 쇼와 레트로 붐에 대 서, ‘
화된 전을 고 일어나, 전 일본의 기적 고도경제성장 의 도 기와 치
고, 가전제 과 전화의 보급이 서민의 일상생 을 적으로 바
다. 지금
일어나고 있는 쇼와 레트로 붐은 주로 이 10년 을 그리워하는 노스 지어 현
상이다’3)라고 하고 있는데, 전 의 경제 체에서의 탈 과 고도경제성장
의 서 을 리는 ‘더 이상 전 가 아니다’(『경제 서』1 56년7월)라는 슬로
이
어가 된 것은 1 56년이고, 가전제 시대
풍요로 생 을 리는
‘3 의 기(三種の神器=텔레비전, 장고, 세 기)’라는 이
어가 된 것
4)
한 1 56년이다 .
, 쇼와 레트로 붐이 생산하는 고도경제성장기 담론은
1 50년대 반부 서민의 일상생 이 ‘ 적으로’ 바 었고, 그와 동시에 전
처
즉 브 운
패
날
콤플렉
눕
또
유해
패
품
외
브 운
크
직
중
거
신
심 심
추 봐 알
듯
콘
알
센터 운
든
저희 집
벌써 …… 패
머 터
당
즉
패
내
예
운
딛
말
타
막 알
유행
9
종 신
또 9
즉
9
중 터
위해
게
외 챔피
패
크
외
콤플렉
즈 토
디 겠
덕
돌 켜
쟁 살 남
억 해
됐
얼 틀
터 빨 빨
저 당
억
태
표
후해
싼
쉽게 확
해 초토
후
“
” 약 겹
활 극
꿔놓았
간
탤
패 후
침
출
후
백 9
건
품
즉
운 활 알
냉
탁
말 유행
활 극
설명
․
뀌
30년대’에 기대하고 있는 것이라고
하고 있다.
2) 石川弘義ほか編(1 4)『大衆文化事典』弘文堂, p.843
3) 高畑基宏(2005.10.30)「昭和レトロを究める 上」「読売ウィークリー」, p. 2
4) 加藤迪男(2001)『20世紀のことばの年表』東京堂出版, p.132
99
테촙
션
9
패
표
역도산 만화와 고도경제성장기 상 -하루키 에츠미「역도산이 찾아왔다」론- ·········· 임 상 민…153
억
활 터
후퇴․망각
강
과 점령기의 기 은 서민의 일상생 로부 점점
되었다고 조하
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서민의 일상생 을 ‘ 적으로’ 바
던 ‘3 의 기’
하나인 텔
레비전에 대 서 이노세 나오키(猪瀬直樹)는, ‘텔레비전은 프로레슬링에 의
서, 프로레슬링은 텔레비전에 의 서 인지되었다. 역도산은 텔레비전 분에
히어로가 되었고, 텔레비전은 히어로를 는 것으로 시청자를 수할 수 있었
다’5)라고 하고 있 이, 역도산은 텔레비전과 서민의 일상생 을 ‘ 적으로’
바 고도경제성장기와의
도를 조할 때 지지 고 론되는 수 아
이 이라는 것을
수 있다.
하지만 오사와 마사치(大 真幸)는 사회 구조의 적 전 은 하루아 에
자기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단
을 형성하면서 ‘비스 하 ’(
부 전
6)
까지는
10년 전 ) 바 어 다고 지적하고 있 이, 1 50년대 반에 서
민의 일상생 은 ‘ 적으로’ 바 었고, 과적으로 전과 점령기의 기 이 하
루아 에 ‘ 복’되었다고 하는 담론은 주의할 요가 있다. 한 오사와 마사치
의 지적은 역도산의 등장으로 인 , 일본인의 전 쇼 와 미국
스가
‘ 적으로’ 치 되었다고 하는 담론에도 주의를 기시 다. 실제로, 고바야시
마사 키(小林正幸)는 이러한 정형화된 역도산 인식을 ‘역도산 상식론’이라고
부르면서,
에 역전 을 치는 역도산 프로레슬링과 현실과의
에
‘부 러워’ 의 을
지
가하는 어른들의 모습과 역도산이 ‘일본
인’이 아니라는 사실을 면서도 역도산을 부정하지 고 오히려 정한 ‘역도
산’으로 인식하는 의식 구조 등, 이른바 ‘역도산 상식론’에 회수되지 는 다양
한 역도산 체험을 소개하고 있다7).
본 논문에서는 2005년 전 의 쇼와 레트로 붐보다도
른 시기부 고
도경제성장기를 시대적 경으로 만화를 그려온 하루키 에츠미(はるき悦巳)의
「역도산이 찾아왔다(力道山がやって来た)」(「
」1 80년3월10일 )8)를
으로, ‘역도산 상식론’에 회수되지 는 역도산 체험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
히, 역도산이
한 동시대의 언 과 그 이 에 생산된 언 을
하 구분
활 극
해
꾼
콘
환
해
말
듯
알
약
활 극
침 극
극
유
끄
밀착
해
유
덕
강
층선
뀌 간
뀌 결
후
질
환
침 갑
듬 게 균열 터
듯 9
중
패
억
필
또
패 크
콤플렉
환 킨
활약
99
격차
않
후
진
않
훨씬 빠
설
않
のメディア
の
ちくま
をめぐる
9
はるき
がやって た
해
흡
활 극
않 거
필
빠
혈투 끝
극 펼
남 눈 피해 허겁 겁 귀
알
심
종 신 중
낳
澤
배
5)
6)
7)
8)
꿔놓았
빅코믹 9
후
터
호
중
설 명확 게
猪瀬直樹(1 0)『欲望
』小学館, p.285
大 真幸(2004)『戦後 思想空間』
新書, p118~120
小林正幸(2011)『力道山
体験』風塵社, pp.20 ~210
본 논문에서는,
悦巳『力道山
来 』(小学館, 2010년)을 사 하였다. 이하 본문 인 은
澤
용
용
쪽수만을 표기한다. 하루키 에츠미는 1947년에 태어난 이른바 베이비붐 세대이며, 그의 대표작
「말괄량이 치에(じゃりン子チエ)」는 주간잡지「만화액션」에 1978년부터 1997년까지 약 19년 동안
총786회를 연재되었고, 단행본 발행 부수는 총 3000만부를 돌파한 베스트셀러 작가이다. 「말괄량
이 치에」는 오사카 서민촌에서 당차게 생활하는 초등학교 5학년 ‘치에’가 악전고투 끝에 가출한
엄마를 되찾는 이야기로, 서민촌의 인정과 파워를 그린 작품으로 평가를 받는 만화이다.
15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함으로써, 전전 세대와 전후 베이비붐 세대, 그리고 점령기와 고도경제성장기
와의 절단과 연속성을 도출시키고, 결과적으로는 현재의 쇼와 레트로 붐을 상
대화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역도산과 ‘점령’의 연속성
IKIDO
피숍
준친 ․
만화「역도산이 찾아왔다」는 현재 ‘R
’라는 커
을 경영하는 베이비
붐 세대의 ‘나(ノボル)’가 동 커
의 이름을 지어
구 사키(咲)가 어 의
미를 담아 ‘R
’라고 네이
는지를 독하려는 이야기이다. 시대적 경
은 1 50년대 반의 오사카, 마을 사람들은 금요일 이면 텔레비전이 있는
에 몰려들어 역도산 프로레슬링을 보면서 웃고 울고 마음 졸이며
한다. 특
히, 일인지 가 도 없이 리어카에서 로 노 하는 도 할아버지(徳ジイ)는
전 으로 ‘아들 ’을 은
으로 역도산과
는 모
국인을 ‘맥아더’
로 인식하고 흥분하는데, 어느
국인 수의 반 으로
성이가 된 역도
산의 모습을 보고는 국 절도하고 만다. 그리고 도 할아버지를 난히 르
는 사키는 그 도 할아버지의 마지 을
서, 지
회 경기를 온 역도
산을 불러와 을 아주 하는데, 이러한 정 자체는 앞서
본 바와
이 영화「ALWAYS 3번가의 석양」에 나 난 ‘역도산 상식론’과
다르지
다고도
수 있다. , ‘아들 ’을 은 도 할아버지(전 세대)의 전 쇼
와 미국
스를 치
주기
서, ‘역도산이 찾아왔다’라는 석이다.
하지만, 만화의
장면에는 ‘이 가 의 R
라고 하는 이름도 역도산
을 데리고 왔다는 자 에서가 아니라, 도 할아버지와의
때문일지 모른
다. 사키는 그
자다’(180 )라고 되어 있 이, 동 만화는 단 히 전과 부
흥의 아이 으로서의 역도산과 사키의 관 성이 아니라, 오히려 도 할아버지
와 사키의 관 성에 점을 고
이 구성되어 있다. 한 ‘사키는 그
자다’라고 되어 있 이, 「역도산이 찾아왔다」는 ‘그
자’가 구체적으로 어
자인지,
커
의 이름을 아메리카니즘을 연상시키는 영어 기의
‘R
’라고 네이 하는 사키의 상을 독하려는 작 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사키와 도 할아버지의 관 는 만화의
장면(도 할아버지의 장
식)에서, 사키가 도 할아버지의
자라는 사실이
다. 라서 사키
가 도 할아버지를 난히
던 이 와 역도산을 데리고 온 이 자체는
분히
이 가 하다. 하지만, 그
되면,
도 할아버지는 을 나와
로 리어카에서 노 을 하고 있고, 더구나 사키는
도 할아버지와의 관
9
웬
쟁
IKIDO
중
피숍
밍했
해
밤
열광
떤
배
집
족
홀 숙
쿠
셋 잃 충격
싸우 든 외
날외 선
칙 피투
결
쿠
유 따
런 쿠
막 위해 방 순
손 잡 게
설
살펴
같
타
크게
않
볼
즉
셋 잃 쿠
쟁
패
크
콤플렉
유해 위해
해
엔딩
게 IKIDO
랑
쿠
추억
런남
쪽
듯
순 패
콘
계
쿠
계 방 찍 플롯
또
런남
듯
런남
떤 남
즉 피숍
표
IKIDO
밍
위 해
품
쿠
계
엔딩
쿠
례
쿠
친손
밝혀진 따
쿠
유 따랐 유
유
충 설명 능
렇게
왜 쿠
집
홀
숙
왜 쿠
계
표
역도산 만화와 고도경제성장기 상 -하루키 에츠미「역도산이 찾아왔다」론- ·········· 임 상 민…155
숨겼
또
각
머
외
귀
런
족 계 숨겨 했
유
계 해
위해
해 틀
또 해 틀 련 필
결
왜 쿠
계 숨겼
중 해
포
렇게 각 누
출
해
혀
피
목
필
왜냐
잡
린
선 설
출
밝혀진
9
우
코
포 타 심층해류
남 ․
매 신
출판
터
선
설 해
망
해당
9
또 9
극
방 했
중 신
머 말
함께 김포
항
게환
진
출
피
유
배
차 계태 팀선 권 d
T T
열렸 9
따 당
출
각
를
는지에 대한
다른 의문이 부 된다. 그 뿐만 아니라, 사키의 어 니
는 ‘ 국인’과 사 고 있는데, 이 사실과 가 관 를
야 던 구체적인
이 와의 관 를 독하기
서는, ‘역도산 상식론’이라고 하는 석의 과
는
다른 석의 을 마 할 요가 있다.
국, 사키는
도 할아버지와의 관 를
을까 라는 부분이 요한
석 인트가 되는데, 그
생 하면 구보다도 생에 대한 담론이 이슈화
되는 역도산에 대 서 동 만화에서는 전 언급을 하고 있다는 사실은 주
할 요가 있다.
하면, 동 만화가 지에 실 시기는 역도산의 조 인
이 공론화되기 시작한 때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역도산의 생이 공식적으로
것은 1 78년에 시지마 히데히 (牛島秀彦)의 르 르 주『
의 자 역도산』( 일 문사)이
되면서부 인데9), 하지만 역도산의 조
인 에 대 서는 역도산 사 10주기에
되는 1 73년에 이미 이이다 모모
10)
11)
(いいだもも) 와 사노 미츠오(佐野美津男) 가 언급하고 있다. 한, 1 63년 1월
8일에 역도산이 비리에 한국을 문 을 때에도, 일본의 동경 일 문(東京
中日新聞)이 「역도산, 20년 만에 모국으로」12)라는
리 기사와
공 에서 많은 한국인에
영을 받고 있는 사 을 공개한 적이 있다.
물론 만화「역도산이 찾아왔다」에서 역도산의 생에 대한 언급을 하고
있는 이 는, 단지 동 만화의 시대적인 경이 제2 세
그
수 (Worl
ag eam Championship) 대회가
던 ‘1 56년’이고, 라서 시 많은 일
본인은 역도산의 생을 모르고 있었기 때문이라고도 생 할 수 있다. 하지만
9) 吉見俊哉(2007)『親米と反米ー戦後日本の政治的無意識』岩波新書, p.177
10) いいだもも(1973.7)「力道山ー暴力を商品化した大和魂」「現代の眼」, p.89
11) 佐野美津男(1973.4.13)「力道山物語 小さい巨像14」「朝日ジャーナル」, p.98
12) (1963.1.9)「力道山、三十年ぶりに母国へ」「東京中日新聞」. 이하, 기사의
같
전문은 다음과 다.
「力道山、突然の韓国行き。プロレスラーの力道山は八日、韓国政府朴一慶文相の招きで空路韓国を訪れ
た。約一週間滞在する予定。この日、金浦飛行場には韓国体育協会、レスリング関係者約六〇人が出迎え
た。韓国の少女からたくさんの花束を受け歓迎された力道山は記者会見で「二〇年ぶりに母国を訪問でき感無
量です。長い間、日本語ばかり使っているので、韓国語はさっぱり」といっていたが、インタビューのあと「カムサ
ハンミダ」と付け加えていた。こんどの力道山の訪問は、試合のスケジュールがなく、次回、四月ごろには韓国
各地で試合をやるといっている。力道山は韓国滞在中、韓国政府の高官との懇談会や板門店、ソウルに建設
中の体育館を見学することになっている」. 역도산의 한국 방문에 대해서 한국의 각종 미디어는 대대적
운
방
래 9
예
으로 보도하고 있는데, 흥미로 점은 역도산의 한국 문은 원 1 62년 11월 16일에 정되어
있었다는 사실이다. 동아일보는 「프로레슬러力道山 来月16日 母国訪問」(1 62년 10월 25일)이라
는 기사 속에서 다음과 이 전하고 있다. 「25일상오 朴문교부장관은 한국인으로서 日本에 화
한 日本「프로레슬링」세
수 보지자 力道山(38) 와 富士観光사장 韓緑春 에 오는 11월 16
일부 五일 모국을 문, 서울西大門구 應岩동 민 체육관 기공식에 석
청하였다. 力
道山 수는
요로를 문, 일단 도일한 다음 다시 한하여 년 1월 4일부 는 서울 奬忠단체
육관에서 세 八개국 美 土 佛 比 「오끼나와」 日 西独 西班牙「프로레슬링」 수
탈
전을 고 大邱와 釜山에서도
一회 시 을 가 것이라 한다」
터 간
선 각계
계
열
같
계선 권
씨
방
간
방
내
내
․ ․ ․ ․
․ ․ ․
각각 씩 합 질
9
씨 게
참 토록 초
터
귀
선 권쟁
15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9
폐업
9
향 후 9
중 타
차
창
9 당
선 혈통 잇
팬
순위 록표
“출신 선”
거
잘
밝
또
따 규
우익
선 권
쟁 간
위해 혈 왕 우익 용
견
했
같 9 당
출신
각 힘
렇게 각
쿠
용 해 알
설명
출 숨
했
패 크 외 콤플렉
했
당 설득력
같
출
환
알
렇게 각
출 포
맞추
않 알
태 변
품
배
능
목해
알
척 활
계
엔딩
쿠
집
유 해
쿠
……
무
쳐
않았
명
역도산이 1 50년에 스모를
하고 1 52년에 프로레슬링으로 전 한 , 1 53
년에 역도산의 프로레슬링이 텔레비전이라고 하는 공 파를 면서 제1 프
로레슬링 붐이 한 이었던 1 55년 시에도, ‘사실 역도산은 조 의
을
고 있는, 전전의 스모 이라면
기
(番付)에
지, 조 으로 되어
있었던 것은 주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이제 와서 그 사실을 론하는 것은
못된 일이다’13)라고 히고 있다. 한, 동 기사에 르면 ‘ 슈(九州)의
단
체 동지회’는 프로레슬링 일본 수 을 ‘일한전 ’으로 주하고, 역도산을 가
하기
서 기 성한
‘ 사들’을 동경에 파 하려고까지 던 사실
을 전하고 있다. 이와 이, ‘1 56년’ 시의 일본인들이 역도산의 ‘
지, 조
14)
’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고는 생 하기 들다 . 그
생 하면, 가
와 라 다 (川村卓)가 일본인의 역도산 프로레슬링 수 에 대 서 ‘ 고 있지
만, 모르는 구조’15)라고
하면서, 역도산은 생을 기면서 ‘일본인 히어로
로서의 역도산’을 연기 고, 일본인도 ‘ 전 쇼 와 국인
스로 울분의
16)
일본인’을 연기 다고 하는 지적은 상 히
이 있다 .
이와 이, 역도산의 생에 대한 담론 구조가 기시키는 것은 ‘ 고 있지
만, 모르는 구조’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생 하면 「역도산이 찾아왔다」는
적으로 역도산의 생에 커스를
고 있지는 지만, ‘ 고 있지만, 모
르는 구조’가 여러 형 로 주되면서 작 속에 치되었을 가 성이 있다.
물론, 주
야 할 부분은 ‘ 고 있지만, 모르는’
생 하고 있는 사키와 도
할아버지의 관 이다.
만화의
부분에서 도 할아버지가 을 나온 이 에 대 서, ‘도 할
아버지
, 사키는 아 것도 가르 주지
지만, 분 아들의 며느리가
해
K
선
무
직접
쿠
9
․
?
999 〈 〉
따
뷔
9
순위 록표
선출신
광호 명 김신락 표
같 해
젠 출신
광호 명 김신락 출신 뀌게
9
젠 출신
신락 김신락
뀌 9
출신
광호 명 김촌광호 뀌 출신
선
흔
폐․
용 9
말
듯
팬
출신 선
망각
힘
13) 八島一郎(1 55.3)「力道山 東富士とコンビなるか 」「丸」, pp.72~73
14) 朴一(1 )『 在日 という生き方』講談社選書メチエ, p.122. 박일의 조사에 르면, 역도산이 스모
데 를 한 1 41년 1월의
기
에는 ‘조
, 역도산
, 본
’으로 기되어 있었
는데, 은
5월에는 ‘히 (肥前)
, 역도산
,본
’으로
이바
된다. 그리고
1 42년 1월에는 ‘히 (肥前)
, 역도산
,
’으로 바 고, 1 43년에는 ‘나가사키(長崎)
,
역도산
, 본
’로 바 면서
과 이름에서 조 을 상기시키는 적들이 은
조작
되기는 하지만, 앞서 인 한 1 55년의 기사에서도 하고 있 이 ‘전전의 스모 ’이라면 역도산의
‘
지, 조 ’이라는 사실을
하고 있었다고는 보기 들다.
15) 川村卓(2002)「演じられた「力道山」、演じられた「日本人」」『力道山と日本人』所収, 青弓社, pp.5
8~60
16) 入不二基義(2002.2)「「ほんとうの本物」の問題としてのプロレス」「現代思想」臨時増刊, pp. 1~ 2. 가
와 라
의 ‘ 고 있지만, 모르는 구조’라고 하는 역도산 프로레슬링의 이 적인 구조 분석은
이리 지 모 요시가 프로레슬링의 정한 파워는 단 히
부(=실체)와 부조작(= 상)이라
고 하는 소박한 리 리즘에 입 한 이분 적 사고로는 파 하기 들고, 오히려 험한 기 을 교
하는 프로레슬링 경기에서는 면적으로라도 부를 사전에 정
어야 하며, ‘도 구 ’은 도
을도
하 이 프로레슬링의 정한 파워는 ‘없는 형 로 생생하
재한다’고 하는 부재
의 실재를 지적한 학적 고 과도 은 석의 을 인할 수 있다.
무 타쿠 알
후 토
얼
환
넛 넛답게 듯
철
중
승
진
순 진검승
각
법
악 힘
표
승
해두
진
태
게존
찰 같 해 틀 확
9 9
허
위
술
넛 멍
표
역도산 만화와 고도경제성장기 상 -하루키 에츠미「역도산이 찾아왔다」론- ·········· 임 상 민…157
외국인과 사귀는 것을 참지 못해서 저 리어카에서 살게 되었을 것이다’(180쪽)
라고 ‘며느리’와의 관계 때문이라고 설명되어 있는데,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보
면 집을 나간 이유와 사키와의 관계를 숨겨야 하는 이유는 별개의 문제이다.
즉, 동 만화에서는 왜 가족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모르는’ 척 살고 있는
지에 대한 설명은 여백으로 남아 있다. 물론 여백 자체가 중요한 해석 포인트
라고 할 수 있는데, 곰곰이 생각해보면 사키 가족의 관계를 도쿠 할아버지의
장례식 전까지 마을 사람 아무도 몰랐다는 사실은 또 다른 의문을 낳는다. 왜
냐하면, 전쟁으로 ‘아들 셋’을 잃었다면 사키의 어머니는 적어도 전쟁 중에 시
집을 왔다는 이야기가 되는데, 마을 사람 그 누구도 사키 가족의 관계를 모르
고 있었다는 사실은 플롯 전개상으로도 이상하다. 결국, 작가의 실수라는 측면
을 제외하면, 가능성으로서는 타 지역에서 이사왔을 확률이 크다. 물론, 타 지
역에서 이사를 왔다고 해서 사키 가족의 관계를 숨겨야 할 필연성은 없어 보
이지만, 사키의 어머니가 단지 ‘외국인’과 사귀는 여성이 아니라, 다음과 같이
표상되는 여성이었다는 사실을 경유하면 조금 다른 해석이 가능해진다.
머
말 예쁜
사키의 어 니는 정
사람이었다. 그러나 조금 이상한 사람이었다. 사
키는 이웃에서 인기인이었는데, 어 니 은 전 이웃과 어울리지를
다.
에 있는 경 도
없었다. 가
에 있을 때에도 가 사키가 에
있는지 물어도 대 도
주
다. 은 속치마와 담
,
지만
지 이상야 한 영화에 나 것 은 사람이었다.
버는 데는 어른에 지지
는 사키
, 그리고 리어카에서 자기만 하는 도 할아버지
, 다가
어 니
, 어 나에 는 전 이 할 수 없는 조 이었다.(16 ~170 )
머 쪽
집
우 좀처럼
끔집
답 해 질 않았 검
릇
올 같
않
……
머 …… 린 게 혀 해
류
집
올
혀
돈
쿠
합
좀처럼
무뚝뚝
릇
같 검
배
직업 해
혀
팔짱
걷
머 발견
“
“
머 참 예쁘 ”
탄
런
“ 용 해!” “쓸
”
혀
응
머
내
않
목 왜
게 응 밖
내
배…… 예뻤
않았
집
왠
뒤
…… 게 저
9 쪽
머 편 왠
피우
머
또 외 군
너 머 ”
응
게 응 즉
차별
선
같
설
쉽게 알
이웃과의 교 도 없고 에도
없는
한 사키 어 니, 한 ‘
지 이상야 한 영화에 나 것 은’‘ 은 속치마와 담 ’를
는 사키 어
니의
에 대 서, ‘나’는 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한 국인 인과
을 끼고 고 있는 사키 어 니를
하고는 사키야, 의 어 니야 ,
사키 어 니는
다 라고 감 하지만, 그 ‘나’의 반 과는 대조적으로
사키는 조 히
,
데 없는 소리하지 마 라고 민감하 반 한다. ,
전 다른 둘의 반 이 시사하는 것은, 어 니를 바라보는
적인 시 을
‘나’는 면화하고 있지 다는 이야기인데, 하지만 다음과 은 동시대의 언
에 주 하면
사키가 민감하 반 할 수 에 없었는지를
수 있다.
립스틱을 새빨갛게 바른 팡팡은 마치 사람을 잡아먹는 토인과 같은
그 새빨간 입에 문 담배.(초등학교 6학년, 호시노 시즈코)
여자다.
15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빨간 립스틱의 철새란 우리들도 잘 알고 있는 팡팡들을 말하는데, 밤거리를
빈둥빈둥 진주군 병사들과 둘이서 걷고 있습니다. 화려한 옷, 굽이 높은 구두,
짙게 화장한 얼굴, 우리 마을과 나카하마(中浜)에서는 항상 볼 수 있는 풍경
입니다.(츠등학교 6학년, 모토이케 유코, 199쪽)
우리들이 등교하는 길에도 그 여자들이 점점 늘고 있다. 입술을 새빨갛게 바
르고 담배를 피우며, 남자 같이 거친 말을 사용한다. 나는 만나면, 가만히 쳐
다본다. 상대방도 알아챈 듯, “왜 날 봐. 기분 나쁜 녀석. 호호호”라고 장난치
며 지나간다. 나는 분하기도 하고 불쌍하기도 해서, 어찌할 바를 모르고 있
다.(중학교 3학년, 야마시타 히로코)17)
빨간 립 틱
배
거친 말 쓰 진 군 병 밤거
옷
군
변
군
즉 팡팡
표
위 용
배
9
빠 9
출판
록 군
변
활
군
샌 란 코 강 약 발효
9
끝 게
목
종료 직후
군
축
않았
냉
올
9
확
추
변
축
9
후 터
따
9
머
표
군
변
쉽게 확
팡팡
출판 9 당
군
곳
렇
팡팡
변
항 볼
게
머
팡팡
않았
활
매춘
‘
스 ’에 ‘담 ’, 그리고 ‘
’을 며 ‘ 주
사’와
리를
보하는 ‘화려한 ’의 여자들, 이것은 미 기지 주 에서 미 을 상대하는
부,
‘
’에 대한 상이다. 의 인 문은 「역도산이 찾아왔다」가 시대
적 경으로 하고 있는 ‘1 56년’보다 3년 른 1 53년에
된 『기지의 아이
(基地の子)』에 수 된 미 기지 주 에서 생 하는 아이들의 작문이다. 미 점
령 에 의한 일본 점령은 프 시스
화조 이
되는 1 52년 4월 28일
에 나 되는데, 주 할 점은 점령이
된
에도 미 기지는 소되지
다는 사실이다. 오히려, 전체제 하의 이데 로기 문제로 1 50년대 반
까지는 대되는 세를 보이다가, 기지 주 의 주민들 반대로 소 및 오키나
와로 이전되는 것은 1 50년대 반부 이다18). 라서, ‘1 56년’을 시대적 경
으로 하고 있는 「역도산이 찾아왔다」 속의 사키 어 니에 대한 상은, 동시
대적으로 미 기지 주 에서는
인할 수 있는 ‘
’의 모습이었다(『기
지의 아이』가
된 1 53년 시의 미 기지는 ‘600여 ’).
그 다면, ‘
’은 기지 주 에서는 ‘ 상
수 있는 풍경’인데도 불구하고,
‘나’에 는 사키 어 니의 모습이 ‘
’으로 인식되지
다는 것은 의문이다.
9
집 편집
당
중
배
즈
17) 清水幾太郎ほか編(1 53)『基地の子』光文社, pp.142~202. 동 작문 의
을 담 한 시미
이
로
2인은 ‘
의 (編集のことば)’에서 기지의 아이들에서 온 작문을
하면
서 느 점을 다음과 이 기 하고 있다. 「一番ひどく感じたのは、アメリカ兵の大小の乱暴や
쿠타 외
낀
편집 글
같 술
편집
でした
のところ
を むまでは まさか これほど
とは いませんでした。ひど
い をはたらく たち それを って ている の
この を めただけで、子供たち
は のうまい がなんと おうと
に すべてを するのです それから、お定まりのパン
パン しかし
たちの をつかんでいるのは くのばあいは や ですが、同時に、羨望
の も しているばあいが なくありません そこに ずいてくる が されていると考えてよいで
しょう
と ー
の
暴行
。正直
、作文 読
、
、
滅茶苦茶 思
乱暴
兵隊
、
黙
見
日本 巡査、
事実 眺
、口
大人
言
、一挙 、
理解
。
。
、子供
心
、多
憤怒 軽蔑
影 射
少
。
、近
危険 暗示
。」
18) 吉見俊哉(2007)『親米 反米 戦後日本 政治的無意識』岩波新書, p.118
표
역도산 만화와 고도경제성장기 상 -하루키 에츠미「역도산이 찾아왔다」론- ·········· 임 상 민…159
또한, 기지의 아이들은 ‘팡팡’에 대해서 ‘사람을 잡아먹는 토인과 같은 여자’라
고까지 비하하는 반해, ‘나’는 ‘왠지 이상야릇한 영화에 나올 것 같은 사람’으로
밖에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나’는 미군기지의 일상을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물론, ‘나’가 ‘팡팡’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했다고 해서, 마을 어른들까지
몰랐다고 보기는 힘들다. 왜냐하면, 『기지의 아이』의 작문 중에는 ‘우리들이
산사로 소풍을 갔을 때, “어디에서 왔니?”라고 물어서 “진마치(神町)”라고 대
답하자, “머야, 팡팡 마을이군”라고 말했다. 나는 분하고 억울해서 눈물이 날
것 같았다. 우리들의 죄가 아닌데’(190쪽)라는 체험담이 소개되어 있듯이, 마을
이름만으로도 ‘팡팡 마을’을 알 수 있는 어른들에게는 미군과 팔짱을 끼고 걸
으며 ‘왠지 이상야릇한 영화에 나올 것 같은’ 외모의 사키 어머니가 ‘팡팡’이라
는 사실은 쉽게 알 수 있었을 것이다. 즉, 마을 어른들은 사키 어머니가 ‘팡팡’
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모르는’ 척 하고 있고, 또한 사키 역시 마을 어른
들은 ‘알고 있지만, 모르는’ 척 하고 있다는 사실 그 자체를 ‘알고 있지만, 모르
는’ 척 하면서 ‘나’에게는 말을 하지 않고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중적인 구조를 경유하면, 왜 사키가 도쿠 할아버지와의 관계를 숨겼는
지에 대한 또 다른 해석이 가능해진다.
다시 한 번, 『기지의 아이』를 살펴보면, 기지의 아이들은 ‘팡팡 마을’에서
왔다는 이유만으로도 어른들로부터의 차별적인 시선을 내면화하는 것처럼, 실
제로 ‘팡팡’을 하고 있는 여성에 대해서는 ‘저런 사람들이 있는 한, 일본이라고
하는 나라는 결코 진보하지 않을 것이다’(143쪽), ‘나는 이 악에 절대로 물들어
서는 안된다. 친구와 함께 싸우자. 그리고 저 사람들이 훌륭한 일본인으로서
눈을 뜰 날을 기도해 주리라’(151쪽), ‘(팡팡은)청소년을 불량화시킨다. 하지만,
이와쿠니(岩国)의 사람들은 그 유혹에 결코 넘어가지 않는다. 넘어가면 안 된
다. 넘어간다면, 그것은 일본이 멸망하는 날이 될 것이다’(178쪽)라고 ‘팡팡’을
사회의 ‘악’으로 간주하고, ‘팡팡’(나쁜 일본인)의 부정을 통해서 ‘우리들 일본
인’(좋은 일본인)이라고 하는 내셔널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
다. 따라서, 사키가 도쿠 할아버지와의 관계를 숨겼던 이유는, 단순히 어머니가
‘아들 셋’의 목숨을 빼앗은 외국인과 사귀고 있어서라기보다는, 오히려 ‘팡팡’을
하고 있는 어머니 때문에 ‘아들 셋’을 잃은 할아버지가 ‘우리들 일본인’으로부
터도 배제당하는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즉, 사키가 역도산을 데리고 온 이유는 도쿠 할아버지의 패전 쇼크와 미국
콤플렉스를 치유시켜 주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역도산의 출생을 ‘알고 있지만,
모르는’ 척 환호하는 일본인과 그런 일본인들의 이중성을 ‘알고 있지만, 모르
는’ 척 일본의 영웅을 연기해야 했던 역도산의 모습에서 도쿠 할아버지와의 구
조적 동일성을 확인했던 것은 아닐까. 달리 말하자면, ‘팡팡’ 가족이라는 사실
16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밝혀지면 마을 사람들로부터 차별받고 배제당할 것을 ‘알고 있지만, 모르는’
척 살아온 할아버지를 위해서 이며, 또한 마을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하도록 오
히려 더 모든 외국인을 ‘증오스런 맥아더’로 외치면서 ‘약자로서의 일본인’을
연기해야만 했던 도쿠 할아버지를, 적어도 ‘출신지, 조선’이라는 사실을 숨긴
채 ‘강자로서의 일본인’을 연기해야만 했던 역도산은 이해해 줄 것이라고 생각
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
3. 역도산과 ‘맥아더’
살펴
같
출
앞 절에서
본 바와 이, 만화「역도산이 찾아왔다」는 역도산의 생을
둘러 ‘ 고 있지만, 모르는 구조’를 민 적 아이
의 인을 임없이 요
구하는 장소,
의 점령 에도 재하는 미 기지의
적인 구조와
링 시키면서 풍요로 고도경제성장기의 이면에
되어 있는 점령기의 연
속성을 그려 고 있는데, 흥미로 점은 모
국인을 ‘맥아더’로 인식하는 도
할아버지를 마을에서 일하 텔레비전을 소 하고 있는 야스 니(安国)
아
는 시 어한다는 것이다. 동 작 에서 야스 니 아
가 요한
석 인트가 되는 이 는, 도 할아버지와 더불어 일하 사키에 ‘이름
(고
사)’으로 불리기 때문이다. 더구나, 화자인 ‘나’는 야스 니 아
는 ‘텔
레비전’을 소 하고 있기 때문에 이름으로 부르는 것이
하지만, ‘도 할아
버지는 공소
의 리어카에서 고 있었는데, 나에 는 아 리 생
도
이름으로 불 정도의
로
자로는 보이지
다’(156 )라고 하고
있 이, ‘나’는 야스 니 아
와 도 할아버지가
동등하 ‘이름’으로 불
리는지,
사람이 은 문맥에서 석되고 있는지를 전 이 하지 못
하고 있다.
야스 니 아
가 고
사로 불리는 이 는 ‘텔레비전’을 소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는데, 달리 석하자면 ‘텔레비전’(3 의 기)이라고 하는 가전
제 은 서민의 일상생 을 ‘ 적으로’ 바
은 고도경제성장기의 메
로 기
하고 있기 때문에, 야스 니 아
그 자체가 고도경제성장기의 메
라고
할 수 있다. 그 다면
야스 니 아
는 모
국인을 ‘맥아더’로 인식하
는 도 할아버지를 어하는 것일까 다음은 ‘맥아더’와 고도경제성장기의 관
를 분석하기
서라도 시적으로나마 전 일본인의 ‘맥아더’ 수 을
보도 하자.
일본은 전
, 1 45년 월 2일( 복문서에 조인)부 1 52년 4월 28일
싼알
크
즉 GHQ
운
내
쿠
후
족
존
운
유 게
든외
저씨 몹 싫
품
포
유 쿠
유명
유
철 뒤편
살
릴
명예 운 남
듯
쿠 저씨 쿠
즉왜두
같
해
쿠
품
능
쿠
계
펴 록
덴티티 승 끊
군
차별
유착
유
쿠
쿠 저씨 중 해
유 게
게
쿠 저씨
타당
쿠
게 무 각해
않았
쪽
말
왜
게
혀 해
저씨
유명
유
했
해
종 신
활 극
꿔놓
쿠 저씨
렇 왜 쿠 저씨 든 외
싫
?
위해
거
후
패 직후 9
9
항
유
타포
타포
용 살
터 9
표
역도산 만화와 고도경제성장기 상 -하루키 에츠미「역도산이 찾아왔다」론- ·········· 임 상 민…161
샌 란 코 강 약 발효
합 군최
총
GHQ
게
간
칭
계 말
용
천
군총
방 했
찍
투샷 9 9
방
진
밸런 두
포즈
예
신
신 천
천 군 차
림
차림 천 릴랙
직립
천
간 균
계
린
남
같 호
립 표
우
또
토
진 해
새 운 권력
종
토릭 능
<패 ․항 >
압
증명해
말
듯
용
피
계 압
내
런
후
용
칭
계
타내
예
9 9 터
9
총
게 낸편 약
통 했
편 추
약
통 편 패
터
총
게 됐
낸 편 GHQ 당
두읽
약 중 편
피
심
악 위 중 료 용
편
허 심 극 찬
예
신 같 존
했
슌
후
같 존 간
신 죄 백
괴 운처 터 해 록 탁
즉
게 신 존
새 운
해줄 타
선 발견했
후
해
같 술
( 프 시스
화조 이
)까지 연 국
고사령관 사령부(
)에 의
한 점령기에 들어가 되는데, 일미 의 비대 적인 관 를 할 때 자주 인
되는 것이 바로 쇼와 황이 미 점령
사령관 맥아더를 문 을 때 은
(1 45년 월27일, 문)이다. 특히, 사 속의 언
스한
사람의
,
를 들면 장 의 맥아더와 단 의 황, 연장의 맥아더와 젊은 황, 복
의 맥아더와 정장
의 황,
스한 자세의 맥아더와
부동 자세의
황 등, 일미 의 불 형적인 관 를 ‘어른’과 ‘어 이’, 그리고 ‘ 성’과 ‘여성’
과 은 기 적인 대 으로 상하는 경 가 많다. 한 사카모 고지로(坂本
孝治郎)는 동 사 에 대 서, ‘일본국민 앞에
로 점령
의 현재를, 그리
고 「 전」의 레
을 가하는
전
복 의 현실을 도적으로
1
9
)
보였다’ 라고 하고 있 이, 맥아더 수 은 점령자와 점령자의 관 를 ‘
도적으로’ 면화시키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 데 주의할 점은, 전 일본인의 맥아더 수 은 비대 적인 일미관 만을
상징적으로 나
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를 들면, 1 46년 월부
1 51년 5월까지 맥아더 사령관에 보
지가
44만 에 달 고, 46년
8월 이전까지의 지를 정하면
50만 의 지가 전국의 일본 국민으
로부 맥아더 사령관에 전달 다. 일본인이 보
지는
의 담 자
가 모
고 영문요 및 요한 지는 전문 번역되어 점령국의 실정과
사회 리를 파 하기 한 요 자 로 이 되었는데, 지의 대부분은 맥아더
의 영 을 자 하는 사가 대부분이었다. 를 들면, 점령은 ‘자비’이고 맥
아더는 ‘아버지’이며, 때로는 ‘ ’과 은 재로 인식하기도 다. 요시미 야
(吉見俊哉)에 의하면, 전 일본인들은 ‘맥아더를 사제와 은 재로 주하
고, 자 들의 를 고 하고 현재의 로
지로부 구제 주도 부 ’을
하는데,
맥아더에 자 들의 재에 대한 로 의미를 부여
‘ 자
의 시 ’을
다고 지적하면서, 전전과 전 와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 서
다음과 이 기 하고 있다.
렇
않
편
해
잡
편
배
순 종
하지만 그 다고 도 이 지들은 지 자에 대한 단 한 속의식만으로는
석되지 는 복 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다워(ジョンダワー)가 논한 바와
이 이 지들은 단 한 개인
의
가 아니라, 「일 이 한 번도 경험
한 적이 없는
의 「공 」에 을
된 일본인이 이 공 을 로 자
기 현으로
려고
하
동 던 사실」도 보여 주고 있다. 사람들은
맥아더의
에 아 하는 지를 보 면서도, 단 한 「동양적 복 」의 이
해
같
표
9
순
숭배 증거
패배
간 몸 두게
채우 활발 게 행 했
권위 첨 편
내
9
1 ) 坂本孝治郎(1 88)『象徴天皇がやって来る』平凡社, p.25
찍
순
간 새 운
종
16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해로는 환원될 수 없는 다양한 욕망을 태동시키고 있었다. 동시에 그들은 전
중기까지의 절대적인 권위로부터 해방되어 자기를 표현하면서도, 그러한 권위
에 의해 배양된 감정의 구조를 여전히 가지고 있다. 패전국의 사람들은 점령
군을 맞이하여 신체제를 축하하면서도, 시선의 구조로써는 구체제로부터의 뿌
리 깊은 연속성을 잔존시키는 형태로 새로운 자기를 표현하고도 있었던 것이
다.20)
패전 후의 일본인은 맥아더 총사령관을 통해서 단순히 점령자와 피점령자의
구도 속에서 비대칭적인 일미관계만을 인식했던 것은 아니고, 패전으로 분열된
전후 일본인의 내셔널 아이덴티티를 재구축하기 위한 ‘타자의 시선’을 발견하
기도 했다. 하지만 주의할 점은 맥아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일본인의 욕망
은 전전의 ‘절대적인 권위’로서의 천황에 대한 시선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감정
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즉, 점령기의 맥아더 수용 과정에서 부각되
는 것은, 체제가 바뀌어도 변하지 않는 ‘절대적인 권위’(천황→맥아더)에 의존
하고 있는 전후 일본인의 감정 구조이다.
사실, ‘맥아더’라고 하는 ‘절대적인 권위’에 의존하는 전후 일본인의 감정 구
조는, 역도산 프로레슬링을 수용하는 과정에서도 확인된다. 「역도산이 찾아왔
다」의 시대적인 배경은 제2차 세계태그선수권 경기가 열렸던 ‘1956년’인데, 구
체적으로는 역도산이 엔도 고키치(遠藤幸吉)와 팀을 이루어 샤프 형제를 누르
고 처음으로 세계태그 챔피언이 된 1956년 5월 4일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
이, ‘1956년’은 고도경제성장기를 상징하는 ‘더 이상 전후가 아니다’와 ‘3종의
신기’가 유행어가 된 해라는 점에서, 작가는 의식적으로 점령기 이후와 고도경
제성장기의 경계선에 주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중요한 점은 왜 다
른 선수가 아닌 ‘샤프 형제’일까라는 것이다. 물론, 역도산 프로레슬링을 말할
때, ‘샤프 형제’와의 태그 매치는 빼놓을 수 없는 경기이기는 하지만, 사실 역
도산 자신이 가장 높게 평가했던 선수는 다름 아닌 ‘철인’이라는 닉네임을 가
진 세계 챔피언 루 테즈였다21). 그렇게 생각하면, 왜 만화 속에서는 루 테즈가
아니라 샤프 형제일까라는 의문이 생기는데, ‘맥아더’ 수용에서 보여지는 ‘절대
적인 권위’에 의존하는 일본인의 감정 구조에 주목하면, 다음과 같은 역도산과
샤프 형제의 경기가 가지는 상징성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래좋 !
녀
눕혀!
군중심
해 숨통 끊
각
열광 타
「역도산, 그
아 미국 석을 때려
」「더 ,
을 어버려」.
지의
리 텔레비전 앞에서는
리가 불러일으키는
의 카 르시스
길거
9 9
20) 吉見俊哉(2007)『親米と反米』岩波新書, pp.8 ~ 1
21) 力道山(1 54.12)「わがプロセス人生観」「人物往来」, p.40
9
표
역도산 만화와 고도경제성장기 상 -하루키 에츠미「역도산이 찾아왔다」론- ·········· 임 상 민…163
뒤엎
샤
캐
몬 올 출신
따위
알
술
중
않았
떤
누
랐
쨌든
손
뜩
테촙
외
중 했 외
퀄
패
터
강
약 결 터
해 억압당
순간
해방
탄
순간
가 마을 전체를
으려 하고 있었다. 프 형제는 미국인이 아니고 실은
나다 트리
이라는 것
관객은
리가 없었다. 전개되는 기 도
그다지 요하지
다. 프로레슬링이 어 것인지 그 때는 구도 몰 기
때문이다. 어
역도산의 에서 번 이는 가라
과 적이 국인이라고
하는 사실이 요 다. 국인 이 미국인이다. 전으로부 8년 반, 화조
체 로부 2년 반, 여전히 미국에 대 서
한 의식을 키워온 일본인
의 마음은 지금 이
일제히
되었다. 일본의 히어로 역도산이 생한
이다.22)
위의 인용문은 ‘히어로 역도산’이 탄생하는 구조적 문제를 다루고 있는데, 가
라테 촙이 미국 콤플렉스를 해소시켜 주었다는 지적 자체는 ‘역도산 상식론’과
별반 다르지 않지만, 주목해야 할 부분은 ‘캐나다’ 국적의 샤프 형제조차도 일
미간의 대결 구도 속에서 소비되고 있다는 점이다. 즉, ‘외국인 이퀄 미국인’이
라는 구조는 국적이 다른 선수 각각의 개별성을 무시하면서도 일미간의 대결
구도 자체는 강화시키는데, 이러한 구조는 전전에서 전후로 체제가 바뀌면서도
‘절대적인 권위’(천황→맥아더)에 의존하는 일본인의 감정 구조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다.
그
생 하면, 만화 속에서 ‘미국’ 국적의 루
가 아니라 ‘ 나다’ 국적
의 프 형제와의 시 이
된 이 는, ‘미국’ 국적의 루
를 등장시키면
‘ 국인 이 미국인’으로 인식하는 일본인의 감정 구조를 점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라서, 고도경제성장기를 상징하는 야스 니 아
가 모
국인
을 ‘맥아더’로 인식하며 흥분하는 도 할아버지를 어하는 이 는, 모
국
인을 ‘ 오스 맥아더’로 인식하면서 ‘ 자로서의 일본인’을 구 하려는 도
할아버지의 모습은, 다름 아닌 고도경제성장기의 역도산 프로레슬링을
서
전으로 분 된 ‘ 리들 일본인’을 재구 하려는 모습과 구조적으로 일치하기
때문이다. , ‘맥아더’라고 하는 ‘절대적인
’에 의 하는 구조는 전전의
황에 의 하는 구조와 고, 한 그것은 역도산 프로레슬링을 ‘ 국인 이
미국인’이라는 형 로 수 하면서 미국
스를 복하려 던 고도경제성
장기의 이 적인 ‘ 리들 일본인’의 감정 구조와도 동일한 역학을 가지고 있다
고 할 수 있다.
렇게 각
샤
외
퀄
따
합 선택
패
존
열 우
즉
중
22)
유
쿠
증 런
태
우
테즈
약
축
같 또
용
쿠
싫
권위
존
콤플렉
극
캐
테즈
초
저씨 든 외
유 든외
축
쿠
통해
했
외
천
퀄
東急エージェンシー力道山研究班編(2000)『RIKI力道山、世界を相手にビジネスした男』東急エージェン
シー, pp.236~237
16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4. 아메리카니즘과 ‘스모’
막
틈
낀 쿠
마지 으로, 점령기의 논리와 고도경제성장기의 논리의 바구니에
도
할아버지를
서, 사키가 역도산을 데리고 오는 논리에 주
보자. 사키는
역도산에 ‘
하 도 할아버지가 아가실 것 으니까 와달라고 부 하
면
을
데’(176 ) 그
하지
고, ‘ 에서 역도산이 한없는
가’(176 )라는 사실을 고는 지금까지 모은 전 재산을 어서 ‘요
나( 하
장사)
의 아지’를 구입하고는 역도산에 그 ‘
서’를 보여주며 불러오
는
을 한다. 그 데 여기서 요한 점은, 사키가 인정에 소하지 고
‘
서’까지 보여주며 교 하는 ‘요
나
’의 이름이, 다름 아닌 에도시대
의 스모 수 ‘라이 다메에 (雷電為右衛門)’을 연상시키는 ‘라이 (雷電)’이
라는 점이다.
역도산이
의 아지를 받으러 마을에 찾아오는 소재 그 자체는 단 한
이 아니라, 작가 에츠미 하루키가 단 전 『역도산이 찾아왔다』의 기
에서 하고 있 이, 역도산이 ‘도사 (土佐犬)의 아지’를 받으러 이웃 에
찾아온 사실을 모
로 하고 있다. 한 ‘역도산이 한없는
가’라는 기
역시 동시대의 기사를
보면, 역도산 에는 ‘ 치
도사 과 도베르만이
하고 기 때문에 인 은 요 없다. 현관에 들어서자, 이번에는 시커
불도그가 나
다’23)라고 되어 있 이, 역도산이
가라는 사실과 ‘도사 ’
의 재 역시 인할 수 있다.
그 데 주의할 점은 시 역도산이
가라는 사실이 소개되는 문맥은 단
히 키 는 개의 자가 많다 적다의 문제가 아니라, 역도산의 아메리카니즘
을 조하는 문맥에서 소개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를 들면, ‘역도산이
가
라는 사실은
하며, 오오 구(大田区) 이 가미(池上)에 있는 자 에는 16
마리( )나 되는 개를 키이고 있었다. 그 역을
보면, 카스파니 , 세인
트버
, 인 , 복서, 도베르만, 들, 그레이트 , 와이 라 , 도사 , 아키
등 성 13마리와 아지 3마리 16마리. (
)여름이 되면 아이들과
개를 장에 던
고
다고 하니, 한없이
한 사람이었다’24)라고
되어 있 이, 일본의 도사 과 아키
이 소개되고는 있지만 대부분은 영어
기의
국 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한 아메리카니즘을 상징하는 ‘ 장’
속에서 화스러 생 을 하는 ‘
한 사람’으로서의 역도산의 모습은 링
에서 스 츠카와 보트, 그리고 프를 기는 모습과 더불어 아메리카니즘의
위해
목해
게 솔직 게 쿠
돌
같
탁
좋았 텐
쪽 렇게
않 책
애견
쪽
알
털
코즈 천
투견 강
게 혈통
방법 취
런
중
호
않
혈통
환
코즈 투견
선
덴
몽
덴
픽션
투견 강
말
멍멍
순
존
런
강
듯
티브
짖
타났
확
우
숫
유명
견
또
편 집
살펴
집
초 종 필
듯
당
애견
견
덩 큰
먼
견
애견
타
케
예
살펴
덴
중략
호쾌
․
!
애견
택
코
엘
머 너 견
23) 西川辰美(1 56.7)「人気花形家庭訪問 奥様ご登場」「面白倶楽部」, p.83
24) 流智美 佐々木徹(2001)『写真集 門外不出 力道山』集英社, p.186
․
술
애견
!
내
너드 포 터
푸
타견
견
강
총
함께
풀
져 넣 놀았
듯
견
타견
유명 외 견
또
호 운 활
호쾌
포
골 즐
9
강
순
후
집
풀
표
밖
표
역도산 만화와 고도경제성장기 상 -하루키 에츠미「역도산이 찾아왔다」론- ·········· 임 상 민…165
렇게 각
체현자라고 하는 문맥 속에서 소개되고 있다. 그
생 하면, 역도산은 링
에서는 미국
스를 소시 주는 일본인을 연기하면서, 링 에서는
아메리카니즘을 체현하는 이 적인 구조를
하고 있는 체라고 할 수 있
다.
그 데 앞서
한 바와 이, ‘
하 도 할아버지가 아가실 것
으니까 와달라고 부 하면
을 데’ 그
하지 는 것이 사키의 ‘스
일’이라고 는데, 인정에 소하지 는 이러한 사키의 ‘스 일’은 동시대의
어 이 지에 실 역도산 상과도 부 하지 는다. 를 들면, 동시대의
어 이 지에는 불 소년들로부
한 아이를 구 주는 어 시절의 상 한
25)
역도산 , 나 상자 아
려 있는 사람을 구 주고 문 까지 와 주는 절
한 역도산과 생 고에 시달리는 아이를
서 아르바이트를 소개시 주는
26)
인정 많은 역도산 , 영화 영
에 아이들과 아주는 려 은 역
27)
도산 등등, ‘정의’와 ‘ 정’이라고 하는 이상을 아이들에
어주는 이와
은 에 소 는 다양한 어 이 지를
서 다양하
주되면서 소개되어
있다. , 동시대의 어 이 지에 상된 역도산을 경 하면, 만화 속에서 ‘
하 도 할아버지가 아가실 것 으니까 와달라고 부 하면
을
데’ 그
하지 는 사키의 ‘스 일’은 오히려 동시대의 역도산 수 을 부
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는데, 주
야 할 부분은 그 다면 사키는 역도산의
어 부분에 점을 고 이 하고 있느 는 것이다.
앞서
본 바와 이, 역도산이 ‘
의 아지’를 받으러 오는 정 자체
는 작가 하루키 에츠미의 어 시절의 경험을 모
로 하고 있는데, 작가의
경험과 작
정이 다른 점은 역도산이 받으러 온 ‘
의 아지’는
대
회에서 3년 연속
을 지한 ‘요
나’도 아니고, ‘라이 ’이라는 이름도 아
니었다는 사실이다. 그
생 하면, 역도산을 데리고 오는
을
서
‘요
나’와 ‘라이 ’이라는 정이 요 는지는 요한 석 인트라고 할
수 있다.
라이 다메에 (1767~1825)은 스모 역사상 불세 의
로
히는
수로서, 그의 실 이
서 시 스모 회에서는 그의
기인 ‘하리
( 바 으로 상대의
이나
둘레를 치는 기 )’와 ‘ 파리(양 을 번
아가면서 상대를 어치는 기 )’, 그리고 ‘
키(상대의 양 을 자 의 양
이에 끼워서 는 기 )’를 서는
되는 기 로 정 다고 전 지기도
28)
한다 . 그리고 「역도산이 찾아왔다」가 시대적 경으로 하고 있는 1 56년
안
콤플렉
런
해 켜
중
내포
신
밖
설명
같 솔직 게 쿠
돌
같
탁 좋았 텐 렇게
않
타
했
호
않
타
린 잡
린
표
합 않 예
린 잡
량
터약
해
린
냥
무
래깔
해
병
친
활
위해
켜
촬 중간 중간
놀
배 깊
우
게심
같
피 드
린 잡 통해
게변
즉
린 잡 표
유
솔
직 게 쿠
돌
같
탁 좋았 텐
렇게
않
타
용 거
말
목해
렇
떤
방 찍 해
냐
살펴
같
투견 강
설
린
티브
품설
투견 강
투견
우승 차
코즈
덴
렇게 각
플롯 위해 왜
코즈
덴
설 필 했
중 해 포
덴
몽
력 너무 강해 당
얼굴 목
밀
술
꺾 술 써
테손 닥
겨드랑
9
9
9
< >
출 강호 손꼽 선
협
필살
술 츳
손 갈
간누
팔 신
안
술 했
해
배
9
25) 須藤輝雄(1 63.12)「 体育 がまんづよい力道山」「小学二年生」, pp.44~46
26) 小西茂木(1 55.1)「写真物語 力道山」「少年クラブ」, pp.73~77
27) 樋口記者(1 55.2)「探訪 力道山さんこんにちは」「二年ブック」, pp16~17
16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설
덴 간 우 9
9
우 신
설 선 잡
간행 념해 9 터 덴
게
덴 란 랭킹 위 해당
케
선 중 최
승
선 게
운
출
강호 손꼽
덴
몽
코즈
차
즉
덴
출 강호
코즈 차
랭킹 위 해당
머
했
덴
몽
위해
진
렇게 각
게선
덴
코즈 차 했
설
목 필
코즈 차
덴 게 틀림
응
확신 했
유
덴 코즈
계
계
유
덴
몽 코즈 획득
했 유 해 당
덴 섬
즈
집안 코즈
허 권 악
토
호
집안 군
섬
항
즉 덴
몽 코즈 될
유
능력
밖
결
말
신
코즈 선
허발
알력 툼
같
덴
몽 코즈
싼 피 드 투
폐업
접
폐업
유 해 돈
폐디 토
건강
승
유
잇
무 애
써
케 따위 남쪽
땅
용
말
삶
외 길
말
듯
코즈 승격
에는 작가 오자키 시로(尾崎士郎)의 소 『라이 』(주 요미 리, 1 54년~
1 56년)이 연재되고 있었고, 요미 리 문사는 소 의 전과 지 「대스모
(大相撲)」의
을 기
서 1 55년부 ‘라이 상(雷電賞)’을 제정하 된다.
‘라이 상’이
3 에
하는 세키와 (関脇) 이하의 수 에서 다
리를 한 수에 주어지는 상인데29), 흥미로 점은 스모 역사상 불세 의
로
히는 라이 다메에 은 실은 요
나를 단 한 번도 지한 적이
없다는 사실이다. , ‘라이 상’은 불세 의
이면서도 요
나를 지하
지 못하고
2 에
하는 오제키(大関)에 물러야 던 라이 다메에
을 기리기
서 만들어 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생 하면 만화
속에서 사키가 역도산에
물하는 ‘라이 ’이 3년 연속 요
나를 지 다
는 정은 주 할 요가 있다.
사키는 역도산이 3년 연속 요
나를 지한 ‘라이 ’에
없이 반 을
할 것이라고
을 는데, 그 이 는 ‘라이 ’과 요
나의 관 는 다름 아
닌 역도산과 스모와의 관 를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이야다니 마 미(弥谷まゆ
美)는 라이
다메에 이 요
나를
하지 못 던 이 에 대 서, 시 라
이 이 기고 있는 이 모번(出雲藩)의 마츠다이라(松平)
과 요
나 면
의 실 을 장 하고 있는 구마모 번(熊本藩)의 소카와(細川)
을 주
으로 기고 있는 요시다사가(吉田司家)와의 대 의식 때문이었다고 지적하고
있다30). , 라이 다메에 이 요
나가
수 없었던 이 는 개인의
의 요인에 의한 과, 달리 하자면 자 이 소속된 영주와 요
나 정
및 면
급을 주관하는 영주와의
다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와 은 라이 다메에 의 요
나를 둘러 에 소 는 상 를
자르고 스스로 스모를
한 역도산과 점을 보인다. 역도산이 스모를
한 이 에 대 서는 문제, 여자문제,
스 마에 의한
문제, 그리고 스
과의 불화31) 등 여러 이 들이 제기되었지만, 가지와라 키는 ‘아 리
를 도 세키와
이
나라 이국 에서는 소 이 없다’32)라고 하고
있고, 사노 미츠오 역시 국적 문제 때문에 ‘역도산으로서는 프로레슬링
이
33)
의 은 없었다’ 라고 하고 있 이, 역도산이 요
나에
할 수 없었
28)
2 )
30)
31)
32)
33)
9
․
「相撲」編集部(2001)『大相撲人物大事典』ベースボール マガジン社, p.137
金指基(2007)『相撲大事典 第二版』現代書館, p.34
弥谷まゆ美(2000)『相撲ロマン大事典』勉誠出版, p.36
いいだもも(1 73.7)「力道山ー暴力を商品化した大和魂」「現代の眼」, p. 2
梶原一騎(1 6)『力道山と日本プロレス史』弓立社, p.13
佐野美津男(1 73.4.13)「力道山物語」「朝日ジャーナル」, p. . 한 한 미 어 「 일 보(統一
新報)」 역시도 역도산이 요
나가
수 있는 실 을
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세키와 에
서 절하 된 이 에 대 서, 「このようにたび重なる民族差別と蔑視に憤怒した彼は、ある日、包丁でマ
9
9
99
좌 게
9
유
코즈
해
될
9
99 또 북
력 갖추
디
통 신
케
표
역도산 만화와 고도경제성장기 상 -하루키 에츠미「역도산이 찾아왔다」론- ·········· 임 상 민…167
핵심
알
력
유
출신
선
던
적인 이 에는 ‘
지, 조 ’이라는 국적 문제가 개입되어 있었다는 사
실을
수 있다. , 역도산과 라이 다메에 은 둘 다 요
나에 오를 수
있는 실 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
지’라고 하는 부적인 요인 때문에
을 하지 못한 경험을 공 하고 있다. 한
나
서 봉인된 라이 다
메에 의 ‘ 파리’ 기 은, 역도산의
기 ‘가라
’의 기원34)이기도 다.
라서, 사키가 역도산은 반 시 ‘요
나
’의 ‘라이 ’에 반 을 할
것이라고 생 한 이 는, 역도산은
지 때문에 요
나에
할 수 없었
던 라이 다메에 의 모습에, ‘
지, 조 ’이라는 이 로 스모를
야만
던 자기 자 을 영시 것이라고
기 때문이다. 그
생 하면, 역
도산이 요
나 ‘라이 ’의 아지를 받으러 온 이 는 단 히 전 으로서의
‘스모’를
하는
라기보다는, 오히려 스모 의
적인 구조를 들
다
는 의미에서 ‘전 ’ 그 자체를 부정하기
서라고도 석할 수 있다. 이것은
영어 기의 국
속에 일본의 전 을 상징하는 ‘도사 ’과 ‘아키
’이
소개되고는 있지만, 과적으로 이러한 일본의 전 이 역도산의 아메리카니즘
을 조하는 문맥 속으로
되는 구조와 동일한 논리라고 할 수 있다.
, 사키가 도 할아버지의 마지 을
서 역도산을 데리고 온 이 는,
단 히 전 쇼 와 미국
스를 치 시 주기
서가 아니라, ‘
지,
조 ’이라는 이 로 요
나가
수 없었던 사실을 ‘ 고 있지만, 모르는’
‘ 자로서의 일본인’을 연기 야 던 역도산이라면, ‘
’ 가 이라는 사실이
되면 주 로부
받을 것을 ‘ 고 있지만, 모르는’ , 모
국인을
‘ 오스 맥아더’로 치면서 ‘ 자로서의 일본인’을 연기 야만 던 도 할
아버지를 이
것이라고 생
기 때문일 것이다. 라서 만화의
장
면에서 사키가 커
의 이름을 영어 기의 ‘R
’라고 네이 한 이 는,
단 히 역도산을 데리고 왔다는 자 에서가 아니라, 아메리카니즘을 체현하고
있는 역도산이라면 전 의 구성,
‘ 리들 일본인’이라고 하는
아이
에
된 제의 역학을
라고 었기 때문이라고 석할 수
있다.
즉
덴
몽
코즈
출신
외
승격
유
또 너무 막강해
덴
몽 츳
술
필살
테촙
했
따
드 코즈 투견
덴 게 응
각 유
출신
코즈 승격
덴
몽
출신 선
유
폐업해
했
신 투 킬
확신했
렇게 각
코즈
덴 강
유 순 통
포섭 행위
계 차별
춰낸
통
위해
해
표 외 유명견
통
견
타견
결
통
강
유용
즉
쿠
막 위해
유
순 패 크
콤플렉
유 켜
위해
출신
선
유 코즈 될
알
척
강
해 했
팡팡 족
발각
위 터 차별
알
척 든외
증 런
외
약
해 했 쿠
해해 줄
각했
따
엔딩
피숍
표
IKIDO
밍 유
순
랑
통 허 즉우
내셔널
덴티티 내포 배
밝혀 줄 거 믿
해
ゲを切り落とし、決然と相撲界を去った」(「力道山にも祖国はあった」1984年3月9日)라고
스모계의 민족차
별 문제를 지적하고 있는데, 박일은 역도산이 승격을 하지 못한 이유는 단순히 국적문제뿐만 아니
라 스모계의 봉건적인 순위 제도와도 관계가 있었다고 지적하면서, 결과적으로 순위에 대한 불만
과 컨디션 난조, 그리고 성적 부진이 역도산의 조선인 콤플렉스를 증폭시켰다고 설명하고 있다.
(『<在日>という生き方』講談社選書メチエ, pp.128~129)
34) 力道山光浩(1964.1)「力道山の特別手記 世界チャンピオンへの道」「小学六年生」, p.91
16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5. 나오며
출
싼
환
알
태 변 켜 품
배
패 크
콤플렉
유 켜
않
내
품
쟁
셋 잃
숙
쿠
왠 따
런 쿠
외 게
피투
쿠
막 위해
손 잡 게
품 엔딩
쿠
친손
밝혀진
같
알
목
머 팡팡
족 군
밝혀
렇게
각
유 순
않 또
해
능케
즉
유
팡팡 족
밝혀
터 차별 배 당
알
척살
위해
해
또
눈 채
록
든외
증 런
외
약
해 했 쿠
출신 선
숨긴 채 강
해
했
해해 줄
각했
런 든외
쿠
쿠 저씨 몹 싫
순
쿠
증 런
통해 약
축
통해
패
열 우
축
즉
권위 존
천
존
같 또
외
퀄
태 용
콤플렉 극
했
중 우
만화「역도산이 찾아왔다」는 역도산의 생을 둘러 담론 구조가 기시
키는 ‘ 고 있지만, 모르는 구조’를 여러 형 로 주시 작 속에 치하면
서, 역도산 프로레슬링이 전 쇼 와 미국
스를 치 시 주었다는 이
른바 ‘역도산 상식론’에 회수되지 는 역도산 체험을 그려 고 있는 작 이다.
베이비붐 세대의 사키는 전 으로 ‘아들 ’을 고 리어카에서 노 을 하는
도 할아버지를 지 르는데, 그 도 할아버지는 역도산이 국인에
성이가 되는 경기를 보고는 절도하고 만다. 사키는 도 할아버지의 마지
을
서 역도산을 데리고 와서 을 아주 하는데, 실은 작 의
장면에서 사키가 도 할아버지의
자라는 사실이
다. 이와 이, 역
도산의 ‘ 고 있지만, 모르는 구조’에 주 하면, 사키의 어 니가 ‘
’이라는
사실과 사키 가 이 미 기지에서 이사를 왔다는 사실도
지는데, 그
생 하면 사키가 역도산을 데리고 온 이 는 단 히 ‘역도산 상식론’에는 회수
되지 는
다른 석을 가
한다. , 사키가 역도산을 데리고 온 이
는, ‘
’ 가 이라는 사실이
지면 마을 사람들로부
받고 제 할
것을 ‘ 고 있지만, 모르는’
아온 할아버지를
서라고 석할 수 있다.
한, 마을 사람들이 치 지 못하도 오히려 더 모
국인을 ‘ 오스
맥아더’로 치면서 ‘ 자로서의 일본인’을 연기 야만 던 도 할아버지를,
적어도 ‘
지, 조 ’이라는 사실을
‘ 자로서의 일본인’을 연기 야만
던 역도산은 이
것이라고 생
기 때문일 것이다.
그 데, 모
국인을 ‘맥아더’로 인식하는 도 할아버지를 고도경제성장기
를 상징하는 야스 니 아
는 시 어하는데, 그것은 단 히 몰상식 때문
이 아니라, 도 할아버지가 ‘ 오스 맥아더’를
서 ‘ 자로서의 일본인’을
구 하려는 모습은, 다름 아닌 고도경제성장기의 역도산 프로레슬링을
서
전으로 분 된 ‘ 리들 일본인’을 재구 하려는 모습과 구조적으로 일치하기
때문이다. , ‘맥아더’라고 하는 ‘절대적인
’에 의 하는 구조는 전전의
황에 의 하는 구조와 고, 한 그것은 역도산 프로레슬링을 ‘ 국인 이
미국인’이라는 형 로 수 하면서 미국
스를 복하려 던 고도경제성
장기의 이 적인 ‘ 리들 일본인’의 감정 구조와도 동일한 역학을 가지고 있다
고 할 수 있다.
한, 역도산이
‘라이 ’이라는
의 이름에 반
는지에 주 하면, 역
도산과 라이 다메에 은 양 모 요
나에 오를 수 있는 실 이 있으면
서도, ‘
지’라고 하는 부적인 요인 때문에
하지 못 다는 경험을 공
또
출신
덴
왜
몽
덴
외
투견
쪽 두 코즈
응했
승격
했
목
력
유
표
역도산 만화와 고도경제성장기 상 -하루키 에츠미「역도산이 찾아왔다」론- ·········· 임 상 민…169
알
렇게 각
순 통
코즈
덴
포섭 행위
통
하고 있다는 사실을
수 있다. 그
생 하면, 역도산이 요
나 ‘라이 ’
의 아지를 받으러 온 이 는 단 히 전 으로서의 ‘스모’를
하는
라
기보다는, 오히려 스모 의
적인 구조를 들
다는 의미에서 ‘전 ’ 그 자
체를 부정하기
서라고도 석할 수 있다.
현재의 쇼와 레트로 붐에서 상되는 고도경제성장기는 전 쇼 와 미국
스가 복되어 서민의 일상생 이 ‘ 적으로’ 바 었다는 것을 조하는
데, 작가 하루키 에츠미는 ‘나는 원 어
의
을
서
스를
복한 사람을 아하지 는다. (
) 언가에
이면서 아가는 사람을
35)
아한다’ 라고 하고 있 이, 「역도산이 찾아왔다」는 미 점령기가 난
이 에도 속 서 재하는 미 기지라고 하는 공 을 작 속에 은 하
치하면서, 고도경제성장기에 수되는 ‘점령’의 연속성 및 ‘ 리들 일본인’의
구성과 제의 역학을 그려 고 있다고 석할 수 있다.
강
유
계 차별
위해
해
표
춰낸
패
크
콤플렉 극
활 극
뀌
강
래 떤 종류 훈련 통해 콤플렉
극
좋
않
중략 무
얽매
살
좋
말
듯
군
끝
후 계 해 존
군
간 품
밀 게
배
밀
우
허
배
내
해
【參考文獻】
浅羽通明(2008)『昭和三十年代主義』幻冬舎, pp.40~42
石川弘義
編(1 4)『大衆文化事典』弘文堂, p.843
高畑基宏(2005.10.30)「昭和
究
上」「読売
」, p. 2
加藤迪男(2001)『20世紀
年表』東京堂出版, p.132
猪瀬直樹(1 0)『欲望
』小学館, p.285
大 真幸(2004)『戦後 思想空間』
新書, p118~120
小林正幸(2011)『力道山
体験』風塵社, pp.20 ~210
悦巳(2010)『力道山
来 』小学館, pp.14 ~180
吉見俊哉(2007)『親米 反米 戦後日本 政治的無意識』岩波新書, p.177
(1 73.7)「力道山 暴力 商品化 大和魂」「現代 眼」, p.8
佐野美津男(1 73.4.13)「力道山物語 小 巨像14」「朝日
」, p. 8
八島一郎(1 55.3)「力道山 東富士
」「丸」, pp.72~73
朴一(1 )『 在日
生 方』講談社選書
, p.122
川村卓(2002)「演
「力道山」、演
「日本人」」『力道山 日本人』所収,
ほか 99
レトロを める․
ウィークリー 9
のことばの
99
のメディア
澤
の
ちくま
をめぐる
9
はるき
がやって た
9
と ー
の
いいだもも 9
ー を
した
の
9
9
さい
ジャーナル 9
9
․ とコンビなるか?
999 〈 〉という き
メチエ
じられた
じられた
と
pp.58~60
35)
はるき悦巳(1980.8.8)「なぜ「少女よ、大志を抱くな」なのか」「朝日ジャーナル」, p.82
青弓社,
17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ほんとうの本物」の問題としてのプロレス」「現代思想」臨時増刊,
入不二基義(2002.2)「「
92
ほか 9
の
9
がやって る
9
わがプロセス
エージェンシー
ジェンシー, pp.236~237
清水幾太郎
編(1 53)『基地 子』光文社, pp.142~202
坂本孝治郎(1 88)『象徴天皇
来 』平凡社, p.25
力道山(1 54.12)「
人生観」「人物往来」, p.40
東急
力道山研究班編(2000)『R 力道山、世界 相手
9
․ 々
9
9
9
IKI
を
にビジネスした男』東急エー
ご
西川辰美(1 56.7)「人気花形家庭訪問 奥様 登場」「面白倶楽部」, p.83
流智美 佐 木徹(2001)『写真集 門外不出 力道山』集英社, p.186
須藤輝雄(1 63.12)「 体育
力道山」「小学二年生」, pp.44~46
小西茂木(1 55.1)「写真物語 力道山」「少年
」, pp.73~77
樋口記者(1 55.2)「探訪 力道山
」「二年
」, pp16~17
金指基(2007)『相撲大事典 第二版』現代書館, p.34
弥谷 美(2000)『相撲
大事典』勉誠出版, p.36
梶原一騎(1 6)『力道山 日本
史』弓立社, p.13
力道山光浩(1 64.1)「力道山 特別手記 世界
道」「小学六年生」, p. 1
悦巳(1 80.8.8)「
「少女 、大志 抱 」
」「朝日
」, p.82
まゆ
はるき
9
pp. 1~
99
9
9
․
< >がまんづよい
!
さんこんにちは
クラブ
9
ブック
ロマン
と プロレス
の
チャンピオンへの
なぜ
よ
を くな なのか
ジャーナル
9
표
역도산 만화와 고도경제성장기 상 -하루키 에츠미「역도산이 찾아왔다」론- ·········· 임 상 민…171
要旨
漫画「力道山がやって来た」は、力道山のルーツをめぐる議論が前景化する「知っている
が、知らない構造」を作品の隅々に張り巡らせ、力道山が敗戦ショックとアメリカコンプレックス
を解消してくれたといういわば「力道山常識論」に回収しない力道山体験を描き出した作品で
ある。団塊世代の「咲」が戦争で息子を三人も亡くした戦争世代の「徳ジイ」のために、力
道山を連れてくる設定そのものは「力道山常識論」に回収されるプロットとも言える。しかし、実
は、二人は「知っているが、知らない」ふりをしていた家族だったことに注目すれば、「咲」の
母親が「パンパン」であることや「咲」一家が米軍基地から引っ越して来たことも明らかにな
る。つまり、「咲」が「徳ジイ」のために力道山を連れてきた理由は、単純に「力道山常識
論」に回収されるものではなく、「パンパン」一家であることがばれたら、きっと周囲の人々か
ら差別されることを「知っているが、知らない」ふりをしながら密かに生きてきた「徳ジイ」のため
だと解釈できる。
また、高度経済成長期を象徴する「安ッさん」は全ての外国人を「にっくきマッカーサー」と
認識し興奮する「徳ジイ」を嫌っているが、それは単純に常識がないからではなく、「徳ジイ」
が「にっくきマッカーサー」を媒介にして「弱者としての日本人」を構築しようとする姿は、まさし
く高度経済成長期の日本人が力道山プロレスを媒介にし、敗戦により分裂した「われわれ日本
人」を再構築しようとした姿と構造的には一致しているからである。つまり、占領期の「マッカー
サー」という「絶対的な権威」に依存する構造は戦前の天皇に依存する構造とも同じく、また
それは高度経済成長期の力道山プロレスを受容するプロセスの中でも、「外国人イコール、ア
メリカ人」という形で変形され密輸されていたのである。
現在の昭和レトロブームの中で表象される高度経済成長期は、敗戦ショックとアメリカコンプ
レックスを克服し、庶民の生活が「劇的に」治癒されたことを強調する。しかし、「力道山が
やって来た」はアメリカの占領が終わってからも引き続き存在する米軍基地という空間を作品の
中に密かに書き入れることにより、高度経済成長期に密輸される占領の連続性と「われわれ日
本人」というナショナル․アイデンティティの虚構性と排除の力学を切開してみせたのである。
キーワード:力道山、高度経済成長期、漫画、マッカーサー、プロレス、パンパン
투
고 : 2014. 2. 28
1차 심사 : 2014. 3. 15
2차 심사 : 2014. 4. 5
조선시대 후기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한 고찰*1)
- 동시대 일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 현 정**2)
(e-mail: [email protected])
目 次
1.
2.
3.
4.
서론
조선시대 후기의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해
에도(江戸)시대와 메이지(明治)시대 일본의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해
결론
1. 서론
화장품에는 그야말로 수많은 종류가 있다. 얼굴을 다듬고 수분을 공급하는 기초화장품에
해당하는 화장수부터 화장크림, 색조화장에 해당하는 연지, 백분, 눈썹 화장에 사용되는
눈썹먹 등이 대표적인 화장품에 해당될 것이다.
현재 필자는 조선시대 후기와 동시대 일본에 해당하는 화장문화에 대해 전체적으로 연구
하고 있다. 조선시대 후기를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조선시대 전기는 근검과 절약을
지나치게 강조해서 화장문화와 화장품 발달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고, 참고로 할 수 있는
화장품에 관련된 문헌이나 자료도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후기가 되면서 전기보다
는 화장문화가 발달하게 되고, 참고로 할 수 있는 문헌도 충분하지는 않지만 연구를 할
수 있을 만큼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조선시대 후기와 동시대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일본의
에도시대와 메이지 시대인데 양국간 비슷한 듯 하면서도 크게 다른 화장문화를 보이고
* 동 연구결과는 아모레퍼시픽재단의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수, 일본고전문학 및 일본학 전공
17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있으므로 대단히 흥미로우며 비교 가치가 크다고 생각한다.
화장문화 중에서 연지나 백분, 눈썹화장 등에 관련된 화장품과 그 문화에 대해서는 필자
의 다른 연구에서 고찰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 중에서 기초화장품에 해당하는 화장수와
화장크림이 조선시대 후기에는 어떤 형태로 존재했는지 그 양상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화장수란 것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바르면 피부를 훨씬 촉촉하고 곱게 만들어 주는 효
과가 있다. 현대에는 화장수도 대단히 많은 종류가 있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피부를
곱고 젊게, 촉촉하게 만들어 주며, 미백효과가 있는 화장수는 피부를 희게 만들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림은 화장수를 사용한 피부가 마르지 않도록 더욱 윤기와 영양을
더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예나 지금이나 여자들에게 필수적인, 화장의 가장 기본
이 되는 항목임에는 틀림없다.
단지 현대에는 화장의 기본이 되는 화장수나 크림의 영역도 대단히 광범위해서, 화장
크림의 영역만 해도 아이크림, 수분크림,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등 많은 종류의 화장품
이 존재하지만, 조선시대 후기나 동시대 일본의 기초 화장품은 현대처럼 복잡하고 다양
한 양상을 보이지 않는다. 물론 화장품을 만드는 재료의 면으로 보면 당시에도 다양한
재료의 화장품이 존재했으나, 종류로 보면 크게 액상형의 화장수와 고체형의 화장크림
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으므로 본 고찰에서는 이 두 종류의 기초화장품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후기와 동시대에 해당하는 일본의 에도(江戸)시대와 메이지
(明治)시대의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해 더욱 명확히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
이다. 조선시대 후기는 임진왜란(1592-1598년)이후부터 1910년까지로 보는 것이 일반
적이다. 일본역사에서 이 시기에 해당하는 것은 에도시대(1603-1868년)와 메이지시대
(1868-1912년)이므로 거의 시기적으로 비슷하므로 고찰하면서 두 시대의 비교가 가능
할 것이다.
조선시대 후기의 화장수와 화장크림에 대한 연구는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분야이며,
특히 일본과의 비교연구는 선행연구가 전무하다. 다만 전체적인 한국의 화장문화에 대
해서는 코리아나 화장박물관에서 간행된 『한국의 화장문화』1), 전완길 씨의 『한국화
장문화사(韓國化粧文化史)』2)등의 선행연구가 있으며, 일본 쪽으로는 구게 쓰카사(久
下司)씨의 『化粧』3), 무라사와 히로토(村沢博人)씨의 『얼굴의 문화지(顔の文化誌)』4),
『에도 300년의 여성미-화장과 머리형(江戸三 年の女性美
化粧と髪型)』5) 등의
화장문화에 대한 선행연구가 있다. 이런 문헌들은 화장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용을 다
◯◯
1) 코리아나(2006) 『한국의 화장문화』, 코리아나 화장박물관
2) 전완길(1987) 『韓國化粧文化史』, 열화당
3)
(2001) 『 』,
4) 村沢博人(2007) 『顔 文化誌』, 講談社
5) 陶智子(2005) 『江戸美人の化粧術』, 講談社
久下司
化粧 法政大学出版局
の
―
내
조선시대 후기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한 고찰
······················································ 김 현 정…175
큰 움
루고 있으며 화장문화를 연구하는데
도 이 되지만 이런 문헌들에서도 화장수와 화
장크림에 대한 한일 비교는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조선시대 후기의 화장수와 화장크림에 대한 양상을 고찰한 후,
동시대 일본의 양상에 대해 고찰하고 결론에서 전체적으로 비교 분 하여 그 시대
과 이 , 공통 등에 대해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볼
차 점
석
점
배경
2. 조선시대 후기의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해
던
우선 조선시대 후기에 사용되었 화장품의 종류에 대해 고찰하기로 한다. 조선시대 후기
에 사용되었 화장수나 화장품에 대해서 자 히 수 있는 국
문헌은
게도
그다지 많지 않다. 극히 일부의 문헌과 화장문화사에 대한 연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수
있을 이다.
부터 피부에 무 인가를 발라서 얼굴을 더 아 게 하고 윤기있게 하는
은
존재했을 것이다. 『한국
문화대사전』에는 단
화에서 수 있듯이 과 마 이
피부를 희게 하는 미용재료로 사용되었으며, 말 사 들이
으로 수를 하여
미백수단으로 이용했다 한다. 또 한반도의 동 에 거주했
루 사 들이
에 지기
을 발라 위를 이 고 동상을 예 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지기 이
그을림
을 지하고 피부를 희고 부드 게 하는 성분이 있다는 데서 것으로 본다. 6) 라는 화장수
와 화장크림의
된 기원을
수 있다.
또한『한국화장문화사』에 의하면 조선시대에 사용되었 우리나라의 화장품 중 피부
용 품으로는 조두( 정 ), 미 수(화장수), 면약(크림에 해당), 분백분, 색분(色粉, 백
의 은 수술의 분말을
하여 사용하 음), 물분, 연지, 술연지, 미 (眉墨, 눈썹
눈썹용), 또 ( ack)에 해당하는 미용품(美容品) 7) 등이 사용되었다고 한다. 이중 얼굴
에 가장
바르는 기초화장품으로 미 수,
화장수가 있었고 화장크림에 해당하는
면약(面藥)이 존재했음을 수 있다. 액체
의 미 수와 고체
의 화장크림의 두
종류로 크게 나 어 사용되었 것이다.
조선시대 후기 이런 화장품들은 대부분 주위에서 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을 가지고
각각의 가정에서
조해서 다. 당시는 대가
도라서 여자들의 일 이 많은
이었고, 화장수 역시 만들기가 어
것이 아 므로 여자들이
조해서 사용했
것이다. 재료는 주로 수 미나 이, 박 등 각 절에 구하기
자연재료를 사용
했는데, 대부분 물 재료가 많이 사용되었다.
이나
, 약초나 과일 등의 을
이용하거나 어서 다른 것과 어서 사용하는 등의
이다. 이처럼 당시는 주위에서
던
뿐
오랜 옛날
름
방
추
세 알
엇
민속
겨내
오래
럽
엿볼
내외
안타깝
알
름답
풍습
“ 군신
볼
쑥 늘
갈 람 오줌 세
살갗
북방
던 읍 람 겨울 돼
방
돼 름 햇볕
온
”
던
옛
제
“ 세 제 안
합
붉 꽃
채취
였
볼 입
묵
·
속
팩P
”
먼저
안 즉
알
즉 타입 안
타입
뉘
던
쉽
직접 제
썼
족제
손
편
려운
니
직접 제
던
세 오
계
쉬운
식
곡식 채소
즙
찧
섞
방식
‘
’
6) 김용덕(2004) 『한국민속문화대사전』, 창솔 화장(化粧) 편
7) 전완길(1987) 『韓國化粧文化史』, 열화당 .16
p
17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실
구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재료로 화장수를 만들어 사용했었다는 사 은 분명하지만,
자 한 조 이나 당시 화장수의 태에 대해
수 있는 문헌은 거의 없다. 『동의보
』8),『 약 성 』9)등의 당시 문헌, 화장문화에 대한 연구문헌 등을 통해
할수
있을 이다.
우선 미 수,
화장수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한다. 『한국
문화대사전』에 의하면
조선시대에는 미 수(美顔水,
의 로 )를 만들어 사용하고,
기를 발 다
가 일정 시간 후에 어 는 미
(
의 )을 하는가 하면,
으로 이
지를 면에 문지르기도 하 다. 10)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간에 전 되는
으로 주위에서
게 구할 수 있는 수 미나 이, 박 등의
기를 자르면 나 는 이나 수분을 사용한 것이 화장수로 사용되었다. 수 미나 이
화장수는 현대에도 수 화장품으로 만들어 사용되거나
되고 있을 정도로, 수분 이
많아 화장수로서의 기능이 어나고 게 에 을 수 있으며 만들기도 어렵지 않아서
전부터 사
아
재료이다.
『동의보 』,『 약 성 』은 의약서이기는 하지만, 체에 관련되어 물이나 다양
한 재료들을 어 게 사용했는지
수 있는 자료이며, 당시 화장수나 크림 등으로
사용되었 재료들과 그 사용 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로 『동의보 』에 보면 형 (外形篇)이란 장이 있고, 이 의 면(面) 이란 장
은 전부 얼굴에 관련된 처 들이다. 주로 얼굴에 생기는 부 럼, 얼굴이 는 상, 얼
굴에 관련된 각종 을 다 리는
과 피부를 게 하는
등이 자 히 기술되어
있다.
로 우리가 화장수나 크림을 사용하는 이유는 얼굴에 수분을 보충하고 기미와
주
을 없 며 얼굴피부를 더 게 하는 것이므로, 『동의보 』에 기록된 이와 은
것들은 현대의 화장수와 화장크림과 은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아도 을 것이다.
이 『동의보 』의 기록 중에서 특히 화장수와 화장크림으로 수 있는 대표적인 재료
들을 하나의 표로 정리해 보 다.
세 제 법
감 향 집 방
뿐
안 즉
“ 안
꼭
오래
실제
알
추측
민속
요즘 션
꿀 찌꺼 펴
떼 내 안법 요즘 팩
손쉬운 방법
였 ”
승 방법
손쉽
세 오
오 즙
세
제
판매
뛰
쉽 손 넣
랑받 왔던
향 집 방
신
식
떻
잘알
법
감
외 편
속 ‘ ’
방
스
붓 증
병 스 방법
좋
방법
세
안
민
줄
실
감
던
실제
름살 애
좋
감
감
같
볼
았
좋
랐
오
오
감
같
<표1> 『동의보감』에 보이는 미안수와 면지(面脂) 관련 재료11)
재료
효능 및 사용법
밀타승( 密陀 얼굴에 생긴 기미와 주근깨를 치료한다. 곱게 가루를 내어 젖에 개어 밤마다
僧)
바른다.
좁쌀죽의 웃물. 피부를 희게 하여 살결이 비단결같이 되게 하고, 기미와 사마
장수(漿水)
귀를 없애준다.
8) 1610년(광해군 2) 허준(許浚)이 지은 의서(醫書).
9) 1433년(세종 15)에 간행된 향약에 관한 의약서.
10) 김용덕(2004) 『한국민속문화대사전』, 창솔 화장(化粧) 편
11)
(2007) 『 대역 동의보 』(外形篇 卷一 面), 인문화사,
허준
신
감
;
‘
법
’
pp.600-602
조선시대 후기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한 고찰
······················································ 김 현 정…177
릿 뿌
흠집 애
택
面脂
늘 써 괜찮
깨 애
택
안 좋
갈 젖 타 늘
밤알 속껍질 내 꿀 타
팽팽
노
름살 펴
숭 꽃안 좋
택
준
순무씨. 곱게 가루내어 면지(面脂)에 섞어서 늘 쓰면 주름살이 없어진다.
동아씨. 얼굴을 광택이 나게 하고 안색을 좋아지게 하며, 검정반점과 주근깨
를 없어지게 한다. 크림처럼 만들어 늘 바르면 좋다.
곰기름. 얼굴에 생긴 기미와 검은 반점을 없애고 얼굴을 윤택하게 한다. 바르
기도 하고 먹기도 한다.
큰 돼지 족발. 노인의 얼굴이 광택이 돌게 한다. 돼지 발굽 1마리 1분을
대 저제 ( 大猪 먹는 법대로 손질하여 끓여 아교처럼 만들어 잠잘 무렵에 얼굴에 발랐다
蹄)
가 새벽에 장수(漿水. 좁쌀죽의 웃물)로 씻어버리면 얼굴의 피부가 팽팽
白芷)
진주(眞珠)
율피(栗皮)
도화(桃花)
만 청 자( 蔓菁
子)
동과인( 冬瓜
仁)
웅지(熊脂)
백지(
구 대의 리. 기미와
을 없 주고 얼굴을 윤 하게 해 주며, 면지
(
)를 만들어
도
다.
기미와 주근 를 없 주고, 얼굴을 윤 하게 하며 색을 게 한다. 분가루
처럼 되게 아 에 서
바른다.
. 가루 어 에 서 얼굴에 바르면 피부를
하게 해주고,
인의 얼굴 주
도 지게 한다.
복 아 . 색을 게 하고 얼굴을 윤 하게 해 다.
해진다.
든
밀타승 ‘ 산 납’
추렸
여기서 예로
것은 대부분 주위에서 어렵지 않게 얻을 수 있는 재료들만 간
는
데, 이 중
이란 일 화 을 말하는 광 의 일종이다. 주로 이 이나 종기를 가라
히는 약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면지(面脂) 라는 용어가 자주 나 는데, 이것이 바로
액체
의 화장수와는
로, 현대로 말하면 화장크림에 해당하는 것이다.
당시에는 면약(面藥)이라고도 했다. 이는 특히
과 이 조한 절에 피부를 보
하고 보 효과를 주는 것으로 얼굴이나
등에 이용되었다. 이는 조선시대에 처음
등장한 것이 아 라, 고 시대에 이미
과 얼굴을 부드 게 하고, 희게 하기 위한 피
부 보
미백 인 면약(面藥)과 모(染毛)가 행해지고 있었 12)으며 이 사 은
『고 도 』13)이란 문헌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에 보면 면약 (面藥壺) 에 대한
기술이 다음과 이 보인다.
앉
타입
호
별개
습
호제 겸
려 경
호
니
제
석
’
‘
려
“손
염
손
질
오
겨울 같 건
럽
책
같
·
·
·제
계
”
‘ 호
든
뚜껑
’
실
면약 는 정사 부사 도할관 할관의 거처에서만 은으로 만 것을 사용하고, 나머지
우에는 구리로 만 것을 사용한다. 근 에 목은 길며
의 형태는 조금
하다.
14)
이는 5치이고 의 지 은 3치5 (分)으로 용 은 1되이다.
경
높
배
든
름
푼
둥 배
‘
’
량
뾰족
12) 김용덕(2004) 『한국민속문화대사전』, 창솔 화장(化粧) 편
13) 고려를 다녀간 송(宋)나라 서긍(徐兢 1091-1153)의 견문록. 중국인의 눈에 비친 당시 고려의 양상을 잘 알수 있는
자료이다.
14) 조동원 외 역(2005) 『고려도경』, 황소자리 출판사, .374
p
17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호
넣 병
둥 배
긴
뚜껑
병
센티 푼
센티
따 높
센티 둘
병
실 알
긴병
봐
였 짐작
량
즉
병
량
썼 알
병
량
견
배
량
쉽 살
번
노력
꺼번
랐던
추측
집 방
‘
방
’
법 방법
개 소개
았
면약 란 면약을 는 을 말하는데, 근 에 목은 형태에다
이 있는 인
데, 5치는 약 15
, 3치 5 은 약 10.6
정도이다. 라서 이가 15
에 레가
10.6
정도되는 이었다는 사 을
수 있으며, 목이
의 모양으로 서 부어
서 쓰기 은 정도의 액체 음을
할 수 있다.
또 그 에 들어가는 용 이 1되라고 되어 있는데, 1되는 1803.9ml에 해당된다.
1.8리터 리 우유 한
정도의 용 에 해당된다고 보면, 화장품 치고는 대단히 많은
양을 어두고 음을 수 있다. 현대의 화장품 은 120 - 220ml 전후의 용 이 대
부분인데, 여기에 주면 그 10 정도의 용 에 해당한다. 당시는 화장품을 게
수 없었고 한
만드는 데 시간과
이 들었으므로, 면약이란 것을 한
에 만들어
두고 여유있게 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 약 성 』에도 顔面을 윤기나면서 희게 하는 처 (面光澤潔白) 이란 항목
이 있는데, 이 부분에 보면 화장수와 크림으로 사용했을 한
들이 여러
되
어 있다. 이 역시 대표적인 것만 표로 정리해 보 다.
센티
좋
안
짜
넣
향
<표2> 『향약집성방』에 보이는 미안수와 면지(面脂) 관련 재료15)
이름
재료 또는 효능
사용법
얼굴빛을 윤기나면서 희 牡蠣(굴의 살을 말린 함께 고루 갈아 꿀에 개어 밤마다 얼굴
게 하고 기미와 주름살 것) 3兩, 土瓜根(말린 에 바르고 아침에 따뜻한 漿水로 씻는
을 없애는 처방
하눌타리 뿌리) 1兩.
다.
음력 12월에 잡은 살찐 猪脂를 매일 물
얼굴에 바르는 기름(面 을 갈아주면서 7-8일 동안 담가 두었다
연지법(煉脂法)
脂)를 만들려면 煉脂法 가 졸여 맑은 기름을 내어 물속에 넣었
을 알아야 한다.
다 꺼낸다. 鴉, 熊脂도 다 이 방법대로
낸다.
복숭아 꽃가루(음력 2월에 따서 그늘에
얼굴을 깨끗하면서 희
도화말(桃花末)
말린 것)를 烏雞血에 개어 얼굴이나 몸
게 한다.
저제장(猪蹄漿)
에 바른다.
증 猪蹄 具升 멀건 漿水 升 손질녹
늙
름
슬
솥
澡豆 섞
힌
애
밤
침
漿水 씻
1 를 보통 해먹을 때처럼
하
얼굴 피부가 조이는
여물2 과
1 으로 이
상과 어서 주 이 잡
지 않은 에서 달인 것에
를
것을 없 고 윤기가
어서 마다 얼굴에 바르고 아 에는
나게 한다.
로 는다.
15) 유 효통(1998), 世宗朝命撰『國譯 鄕藥集成方』(中) , 영림사,
pp.1049-1050
조선시대 후기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한 고찰
돼 름
······················································ 김 현 정…179
귀 곰 름
알
알
여기서 면지를 만드는 데 지기 또는 까마 나 기 이 사용된 것을 수 있고,
지 발도 얼굴에 바르는 크림의 재료로 사용된 것을
수 있다. 현대에는 이런 것
들을 얼굴에 바른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지만, 당시에는 주위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
를 대한 이용했 것이다. 이처럼 당시에도 피부의 각종 여드 이나 기미 등을 고치
고, 피부를 윤기있고 희게 하는 으로 여러 가지 의학적
과 간
이 존재했었
음을
수 있다. 이런
들은 구전이나
사 을 통해
이 전수 으로 다양
한 형태로 존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조선시대 사대부가의 부 자들을 위해 은 여성생 백과에 해당하는 『
서(閨閤叢書)』에는 얼굴 피부 관리 으로 면지 (面脂法) 이라고 하는
이
되
어 있다. 면지 은
에 얼굴피부를 윤기있게 지 는
인데, 그 용을 보면 이 면
약을 만드는
에 해당하는 것을
수 있다. 『
서』에는 그
이 다음과
이
되어 있다.
돼 족
최
던
알
방법
법
녀
법 겨울
방법
소개
름
방법 민 요법
방법
됨 써
직접 람
엮
활
‘ 법
’
키 방법
규합총
법
알
규합총
방법 소개
내
방법
같
겨울에 얼굴이 거칠고 터지는데 달걀 세 개를 술에 담가 김 새지 않게 두껍게 봉하
여 네 이레 두었다가 얼굴에 바르면 트지 않을 뿐더러 윤지고 옥 같아진다. 얼굴과 손
이 터 피나거든 돼지발기름에 괴화(傀花)를 섞어 붙이면 낫는다.16)
겨울이 되면 피부가 건조하고 잘 트게 되는데, 화장을 아무리 잘 해도 베이스가 되는
피부가 건강하고 아름답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에, 겨울의 건조하고 추운 기
후에서도 피부 자체를 건강하게 지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했을 것이다. 그래서 이렇게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로 피부를 트지 않게 지키며 곱게 만들어 주는 방법
들이 사용되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여기서 급된 화는 화나무의
리를 말하는 것으로, 한 에서는 지 약이나
두통, 어지럼 등에 사용되는 약재의 일종이다. 또한
에는 동상치료에도 사용되
었 것으로, 이를 지발기 에 어서 바르면 지 에 효과가 있는 화가 용을 해
서 는다는 말이다. 또한 여기 사용된 달 은 현대에도 얼굴에 을 하는 재료로 사용
되고 있으며, 지기 등의 기 종류는
에 보
을 만들어 는 것을 지하고
피부를 보 해 주는 역할을 충분히 했을 것이다.
이처럼 우리 조상들은 기본적으로 피부를 결하게 만들어 주는 도화면과
피
부를 윤기있고 지 않게 도와주는 면지 등의
들을 사용하면서, 화장의 이 가
되는 피부 강을 지
것을
수 있다. 여기에
된
말고도 수많은 간
들이 행해 을 것이지만, 당시 이 『
서』라고 하는 이 많은 사대부가의 아 자
들에게
만큼, 이
대로 피부를 가 는 사 들도 대단히 많 을 것으로 생
언
던
낫
호
증
괴
돼
돼 름
트
회
꽃봉오
름 섞
름
혈
걀
겨울
법
옛날
호막
방
팩
괴
트
방
청
방법
건
켰던 알
소개 방법
졌
규합총
책
읽혀졌던
방법
꾸 람
p
16) 빙허각 이씨 원저, 鄭良婉 옮김(2006) 『閨閤叢書』, 보진재, .384
혈
잘
작
았
겨울철
베 스
민 요법
녀
18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각된다.
또한 『한국화장문화사』에 의하면 윤
(潤顔香蜜) 이라는 것도 있었다. 이는
기에 을 가미한 것으로서 얼굴을 윤기 나게 하는 데 사용한, 영양크림과 사한 것 17)으
로
되고 있다. 그리고
부터 전해
는 간
으로는 참 나 들 , 구씨
등의 기 을 피부에 바르면 희고 피부가 고와진다고 어 으므로, 이런 자연재료인 기 을
이용해서 피부를 관리하는 것도 행해 다.
그런데 조선시대 후기의 이런 기초화장품들은 조기술 면에서 보면 대부분 가 수
공
모로 조되었다.
꺼
‘ 안향밀
향
소개
름
업규
옛날
졌
제
경
꽃
홍
제
착
집안
웃 살
요
산 경
집변
직접 배
였
았 포
’
내려오 민 요법
믿졌
제
측
둔 앗
꽃잎
늘
‘꿀찌
흡 ’
깨 깨살
름
내
려 맷돌 빻
려빻
제 소 제
았 따 격 착
족
족제 였
노력 풍 였 업
였
직접
백분(白粉)의 우, 분 을 주 에 심어 거 씨 을 그 에서 말
로 고 체에
서 만들었다. 연지도 화를
재 하여
을 거두었고, 이를 말
고 비비고 체에
치는 과정을 반복하여 조하 다. 그리고 상품화된 화장품이라도 조장 나 조자가 표시
되지 않고 상표도 부 되지 않 으며, 장 역시 하지 않 다. 라서 가 표가 부 되지 않
다. 예전에는 한
에 여러 대(代)의 가 이 거주하는 대가 도 으며, 종가(宗家)를
중심으로 하여 이 에 기 예사 으므로 동 이 부하 고, 분 (分業)이 가능하 다.
라서 가정에서 필 로 하는 대부분의 물품을 사지 않고 주부가
만들 듯이 화장품 역
18)
시 여자가 생 하는 우가 많 다.
쳐
았
따
였
았
경
늦
계
산업
업 준 렀 외
뒤떨
낳
파
던
니
족 제 였던
람 손 풍
내 업
제
따
제 소 제 판매
람
렇 내 업 제
방
팔
니
였
황속 개
외
입
람 큰 식 변 져오
외
온
내 업
식
안
포 려
법
편
먼저 개
청
왔
럽
왔 외
온
끌
산업 큰 향 쳐
끈
이처럼 화장품의 우 조선시대 후기에 있어서도 근대화가 어진 관 로, 다른
분야
처럼 수공 수 에 머물 으며, 국의 화장품에 비해 시기적으로 많이
어지는 결과를
게 된다. 당시 화장품만을 는 화장품 가게가 아주 없었 것은 아 지만, 극히 드물었으
며, 대가
도
당시는 사 의 일 은 부했으므로 대부분 가 수공 으로 화장품도
조되었다. 라서 화장품에 상표도 없었으며 조장 나 조,
하는 사 에 대한
표시도 없었다. 화장품은 주로 이 게 가 수공 으로 조된 것을 물장수 등이 러
다 는 형태 다.
그런 상
에서 항이 된 이후19)에는 국의 화장품들이 다양하게 수 되면서, 화장품
의 면에 있어서도 사 들에게 인 의 화를 가 게 된다. 국에서 들어 화장품들은
가 수공 으로 만들어진 전통 화장품과는 비교가 될 정도로 장이 화 하고 사용
도 간 했기 때문이다. 이는 주로 우리나라보다
항을 한 일본이나 나라에서 들어
고, 이후 유 등지에서도 들어 다. 국에서 들어 화장품은 종류가 다양했으며, 그런
화장품들은 크게 인기를 며 우리나라 화장품
에
영 을 미 발달로 이 다.
p
17) 전완길(1987) 『韓國化粧文化史』, 열화당 .16
18) 주17과 상동 .67
19) 1876년(고종 13)에 일본과 병자수호조약을 체결한 것을 시작으로 다른 나라들과도 통상조약이 체결되어 외국의 선
진문물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때부터를 개화기로 본다.
p
조선시대 후기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한 고찰
······················································ 김 현 정…181
실제로 이미 19세기에는 서양에서도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비약적인 생활의 변화를 가져
오게 된다. 『화장문화사』에 따르면 “화장품이 대중화되어 대량생산되었고 패션에서는
의복의 간결화와 더불어 명확한 화장법이 유행하게 되었다. 공업의 기계화 물결로 새로운
성분의 화장품과 화장품 산업이 발달하였고 뷰티 살롱도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그리스 페인
트(grease paint)의 발명과 함께 품질이 향상된 화장품의 보급 등으로 메이크업 용품의
일대 혁신을 불러일으켰으며 진한 입술, 붉은 볼 화장, 선명한 아이라인 및 인조 속눈썹
등이 등장하였다. 19세기 말 이후에는 크림 루주(rouge)와 색조를 사용한 화장은 더욱
일반화되었다.”20)고 지적하고 있다.
즉 아이라인이나 인조 속눈썹 등은 현대에도 사용되는 화장품인데 이런 것들이 이미
서양에서는 19세기에 보편화되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의 발전으로 인한 서양에서
의 화장품 산업의 발달과 화장법의 대중화가 조선시대의 화장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개화기 이후에는 서양이나 중국에서도 화장품이 수입되어서 들어오고, 특히 일본에서
화장수나 크림, 비누 등의 여러 회사의 제품이 수입되었다. 일본의 화장품 회사로 대표
적인 것은 구라부(クラブ) 화장품, 레토(レート) 화장품 회사 등이었으며, 이들은 광고를
통해서 치열하게 경쟁했다. 이런 광고활동을 통해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지게 되고, 일본
의 화장품은 국내산에 비해 고가이기는 했지만 질이 좋은 것으로 인식이 되어 경제적으
로 여유가 있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었다.
예를 들어 구라부 크림 등은 ‘트지 않게 하는 것은 구라부 크림’이란 문구로 여성들에
게 어필했으며, 1918년에는 레토 화장품 회사 제품인 ‘레토 메리(レートメリー)’가 판매되
기 시작했다. 이는 특이하게 크림과 백분이 세트가 된 제품으로, ‘제품 하나로 1분 만에’
라고 선전을 했다. 간편함과 단시간에 화장을 마칠 수 있는 편리함 때문에 인기리에 판
매되었다. 이처럼 우리나라에도 일본과 서양, 청나라 화장품들의 영향을 받으며 국산 화
장품도 날로 발전되고 서양화되어갔다.
개화기 이후 우리나라 고유의 판매용 화장수와 크림에 대해 살펴보면 전통적인 방법
으로 가내 수공의 형태로 만들어 졌던 형태는 여전히 존재했지만, 개화기가 되면 브랜
드를 내걸고 대량으로 생산 판매하는 화장품들이 등장하게 된다.
우선 1920년에는 ‘연부액(軟膚液)’이라고 하는 것이 등장하는데, 이는 동아부인상회
(東亞婦人商會)라고 하는 상회에서 만든 일종의 미백로션이다. 동아부인상회는 1920년
4월 기혼부인만을 조합원으로 하여 설립된 商社로, 부인들의 생활에 필요한 일상용품이
나 화장품, 책 등을 판매했던 곳이다. 당시 연부액은 얼굴에 바르면 얼굴이 거칠고 트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여드름이나 버짐까지 없애는 일종의 만능화장품으로 광고했
다. 또한 분화장 하기 전에 바르면 분화장이 잘 되는 기초화장품으로서의 기능도 강조
p
20) 임미애(2009) 『화장문화사』, 신정, .103
18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집
제
했다. 비록 선전하고 있는 만큼의 효과는 얻기 어렵더라도, 에서 자가 조한 화장수
나 로 보다는 그 효과 면에서 어
것은 분명했고, 그로 인해 인기를 었다.
또한 조선부인약 에서
한 금강액 은 피부미용 만이 아 라 특히 여드 이나
주근 , 마른
등에
는다고 선전했으며, 미백효과를 강조한 유백금강액 이란
것도
했다. 이런 화장품들은 조한 의 이 을 고 화장품이 만들어 고,
를
위한 광고를 하는 등 현대적인
의 화장품에 가까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화장품은 시장에서
수도 있었고, 또 상인들이 수레를 고 다 면
서 기도 했는데, 당시 유행했 화장품 중에 동동구리무 라는 것이 있었다. 이는 크림
을 일본 발음으로 하면 구리무(クリーム) 가 되고, 이를 는 상인들이 을 메고
치면서
다고 해서 동동구리무라는 이 이 되었다. 이는 크림화장품의 일종으로 필
한 만큼만 용기에 어서 사는
이었다. 현대에는 크림의 종류도 다양하지만, 당시
에는 이것 하나로 화장수 이 에 크림이나 로 등의 역할을 다 이 했었다. 또 이 동
동구리무는 이런 으로 을 치며
하는 상인이나 화장품을 상 해서 이르는 말이
기도 했다.
당시 사 들은 이와 이 주로 물장수를 통해서 물 을 구 했다. 현대로 말하면
문
정도의
일 것이다. 물장수들은 화장품 만이 아 고 여성들의 잡화도
하는, 그야말로 어 다 는 만물상이었다. 조선시대에는 기본적으로 여자들의 바
을 하게
하는 이었기 때문에, 부 자들은 특 한 행사나 장 등의 우
가아 면
이 지 않 으며 물 을 사러 바 을 다 는 일도 어
정이었다.
그러므로 이런 화장품과 화장도구들은 당시 주로
마다 다 며 물 을 는 물장
수를 통해 구 을 할 수 에 없었 것이다.
그리고 라시대부터 정부가
하고 관리했 시장인 시전(市廛)은 여전히 조선시
대에도 존재했다. 시전은 지금의 종로(鐘路) 거리를 라 형성된 상 시장이었으며, 그
중 가장 으 이 되는 시전은 의전(六矣廛)으로
다. 이 중 화장품을 전문적으로
하는 가게는 분전(粉廛)이라는 것이 있었다. 분전은 말 그대로 분을 는 가게이지만,
분 이 에도 여러 가지 화장에 관련된 도구나 화장품, 장 구 등을 전반적으로
했
다. 이 분전에서 전국에 화장품을 공급했고, 공급된 화장품은 물장수 등을 통해서 다
시재
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화장품 전문가게는 그 수가 많지 않 으므로, 결국
대부분 물장수나 동동구리무 상인 등을 통해 구 하는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당시 존재했 시전에 대한 표현이 문헌에도 가 보이는데, 예를 들어 『이
전』
에는 양에 가는 것을 말리는 한 아 의 머리 를 이
이 선전시전(瑄廛市廛)
21)
비단 듯, 상전시전(床廛市廛) 연
듯
고 구박하는 장면이 있다. 여기서 선전
시전이란 장거리에서 비단을 는 가게를 말하고, 상전시전이란 잡화가게를 말한다.
션
뛰 났던
방 판매 ‘ ’
뿐
깨
버짐 잘 듣
판매
제 곳 름 걸
개념
운
살
팔
던
‘
’
식
‘
’
파
팔았
름
요
덜
방식
외
션
식 북
판매
람
같
방
방
방 판매
개념
판매
걸 니
깥출입 엄 규제 편
니 외출 쉽 았
신
매
입
밖
뜸
녀
건
던
감독
깥
집집
평
감
같
별
니
파
/
착 내
줄감 ” 쥐
/
/
/
둥둥
징
례 경
려운 실
건 파 방
니
설
신
던
니
입
니
따
불렸
매
끔
채
끌
북
던
육
름
‘
’
졌 판매
손
건
뿐
외
판매
방
니
끌
파
방
판
판매
았
춘풍
춘풍 “
소
/
p
21) 張德順 감수(1999) 『배비장전 옹고집전 이춘풍전 옥단춘전 운영전 가루지기타령』, 明文堂, .84
조선시대 후기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한 고찰
······················································ 김 현 정…183
설에서 이와 같은 묘사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당시 이런 가게에 대해 일반 사람들이
누구나 다 알고 있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당시 일반 여성들의 경우 이런 시전을 이용하는 것보다는 방물장수를 통해 구입하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했으나, 화장품이나 잡화 등을 구입하는 하나의 중요한 경로로서 시
전이 존재했었다는 사실도 주목할 만 하다고 생각된다. 단지 조선시대 후기의 문헌에는
이와 같은 시전에서 화장품을 구입했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시전에서 화장품을 구입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3. 에도(江戸)시대와 메이지(明治)시대 일본의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해
경
니
찬
개념
별
일본의 우도 한국과 마 가지로 고대에는 화장수라고 하는
이 특 히 존재하는
것이 아 었고, 또 이를 화장품의 일종으로 보는 사상은 희박하며, 그 기록도 거의 없기
는 하지만, 현재 일본에 아있는
에서 고대에 사용되었 화장수를
해
수 있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서 일본에는 음 9 9일에 중양(重陽)의 명절이 있는데, 이 국화에
우는 (菊の着せ綿) 이라는
이 있었다. 이는 이 (平安)시대(794-1185)부터 시
된
으로, 음 9 8일 국화 을
으로 서 그 국화의 을 으로
후,
그 다음
아 (9 9일)에 이 로 은 그
을 얼굴에 대거나 을 어 면, 피
부가 젊어지고 강해 서 장수한다고 어 다.
이는 과 자연의 이 이 어우러 만들어진 자연 화장수인데, 이것을 화장수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국화는 특히 고대 중국에서 선이 사는
에 피는
성한 으로 여
서, 이는 나 기 을 물리치고 장수하는 효과가 있다고 어 다.
이와 은 국화에 대한 음이 일본에도 그대로 전해 서 국화에 우는 과 은
이 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은 이미 이 시대에는 아주 일반적으로 많이 행
해
인 모양으로, 당시 여러 문헌들에서 이에 대한 기록을
수 있다. 예를 들
어 『 지모 가 리(源氏物語)』의 예를 보면 9 9일에 국화에 을 우는
을
행하고 있음을
수 있다.
남
풍습 속
던
력 월
솜
’
풍습
헤 안
풍습
력 월 날 꽃 풀솜 싸
날 침 월
슬 젖 풀솜
건 져
믿 졌
꽃
슬
져
산
신
꽃
같
겨져
습
졌던 풍습
겐 노 타
알
겐
월
믿
쁜 운
방법
헤 안
월
져 ‘
추측 볼
날‘
향 솜 옮긴
몸 씻 내
신
씌
씌
작
세계
믿 졌
솜’ 같 풍
볼
솜 씌
풍습
날 솜 씌운
노래 읊 셨
빌 던
침 슬 올
슬 남았 려
( 지는) 9 이 되어서 9일의 중양의 에 을
국화를 보시고
를 으 다.
예전에는
자고 일어나서 장수를 었 이 국화의 아 이 도, 해 가을
에는 나 자
에 어지는 눈물의 이 만
구 .22)
함께
혼 소매 떨
p
22) 1994 新編日本古典文學全集 『源氏物語4』 小學館 .544
18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풍습
순
외
건 져
졌던 실
쿠 노소
“월
새벽
슬
겨
덮 던솜
젖
향
났 ”
언 볼
젖
솜
볼 겠
외
찾
세
언
오래
온
써 ‘오
딸 세 쥐 외’
언
찬
손쉽 손 넣
트블
중양의
은 이처럼 단 한 화장수로서의 기능 이 에도 주로 젊고 강해 서 장
수를 기원하는 의미로 행해
사 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당시 대표적인 여류수필
인 『마 라
시(枕草子)』에서도 9 9일은
무렵부터 비가 약간 와서, 국화
위에 이 도 많이 생 서 국화 위를 고 있
도 대단히 었다. 그 때문에 국화
도 더욱 강하게 다. 23)고 하여 이에 대한 급을
수 있다.
이처럼 은 국화의 에서 얻은 액체 등이 화장수의 기원이라고
수 있 다. 그러
나 이 에는 구체적으로 화장수에 대한 기록은 아보기 어렵고, 중 시대에도 화장품
에 대해 급되어 있는 문헌이 극도로 적어서 더욱 정보를 얻기 어렵다.
화장사의 연구로 유명한 구게 쓰카사(久下司)씨는 일본에서
전부터 사용되어 화
2
4)
장수의 재료로
이, 토마토, 기, 수 미, 참
등을 급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
라와 마 가지로 주위에서
게 에 을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해서 피부의 윤기와 러
을 지한 것으로 보인다.
에도시대가 되면서 화장수라고 하는
이 더욱 확 해지고,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
된 화장수도 생
다. 에도 시대의 대표적인 화장수로는 하나 쓰유(花の露) 라고 하
는 것과 에도 미 (江戸の水) 의 두 종류를 들 수가 있다. 그 이 에 현대에도 여전히
화장수를 만드는 데 이용되고 있는 수 미의 화장수인 치마 이(へちま水) 등이 있었
다.
하나 쓰유란 의 이 이라는 으로 에도시대 전기 무렵부터 메이지시대까지
되었 장수 화장품이었다. 일본의 우도 한국처럼 고대부터 대부분의 화장품을
로 만들어서 자급자 했었는데, 이 하나 쓰유와 은 화장품이 대중적으로 리
될 수 있었 것은 목
과 이 사 이 많이 모이는 에 미인화와
화장품의 그
림을 그
어 선전을 해서
터와 이 여서, 사 들에게 리 인지되었기 때문
이었다. 또한 에도시대의 미용잡지나 미용백과 등에도 이런 화장품들의 급과
,만
드는
등이
있었 것도 사 들에게 리
지는 것에
역할을 했었다.
『도시
화장전(都風俗化粧伝)』25)에 보면 하나 쓰유를
만드는
이 자
히 적 있다. 하나 쓰유의 효과는 얼굴에 바르면 광 이 나고, 기도 으며 피부
결을 곱게 해 다. 또 얼굴에 종기도 게 해 다. 26)라고 다 면으로 사용 가능한
용도에 대해 명하고 있다. 이 에서
하고 있는 것은 레나무의 을 사용하는
이며 을 서 란비 (蘭引) 라고 하는 용기를 사용할 때와 그 지 않을 때의 화
장수를 만드는
을 각각 명하고 있다.
방
개념
겨났
‘ 노 즈
노
던
‘꽃
슬’
‘ 노
외
‘헤 스
세
실려
던
’
’
뜻
경
족
노
같
욕탕 같 람
곳
포스 같 붙
람
던
려넣
법
’
실
람
풍속
세 혀
노
“
준
난
낫
설
책 소개
방법 꽃 따 ‘ 키 ’
방법
설
p
化粧 法政大学出版局 pp
저
책
쇼
베스트셀
p
널 알려
노
준 ”
함께
널
택
찔
언
큰
직접
향
방
판매
스스
널 판매
소개
방법
좋
렇
꽃
23) 1999 新編日本古典文學全集 『枕草子』, 小學館, .43
24)
(2001) 『 』,
, .229-230
25) 1813年 사야마 한시치마루(佐山半七丸)가 술한 미용백과. 미인이 되기 위한 얼굴
, 화장 , 가 에 이르
기까지
라한 으로 다이 (大正)시대까지
러로 당시 수많은 여성들에게 크게 영 을 미 다.
26) 佐山半七丸(1982) 『都風俗化粧伝』, 平凡社, .243
久下司
총망
손질법
향
법몸짐
쳤
조선시대 후기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한 고찰
노
······················································ 김 현 정…185
키
알려져
같 긴
키 “ 향
소개 소
요
키
하나 쓰유를 만들기 위해서는 란비 라고 하는 도구가 필 했는데, 란비 는 일본에
는 에도시대 초기에 전 된 것으로
있으며, 주로 도기로 만들어 다. 항아리 이
생
아 의 용기에 주전자와 이 생 용기가 그 위에 어있는 것과 은 형태이
며, 삼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란비 는 술, 료, 약 등을 류하기 위해 사용된 도
구인 아
이 한 말이다. 에도시대에
되어, 주의 조 등에 사용되었고 또 하
나 쓰유의 조에도 이용되는 등 다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란비 용기의 일 아 에
물을 어 이고, 그 위의 용기에는 을 는다. 기로 이 지면, 그 기가 다시
그 위의 용기에 모아 서 주전자와 이
된 부분에서 하나 쓰유가 러나 는 형
27)
태로 되어
있다.
또 하나 유명했 화장수로는 에도 미 란 것이 있다. 이는 에도의 물 이란 으로
『우 부로(浮世風呂)』등의 유명한 품을
가이자 우 에 화가인 시
바
(式亭三馬. 1776 1822)가 1811년부터
한 화장수로도 유명하다. 시
바는
가라는
이 에도 생약을 는 가게를 영하고 있었는데,
로 만 화장수인
에도 미 를 예 유리 에 어서
하기 시 했다. 또한 선전 문구를 이 화장수를
분화장을 하기 전에 바르면 분이
발리게 하는 약 으로 선전 으로 , 화장수를
로 만들어 쓰 사 들까지 더욱 극적인 효과를 기대하면서 사게 만들었다. 또한 이 에
도 미 를 자기가
들 에서 그림을
하거나 문구로 선전을 했기 때문에, 이
것이 대단한 보효과를 가 와서
나게
수 있었 것이다.
이와 은 일이 가능했 것은 에도시대, 특히 후기로 수록 더욱 대중들을
한
문화가 대단히 발달하게 되는 데 기인한다. 사 들이 가 게
을 수 있는
적인
들이 많이
되고, 그런 대중
을 쓰는 가들이
인기를 얻으면서,
가들은 만 서는 생 를 유지하기 들거나, 또는 을 더 기 위해 약이나 화장
품,
관련 용구 등을 는 가게를 영하는 우가 많
것이다. 이들은 본인의
물이라고 하는 가장 효과적인 보수단을 이용해서 자연
게 보를 할 수가 있었
고, 인기 가의 우에는 자기의 품 만이 아 고 그로 인해 약이나 화장품
에
른 수 도 크게 얻을 수 있었다.
이처럼 1789년부터 1800년 무렵부터 에도시대의 유명한
가와 우 에의 화가 등
유명인들이 화장품이나 치아연마 (歯磨剤-현대의 치약 은 것)에 대한 선전문, 광고지 등
을 적는 것이 유행했 것이다. 유명한 가 등이 많이 리는 자기의 이나 광고지 등에
이런 화장품 등의 선전을 으면, 당시처럼
가 발달되지 않
시대에는 대단한 선전효
과를 발 했기 때문이었다.
당시 이런 선전을 했
가들에는 시
바를 비 해, 『 사토미
(南総里見
八犬伝)』등으로 유명한 가 교
바 (滝沢馬琴), 『도카이도 히자 리게(東海道中膝
래
긴맨 래
랑빅 변
노
제
넣 끓
”
키요
져
던
꽃 넣
같 돌출
증
노 즈
작 쓴작
판매
파
운
병 넣 판매
작
‘ 잘
’
~
직업 외
노 즈 쁜
붙
증
제
키
꽃 쪄
노
‘
키요
졌
같
같
제 래
증
흘 오
뜻
키테 산
키테 산 작
스스 든
함 써
’
스스
던 람
노 즈
쓴책 속
삽입
홍
져 엄청 팔릴
던
같
던
갈
겨냥
출판
람
볍 즐겨 읽
오
락 소설
출판
소설
작
큰
작
글 써
계
힘
돈 벌
담배
파
경
경
았던
저
작
홍
스럽 홍
작 경
작 뿐
니
판매
따 익
소설 작 키요
제
같
던
작
팔
책
실
TV
았던
휘
던작
키테 산 롯 난소 핫켄덴
작 쿠테 킨
추 쿠
◯◯年の女性美 ― 化粧と髪型』, 青幻舎, p.14
27) 村田孝子(2007) 『江戸三
18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작가 짓펜샤 잇쿠(十返舎一九), 작가이자 화가로도 유명한 히라가 겐나이
(平賀源内)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시키테 산바는 자기가 쓴 책 속에서 ‘화장수’와 나이든 여
성들의 화장을 위한 ‘노부인 화장품’과 ‘머리나는 약’, ‘치아 연마제’ 등에 대해 대대적으로 효
능에 대해 선전을 하고 제조, 판매했었다. 이들은 작가나 또는 우키요에 화가라는 본업 이
외에도 약을 판매해서 큰 수익을 얻었다.
앞서 언급된 것 이외에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오이나 수세미 등의 자연재료를 사용해
서 스스로 만드는 화장수도 많이 존재했다. 수세미로 만드는 화장수는 에도시대 당시
‘헤치마스이(へちま水)’라는 이름으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江戸の化粧』에서는 수세미 화장수인 헤치마스이에 대해 “서민들도 스스로 채취할 수
있는 간편한 화장수였다. 이 화장수에는 펙틴이 포함되어 있어서 피부의 기름을 제거하고
땀띠에도 효과가 있으며, 피부에 윤기를 더하고, 살갗이 튼 곳이나 화상에도 효능이 있다고
한다.”28)고 언급하고 있으며, 이 헤치마스이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는 “수세미 줄기를
뿌리부분에서 30-40센티미터 정도 되는 곳에서 자른 후, 뿌리 쪽 줄기의 자른 단면을 병
속에 넣는다. 그리고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병 입구와 줄기 사이를 면으로 막아 둔다.
뿌리에서 흡수한 물은 하룻밤 사이에 거의 2리터 정도 모인다. 이 헤치마스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계절적으로는 8월 15일이 최적이다.”29)라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도시 풍속 화장전』에는 동과(冬瓜)를 이용한 미백 화장수 만드는 법이 소개되
어 있다. “동과를 잘게 잘라 질 좋은 술 한 되에 넣는다. 불을 약하게 해서 동과를 졸여
고약처럼 만들어서, 천에 싸서 짠 후 찌꺼기는 버린다. 밤에 잘 때 얼굴에 바르고, 다음
날 아침에 씻어내면 된다. 14일이 지나면, 얼굴이 희어진다.”30)
동과는 박과의 덩굴성 식물로, 속과 껍질, 씨가 모두 식용으로도 사용된다. 동과는 이
뇨와 제독 작용이 있고 당뇨에도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앞서 고찰한
바와 같이 『동의보감』의 동아씨31)에 관한 내용에도 얼굴을 광택이 나게 하고 안색을
좋아지게 하는 재료로 소개되어 있다.32) 이와 같이 미백과 미용의 효능을 가진 동과가
일본에서도 역시 미백화장수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이 외에 여성들의 피부에 좋다고 하여 이용되었던 특이한 화장품으로 꾀꼬리의 똥이
있다. 똥을 그냥 얼굴에 바르는 것은 아니고, 꾀꼬리의 똥을 쌀겨 등에 섞어서 정제한
것인데, 이를 ‘우구이스누카(鴬糠)’라고 불렀다. 이는 주로 주머니 등에 넣어서 얼굴을
닦는 식으로 사용했다. 이는 피부를 곱게 하고 하얗게 해준다고 해서 당시 인기가 있는
방법이었다.
그런데 『동의보감』에도 “얼굴에 생긴 기미와 검정사마귀·흠집·여드름·주근깨를 없
栗毛)』로 유명한
渡辺信一郎
江戸の化粧 平凡社新書 p
p
신
감 법
p
28)
(2002) 『
』,
, .44
29) 주 28과 상동
30) 佐山半七丸(1982) 『都風俗化粧伝』, 平凡社, .66
31) 동아의 원말이 동과로, 동과씨와 같은 말이다.
32)
(2007) 『 대역 동의보 』, 인문화사, .1937
허준
조선시대 후기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한 고찰
······················································ 김 현 정…187
앤다. 저지(猪脂)에 개어 바른다.”33)라고 하여 가마우지의 똥이 얼굴에 바르는 재료로
소개되어 있다. 이는 다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었으므로 서민들도 쉽게 손에 넣을
수 있는 것으로서 더 인기가 있었으리라 생각된다. 일본의 서민들 중에는 꾀꼬리 똥을
목적으로 꾀꼬리를 기르기도 했었다.
화장수가 아닌 크림 개념에 가까운 화장품을 살펴보면, 주름을 방지하여 피부를 젊게
만드는 방법으로 돼지의 발굽도 사용되었다. 『도시 풍속 화장전』에 의하면, “돼지 발
굽을 4개 깨끗이 씻어서 쌀뜨물로 졸여 걸쭉해진 것을 잘 때 얼굴에 바르고 다음날 이
것을 쌀뜨물로 씻어낸다. 다음 날 밤에도 똑같이 해야 한다. 이대로 행하면 15일 안에
얼굴의 주름이 펴지고 피부 결이 고와지며, 광택이 나서 소녀와 같이 젊어질 것이다.”34)
라고 자세히 그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이는 앞서 고찰한 『향약집성방』의 저제장(猪蹄漿)이나 『동의보감』의 대저제(大猪
蹄)와 같이 돼지 족발을 사용한 면지 만드는 법과 대단히 비슷함을 알 수 있다. 이런 문
헌들의 기록을 보면, 기본적으로 나이든 사람의 얼굴을 젊게 하고 팽팽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돼지 발굽을 삶음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은 젤라틴 성분이다. 이는
먹었을 때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피부를 젊게 하고 윤기를 준다. 그러나 이처
럼 얼굴에 발랐을 때 이런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는 의문이지만, 돼지 발굽에 숨겨진
효과를 잘 알고 있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에도 말기가 되면 “찔레나무등의 꽃잎을 란비키로 증류한 향기수를 넣는 등, 향기를
화장수에 더하게”35) 되었다. 즉 화장수의 기능에 향기라는 것을 더해 그 가치를 높이게
되는 변화를 추구하게 된 것이다.
또한 메이지 시대가 되면서 화장수의 용도나 형태에도 이제까지 없던 변화가 생기게 된다.
베 츠
창제 알칼
베 츠
막
녹
‘ 안’
붕
글 세린 알 올 안식향 팅
였
쇼
‘
’
트 갠트
글 세린
제 십몇 걸렸
탕
메이지시대가 되면서, 르 박사가
한
리성 화장수( 르 수)를 바 으로 한
피부가 거 어지는 것을 는 화장수가 화장을 지우거나 백분을 이는 물로도 사용되었다.
근대적
의 화장수인 미 수 가 만들어진 것은 메이지시대 중반무렵 부터로, 이는 카
인, 사(硼砂), 리 , 코 ,
크(安息香チンキ)등이 원료 다. 메이지 말기부
터 다이 시대까지 유백(乳白)화장수 가 유행했다. 이는 라 고무(ドラガントゴム),
(硼酸), 리
, 아연화(亞鉛華) 등이 주원료로, 조에
일이
다.36)
칠
개념
개념
세
붕산
알
이처럼 근대적인
의 화장수가 만들어 진 것이 메이지 시대 중반 무렵임을 수 있고,
또한 메이지 시대가 되면서 화장수에 있어서도 더욱 다양성을 게 된다. 우선 1878年에 이
33)
34)
35)
36)
p
띠
주32와 상동, .602
佐山半七丸(1982) 『都風俗化粧伝』, 平凡社, .48
日本風俗史學會 編 『日本風俗史事典』,弘文堂, 化粧水 항목.
주 35과 상동.
·
p
‘
’
헤안
18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세
름난 오노노
‘니 스
름
’
시대의 유명한 여류가인이자 절 미인으로 이
고마치(小野小町)란 여자의 이
을 고마치 이(小町水)가 등장했다. 그 이후에 하치 이(二八水) 나 로 수(ローヤル水) 등
의 이 을 가진 화장수들이 등장해서 리게 된다.
또한 이 시대 주목할 만한 사항은, 서 인용한 바와 이 이 까지 없었
유액으로 된
화장수가 등장하게 되었
이다. 1906년에 레토(レート)화장품 사가 처음으로 서양의 화장품
에서 사용되는 것과 이 우유성분을 화장품에 어서
했 유백화장수 레토(乳白化粧水
レート) 란 것이 이런 류의 화장품의 초라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 까지 화장수는 전부
물처럼 명한 것이라는 상 에서 어나서 유액 은 화장수가 발전되기 시 한 기가 된다.
메이지시대에는 서구의 영 으로 화장에도 많은 화가 생기는데, 화장품에서 가장
화라고 하면 크림 의 등장이라고 할 수 있다. 크림은 화장수만 바르는 것보다 피부가
촉촉해 서 화장의 기초가 되며, 마사지에 사용되기도 했다. 액체
인 화장수와는 다른
고체 의 크림의 형태로 연하게 존재했 것이 메이지시대가 되면서 확 히 화장수와
는 다른 영역을 구 하게 된다.
서 급했 바와 이 현대의 화장품을 생각하면 크림이라고 해도, 마사지 크림, 수분
크림, 영양 크림, 화장을 지우기 위한 크림, 바 크림 등 종류가 대단히 다양하며, 예를
들어 수분 크림만 해도
화장품 사의 품들이 아 나 고 있다. 그러나 당시에
는 일본에도 크림이 그 게 많은 종류가 존재하지 않 으며, 하나의 크림을 영양 크림으로도
마사지 크림으로도 사용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사 들에게 선보인 이후에 화장수에 비해서는 훨씬 촉촉한 사용 에 크림의 인기
는 크게 아 고,
더 많은 사 들이 게 되었다. 1909년에는 레토 화장품 사가
성크림의 일종인
크림(バニシング-クリーム)을
했고, 1910년에는
사인
구라부 화장품 사가 바 크림인 구라부 바 크림(クラブ美身クリーム) 를 발 하는 등
다양한 종류의 크림들이 화장품으로서 등장하게 되고, 이후 더욱 리 사용 으로 기초화
장품에서 없어서는
될중 한
로서 자리잡게 된다.
딴 스
름
’
변
같
던점
‘ ’
앞 언 던
축
같
막
같
람
높 졌 점점
배니싱
회
디
안
던흰
제
변
회
람
‘
작 계
타입
던
엄청난
렇
건
같 제
회
넣 판매 던 ‘
최
식 벗
향
투
져
타입
팔
앞
’ ‘얄
디
제
았
큰
실
쏟져 오
감
찾
디
요 요소
판매
널
회
경쟁회
’ 매
됨 써
4. 결론
았
지금까지 조선시대 후기와 동시대 일본의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해 고찰해 보
다. 본문 중에서도 항목 로 양국을 비교하면서 고찰을 했지만, 종적으로 지금까지 고찰한
용을 가지고 전체적인 양국의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해 비교, 분 을 하고, 시대
등을
보는 것으로 결론을 하고자 한다.
급한 바와 이 한국이나 일본이나 예로부터 사용된 화장품의 종류가 많 지만, 기본이
되는 화장수, 크림, 색조화장에 해당하는 연지, 백분, 눈썹 화장에 사용되는 눈썹먹 등이
내
배경
언
별
살펴
같
최
겸
석
았
조선시대 후기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한 고찰
점
······················································ 김 현 정…189
택
기본적인 화장품으로 존재했다는 이 비슷하고, 화장수나 화장크림이 피부를 더욱 윤 하
게 하기 위한 기초화장품으로서 존재했다는 도 비슷하다.
또한 이 중 화장수와 화장 크림 등을 기본적으로는 대부분 주위에서 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을 가지고 각각의 가정에서
조해서 다는 , 재료가 주로 수 미 등 각
절에 구하기
자연재료를 사용했다는 ,
이나
, 약초나 과일 등의 을
이용하거나 어서 다른 것과 어서 사용하는 등의
으로 대부분 물 재료가 많이
사용되었다는
등을 비슷한 으로 을 수 있 다.
또한 일본에서는
리의 , 조선시대에는 가마우지의 처럼 특이한 재료로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을 만들었다는 , 조선시대나 일본에서 다 지 발을 사용해서 화장크림의
재료로 사용했다는
등 비슷한 을 많이 발 할 수 있다.
그러나 은 시대 양국의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이란 전체적인 틀에서 보면 조와
유통이라는 에서 양국은
이를 보인다.
이는 양국의 시대
과 당시의 역사적인
에도
영 이 있는데, 일본의 우를
보면 에도시대에는 이 까지
들이 중심이 되었 화장문화에서 어나 서 들의 화장
문화가 발달하면서, 화장품과 화장도구가 많이 필 하게 된다. 그에 라 화장품이나 화장도
구 중 대중적으로 리 사용되는 것이 생 나고, 그에 대한 광고나 선전도 적극적으로 하게
된다. 또한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종류도 이 까지 사용되었 것보다 훨씬 다양해지게 된다.
, 조선시대 후기의 우 화기 한참 이후까지 화장수나 화장크림 등을 대부분 가
수공 형태로 만들어
것과 비교하면, 일본에서는 화장품의 대중화란 에서
이 을
수 있다. 일본의 우 에도시대에 이미 하나 쓰유 와 에도 미 라고 하
는 자의
드를 가지고 있는 화장수가 리 유통되고 발히 선전되어 리고 있었
지만, 조선시대의 우는 그 시기가 화기가 한참 지 이후가 된다.
만들어 쓰는
가 수공 형태에서 이미 조된 상품을 사서 쓰는 형태가 일반적이 되는 시 에
이 을
수 있다.
또한 유통과
의 면에서 있어서도 이 을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화장수나 화장
크림을 구 하는 대부분의 로는 물장수 고, 극히 드물게 시전에서 구 을 하는 형
태 다. 하지만 에도시대가 되면서 상인문화가 발달하고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대중화가
리 이루어진 일본에서는 화장품을 구 하는 것도 물장수보다는 상 에서 구 하는
형태가 더 일반적이었다.
그리고 화장품의 광고의 면으로 보면, 에도시대 후기로 수록 대중들을
한
문화가 대단히 발달하게 되고, 이런 대중
을 쓰는 가들이
인기를 얻으면서 자
기의 품 등에 약이나 화장품을 발히 광고 으로 더욱 화장품의 대중화에 박 를
가하게 되었다. 한 으로 조선시대에는 1920년대에 들어서 동아부인상 의 연부액, 조
선부인약 의 금강액 등이 자체적인
드 명을 가지고 광고를 하게 되었 것이다.
화장수나 화장크림의 대중화가 어진 만큼, 조선시대의 우 광고면에 있어서도 일
같
썼 점
쉬운
점 곡식 채소
찧
섞
방식
점
점 꼽
겠
꾀꼬 똥
똥
점
돼 족
점
점
견
쉽
직접 제
계
점
큰차
배경
제 귀족
배경
널
즉
내 업
차 점 볼
독 브랜
내 업
차 점 볼
입
였
빨
겨
제
경 개
썼던
경
경
매매
방
편
던
큰 향
식
큰
늦
소설
브랜
즙
제
벗
따
민
경
점 큰
‘ 노 ’ ‘ 노 즈’
활
팔
난
즉
점 큰
차 점
방 였
활
세
던
널
개
제
경
요
입
작
즉
점
입
방
작
함 써
점
갈
겨냥 출판
큰
회
경
입
차
던
19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늦
작
본보다는 은 시 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도 항 이후 국화장품의 영 으로 장이 화 하고 사용 도
간 한 화장품들이
사용되게 되고, 백분이나 크림 등의 화장품에서 비
은 정
, 수 등까지 크게 인기를 며
드를
고 대 으로 생
하는 화장품들
이 등장하게 되었다.
항 이후 우리나라의 화장품은 가 수공 단 에서 어나
른 발달단 를 거 , 현재는 기술면이나 자인 등의 면에서도 어 화장품들이 지
적인 발달을 거 하고 있다.
이처럼 전체적인
을 보면 기본적인 틀이나 사용되었 재료 등은 비슷하지만, 일
본이
더 서양화와 화장품의 대중화란 면에서 우리나라보다 더 른 시 을 보이고
있으며, 전통적인 화장품에서 서양의 영 을 아 화장수와 화장크림이 더욱 다양해지
고 서양화된 시 이 르다고
수 있다. 그런 이는 결국 화장품의 대중화, 유통과
광고,
등의 전반적인 면에
영 을 미치게 되고 전체적인 화장문화의
과시
기에도
이 을 만들었 것이다.
편
제향
빠
속
좀
점차
개
외
끌 브랜
즉개
계 쳐
듭
흐름
내걸
포
량
던
던
볼
큰 향
향 받
려
산 판매
내 업 계
뛰 난
디
점 빠
매매
큰차 점
향
빠
차
법
누같 세
벗
작
흐름
【參考文獻】
세
경춘 p
p
김지희(2006) 『20 기 화장문화사』,
사, .75
김
(2000) 『미용문화사』, 구문화사, .78
김희 (2000) 『(한국과서양의)化粧文化史 : 화장문화와 화장기 』, 구문화사, .170
각 이씨 원 , 鄭良婉 김(2006) 『閨閤叢書』, 보진재, .255
유 효통(1998), 世宗朝命撰『國譯 鄕藥集成方』(上-下), 영림사, .100
임미 (2009) 『화장문화사』, 정, .149
전완길(1987) 『韓國化粧文化史』, 화당, .246
코리아나(2006) 『한국의 화장문화』, 코리아나 화장박물관, .167
코리아나(2010) 『한국의 화장도구』, 코리아나 화장박물관, .178
(2007) 『 대역 동의보 』, 인문화사, .398
陶智子(2005) 『江戸美人の化粧術』, 講談社, .97
石上堅(1983) 『日本民俗大辭典』, 櫻楓社, .199
佐山半七丸(1982) 『都風俗化粧伝』, 平凡社, .210
1996 新編日本古典文學全集 『源氏物語 』 小學館, .544
1999 新編日本古典文學全集 『枕草子』 小學館, .43
日本風俗史学会(1999) 『日本風俗史事典』, 弘文堂, .145
춘득
숙
빙허
애
허준
저
청
옮
신 p
열
신
p
감 법
2
p
p
p
p
p
p
p
법 청
p
p
p
p
p
조선시대 후기 화장수와 화장크림의 양상에 대한 고찰
······················································ 김 현 정…191
p
の と
原田淑人(1987) 『古代人 化粧 装身具』, 刀水書房, .190
久下司(2001) 『化粧』, 法政大学出版局, .156
平松隆円(2009) 『化粧
日本文化
』, 水曜社, .59
樋口清之(1982) 『化粧 文化史』, 国際商業出版, .155
文化研究所編(1986) 『
化粧史
粧
年』,
文化研究所, .79
文化研究所編(1990) 『日本 化粧 -道具 心模様-』,
文化研究所, .134
文化研究所編(2002) 『婦人
草 -江戸時代 化粧道具-』,
文化研究所, .120
文化研究所編(2002) 『近代 女性美 ・化粧・髪型-』,
文化研究所, ポーラ
ポーラ
ポーラ
ポーラ
にみる
の
p
―だれのためによそおうのか?
p
モダン
― いの80 ポーラ
の
たしなみ
の
p.86
と
の
ハイカラモダン
ポーラ
p
ポーラ
p
ポーラ
p
村澤博人(2010) 『미인의 탄생 : 얼굴로 읽는 일본, 일본문화』, 너머북, .48
村沢博人(2007) 『顔 文化誌』, 講談社, .177
村田孝子(2007) 『江戸三
年 女性美
化粧 髪型』, 青幻舎, .35
渡辺信一郎(2002) 『江戸 化粧』, 平凡社新書, .132
の
◯◯ の
の
p
―
と
p
p
p
p
19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要旨
Though there were many kinds of cosmetics used from ancient
times in Korea and Japan, those cosmetic skins and creams existed
as basic cosmetics to make much fairer skin was similar between two
countries. And there were some similarities in the aspects of cosmetic
skins and creams between two countries as follows; fundamentally
each home directly made and used cosmetic skins and creams with
raw materials which could be easily obtained in the neighborhood;
each home used raw materials which could be easily obtained each
season; each home used juices of grain, vegetables, herbs, fruits and
others, and used those things which were pounded and mixed with
other materials; each home mostly used plant materials to make
cosmetic skins and creams.
However, when the aspects of cosmetic skins and creams of contemporary
Korea and Japan are generally examined, there were wid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points of manufacture, circulation and advertisement.
Although the uses of cosmetic skins and creams and the raw materials used
then were similar between them, Japan got ahead of Korea in the aspects
of western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cosmetics. And Japanese cosmetic
skins and creams influenced by the West were more diversified and
westernized from the traditional cosmetics than Korea.
キーワード: cosmetic skins, cosmetic creams, basic cosmetics,
Korea Japan comparison
투
고 : 2014. 2. 28
1차 심사 : 2014. 3. 15
2차 심사 : 2014. 4. 5
근세일본의 상인의 발전과 상가경영
이 덕 훈* 1)
(e-mail: [email protected])
次
目
1. 시작하는 말
2. 본 연구의 과제
3. 近世 상인의 출발과 무사계급
4. 근세적상인의 경영발달과 參勤交代
5. 에도시대의 상가와 비즈니스
6. 끝맺는 말
1. 시작하는 말
1598년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는 세키가하라 전투(関ヶ原の戦い)의 승리에 의해
패권을 잡아 에도(江戶: 지금의 東京)에 막부를 열었다. 막번(幕藩)체제의 특징인 병농
분리와 상농분리에 의해 영주에 의한 가신단과 상공업자의 분리, 집중에 의해 근세도
시의 원형이라고 할 조카마치(城下町)가 설치되어1) 領國經濟의 중심이 되었다.
조카마치는 1580년부터 1610년까지 집중적으로 건설되었는데 이와 함께 중앙
도시의 3도가 형성되었다. 다시말하면 大坂(오사카) 京都(쿄토), 江戶(에도)등
의 3대도시는 오사카는 년공미(年貢米)가 판매되는 전국시장의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에도는 參勤交代등의 정치적중심지로서의 기능과 대소비 시장으로서의
기능을, 교토는 일본국왕(天皇)이 거주하는 곳으로 문화와 전통의 도시로서의
* 한남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1)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가 「자(座)」의 독점을 폐지한 후 히데요시(秀吉)에 의해 城下
町가 만들어져 각번의 城下町에서는 무사의 소비수요에 의해 상인사회가 자연히 형성되
어졌다
19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기능으로 에도시대의 가치를 상징하는 도시였다.
우선 에도시대는 무사의 봉건적인 정치지배의 체제로 지역적으로 크고 작은
영주가 독립해 있던 유럽과는 달리 정치권력은 무사계급의 幕閣2)에 집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유럽과 같은 자유 상인의 생성은 어려웠고 상인의 적극적인 투
자의 대상도 제한되어 있었다. 또한 쇄국정책으로 인하여 대외무역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해외의 대량수요를 창출할 수 없었으며 국내시장도 주변의 농
촌을 지배하거나 종속하기 위한 상업도시를 배출할 수가 없었다.
농공업의 생산이 상승되는 寬文-元祿期(1661년-1704년)가 되자 신흥 상인층
이 大坂(오사카) 京都(쿄토) 江戶(에도)의 세도시를 중심으로 나타난다. 이시
기에 도매업, 중매업, 소매업, 환전(兩替)업 등 상업, 금융의 분화도 등장하기
시작하였다.3)
元祿에서 享保(1704년-1745년)에 이르기까지 상업과 금융은 더욱 발달하여
도매상, 중매, 소매의 유통계통이 정비되고 데치(丁稚)제도로 불리는 전문사용
인 제도가 강화되면서 본점, 분점, 지점, 본가, 별가 등을 갖춘 상가로 발전되
어 家(이에)제도를 중심으로 가업으로 발전하여 전국적인 상품 유통 과정에서
대상가로 발전하게 된다.
이러한 本家, 別家 등은 전문경영자를 칭하는 番頭(반토)로 이어져 이는 명
칭은 바뀌었지만 지금의 일본적 경영에서도 이어지는 연공서열제도와 종신고
용제도의 하나로 간주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상술한 논제를 중심으로 전근대적 경영제도로 현대적인 시스템
까지 이어졌다고 하는 에도시대의 商家의 의미와 상가의 행동양식, 그리고 상
가의 경영제도의 발전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본 연구의 과제
1) 근세시대의 상인정신에 관한 선행연구
최근에는 공업화과정(Industrializing, Modernization)의 前 시대에 등장한 상
인들의 기업가적 활동이 새로운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前공업화
시대(Pre-Industrial era) 또는 前근대화시대(Pre -Modernization era)의 상인
정신의 역할과 변화 또한 기업가정신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다4).
2) 幕府의 閣僚를 말함.
3) 井原西鶴(1642 - 1693년)는 町人으로서 중요한 것은 가문이나 혈통이 아니고 화폐재산
이라고 주장하며 寬文期에 보여준 신흥상인의 대두를 간접적으로 나타내기도 하였다.
195
근세일본의 상인의 발전과 상가경영 ········································································· 이 덕 훈…
(전근대화시대)의 상인정신, 또는 상인활동에 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연
구로 나누어진다. 즉, 한시대의 상인 개인의 성공에 관한 연구와 한 시대의 전체 상인
들에 관한 활동과 변화에 관한 연구 로 나누어진다. 근세의 상인을 기업가로 취급한사
람은 클레인(Klein)이 최초이다.5) 그는 구리와 차를 독점한 네덜란드의 트립家를 독점
상인으로 취급하여 기업가로 취급하였다. 또한, 중국의 소금을 만드는 지공(自貢)지역
의 상인 즉 중국의 전근대화시대의 지공상인의 성공이야기 와 17세기(1615-1753년) 영
국의 가족기업(Perry)의 성장6) 18세기 (1765- 1800년) 미국의 메사추세츠州의 수입과
수출에서 성공한 두 상인가문 잭슨 가문과 리 가문( Jacksons and the Lees)의 정착
상인의 기업가적 변환7) 즉, 상인의 기업가적발전에 관한 연구8)가 대표적이다.
이에 반해 한시대의 전체 상인들에 관한 연구는 17-18세기 상인자본 즉, 17세기 영
국의 기업공동체 연구, 중국의 揚州(양저우) 의 소금 상인 관한 연구와 일본의 에도시
대의 기업가활동 등 9) 과 근세초기 일본의 오사카의 쌀 도매상에 관한 연구 등이 그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근세 일본에서의 상인들의 단체 즉 座(자)의 가부나카마(株仲間)에 대한 연
구가 있으며10) 근세일본의 대표적도시인 오사카(大阪)11)의 상인자본과 와 가나자와
近世
4) Christos Kalantaridis, Entrepreneurship Beyond the Entrepreneur: A Veblenian
Approach,. Committed To A Better Worldwide Understanding of the Smaller
Business. Enterprise. 1998 ICSB Singapore Conference. Proceedings.
Franco Amatori, Andrea Colli. Business History: Complexities and Comparisons.
London: Routledge, 2011. Franco Amatori, Andrea Colli, Nicola Crepax, Entrepreneurs &
Managers, International Colloquium joitly organized with ASSI for the Centennial of
University Bocconi PROGRAMME OF THE COLLOQUIUM 10-11 October, 2002.
5) Peter. Wolfgang. Klein,, De Trippen in de 17e Eeuw. Een studie over het Ondernemersgedrag op de
Hollandse stapelmarkt, Assen,1965.
6) Jacob Price, Perry of London: A Family and a Firm on the Seaborne Frontier
(Harvard Historical Studies) Harvard University Press,1992.
7) Kenneth W. Porter, The Jacksons and the Lees; Two Generations of Massachusetts
Merchants , Harvard University Press, 1937.
8) 宮本又次・作道 洋太郎・森泰博「近世初期の大阪における米穀流通-蔵屋敷研究の予備作
業として-」『大阪の研究』第4巻. 清文堂. 1970, Madeleine Zelin, The Merchants of
Zigong: Industrial Entrepreneurship in Early Modern China.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6.
9) Richard Grassby, The Business Community of 17th century England, Cambridge,
1995. Ho Ping-Ti. "The Salt Merchants of Yang-chou: A Study of
Commercial Capital in Eighteenth-Century China,"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17: 130-168,1954. 宮本又次, 中川敬一郎 監修, 『江戶時代の企業者活動』, 日本経済新聞社, 1977.
10) Tetsuji Okazaki, 2004. "The Role of the Merchant Coalition in Pre-modern Japanese
Economic Development: An Historical Institutional Analysis," CIRJE F- Series
CIRJE-F-284, CIRJE, Faculty of Economics, University of Tokyo
11) James L. McClain、 'Wakita Osamu ,Osaka: The Merchants' Capital of Early
Modern Japan,Cornell University Press 1999.作道洋太郎, 「近世大阪町人学の系譜と特質
19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金沢) 의 도시형성과 상인층에 초점을 둔 연구12) 와 근세일본의 상인자본을 중심으로
한 조카마치(城下町)의 발달을 중심으로 한 도시사회의 연구13) 와 센다이번( 仙台
藩)14)을 중심으로 근세일본의 상인자본을 분석한 연구15)도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종합해 보면 근세의 상인연구는 구미에서는 개인위주의 상인연구
가 중심을 이루고 일본에서는 시기와 지역을 중심으로 상인자본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근세일본경제의 연구에서 아쉬운 점은 도쿠가와(德川)시대에 고도로 발달한 상품유
통이나 수공업의 각종제도의 연구의 경제사적 연구도 중요하지만 근대일본경제의 기반
을 이루었다고 하는 기업가정신과 관계있는 근세 상가의 경영사적 흐름인 경영제도가
어떠한 과정으로 발전되었는가에 대한 경영사적 연구가 한국에서는 미흡하다는 점이다.
2) 본연구의 연구과제
일본의 막부체제하의 도시상인자본이나 상가연구는 일반적으로 經營史的 견해와 構
造論的 견해의 두개의 연구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경영사적인 견해는 일본 근세 상
인의 자발적 행동을 중심으로 상업의 발전을 강조 하는 것이며16) 구조론적 견해는 막
부제적경제구조의 유지라는 점에 상인 을 위치함으로써 막부권력과의 공생관계17)를 강
조하는 것 인데 이것은 막부의 전국적 체제하에 상인을 보고 있다는 점에서 불가결의
시점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이것은 기업가정신과 관계있는 개별자본의 발전과 흐름을
문제로 보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다.18)
:懐徳堂学の再興」,『大阪大学史紀要』, 1981.
12) 深井 甚三『近世地方都市と町人』(吉川弘文館)1995.
13) 彬森玲子,『近世日本の商人と都市社会』, 東京大学出版会 2006.羽仁五郎,『都市の論理 歴史的
条件』,勁草書房.1968.
14) 仙台藩은 에도시대에는 현재의 미야기현(宮城県) 전역과 이와테현(岩手県) 남부와 후쿠
시마현(福島県) 일부(新地町)를 포함한 현으로 다테한(伊達藩) 이라고도 한다. 봉록은
62万石에 해당된다.
15) 박경수,「일본 근세 상인자본의 연구」,『일본역사연구제3집』, 일본역사연구회,1996년3월.
16) 脇田晴子 日本中世商業発達史の研究 御茶の水書房 1969,Tetsuji Okazaki, 2004. "The Role of the
Merchant Coalition in Pre-modern Japanese Economic Development: An Historical Institutional
Analysis," CIRJE F- Series CIRJE-F-284, CIRJE, Faculty of Economics, University of Tokyo.
落合功「享保期における都市の変容と問屋仲間―大坂塩問屋仲間を中心として―」(藤野保先生還暦記念
会編『近世日本の社会と流通』1993年,雄山閣,
17) 松島 栄一, 北島正元編著「江戸商業と伊勢店--木綿問屋長谷川家の経営を中心として--」
『日本歴史』,(168),1962-06,吉川弘文館.
Avner.Grief,
"Contract
Enforceability
and
Economic Institutions in Early Trade: The Maghribi Traders' Coalition." American
Economic Review 83(3), 1993. June, pp. 525-48.
18) 伊東 弥之助,「両組木綿問屋仲間の成立過程より見たる初期の江戸商業組織」,『三田学会雑誌』
43(4), 48-62, 1950-04, 慶応義塾経済学会.
197
근세일본의 상인의 발전과 상가경영 ········································································· 이 덕 훈…
다시 말하면 경영사의 주요연구대상은 상인의 경영행동 즉, 일정의 사회경
제적 조건 하에 전개되어진 상인의 의사결정이나 이것을 기초로 한 경영행동
이지만 사회경제적 조건이 같다하더라도 기업경영행동이 다르다는 것 역시
경영사의 독창성으로 볼 수 있다.
경영사의 아버지로 불리는 그라스( N.S .B. Gras)는 미국 미니아폴리스
(Minneapolis)의 市場역사를 연구하던 중 시장에서 일어난 많은 현상은 조직이
나 기구의 개관적 조건 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고 개개의 상인은 반드시 경제
법칙으로만 행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경영사의 연구는 시
장조건이나 기업형태 그 자체가 아니고 그 위에서 행동하는 상인의 입체적기
능이 중요한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19)
다시 말하면 회사, 상인을 경제이론이나 전통적 경영학의 이론에 얽매여 두는
것이 아니고 살아있는 기업, 움직이는 商人(경영자)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명확
하게 함으로서 경영사적 연구의 발전을 이루었다고 하겠다.
상술한 논제를 중점으로 본 연구는 상인(경영자)의 실체를 중심으로 근세
상가의 상가경영에 관한 연구이므로 개별 자본이 중심이 되고 있는 상가경영
에 초점을 두고 있다. 특히 근세일본 상인의 출발과 관계가 있는 라쿠이치 라
쿠자(楽市楽座), 조카마치(城下町), 산킨코타이(参勤交代) 등을 분석하여 논제를 전
개하고 일본적 특징으로 일컬어지고 있는 分家 와 別家등 의제적 동족단을 중
심으로 상가경영을 고찰하기로 한다.
3. 근세 상인의 출발과 무사계급
1) 근세 상인의 출발과 라쿠이치 라쿠자의 등장
근세 상인의 출발점으로 인식되는 라쿠이치 라쿠자 (楽市楽座)는, 일본의 근
세(16세기부터 18세기경)의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토요토미 히데요시(豊
臣秀吉)의 織豊정권과 각지의 전국 다이묘에 의해 조카마치(城下町)를 중심으
로 시장에서 이루어진 경제정책이다. 楽市令에서의 라쿠(楽)라는 것은 규제가
완화되어 자유스러운 상태가 되었다는 의미 이다.
기존의 독점판매권 인 非과세권과 불입권등의 특권을 가진 상공업자(市座
問屋등)를 배제하여(free guild) 자유거래시장(free market)을 만들어 座(자)를
19) N.S.B. Gras, Business and Capitalism: An Introduction to Business History, Beard
Books,2003.N.S.B. Gras, An Introduction to Economic History ,BiblioBazaar.2010. 作
道洋太郞 外,『日本經營史』, ミネルプァ書房,1986年, pp 2-4.를 참고할 것.
19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해산시켰다.20) 중세의 경제적 이익은 座・問丸・株仲間(가부나카마)21)에 의해
독점되어 기득권화하였지만 노부나가는 이것을 배제하여 절대적인 영주권의
확립을 목표로 함과 동시에 세금의 감면을 통하여 신흥 상공업자를 육성하여
경제 활성화를 꾀하였다.
(1) 円徳寺의 세이사츠 와 楽市楽座
라쿠이치 라쿠자(楽市楽座)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현재 일본의 시가
현(滋賀県)의 일부에 해당되는 오미국(近江国:)의 롯가쿠사다요리(六角定頼)가 1549
년에 본인이 거주하는 観音寺城의 조카마치인 이시데라(石寺)에 楽市令을 선포한 것이
일본 역사상 최초로 보고 있다.22)
또한, 1565년에 현재의 시즈오카현(静岡県) 의 중부지역에 해당하는 스루가(駿河
国) 의 이마가와 우지자네(今川氏真)의 후지오미야(富士大宮: 현재의 富士宮市) 의 라
쿠이치(富士大宮楽市)도「今川氏真朱印状」에「富士大宮毎月六度市之事」라는 글이
있는 것을 보면 매월 6번의 자유시장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安野眞幸의 분
석으로는 富士大宮楽市는 노부나가의 이후의 다이묘에 의한 楽市令등에 영향을 주었다
고 보고 있다.23)
그러나 법령의 공포에 해당되는 세이사츠(制札)24)로서 라쿠이치 (楽市) 및 라쿠이치
라쿠자(楽市楽座)의 語句가 확인된 것은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가 처음이며, 六角氏나
今川氏는 문서상으로만 존재하고 라쿠이치의 어구가 확인된 것뿐이며, 제도로서는 발
견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노부나가가 제도로서 처음으로 공포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
당하다.
노부나가 가 발표한 楽市楽座 는 자신의 영토인 美濃国・加納・近江国・安土町・
近江国・金森(守山市) 등의 지역에 楽市楽座令을 대규모적으로 선포했을 뿐 아니라
노부나가의 영토인 일본의 1/4 지역에 해당하는 자기領地하의 각 다이묘들에게도 하달
되어 각 지역의 조카마치에서 실시되었기 때문에 라쿠이치 라쿠자(楽市楽座)가 전국으
로 빨리 퍼졌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엔토구지(円徳寺)에 소장된 문서를 보면 노부나가의 手決이 표시된 자료로
20) John W Hall, Nagahara Keiji and Kozo Yamamura, Japan Before
Tokugawa,princeton University Press,1981,pp359-361
21) 가부나카마는 問屋등이 일종의 座를 만들어, 카르텔을 형성하는 것이다. 주식을 소유함
으로써 구성원으로서 인정받았다.
22) 이덕훈,「중세일본의 상인의 등장과 樂市樂座」,『일본문화학보』, 제56집, p353, 2013년2월
한국일본문화학회.
23) 安野眞幸, 『楽市論―初期信長の流通政策』,法政大学出版局 ,2009年
24) 세이사츠 (制札)라는 것은 금령・법규등을 개조서(箇条書)에 기록해서 길거리나 절,사원
등의 경내등에 붙여놓는 글귀
199
근세일본의 상인의 발전과 상가경영 ········································································· 이 덕 훈…
1567년에는 라쿠이치(楽市)만 25) 인정했으며 1568년 9월에 모든 거래는 楽市楽座하에
이루어지며 강매, 난폭행위, 싸움, 말싸움 등을 금지하며 어떠한 임시과세도 금지한다
고 적혀있어26) 자유 시장에 대한 그의 노력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획기적 사건으로 상업이 발달하여 에도시기에는 이미 중간 도매업자(問屋)
가 등장하는 등 상인과 수와 상점의 매출액이 증가하면서 많은 상품이 암시장에 등장
하였을 정도라고 한다.27)
최근에는 근세일본의 시장을 중세서구의 자유시장과 비교하여 楽市楽座를 과소평가
하는 논제, 즉 상인에 의한 자치를 인정하면서도 상인자치의 책임자인 쇼닌스카사( 商
人司)28)를 다이묘가 임명하기 때문에 다이묘의 정책 하에 楽市楽座가 이루어지므로
시장이 그다지 발전하지 않았을 것 이라는 비판도 있다.29) 그러나 같은 시기의 중국과
조선에는 이러한 제도 자체가 없었으므로 라쿠이치 라쿠자 는 봉건체제하에서 상업에
대한 억압을 풀었다는 것 만 으로도 자유 시장, 자유 상업도시로 이어지는 엄청난 사
회적 변천이었다고 할 수 있다.
2) 조카마치 (城下町) 의 성립과 점포상인의 등장
일본의 근세도시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조카마치(城下町)의 성립은 전국시대(戦国
時代)로부터 시작되지만 조카마치는 성의 방위시설로서의 기능은 물론, 행정도시・상
업도시 로서의 기능을 포함한다.30) 일본근세의 조카마치 발전은 노부나가로 부터 시작
되면서 병농분리를 의도하여 무사를 성 밑으로 집주시킴과 동시에 楽市楽座를 설치하
여31) 상공업의 발달을 활발하게 하였다. 실제로 아즈치성(安土城)을 보았다고 하는 선
교사 루이스 프로이스( Luis Frois)에 의하면 아즈치성의 조카마치에는 무사가 약 2000
명, 상인이 약 7,000명이 살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조카마치를 더욱 발전시킨
사람은 토요토미 히데요시 이었으며 토요토미 정권 의 정치경제의 중심이 되었던 오사
카(大坂)의 조카마치는 부의 집적지가 되었으며 에도시대에도 오사카는 상업의 중심지
이며 천하의 부엌으로 불릴 정도로 상품의 집산지이기도 하였다.32)
25) 発給者, 織田信長 永禄十年十月,宛所, 楽市場,所蔵者,円徳寺 来住者分国往還保護、借
銭・借米・地子・諸役免許、押買・狼藉・喧嘩・口論、理不尽之使、宿執非分停止
26) 宛所, 加納,所蔵者, 永禄11年,円徳寺, 当市場越居之輩の分国往還保障、借銭借米諸役免許、
楽市楽座之上商売、押買・狼藉・喧嘩口論停止、使不入、宿取り非分停止
27) 宇佐美隆之,『日本中世の流通と商業』 吉川弘文館、1999年
28) 쇼닌스카사(商人司)는 쇼닌가시라(商人頭)라고도 불려지며 전국시대부터 에도시대 전기
에 걸쳐서 다이묘들의 조카마치에서 상인들의 통솔, 타지방상인의 검문, 5일장 등의
정기시 등을 개최, 흥행을 이루었다.
29) 安野眞幸,『楽市論―初期信長の流通政策』 法政大学出版局.2009年
30) 脇田修『織田信長―中世最後の覇者』.中央公論社.1987年6月,pp72-77
31) 池享,『日本の時代史 (13) 天下統一と朝鮮侵略』吉川弘文館.2003年6月을 참고할 것.
20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히데요시는 오사카에 많은 상인을 불러들여 상업의 중심지답게 조카마치를 열어 상
업을 발전시켰는데 이러한 구상은 도쿠가와의 에도막부에도 계승되었으며 각번의 조카
마치 에서는 무사의 소비수요에 맞추기 위해 상인사회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도시상인
들은 년공미 뿐이 아니라 각지의 산물의 수송과 판매에도 종사 하였다.
조카마치(城下町)를 건설 할 때 영주는 여러 가지의 유인책을 강구 했다. 예를 들면
주택토지의 무상교부, 토지세의 면세, 라쿠이치 라쿠자(楽市楽座)에 의한 거래의 자유
의 보장등 이라고 할 수 있다.33) 근세봉건도시 즉, 조카마치 의 성격은 조카마치의 상
공인의 町屋가 성의 외곽에 둘러 싸여져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즉, 조카마치는 원
래 봉건제도의 필수 요소로서 봉건영주의 정치적경제적 힘에 의해 발탁되어 성의 외곽
에 의해 둘러싸이고 보호되어 성주와 상인과의 관계는 운명을 함께 하는 운명공동체로
서 중세의 무사계급의 보호아래 발전되는 형태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34) 甲斐国誌35)
에 의하면 1813년(文化10년)경의 甲府市街의 직인분포는 다음과 같다(표1참조).
(표1) 甲府市街의 직인분포
大工
鍛冶屋36)
桶大工37)
檜物師38)
(다다미야)
紺屋 (곤야)
疊屋
硏師
革師
金具師
9 (다른26개 정과 촌에 거주하는자 59호)
鍛冶町 7호 (동 5호)
桶屋町40호(동 0호)
工町 55호 (동1호)
다다미町 6호(동6호)
新紺屋町 43호 (동24호)
細工町 17호(동5호)
細工町 21호(동4호)
細工町 11호
工町 호
, 시대가 바뀌면서 한 마을이 동일직종의 사람으로 형성되지 않고 다른 마을에
가서 살기도 하였으나 대개는 상술한 형태로 유지 되어 왔다고 하겠다.
조카마치의 계층적 유형적 구조는 무사계급의 생활의 구조이며 사무라이 정신의 풍
물론
32) 이덕훈, 「중세일본의 상인의 등장과 樂市樂座」, p354
33) 宮本又次, 『槪說日本商業史』,大原新生社, 1971,pp47-52
34) 石田 一良, 「町人文化―元禄・文化・文政時代の文化について」,『日本歴史新書』, 1961年,
pp19-23
35) 『甲斐国誌』, 松平定能, 1814年(文化11)
36) 대장장이
37) 오케다이쿠 는 나무양동이를 만드는 목수를 말한다.
38) 히모노는 노송나무, 삼나무 등의 얇은 판자를 구부려서 만든 그릇이고 히모노시는 이를
만드는 장인
201
근세일본의 상인의 발전과 상가경영 ········································································· 이 덕 훈…
경이며 복종의 계층적 유형적 구조를 나타내는 것 이었다.39)
조카마치(城下町)가 무사의 소비에 의존했다는 것은 도시 내의 인구구성의 비율에서
나타나는데 무사의 인구가 상인의 인구보다 훨씬 많다는 점에 있다. 大垣藩(오가키
번)40)의 인구구성 비율을 보면 상인의 수는 1721년(享保6년)에 5,543명, 1786년 (天明5
년)5,343명, 1800년(寬政12년) 5,456명, 1838년(天保8년) 5,522명, 1870년(明治3년) 5,508
명으로 약 150년을 통해서 상인의 수를 보면 약 5,400명에서 약 5,500명 정도로 보면
된다. 이 숫자는 150년 전의 상인과 비교해 봐도 그다지 숫자의 증감은 없었던 것으
로 파악된다. 이에 비해 오가키 번의 무사의 인구는 1869년(明治2년)에 무사계급이
1,652명 과 가족의 수를 합하면 4,167명으로 합계 5,819명 (1870년은 5,755명), 그리고
지사와 가족, 시녀까지 합치면 64명, 중간계급과 가족 수 986명, 종복과 하인 등을 합
하면 383명을 합하면 총합계 7,233명이 된다.
그리고 오가키 번의 1869년의 서민의 숫자는 71,236명 그중 농민의 수가 65,726명
즉, 약 6만6천명의 농민이 약 5,800명 정도의 무사계급과 종자를 합해서 7,000명 정도
를 부양하고 무사계급의 소비에 의존해서 5,500명의 상인이 기생했다고 보고 있다.41)
이것을 보더라도 조카마치의 상인은 길드적 위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근세 조카마
치의 도시적 성격은 무사계급의 소비의 방법에 의해 시장의 성패가 달려 있었다고 볼
수 있다.
4. 근세적 상인의 경영발달과 参勤交代
1) 막번제와
商人
에도시대의 특징은 간단하게 무사중심의 막번제(幕藩制)로 요약 할 수 있다. 막번제
란 쇼군(將軍)을 정점으로 하여 다이묘(大名), 가신(家臣), 하타모토( 旗本) 등의 무사계
급이 전국의 토지를 영유하고 그 밑에 農 工 商 등의 서민을 강력한 군사력으로 지배
하려고 하는 체제를 말한다.
막번체제의 질서제도는 오다 정권과 토요토미 정권시대부터 시작되었다고 하겠다.
토요토미 히데요시는 중앙정부의 통제력이 강한 통치체제를 만들기 위해 타이코겐치
(太閣檢地,전국적 토지 인구조사) 를 실시하여, 무사체제기반을 확립시켰다.
인구의 겨우 7%에 지나지 않는 무사계급이 전국을 지배하기 때문에 84%의 농민과
6%의 상공업자간의 身分的分化를 조장하여 생산의 분업을 초래하였다. 무사계급은 물
39) 吉田信之氏「城下町の構造と展開」『都市社会史』 山川出版社,2001,pp43-55
40) 현재의 기후현(岐阜県) 오가키시(大垣市)지역의 번
41) 石田 一良, 전게서,pp17-18
20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적 생산을 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농민과 상공업자로부터 조달하
여야만 했다. 또한 상공업자는 농산물을 생산하지 않았기 때문에 농산물을 구입하여야
했으며, 농민은 농업 외에 수공업제품을 생산하여 기본적으로는 자급자족하였지만 소
금, 솥, 초 등의 비자급자물자나 생산용구는 사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막번제 사회에서는 농촌과 도시와의 상품, 유통이 필연적으로 등장하였으며
상품과 화폐경제는 막번제를 지탱하는 중요한 구성요소중의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품유통의 발전에는 식량생산을 하지 않는 군사행정 담당자로서의 무사계급은
제외하더라도 제2차 산업과 제 3차 산업에 종사하는 상공업자의 대량출현으로 인하여
상업생산력의 향상을 의미 하는 것이기도 하였다.42)
1547年 토요토미 히데요시는 農商分離에 의해 백성이 도시로 진출하는 것을 금지하
였고 농촌에서는 상인이 거주하는 것을 금지하여, 농촌의 상인은 도시에 모이게 되어
町人(職人과 商人)이 되고, 이것이 농상분리가 되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1591年 히데
요시는 오다와라(小田原)평정시에 農工商의 신분을 확립시키기 위해 武家奉公人이 백
성, 町人이 되는 것을 금지, 또는 백성이 町人이 되는 것을 금했는데, 이 신분제는 도
쿠가와의 幕藩制의 확립과 함께 더욱 확고하게 발전하였다.
노부나가 가 중세이후의 座의 독점을 폐지한 후에 히데요시는 오사카에 상인을 불러
들여 일본의 상업의 중심지답게 조카마치(城下町)을 열었는데, 이러한 구상은 도쿠가와
막부에 의해 계승되었다. 또, 각 번의 조카마치에서는 무사의 소비수요와 신흥 서민사
회를 위한 町人(상인)사회가 형성되었다.
특히, 도쿠가와 정권의 성립과 함께 통일화폐의 주조에 따른 화폐제도의 정비, 교통
도로의 완비 등을 기반으로서 상품유통이 활발해짐에 따라 부정기 시장에서, 定期시장,
그리고, 점포상업으로 年功運搬, 금융 등 포괄적 기능을 갖은 도매상인, 환전상인, 소
매상인에로의 상업의 전문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그 담당자로의 상인자본, 특히 상품
취급자본의 발전이 엄청나게 발전했다.
그리고 막번제의 특징인 무가정치 또는 사농공상으로 불리는 체제가 무사계급의 지
배를 중심으로 한 신분질서의 확립을 의미하였으며 사농공상의 사민제도의 신분적질서
의 특징은 상인이 최하위에 위치되었다는 점이다. 무사가 정치적 역할과 공적책임을
갖은 상위의 지배계급이 되면서 공(公)을 위한 의(義)와 사(私)적인 이익이 상반되는
형식적 관념에서 개인의 이익을 위해 생활하는 상인이 최저의 계급으로 위치 지어졌다
42) 일본의 에도시대에 해당하는 유럽은 이미 절대주의의 단계에 있었으며, 일본은 다른 동
양제국과 마찬가지로 織田 豊臣(오다 토요토미)政權 및 德川(도쿠가와)幕藩體制의 成立
에 의한 봉건재편성의 과정에 있었고 상품경제, 화폐경제도 이 과정속에 포함되어 있었
다. 한편, 유럽은 절대주의적인 세계식민지 쟁탈의 와중에 있었고 세계시장은 상품경제,
화폐경제로의 발전의 양상을 띠고 있었다. 德川幕藩體制도 이 世界史的 기류에 방관만
할 수는 없었고, 더욱 더 발전하는 상품경제 화폐경제에 대응할 수 밖에 없었다. 이것
의 담당자로서 등장한 것이 町人(商人)이었다.
203
근세일본의 상인의 발전과 상가경영 ········································································· 이 덕 훈…
는 것은 당시로서는 당연한 흐름이었다.43) 그러나 무사중심의 신분의 차별을 제도화
함으로서 막번제는 신분적 지배질서의 강화에 힘썼지만 막부나 각번들도 상품경제의
발전을 인위적으로는 막을 수는 없었다는 점이다.44) 막부나 각번들도 상품경제의 발전
에 노력하여 상품경제가 발전하면 할수록 신분질서와는 점점 거리가 먼 새로운 관계가
나타나게 되었다.
상인은 급속히 부를 축적하면서 무사처럼 금욕주의적 인생관에 속박되지 않고 사치
스럽게 생활을 하여 17세기 말 에도에는 다이묘와 사치를 경쟁하는 자 까지 나타나기
도 하였다. 에도상인이 사치생활을 향수한 겐로쿠시대(1688-1704년)가 끝나고 도쿠가와
요시무네(德川吉宗)의 치정(1716-1745)하에서는 농업을 기본으로 한 검소한생활로 가기
위한 교호(亨保)의 개혁이 추진되어 엄격한 유교적 윤리로 질서와 검소한 사회를 이루
었다. 하지만, 18세기가 되자 다이묘의 수입은 감소하고 반대로 상인의 수입이 늘어나
면서 상인들의 세력이 커지게 되었다. 45)
2) 参勤交代 와 도매상(톤야)의 등장
근세전기에 출현한 상가 경영은 미츠이, 고노이케 이토(마츠자카야)등을 대표로서 존
속했으며 현대까지 존속하는 재벌들이다. 에도시대에는 이시다카(石高)제라는 쌀의 상
품화를 기반으로 한 사회이며 도시에는 대인구가 거주할 수 있는 조건을 정비한 사회
였다. 도시에는 농촌, 산촌, 어촌과의 교환 없이는 성립되지 않았다. 즉, 에도시대에는
상품교환을 구조적으로 예정한 사회이기도 하였다.
자급자족의 지역이 있었다고는 하나 년공미의 매각(상품화)에 의해 무사계급과 상공
업자의 생존이 지탱되었기 때문에 상품경제를 구조적으로 도입한 사회였다. 물론, 쌀
소비의 경제46)로 명명한 학자는 本庄栄次郎(1940)이지만 이 정의를 다시 상기하자면
쌀을 매매하는 사회, 또는 쌀을 상품화하는 사회라는 의미이며 宮本又郞(1988)는 쌀 시
장경제47)로도 사용하였다.
에도시대의 도시화를 촉진한 것은 参勤交代(산킨코타이)의 제도였다. 산킨(参勤)은
에도막부의 쇼군에 출사하러감과 동시에 코타이(交代)는 휴가를 얻어 영지에 돌아가서
정무를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번의 다이묘가 정기적으로 에도에 근무하러 가면서
각번의 재정적 부담을 줌과 동시에 반란을 막기 위한 인질을 취하기 위한 에도막부의
43) J.ヒルシュマィヤー, 由井 常彦,『日本の経営発展―近代化と企業経営,東洋経済新報社』,1986,p54
44) 大谷瑞郎,『幕藩体制と明治維新,亜紀書房』,1973年, pp80-82
45) 이부분은 이덕훈(1993).「江戶시대의 상인발달과 상인정신에 관한 연구」『한일경상논집』, 제9
권. 한일경상학회.pp189-206을 참고할 것.
本庄栄次郎
米遣いの経済 『日本経済史辭典』 日本評論社
宮本 又郎 『近世日本の市場経済 大坂米市場分析』 有斐閣
46)
47)
,
「
」,
―
,
,
,1940
, 1988
20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제도이다. 이제도에 의해 각번은 에도막부에 반기를 들기가 어렵게 되었다.
막부는 강력한 지방정권을 감시하는 제도였던 参勤交代를 통해 다이묘를 에도에 집
중시키게 하였으며 지방정권을 없애지는 못했지만 参勤交代에 의해 지방정권의 힘을
상실시키는 것은 할 수 있었다. 다이묘들은 参勤交代비용으로 인해 재정이 약해졌다.
사가번(佐賀藩)에서는 1599년 장입미의 35%, 1604년에는 지출미의 47%가 参勤交代의
경비였다. 하기번(萩藩)도 1632년부터 1636년의 5년간의 지출액의 60%가 에도, 교토,
오사카에서의 경비였다. 48)
일본의 전국 270여개의 번에서 이루어진 다액의 경비지출은 소위 에도, 교토, 오사카
의 三都에 의한 수요를 증가시켰을 뿐 아니라 수륙교통로의 정비를 촉진시켜 숙박도시
와 항구도시의 번영을 가져다주었다. 한편, 다이묘의 조카마치(城下町)에서는 가신단
이 집주하여 커다란 시장을 형성하였다.
즉, 막번제란 병농분리에 의한 무사단의 조카마치의 집단거주와 상농분리에 의한 상
공업자의 조카마치의 집단거주를 초래하여 参勤交代는 에도뿐만이 아닌 교토, 오사카
에의 인구집중을 초래하였다. 이로 인해 커다란 수요가 창출되어 대량의 상품이 생산
되어 매매되었기 때문에 이것에 관여하는 상인의 경영이 대규모화하는 기회를 주어 대
상점경영이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공업에 대해서는 기술이 수공업적이며 대
작업장을 만들어도 생산효율을 상승시킬 수단이 없었으므로 대규모경영은 광산업, 조
선업, 양조업등 한정된 업종만 큰 규모를 이룰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의 작업장은 거
의 내부청부제가 이루어져 작업장의 오너가 다수의 노동자를 직접적으로 고용하거나
관리하는 조건이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오야가타(親方)제, 소작제등이 등장하였다.
일반적으로 천황이 살고 있는 지역인 오사카, 교토 등의 上方(카미가타)에서는 토이
야로 불리고 쇼군이 거주하는 현재의 동경지역인 에도에서는 톤야 로 불렸다. 에도시
대이후 일반화된 도매상(卸売)의 호칭으로 중세의 問(토이)問丸(토이마루), 津屋
(츠야)의 계보를 잇는다. 중세에서는 問, 問丸등은 상품 취급업, 운송업, 창고업이 분
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에도시대가 되면서 경제적분화가 이루어져 톤야(問屋)는 주
로 상품취급 업무에 종사하게 되어 에도시대의 유통조직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였다.49)
본래 톤야는 하주로부터 위탁을 받은 화물(상품)을 중매인에게 팔아치우는 것을 본
업으로 하였다. 이런 종류의 톤야는 니우케 토이야(荷受問屋) 로 불렸으며 화물을 자기
계산으로 매입하여 소매상에 파는 중매인으로 截然(세츠젠)과 구별되었다. 상품에
따라서는 荷主와 問屋의 사이에 중매인이, 問屋와 仲買人과의 사이에 牙(스아이), 鳶
(토비)로 불리는 중개인이 개입하는 경우도 있었다. 니우케 토이야 는 어느 특정의
지역의 여러 가지의 상품을 독점으로 취급하는 다이묘의 도매상이 등이 많았고 오사카
48) 中部よし子, 『近世都市社会経済史 研究』
, 1974, 48-49
晃洋書房
pp
49) 이덕훈(1993).「江戶시대의 상인발달과 상인정신에 관한 연구」pp194-199.
205
근세일본의 상인의 발전과 상가경영 ········································································· 이 덕 훈…
에 성립된 薩摩(사츠마)톤야・土佐(토사)톤야 등 의 지역, 지방 톤야 등 이 유명하다.
5. 에도시대의 상가와 비즈니스
1) 근세사회와 거대상가의 등장
근세도시사회는 자영업을 중심으로 하는 상점경영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이며 거대
상가는 이시기에는 매우 특수한 존재였다. 중세 상인의 경우 도시에서 등장하는 소매
점의 주인공은 가족중심의 소상인이며 그들의 중심무대는 한정된 시장이었다.
그러나 거대상가는 경영의 대규모뿐 아니라 경영제도의 고도화도 이어져, 이익이 많
이 나는 포목점과 금융업에 진출했다는 점과 가족뿐만 아니고 동족중심의 경영이 이루
어졌다는 점이 특이 하다고 하겠다. 일본근세의 중심이 되는 조카마치(城下町)와 町과
村은 무사계급이 중심이 된 근세사회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공동조직이며 가족과
집, 그리고 상공업에 종사하는 상인(町人)은 소상공인이 중심이 된 지연적 공동체였다
고 하겠다. 그러나 거대점포를 중심으로 하는 거상의 출현은 町과 村을 뛰어넘어 일본
의 전 지역으로 전개되고 있었다. 여기에서의 상가, 즉, 상인사회에서의 家(이에)는 가
족(Family)과 기업경영(Business Enterprise)을 조합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오미(近江)상인의 경영에는 공동기업의 원류라 할 정도의 경영형태도 나
타났다. 1741년(寬保 元年)부터 1755년까지의 14년간에 걸쳐 현재 북해도 지역의 松前
(마츠마에)藩의 나가사키(長崎)무역을 위임받은 야하다(八幡)상인 니시가와 덴시(西川
伝治)는 외면적으로는 개인기업 이었지만 21인의 오미상인으로부터 출자를 받았다.
따라서, 니시가와는 무한책임사원이었고 다른 다수의 출자자는 이익의 배분에만 관
심 있는 유한책임사원의 역할을 하였다.50) 또한 1813년(文化10년) 오사카의 吳服間屋
稻西商店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오미의稻本利右衛門과 西村重兵衛의 두 사람이 같은 금
액의 출자를 한 공동기업 이었다.51) 특히 출자비율과 경영자와 투자가의 분리가 있었
으며 출자자와 독립한 상점으로서의 기업체가 성립되었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기업체의 성립을 유한책임적인 무기능자본가를 포함한 자본결합이 아니고 출
자와 지배에 있어서 무한책임의 기능자본가들의 당좌적 결합 형태로 보는 일종의 합명
회사의 실체적인 선구형태에 지나지 않는다는 이론52)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50) 原田敏丸,「近江商人の経営形態に関する一考察-日野の豪商中井源左衛門家の場合」.『秋山
範二先 生還暦記念論文集』, 1956-12.
51) 西村太三郞,『懷古錄』(稻西合名會社),1937年
52) 油井常彦,「國會社企業の 先驅的形態」,『經營論集』,第10卷4號,1963年
20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경영과 출자의 분리라는 점에서 合資會社의 전신인 코멘다(commenda)적 출자와 비슷
한 일종의 익명조합으로 보는 견해53)로 보고 있다.
에도시대의 일본에서는 기업의 명칭(상가명)은 타국과 비교해보면 안정성과 영속성
을 중요시 하였고 기능적 실체로서의 이에 (家)가 중시되었다. 즉, 家(이에)는 하나의
경영활동체로서의 이에(家)로서 혈통보다는 기능의 중요성이 중시되었으며 상가의 당
주는 선조로 부터의 후계자뿐만 아니라 자산의 유지 증대를 위한 관리자로서의 능력이
요구되었다.
즉 일본에서는 기업과 가정을 나누어 볼 경우에는 상가 에서는 기업 쪽의 비중이
크고 생활을 하는 일반가족으로서는 家(house)로 불리는 영속적 경제주체에 종속, 봉사
하여야만 하는 존재로서 인식되었다.
이처럼 상가의 경영은 이에(家) 라는 관념을 기초로 하여 영속적 개념으로서의 가업
(家業)이 영위되었다. 여기에서는 계보적 연속성이 중시되어 가업의 전통과 신용의 상
징으로서의 노렌(暖簾)54) 이 존중되었다. 또한 구성된 분가 및 별가(친족.비친족)는 가
장과 자식의 관계로서 主家(본가)의 존속과 번영의 공헌을 의무로 함과 동시에 본가를
생활의 기반으로 한다. 그리고 이 노렌을 중심으로 본가, 분가(친족분가) 별가(奉公人
분가)라는 상가의 동족단을 구성한다.
봉공인의 귀속의식과 봉사에 대한 본가의 노렌와케(暖簾分け,노렌분리)한 별가는 고
용상의 역할, 지위등의 신분계급을 나타내는 교육기관으로서의 데치제도(丁椎制度)를
통해 양성된다. 이처럼 가업으로서의 상가경영은 노렌과 별가제도, 데치제도 등 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전통주의적인 측면이 강조되었다.
2) 상가경영과 의제적공동체 分家와 別家의 등장
상가의 별가제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중세의 무사가 부하나 후배의
자식을 친자와 똑같이 양육시켜 所領(토지)을 나누어 주는 습관이 있었는데 상가에서
도 非혈연자를 대가족에 포용하는 정신으로 이어져 에도시대의 상가에 까지 계승되어
져 별가제도로 되었다고 보는 것이 정설이다.55) 이것은 의제적(擬制的)혈연의 제도로
서 도시에서의 동족집단의 사례로 꼽히는 親方(오야가타)와 子方( 꼬 가타)관계의 도시
적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별가제도는 근세이후에 주로 상가에서 본가에 대한 존속과 번영을 위한 제도로 변질
53) 江頭恒治, 『近江商人中井家の硏究,雄山閣』,1965.
-------,「共同企業源流考」,『産業經濟論叢』,第1. 2號,1966年
54) 상점의 입구의 처마끝 이나 점두에 치는 막이나 상점의 신용을 지칭한다.
55) 中川敬一郎(1981)「経営理念の国際比較- その歴史的考察」同著『比較経営史序説』東京大学出版
会,p138.
207
근세일본의 상인의 발전과 상가경영 ········································································· 이 덕 훈…
되면서 상가에서만 사용되는 제도로 발전되었다. 본 절 에서는 상술한 정의를 중심으
로 고노이케(鴻池)가 와 미츠이(三井)가 의 별가제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고노이케(鴻池)家의 경우는 오사카에 本家, 分家, 別家가 집중되어 있어 그 규모면이
나 조직 면에서 전국적 규모로 까지 성장하지는 못했다. 오사카상인 고노이케 그룹의
창시지인 야마나카 유키모도 (山中幸元, 鴻池新六)는 부친인 山中幸盛 의 사후、무사
계급을 버리고 摂津国川辺郡(지금의 兵庫県伊丹市)에서 1600년 주조업(酒造業)을 시작
하여 오사카로 이주하여 에도시대 이후의 거상인 고노이케(鴻池) 재벌의 시조가 되었
다. 둘째아들인 善兵衛와 셋째아들인 又右衛門은 1615년과 1617년에 오사카에서 각각
분가로서 주조업을 시작하였다.
고노이케 신로쿠(鴻池新六)도 1619년에 오사카에 양조를 하는 한편 주류판매의 점
포를 열었지만 고노이케의 본가는 7번째 아들인 新右衛門 가 물려받고 오사카점포는 8
남 善右衛門正成이 상속하였다. 이 正成(마사나리)이 고노이케 재벌의 초대총수로 칭해
지고 있다.56)
고노이케家의 분가는 초대 正成(善右衛門.1608 -1693年)의 형제에 3개(善兵衛, 又右
衛門, 新右衛門)의 분가, 2대 之宗 (1648 -96年)의 형제에 2개(四郞右衛門, 山中新七(正
成의 차녀 이시의 양자분가)의 분가 가 있었으며 3대 宗利 (1667-1736년)의 형제는 분
가가 없었다. 그리고, 4대 宗貞 ( 1699 -1745年) 의 형제에는 2개의 분가(新六, 右四郞)
5대 宗益 (1717 -1764年)에는 1개(善八는 4대 宗貞의 장녀 이요의 양자분가)의 분가를
6대 幸行(1744-1795년)형제에는 1개(善右衛門 5대 宗益의 차녀 니호의 양자분가)로 되
어 있으며 7대 幸榮 (1767 -1804年) 이후에는 분가가 전혀 창출되지 않았다.57)
고노이케(鴻池)家의 동족기업은 본가가 축적한 자본의 일부분을 本家가 아닌 친척등
에게 부여하는 分家와 가문과는 관계없지만 봉공인으로 장기간 근무한 사람에게 자본
을 부여하는 別家가 존재한다. 그러나 초기에는 分家와 別家에는 가업을 인정했지만
亨保期 (1716 -1735年)이후에는 동족 자본의 분단을 방지하기 위해 본가를 중심으로
한 동족자본의 집중을 꾀하기 위해 분가와 별가의 창출 및 자립성에 대해 강한 제약을
가하기도 하였다.58)
고노이케家는 테다이(手代)부터 승진하여 별가가 허락되며 그 후 약 10여년간 근무하
면 별가의 家業 이 인정되었다는 관행이 있었으며 亨保期 에는 상당수의 봉공인이 별
가 가업의 경영주체가 되었다. 59)
미츠이(三井)家를 일으킨 三井高利(미츠이 다카도시, 八郎兵衛)가 松坂에서 에도로
와서 에치고야 포목점(吳服店)을 개업한 것은 1672-73년(寬文12-13년)이다. 1686년(貞
56) 宮本又次, 『鴻池善右衛門』, 吉川弘文館, 昭和33年,pp102-123
57) 安綱重明, 『日本資本制の 成立過程』,ミネルブア書房, 1970年,p138
58) 安綱重明, 『“財關形成史の硏究』, ミネルブア書房, 1970年.
59) 安岡重明,「享保期鴻池別家の自分家業制度」,『同志社商学』,17券1号,同志社大学商学会. pp.72-85, 1965.
20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3년) 까지 에도 교토에 환전점을 개업하고 교토에 본거지를 두어 1690년(元祿 초기)
까지 막부의 어용으로 포목조달 과 금은 환전업을 명받아 오사카에까지 지점을 내어 3
도에서의 어용상인으로서 확고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60)
미츠이家는 포목점 9점포, 환전업과 생사견직물취급 5점포 그리고 목면과 지폐의 발
행을 하는 마츠자카야(松坂屋)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3개 부문을 총괄하는 조직,즉
오모토가타(大元方)라 불리는 본부가 있었다.61) 오모토가타 에서는 미츠이 일족의 공
유재산관리와 모든 사업을 총괄하였다. 미츠이 다카도시(三井高利)는 처음에는 마츠자
카(松坂)에서 전당포와 술집을 경영했지만 에도에 포목점을 낸 것을 계기로 크게 성장
했다. 그래서 미츠이家의 사업에서 중심이 되었던 것은 포목점관계의 9점포였다. 9점포
는 교토본점, 에도본점, 오사카본점과 에도의 2점의 포목점, 교토의 2점의 포목점, 교토
의 베니야(화장품점),에도의 이토야 (糸屋)등이다. 이것들은 에치고야(越後屋) 로 불렸
다. 미츠이 다카도시가 처음에 에도에 출점한 이름을 계승한 것이다.
미츠이(三井)家에서는 장기간 근무하고, 또한 공적이 있는 사용인(봉공인) 에 대해서
는 봉공인등에게 같은 상호의 점포를 내는 것을 허가하는 노렌와케(暖簾分け )제도를
설치하여 에치고야(越後屋)라는 호칭을 부여하고 별가의 대우를 주었다.
中井信産(1966)에 의하면 미츠이家 에서 사용인의 채용, 대우, 교육, 퇴직 등에 관한
제도의 정비에 착수한 것은 1690년경이며 데치(小僧)상좌, 테다이(手代)등의 11계급정
도가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현재의 과장급에 해당되는 히라 테다이 (平手代, 平役)이
상 근무하고 원만히 퇴직한 자에 대해서는 상호와 프랜차이징 형태인 노렌지루시( 暖
簾印)가 오모토가타로 부터 주어졌다고 한다. 미츠이家 로서는 이에(家) 즉, 가업의 존
속을 최고로 중요하게 여겼기 때문에 경영자로서 후계자를 양성할 뿐 아니라 그를 보
좌할 반토, 테다이 등의 가업의 실습경험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오모토가타는 미츠이
동족의 공동재산의 관리조직자로서의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을 뿐 아니라 동족조직에
의한 자본의 분산을 저지하였으며, 大坂, 京都, 江戶의 세도시의 관리자로서의 역할도
강조되었다. 또한 미츠이家는 자산의 공유제도에 의해 자산이 분리되고 세분화되는
것을 피하고 있다. 그리고 무능력하거나 품행이 나쁘거나 이에(家)의 존속을 위태롭게
하는 자는 이에 에서 배제하였다. 그리고 차남이하를 別家로 해서 미츠이 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노이케와 미츠이의 상가의 번영을 보면 본가뿐만 아니라 별가
제도를 통한 세력 확대와 연공서열을 중심으로 안정적고용관계가 이루어졌다. 에도시
대의 점주와 봉공인과의 관계는 맹목적이라 할 만큼 충성이 필요했으며 또한 가업의
존속을 위해 별가제도 라는 의제적 동족단을 만들어 냈음을 알 수 있다. 봉공인은 어
亨
60) 藤田真一郎他 『日本商業史』 有斐閣,1978,p145.
61) 中井信彦, 「三井家の経営―使用人制度とその運営―」,『社会経済史学』,1966. 第31巻6号
209
근세일본의 상인의 발전과 상가경영 ········································································· 이 덕 훈…
때의 데치(丁稚)의 시대부터 장기간 근속을 통한 충성으로 별가가 되어 주인의 의
제적 가족으로서 대우받는 것을 꿈꾸며 이에(家) 에 충성을 다했다고 하겠다. 이러한
흐름은 일본적경영의 특징으로 이어지는 연공서열과 깊은 관계가 있다고 하겠다.
릴
6. 끝맺는 말
본 논문은 前공업화시대 (pre-Industrial era) 또는 前근대화시대(Pre -Modernization
era)의 상인정신의 역할과 변화 가 기업가정신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보고 근세일본의
상인의 등장과 상가경영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해 왔다. 근세일본에 해당하는 에도시
대의 상업은 노부나가의 樂市樂座로 시작되어 발전하게 되었고 막번제의 특징인 城下
町로 인해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조카마치의 계층적 유형구조는 상가가 등장하는 계기
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시기의 상가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기업가정신의 발달로
거대상가로 발전하여 원시적형태의 공동기업 즉, 익명조합을 결성하거나 가족적 공동
기업을 운영되기도 하여 고노이케(鴻池)나 미츠이 (三井)재벌처럼 강한 동족집단경영
이 등장한다.
에도시대의 상가는 일종의 합명회사의 선구적인 형태에 지나지 않는다는 이론과 합
자회사의 전신인 코멘다(commenda)적 출자와 비슷한 일종의 익명조합으로 보는 견해
로 나누어지지만 조선과 중국등의 국가와 비교해보면 가업의 안정성과 영속성을 중요
시 기능적 실체로서의 家(house)가 중시되었다.
다시 말하면 家(이에)는 하나의 경영활동체로서 혈통보다는 가업의 기능성이 중시되
었으며 상가의 당주는 선조로 부터의 후계자뿐만 아니라 가산(家産)의 유지를 위한 관
리자로서의 능력이 요구되었다.
또한 상가(商家)는 기업과 가정으로 나누어 져 있지만 상가는 기업의 비중이 크고
생활을 하는 가족으로서는 영속적 경제주체에 종속, 봉사 하여야만 하는 존재로서 인
식되었다. 이처럼 상가의 경영은 이에(家) 라는 관념을 기초로 하여 영속적 실체로서의
가업(家業) 으로서 중시되었다. 특히 일본의 상가에서는 계보적 연속성이 중시되어 가
업의 전통과 신용의 상징으로서의 노렌(暖簾) 이 존중되었는데 친족, 비 친족으로 구성
된 별가는 가장과 자식의 관계로서 본가의 존속과 번영의 공헌을 의무로 함과 동시에
본가를 생활의 기반으로 한다. 그리고 이 노렌을 중심으로 본가, 분가(친족분가) 별가
(奉公人분가)라는 상가의 동족단을 구성한다.
일본적경영의 특징이라 일컬어지는 년공서열과 집단주의적 의사결정은 상가의 발전
에서 보면 전공업화시대인 근세의 상가에서부터 등장하였던 것이고 에도시대의 점주와
봉공인과의 관계는 별가제도를 통해서 의제적(擬制的) 동족단을 만들어 냈다. 적어도
21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내부적 관리제도의 입장에서 보면 일본적경영의 특징의 한 요인으로 일컬어지는 非혈
연자의 후계자 선택은 의제적 동족단을 이용하여 가업을 계승하는 것으로 근세의 상
가에서 계승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參考文獻】
경수(1996), 「일본 근세 상인자본의 연구」, 『일본역사연구』 제3집.
이덕훈(1993), 「江戶시대의 상인발달과 상인정신에 관한 연구」『한일경상논집』,
제9권. 한일경상학회.
-----(2013), 「중세일본의 상인의 등장과 樂市樂座」,『일본문화학보』,제56집.
한국일본문화학회.
中井信彦(1996),「三井家の経営―使用人制度とその運営―」,『社会経済史学』, 31(6).
松平定能(1814), 『甲斐国誌』, 1814年(文化11).
江頭恒治(1965), 『近江商人中井家の硏究』, 雄山閣.
江頭恒治(1996), 「共同企業源流考」, 『産業經濟論叢』,1(2).
宮本又次(1958), 『鴻池善右衛門』, 吉川弘文館,
-------(1971), 『槪說日本商業史』,大原新生社,
-------1997), 中川敬一郎 監修 『江戶時代の企業者活動』,日本経済新聞社.
-------(1998), 『近世日本の市場経済―大坂米市場分析』, 有斐閣.
宮本又郎, 阿部武司, 宇田川勝(2007), 『日本経営史: 江戸時代から21世紀へ』,有斐閣,
宮本又次・作道洋太郎・森泰博(1970),「近世初期の大阪における米穀流通-蔵屋敷研
究の予備 作業として-」『大阪の研究』第4巻. 清文堂.
吉田信之氏(2001),「城下町の構造と展開」『都市社会史』 山川出版社,
大谷瑞郎(1973), 『幕藩体制と明治維新,』 亜紀書房,
本庄栄次郎(1940), 「米遣いの経済」,『日本経済史辭典』, 日本評論社.
彬森玲子(1968), 「近世日本の商人と都市社会」, 東京大学出版会 2006,羽仁五郎『都
市の論理 歴史的条件─現代の闘争』 勁草書房.
西村太三郞(1937), 『懷古錄』稻西合名會社.
石田 一良(1961), 『町人文化―元禄・文化・文政時代の文化について,』日本歴史新書,
深井 甚三(1995), 『近世地方都市と町人』, 吉川弘文館.
安岡, 重明(1965), 「享保期鴻池別家の自分家業制度」,『同志社商学,』17券1号, 同志
社大学商学会
安綱重明(1970), 『財關形成史の硏究,』 ミネルブア書房.
-------(1970), 『日本資本制の 成立過程』, ミネルブア書房,
安野眞幸(2009),『楽市論―初期信長の流通政策』 法政大学出版局.
宇佐美隆之(1999),『日本中世の流通と商業』吉川弘文館.
박
211
근세일본의 상인의 발전과 상가경영 ········································································· 이 덕 훈…
(1956),「
」.
, 12.
(1963), 「
,
, 10(4).
(1981),「
:
,
(1986) ,
,
.
(1974),
,
, 48-49.
(2003),
(13)
,
.
(1987),
―
72-77.
.
(1986),
,
―
, 54.
B.M. Richman(1965), Significance of Cultural Variabl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December.
Christos Kalantaridis(1998), Entrepreneurship Beyond the Entrepreneur: A
Veblenian Approach,. Committed To A Better Worldwide Understanding
of the Smaller Business. Enterprise. 1998 ICSB Singapore Conference.
Proceedings.
F.H Harbison and C.A. Myers(1967), Management in Industrial World.
Franco Amatori, Andrea Colli, Nicola Crepax(2002), Entrepreneurs & Managers
,International Colloquium joitly organized with ASSI for the Centennial
of Università Bocconi PROGRAMME OF THE COLLOQUIUM 10-11
October.
Franco Amatori,Andrea Colli(2011), Business History: Complexities and
Comparisons. London: Routledge.
George Filipetti(1953), Industrial Management In Transition, Irwin.
Jacob Price(1992), Perry of London: A Family and a Firm on the Seaborne
Frontier (Harvard Historical Studies) Harvard University Press.
James L. McClain, Wakita Osamu(1999), Osaka: The Merchants' Capital of
Early Modern Japan, Cornell University Press.
John W. Hall(1981), Nagahara Keiji and Kozo Yamamura, Japan Before
Tokugawa, princeton University Press, 359-361.
Madeleine Zelin(2006), The Merchants of Zigong: Industrial Entrepreneurship in
Early Modern China.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6
N.S.B. Gras(2010), Business and Capitalism: An Introduction to Business
History, Beard Books‘
N.S.B. Gras(2003), An Introduction to Economic History , Biblio Bazaar.
Richard Grassby(1995), The Business Community of 17th century England,
Cambridge.
原田敏丸
近江商人の経営形態に関する一考察 日野の豪商中井源左衛門家の場
合 『秋山範二先生還暦記念論文集』
油井常彦
國會社企業の 先驅的形態 『經營論集』
作道洋太郎
近世大阪町人学の系譜と特質 懐徳堂学の再興 『大阪大学史紀要』
作道洋太郞
外 『日本經營史 』 ミネルブア書房
中部よし子
『近世都市社会経済史研究』 晃洋書房
池享
『日本の時代史
天下統一と朝鮮侵略 』吉川弘文館
脇田修
『織田信長 中世最後の覇者』、中央公論社、
J ヒルシュマィヤー
由井常彦 『日本の経営発展 近代化と企業経営』 東洋経済
新報社
21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o Ping-Ti(1954), "The Salt Merchants of Yang-chou: A Study of Commercial
Capital in Eighteenth-Century China,"Har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17: 130-168.
Sidney Pollard(1968), The Genesis of Modern management, Penguin edition,
131-40.
Tetsuji Okazaki(2004), "The Role of the Merchant Coalition in Pre-modern
Japanese Economic Development: An Historical Institutional Analysis,"
CIRJE F- Series CIRJE-F-284, CIRJE, Faculty of Economics,
University of Tokyo.
Ross A. Webber(1969), Culture and Management : Text and Readings in
Comparative Management, Irwin Inc.
H
213
근세일본의 상인의 발전과 상가경영 ········································································· 이 덕 훈…
要旨
raditional modes of business and management in Edo period played the role
as preconditions in modernization process of Japan. Those business customs
exhibit a strong connection with the country’s history. The legendary
commercial capital of the modern businesses led the way to the emergence of
some business magnates. Their capital contributed a great deal to the
modernization of Japan. In addition, the respect for business was compatible
with the culture and traditional value systems of Japan, which also conduced
to the modernization process. Meanwhile, premodern business customs has
been transmitted to the contemporary business world of Japan. This research
covers the meaning, behavior patterns, and systemic development of
merchant's family in Edo period of Japan.
T
e
ords: Traditional modes, Business customs,
Merchant of Edo period, Pre-modern of Japan,
Merchant's family.
K y W
투
고 : 2014. 2. 28
1차 심사 : 2014. 3. 15
2차 심사 : 2014. 4. 5
동북아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과
그 가능성
-韓․中․日을 중심으로-
聖 伯*
(e-mail: [email protected])
1)崔
次
目
1.서론
2.실크로드의 의미
2.1 실크로드 루트
3.신 실크로드 루트
3.1 육로 실크로드
3.2 해상로 실크로드
4.한․중․일 신 실크로드
4.1 한국의 신 실크로드
4.2 중국의 신 실크로드
4.3 일본의 신 실크로드
5.결론
경제벨트
구상
구상
구상
1. 서론
문명의 번영은 한 곳에서 오래 머물지 않는다. 19세기말 등장한 팍스 아메리
카는 20세기말에 이르러 그 힘이 약화되었고 그 이전 수많은 팍스 문명번영지
도 그러했다. 그래서 최근에 토인비의 문명 서천설1)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는
* 西安培華大學 商學院 敎授, 經濟硏究所副所長
1) 문명(文明,civilization)은 인류가 이룩한 물질적, 기술적, 사회 구조적인 발전. 자연 그대로의 원시
적 생활에 상대하여 발전되고 세련된 삶의 양태를 뜻한다. 우리가 문명을 이야기 할 때 자주 등장
하는 것이 문명의 이기(利器)이다. 현대 기술 문명에 의하여 만들어진 편리한 생활 수단이나 기구
이지만 자동차라는 문명의 이기가 항상 인류를 편하게만 하는 것은 아니다.
21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문명의 번영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쪽으로 이동한다고 한다. 문명이 황하유
역, 인더스 강 유역, 메소포타미아 강 유역, 나일 강 유역에서 발상되었다면 소크
라테스 등의 희랍시대가 있었고 기원 전후로 하여 로마시대가 열렸다. 서구중심
의 표현이지만 지리상의 발견시대에는 스페인과 뒤를 이어 영국이 황금기를 맞
이하였다. 18~19세기에는 유럽의 제국주의가 맹위를 떨쳤고 러시아도 한때 세계
를 주름잡기도 했다. 19세기말에 이어 20세기말에 이르기까지 팍스 아메리카세기
였다. 그러나 이제 팍스 아메리카 시대도 약화되어 문명권이 다시 서쪽에 위치하
고 있는 동양2)으로 이동하여 한중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동양은 말 그대로 중국의 동쪽 바다<東洋>를 뜻한다. 이렇게 과거 동양, 서
양을 바다라는 지리적 차원에서 규정하던 것이 근대 일본에 의해 문명의 포괄
적 개념으로 변모되었다. 일본은 유럽중심의 세계를 서양으로 지칭하고 중국을
중심으로 한 극동문명을 동양으로 지칭하였다. 이 중 동양은 고대 중국에서 발
원한 문화와 문명 및 한국, 일본 등에서 함께 발전한 전통적 문화를 총체적으
로 상징하는 의미로 사용되어 왔다.
21세기에 동양문화권이 새로운 문명지로 주목을 받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기술과 자본력을 가진 일본과 전후 공업화에 성공한 한국 그리고 세계2
위의 경제대국이 된 중국이 공존하고 있다. 따라서 다음 문명지로 충분한 틀을
구축하고 있다. 둘째 유럽이 그리스도라는 하나의 공통된 문화로 번영을 누렸
듯 극동지역도 유교문화권이라는 공통의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다. 셋째 문명의
서천설을 가설로 본다면 다음 문명권은 아메리카의 서쪽에 위치한 한중일이
것이다. 째 최근에 더 관심을 높이는 것이 신 실크로드 경제권 발표다.
3) 전 미 국 장관의 제
러리
이후 중국, 한국, 일본 등 신 실크로드
경제권 구상으로 새로운 경제성장의 동력을 고자 한다. 신 실크로드 경제벨
트로 인한 경제적 과는 한중일
아니라 실크로드 주변 관련국들까지 경제
적 과를 누리게
것이다.
한중일은 이제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으로 새로운 도약을 하 고 하고
있다. 만약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이 실현되면 분명 이 지역은 21세기 새
로운 문명번영지로 지칭 것이다. 따라서 동 지역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
될
힐
넷
클린턴
욱
무
효
될
효
안
뿐
찾
려
될
r
부
터키
부 부
데
넓
슷
방
方世界 줄
힐 클린턴
무
늘려 앙
내
향
려
앙
먼저 손 뻗
2) 동양(東洋,o ient)이라 함은
컫
얀
씩
방
엔 Or
프 탄
처
접 략 응
의 동쪽에 있는 아시아 여러 나라를 통틀어 일 는 말로, 유라시아
대 의 동 지역. 아시아의 동 및 남 를 이르는 한국, 중국, 일본, 인도, 미 마, 타이, 인도
시아 등이 있다. 은 의미로는 중동 지역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약간 의미 및 어 의 차
이는 있으나 비 한 뜻으로 동 세계(東
, 여서 동 ) 및 오리 트(the ient)라는 표현
도 사용된다.
3) 본래 실크로드 경제권은 러리
전 미국국 장관이 아 가니스 등 이 지역 국가에 자
를
중 아시아
미국의 영 력을 강화하 는 목적으로 음 제시한 용어다. 이에 맞 중
국은 역으로 중 아시아 지역에
을 어 미국의 아시아 근 전 에 대 하고 있다.
륙
네
감
투
선
북
능
동 아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과 그 가 성 -韓․中․日을 중심으로- ··· 崔 聖 伯…217
능
상은 새로운 세계경제성장의 동력원으로서나 차세대 문명번영 가 지로서 실
적 연구가
로 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아 까지 신 실크로도 경제권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그 이
유는 그동 동서 경제권이 주목을 받는 가운 이들 지역은 소 되었기 때문
이다. 하지만 21세기에 들어 동서지역경제권이 가 화되고 사회주의
을 고
수하는 중국이라는 거대경제대국이 등장하면서 새로운 러다 의 전 기를
맞이하고 있다. 중국은 높은 경제성장을 바 으로 과거 실크로드 경제권을 중
심으로 새로운 경제권 구상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와 더 어 한일도 지
리․문화적으로 인 한 신 실크로드 경제권 구상에 적극적이다.
본 문은 이러한 경에 기 하여 한중일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과
그 가 성에 대해 모 하고자 한다.
증
필요
직
안
데
속
탕
논
능
접
배
색
외
노선
패 임 환
불
초
2.실크로드의 의미
길S k R d
각
롯
무
ㆍ ㆍ
준
길 6 ㎞ 달
독
학
히 호펜 R f 77
처
原 방
작 허 랑 河西回廊
클
칸 막T k k D r
북
파 P r
앙
초 란
안 북안
길
옛날
딘
섬
믿
또
궁
작
BC 년
없
막
큰
클
칸 막 파
같
애
슬람
방
처 린
前漢 BC 6 AD
무 武
帝 월 大月氏 손 鳥孫 같
합
북방
협
흉노 압
확보 려
BC 년 건 張騫
행 데
안 안
떠났 얼
못 흉노 붙 히
년 안
억
보냈
느날
깐 甘父 탈출 파
너
F rg
쳐 당초
월 大月支國
착
월 흘 월
았
실크로드는 과거 비단 ( il
oa )이라고 지칭했으나 고대 중국과 서역 국
간에 비단을 비 한 여러 가지 역을 하면서 정치 경제 문화를 이어
교
통로의 총칭이다. 총 이 ,400 에 하는 실크로드라는 이름은 일인 지리
자 리 트
( ichtho en, 18 ~1912)이 음 사용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중국 중원(中 )지 에서 시 하여 시후이 (
)을 가로질러 타 라마
사 ( a lama an ese t)의 남 가장자리를 따라 미르( ami )고원, 중
아시아 원, 이 고원을 지나 지중해 동 과
에 이르는 이다.
로마인들은 동쪽 어 가에 황금의 (중국)이 있다고 었고 중국 한
서역에 대해 항상 금해 했다. 그러나 정 동양과 서양은
100 까지도 서
로 간에 교류가 었다. 이러한 교류를 가로 고 있었던 가장
이유는 타 라
마 사 과 미르 고원과 은 자연 장 물과 이
인 들의 해 때문이다.
실크로드가 음 열 것은 전한(
:
20 ~
25) 때이다. 한 제(
)는 대 지(
), 오 (
)과 은 나라와 연 하여 중국
변경 지대
를 위 하고 있던
를 제 하고 서아시아로 통하는 교통로를
하 고 하
였다. 그래서
139 장 (
)은 100여 명의 수 원을 리고 장 (시 )을
지만 마 가지 해
에게 잡 고 만다. 그는 그곳에서 약 10 동
류생활을
다. 그러던 어
통역인 후(
)와
하여 미르 고원
머에 있는 페르가나( e ana)국을 거
목적지인 대 지국(
)에
도 하였다. 하지만 많은 세 이 러 대 지국은 동맹을 원치 않 다. 그래서
21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월
먹
돌 올
무 년 안
건
갈
길 택
BC 6년 돌
험 료 워낙 요
료 집
돌
클 칸 막북 길
티베 족 붙 혀 년 안
월
맺 데 패
무
뿐
대 지국에 머 는 1 동 여러 가지 자 를 수 한 후 본국으로 아가기로
마음 었다. 장 이 서역으로
때는 타 라마 사
쪽 을 이용했지만
아
때는 그 남쪽 을 했다. 도중에
트 에게 잡 1 동 고생
하기도 했지만
12 에 아왔다. 대 지국과 동맹을 는 는 실 했지만
그의 경 과 자 가
중 하기 때문에 한 제는 치하 했다고 한다.
중국과 서역 간의 교통로인 실크로드는 육로 만 아니라 바다의 실크로드도
있었다. 나중에는 여러 래의 실크로드가 개발되어 동서양 간의 물류 교역
만 아니라 문화의 교류도 활발하였다.
한 제는 장 의 국 고4)를 아주 미 게 생 하였다. 서역에는 명마
가 있고 금은전을 사용하는 나라가 있고 중국(한)의
인 기와 비단을
사고 어 하는 나라도 있었기 때문이다. 더 중 한 것은 대 지, 강거, 오
등 사력이 강한 유목
들을 수해 한나라를 세계의 강국으로 만들 고
하였다. 시 중국과 서역 사이에
간 성(
)은
가 다스리고 있었
는 장 은 그들을 해
성(
),
성(
)을 거 인도로 가는
을 개 하고자 했다. 그래서 하들을 여러 차
지만 모 가 실 하고
말 다. 그 후 장 은
을 아 고 그 자리에 오 을 이주시
고
하 300명을 이 고 오 ( son)으로 으나 뜻을 이루지 하였다. 한나라
로 아
장 은 이 해인
114 에 고 말 다.
한 제는
104
101 까지 페르가나 국에 사를
어 을 아
고 남 실크로드의 중 한 목에 자리한 누 (
)도 정 하였다. 마
0 에는
마
시 으로서 서역을 전 장 하였다. 이때
중
국의 비단은 본 적으로 로마까지
나 다.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에 기 ,
사자와 은 진 한 동물과 마(
: 말),
, 후 , 마(
: ) 등이
전해 고 유리 만드는 기술도 전해 다. 중국에서는 비단, 기, 도자기 은
물 과 양 , 화약, 제지 기술 등이 서역으로
는
이 만드는 기
술이 서역으로
가서 중세 유럽의
기를
인 술 발 과 지
에 원동력이 되었다. 이후 황(
)을 비 한 4
에 새를 세 장사
을
했는 이때
서역으로 통하는 실크로드가 원활하여 1 에 5~10번
장사 들이 오 다.
장 이 서역을 음 개 한 이래 중국의 역대 조는 중 아시아 및 서아시
갈
무
싶
군
건 귀 보
민족
각
특산품 칠
욱 요
월
뿐
흥 롭
손
흡
려
당
낀 쑤 甘肅省 흉노
데 건
피 쓰촨 四川省 윈난 雲南省 쳐
길 척
부
례 보냈
두 패
았
건 흉노족 몰 내
손
키려 직접
부
끌 손 wu
갔
못
돌 온 건 듬 BC 년 죽 았
무 BC 년부터 년
군 보내 왕 몰
내 북
요 길
란 樓蘭 복
침내
BC6 년 흉노 저 굴복 킴
완 히 악
부터
격
팔려 갔
린
같 귀
호 胡馬
호두 추 호 胡麻 깨
졌
졌
칠
같
품 잠
건너갔 데 특히 종
건너
암흑 밝혀 쇄 달 식 보급
둔 敦煌 롯 군데 요
워
길
보호 데 부터
년
씩 꾼
갔
건
처 척
왕
앙
건 무
길 척
건 방
大遠
탄 월 小月氏
탄
趙地
엄채 염
순방 무
보
4) 장 이
든
방
찰
당
앙
康居 키 키즈 월 大月氏 즈베키
大夏 프 탄
西海 랄 안식 安式國
嚴綵 鹽遠 = 재
엘
독 新獨國
길 척
무
제의 지시로 비단 을 개 하면서 인근 모 나라를 문하는 국정시 을 하게 된다.
시 장 이 문한 나라는 대원(
)(중 아시아), 강거(
)( 르
), 대 지(
)(우
스 ), 소 지(
)(카차크스 ), 대하(
)(아 가니스 ), 서해(
))아 해,
국(
)
페르사, 조지(
)(시리아),
와 원(
) 현 이스라
사해지역, 신 국(
)인도
등을
하여 제에게 고하여 비단 을 개 하여 한 제가 로마 제국과 교역하는 계기가 되
었다.
북
능
동 아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과 그 가 성 -韓․中․日을 중심으로- ··· 崔 聖 伯…219
빈 히
므
뿐
아 여러 나라와 번 교류하였다. 그러 로 실크로드는 상업적인 면 만 아
니라 동서 문화의 교류라는 면에서 역사적으로
의의를 지니고 있다. 한편
많은 스 들이 경전을 구하러 실크로드를 따라 인도로 들어 고 인도의
들도 경전을 가지고 중국에 많이 들어왔다. 그러 로 중국 교가 발전하게 된
에는 인도와 중국을 연결시
실크로드의 역할이 있었기 때문이다. 실크로
드가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대(
: 18~90 )였는 현 는
스 과 중
국의 신장 이우 자치구(
)지역이다.
그
실크로드의 경로는 단
하나의 만 존 한 것이 아니 여러 개
의 이 있었다.
큰
님
므
데
런데
길
갔
불
웨 얼
승려
켜준
당 唐代 6 7 데 재 파키 탄
新疆維吳爾自治區
순히
길 재
며
<지도1> 과거 실크로드 루트
2.1 실크로드 루트
순히
북
또 확
길
횡
잇 횡
북
며
실크로드는 단
동서를 는 단 축으로 실제로는 남 의 여러 통로를
포함해 동서남 의 하나의 거대한 교통 으로 되어 있었으 이에 따라 실크
로드의 개념 한 대되게 된다. 실크로드는 3대 간 과 5대 지 을 비 해
여러 래의 로 구성되어 있는 세계적인 그물모양의 교통로이다. 3대 간
은 동양과 서양을 으로 연결하는 이었다.
갈
망
선
범
길
2.1.1 3대 간선
1)초원길
선
롯
선
길 며
북방
피
안혹
피
랄
안
중국 한나라 이전의 문명교류의 주통로로 사용되었던 이 유라시아
원지대를 동서로 단하는 이다. 서쪽의 인 카스 해 연
은 발트
해 남단으로
해의 동 편과 남러시아의 카스 해와 아 해 연 을
초
횡
부터 흑
길
북
끝
22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흐 탄 알 산맥
준
몽골
막
북
혼
안
향
꾸
북 방
끝 른
길
반
볼
찍
처
너
년
초
북방
초
널 파
년
채
길 쳐
파
데
길 채 길
부른
둔청
길
파
2)오아시스길
오아시스길이란 중앙아시아의 건조지대(사막)와 반사막에 점재하는 오아시
스를 연결하여 동서로 뻗은 길을 일컫는다. 사막을 비롯한 건조 지대의 군데군
데에 항상 물이 고여 있어 수목이 자라고 인간이 생활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오아시스다. 오아시스는 사막인 들의 생활의 보금자리일 뿐만 아니라 교역의
중심지로서 거기에서 문물이 집산되고 교통이 발달되어 왔다. 실크로드 중에서
가장 심장부에 위치한 오아시스 길은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역사시
대 전에는 초원로가 많이 이용되었으나 이후에는 오아시스길이 동서 교류의
주요 통로로 사용되었다. 기원전 6세기부터 서아시아지대에는 이미 상당히 발
단된 교통로가 만들어졌으나 파미르 고원이 장애가 되어 완성되고 있지 못하
다가 기원전 138~126년 후한의 장건(張騫,~BC 114)이 파미르 고원을 지나
대월지에 이르는 길을 개척함으로써 비로소 완전한 길이 만들어졌다. 한서 서
역 전에는 남, 북 두 길의 노정을 밝히고 그 길 위에 있는 주요 국가들의 중심
지와 장안이나 서역도호부 그리고 인근 국가들 간의거리를 기록하고 있다.
3)바닷길
기원 후 후한은 서아시아와의 교류에 관심을 나타냈고 전성기에 접어든 로
마제국이 남해로를 통한 도서 교역에 적극성을 보이기 시작했다. 로마의 시장
에는 중국, 인도, 동남아시아 각지의 명산물이 큰 인기를 끌었다. 1세기 중엽에
로마의 항해사였던 히파루스(Hipalus)가 아라비아인들로부터 인도양 계절풍의
비밀을 알아낸 후 아테네로부터 홍해를 지나 인도양으로 향하는 직항로를 개
척함으로써 로마의 동방 원거리 무역에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되었다. 비로소
중국에서 인도로 반출된 비단이 인도 서해안으로부터 해로로 로마에 운송되기
시작하였다. 3세기 중엽에는 로마의 배가 인도차이나나 광동성에 있었다고 생
각되는 카티가라(Kattigara)까지 항해하는 성선도 나타났다.
이외 5대 지선이 있다. 5대 지선은 남북을 연결하는 길로 지선이라 부르고
있지만 문명 교류와 교역에서 중요한 일익을 담당하였으며 그 노선 또한 대단
히 복잡하다.
지나 카자 스 과 타이
이 남의 가리아 분지를 지나
고비사 의
단 오르 강 연 으로 이어진다. 이후 동남 으로 바 어 중국의 화 지
에 이르러 그 동쪽 에 이 다. 이 을 연장하여 한 도까지 연결되었다고
수도 있다. 일 이 문명교류의 음을 연 비 스상이 1만
전에 이 원
로를 따라
유라시아 원지대에 동서로 리 전 되었다. 기원전 4천~3
천 경에는 도문화가 이 을 거 서아시아에서 중국 및 동아시아에 전
되었다는 주장이 있는 이러한 의미에서 이 을 도의 이라고도
다.
서아시아에 기원을
동기나 로마의 유리도 이 을 따라 전 되었다.
북
능
동 아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과 그 가 성 -韓․中․日을 중심으로- ··· 崔 聖 伯…221
2.1.2 5대 지선
1)마역로
남북로의 맨 동쪽에 있는 길로 초원로의 동쪽 끝인 막북의 오르혼 강 유역
에서 카라코룸을 지나 장안이나 유주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다시 화남을 그대
로 뻗어 항주나 광주에 닿아서 바닷길과 접한다. 북방 유목민족과 한(漢)민족
간의 동아시아 쟁탈을 위한 싸움길이였다.
2)라마로
북쪽 끝은 준가리아(Dzungaria) 분지에서 시작해서 고창 서북부 투르판
(Turfan)과 타림 분지 동편에 있는 자루기루꾸(러잔)를 지나 티베트의 모직 옷
감을 거쳐 히말라야 산록을 따라 북인도의 시킴에 이른 후 다시 남하해 인도
갠지스 강 어구에 있는 디무라리프데까지 이어진다. 이 길은 기원후 5세기부터
토욕혼에 의해 이용되다가 7~9세기부터는 티베트가 이 일대를 장악하게 되었
다. 당과 티베트간의 화친 관계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당의 사신이나 구법승들
이 이 길을 따라 인도에 내왕하였다. 준가리아 분지에서 통일제국을 이룩한 타
타르가 이 길을 따라 티베트와 중국 서북지방을 공략하기도 하였다. 이 길을
따라 티베트에서 발생한 라마교가 북상하여 멀리 몽골에까지 전파되었다.
3)불타로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에서 출발하여 타슈켄트와 사마르칸드를 거쳐 동서남
북 십자로 상에 위치한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발흐(Balkh)와 페샤와르
(Peshawar, 즉 Gandhara)를 지나 인더스 강 유역을 따라 중인도 서해안의 바
루가자(현재 Surat)까지 줄곧 남하하는 길이다. 이 길은 동서남북 교통로의 중
심 교차점에 자리하고 있어 동서문명교류와 교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였
다. 기원전 2000년에 아리안인 들을 비롯해 후세의 알렉산더나 티무르 등의 외
래 민족의 대인도 침략이 이 길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불교는 이 길을 따라 북
상한 다음 중앙아시아를 거쳐 동방에 전파되었으며 법현, 현장 같은 많은 수법
승이 이 길로 천축(인도)에 가서 수도하였다.
4)메소포타미아로
흑해와 카스피 해 중간지대에 있는 카프카즈(Kavkaz 일명 Caucasus) 북부
를 기점으로 하여 트빌리시(Tbilishi)와 타브리즈(Tabriz)를 경유해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유역을 따라 펼쳐진 메소포타미아를 관통한 후 페르시아
만의 바스라(Bastah) 항까지 이르는 길이다. 일찍이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개화
한 지대를 지나는 이 길은 고대문명 전파에 크게 기여하였다.
5)호박로
북방의 발트 해에서 시작해 모스크바와 키예프를 거쳐 유럽과 아시아 대륙
의 접지인 콘스탄티노플과 에페수스(에베소, Ephesus)를 지나 지중해 연안을
22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집 알렉산
요 호박 무
길
길
키
부터
따라 이 트
드리아까지 남하하는 이다. 이 은 페니 아 시대
중 한
의 역로였다.
이상의 과거 실크로드를 바 으로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는 현대에 맞는 경
제상 으로 새 게 정 되고 있다. 2011 미국의
국 장관이 아 가
니스 을
문하여 실크로드를 제 한 이후 2013
20과 상하이 력기구
(
) 정상회
및 중 아시아 4개국
에 나 시진 중국 주 이
카자 스 나자르바
대 연설에서 중국의 중 아시아 교정 에 대해
한 뒤 신 실크로드 로 트를 제 했다. 한국의 근 대통 도
러
시아대통 이 한 때 유라시아 경제벨트를 제 했고 일본의 아 수상도
를 문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축을 제 하였다. 이를 계기로 한중일은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에 대한 관심이 한
높아 다.
탕
품
롭 재 립
년
클린턴 무
프
탄 방
안
년G
협
SCO
담 참석
앙
순방 선 핑
석
흐 탄
예브 학
앙
외 책
언급
프 젝
안
박 혜 령 푸틴
령 방
안
베
터키
방
안
층 졌
3.신 실크로드 루트
3.1 육로 실크로드
한중일이 구상하는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의 경로는 크게 2가지의 형태로 전
개되고 있다.
과거에 형성되어 있는 육로를 중심으로 신 실크로드 루트
다. 과거 실크로드 활용에 적극적인 국가는 중국이다. 중국은 지리적으로 과거
실크로드의
일
아니라 새로운 경제성장의 원동력을 고자한다. 중국
은
틀에서 과거 실크로드를 중심으로 한일을 아우르는 구상을 고 하고 있
을 것이다. 인 국 한국은 지리적으로 중국대 과 연결되어 있을
아니라 이
미 중국과의 역규모도 간과할 수 다. 한 한 도는 경제적 면 아니라
중국의 화 정에도 중 한 지역이다. 더 나아가 세계경제력 3위인 일본도 중
국이 간과할 수 는 국가이다. 그러나 일본은 나라로 대 과 단 되어 있
다. 따라서 일본은 한 도나 러시아를 통해서만 육로 활용이 가 하다. 만약
이들 지역이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바 으로 하나의 경제권을 형성하게 되
면 한중일은 물론 실크로드 관련 주변국들에게도 경제적
과는 지대할
것이다. 과거
중 에 위치한 중 아시아를 거 으로 중국 유럽 아랍 남아
시아 카 카스, 나아가 아 리카를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30 인구의 거대시장
에 연결되는 육로이기 때문이다. 이는 중 아시아와 아랍을 경유해 중국과 유
럽을 연결하던 고대적 의미의 실크로드와는 양적 질적 면에서 조금 차이가
있다. 비단과 신 를 고 타가 다니던
실크로드에 테이 를 실은 기
차와 트 일러가
진 리고 유관과 가스관이
거대 경제권 중심
먼저
큰
귀착점 뿐
접
무
평 안
· 프
없
찾
요
없 또
뿐
측 뿐
반
섬
반
내륙 앙
륙
륙
탕
프
향 료 싣 낙
레
종횡무 달
앙
송
옛
·
능
절
파급효
· ·
억
점
앙
려
측
컨 너
깔린
·
북
능
동 아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과 그 가 성 -韓․中․日을 중심으로- ··· 崔 聖 伯…223
로이다.
최근 중국은 중 아시아 국가들을 연결하는
실크로드 교통 을 정비하고
태 양에서 발트 해까지 을
다음 동유럽 중동 남아시아 아 리카 동 및
등지로 대 연결을 구상하고 있다. 육로를 통한 교역로
와 함께
자 역 경제 력 등을 강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업들은 이미 진 되고 있
다. 유라시아 대 을 가로질러 중국과 유럽을 는 1만214 의 화물열차
이 2013
공되어 시 운 에 들어 다. 이
은 중국
성 정 우
를 기 으로 신장위구르자치구의 아라
우, 중 아시아 카자 스 , 러시아,
벨라루스,
드 등지를 거
지인 일 함 르크에 이 다. 이
에
이징을
발해서
고 중 아시아 카 카스 중동 유럽을
도와 도로로
연결하는 등 다양한
이 계 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중 아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신 실크로드 구상에는 과제도
있다. 러시아의 유라시아 경제연 과 충 실크로드
이 신장위구르 지역이
있기 때문이다. 신장은 중 아시아 중동 유럽 등
세계와 연결된 교통 결
이자 중국의 관문인 이다. 지금 신장에는 인 라 설이 진 중에 있
다. 카라
(
스 ) 고 도로를 수 중이고 우루 치 신공항이 설되고
있으
르기스스 및 타지 스 과 인 한 국경도시 카 가르로 가는 도로
도 설하고 있다. 이는 신 실크로드 설로 중국은 운 비를
하면서 신
하게 자국 상 을 수 할 수 있고 전한 육로를 통해 원유 가스 등의 천연자
원을 공 받게
것이다. 하지만 신장지 은 심 한
문제에
되어 있
다. 경제적으로 후된 이곳은 위구르 의 분리
으로 여전 치 이
하다. 최근 이 지역에서 발생한 일련의 유 사태로 200여 명이 사 했다.
시진 주 은 2013 9 13일 르기스스 비
크에서 열 상하이 력기
구 정상회의 기조연설에서 우리는 상
( in- in)의 정신을 바 으로
력을 강화해 상하이 력기구를 공동 운명체(이 공동체)로 만들
가 있다
고
다. 가국들간 상 이 의
을 강조하고 있다. 중 아시아는 중국
아니라 한일에 있어 육로의 중 한 관문이기도 하다. 현 한일은 이 지역
에 대한 역할이 크지는 않다. 하지만 한중일을 아우르는 신 실크로드가 성되
면 중 아시아는 한일에도 중 한 상업지역이
것이다.
주 후 천 까지의 기간 동 세계의 강대한 제국들은 중 아시아를 영유하
기 위한 축전을 여 왔다. 중 아시아 주변 강대국에는 중국 제국
르
크 제국 인도 제국 로마 제국이 있었다. 주후 50 ~주후 1000 이 지나
기까지 중 아시아는 위의
제국들과 우 잡한 국가 간 이해관계가 있었
다. 중 아시아는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정치, 경제, 문화, 교 등 많은 국제
지도자들의 에서 오르 리는 실크로드의 중심지역이 되었다. 오
실크로
평
북부
·무 ·
앙
확
협
륙
년 7월 완
점
폴란
베
출
길 튼
험 행
·
옛
잇
·
망
· 프
확보
㎞
부
행
투
노선
저
갔
노선
허난
산커 앙
흐 탄
쳐 종착 독 부
른
노선 외
몽 · 앙 · 프 · ·
철
노선 획
앙
합 돌
노선
앙 · ·
외부
절점
셈
프 건
행
코람 파키 탄 속
보
무
건
며키
탄
키 탄 접
슈
건
건
송 절감
속
품 출
안
·
급 될
방 각 안보
노출
낙
족
·독립 투쟁
히 안
불안
혈
망
핑 석
년 월 키
탄 슈케
린
협
호 윈윈 w w
탕 협
협
익
필요
밝혔 참
호 익 윈윈
앙
뿐
요
재
완
앙
요
될
년
안
앙
각
벌
앙
①
②투
③
④
7 년
년
앙
네
매 복
앙
선
입
내
늘날
22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앙
탄
즈베키 탄
키 탄 투
탄 키
잔 케
터키 란 집 프 탄 파
직
작
당GDP
선
흐 탄
년 당 GDP
달
년
배 승
76달
배
외
드의 중 아시아 국가들로는 우
스 , 타지 스 , 르크메니스 , 르
기스스 , 카자 스 , 그루지아, 아제르바이 , 마 도니아, 아르메니아가 있으
의의 개념으로 주변 국가인 이라크,
, 이 , 이 트, 아 가니스 ,
스 을 포함할 수 있다. 중 아시아국가들은 아 경제규모가 은 편이나
최근에 개 ․개 과 공업화로 높은 성장세이고 1인
는 크게 개 되어
새로운 소비시장으로 등장하고 있다. 카자 스 은 2000 1인
가 1,230
러에 과 했으나 2013 에는 13,000 러로 10 사이에 10 상 하였고 아
르메니아 역시 은 기간 593 러에서 3,1
러로 5 이상 성장했다. 그
국가들의 경제성장도 은 이를 이고 있다.
며광
키 탄
달
흐 탄
앙
혁 방
불
같
년
같 추
달
보
앙
<표1> 중 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경제성장
구분
1994 2000
GDP
(10억$)
6.52
13.72
우즈베키스탄
1인당GDP($)
292
550
GDP
(10억$)
0.83
0,99
타지키스탄
1인당GDP($)
147
158
GDP
(10억$)
4.54
5.02
투르크메니스탄 1인당GDP($) 1,135 1,081
(10억$)
1.12
1.37
키르기스스탄 GDP
1인당GDP($)
247
277
GDP
(10억$)
11.88
18.29
카자흐스탄
1인당GDP($)
752
1,230
GDP
(10억$)
0.82
3.04
그루지아
1인당GDP($)
166
685
GDP
(10억$)
2.26
5.27
아제르바이잔
1인당GDP($)
301
6 56
GDP
(10억$)
3.39
3.59
마케도니아
1인당GDP($)
1,734
1,785
GDP
(10억$)
0.65
1.91
아르메니아
1인당GDP($)
172
593
자료:IMF(World Economic out look datebases)(2013)
찍
앙
부터
2005
추이
14.31
541
2.31
333
1 .1
3,418
2.4
4 4
5 .13
3, 53
.41
1,483
13.25
1,5
.00
2,943
4.90
1,523
77
6
7
7
7
6
6
2010
6
67
6
7
7
7
7
2013
38.9
1,3
5. 4
40
22.15
4,0 2
4. 9
8 5
148.05
9,008
11. 4
2, 23
52.91
5,880
9.3
4,551
9.2
2,838
6
67
55.18
1,851
8.54
1,049
40.5
,110
.23
1,281
224.8
13,048
15.95
3,55
.01
8,1 5
10.51
5,0 3
10.44
3,1
7
7
6
6
6
76
6
6
7
6
7
76
일 이 중 아시아 지역은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유라시아권의 중심이
었다. 고대로
중국 신장에서 유럽으로 이어지는 대상들의 역로로서 동서
양을 는 정치, 경제, 사회 아니라 교적으로 중 한 지리적 성이 있다.
서쪽으로는 이
교의 본 고장인 사우 아라비아의 메카를 중심으로 하는 중
동 지역이 동쪽으로는 실크로드의 시 이 되었던 중국(신장, 장 )과
이
있다.
남쪽으로는
교권인 인도와 이
권인 아 가니스 ,
스 ,
인도 시아 등 그리고 교권인 태국, 트남, 라오스, 미 마 등이 쪽으로는
잇
또
네
뿐
슬람
힌두
불
종
디
작
베
무
요
슬람
프
얀
특
안 몽골
탄 파키 탄
북
북
능
동 아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과 그 가 성 -韓․中․日을 중심으로- ··· 崔 聖 伯…225
병풍처럼 두
프
앙
정교회권인 러시아가
르고 있다. 과거 중 아시아는 그 경제권을
유럽, 중국,
트에서 아 리카, 인도에까지 대하면서 육로(
)와 해로
(
) 등 모 루트를 통한 교역의 중심이 되었다. 과거 육로의 실크로드는
한중일의 새로운 도약의 이
것이다.
티베
든
海路
확
陸路
길 될
3.2 해상로 실크로드
찬
든
무
없
유럽의 지중해와 마 가지로 모 지역과 국가들은 바다를 통해 주로 역
을 하고 있다. 오
에도 국가 간 교류에 있어 바다의 중 성은 변함이 다.
주 들이 이주할 때나 사 전을
때도 바다가 주
대가 된다. 그래서
국의 수도를 비 해 대도시들은 주로 해양과 관련된 항구도시의 성 을
게 마련이다. 역사적으로
때 원조 (고조 )의
성, 고구 의 양성,
제의 한성 사비성, 신라의 금성(경주), 가야의 해, 고 의 개경(개성) 등은 전
형적인 항구도시였다. 일본도 중국도 마 가지였다. 기원전 2세기경 원조 과
한( )나라는 황해
의 권과 역권을 고 충 해 1 간 수 양면전을
치 다.
세기 말
세기 중 까지 고구 를 주축으로 한 세력과 수
(
) 세력 간에 동아시아의 주권과 교역권을 고
0여
동 전
을 했다
역사를 통해 해양력의 중 성을
리게 인 한 중국은 현 나진
지
구마 자국의 해양 구로 이용하 고 하고 있다. 만 아니라 이를 바 으로
만강 하구의 나진항을 통해 동해로 진 한 다음 제주도, 이어도, 오위다오
( 카 열도)를 거
남사 도(
)까지 이어지는 해양로를
하 는
전 을 구상하고 있다. 중국은 최근 해 력을 강화하고 항공모함까지 항하고
있다.
중국은 지리적인 이 을 최대한
신 실크로드 구상에 육로와 해상로
를 동시에 구하고 있다. 동남아지역은
해상 실크로드의 중심지
역이라고 가하면서 중국은 아세 국가들과의 해상 력을 강화하고 중국정
가 설 하는 중국-아세
력기금을 활용해 해양 력동 자 관계를 발전시
고 하고 있다.
대 이징은
해상 실크로드 현도 진 중이다. 해
상 실크로드의 기 인 중국 남서
시(
) 장( ) 자치구
(
)을
중심으로 중국과 아세 10개국을 하나의 경제권으로 으 는 교 전 도
구체화되고 있다
일본도 해양로
에 심 을 기 이고 있다. 세계 3위의 사비를 지 하는
일본의 해 력은 세계 2위로 가받고 있다. 일본은 1994 에 발 된 해양 영
토의 개념을 적용하면 세계 5위의 해양 영토 대국이다.
한국 역시 해양로
가 실하다. 한국은 분단국가로 실질적으로 육로를
늘날
민
각
롯
군 작
펼
볼
선
·
漢
렀 또6
隋·唐
쟁
북부 패
부터 7
부 립
키려
군
놓
뼈저
출
려
출
쳐 군 南沙群島
군
두
센 쿠
략
평
무
엽
찬
선 왕검
김 려
요
저
확보
종
요
요무
점
추
살려
안
식
혈
평
확보 절
울
년
륙
놓 무려 7
년 안
재
뿐
선
·당
·선봉
탕
댜
확보 려
취
옛 부터
안협
예컨 베
옛
점
부 광 廣西
안
확보
려
돌
격 띠
려 평 백
협
협 반
재 추
壯족
난닝 南寧
묶 려 외 략
년
군
효
출
22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없
재
안보 측
무
순 무
사용할 수가 다. 현 로는 바다만이 유일한 역로이다. 해양로는 단 한
역 로로
아니라
적 면도 우 중 한 루트이다. 최근 한 도를 둘러
열강의 해양 충 이 19세기 말과
이 어지고 있는 지금 우리는 해양
을 어 게 바라 고 중국과 일본의 해양력 강화를 어
으로 대 해야 할
까가 과제다. 그 해 의 하나가 신 실크로드 구상에 적극적인 여로 전한
육해 로를
하는 것이다. 이명 전 대통 이 러시아를 문 시 리아 단
도와 한 도 단 도를 연결하여 의 실크로드를 구축을 제 하였고 한
을 경유하는 가스 관을 설해 러시아의 천연가스를 수 하 다는 계 이 있
었고 최근 근 대통 도 유라시아 실크로드를 제 하였다.
러시아도 극해 항로 개 에 열성을 인다. 한국 일본 중국(타이 ) 등지
의 수 물동 을
해 새로운 항로를 열어 자는 의지를 이고 있다. 그러
나 중국의 신 실크로드 로 트는 러시아 구상과 경 관계에 일 수 에
다. 중국은 러시아의 견제와 중 아시아에 대한 중국의 정치 경제 사적 영
력 대를 우 한 시 을 의 한 듯 시진 주 의 카자 스 연설에서는
이징은 중 아시아에서 주도권을 구하거나 세력권을 형성할 의사가 전
고 정에 대로 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천명했다. 해상 로는 국의 지리
적, 정치적 상황에 따라 조금 다를 수는 있지만 수 해상 로의 중 성은
대되고 있다.
써뿐
싼
떻
보
돌
법
매 요
똑같 벌
반
떤 방식
참
처
안
확보
박
령
방 베 횡
반 횡 철
철
안
북
배 건
송 겠
획
박 혜 령
안
북
척
보
· ·
완
출 량 겨냥
보
보
프 젝
쟁
놓 밖
앙
· ·군
확
려 선 식
핑 석
흐 탄
앙
추
혀
내 절
섭
각
씩
갈 록
요
철
없
향
베
없
증
4.한․중․일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4.1 한국의 신 실크로드 구상
건
참
푸틴
방
박 혜 령
건
안
북 처
보 외 출
송 절감
척 절
속 보 속
판
눈
온
안 웨 A Hg w y
알
속
든합
㎞
판
완
히
맥
안 웨
%
7% 살
륙
작점
반
부
북
륙 확
한국은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설에 적극적인 여를 원한다.
러시아
대통 이 한했을 때 근 대통 은 유라시아 설을 제 했다. 남 이 대
한 현실을 나 해 수 이 많은 한국으로서는 운 비용
은 물론 새로운
자원과 시장개 이 실하다. 한국 고 도를 면 고 도로 표지 에 실크로드
이름들이 에 들어 다. 아시 하이 이 ( sian i h a ) 1번 도로를 리
는 것으로 총8개 고 도로 중 첫 번째 도로이었다. 모
치면 아시아 30개국
을 단하는 총14만 의 현대 실크로드가 성된다. 아시아에서 유럽까지 물
류의 름을 원활 하는 대동 것이다. 아시 하이 이가 연결되는 유라시
아 대 은 세계 육지 면적의 약40 , 인구의 1 가 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단일 대 이다. 그 동쪽의 시
으로 우리 한 도가 있다.
지 해 한국정 는 번영의 동 아 시대를 대 으로 장하고 새로운 소통의
령
횡
큰
흐
륙
난
북
능
동 아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과 그 가 성 -韓․中․日을 중심으로- ··· 崔 聖 伯…227
길을 열기 위해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제안했다. 단절과 고립, 긴장과 갈등을
극복하고 소통과 개방으로 평화 교류하면서 함께 번영하는 새로운 유라시아를
건설 하자는 것이 제안의 배경이다. 최종 목표는 하나의 대륙, 창조의 대륙, 평
화의 대륙을 그 구체적인 우선 과제 중 하나로서 실크로드 익스프레스(SRX)
를 제시했다.
중국과 러시아도 이와 를 이하는 정 을
고 있다. 중국 시진 (
)국가 주 은 지 해 중국과 중 아시아 국의 교통 을 연결하고 태 양
에서 발트 해까지 는 하나의 통로를 만들자고 제 했다. 소위 인구 30 명
의 실크로드 경제권을 구축하여 중국과 중 아시아의 거대한 시장을 하나의
단일경제 력체로 하자는 것이 심이다. 러시아도 2025 까지 극동 및 바이
지역의 교통, 에 지, 인 라 구축 등을 위해 약 390조원에 하는 대한
자금을
하는 극동 발전전 2025를 발표 했다. 이
동 아 지역에서는
세계화의 름이 강해지고 있지만 여전
한은 고
자성을 고 하고
있다. 한국이 한 도의 상단 분을 활용하지 하고 바다를 통해 세계와 교류
하는
아
으로 아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
한을 세계 력의 장
으로 이 어 는 첫 단 가 바로
역
만강 개발계
(
:
eate
men nitiative)이다.
는
만강 경지역을 국제자유 역지대로 하
기 위해 유 개발계 (
)이 진 한 만강 유역 개발사업(
)에서
발했다. 한국 중국 러시아
등 동 아 지역의 다자간 제도 경제 의체
는 현 차관 연
의체를 통해 주 전 과 정
을 결정하고 5
개 사업 분야 (교통 역 자 관 에 지)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동
아 교통 연구를 통해 한 도와 대 을 연계하는
교통계 을 수 하고
한의 나진에서 중국
, 러시아 하 을 는
물류 시스 구축에 대
해 활발하게 의하고 있다. 지 해 인 라 구축에
한 원
를 위해
가맹 4개국 수
은 이 모여 금
의체도 발 시 다.
한국과 러시아는 한과 러시아가 공동으로 진 중인 나진-하
로 트
에 한국기업이 진 하는 것을 인정하는 용의 양해 서를 체결 했다. 동아시
아 지역의 대 유럽 수 화물이 시 리아를 통해 운 되는 것을 희 하는 러시
아 의 이해와 극동을 기 으로 대 에 나아가 는 한국 의 이해가 일치
한 결과라고
수 있다. 수
은 도 러시아에 진 하는 한국기업을 지원하
기 위해 총 25
러의 금
지를 제공하는 양해 서를 러시아 과 체
결했다. 한 도와 중국 러시아 등 동 아 경 지역개발, 물류 시스 구축과
에 지 자원
아니라 한을 국제 대로 이 어 는 계기가 된다는
에서 그 전 적 가치가 크다. 따라서 유라시아 대 으로 하는 이 한 도를
중심으로 곳곳에서 새로 만들어지고 있다. 동양사상에서 은 지상의 도로와
平
칼
석
협
투입
흐
난
잇
너
궤 같
프
략
핵
앙
책 내놓
각
망
안
앙
년
히북
못
달
처럼 북
배 픈독
핑 习近
평
억
막
집
반
부
섬 닌섬 살
런북
협
끌 내
추
광 두
획 GTI Gr r
Tu I
GTI 당초 두 접
무
엔 획 UNDP 추
두
TRADP
출
· ·
·몽골
북
협
GTI 재 급 례 협
요 략 책 방향
별 ·무 ·투 · 광· 너
특히
북
망
반
륙
종합 획 립
북
훈춘
산 잇 복합
템
논
난 프
필요 재 확보
출입 행
융협
족 켰
북
추
산프 젝
출
내
각
출
베
송
망
측
점
륙
려
측
볼
출입 행
출
억달
융 패키
각
측
반
·
북 접
템
너 · 확보뿐
북
무
끌 내
점
략
륙 향 길 반
길
22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길
함께 인간으로서의 심성( )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어왔다.
하나의 대 을 위한 유라시아 동 를 도와 도로로 연결하는
물류
트 크를 구축하고 미래에 유럽까지 연결한 후 새로 개 된 극항로와 연
계하여 유라시아의 동쪽과 해양을 연결하는
이 모 중이다. 한 한국은
에 지 트 크 구축도 제 하여 세계적인 에 지 생 국과 소비국이 공존하
는 지역의 성을
국 전력 , 가스 이 라인, 유 이 라인 등 에
지 인 라를 연결 중국의 일 가스, 동시 리아의 유와 가스 등을 공동개
발
(상 이 ) 유라시아 에 지 력을 진하고 있다. 한국은 중 정
아니라 지 정 도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에 적극적으로 여하고 있다.
경상 도는 지 해 신 실크로드 경제권의 수
로를 개 하고 더 어 실크로
드 로 트, 이스
-경주세계문화 스포와 연계한 실크로드 경 경제통상
전 의 구체화를 위해 주한
대사, 국 전문가와 지역기업인 등이
한
가운 한실크로드 경제통상 포 을 개최했다. 한실크로드 경제
통상 포 은 경상 도가 국가 문화 성과 업 기업 이 으로 이어지는 실크
로드 로 트의 경제적 성과 장의 전 이었다.
는 osts를 주도
할 전 신 국이자 르크 경제권으로 진 할 수 있는 심 전 적 교
이
다. 경 도는 한발 를 계기로
관세가
되는 유, 물,
자동차
, 강 등 주
수
목이 경 경제의 주 전 통상 목
에 따라 으로 해
목의 대
시장개 활동지원 등을 적극 강화하고
있다. 한 유럽 아 리카 진 의 교
이 이
문화권으로서 다양한 시
장으로 근 가 한 전 적 충지인
지역에 대한 통상을 대해 나가는
한편 이스
-경주세계문화 스포, 실크로드 로 트 등 문화적 교류와
을
한국 상 의 로를 적극 개 하기 위해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구축하고 있다.
한국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은 새로운 시장의 개 이라는 의미도 있
지만
다 남 이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화 공존의 의미도 있다. 따라
서 한국에 있어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가는 우 중 한 의미를 가진다.
네 워
륙
북 부 철
척 북
복합
방안 색
또
너 네 워
안
너 산
특 살려 내 망
파 프 석 파 프
너 프
셰
베
석
윈윈 호 익
너 협 추
앙 부뿐
방 부
참
북
난
출판
척
불
프 젝
탄불
엑
북
략
터키
내
참석
데 터키
럼
터키
럼
북
융 산 ·
익
프 젝
확
략
터키 P BRIC
략 흥
투
출
핵 략 두보
북
터키 FTA 효
7년 내
철폐 섬 직
부품 철
요 FTA 혜품
북
요 략 품
임
앞
당품
터키
척
또
· 프
출 두보 며 슬람
접 능 략 요
터키
확
탄불
엑
프 젝
친
밀감 키워
품 판
척
무엇보
북
참
평
매 요
4.2 중국의 신 실크로드 구상
척
내
중국은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에 가장 적극적이고 성과를 고 있고 있는 국
가이다. 과거 실크로드를 축으로 주변국과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전 적으로
근하고 있다. 중국은 정적인 경제성장을 유지를 위해 경제성장의 원동력을
신 실크로드 경제 벨트에서 고자 한다.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의
틀
은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경제권 구축이다. 중국경제는 과거 개 ․개 이후
높은 경제성장을 구해
결과 과 생 과 대기오 의 심화, 지 정 의
접
안
추
온
찾
략
큰
잉 산
염
혁 방
방 부 부
북
능
동 아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과 그 가 성 -韓․中․日을 중심으로- ··· 崔 聖 伯…229
채 증가 등 폐해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성장이 크게 둔화되면 생활수준과
고용악화 등에 의해 정치·경제의 안정을 해칠 우려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의 구상은 어려운 중국경제의 활로를 모색한다는 큰 의미가
있다. 신 실크로드 구상은 주변국과의 통상·경제 관계를 심화 중국경제를 강화
하는 것이 목적이다. 시진핑 국가주석이 지난 가을 중국에서 중앙아시아를 거
쳐 유럽에 퍼지는 실크로드 경제벨트구상을 제창하고 같은 시기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EAN)과의 경제협력강화를 목표로 하는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구
축을 제안했다. 리커창 총리도 연일 개혁ㆍ개방 수준을 높이 것을 강조하면서
개혁ㆍ개방을 이루는 구체안으로 21세기 신 실크로드와 경제자유무역지구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중국의 적극적인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은 경제성장의
전 이기도 하지만 동남아의 주도권 사의 전 이기도하다. 중국은 10 째
에서 중국-아세
회( 스포)를 열고 있다. 해상 비단 의 기 이었던
이곳을 21세기 신 해상 실크로드의 교
로
다는 것이 중국의 전 이다.
인구가 14 명에 가까운 중국과
명이 는 아세 을 바
로
다는
구상이다. 나아가 중국의 야심은 동남아에 그치지 않고 있다. 중국은 중국과
중 아시아의 인구 30 여 명을 하나로 는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구상하고
있다. 일단 교통 을 연결한 뒤 이를 역과 금 으로 대하여 거대한 경제
력체를 만들자는 계 이다. 20 명 해상 신 실크로드 경제권의 발 이
이라면 30 명 육상 실크로드의 최전 은 중국 서
(
) 회( ) 자
치구 인 (
)이다. 동남아와 가 고 기후와 인 이 비 한
을 동남아
공 기지로 은 것
이
교도가 많은 인 을 실크로드 경제벨트의
구로 활용하 다는 것이다. 지 해 이곳에서 중국-아라비아국가
회가 열
리는 것도 은
으로
수 있다.
중국정 가 중국과 중 아시아를
하나로 는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만들 는 것은 13 인구 대국인 중국은
유등 존자원이
한 중 아시아와 경제 력 체제를
경제발전에
한 원자 를 정적으로
하 는 전 이다. 중국은
인구가 30 명에
하는 거대 중 아시아를 공 해 로 경기 체에 따 신( )시장 개 을
본 화할
이다. 지 해 서성(陕
) 시 (
)에서 열 유로-아시아
경제포 에서 중국이 제 한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축이 중 아시아 만 아니
라 유라시아 지역 전 에
기회가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주 은 지 해 중 아시아 카자 스 을 문해 나자르바
대 에서
2100 역사를 지 실크로드를 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축을 제 하
신 실크로드 경제권을 위해 중국과 중 아시아 간 교통체계를 개 해야 한
다 태 양에서 발트 해까지 연결통로를 만들고 이를 동유럽과 서남아시아까
지 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리적으로 교통로를 는 것 만 아
략
닝
안 박람 엑
억
앙
망
억
행
략
두보 삼겠
6억
넘
안
무
묶
융
확
년 난
길 점
략
닷길 묶겠
협
획
억
출 점 난닝
억
선
부 닝샤 寧夏 回 족
촨 銀川
깝
종 슷 난닝
략
삼 처럼 슬람
촨
창
겠
난
박람
같 맥락 볼
특히
부
앙
묶
려
억
석 부
풍부 앙
협
갖춰
필
요
재 안
확보 려 략
또
억
달
앙
략 글 벌 침
른 新
척
격 방침
난 섬
西省 안 西安
린
럼
안
앙 뿐
반 큰
될
석 난 앙
흐 탄 방
예브 학
년
닌
살려
안
며
앙
선
며 평
확
특히
잇 뿐
23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폐
융
확
무
늘려 반
협
탄
셈
협
니라 화 등 금 거래를 대하고 역을
전 적인 경제 력을 강화해
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렇게 되면 중국이 주도하는 중국과 중 아시아 인구 30
명을 는 거대한 경제 력지구가 생하게 되는 이다.
이
중국이 적극적으로 중 아시아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소비시장으로
서
아니라 대한 존자원을 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 중 아시아에
서 인된 유 장 은 480
정도다.
천연가스는 인된 양만 8
이지만 전문가들은 실제 규모가 1 00
이상이
것으로 정하고
있다. 중 아시아 카스 해( )에 있는 카 간 유전은 전 장 이 380
로 최근 50 간 전 세계에서 발견된 유전 가운 최대 규모다. 중국 국영 중
국 유천연가스 단(
)은 카 간 유전개발사업에 50
러(약 5조3 50
원)를 자해 지분 8.33 를
했다. 중국은 이 에도 주로 에 지자원 분야
에 중된 20여개 자 정을 통해 카자 스 에만 2 0
러 상 의 자를
하고 르크메니스 에는 중국과 중 아시아를 연결하는 천연가스 수 관
설 장을 약 한 상황이다. 그동 러시아
이 강했던 중 아시아 지역에
서 중국은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구축해 정치경제적 영 력을 강화하는 기
회를 잡은 이다. 미국이 리 등 동남아시아 지역 국가들과 사 력을 최
근 강화하고 있어 중국은 중 아시아를 력 트 로 만들어 동유럽 진
를 위한 교
를 마련하고 있다.
중국정 는 2100여
전 중국
의 장 은 교 사 로서 중 에
번
가서 중국과 중 아시아 국가들과의 우 교류의 문을 열고 유라시아 동서를
는 실크로드를 열었다. 카자 스 은 실크로드가 통과하는 이고 일단 다
과 문화의 상 교류와 력의 진에 중 한 기여를 했다. 유구한
이 역사적인 실크로드에서 국의 사 들은 오 동 교류로
해 왔
다. 중국은
국 이 스스로
한 발전
과
정 을 존중하고 중
아시아 국가의 정에 결 간 하지 않고 지역문제에서 주도권을 구하지
않으면서 서로 고 지지하고 서로 진정으로 신 하는 은 교류를 강조했
다. 국가의 주권, 영토 전, 전, 정에 관한 중 한 심적 이 에서 서로
고 지지하고 힘을
상 번영을 이루자는 것이다. 이 구상은 상하이
력기구5)와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와의 력을 강화함으로 더
발전 공간을
을 수 있을 것이다.
유라시아는 중국과 함께 신적인 력 모 을 통해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억
묶
앙
처럼
앙
뿐
막 부
매
재 앙
확 석 매 량
억 배럴
또
확
6억
배럴
6 억 배럴
될
추
앙
피 海
샤
추 매 량
억배
럴
년
데
석
집 CNPC 샤
억달
7 억
투
% 확보
외
너
집
투 협
흐 탄
6억달 당 투
투
탄
앙
송 건
확
속
안
입김
앙
향
셈
필 핀
군 협
앙
협 파 너
출확
보
두보
부
년
漢代 건 외 절
앙 두
앙
호
잇
흐 탄
땅
른
민족
호
협 촉
요
옛날부
터
각
람
랫 안
친숙 져
각 민
선택
노선 내외 책
앙
내
코 섭
요
확 히
뢰 좋
보 안 안
요 핵
익
확 히
합쳐 호
협
협
써 큰
얻
혁
협 델
협 SCO
흐 탄키
프 탄
랑 터키
5) 상하이 력기구(
년 6월
上海
립 며
탄 키 탄 즈베키 탄 6
재 몽골 파키 탄 란
옵 버 격 참
며 파 너
)는 2001
15일 상하이(
)에서 설 되었으 회원국으로는 중국, 러시
아, 카자 스 , 르기스스 , 타지 스 , 우
스 등 개국이다. 현
,
스 ,이 ,
인도, 아 가니스 등 5개국이 서 자 으로 여하고 있으 대화 트 로는 벨라루스, 스
리 카,
등 3개국이 있다.
북
능
동 아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과 그 가 성 -韓․中․日을 중심으로- ··· 崔 聖 伯…231
건
협
능
책
공동 설하여 지역 대 력을 단계적으로 형성이 가 하다. 첫째 정 면의 의
사소통 진 국이 경제발전전 에 대해 교류하고 지역 력계 과 조치를
의 후 결정한다. 둘째 도로의 연결 강화 태 양에서 발트 해에 이르는 해상 대
수 로를 개통 동아시아, 서아시아, 남아시아를 는 교통 운
트 크를
차 구축한다. 셋째 역의 원활성을 위해 국은 역 자의 원활화 진에
대해 토하고 적 한 조치를 해야 한다. 째 통화 유통 강화를 위해 자국통
화결제의 실현을 진하여 금 위
어 력을 강화하고 지역경제의 국제 경
력을 강화한다. 다 째 사 들의 마음의 연결 강화를 위해 사 들의 래를
강화하고 상 이해와 전통 우정으로 상 발전이 가 할 것이다. 이에 카자
스 은 중국의 전 적 구상 실크로드 경제 벨트의 구상에 동 을 약 했다. 중
아시아 국은 이미 중국과
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
중국은 남
쪽으로 해상 실크로드를 비하고 서쪽으로는 육상 실크로드를 세 경제
영토 장에 진하고 있다. 시 주 이
후 첫
국으로 러시아를
을 정도로 쪽에도 공을 고 있다.
이제 남은 것은 동쪽 에 다. 남서 쪽에서 하고 있는 동으로
때
중국은 동쪽으로도 장하여 중국의 힘을
나 것으로 생 된다. 소수
을 세 동남아와 이
을 포 하듯 우리 동포인 중국의 조
을 세
중국-한 도 경제권 그 을
을 수 있다. 남한의 수 에서 중국의 비중
이 30 나 되고 한의 대중 역의존도가 80 인 상황에서 이를 거 할 형편
은
된다. 한 도 경제는 이미 중국의
에 있다.
그러나 중국의 동진(東 )은 만만치가 않다. 최근 중국과 일본의 등이 고
조되는 것은 이 동쪽에서도 주도권을 리는 중국과 이를 인정할 수 다는
일본의 충 이라고
수 있다. 그리고 그 일본의 뒤를 미국이 받 주고 있
다. 이 구도 사이에 한국이 있다. 역사에서 면 대 과 해양 세력이 마 을
을 때나 중국과 일본이 상 마 을 을 때는 한 도는 전
로 전 하는
것이 다 사였다.
경제는 중국,
는 미국과 잡은 리는 제가
질 수 에 는 모 을 고 있는 형국이다. 그러나 한중일 모 경제성장이
국가정 의 최우 으로 하고 있어
틀에서 한중일 모 신 실크로드 경제벨
트에 가를 희 하고 있다. 따라서 한중일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가는 경
제적 이
아니라 지역 화 정에도 도 이
것이다.
증 각
송
무
절
추
섯
검
쟁
호
탄
앙
각
확
준
북
족 내 워
워
반
%
북
못
반
빚
런
젠
확
평
협 획
람
능
쏟
밖 없
석 취임
슬람 섭
림 내놓
무
참
4.3 일본의 신 실크로드 구상
출
보
두
움 될
슷
내각
점
추
왕
흐
처럼
내 워
찾았
볼
민
선족 내
부
갈
륙
반
손
협
속
행
각
%
손안
호 찰 빚
안보
반
특히
밖 없 순 안
책
선
큰
참
망
익뿐
평 안
순방
북
넓혀 갈
노
런
볼
송네 워
무 투
밀접
進
찍
량 증 키
추
당 베
잇
각
넷
융 험방 능
람
호
략
매
돌
략
쳐
없
찰
쟁터 락
괴 언 터
두
참
일본도 일 이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와 비 한 동아시아공동체로 일본의 역
을 대시 고자 하였다. 2009 하토야마
때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을
진하였다. 시 이징에서 열 한중일 3국 정상회의에서 장기적 목표로서
년
린
23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협
합
또
동아시아공동체의 발전과 지역 력에
의 했다.
한 하토야마 총리는
한중일 3국 정상 회의에서도 동아시아공동체에 대해 설명 했다. 시
일본의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에는 미국을 제한 아시아태 양자유 역지대 구
상을 제 했다. 하토야마가 원하는 동아시아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미일
동맹문제나 동아시아의 역사문제 그리고 한문제 등 여러 제가 있었다.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은 일본의
경제권 구상이 미일동맹( 사 경제)
체제의 등을 래할 수 있는 사 이었다.
1990 대에 동 아경제권 구상( 만강 개발)을
을 때도 아시아의 지
권을 고 미일 간에 의견이 있어 뜻을 이루지 하였다. 바로 일본이 제국
주의로 자신의 타적 세력권과 미일 동맹을 유지할 것인가 하는
이었다.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동 아경제권 구상(일본, 중국, 한국, 러시아, 한,
)은 1990 가 마루의
으로 일 상이 본 화되었다. 1991 에는 유
개발계 (
)은 만강유역개발을 세 일본은 유 도 가시 동
아경제권 구축에
했다. 그러나 이 한 미국은 아시아를 일본의
대로
만드는 것에
하게
하고 사 문제와 마 가지로 만강개발도 경제
제 의 대상이라고 일 을 주어 동 아경제권 구상을
시 다.
그 후 2001 정상회의에서 동아시아 공동체를 한 이라는 고서가 제 되
고 의 되었지만 의에 이르지 하고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경제권 구상이
진전 이 오 에 이르고 있다. 시 하토야마 정권은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으
로 일본의 자적인 경제권을 형성 하 고 하였다. 일본이 주도하는 동아시아
공동체는
10개국 일본 중국 한국 질 드 주 인도 1 개국의 경제권
이다. 동 아경제권은 일본, 중국 동
, 러시아 극동,
, 한, 한국 동해
의 개국으로 동 아경제권은 동아시아공동체에 포 되어 렸다.
동 아경제권의 징은 일본(자본 단 기술), 한국( 설기술), 중국 동
( 동력 자원) 한( 동력 자원),
(자원), 러시아 극동(자원, 유, 천연가
스)을 결 하여 하나의 지역 경제권( 동해 경제권)을 형성 하 는 계 이었
다. 구체적으로는 1990 대 중 에 계 이 수 되어 있었는 이때 신 실크로
드 경제벨트에 대한 구상도 들어있었다. 시 계 에는 실크로드 도에 대한
것으로 중국 강소 황해 해 에서
실크로드를 따라 러시아 영토에 들어가는
유라시아 대
단 도이다. 만 아니라 만강개발계 도 있었는
만강
개발에만 머물지 않고 더
이 관여하 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이는 중
국, 러시아, 한, 라
스토크-연 - 진을 는 대
지대와 드 -라진을 연결하는 은
지대를 개발지역으로 지정하고 그 지역의 여러
도시를 경제 구로 지정하면서 도시근로자의 동원을 진 하 고 하고 있었다.
이미 경제 구로 지정되어 있는 것은 나진
진( 한), 나 카 라
ASEAN+
배
안
히
갈
년
배 놓
초
북
배
안
두
독점
북
평
며
내놓았
못
무
난
군 ·
당
특
싸움
북
북 몽
골
년 네
방북 북 협
격
년
엔 획 UNDP 두
내 워
엔 참 켜 북
돌입
또
독무
민감 반응 핵 찰
찬
두
재
격
북
좌절 켰
년
향
보
출
논
합
못
없 늘
당
독
려
ASEAN + · · +뉴 랜 ·호 ·
6
북
북부
몽골 북
안 6
북
섭 버
북
특
·첨
건
북부
노
북 노
몽골
석
합
환
려 획
년 반 획 립
데
당 획
철
안 옛
륙횡 철
뿐
두
획
데두
욱 깊숙
려
북 블 디보
길청 잇
삼각
핸 백훈
춘
작 삼각
특
촉 려
특
·선봉·청 북
홋 블 디보
북
능
동 아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과 그 가 성 -韓․中․日을 중심으로- ··· 崔 聖 伯…233
톡
배
훈춘
6
립
스 (러시아),
(중국)의 도시 이었다. 그러나 아시아지역경제권이 성 되
면 타적 경제관계가 형성되고 미국은 아시아 진 의 장 를 받게 된다. 결국
미국은 동 아경제권 구상 자체를
시 다.
하토야마 총리는 시
오바마 미국 대통 과의 회 에서는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에 대해서는 한마 도
하지 않 다. 은 해 한중일 정상회
에서 지금까지 미국에
의존 했다 하토야마 총리의 동아시아공동체는
분명 미국을 제한 것이었다. 오카다 상이 동아시아 공동체에 미국은 포
함되지 않는다고도
다. 미국을 제 하는 1 개국의 타적경제권을 형성하
는 일본의 의도에 위기 을
고 있던 미국은 200
11
하 이
정상회의에서
역 에서 자유 역권을 구한다는 이유로 하토야마에게
도 수정을 구하였다.
리
크 이후의 세계경제 상황은 자신의 경제권을 구축 하지 않고서는 제
국주의의 이 을 유지할 수 는 시대를 맞고 있었다. 유럽에서는
가 남미
에서는
가
경제권의 형성되어 있었다. 아시아는 어 가 지 하는가
가 대 의 심이다. 일본도 마 가지로 아시아를 자신의
적 경제권에 포
하고 아남으 고 하고 있다.
기를 기회라고
하고 중국, 러시아,
한의 자원과 동력을 약 하기 위해 일본자본의 진 을 위한 동아시아공동체
구상의 심이다.
그 후 아 신조 일본 총리는 최근 아시아와 유럽을 는 지정 적 대국
를 문하고 국
의 주목을 었다. 론들은 일 적으로 원전 기술의
에
을 맞 고 있지만 아 가 1 에
차
를 문한 목적은 원전
력 만 아니라 중국의 실크로드 구상에 대한 위기 에서 나 것이다. 아
는 지 해 스포러스 해 을 관통하는 해
개통 에서 일본과
는
아시아 이라면서 도 를 발하여 이스
을 경유하여 던에 이르는 고
도의 을 함께 자고 말했다. 그러나 일본이 새로운 아시아 유럽 실크로드
의 기 이 되어 그 지정 적 상황을 도 시하고 있다. 동아시아에서 대 과
등을 래한 일본은 지정 적으로 리한 것을
을 위해 머나
를
한 것이다.
1990 대
이후 중 아시아, 카서스 지역 국가들의
과 함께 중국
과 서쪽 아시아를 는 중 아시아 지역이 다시 국제 사회에서 강하게 중시되
는 가운 일본은 중 아시아 지역은 미래의 중 한 에 지 공 원 일 만 아
니라 지정 적 역할에서 도 중국의 발전을 견제하고 제 형을 도모하는
전 지로 생 하고 있다.
는 고대에서 중국 실크로드의 중 한 분이
중 아시아 지역은 실크로드의 수 경유지이었다. 중 아시아 국가들은 역사,
교, 어, 문화 등의 면에서 모
와
한 관계를 가진다. 하지만
북
히
려
궤
먼쇼
무산 켰
출
애
당 버락
령
담
디 언급
았 같
담
너무
며
배
외
밝혔
외
6
배
감 느끼
6년 월 APEC 노
APEC 내
무
추
요
섭
익
없
EU 북
NAFTA 각
디 배
립 핵
찬
독점
살 려
혼란
호언
북
노
탈
출
핵
베
잇
학
터
방
내외
끌 언
반
판
초점 추
베 년 두 례 터키 방
뿐
감
온
베
난 보
협
저터널 식
터키
귀
쿄 출
탄불
런
속
꿈
보
점
학
외
립 갈
초
학
불
보완
먼 터키 선
키
매
협
철
택
년 초반
데
략
앙
종 언
학
잇
앙
각
앙
앙
코
독립
요
너 급 뿐
봐
억 ·균
터키
요 부 며
필
앙
측
두 터키 긴밀
터
23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키와 단결하여 신 실크로드 지정학 틀을 구축하고 중국의 발전을 억제하려는
일본의 의도는 쉽지 않다. 일본의 아시아-유럽 신 실크로드의 개념은 역사적
현실 인식이 부족하다. 일본에서 이스탄불 방문 사이에는 바다가 가로막고 있
어 육로로는 매듭 수 없다. 터키 정부는 새로운 실크로드는 철도에 의해 아시
아와 유럽을 다시 연결하는 중요한 교역로라고 한다. 즉 신 실크로드는 아시아
-유럽 육상 상업무역 루트 인 것이다. 일본은 섬나라로 아시아 대륙과 연결되
어 있지 않아 아시아-유럽 신 실크로드를 주도는 어렵다.
아베의 아시아-유럽 신 실크로드의 근본적인 목적은 중국의 발전을 견제하
는 것이다. 이는 중국이 추진하는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과 본질적으로 다
르다. 터키 자신의 전략 구상과도 거리가 멀다. 터키가 보스포러스 해협 해저
터널을 건설하고 아시아 유럽의 교통 인프라 연결에서 착수 한 것은 중국, 일
본 등 다른 나라의 투자를 유치하고 터키 경제발전에 도움을 유도하는 것이다.
일본의 중국 봉쇄 지정학적 역할에 보조를 맞추는 것으로 생각하기는 어렵다.
또한 일본의 터키와 친한 관계는 아마도 일방적 인 믿음에 불과하다. 터키 외
교의 가장 큰 목표는 EU회원국이다. 회원으로 가는 길은 간단하지만은 않지만
목표를 포기한 것은 아니다. 이번 보스포러스 해협 해저터널도 사실은 EU와의
거리를 더 줄이는 아이디어가 숨어 있다. 하지만 일본은 터키를 중국 봉쇄 진
영으로 끌어들이려는 외교적 목표는 아직은 어렵다. 이러한 정반대의 개념으로
일본의 구상은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21세기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는 신 실크로드 구상에 일본도 적극적
인 자세가
하다. 그것이 일본이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
하고 한중일
화공존을 위해서도 중 하다. 이제는 일본도 주변국과 역사적 인 을 이 하
면서 상 동 자라는 가치관을 가질
가 있다. 오
국제사회는 그 어
국가도 단 으로 아남기에는 어 운 경이 되어있다. 한중일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은 상 공존 번영의 기회를 제공할
아니라 동 아 화 정
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필요
필요
요
호 반
독 살
호
필요
려 환
늘날
뿐
식 같
평
느
북 평 안
5.결론
될
한중일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는 21세기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것이다.
과거 실크로드로의 명성을 가진 아시아-유럽 지역이 오 만 세계에서 주목
을 받지 했다. 과거나 현 도 아시아-유럽지역은 세계경제 발전의 견인이
되고 있다. 이제 아시아는 세계경제생 총 의 30 를 차지하고 있다.
못
재
늘 큼
산 액
%
네덜란
북
능
동 아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과 그 가 성 -韓․中․日을 중심으로- ··· 崔 聖 伯…235
케넨데
뒷 침
광
늘날 각
호
속 써
무
려
두
방향
드 바루
전 총리가 세계의 중심이 서양에서 동양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한 것도 이를 받 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대한 유라시아 대 은 인류문명 진화의 과정에서 중 한
역할을 해왔다. 오
국이 진하는 전 계 은 모 에 지, 교통시설의
상 연결을 가 함으로 지역 경제의 일체화를 도모하고 유라시아 대 자
유 역지대를 구축하 고 한다. 유라시아 대 자유 역지역은 아시아와 유럽
가지
성 국가가 주도하는 유라시아 경제통 의 새로운 틀을 형성 하고
세계정치와 경제의 새로운 질서 만들기를
하고 있다. 지금 유럽연 ( )
과 중국 사이의 천연 드 리지가 더 정비되고 있다. 이제 상트페테르 르
크와 중국을 는 8000 이상의 대 간
에 중국에서 유럽의 화물운
시간은 약 80 단축되어 2020 화물운
은 3300만 에 이를 전 이다. 이
것은 중국, 카자 스 , 러시아, 벨로루시 간의 수 을 구함과 동시에 루트를
발트 해 항구까지 대되어 유라시아 대 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신 실크로드 구상은 아시아와 유럽 아니라
스 서남 의 구와다루
항구에서 신강 카스까지 연장하여 중국
스 경제 회 은 이미 양국의 경
제 계 에 포함되어있다. 회 의 상업 가치는 신강과
스
만 아니라 지
역 전체에 영 을
것이다. 지 해 열 중국 아시아 유럽지역 통신교류
력 포 에서 아시아 유럽 국 대표 150여명은 아시아 유럽 지역 통신 트
크의 통 을 진하여 지역의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지 실크로드를 구축하
기로 의했다. 이
의 신 실크로드 개 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가 중국이
다. 중국은 지정 적으로 유리한 것도 있지만
다 에 지 자원의
때
문이다. 중국은 말라카해 남중국해 동중국해 수
유 80 를 수 하고 있다.
최근 미일과 사적 장은 중국의 에 지
에 위기 을
는 것이다. 중
국은 최근 동중국해에 공
구역을 포한 이어 남중국해에는 첫 항모인
오 (
)함을 견하는 등 해양에서
를 과시하고 있다.
지 해 중국 함과 미국 함이 남중국해에서 충
전까지 가는 일
발의 상황까지 어 다. 중국의 이 해양 기(
우 서는 것)는 동아시
아 권을 고 미국과 경 을 본 화하는 과정에서 비 된 것이 관 이 많
다. 그러나 중국 장에서 해양은 수
유의 80 이상이 들어오는 경제적 생
명 이다. 정치적 권 다 고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해 력 강화가
한 상황이 분 이 나 다. 중국은 1990 대 까지 유 수 국이었다.
그러나
한 경제성장으로 1993
유 수 국이 다. 2009 에는 일본
을 제치고 세계 2위의 유
수 국이 되었다. 이제 유 수
은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중국의 유 해 의존도도 1993
에 과했
으나 2012 에는 5 . 에 이르 다. 문제는 중국의 연간 유수
(2 120
랜 브
㎞
잇
%
흐 탄
확
추
륙
략 획
륙
재촉
년
욱
륙 노선
송량
요
두 너
륙
무
합
톤
송 촉
망
합 EU
부
송
륙
뿐
파키 탄 부
파키 탄
랑
획
랑
파키 탄뿐
향 줄
난 린 ·
·협
럼
각
네 워
합 추
디 털
합
처럼 꿈
척
학
무엇보 너
확보
협·
·
입석 % 송
군 긴
너 안보
감 느끼
방 식별
선 데
랴 닝 遼寧 파
건재
난
군
군
돌직
촉즉
벌 졌
런
굴 崛起· 뚝
패 놓
쟁 격
롯
란 측
입
입석
%
선
패 보 먹
군
필요
란 석 온
년 초 석 출
급속
년부터 석 입 됐
년
석 순 입
석 입량
석 외
년 6% 불
년
6 7%
렀
석 입량 억7
23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
협
점
선박
쳐
협
만t)의 80 이상이 말라카 해 을 통과한다는 이다. 말라카 해 은 인도양과
태 양을 연결하는 해 으로 연간 5만
이상
이 이용한다. 중국 유조
도 말라카 해 을 지나 남중국해와 동중국해를 거 중국 주 도시에 도
한다. 이
말라카 해 을 포함한 동 남중국해는 중국 경제의 에 지원이 수
시로 지나가는 곳이다. 그
이 말라카 해 을 미해 이 장 하고 있다. 일
본은 최근 단적 자위권 사 대상에 동 남중국해의 유 수 로를 포함하여
중국을 자극했다. 후진타오(
) 전 중국 국가주 은 2003 말라카
마
가 중국의 장기적인 에 지
정 에 심적인 고 사항이라고 말했다. 만
약 말라카 해 이나 동 남중국해의 유 수 로가
는 사태가 발생하면 중
국경제는 치명상을 을 수도 있다. 중국의 신 실크로드 구상은 육상을 통한
유 수
다변화와 해상 실크로드는 기존 해상 수 로 전
를 의미하
는 것으로 해 할 수 있다. 그러나 해상 실크로드의 실현에는 제가 있다. 바
로 화되고 있는 중일관계다. 아 신조 총리는 중국이 카 열도 상공에
공
권을 설정 한 것에 대해 일본 고유의 영토 인 카 열도 상공이 마
치 중국 영공 인
영공 표시하는 것을 받아들일 수 다
회를 구
했다. 그러나 중국 은 거
을 분명 하고 있어 중일관계는 지 해 말
제2차 아 정권 발 이래 가장 장된 상황이 되고 있다.
일본도 어 운 국 경제적 상황이나 극동지역의 화공존을 위해서는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에 적극적인 가할
가 있다. 그러나 현 로서 일본은
한중과 관계 화로 대 을 연결하는 신 실크로드 구상 가에는 지 않다. 그
래서 일본은 우회적으로
에 관심을 리고 있다. 하지만
는 고대에서
중국 실크로드의 중 한 분이 중 아시아 지역은 실크로드의 수 경유지
이다. 중 아시아 국가들은 역사, 교, 어, 문화 등의 면에서 모
와
단결하여 신 실크로드 지정 적 틀을 구축하고 중국의 발전을 제하 는 일
본의 의도는 차이가 있다. 그 이유로 중국은 이미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축
계 에 중국과 많은 중 아시아, 서아시아 국가들과 경제적, 문화적 관계를 가
지고 있다. 고대 중국의 실크로드 문화 관계를 받 하고 있다. 현 와 미래
에 있어서 새로운 실크로드 경제벨트는 중국과 중 아시아, 서아시아 국가의
우 관계 발전을 더 강하게 할 것이다. 이들 지역은 중국이야말로 지신들의
국가 경제발전에 이 을 가 다
국가 을 이해한다. 신 실크로드 경제 벨트
는 연 의 중 아시아, 서아시아, 나아가 유럽 국가의 경제발전에 새로운 기회
를 제공할 것이다. 결국 신 실크로드 지정 적 틀을 조정하는 일본의 의도는
힘을 게
것이다. 한 일본의 아시아 유럽 신 실크로드의 개념에 대한
역사적 현실 인 도
하다. 일본에서 이스
문 사이에는 바다가 가로
고 있어 육로로는
수 다.
는 새로운 실크로드는 도에 의해 아
평
선
협
협
처럼
협
집
협
석
입선
격
방 식별
척
입
·
런데
협
군 악
행
·
석 송
胡錦濤
석
년
너 안보 책 핵
려
·
석 송 막히
석
건처럼
측 부 방침
히
베
족
긴
려 내
참 필요
악
륙
터키
돌
요 부 며 앙
앙
종 언
학
앙
호
선
앙
잃 될
막
익
또
식 부족
매듭
난
요
재
참
쉽
터키
필
측
두 터키
억 려
재
임
학
없 터키
딜레
평
뒷 침
앙
져 줄
착
너
송 안 확보
난
센 쿠
센 쿠
없 며철
베
획
요
행
탄불 방
철
북
능
동 아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과 그 가 성 -韓․中․日을 중심으로- ··· 崔 聖 伯…237
요
즉
시아와 유럽을 다시 연결하는 중 한 교역로이다.
신 실크로드는 아시아 유
럽 육상 상업 역 루트 인 것이다. 일본은 나라로 아시아 대 과 연결되어
있지 않아 아시아-유럽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에서 주도적 역할은 지 않다.
세 번째는 일본의 아시아-유럽 신 실크로드의 근본적인 목적은 중국의 발전을
견제하는 것이다. 이는 중국이 진하는 신 실크로드 경제 벨트 구상과 본질적
으로 다르다.
자신의 전 구상과도 거리가 다.
가 스포루스 해
해
을 설하고 아시아 유럽의 교통 인 라 연결에 수 한 것은 중
국, 일본 등 다 나라에서 자를 유치하고
경제발전에 도 을 으 는
것이다.
가 일본의 중국
지정 적 역할에 조를 맞 는 것은 생 하
기 어 다.
교의 가장
목표는
회원국이다. 이러한 정 대의 개념
으로 일본의 구상은 실 할 가 성이 높다. 따라서 일본은 현실인 을
더
명 하게 가질
가 있다.
으로 신 실크로드 구상에 적극적인 중국과 이를 견제하 는 일본 사이에
한국이 있다. 한국은 현 지정 적 어
을 고 하여 러시아를 경유하는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구상하고 있으나 이 루트는 우회지로 중국이 진하고
있는 중 아시아 루트 다 거리가 있다. 따라서 한국은 중국이 주도적으로 진
하고 있는 신 실크로드 구상에 가함으로 경제적 이
아니라 한 도
화 정에 도 이 되는 전 을 세
가 있다. 현 중국과 한국의 관계
는 그 어 때 다 우 적인 분위기이다. 중국 역시 지정 적으로 나 역
규모로 나 한국의 가는 중국의 국 에도
한다.
다 한중일이 진하고 있는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은 21세기 새
로운 경제성장의 동력 은 분명해 인다. 이 지역은 이미 동력에
한 자
금, 동, 기술 등 경제성장에
한 소들을 고루
고 있다. 한중일 3국
이 상
력하여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의 성공적 진은 새로운 거대
경제권을 생 시 것이다. 이를 바 으로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에 가 관련
지역 중 아시아,동남아시아,중동,아 리카,유럽까지
어 세계 경제성장에도
도 을
것이다. 따라서 한중일은 경제성장 아니라 지역의 화유지를 위
해서 적극적인 력이
하다.
무
터키
협 저터널 건
른
터키
렵 터키 외
확
끝
행
평 안
필요
추
략
투
봉쇄
큰
패 능
재
앙
보
학
섬
륙
쉽
멀 터키 보
프
착
터키
움 얻 려
학
보
추
각
EU
반
식 좀
려움
려
려
추
참
써
략 월 필요
움
느 보 호
보
참
익
무엇보
추
임
보
노
필요 요
호협
탄 킬
탕
앙
프
움 줄
노 필요
재
부합
갖추
뿐
넘
익뿐
반
학
보 무
필요
추
참
평
23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參考文獻】
승윤외(2003), 『바다의 실크로드』청아출판사
박상옥외(2007), 『옛날의 실크로드 오늘의 우즈베키스탄』서울대학교출판부
남희상(2004), 「철의 실크로드:ASEM, 국제심포지움(ASEM Stmposium on an
lron silk Road)한국철도기술연구원 남북철도기술 개발사업단
이규헌(1988), 『실크로드』서문당
이길구(1944), 『신 실크로드』수문출판사
정지영(2006), 『실크로드 2006-2007)』성하출판사
주장환(2011),「중국의 대 중앙아시아 경제전략의 변화」
『대한정치학회보,Vol.18NO.2』대한정치학회
최연혜(2013), 「유라시아 실크로드 익스프레스(SRX)철저히 준비해야」
『철도저널 제16권 제5호』철도청
정수일(2009), 「실크로도의 새로운 이해」『e-Eerasia.Vol.2009NO.19』한양대학교
아테지역연구센터
이평래외(2013), 「실크로드의 현장 신장의 역사」『동북아역사논총39호』
沢木耕太郎(1994), 『シルクルード』新潮文庫
加藤九祚(2013), 『シルクルードの古代都市』岩波新書
黒木亮(2009), 『シルクルード滑走路』角川文庫
長澤和俊(1993), 『シルクルード』講談社學術文庫
吳逸良(2011), 「新シルクルードの経済発展に関する研究」
『経済科学研究紀要第41号』
陸亦群(2008),「新シルクロードの地域経済発展とビーズ型」
『經科硏レポート(34)』日本大学経済学部経済科学研究所
辻忠博(2009), 「新シルクロード地域におけるビーズ型, 開発戦略を通じた経済発展
の可能性について」 『經科硏レポート(39)』日本大学経済学部経済科学研
究所
第10回国際シンポジウム『中国の新シルクロード戦略と国際協力』日本華人教授会
主催
刘育红(2012),「新丝绸之路交通基础设施空间溢出效应经济增长区域合作」
『博士论文』陕西师范大学
卜婷(2009),「丝绸之路西段工商业城市研究」『硕士论文』兰州大学
魏书杰(2009),「中国海上贸易发展战略研究」『博士论文』中共中央党校
黄志刚(2005),「交通基础设施建设与区域经济协调发展研究」『硕士论文』长沙理工
大学
陈桃(2013),「NHK《新丝绸之路》的叙事研究」『硕士论文』兰州大学
양
북
능
동 아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과 그 가 성 -韓․中․日을 중심으로- ··· 崔 聖 伯…239
要旨
文明の繁栄は一つの地域に長くとどまらない。19世紀末に登場したパックス·アメ
リカは20世紀末に至ってその力が弱まった。その以前, 多くのパックス文明の繁栄地
もそうだった。最近トインビーの文明西遷説が注目を集めている。西欧中心の表現
だが地理上の発見時代にはスペインに続き英国が黄金期を迎えた。18〜19世紀には
ヨーロッパの帝国主義が猛威し、かつてロシアも世界の覇権を享受した。そして19
世紀末から20世紀末に至るまでパックスアメリカの世紀であった。しかし、今パッ
クスアメリカの時代も弱体化され、文明圏が再び西に位置している環太平洋圏の韓
中日への関心が高まっている。
21世紀の東洋文化圏が新たな文明地として注目を浴びるいくつかの理由がある。
第一は、技術と資本力を持つ日本と戦後工業化に成功した韓国、そして世界2位の経
済大国になった中国が共存している。ここの地域では次の文明地として十分な枠組
みを構築している。第二に、ヨーロッパがキリストという一つ共通の文化として繁
栄を享受したが極東地域でも儒教文化圏という共通の文化を形成している。第三
に、文明の西遷説を仮説として見れば以下の文明圏はアメリカの西に位置している
韓中日になるだろう。第四に、最近より一層関心を高めることが新シルクロードの
経済圏である。ヒラリー·クリントン前米国務長官の提案以後、韓中日は新シルク
ロード経済圏構想に新たな経済成長の動力を探そうとしている。新シルクロードの
経済ベルトに起因する経済的な効果は韓中日だけでなくシルクロード周辺関連国ま
で経済的効果を大きいだろう。
何よりも、韓中日が推進している新シルクロード経済ベルト構想は21世紀の新し
い経済成長の動力であることは明らかである。この地域は、すでに動力に必要な資
金、労働、技術など経済成長に必要な要素をすべて備えている。韓中日3カ国が協力
して新シルクロード経済ベルト構想を追い求めていくと自然に一つの経済圏も形成
されるだろう。これを基に新シルクロード経済ベルトは経済ベルト関連地域、中央
アジア、東南アジア、中東、アフリカ、ヨーロッパを越えて世界経済成長にも大き
な助けを与えるだろう。したがって、韓中日は新シルクロード経済ベルト構想に積
極的な努力が必要である。
キーワード: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경제공동체, 문명의 이동, 육상 실크로드,
해상 실크로드, 한중일 실크로드 경제공동체
투
고 : 2014. 2. 28
1차 심사 : 2014. 3. 15
2차 심사 : 2014. 4. 5
독도・센카쿠제도・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정부의 차별적 영유권 인식
1)최
장 근*
(e-mail: [email protected])
次
目
1.
2.
3.
4.
5.
6.
7.
들어가면서
일본의 영토문제의 발생경위
일본국회의 기본적인 영토인식
센카쿠제도와 독도의 영토적 권원의 비교 인식
북방영토와 독도의 영토적 권원의 비교 인식
일본의 국재사법재판소와 미국에 대한 인식
맺으면서
1. 들어가면서
2012년 12월 자민당이 중의원 선거에서 승리하여 아베 신조가 총리로 선임
되었다. 아베는 세계 보편적인 가치관을 이해하지 못하고 자민족의 자존심과
눈앞의 국익에만 집중하는 편협한 민족주의적 사고를 갖고 있다.1) 이런 관점
에서 아베정권의 대두와 더불어 동아시아의 영토문제가 더욱 복잡해질 것이
예상된다.
* 대구대학교 일본어일본학과 교수, 일본정치 전공
1) 「아베 극우행보 목적지는 전범역사 탈피」,
http://news.mk.co.kr/newsRead.php?sc=60200111&year=2013&no=703155 (검색일 2013년8월19일)
“아베 정권이 추진하는 극우 행보의 궁극적인 종착역은 국방력 강화다. 바꿔 말해 태평양전쟁을
일으킨 ‘전범국가’ 일본에 그동안 부과돼온 `전범체제`에서 탈피하는 것이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703155[검색일 : 2014년2월27일])라는 지적이
있다.
24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현재 센카쿠제도는 자민당의 아베 신죠(安倍晋三)정권이 섬을 국유화함으로써
중국이 영유권 주장을 강화하고 있다.2) 북방영토는 현재 러시아가 실효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상태이다.3) 독도에 대해서는 한국이 실효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상태에서 일본정부는 일본국민과 국제사회를 통해 한국이 불법적으로 점령하고
있다는 주장을 더욱 노골화하고 있지만, 한국정부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일본정
부에 대해 한국영토라는 입장을 관찰시켜왔다. 영유권 문제는 표면적으로 서로
가 영유권을 주장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그러나 사실상 외적인 주장과 달
리 자신들의 주장이 지나치다는 내적인 입장을 갖고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처럼 일본이 센카쿠제도분쟁, 북방영토분쟁, 독도문제를 두고
주변 3국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일본의 주장이 얼마나 합당한가에
관해 국회의사록4)(1950-70년대)을 분석하여 고찰하려고 한다. 동시에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모순성을 고찰하려고 한다.
2. 일본의 영토문제의 발생 경위
1945년 일본이 패전과 더불어 무조건 항복함으로써 연합국이 포츠담선언에
의거하여 영토조치를 단행했는데, 이에 대해 일본이 이의를 제기하여 영토문제
가 여러 군데 발생하게 되었다. 일본에 있어서 전후 미결된 지역은 오키나와제
도(沖縄諸島), 아마미 오시마(奄美大島), 오가사와라제도(小笠原諸島), 죽도(竹
島), 북방영토(北方領土), 센카쿠제도(尖閣諸島) 등이다. 대일평화조약에서 오키
나와, 아마미 오시마, 오가사하라군도에 대해서는 일본의 잔존주권이 인정되어
아마미 오시마는 1953년, 오가사와라도는 1968년, 오키나와는 1972년에 반환되
었다. 독도와 북방영토는 일본이 실효적으로 관리하던 지역이 아니었을 뿐만
아니라, 연합국이 대일평화조약에서 잔존주권을 인정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일방적으로 영유권을 주장하여 영토문제가 발생되었다. 독도문제는 대
일평화조약 이후 1952년 이승만대통령이 평화선을 선언함으로써 영토문제가
표면화되었고, 북방영토문제는 1956년 일소 양국이 공동선언을 발표함으로써
표면화되었다. 독도는 1965년 한일협상을 통해 한국의 실효적 관리가 일본에
의해 묵인되었다. 북방영토문제는 1956년 일소공동선언을 통해 평화조약이 체
결될 때 소련이 하보마이, 시코탄도를 일본에게 인도한다고 명확히 했으나,
2) 최장근, 「전후 일본의 ‘센카쿠제도’에 대한 영토전략」, 『독도문제의 본질과 일본의 영토분쟁의
정치학』제이앤씨, 2009, pp.191-234.
3) 최장근, 「전후 일본의 ‘쿠릴열도 남방4도’에 대한 영토전략」, 『독도문제의 본질과 일본의 영토분
쟁의 정치학』제이앤씨, 2009, pp.145-189.
4) 동북아역사재단편, 『일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제1부 1948-1976년』동북아역사재단, p.1-1345.
독도・센카쿠제도・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정부의 차별적 영유권 인식 ············ 최 장 근…243
1960년 일본이 미일안보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소련이 공동선언의 내용을 일방
적으로 취소했다. 센카쿠제도문제는 1968년 유엔이 동중국해의 해저자원을 탐
사하는 과정에 석유자원이 대량으로 매장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표함으로써 중
국과 대만이 영유권을 주장하여 표면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이 잠정주
권을 인정했던 오키나와를 일본에 반환하면서 영유권을 제외한 센카쿠제도의
관할권을 일본에 넘겼던 것이다.5)
최근 독도에 대해서는 한국이 실효적으로 관리하고 있고, 일본이 영유권을 주
장하지만, 한국의 실효적 관리를 방해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1965년 이후 영
토주권 의식이 거의 없었는데,6) 최근에 들어와서 주권의식을 강화하고 있는 상
황이다. 최근 북방영토에 대해서는 러시아가 실효적으로 관리하고 있는데 일본
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일본이 실효적 관리를 방해하지 못하고 있다. 그
러나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일본국민들의 영토주권 의식은 가장 강한 지역이다.
센카쿠제도에 대해서는 일본이 실효적으로 관리하고 있어서 영토문제가 존재하
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해왔으나, 최근 중국이 영유권 주장을 강화함과 동시에
공선을 출동시켜 물리적인 방법으로 일본의 실효적 관리를 방해하고 있다.7)
이렇게 해서 현재 일본은 주변 3국과 북방영토, 센카쿠제도, 독도에 대해 영
토문제를 갖고 있다. 일본 입장에서는 현재 일본이 관할하고 있는 센카쿠제
도8)를 일본영토로서 고착시키는 일, 1855년 일소화친조약에 의해 평화적인 방
법으로 일본영토가 되어 과거에 일본국민들이 거주했다고 생각하는 북방영토9)
를 회복하는 일, 그리고 일본제국주의가 러일전쟁 중에 편입하여 일본영토가
되었다고 생각하는 한국영토인 독도를 다시 일본영토화 하는 것이 영토정책의
과제일 것이다.10)
5) 최장근, 「전후 일본의 ‘쿠릴열도 남방4도’에 대한 영토전략」, 『독도문제의 본질과 일본의 영토분
쟁의 정치학』제이앤씨, 2009, pp.145-189.
6) 요시오카 요시노리(吉岡吉典),「다시 ‘죽도(竹島)문제’에 대하여」, 송휘영 엮음, 『일본학자가 보는
독도의 역사학적 연원』,도서출판 지성인, pp.41-54. 최장근, 「한일협정에서 확인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한게성」,『일어일문학』제47집, 대한일어일문학회, 2010.8, pp.429-447.
7) 「中, 센카쿠 영공·해상 동시 진입」,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2&no=829510(검
색일 2013년8월19일),
8) 청일전쟁 때 청국의 영토에 포함되는 다오위다오를 중국이 모르는 사이에 은밀히 센카쿠제도라는
이름으로 무주지 선점론을 동원하여 일본영토로 편입 조치했다.
9)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의 패망과 더불어 전승국이었던 미소간의 얄타협정에 의해 쿠릴열도 전부
를 소련이 점령하게 되었다.
10) 「"日방위백서, 올해도 '독도는 일본땅' 주장"」,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7/04/0200000000AKR20130704217200073.HTML?input
=1179m(검색일 2013년 8월 19일)
24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3. 일본국회의 기본적인 영토인식
(1) 북방영토
1951년 9월 대일평화조약 이후 일본정부 및 정치권의 북방영토의 영유권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로 한다.
야당의 전문위원 단 이노(団伊能)는 1953년 12월 24일 대일강화조약 직후 북
방영토에 대해 「홋카이도(北海道)의 북쪽에 이르는 하보마이(歯舞), 시코탄(色
丹)의 문제와 같은 지극히 국제적인 지역에 대해서는 아무런 해결점이 없는 상
태가 되어있다. (중략) 사실 하보마이(歯舞), 시코탄(色丹) 문제에 대해서도 외무
성은 과연 어디까지가 회담에 의한 쿠릴열도 범위인가 하는 개념마저도 분명히
하고 있지 않습니다. 1875년(明治8년) 에노모토 다케아키(榎本武揚)가 모스코바
에서 체결한 교환조약에서 처음으로 쿠릴열도라는 문자가 나오고 그 안에 18개
의 섬의 이름마저도 명료하게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때부터 쿠릴열도라고 부르
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 그 점도 상당히 애매하고 겨우 하보마이(歯舞), 시코탄
(色丹)만이 일본의 영토라고 승인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
런 점에서도 일본정부의 확고한 신념이 강하게 요구됩니다.」11)라고 했다. 이상
의 내용을 정리하면 야당위원으로서의 북방영토에 대한 인식을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일평화조약에서 쿠릴열도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아 일본정부도 이를 분명히 밝히지 않고 있다.
둘째, 1875년 쿠릴열도, 사할린 교환조약을 체결했을 때에 쿠릴열도를 18개
의 섬으로 취급하고 있었으므로 북방 4개의 섬 모두 일본영토임에도 불구하고
하보마이, 시코탄만을 홋카이도의 부속 섬으로서 일본영토로 인정되는 것은 부
당하다는 주장이다.
셋째, 일본정부는 쿠릴열도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함에 있어서 쿠릴열도의
범위가 북방4개의 섬 모두임을 분명히 해야한다.
넷째, 대일평화조약 체결당시 일본정부는 쿠릴열도의 범위에 대해 명확한 입
장을 갖고 있지 않았다는 것이다.12)
이상이 대일평화조약 직후 1953년 야당 전문위원의 지적인데, 이에 대해 일
본정부의 입장은 쿠릴열도는 대일평화조약에서 「일본정부는 지시마열도(쿠릴
열도) 및 일본국이 1905년 9월 5일 포츠마스조약의 결과로서 주권을 획득한
카라후토(사할린)의 일부 및 여기에 근접한 여러 섬 에 대한 모든 권리와 권
11)「단 이노(団伊能)」, [096/189]19-참의원-본회의- 2호, 1953년12월24일, 『일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
음집』, p.214.
12) 毎日新聞社編,『対日平和条約』毎日新聞社, 1952의 부속지도를 보면, 사실 대일평화조역에서는 지
금 분쟁, 혹은 문제의 한중러와의 3지역은 모두 일본영토에서 제외되었다.
독도・센카쿠제도・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정부의 차별적 영유권 인식 ············ 최 장 근…245
원 및 청구권을 포기한다.」13)라는 항목에 홋카이도의 부속 섬인 하보마이와
시코탄, 1955년 러일 화친조약에 의해 평화적으로 일본영토가 된 에토로프와
쿠나시리는 남부 쿠릴열토로서 쿠릴열도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이들 4
섬은 대일평화조약에서 일본영토로서 결정되었다는 주장이다.14)
1954년 자유당15)의 입장에서 일본의 북방영토 인식에 대해 「세계대전 말기
에 행해졌던 얄타회담에서 스탈린 수상에게 양보하신 루즈벨트 대통령의 잘못
은 결국 미국의 극동정책에 큰 화근을 남겼으며, 소련에게는 로마노프 왕조 이
래의 다년간의 숙원이었던 극동침략계획의 실현에 절호의 기회를 주어버린 것
이다. 즉 종전 직전에 우리나라와의 불가침조약을 찢어버려 만주에 침입한 소
련은 그 후 중공정권의 수립에 성공하여 북조선도 그 산하에 넣어 지시마(千
島), 가라후토(樺太)를 빼앗고 강력한 군사기지를 세워 지금 우리나라를 포위
하고 호시탐탐 위협하고 있다.」16)라고 했다.
즉 일본정부는 1954년 시점에서 미소간의 얄타협정에 의해 지시마(千島), 가
라후토(樺太)가 소련에 넘어갔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야당의 모리시마(森島)위원은 1956년 2월 25일 북방영토에 대해 「미국은 남
부 지시마(南千島)를 포기했다는 해석을 하고 있기 때문에 분쟁이 일어날 여지
가 없습니다. 오히려 덜레스씨는 하보마이(歯舞)제도만을 홋카이도의 일부로서
일본의 영토라고 말하고 있기 때문에 시코탄 이북은 전부 소련영토라고도 해석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당신이 보여준 팜플렛에서도 명백히 나와 있습니다. .....
일본 외무성으로서는 그에 대해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습니다.」17)라고 했다.
즉 일본정부가 제시한 팜플렛을 보면, 미국은 일본의 영토범위에 남부 지사
마에 해당되는 하보마이, 시코탄, 구나시리와 에토로후가 포함되지 않았다. 특
히 미 국무장관인 덜레스는 하보마이만을 홋카이도의 일부로서 일본영토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일본정부의 논리는 대일평화조약에서 하
보마이, 시코탄은 홋카이도의 일부로서 쿠릴열도에 포함되지 않고, 구나시리,
에토로후는 남부 쿠릴열도로서 대일평화조약에서 일본이 포기한 쿠릴열도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인식으로 북방4개의 섬은 일본영토라고 주장이다. 결국 일
본정부는 미국이 어떤 입장을 취하느냐에 따라 북방4개의 섬의 운명이 좌우된
13)「日本国との平和条約」, 外務省国内広報課編,『われらの北方領土』外務省国内広報課,2000,p.18.
14) 西口光,『日ソ領土問題の真実』新日本出版者,1981,p.94. 高野雄一,『国際法からみた北方領土』岩波
ブックレット No. 62, pp.30-32.
15)「自由党」,高柳光寿・竹内理三編,『日本史辞典』角川書店, p.463.
16)「후쿠다(福田)」, [108/189 19-중의원-본회의- 31호, 1954년3월31일, 『일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
집』,p.235.
17)「모리시마(森島)위원」 [173/189] 24-중의원-외무위원회회- 12호, 1956년 2월 25일, 『일본국회독
도관련기록모음집』, p.377.
24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또한 이마즈미 이사오(今澄勇)는 1956년 12월 3일 하토야마 내각에서 북방
영토에 대해 일소공동선언에 의해 「북쪽에 있는 두 섬 에토로프(択捉)와 구
나시리(国後)에 대해 소일 간에 견해를 달리하여 선언 안을 심의하는 참위원
에서도 지금 중대한 문제가 되어 있습니다.」18)라고 했다. 즉 일소공동선언에
서 하보마이와 시코탄은 소련이 일본에게 양도하는 것으로 합의되었지만, 소련
은 에토로프와 구나시리는 일본에 양도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사실상 대일평화조약에서 쿠릴열도에 대한 일본의 잔존주권은 모두 포기되
었다. 이는 미소간의 얄타협정에서 결정된 것이기 때문에 일본의 영토적 권원
은 완전히 상실되었다. 그런데 일본은 자유진영인 미국에 대해 적대관계에 있
는 공산진영의 소련의 이익을 인정하지 못하도록 선동하여 쿠릴열도 남방 4도
를 일본영토로서 인정받으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일본의 노력으로 인해 미국은
쿠릴열도가 전적으로 소련의 영토라는 입장을 지지하지 않았다.19) 1956년 일
소 공동선언에서 소련은 평화조약이 체결된다면 하보마이와 시코탄도는 원래
소련의 영토이지만, 소련이 선의적 차원에서 일본에 제공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2) 독도
1951년 9월 대일평화조약 이후 일본정부의 독도에 대해 영유권 인식에 대해
고찰해보기로 한다.
야당 전문위원인 단 이노(団伊能)는 1953년 12월 24일 대일강화조약 직후
독도에 대해 「최근에 문제가 되었던 과거 리앙쿠르암으로 불리고 오키 섬(隠
岐)에 속한 죽도가 모든 면에서 일본의 영토임에도 불구하고20) 일본의 행정권
이 미치지 않는 특수한 사태에 처해있다는 것은 우리를 우울하게 하고 있습니
다. .... 1946년 1월 29일이었습니까? 총사령부각서에 의해 일본영토이면서 일본
의 주권으로부터 제외되었다.」라고 지적했다.
단 이노는 1953년 시점에서 죽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인식하고 있었다. 즉
첫째, 죽도가 과거 리앙쿠르암이라고 불리면서 오키 섬의 소속이었는데, 역사
적으로나 국제법적으로 모든 면에서 일본영토에 속한다. 단 이노의 이러한 인
식은 국회의원으로서 일본국가의 이익을 위해 죽도가 일본영토라고 주장하는
일본정부의 방침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21)
18)「이마즈미 이사오(今澄勇)」,[185/189 25-중의원-본회의- 10호, 1956년12월3일, 『일본국회독도관
련기록모음집』, p.298.
19) 和田春喜,『北方領土問題 ー歴史と未来ー』朝日選書,1999, pp.219-228.
20) 송병기, 『울릉도와 독도』단국대학교 출판부, 1999, pp.15-251.
독도・센카쿠제도・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정부의 차별적 영유권 인식 ············ 최 장 근…247
둘째, 1946년 SCAPIN 677호에 의해 죽도가 일본의 행정권이 미치지 않는
특수한 사태에 처해있음을 알고 있었다.
셋째, 일본영토인 죽도를 이승만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할 때 외교적으로 해결
되기를 희망했다.
넷째, 1946년 1월 29일 SCAPIN 677호에 의해 죽도가 일본영토에서 분리되
었으며, 대일평화조약에서 죽도가 일본영토로서 결정되었다는 일본정부의 주장
에 대해 그다지 신뢰하지 않고 있었다.
사실 독도는 종전직후 1946년 SCAPIN 677호에 의해 통치권과 행정권이 일
본에서 분리되어 한국에 소속되었다. 대일평화조약에서는 일본이 미국에 로비
하여 독도를 일본영토로 인정받기를 원했지만, 영연방국가들은 한국이 실효적
으로 관리하고 있는 독도에 대해 한국영토라는 종래의 입장을 포기하지 않다.
그래서 결국 연합국은 독도문제를 당사지간의 외교적 해결을 바라면서 법적
지위를 명확히 하지 않았다. 그런데 일본정부는 자의적 해석으로 대일평화조약
에서 독도가 일본영토로 결정되었는데, 한국이 무력으로 불법 점령했다고 주장
하기 시작했다.22)
야마노(山野) 정부위원은 1969년 2월 26일 「죽도는 현재도 일본의 면적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특별교부세의 대상이 아닌 보통교부세의 대상
으로서 일단 면적에 포함시킵니다. 하지만 관할권행사가 실제로 방해받고 있기
때문에 보통지역과 같이 교부세를 산정하는 것은 부적당하다고 생각하고 자치
단체에서도 또한 당연히 그렇게 생각할 것입니다.」23)라고 했다. 즉 일본정부
가 독도를 일본영토 면적에 포함시켜서 보통교부세의 대상으로 삼고 있지만,
실제로는 한국이 실효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섬이기 때문에 보통교부세의 대상
으로 삼는 것은 향후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스스로 지적했다.
사실 일본정부가 독도와 북방영토를 교부세 면적대상에 포함시킨다는 것은
일단 일본영토로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일본인이 거주하지 않기 때문에
교부세를 납부할 대상이 없다. 이는 순전히 형식적인 조치로서 정치적 행위에
불과하다.
21) 오늘날에도 이들의 인식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 죽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자들이 있다. 대표적
인 인물이 下條正男이고, 그의 논리는 『竹島は日韓どちらのものか』(文春新書 377, 2004,
pp.7-188)에 정리되어 있다.
22) 오오니시 토시테루, 「평화조약의 기술」, 『독도개관』인문사, 148-149. 최장근, 「전후 일본영토
처리 특수성과 국경분쟁의 발생」, 『일본의 영토분쟁』백산자료원, 2005, pp.72-107.
23)「야마노(山野) 정부위원」, [002/219] 61-중의원-예산위원회 제1분과회- 3호, 1969년 2월 26일,
『일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p.1166.
24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4. 센카쿠와 독도의 영토적 권원의 비교 인식
(1) 1970년 전후 양 섬에 대한 일본의 실효적 관리 상황
센카쿠제도문제는 1968년 유엔의 동중국해 해저자원조사에서 석유자원이 대
량으로 매장되었다는 결과를 발표함으로써 대만과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여
표면화되었다. 미국은 일본의 요청에 의해 1972년 오키나와 반환과 더불어 센
카쿠제도의 관할권을 일본에 주었다. 그렇다면 오키나와 반환 이전 센카쿠제도
에 대한 일본정치권의 인식을 살펴보기로 한다.
야당 전문위원 와다 시즈오(和田静夫)는 1970년 10월 7일 센카쿠제도와 독
도의 상황에 대해, 「센카쿠제도의 영유권 문제라는 것은 센카쿠제도의 - 지
금 논의가 오고간 주변해저에 잠들어 있는 방대한 양의 석유자원은 일본의 국
익에 아주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1965년 한일협상 때 시마네현 앞
바다에 있는 죽도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팽팽한 분위기 속에서 외교를 했습니
다. 그러나 당시에 이미 그곳에 한국의 군대가 소수이긴 하지만 주둔하고 있었
고 향후 한일 간에 계속 논의를 해가는 분쟁문제로 남아있습니다. 지금 한국은
죽도의 영유를 자주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일본입장으로는 죽도의 영유에 대해
많은 근거를 갖고 있으면서도 죽도에서 손을 떼고 있는 것입니다. 이번 센카쿠
제도의 경우에도 지금 장관께서 말씀을 하셨듯이 청천백일기(靑天白日旗)가
걸리고 어부도 귀환했다고 합니다. 그곳에 대만의 어부가 거듭해서 상륙하고
죽도와 같은 상황이 된 점에 대해 우려하는 이들이 많습니다.」24)라고 지적했
다.
이상으로 1970년 즈음의 독도와 센카쿠제도에 있어서 일본의 실효적 관리상
황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도에 대해서는 1965년 한일협상 때 현실적으로는 소수의 한국군대가
주둔하여 한국이 실질적으로 영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이 외교적으로 영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실패했고, 현재는 일본이 손을 떼고 있고 한
국이 자주적으로 지배하고 있다는 인식이었다. 그러나 일본이 영유권을 포기하
지 않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양국 간에 영토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센카쿠제도에 대해서는 당시 실제로는 대만국기가 게양되었고, 일본어
부도 귀환한 상태인데다 대만어부가 상륙하는 섬이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동중국해에 석유자원이 많이 매장되어 있기 때문에 독도처럼 센카쿠제도의 관
할권을 대만에 빼앗겨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24)「「와다 시즈오(和田?夫)」, [021/219]63-참의원-결산위원회- 7호, 1970년10월7일, 『일본국회독도
관련기록모음집』, p.1185-1186.
독도・센카쿠제도・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정부의 차별적 영유권 인식 ············ 최 장 근…249
이처럼 센카쿠제도는 무인도로서 1970년 단계에서 일본이 실효적 관리권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만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점유의 우위권을
점하기 위해 상륙을 시도하는 섬이었다.
또한, 야당 전문위원인 이시가와(石川) 위원은 1970년 9월 7일 대만정부가
센카쿠제도에 대만국기를 세워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
다는 답변이 있었는데, 죽도에 관한 협상결과를 보더라도 지금과 같은 단순한
유감을 느낀다는 것을 피력하는 정도로서는 협상이 원만하게 진행되기 어렵다
고 생각합니다. 분명히 센카쿠제도는 일본의 영토이고 이는 역사적으로 명백한
것이고, 미국정부도 오키나와 정부도 확실히 인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실
여부를 확인하지 않으면 안 되겠지만, 단순히 유감이라는 정도로 마무리 지을
문제는 아닌 것 아닙니까? 이는 단순이 민간 어선이 가서 세웠다는 문제와 차
원이 다릅니다. 정부의 배가 가서 청천백일기(靑天白日旗)(대만국기)를 세웠다
면 무단으로 남의 나라에 들어와 우리 영토라고 선언한 것과 마찬가지로 그것
이 정부의 의도라는 식으로 받아들여져도 어쩔 수 없는 것 아닙니까? 따라서
그저 단순히 유감스럽다는 정도로 머물러서는 안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죽도
의 전철을 밟게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 부근에 석유 등 해저자원이
매우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발표가 나온 시점에서 죽도
이상으로 큰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는 문제이니 외무성도 보다 집중적으로
협상을 해야한다는 말씀을 드립니다.」25)라고 지적했다.
즉 첫째, 센카쿠제도는 역사적으로 명명백백한 일본영토이고 미국정부도 오
키나와정보도 일본영토임을 인정했다.26) 그런데 대만정부가 대만국기를 그 섬
에 세워서 영토주권 침범했음에도 불구하고 소극적인 대응으로 단지 「유감」
표명에 그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일본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독
도와 같이 한국에 점령당하고 만다. 그렇게 되지 않으려면 더욱더 적극적으로
외교적 교섭을 행해야한다고 비판했다. 게다가 그 제도주변에 석유자원이 매장
되었기 때문에 더욱이 일본영토로서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
요컨대 1965년 한일 협정에서 한국이 독도를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상
황에서 일본정부가 이를 묵인하여 실제로는 한국이 자주적으로 독도를 관리하
고 있고, 일본은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래서 센카쿠제도의 경우도 대
만정부가 대만국기를 게양하였기 때문에 독도처럼 관할권을 빼앗기는 일이 일
어나지 않도록 노력해야한다는 것이다.
25)「이시가와(石川) 위원」, [019/219]63-중의원-과학기술진흥대책위원회- 14호, 1970년9월7일, 『일
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p.1184.
26) 선행연구 「井上清,『「尖閣」列島』現代評論社, 1972,pp.9-278.」에 의하면 센카쿠제도는 역사
적 권원으로 볼 때 일본영토가 아니다.
25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그런데 야당 전문위원들은 국익을 위해 정부정책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함으
로써 독도와 센카쿠제도가 역사적으로 일본영토로서 권원을 갖고 있다고 주장
하지만, 사실은 사실과 달리 일본이 센카쿠제도는 청일전쟁, 독도는 러일전쟁
중에 은밀한 방법으로 불법 도취한 것일 뿐이다.
(2) 센카쿠제도의 법적 지위에 대한 일본정부의 인식
일본정부는 1972년 오키나와 반환을 앞두고 센카쿠제도의 법적 지위에 대해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적으로 일본영토라는 입장을 갖고 있었다. 즉 후쿠다 다케
오(福田赳夫) 국무대신은 1971년 12월 16일 센카쿠제도의 법적 지위에 대해
「오키나와 반환협정에 의해 귀속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 것입니
다. .... 청일전쟁 때 우리는 대만, 펑후다오(澎湖島)를 할양받았습니다. 그때
센카쿠(尖閣)제도는 들어가 있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평화조약 제3호에서 우리
는 대만, 펑후다오(澎湖島)를 포기했습니다. 그러나 센카쿠(尖閣)제도를 포함하
는 오키나와(沖縄) 열도는 신탁통치, 또는 임시로 미국의 관할권 지역이었습니
다.」27)라고 했다.
즉 센카쿠제도는 오키나와의 일부로서 청일전쟁 중에 일본의 신영토로서 편
입한 것이다. 청일전쟁의 결과인 시모노세키 강화조약과도 무관하기 때문에 오
키나와 반환협정에서 센카쿠제도를 일본에 반환한다고 명확히 할 이유가 없다
는 것이다. 사실은 미국이 중국과 대만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어서 센카쿠제
도의 영유권에 대해 분쟁지역으로 취급하여 오카나와 반환 때에 단지 관할권
에 한정해서 일본에 반환한 것이다.28) 미국은 영유권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입
장을 취하였다. 그래서 센카쿠제도문제는 중일 양국 간의 외교문제로서 해결되
어야할 과제로서 남게 되었던 것이다.
5. 북방영토와 독도의 영토적 권원의 비교 인식
(1) 일본정부의 북방영토의 지위
북방영토문제는 1956년 일소공동선언을 합의한 이후 본격적으로 표면화되었
다.29) 야당 전문위원인 쓰지 마사노부(辻政信)는 1960년 3월 21일 공동선언 이
27)「후쿠다 다케오(福田赳夫) 국무대신」, [033/219]67-참의원-오키나와반환 특별위원회- 7호, 1971
년12월16일, 『일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p.1213.
28) 최장근, 「중일 조어도 영토분쟁의 발생과 현황」, 『일본의 영토분쟁』백산자료원, 2005,
pp.305-332.
29) 安岡昭男,『幕末維新の領土と外交』清文堂出版, 2002, p.227.
독도・센카쿠제도・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정부의 차별적 영유권 인식 ············ 최 장 근…251
후의 일본의 북방영토인식에 대해 「공동선언이 있었다고 하셨지만, 샌프란시
스코조약에 나와 있는 지시마(千島)라는 지명에는 남부 지시마(南千島)30)가 포
함되어 있지 않다는 해석을 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일본영토라고 하는 것은 이
전에 기시(岸)총리가 분명히 말씀을 하셨고, 올 봄부터 교과서에서 구나시리
(国後), 에토로후(択捉)를 일본영토로 표기하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관할권을
소련에 양도한 적이 없습니다. 우리가 샌프란시스코조약에서 관할권과 영유권
을 양도한 것은 구나시리, 에도로프를 포함하지 않는 그 북쪽의 지시마(千島)
입니다.」31)라고 했다.
즉 야당의 전문위원은 국익차원에서도 일본정부의 주장을 그대로 아무런 비
판없이 북방영토가 일본영토라는 주장을 그대로 수용했다. 일본정부는 1956년
일소공동선언 이후 시점에서 북방4섬이 일본영토임을 일본 국회에서 주장했다.
그리고 일본정부의 논리를 1960년부터 교과서를 통해 구나시리와 에토로후가
일본영토라는 사실을 일본학생들에게 학교교육을 통해 주입시키고 있다는 것
이다. 오늘날 북방영토에 대한 대부분의 일본인들은 분명히 일본영토라는 인식
을 갖고 있다. 이는 이처럼 학교교육을 통해 영토인식을 주입시켰기 때문이라
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부위원 다카하시 미치토시(高橋通敏)는 1960년 3월 21일 공동선언에 대해
「소일 간에 공동선언이 있었습니다. 공동선언에서는 이러한 도서지역에 대한
최종적인 문제해결은 평화조약에서 하자고 상호약속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그러한 약속이 있었기 때문에 그에 근거해서 이들 도서지역의 지위가 그러한
법률적 지위가 생기는 것입니다.」32)라고 하여 소일간의 도서문제는 공동선언
을 통해 평화조약을 체결할 때에 결정하기고 약속했다는 것이다.
1970년대 미일 간의 오키나와 반환협정으로 오키나와가 일본에 반환되는 시
점에 북방영토와 독도문제에 대해서도 중대한 외교과제로서 대두되었다.
야당측의 모리야 오사무(守屋治) 참고인은 1969년 5월 7일 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정부의 인식에 대해 「종래 북방영토에 관해서는 남방(南方)에 비해 국민
들의 관심이 매우 저조하고 그 운동도 지역적인 것으로 홋카이도(北海道)의
30) 일본은 쿠릴열도에서 분리함으로써 대일평화조약에서 「쿠릴열도의 영토적 권원을 포기한다」라
는 규정에 포함시키지 않고 영유권을 확보하기 위해 구나시리(国後), 에토로후(択捉)을 ‘남부 지시
마열도’라고 주장한다. 또한 하보마이 섬과 시코탄 섬은 홋카이도의 부속 섬이라고 주장한다. 이렇
게 함으로써 북방 4개의 섬은 쿠릴열도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일본적인 논리로서 러시아
는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 북방4개섬을 포함한 22개섬이 쿠릴열도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31)「쓰지 마사노부(辻政信)」, [043/254]34-참의원- 예산위원회 - 18호, 1960년3월21일, 『일본국회독
도관련기록모음집』, p.502.
32)「정부위원(다카하시 미치토시(高橋通敏)」, [043/254]34-참의원- 예산위원회 - 18호, 1960년3월21
일, 『일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p.502.
252 日本文化學報……第 61輯
범위를 벗어나지 못합니다. 이렇게 종래 북방영토(北方領土)에 관해서는 국민
들 사이에서도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그 범위와 문제점에 관한 이
해와 인식도가 낮았고, 운동단체도 인양(引揚)도민과 홋카이도에 있는 영토귀
환단체, 홋카이도청, 네무로(根室)시 등 주로 민간단체와 지방자치단체의 선의
와 노력에 맡겨진 것입니다.」33)라고 비판했다.
즉 1969년 시점에서 북방영토에 대한 영토회복운동은 전 국민적으로 영토회
복의식이 없었고, 단지 홋카이도 일부 관련자들만이 관삼을 갖고 있었다. 그
이유는 일본정부 입장에서 당장 시급한 오키나와 반환에 모든 역량을 동원하
고 있었기 때문이다. 오키나와는 대일평화조약에서 이미 일본의 잔존주권을 인
정하여 일정한 시기에 반환한다는 약속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일본정
부에서도 북방영토가 대일평화조약에서 일본영토로 규정된 것이 아니라는 사
실을 잘 알고 있었고, 1956년에 일소공동선언에서도 양국이 평화조약을 체결할
경우에 소련이 선의적 차원에서 하보마이와 시코탄을 일본에 양도한다는 입장
을 밝힌 것 이외에는 사실상 구나시라와 에도로프의 반환은 불가능한 상태에
있었던 것이다.
야당 전문위원 야마모토 도시나가(山本利寿)는 1970년 3월 24일 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의 지위에 관해 니시무라(西村) 조약국장이 의회에서 배포한 지도에
대해 「방금 말한 지도(일본영역참고도(日本領域參考圖)에 하보마이(歯舞), 시
코탄(色丹)과 같은 섬이 역시 일본영역 외로 되어 있습니다.」34) 「북방영토
반환에 대한 협상에서 소련의 대답이 항상 이미 해결되었다는 것으로 해결된
이유에 대해서는 전혀 정부기관이나 보도기관에서 국민들에게 밝히고 있지 않
습니다.」35)라고 했다.
즉 조약국장이 국회에 배포한 「일본영역참고도(日本領域參考圖)에 하보마
이(歯舞), 시코탄(色丹)과 같은 섬이 역시 일본영역이 아니라고 표기되어 있었
던 것을 보더라도 대일평화조약에서 일본영토로 결정된 것이 아니었다.36) 그
러한 이유 때문에 일본정부에서도 북방영토가 일본영토가 아니라는 증거를 제
시한 적은 있었지만, 국민들에게는 북방영토의 사실관계에 관해 정확히 설명한
적이 없었다고 비판했다.
33)「모리야 오사무(守屋治) 참고인」, [009/219]61-참의원- 오키나와 및 북방문제에 관해서 - 7호,
1969년5월7일, 『일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p 1171ー1172.
34)「야마모토 도시나가(山本利寿)」, [015/219]63-참의원- 예산위원회 - 6호, 1970년3월24일, 『일본
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p.1179.
35)「야마모토 도시나가(山本利寿)」, [015/219]63-참의원- 예산위원회 - 6호, 1970년3월24일, 『일본
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p.1180.
36) 不破哲三,『千島問題と平和条約』新日本出版者,1998,pp.165-159. 毎日新聞社編,『対日平和条約』
毎日新聞社, 1952의 부속지도 참조.
독도・센카쿠제도・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정부의 차별적 영유권 인식 ············ 최 장 근…253
또한 야당의 전문위원인 가와무라 세이치(川村清一)는 1970년 5월 11일 북
방영토의 지위에 관해 「애당초 정부의 견해가 일관성이 없어서 이렇게 문제
가 심각해졌다고 생각합니다. ... 정부는 구나시리(国後), 에토로후(択捉), 하보
마이(歯舞), 시코탄(色丹)은 고유영토이다, 일본의 영토이다. 평화조약으로 포
기하지 않았다, 이 점을 여러 차례 말씀을 드리고 있는 것입니다. 저는 그 점
은 부정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제2조 (C)항에서 국
회에서 정부위원들이 확실히 포기한 이 지시마(千島)열도 안에는 구나시리(国
後), 에토로후(択捉), 하보마이(歯舞), 시코탄(色丹)은 포함되어 있다고 답변한
바 있습니다. 이는 회의록에 확실히 기재되어 있습니다.」37)라고 했다.
즉 다시 말하면, 해방이후 2주나 후에 소련군이 시코탄 섬에 주둔한 것으로
보아 얄타협정에서 미국이 소련영토로 인정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미
1946년 GHQ의 각서에서도 북방4개 섬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런데 일본정부는
북방영토를 포기하지 않았고,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서도 일본영토로서 결정
되었다고 주장해왔다. 그래서 야당 전문위원이 사실상 홋카이도 주민에게는 어
업권을 보상해 주면서 북방4개섬의 주민들에게 어업권을 보상하지 않는 것은
결국 얄타협정에 의해 대일평화조약에서 영토주권을 포기한 것에 해당되기 때
문이 아닐까라고 정부주장을 비판했다.
이에 대해 일본정부 측의 입장도 「소련 측이 서류, 기타의 것에서 명확 시
한 예로서는 1961년 12월 8일, 이케다(池田)내각 당시 총리장관 앞으로 전해
진 흐루시쵸프 서한이라는 것이 있는데 거기에서 그 쪽이 주장하는 것은 카이
로선언, 얄타협정, 포츠담선언, 그리고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제2조와 같은 것
을 논거로 들고 있습니다. 이것이 글로서 그쪽의 태도를 밝히는 문서라는 것은
아시는 바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1961년으로 상당히 오래 전입니다.」38)
라고 했다. 즉 1961년 시점에서 소련이 북방영토문제는 존재하지 않는다39)고
주장했기 때문에 당시로서 일본정부 입장에서는 북방영토가 일본영토라는 확
신이 그다지 크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컨대 실제로는 일본정부가 일본국민을 상대로 북방4개 섬은 대일평화조약
에서 ‘쿠릴열도의 영토적 권원을 전적으로 포기한다’고 하는 조항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주장했지만,40) 사실상 북방 4개 섬은 대일평화조약에서 일본영토에
37)「가와무라 세이치(川村清一)」, [017/219]63-참의 - 오키나와와 북방영토에 관해서....- 9호, 1970
년5월11일, 『일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p.1181-82.
38)「위원장 퇴장, 이사 요시타케 케이치(吉恵市)착석」, [015/219]63-참의원- 예산위원회 - 6호,
1970년3월24일, 『일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p.1180.
39) 戸丸広安監修,『北方領土ー新聞編集ー上巻 1947年ー1979年』大空社, 1993, p.193. 40) 木村汎編,『北方領土を考える』北海道新聞社, 1981,p.88.
254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서 분리되었다는 사실을 대체로 부정하지 못했던 부분이 있다.41) 그리고 일본
정부는 대일평화조약에서 잔존주권이 인정된 오키나와 반환에 관심을 갖고 있
었기 때문에 사실상 대일평화조약에서 일본영토로서 규정되지 않은 북방영토
에 대해서는 관심밖에 일이었다. 그래서 1972년 오키나와 반환 이전에는 사실
상 북방영토반환에 관해서는 민간단체에 의해 반환운동이 행해졌던 것이다. 오
키나와 반환이후 일본정부가 북방영토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던 것이다.
(2) 일본정부의 독도와 북방영토의 지위에 대한 인식
일본정부는 대일평화조약에 체결되고 난 이후 일본국민들을 상대로 북방영
토와 죽도가 일본영토로 결정났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이러한 주장에 대해 야
당위원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정부위원 다카하시 미치토시(高橋通敏)는 1960년 3월 21일 죽도문제와 북방
영토문제의 법적인 지위에 대해 언급했다.
독도에 대해서는 「죽도의 경우는 한국이 사실상 관할권을 행사하고 있습니
다. 이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그에 대해 우리가 공동선언을 했거나 저쪽과 협의
를 해서 그것을 인정한다고 했거나 아니면 불문에 붙인다고 했거나 하는 아무
런 조치도 취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점은 (북방영토와는-필자주) 법률적으로
본질적으로 다른 문제라고 저는 생각합니다.」42)라고 했다. 북방영토에 대해서
는 「죽도문제와 북방영토문제는 법적인 입장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죽도문
제는 북방영토문제처럼 소련 측과 합의한 공동선언 같은 것이 전혀 없는 상태
이고, 따라서 북방영토가 우리 고유의 영토인 것은 확실하지만 그 점에 대해서
공동 선언에서 일단 평화조약이 이루어 질 때까지는 이대로 간다고 되어있기
때문에 그 점에 대해서는 전혀 다른 문제라고 생각합니다.」43) 라고 했다.
요컨대, 일본정부는 「과거의 경위44)에 대해서나 죽도가 우리의 영토이고
관할권을 가지고 있지만 불법적인 침입을 받아 지금과 같은 상태에 있다.」45)
고 하는 입장이다. 하지만 독도는 한국정부와 합의를 한 적이 없는데 한국이
관할권을 행사하고 있다. 그러나 북방영토는 일본의 고유영토임에도 불구하고,
41)「千島の放棄と北方領土問題」, 芹田健太郎,『日本の領土』中公叢書,2002,pp.52-66.
42)「정부위원(다카하시 미치토시(高橋通敏)」, [043/254]34-참의원- 예산위원회 - 18호, 1960년3월21
일, 『일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p.503.
43)「정부위원(다카하시 미치토시(高橋通敏)」, [043/254]34-참의원- 예산위원회 - 18호, 1960년3월21
일, 『일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p.502.
44) 신용하, 『독도의 민족영토사연구』(지식산업사,1996, pp.23-322)와 内藤正中・朴炳涉,『竹島=独
島論争』(新幹社,2007, pp.11-342) 등 역사학자로서 한일 양국의 독도연구가들의 인식은 독도가 일
본영토가 아니라는 결론이 지배적이다.
45) 국무대신(후지야마 아이치로(藤山愛一郎),, [044/254]34-참의원- 예산위원회 - 19호, 1960년3월22
일, 『일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p.504.
독도・센카쿠제도・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정부의 차별적 영유권 인식 ············ 최 장 근…255
러시아와 공동선언으로 합의한 분쟁지역으로 평화조약이 체결되기 이전에는
지금처럼 소련의 점유상태를 유지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독도와 북방영
토는 법적 지위가 다르다고 일본정부는 밝히고 있다.
그러나 사실상 일본정부는 대일평화조약에서 독도가 일본영토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일본영토인데 한국이 독도를 불법적으로 점령하였다고 주장하고 있지
만, 그것은 사실과 다르다. 그것은 단지 대일평화조약에서 일본의 고유영토를
회복했다는 것을 국민들에게 어필하기 위한 액션에 불과했다. 대일평화조약에
서 연합국은 한국이 실효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독도에 대해 아무런 법적 지위
를 부여하지 않고 한국의 점유상태를 인정하였던 것이다.46)
야당의 전문위원인 가와무라 세이치(川村清一)는 1970년 4월 27일 독도와
북방영토의 지위에 관해 「그쪽 경위는 알고 있습니다. 이른바 대서양선언, 이
에 따른 카이로 선언, 포츠담 선언, 뒤이은 일본국의 무조건 항복, 그리고 1951
년의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이런 식으로 발전한 것입니다. 그리고 평화조약
에서 일본은 제2조 (C)항에서 지시마(千島)열도를 포기했다. 하지만 지시마열
도에는 구나시리(国後), 에토로후(択捉)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이 정부의 견
해입니다. 그렇다면 이 1946년 1월 29일의 양해각서, 이는 최고사령관의 각서
인데, 하지만 그 위의 이른바 연합국의 최고수뇌부가 정치적으로 결정한 이 사
항에 군사령관의 각서는 위반된다고 생각합니다. 위반이 아니라면 적어도 중대
한 과오를 저지른 것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각서에는 죽도도 포함되어 있
습니다. 일본의 범위로서 제외되는 지역으로서 죽도도 포함시킨 것입니다. 그
렇다면 이른바 연합국의 최고수뇌부가 결정한 전략노선에 현지 군사령관은 위
반 - 그렇다면 말이 지나칠 수도 있지만 이 방침을 그르치고 있다, 그런 식으
로 해석하는 논리는 잘못된 것입니까?」47)라고 했다.
즉 야당 전문위원은 대일평화조약에서 독도와 북방영토가 일본영토로 결정
되었다는 일본정부의 주장을 아무런 비판없이 수용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연
합국이 대일평화조약에서 북방영토와 죽도를 일본영토로 결정되었다. 그런데
1946년 연합군사령관지령 SCAPIN 677호에서 죽도와 북방영토를 일본영토에
서 제외시킨 것은 연합국의 최고수뇌부가 결정한 전략노선에 현지 군사령관
이 위반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런 야당 위원의 인식은 잘못된 것이다. 사실
상 SCAPIN 677호는 대일강화조약을 체결하기 이전에 1946년 연합군최고사령
관이 우선 잠정적으로 죽도와 북방영토에 대해 통치권과 행정권을 결정한 것
46) 최장근,「일본정부의 대일평화조약 시기의 ‘죽도’ 영유권인식 -일본국회의사록을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제48집, 2011.2, pp.353-372.
47)「가와무라 세이치(川村清一)」, [016/219]63-참의원-오키나와 및 북방문제에 관해서...- 8호, 1970
년4월27일, 『일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p.1181.
256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이고, 1951년 9월의 연합국에 의한 대일평화조약은 최종적인 영토조치를 내린
것이다. 대일평화조약에서 북방영토는 일본영토에서 제외되었고, 독도는 영토
적 지위가 결정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아리타 케스케(有田圭輔) 정부위원은 「이는 일본이 항복하여 점
령 하에 두고 어떻게 일본에 대해 점령행정을 하는가 하는 사의(使宜)」적인
조치로 이에 따라 일본국의 영역이 결정되었다는 식으로 생각하지 않으며, 또
그렇게 이해해야할 성질의 명령이 아닙니다. 따라서 일본영역은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서 결정되고, 또 대 소련괸계에서는 향후 논의를 해서 결정하는 쪽
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명령은 명령으로서 그 이전에 연합국 측의
결정에 위반되는 것도 아니라고 해석하고 있습니다.」48)라고 하여 연합국의
명령은 점령을 위한 행정조치로서 편의적인 것에 불과하고 일본영토를 결정한
것이 아니고,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서 일본영토를 최종적으로 결정되는 것
이라고 했다. 그런데 사실상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서 죽도와 북방영토가 일
본영토로 결정된 적이 없다.49) 이러한 일본정부의 상투적인 주장은 영유권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인 주장에 불과한 것이다.
6. 일본의 국재사법재판소와 미국에 대한 인식50)
1960년 미일 간에 미일안보조약이 체결되고 죽도가 미군의 관할구역에 포함
되는냐 마느냐는 죽도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일본 입장에서는 매우 중요했다.
미국이 죽도를 일본영토로서 인정하는 것은 국제적인 동조를 받아 내는데 매
우 유리하기 때문이다.
야당 전문위원인 지다 다다시 千田正)는 1960년 3월 22일 신안보조약과 독
도에 관해서 「미국과 한국이 맺은 한미조약에 죽도를 지칭하지는 않지만 분
명히 죽도가 들어가 있고, 한국의 행정권이 미치는 곳이라고 되어 있을 텐데,
우리는 죽도가 일본영토라고 확신하고 있지만 현재는 한국이 점유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지금 말씀하신 것, 미일안보조약의 범위에 죽
도가 들어간다고 한 국무대신 후지야마 아이이치로(藤山愛一郎)의 말처럼, 일
48)「아리타 케스케(有田圭輔) 정부위원」, [016/219]63-참의원-오키나와 및 북방문제에 관해서...- 8
호, 1970년4월27일, 『일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p.1181.
49) 不破哲三,『千島問題と平和条約』新日本出版者,1998,pp.165-159. 毎日新聞社編,『対日平和条約』
毎日新聞社, 1952의 부속지도 참조.
50) 일본의회의 영토인식이라고 하는 것은 특정한 주체가 영유권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가를 의미
하는 것이다. 영토인식이 바로 전국민을 구성원으로 하는 국가가 영토를 포기한다든가, 영토를 취
득한다든가 하는 것처럼 국제법적으로 영유권을 확립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독도・센카쿠제도・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정부의 차별적 영유권 인식 ············ 최 장 근…257
본의 신 안보조약에 죽도가 들어가 있다면 한미 간의 조약과 중복되고 모순되
는 점이 있다.」51)라고 하여 한미조약에 의해 미군의 관할구역에 분명히 독도
가 들어가 있는데, 이번에 체결된 신 미일안보조약에도 죽도가 들어가 있다고
하는 국무대신 후지야마의 말은 신뢰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즉 미국의 동의를 받지도 않고 일본이 일방적으로 신 미일안보조약에 죽도
가 포함되었다고 주장하는 일본정부를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지다 다다시(千田正)는 1960년 3월 22일 국제사법재판소와 독도와
관련해서 「지금 외무부 장관이 말씀하신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하는 것은 한
국 측이 받아들이지 않으니까 희망이 없다고 보면 됩니다. ..... 또 미국한테 양
해를 구하지 못하면 국제법상으로 유효한 조약상의 구역이라고 선언할 수 없
다고 생각합니다.」52)라고 하여 일본정부가 죽도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를 통
해서 해결한다고 여러 차례 말하지만, 이것은 한국이 동조하지 않으면 아무런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결국은 한일 간의 외교적 해결을 바랄 수밖에 없는 것
이다. 또한 일본정부가 미일 신 조약에 죽도를 포함시켰다고 주장하지만 그것
은 사실상 미국의 동의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일본정부 측의 후지야마 아이이치로(藤山愛一郎)는 1960년 3월
22일 영유권에 대해 「죽도는 일본의 고유영토이고 그것을 직접 행사할 수는
없지만 일본의 관할권 아래에 있다는데 대해 이의가 없다는 전제하에 드린 말
씀입니다.」53)라고 하여 일본정부가 죽도를 직접적으로 실효적인 주권행사를
할 수는 없지만, 그 관할권은 일본이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모순이다.
또한 국제사법재판소에 대해 「이미 우리(일본)는 일본영토라고 주장해 왔습
니다. 그 동안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하자는 제안을 하거나 죽도는 일본 땅이
라는 주장을 계속 해왔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 대해 미국도 충분히 이해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54) 「이 문제에 대해 이번에 의사표시를 하지 않
아도 미국이 우리의 주장을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확신하고 있습니다.」55)라
고 하여 일본이 지금까지 죽도영유권을 줄곧 주장해왔기 때문에 이번 신 미일
안보조약에서 죽도가 미군의 관할구역에 포함된다고 직접적으로 동의는 받지
51)「지다 다다시(千田正)」, [0444/254]34-참의원- 예산위원회 - 19호, 1960년3월22일, 『일본국회독
도관련기록모음집』, p. 503
52)「지다 다다시(千田正)」, [0444/254]34-참의원- 예산위원회 - 19호, 1960년3월22일, 『일본국회독
도관련기록모음집』, p. 504.
53) 후지야마 아이이치로(藤山愛一郎), [0444/254]34-참의원- 예산위원회 - 19호, 1960년3월22일, 『일
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p. 504.
54) 후지야마 아이이치로(藤山愛一郎), [0444/254]34-참의원- 예산위원회 - 19호, 1960년3월22일, 『일
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p. 504.
55) 후지야마 아이이치로(藤山愛一郎), [0444/254]34-참의원- 예산위원회 - 19호, 1960년3월22일, 『일
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p. 505.
258 日本文化學報……第 61輯
않아도 미국은 충분히 죽도가 일본영토임을 알고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야당 전문위원인 아키야마 죠조(秋山長造)는 일본정부의 이러한 입장에 대
해 「‘확신’이라는 것은 몇 번 들어도 같은 말인데, 중요한 것은 주관적으로 이
쪽에서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것입니다. 객관적이고 권위 있는
뭔가가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56)라고 하여 상기와 같은 이러한 모든 주장은
일본정부의 주관적인 주장에 불과하다고 비난했다.
즉 일본정부는 죽도가 일본의 영토이기 때문에 신 미일안보조약에 당연히
포함되고, 미국으로부터 죽도가 관할구역 내에 포함되었다고 직접 동의를 받지
는 않아도 일본이 계속적으로 영유권을 주장해왔기 때문에 미국도 죽도가 일
본영토라는 것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고 야당위원들에게 설명했다. 이는 사실
과 전혀 다르다. 오히려 독도는 한미방위조약에 의해 미군의 관할구역에 포함
되어서 한국영토로 관할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일본정부의 주장은 아주 주
관적이고 일방적인 생각에 불과했다.
7. 맺으면서
본 연구는 1950에서 1970년대 사이 일본의 의회의사록에서 독도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당시 일본정부와 정치권의 영토인식에 관해 고찰했다. 특히 일본정부
의 독도에 대한 영토화 의지는 센카쿠제도・북방영토에 비해 훨씬 더 약했다
는 것이 사실이다. 이상의 연구 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일본 국회에서 야당 전문위원들은 독도문제에 대해 1952년 ‘이승만
라인’에 의해 한국이 실효적으로 관리하게 되었고, 한일협정에서 그러한 상태
를 인정하여 독도를 한국영토로서 묵인했기 때문에 일본이 적극적으로 영토화
정책을 펼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을 인정했다.
둘째로, 일본정부는 센카쿠제도가 청일전쟁 때 시모노세키조약과 무관하게
일본의 영토로서 편입한 합법적인 영토이다. 미국의 점령시기에는 미국의 신탁
통치하에 있다가 1972년 오키나와 반환과 더불어 영토권과 관할권을 미국으로
부터 양도받았다고 주장해왔다. 사실 미국은 센카쿠제도57)의 관할권만 일본에
넘겨 준 것이지 영토권을 넘긴 것은 아니었다.
셋째로, 야당위원들은 북방영토에 대해, 대일평화조약에서 일본의 영토로서
결정된 것도 아니고, 대일평화조약 체결 이후도 북방4개 섬이 일본영토라는 사
56)「아키야마 죠조(秋山長造)」, [0444/254]34-참의원- 예산위원회 - 19호, 1960년3월22일, 『일본국
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p. 505.
57)「사토 에사쿠(佐藤栄作) 국무대신」, [032/219]67-참의원-예산위원회- 7호, 1971년11월9일, 『일본
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p.1212.
독도・센카쿠제도・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정부의 차별적 영유권 인식 ············ 최 장 근…259
실을 강력하게 주장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넷째로, 야당 전문위원들은 일본정부가 1960년에 체결된 신 미일안보조약에
독도를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한 것을 비판했다. 사실 미국은 한미방위조약에서
독도가 한국영토에 포함된다는 것에 동의했지만, 일본영토에 포함된다고 동의
하지 않았다.
요컨대 야당위원은 이들 3지역이 분명한 일본영토라는 일본정부의 주장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정부의 소극적인 영토화정책을 비판했다. 야당의
전문위원들은 센카쿠제도의 경우 영토정책을 소홀히 하면 독도처럼 관할권을
빼앗길 수 있기 때문에 영토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을 주문했던 것이다.
【참고문헌】
동북아역사재단편(2009) 『일본국회독도관련기록모음집 제1부 1948-1976년』동북아역사재
단, p.1-1345.
송병기(1999) 『울릉도와 독도』단국대학교 출판부, pp.15-251.
신용하(1996) 『독도의 민족영토사 연구』지식산업사, pp.23-322.
오오니시 토시테루(2011) 『독도개관』인문사, pp.148-149.
최장근(2010.8) 「한일협정에서 확인된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의 한계성」, 『일어일문
학』제47집, 대한일어일문학회, pp.429-447.
井上清(1972) 『「尖閣」列島』現代評論社, pp.9-278.
外務省国内広報課編(2000), 『われらの北方領土』外務省国内広報課, p.18.
木村汎編(1981) 『北方領土を考える』北海道新聞社, p.88.
下條正男(2004) 『竹島は日韓どちらのものか』文春新書377, pp.7-188.
芹田健太郎(2002) 『日本の領土』中公叢書,,pp.52-66.
戸丸広安監修(1993) 『北方領土 ー新聞編集ー 上巻1947年ー1979年』大空社,
p.193. 内藤正中・朴炳涉(2007) 『竹島=独島論争』新幹社, pp.11-342.
安岡昭男(2002) 『幕末維新の領土と外交』清文堂出版, p.227.
毎日新聞社編(1952) 『対日平和条約』毎日新聞社, 부속지도.
和田春喜(1999) 『北方領土問題 ー歴史と未来ー』朝日選書, pp.219-228.
260 日本文化學報……第 61輯
要旨
The Japanese government require territorial sovereignty on Takeshima, Senkaku
Islands, northern territories. Current Korea actually has managed Takeshima, and
Japan has actually managed Senkaku Islands, and Russia has actually managed the
Northern Territories. this study are analyzed Japan's territorial disputes between
1950 to 1970. In particular, The Japanese government was not claimed the Senkaku
Islands and the Northern Territoriesfor less than Dokdo. The reason is as follows.
South Korea managed effectively before the signing of the peace treaty. The reason is
that Union recognized Dokdo as Korea territory in the peace treaty. In addition, The
Japanese government has recognized Dokdo as Korea territory implicitly in the peace
talks between Korea and Japan. However, the Government of Japan strongly argued for
the sovereignty on Northern Territory. Okinawa was returned to Japan from the United
States. then the United States had given the Jurisdiction right of Senkaku Islands to
Japan. Taiwan and China demanded Senkaku Islands territorial sovereignty to the
Japanese. Currently Japan and China are surrounding on the ownership of Senkaku
Islands. Japan are in trouble for China to claim ownership of Senkaku Islands. Japan
got in trouble for Russia does not give up ownership of the archipelago kulril.
キーワード:Senkaku Islands, daowi Island, Northern Territory, Kuril Islands,
Dokdo, Takeshima
투
고 : 2014. 2. 28
1차 심사 : 2014. 3. 15
2차 심사 : 2014. 4. 5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61
彙
報
(2013. 11. 1 ~ 2014. 4. 30)
【이사회】
1. 한국일본연구총연합회 준비협의회(1차) - 한국일본문화학회 단독 개최
· 일시 : 2014.3.20.(목요일)
· 장소 : 대전대학교 박희남 교수 인문예술대학 학장실
<안 건>
1
2
3
4
5
6
학회 홈페이지 개발 관련 누리미디어와 협의 건
한국일본연구총연합회 발표장 준비 건
프로그램수정 건
포스트제작 건
협찬사 가이드라인 건
논문투고 건
<의결 내용>
1 홈페이지 누리미디어와 계약
· 누리미디어와 계약 건
· 논문자료 저작권 판권 계약 향후 5년 유지
· 홈페이지 개발 및 유지/보수 관련 계약 김태영회장 사인
· 계약서류는 사무국장이 보관
2 제3회 한국일본연구총연합회장 장소의 발표장 준비
· 휴게실(1)
· 발표장소 - 신민철교수와 협의
· 발표장준비 – 육근화교수님 집행위원장으로 위촉
박희남교수님: 총창님 화환기증, 현수막, 발표장 등 체크
· 4월 12일 점심: 혜화관 4층 식당(식권 150매로 준비)
· 4월 12일 저녁: 수라정(메뉴: 석갈비)
3 프로그램 수정
· 프로그램에서 순서 등 수정
· 기타 수정사항 제시
4 포스터제작
· 프로그램 조정 완료(22일) 후 프로그램 포스터작업 실시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62
5 협찬사 가이드라인 정함
· 바로세움병원과 SS산업 협찬 결정
· 출판사의 경우는 30만원 이상 협찬의 경우에 한해 프로시딩에 협찬사로 표시
6 논문투고는 본 학회의 규정에 따라 엄격히 심사 진행
· 특히 무발표 논문투고는 신입회원일지라도 지난 3년간의 회비납부 후 투고
7 학술대회 숙소와 환영만찬
· 숙소: 유성 아드리아호텔
· 가격: 8만원(싱글, 트윈 동일 가격)
· 연회장소: 대전 황산옥
2. 한국일본연구총연합회 준비협의회(전체 참가)
· 일시 : 2014.3.22(토요일)
· 장소 : 황산옥(대전 유성구)
<안 건>
1
2
3
4
5
프로시딩 수정, 보완의 건
제2회 총연합회 잉여금에 관한 처리문제의 건
총연합회시 화환 전달 건
총연합회 운영을 위한 지원금 200만원 송금 요청 건
4월11일(금) 환영만찬 참가자 가이드라인 건
<의결 내용>
1 각 학회의 프로시딩 수정 보완은 한국일본문화학회 사무국장이 수합 정리.
- 제3회 한국일본연구총연합회 프로시딩 수정 보완은 본 회의 후 주관학회 사
무국장이 수합
2 제2회 총연합회 잉여금에 관한 처리는 당분간 기금으로 적립
- 제2회 총연합회에서 남은 잉여금 200만원과 각 학회의 총연합회시의 잉여금
은 일정금액(예:1,000만원)이 될 때까지 통장에 적립
3 총연합회시 주관 학회를 제외한 3개 학회 회장 명의로 화환 전달
- 주관학회는 각 학회에서 내는 지원금 200만원에서 주관학회를 제외한 3개
학회의 회장 명의로 3개 화환 준비(10만원 이하)
4 각 학회지원금 200만원 송금 요청
- 아직 지원금 200만원을 송금하지 않은 학회는 송금 협조 부탁
5 4월11일(금) 환영만찬 참가자 가이드라인은 5명(∓1명)으로 정함
- 환영만찬 참가자 인원제한, 인원파악은 사전에 연락
<안건 외 의결 내용>
1 숙소는 유성아드리아호텔로 정함
2 심포지엄 패널리스트에 대한 숙박은 2박으로 정하며, 만약 정해진 호텔에 1일
만 숙박할 경우 나머지1일분은 주관학회에서 정한 호텔비만큼을 현금으로 지불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63
3 각 학회에 배당되는 방은 심포지엄 패널리스트를 위한 1실과 각 학회에 의무적
으로 제공되는 2실로 총 3실로 정함
3. 한국일본연구총연합회 사후평가 및 추계학술대회 준비
· 일시 : 2014.5.9.(금요일 오후 4시)
· 장소 : 대전대학교 인문예술대학 학장실(박희남 교수)
<안 건>
1 제3회 한국일본연구총연합회 성공 개최 결산 보고
- 전체 약 300명 참석 2차간담회 200여명 참석
2 JAMS관련 협조문 발송 홈페이지 메인 화면 TYPE C선택
3 10월 한국일본문화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개최지
- 선문대학교 학술대회 개최지로 확정 통보(100만원 지원)
<의결 내용>
1 분과이사별 업무문장내용 인지요청(업무분장 관련 확인 필요)
2 각 분과이사님 학회논문게재 및 심사에 있어 사무국을 통해 접수된 논문에 한
해 심사진행 요청
3 분과이사들의 협조와 업무연락이 가동되지 않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 필요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64
【편집이사회】
2013. 12. 15
편집회의
1. 제59집(11월호) 2013년 11월 30일 투고현황 및 발간 보고
*어학・교육: 7편, 고전문학: 5편, 근대문학: 5편, 일본학: 8편, 총 25편
2. 제60집(2월호) 투고 논문 1차 심사 심의
*1차 심사 결과서 송부
*1차 심사 통과 논문에 대해 수정 및 가필 의뢰
2014. 1. 5
편집회의
1. 제60집(2월호) 투고 논문 2차 심사 심의
2. 제60집(2월호) 최종 논문투고 현황 보고
* 일근대문학 분과 4편
* 일본어학 분과 3편
* 일본어 교육 분과 5편
* 일고전문학 분과 1편
* 일본학분과 10편, 총23편
2014. 3. 16
편집회의
1. 제60집(2월호) 2014년 2월 28일 발간 보고
*어학・교육: 7편, 고전문학: 1편, 근대문학: 3편, 일본학: 9편, 총 20편
2. 제60집(5월호) 투고 논문 1차 심사 심의
*1차 심사 결과서 송부
*1차 심사 통과 논문에 대해 수정 및 가필 의뢰
2014. 4. 6
1. 제61집(5월호) 투고 논문 2차 심사 심의
2. 제61집(5월호) 최종 게재논문 결정
편집회의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65
2014년 5월호 논문투고 및 게재현황
*일본어학/일본어교육 분과: 5편 투고 4편 게재 확정
*고전문학 분과: 2편 투고 2편 게재 확정
*근대문학 분과: 5편 투고 3편 게재 확정
*일본학 분과: 6편 투고 4편 게재 확정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66
【학술】
韓國日本研究總聯合會
第3回 國際學術大會 및 Symposium
(韓國日本文化學會 第47回 國際學術大會)
☐ 日時 : 2014年 4月 11日(金) ~ 4月 12日(土)
☐ 場所 : 大田大學校 30周年記念館
☐ 主催 : 韓國日本硏究總聯合會
(大韓日語日文學會・日本語文學會・韓國日本文化學會・韓國日本語文學會)
☐ 主管 : 韓國日本文化學會
☐ 後援 : 日本國際交流基金, 大田大學校
☐ 協贊 : 에쓰에쓰산업(주), 바로세움병원, 시사일본어사, 다락원, 메트로문화사
«詳細日程»
☞ 2014年 4月 11日(金曜日)
◎ Symposium 發題者 歡迎 Reception 및 懇談會
* 時間 : 18:00~20:00
* 場所 : 황산옥(Tel: 042-826-1332)
☞ 2014年 4月 12日(土曜日)
* 09:30~10:00 接受 및 登錄(30周年記念館 1F 로비)
* 10:00~12:00 學術發表(第1部 發表: 39編)
* 12:00~13:00 中
食(혜화문화관 2F)
* 13:00~13:30 開會式(30周年記念館 1F)
* 13:30~16:00 國際Symposium(30周年記念館 1F)
* 16:00~18:00 學術發表(第2部 發表: 49編)
* 18:00~20:00 懇親會(수라정)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67
«開會式»
<4月 12日(土)
(場所: 30周年記念館 1F 109)
1
開
會
2
歡
迎
3
祝
4
會員學會長 紹介
13:00~13:30>
司會 : 安容柱(鮮文大)
辭
金
辭
宣 吉 均(大田大學校 大學院長)
辭
小 島 寛 之(日本国際交流基金 서울文化센터 所長)
金
泰
泰
永(韓國日本文化學會 會長)
永(韓國日本文化學會 會長)
«國際Symposium»
<4月 12日(土)
順序
時 間
發 題 者
13:30~16:00>
題
目
主題: 일본연구의 현황과 과제
(日本研究の現況と課題)
(場所: 30周年記念館 1F 109)
司會:片茂鎭(檀國大)
鄭応洙
韓国の大学における日本関連学科の変貌と展望
(南ソウル大)
張龍傑
2 13:45~14:00
고등학교에 있어서 일본어교육의 현황
(慶南大)
荒木 浩
3 14:00~14:15
(国際日本
古典研究 戦略 展望
文化硏究センター)
林慧君
4 14:15~14:30
台湾における日本語教育と日本研究
(國立臺灣大)
1 13:30~13:45
の
5 14:30~16:00
<綜合討論>
と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68
分科別 學術發表
第1發表場 <日本語學Ⅰ>
[場所 : 30周年記念館 3F 316]
順序
時
間
發 表 者
座長 : 金鎔均(中央大)
題
目
討 論 者
司 會 : 邢鎭義(韓南大)
1
11:00~11:30
李京哲・崔智淳
(東國大)
2
11:30~12:00
朴江訓
(全州大)
中
開
韓國漢字音에 나타나는
i母音添加現象에 대하여
-日本漢字音․越音과의 比較를
中心으로-
趙英姬
(金剛大)
言語類型論的観点からみた
韓日両言語の副助詞の文法化
金殷模
(全北大)
食 (12:00~13:00)
會
式 (13:00~13:30)
國際Symposium (13:30~16:00)
司 會 : 安熙貞(威德大)
3
16:00~16:30
申忠均
(全北大)
4
16:30~17:00
黒木邦彦
(啓明大)
5
17:00~17:30
李亭夏
(釜山大)
ポケモン・キャラクター名に
見られるネーミング
-特殊型と素材特性を中心とし
て上甑島瀬上方言の音素体系に見
る
不透明性
日本語「前」と韓国語「앞」の
認知意味論的分析
羅工洙
(嶺南大)
崔英淑
(忠南大)
金炫秀
(霊山大)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69
分科別 學術發表
第2發表場 <日本語學Ⅱ>
[場所 : 30周年記念館 3F 317]
順序
時
間
發 表 者
座長 : 兪長玉(大邱가톨릭大)
題
目
討 論 者
司 會 : 申玟澈(韓南大)
1
2
11:00~11:30
朱仁媛
(広島大学)
上級日本語学習者の文章記憶に
及ぼす音読の効果
-黙読との比較を通して-
大内彩
(白石大)
11:30~12:00
大谷鉄平
(江陵原州大)
日本のソーシャルメディア研究に
対する小考
-「打ち言葉」の文体論的把握を中
心に-
石丸春奈
(全北大)
中
開
食 (12:00~13:00)
會
式 (13:00~13:30)
國際Symposium (13:30~16:00)
司 會 : 魚秀禎(啓明大)
호칭사용실태의 한일 대조연구
-식당 종업원 호칭을
중심으로-
魚秀禎
(啓明大)
3
16:00~16:30
丁英淑
(啓明大)
4
16:30~17:00
朴省姬
(高麗大)
명치 초기의 서양 지명 표기
연구
宋淑正
(中央大)
5
17:00~17:30
宋淑正
(中央大)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발행된
일본어 교과서의 외래어
표기에 관한 고찰
閔丞希
(中源大)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70
分科別 學術發表
第3發表場 <日本語敎育>
[場所 : 30周年記念館 3F 319] 順序
時
間
發 表 者
1
10:00~10:30
金英兒
(韓南大)
2
10:30~11:00
余銅基
(九州大学)
3
11:00~11:30
黄 雲
(麗澤大学)
4
11:30~12:00
金京姬
(全南大)
座長 : 朴喜南(大田大)
題
目
討 論 者
司 會 : 李忠奎(西原大)
한국과 일본의 시간부사
李忠奎
비교연구
(西原大)
-일본어 교육의 관점에서韓国系民族学校のJSL教育機関
としての意義
김윤희
-日本のJSL児童に対する日本
(中央大)
語指導の現状との比較を通して
司 會 : 鄭夏俊(湖南大)
開化期日本語学習書に関する考察
尹錫南
-日本語教育の目的論を中心に(建陽大)
자기주도 학습자의 일본어
權 城
듣기. 말하기 능력 신장
(한밭大)
전략에 관한 연구
中
食 (12:00~13:00)
開
會
式 (13:00~13:30)
國際Symposium (13:30~16:00)
司 會 : 李香蘭(圓光大)
5
16:00~16:30
永野亜季
(釜山外大)
瀧口恵子
(啓明文化大)
山田幸子
(慶北大)
6
16:30~17:00
이재준
(東北大学)
7
17:00~17:30
近 悠美
(檀國大)
8
17:30~18:00
仇 文俊
(九州大学)
韓国における日本語専攻者・非専
攻者の日本語学習意識
-大邱・慶北地域の大学生を対
象に-
と
に する
の からその
を
ーアンケート
を じてー
青木咲野加
(大邱가톨릭大)
韓国語 日本語 対
意識調査
金英兒
結果
接近方法 考察
(韓南大)
調査結果 通
司 會 : 朴均轍(全州大)
連体詞「こういう」「こうした」
서경원
の使い分け
(中央大)
ビジネス会議場面における日本語
の待遇表現の使用に関する一考察
郭銀心
(中央大)
-自然会話に対する分析に基づい
て-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71
分科別 學術發表
第4發表場 <古典文學Ⅰ>
[場所 : 30周年記念館 2F 219]
順序
時
間
發 表 者
座長 : 李珍鎬(圓光大)
題
目
討 論 者
司 會 : 鄭順粉(培材大)
1
10:30~11:00
閔丙勳
(大田大)
2
11:00~11:30
金 英
(大邱韓醫大)
3
11:30~12:00
金賢貞
(韓國傳統文化大)
『竹取物語』享受と受容の様相
中
開
일본 고대 女性과 香
- 『今昔物語集』를
중심으로개화기 이후 우리나라에서
사용된 ‘화장(化粧)’ 용어의
유래에 대한 고찰
金善花
(木浦大)
閔丙勳
(大田大)
高龍煥
(慶南情報大)
食 (12:00~13:00)
會
式 (13:00~13:30)
國際Symposium (13:30~16:00)
司 會 : 崔元載(서울女大)
4
5
16:00~16:30
高永爛
(高麗大)
근세기 일본 서사 속의
하녀(奉公人) 표상 연구
金 英
(大邱韓醫大)
16:30~17:00
朴熙永
(中央大)
일본 여성 요괴의 생성원리와
이중성의 구조
-설녀(雪女), 우부메(産女),
야만바(山姥)를 중심으로-
朴相鉉
(慶熙사이버大)
權海珠
(慶尙大)
6 17:00~17:30
山形県中部の俳額に関する一考察
本郷民男
(韓国俳句研究院)
兪玉姬
(啓明大)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72
分科別 學術發表
第5發表場 <古典文學Ⅱ>
[場所 : 30周年記念館 2F 220]
順序
時
間
發 表 者
題
中
開
座長 : 兪玉姬(啓明大)
目
討 論 者
食 (12:00~13:00)
會
式 (13:00~13:30)
國際Symposium (13:30~16:00)
司 會 : 金祥圭(釜慶大)
1
16:00~16:30
高龍煥
(慶南情報大)
人麻呂歌集の七夕歌における「水
陰草」
金祥圭
(釜慶大)
2
16:30~17:00
金祥圭
(釜慶大)
『古事記』の構想
-ウジノワキイラツコの描き方をめ
ぐって-
高龍煥
(慶南情報大)
3
17:00~17:30
홍성연
(建國大)
팔대집에 나타난 샘물(清水)의
이미지
都基弘
(한밭大)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73
分科別 學術發表
第6發表場 <近代文學Ⅰ>
[場所 : 30周年記念館 1F 107]
順序
時
間
座長 : 陸根和(大田大)
發 表 者
題
目
討 論 者
司 會 : 林盛奎(白石大)
1
10:00~10:30
陸根和
(大田大)
엔도 슈사쿠의
『애가(哀歌)』론
-단편들의 메시지에 대한
의미-
2
10:30~11:00
黒木了二
(大田大)
杉山泰道(夢野久作)の日本社会
文化観
尹惠暎
(忠南大)
林盛奎
(白石大)
司 會 : 朴贊基(木浦大)
3
11:00~11:30
강경하
(全南大)
4
11:30~12:00
金学淳
(韓國交通大)
한일은둔문학의 비교고찰
-송강 정철과 마쓰오 바쇼를
중심으로曲亭馬琴における周辺国への認
識
―琉球と蝦夷を中心にして-
中
開
梁先希
(韓南大)
朴贊基
(木浦大)
食 (12:00~13:00)
會
式 (13:00~13:30)
國際Symposium (13:30~16:00)
司 會 : 任苔均(聖潔大)
5
16:00~16:30
梁喜辰
(中央大)
고바야시 다키지「야스코」에
있어서 여성의 역할에 대해서
朴裕美
(忠南大)
6
16:30~17:00
松橋幸代
(忠南大)
遠藤周作の人間認識
-『おバカさん』を中心に-
任苔均
(聖潔大)
司 會 : 尹在石(한밭大)
7
17:00~17:30
李珍鎬
(円光大)
8
17:30~18:00
田村栄章
(円光大)
『家族會議』와 <純粹小說論>
-그 부합의 정도와 관련하여思想的拠点としての内鮮一体 -崔載瑞「民族の結婚」-
李貞熙
(威德大)
尹在石
(한밭大)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74
分科別 學術發表
第7發表場 <近代文學Ⅱ>
[場所 : 30周年記念館 1F 110]
順序
時
間
發 表 者
座長 : 李錦宰(南서울大)
題
目
討 論 者
司 會 : 吳俊永(空軍士官大))
1
10:30~11:00
李寭仁・尹惠暎
(忠南大)
『노르웨이의
숲(ノルウェイの森)』론
-기즈키를 중심으로-
吳俊永
(空軍士官大)
2
11:00~11:30
鄭美淑
(忠南大)
요시유키
준노스케(吉行淳之介) 작품에
나타난 색채연구
林相珉
(東義大)
3
11:30~12:00
金貞奉
(漢陽大)
가톨릭 작가 엔도 슈사쿠
문학에 관한 비판적 고찰
金美子
(昌原大)
中
開
食 (12:00~13:00)
會
式 (13:00~13:30)
國際Symposium (13:30~16:00)
司 會 : 林相珉(東義大)
4
16:00~16:30
金美子
(昌原大)
이토시즈오 (伊東静雄)와 靑馬
유치환
李英姬
(嶺南大)
5
16:30~17:00
강지현
(全南大)
<충신장물>화류소설『장치막
없음 복수본보기 전편』考
朴贊基
(木浦大)
司 會 : 鄭旭盛(南서울大)
6
17:00~17:30
秋錫敏
(新羅大)
鄭承博文學 硏究
- 모국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진명순
(霊山大)
7
17:30~18:00
黃舜夏
(韓國外大)
히구치 이치요(樋口一葉)와
전쟁
金貞奉
(漢陽大)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75
分科別 學術發表
第8發表場 <近代文學Ⅲ>
[場所 : 30周年記念館 1F 112]
順序
時
間
座長 : 申基東(江原大)
發 表 者
題
目
討 論 者
司 會 : 徐載坤(韓國外大)
吉本弥生
1
10:30~11:00 (総合研究大学院 武者小路実篤の「桃色の室」論
大学)
2
3
11:00~11:30
徐載坤
(韓國外大)
11:30~12:00
堀まどか
(嶺南大)
부활하는 전쟁 영웅들
-「진주만 특별공격대」를
중심으로-
堀まどか
(嶺南大)
吉本弥生
境界者・野口米次郎の植民地経
(総合研究大学院
営に対する認識
大学)
中
開
徐載坤
(韓國外大)
食 (12:00~13:00)
會
式 (13:00~13:30)
國際Symposium (13:30~16:00)
司 會 : 崔俊鎬(全北大)
4
16:00~16:30
林晟澤
(全北大)
김석범의 「까마귀의
죽음」론
李明喜
(木浦大)
5
16:30~17:00
明惠英
(全州大)
강요된 이분법으로부터의 탈주
-이양지의 「나비타령」,
「유희」의 ‘개인되기’-
所由美
(公州大)
6
17:00~17:30
所由美
(公州大)
漱石の「満韓ところどころ」にお
ける韜晦
崔俊鎬
(全北大)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76
分科別 學術發表
第9發表場 <近代文學Ⅳ>
[場所 : 30周年記念館 1F 113]
順序
時
間
座長 : 李起燮(世明大)
發 表 者
題
目
討 論 者
司 會 : 李恩姬(啓明大)
1
11:00~11:30
吳秉禹
(대구예술대)
日本近代文学の特徴
-性風俗を表した谷崎の奏淮の
夜を中心に-
安英姬
(啓明大)
2
11:30~12:00
安英姬
(啓明大)
사소설과 소설가소설
-시가 나오야의『화해(和解)』
李恩姬
(啓明大)
中
開
食 (12:00~13:00)
會
式 (13:00~13:30)
國際Symposium (13:30~16:00)
司 會 : 表世晩(群山大)
3
16:00~16:30
김경인
(全南大)
足尾鉱毒事件을 叙事한
文學硏究
鄭淵旭
(木浦大)
4
16:30~17:00
야마다 아이
(建國大)
후카사와 시치로(深沢七郎)
나라야마부시코(楢山節考)론
姜宇源庸
(關東大)
李明喜
(木浦大)
가와바타문학의 창작과정과
방법
-전전본 『설국』의
‘제3회문예간화회상’수상을
둘러싸고-
李丞鎭
(東國大)
5
17:00~17:30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77
分科別 學術發表
第10發表場 <日本學Ⅰ>
[場所 : 30周年記念館 2F 221]
順序
時
間
座長 : 金泰永(江陵原州大)
發 表 者
題
目
討 論 者
司 會 : 崔長根(大邱大)
1
10:00~10:30
2
10:30~11:00
郭眞吾
일본의『죽도문제100문100답
(東北亞歷史財團)
』의 허구를 중심으로
일본취업과정과
국내취업과정의 수요조사에
따른 차별화 방안
全允善
(한밭大)
宋彙榮
(嶺南大)
鄭根河
(朝鮮大)
司 會 : 郭眞吾(東北亞歷史財團)
3
11:00~11:30
崔長根
(大邱大)
독도・센카쿠제도・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정부의 차별적
영유권 인식
宋彙榮
(嶺南大)
4
11:30~12:00
宋彙榮
(嶺南大)
개척령 이후 울릉도 사회의
형성과 일본인 이주어촌
崔長根
(大邱大)
中
開
食 (12:00~13:00)
會
式 (13:00~13:30)
國際Symposium (13:30~16:00)
司 會 : 林永彦(全南大)
5
16:00~16:30
杉田智美
(木浦大)
映画「道―白磁の人」における<
友愛>の再生
李丞鎭
(東國大)
6
16:30~17:00
張慧珍
(漢陽大)
一八世紀初期における華夷世
界と日本外交の変容
林永彦
(全南大)
司 會 : 鄭根河(朝鮮大)
7
17:00~17:30
朴宰秀
(培材大)
8
17:30~18:00
權柄旭
(한밭大)
자본주의 생산방식으로서
클러스터
-일본의 산업클러스터계획에
대해-
權柄旭
(한밭大)
교토 시니세 기업과
현대경영의 특징
黃慧瓊
(南서울大)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78
分科別 學術發表
第11發表場 <日本學Ⅱ>
[場所 : 30周年記念館 2F 222]
順序
時
間
發 表 者
座長 : 魯成煥(蔚山大)
題
目
討 論 者
司 會 : 徐己才(建國大)
1
10:00~10:30
林慶澤
(全北大)
근대 일본 ‘학교’의 공동체적
속성의 형성과 변화
徐己才
(建國大)
2
10:30~11:00
李悳薰
(韓南大)
스페인 통치하 필리핀령의
갈레온 무역과 중국인과
일본인의 교역
장혜진
(漢陽大)
司 會 : 崔仁宅(東亞大)
3
11:00~11:30
張龍傑
(慶南大)
일본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일고찰
崔仁宅
(東亞大)
4
11:30~12:00
朴淳希
(釜慶大)
韓国の茶道における日本の要素
-金福順製茶法を中心に-
金善花
(木浦大)
中
開
食 (12:00~13:00)
會
式 (13:00~13:30)
國際Symposium (13:30~16:00)
司 會 : 金英順(建陽大)
5
16:00~16:30
金瑞恩
(全南大)
근대 한일 영화와 대중가요의
相乘作用 考察
朴京洙
(全南大)
6
16:30~17:00
張味京・金順槇
(全南大)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유행한
일본 대중번안가요 연구
徐己才
(建國大)
司 會 : 鄭淵旭(木浦大)
7
8
17:00~17:30
17:30~18:00
史希英
(全南大)
朴京洙
(全南大)
昭和期 演歌에 나타난 연애관
考察
演歌와 大正デモクラシ의
영향관계 고찰
-添田啞蟬坊의 演歌를
중심으로-
鄭淵旭
(木浦大)
金瑞恩
(全南大)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79
分科別 學術發表
第12發表場 <日本學Ⅲ>
[場所 : 30周年記念館 2F 223]
順序
時
間
座長 : 朴正義(圓光大)
發 表 者
題
目
討 論 者
司 會 : 朴宰秀(培材大)
1
2
10:00~10:30
林永彦
(全南大)
오사카지역 한인 커뮤니티의
형성과 변용과정 연구
鄭根河
(朝鮮大)
10:30~11:00
金泰永
(江陵原州大)
The issues concerning the
selective separate surname
system in contemporary
Japan
朴宰秀
(培材大)
司 會 : 金賢旭(國民大)
3
11:00~11:30
朴正義
(圓光大)
映画『日本沈没』に見られる
日本社会のナショナリズム化
-1972年と2006年の比較から-
李忠澔
(高麗大)
4
11:30~12:00
李忠澔
(高麗大)
식민지 조선에서의 일본어
대중잡지 속의 〈미신〉
金賢旭
(國民大)
中
開
食 (12:00~13:00)
會
式 (13:00~13:30)
國際Symposium (13:30~16:00)
司 會 : 鄭應洙(南서울大)
5
16:00~16:30
曺起虎
(圓光保健大)
民俗学としてみた
日本鎌倉時代の葬墓文化
朴正義
(圓光大)
6
16:30~17:00
李杏花・李京珪
(東義大)
1920년대 일본의 도시문화
속에 나타난 모던걸의 외양
鄭應洙
(南서울大)
7
17:00~17:30
澤田敬人
(静岡県立大学)
日本人の学力と想像上の国際競
争をめぐる言説
金英順
(建陽大)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80
分科別 學術發表
第13發表場 <日本學Ⅳ>
[場所 : 30周年記念館 2F 224]
順序
時
間
發 表 者
座長 : 黃達起(啓明大)
題
目
討 論 者
司 會 : 梁明心(建國大)
1
11:00~11:30
朴濟洪
(全南大)
간이학교의 황민화교육
-조선총독부편찬 간이학교용
교과서를 중심으로-
梁明心
(建國大)
2
11:30~12:00
黄益九
(慶南大)
引揚者と「民主主義」教育
―消されていく帝国の<記憶>
崔鍾吉
(東義大)
中
開
食 (12:00~13:00)
會
式 (13:00~13:30)
國際Symposium (13:30~16:00)
司 會 : 申長鎬(大邱外大)
3
16:00~16:30
中村八重
(啓明大)
国際養子縁組の日韓比較研究の
試み
-養子送り出し国としての観点
から-
申長鎬
(大邱外大)
복지전공 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의 한일비교
趙文基
(崇實사이버大)
김완태
(韓瑞大)
4
16:30~17:00
西原尚之
(筑紫女学園大)
장세철
(한서대)
司 會 : 金暻玟(韓瑞大)
5
17:00~17:30
吳美喜
(永同大)
박선아
(檀國大)
6
17:30~18:00
黃星賀
(大邱韓醫大)
영유아교사의 유보일원화
인식에 관한 연구
金暎智
(龍谷大学)
日本 育兒 및 保育從事者의
資格에 관한 硏究
金 英
(大邱韓醫大)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81
分科別 學術發表
第14發表場 <日本學Ⅴ>
[場所 : 30周年記念館 2F 225]
順序
時
間
發 表 者
題
座長 : 安容柱(鮮文大)
目
討 論 者
司 會 : 張世哲(韓瑞大)
류애란
(韓瑞大)
조문기
1
11:00~11:30
한, 일 대학생들의 치매노인에
(숭실사이버대)
대한 이미지와 태도비교
金暻玟
(龍谷大学)
노인장기요양의 예방지원
서비스에 관한 연구
張世哲
(韓瑞大)
장세철
(한서대)
2
11:30~12:00
金暎智
(龍谷大学)
中
開
食 (12:00~13:00)
會
式 (13:00~13:30)
國際Symposium (13:30~16:00)
司 會 : 魯成煥(蔚山大)
3
16:00~16:30
金暻玟
(龍谷大学)
한・일 노인복지시설의
리스크매니지먼트에 관한 연구
益満孝一
(筑紫女学園大学)
趙文基
다문화 교류를 통한 이문화의식
4 16:30~17:00
(崇實사이버大)
완화 관한 연구
猪谷生美
(久留米大学)
趙文基
(崇實
사이버大)
張世哲
(韓瑞大)
司 會 : 蔡數道(慶北大)
5
6
17:00~17:30
魯成煥
(蔚山大)
울산에서 왜군의 포로가 된
중국인
蔡數道
(慶北大)
17:30~18:00
黃達起
(啓明大)
일본 야쿠시마(屋久島)의
생태관광
-그 현황과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吳秀文
(大邱大)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83
合評會
-일본고전문학분과-
김 영
2014년 3월 김태영 신임 회장을 주축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가 새롭게 출범했
다. 4월 대전대학교에서 전국 일본학 관련 학회를 총괄한 ‘한국일본연구총연합회’
를 성공리에 마치고 연합학회에서 발표된 소중한 옥고(玉稿)들이
일본문화학회
61집에 투고되었다.
이번 61집 논문모집에는 일본어학/일본어교육분과에 5편이 접수되었고, 고전문
학분과는 2편 이 접수, 2편이 게재되었고 근대문학분과는 총 5편이 접수되어 3편
이 게재되었다. 일본학분과는 총 6편이 접수, 4편이 게재확정되었다.
고전문학분과에 게재된 총2편의 논문 중, 1편은 게재 판정을 받고 또 다른 1편
은 수정 후 재심을 받아 게재된 논문이다. 엄중하고 공정한 심사위원의 심사평을
토대로 이들 논문의 특성과 게재평에 대해 간단히 기술하기로 한다.
첫 번째 논문 <이광수「明治天皇御製謹譯」의 번역대본 연구>에 대한 평가이
다. 이 논문은 춘원 이광수가 1941년 5월에서 9월에 명치천황의 와카를 조선어로
번역한 「明治天皇御製謹譯」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심사자는 ‘이 텍스트는 국어
국문학계와 일어일문학계의 관심을 끌기에 부족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그 연구는 요원한 상태이다. 그러나 이 논문을 통해서 우리 학계에 다시 한 번 관
심을 갖고 춘원 이광수에 관한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연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한
다. 하지만 ‘이광수가 궁내성장판 『明治天皇御集』를 번역대본으로 했을 가능성
을 제기하고 있는 매우 도전적인 논문’이라 호평하면서도, ‘면밀한 텍스트의 검토
가 부족하며 논증의 컨텍스트적 사항을 보완’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두 번째 논문 <일본 근세문예에 나타난 금전관―『츠레즈레구사』『장자교』
『일본영대장』의 비교를 중심으로― >에 대한 평가이다.
이 논문은 근세의 <일본영대장>을 <쓰레즈레구사>, <장자교>와 비교하여 일본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84
근세인들의 금전관의 차이점을 고찰하고 있다. 중세 시대에는 돈을 모아 부를 이
루려 하는 것에 관심이 있었다면 근세에는 상업자본주의 등의 영향으로, 단순한
부의 축적이 아니라 소비를 위한 축적으로 인식되고 있었음을 주장하고 있다. 다
만 심사자들이 아쉽다고 평가한 점은 각 작품에 금전관이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
지 제시하고 있을 뿐으로, 세작품의 수용관계라든가, 각각의 시대에 있어서 금전
관에 대한 일반적인 시각들에 대해서는 논의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한국내 일본학 연구가 총체적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철주야
연구와 교육에 힘쓰시며 이번 61집 일본문화학보에 소중한 옥고를 투고해 주신
연구자님들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 올린다. 매일 새롭게 거듭나고 분발하며 우
리 회원님들이 필요로 하는 학회가 될 수 있도록 저희 한국일본문화학회는 더욱
노력하겠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85
韓國日本文化學會 任員名簿
職 責
會 長
副會長
姓 名
所 屬
金泰永
江陵原州大
李珍鎬
圓光大
崔長根
大邱大
林盛奎
白石大
邢鎭義
韓南大
陸根和
大田大
林永彦
全南大
安容柱
鮮文大
金漢洙
全北科學大
黃慧瓊
南서울大
吉美顯
又松大
閔丙勳
大田大
申玟澈
韓南大
都基弘
한밭大
金昌男
金剛大
趙英姬
金剛大
金直洙
烏山大
林昌奎
濟州漢拏大
宋彙榮
嶺南大
鄭相哲
極東大
柳椿姬
鮮文大
總 務
財 務
涉 外
實
務
學 術
理
事
編 輯
評 価
情 報
事務局
連絡處
電 話
(033) 640-2157
010-5469-0892
(063) 850-6533
011-656-4778
(053) 850-6065
010-5553-5733
(041) 550-2417
010-4548-3278
(042) 629-8136
010-3146-1933
042-280-2257
010-3440-2257
(062) 530-2703
010-9883-2428
(041) 530-2422
010-8823-4132
(063) 530-9293
010-4600-6655
(02) 913-3948
010-9476-3947
(042) 630-9806
010-3456-8440
042-280-2259
010-2638-8841
(042) 629-7332
010-3096-0312
(070)4405-5662
010-3432-5662
(041) 731-3455
010-8604-6768
(041) 731-3461
010-9478-4936
031-370-2636
010-6473-8889
(064) 741-7433
010-5848-0311
(053) 810-8677
010-7588-8622
(043) 879-3642
010-3656-3389
010-4137-4172
e-mail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86
職 責
姓 名
所 屬
李香蘭
圓光大
金鎔均
中央大
語學分科
分
科
金
大邱韓醫大
古典文學
理
事
英
近代文學
日 本 學Ⅰ
(政治、経済、社会)
日 本 學Ⅱ
(歴史、文化、民俗)
朴相鉉
慶熙사이버大
尹惠暎
忠南大
郭眞吾
東北亞歷史財團
金英順
建陽大
連絡處
電 話
(063) 850-6524
010-7277-6559
(031) 670-3183
010-8641-6361
(053) 819-1535
010-4152-8081
(02) 3299-8573
010-9179-3592
(042) 821-5376
010-7140-3328
(02) 2012-6117
010-3661-6062
(041) 730-5386
010-8978-5386
e-mail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Journal of Japanese Culture
韓國日本文化學會 會則
287
제1장 총칙
제1조(명칭) 본 학회는 ‘한국일본문화학회’라 칭한다.
제2조(목적) 본 학회는 일본 관련 제학문의 연구를 위한 국내외 회원간의 학술 교류를
통하여 일본학 연구의 활성화와 학문 발전을 도모하고, 국제간 교류를 통한
상호 협력과 이해 증진에 기여하도록 한다.
제3조(사업) 본 학회는 제2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각 항의 사업을 수행한다.
1. 정기적인 학술연구발표회(연 2회)
2. 학술지 발간(연 4회)
3. 학술 진흥을 위한 세미나 및 심포지엄 개최
4. 외국 학회와의 학술교류 및 공동연구
5. 외국의 대학도서관 및 학술단체와 학술지 교류
6. 일본문화의 소개
제4조(위치) 본 학회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학회사무실 및 지부를 두며, 상
시 업무를 담당하는 사무국장을 둘 수 있다.
제2장 회원
제5조(자격) 본 학회의 회원은 일본어문학을 비롯한 일본학 연구에 종사하는 자나 관심
을 갖고 있는 자로 한다.
제6조(구분) 본 학회 회원의 구분은 회원 규정 에 따른다.
제7조(가입요건) 본 학회에 신규로 회원가입을 원하는 자는 원칙적으로 기존 회원의 추
천을 받아야 한다.
제8조(권리와 의무) 본 학회의 회원은 다음과 같은 권리와 의무를 갖는다.
1. 임원의 선거권 및 피선거권(단, 명예회원은 제외)
2. 학회활동 참여의 권리와 회칙 준수의 의무
3. 회비 납부의 의무
제9조(징계) 회원이 의무를 수행하지 않고 본 학회의 명예를 현저히 손상하였을 경우에
는 이사회의 결의를 거쳐 회원자격의 박탈이나 정지 등 징계할 수 있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88
제 3 장 기구 및 임원
제10조(기구) 본 학회는 다음과 같은 기구를 둔다.
1. 집행위원회(회장, 부회장, 상임이사)
2. 이사회
3. 해외지부
제11조(임원) 본 학회는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임원을 둔다.
회장(1인), 부회장(약간 명), 상임이사(약간 명), 해외이사 및 이사(적정인
원), 감사(2인)
제12조(임원의 선출) 회장 및 감사는 총회에서 선출하고, 기타 임원은 회장이 위촉한다.
제13조(임원의 임기) 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제4장 총회
제14조(종류) 본 학회의 회의에는 총회, 이사회, 각종 위원회가 있다.
제15조(총회의 소집 및 의결)
1. 본 학회는 매년 1회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필요에 따라 회장이 임시총
회를 소집할 수 있다.
2. 총회는 다음의 의안을 심의․의결한다.
(1) 회장 및 감사의 선출 및 해임
(2) 회칙 개정
(3) 사업계획의 수립
(4) 예산과 결산의 승인
(5) 기타 중요사항
3. 총회에서의 의결은 출석회원 과반수 이상으로 한다.
제16조(이사회의 소집 및 의결)
1. 이사회는 실무이사회와 확대이사회가 있으며, 회장이 필요하다고 인정
할 시 이를 소집한다.
2. 실무이사회는 회장, 부회장, 상임이사로 구성하고, 확대이사회는 회장,
부회장을 포함한 전이사가 대상이 된다.
3. 이사회는 제 규정의 개정, 회칙 개정의 발의, 회장 위임사항의 심의, 자
문위원의 추대, 특별 및 명예회원의 승인, 기타 중요한 사항을 처리한다.
제17조(각종 위원회의 구성 및 임무)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89
1. 회장은 분야별 업무의 능률적 수행을 위해 각종 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다.
2. 위원회는 위원장과 위원으로 구성하며, 위원장은 회장의 제청으로 이사
회에서 선임한다.
3. 위원회의 안건은 출석 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5장 사업
제18조(재정) 본 학회의 재정은 회원의 회비와 기타 수입금으로 한다.
제19조(회비책정) 본 학회의 회비는 총회에서 결정한다.
제20조(회계연도) 본 학회의 회계 연도는 3월부터 익년 2월까지로 한다.
제21조(국제학술교류상 선정) 본 학회의 학술발전에 지대한 공헌이 인정되는 해외회원
을 대상으로 회장의 추천에 의해 이사회에서 결정한다.
제6장 부칙
제22조(회칙개정) 본 회칙의 개정은 정기총회에서 출석인원 3분의 2 이상의 동의를 얻어
확정한다.
제23조(시행세칙) 본 회칙 시행에 필요한 제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얻어 시행하되, 본
회칙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례에 따른다.
제24조(시행일) 본 개정 회칙은 2003년 10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5조 개정된 규정은 정기총회의 의결을 거쳐 2007년 5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6조 개정된 규정은 정기총회의 의결을 거쳐 2008년 10월 25일부터 시행한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90
한국일본문화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제1장 총 칙
제1조 본 위원회는 ‘한국일본문화학회 편집위원회’라 칭한다.
제2조 본 위원회는 한국일본문화학회 회칙 제17조에 의거하여 설치한다.
제3조 본 위원회가 관장하는 학회지 『일본문화학보』는 다음과 같은 지침 하에 발행한다.
1. 연 4회(2월호, 5월호, 8월호, 11월호)로 발행한다.
짜
2. 발행 날 는 해당호의 월
말일을 원칙으로 한다.
3. 기타 발행 과정은 ‘『일본문화학보』 발행 계획’에 준한다.
제 2 장 편집위원회 구성
제4조 편집위원회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위원장, 편집간사, 국내외 위원
제5조
편집위원회 위원장은 편집위원 중에서 회장의 제청으로 이사회에서 선임한다.
편집위원회 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며, 편집간사는 학회지 논문의 심사 및 편
괄
집을 통 한다. 임기는 공히 2년으로 한다.
제6조 편집위원회 위원은 이사회의 인준을 받아 회장이 임명한다. 임기는 2년이며, 본
인의 동의를 얻어 연장 가능하다.
래
제7조 편집위원은 아 와 같은 기준에 따라 선정한다.
또는 이에 상응하는 자격을 갖춘 자, 혹은 해당 전공분
야에서 20년 이상의 연구경력을 가진 자로서 학술 연구 실적이 뛰어난
1. 대학의 부교수 이상
국․내외 회원 중에서 선정한다.
려
2. 각 학문분야의 대표성을 고 하여 선정한다.
직
3. 분과위원회의 분과이사는 당연 으로 임명한다.
제3장 기능
횟
제8조 편집위원회는 학회지 『일본문화학보』의 체제, 발행 수, 발행부수, 논문의 분
량, 투고 및 심사규정 등 학회지 발행과 관련한 제반 사항을 결정한다.
제9조 편집위원회 편집간사는 각 분과이사와 협의 하에 학회에 투고된 논문의 심사위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91
원을 선정․의뢰하고, 편집위원회는 심사위원의 심사결과를 토대로 논문게재 여
부를 결정한다.
친
제10조 제8조에 제시된 사항 이외에 편집위원회가 의결한 사안은 이사회의 인준을 거
후에 효력이 발생한다.
제 4 장 편집위원회 회의
제11조 편집위원회 회의는 학회지 발간 계획에 따라 위원장이 소집한다.
제12조 연 4회의 정규 편집회의 이외에 필요할 경우에 위원장이 임시 편집회의를 소집할
수 있다.
제13조 편집회의는 원칙적으로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 5 장 논문 평가 기준
것
그
합평 루
후
제14조 게재 논문은 학회에서 구두 발표된 을 원칙으로 하되(단, 구두 발표
2년간
유 ), 이사회의 추천이 있는 경우에는
기고 논문도 심사
게재할 수 있다.
제15조 논문의 심사는 항목별 가와 종
가로 이 어진다.
제16조 논문심사에 적 되는 가 항목은 다음과 같다.
1. 내 의 적 성
2. 내 의 독 성
3. 식의 적 성
4. 전개의 논리성
5. 연구방 의 적 성
제17조 종
가는 항목별 가를 근거로 심사자가 다음의 4등 으로 가한다.
1. 학술논문으로서 매우 우수하다.
2. 학술논문으로서 우수하나 간단한 수정이 필요하다.
3. 학술논문으로서 내 및 체제 에서 미 하여 수정
다음 호에 재투고를
요한다.
4. 학술논문으로서 부적격하다.
효
용
용
형
합평
평
용 평
절
창
절
법 절
평
용
후
급 평
면
흡
후
제 6 장 논문심사 기준 및 절차
제18조(심사 기준) 편집위원회에서는 투고 논문에 대한 3인의 책임심사위원의 심사 결
과와 지적 사항에 대한 집필자의 처리 결과 및 투고 규정의 준수를
바탕으로, 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92
음과 같이 해당 논문의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1. 게재
심사위원
평가평점 23점 이상인 논문이 대상이 된다.
후 게재
심사위원 평가평점 20~22점인 논문이 대상이 된다.
3. 수정후 재심
심사위원 평가평점이 10~19점인 논문이 대상이 된다.
4. 게재 불가
심사위원 평가평점이 10점 미만인 논문이 대상이 된다.
2. 수정
제19조(심사
절차) 논문심사는 다음과 같은 2단계 절차로 이루어진다.
1. 1차 심사(심사위원 심사)
a. 제출된 논문에 대하여 3인의 책임심사위원에게 심사 의뢰한다.
b. 편집위원회에서는 심사위원 평가평점이 23점 이상인 논문은 <게재>, 20~22
점인 논문은 <수정후 게재>, 10~19점인 논문은 <수정후 재심>, 10점 미만
인 논문은 <게재 불가>의 판정을 내린다.
c. 투고자에게 1차 심사 결과보고서와 심사결과를 통보하고, <수정후 게재>
판정을 받은 논문에 대해서는 수정․가필을 요구한다. <수정후 재심>, <게
재 불가> 판정을 받은 논문은 이의 신청을 할 수 있다.
d. <수정후 게재> 판정을 받은 논문은 수정․가필하여 <수정 보고서>와 함께
편집위원회에 제출한다.
2. 2차 심사(편집위원회 심사)
a. 1차 심사에서 <수정후 게재> 판정을 받은 논문에 대하여 2인의 편집위원
에게 수정 이행 및 투고규정 준수 여부의 심사를 의뢰한다.
b. 심사위원회 평가평점을 합한 종합평점을 감안하여 게재 논문을 최종 결정
하고 투고자에게 통보한다.
c. 논문 심사 결과에 대하여 이의 신청이 있을 경우 분과위원회에 재심을 의
뢰한다.
d. 투고 논문의 게재율에 관한 편집위원회의 의결 사항은 종합평점에 우선한다.
제20조(심사 시기) 투고된 논문에 대한 심사는 연 4회(3월․6월․9월․12월)에 실시하는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93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21조(논문 게재호) 최종 심사에 통과한 논문의 게재호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하며, 동
속
일 집필자의 연 호 게재는
불허함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집필자가 복수인 경
우, 제1필자를 상단에 표기하고 공동필자는 하단에 표기한다.
제7장 기타
제22조 편집위원회 및 분과별 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편집위원회와 별도로 분과 위원회
를 둔다.
제8장 부칙
제1조 본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1999년 10월 9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 본 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일반 관례에 따른다.
제3조 개정된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2002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4조 개정된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2006년 8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5조 개정된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2008년 8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6조 개정된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2011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94
한국일본문화학회 연구윤리 규정
제1장 총 칙
제1조 (개요)
본 한국일본문화학회(이하 ‘학회’라 한다)는 한국에서의 일본학 연구 및 교육
었다.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학술단체로 설립되
본 학회는 학술활동의
환으로 회원들의 학술연구결과를 엄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여 학술대
회에 참여시키고, 그 결과를 학회지에 게재시키고 있다. 본 학회는 지속
적으로 높은 수준의 학술지 발표를 통하여 학회의 발전 및 궁극적으로
한일 양국의 문화교류 및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회원들
의 학술연구 수행 및 연구논문 발표 시 국제수준의 연구윤리를 준수함이
일
우선적으로 중요하며, 학회는 회원들의 진정한 학문적 발전을 위하여 학
윤리규정을 제정하고자 한다.
회연구
제2조 (목적)
본 규정의 목적은 본 학회의 학회지 및 학술대회 발표 논문에 관한 연
윤리의 규정을 엄격히 정하고 명문화함으로써 신뢰받는 연구풍토를 확
립하고, 회원들의 바른 학술활동을 유도하여 학회의 위상을 효율적으로
구
제고하기 위함이다.
제 2 장 연구윤리위원회의 조직
제3조 (위원회 설치)
본 학회는 연구
윤리 규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회 내에 연구윤
리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설치한다.
제4조 (위원회 구성)
1. 위원회는 편집위원장, 부회장, 총무이사, 학술이사, 편집이사 및 3인
이상의 편집위원을 포함하여 15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 위원장은 편집위원장이
겸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서
는 위원회 내에서 회장이 임명한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95
제5조 (임기)
위원의 임기는 각 위원의
직책임기에 따른다.
제 3 장 연구윤리위원회의 운영 및 권한
범위)
1. 학회 연구윤리와 관련된 제반 규정들을 세우고 실행한다.
2. 연구윤리 위반에 대한 제보를 접수하고 이를 규정에 따라 처리한다.
제6조 (운영
3. 제보자 및 피조사자의 인격과 명예에 대한 사항을 규정하고 이를 준
수한다.
4. 최종 조사결과에 대한 공문을 상임이사회에 통보한다.
5. 상임이사회의 최종
행한다.
판정결과에
따라서
후속
사항 및 징계사항을 집
윤리)
제7조 (연구자의 연구
물에서의 표절, 조작, 위
조 및 변조, 이중출판 등을 심각한 범죄행위로 간주하고 이러한 부정
1. 연구자는 각자가 수행하는 연구행위 및 연구
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 연구자는 제1항에 제시한 부정행위로 의심되는 사례를 발
견했을
경
절한 방법으로 이를 학회에 보고해야 한다.
3. 연구자는 자신의 이익과 타 연구자 또는 타 기관의 이익이 상충하거
나 상충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 이를 공표하고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
우 적
제 4 장 심의 절차 및 징계
제8조 (심의
절차)
1. 위원회는 제보된 사안을
접수일로부터
60일 이내에 심의․의결․집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제보자의 신원 및 제보내용에 대해서는 비공개를 원칙으로 하되, 공
행하는
공기관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통보할 수 있다.
3. 위원회는 제보된 사안의 적부를 자체 심사
평가하며,
견이
전문적 의
검토를 의뢰할 수 있다.
4. 위원회는 판정을 내리기 전에 피제소자에게 연구윤리 저촉혐의 내용
필요한 경우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96
알려주고 충분한 소명기회를 준다.
5. 심의 결과 제보된 사안이 부적절하거나 피제소자의 소명이 타당하다
고 인정될 경우, 피제소자의 무혐의를 제보자와 피제소자에게 즉시
을
통보한다.
윤리 저촉이 사실로 인정될 경우, 심사결과를 제보자
6. 심의 결과 연구
와 피제소자에게 각각 통보하고, 피제소자로 하여금 일정 기간 내에
재 소명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혐의가 인정될 경우, 부정행위의 형태, 범위 및
고의성을 판별하여 보고서를 작성한다.
7. 위원회는 피제소자의
8. 위원회의 징계의결은 재적위원 3분의 2 이상의 출석과 출석위원 과
반수의 찬성으로 행한다.
9. 명시된 기간 내에 피제소자의 소명이
소명의 타당성이 인정
용을 최종 결정하여 이를 피제소자에게 공식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지한다. 단, 징계를 받은
되지 않을 경우, 징계 내
통보하는 한편, 학회
없거나
논문 중 기관의 연구비를 받은 논문은 당해 기관의 확인 요청 여부
없이 당해 기관에 징계 결과를 통보한다.
와 관계
제9조 (징계)
윤리 위반이 공식적으로 확정된 저자나 논문에 대해서는 그 위반행
위의 경중에 따라 다음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항목에 해당하는 징계를 가
연구
하도록 한다.
견책 서한 발송
2. 해당 연구결과물에 대한 취소 또는 수정 요구
1. 학회
3. 3년간 투고자격 제한
4. 제명
속기관에의 통보
5. 소
6.
법률기관에의 고발 등
제 5 장 기타
윤
혐의가 인정된 경우, 논문 투고 및 심사에 사용한 제반 경비를
반환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10조 연구 리 위반
제11조 본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2008년 8월 1일부터 시행한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97
『일본문화학보』 투고 규정
1. (논문)
일본어문학, 일본어교육, 일본학, 한일어 대조연구, 한일비교 문학 등
화와 관련한 참신하고
용언어)
2. (사
한국어나 일본어로
작
3. (원고 성)
창의적인 것이어야 한다.
廣義의 일본문
작성한다.
워드프로세서 <글>이나 <MS-Word>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원고는 <글> 및 <MS워드>의 <편집 용지>에서 (사용자 정
의 폭 180, 길이 255)를 선택하고, 위 20, 아래 10, 머리말 13, 꼬리말 13, 왼쪽 23, 오
른쪽 23, 제본 0으로 조정한 후 작성한다. 논문 내용의 각 글자 크기는 다음과 같다.
논문 제목 - 신명조(약자) 20, 진하게, 가운데 정렬
부제목 - 신명조(약자) 15, 가운데
필자 명, e-mail - 신명조(약자) 12, 오른쪽 정렬
목차 - 신명조(약자) 12, 진하게, 가운데
목차 내용 - 신명조(약자) 10, 줄간격 140
큰제목 - 신명조(약자) 15, 진하게, 줄간격 155, 가운데
본문 - 신명조(약자) 10.5, 줄간격 155
인용문 - 신명조(약자) 10, 줄간격 155, 왼쪽 여백 (한글2002는 20, 한글97은 4)
각주 - 신명조(약자) 9, 줄간격 130
기타 간격 등의 설정, <MS-Word> 작성은 학회 홈페이지의 <한국일본문화학회
논문 작성 요령>을 참고한다.
4. (원고분량)
원고지 200자×100매 내외로 한다. 이는 투고규정에 따라 작성한 문서 약 19매에 해당
하며, 15매~22매를 원칙으로 한다. 원고가 요지문을 포함하여 22매를 초과할 경우에
는 1매당 1만원의 게재료를 추가로 부담한다.
국내 회원 및 해외 회원 공히
5. (요지문)
뒤에 600-800자 정도의 요지문을 기재한다. 요지문은 반드시 외국어(영문
혹은 일어) 로 작성한다.
6. (키워드)
요지문 밑에 그 논문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키워드(Key-Word) 6-10단어를 요지문
참고문헌
Journal of Japanese Culture
과 동일
래
7. (외 어)
298
언어로 명기한다.
글
때는 한글맞춤법의 <외래어표기법>에 따른다.
8. (논문작성 요령)
a. 저서는 『 』, 논문이나 단편은 로 표시한다.
b. 注는 각주로 하며, 인용 또는 참고한 쪽수를 명기한다.
c. <참고문헌>은 필자명(연도), 논문명(또는 저서명), 게재지 권 호, 발행처의 순으로
배열하되, 마지막에 참고 혹은 인용한 쪽수를 필히 기재한다.
예) 安增煥(2001) 言語와 文化 『日本文化學報』 11, 韓國日本文化學會. 110쪽
일본어를 한 로 표기할
と
ひつじ書房. 212頁
影山太郞(1993) 『文法 語構成』
Stein, Dieter(1995) “Subjectivity and Subjectivisation”
University Press. p.113
:
Cambridge
d. 배열은 한국어 문헌, 일본어 문헌, 영어 문헌의 필자명을 기준으로 각각 가나다,
오십음, 알파벳 순으로 한다. 내용적으로 <사전류>, <전집류>, <단행본>, <잡지>,
<논문> 순으로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9. (원고제출)
e mail로 제출한다. 원고와 학회 소정의 논문투고신청서를 작성하여 함께
제출한다. 또한 집필자가 복수인 경우, 제1필자와 공동필자를 함께 표기한다.
투고논문은 -
10. (원고교정)
편집위원회에서는 필요에 따라 집필자에게 원고의 가필․수정을 요구할 수 있으며,
원고의 교정은 집필자가 책임진다.
료
논문 투고를 희망하는 자는 학회 계좌에 심사비로 6만원을 입금하여야 하며, 게재가
확정되어 출판사의 편집이 완료되면 집필자는 게재료(일반논문 : 10만원(무발표 논
문 15만원), 연구비 수혜논문 : 20만원(무발표 논문 30만원). 단, 22쪽을 초과할 경우
1쪽당 1만원을 추가 부담)를 입금하여야 한다. 게재료는 출판사의 편집이 완료되면
11. (심사비 및 게재 )
사무국에서 안내한다.
쇄
12. (별 본)
쇄
쇄
게재된 논문에 대하여 학회지 2부와 별 본 20부를 증정한다. 단, 별 본의 추가를
희망할 경우 인쇄비용은 집필자가 부담한다.
13. (기타)
복잡한 도표 및 투고 규정 위반 등으로 인하여 출판 비용이 많이 들 경우에는 집필
자에게 그에 대한 비용을 청구할 수 있으며, 접수된 원고는 반환하지 않는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99
『일본문화학보』 논문 작성 요령
【편집용지】 <사용자 정의 폭180, 길이255> 위20(19.99), 머리말13(12.99), 왼쪽23, 오른
쪽23, 제본0, 아래10, 꼬리말13(12.99)
한국일본문화학회
【논문제목】
(신명조(약자) 20, 진하게, 가운데 정렬)
【소제목】 한국일본문화학회(신명조(약자) 15, 가운데)
** 4줄 (소제목이 없으면 5줄) **
【필자명】
洪 吉 東 (신명조(약자) 12, 오른쪽 정렬)
【e-mail】
([email protected])(신명조(약자) 12, 오른쪽 정렬)
*
(필자가 2인 이상인 경우, 제1필자를 상단에, 공동필자를 하단에 표기한다. 필자명
끝에 *표를 위 첨자 “ ”(“모양”→“글자모양”에서 “속성-위 첨자”를 선택)로 한 후
소속, 직위, 전공분야를 각주로 기입한다. 각주번호 “1)”은 블록을 씌워 “글자모양”
에서 글자색을 흰색으로 지정하여 감추고, 본문에서 각주가 시작될 때는 “모양”의
“새 번호로 시작”에서 각주번호를 “1”로 한다.)
** 2줄 **
目 次 (신명조(약자) 12,진하게, 가운데)
*
신명조(약자) 10 ,
【큰제목】 1.
【본 문】
줄간격 140
줄 **
** 2
연구 목적 및 방법
줄 **
** 1
(신명조(약자) 15, 진하게,
줄간격 155, 가운데 정렬)
大野씨는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
이 논문은 상대일본어의.....
(신명조(약자) 10.5,
〔인용문〕
줄 **
** 1
상대에 있어서...
(신명조(약자) 10,
줄 **
** 1
줄간격 155)
줄간격 130, 왼쪽 여백(한글2002는 20, 한글97은 4))
럼 상대일본어의.....
이처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00
** 2줄 **
2. 상대 일본어의 특징
(신명조(약자) 15, 진하게,
줄간격 155, 가운데 정렬)
줄 **(작은 제목과 본문 사이는 떼지 않음)
【각 주】 ―――――――――
* 한국대학교 조교수 일본고전문학
1) 이에 대해 ****은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신명조(약자) 9, 줄간격 130)
(인용 및 참고자료에 대해서는 발행 연도와 쪽수를 표기한다.)
** 2줄 **
** 1
5. 맺음말
줄 **
** 1
이 논문에서는....
【참고문헌】
․
줄 **
** 2
(신명조(약자) 15, 진하게,
줄 **
줄간격 155)
** 1
허웅(1985)『국어음운학』, 샘문화사. p.131-133 (신명조(약자) 10, 줄간격 155)
글꼴은 신명조 또는 신명조 약자, 전체 줄간격은 155, 각주 130 표 140.
* <필자명(연도) 논문명(또는 저서명), 게재지 권 호, 발행처>의 순서로 배열
* 문헌 배열 : 국문, 일문, 영문 순으로 하여 필자명을 기준으로 각각 가나다, 오십음, 알파벳 순
* 인용 또는 참고한 쪽수를 명기
* 전체
【요지】
**
쪽을 바꿔서 **
(신명조(약자) 15, 진하게,
は
줄 **
줄간격 155)
** 6
を して...... (신명조(약자) 10, 줄간격 155)
本論 、上代日本語 通
작성언어 : 영어 또는 일본어. 분 량 : 1장 내외)
** 1줄 **
* 키워드 : 검색의 편의를 위해 주제어(key word)를 명시(요지문과 동일 양식으로 6-10단어)
** 2줄 **
(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01
학회 발표에 관한 규정
1. (발표자격)
또는 이사회의 추
천을 받은 자로 한다. 단, 석사과정의 대학원생인 경우는 지도교수 혹은 해외지부장
의 추천이 필요하며, 발표 요지문을 해당 분과에서 심사 후 채택 여부를 결정한다.
본 학회 정회원으로서 대학원생이거나, 교원 경력 5년 이상인 자,
2. (발표신청)
발표신청은 사무국으로 하며, 신청 시에는 학회
용하도록 한다.
홈페이지상의 발표신청서 양식을 이
3. (신청기한)
춘계대회 발표 희망자는 3월 둘째 주 토요일, 추계대회 발표 희망자는 9월 둘째 주 토요일
까지 신청하도록 한다.
4. (발표 요지문)
a. <발표요지문>은 한국어 또는 일본어로 작성한다.
b. 분량은 B5용지 5장(가로쓰기) 이내로 한다.
c. 춘계대회 때는 3월 셋째 주 토요일까지, 추계대회 때는 9월 셋째 주 토요일까지 제
출을 원칙으로 한다.
d. 원고는 가능한 한 E-mail(첨부파일)로 하여 사무국으로 전송한다.
e. 우편의 경우는 학회 사무실로 발송한다.
f. 발표 요지문은 사무국으로 제출하고 요지집 인쇄비 10,000원은 학회 당일 접수에서 납
부한다.
5. (외국 교류학술지 투고)
구두발표 신청 시 외국 학술교류학회지(일본비교문화학회 『비교문화연구』)에 투고
를
희망하는 경우는 국내회원이 대상이 된다. 교류학회 측의 투고요청 희망자수 범위
내에서 본 학회의 내부 선정 기준에 의하여 대상자를 선정․추천한다.
< 게재료 입금처 >
韓國) 국민은행 758001-01-558912 김한수(한국일본문화학회)
(
(日本) 郵便局 00920-9-147169
韓國日本文化學會 日本支部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02
외국학회와의 학술교류에 관한 규정
1. (日本) 表現學會
a. 표현학회는 한국일본문화학회로부터 추천 받은 1명에 대하여, 전국대회(연 1회)에
서 연구발표의 기회를 제공한다.
b. 한국일본문화학회는 표현학회로부터 추천 받은 수명에 대하여, 학술대회(연 2회)에
서 연구발표의 기회를 제공한다.
c. 표현학회는 한국일본문화학회로부터 추천 받은 발표 논문에 대하여 학회지 『表現
硏究』에 게재할 수 있다.
d. 한국일본문화학회는 표현학회로부터 추천 받은 발표 논문에 대하여 학회지 『日
本文化學報』에 게재할 수 있다.
2. 日本比較文化學會
a. 일본비교문화학회는 한국일본문화학회로부터 추천 받은 회원에 대하여, 전국 대회
(연 1회)에서 연구발표의 기회를 제공한다.
b. 한국일본문화학회는 일본비교문화학회로부터 추천 받은 회원에 대하여, 학술 대회
(연 2회)에서 연구발표의 기회를 제공한다.
c. 일본비교문화학회의 학회지 『比較文化硏究』에 한국일본문화학회 국내회원의 논
문을 게재할 수 있다.
d. c항의 논문은 한국일본문화학회에서 구두 발표한 논문 중에서 학회가 추천하며,
투고자의 추천에 있어서는 학회의 내부 규정에 따라 해당자를 선정한다.
e. 추천 논문의 심사와 게재료는 일본비교문화학회의 규정에 따른다.
f. 한국일본문화학회는 학회지 『日本文化學報』에 일본비교문화학회로부터 추천 받
은 논문을 게재할 수 있으며, 추천 논문의 심사는 해당 학회의 규정에 따른다.
g. 일본비교문화학회는 전국대회(연 1회)에서 발표하는 한국일본문화학회로부터의 추
천 회원에 대하여 1년간의 회비를 면제한다.
h. 한국일본문화학회는 학술대회(연 2회)에서 발표하는 일본비교문화학회로부터의 추
천 회원에 대하여 1년간의 회비를 면제한다.
3. 臺灣日本語文學會
a. 각 학회의 학술적 축적의 교류를 서로의 학문분야에 대한 지적 자극으로 받아들이
고, 나아가, 양 학회 및 양 학회 회원 상호의 자주적 교류에 의해 각각의 학술활동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03
층 더 실질화하는 것을 기대한다.
b. 매년 간행된 양 학회의 학회지에 대하여 상호의 학술교류를 위해 그 연도에 발간
된 학회지를 취합하여 연 1회 상호 교환한다. 송료 등은 각 학회의 자기부담으로
이한
한다.
c. 양 학회 회원의 학술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상호 학회로의 투고를 인정한다. 상호의
투고조건 등은 필요에 따라 양 학회의 담당자간 협의 후 절차를 정한다. 또한, 투
고와 게재에 관련한 비용 부담은 대등하게 한다. 그리고 상대 학회에 투고할 수
있는 논문 수의 상한에 대해서는 별도 정하기로 한다.
d. 각 학회의 회원은 상호 학회의 「자매회원」으로서 상호 학회의 전국대회에서의
연구발표에 자유롭게 신청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발표의 채택 가부, 종류, 일정
등의 대회 운영에 관해서는 상대국 학회의 결정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발표
에 관련한 항공료, 체재비, 참가비, 간친회 비용 등은 원칙적으로 발표자 개인의
부담으로 한다.
e. 각 학회는 상호 학회의 전국대회 개최 시 패널 디스커션, 강연 등에 적합한 회원
을 상대 학회의 추천에 의해 초청할 수 있다. 패널 디스커션, 강연 등의 종류, 일
정 등의 대회 운영에 관해서는 상대국 학회의 결정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초빙에 관련한 항공료, 체재비, 참가비, 간친회 비용 등은 협의를 통해 정한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04
해외이사에 관한 규정
1. (자격)
본 학회에 1회 이상 출석하여 연구발표를 한 외국 학자 중에서, 본 학회의 연구 활동
에 관심을 가지고 협력하는 자로 한다.
2. (활동)
a. 자국 내에 본 학회를 소개하고 학회의 활동 내용이나 정보 등을 제공한다.
b. 본 학회의 연구발표회에서 발표를 희망하는 자를 모집한다.
c. 본 학회의 학회지 게재 대상 논문을 심사할 수 있다.
d. 본 학회의 자국 내 회원을 관리한다.
3. (임기)
2년 단위로 하고, 본인의 동의를 얻어 연장 가능하다.
4. (임명)
이사회에서 심의․결정하고, 회장이 위촉한다.
5. (시행)
본 규정은 1997년 5월 5일부터 시행한다.
해외지부에 관한 규정
취
주
1. ( 지) 일본 국내에 거 하는 회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본 학회 일본 지부를
둔다.
2. (구성) 일본 지부는 본 학회의
를 중심으로 결성한다.
취지에 찬동하고 적극적으로 협조할 수 있는 해외이사
괄
3. (대표자) 일본 국내 회원을 관리하고 일본 지부의 운영을 총 하는 대표자는 일본 거
주의 해외이사 중에서 이사회의 추천을 받아 회장이 위촉한다.
4. (임기) 일본 지부 대표자의 임기는 2년이며 본인의 동의를 얻어 연임도 가능하다.
6. (시행) 본 내규는 2011년 6월 3일부터 시행한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05
회원규정
든 회원은 [국내회원](국내에 소속이나 근무처가 있는 내국인이나 외국
인)과 [해외회원](국외에 소속이나 근무처가 있는 외국인이나 내국인)으로 구분하며, 가
입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단, 한국인 유학생은 국내회원으로 분류한다.
본 학회의 모
1.(정회원)
본 학회의 회원 가입을 필한 자. 단, 3년 간 회비를 납부하지 않을 경우에
는 정회원의 자격을 상실한다.
2.(준회원)
회원 중 정회원의 자격을 상실한 자.
3.(종신회원) 본 학회의 발전에 기여한 회원 중에서 이사회의 동의를 얻은 자로, 소정의
만
종신회비(30 원)를 납부한 회원으로, 실무이사를
만
회비는 2 원으로 한다.
겸하고 있는 경우 이사
4.(특별회원) 본 학회의 발전에 기여한 회원 중에서 이사회의 추천을 받은 자.
초청강연자 중에서 이사회의 추천을 받은 자.
6.(단체회원) 소정의 단체회비(8만원)를 납부하는 국내외 학술단체 및 기관. 단, 해외의
[학술지교류단체]도 단체회원의 범주에 포함한다.
5.(명예회원) 본 학회
점
변
께
즉
락바
삭 니
要 점양
탁드 니
학회비 납부 안내 (가입비 1만원 / 년회비 3만원)
* 이사회비 년5만원
(韓國) 국민은행 758001-01-558912 김한수(한국일본문화학회)
회원명단 상에 상위 이나 경사항이 있는 회원 서는 시 학회 사무국
으로 연
라며, 3년 동안 회비를 납부하지 않는 경우에는 회원명단에서
자동 제되 (재가입 ) 이
지하시고 협조 부
립 다.
(日本) 郵便局 00920-9-147169
韓國日本文化學會 日本支部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06
『日本文化學報』發行 計劃
∙ 原稿 投稿 依賴 (2月初․5月初․8月初․11月初)
∙ 論文 原稿 마감 (2月末․5月末․8月末․11月末):1次 提出
∙ 論文 審査 (3月․6月․9月․12月)
∙ 審査委員 審査結果 通知 (3月中旬․6月中旬․9月中旬․12月中旬)
∙ 論文 修正原稿 마감 (3月末․6月末․9月末․12月末):2次 提出
∙ 編集委員會 最終 揭載可否 通知 (4月初․7月初․10月初․1月初)
∙ 1次 校正:筆者
∙ 2次 校正:編集委員會
∙ 發行 (5月․8月․11月․2月 末日)
學會 住所 및 連絡處
☞ 韓國
學會事務局
광역시 동구 대전로 815번길 45,
신영BLDG. 201호(메트로문화사)
Tel (042)488-9155 Fax (042)488-9156
(300-150) 대전
☞ 日本
本學會의 關西支部 : 藤井寺市春日丘3-8-1 大阪女子短期大學 水谷隆硏究室
關東支部 : 東京都日野市大坂上4-1-1 實踐女子大學 山內博之硏究室
中部支部 : 名古屋市昭和區山里町18番地 南山大學 坂本正硏究室
☞ 학회 Homepage address : //www.bunka.or.kr
各 種 樣 式
〔제반 양식은 학회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아 사용 바랍니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07
編輯委員長
編輯幹事
編輯委員
編輯委員會
:
:
:
鄭應洙(南서울大)
趙英姬(金剛大)
康永富(慶熙大) 郭眞吾(東北亞歷史財團) 金昌男(金剛大) 崔文容(靑雲大)
崔泳東(江原大) 崔長根(大邱大) 張元哉(啓明大) 朴正義(圓光大)
金仁德(靑巖大) 林昌奎(濟州漢拏大) 島村恭則(關西學院大) 崔圣伯(中國
安培華學院)
西
分科委員會
〔日本語學分科〕 李香蘭(圓光大) 金鎔均(中央大)
趙來喆(順天大) 辛碩基(建陽大) 吳美寧(崇實大)
金東郁(白石大) 尹錫南(建陽大) 張元哉(啓明大)
〔古典文學分科〕
金 英(大邱韓醫大) 朴相鉉(慶熙사이버大)
金裕千(詳明大) 金泰燾(韓瑞大) 南二淑(群山大)
裵貞烈(韓南大) 李市埈(崇實大) 李珍鎬(圓光大)
〔近代文學分科〕
尹惠暎(忠南大) 王泰雄(慶北大)
陸根和(大田大) 尹 一(釜慶大) 李錦宰(南서울大)
林盛奎(白石大) 任苔均(聖潔大) 鄭相哲(極東大)
洪善英(翰林大)
〔日本學分科〕
郭眞吾(東北亞歷史財團) 金英順(建陽大)
金雄基(弘益大) 김현석(光州大) 南相虎(京畿大)
이지영(國民大)
鄭昌石(同德女大)
*
*
*
*
*
*
*
黃光吉(檀國大)
崔彰完(가톨릭大)
金秀美(高麗大)
閔丙勳(大田大)
鄭順粉(培材大)
尹在石(한밭大)
李貞熙(威德大)
許培寬(東義大)
金容儀(全南大)
朴正義(圓光大)
※ ( 는 分科理事)
*
◉ 會則および規定
▸ 學會會則
▸ 編輯委員會規定
▸ 投稿規定
▸ 學會發表に關する規定
▸ 海外理事に關する規定
▸ 海外支部に關する規定
▸ 會員規定
◉ 『日本文化學報』發行計畵
◉ 各種樣式
◉ 2014年度 學會日程表
Journal of Japanese Culture
韓國日本文化學會 會則
309
第
1章
總 則
は 韓國日本文化學會 と称する。
第2條(目的) 本學會は日本關連諸學問硏究のための國內外相互の學術交流を通じて、日本學
硏究の活性化と學問の發展を図り、國際交流を通じた相互協力と理解增進に寄与
する。
第3條(事業) 本學會は第2條の目的を達成するために各項の事業を行う。
第1條(名称) 本學會
1. 學術硏究發表會(年2回)
2. 學術誌發刊(年4回)
のためのセミナー及びシンポジウムの開催
4. 外國學會との學術交流及び共同硏究
5. 外國の大學図書館及び學術団体との學術誌交流
6. 日本文化の紹介
第4條(位置) 本學會の目的を達成するために學會事務室及び支部を置き、常時業務を担當する
事務局長を置くことができる。
3. 學術振興
第
2章
會 員
の は
をはじめとする日本學硏究に從事する者や關心を持つ
者とする。
第6條(區分) 本學會の會員の區分は「會員規定」に從う。
第7條(加入要件) 本學會に新規に加入しようとする者は旣會員の推薦を受けることを原則とする。
第8條(權利と義務) 本學會の會員は次のような權利と義務を有する。
1. 役員の選擧權及び被選擧權(但し、名譽會員を除く)
2. 學會活動參加の權利と會則遵守の義務
3. 會費納付の義務
第9條(懲戒):會員が會員の義務を遂行せず、本學會の名譽を著しく損なった場合は、理事会の
決議を経て、会員資格の剥奪または停止など懲戒することができる。
第5條(資格) 本學會 會員 日本語文學
Journal of Japanese Culture
第
3章
310
び
機構及 役員
には次のような機構を置く。
第10條(機構) 本學會
1. 執行委員會(會長、副會長、常任理事)
2. 理事會
3. 海外支部
の な のために次のような役員を置く。
第11條(役員) 本學會 円滑 運營
び
會長(1名)、副會長(若干名)、常任理事(若干名)、海外理事及 理事(適
宜)、監事(2名)
の
び は で し その他の役員は會長が委囑する。
第13條(役員の任期) 役員の任期は2年とするが再任することができる。
第12條(役員 選出) 會長及 監事 總會 選出 、
第
4章
會 議
の には總會、理事會、各種委員會がある。
第15條(總會の招集及び議決)
1. 本學會は每年1回の定期總會を開催し、必要に応じて會長が臨時總會を招集
することができる。
2. 總會は次のような議案を審議․議決する。
(1) 會長及び監事の選出․解任
第14條(種類) 本學會 會議
(2) 會則改定
の
(4) 予算と決算の承認
(5) その他の事項
3. 總會での議決は出席會員の過半數の贊成による。
第16條(理事會の招集及び議決)
1. 理事會には實務理事會と擴大理事會があり、會長がこれを召集する。
2. 實務理事會は會長、副會長、常任理事により構成され、擴大理事會は會
長、副會長を含む全理事が對象となる。
3. 理事會は諸規定の改定、會則改正の發議、會長委任事項の審議、諮問委
員の迎え入れ、特別․名譽會員の承認、その他重要事項を處理する。
第17條(各種委員會の構成及び任務)
1. 會長は分野別業務の能率的遂行のため各種委員會を設置することができる。
(3) 事業計畵 樹立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11
は と から成り、委員長は會長の任命動議により理事會で選任する。
3. 委員會の案件は出席委員の過半數の贊成により可決される。
2. 委員會 委員長 委員
第
5章
財 政
) の は の とその他の收益金による。
第19條(會費)本學會の會費は總會で決定する。
第20條(會計年度)本學會の會計年度は3月から翌年2月までとする。
第21條(國際學術交流賞選定)本學會の學術發展に多大な貢獻が認められる海外會員を對象
第18條(財政 本學會 財政 會員 會費
とし學會長の推薦により理事會において定める。
)
第
の
6章
付 則
の は
で
の の の
を得て確定する。
第23條(施行細則)本會則の施行に必要な諸規定は理事會の議決を得て施行する。本會則に
明示されていない事項については慣例に從う。
第24條(施行日)本改正會則は2001年10月1日から施行する。
第25條 改正された規定は、定期総会の議決を経て、2007年5月1日から施行する。
第26條 改正された規定は、定期総会の議決を経て、2008年10月25日から施行する。
第22條(會則改正 本學會 會則 改正 定期總會 出席者 3分 2以上 同意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12
韓國日本文化學會 編輯委員會規定
第
1章
總 則
は「韓國日本文化學會編集委員會」と称する。
第2條 本委員會は韓國日本文化學會會則第17條により設置する。
第3條 本委員會が管掌する學會誌『日本文化學報』は次のような指針のもとに發行する。
1. 年4回(2月号、5月号、8月号、11月号)發行する。
2. 發行日は當該月の末日を原則とする。
3. その他の發行過程は「『日本文化學報』發行計畵」による。
第1條 本委員會
第
2章
の
編集委員會 構成
は のように構成する。
第4條 編集委員會 次
委員長、編集幹事、国內外委員
は
の から会長の提請により理事会で選任する。編集委員
會委員長は委員會を代表し、編集幹事は學會誌に投稿された論文の審査及び編集を統
括する。任期は共に2年とする。
第6條 編集委員會委員は理事會の認定を経て會長が任命する。任期は2年とし、本人の同意を
得て延長が可能である。
第7條 編集委員は次のような基準により選定する。
1. 大學の副敎授以上またはこれに相當する資格を持つ者。或いは該當專攻分野で20
年以上の硏究経歷を持つ者で學術硏究實績が優れた國內外會員
2. 各學問分野の代表性を考慮して選定する
3. 分科委員會の分科理事
第5條 編集委員會委員長 編集委員 中
第
3章
機 能
は
日本文化學報』の樣式、發行回數、發行部數、論文の分
量、投稿及び審査規定など學會誌發行と關連した諸事項を決定する。
第9條1編集委員會の編集幹事は各分科理事との合意のもとに投稿論文の審査委員を選定․依
賴し、編集委員會は審査委員の審査結果を踏まえて論文揭載の可否を決定する。
第8條*編集委員會 學會誌『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13
の
發生する。
に
が した事案は、理事會の認定を経たのちに効力が
第10條1第8條 事項以外 編集委員會 議決
第
は
4章
編集委員會會議
の
により委員長が召集する。
第 12 條 1 年 4回 の 定期編集會議以外 に 、必要 に 応 じて 委員長 が 臨時編集會議 を招集 す
ることができる。
第13條1編集會議は原則として出席委員の過半數の贊成で議決する。
第11條1編集委員會會議 學會誌 發行計畵
第
5章
論文評価基準
は の
で されたものとするが(但し、口頭發表後2年間有
効)、理事會の推薦がある場合にはその寄稿論文も揭載することができる。
第15條 論文の審査は項目別評価と總合評価からなる。
第16條 評価項目は次の通りである。
1. 内容の適切性
2. 内容の独創性
3. 形式の適切性
4. 展開の論理性
5. 研究方法の適切性
第17條 總合評価は項目別評価をもとに審査者が次の4段階で評価する。
1. 學術論文として非常に優秀である。
2. 學術論文として優秀であるが、一部修正を要する。
3. 學術論文として內容․形式面で修正を要する部分が比較的多く、修正後再投稿を要する。
4. 學術論文として不適格である。
第14條 揭載論文 學會 硏究發表會 發表
第
6章
․
論文審査基準 審査過程
では投稿論文に對する3名の責任審査委員の審査結果と、指摘
事項に對する執筆者の處理結果及び投稿規定の遵守を基準として、次のように論文の揭
載可否を決定する。
第18條(審査基準) 編集委員會
1. 揭載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14
の が になる。
審査委員評価23点以上 論文 対象
2. 修正後掲載
が になる。
審査委員評価20~22点の論文 対象
3. 修正後再審査
が になる。
審査委員評価10~19点の論文 対象
4. 揭載不可
の が になる。
第19條(審査過程) 論文の審査は次の2段階の過程からなる。
審査委員評価10点未満 論文 対象
1. 一次審査(審査委員審査)
2. 二次審査(編集委員會審査)
された論文の審査は年4回(3月、6月、9月、12月)實施することを原則とする。
第21條(論文揭載号) 最終審査に通過した論文の揭載号は編集委員會で決定する。
第20條(審査時期) 投稿
第
び
7 章 その他
の を するため編集委員會とは別に分科委員會を置く。
第22條 編集委員會及 分科別 業務 處理
第
8章
付 則
は の を て
から施行する。
第2條 本規定に明示されていない事項については慣例に從う。
第3條 改正された規定は理事會の議決を経て2002年3月1日から施行する。
第4條 改正された規定は理事會の議決を経て2006年8月1日から施行する。
第5條 改正された規定は理事會の議決を経て2008年8月1日から施行する。
第6條 改正された規定は理事會の議決を経て2011年3月1日から施行する。
第1條 本規定 理事會 議決 経 1999年10月9日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15
の
の
韓国日本文化学会 硏究倫理 規定
第
1章
總 則
第1条 (槪要)
と する)は韓国における日本学の硏究及び敎育活動を
活性化するための学術団体として設立された。本学会は会員の学術硏究を厳正に審
査し学術大会に参加資格を与え、その結果を学会誌に掲載している。本学会は持続
的に高いレベルの学会誌の発表を通じて、学会の発展はもとより韓国と日本の文化交流及
び発展を図っている。そのために会員の学術研究及び研究論文の発表において、国際レベルの
研究倫理を守ることは重要である。したがって、本学会は会員の学問的な発展のために学会の研
究倫理の規定を設ける。
韓國日本文化学会(以下‘学会’ 称
第2条 (目的)
の
は
の
び
での発表論文に関する研究倫理
の規定を厳正に定め文書化することにより、信頼できる研究の風土を作り上げ、会員
の正しき学術活動を導き、学会の位相を高めるためである。
本規定 目的 本学会 学会誌及 学術大会
第
2章
の
第3条 (委員会 設置)
は
の の を
(以下 ‘委員会’と称する)を設ける。
本学会 研究倫理 規定 目的 達成
2.
するために、学会内に研究倫理委員会
の
委員会は、編集委員長、副会長、総務理事、学術理事、編集理事及び3人以上の編
集委員を含む15人以内の委員で構成する。
委員会は編集委員長が兼任することを原則とするが、必要に応じて委員会内で学会長が任
命することとする。
第4条 (委員会 構成)
1.
の
硏究倫理委員會 組織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16
第5条 (任期)
の は
の
に ずる。
委員 任期 、各委員 職責任期 準
第
3章
の
び
硏究倫理委員會 運營及 權限
の
1. 学会の研究倫理に関わる諸規定を設けて実行する。
2. 研究倫理の違反に関する通報を受け付け、規定に沿って処理する。
3. 通報者及び被調査者の人格と名誉に関する事項を規定し、これを遵守する。
4. 最終の調査結果を公文書とし、常任理事会に通報する。
5. 常任理事会の最終の査定結果をもって、後続事項及び懲戒事項を執り行う。
第6条 (運営 範囲)
の
研究者は各自が行っている研究行為及び研究物における剽窃、捏造、偽造、
作り替え、二重出版などが深刻な犯罪行為であることを自覚し、このようなことを
しないようにしなければならない。
研究者は第1項に示した不正行為と疑われる事例を見つけた場合、これを適切
な方法で学会に報告しなければならない。
研究者は自信の利益と他の研究者又は他の機関の利益が衝突するか、衝突
する可能性がある場合、これを公表し適切に対応しなければならない。
第7条 (研究者 研究倫理)
1.
2.
3.
第
2.
3.
4.
の
び
審議 手順及 懲戒
の
委員会は通報された事項を受付日から60日以内に審議․議決․執行することを
原則とする。
通報者の身元及び通報の内容については非公開を原則とするが、公共機関の
要請がある場合は公開することもある。
委員会は通報された事項の適否を審査し、専門的な意見が必要な場合はその
分野の専門家に検討を依頼することができる。
委員会は判定を下す前に被調査者に研究倫理に抵触の疑いがあることを知らせ、
十分な釈明の機会を与える。
第8条 (審議 手順)
1.
4章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17
の
された事項が不適切か、被調査者の釈明が妥當と認められ
た場合、被調査者の疑いが晴れたことを早速通報者と被調査者に知らせる。
6. 審議の結果、研究倫理への抵触が認められた場合、その結果を通報者と被調
査者に知らせ、被調査者には一定の期間内に再釈明できる機会を与える。
7. 委員会は被調査者の疑いが認められた場合、不正行為の形と範囲、故意性
を判別して報告書を作成する。
8. 委員会の懲戒議決は在籍委員2/3の出席、出席委員の過半数の賛成で行う。
9. 定められた期間内に被調査者の釈明がないか、釈明の妥當性が認められない場
合、懲戒の内容を最終決定し、これを被調査者に告知する一方、学会のホーム
ページを通じて公示する。但し、懲戒を受けた論文の中で機関の研究費をもらっ
たものは、當該機関の確認要請とは無関係に當該機関に懲戒の結果を通報す
る。
5. 審議 結果、通報
第9条 (懲戒)
の が に した著者や論文については、その違反行為の軽重
に応じ、次の内、一つ又は複数の項目の懲戒を下す。
1. 学会の譴責文書発送
2. 當該の研究結果物に対して取り消し、又は、修正要求
3. 3年間の投稿資格の制限
研究倫理 違反 正式 確定
4. 除名
への通報
6. 法律機関への告発など
5. 所属機関
第
5 章 その他
の が められた場合、論文の投稿及び審査にかかった諸経費は
一切返還しないことを原則とする。
第11条 本規定は、理事会の議決を経て2008年8月1日から施行する。
第10条
研究倫理 違反 認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18
『日本文化學報』 投稿規定
【海外會員用】
は<アレアハングル>か<Ms-Word>で作成する。
2. 原稿の分量は原稿用紙400字×50枚以內とする。<アレアハングル>の文書作成の初期畵面で
作成する場合は、A4用紙15枚から22枚までとする。要旨を含めて22枚を超えたときは、超過分1
枚當り1万ウォンの揭載料を徵收する。
3. 原稿は<アレアハングル>の<編集用紙>で<使用者定義 幅180、縱255>を選擇し、上20、下1
0、ヘッダー13、フッター13、左23、右23、製本0に調整した後作成する。フォントは韓國語文は新
明朝、日本語文は新明朝略字とする。各文字のポイント數は次の通りである。
論文題目 - 新明朝(略字) 20、 太字、 中央寄せ
副題 - 新明朝(略字) 15、 中央寄せ
筆者名, e-mail - 新明朝(略字) 12、 右寄せ
目次 - 新明朝(略字) 12、 太字、 中央寄せ
目次の內容 - 新明朝(略字) 10、 行間隔 140、 中央寄せ
大見出し - 新明朝(略字) 15、 太字、 行間隔 155、 中央寄せ
1. 原稿
本文 - 新明朝(略字) 10.5、 行間隔 155、 兩側混合
ハングル2002は20、ハ
引用文 - 新明朝(略字) 10、 行間隔 155、 兩側混合、左余白:
ングル97は4
脚注 - 新明朝(略字) 9、 行間隔 130、 兩側混合。 表 - 行間隔 140
その他の設定や<Ms-Wordで>の作成については学会ホームページの<『日本文化學報』論
文作成要領>を參照する。
4. <參考文獻>の後に600字未滿の要旨(英文あるいは日本語)を記入する。
5. 要旨のすぐ下にその論文を理解するために必要なキーワード(6~10語)を要旨と同一の言語で明
記する。
6. 原稿上の図表やイメージ資料は必要に応じて原本を添付する。
7. 注は脚注とし、必ず引用․參考したページを明記する。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19
8.
<參考文獻>は、筆者名(年度)、 論文名 (または『著書名』)、揭載紙と卷号、發行所の順
とする。最後に參考あるいは引用した頁を必ず明記する。
例) 西隈俊哉(2001), -AS使役に關する一考察 , 『日本文化學報』11,
學會, 110面.
と
影山太郞(1993), 『文法 語構成』,
韓國日本文化
ひつじ書房, 212頁.
Stein, Dieter(1995), “Subjectivity and Subjectivisation” : Cambridge
University Press. p.113
9. <參考文獻>の配列は韓國語、日本語、英語の文獻の順とし、筆者名を基準にして、それぞれ
アイウエオ、abc順にする。
10. 論文投稿の場合は原稿と学会所定の論文投稿申請書とをE-mailで事務局に提出する。なお、
が の は
と の を する。
11. 編集委員会は必要により、執筆者に原稿の加筆․修正を求めることがある。この場合の原稿の
加筆․修正は執筆者が担當する。
12. 投稿論文の査讀費として6万ウォンを学会の口座に振り込む。また揭載が確定した場合、執筆者
は所定の揭載料(一般論文 : 10万ウォン(無発表論文 15万ウォン), 研究費受給論文 : 20万
ウォン(無発表論文 30万ウォン). 但し、22頁を超えた場合は、1頁に付き1万ウォンが追加される)
を負担する。揭載料は編集が終わってから、事務局から案内する。
13. 揭載された論文に對しては學會誌2部、抜き刷り20部を贈呈する。但し、抜き刷りの追加を希望
する場合は印刷の費用を執筆者が支払う。
執筆者 複数 場合 、第1筆者 共同 筆者 併記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20
『日本文化學報』 論文作成要領
【編集用紙】
<使用者定義 幅180, 縱255> 上20(19.99), 下10, ヘッダー13(12.99), フッター13(12.99),
左23, 右23, 製本0
【論文題目】
【副 題】
韓國日本文化學會(新明朝(略字) 20, 太字, 中央寄せ)
韓國日本文化學會(新明朝(略字) 15, 中央寄せ)
け (副題がない場合は5行空け) **
** 4行空
【筆者名】
【e-mail】
せ
([email protected])(新明朝(略字) 12, 右寄せ)
洪 吉 東(新明朝(略字) 12, 右寄 )
け **
** 2行空
せ
目 次 (新明朝(略字) 12, 太字, 中央寄 )
新明朝(略字) 10 , 行間隔 140
【大見出し】1.
け **
** 2行空
の と
硏究 目的 方法 (新明朝(略字) 15, 太字, 行間隔 155, 中央寄せ)
け **
** 1行空
【本 文】 この論文は上代日本語の.....大野氏は次のように述べている
(新明朝(略字) 10.5, 行間隔 155, 兩側混合)
** 1行空け **
〔引用文〕上代において.....
ハングル2002は20、ハングル97は4)
(新明朝(略字) 10, 行間隔 130, 兩側混合, 左余白:
** 1行空け **
このように、上代日本語の.....
** 2行空け **
2. 上代日本語の特徵
せ
(新明朝(略字) 15, 太字, 行間隔 155, 中央寄 )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21
け **(小見出しがある場合, 小見出しと本文の行間は空けない)
** 1行空
【脚 注】 ―――――――――
これについて ****は次のように論じている。(新明朝(略字) 9, 行間隔 130, 兩側混合)
1)
び
については發行年度とページ數を明記する。)
(引用及 參考資料
** 2行空け **
5.
び
結
け **
** 1行空
では....
本論文
け **
** 1行空
【參考文獻】
せ
(新明朝(略字) 15, 太字, 行間隔 155, 中央寄 )
** 1行空け **
と
․影山太郞(1993) 『文法 語構成』,
ひつじ書房, 212頁。(新明朝(略字) 10, 行間隔 155, 兩側混合)
あるいは著書名), 揭載誌 卷 号, 發行所〉の順に配列する。
* 文獻配列は韓國語、日本語、英文の文獻の順とし、筆者名を基準にして、それぞれ가나
다、アイウエオ、abc順にする。
* 參考あるいは引用したページは必ず明記する。
* 筆者名(年度) 論文名(
ページを変える **
**
【要 旨】
(新明朝(略字) 15, 太字, 行間隔 155, 兩側混合)
け **
本論は、上代日本語を通して...... (新明朝(略字) 10, 行間隔 155, 兩側混合)
* 作成言語 : 英語あるいは日本語
*分
** 6行空
量 : 1枚前後
** 1行空け **
【キーワード】論文を理解するために必要なキーワード(6~10語)を要旨と同一の言語で明記。(新
明朝(略字) 11, 行間隔 155, 兩側混合)
け **
** 2行空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22
に する規定
學會發表 關
の は の で
の
または理事會の推薦を受けた者とする。但し、修士課程の大學院生の場合は、指導敎授か海
外支部長の推薦が必要である。提出した發表要旨文を該當の分科で審査の上、採擇の可否
を決める。
2. (發表申請) 該當の分科理事や學術理事に口頭で申請可能だが、できるだけ學會ホームペー
ジ上の申請樣式を利用する。
3. (申請期限) 春季大會は3月第2土曜日、秋季大會は9月第2土曜日までとする。
1. (發表資格) 口頭發表者 資格 本學會 正會員 、大學院生、敎員経歷5年以上 者、
4. (發表要旨文)
a. <發表要旨文>は“ハングル”か“MS-Word”を使い、韓国語または日本語で作成する。
b. 分量はB5用紙5枚(橫書)以內とする。
c. 春季大會は3月第3土曜日、秋季大會は9月第3土曜日までに提出することを原則とする。
d. 發表要旨文の原稿はE-mail(File添附)で事務局へ提出する。
e. 發表予稿集の印刷費として10,000ウォンを學會發表の當日受付にて納める。
<學會の口座>
韓國) 758001-01-558912 김한수(한국일본문화학회)
(
(日本) 郵便局 00920-9-147169
韓國日本文化學會 日本支部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23
との学術交流に関する規定
外国学会
1. (日本) 表現學會
a. 表現学会は韓国日本文化学会から推薦を受けた1名に対して、全国大会(年1回)におけ
る研究発表の機会を提供する。
b. 韓国日本文化学会は表現学会から推薦を受けた数名に対して、学術大会(年2回)にお
ける研究発表の機会を提供する。
c. 表現学会は韓国日本文化学会から推薦を受けた発表論文を学会誌『表現硏究』に掲載
することが出来る。
d. 韓国日本文化学会は表現学会から推薦を受けた発表論文を学会誌『日本文化學報』に
掲載することが出来る。
2. 日本比較文化學會
a. 日本比較文化学会は韓国日本文化学会から推薦を受けた会員に対して、全国大会(年1
回)における研究発表の機会を提供する。
b. 韓国日本文化学会は日本比較文化学会から推薦を受けた会員に対して、学術大会(年
2回)における研究発表の機会を提供する。
c. 日本比較文化学会の学会誌『比較文化硏究』に韓国日本文化学会の国内会員の論文
を掲載することが出来る。
d. c項の論文は韓国日本文化学会において口頭発表した論文の中で学会が推薦する。その
推薦においては学会の内部規定により候補者を選定する。
e. 推薦論文の審査および掲載料は日本比較文化学会の規定に従う。
f. 韓国日本文化学会は学会誌『日本文化學報』に日本比較文化学会から推薦を受けた論
文を掲載することが出来る。推薦論文の審査は當該学会の規定に従う。
g. 日本比較文化学会は全国大会(年1回)において発表をする韓国日本文化学会からの推
薦会員に対して1年間の会費を免除する。
h. 韓国日本文化学会は学術大会(年2回)において発表をする日本比較文化学会からの推
薦会員に対して1年間の会費を免除する。
3. 臺灣日本語文學會
a. それぞれの学会における学術的蓄積の交流を、お互いの学問分野への知的刺激として捉え、
さらに、両学会ならびに両学会員の相互の自主的交流によって、それぞれの学会活動がより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24
することを目指すものとする。
b. 各年度に刊行された両学会の学会誌について、相互の学術交流のためにその年度に発刊
された学会誌をまとめて年に一回相互に交換する。送料等は各学会の自己負担とする。
c. 両学会員の学術交流を促すために、相互の学会への投稿を認める。相互の投稿条件等は
必要に応じて両学会の担當者で話し合いの上、手続きを定める。また、投稿と掲載に関わる
費用負担は対等とする。なお、相手学会へ投稿できる論文数の上限数については別途定め
るものとする。
d. それぞれの学会員は、お互いの学会の「姉妹会員」として、お互いの学会の全国大会での
研究発表に自由に申し込むことができるものとする。発表の採択の可否、種類、日程などの
大会運営に関しては、相手国の学会の決定に従うものとする。また、発表に関わる渡航費、
滞在費、参加費、懇親会費用等は、原則として、発表者個人の負担とする。
e. それぞれの学会は、お互いの学会の全国大会開催に際して、パネルディスカッション、講演
などに相応しい会員を相手学会の推薦によって招聘できる。パネルディスカッション、講演な
どの種類、日程などの大会運営に関しては、相手国の学会の決定に従うものとする。また、
招聘に関わる渡航費、滞在費、参加費、懇親会費用等は、協議の上これを定める。
一層実質化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25
に する規定
海外理事 關
に
して硏究發表した日本の學者の中で、本學會の硏究活動に關
1. (資格) 本學會 1回以上出席
を ち ご してもらえる方。
心 持 、 協力
2. (活動)
において本學會を紹介し、學會の活動內容や情報などを提供
(2) 韓國國內で行われる年二回の硏究發表會で發表を希望する人の窓口役割
(3) 學會誌揭載對象論文の審査
(4) 日本國內の會員の管理
3. (任期) 2年單位とし、本人の同意を得て延長可能。
4. (任命) 理事會で協議․決定し、會長が委囑する。
5. (施行) 本內規は、1997年5月5日から施行される。
(1) 日本國內
に する規定
海外支部 關
に する会員の便宜を図るために、本学会日本支部を置く。
2. (構成) 日本支部は、本学会の趣旨に賛同し、積極的に協力する海外理事を中心に結成する。
3. (代表者) 日本国内の会員を管理し、日本支部の運営を総括する代表者は日本居住の海外理
事の中から、理事会の推薦を受け会長が委嘱する。
4. (任期) 日本支部代表者の任期は2年で、本人の同意により連任も可能である。
6. (施行) 本内規は2011年6月3日から施行する。
1. (趣旨) 日本国内 居住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26
會員規定
のすべての會員は、 國內會員 (韓國內に所屬や勤務先のある內國人や外國人)と 海
外會員 (外國に所屬や勤務先のある外國人や內國人)とに分け、加入の內容により次のように分
類される。ただし、日本での留學生は國內會員とする。
本學會
の として登錄を濟ませた者。但し、会費が3年間未納の場合は、正會員の
資格を失う。
2. (準會員) 會員の中で、正會員の資格を失った者。
3. (終身會員) 理事會の同意を得た者で、所定の會費(30万ウォン)を納付した會員。
4. (特別會員) 本學會の發展に貢獻した人の中で、理事會の推薦による方。
5. (名譽會員) 本學會の招聘講演者の中で、理事會の推薦による方。
6. (団体會員) 所定の會費(年8万ウォン)を納付する國內外の學術団体および機關。但し、海外
(日本)の 學術誌交流団体 も団体會員の範囲に含む。
1. (正會員) 本學會 會員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27
『日本文化學報』 發行計畵
∙ 投稿 依賴 (2月初․5月初․8月初․11月初)
∙ 論文原稿 締切り (2月末․5月末․8月末․11月末):1次 提出
∙ 論文審査 (3月․6月․9月․12月)
∙ 審査委員審査結果 通知 (3月中旬․6月中旬․9月中旬․12月中旬)
∙ 論文修正原稿 締切り (3月末․6月末․9月末․12月末):2次 提出
∙ 編集委員會 最終揭載可否 通知 (4月初․7月初․10月初․1月初)
∙ 1次校正:筆者
∙ 2次校正:編集委員會
∙ 發行 (5月․8月․11月․2月末日)
各 種 樣 式
〔諸樣式は學會のホームページからダウンロードしてください。〕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28
2014年度 學會日程表
實行豫定日
活
2. 3(月)
消息誌 14-1号(通算70号) e-mail 發送
2. 28(金)
『日本文化學報』第60輯(2月号) 發刊 및 硏究財團 登錄
編 集
2. 28(金)
『日本文化學報』第61輯(5月号) 投稿論文 原稿 마감
事務局
2. 28(金)
第3回 韓國日本硏究總聯合會(第46回 國際學術大會) 發表 申請 마감
事務局 / 學術
3. 10(月)
第3回 韓國日本硏究總聯合會(第46回 國際學術大會) 要旨文 마감
事務局 / 學術
3. 15(土)
編集理事會
3. 31(月)
消息誌 14-2号(通算71号) e-mail 發送
涉外 / 總務
4. 5(土)
常任理事會 / 編集理事會
總務 / 編集
4. 11(金)∼12(土)
動
內
容
擔當理事
涉外 / 總務
編 集
第3回 韓國日本硏究總聯合會(第46回 國際學術大會)
聯 合
5. 31(土)
『日本文化學報』第61輯(5月号) 發刊 및 硏究財團 登錄
編 集
5. 31(土)
『日本文化學報』第62輯(8月号) 投稿論文 原稿 마감
事務局
6. 14(土)
編集理事會
編 集
7. 5(土)
常任理事會 / 編集理事會
8. 31(日)
『日本文化學報』第62輯(8月号) 發刊 및 硏究財團 登錄
編 集
8. 31(日)
『日本文化學報』第63輯(11月号) 投稿論文 原稿 마감
事務局
9. 6(土)
第47回 國際學術大會 發表申請 마감
9. 13(土)
編集理事會
9. 13(土)
第47回 國際學術大會 發表要旨 마감
10. 4(土)
常任理事會 / 編集理事會
總務 / 編集
10. 6(月)
消息誌 14-3号(通算72号) e-mail 發送
涉外 / 總務
10. 25(土)
第47回 國際學術大會
學 術
11. 30(日)
『日本文化學報』第63輯(11月号) 發刊 및 硏究財團 登錄
編 集
11. 30(日)
『日本文化學報』第64輯(2月号) 投稿論文 原稿 마감
事務局
12. 13(土)
編集理事會
編 集
2015. 1. 3(土)
總務 / 編集
事務局 / 學術
編 集
事務局 / 學術
常任理事會 / 編集理事會
總務 / 編集
2. 2(月)
消息誌 15-1号(通算73号) e-mail 發送
涉外 / 總務
2. 28(土)
『日本文化學報』第64輯(2月号) 發刊 및 硏究財團 登錄
編 集
2. 28(土)
『日本文化學報』第65輯(5月号) 投稿論文 原稿 마감
事務局
Journal of Japanese Culture
∙第 61 輯∙
發行日 2014년 5월 31일
發行處
韓國日本文化學會
(300-150) 大韓民國 大田広域市 東区 大田路 815番길 45, 新榮BLDG. 201号
Tel (042)488-9155
Fax (042)488-9156
<학회계좌번호>
(韓國) 국민은행 758001-01-558912 김한수(한국일본문화학회)
(日本) 郵便局 00920-9-147169 韓國日本文化學會 日本支部
製作處
메트로문화사
Tel (042) 488-9155 Fax (042) 488-9156
e­mail : [email protected]
※비매품
ⓒ 韓國日本文化學會2014 Printed in korea
ISSN 1226-3605
* 이 학술지는 2013년도 정부재원(교육부)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출판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