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 66 輯 - 한국일본문화학회

Journal of Japanese Culture
•第 66 輯•
2015. 8
韓國日本文化學會
Journal of Japanese Culture
目
次
․韓国語の「저」「나」に対応する日本語の自称代名詞の使用に関して ·························郭 銀 心… 5
- 韓日対訳資料の分析を中心に ․一九의 東海道中膝栗毛에 보이는 가능동사에 관한 일고찰············································金 鎔 均… 29
- 三馬의 滑稽本과 비교를 중심으로 ․대칭대명사의 사용빈도 변화에 관한 연구··································································민 승 희… 47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 통시적 연구(2) ー尊敬表現을 중심으로ー ·······片 茂 鎭… 63
․일본이 기억한 안용복 -『竹島紀事』와『竹島考』를 중심으로 - ··················김 병 우… 83
․향(香)과 헤이안왕조(平安王朝) ·····················································································김 영… 109
․『古今和歌集』의 恋歌와 헤이안문학 ··································································南 二 淑… 123
․일본문학수업 방법론 연구 ······················································································윤 혜 영… 147
- 흥미유발을 위한 일본문화 도입방법을 중심으로 ․토론수업을 활용한 일본문학감상의 Active Learning ···········································이 정 희… 163
-아베 고보(安部公房) 『모래의 여자(砂の女)』를 중심으로․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と高齢者像(その2) ························································金 恵 媛… 181
-『厚生白書』(昭和45(1970)~平成12(2000)年版)を手がかりに․일본 시코쿠 지역의 임란포로에 관한 일고찰·······························································노 성 환… 199
-가가와, 도쿠시마, 고치 지역을 중심으로․別個の古代史『三国史記』と『三国遺事』 ー『古事記』 『日本書紀』との対照からー ····朴 正 義… 223
․근세 일본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 ···························································이 덕 훈… 245
-네덜란드동인도회사의 등장과 선교사의 무역개입을 중심으로․일계인 디아스포라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적 경제적 관계 고찰 ···임 영 언․김 태 영… 273
․일본 아동수당제도의 변화과정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아동복지정책의 방향성 연구······전 호 성… 297
․동일본대지진 이후 정부개발원조 예산삭감을 둘러싼 일본사회 내의 갈등 ·······정 기 숙… 317
․정경(鄭經)의 조선침공설에 관한 고찰 ··································································정 응 수… 339
․『녹기(綠旗)』에 나타난 ‘내선일체(內鮮一體)’와 ‘황국신민화’ ·······················정 창 석… 359
․최양일 영화의 마이너리티 양상 - 인간소외와 폭력에 대하여 - ················주 혜 정… 379
․中国经济의 不安定性 增大와 日本企業의 對應戰略 ···········································崔 聖 伯… 399
․‘竹島’일본영토론자들의 사고논리의 특징에 관한 분석 ·····································최 장 근… 427
-시모조 마사오를 한 유형으로■合評會···················································································································································451
■韓國日本文化學會 任員名簿···················································································································453
■韓國日本文化學會 會則··························································································································455
韓国語の「저」「나」に対応する日本語の
自称代名詞の使用に関して
対訳資料の分析を中心に -
- 韓日
郭 銀 心*1)
(e-mail: [email protected])
目 次
1. はじめに
2. 析 料
3. 韓 語と日本語の自称代名詞の体系
4. 自称代名詞の使用 態
4.1 自称代名詞の種 と出現
4.2 女性話 の自称代名詞の使用
4.3 男性話 の自称代名詞の使用
5. わりに
分 資
国
終
者
者
様
類
数
1. はじめに
分
対
日本語の人称体系は、自 を指し示す「自称」、聞き手を指し示す「 称」、そし
て第三 を指し示す「他称」の3つに けることができる。鈴木(1973)は、話し手が自
自身に言 することばのすべてを 括する 念として「自称詞」、話しの相手に言 する
ことばの 称を「 称詞」、 話の中に登場する第三 を表すことばを「他称詞」と呼
んでいる。この枠組みは、人称代名詞だけでなく、親族名称、地位名称などを一括したも
のであり、これらの 称を「人称詞」としている。
者
及
総
対
対
総
分
概
総
*중앙대학교 아시아문화학부, 시간강사, 사회언어학
者
及
分
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発達
国
日本語と同じく敬語体系が
している韓 語には、人称詞の位置づけや使用における
似点が多く存在し、韓 語と日本語の人称詞に する 照 究は 多く行われてきた。
しかしながら、先行 究では、人称詞の使用の共 点や、韓 語には見られない日本語
の性差が相 点として されるだけであって、 際の 用における詳細な比較はあまり行
われてこなかった。また、人称詞の中でも 称詞やその下位範疇の一つである親族呼称に
する 究が多く、それに比べて自称詞に焦点を当てた 究は少ない。自称詞に する
照 究には、アンケート 査を して自称詞の使用を比較した가혜경(1998)と林炫 他
(2002)、日韓
テキストに見られる自称詞の種 と出現 を比較した許貞淑(2007)、日
韓・韓日
テキストの比較を して、人称詞の出現 にずれが生じる 因について 析
した 先(2001)などがある。しかし、いずれも 称詞と合わせた 究の一部にとどまってい
る。本稿では、自称詞の下位範疇にある自称代名詞を主な考察の とし、韓日 テ
キストを比較することで、韓 語の自称代名詞「나」と「저」に 応する日本語の自称代
名詞が
テキストの中でどのように使用されているのかについて 析する。2)
類
違
関 研
研
鄭惠
研
国
強調
関 対 研 数
通
国
実 運
対
研
調 通
翻訳
翻訳
類
通
対
数
数
研
国
翻訳
関 対
情
対
分
要
対象
分
翻訳
2. 分析資料
国
説
翻訳
対象 分
本稿では、韓 語小 を日本語に
した作品4種を に 析を行う。以下は、韓
語の原作テキスト(ST)と、それを日本語に
した テキスト(TT)である。
国
翻訳 対訳
①ST『엄마를 부탁해』(신경숙、2008) 창비
TT『母をお願い』(安宇
、2011) 集英
②ST『우리들의 행복한 시간』(공지영、2005) 오픈하우스
TT『私たちの幸せな時間』(蓮池
、2007) 新
③ST『오래된 정원(상, 하)』(황석영、2000) 창작과 비평사
TT『 かしの (上、下)』( 柳優子 、2002) 岩波書店
④ST『포도밭 그 사나이』(김랑、2005) 청람
TT『ぶどう畑のあの男』(金智子、2007) 談
植訳
社
薫訳
懐
庭
青
潮社
訳
講 社
これらのテキストを対象とした理由は、現代を舞台にした作品であり、ST、TTともに2000
年以降に出版されているため、近年の言葉遣いを反映していると考えられるからである。ま
た、テキストには家族内の会話と家族外(友人、先輩と後輩、恋人など)の対話が多様に
見られるため、分析対象に適していると判断した。
そして、翻訳家の性別は男性が2名(①、②)、女性が2名(③、④)であり、4名は日本
2)
国
対
関して ······························ 郭 銀 心…7
韓 語の「저」「나」に 応する日本語の自称代名詞の使用に
者
選
翻訳家
翻訳 分 資
扱
能力
人または在日2-3世の日本語ネイティブである。筆 は、テキストを ぶ際に、
の第
一言語が日本語であることを 件にした。本稿では韓日
作品を 析 料として って
いるため、
には韓 語と韓 文 に する高い理解 と同時に、日本語ネイティ
ブならではの 細で な表現を めたからである。
翻訳家 国
繊 正確
条
国 化 対
求
3. 韓国語と日本語の自称代名詞の体系
ここでは、従来の研究をもとにして、韓日両言語の自称代名詞の体系について概観する。
韓国語の自称代名詞には、「나」と「저」が主に使われる1)。「나」は聞き手の地
位が話者と同等か話者より低いと思われる場合に用いられ、「저」は聞き手の地位が高く
「합쇼体」で待遇しなければならない状況では、話者自身を低める言葉として使われる。
一方、日本語では「わたし」と「わたくし」が男女共に最も標準的に用いられ、「わたく
し」は「わたし」よりフォーマルであり、多く目上の人に対して用いられる。日本語の特徴と
してその他の自称代名詞には性差が表れる。女性専用には「あたし」もしくは「あたくし」
が、男性専用には「ぼく」「おれ」「わし」が使われる2)。しかし、いずれも「わたし」よ
りはくだけた場面でしか用いられない。
表1. 日本語の自称代名詞の体系3)
自称代名詞
わたくし
わたし
あたし
ぼく
おれ
わし
性別
男女共用
女性
男性
主に男性
性質
「わたし」よりあらたまった場面で用いられる
標準 に使われる
的
「わたし」よりもくだけた場面でしか用いられない
あらたまった場では使いにくい
両言語間の自称代名詞を比較すると、韓国語は、話者と聞き手の上下関係によって選
択され、日本語は、性別や場面のあらたまり度によって使用が制限される。対応する語を
比べると、「저」には「わたくし」と「わたし」が、「나」には「わたくし」を除いた全て
が対応する。逆に見れば、男女共に最も標準的に用いられる「わたし」だけが「저」と
1)
남기심 고 근 によれば 国 の
はこの にも漢 統の 짐 인 본인
소생 などがあるが の 国 では消滅またはほとんど衰退しているため では と
を に分 を う
供
関西方
関係 厳 警
衛隊 職
丸
;
記述 法研 会 編 ; 大辞
は 丸 と 記述 法研 会 編 をもとに 成した
, 영 (1993)
、韓 語 自称代名詞
他
語系
「 」「과 」「
」
「
」
、現代 韓 語
、本稿
「나」
「저」 中心
析 行 。
2) 日本語の自称代名詞はこの他にも、主に女性や子 が用いる
言の「うち」や、上下
が しい 察
や自 などの 場で用いられる「じぶん」、主として男性が用いる「おいら」などがある(金 , 1997 日本
語
文
究 ( ), 2009 『
林』第三版)。
3) 表1. 、金 (1997) 日本語
文
究 ( )(2009)
作
。
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両方 対
対 難
目
「나」の
に 応できるが、その他の自称代名詞は 応が しくなる。つまり、 上に
して用いる「저」に して、男性 用の「ぼく」「おれ」「わし」は使用できないので
ある。このように、 の 究にもとづいた自称代名詞の使用には、かなりの があるよ
うだが、 際の使用においてはどうであろうか。
以下では、日本語の自称代名詞に表れる性差を考 し、女性話 と男性話 に け
て 析を行い、「저」と「나」に 応する自称代名詞が、TTではどのように使用されて
いるか考察する。
対
対
従来 研
実
専
分
制約
慮
対
者
者 分
4. 自称代名詞の使用様態
4.1 自称代名詞の種類と出現数
分析資料に見られる自称代名詞の種類とその出現数は、以下のようである。
まず、STでは、単数の自称代名詞には「나」と「저」が現われ、その複数形である
「우리, 우리들, 우리네」と「저희, 저희들」が見られる。
国
表2. STに現われる韓 語の自称代名詞
自称代名詞
作品
①엄마
②우리
③오래
④포도
計
合
나
154
370
473
370
13 7
単数形
6
저
10
118
9
3
287
우리(들,
21
95
201
48
3 5
6
6
6
1 54
6
2033
複数形
네) 저희(들)
0
6
379
5
3
14
次に、TTに現われる自称代名詞を女性話者と男性話者に分けてまとめると、以下の表
3.と表4.のようになる。
者の自称代名詞
表3. TTに現われる女性話
自称
代名詞
作品
①母
②私
③
④ぶ
懐
単数形
者
女性話
複数形
あたし
わたし あたし わたし
たち(ら) たち(ら) うち(の) わが
33
87
9
5
1
6
261
0
19
0
10
2
253
0
54
0
15
0
164
0
4
0
12
0
国
対
関して ······························ 郭 銀 心…9
韓 語の「저」「나」に 応する日本語の自称代名詞の使用に
711
計
合
798
87
6
8
5
935
137
38
8
者の自称代名詞
表4. TTに現われる男性話
自称
代名詞
作品
①母
②私
③
④ぶ
懐
計
合
者
男性話
単数形
複数形
わたし ぼく おれ わし
わたし ぼく おれ わし たち たち たち たち
(ども) (ら) (ら) (ら)
0
37
123
2
1 2
6
18
77
24
11
130
554
単数
3
39
108
51
201
25
0
11
25
1
6
0
7
14
0
21
1
8
3
1
13
2
6
38
3
49
667
0
0
3
2
5
113
うち わが 我々
(の)
(の)
0
6
1
0
7
0
4
1
0
5
0
1
12
0
13
TTに現われる
の自称代名詞には、男女共に使用される「わたし」があり、その他
の自称代名詞として、女性話 には「あたし」、男性話 には「ぼく、おれ、わし」が
使用されている。女性 用の「あたし」は
料①でのみ現われ、女性話 は聞き手
との や場のあらたまり とは なく一 して「わたし」を使用しているようである。男性
話 の場合は、「おれ」の出現 が も高く、「わたし」と「ぼく 」はそれに いでい
る。
には
の後ろに「たち、ども、ら」が いたものの他に、「うち(の)」
「わが」「 々(の)」が現われた。
自称代名詞の出現 を比べてみると、
と
ともにSTの が多い。これは、
先(2001)が指 しているように、TTでは自称代名詞が
されている場合が多く、
日本語の は韓 語に比べ人称代名詞の使用を ける
があることを示している。ま
た、「나」が 代名詞「自 」や親族名称に されている場合4)や、STでは「우
리 名詞」の使用が多く見られるが、TTでは
されている場合5)が多いため、これらの
因が人称代名詞の出現 にずれを生じさせているようである。
者
者
専
対訳資
関係
度 関係 貫
者
数 最
複数形 単数形
付
我
数
単数形 複数形
方
鄭惠
摘
省略
方 国
避 傾向
再帰
分
訳
+
省略
要
数
者
次
남이사 히죽거리든 광녀같이 춤추든 내 일은 내가 알아서 할 테니까 신경 끄세요.
(포 243)
TT: 関係ないでしょ。ニヤニヤしようが、狂ったように踊ろうが、自分のことは自分でするわ。ほっ といてよ。
(ぶ 162)
5) ST: 제 말씀은 어떻게 우리 지현이한테 물려주시려고 하나 해서요.
(포 15)
TT: 私が知りたいのは、なぜジヒョンに譲るのかということです。 (ぶ 14)
4) ST:
1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4.2 女性話者の自称代名詞の使用
者
誰
者
二
女性話 の自称代名詞には、「わたし」と「あたし」の つが使用されている。STで
は聞き手が なのかによって「저」と「나」を使い けているが、TTでは「わたし」を使
用する話 と「あたし」を使用する話 が 別されている。つまり、一人の人 が「わた
し」と「あたし」を使い けるのではなく、はじめから一つの自称代名詞を し、聞き手
や場面に なくその語を使用するのである。
分
関係
者 区
分
物
選択
わたし
まず、「わたし」の使用例から見てみよう。
4.2.1
안녕하세요? 저는 박은결입니다. 엄마한테서 아저씨에 대한 말씀을
들었어요.
(오 하124)
TT: こんばんは。私は朴ウンギョルです。母からおじさんのことを聞きました。
(懐 下138)
(2) ST: 저기요, 할아버지 그날은 제가 너무 화가 나고 해서 저도 모르게
(1) ST:
TT:
あの、おじいちゃん。あの日は私、すごく腹が立って······。
(포 323)
(ぶ 224)
버
父
제는 제 잘못했어요.
(오 상91)
昨
悪かったです。ごめんなさい。
(懐 上98)
(1)-(3)は、聞き手が「おじさん、おじいちゃん、お父さん」であることから目上に対する
発話だということが分かる。STの「저」に対して、TTでは「わたし」を対応させている。
(4) ST: 내가 농사를 어떻게 짓거나 말거나 댁이 무슨 상관이에요?
(포 9)
TT: 私が畑をどう耕そうと、あなたには関係ないわ。
(ぶ 9)
(5) ST: 그럴 줄 알았어요. 그럼 왜 나한테 말 한했어요? (오 상252)
TT: そうだと思いました。でも、どうして、私に話してくださらなかったの?(懐 上280)
(4)と(5)は、それぞれ(2)と(3)の話者と同一人物であるが、聞き手が同等4)であるため、ST
では「나」を使用している。この場合もTTでは「わたし」に対応させている。従って、金丸
(1997)が指摘しているように、女性話者の使用する「わたし」は、ややフォーマルな場面からイ
ンフォーマルな場面まで、最も広く一般的に用いられていることが分かる。
ところで、4種の作品の中でTTに「わたくし」が使われている用例が一つだけ見つかった。
(3) ST: 아 지, 어
가
TT: お さん、 日は私が
4)
요
目
齢があまり離れていない同等の関係にある人
STでは「해 体」が使われているが、聞き手は 上ではなく、年
物である。
国
対
関して ··························· 郭 銀 心…11
韓 語の「저」「나」に 応する日本語の自称代名詞の使用に
6
국에서 왔어요. 이곳으로 파견 나와 처음 만난 한국사람이네요.
( ) ST: 저도 한
(엄 278)
TT: わたくしも韓 から ました。こちらへ
されてきて、 めてお いする韓 人
ですね。 (母 325)
国 来
派遣
初
会
国
者は 初めて会った 韓国人に対して「わたくし 」を使用 しており、初対面ということから
フォーマルな場面だと認識しているようである。しかし、これはこの場面に限られた使用であ
り、よりインフォーマルな場面に移れば、おそらく(6)の話者も「わたし」に切り替えるのではな
いかと思われる。
話
4.2.2
あたし
次に、「あたし」に関しては、二人の女性話者だけにその使用が見られた。
(7) ST: 나는 니 이모가 죽었을 때 울 수조차 없었단다.
(엄 32)
TT: あたしは姉さんが息を引き取ったとき、涙を流すこともできなかったよ。 (母 34)
(8) ST: 안에 있는가? 나, 들어가네.
(엄 176)
TT: うちにいるおかい?あたし、部屋へ入るよ。
(母 203)
(7)と(8)の話者は、対訳資料①に登場する「母(オンマ)」とその「義理の姉」である。
二人は 田舎に住む老 年の女性であり、TT では「あたし」だけを 使用している。金 丸
(1997)によれば、「あたし」は女性専用で、フォーマルな場面では用いられない。二人の
話者は家族内の会話にだけ登場するため、STでも「나」のみを使用している。
女性話者の自称代名詞に関しては、次のようにまとめることができる。STでは聞き手が
目上であったりフォーマルな場面では「저」が使用されるが、TTにおいては「わたし」が
フォーマルな 場面だけでなく 、 インフォーマルな 場面 でも 同時に 用 いられる 。 また 、イン
フォーマルな場面での「わたし」と「あたし」の使い分けは見られず、翻訳者は話者の人
物設定を行った上で、話者に一つの自称代名詞のみを使わせている傾向があるようだ。
「わたし」と「あたし」の使用についてテレビドラマやトーク番組に登場する若い男女の
会話を分析した李徳霞(2003)によると、女性話者が使用した自称代名詞は、全体の71回
のうち「わたし」が68回、「あたし」が3回という結果が出ている。「あたし」の使用回数
が非常に少ない理由について、分析資料がドラマの会話を中心にしているため、脚本の
影響 があると 述 べている 。 しかし 、 実 際 の 話 し 言葉 を 分 析 した 研 究(小林 、 1997 :
120-122)では、50代を除くどの年代でも「あたし」のほうがよく使われており、被験者44人
のうち27人が状況に応じて「わたし」と「あたし」を使い分けているという。「あたし」がど
ちらかといえば雑談で用いられる傾向にあり、フォーマルの度合いによる使い分けが行われ
1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ているようである。また、「わたし」と「あたし」の使い分けと文体の丁寧度とは必ずしも合
致しないという5)。つまり常体とともに用いられている「わたし」の使用例もかなりの数にのぼ
り、「わたし」が発話の場としてはややフォーマルに傾きながらも、文体の面からは特にあら
たまったものではなく、くだけた発話の中にも用いられているのである。このように実際の話し
ことばでは、女性話者が「わたし」と「あたし」の使い分けを行っているにも関わらず、対
訳資料では一方の自称代名詞だけを用いる傾向があることが分かった。
4.3 男性話者の自称代名詞の使用
者
男性話 の自称には、「わたし」「ぼく」「おれ」「わし」の4つが使用されている。
上 したように、「わたし」は男女ともに も標準 に用いられる自称代名詞であり、「ぼ
く」「おれ」「わし」は男性 用となる。STでは 上に しては「저」を 本 に使用
しているが、インフォーマルな場面では 上に しても「나」を使用する用 が見られる。
また、TTでは女性話 とは って「わたし」と「ぼく」、「ぼく」と「おれ」を使い け
述
専
者 違
最
目 対
的
目 対
基 的
例
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分
わたし
4.3.1
STの「저」に 応する「わたし」の使用
対
例から見てみる。
(9) ST: 아버지, 저와 결혼할 사람입니다.
(오 상128)
TT: お父さん、私の結婚相手です。
(懐 上139)
(10) ST: 제 말씀은 어떻게 우리 지현이한테 물려주시려고 하나 해서요.
(포 15)
TT: 私が知りたいのは、なぜジヒョンに譲るのかということです。
(ぶ 14)
(11) ST: 왔다갔다하시면서도 절 못 본 모양이지요? 저는 줄곧 저기 앉아 있
었습니다.
(오 하11)
TT: 歩きまわっていたのに、私が見えなかったようですね?私はずっとあそこに座って
ました。
(懐 下9)
(12) ST: 한 가지 진짜로 말할 수 있는 게 있다면 그건 저도 두 분과 마찬가
지로······진짜 꼴통이라는 겁니다.
(우 240)
TT: ただひとつ、本当のことが言えるとしたら、それは私もおふたりと同じように······
偏屈者だってことです。
(私 178)
5) A:
だって、エピソードってわたしとてもいいと思うのよ。
B: わたしもいいと思う。 :
小林(1997 122)
国
対
関して ··························· 郭 銀 心…13
韓 語の「저」「나」に 応する日本語の自称代名詞の使用に
例
実
目
等 関
社会的 関係 維持
者
対
STでの「저」の使用 を見ると、 際には 上に((9)、(10))だけでなく、同 の
であっても親
において親しくない場合(11)や 下に しても
な を
する上で(12)「 体」や「해 体」と共に用いられることがある。しかし、後 の場
合、「저」よりも「나」を使用する用 が多く、TTでは「わたし」が 応している。(13)
と(14)は「나」に「わたし」が 応し、STとTTにはいずれも敬体が使用されている。
係
疎関係
합쇼
요
例
目 対
対
(13) ST: 가을이 되니까, 내가 겁이 나고 내가 잠이 안 와요.
(우 271)
TT: 秋になると、私のほうが怖いし、眠れないんです。
(私 203)
(14) ST: 나는 그 동네를 좋아해요. 저건 비행기에서 홍보용으로 나오는 잡지
에서 오린 거예요. 동불상은 내가 올 때 책짐 속에다 넣어 가지구
온거요.
(오 하226)
TT: 私はわりに仏教系が好きなんです。それは飛行機の中で広報用の雑誌から切
り取ったものです。銅の仏像は私がこちらに来る時、本と一緒に持ってきたん
です。
(懐 下252)
次に、同等または目下の聞き手に対して、「わたし」が用いられている用例を見てみる。
(15) ST: 박형, 부탁이 있어. 나는 다시는 여기 나타나지 않을 거야. (오 상203)
TT: 朴さん、お願いがあるんだ。私はもう二度とここには戻らない。 (懐 上227)
(16) ST: 오형6), 잠깐 나하구 얘기 좀 합시다.
(오 하131)
TT: 呉君、ちょっと私と話をしようか。
(懐 下146)
(17) ST: 그래 꼭 전화하지. 나두 은결이를 만나구 싶구나.
(오 하125)
TT: もちろん、電話するよ。私もウンギョルさんに会いたいから。 (懐 下139)
等に、(17)は目下に対して発話しているため、STとTTでは常体を用いてい
る。しかし、(16)は刑務所の係長が囚人に対して発話する場面であり、STではフォーマル
な場面と設定しているせいか「합쇼体」を使用しているが、TTでは目下に対する発話とし
て常体を使用している。(15)から(17)のTTでは、いずれも親疎関係においてはあまり親しく
ない聞き手に対して「わたし」とともに常体が用いられている。しかし、実際の話し言葉を調
査した小林(1997)によると、男性話者の使用する「わたし」は、すべて敬体とともに現れる
(15)は同
6)
「형」は、同年輩やよそよそしい間柄の年下の人に対する尊敬語。姓や名前の下に付けて相手を呼ぶときに使
う。(『프라임 한일사전』제2판)
1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ため、「わたし」が男性においては強いフォーマルの意識とともに用いられ、女性の用いる
「わたし」とはかなり違う面があると指摘している。対訳資料では「わたし」が敬体と常体
の両方に共起しているものの、あまりくだけた場面ではなくややフォーマルの意識を伴う発話
の中で用いられている。これは、男女共に使用する「わたし」が、その待遇段階の把握
については男女に差があり、女性の使う「わたし」のほうが丁寧度が低いという小林(1997)
の主張を裏付けるものだと言えよう。
4.3.2 ぼく
「ぼく」は一
名詞である。
(18) ST:
TT:
般的に男性専用であり、「わたし」よりもインフォーマルに使われる自称代
내가 서울 처음 왔을 때 살던 곳이다.
ぼくがソウルへ初めて出てきたとき、住んでいたところだ。
(엄 85)
(母 95)
터
테 싫은 소 듣고 날마다 죽겠다는 소리 하면서도
막 농 으라면 못할 것 같은데 뭐.
(포 190)
僕 司 嫌
毎 死にそうだと思っても、農業をやれと言わ
(19) ST: 나부 도 상사한
리
상 사지
TT: も上 に みを言われながら 日
れたらできないよ。
(ぶ 125)
구 소주 한 병만 대작해주는 조건이라면 밥을 먹겠어. (오 상125)
僕 焼酎一本だけ一緒に飲んでくれるなら、ご飯を食べようかな。 (懐 上135)
(20) ST: 나하
TT: と
対
対
例
(18)-(20)は、インフォーマルな場面で「ぼく」が用いられ、「나」に 応している用
である。「ぼく」は「わたし」に比べてあらたまり が いため、「나」に 応する自称代
名詞だと われがちだが、 際には「저」に 応する用 も多く見られた。
思
実
테 러 십
라 할 거란 말입니까?
僕
僕 命救
度 低
対
例
략 러면 수녀님께서
살려주 기
6
(21) ST: 저한 이 지 마 시오. (중 )그
저를
시
도
(우 0)
TT: にそんなことをおっしゃらないでください。(中 )そうしたら、
女さんは、
の を ってくださるとでも言うのですか
(私 39)
안녕 십니까 머님 전
僕
(22) ST:
하
, 어
. ······.
TT: こんにちは、お母さん。 は······。
(23) ST: 저 사
아가
어 .
?
略
修道
(포 429)
(ぶ 323)
무실로 돌 야겠 요 삼촌 이따 저녁에 뵙지요. (오 상27)
国
対
関して ··························· 郭 銀 心…15
韓 語の「저」「나」に 応する日本語の自称代名詞の使用に
僕 事務所に戻らなきゃならないんです。叔父さん、また夕方、会いましょう。
(懐 上27)
TT: 、
対
目
対 発
(21)-(23)はいずれも「저」に「ぼく」が 応しており、 上の聞き手に する 話で
ある。(21)と(22)はややフォーマル、(23)は親族間のインフォーマルな場面で「ぼく」が用
いられている。金 (1997)は、 (1987)が「子どもの場合は相手がだれでだろうと
『 』を使うことも許されますが、ある
の年 になったら、同輩以下に しても自 を
示すときはいいのですが、その他は
当です」と べていることを げ、これに して、
「
同 など、 られた世 では、上下
にかかわらず、またフォーマルであるかど
うかにかかわらず く用いられている」と指 する。しかし、 際の話し言葉では、金
(1997)が べているように
という
だけでなく、一 に く「ぼく」が自称代名
詞として用いられているようである。小林(1997)の 査
によると、「ぼく」は 談に使
われている が比較 多いが、
にも「おれ」よりはよく使われ、「わたし」との
いは文体をあまり ばず、敬体にも 体にも用いられるという。 って、「ぼく」は場面・
文体・相手との
・フォーマル を わず、比較
く使われる自称代名詞だというこ
とが かる。また、「ぼく」がくだけた「おれ」よりはむしろ「わたし」に い
位置
にあることを示している。
丸
野元
僕
程度 齢
対
分
不適
述
挙
対
学者 士 限
界
関係
広
摘
実
丸
述
学者 職業層
般的 広
調 結果
雑
例 的
仕事関係
違
選
常
従
関係
度問
的広
分
近 待遇的
おれ
4.3.3
「おれ」は、相手が同輩以下であるときに使う語であり、フォーマルな場面では使われ
ないとされる自称代名詞である。
고모 땜에 죽겠다. 마음은 알겠는데 이 양반 툭하면 나를 찾아
와 재심 좀 어떻게 안 되겠느냐고 하고 (중략) 나도 죽겠어.(우 131)
(24) ST: 나도
TT:
俺も叔母さんにはほとほと困っている。叔母さんの気持はわかるけど、しょっちゅ
う俺のところに、何とか死刑囚の再審ができないかとか(中略)実は俺も
困ってるんだ。
(私 93)
양 두 벌로 십 년이나 버티고 있잖아.
俺
二着で十年も耐えてるじゃないか。
(25) ST: 나도 복
TT: だってスーツ
6
(포 23)
(ぶ 23)
형수 형수, 나 학교 좀 보내줘. 중학교 좀 보내줘. 그러면 내가 평생
갚을게. (엄 182)
TT: お義姉ちゃん、お義姉ちゃん、お願いだからおれを中学へ行かせてくれよ。中
(2 ) ST:
1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学へ通わせてくれって。そうしてくれたらおれは一生かけて恩返しをするでよ。
(母 210)
発
者 妹妻
(24)と(25)は、インフォーマルな場面での 話であり、聞き手は話 の と である。こ
こでは「나」に「おれ」が 応し、STとTTともに 体が使われている。「おれ」につい
て小林(1997)は、「わたし」「ぼく」とは って、「です」「ます」などのない 体ととも
に用いられるのが だと べている。しかし、 際には(2 )のように 上に しても使われ
たり、(27)と(28)のように「저」に 応し、敬体をともなって現れる場合もある。
対
特徴 述
違
常
実
6
目 対
常
対
(27) ST: 저 처음에 수녀님 만났을 때 욕하고, 난리쳤던 거 생각해보세요.
(우 91)
TT: 俺も初めて修道女さんにお会いした頃は、怒鳴ったり騒いだりで大変だったって
こと覚えてらっしゃるでしょ。
(私 61)
(28) ST: 예, 제가 손을 볼게요. 지금 들어오시는 거예요?
(포 211)
TT: はい、俺が直します。今お帰りですか?
(ぶ 138)
目上に対して敬体を使用しつつも「おれ」を選択した話者は、普段の言葉遣いの中で
主に「おれ」を自称代名詞として用いる多少気質の荒い人物として描かれている。これは
翻訳家が作品の中で設定した人物の個性によるものと考えてもよいだろう。小林(1997)の研
究は、職場という限られた場面での人称詞の使用を調査したものであるため、談話資料の
中で発話が見られないから、その人物がその語を使うことはないと判断することはできない。
しかしながら、「わたし」「ぼく」「おれ」のうちどれを用いるかという選択は、従来の待
遇度による使い分けに比べて近年はかなり緩やかになってきているようである。小林(1997)
が指摘しているように、自称代名詞が基準にとらわれない自由な意義で用いられることによっ
て、待遇度に合わせるのでなく、「絶対的な個を表す」ものとして変化していると言えるで
あろう。
そして、「おれ」と敬体の共起についての研究には、鄭惠先(2003)がある。鄭惠先は
1895年から1999年の間に発表された文学資料を3期に分けて通時的な分析を行っている。
1895年から1935年の近代小説からは「おれ」と敬体の共起は見られなかったが、1997年
から1999年においては若干ではあるが(4.3%)、共起の比率が上がっていることに基づき、
「おれ」の使用における文体の制約が時代とともに緩くなりつつあり、「おれ」の使用範
囲が徐々に拡がっていると述べている。「ぼく」と「おれ」が「저」に対応したり、敬体と
共起することは、やはり待遇上の制約が緩くなり、その使用範囲が拡がったことを意味し、
この傾向は対訳資料の分析からも観察することができた。
国
対
関して ··························· 郭 銀 心…17
韓 語の「저」「나」に 応する日本語の自称代名詞の使用に
4.3.4 わし
金 (1997)によれば、「わし」は、
性に って用いられる自称代名詞である7)。
現し、いずれも 年の男性が使用している。
丸
限
尊大感を伴って目下の者に対して、主に老人の男
対訳資料からは3つの作品で「わし」が出
老
(29) ST:
TT:
니 내 말 잘 들어라.
(포 323)
(ぶ 224)
おめえ、わしの話をよく聞けや。
는 그 때, 해방된 우리나라를 자유와 평등이 넘치는 세상으로 만
려고 친구들과 같이 활동을 했다. (중략) 그리고 거기서 젊은 나
는 시대하구 같이 죽어버렸어.
(오 상146)
TT: わしはあの時、解放された祖国を自由と平等に満ちた世の中にしようと、友達と
一緒に活動した。(中略) そしてそこで、若かったわしは時代とともに死んでし
まった。
(懐 上159)
(29)と(30)は、老年の男性が目下の聞き手に対して発話する場面である。しかし、親族
の目上(弟→姉)に対して、または親疎関係において親しくない初対面の相手に対しても「わ
(30) ST: 나
들
し」が用いられる場合もある。
(31) ST:
TT:
여가 있담 내가 진작 연락했지 안 했겄는가?
(엄 178)
ここにおったらわしがとっくに知らせとるわい、知らせぬはずがなかろ?(母 205)
내가 약사인데 그 상처를 보고선 그냥 둘 수가 없었소. (중략) 낯선
사람인 내가 발을 만지는데도 무기력하게 가만있었소.
(엄 123)
TT: わしとても薬剤師の端くれですからな。(中略)見ず知らずのわしが足をいじくりま
わしても、気力がないらしくじっとしておりました。
(母 140)
(32) ST:
対 尊大 度
(31)と(32)のSTでは「하오体」が使われており、聞き手に して
な態 を示している
とは えない。では、
はなぜ 年男性の自称代名詞に「わし」を使わせているの
だろうか。金 (2003)は、「わし」や 詞「わい」「のう」などを使用する言葉 いを
「 人語」と呼び、
語8)の一種として えている。「 人語」を使う人 を見ると、
思
老
水
翻訳者
役割
老
終助
捉
老
物
遣
わし は に 専 となっているが 域によっては が わし を いるケースもある
水
特定
彙 法 回
等 特定 物像
齢
職業 階層
容姿 風貌 格等 思 浮
特定
物像 提
物
思浮
役割
水
役割
重要
捉
7) 「
」 主 男性 用
、地
女性 「
」 用
。
8) 金 (2003)は、ある
の言葉づかい(語 ・語 ・言い し・イントネーション )を聞くと の人 (年
、性別、
、
、時代、
・
、性
)を い かべることができるとき、あるいはある
の人
を 示されると、その人 がいかにも使用しそうな言葉づかいを い かべることができるとき、その言葉づか
いを「 語」と呼んでいる。金 は、人称代名詞を日本語の 語にとっての な指標と えている。
1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単に老いぼれて弱々しい、ぼけているなどの性質を持っているだけでなく、威厳がある、
重々しい、知恵があるなどのイメージに結び付けられるという。方言は別として実際にはあま
り聞くことの少ない「わし」を用いることによって、話者が老年であること、威厳や、頑固で
あることなどを表していると言えるだろう。
分
要
対訳資
4
資
4.3.5 自称代名詞の使い けとその 因
ここまで見てきたように、
料に出現する男性話 の自称代名詞は「わたし」「ぼ
く」「おれ」「わし」の つがある。 料を詳しく見てみると、女性話 とは って男性話
は した 語を自称代名詞として用いるのではなく、聞き手によって使い けたり、もし
くは同一人 に しても や場面の によって使い けていることが かった。以下で
は、自称代名詞の使い けにはどのような 因が しているかについて考察する。
者 固定 1
物 対
関係
分
者
変化
分
要 影響
者 違
分
分
関係
4.3.5.1 聞き手との上下
まず、
料③に登場する「ヒョヌ」の用
対訳資
例を見てみる。
(33) ST: 어머니, 저 현웁니다. (중략) 제게 시간을 좀 주셔요. 차차 정리하겠
습니다.
(오 상275)
TT: お母さん、私、ヒョヌです。(中略) 私に少し時間をください。少しずつ整理し
ますから。
(懐 上304)
(34) ST: 어떻게 된 거야. 나는 니가 담치기 해가지구 골목에서 달려간 줄 알
았다.
(오 상166)
TT: どうやって逃げたんだ。俺はお前が塀を乗り越えて路地を走っていったと思って
た。
(懐 上182)
(35) ST: 나야 나. 현관문 좀 열어라.
(오 상272)
TT: 俺だ、俺。玄関をちょっと開けてくれ。
(懐 上301)
齢を基準にした上下関係に応じて自称代名詞を使い分けている。目
等または目下には「おれ」を用いている。また、対訳資料②に登場
関係をもとに目上には「ぼく」を、目下には「おれ」を使用している。
「ヒョヌ」は聞き手の年
上には「わたし」を、同
する「ユンス」も上下
6
테 러 십
략 러면 수녀님께서
살려주
기라 할 거란 말입니까?
6
僕
略
修道
僕 命救
?
再引
(3 ) ST: 저한 이 지 마 시오. (중 ) 그
저를
시 도
(우 0)
TT: にそんなことをおっしゃらないでください。(中 )そうしたら、
女さんは、
の を ってくださるとでも言うのですか
(私 39) ((21)の
用)
国
対
関して ··························· 郭 銀 心…19
韓 語の「저」「나」に 応する日本語の自称代名詞の使用に
유정이 누님도 나 믿고 딱 한 번만 예수님 믿어 봐요. 내가 보증할
게요.
(우 298)
TT: ユジョンさんも僕のこと信じて、一度でいいからキリストを信じてみたらどうです。
僕が請合いますから。
(私 226)
(37) ST:
(38) ST:
TT:
너 내 말 잘 들어. 너 지금 집에 가지 않으면 형아도 도망간다. (우 27)
おまえ、俺の言うことよく聞け。家に帰らなかったら俺もどっかに行ってしまうぞ。
(私 13)
疎関係
4.3.5.2 聞き手との親
「ヒョヌ」と「ユンス」が行っている使い けは、これまで見てきたように聞き手との上下
によって「わたし」「ぼく」「おれ」のどれかを しているが、一
料④に
登場する「テッキ」の場合はそうでない。
分
関係
(39) ST:
選択
方対訳資
좀 잘 할 수 없습니까? 잘하면 나도 잔소리할 일 없고 서로 좋잖아요.
(포 119)
(ぶ 83)
仕事をしろ。そうすれば俺も小言を言わなくてすむ。9)
年下の相手に対して「おれ」を使用するのはおかしくないが、かなりの年輩者である「キム
じいさん(영감님)」に対しても「おれ」を用いている。
(40) ST: 제가 손볼게요. 주무세요, 영감님.
(포 211)
TT: 俺が見ますよ、もうお休みになってください。
(ぶ 138)
TT: 少しはまともに
述したように、敬体とともに「저」に対応する「おれ」を使用する例は他にも見る
ことができたが、「テッキ」の場合は、聞き手との上下関係ではなく、親疎関係で自称代
名詞を選択しているようである。
(41) ST: 안녕하십니까, 어머님. 전······.
(포 429)
TT: こんにちは、お母さん。僕は······。
(ぶ 323) ((22)の再引用)
4.3.3で上
恋
挨拶
屋根 暮
選択
(41) は 人の母親にはじめて
をする場面である。一つ の下で す「キムじいさ
ん」とは親しい間 であるため、敬体を使いながらも「おれ」を していることが かっ
た。しかし、 面である 人の母親には、「おれ」ではなくややフォーマルな「ぼく」に
り えていることから、聞き手との親
および場面のあらたまり が自称代名詞の
切替
柄
初対
対
恋
疎関係
全般
요
度
分
選
9) 年下の「ジヒョン」に して、STではストーリー
にかけて「해 体」を使用していが、TTでは「テッキ」の
ぶっきらぼうな性 を表すためか、 体を使い けている。
格
常
続
2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択に影響を与えているようである。
また、逆に目下に対してよりフォーマルな切り替えをしている場合もある。対訳資料③に登
場する「ユンヒの父親」は、4.3.4の(30)に見られるように自分の娘に対しては「わし」を用
いているが、同じく目下であっても二度目に偶然出会った女子学生に対しては「わたし」を
使用している。
랜만이오. 나 알아보겠소? 지난번에 땡감 먹인 걸 사과하오. 난 정
말 몰랐어요.
(오 상155)
TT: 久しぶりですね。私を覚えていますか?この前は渋柿を食べさせてすまなかった
ね。私は本当に知らなかったんですよ。
(懐 上170)
(42) ST: 오
4.3.5.3 聞き手の性別
料③に登場する「ヒョヌ」の場合は、親しい同
別によって「ぼく」と「おれ」を使い けている。
対訳資
等の関係であっても、聞き手の性
分
(43) ST: 김밥 싸가지구 등산 가자. 김밥은 내가 말 거야. (오 상211)
TT: のり巻きを作って山に行こう。僕が作るから。
(懐 上235)
(44) ST: 어떻게 된 거야. 나는 니가 담치기 해가지구 골목에서 달려간 줄 알
았다.
(오 상166)
TT: どうやって逃げたんだ。俺はお前が塀を乗り越えて路地を走っていったと思ってた。
(懐 上182)
((34)の再引用)
恋 対
対
分 物
度 違 慮
分
思
述
僚
対 発
対訳資
対
発
待遇度
(43)は 人に して、(44)は同 の男性に しての 話である。女性に しては「ぼく」
を、男性に しては「おれ」を用いている。
料の中で聞き手の性別によって自称代
名詞を使い ける人 は「ヒョヌ」だけであるが、おそらく「ぼく」と「おれ」のフォーマル
の いを考 し、その語を使用する場面での 話の質や聞き手への
に合わせて
使い けをしていると われる。「ぼく」と「おれ」の使い けについては、以下の4.3.5.
でもう少し詳しく べる。
疎関係 変化
分
6
4.3.5.4 親
の
に、聞き手が同一人 であっても、自称代名詞が使い けられている用 について
見ていく。
料③に登場する男性話 「ヒョヌ」「ヨンテ」「
」は、女性話
「ユンヒ」と り合って間もないころには、三人とも「わたし」を用いている。
次
者
対訳資
知
物
者
分
李教授
例
国
対
関して ··························· 郭 銀 心…21
韓 語の「저」「나」に 応する日本語の自称代名詞の使用に
〈ヒョヌ〉
선생 는 주 잡니다
社会 義者
(45) ST: 한
, 저 사회 의
.
TT: 韓さん、私は
主
です。
6
(4 ) ST:
TT:
(오 상84)
( 上90)
懐
또 있습니다. 이건 내가 지은 시고, 다음 게 더 좋아요. (오 상107)
まだあります。今のは私ので、次のはもっといいですよ。
(懐 上115)
〈ヨンテ〉
왔다갔다하시면서도 절 못 본 모양이지요? 저는 줄곧 저기 앉아 있
었습니다.
(오 하11)
TT: 歩きまわっていたのに、私が見えなかったようですね?私はずっとあそこに座って
ました。
(懐 下9)
((11)の再引用)
(47) ST:
〈李教授〉
테 빚졌죠? 두 런 적이 있어서 잘 압니다. (오 하222)
借
? 経験したので、よくわかります。 (懐 下247)
(45)-(48)では、「나」と「저」に対応する「わたし」を選択し、敬体を使用している。
いずれも「ユンヒ」との親疎関係がまだ遠かった頃の発話である。ところが、ストーリーが
展開するにつれて互いの関係が親しくなり、STとTTともに常体を使用する発話になると、
自称代名詞は「ぼく」または「おれ」に代替される。
(48) ST: 나한
나 그
TT: 私に りを作りましたね 私も
〈ヒョヌ〉
두 봤 읍내 중국집에 짜장면 먹으러 갔다가. (오 상252)
僕
町の中華料理屋にジャージャー麺を食べにいって。 (懐 上280)
(49) ST: 나
어.
TT: も見た。
〈ヨンテ〉
건 다 형 거라구 내 빌려 쓸 참이야.
(오 하52)
俺が借りて使うつもりなんだ。 (懐 上59)
(50) ST: 이
한
. 가
TT: これは、みんな韓さんのものなんだ。
〈李教授〉
서 올라 자요. 난 여기서 눈 좀 붙이고 있다가 날 밝으면 돌
갈게
(오 하249)
早
寝なさいよ。僕はここでちょっと休んで、夜が明けたら帰るから。
(懐 下277)
(51) ST: 어
가
아
.
TT: く上にあがって
2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李教授
(49)-(51)を見ると、「ヒョヌ」と「
」は「ぼく」を、「ヨンテ」は「おれ」を用いて
いる。敬体から 体へ、「わたし」から「ぼく」または「おれ」に代ったのは、聞き手との
親
が したことを する。
されてきたように「わたし」「ぼく」「お
れ」のフォーマル には差があるため、 面のような い から親しい に す
ることによって、自称代名詞が「わたし」から「ぼく」や「おれ」に り わるのは自 で
ある。しかし一 で、 人 に したことによって「ぼく」から「おれ」に り える場
合もある。
料③に登場する「
の先輩」は「ユンヒ」の の相手で、はじめ
は「ぼく」を用いているが、 際が まってからは「おれ」を使用している。
常
疎関係 変化
度
意味
従来意識
初対
疎 関係
方 恋 関係 発展
対訳資
美大
交 始
먼
関係 変化
切替
然
切替
初恋
보슈 난 요 근처에 들를 데가 있어서.
帰 僕はこの近所で寄るところがあるから。
(52) ST: 저 가
.
TT: 先に って。
(53) ST:
TT:
6
(오 상12 )
( 上137)
懐
고마웠어. 나한테 잘해줘서.
ありがとう。俺によくしてくれて。
(오 상137)
( 上149)
懐
度 低
疎関係 変化
等 目
「ぼく」と「おれ」はともに「わたし」に比べるとフォーマル が く、同 や 下の聞
き手に して使用できる自称代名詞である。しかし、親
の によって「ぼく」から
「おれ」への り えが ったということは、「ぼく」と「おれ」の間にはフォーマル の
いだけでなく、聞き手に する心理
が んでいるのかも れない。上 したように、
「ヒョヌ」の用 からは女性に しては「ぼく」を、男性に しては「おれ」を使用し、
つを使い けていることが かった。このことから、同 の であっても、多少は を
わきまえなければならない相手なのか、少しばかりなら な態 を表しても許してもらえるくら
いの相手なのか、聞き手に する話 の心理
や えが、「ぼく」と「おれ」の に
を ぼしているのではないかと考えられる。
対
切替 起
対
的距離 絡
例
対
分
分
対
影響 及
発
変化
物 対
対訳資
者
知
述
対
等 関係
粗野 度
的距離 甘
度 違
二
礼儀
選択
4.3.5.5 話場面の
同一人 に する自称代名詞の り えは、 話場面の
によっても ることがあ
る。
料③に登場する「 さん」は、 場の
であるが、新 りの「ヒョヌ」に
してはじめは「わたし」を使用している。
내
朴
切替
発
工 工員
変化
入
起
対
봬두 기능공인데 한달 살구 나면 맨날 적자야. (오 상179)
技能工なんだけど、月末にはいつも赤字ですよ。 (懐 上198)
(54) ST: 가 이래
TT: 私、こう見えても
ところが、「ヒョヌ」を囲む歓迎会の席で酔いが回ると、「わたし」から「おれ」に切り
替えを行っている。
国
対
関して ··························· 郭 銀 心…23
韓 語の「저」「나」に 応する日本語の自称代名詞の使用に
무 두 임 장 군 같이 일 못하겠어. 이거 봐, 오형은 우리를
잘 몰라 략 구 거의 같은 시기에 입사했었어. (중략) 나 아
무 두 안되겠 직장 옮길 거야.
(오 상182)
俺
社長 緒に仕事続けられねえ。おい、呉さんはまだ俺たち
のことよく知らねえんだよ。(中略)俺と同じ頃に入ったんだ。(中略) 俺はと
にかく続けられねえ。職場を変わってやらあ。
(懐 上201)
(55) ST: 나 아 래
사 하
. (중 ) 나하
래
어.
TT: はとにかく、林
と一
待遇度
(54)と(55)のSTでは、「나」とともに「해体」が使われているため、
では同じレベ
ルになっているが、TTでは場面の に い敬体から 体へ、「わたし」から「おれ」
に り えている。TTでのこのような り えは、 を む というインフォーマルな場面に
り、 って が きくなった話 の 子をよく表していると言えよう。しかし、 いが めて
面に った場面では、 び「わたし」を用いている。
切替
移 酔 気 大
素 戻
再
6
(5 ) ST:
TT:
変化 伴
切替
者 様
常
酒飲 席
酔 覚
거기 편히 앉으슈. 자아, 우린 이렇게 산다우.
(오 상184)
楽にしてください。さあ、私たち、こんなふうに暮してるんですよ。 (懐 上204)
このように、STでは変化が見られないにもかかわらず、TTでは発話場面の変化に応じ
て自称代名詞や敬体と常体が切り替わることもあり、これはテキストに対する翻訳家の理解と
も深く関わりがあると言えるだろう。
6
分
者
4.3.5. 「ぼく」と「おれ」の使い け
ここまでの 析を じて、男性話 にはインフォーマルな場面で「ぼく」を使用する人
と、「おれ」を使用する人 がいること、そして、聞き手の性別によって、または聞き手が
同一人 であっても場面の
によって「ぼく」と「おれ」を使い ける人 がいることが
かった。では、「ぼく」と「おれ」の使い けはどのようにして行われているのだろうか。
以下では、
されてきた聞き手との上下 やフォーマル の いではなく、「ぼ
く」と「おれ」によって表現されるキャラクターの性質をもとに じたいと う。
金 (2003)によると、「わたし」「わたくし」は性別を わず、書きことばにも
な話し
ことばにも用いられる中 な代名詞であるのに し、「ぼく」「おれ」はもっぱら私 な
話しことばに用いられ、話し手のキャラクターをはっきりと反映しているという。「ぼく」の話
と「おれ」の話 のキャラクターの いは、 の小 などにすでに現れており、 えば
い少年は主に「ぼく」を使用し、
は「おれ」を使用していた。上
に
れた理 主 なヒーロは、
に「ぼく」使用 が多かったのである。ところが、
19 0年-1970年代になると、むき出しの
や 性 を ったキャラクターがヒーロとなり
「おれ」を使用するようになった。ヒーローが「おれ」を用いるようになることと 行して、
分 通
物
分
物
変化
分
従来意識
水
慮深
6
立的
者
想 義的
物
分
関係
対
違
問
度 違
論 思
戦前 説
乱暴者
圧倒的
者
闘志 野 味 持
物
公的
的
者
例 思
昇志向 溢
並
2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ぼく」のイメージは、
家庭や学校に擁護された柔弱なキャラクターに結び付けられるように
なったのである10)。
そして、中村(2007)は、「ぼく」と「おれ」という二つの自称代名詞によって、男性像
の中に「おとなしい好青年」と「闘志むき出しの熱血漢」という区別がつくり出されたことを
踏まえ、「おれ」が密着した男の親しさを表象していると述べている。しかし、1980年代に
入ると、上下関係にもとづいた密着した親しさはかっこ悪く重すぎるイメージとなってしまった。
なぜならば、日本人の生活が上下関係よりも親疎関係に重点を移行させるに従い、言語
資源11)の役割も話し手、聞き手、話している対象の距離を表現する働きがより重視されるよ
うに変化したからである。密着した関係に替わって、適度な距離感を保った仲間意識が強
調されるようになり、「おれ」から「ぼく」に再び移っていった。これは翻訳にも反映されて
いると、中村(2007)は述べている。
金水(2003)と中村(2007)によって二つに区別された男性像を、対訳資料に登場する男
性話 者 たちに 適 用 してみよう 。 同 等 や 目 下 に 対 しては 一 貫 して 「 おれ 」 を 使用 する ③ の
「ヨンテ」は成金の坊っちゃんでありながらも民主化運動への闘志をむき出しにするキャラク
ターを表し、④の「テッキ」は、田舎者で気質が荒く武骨な態度をとる青年として表現され
ている。一方で、「ぼく」を使用する③の「李教授」と④の「先輩(プロデューサー)」
は、ホワイトカラーの職種に従事し、穏和で知的な男性として描写されている。
そして、聞き手の性別によって「ぼく」と「おれ」を使い分ける③の「ヒョヌ」は、男性
に対しては「おれ」を用いて密着した仲間意識を表し、女性に対しては「ぼく」を用いるこ
とで、親しい間柄であっても適度な距離を保ちながら、礼儀をわきまえた態度を示していると
解釈することができるであろう。
5. 終わりに
国 説
対
翻訳
分
対訳
国
本稿では、韓 語小 を日本語に
したテキストを 析し、韓 語の自称代名詞
「저」と「나」に 応する日本語の自称代名詞が、
テキストの中でどのように使用さ
れているのかについて考察を行った。
韓 語の自称代名詞は話 と聞き手の上下
を中心にその使用が 別され、日本
語の自称代名詞は話 の性別と聞き手に する
によって使用が される。そのた
国
者
者
関係
対 待遇度
区
制限
金水(2003)は、「おれ」を用いるヒーローとして漫画『巨人の星』の星飛雄馬と『あしたのジョ─』の矢吹丈
を、「ぼく」を用いるキャラクターには『ドラえもん』ののび太を代表に取りあげている。
11) 言語資源とは、アイデンティティを表現する材料とみなされた言葉のことである。つまり、女ことばや男ことば、標準
語や方言など、特定のアイデンティティと結びついていることが広く社会で認められている言葉遣いを指す(中村,
10)
:6
2013 . 9-70)。
国
対
関して ··························· 郭 銀 心…25
韓 語の「저」「나」に 応する日本語の自称代名詞の使用に
め本稿では、女性話者と男性話者に分けて分析し、そこから得た結果を、次のようにまと
めることができる。
1)女性話者の場合、「わたし」が「저」と「나」に対応し、「あたし」は「저」に比
べてより丁寧度の低い「나」に対応する。これは、女性話者が使用する「わたし」が
フォーマルとインフォーマルの両方の場面で広く一般的に用いられるということを示している。
2)男性話者の場合、女性話者と同じく「저」と「나」に対応するのは「わたし」である
が、男性話者の「わたし」は、よりインフォーマルな場面で使われるということから、小林
(1997)の指摘どおり「わたし」に対する待遇段階の把握については男女に差があることが
分かった。また、「ぼく」は「わたし」に比べてインフォーマルな場面で用いられる男性専
用の自称代名詞であるが、実際の使用においては「저」との対応が可能であり、従来
認識されてきたよりも広い範囲で使われていること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そして、「おれ」
は「わたし」と「ぼく」に比べてよりインフォーマルな場面で用いられると認識されている
が、「저」にも対応し、敬体と共起することもある。このような結果は、「ぼく」と「お
れ」が示す待遇度が絶対的なものではなく、時代によって変化しているという鄭惠先(2003)
の主張を裏付けるものである。
3)男性話者は聞き手との上下関係、親疎関係、聞き手の性別、親疎関係と場面の変
化によって、「ぼく」と「おれ」を使い分けている。さらに、「ぼく」と「おれ」は、聞き
手に対する待遇の違いだけでなく、どれを選択するかによって話者の性格や聞き手との心的
距離を表すこともできる。
4)待遇度による「わたし」「ぼく」「おれ」の使い分けは、時代とともに緩くなってきてい
るため、「저」に対応する自称代名詞は「わたし」に限らず、「ぼく」と「おれ」を使用
する用例もある。また、「나」に対応する自称代名詞も聞き手との関係、発話場面、話
者のキャラクターによって多様に使い分けられることが、考察の結果明らかになった。
韓日 両 言語 においては 、 常 に 聞 き 手 によって 話 し 手 の 立 場 が 変 わってくる 。 絶対的 な
「自分」というものは、少なくとも対話の中では姿を現さず、相手との関係、すなわち身分
の上下、年齢差、親疎の別によって自分の立場を規定し、それによって自称代名詞を使
い分けなければならない(浅野、1991)。対称代名詞の使い分けも同様であり、さらに制限
が多くなるため、特に日本語教育では疎かにできない重要な指導項目である。今後の課
題として、対称代名詞の使い分けに関する韓日比較研究を行うことで、日本語教育への
示唆を提供していきたい。
2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参考文献】
일 양국 인칭 명 용법
일본
6 국일본
남기심 고 근
표준 국 법론 탑출판 pp
稱
說 例 으로 기
육
논
浅野百
教師
教育
5 彙 国 交流基
国
pp
情
国
選択 適切
科学
国立国 研 所
pp
丸芙美
界 明治 院 pp
水敏
役割 謎
pp
美恵
対
化 ?
職編
房 pp
孝夫
化
pp 6
鄭惠
国
関 対研
化学研 録 大阪府立大
学大学院 化学研 科 pp
社会 学的研 大阪府立大学大学院 博士論
村桃
〈〉
放送 協会 pp
翻訳
続 白澤社 pp 6
記述 法研 会 編
法
pp
野元菊雄
講 社 pp
6
李徳霞
若
終助
社
会環境研
沢大学 pp
두산동 서편집국 6 프라임 일 전 제 판 두산동
松村 明 編 6) 大辞
省堂
가혜경(1998)「한·
어 1,2
대 사의
비교」『 어문학』 한
어문학
회 .111-133
· 영 (1993)『
어문 』
사 .77-78
許貞淑(2007)「韓·日 人 代名詞의 ジェンダ- 考察 -小 의 用 를 中心 - 」경 대학교 교
대학원 석사 문
合子(1991)『
用日本語
ハンドブック 語 』 際
金日本語 際センター
.57-58
林炫 他(2002)「日本語と韓 語における呼称 の 性」『日本語 』11 語 究
.31-54
金
(1997)「人称代名詞·呼称」『女性語の世 』
書
.15-32
金 (2003)『ヴァーチャル日本語 語の 』 岩波書店 .2-28, 122-128, 205-207
小林 子(1997)「自称· 称は中性 するか 」『女性のことば· 場 』 ひつじ書
.113-137
鈴木 (1973)『ことばと文 』 岩波新書 .129-20
先(2001)「日本語と韓 語の人称詞に する 照 究」『人間文
究集 』10
人間文
究
.33-45
(2003)「日本語人称詞の 言語
究」
文
中 子(2007)『 性 と日本語-ことばがつくる女と男-』 日本 出版
,59-82
(2013)『 がつくる日本語-ヒロインは「女ことば」を話し ける-』
. 9-70
日本語 文 究 ( )(2009)「第12部 談話」『現代日本語文 』7 くろしお出版 .37-41
(1987)『敬語を使いこなす』 談
.105-10
(2003)「 い世代の話し言葉における日本語の性差について- 詞と人称代名詞を中心に-」『
究』8 金
.137-145
아사
(200 )『
한 사 』 2
아
( )(200 『
林』第三版 三
pp
国
対
関して ··························· 郭 銀 心…27
韓 語の「저」「나」に 応する日本語の自称代名詞の使用に
要旨
h s thesis analyzes texts of Japanese translation from a Korean novel in order to
study how Japanese first-person pronouns are used in Korean-Japanese translation
First, when the speaker is female, "watashi" corresponds to "jeo" and "na" and
"atashi" corresponds to "na" which is relatively less polite than "jeo". This shows that
"watashi" which is used by female speakers is used both in formal and informal
circumstances in general.
Second, when the speaker is male, "watashi" corresponds to "jeo" and "na" as is used
by female speakers but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in the identification of level of
treatment in a sense that "watashi" is used in more formal circumstances when
spoken by male speakers. "boku" is a first-person pronoun that is used only by men in
more informal circumstances than "watashi" but in reality, it can correspond to "jeo"
and is used more widely than its traditional perception. "Ore" has been perceived to be
used in much more informal circumstances when compared with "watashi" and "boku"
but the analysis shows that it can correspond to "jeo" and is used even in polite
expressions in Japanese in some cases. Also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ale
speaker distinguishes "boku" and "ore", depending on the top-bottom relationship and
close/distant relationship with the listener, the gender of the listener, the change of
close/distant relationship, and the change of speaking scenes.
Lastly, the result of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distinction among "watashi",
"boku", and "ore" is becoming blurred in line with changing times and therefore, a
Japanese first-person pronoun that corresponds to "jeo“ is not limited to "watshi" and a
Japanese first-person pronoun that corresponds to "na” is used in diverse ways
according to speaker's relationship with the listener, speaking scenes, and speaker's
characters. Ti
キーワード:Korean-Japanese translation, first-person pronoun, gender of the
speaker, proper use of "watashi" "boku" "ore",
with the listener, speaking scene, speaker's character
투 고 일:
심 사 일:
게재확정일 :
t sh p
rela ion i
2015. 5. 31
2015. . 13
2015. 7. 4
6
一九의 東海道中膝栗毛에 보이는 가능동사에
관한 일고찰
- 三馬의 滑稽本과 비교를 중심으로 -
*
鎔 均
(e-mail: [email protected])
9)金
目 次
1.
2.
3.
4.
5.
서론
연구 자료 및 연구 방법
가능동사의 출현 현황 및 분석 결과
가능동사의 발달 과정 속에서 보이는 전체적인 경향
결론
1. 서론
化
返
본 연구에서는 근세후기의 日本語자료인 享和~文 期(1801~1817)의 十
一九(1765~1831, 이하 一九)1)의 滑稽本 東
中膝栗毛(1802~1809)2)를
대상으로 가능표현, 그 중에서도 문법사상의 변화 사실로서 주목받는 가능동사
에 착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당시에 있어서 가능동사의 발달 양
상과 전체적인 흐름 파악이 가능하며 또한 객관적이고도 보편적인 연구의 기
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가능동사란 시대의 변화와 함께
舍
*
海道
중앙대학교 인문대학 아시아문화학부 일본어문학전공 교수, 일본어학
返舍
黃
卷
∼
1) 十
一九(1765~1831)는 근세후기의 表紙 合 滑稽本의 작자로서 당시의 대표적인 滑
稽本  世風呂(1809 1813)와  世床(1813 1814)의 작자인 式亭三馬(1776~1822, 이하
三馬)와 비견되는 인물로 알려져 있다.
2) 東
中膝栗毛는 一九의 명성을 드높인 滑稽本으로서 日本式 滑稽本의 유행의 토대가 된
것으로 근세후기 日本語자료로 이용되는데, 특히 初 ~五 은 江 語자료로서 六 ~
은
上方語자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浮
海道
∼
浮
編 編
戶
編 八編
3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室町期(1333~1603)에 새롭게 생성된 것으로 동사의 활용방식(강변화 약변화
혼합변화)에서 보면 강변화에서 약변화로 바뀌어 형태상으로는 물론 의미상으
로도 변화가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4단(5단)활용동사인 行く 負
う 聞く
う 探す 立つ 走る 話す
む 등이 -ことができる 의 의미
인 하1단활용동사인 行ける 負える 聞ける
える
探せる 立てる 走れ
る 話せる
める 등으로 활용방식이 바뀐 것을 가리킨다.
일본어 변천사적 관점에서 살펴보면 가능동사는 최초로 室町期에 그 용례가
등장하기 시작한다3). 그리고 그 후 근세전기의 점진적인 증가와 후기의 발달 과
정을 거치면서4) 점차로 세력이 확대되다 오늘날과 같은 모습 즉 가능표현 중에
서 가장 다용되는 형태로 자리를 잡게 된 것이다. 다시 말하면 근세전기까지 세
력이 강한 가능표현 -れる 형을 대신하여 새롭게 등장한 가능동사가 세력을 확
대하여 대세를 이루게 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그렇다면 가능동사의 발달 원인
은 어디에 기인하는 것일까. 이는 지금까지 크게 두 가지로 추정된다. 하나는
靏岡昭夫의 지적과 같이 기존의 -れる 형은 가능표현 이외에도 수동 존경 자발
표현으로도 사용되어 해석상 혼동이 일어나기 쉬 다는 점이 가능동사의 발달
경이 되었다5)는 이고, 다 하나는 자의 지적과 같이 어의 편의성 를
면 가능동사
める 의
수가 3
로, 4
인 가능표현
まれる 보다
수가 적어 발 하기 쉬 데 그 원인이 있다6)는 이다. 전자와 후자의
을 합하면 가능동사의 발달 경에는 어의 변화 시 나 나는 일반적인 현
상인 이 바 단 화와 합리화가 그 변에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가능동사에 대하여 근세후기의 滑稽本을 대상으로 한 행 연구로는
7) 및
一九의 滑稽本 東
中膝栗毛를 대상으로 한
々
의
10)
11)
연구8)와, 三馬의 滑稽本을 대상으로 한 靏岡昭夫9)
12)등의 연구, 그리고 근
차이의 관점에서 전체적인 경향을 체 적
13)
으로 연구한 고 가 있다. 다 , 후자의 체 적인 연구와는 달리 전자 즉 東
食
読
食
読
배
들
음절
종
종래
설
読
음
른
博史
湯沢幸吉郎
靑木博史
순
른
음절
운
배
웠
필
음절
저
음절
언
海道
졸
래 遲速
만
계
언
설
読
예
타
설
선
湯沢幸吉郎 佐 木綾
松村明 小松壽雄 靑木
계
『 時代言 研究 間書房 p
可能動詞 成
硏究 pp
戶 京
可能 現 變遷
言 藝 p
타
찰 『比較 學 漢陽大
學校 學國際比較硏究所 p
湯沢幸吉郎 『增訂 戶言葉 研究 明治書院 pp
佐 木綾
可能動詞
考察 鶴久敎授退官紀念國 學論集 櫻楓社 p
前揭書 pp
松村明 『國 史槪說 秀英出版 pp
小松壽雄
近代 法Ⅱ 戶篇 『講座国 史 法史 大修館書店 pp
靑木博史 前揭書 pp
前揭書 pp
3)
(1981) 室町
語の
、風
、 .227
4)
(1996)
の 立について 語文
 81、 .45-56
5) 靏岡昭夫(1967) 江 語 東 語における
表 の
について  語と文  54、 .58
6) 金鎔均(2013) 三馬의 滑稽本에 나 나는 가능동사에 관한 고
日本  29,
日本
, .270
7)
(1990)
江
の
、
、 .243-244
8) 々
(1993)
についての

語
、
、 .444
9) 靏岡昭夫,
(5), .54-63
10)
(1972)
語
、
、 .209-210
11)
(1982)
の文
(江
)
語 4文
、
、 .600-603
12)
,
(4), .52-53
13) 金鎔均,
(6), .261-281
海道中膝栗毛에 보이는 가능동사에 관한 일고찰 ······························ 金 鎔 均…31
一九의 東
海道中膝栗毛를 대상으로 한 湯沢幸吉郎와 佐々木綾의 연구는 몇몇 용례의 출
현 정도의 언급에 그치고 있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연구와는 아직 거리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시 말해 가능동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필
요한 분석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아직까지 연구가 미진한 東海
道中膝栗毛를 대상으로, 遲速 차이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각도(문체, 활용형, 음
절수, 단순동사와 복합동사, 긍정표현과 부정표현)에서 접근하여 특히 동종 자료
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로, 비슷한 시기 즉 文化期(1804~1817)의 자료인 三馬
의 滑稽本 5종(戯場粋言幕の外(1806) 酩酊気質(1806) 浮世風呂 浮世床
大千世界楽屋探(1817))에 나타나는 가능동사의 발달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전체적인 경향14)과 타종 자료인 上方洒落本15) 및 江戶洒落本에 나타나는 가능동
사의 발달 과정 속에서 보이는 전체적인 경향16)과 비교하면서 고찰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고찰은 지금까지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東海道中膝
栗毛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과 이를 통하여 당시의 가능동사 발달 양상을 엿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동종 자료인 三馬의 滑稽本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의 결과와 일치 여부는 물론, 타종 자료인 上方洒落本 및 江戶洒落本의 결
과와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 결과가 일본어 변천사
적 사실로 인정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일치하면 일치
하는 대로 상이하면 상이한 대로 그 결과는 향후 객관적이고도 보편적인 가능
동사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前揭書 pp
타
②
회
빠르 ③
종 ·
순
④ 음절
소음절
음절
빠르 ⑤
순
복
빠르 ⑥ 부
긍
빠르
洒落
찰 『比較 學
漢陽大學校 學國際比較硏究所 pp
洒落
타
① 洒落
병
②
회
빠르 ③
종 ·
순
④ 음절
소음절
음절
빠르 ⑤ 순
복
빠르 ⑥ 부
긍
빠르
b
戶洒落
타
『 化學
報 韓國 化學會 pp
戶洒落
타
① 戶洒落
洒落
②
회
빠르 ③
종 ·
순
④ 음절
소음절
음절
빠르 ⑤ 순
복
빠르 ⑥ 부
긍
빠르
14) 金鎔均,
(6), .268-278에 의하면 三馬의 滑稽本에 나 나는 전체적인 경향으로서는,
가능동사는 상당히 진전된 발달 양상을 보인다.
문체적인 면에서 보면 화문의 변화
속도는 지문보다
다.
활용형에서 보면 미연형, 지 연체형, 연용형, 이연형의 으로
진행되고 있다.
수에서 보면
동사의 변화 속도는 다
동사보다
다.
단 동사의 변화 속도는 합동사보다
다.
정표현의 변화 속도는 정표현보다
다는 점 등이 지적된다.
15) 金鎔均(2014a)의 上方
本에 보이는 가능동사의 발달 과정에 관한 고 (
日本 
31,
日本
, .177-188)에 의하면 上方
本에 나 나는 전체적인
경향으로서는,
上方
本에 있어서 가능동사는 滑稽本의 진전된 발달 양상과는 달리 용
기의 양상을 보인다.
문체적인 면에서 보면 화문의 변화 속도는 지문보다
다.
활
용형에서 보면 미연형, 지 연체형, 연용형, 이연형의 으로 진행되고 있다.
수에서
보면
동사의 변화 속도는 다
동사보다
다.
단 동사의 변화 속도는 합동
사보다
다.
정표현의 변화 속도는 정표현보다
다는 점 등이 지적된다.
16) 金鎔均(2014 )의 江
本에 나 나는 가능동사의 발달 과정에 관한 연구 ( 日本文
 63,
日本文
, .58-66)에 의하면 江
本에 나 나는 전체적인 경향으로서는,
江
本에 있어서 가능동사는 上方
本보다 진일보한 발달 양상을 보인다.
문체적
인 면에서 보면 화문의 변화 속도는 지문보다
다.
활용형에서 보면 미연형, 지 연
체형, 연용형, 이연형의 으로 진행되고 있다.
수에서 보면
동사의 변화 속도
는다
동사보다
다.
단 동사의 변화 속도는 합동사보다
다.
정표현의
변화 속도는 정표현보다
다는 점 등이 지적된다.
①
3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2. 연구 자료 및 연구 방법
化
연구 자료로는 근세후기의 日本語자료인 享和~文 期의 滑稽本인 一九의
東
中膝栗毛(初 ~
)를 대상으로
다. 또한 연구
로는 
日本
文
62를 사용하여 사를 진행하 다.
그리고 연구
는 東
中膝栗毛에 보이는 가능표현을 대상으로 하되
객관적으로 고 하기
하여 동사 중에서는 4단활용동사에
한하 다17).
이에 다 과 같이 연구
를 정하여 사를 진행하기로 한다.
海道
編 八編
波 古典 学大系
범위
海道
찰 위
음
범위
(1)
(2)
(3)
(4)
삼았
조
위
였
岩
만제 였
조
가능동사( 行ける 負える 聞ける
4단활용동사
-れる 형
4단활용동사
-ことができる 형
4단활용동사
- る 형
+
+
+ 得
텍스트
食える
준
探せる
海道
立てる
走れる 등)
編 八編
그리고 와 같은 4가지 기 에 근거하여 東
中膝栗毛의 初 ~
에
출현하는 가능표현을 전 추출하기로 한다. 또한 이를 바 으로 가능동사의
발달 양상을 살펴보기 하여 가능표현 중에서 가능동사가 차지하는 비 이
어 정도인지 그 사용 을 분석하 다.
차이의 관점에서 전체적
인 경향을 분석적으로 토하기 하여 문체와 활용형,
수, 단 동사와
합동사, 정표현과 정표현으로 나 어 고 을 시도하 다. 그리고 이와 같
은 결과에 근거하여 행 연구로, 전 한 동 자료인 三馬의 滑稽本에 보이는
전체적인 경향과 비교하는 한편,
자료인 上方
本 및 江
本에 보
이는 전체적인 경향과도 비교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느
긍
부
선
부
위
률
검
위
였 아울러 遲速
누
술
타종
찰
종
洒落
탕
율
음절
였
순
복
戶洒落
3. 가능동사의 출현 현황 및 분석 결과
먼저
海道
위 필요 [ 編] [八編] 타
得
회
종 ·
음절 음절 음절 음절
복
류 < > 타내
여기에서는
一九의 東
中膝栗毛에 있어서 가능동사의 발달 양상
을 알 보기 하여
한, 初 ~
에 나 나는 가능표현(가능동사, れる 형, -ことができる 형, - る 형)의 구체적인 현황을 문체(지문과 화문)와
활용형(미연형, 연용형,
지 연체형, 이연형),
수(3
, 4
, 5
)와
단 동사 및 합동사로 분 하여 표1 로 나
보기로 한다.
아
순
만제
위
조
17) 본 연구에서 대상을 4단활용동사에
한한 이유는 가능동사가 기본적으로 4단활용동사에서 파
생되어 객관적인 고 을 해서는 4단활용동사
에 한할
가 있다는 점을
해서이다.
이에 연구 결과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하여 4단활용동사 외의 가능표현인 동사
-られる 형, 동사
-ことができる 형, 동사
- る 형은 상 대상에서 외한 것이다.
+
찰 위
+ 得
내부 국
제
필요
+
감안
海道中膝栗毛에 보이는 가능동사에 관한 일고찰 ······························ 金 鎔 均…33
一九의 東
<표1> 가능표현의 출현 현황
가능표현
자료
享
和
3
미연형
연용형
지 연체형
이연형
미연형
연용형
지 연체형
이연형
미연형
연용형
지 연체형
이연형
미연형
연용형
지 연체형
이연형
미연형
연용형
지 연체형
이연형
미연형
연용형
지 연체형
이연형
미연형
연용형
지 연체형
이연형
미연형
연용형
지 연체형
이연형
1
(1)
1(1)
[1]初編(1802) 종 ·
[2]二編(1803) 종 ·
1
[4]四編(1805) 종 ·
1
1
[5]五編(1806) 종 ·
4
3
(1)
3
1
5(3)
<>
6(1) 1
15(1)
<>
4(1) 1
6
1
1
1
회
2(2)
안 숫자는 단순동사의
자는 단 동사의 화문, ( ) 의
동사의 화문의 용례수를 의미한다.
회
「-ことができる」형 「-得る」형
3
[8]八編(1809) 종 ·
순
음절 「-れる」형
5
5(1)
3
1
2
[7]七編(1808) 종 ·
숫
음절
6
化 [6]六編(1087) 종 ·
*
4
3
2
[3]三編(1804) 종 ·
文
가능동사
음절
지문,
< > 안의 숫자는 복합
< >
< > 타내
율
그리고 표1 을 토대로 가능표현 중에서 가능동사가 차지하는 비 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2 로 나
보기로 한다.
<표2> 가능동사의 사용률(%)
가능표현
자료
東海道中膝栗毛(初編~八編)
(1802~1809)
이와
가능동사
39
(41.5)
「-れる」형 「-ことができる」형 「-得る」형
55
(58.5)
0
(0.0)
0
(0.0)
더불어 東海道中膝栗毛에 출현하는 가능동사의 구체적인 용례를 연
3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어수의
순으로 <표3>으로 나타내 보기로 한다.
<표3> 가능동사의 구체적인 용례(별개어수)
呑める(11) 食える(9) 読める(7) 負える(3) 解せる(3) 持てる(2) 書ける(1) 切れる(1)
話せる(1) 踏める(1)
* ( )
안의 숫자는 연어수를 의미한다.
우선 주목되는 것은 <표1>을 보면 알 수 있듯이 東海道中膝栗毛에 있어서
가능동사는 그 발달 과정 속에서 문체와 활용형, 음절수, 단순동사와 복합동사
간에 있어서 遲速 차이가 보인다는 점이다. 그리고 <표2>를 통하여 그 발달
과정은 가능표현 -れる 형, 가능동사, -ことができる 형· -得る 형의 순으로 진행
되었다는 사실도 확인이 가능하다. 아울러 <표3>을 통하여 별개어수와 연어수
의 확인이 가능함과 동시에 3음절 가능동사, 다시 말해 소음절 동사에 있어서
진일보한 양상을 보인다는 사실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4. 가능동사의 발달 과정 속에서 보이는 전체적인 경향
술
타낸 < >
예 < >
률
타낸 < >
海道
전 한 가능표현의 출현 현황을 나
표1 과 가능동사 사용 을 나
표2 ,
그리고 가능동사의 구체적인 용례를 시한 표3 과 함께 一九의 東 中膝栗毛의
심 적인 분석 결과, 東 中膝栗毛에 있어서 가능동사의 발달 과정 속에서 보이는
전체적인 경향으로서는 대체로 다 과 같은 점이 인정된다.
층
①
海道
海道
타난
음
률
一九의 東
中膝栗毛에 있어서 가능동사의 사용 은 三馬의 滑稽本보
다 게 나
다.
문체적인 면에서 보면 화문의 변화 속도는 지문보다
다.
활용형에서 보면 미연형, 지 연체형 연용형, 이연형의 으로 진행되고 있다.
수에서 보면
동사의 변화 속도는 다
동사보다
다.
단 동사의 변화 속도는 합동사보다
다.
정표현의 변화 속도는 정표현보다
다.
낮
②
③
④ 음절
⑤ 순
⑥부
회
종 ·
소음절
복
긍
=
빠르
빠르
끄
음절
빠르
순
①
빠르
특히 이와 같은 경향 중에서 가장 주목을 는 것은 경향 이다. 一九의 滑
稽本 東
中膝栗毛에 있어서 가능동사의 사용 이 동 자료인 三馬의 滑
稽本보다 게 나 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동 자료일지 도 동일한 문법
海道
낮
타
률
종
종
라
海道中膝栗毛에 보이는 가능동사에 관한 일고찰 ······························ 金 鎔 均…35
一九의 東
따라 르
< >
럼 양 자료를 비교하
변화 현상이 작자에
다 게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
기 하여 분석한 결과를 표4 로 나
보기로 한다.
위
타내
<표4> 一九의 滑稽本『東海道中膝栗毛』와 三馬의 滑稽本의 가능동사 사용률(%)
자료
가능표현
「-れる」형 「-ことができる」형 「-得る」형
가능동사
海道 栗
滑
種
東
中膝 毛
(1802~1809)
三馬의 稽本 5 18)
(1806~1817)
39
(41.5)
96
(62.0)
55
(58.5)
57
(36.8)
0
(0.0)
1
(0.6)
0
(0.0)
1
(0.6)
<표4>를 보면 확인할 수 있듯이 가능표현 중에서 가능동사의 사용률은 41.5%로 나
타난다. 즉 용례 자체가 보이지 않는 -ことができる 형(0.0%)과 -得る 형(0.0%)보다는 압도
적인 우위를 보이지만, -れる 형(58.5%)보다는 낮게 나타나 이른바 병용기 양상을 보이
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향①은 다음과 같은 예문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弥二)めしもくへぬ。ナントきた八かうだ。(二編、100-4)
弥二)ホンニこいつ、たゞはおかれぬ。(上同、111-14)
主)ヱヽそふもつちやアすられないハ。おへないひやうたくれめだ(上同、130-7)
弥二)ナニまだくへやす(五編、251-2)
弥二)あめへもやらかして見なせへ。こんなちいさなものは、いくらでもくはれる
(上同、251-10)
(1) (
(
(2) (てい
(3) (
(
음절 조건
즉 (1)과 (2)는 동일한 인물에 의하여 동일한
하에서, (3)은 동일
한 인물에 의하여 동일한
하에서 동일한 단어가 사용된 것으로 가
능동사와 가능표현 -れる 형이 동시에 사용된 문이다.
그 데 여기에서 결
과할 수 는 사실은 一九의 滑稽本 東
中膝栗
毛에 있어서 가능동사의 발달 양상이
자료인 上方
本19)과 江
本20)은 차치하
도 동 자료이자 비 한 시기의 자료인 三馬의 滑稽本의
양상과는 다 다는 점이다. 三馬의 滑稽本에 있어서 가능동사의 사용 은
음절 조건
런
코간
더라
르
종
前揭書 p
前揭書
p
b 前揭書
p
없
예
타종
슷
洒落
타난
타난
%
海道
%
海道
%
戶洒落
률
18) 金鎔均,
(6), .267
19) 金鎔均(2014a),
(15), .179에 의하면 東 中膝栗毛와 비 한 시기인 文
있어서 가능표현은 -れる 형(70.6 ), 가능동사(29.4 ), -ことができる 형(0.0 ) - る
나 다.
20) 金鎔均(2014 ),
(16), .57에 의하면 東 中膝栗毛와 비 한 시기인 文
있어서 가능표현은 가능동사(54.3 ), -れる 형(45.7 ), -ことができる 형(0.0 ) - る
나 다.
%
海道
슷
化期의 上方洒落本에
형(0.0%)의 순으로
슷
化期의 江戶洒落本에
% · 得 형(0.0%)의 순으로
%· 得
3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
타
海道
%
62.0 로 나 나 東
中膝栗毛(41.5 )보다 진전된 양상을 보이기 때문이
다. 이는 향후 체 적인 가능동사의 변천사 고 시 중 한 사실로 여 진다.
동 자료이면서 비 한 시기의 자료 할지 도 작자에
동일한 문법변
화 현상의 반 에 있어서 그 차이가 인정될 수 있기21)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와 같이 양 자료 에 있어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일까. 이는 다름
작자의 어사용 의식에서 그 원인을 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三馬의 경 에는 당시 구두어를 적 적으로 수용하여 반 한 결
과 가능동사의 사용 이 높은 데 비하여, 一九는 당시 구두어를 어 정도 수
용하여 반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적 자세 즉 가능동사의 사용에 대하여
일 의 리는 의식이 그의 어사용에 있어서
적으로 작용하여 가능동사
의 사용 이 상대적으로 게 나
것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一
九는 三馬와는 달리 당시 구두어에서 사용된 가능동사보다 근세전기 및 중기
까지 활발하게 사용된 가능표현 -れる 형을 여전히
하여 그 결과가 東
中膝栗毛에 반 되어 나
것으로 보인다.
어 고 시 一九의 滑
稽本 東
中膝栗毛보다 三馬의 滑稽本, 특히  世風呂  世床22) 등이
당시 어 연구자료로서 적 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데에는 와 같은 경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東
中膝栗毛에는 三馬의 滑稽本에 출현하는 다 의 용례(
1
)23) 즉,
종
계
영
엇
종 꺼
률
道
언
영
슷
라
간
아니라
우
률
언
낮
海道
찰
라
영
요
따라
遲速
언
느
영
잠재
타난
선호
종래 언
浮
타난
극
海
찰
浮
위
海道
例
무
찾
극
소극
겨
배
음
각
其代には江戸へ金を持て帰ることは出来ません。(浮世風呂、236-6)
(5) 出しゑへもしねへくせに出て往といふ。(上同、98-1)
(4)
その かはり
だ
かね
もつ
けへ
で
得
で
き
いけ
않
등의 -ことができる 형과 - る 형과 같은 가능표현은 확인되지 는다. 이는
당시까지 -ことができる 형과 - る 형이
발달되지
다는 사실을 東
中膝栗毛를 통하여 확인시 주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일본어 변천사 고 시 대 분의 문법변화 현상에서
수 있는 경향
海道
得
켜
찰 부
아직
제
紀海音
考察 ·下二段活用動詞 助動詞 段化
『
淨瑠璃 우 淨瑠璃
紀海音
르 타 近松門左衛門 淨瑠璃
타난
林巨樹 池 秋彦編
國 史辭典 京堂出版 p
절호
浮
浮
前揭書 pp
않았
볼
淨瑠璃
活用形 變化
學 大韓
學會 p
찰
종
슷
近松門左衛門
따라
율 紀海音 淨瑠璃
小松壽雄執筆
戶
라
②
21) 실 로 이와 유사한 사례는 金鎔均(2006)의
의 世話
에 있어서
式의
에 관한 一
-上
및
의 一 를 중심으로 - ( 日語日文  29,
日語日文 , .29)에서도
지적된 바 있다. 즉 동일한 문법변화 현상인 2단활용의 1단화 고 결과, 동 자료이자 비 한 시기의 자료
인 世話
의 경 당시
작자인
(1663~1742)과
(1653~1724)에
진
행 정도가 다 게 나 나
의 世話
에 있어서 변화 비 이
의 世話
보다
높게 나 다는 지적이다.
22)
上
(1979)의  語
(東
、 .150(
))에 의하면 三馬의 滑稽本
은 당시
의 구어자료이고, 특히  世風呂와  世床는 江 語의 보고 고 지적된다.
23) 金鎔均,
(6), .270-271
海道中膝栗毛에 보이는 가능동사에 관한 일고찰 ······························ 金 鎔 均…37
一九의 東
검
위
간
간
필요
위
술 < >
를 토하기 해서는 문체 의 비교가
하다. 이를 하여 전 한 표1
을 토대로 지문과 화문 의 가능동사 사용 을 분석하 는데, 그 결과를
표5 로 나
면 다 과 같다.
회
타내 음
< >
률
였
<표5> 가능동사의 문체별 사용률(%)
자료
東海道中膝栗毛
문체
(1802~1809)
지문
회화문
3
(7.7)
36
(92.3)
<표5>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문체 간에 있어서 遲速 차이가 확연하게 나타난
다. 회화문에 있어서 가능동사의 사용률(92.3%)은 지문(7.7%)보다 압도적인 우
위를 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향②의 반영으로 볼 수 있는 예문이 있는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爰もとは鞍のあぶみがふちなれど踏またがりて通られもせず
(三編、139-4)
くら
(6) それでもさつぱりくへぬくへぬ
접 예
회
ふん
通
근 한 문으로 전자( くへぬくへぬ )가 화문의 용례, 후자( られ )가 지문
의 용례로 이를 통하여 양자 의
차이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보면 화문에서의 변화 속도가 지문보다
다는 문체적
인 면에서
차이가 보이는 경향 는 인정된다고 할 수 있고, 또한 동 자
료인 三馬의 滑稽本과는 물론,
자료인 上方
本 및 江
本과도 일
치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이
문체 즉 지문과 화문 에 있어서
차이가 나 나는 원인
은 어디에 기인하는 것일까. 그 원인은 문체적인 성 상 후자보다는
성이
시되는 전자에서 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당시 구두어에서 사용된 어
를 비교적 실하게 반 하는 화문과는 달리, 지문에 있어서는 그 성 상 당
시 일반적으로 사용된 어보다도
적인 어를 사용하려는 의식이 강
하게 반 된 데 그 원인이 있는 것24)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고로 화문에 비하여 변화가 리게 진행된 지문에 있어서 가능동사의
회
遲速
간 遲速
타종
럼 처럼
우선
참
회
찾
영
언
충
영
②
회
회
빠르
洒落
간
더욱 규범
느
戶
엿볼
遲速
격
언
戶洒落
타
종
규범
언
격
예
타 助動詞의 一段化 傾向에 관한 考察 -(さ)する와 (ら)るる 간의 遲速 차
化學報 韓國日本文化學會, p.52
24) 金鎔均(2004) 江 語에 나 나는
이를 중심으로- 日本文
 22,
3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문을 모두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御関所の手形をうけとり、ふめるものは、みたをしやへさづけて金にかへ、(初編、52-14)
(8) ハヽよめたと、心にうなづき、すぐにその下駄をはいて、(上同、74-3)
(9) むくつけき客もこよひはもてるなり (五編、307-2)
(7)
お せき しよ
て がた
かね
③
간
遲速
술 < >
각
< > 타내
끈
그리고 경향 은 활용형 에 있어서
차이가 보인다는 점에서 주목을 다. 이를
하여 전 한 표1 을 토대로 활용형에 있어서 가능동사의 사용 을 분석하 는데,
그 결과를 표6 으로 나
보기로 한다.
위
률
였
<표6> 가능동사의 활용형별 사용률(%)
활용형
자료
東
中膝 毛
(1802~1809)
海道
栗
미연형
연용형
종지·연체형
이연형
21
(53.8)
9
(23.1)
9
(23.1)
0
(0.0)
<표6>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활용형 간에 있어서 遲速 차이가 인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미연형(53.8%)이 가장 앞선 가운데 종지·연체형(23.1%)=연용형(23.1%),
이연형(0.0%)의 순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향③의 반영, 그 중에서도 미연형에 있어서 진일보한 발달 양상을 엿볼
수 있는 가능동사의 예문이 있는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口
(弥次
編
弥二 出
出
物
酒
(10) (こんぴら)どふしてどふして。あなた ではそふおつしやるが、そのよふにはくへぬものじ
やて
)ナニくへぬことがあるものだ (五 、251-2)
(11) (
) すものも すものもへんちきな ばかりで、もふ ものめぬのめぬ
(
、362-10)
六編
위의 (10)(11)은 모두 근접한 예문 속에 집중적으로 등장한 것으로, 이를 통
하여 미연형에 있어서 가능동사의 진일보한 양상을 엿볼 수 있다.
이와 함께 미연형보다 변화 속도가 느리게 진행된 종지·연체형과 연용형의
가능동사가 등장하는 예문을 몇 개 들어보기로 한다.
(12) (弥二)ナニそりやアのめる酒でも、(三編、165-10)
(13) (弥二)きさまたちの赤鰯でナニきれるものか (四編、192-10)
あか いわし
海道中膝栗毛에 보이는 가능동사에 관한 일고찰 ······························ 金 鎔 均…39
一九의 東
(14)
(15)
(16)
(17)
(18)
北八)ナニしびんの酒がのめるものか (六編、331-8)
すましたどんぶんり、それでどふしてくへるものか (七編、417-13)
(侍)ソノ又どろぼうを、ごまの灰といふじやナ。なるほど解せた解せた (二編、103-3)
(手代)イヤおどけたおかたじや。ハアよめた。(五編、293-15)
(ゐんきよ)ハヽよめたわいの。こなんは、おもてのさかやのおきやくじやな。(八編、438-16)
(
위의 (12)(13)(14)(15)는 종지·연체형, (16)(17)(18)은 연용형의 가능동사가 등
장하는 예문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보면 활용형에 따라 遲速 차이가 나타나는 경향③ 또한 인
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것으로, 동종 자료인 三馬의 滑稽本과는 물론 타종 자료
인 上方洒落本 및 江戶洒落本과도 대체로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내부적으로
볼 때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종지·연체형이 연용형보다 빠르게 진행된 三馬의
滑稽本과 上方洒落本 및 江戶洒落本과는 달리 東海道中膝栗毛의 경우에는 종
지·연체형과 연용형이 동등한 사용률을 보인다는 점일 것이다. 여기에서 자료에
따라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는 종지·연체형과 연용형 간에 있어서 遲速 차이의
원인은 향후 타종 자료를 포함하여 좀 더 조사 자료를 확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럼 가능동사가 이처럼 미연형에서 진일보한 발달 양상을 보이는 원인은 무
엇일까. 다시 말해 제 활용형 즉 종지·연체형 및 연용형과 이연형보다 빠르게
변화가 진행된 이유는 어디에 기인하는 것일까. 그 원인은 다름 아닌 역사적인
배경과 깊이 관련된 것으로, 일찍이 室町期에 출현한 미연형의 가능동사 용법
이 고착화되어 이후 후대에까지 영향을 미친 데 기인하는 것25)으로 추정된다.
또한 소음절 동사와 다음절 동사 간에 따라 遲速 차이가 나타난다는 경향④
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각 음절수에 따른 가능동사의 사용률 비교가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전술한 <표1>과 <표3>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를 <표7>로 나타내
보기로 한다.
음절 수
자료
東海道中膝栗毛
<표7> 가능동사의 음절수별 사용률(%)
(1802~1809)
3
음절
38
(97.4)
4
음절
5
음절
1
(2.6)
0
(0.0)
<표7>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음절수에 따라 遲速 차이가 인정되어 3음절 가
25) 金鎔均,
前揭書(6), p.274
4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 음절
소음절
음절
% 음절
% 순
타난
능동사(97.4 ), 4
가능동사(2.6 ), 5
가능동사(0.0 )의 으로 나
다. 즉
동사인 3
가능동사가 단연 높은 비 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다.
이와 같은 경향 즉,
동사와 다
동사 의
차이를
수
있는 것은 다 과 같은 문을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음
④
소음절
예
음절
율
간 遲速
엿볼
弥二)ハヽアなんだ。コリヤアのめるは (初編、62-2)
(弥二)ソリヤ人のことをいふ、うぬがなんにもしらねへな。湯がわいたらあつくてはいられ
るものか。(上同、72-7)
(20) (弥次)ナニくヘぬことがあるものだ。(五編、251-3)
(弥次)いめへましいおとこだ。そしてマアうつむかれるほどに、なぜそんなに、かたくいわ
せた。(上同、300-3)
(21) (弥次)ヲツトヲツト、なるほどいゝ酒だ。水ツぽくてねからのめぬ。(七編、387-6)
(弥次)ハイハイ、むかふがさつぱり見へねへで、あるかれぬ (上同、393-1)
(19) (
ゆ
위의 (19)~(21)은 동일한 인물에 의하여 3음절인 경우에는 가능동사( のめる
くヘぬ
のめぬ )로, 다음절인 경우에는 가능표현인 -れる 형( はいられる
うつ
むかれる あるかれぬ )이 사용된 것으로, 소음절 동사가 다음절 동사보다 그 변
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보면 음절수의 다소에 따라 遲速 차이가 보이는 경향④ 역
시 인정된다고 할 수 있고, 또한 동종 자료인 三馬의 滑稽本과는 물론 타종 자
료인 上方洒落本 및 江戶洒落本과도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럼 이처럼 遲速 차이 즉 소음절 동사가 다음절 동사보다 진일보한 발달 양
상을 보이는 원인은 무엇일까. 그 원인은 다름 아닌 음절수의 다소와 깊이 관
련된 것으로, 음절수가 적으면 적을수록 그만큼 변화가 용이하다는 이른바 언
어의 편의성이 작용한 데 기인하는 것26)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경향 는 구 적으로
때 전 한 경향 와 가분의 관 에 여
있다고 본다. 그 여기에서 가능동사
즉 단 동사와 합동사 에 있어
서
차이가 보인다는 경향 를 살펴보기 하여 양자 에 있어서 가능동
사의 사용 를 비교하여 보기로 한다. 이를 하여 전 한 표1 과 표3 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를 표8 로 나
면 다 과 같다.
遲速
⑤ 조
럼
률
26) 金鎔均(2014a),
< >
前揭書(15), p.274
볼
⑤
술
내부
타내
④ 불
계 놓
순
복
간
위
간
위
술 < > < >
음
海道中膝栗毛에 보이는 가능동사에 관한 일고찰 ······························ 金 鎔 均…41
一九의 東
<표8> 가능동사의 단순동사와 복합동사의 사용률(%)
동사
자료
海道
栗
단 동사
순
복합동사
39
(100)
0
(0.0)
東
中膝 毛
(1802~1809)
<표8>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단순동사의 가능동사 비율은 복합동사보다 비교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우위로 나타난다. 전자의 가능동사 사용
률(100%)은 용례 자체 즉 1例도 확인되지 않는 복합동사의 가능동사(0.0%)보다
압도적인 우위를 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보면 단순동사와 복합동사에 따라 遲速 차이가 나타난다는
경향⑤ 또한 인정되는 것으로 동종 자료인 三馬의 滑稽本과는 물론 타종 자료
인 上方洒落本 및 江戶洒落本과도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럼 이처럼 단순동사와 복합동사 간에 있어서 遲速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은
무엇일까. 그 원인은 다름 아닌 구조적으로 소음절일 수밖에 없는 전자와, 이와
마찬가지로 구조적으로 다음절일 수밖에 없는 후자의 단어 구성과 깊이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다시 말해 전술한 경향④ 즉, 소음절 동사가 다음절 동사보다
변화 속도가 빠른 원인으로 추정되는 음절수의 다소와 불가분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음절수가 적으면 적을수록 그만큼 변화가 용이하다는 언어의 편의성이
작용한 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음절수가 적은 단순동사가 구조적으로 음
절수가 많을 수밖에 없는 복합동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변화가 용이한 데 근
본적인 원인이 있는 것27)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
지 으로 정표현의 변화 속도가 정표현보다
다는 경향 을 토하
기로 한다. 이를 하여 여기에서는 정표현과 정표현 에 있어서 가능동사 사용
의 비교가
한데, 자료의 전체적인 분석 결과를 표9 로 나
면 다 과 같다.
럼마 막
위
필요
률
부
긍
긍
빠르
⑥ 검
부
간
< > 타내 음
<표9> 가능동사의 긍정표현과 부정표현의 사용률(%)
표현
자료
海道
栗
東
中膝 毛
(1802~1809)
긍정표현
부정표현
18
(46.2)
21
(53.8)
<표9>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양자 간에 있어서 遲速 차이가 나타난다는 사실
이 확인된다. 예를 들면 부정표현의 가능동사 사용률(53.8%)이 긍정표현(46.2%)
b 前揭書(16), p.65
27) 金鎔均(2014 ),
4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우위
⑥
보다 상대적인
를 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향 즉, 정표현과 정표현의 가능표현 에 있어서
이를
수 있는 것은 다 과 같은 문을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부
긍
예
간
遲速 차
엿볼
음
(22) (北八)とんだことをする。これでのられるもんか。 (三編、148-10)
(北八)ヲヤ味そふなぼたもちがある。……ヤアこいつはくへぬ (上同、174-10)
(23) (弥次)コウ酒はいゝのがあるかの。……道中のものはねから くへぬ。
(五編、236-12)
(弥次)コウなんとばかばかしい。どふして石がくはれるものか (上同、266-4)
위의 (22)는 동일한 인물에 의하여 동일한 음절 조건 하에서, (23)은 동일한
인물에 의하여 동일한 음절 조건 하에서 동일한 단어가 사용된 것이다. 이는
바꿔 말하면 부정표현의 가능동사가 긍정표현의 가능동사보다 그 변화가 빠르
게 진행되었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보면 부정표현과 긍정표현에 따라 遲速 차이가 보이는 경
향⑥ 또한 인정된다고 볼 수 있고, 그리고 동종 자료인 三馬의 滑稽本과는 물
론 타종 자료인 上方洒落本 및 江戶洒落本과도 일치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 이처럼 양자 간에 있어서 遲速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은 어디에 기인하
는 것일까. 이는 전술한 경향③ 즉, 미연형에 있어서 가능동사가 종지·연체형
및 연용형과 이연형보다 진일보한 발달 양상을 보이는 이유와 마찬가지로 역사
적인 배경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가능동사가 최초로 등장
하여 室町期부터 발달한 미연형에 있어서 가능동사의 용법이 고착화되어 이른
바 미연형의 대표적인 표현이라 할 수 있는 부정표현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친
결과가, 후대에도 긍정표현보다 부정표현의 발달에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 것
うま
さけ
だう ちう
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상으로 고 한 결과를 합하여 보면 경향 은 동 자료이자 비 한 시기
의 행 연구인 三馬의 滑稽本과와 다 다는 점에서, 경향
은 동
자료이자 비 한 시기의 행 연구인 三馬의 滑稽本과는 물론
자료인 上
方
本 및 江
本과도 대체로 일치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고 할 수 있는
데, 그 결과가 상이하면 상이한 대로 일치하면 일치하는 대로 그 나름의 의미
가 있는 것으로 여 진다. 전자를 통하여 동 자료이면서 비 한 시기의 자료
할지 도 작자에
다 양상을 보일 수 있다는 점에서, 후자를 통하여
이와 같은 사실이 단 히 一九의 滑稽本 東
中膝栗毛에 나 나는 사실
이
, 일본어의 변천사적 사실로 인정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찰
선
슷
洒落
라
라
아닌
종
戶洒落
겨
선
따라 른
순
①
르
종
슷
②③④⑤⑥
타종
종
슷
海道
만 타
종
海道中膝栗毛에 보이는 가능동사에 관한 일고찰 ······························ 金 鎔 均…43
一九의 東
5. 결론
느
든 별 계없 떤 언
닌
평
위
계
필
위
야
어 시대이 특 히 관
이 어
어 연구 결과가 그 분 에서 객관성
과 보편성을 지 것으로 가받기 해서는 편중되지 은, 다양한 자료를 통
한 다 적이고도 체 적인 연구가 수적이다28). 특히 그와 같은 연구 결과가
중 한 일본어 변천사적 사실로 인정받기 해서는
그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점 다시 말해, 그 결과가 는 객관성과 보편성을
인식하여 근세후기의 日本語자료인 享和~文 期의 一九의 滑稽本 東
中膝
栗毛를 대상으로 가능동사에 대하여 살펴보 다. 특히 東
中膝栗毛에 나
나는 가능동사의 여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비교의 관점(문체와 활용형,
수, 단 동사와 합동사, 정표현과 정표현)에서 전체적인 경향과
의
차이의 원인에 대해서도 토하 다. 이와 함께 행 연구로, 동 자료이
자 비 한 시기의 자료인 三馬의 滑稽本에 나 나는 가능동사의 발달 과정 속
에서 보이는 전체적인 경향과 비교하는 한편,
자료인 上方
本 및 江
本에 나 나는 가능동사의 발달 과정 속에서 보이는 전체적인 경향과도 비
교하면서 고 을 진행하 다.
그 결과,
가지 특 적인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행 연구로 동
자료이자 비 한 시기의 자료인 三馬의 滑稽本과,
자료인 上方
本 및
江
本에 보이는 경향과 일치하는 사실을 정리하면 대 다 과 같다.
요
각
타
절 순
遲速
슷
洒落
戶洒落
복
타
찰
몇
슷
러
않
더욱 러
갖
化
았
긍
부
검 였
海道
타
타종
였
징
선
海道
종
음
각각
洒落
타종
먼저 선
략 음
戶
洒落
종
① 문체적인 면에서 보면 회화문의 변화 속도는 지문보다 빠르다.
② 활용형에서 보면 미연형, 종지·연체형=연용형, 이연형의 순으로 진행되고 있다.
③ 음절수에서 보면 소음절 동사의 변화 속도는 다음절 동사보다 빠르다.
④ 단순동사의 변화 속도는 복합동사보다 빠르다.
⑤ 부정표현의 변화 속도는 긍정표현보다 빠르다.
음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하여 새롭게 확인된 사실을 정리하면 다 과 같다.
⑥
海道中膝栗毛에
타난다.
一九의 東
다 게 나
낮
률
있어서 가능동사의 사용 은 三馬의 滑稽本보
요컨대 이와 같은 고찰을 통하여 東海道中膝栗毛에 있어서 가능동사는 다
28) 金鎔均(2012)
黃表紙에 나타나는 단정표현
찰 『日本學報 90, 韓國日本學會, p.12
だ 의 정착에 관한 고
4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음절
순
복
긍
부
양한 양상 즉 문체, 활용형,
수, 단 동사와 합동사, 정표현과 정표현
에
기
차이를 보이면서 발달하 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또한
동 자료인 三馬의 滑稽本과도
차이가 보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는 기존의 연구와 합하는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행 연구인
三馬의 滑稽本과는 물론
자료인 上方
本 및 江
本의 경향과도 대
체로 일치하여 일본어 변천사적 사실로 인정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은 비
한 시기의 동 자료 할지 도 그 발달은 일 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작자에
다 양상을 보여 다는 점에서 당시 가능동사를 객관적으로
연구하는 데 있어서 의미 있는 결과로 받
여진다.
금후에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 으로
까지 본 적인 연구가 이루어
지지 은, 江 語자료인 江
本과 表紙를 대상으로 특히 江
本과의
비교의 관점에서 당시 가능동사의 발달 양상을 파악하는 데 진력하여 체 적인
연구의 거름이 되고자 한다.
따라 각 遲速
종
①②③④⑤
종 라
따라 른
라
않
밑
戶
타종
라
戶噺
遲速
부
였
洒落
戶洒落
률
준
탕
黃
아들
아직
격
선
⑥
슷
아니
戶洒落
계
海道中膝栗毛에 보이는 가능동사에 관한 일고찰 ······························ 金 鎔 均…45
一九의 東
参考文献】
【
戶
타 助動詞 段化 傾向
考察 さ する ら
るる 간 遲速
化學報 韓國 化學會
p
紀海音
淨瑠璃
活用形 變化
考察 ·下
二段活用動詞 助動詞 段化
『
學 大韓
學會 p
黃
타
찰 『 學報
韓國 學會 p
타
찰 『比較 學
漢陽大學校 學國際比較硏究所 pp
洒落
찰 『比較 學
漢陽大學校 學國際比較硏究所 pp
b 戶洒落
타
『 化
學報 韓國 化學會 pp
靑木博史
可能動詞 成
硏究 pp
小松壽雄
近代 法Ⅱ 戶篇 『講座国 史 法史 大修館書店 pp
佐 木綾
可能動詞
考察 鶴久敎授退官紀念國 學論集 櫻楓社 pp
戶 京
可能 現 變遷
言 藝 pp
林巨樹 池 秋彦編
國 史辭典 京堂出版 p 小松壽雄執筆
松村明 『國 史槪說 秀英出版 pp
湯沢幸吉郎 『 時代言 研究 間書房 p
『增訂 戶言葉 研究 明治書院 pp
金鎔均(2004) 江 語에 나 나는
의一
에 관한
-( )
와( )
의
차이를 중심으로- 日本文
 22,
日本文
,
.52
(2006)
의 世話
에 있어서
式의
에 관한 一
-上
및
의 一
를 중심으로 - 日語日文  29,
日
語日文
, .29
(2012)
表紙에 나 나는 단정표현 だ 의 정착에 관한 고
日本
 90,
日本
, .12
(2013) 三馬의 滑稽本에 나 나는 가능동사에 관한 고
日本  29,
日本
, .261-281
(2014a) 上方
本에 보이는 가능동사의 발달 과정에 관한 고
日本 
31,
日本
, .177-188
(2014 ) 江
本에 나 나는 가능동사의 발달 과정에 관한 연구 日本文
 63,
日本文
, .57-66
(1996)
の 立について 語文
 81、 .45-56
(1982)
の文
(江
)
語 4文
、
、 .600-603
々
(1993)
についての

語
、
、 .47-48
靏岡昭夫(1967) 江 語 東 語における
表 の
について  語と文  54、 .54-63
上
(1979)  語
、東
、 .150(
)
(1972)
語
、
、 .209-210
(1981) 室町
語の
、風
、 .227
(1990)
江
の
、
、 .242-244
4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要 旨
硏究 近 後 特
化
資料
海道
可能動詞 考察 特 海道
現 可能動
詞 樣 分析結果 基 比較 観点 体 活用形 音節数 単純動詞 複 動詞 肯定 現 不
定 現 重點 置 可能動詞 發達過程 見 全体的 傾向 原因
考察
倂 先 硏究 同種資料
同時 資料
他種資料 洒落
及 戶洒落 現 全体的 傾向 比 檢討
結果 幾 注目 値 事実 明
思 先 硏究
他種資料 洒落 及 戶洒落 傾向 大略 致 事實
次通
本
では 世 期、 に享和~文 期(1801~1817)の日本語
である一九の滑稽本東
中膝栗毛(1802~1809)における
について
した。 に、東
中膝栗毛に れる
の 々な
に づき、
の
(文 と
、
、
と 合
、
表 と
表 )に を きながら
の
の中で られる
な
とその
についても
した。
これと せて 行
で、
であるとともに
期の である三馬の滑稽本と、
の上方
本 び江
本に れる
な
と べながら
した。
その
、 つか
に する
が らかにされたかのように う。まず 行
である三馬の滑稽
本と、
の上方
本 び江
本の と
一 する
をまとめると、 の りである。
① 文体的な面から見ると、会話文の変化速度は地文より速い。
② 活用形から見ると、未然形、終止・連体形=連用形、已然形の順に進行している。
③ 音節数から見ると、少音節動詞の変化速度は多音節動詞より速い。
④ 単純動詞の変化速度は複合動詞より速い。
⑤ 否定表現の変化速度は肯定表現より速い。
海道中膝栗毛を通して新たに明らかにされた事實をまとめると、次の通りである。
また、一九の東
⑥ 一九の東海道中膝栗毛における可能動詞の使用率は三馬の滑稽本より低い。
事実の中で、①②③④⑤は先行硏究の同種資料である三馬の滑稽本と、他種資料の上方洒
落本及び江戶洒落本の傾向と大體一致するということから、一方で⑥は傾向を異にするということから注目す
べである。前者を通してこのような事実が單に東海道中膝栗毛のみに止まらず、日本語の變遷史的な事實
とも認められ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ことから、後者を通して同時期の同種資料であるといえども、可能動詞の發達
は一律的ではなく作者によって異なる樣相を見せるからである。要するに、このような硏究結果は當時にお
ける可能動詞の發達樣相を綿密に檢討するに當たって示唆するところが少なくないと思われる。
このような
海道中膝栗毛、三馬の滑稽本、可能表現、可能動詞、遲速差、傾向
キーワード:一九の東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재확정일 : 2015. 7. 4
대칭대명사의 사용빈도 변화에 관한 연구*
1)민
승 희**
(e-mail: [email protected])
目 次
1.
2.
3.
4.
서론
선행연구
사용빈도의 증가와 감소
사용빈도의 증감에 관한 분석
4-1. 새로운 사회계층(町人)의 등장
4-2. 上方와 江戸의 대립
4-3. 특수어의 일반화
5. 결론
1. 서론
近世 前期에는 정치, 사회 문화 등의 중심이 京都, 大阪로 대표되는 上方를 중
심으로 발달하였고, 後期에는 그 중심이 江戶를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문학의 융성
도 이에 발맞추어 발달하였기에, 문학사에 있어서 18세기 전반까지를 上方문학의
시대, 이후를
狹義의 江戶문학의 시대라고 부른다. 즉 문학사나 語史연구의 시대구
분도 정치사에 준거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것은 언어가 그 시대의 사상, 계급,
풍습 등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인간관계의 표현이고, 그러한 인간관계는 정치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본문에서도 정치사에 준거하여, 근세를
德川家康가 江戸에 막부를 열었을 때부터(1603년) 明治維新까지로 하고, 宝暦를
* 이 논문은 중원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과제번호:2014-007)
** 중원대학교 부교수
4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경계로 하여 근세를
다.
前期와 後期로 나누어 그 변화를 통시적으로 고찰하고자 한
통시언어학은 어떤 현상을 여러 시대에 걸쳐 역사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공
시 언어학의 상반되는 개념이다. 통시언어학은 언어를 역사가 흐르는 동안 축척된
변화의 결과물로 본다. 따라서 통시언어학에서는 어원, 계통, 음운, 문법의 추이 등
에 주목한다. 이러한 통시언어학의 관점에서 본 논문은 근세
前期부터 後期까지의
기간 동안에 대칭대명사의 사용빈도가 어떻게 변화 했는가 그 추이에 주목하여 고
찰하고자 한다.
일본어의 인칭대명사는 사회구조의 변화나 문화의 변동 등과 밀접하게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해 왔다. 특히 근세의 인칭대명사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戶
前期
에는 문화, 정치 사회의 중심이 上方에 있었지만, 後期에는 그 중심이 江 로 이동
戶
함에 따라, 언어에 있어서도 무게중심이 上方語에서 江 語로 이동하는 변화를 겪
게 된다. 본 논문은 근세의 인칭대명사 가운데에서도 세부적으로 대칭대명사로 그
고찰 범위를 좁혀서, 근세
前期에서 後期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칭대명사의
사용빈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와 더불어 그 변화 요인을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인칭대명사 가운데, 먼저 대칭대명사를 고찰의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자칭대명
사보다 대칭대명사의 사용빈도의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변화
속도가 빨랐던 대칭대명사를 먼저 연구대상으로 하여 보다 명확한 변화 현상 및
원인을 찾아보고자 함에 있다.
2. 선행연구
前期 上方語의 인칭대명사에 관한 연구로는 湯沢幸吉郎(1982)의 『徳川時
代語の研究』,山崎久之(1963)의『国語待遇表現体系の研究』,坂梨隆三(1987)의『江戸
時代の国語ー上方語ー』등이 있다. 湯沢幸吉郎(1982) 는 근세 前期 대명사의 사용
례를 문학작품을 통해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다만, 사용례의 제시에 머물러,
각각의 대명사 용법에 관하여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는 아쉬움이 있다. 다음으로,
坂梨隆三(1987) 은 근세의 음운, 문자, 표기, 문법, 경어 등 폭넓게 근세어 전반에
걸쳐 논하고 있다. 그 가운데 근세 前期의 인칭대명사의 대우가치에 대하여서도
분석하고 있어서, 대우표현 연구사에 있어서도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고 할 수 있
근세
1)
2)
沢幸吉郎(1982) 『徳川時代語の研究』風間書房 pp.37-46
坂梨隆三(1987) 『江戸時代の国語ー上方語ー』東京堂出版 pp.199-225
1) 湯
2)
대칭대명사의 사용빈도 변화에 관한 연구 ································································· 민 승 희…49
国 遇表現体系の研究』에서 대우표현을 결정하는 각
각의 조건을 고려하면서, 객관적으로 인칭대명사의 대우가치를 객관적으로 규명,
기술하고 있다. 인칭대명사의 대우가치 파악에 있어서, 술어와의 관계뿐 아니라,
話者의 性, 신분, 청자와의 관계, 장면적 요소, 소재 등을 폭넓게 고려하면서 면밀
히 파악하고 있다. 이러한 객관성 높은 연구 방법을 통해, 대칭대명사를 경의도에
따라 5단계(お前단계、こなた단계、そなた단계、そち단계)로 나누어 분석하고 있는
데, 이는 근세 인칭대명사의 연구에 큰 획을 긋는 상당한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고
평가되고 있다.
한편 근세 後期 江戶語에 관한 연구로는, 小島俊夫(1982)와 田中章夫(1973)의
연구가 두드러진다. 小島俊夫(1982) 는 대칭대명사를 대우가치에 따라 6단계로 나
누어 설명하고 있다. 田中章夫(1973) 는 대칭대명사의 어법설명이나 대우가치에
대한 연구는 구체적이지 않으나, 근세 前期의 上方語와 후기의 江戶語의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또한 이점은 前期부터 後期로의 변화를
통시적으로 고찰하는 본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종래의 연구에 있어서의 통시적 대칭대명사연구를 살펴보면, 辻村敏樹(1994)
의 「きさま」에 관한 연구와 江湖山恒明(1938) 의 「おまへ」에 관한 통시적 연구가
다.
山崎久之(1963)3)는 『 語待
4)
5)
6)
7)
대표적이다.
위와 같은 근세어에 대한 공시적, 통시적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대칭대명사 사용빈도의 변화와 사회변
동을 연관 지어 고찰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갖는다.
근세 대칭대명사 전반을 다루면서,
3. 사용빈도의 증가와 감소
존
前期와 後期로 나누어, 각각의 시기에 사용된 대칭대명
사의 종류, 용법, 대우가치 등에 대하여 연구하는 형태가 주를 이루었고, 필자도
이러한 경향에 따라, 『近世日本語の人称代名詞の特徴』에서 근세 前期와 後期의
대표적인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각각의 대칭대명사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고는 이
러한 선행 고찰을 바탕으로, 前期에서 後期로의 변화와 그 요인에 중점을 두는 연
기 의 연구는 근세를
国語待遇表現体系の研究』 武蔵野書院 pp.70-206
小島俊夫
「滑稽本・人情本の語彙」『講座日本語の語彙5.近世の語彙』 笠間書院 p.252 5) 田中章夫(1973)「近世敬語の概観」 『敬語講座4.近世の敬語』明治書院 pp.16-19
6) 辻村敏樹(1994)『敬語の史的研究』 東京堂 pp.175-208
7)江湖山恒明(1938)「「おまへ」の系譜」 国語と国文学15-2 東京大学国語文学会 pp.49-64
3) 山崎久之(1963) 『
4)
(1982)
5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구이다. 따라서 바탕이 되는
먼저 제시하고자 한다.
각각의 시기의 문학작품 속의 대칭대명사의 용례수를
래 <표1>은 근세 前期에는 사용이 빈번하였으나, 後期에 사용빈도가 급격
하게 감소한 대칭대명사의 용례 수 변화를 수치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표2>는 근
세 前期에는 사용용례가 발견되지 않았거나 사용빈도가 낮았던 대칭대명사가, 근세
後期에 빈번하게 사용된 대칭대명사의 용례 수 변화를 수치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고찰대상으로 한 근세 前期 자료는 紀海音와 近松門左衛門의 浄瑠璃이며, 근
세 後期 자료는 洒落本・滑稽本・人情本을 다루고 있다. 문헌자료의 선택은 다음
아 의
과 같은 이유에 근거한다.
浄瑠璃와 洒落本・滑稽本・人情本는 각각 근세 前期와 後期를 대표하는 문
학작품이다.
나) 작품에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여 다양한 인간관계가 묘사되어 있기에 인칭
대명사연구에 적합하다.
다) 회화체의 언어 고찰이 용이한 작품으로, 본 대칭대명사의 조사대상을 회화
체에 나타난 대명사에 국한시켰다.
<표1> 前期에 비해 後期에 용례수가 감소한 대칭대명사
近世前期
近世後期
時期
浄瑠璃의
洒落本・滑稽本・
代名詞 使用例数
人情本의 使用例数
こなた
201例
8例
そなた
284例
12例
おぬし
51例
9例
43例
1例
対称 わがみ
32例
1例
代名詞 わごりょ
そち
107例
3例
おのれ
139例
13例
こなさん・こなさま
83例
15例
가)
8)
近 日本
稱代名詞の特徵』시간의 물레 p.192
작품 목록은 자료 편에 첨부함.
8) 민승희(2007) 『 世
語 人
근세 전기의 조사 대상 문학
대칭대명사의 사용빈도 변화에 관한 연구 ································································· 민 승 희…51
<표2 > 前期에 비해 後期에 용례수가 증가한 대칭대명사
近世後期
時期
近世前期
・滑稽本・
代名詞 浄瑠璃의 使用例数 人洒落本
情本의 使用例数
あなた
0例
122例
おまへさん、おめへさん
1例
147例
0例
541例
対称 おめへ
0例
266例
代名詞 てめへ
きさま
7例
55例
おまはん
0例
44例
위의 <표1>과 <표2>에 나타난 이외에도 다양한 대칭대명사 가 근세에 존재
하였으나, 위 표에서는 근세 前期에서 後期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격하게 사용
빈도가 변화한 대칭대명사만을 정리하였다. 이와 같이 前期와 後期의 사용빈도가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대칭대명사를 고찰대상으로 하여, 그 변화의 요인을 근세
당시의 사회 현상과 관련지어 통시적,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9)
10)
4. 사용빈도 증감에 관한 분석
미친 사회적 요소를 크게 근세 後期에
새로운 사회계층(상인계층)이 사회적 주도 세력으로 등장했다는 점, 근세는 다른
시기와는 달리 上方과 江戶가 정치, 문화적으로 대립하며 사상적 특징을 지녔다
는 점, 그리고 언어의 일반적 현상인 특수어의 일반화 과정이라는 3가지 관점으로
근세의 대칭대명사의 사용빈도 증감에
나누어 고찰하고자 한다.
4-1. 새로운 사회계층(町人)의 등장
4-1-1. 「おめへ」「てめへ」의 등장
「おめへ」와 「てめへ」는 上記의 <표1>에서 알 수 있듯이,
근세
前期의 浄
揭書 p
작품 목록은 자료 편에 첨부함.
외 「うぬ」「お身」「身」「てまへ」「きへん」「ごへん」등의 다양한 대
존재
9) 민승희(2007), 上
.205
근세 후기의 조사 대상 문학
10) 근세에는 이 에도
칭대명사가
했다.
5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瑠璃에서는 그 용례가 하나도 보이지 않는다. 이에 비해 <표2>을 보면, 後期의 洒
落本・滑稽本・人情本에서는 「おめへ」는 541예, 「てめへ」는 266예로 가장 용례
수가 많은 대칭대명사이다. 즉 「おめへ」,「てめへ」근세 前期에는 전혀 사용이 없
었던 대칭대명사였음에도 불구하고, 後期에는 사용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해 대표적
리매김하고 있다.
江戶語의 음운상의 특징으로, 連母音의 장음화를 들 수 있다. 前期에 최고의 경
의를 나타냈던 대칭대명사인「おまへ」로부터 「おめへ」,「てまへ」로부터「てめへ」
이 나온 것으로, 連母音의 장음화 현상을 엿볼 수 있다. 連母音의 장음화는 무사
나 상층의 계층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특히 [ai]→[e:]는 漢語보다 和語쪽에서
많이 보이고, 또 서민가운데에서는 하층일수록 漢語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특징
이 있다 . 이와 같은 현상으로부터 「おめへ」,「てめへ」가 상층계급의 사람들에
의해서가 아니라, 서민상인계층(町人) 에 의해 생긴 대명사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おめへ」,「てめへ」는 서민상인계층(町人)에 의해 생긴 대명사이기
에, 자연스럽게 「おめへ」, 「てめへ」에는 서민상인계층(町人)의 사고가 반영되어
있다. 이 점에 관해, 小松寿雄(1971) 는 江戶語에서는 대우가치가 낮은 단계에
서 새로운 인칭이 생기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江戶語에서는 인칭에 국한되지 않
고 명령표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江戶語에서는 聽者를 중시하는데, 신분이 비교
적 높지 않는 聽者를 중시하는, 그것이 「おめへ」와「てめへ」, 또는 명령표현 등
에 나타난다고 지적하고 있다. 즉 근세 後期에 문화의 중심이 서서히 서민상인계
층(町人)으로 옮겨짐에 따라 [신분이 비교적 높지 않는 聽者를 중시한다]고 하는
생각이 생겨나서, 그러한 생각은 언어체계에도 영향을 미쳐 하위대우표현 이 발
달하게 되고, 「おめへ」,「てめへ」의 발생을 촉진시켰다고 여겨진다. 자연스럽게
「おめへ」,「てめへ」와 같이 근세 後期에 주로 서민계층의 話者가 대등 또는 아
래 사람의 聽者에게 사용하는 하위대우표현이 주를 이루고 있다.
아래의 [例1], [例2]는「おめへ」의 예문이고, [例3]은 てめへ」의 예문으로, 모
두 근세 後期의 용례이다. [例1]은 유곽의 손님인 대부호의 아들이 유녀를 「おめ
へ」라고 부르는 있는 장면이고, [例2]는 나이든 학자가 상인을 「おめへ」라고
부르는 있는 장면으로, 모두 손아랫사람에게 사용된 하위대우표현이다. [例3]은 상
인들끼리의 대화로 대등한 관계에서 사용된「てめへ」의 예문이다.
인 대칭대명사로 자
11)
12)
13)
14)
金田一春彦
日本 百科 辞典
修館書店 p
小松寿雄
小松寿雄
「近 の敬 Ⅱ」 講座国
揭書 p
敬
11)
(1988)『
語
大
』 大
.97
12) 町人은 일반적으로 일본 근세 시대에 상인을 지칭하는
이다. 이후 동일한 의 로 町
人을 사용한다.
13)
(1971)
代
語
『
語史5. 語史』 大
.322-323
14)
(1971) 上
.336
말
미
修館書店 pp
대칭대명사의 사용빈도 변화에 관한 연구 ································································· 민 승 희…53
[例1]よくおめへおゐらを責めるふ。
<鳥雅(客、大富豪の息子)→薄菊(遊女)>
(『春告鳥』p.393)
(하위대우표현 )
15)
[例2]ハテ、おめへがたは粗末にしなさるから、金が逃て行ます。 (『浮世風呂』p.257>
<晩右衛門(隠居)→産(町人)
(하위대우표현)
[例3]ナゼてめへ手を延すことはならねへか。
(『東海道中膝栗毛』p.495)
<弥次郎兵衛(中層상인) →北八(中層상인)>
(대등대우표현)
욱
할 만한 것은「おめへ」,「てめへ」는「おまへ」,「てまへ」에서 생겨
난 대명사이지만,「おまへ」,「てまへ」와 유사한 대우가치를 지니면서 보조적 역할
을 담당한 것이 아니라, 독자의 대우가치를 가지고 사용되었다는 점이다. 이로써
江戶語인「おめへ」,「てめへ」가 上方語의 영향을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자세로부
터 능동적인 자세로 옮겨 가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능동성은 後期 서
민상인계층(町人)이 사회 중심세력으로 능동적으로 등장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서민상인계층(町人)이 근세 後期 사회의 중심으로 등장하면서 「おめ
へ」와「てめへ」가 後期에 사용빈도가 높은 대칭대명사로 자리매김하였고, 더 나
아가 서민상인계층(町人)의 능동성이 언어체계에도 영향을 미치어,「おめへ」,「て
めへ」가 독자적인 의미를 지닌 대표적인 대명사로 근세 後期 대칭대명사의 중심
에 서게 되었다고 판단된다. 사용주체의 사회적 세력이 강성해지면서 사용하는 대
명사도 더불어 언어체계에서 발달하게 된 경우라고 여겨진다. 다시 말하면, 「おめ
へ」,「てめへ」의 사용빈도의 증가는 서민상인계층(町人)의 등장 및 세력 확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더 이 주목
4-1-2. 「おぬし」「わがみ」「わごりょ」의 쇠퇴
「おぬし」,「わがみ」,「わごりょ」는 근세 前期 上方에서 대등한 관계의 사람에게
쓰여 대등대우표현을 나타내거나, 손아랫사람에게 쓰여 하위대우표현으로 널리 사
용된 대명사이다. 上記의 <표1>에서 알 수 있듯이, 前期에「おぬし」는 51예,「わが
み」는 43예,「わごりょ」는 32예 보인다.
아래의 [例4],[例5],[例6]은 모두 근세 前期의 용례이며, [例4]는 아버지
가 아들에게「わごりょ」를 사용하고 있는 용례이다. [例5]는 무사들 간의 대화로 話
우
파악
단
두
않 므
우
록 겠
우
15) 본 논문의 논지는 대칭대명사의 대 가치
에 중점을
고 있지
으 로, 대 표현
은
게 상위대 표현(
사 에 대하여 사용), 대등대 표현(대등한 관계에서 사용),
하위대 표현(아 사 에 대하여 사용)의 3 계로만 나누도 하 다.
크
우
우 손윗 람
랫 람
5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者와 聽者는 친구사이로 「おぬし」를 사용하고 있다. [例6]은 어느 부인이 지인의
딸에게 이야기하고 있는 장면이다. 즉 [例4] 와 [例5]는 대등대우표현이고 [例6]
은 하위대우표현이다.
[例4]わごりょが好いたお出請出し、女房に持たせ、半年もたたぬうち、所帯破つて、親方
の弔ひもならぬやうにはえせまい。
(『女殺油地獄』p.538)
<徳兵衛(継父、町人)→ 与兵衛(息子)>
(대등대우표현)
[例5]こりや権三、相手はおぬしが月毛馬、こつちへ渡せ。 『鍵の権三重帽子』p.318)
<伴之介(武士)→ 笹野権三(武士)>
(대등대우표현)
[例6]これ十二違うても見事わがみたちのやうな子を持つた。 『鍵の権三重帽子』p.324)
<さゐ(他家の内儀)→ お菊(他家の娘)>
(하위대우표현)
편 記 <표2>에서 알 수 있듯이, 後期의 洒落本・滑稽本・人情本에서는
「おぬし」는 9예,「わがみ」는 1예,「わごりょ」는 1예밖에 보이지 않는다. [例7],
[例8]은 모두 근세 前期의 용례로, [例7]는 무사가 하인을 「わごりょ」라고 稱하
고 있으며, [例8]은 주인집의 안주인이 하인을 「おのし 」 라고 稱하고 있는
장면이다. 즉 [例7]과 [例8]은 모두 하위대우표현으로 쓰이고 있다.
[例7]伝助わごりょもひとつのみやれ。
(『東海道中膝栗毛』p.124)
<Ø (武士)→ 伝助(下人)>
(하위대우표현)
[例8]おのしはの、跡へ残つてゆるりとして流してお出で、わたしがお共するから能よ。
(『浮世風呂』p.150)
<Ø(主家の内儀)→ やす(下人)>
(하위대우표현)
한 , 上
16)
17)
말할 것도 없이 江戶語의 발달 및 사용증가와 깊게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おぬし」,「わがみ」,「わごりょ」의 사용감소는 「おめへ」,「てめへ」
의 점차적인 사용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おぬし」,「わがみ」,「わごりょ」
와 「おめへ」,「てめへ」는 모두 대등 또는 하위 대우가치를 지니고 있기에, 나타
내는 대우가치의 영역이 유사하다. 대등 또는 하위대우표현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上方語의 감소는
前
「おぬし」
름 실
「おのし」
않
않
미
16) 근세
期의
는 後期에
로 사용되는 경향으로 보이는데, 이와 같은
음운상의 변화는 본고에서는 다루지
는 것으로 하 다.
17) 는 화자의 이 이 확 하지
음을 의 한다.
Ø
겠
대칭대명사의 사용빈도 변화에 관한 연구 ································································· 민 승 희…55
락 최하위 대우표현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おぬし」,
「わがみ」,「わごりょ」는 근세 後期에 사용이 급격하세 감소하였다. 그 이유는 「お
まへ」,「てまへ」가 上方語이었기에 독자적인 성장을 꾀하는 江戶에 받아들여지기
힘들었고, 더불어 근세 後期 江戶에 유사한 대우가치를 나타내는 「おめへ」,「てめ
へ」와의 경쟁에서 밀려, 언어의 효율성의 법칙에 의해 유사한 용법의 「おぬし」,
「わがみ」,「わごりょ」는 감소할 수밖에 없었다고 판단된다.
경의도가 하 하여
4-2. 上方와 江戸의 대립
4-2-1. 「あなた」「きさま」의 수용
「あなた」는 上記의 <표2>에서 보듯이, 근세 後期 자료에 122예나 등장하는
사용빈도가 높은 대명사이지만, 본 연구 자료에서 「あなた」의 근세 前期의 용례
는 없었다. 그러나 「あなた」의 발생에 대하여, 湯沢幸吉郎(1982) 는 2인칭으로
사용된 「あなた」의 예는, 宝暦경부터로 보이며, 이는 上方語에서이고, 江戶語에서
는 그 발생은 明和경이라고 보인다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小松寿雄(1971) 도
대칭대명사 「あなた」는 上方에서는 일찍이 宝暦3年이전에 성립한 것으로 보이지
만, 江戶語에서는 明和기의 자료부터 보인다고 언급하도 있다. 즉 上方에서 먼저
「あなた」가 대칭대명사로 사용되었고 근세 後期에 上方에서 江戶로 받아들여진
18)
19)
것이다.
「おぬし」,「わがみ」,「わごりょ」등의 대등 또는 하위대우표현의
대명사가 前期 上方에서 後期 江戶로 받아들여지지 못하고 점차 사용이 감소된 것
과는 상반된 현상이다. 즉 하위대우표현과는 달리 상위대우표현의 대칭대명사「あ
なた」는 上方에서 江戶로 받아들여져서, 江戶에서 널리 쓰이게 된 것이다. 아래의
[例9]는 근세 後期에 話者인 町人이 聽者인 무사를 높여「あなた」라고 稱하고 있
는 장면이다. [例10]은 「あなた」의 상위대우표현 용례로, 話者인 下女가 聽者인
他家의 안주인을 높여 「あなた」라고 稱하고 있는 장면이다. 즉 [例9]과 [例10]
은 모두 상위대우표현으로 쓰인 근세 後期「あなた」의 용례이다.
[例9]あなたは三十七八にも、おなりなれますか。 (『東海道中膝栗毛』pp.126-127)
<北八(町人,여행객)→ Ø (武士, 여행객)>
(상위대우표현) 이러한 현상은
沢幸吉郎(1982) 前揭書 p.46
小松寿雄(1971) 前揭書 p.336
18) 湯
19)
5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例10]いへもうわたくしの旦那をお誉め申すもいかゞでございますが、惣別お気立のよいおか
たでネ。おまへさん。あなたがお屋敷にお出遊す自分は、お部屋中で評判のお結構
人でございました。 (『浮世風呂』p.150-151)
<やす(下女) → Ø(他家의 內儀>
(상위대우표현) 예와 같이 上方語가 江戶에서 최상위의 대우가치를 나타내며 널리 사용된
것은, 上方語적인 표현은 주로 경의가 높은 표현으로 江戶語에 받아들여졌다고 하
는 寺島浩子(1981) 의 지적과 관련이 있다. 물론 이 지적은 대명사에 관한 지적은
아니지만, 그러한 上方語의 전반적인 특징이 대칭대명사에도 반영된 것이라고 생
각한다. 上方語가 江戶語보다 품위가 있다고 여기는 일종의 고정관념 때문에, 江戶
語가 왕성한 생명력을 가지고 발달해 가며, 스스로 새로운 어휘를 서서히 만들어
나가면서 점차적으로 上方語的 요소를 배제해 나가는 근세 後期에 있어서도, 대우
가치가 높은 「あなた」는 上方에서 江戶로 받아들여진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위
대우표현의 대칭대명사인 「あなた」는 근세 後期까지 이어졌으며, 대등 또는 하위
대우표현의 대칭대명사는 上方語가 근세 後期까지 이어지지 못하는 큰 특징을 보
위의
20)
인다.
징 「きさま」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きさま」는 그 용례는 7예밖에
없지만, 근세 前期에 이미 사용된 대칭대명사임에는 분명하다. 아래의 [例11]은
근세 前期「きさま」의 용례로, 「きさま」가 이미 근세 前期부터 사용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아랫사람인 手代 가 他家의 딸에게 경의를 나타내며 「きさま」
를 사용하고 있기에 상위대우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例11]この以前貴さまが津山玄三殿に奉公した時から惚れてゐたこの由兵衛、是非思ひを晴らさう
なら、そなたの口へ手拭捩込んで、寝る術も知つたれど、それは恋とはいはれぬ。
(『今宮の心中』p.98)
<由兵衛(手代)→きさ(他家の娘)>
(상위대우표현) 이러한 특 은
21)
「きさま」에 대해 辻村敏樹(1994) 는「貴様」라는 문자에 의해 알 수 있듯
이 경의를 가지고 사용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즉 「きさま」도 「あなた」와 마찬
가지로 경의가 높은 대명사로 인식되었기에 上方에서 江戶로 받아들여져 사용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あなた」와는 달리,「きさま」의 대우가치는 근세 後
期에 급격하게 하락하게 되는데, 그 원인에 대해서는 향후 과제로 하겠다.
22)
20)
21)
22)
寺島浩子(1981) 「近世敬語と現代敬語」『講座日本語学9.敬語史』 明治書院 p.209
手代는 상점에서 番頭(수석 종업원)아래, 丁雉(겸습점원)위에 위치하는 종업원을 뜻한다.
辻村敏樹(1994) 前揭書 p.205
대칭대명사의 사용빈도 변화에 관한 연구 ································································· 민 승 희…57
[例12]에서 「きさま」는 목욕탕의 손님이 일하는 직원에게 「きさま」를 사용하
고 있다. 즉 하위대우표현으로 쓰인 「きさま」의 근세 後期의 예문으로, 이로써
「きさま」는 근세 前期에서 後期로 이어져 사용되었고, 대우가치가 근세 後期에 이
미 상당히 하락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例12]きさまは越後に生れてもそんなめに遇ねへのだ。
(『浮世風呂』p.251)
<とび(風呂の客、町人)→ Ø(番頭)> (하위대우표현)
정리하면「あなた」와 「きさま」는 품위가 있다고 여겨지는 上方語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의식이 언어에 영향을 미친 사례라고 생각한다.
4-2-2. 「こなた」「そなた」의 쇠퇴
上記의 <표1>과 <표2>를 보면, 근세 前期에「こなた」는 201예, 後期에는 8예
밖에 보이지 않는다. 「そなた」도 前期에 284예, 後期에는 12예밖에 보이지 않는다.
두 대칭대명사 모두 後期에 사용빈도라 급격하게 감소한 대명사이다. 이 두 대명
사는 근세 前期에는 매우 사용빈도가 높은 대명사이므로, 「こなた」와 「そなた」는
근세 前期를 대표하는 대칭대명사라고 할 수 있다.
아래의 [例13] [例14]과 같이 근세 前期에「こなた」는 손윗사람이나 대등한
사람에게 사용되었고, [例15] [例16]와 같이「そなた」는 손아랫사람이나 대등한
사람에게 사용되었다. 즉 「こなた」는 대등 또는 상위대우표현으로, 「そなた」는
대등 또는 하위대우표현으로 사용되었다.
[例13]こなたのは御存じござらぬか。
<新七(下人)→ 勝三郎(若旦那)> (『淀鯉出世滝徳』p.506)
(상위대우표현) [例14]こなたのやうな長鳴が忌事ぢや。
(『鍵の権三重帽子』p.331) <Ø(他家の下女)→ Ø(他家の乳母)>
(대등대우표현) [例15]何かそなたの商売ぞ。
(『冥土の飛脚』p.38) <八右衛門(友、町人)→ 忠兵衛(友、町人)>
(대등대우표현)
[例16]そなたもまだ寝やらぬの。 (『大経師昔暦』p.220) <さん(奥様、大経師の妻)→ 玉(下女)> (하위대우표현)
5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こなた」와「そなた」가 근세 前期 上方을 대표하는 대칭대명사이었기에, 後期
에 上方의 영향에서 서서히 벗어나 정치적, 경제적으로 독자적 성장을 하는 江戶
에 받아들여지기 어려웠다고 판단된다. 언어에는 사회, 정치, 당시 언어사용자의
의식 등이 반영되기 마련이고, 근세 後期에 上方과 江戶는 정치, 경제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는 시기이기에, 사람들의 의식도 上方과 江戶는 차이가 생겼을 것이다. 전
통을 중시하는 上方에 비해, 새로운 사상, 새로운 사회 건설 등 변화에 중점을 두는
두 지역의 대립 또는 차이는 언어에도 영향을 미쳐서, 江戶의 사람들은 기존의 上
方의 대표적인 대칭대명사「こなた」와 「そなた」를 받아들여 上方의 언어적 전통을
이어가는 것을 꺼렸을 것이다. 上方의 대표적인 대칭대명사를 사용하기보다는, 江戶
에서 새로운 독자적인 대칭대명사를 사용하기를 지향한 것으로 해석된다.
즉 변화를 지향하고 上方의 영향에서 벗어나려는 근세 後期 江戶의 특징이 언
어에 반영되었다고 본다. 이와 같이 上方과 대립하는 江戶의 사회적 특성이 언어
체계에 영향을 미치어, 上方語의 전통적인 대칭대명사로 인식되는 「こなた」와
「そなた」는 사용이 감소해 갔다고 해석할 수 있다.
後期 江戶자료에서 보이는 몇 개의 「こなた」의 예문을 보면, 사용주체가 노인
이나 무사이다. 이와 같이 새로운 변화에 대응이 느린 사람들 사이에서 「こなた」
의 사용이 보이고, 근세 後期의 새로운 주역인 상인층에서의 「こなた」의 사용은
보이지 않는다. 즉 변화지향성이 낮은 무사어나 노인어에서는 「こなた」,「そなた」
의 사용이 보이고, 변화지향성인 높은 町人의 언어에서는 용례가 보이지 많은 큰
특징 있으며, 이는 언어에 당시 사람들의 의식이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근거가 된다.
[例17]은 무사가 서민상인계층(町人)에게「こなた」를 사용하는 근세 後期의
하위대우표현으로써의 「こなた」예문이다.
[例17]こなたと夫婦の契約をした上は、たとへ親兄弟の差図でも、ほかへ縁につかずこたア
いやだといふ (『東海道中膝栗毛』p.53)
<兵太左衛門(武士) → 弥次郎兵衛(町人)> 리
戶
람들은 전통보다 江戶 독자의 사상을 추구하였기에 이러한
생각은 언어에도 반영되어 「こなた」와 「そなた」는 근세 後期 江戶에 받아들여지
지 못하고 쇠퇴하였다.
정 하면, 江 의 사
4-3. 특수어의 일반화
대칭대명사의 사용빈도 변화에 관한 연구 ································································· 민 승 희…59
「こなさん・こなさま」는 근세 前期의 작품에서는 여성,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遊女의 사용이 압도적으로 많은 대칭대명사이다. 아래의 [例18]은 근세 前期의
「こなさん」의 예문으로, 遊女가 손님인 무사를 「こなさん」이라고 칭하고 있다. 이
와 같은 소위 遊女語로써의 「こなさん」의 사용은 근세 前期「こなさん・こなさま」의
가장 대표적인 용법이라고 할 수 있다.
[例18]こなさんたちの顔見たいと思ふをりふし、呼びにきたを幸ひに、ここまで来ました。 (『夕霧阿波鳴渡』p.122)
<夕霧(遊女、恋人)→ 伊左衛門(武士、恋人)> 래 [例19]는 근세 前期의 용례이지만, 「こなさま」의 사용주체는 남
성이다. 즉 [例19]와 같이 근세 前期에 「こなさん・こなさま」의 남성의 사용예가 없
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 용례 수는 적으나, 「こなさん・こなさま」를 남성도 사
용하기 시작한 것 前期부터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 의
[例19]その子はわたくし、こな様の腹から出た、与之介はわしぢやわいの。
(『丹波与作待夜の小室節』p.447)
<与之介(息子、召使)→ 滋野井(母)> 편 前期에 83예의 사용례가 있었으나, 後期 자료인 洒落本・滑稽本・人情本
에서 「こなさん・こなさま」의 용례 수는 감소하여 15예에 그치고 있다. 아래의 [例2
0]는 근세 後期의 「こなさん」의 남성 사용례이다.
한 ,
[例20]もしもいとめがしにおると、こなさんは解死人じや。 (『東海道中膝栗毛』p.434) <Ø(夫、宿の亭主)→ Ø(妻)> 遊里語는 손님에 의해 遊里語로부터 町人語로 확대된다 . 즉
「遊女語 → 一般女性語 → 男女共用語」의 과정을 가치는데, 「こなさん・こなさま」
의 경우, 遊里語로부터 男女共用語로 되는 과정 중에서, 세력을 잃고 감소한 대칭
대명사라고 여겨진다. 그리고 근세 前期의 「こなさん・こなさま」의 자리를 대신해서
근세 後期에 遊女에 의해 사용된 대명사가 「おまはん」이다.
[例21]은 근세 後期에 遊女가 손님에게 「おまはん」을 사용하고 있는 예문이
일반적으로
다.
23)
杉本つとむ(1975) 『女ことば誌』 雄山閣 p.186
23)
6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例21]モウ若旦那おまはんが、そんなにやさしく言て呉さつしやると、……どんなことがあつて
も変る心を出しておくんなさいますナヨ。 (『春色梅児誉美』p.57)
<米八(遊女)→ 丹次郎(唐琴屋の養子)> 5. 결론
근세
前期부터 後期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上方語와 江戶語는 서로 다르게 발
달하게 되었는데, 그 중에서 본고에서는 대칭대명사의 변화에 주목하여 그 변화
양상과 변화 요인을 고찰하였다. 대칭대명사 중에서 근세에 변화가 두드러진 대명
사는 「おめへ」,「てめへ」,「おぬし」,「わがみ」,「わごりょ」,「あなた」,「きさま」,「こ
なた」,「そなた」,「こなさん・こなさま」등을 들 수 있다.
근세 後期에는 「おめへ」,「てめへ」가 多用되었는데, 「おめへ」,「てめへ」는
근세 前期에는 사용예가 보이지 않는 대명사로 대등 또는 하위의 聽者에게 사용하
였다. 이와 같이 그다지 대우가치가 높지 않은 대칭대명사 「おめへ」,「てめへ」가
後期에 多用된 것은, 근세 後期에 서민상인계층(町人)이 사회적 중심세력으로 등장
한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おめへ」,「てめへ」의 성장으로 인하여 유사한 대우가치를 가지고 있었
던 근세 前期의 「おぬし」,「わがみ」,「わごりょ」는 자연스럽게 근세 後期에는 사용
이 감소하게 되었다.
「あなた」,「きさま」는 上方에서 江戶로 이어져 근세 後期에도 널리 사용
되었다. 이는 「あなた」,「きさま」의 대우가치가 높았기 때문에, 당시 上方語는 품격
있는 말로 여겨지는 고정관념에 기인하여 後期에도 널리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등 또는 상위의 聽者에게 사용되었던 「こなた」나, 대등 또는 하위의 聽
者에게 사용되었던「そなた」는, 근세 後期에는 변화에 느린 무사나 노인어에서만
발견되며 그 사용량은 감소한다. 이는 근세 前期를 대표하던 대칭대명사가 「こな
た」,「そなた」이었기에 변화를 지향하던 後期 江戶語에서는 「こなた」,「そなた」를
수용하기 힘들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こなた」,「そなた」의 사용감소는 前期 上方
語의 쇠퇴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대칭대명사라고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こなさん・こなさま」의 경우, 근세 後期에 遊里語로부터 일반여성어
와 男女供用語로 되는 과정 중에서, 세력을 잃고 감소한 대칭대명사라고 여겨진다.
향후 대칭대명사뿐만 아니라, 자칭대명사의 사용빈도 변화에 관하여도 연구하
고, 점차적으로 연구범위를 확대시켜 나가고자 한다.
그러나
대칭대명사의 사용빈도 변화에 관한 연구 ································································· 민 승 희…61
【자료편】
<표1>과 <표2>의 용례 수치의 근간이 되는 자료는 아래와 같다.
근세 前期 자료인 浄瑠璃는 『日本古典文学全集』에 수록되어 있는 紀海音의 작품
과 近松門左衛門의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紀海音의「八百やお七」,「椀久末松山」,「袖の白しぼり」,「傾城三度笠」,「ふたつ腹
帯」과 近松門左衛門의「曾根崎心中」,「薩摩歌」,「心中二枚絵草紙」,「卯月の潤色」,
「ひぢりめん卯月の紅葉」,「堀川波鼓」,「五十年忌歌念仏」,「心中重井筒」,「心中万年
草」,「丹波与作待夜の小室節」,「淀鯉出世滝徳」,「心中刀は氷の朔日」,「冥途の飛脚」,
「今宮の心中」,「夕霧阿波鳴渡」,「長町女腹切」,「大経師昔暦」,「生玉心中」,「鑓の権
三重帽子」,「山崎与次兵衛寿の門松」,「博多小女郎波枕」,「心中天網島」,「女殺油地
獄」,「心中宵庚申」을 사용하였다.
근세 後期 자료인 洒落本・滑稽本・人情本은 『日本古典文学全集』에 수록되어
있는 丹波屋利兵衛, 山東京伝, 式亭三馬, 為永春水의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丹波屋利兵衛의 「遊子方言」, 大田南畝의 「甲駅新話」, 山東京伝의 「古契三娼」,
「傾城買四十八手」,「繁千話」,「傾城買二筋道」, 式亭三馬의 「浮世風呂」「浮世床」,
十返舎一九의「東海道中膝栗毛」,「酩酊気質」, 為永春水의 「春色梅兒誉美」,「春告
鳥」을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近 日本 稱 名詞の特徵
레p p
湖 恒
「「おまへ」の系譜」国 と国文学 東 学国 文学会
金田一春彦 ) 日本 百科 辞典 修館書店 p
小島俊夫 「滑稽本 情本の 彙」 講座日本 の 彙5 近 の 彙
p
小松寿雄 )「近 の敬 Ⅱ」 講座国 敬
修館書店 pp
坂梨隆三 ) 戸 の国 ー ー 東 堂出版 pp
杉本つとむ ) 女ことば誌 雄 閣 p
田中章夫
「近 敬 の概観」 敬 講座 近 の敬
書院 pp
辻村敏樹( ) 敬 の 的研 東 堂 pp
p
寺島浩子( )「近 敬 と現 敬 」 講座日本 学9 敬
書院
(
国 遇表現体系の研 武蔵野書院 pp
沢 郎( ) 徳
の研 風間書院 pp
민승희(2007) 『 世
語 人 代
』시간의 물
.192 .205
江 山 明(1938)
語
15-2 京大
語
.49-64
(1988 『
語
大
』大
.97
(1982)
・人
語
『
語 語
. 世 語 』 .252 (1971
代
語
『
語史5. 語史』大
.322-323 .336
(1987 『江 時代
語 上方語 』 京
.199-225
(1975 『
』 山 .186
(1973)
世 語
『 語
4. 世
語』明治
.16-19
1994 『 語 史
究』 京
.175-208 .205
1981
世 語 代 語 『
語
. 語史』明治
.209
山崎久之 1963) 『 語待
究』 .70-206
湯 幸吉
1982 『 川時代語
究』
.37-46
pp
笠間書院
p
p
6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要 旨
本稿は対称代名詞が近世前期上方語から後期江戸語へどのように変化していったか、その変
化と変化の要因に注目して考察する。近世の対称代名詞の中、特に変化が著しい代名詞としては
「おめへ」、「てめへ」、「おぬし」、「わがみ」、「わごりょ」、「あなた」、「きさま」、
「こなた」、「そなた」、「こなさん・こなさま」があげられる。
「おめへ」、「てめへ」は近世前期の資料では使用例が見当たらないが、近世後期では多
用された代名詞である。後期に対等または下位の聞き手に対して使われた代名詞で、待遇価値は
あまり高くなかった。このようにあまり高くない待遇価値を表す「おめへ」、「てめへ」が後期に多用
されたのは、近世後期に社会的にあまり高くない階層であった町人が社会の中心勢力として登場した
ことと深く結び付いている。町人が社会の主導的な勢力になるにつれ、町人の言葉とも言える「おめ
へ」、「てめへ」も後期に使用が急激に増加するようになった。
また、「おめへ」、「てめへ」の成長によって、ほぼ同じ待遇価値を表した「おぬし」、「わ
がみ」、「わごりょ」は近世後期江戸でその使用が減少するようになった。
一方、「あなた」、「きさま」は近世前期上方から江戸に受け継いで広く使用された。「あな
た」、「きさま」は待遇価値が高い代名詞であったので、上方語は品のある言葉として受け入れる
当時の固定観念の影響で後期にも広く使われるようになったと思う。
また、近世前期に上位または対等な関係で使用された「こなた」、対等または下位の相手に使
用された「そなた」は使用頻度が高い前期上方の代表的な代名詞であった。しかし、近世後期に
「こなた」と「そなた」の用例は社会変化に対する適応力が乏しい武士や老人の言葉から発見さ
れるだけで、用例数は急激に減少する。「こなた」と「そなた」の減少は前期上方語の衰退を代
表的に見せてくる現象である。
最後に「こなさん・こなさま」は近世後期に遊理語から男女共用語へ変化していく課程の中、
勢力を失い、使用が減少した代名詞である。
今後、対称代名詞だけではなく、自称代名詞の使用頻度の変化に関しても研究し、研究の範
囲を拡大しようとする。
キーワード:近世、上方、江戸、使用頻度、対称代名詞、社会変動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 확정일 : 2015. 7. 4
재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 통시적
연구(2)*1)
ー尊敬表現을 중심으로ー
片 茂 鎭**
(e-mail: [email protected])
目 次
1. 시작하기
2. 現傳하는 『交隣須知』의 諸本
3. 일본 근대시기의 존경표현 체계
4.『交隣須知』의 존경표현
4-1. 校訂本에서 사용되지 않은 존경표현
4-2. 校訂本에서 사용된 존경표현
5. 마무리
1. 시작하기
18세기 초에 일본에서의 최초의 한국어 학습서로 성립된 『交隣須知』는 약
200여 년 동안 일본에서 가장 보편적인 한국어 학습서로 사용되어 오는 과정
에서 많은 異本이 존재하는데, 이는 당연히 한일 양국어의 통시적 연구자료로
서 절호의 가치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서가 가지는 이와 같은 특수한 성
장 과정 및 對譯이라는 형식적 특징으로 인하여, 『交隣須知』의 연구는 그
언어의 ‘時代性’과 ‘地域性’, 그리고 ‘對譯性’의 규명이라는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
**
본 연구는 2014년도 단국대학교 대학연구비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단국대학교 교수, 일본어학
6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1).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交隣須知』가 가지는 독특
한 자료적 가치를 활용한 한일어 연구의 연장선에서, 일본어의 敬語 중 尊敬表
現에 대하여 江戸時代로부터 明治時代까지의 변화상을 통시적으로 고찰한다.
연구방법은 苗代川本에서의 존경표현이 古寫本類와 增補本類, 그리고 初刊本을
거쳐 校訂本에 이르는 과정에서 변화된 존경표현 형식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
과를 바탕으로『交隣須知』日本語의 시대적 성격에 대한 소견을 제시하도록
한다2).
물론 「일본어의 시대성」이라고 해도, 對象이 언어인 만큼 각각의 시대별로
언어(일본어)의 경계가 확연히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江戸 後期의 江戸
語라고 하는 것도 그 이전의 전통적인 上方語와 東国語(関東方言)이 融合・混
和되는 과정을 거쳐 江戸 共通語로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小松1985:84 참
조), 江戸語 안에도 上方語的인 요소가 당연히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적으로 「江戸語」라고 하는 것은 일단 「上方語」에 대한, 「上方語」에서 본
江戸語的 성격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交隣須知』日本語의 존경
표현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2. 現傳하는 『交隣須知』의 諸本
지금까지 알려진 『交隣須知』의 異本은 다음과 같다3).
【寫本】
《古写本類》(《原祖本系》)
1. 交隣須知 4卷 書寫期不明(19世紀初?), 京都大學所藏 ; 苗代川本 ⇒<苗>
1) 특히 본서의 ‘대역성’에 대해서는 편무진(2006, 2007, 2012) 참조. 그리고 ‘지역성’에 대해서는 小倉
(1915), 迫野(1989, 2001), 편무진(2006) 등 참조.
2) 『交隣須知』의 언어에 대해서는 일찍이 校訂本의 교정자인 前間恭作씨가 小倉進平씨에게 보낸 서
한 중에서 ‘기본적으로 한일 양국 교통의 공식 응접에 사용되는 당시의 표준어’라는 인식을 표명
한 적이 있다(小倉1936:15 참조). 따라서 『交隣須知』의 일본어도 対馬島의 방언이라기보다는 ‘余
所行き詞’, 다시 말해서 격식을 차린 말들의 성격이 강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반적으로는 이와
같은 前間씨의 견해에 공감하면서도, 『交隣須知』라는 책자가 18,19세기라고 하는 시대적 환경과
대마도라고 하는 지역적 환경에서 成立・傳承되어 온 문헌자료인 만큼, 다양한 언어적 측면에서의
시대성과 지역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와 같은 종합적인 분석・
고찰을 통하여 비로소 보다 객관적인『交隣須知』의 자료적 가치성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3) 『交隣須知』諸異本의 書誌的 特徵 및 系統的 關係에 관해서는 편무진(2005a) 참조. 그리고 『交
隣須知』에 관한 일련의 개인연구는 本書의 본문을 동일한 표제어 별로 재구성한 拙著『諸本對照
交隣須知』(2005b)를 활용하여 진행하고 있음.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 통시적 연구(2) ー尊敬表現을 중심으로ー ············ 片 茂 鎭…65
2. 交隣須知 卷一(部分) 書寫期不明, 卷四(部分) 1852年寫 ⇒<沈>
卷三 文政10年(1827)寫 ⇒<文>, 天保13年(1842)寫 ⇒<天> 沈壽
官家所藏 ; 沈壽官本
3. 交隣須知 卷一(部分) 書寫期不明, アストン舊藏 ; アストン本 ⇒<あ>
《增補本類》(《增補祖本系》)
1. 增補交隣須知 1卷(卷四) 小田幾五郞修正(1795年), 東京大學史料編纂所所藏 ;
小田本 ⇒<小>
2. 交隣須知 卷一 弘化3年(1846)寫, 卷四 天保13年(1842)寫 ⇒<ア>
卷二(部分) 1885年頃寫 ⇒<會>, アストン舊藏 ; アストン本
3. 交隣須知 卷一 白水福治書寫 書寫期不明(1854年頃?),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 對馬本 ⇒<對>
4. 交隣須知 3卷(卷二三四) 中村庄次郞書寫(1868年~1873年) 前間恭作摹寫本,
ソウル大學校所藏 ; ソウル大本 ⇒<ソ>
5. 交隣須知 1卷(卷三) 書寫期不明, 中村幸彦氏所藏 ; 中村本
6. 交隣須知 2卷(卷二三) 書寫期不明(1880年頃?), 東京大學小倉文庫所藏 ; 濟
州本 ⇒<濟>
7. 交隣須知 3卷(卷一三四) 久和馬壽書寫(1873年), 長崎大學武藤文庫所藏 ; 武
藤本 ⇒<武>
【刊本】
1. 交隣須知 4卷 浦瀨裕校正增補 明治14年(1881)印行 ; 初刊本 ⇒<初>
2. 再刊交隣須知 4卷 浦瀨裕校正增補 明治16年(1883)刊行 ; 再刊本
3. 交隣須知 4卷 寶迫繁勝刪正 明治16年(1883)出版 ; 刪正本
4. 校訂交隣須知 1卷 前間恭作․藤波義貫共訂 明治37年(1904)刊行 ; 校訂本
⇒<校訂>
3. 일본 근대시기의 존경표현 체계
『交隣須知』는 본래 일본의 근세, 즉 시기적으로 江戸 上方期에 성립된 것
이기 때문에, 우선 당시 일본 국내의 존경표현의 상황을 살펴보기로 한다.
일본 근대시기의 존경표현(대우표현)에 대해서는 대략 室町時代와 江戸 上方
前期, 江戸 上方後期의 3기로 나누고4), 특히 존경표현의 체계는 표현형식에 큰
변동이 있었던 시기를 중심으로 하여 室町時期는 末期, 江戸時代의 上方前期는
元禄期(1688~1704), 上方後期는 化政期(1804~1830)에서의 존경표현 형식에 관
4) 山崎씨는 주로 江戸時期의 경어를 중심으로 다룬 관계로 ‘근세’로 구분하고, 존경표현에 대해서도
‘대우표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일단 ‘근대’와 ‘존경표현’으로 통일하도록 하
고, 특별히 江戸時代만을 국한할 경우에는 ‘근세’를 쓰기도 한다.
6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한 언어변화를 대상으로 고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山崎1963:762-763 참조).
다음의 표는 山崎(1963)의 <上方期의 존경표현 체계>를 정리한 것이다.
【표1】上方期의 존경표현 체계
敬語
時期
言う
動詞
行く, 来る
居る
助動詞・補助動詞
大敬語
普通敬語
大敬語
普通敬語
大敬語
普通敬語
上方前期
おっしゃり(れ)ます
仰せられます
おっしゃる
仰せらるる
ござります
お出でなされます
おこしなされます
ござる
おいでなさる
おこしなさる
(御)~なされます
(御)~遊ばされます
(御)~遊します
しゃり(れ)ます
(御)~なさるる
(御)~遊ばさるる
(御)~遊ばす
しゃる
上方後期
おっしゃります
仰せられます
おっしゃる
ござります
お出でなされます
おこしなされます
ござる
おいでる
(御)~なされます
(御)~遊します
しゃります
お-動詞
なさる
しゃる
이 표에 의하면, 주로 文末表現으로서 보통경어에 「ます」를 붙임으로 大敬
語, 즉 극존칭으로 대우표현가치를 높여 사용한 江戸時代의 敬語的 特徵을 엿
볼 수 있다.
그러나 辻村씨의 지적대로, 天保(1830~1844) 이후 幕末期까지의 존경표현에
대해서는 그다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 시기에 존경표현
형식에 큰 동요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면서도 일본 국내에 확실한 上方資料
가 다른 시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지 않기 때문이다5). 『交隣須知』의 寫
本類 특히 增補本類는 筆寫 시기 면에서 江戸後期의 上方資料에 해당되기 때
문에, 일단 이 시기의 자료 공백을 보완할 수 있는 문헌자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사본류에서의 존경표현이 초간본과 교정본을 거치면서 현대어적
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 辻村씨는 일본의 敬語史上 이 天保期를 근대경어의 발생기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경어의 양상
은 明治 前期에 前代로부터의 탈피를 시도하면서도 완전히 벗어나질 못하고, 명치시대에서도 後期
에 가서야 비로소 근대적인 양상을 띠게 된다(辻村1992:399-402 참조).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 통시적 연구(2) ー尊敬表現을 중심으로ー ············ 片 茂 鎭…67
4. 『交隣須知』의 존경표현
본고에서는 苗代川本을 기준으로 한6) 寫本類와 刊本類의 존경표현 중에서
특히 동사와 관련한 존경표현 형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따라서 경어
의 표현형식이라고 볼 수 없는 「いらっしゃる」(居る), 「おっしゃる」(言う), 「ご覧
なさる」(見る), 「めしあがる」(食べる), 「おぼしめす」(思う) 등과 같은 독립형(교
체형) 존경동사나 존경표현의 사용례는 제외하고 그 밖의 일반동사의 경우만
을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보조동사나 조동사의 용법도 포함한다. 단, 辻村
(1967)가 말하는 소위 素材敬語의 上位主体語(敬稱)「くださる」나 「~てくださ
る」와 같은 은혜적 표현, 그리고 겸양표현은 이번 조사에서 제외하였다.
우선 <苗>를 분류의 기준으로 했을 경우의 動詞 述語文에서의 존경표현 현
황은 다음과 같다.
【표2】『交隣須知』동사 술어문의 존경표현
尊敬表現
苗代川本 古寫本類 增補本類 初刊本 校訂本
ござる
13
4
38
8
ござなさ(れ)る
9
1
40
9
0
(さ)しゃる
189
133
448
47
(ら)れる
11
5
193
160
5
なさ(れ)る
11
8
72
21
13
御~なさ(れ)る
34(3)
22(5) 156(25) 39(7)
39(18)
御~になる
21(11)
御~だ
1
6(4)
御~です
3(1)
御~でござい(り)ます
1
1
6
2
9(1)
위의 표에서 보면, <苗>를 비롯한 사본류에서는 「(さ)しゃる」, 초간본에서는
「(ら)れる」가 존경표현의 대세임을 알 수 있다. 단, 증보본류에서 기존의「(さ)
しゃる」이외에 「(ら)れる」「(御)~なさ(れ)る」와 같은 표현형식이 두드러진다는
특징을 지적할 수 있겠다. ( ) 안의 숫자는 下二段動詞「出づ」의 사용례를 나
타낸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편의상 교정본에서 사용되지 않은 것과 사용된 존경표현으로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7).
6) 苗代川本은 18세기 초에 성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原「交隣須知」의 古形을 가장 많이 보존하고 있
는 古寫本이다. 더구나 落本이 없는 상태로 現傳하는 관계로, 『交隣須知』의 통시적 연구에서는
이 <苗>의 언어현상이 기저(基底)가 된다.
7) 교정본에서 사용되지 않은 경어와 사용된 경어는 敬語의 變遷史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
6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4-1. 校訂本에서 사용되지 않은 존경표현
『交隣須知』의 존경표현에 대하여 통시적으로 관찰하였을 때 우선 지적할
수 있는 것은, 그 이전의 異本에서 사용되었던 표현형식들이 교정본에서 사용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것은 「ござる」와 「(さ)しゃる」(「さっしゃる」)에 의한
존경표현인데, 이것들은 江戸時代 敬語를 특징짓는 표현형식이라고 할 수 있
다.
우선 『交隣須知』에는 전 시대부터 널리 사용되어 온 「ござる」와 이 「ご
ざる」계의 「ござなさる」형식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1) ござる
「ござる」는 「いる」「ある」「行く」「来る」의 존경이나 공손의 의미를 나
타내는 동사나 보조동사로 室町時代에서 江戸時代에 걸쳐 널리 사용되었다.
『交隣須知』에서도 다음의 「ござなさる」와 더불어 사본류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존경어적 표현인데, 「ござなさる」에 비하여 그 敬意는 낮다고 할 수 있
다. 「ござる」는 주로 불특정 제3자의 上位者에 대한 ‘오다’ ‘있다’의 보조동사
로 쓰인 예가 많다. 특히 「ござれ」의 형태로 명령표현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
는 점으로 보아 待遇價値가 약해지면서 공손어적인 표현형식으로 굳어지는 양
상이다. 특정인인 경우의 존경동사 「ござる」의 主體者는 ‘聖人’ ‘勅使’ ‘庶尹’
정도이다.
[2001]
<苗/二06a> 麒 긔린은 셩인이 계셔야 나
キリンハ セイジンガ ゴザッテコソ テマスル
<ソ/二01a> 麒 긔린은 셩인이 계셔야 나옵
麒麟ハ 聖人ガ ゴサッテコソ 出マスル
<濟/二01a> 麒 긔린은 셩인이 계셔야 나옵
キリンハ 聖人ガ コザッテコソ 出マスル
<初/二01a> 麒 긔린은 셩인이 계셔야 나옵느니
麒麟ハ 聖人ガ 在マシテコソ 出マス
<校訂/070> 麒麟 긔린(麒麟)은 셩인(聖人)이 게셔야 난다 오
麒麟は 聖人が世に出なければゐないと いひます。
[3962]
<苗/三69b> 降 려오시니 브시오리
クダッテゴサッテ ツカレサシャリマショ
<ソ/二79a> 降 려오옵시니 브시올쇠
下ッテゴサッテ ヲツカレデゴサリマセウ
문에 舊新의 표현형식 순서로 기술한다.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 통시적 연구(2) ー尊敬表現을 중심으로ー ············ 片 茂 鎭…69
<初/二56a>
<校訂/128>
[4588]
<苗/四43a>
<沈/四16b>
<小/四43b>
<ソ/四60a>
<武/四57b>
<初/四43a>
<校訂/295>
降
降
려오시니 부시오리다
下ッテゴザッテ オツカレテゴザリマセウ
려오시니 부시오리다
下って御出なすって 御草臥でございましょう。
曲折 곡졀을 모로거든 々고 잇소
ワケヲ シラスバ ダマッテゴザレ
曲折 곡졀을 모로거든 々고 잇소
ワケヲ シラズバ タマッテゴザレ
曲折 곡졀을 모로거든 아이예 々고 잇소
ワケヲ 知ラズバ 最初ヨリ ダマッテゴサリマセイ
曲折 곡졀을 모로거든 아이예 々고 잇소
ワケヲ シラズハ 最初ヨリ ダマッテゴサレイ
曲折 곡졀을 모로거든 々고 잇소
ワケヲ シラズバ ダマッテコサレ
曲折 곡졀(曲折)을 모루거든 々허고 잇습소
ワケヲ シラズバ ダマッテゴザレヨ
曲折 곡졀(曲折)을 모로거든 고 잇거라
わけを 知らないなら だまってゐろ。
이처럼 「ござる」가 본동사보다는 보조동사적 표현으로 자주 사용된 것 또
한 그 자체의 대우가치가 약해진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 ござなさる
「ござなさる」는 江戸時代에 주로 「ある」「いる」의 존경동사 또는 존경의
보조동사로 사용된 존경어로 歌舞伎나 浄瑠璃 등에 사용례가 보인다8). 그러나
이 「ござなさる」는, 가령 『虎明本狂言集』에 1예밖에 사용례가 없을 정도로
당시 口語的 表現으로서 일반적이지 않았던 것 같다9).
* 只今此所へ御座なされ、花を御らんあるべきとの御事にて候(『虎明本狂言集』万葉類 p.187)
이 「ござなさる」는 주로 한국어 ‘계시다’의 對譯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國王’ ‘祖
8) 『日本国語大事典』(第二版)小学館 참조
此の橋の下にこそ班女様も皆々も御座なされ候 <『歌舞伎・出世隅田川』三(1701)>
9) 또한 湯沢幸吉郎가 室町時代의 抄物로부터 歌舞伎・浄瑠璃와 같은 江戸 前期의 上方語 자료와 小
説・歌舞伎脚本・落語와 같은 江戸 後期의 문헌자료들 용어를 관찰한 일련의 구어자료에도 「ござ
なさる」의 용례는 없었다(『室町時代言語の研究』(1981) 風間書房, 『徳川時代言語の研究』(1936)
刀江書院, 『江戸言葉の研究』(1934) 明治書院).
7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父・祖母’ ‘始祖’ ‘姑’ 등의 특정 상위자에 대한 존경동사로 쓰이고 있다.
[2473]
<苗/二42b>
<ソ/二46a>
<濟/二46a>
<初/二36a>
<校訂/188>
[1554]
<苗/一41b>
<ア/一48a>
<對/一47b>
<武/一48b>
<初/一38b>
<校訂/093>
셔울은 님금 계신지라
ミヤコハ シュクンノ ゴサナサル
셔울은 님금 계신지라
都ハ 國王ガ ゴサナサル
셔울은 님금 계신지라
都ハ 國王ガ コサリマスル
셔울은 인군(人君) 계신 데요
京ハ 國王ガ ゴザナサル 處デアリ
셔울은 인군이 게신 데오
都は 國王の ゐられる 處です。
祖父 조부가 계시온가 조모가 업서 계시온가
祖父ガ ゴサナサルカ 祖母ハ ゴサナサランカ
祖父 조부가 계시온가
祖父カ ゴサナサレルカ
祖父 조부가 계시온가
ヂヽサマガ ゴサルカ
祖父 조부가 계시온가
ヂイガ ゴザナサレマスルカ
祖父 조부가 계신가 아니 계시온가
ヂヽガ 在マスカ 在マサレマセヌカ
祖父 조부(祖父)가 게시오 아니 게시오
おぢいさんはおあンなさいますか。
당연히 「ござる」에 비하여 대우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으며, 형용사나 형용
동사의 존경표현을 위한 보조동사로 사용된 예도 일부 보인다.
[1503]
<苗/一37b>
<ア/一44a>
<對/一44a>
<武/一45a>
<初/一35a>
京
京
京
京
京
王
王
王
王
王
님금은 쳔하셩쥬시라 긔특(奇特)시니
國王ハ 天下ノ 聖主 キトクニゴサナサレマスル
님금은 일국지왕이라 각々 나라흘 직희야 계시니라
國王ハ 一國之王デ 各國ヲ 守テコサナサル
님금 一國之王이라 各々 나라흘 직희여 계시옵
國王ハ 一國ノ王デ ヲノゝゝ 國ヲ 守テコサナサル
님금은 一國之王이라 各々(각々) 나라흘 직희여 계시옵
國王ハ イッコクノ(王)デ (各々) 國ヲ 守テコサナサレマスル
인군(人君)은 일국지왕이라 각각 나라를 직희여 계시니라
國王ハ 一國之王デ 各々 國ヲ 守リテゴザナサル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 통시적 연구(2) ー尊敬表現을 중심으로ー ············ 片 茂 鎭…71
<校訂/145> 王
임군은 일국(一國)의 왕(王)이라 각각(各々) 나라를 직희
여 게시니라
君主は 一國の 王で 夫々 一國を 守って居られる。
이 「ござなさる」는 『捷解新語』의 重刊本(1781)에도 7예가 보이는데, 이것
은 당시의 경어가 변화하는 과정에 있어 보다 존경스럽게 말하려는 표현의도
의 결과로 보인다(安田1973:322 참조).
*かねて さんしの御ざなさる ところも ねんお いれて(6:23a)
이처럼 『交隣須知』의 사본류에서 존경어「ござなさる」가 사용되고 있는 것
은, 한편으로 「ござる」의 恭遜語化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그때
까지 존경어로 사용되어 온 「ござる」가 근세시기에 공손어화함에 따라서
「ござる」의 존경어로서의 기능이 「ござなさる」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을 반영
한 결과로 볼 수 있다(편무진2005:312).
물론 증보본류는 異本數가 많기 때문에 증보본류에서의「ござなさる」의 사용
례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면이 있다. 그러나 『交隣須知』라는 책자는
본래 일본인이 한국어를 배우기 위하여 편집된 학습서이다. 일본인 학습자(필
사자) 입장에서 외국어에 해당하는 본문의 한국어문보다는 對譯의 일본어문에
상대적으로 당시의 모국어(일본어)가 반영되기 쉬웠을 것을 감안하면(浜田
1970:31-32 참조), 이 「ござなさる」는 江戸 後期의 口語的 現像의 일면으로, 증
보본류에서 그와 같은 당시의 언어현실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단지 「ござなさる」의 경우뿐만이 아니라, 다른 언어현상에 대해서도 『交隣須
知』의 증보본류를 일본 국내의 문헌자료 중 특히 부족한 江戸 후기의 자료적
공백을 메꿀 수 있는 구어자료로 평가할 수 있는 이유이다.
결과적으로 『交隣須知』에서는 전 시대의 계승이라고 할 수 있는 존경동사
「ござる」의 사용례가 필사본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증보본류에서의
「ござなさる」는 전통적인 「ござる」계 존경표현 형식의 쇠퇴 현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당시의 언어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단, 초간본에서 여전
히 사용례가 보이는 것은 명치시기의 규범의식과 더불어 다소 보수적인 편집
의도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교정본에서는 이러한 표현이 사용되지 않게 되
었다.
(3) (さ)しゃる
『交隣須知』의 필사본에서 사용된 대표적인 존경어는 「しゃる・さしゃる」이
다. 이 「(さ)しゃる」는 특히 江戸 前期의 上方語에서 多用되었고, 後期의 江戸
7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語에서는 무사계급이나 승려・학자와 같은 準武士階級에서 비교적 오랫동안
사용되는 경향이 있었다(村松1984:47-48 참조). 이 「(さ)しゃる」는 苗代川本・
古寫本類는 물론 增補本類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것이 刊本類에서
큰 폭으로 감소되면서 대신 「(ら)れる」로 교체되어 사용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리고 불특정 제3자에 대한 명령표현으로 사용되는 예가 많은 것으로 보아
대우표현가치는 그다지 높지 않았던 것 같다.
[3324]
<苗/三23b> 顧 도라보고 뒤흘 피소
カエリミテ ウシロヲ ワキマエサシャレイ
<天/三23b> 顧 도라보고 뒤흘 피소
カエリミテ ウシロヲ ワキマヘサシャレ
<文/三23b> 顧 도라 뒤흘 피소
ウシロヲ カヘリミサシャレイ
<ソ/三53a> 顧
도라보고 뒤흘 피소
カヱリミテ 後ロヲ ワキマヱサシャレイ
<濟/三53a> 顧 도라보고 뒤흘 피소
カヘリ見テ 後ロヲ ワキマヘサシャレイ
<武/三49a> 顧 도라보고 뒤흘 피소
カヱリ見テ ウシロヲ ワキマヘサシャレイ
<初/三36a> 顧 도라보고 뒤를 피옵소
カヘリミテ ウシロヲ ワキマヘラレマセ
<校訂/126> 顧 도라보고 뒤를 히시오
振り返って 後ろを 氣を御つけなさい。
또한 「(ら)れる」에 의한 존경법은, 고사본류에서는 사용례가 적은 수에 불
과하던 것이 증보본류에서 큰 폭으로 확대되어 나타난다.
[4093]
<苗/四06a> 愛 랑시니 감격외
カワヒカラシャレテ カタシケノフコサル
<小/四08a> 愛 랑시니 감격외
カハユガラレマシテ 忝ウゴサリマスル
<ソ/四10b> 愛
랑시니 감격(感激)외
カハユガラレマシテ 忝ウゴサリマスル
<ア/四10b> 愛 랑시니 감격외
カハユガラレテ 恭ウゴザル
<武/四10a> 愛 랑시니 감격외
カワユガラシャレテ カタジケナウゴザル
<初/四08a> 愛 랑시니 감격(感激)허외다
アイセラレテ カタジケナウゴザル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 통시적 연구(2) ー尊敬表現을 중심으로ー ············ 片 茂 鎭…73
<校訂/278> 愛
아모리 랑들 흉(凶)좃차 모르겟소
どれほど可愛いからって わるい處まで 分からずにいやし。
증보본류 중에서도 小田本의 성립시기가 18세기 말인 점을 감안하면, 이 시
기를 포함한 이후의 江戸 후기에서는 존경표현으로 「(ら)れる」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증보본류에 있어서의 이와 같은 현상은 江戸
時期의 존경표현 형식이 「(さ)しゃる」에서 「(ら)れる」로 옮겨가는 과도기적인
경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한편 필사본류에서 「(さ)しゃる」의 사용례가 많이 나타나는 것은 당연히 上
方語의 영향권 내에 속하기 때문이겠지만, 原「交隣須知」가 雨森芳洲에 의하
여 성립된 이후 역시 對馬島 출신의 通事들에 의하여 筆寫・伝承된 경유로부
터 방언적인 요소가 개입되었을 소지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10).
4-2. 校訂本에서 사용된 존경표현
江戸時代의 존경표현이 점차 「ござる」「(さ)しゃる」에서 「御~だ」및「御~
なさる」형식, 즉 「お出でだ」「お書きなさる」식의 표현으로 바뀌게 되면서 말기
에는 이 표현형식이 주류를 이루게 된다(辻村1951:260). 이후 명치시기에서는
「御~あり」「御~なる」「御~になる」와 같이, 동작의 直敍를 피하여 존재・성
립을 나타내는 완곡・간접의 표현법이 술어문 존경표현의 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辻村1992:308 참조). 증보본류에서 「御~なさる」형식의 존경표현이 두
드러지고, 교정본에서「御~になる」형식이 자주 사용된 것 역시 각각 당시의
경어현실이 반영된 결과일 것이다.
(1) (ら)れる
「(ら)れる」는 특히 江戸期 이후 현대까지도 많이 사용되어 온 존경의 조동
사이다. 이 「られる」의 성격에 관해서는, 일찍이 室町 末期의 정황을 기록한
ロドリゲス가『日本大文典』(p.581)에서「いくらか畏敬又は尊敬を払ふに値する人々に
就いて、主にその人の居ないところで話す場合に使ふのが常である」라고 하여 그다지
待遇度가 높지 않은 제3자(상위자)에게 사용된 것이 주된 용법이라고 할 수
있다. 江戸 前期의 上方語에서도 제3자의 행위에 관한 동사에 붙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아 그다지 높은 경의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었다(坂梨
1987:232). 이후 江戸 後期를 거쳐 명치시대에도 「(ら)れる」가 어느 정도 심리
10) 이 「(さ)しゃる」는 방언적으로는 九州北部에서 熊本県에 걸쳐 분포하고(上村1970:76), 대마도에 있
어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고 한다(小倉1915:51).
7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적인 거리가 있는 상위자에 대하여 그 사람을 제3자로서 대우하는 경우에 주
로 사용되었다11). 또한 이 「(ら)れる」에 의한 尊敬語法은 오늘날에는 주로 회
화문보다는 문장체에서 주로 사용되는데(坂梨1987:230), 그 점 역시 역사적으
로 이처럼 일정한 장면적 정황에서 사용되어 온 제3자(소재) 대우로서의「(ら)
れる」의 성격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交隣須知』의 경우, 증보본과 초간본에서는 「(ら)れる」의 용법이 많은 것
이 비하여 교정본에서는 소수의 사용례밖에 나타나지 않는 것은, 초간본이 상
대적으로 문장체적인 것이 비하여 교정본은 회화체적인 본문으로 대폭 수정하
였기 때문일 것이다.
[1531]
<苗/一40a> 任 소임(所任)은 무 소임(所任)을 지내엿던고
ヤクギハ ナニヤクヲツトメサシャッタカ
<ア/一46b> 任 소임은 엇던 소임을 지내엿던가
役ハ トウシタ ヤクヲスキラレマシタカ
<對/一46a> 任 소임은 무 소임을 지내엿가
ヤクハ ナニヤクヲスギラレマスルカ
<初/一36b> 任 소임(所任)은 무슨 소임을 지신잇
ツトメハ 何ノ ツトメヲスグサレマシタカ
<校訂/149> 任 소임(所任)은 무슨 소임(所任)을 지내엿소
役は 何役をして御出でしたか。
초간본이 성립한 明治 前期는 日本語史的으로 東京語의 형성시기로 분류되
기는 하지만, 아직 江戸語가 공통어적인 성격을 띠고 있던 시기이다(松村
1957:20). 초간본에서 「(ら)れる」의 용법이 많은 것은 그러한 江戸語의 영향으
로 볼 수 있겠다.
(2) (御)~なさ(れ)る
전술한 바와 같이 江戸 末期에 많이 사용되었던「御~なさる」의 존경표현은
명치시기에 들어서 더욱 일반화 하게 된다(辻村1951:260). 이 「御~なさる」는
초간본에서 여전히 나타나며, 특히 교정본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된 존경표현
형식이다.
『交隣須知』에서는 존경의 접두어 「御」가 붙은 경우와 붙지 않은 경우가
있다12). 그리고 뒤의 「なさる」도 「なされる」의 형태가 같이 사용되었는데, 특
11) 金沢(1998:299)에 의하면, 明治 中期의 速記本 資料의 경우에도 「れる・られる」는 아는 사이이기
는 하지만 약간 심적 거리가 있는 同等 혹은 上位者에 대하여 그 사람을 제3자로서 대우하는 경
우에 사용하는 것이 중심적인 용법이었다고 한다.
12) 室町時期에서는 보조동사「なさるる」 앞에 「お」가 붙어 大敬語 즉 극존칭으로 사용되었지만, 江
戸時代에 와서는 「お」를 붙이지 않는 경우도 늘어나면서 양자 사이의 대우표현가치는 거의 동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 통시적 연구(2) ー尊敬表現을 중심으로ー ············ 片 茂 鎭…75
히 교정본에서는 현대어와 같은 「なさる」로 통일되고 1段動詞의 「なされる」
는 1예에 불과하다.
[3934]
<苗/三67a>
<天/三67a>
<ソ/二76a>
<濟/二76a>
<初/二54a>
<校訂/128>
[3430]
<苗/三31b>
<武/三60a>
<初/三44b>
<校訂/156>
去
去
去
去
去
去
가시다가 도로 오쇼셔
ユカシャレテ マタ ヲイテナサレマセイ
가시다가 도로 오쇼셔
ユカシャレテ マタ ヲイテナサレマセイ
가옵시니 결연(缺然)여 옵이다
ヲカヱルナサルニヨリ ノコリ多ウ 存シマスル
가옵시니 결연(缺然)여 옵이다
ヲカヱリナサルニヨリ ノコリヲウ 存マスル
가시니 결연(缺然)야 허옵다
オカヘリナサルニヨリ 殘リ多ク 存ジマス
가시니 결연(缺然)여 옵다
御歸りなさいますので 御名殘惜しうございます。
謫 귀향 보내엿다가 과(改過)거든 샤소
ルサイニヤッテ アヤマチヲアラタメタラハ ユルサシャレイ
謫 귀향 보내엿다가 과거든 샤게 소
ルザイニヤッテ 過ヲ改タラバ ユルスヤウニ サシャレイ
謫 귀양 보내엿다가 과허거든 샤게 허옵쇼셔
流罪ニヤリテ 改メ過ヲ:タラバ 赦スヤウニ ナサレマセ
謫 귀양 보내엿다가 과(改過)거든 샤(赦)게 옵시오
流罪にして置いて 改心したら 赦しておやりなさいまし。
또한 이 「なさる」는 「なさい」라는 명령형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아울러서
위의 예처럼 「御~なさいまし」와 같은 구어체적 명령표현 형식이 교정본에 23
예나 보인다.
(3) 御~になる
현대 공통어의 대표적 존경표현인 「御~になる」는 본래 武家의 문장어 계
통을 잇는 것으로 江戸時代 末期에 하나의 존경표현 형식으로 성립되었으나,
이것이 口頭語로서 일반화 된 것은 명치20년대 이후이다(辻村1951:271).
명치20년부터 30년대의 작품 중에서 동작에 관한 경어표현의 표현방식을 辻
村씨가 표로 정리한 것이 있는데(辻村1992:409), 명치시대의 경어에 관한 유익
한 史的硏究資料가 된다. 그 표 중에서 『浮雲』(명치20~22년)와 『いき草』
(명치30년)의 자료만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일하게 되었다(山崎1963:780 참조).
7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표3】명치2,30년대 작품에 나타나는 동작에 관한 경어 표현형식
表現形式
作品 浮雲
うき草
御~あそばす
1
9
御~になる
0
13
御~なさる
93
77
御~です
2
9
御~だ
51
17
…なさる
11
13
…(ら)れる
0
9
「御~なさる」형식이 양 작품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이 형식이 당시
의 존경표현 형식으로 가장 일반적이었다는 것을 말해 준다. 한편「御~にな
る」형식은 명치20년대의 『浮雲』에는 전혀 나타나지 않다가 30년대의 『いき
草』에는 13예가 사용되고 있어 당시의 추이를 엿볼 수 있다13). 현대일본어의
전신인 東京語的인 존경표현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交隣須知』의 초간본(명치14년)에 사용례가 보이지 않았던 「御~になる」
형이 명치37년의 교정본에 다수 사용되고 있다. 교정본은 그러한 언어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4485]
<苗/四34b> 遞 라 가시니 모든 사이 앗기
カワッテ ユカシャルニヨリ ミナノ 人ガ ヲシミマスル
<小/四47a> 遞 라 가시기로 모든 사이 앗기
カハッテ ヲカヱリナサルユヱ 皆 人 ヲシミマスル
<ソ/四64b> 遞 라 가기로 모든 사이 앗기
カワッテ ヲカヱリナサルニツキ ミナノ 人ガ ヲシミマスル
<武/四47a> 遞 라 가시니 모든 사이 앗기
カワッテ ユカシャルニヨリ ミナノ 人ガ ヲシミマスル
<初/四36a> 遞 라 가시니 모든 셩이 악기옵네
代ッテ オカヘリナサルニヨリ 皆ノ 百姓ガ ヲシミマス
<校訂/150> 遞 녀 가시니 모든 셩(百姓)이 앗기옵다
御かはりになりましたので 人民が皆 惜しがってゐます。
그리고 이 「御~になる」형식의 사용례 중 반 정도는 현대어의「行く・来る・
出る」의미를 가지는 下二段動詞 「出づ」의 존경표현「おいでになる」이다. 본
고에서는 이 「おいでになる」를 독립형으로 다루지 않은 관계로 존경표현 형
식의 표에 포함시키고 있지만, 교정본 당시에도 江戸時代로부터의 「御~なさ
13) 『うき草』에서 「御~あそばす」의 사용례가 증가한 것은 이 작품이 귀족사회를 그린 것이기 때문
이다(辻村1992:411).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 통시적 연구(2) ー尊敬表現을 중심으로ー ············ 片 茂 鎭…77
る」형식이 주를 이루는 상황에서 「御~になる」형식이 새로 도입되어 일반적
으로 사용되어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辻村씨가 앞서 조사한 당시의 경어표
현 형식의 추이와 대략 비슷한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동시에 교정본에서 이와 같은 새로운 표현형식의 사용례가 보인다고
해도, 사본류의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사용례가 많은 것은 아니다. 그것
은 사본류의 「居る」「見る」와 같은 기본동사가 「いらっしゃる」「ご覧なさる」
와 같은 독립형(교체형) 존경동사나 표현으로 교체되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초간본까지의 「(さ)しゃる, (ら)れる, なさる」등에 의한 존경표현 형식의 출현 빈
도수에 비하여 교정본에서의 존경표현 형식의 총 숫자는 소수에 불과하다.
참고적으로 이와 같은 기본동사류의 독립형 존경동사 현황은 다음과 같다.
【표4】『交隣須知』기본동사류의 독립형 존경동사
尊敬動詞
異本 苗代川本 古写本類 増補本類 初刊本 校訂本
居る いらっしゃる
1 10
おっしゃる
1
1
1
言う おおせられる
6
思う おぼしめす
1
1
7
1
ごらんなさる
1
1
1
1
40
4
2
見る ごらうじる
ごらん
3
ごらんです
1
めしあがる
1
食べる あがる
2
1
会う おめにかかる
2
3
2
7
이 중 「いらっしゃる」는 上方語가 아니라 江戸語로서 새로이 성립된 것이다
(小松1985:112). 특히 교정본에서의 이러한 현상은, 당시「居る, 行く, 来る, 見
る」와 같은 기본동사류는 일정한 형식을 빌린 존경표현보다는 독립형 존경동
사 표현을 주로 사용하였다는 것을 의미하여, 이는 현대어와 동일한 현상이라
고 할 수 있다14).
(4) 御~だ
「御~なさる」의 경우와는 달리, 江戸 末期의 대표적인 존경표현 형식 중의
하나인 「御+동사연용형+だ」계의 존경표현은 『交隣須知』에서 그다지 일반
14) 朴重華의 『修正増補日語大海』(1912)에 다음과 같은 사용례가 보인다.
前者붓허
先達から奥様貴夫人이
が御病気ださうでしたが、此の頃は御直りに成りましたか。
病患이라드니 近者에​​
낫시게 되야습닛가 <156>
7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적이지 않다. 우선 「御~だ」형의 존경표현은 사본류에서는 사용례가 보이지
않다가 초간본에 1예, 교정본에서 「おいでだ」를 중심으로 한 사용례가 소수
나타날 뿐이다. 그리고 교정본에서 공손한 표현으로서의 「です」용례는 많으
나 존경표현으로서의 「御~です」의 예는 극소수이다. 이는 「御~です」형의
존경표현에 대해서는 명치2,30년대의 문학작품 등에서도 그 사용례가 적었다는
辻村씨의 조사결과를 감안하면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역시 교정본에서 당
시 존경표현의 주류가 「御~なさる」나 「御~になる」형식이었다고 하는 일상
적인 경어현실을 반영한 결과로 생각된다.
한편 「御~でござる」에「ます」를 붙여「御~でござい(り)ます」형으로 사용된
존경표현이 사본류에는 물론 간본류에도 소수 보인다.
[3962]
<苗/三69b> 降 려오시니 브시오리
クダッテゴサッテ ツカレサシャリマショ
<ソ/二79a> 降
려오옵시니 브시올쇠
下ッテゴサッテ ヲツカレデゴサリマセウ
<濟/二79a> 降 려오시니 브시올쇠
下ッテゴザッテ ヲツカレデコサリマセウ
<初/二56a> 降 려오시니 부시오리다
下ッテゴザッテ オツカレテゴザリマセウ
<校訂/128> 降 려오시니 부시오리다
下って御出なすって 御草臥でございましょう。
[4454]
<苗/四32a> 勞 슈고로이 먼 길을 오시니 부시오리
ゴクロフニ トヲイ ミチヲ ヲイテナサレテ ヲツカレテゴサリマショフ
<沈/四05b> 勞 슈고로이 먼 길을 오시니 부시오리
ゴクラウニ トヲイ 道ヲ ヲ出ナサレテ ヲツカレテコサリマショウ
<小/四34b> 勞 슈고로이 예지 오시니 브시올쇠
ゴクラウニ コレマデ ヲ出ナサレテ ヲツカレデゴサリマセウ
<初/四34a> 勞 슈고(受苦)로이 먼 길을 오시니 시오리다
ゴ苦勞ニ 遠路ヲ オイデナサルニヨリ オツカレナサレマセウ
<校訂/307> 勞 슈고(受苦)로이 먼 길을 오시니 부시오리다
御苦勞にも 遠方をおいでなさいまして 御つかれでございましょう。
그러나 이 경우는, 우연의 일치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거의「疲れる」라고
하는 한 동사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15). 이 표현형식 역시 그다지 일
15) 나머지 한 동사는 「でちがう」이다.
[3972]
<ソ//二80a> 出入 츌입이 빈々외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 통시적 연구(2) ー尊敬表現을 중심으로ー ············ 片 茂 鎭…79
반적이지 않았던 것 같다. 단, 특히 사본류에서 문말에 조동사「ます」와 같이
사용하여 대우표현가치를 높이고 있는 것은 근세시기 경어법과 궤를 같이한다
고 할 수 있다. 주로 명사(혹은 형용동사의 어간)와 같이 쓰여 ‘단정’을 나타내
는 경우에는 「~でござる」형식인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증보본류에서의 「~でござります」가 초간본에서 나타나지 않는 것은
존경표현이 「(ら)れる」나 「御~なさる」와 같은 표현형식으로 교체되었기 때문
이다. 명치시대 초기에 있어서 아직 「御~なさる」가 영향력 있는 존경표현 형
식이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交隣須知』에 나타나는
일본어의 존경표현은, 고사본류의 「(さ)しゃる」, 증보본류의 「(さ)しゃる」「(ら)れ
る」「(御)~なさ(れ)る」 등에 의한 존경표현이 초간본에서는 「(ら)れる」로 통합
되고, 그것이 교정본에서는 「御~になる」 및 「御~だ」계를 중심으로 한 다양
한 존경표현형식으로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하나의 경향성으로 파악할 수 있겠
다.
5. 마무리
『交隣須知』의 일본어가 전체적으로는 당시의 공용어적인 언어현실을 반영
하면서 전승되어 왔다는 역사적 배경을 전제로, 본고에서는 각 시대어별로 특
징적인 존경표현을 중심으로 통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交隣須
知』는 각 이본별로 당시의 존경표현의 변화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선 필사본들은 江戸時代의 上方語를, 苗代川本을 비롯한 고사본
류는 대략적으로 江戸 前期의 上方語, 증보본류는 江戸 後期의 上方語를 반영
하는 문헌자료로 분류 가능하다고 본다. 그리고 초간본에서는 사본류의 上方語
的 요소가 쇠퇴하면서 다른 존경표현 형식으로 교체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그
또한 당시의 일반적인 언어현실, 즉 上方語에 대한 江戸語라는 시대언어적 상
황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교정본이 성립된 명치 후기는 현대일본어
의 전신인 東京語가 확립된 시기로, 교정본에는 당연히 현대어적인 요소를 많
デイリガ シゲシウゴサル
<濟//二80a> 出入 츌입이 빈々외
テイリガ シゲシウコサル
<初/二57a> 出入 츌닙(出入)허여 계시요
オデチガヒデゴザリマス
<校訂/129> 出入 츌입(出入)여 게시오
御留守でございますか。
8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이 담고 있다. 이와 같이 『交隣須知』의 통시적 연구를 통하여 사본류에서의
존경표현이 초간본과 교정본을 거치면서 현대어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효과
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交隣須知』는 日本語史에서의 上方語
와 江戸語, 그리고 현대일본어의 기반이 되는 東京語로의 변화상을 반영하고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겠다. 물론 江戸語라 하더라도 上方語的 요소가 포함되
는 등 兩者를 확연히 구분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면도 존재하다16). 그러나
그렇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언어현상에 대하여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고, 그러
한 과정을 거쳐서 보다 객관적인『交隣須知』의 자료적 가치가 규명될 수 있
으리라고 생각한다.
16) 가령 사본류에서 사용되었던 指定의 助動詞「ぢゃ(じゃ)」가 초간본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으며,
上方語의 「ぢゃ(じゃ)」에 대하여 江戸語의 특색이라고 말해지는「だ」는 초간본에서 전혀 사용되
고 있지 않다. 한편 역시 江戸語의 특징 중에 하나라고 하는 原因・理由를 나타내는 「から」도
초간본에 2예밖에 사용례가 없는 반면에 苗代川本에는 초간본보다 많은 3예, 증보본류에는 총 13
예의 사용례가 보인다. 그리고 이 「から」는 교정본에서 350여 개의 사용례가 보일 정도로 일반
적인 원인・이유 표현으로 나타나고 있다. 斎藤(2002:152)도 일부 문법사항의 예를 들어 『交隣須
知』의 일본어를 上方語와 東京語로 단순히 분류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 통시적 연구(2) ー尊敬表現을 중심으로ー ············ 片 茂 鎭…81
【참고문헌】
小倉進平(1915) 「対馬方言(下)」『国学院雑誌』21-3, pp.49-58
(1936) 「「交隣須知」に就いて」『国語と国文学』13-6, pp.1-16
金沢裕之(1998) 『近代大阪語変遷の研究』和泉書院
上村孝二(1970) 「九州方言の諸相」『鹿児島短期大学研究紀要』12, pp.71-84
小松秀雄(1985) 『江戸時代の国語(江戸語)』東京堂出版
斎藤明美(2002) 『「交隣須知」の日本語』至文堂
坂梨隆三(1987) 『江戸時代の国語(上方語)』東京堂出版
辻村敏樹(1951) 「『お…になる』考」『国文学研究』25(『敬語の史的研究』所収.
pp.251-275)
(1992) 『敬語論考』明治書院
土井忠生訳(1955) 『ロドリゲス 日本大文典』三省堂
松村 明(1957) 『江戸語東京語の研究』東京堂出版
(1977) 『近代の国語ー江戸から現代へー』桜楓社
安田 章(1973)「重刊改修捷解新語解題」『三本対照捷解新語釈文・索引・解題篇』
浜田 敦(1970) 『朝鮮資料による日本語研究』岩波書店
山崎久之(1963) 『国語待遇表現体系の研究(近世編)』武蔵野書院
湯沢幸吉郎(1981) 『室町時代言語の研究』風間書房
(1936) 『徳川時代言語の研究』刀江書院 (1934) 『江戸言葉の研究』 明治書院
(1954) 『増訂江戸言葉の研究』明治書院
片茂鎭(2005a) 『「交隣須知」の基礎的研究』제이앤씨
(2005b) 『諸本對照 交隣須知』제이앤씨
(2006) 「「により」考」『表現研究』84. pp.38-46, 表現学会
(2007) 「『交隣須知』日本語の特殊性」『比較文化研究』74. pp.1-9, 日本比
較文化学会
(2008)「苗代川地方伝来朝鮮語学習書類の日本語の地域性について」『比較文化
研究』84. pp.81-91, 日本比較文化学会
(2010) 「『交隣須知』筆寫本과 刊行本의 일본어 어휘 비교」『일본문화학 보』45, pp.47-66, 한국일분문화학회
(2012) 「刊本類『交隣須知』에 의한 한일 근대어의 통시적 연구」『일본문 화학보』55, pp.95-116
(2014) 「『交隣須知』를 통한 일본어의 통시적 연구(1) ―副詞語를 중심
으로―」『일본문화학보』61, pp.63-81
8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要 旨
『交隣須知』における日本語の尊敬表現を通時的観点から眺めた場合、苗代川本をはじめ
とした古写本類の「さしゃる」、増補本類の「さしゃる」「られる」「(御)~なさ(れ)る」などに
よる尊敬表現が初刊本では「られる」に統合され、それがまた校訂本では「御~になる」およ
び「御~だ」系を中心とした多様な尊敬表現形式で現れるということを一つの傾向として捉える
ことができた。そして、各異本別に当時の言語の変遷相がよく反映されていると言える。まず、
筆写本類は江戸時代の上方語を反映するものとして、苗代川本をはじめとした古寫本類は江戸
前期の上方語、增補本類は江戸後期の上方語を反映する文獻資料として位置付けられよう。
いっぽう、初刊本は明治前期の文献ではあるものの、上方語の影響圈を抜け切っていない言
語現実を反映するものとして、まだ現代日本語の前身である東京語の色彩は薄いと言える。今
後、多様な言語現象から初刊本における江戸語的な要素を究明していく必要があろう。そして
校訂本は明治後期の言語現象を反映するものとして、現代語的な要素が多く現れている。この
ような『交隣須知』の通時的な研究を通して、寫本類からの尊敬表現が初刊本と校訂本を経
て現代語的に変化していく過程を効果的に把握することができた。『交隣須知』は日本語史
における上方語と江戸語、そして現代日本語の基盤となる東京語への変化相を反映する資料
と言る。
キーワード:交隣須知, 尊敬表現, 上方語, 江戸語, 東京語, 通時的研究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재확정일 : 2015. 7. 4
일본이 기억한 안용복
-『竹島紀事』와『竹島考』를 중심으로 병 우*
(e-mail: [email protected])
1)김
目 次
1. 머리말
2.『竹島紀事』의 안용복
3.『竹島考』의 안용복
4. 맺음말
1. 머리말
일본의 일방적인 독도영유권 주장으로 인해 한국과 일본은 긴장과 마찰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지난 60년간 한 번도 중단된 적이 없다. 더구나 식민지와
해방이라는 양국의 상반된 입장이 당대에 일어나는 국내·외의 정치적 상황과
맞물리면서 미래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했다. 특히 최근 아베정권의 역사인식과
일부 우익 정치인들의 동향은 독도 도발의 강도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예상하
게 만든다. 그럼에도 우리는 반세기 이상 지속되어온 ‘독도영유권’ 논쟁의 종식
을 통해 새로운 한·일 관계의 정립과 미래지향적인 상생발전의 길을 도모하는
시대적 과제를 외면할 수는 없다.
독도영유권 논쟁은 역사적 사실에 대한 검증과 그것에 기초한 공통의 인식
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에서 출발해야만 한다. 이것은 국민적 감정이나 정치적
이해관계, 이와 연관한 민족적 가치를 배제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며, 결국
역사적 사실검증과 가치판단의 명확한 기준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
다. 그리고 안용복을 바라보는 시각의 교정과 자료의 엄밀한 검증이 필요하다.
* 대구한의대학교 교수
8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한국과 일본의 독도영유권 문제의 핵심은 ‘안용복’의 존재와 행위의 진실성
에 있다.1) 안용복은 조선에서 태어나 조선에서 산 조선인이지만, 독도 영유권
과 관련한 행적은 일본을 무대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선에는 그의 진술을
바탕으로 한 단편적인 기록만 존재하고, 일본에는 그가 활동한 지역별로 다양
한 기록이 남아있다.2) 일본에 안용복의 공적·사적 기록들이 남게 된 이유는
안용복이 평범한 어부만은 아니었다는 사실과, 안용복의 일본행이 돗토리 번과
쓰시마 번에 중차대한 영향을 미치는 일대사건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일본
은 그들의 입장에서, 그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안용복의 존재와 행적을 이해하
고 기록했던 것이다. 그 결과 조선의 안용복과 일본의 안용복은 전혀 다른 인
물이 되었고, 한국과 일본의 연구자들은 각기 자기가 만든 안용복을 내세워 독
도영유권을 주장하고 반박하기를 거듭해 왔다.
한국과 일본의 문헌을 통해 안용복의 활동과 실체를 규명하는 과정에서 안
용복은 그의 신분이 노비로 이해되었다.3) 안용복은 서울에 사는 오충추의 노
비로 어물을 상납했으며, 오충추는 동래를 거점으로 대일무역에 종사한 역관이
거나 富商大
다고
해 안용복의 실체가 구체화되었다4). 조선에서는
로 출신이면서 어부로만
진 안용복이 일본자료인  도고의
를 통
해 그 실상의
을
것은 실체에 근 하는 길을 연 이다. 그러나 일본
자료인  도고와  도기사 의 내용을 면밀하게 검토하면 기록의 신 성
과 인물 이해가 부자연
다5).
안용복의 신분과 행적은 역사적 사실과 부 되어야 한다. 동래 관에서 일
군
賈였
파악
윤곽 밝힌
죽
죽
스럽
케
알려
등
죽
셈
접
합
포 트 5
능
호패
빙
왜
합
1) 일본은 외무성의 ‘다 시마 10 인 ’ )를 통해 인용복의 진술내용이 사실과 부 하지
않고, 기록에 없는 내용이 있다는 점을 들면서 신 성이 없다고 주장한다. 일본과 일본의
연구자들은 안용복의 존재와 행적은 인정하면서도, 그의 일본에서의 행위와 조선에서의
진술내용을 신 하지 않고 있어 상반된 모 을 보이고 있다. 한 토리 번과 쓰시마
번이 일본에 온 안용복을 대하 다는 사실은 진실로 간주하기도 한다. 동시에 위에
하고
한 범 자에 과한 안용복을 대한 이유는 명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일
본의 입장과 태도가 어 에서 기인하는 것인가 하는 점을 추적하는 일은 의미가 있다.
2) 독도
안용복과 관련한 일본의 대 적 기록은 『竹島紀事』,『竹島考』,『
』,『
』,
『竹島
』,『
,竹島
』 이 연구 자료로
이 활용되고 있다.
3) 안용복 관련 연구성과는 김병우(2011), 안용복 연구 황과 과제 , 주사학34, 주사학
고.
4) 이준구(2004), 안용복-어부의 신분, 울 도·독도 수
,영남일보(2004,66,22일 연재) : (200 ),
1 세기 말
· 적이 말하는 울 도·독도 수 안용복과 박어 ,조선사연구14. 조선사연구
. 안용복과
납치된 박어 을 통해 안용복의 실체를 규명한 것은 안용복 연구의 새로운 지
평을 었다고 평가된다. 이 안용복은 사노이며 외거노비로 이해되면서( 병기(200 ,울 도와
독도(재정판),단국대출판부)그 실상이
더 명확해 다.
) 안용복의 주인인 오충추는 실존 부를 확인할 수 없으며, 안 성을 사용하고 있어 성도 없는 사
노로만 이해하기 어 다.
로‘
’이라고 한 점에서 무관일수도 있어 사노라고만 한정하기
도 어 다.
뢰
능
많
7
회
5
빙
습
또 톳
후 였
허
월경 법 불
후
설
디
및
표
控帳 御用人日記
渡海由來記拔書控 元祿九丙子年朝鮮舟着岸一卷之覺書 之書附 등
현
경
경 회참
릉
파 꾼
5
호패 호
릉
파 꾼
둔
함께
둔
열
후
송
7 릉
좀
졌
여
씨
렵 스스 安裨長
렵
억
일본이 기 한 안용복 -『竹島紀事』와『竹島考』를 중심으로 - ······················ 김 병 우…85
賈 譯官
못
났
어나는 교역은 商 와
사이에서도 일어 다. 이 과정에서 역관들은 자신의
물건 을 아보지 하도록 자신의 신분을 감추었는 , 이를 위해 서울의 사
노로 가 하기도 했다6). 이러한 시대적 실을 고 한다면 결국 안용복은 역
관으로서 서울에 사는 오충추의 사노로 가 하
인과 사사로이 무역을 하
는 商이 된다.7) 이러한 연구는  도고의
에 의거한 안용복의 신분 이
해의 한계를 적시한 것이며, 안용복의 실체와 행적 규명에 새로운 길을 었다
고 할 수 있다.
일본이 기록한 ‘
’에 주 하 안용복을 ‘사노 용복’으로 이해하는 것은
다시 검토되어야 한다. 더구나 일본이 기록한  도고나  도기사가 안용
복의 활동에 대한 전모를 사실적으로 남긴 것도 아니다. 그러므로 안용복의 신
분과 행적에 대한 일본 기록의 비판적 수용을 위해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8)
일본이 기 하는 안용복을, 그것도 당대에 인식한 안용복의 용모와 신분, 행적
들을 추적하는 일은 안용복의 행적과 실체를 확인하는 길이다.9) 안용복의 존
재와 인식이 결 될 때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은 무 화 될 것이며, 우리는
진정한 안용복의 상을 조명하게 될 것이다.
일본은 안용복과 마주한 당대에 장 와 시기에 따라 안용복을 이해하고, 그
들의 입장에서 안용복의 용모와 행적을 기록했다. 그 결과 안용복은 한 사
에도 그의 신분은 다양하 고, 상 간 대 도
으며, 그가 차지한 위상도
다. 이것은 돗토리 번의
에 의해 사적영역에서 기록된  도고의 내
용과 쓰시마의 명 으로 가신에 이해 작성된  도기사10)도 결국 쓰시마번의
임 알
탁
현
潛
죽
호패
려
탁 여왜
호패
목 여
데
열
죽
죽
억
합
력
소
였
달랐
령
숙
7 호
藩士
호
숙
월 9 갑
9
숙
경
9
회
소 5쪽 호 숙
회
여
척 루
였 경 북
경 북
경 북
회
죽
람임
응 달랐
죽
죽
6)  종실록 종 36년 3 2 일( 오).
) 김 동(200 ), 조선 종조 영토분쟁의 배 과 대 에 관한 검토-안용복 활동의 새로운 검토를
위해 ,대구사학 4, 대구사학 . :(2012), 竹島考 분
독도영유권확립을 위한 연구, 영남대
독도연구 , 1 . 김 동은  종실록의 기록을 근거로 하 별 역관 안신 를 안용복으로 비
정하 안용복의 실존과 실체를 분명히 하고자 했다.
) 상 도 독도사료연구 는 안용복 관련 국내외 자료 분 을 통해 안용복 활동의 복 과 재조명
작 을 진행하 상당한 진 을 이 었으며, 일본자료의 번역을 통해 국내 연구자들의 안용복 관
련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 다. 상 도 독도사료연구 (2010), 2010 상 도 독도사료연구 연
구보고서 , 상 도 : (2012), 2011년 상 도 독도새료연구 연구보고서 , 상 도·(재)안용복
재단 (2014), 안용복활동의 재조명 학술세미나 발 문, 상 도 독도사료연구 . 상 도 독
도사료연구 , 정영미 역(2010),  도고(상)·(하), 상 도 : 상 도 사료연구 ( 2013).  도
기사, 도서출판 지성인.
) 최근 안용복의 행적과 관련한 일본자료의 전문이 번역되어 연구에 은 도 을 주고 있다. 그 대
적인 자료들을
하면 다음과 다. 권오 오오니시 토시
편역주(2011),『 도기사』, 한
국학술정보(주) : (2011), 도도해유래기발서공(상),(하)』, 한국학술정보(주). 오오니시 토시
권정 역(2011),『안용복과 록각서』, 한국학술정보(주). 상 도 사료연구 정영미 역(
2010),『 도고(상)·(하)』, 상 도. 상 도 사료연구 )(2013),『 도기사』, 도서출판 지성인.
권 성(2013),『 도고(상)·(하)』, 인문사 이 바로 이 자료들이다.
10) 본고는 안용복 연구의 가장 핵심적인 자료로 지적되고 있는 『竹島紀事』와 『竹島考』를 통해
여
8 경 북
업
;
9
표
저
죽
혁
응
석
여 견
석
휘
원
회
경 북
회
회
경 북
표 경 북
회경 북
경 북 경 북
회
죽
많 움
소개
같
엽/
데루
죽
죽
테루
원
경 북
회/
경 북 경 북
회
죽
죽
등
런
8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려 였
객
입장을 고 하 기 때문에 전적으로 관적인 기록으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
다.11)
이러한 이해를 전제로 일본이 기록한 안용복의 실체를 복 하는 것이 본 연
구의 적이다. 다양한 신분과 용모로 기록된 안용복을 추적 으로 기록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그 기록의 주관점을 관화하 안용복의 행적과 일본의 대
, 특히 돗토리 번과 쓰시마 번의 조선과 안용복에 대한 인식과 대 의 동
성과 차이점은 물 그 화과정을 추적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 과 이해는 안용복의 실체와 행적의 진실성을 혀
만 아니
라 한국에서의 ‘사노 용복’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제고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그리고 기록과정에서 색되거나 조작된 부분들이 수면위로 오 면서 역사
적 진실성을 복할 것이다. 더구나 안용복의 울 도와 일본행의 적이 더 선
명하게 부각될 것이며, 일본이 만들어
안용복 의 구가 혀 것으로
기대한다. 결과적으로 안용복의 실체에 기초한 한국과 일본의 공통의 인식의
방향을 모색하는 길을 어
것이다.
목
객
응
석
원
함 써
여
응
론 변
밝 줄뿐
윤
회
질
떠 르
릉
목
像 허 밝 질
낸
열 줄
2. 『竹島紀事』의 안용복
9 숙 9
벌
『竹島紀事』는 16 3년( 종 1 년)에 발생한 안용복 납치사건을 계기로 조선
정부와 일본의 쓰시마 번이 인 외교적 교 에 대한 쓰시마 번의 가신에 의
해 편 된 공식기록이다. 안용복의 납치로 인해 양국은 울 도 영유권에 대한
교 을
으며, 동일한 사건 에도 한국과 일본은 각각 ‘
島
’, ‘竹島
’으로 리 명명했다. 이것은 하나의 역사적 사실을 각기 자국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해 하 , 자신의 주장을 증명하는 논리로 고 있다는 실을 명
하게 보 주는 것이다.
『竹島紀事』는 쓰시마
던 고시 쓰 에 (
)이 1 26년 12
에 편 했지만, 사건 당시 쓰시마 번
던 오우라 리 에 (大
)
이 필하고, 아 노모리
(
)가 교 했다. 그러므로 당대의 공식기
록문서라는 점에서는 사료적 가치가 우 게 평가 고 있지만, 쓰시마 번의
가신들이 자료를 사선 하 기록하 다는 점에서 관성이 어지고, 그 진
찬
섭 벌렸
件 달
여
섭
릉
鬱陵 爭界
임
석 여
찬
집
삼
현
一
극
藩士였
네 몬 越常右衛門 7
월
家老였
쿠 몬 浦陸右衛門
메
호슈 雨森芳洲 열
매 높
받
취 택 여
였
객
떨
접
죽
9
엽
석 였
뢰
변
회 7쪽 ; 쪽
일본이 기록자들이 이해한 안용복의 실체에 근하고자 한다.  도기사는 주 )의 권오 의 번역
본과 상 도 사료연구 번역본,
도고는 정영미의 번역본을
로 아 분 하 다.
11) 박지영은  도기사가 쓰시마 번의 가신들이 술한 사료라는 점에서 내용의 신 성에 문제점
이 있다고 지적하 공적인 기록이기 때문에 관성이 보하고 있다는 인식의 화를 주고 있다.
박지영(2014), 안용복할동의 재조명 학술세미나, 상 도독도사료연구 ,
10 .
경 북
죽
회
여
죽
객
저
담
경 북
텍스트 삼
억
일본이 기 한 안용복 -『竹島紀事』와『竹島考』를 중심으로 - ······················ 김 병 우…87
렇
받
회 엿볼
움
즉 9
릉
호
끼친
실성에 의문이 있다. 그 지만 조선과 쓰시마가 공식적으로 주고 은 외교적
문서가 용되고 있어 당시 조선과 일본의 정치 외교적 상황과 사 상을
수 있다. 그러므로 사건의 시대적 배 이해에 은 도 을 준다.
16 3년
(
6년)부 16 년( 종3 , 록12) 지의 외교관계와 울 도에 대한 상
간의 인식의 화를 고 있어 안용복 사건이 조선과 쓰시마에
영향의
규모와 성 을 보 준다.
 도기사는 안용복을 을 어기면서 어로활동을 한 범 인으로, 조선과 일
본에서 외교적 분쟁을 일으 중 인이라는 입장을 지한다. 안용복이 음
납치된 것은 16 3년 4 이었다. 그는 3 ( 종 1 년) 울산출신 어부 40명과 전
복과 미역을
하기 위해 도(울 도)에 들어 다. 이들은
을 하다가 4
일 일본
(
)주 요나 무라(
)의 오야가(大
) 속 어부들
과 만 다. 양국의 어부들은 도에서의 어 영역과 주도권 문제로 충돌하
고, 이 과정에서 안용복과 박어 은 납치되어 돗토리 번으로
다. 이때
안용복과 박어 은 별다른
을 하지 않 다. 이들이 돗토리 번에 연행된 것
12)
은
1일 이었다.
안용복 일행은 오 와 이나바에서 각각 조사를
다. 그리고 부의 명에
의해
일 이나바를 나 6 말에 나가사 에 도 했다. 이 과정에서 안용
복과 박어 은 납치된 인물로는 이해하기 든 특별한 대우를
다. 가마를
이용한 로이동과 인
0명의 위를
기 때문이다.
나가사 에서도 중적인 심문을
으며, 진술은
로 정리되었다.
전체적으로 보아 안용복은 이나바와 나가사 에서 동일한 내용을 구술하 고,
쓰시마 번은 안용복의 진술을 신 성이 은 것으로 판단했다. 그러나 쓰시마
의 입장에서 중요한 것은 안용복의 존재가 조선과 일본의 외교문제, 게는 일
본과 조선외교의 중계자인 쓰시마 번의 이익과 어 게 부 시 것인가에 있
었다. 이 점에서 쓰시마 번은 안용복의 존재와 그에 대한 인식이 우 중요
했다.
쓰시마 번이 인식한 안용복은 정확하고 일정한 것이 아니었다. 쓰시마와 조
선 사이에 외교문제로
을 는 과정에서 안용복의 존재와 그에 대한 인식
의 화를 보 다.『竹島紀事』는 안용복을 ‘조선인’으로 지 하면서도 한편으
원
경
많
元祿
터 99 숙 8 원 까
변 담
격 여
죽
법
죄
킨 죄
견
처
9 월
월숙 9
채취
죽 릉
갔
漁獵
월7
호키 伯耆
코 米子村
谷家 소
났
죽
업
였
둔
끌려갔
둔
저항
았
5월
키
받았
막
5월 7
떠 월
키 착
둔
힘
받았
육
총 원 9 호 받았
키
집
받았
口上之書
키
였
빙 높
좁
떻 합 킬
런
매
변
였
죽
큰
죽
갈등 겪
칭
猛性强暴
알려져 혹
폭
녀
경
금
였
7쪽 렇
잘
응
목
폐 려
죽
월 7
키 착
월
키섬
여 5월
착
12)  도고에 의하면 안용복
한 자로
시 길 가는 도중에 난 한 행동이라도 하
면 일이다 어 부 자와 유아가 길에 나와서 구 하는 것을 지할 정도 다(정영미 역(2010),
 도고(상)·(하) 22 ). 이 게 인식된 안용복이 더구나 일본말도
하면서 별다른
을 하
지 않고
히 납치에 한 것은 그의 일본행에 대한 적을 은 하 는 의도가 있었다고 이해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문을 가지면서『 도기사』가 기록한 안용복의 실체를 추적해 본다. 안용복
이 울 도에서 일본인을 만난 것은 4 1 일이며, 오 에 도 한 것은 4 22일이다. 그리고 이들
은4 2일오
을 출발하
1일 돗토리에 도 했다.
싶
순순
릉
월 8
저항
8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줄 르
등
표현
로는 ‘어민’, ‘일본어를 할
모 는 자’, ‘각별한 존재’ 으로
하고 기록
했다. 안용복의 도(울 도) 도해의 적에 대해서는 ‘전복과 미역’을
하
기 위한 것이라면서도, ‘고기 이’, ‘ 인적
이’ 으로 이해하기도 하고, 결
국에는 ‘밀무역’, ‘商 ’, ‘
인’ 으로 구체화하는 화를 보이고 있다.
쓰시마 번의 안용복 이해와 인식의 화는 도(울 도)에 대한 인식의 화
와 를 이 했다. 도를 일본의 속도라고 인식·주장하다가 조선의 영토로
결시 는가 하면, 일본인의 도해 지 이유에 대해서는 ‘ 통과 사시의 단’
때문이라고 분명히 하기도 했다. 안용복이 도로 건 간 것은 단 한 어 만
이 아니라는 사실은 분명했다. 쓰시마가 안용복을 밀무역’,‘商 ’ 으로 기록하
고 있는 점에서 도(울 도)를 밀무역의 근거지로 확신하고 있었음이 분명하
기 때문이다.
일본과 쓰시마의 인식과 관점의 화를『竹島紀事』의 기록을 중심으로 면
밀하게 분 하면 ‘울 도쟁계’의 핵심과 동시에 안용복의 실존적 행적과 인물
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의 실마리를 을 수 있다.『 도기사』를 통해
수
있는 안용복의 용모와 인상, 출생지는 다음의 ‘조선인
사 의 구 진술’에서
13)
확인할 수 있다.
죽
궤 같
귀 키
릉
잡 개
賣 소송 등
죽
죽
석
목
돈벌 등
변
변 죽 릉
금
죽
릉
릉
너
채취
변
잠
賣등
순
폐
업
변
찾
죽
두 람
두
알
〇 조선국 경상도에 있는 동래군 부산포의 안 요쿠호키, 울산의 박 도라히라
는 자입니다. 우리는 울산이라는 곳에서 죽도라는 곳에 전복과 미역을 따
기 위해 3월 11일 출선하였으며, 같은 달... 일본인이 4월 17일에 우리가 있
던 곳에 나타나서...늘 죽도에 전복과 미역이 많다는 것을 들은 탓에 배 한
척에 10명이 승선하여...10명 중 9명은 울산사람이고 1명은 부산포 사람입
니다...
〇 우리가 탄 배와 같이 간 배, 도합 세 척 중에서 한 척은 전라도 배라고 들
었습니다. 그 배에는 17명이 타고 있었으며, 또 한 척에는 15명이 타고 있
었는데, 경상도에 있는 加德이라는 곳의 사람들 입니다. 우리들은 일본 사
람들에게 붙잡혀 왔기 때문에 그들이 바로 조선으로 돌아갔는지....
〇 ‘박 도라해는 34세, 안 요쿠호키는 40세가 되었습니다’ 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나바에서는 나이를 43세라고 말씀드렸다고 합니다. 이는 ‘역시 언어가 확
실하게 통하지 않았기 때문에 잘못 알아들었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
합니다.’라고 했습니다....
13)
경상북도 독도사료연구회 편(2013),『죽도기사1』, 23-24쪽.
억
일본이 기 한 안용복 -『竹島紀事』와『竹島考』를 중심으로 - ······················ 김 병 우…89
둔
키봉
키봉 소 터 빙
루스 留守居
겐
같
애
막
였
이나바에서의 안용복과 박어 의 진술은 나가사
행 로부 신 성을
인정
다. 그
나가사
행의 세 노 미는
이(
) 하마다
배에게 심문한 초안을 보고 이나바에서 작성한 구술서와 게 하도록 지시했
다. 이것은 도 리 번이 부에 보고한 사실과의 차별성을 없 기 위한 것이었
다. 한편으로는 조선과의 외교를 고 할 때 돗토리 번, 부, 쓰시마가 안용복
에 대한 동일한 인식을 공유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한 결과 을 것이다.
그러므로 안용복의 구술서는 문구가 수정되고 정서되었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쓰시마 번과 가신들의 입장이 입되면서 안용복의 행적이 일정하게 색되었
을 것이다.
상도의 안용복과 박어 이 ‘전복과 미역’을 따기 위해 도(울 도)에 다
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
이들은 단 히 전복과 미역만을 적으로 한
것이 아니었다. 이들의 규모가 단 조 을 는 대규모 선단일 만 아니라
지역적 연 의 성 을 고 있기 때문이다.
1 세기 조선에서 지역적 연 그것도 상도와 전라도라는 역권에서 어민
의 연 적인 어 행위는 문 일로 거의 없었다고 해도 림이 없다. 상도
가 (1 명), 전라도(1 명), 울산( 명, 최초 10명)의 지역적 연 과 42명이라는
어부의 자로 보아 단 한 고기 이배 이상의 적과 성 이 있었음이 분명
해 보인다.14) 이 점에서 안용복은 고기만 는 단 한 어부가 아니라 거대
한 선단을 조 하고 운영하는 그러한 위치에 있는 인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
다.15)
그 기 때문에『 도기사』는 안용복과 박어 을 어민의 수준을 어 각별
한 존재로 인식하고 예우했다.16) ‘분명히 지
에도에서 서한이 도 했을 것
이라고 추
니다. 이번 조선인은 각별한 존재입니다. 해 중의
를 위해
다시 사자를
니다’ 라는 서신에서 각별한 존재로 기술한 점을 주
해야 한다. 하마다 베에게 보 서장의 요 에는 ‘ 도로 건 온 조선인 건
은 평 의
민과는 다 다’면서 나가사
행 로부 우리 이(쓰시마)
인계 아 조선인의 도 도해를 지하기 위한 상에 사용할 ‘ 모(
)’로
1
7
)
이해하기도 했다. 안용복은 단 한
민이 아니어서 생활보조를 지
지
받았
런데
톳
츠 카
막
려
개
경
둔
합
7
격 띠
합
덕 5
숫
채
직
런
렇
또
7
드
순
윤
런데
순
순 업 넘
합
경
9
잡
측됩
소 표류
받
틀
잡
죽
죽
목
둔
금쯤
파견 합
겐
격
순
항
낸
릉
목
뿐
광
갔
경
합
넘
착
경호
목
약 죽
너
르
키봉 소 터 측
죽
금
협
볼 人質
순 표류
원받
경
소송
갈
승려 뇌
접
드 밝 져
꿈꾸
척 소 5
릉
악
호 9
숙
경
9
회 8쪽
9 쪽
14) 전라도 어민의 우 안용복이 2차로 일본에
하기 위해
때 동행한
헌과 밀 한 연
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 문제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것이며, 반 시 혀 야 할 중요한
문제의 하나라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1 ) 안용복은 박어 이나 헌 과는 리 상 적 이익을
고 배 13 에 최 13 -140명의 선단
을 주도적으로 리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며 한일 양국 사이에서 울 도의 이권을 장 하는 富
商大 를
는 역관출신의 상이었을 것이다(김 동(200 ), 조선 종조 영토분쟁의 배 과
대 에 관한 검토-안용복 활동의 새로운 검토를 위해 ,대구사학 4. 대구사학 , 4 ).
16) 상 도 독도사료연구 편(2013),『 도기사1』, 2 -30 .
5
賈 꿈꾸
응
경 북
둔
꾸
뇌 등
달
잠
회
죽
업
9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못했다. 어부로 표류한 것이 아니라 정치적 볼모였기 때문에 정치적 흥정의 가
치와 더불어 그의 위상이 높아진 셈이다.
안용복은 평범한 어민에서 ‘각별한 존재’. ‘볼모(人質)로 그 존재적 가치와 위
상이 변화하였다. 쓰시마는 안용복을 볼모로 내세워 조선과의 외교교섭 즉 죽
도의 일본 속지를 요구하고 관철시키기 위한 전략을 세웠다. 쓰시마는 안용복
의 실체를 어느 정도 파악했기 때문에 어부에서 인질로 이해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안용복은 私奴18)나 단순 어민 이상의 인물이었을 것이 분명한 것이다.
이점을 안용복의 나이 진술을 근거로 다시 살펴보자.
口上之書를 보면 안용복 40세, 박어둔 34세로 진술·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안용복은 왜 이나바에서는 43세라고 진술하였을까? 나가사키 봉행소는 이러한
사실을 알고도 질책하거나 진위 여부를 파악하지 않았다.『죽도기사』는 “역시
언어가 확실하게 통하지 않았기 때문에 잘 못 알아들었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라고 하면서 묵인하고 용인하는 입장이었다. 다른 사실은 정확하
게 이해하고 그것에 근거하여 기록하면서도 나이만은 왜 언어소통의 문제로
치부했을까.
중요한 사실은 안용복이 일본어를 안다는 점이다.19) 그런데 언어 소통의 문
제로 넘어가는 것은 안용복과 쓰시마의 이해가 일치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안
용복은 이나바에서 자신의 실체와 죽도로 건너간 목적을 감추어야만 했다. 자
신의 신분을 감추기 위해 위장된 호패20)을 사용하였고, 나이 진술로 혼돈을
주었다. 그러나 쓰시마는 이미 안용복의 실체를 짐작하였고, 그것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나이를 속인 일도 알아냈지만, 그 전모를 밝히지는 않았다.
안용복은 자신의 실체를 감추기 위한 전략적 선택을 하였고, 그러한 사실
을 밝힐 수 없는 쓰시마의 입장을 안용복이 죽도로 건너간 목적에 대한 인식
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자. 안용복은 1693년(癸酉, 元祿6) 9월 4일 오메쓰케(大
目付) 가도노 구로자에몬(門野九郞左衛門)과의 심문에서 다음과 같이 진술했
다. ‘조선인 구두진술서(朝鮮人口書)’ 의 내용을 보면 일반적 사실 외 특이한
점으로 3척의 배 선장과 울산사람 이름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21)는 점이
다. 전라도 배는 순천의 배였다는 점과 가지고 간 식량(쌀10표 소금3표) 등이
7
8
9
왜협
볼
볼
환 였
밝힐
1 ) 쓰시마가
상의 ‘ 모’로, 어부에서 정치적 모로 전 하 는가 하는 문제를
필요가 있
다.
1 ) 안용복의 신분은 ‘사노’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1 ) 성 사 과  관지 한국
기록은 안용복이 일본어를
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일
본의 기록에서는 역인, 통역인 으로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20) 이 문제는 『 도고』문제에서 자세하게
할 것이다.
21) 상 도 독도사료연구 편(2013),『 도기사1』3 . 선장 기무요치야 , 긴바 이, 긴 토이, 울
산사 은 세고치, 이하니,가무도구 이, 구
이 이들이다.
호 설
경 북
람
춘
죽
등
회
측
등
언급
죽
5쪽
소 쟈 쟈춘
잘
키
타
덴
억
일본이 기 한 안용복 -『竹島紀事』와『竹島考』를 중심으로 - ······················ 김 병 우…91
런데 우리가 주목할 부분은 죽도에 간 목적에서 우
진술되고 기록되어 있다. 그
선적으로 아야 한다.22)
찾
〇 우리들이 그 섬으로 건너간 이유는 전복과 미역이 많이 있다고 들어 돈벌
이를 위해 건너간 것입니다. 같이 간 배도 그렇습니다. 달리 상거래(商賣之
心)를 하려는 마음은 절대로 없었습니다.
〇 그 섬에서 일본인과 상거래(日本人与商賣會)는 절대로 하지 않았습니다.
같이 간 배는 어떤지 알지 못합니다.
〇 우리들이 그 섬에 건너간 일은 몰래 간 것은 절대로 아닙니다. 작년에도
울산 사람 20명 정도가 건너갔습니다. 물론 조정의 명령을 받은 것도 아닙
니다. 자신들의 돈벌이를 위해 건너 갔습니다.
등
눈여겨
갑
언
안용복의 진술에서 ‘미역과 전복’이 전면에 장하지만, 자기 상거래가
되고, 그것도 차 강조되고 있는 점을
보아야 한다. 특히 일본인과의
상거래 행위에 대한 적 적인 부정의 진술은 무 을 의미하는가 일차적으로
안용복은 상인이며 울 도가 바로 상거래 장
다는 사실을 내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도에서 조선인과 일본인의 상거래가 실적으로 이 어지고 있
었던 것이 바로 기고 은 사실이었다. 쓰시마는 일차적으로 안용복을 일종
의 상인으로 이해한 이유이기도 하다.
안용복이 기고 은 진실은 바로 이것이다. 안용복 자신이 바로 그 상거래
의 중심인물이었기 때문이다. 돗토리 번은
을 수도 있지만, 쓰시마는 이러
한 울 도 중심의 상행위와 규모를 분명히 고 있었다. ‘일본인과의 상거래
는 대로 없었다’, ‘ 이 간 배는 어 지 지
한다’고 주장한 것은 상거래
행위를 간 적으로 인정한 것이다.23) 쓰시마가 부에 기고 은 사실은 울
도를 중심으로 전 되고 있던 바로 상행위 다.
안용복이 오야 가문에 의해 납치되었을 때 돗토리 번과 쓰시마는 서로 다
게 안용복을 이해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 도고』와『 도기사』가 보
주는 안용복 실체 이해의
번 차이점일 것이다. 그러나『 도기사』의 안
용복은 그가 재차 일본에 건 오면서 다시 신하게 된다. 자기 안용복의 지
급
누
죽
숨
몰랐
알
떤 알 못
막
잠 였
개
첫 째
너
경 북
엇
싶
잠
같
접
릉
숨
소였
싶
릉
절
극
릉
회
죽
변
죽
?
포
현
숨
루
싶
죽
갑
르
여
죽
7쪽
22) 상 도 독도사료연구 편(2013),『 도기사1』, 36-3 .
23) 쓰시마는 도를 자신의 영역으로 편입하는 것이 당면한 외교의 핵심이었다. 그래서 도가 조선
인과 일본인의 상의 본거지로
지는 것을
다. 그것은 조선과 일본의 외교정 과 반하는
것이며, 쓰시마가 주도한 대조선 외교의 주도권을 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밀무역에 대
한 정보를 출시 필요가 없으며, 안용복은 의도적으로 상거래를 강조하 지만, 기록자의 입장
에서는 부분적으로
할 수 에 없었다. 안용복이 일본말을 구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실 자
체를 전히 배제하기는 어
을 것이다.
완
죽
잠
표 킬
누락
알려
밖
려웠
꺼렸
잃
죽
책
였
9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격
위와 위상은 상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부정적 인물로 기술되어 상반된 입
장을 보 준다.
안용복은 종 1 년에 납치되었을 때는 쓰시마에 의해 동래로
하 고,
로 인해 2년 을
다. 그
바로 16 6년( 종 22년, 록 년) 6
쓰시마의 비리를 로하고 자신에 대한 부당한 대우 문제로
을 하기
위해 이나바로 돌아왔다. 쓰시마는 이제 과거의 안용복을 어야 했다. 조선과
의 외교적 문제를
하
부의 존재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기 때
문이다.
쓰시마 번 가신들의 입장에서는 안용복을 부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조선에
서 이 어진 안용복의 진술 내용을 이미 고 있었기 때문이다. 안용복이 진술
한 쓰시마의 입장과 태도는 외교문제로도 비화될 수 있으며, 울 도 속지화와
밀거래 내역이 노출될 수도 있는 문제이다. 에도와 쓰시마, 조선과 쓰시마, 에
도와 조선의 관계가 새 게 편재될 수도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기 때문이
다.24) 무 보다도 안용복의 진술은 쓰시마에서 일어난 행위들이고, 쓰시마가
그 당사자 기 때문이다. 실제적으로 안용복의
과 아울러 외교문서의 내용
2
5
)
이 라지기 시작했던 것이다. 쓰시마는 술년 외교문서가 안용복의 일본
을 토대로 작성되었던 점에 당 했다.
竹島紀事』는 조선에서의 안용복의 진술을 부정했다. 안용복이 조선에
하 진술한 ‘ 도에서는
을 어 인 럼 에도로 보 다,’ ‘에도에서는
이들을
하라고 지시했다’, ‘정중하게 대 하며 나가사
지 보 다’, ‘가마
에 태워주고 우에서 부
해주고 은 은을 주고’, ‘쓰시마의 관리들이 인
도 은
다시 인 럼 대했다’, ‘조선인의 도도해 지는 에도의 이
아니라 쓰시마의 생각이다‘ 의 진술에 대한 쓰시마의 대 으로서는 당연한
결일 것이다.
쓰시마가 무 보다도
워 한 것은 에도 부의 명 에 자한 쓰시마의
의도가 러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쓰시마가 부와 상관없이 도를 일본
의 속도로 정하 했던 사실이다. 도의 속도화 전 을 은 하기 위해 쓰시마
는 안용복이 이나바성을 에도로 각한 것에 주안점을 었다. 안용복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조장은 당연한 것이다. 쓰시마의 적 적인
은 이러한 배
여
월경죄
월
숙
9
형 받았
폭
런데 곧
9 숙
잊
포함 여 막
루
달
경험
여
알
혹
죽
좌
받 후또
귀
드
릉
롭
엇
였
처벌
귀환 였
원 9
소송
엇
려
릉
갑
귀환
밧줄 묶 죄 처
접
채질
혹 금
죄 처
죽
등
두려
막
죽
착
냈
키까
귀환
냈
금
응
령 빙
막
략
극
두
폐
뜻
죽
변론
후 릉
여
같
루트 개
원천 봉쇄 려
처
두
같
호 9
경 응
석
원
경 북
경 북
5쪽참
회
죽
5 쪽
경
24) 쓰시마 번은 ‘울 도쟁계’ 이 울 도를 자국의 영토로 편입하 안용복과 은 조선의 무역상들
이 조선과 일본에서 새로운 교역의
를 발하는 것을
하 는 의도가 있었다. 그래서
쓰시마 번은 안용복의 리과정에서 상당한 무리수를 었다. 이와 은 논지는 김 동(200 ), 조
선 종조 영토분쟁의 배 과 대 에 관한 검토-안용복 활동의 새로운 검토를 위해 ,대구사학
4,대구사학
(2010), ‘안용복’관련 자료 분 을 통한 안용복 활동의 복 ,2010 상 도 독
도사료연구 연구보고서, 상 도·(재)안용복재단, 1
고.
2 ) 상 도 독도사료연구 편(2013),『 도기사2』, 2 -26 .
숙
9
회및
회
5경 북
억
일본이 기 한 안용복 -『竹島紀事』와『竹島考』를 중심으로 - ······················ 김 병 우…93
루 졌
에서 이 어 다.26)
쓰시마는 나가사 로 가는 도중에 가마를 태워주고 은을 주고 부
을
한 것은 일본의 국 이며 중요한 인일 우에 그 게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동시에 ·은을
은 것은 의도한 일로 안용복을 유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고 명했다.27) 결국 쓰시마는 안용복을 인으로
시 야 했고, 이러한 사
실을 부와 돗토리 번 에게 각인시 다. 그 이면에는 도 중심의 상 적
거래 사실과 도를 속도로 편입하 는 계 을 은 하고자 하는 적이 있었
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을 전적으로 은 할 수는 없었다.28) 이미 밀무역에 대한
우 가 제기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분고노 미와 쓰시마 사자 아오에 , 요시
자에
이 ‘ 도일건’을 논의하면서 밀무역 문제를
했다. 이들이 공통적
으로 의 을 교 한 내용은
변
금
막
죽
키
풍
빼앗
죄
등
경
려
죄
켰
략
금
렇
회
둔갑 켜
죽
폐
채질
목
업
폐
려
카
몬
몬등 죽
언급
견 환
1) ‘죽도일건’은 ‘...오랜 세월 일본의 속도로 되었으므로...금지시켜야 한다는
것은 지금까지처럼 쌍방에서 건너가서는 섞여서 이후에 재앙이 생길 것이
고, 특히 밀무역(御法度之商賣) 등도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 이전에도 나가사키에서 죠닌들이 발선이라는 일을 행해 금지된 무기, 금·
은 등을 몰래 조선으로 가지고 가서 상매를 했기 때문에 이전에도 문서로
제출한대로 간분(寬文)년 간에 조선에도 그것을 분명히 전하고 이쪽의 자
들을 처벌했다.
3) 죽도에서 일본인과 상매하는 일도 있다고 조선국에 소문이 있는데 이것을
생각해보면 볼모로 잡아 두었던 조선인 중에 일본말을 하는 자가 연이어
서 건너갔다고 했다. 이 소문대로 일본인과 상매를 하기 위해 연이어서 건
너간 것인지 의심스럽다.
4) 구술각서에는 ‘죽도에 일본인이 지금까지처럼 도해하고 조선인도 제멋대로
건너가면 어쨌든 쌍방의 사람들이 섞이어서 쟁론이 그치지 않을 것입니다.
경 북
란 져금
싶
회
죽
쪽
멋
늘
겠
칠
경호
여
뇌
합
쨌
죄
헤 겨 냈
스
빼앗 경호
려
긋
파렴
몰
빙
너뜨
여
경호원
회
금 소
닌
금
벌
회
죽
7쪽
소송
26) 상 도 독도사료연구 편(2013),『 도기사2』, 34 .
2 ) 안용복이 도중에서 제 대로 말하고 오 은 가지 않 다고 거 게 말해서
하는 일본인이
해
은을 주고 러 가지 물을 주면 의했다. 어 던 중요한 인이기 때문에 라 도
하고 어서 어민들의 마음에 들도록 서 우 보 다고 한다면서 수치 러운 일을 한 안용복과
조선을 위해 은을
고
했던 일본인에게 돌 주고 예에서 어 난 일을 바로 은 것이다
고 한다. 결국 안용복을
치범으로 고가면서 그의 진술의 신 성을 무
리는 기록자의 입
장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기서 간과할 수 없는 점은 안용복의 일본 납치과정에서 은이 장
한다는 것이며, 일본
이 안용복을 유하기 위해 은을 지하고 다 다는 것은 사실로
아들이기 어 다. 결국 과 은은 무역에서 중요한 결재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었던 시대적
을
생각하면 상 적 거래나 무역과 관련한 일들이 어지고 있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2 ) 상 도 독도사료연구 편(2013),『 도기사2』, 1 . 안용복이
하러 일본으로 건 가기 전
인 16 년 12 의 일이다.
7
금
렵
업
8경 북
95 월
곤
빨 착
잡
금 등
받
환경
너
9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특히
불법 상매 등을 해서 재난도 생길 텐데 어떨까 합니다.29)
런데 9
원 9 월 8
여 첨
언
폐
금까
릉
즉 죽
그
16 6년(병자, 록 ) 정 2 일 지
지의 ‘울 도쟁계’
‘ 도일
건’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 12 부와 구술각서로 남 다. 그
그 내용에는
상 나 밀무역에 대해서는 일 반구도 하지 않 다.30) 이것은『 도기사』를
작성한 번의 가신들이 의도적으로 은 한 결과 다.
이 점으로 보아 쓰시마는 안용복을 전복과 미역를
하는 어민보다는
상
밀무역을 한 인물로 이해한 것이 분명하다. 그
『 도기사』는
자기 안용복을 일본말을 할
모 는 인물로
시 다. 16 6년 6 23일 에
도에서 로주 오 보 가가노 미(大
)가
이를 러 말하면서31)
매
런
매즉
았
였
겼
런데
죽
채취
런데 죽
갑
줄 르
둔갑 켰 9 월
쿠
카 久保加賀守樣 루스 불
“조선인이 오키 지방으로 건너와서 大官에게 말한 것은 ‘이나바에 소송할
것이 있습니다.’라고 해서 이나바로 갔지만 전혀 말이 통하지 않았습니다. 그
래서 통사를 에도, 오사카에 불러두었다면 호키노카미님의 가신 쪽에 상의해
서 서둘러 이나바로 보내도록 했습니다. 조선인이 말이 통하지 않았는데, 지로
님에게는 통사의 일은 계속해 왔던 일입니다. 자세한 것은...대체로 이나바에
조선인이 오면 나가사키 봉행소로 보내고 저쪽에서 모든 일을 보고하도록 선
대에 지시해 두었으므로 이번에도 위와 같이 이나바에서 지시했지만 받아들
이지 않았습니다. 평소의 표류인과는 달랐기 때문에 통사의 일을 지시하신 것
입니다.’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안용복은 왜 일본어를 모른다고 에도에서는 인식했을까? 그것은 쓰
시마가 일본어를 모르는 인물로 보고했기 때문이다. 안용복이 일본어를 하게
되면 외교의 가교역할을 하던 쓰시마의 역할 축소와 자신들의 의도가 드러날
수 있다는 점, 죽도의 상행위 자체에 대한 은폐사실이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32)
그리고 이나바는
지시를 수용하지 않 을 하는 점이 주 된다. 이것은
안용복의 지위나 입장이 라 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용복이 단 한
인이
아니라
인의 자 으로 건 왔기 때문이다. 3년 전 전복과 미역을 따던 안
왜
소송
달 졌
격
너
았 까
목
순 표류
9 경상북도 독도사료연구회 편(2013),『죽도기사2』, 71쪽.
경상북도 독도사료연구회 편(2013),『죽도기사2』, 82-85쪽.
경상북도 독도사료연구회 편(2013),『죽도기사2』, 99쪽.
경상북도 독도사료연구회 편(2013),『죽도기사2』,100쪽. ‘11명 중 몇해 전에 왔던 조선인 안히챠
쿠가 모든 일에 대해 잘 알고 있었고, 대강 일본어를 할 수 있었습니다’ 라고 하여 안용복은 분명
일본어를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말이 통하지 않았다고 기록한 것은 거짓이거나 착오를 가장한
은폐이다.
2 )
30)
31)
32)
억
일본이 기 한 안용복 -『竹島紀事』와『竹島考』를 중심으로 - ······················ 김 병 우…95
변
습
론
원
변
용복이 아니었다. 화된 모 은 물 이고 수행 들이 화된 신분과 지위를
말해주었다.33)
안용복은 이제 조선이라는 국가를 배 으로 하는 공적 인물의 성 을 게
되었다. 이나바와 부가 쓰시마에 안용복 일행을 위해 통사를 요구한 것은 바
로 이러한 이유에서 기인한다. 이나바에서의 안용복의 지위는 일본에 온 적
과 연계되면서 라지기 시작한 것이다. 이바나 번은 이제 이 안용복을 쓰시
마로 보 필요가 없었다. 이번 기 를 이용하
도의 어 권 확보가 가 할
수 있다고 판단했고, 돗토리 번의 조선의 새로운 관계 정은 쓰시마와의 쟁
에서 비 된 것이다.
부도 안용복을 공식적인 인물로 판단했다. 국가간의 외교 교 의 전 로
보아 통사가 필요했고, 그래서 나가사 로 통사를 보 것을 지시했다. 물
부의 우도 새로운 조선관계 선을 모색했을 수도 있다. 돗토리 번의 오야
와 무라야마 가문의 조공
전복과 미역 을 고 한 것일 수도 있지만 이것
은 분명한 것은 아니다. 다만 돗토리의 오야와 무라야마 가문의 도도해 면
와 어 독점권을 위한 정치적 로비는 분명이 존재했다.
그
안용복은 조선과 일본의 공식
인 대마도-부산의 길을 리고,
도를 거 양양으로
했다. 이것은 무 을 의미하는 것일
물 안용복
의
은 조선과 일본의 인 하에 이 어진 것은 분명하다. 이것은 새로운
외교·무역노선의 발보다는, 실적으로 도에서 이 어지고 있는 상의 실
34)
체를 이해한 것은 아
에도가 쓰시마의 상황을 정확하게 보고 은 것은 16 6년
10일이었다.
부는 쓰시마가 통사 2명과 사무라이 1명, 서기 1명을
한다는 사실을
으나, 쓰시마가 로 당해온 양국 통교의 전통을
수는 없었다. 공식적
으로 쓰시마에 통보 없이 다른 지방에서 사를 하고,
사를 아들이는
것은 도리에 어 나기 때문이다. 부의 입장에서는 어 것도 아들이기 어
운 일었고, 결국 인 (
)로 돌 보내거나 아니면 나가사 로 보내 통상
적인
민
방 에 따라 리할 수 에 없었다.35)
을 어기고 다른
경
막
낼
막
막
달
회
여죽
롯
경
개
즉
업
런데
쳐
귀환
귀환
개
막
았
려
격 띠
닐까?
묵
현
슈 因州
표류 취급 법
처
등
받
막
려
굳
업
능
경
섭
낼
루트
엇
루
죽
홀 담
긋
키
설
목
송
밖
죽
설득력
순 몰 릉
릉 현
죽
롭 견
경 북
회 7 8쪽 참
쪽
회
죽
99쪽
회
죽
쪽
려
례
론
죽
허
버
까? 론
죽
루
잠
9 7월
파견
깰
또송 받
느
받
키
법률
알
챤
33) 한편 안용복의 실체를 ‘비장’으로 이해하고,  도기사의 ‘한비차구(안비장)’, ‘안비 (안비장)을
동일인물로
해야 한다는
있는 연구가 있다. 이들이 동일인물이라면  도기사
일
본자료가 말하 시 안용복이 단 하게 래 울 도로 어로행위를 하기 위해 다가 일본으로 납
치된 것이 아니라, 상부의 지시로 울 도의 황을 조사하기 위해
되었다가 일본으로
간
것이 된다. 박지영(2014), ’ 도기사‘에서 새 게 발 된 안용복의 활동사 ,안용복 활동의 재
조명 학술세미나, 상 도 독도사료연구 , 고 : (2013)  도기사1, 20-21 :(2013),
 도기사2, 102 .
34) 상 도 독도사료연구 편(2013),『 도기사2』,
.
3 ) 상 도 독도사료연구 편(2013),『 도기사2』,122 .
파악
드
죽
경 북
5경 북
파견
항
죽
갔
죽
쪽
등
끌려
9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너 직접 송
갖
달
직접 송
괘씸
법
지방에 건 와
사를 한 것도
했다. 공식적으로 조선의 예조가 식을
추어 쓰시마로 전 하는 것이 외교적 관
기 때문이다.
부는 한 어민
이
사를 제기하는 것 자체가 부를 시하는 행위로
을 것이다.
쓰시마의 입장에서는 안용복을 사 없이 인 에서 바로 돌 보내는 것이 최
선이었다. 그러므로 에도의 서한이 도 하기 전에 통사들이 대 하는 것을
가 하게 하 고, 전히 쓰시마가 주선하는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
주 했다. 사 내용이 공 되는 것을 는 과를 노 것도 사실일 것이다.
결국 이들은 쓰시마 외 다른 지방이 사를 아들이지 않는 것이 국
을
내세워 사내용을 지 않고 돌 보내기로 결정했다. 문제는 이것이
의
지시인가. 부대보가
로의 판단으로 리할 것인가가 문제 다. 이러한
외국인의 도래에 대한
의 생각도
되기는 마 가지 다.
안용복 일
행은 16 6년
6일 사를 제기했던 이나바 구를
다. 그것은 에도의
오 보 가가노 미의 지시에 의한 것이다. 이나바에
된 보 비각은
14일 에도로 돌아가 보고 했으나, 그가 출 의 모 을
본 것은 아니었다.
그리고 이나바로
된 사자
베, 아비
베, 통사 은 안용복이
난
인
1 일 도 했다. 그러므로 안용복 일행과 일본의 공식적인
화는 어지지 않 다.36) 그러면서도 울 도를 범한 일본 어부 1 명을 적
발해
하 다는 사실과 울 ·자산 양도가 조선의 지계 을 확인해 주면서
국을
하 고 결과적으로 안용복은 외교적 성과를 거 었다.37)
실제로 에도 부가 도도해 지 을 내 것은 16 6년 1 이었다. 그러나
그 지 이 돗토리 번에 전 된 것은 16 년
의 일이었기 위의 일들이
어진 것이다. 일본이 이때 내 일본인의 도도해 지 은 조선영토에 대한
인정은 물 이고 내적으로는
과
의 단이 발생할 것에 대한
라
는 점을 강조했다. 부는 영구히 일본 사 들이 도에 가서 고기 이 하는
것을
하는 명 을 내 수 에 없었다.38)
쓰시마가 도를 의도적으로 편입하 하 다는 사실은 이미『 도기사』를
편 한 고시 쓰 에 가쓰아 도 인정하고 있다. 그는 마지 에 ‘그 을 우
리 유로 하기 위해 심을 부 진정 성신의 의를 은 것 럼 되었다고 말
하는 자가 있다’고 하 이러한 쓰시마의 입장을 간 적으로 남 다. ‘울 도쟁
였 여
송
려
송
쿠
송
9
표
듣
형
8월
카
례였
막 경
스스
쇼군
송
려
착
또막 천
여겼
려
담
슈
막 효
송 받
염려
린
처
였
찬 였
항 떠났
파견 졸
항 습 직접
스즈키 곤
루소
등
삼
여
법임
쇼군
8월
파견
떠 열흘 뒤 8월 8 착
담 벌
았
릉 침
5
처벌 였
릉
임
귀 설득 였
두
막 죽
금 령 린
9 월
금 령
달
98 8월
벌
린
죽
금 령
론
潛通 私市 폐
염려
막
람 죽
잡
불허
령 릴 밖
죽
려 였
죽
찬
네 몬
키
막
땅
소
욕
려
잃 처
여
접
겼 릉
죽
귀
밖
데
임
36)  도기사가 안용복의 국 과정을 자세하게 기록하지 않은 것은 쓰시마 영역 의 일이라는
점이 일차적인 이유이지만, 이들의 관심사는 조선과 통교의 핵심 위치를 고수하는 있었기 때문
이다. 그러므로 이들은 부산 동래 관의 동향을 주 하고 중적인 기록을 남긴 것이다. 이들의
입장에서는 이제 안용복의 존재는 중요하지 않으며, 조선과 일본과의 공식외교의 무를 유지하는
것에 있었다. 이 과정에서 도의 속지화 적은 일정하게 은 할 수 있었다.
3 ) 상 도(2012), 독도를 지 온 사 들, 상 도, 6 .
3 ) 상 도 독도사료연구 편(2013),『 도기사2』,1 -162 .
7경 북
8경 북
회
죽
켜
왜
목
목
람 경 북 7쪽
죽
58 쪽
집
폐
억
일본이 기 한 안용복 -『竹島紀事』와『竹島考』를 중심으로 - ······················ 김 병 우…97
9
였
99
목
월
달
르 까
루
계’가 사실 16 3년에 발생하 지만, 16 년 10 에 이 기 지 지 한 영유권
교 이 지속되었던 것은 바로 이러한 적을 성하기 위한 것 이었다.39)
섭
3.『竹島考』의 안용복
죽도고』는 돗토리번(烏取藩) 藩士 오카지마 마사요시(岡嶋正義)가 돗토리
번의 다케시마에 관한 기록을 상권과 하권으로 정리하여 1828년에 편찬한 것
이다. 오카지마는 일본의 영토였던 죽도가 안용복의 도일문제로 인해 조선의
영토로 편입되었고, 국력이 커질 때 반드시 다시 되찾아야 한다는 자신의 입장
을 정리했다. 그러므로 일본인의 입장에서 사료를 취사선택한 매우 주관적인
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 도고』는 안용복의 일본행적과 관련 인물을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어 그
실체를 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 중 단연히 보이는 기록
은 안용복의 ‘
’이다. 그
『 도고』가 인식하고 기록한 안용복은『 도
기사』와 마 가지로 시기적으로 인식의 화를 보이는 공통점이 있다. 『 도
고』가 더 부정적인 인물로 사하고 있어 주 된다.
『 도고』가 기록한 안용복은 다양하다. ‘
’에서 시작하 ‘
’, ‘
’, ‘
’ ‘
’, ‘
’, ‘
’. ‘
’ ‘
島
’ 으로 지
하고 기록했다. 단 한 조선인이나 이국인에서 통역과 통사를 거 결국 당상
관, 감세장
공식 관인으로 모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
로 돗토리 번의 안용복은 고정된 인물이 아니라 사건에 따라, 시기에 따라, 기
록자의 입장에 따라 화하고 있다. 다만 가장 기본적인 인식은 어부가 아니라
통역인으로서의 안용복이라는 점이다.
오 지마는 안용복을 ‘
’에서 통역인(
)으로 기록했다. 그
안용복
과 박어 은 어로를 적으로 도에 도해했다고 하면서도, 안용복을 통역인으
로 인식했다는 점을 주 해 보자. 우선 안용복이 납치되는 과정에 대한 기록을
보면40)
죽
밝 데
호패
찬
돋
런데 죽
변
묘
죽
죽
목
죽
譯人
여 異客 異國
人 朝鮮人 安同知 譯者 通使 三品堂上官 朝鬱兩 監稅將 등
칭
순
쳐
등
변
변
카
둔
겐 쿠
총설
목
목
88 7
譯人
죽
르
런데
많
여
알 듣 끔
... 로 때(16 -1 04)에 이 러 조선국에서 은 어선이 도해하 어로를
하기 시작했다. 이에 무라 와 선 들이 그 의 유래에 대해 아 게 일
카
원
섬
39) 이러한 외교교섭의 장기화는 일본 막부와 쓰시마의 조선의 국풍과 정부의 인식에서 기인하는 것
이다. 이 점도 후일 밝혀져야 할 중요한 문제의 하나이다.
40) 정영미 역(2010), 『죽도고(상)·(하)』, 21쪽.
9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꾸짖
못
였 데 알
였
러주고 심히 그들을
어 다시 오지 하게 하 는 도 아 들은 기색 없
이 그 다음해에도 전히 조선배가 와서 우리 일을 방해하 다. 그 던 중, 오
야의 선 들이 화가 나서 통역인 안
와 종자인 토라해라는
사 의 조
선인 을 밀어 우리배로 리고 와서 히 향하고, 그때의 조선인 도해
자(
)들의 난 한 행동에 대해 부에 말 을 리고 판결을 기다 더니...
여
원
등 떠
異客
폭
핑샤
데
막
급 귀
씀 올
런
두 람
렸
줄
안용복을 어부가 아니고 통역인으로 기록한 것은 안용복이 일본말을 할
아는 것을 강조하 는 의도의 결과 다. 그
오 지마는『 도고』에서 안
용복을 납치한 사실에 대하서는 자세하게 기록하지 않으면서도 안용복이 난
한 인물이다는 점은 상대적으로 강조했고 이러한 사실을 부에 보고했다. 이
것은 안용복의 납치를 정당화하기 위한 수단에 과하다. 그리고 박어 을 종
자로 기록한 것은 안용복의 위상이 남다 다는 사실을 보 주기 위한 대 이
다. 술하게 되는
에 의하면 안용복은 사노인 반면 박어 을 평민으로 기
록하고 있다. 아마도 오 지마는 ‘
’에서 안용복으로 인해 도를
다
는 사실을 강조하 그를
으로 만들었으나, 결국 안용복의 존재를 온전히
부정하기는 어
던 것으로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고기 는 배는 통역을 대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은 간분 때
한 일본인과 조선인들의 구성 면면을
때 확인할 수 있다.41)
려
후
였
호패
여
려웠
잡
표류
寬文
런데 카
르
카
불
총설
公賊
원
죽
막
여
폭
둔
둔
죽
목
빼앗겼
살펴 볼
7
표류 였
간분(
)때(1661-16 3) 오야의 배가 조선국으로
하 을 때, 일본으로
된 21명의 선 들의 나이를 기록한 것을 보면 30세 이상된 자가 과반수
를 는다. , 최근 우리 영해로
해 온
12명 중에도 30세 이하인
자는 최오복이라는 자 단 한명 이었다. 가장 연장자는 김 이라는 자 다고
한다. 60 세 다. 그래도
으로
될 때 지 건강상태가 우
다
고 한다.
송환
넘
또
여 였
원
崎陽
뿐
표류
朝鮮人
송환
두
까
잡
삼
였
매 좋았
고 한 기록을 통해 일본과 조선인 모 고기 이를 하면서 통역을 대동하지
않는다는42)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도를 중심으로 한 어 활동에서 외국인
죽
업
죽
77 79쪽
표류왜
경
죽 9 쪽 참 표류왜
표류왜
두 頭倭
從倭 왜
총
표류
철저 직
伯耆國 上乘 /船頭/ 鐵炮打/ 鍛冶 등
경 철저
업
론
잠
았
업 목
몰
짐
표류
꼬
줄
죽 5
름 7 목 9 루 떡갈 측백 등 등
업 목 채취 업
알
죽
경 북
회 77쪽
41) 정영미 역(2010), 『 도고(상)·(하)』, .
42) 이러한 사실은
인들의 우도 동일하다. 도고 1 1
고.
인의 명단을 보면 통역
은 없다. 이때
인은 우 머리(
) 1명과 수하(
) 인 21명,
22명이었다.
자명
단에서
하게 명을 적고 있다.
이 바로 그것이다. 돗토리
번의 우
하게 어 을 한 사실만을 강조하고 있다. 물 이들은 상을 하지 않 을 것이다.
이들이 어 이 주 적이었다는 사실은 이들이 장기에서
수 당한 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
다. 오야의 배가 간분 6년(1666)에 울산으로
했을 때를 보면 지 전복 60 , 강치 가 3 0
장, 강지 기
0통. 재
구 (
나무,
나무 ) 으로 어 과 재
가 주 있음을
수 있다(정영미 역(2010),『 도고(상)·(하)』, 상 도사료연구 편, 1
).
억
일본이 기 한 안용복 -『竹島紀事』와『竹島考』를 중심으로 - ······················ 김 병 우…99
원
등
직 등 표
과 통역할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선 들의 나이와 건강 상태 만이 기록되었
다. 그리고 단 히 조선인으로만 기록하고 역할이나 명 은 기하지 않
다.
그
안용복은 유독 통역(
)으로 적시한 것은 단 한 어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강조한 것이다. 이러한 점은『 도고』의 편 자인 오 지마가
하
게 돗토리번의 어 과 영역과 관련된 일만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도
이해하기 어 다. 더구나 오 지마는 과거 오야와 무라야만 가문의 영 을 재
하는 것과 아울러 과거 울 도 도 사실을 부각하 는 분명한 적과 의도
를 들어내 했기 때문이다.
당시의 안용복에 대한『 도고』의 인식을
더 구체적으로
보자. 이들
은 안용복을 납치하면서 그
,
으로 기록했다. 이들은 도(울
도)가 조선의 영토 을 인식하지 하 고, 로
년(16 2년) 무라 와 이치
베가 도에 을 때 음으로 조선인을 만난 것 다.『 도고』의 ‘조선인이
음 竹島
’편을 보면43)
순
런데
현
譯人
렵
업
려
카
릉
죽
찬
항
순
았
카
려
철저
목
광
죽
좀
살펴
저 異國船 異國人
죽 릉
임
못 였 겐 쿠5 9
카
죽 갔
처
같 죽
처
渡來
...배를 몰아 하마다포를 향해 가니 해변가에 이국선(異船) 2척이 보였는
데...... 異國人 두 사람이 해변에 있었는데 이들도 작은 배를 타고 우리 배쪽으
로 오다가 지나쳐가려 하였으므로, 이를 불러 세워서 예의 두 사람을 억지로
우리 배에(押乘) 태우고서 어느나라에서 왔느냐고 물으니 그중 한사람이 통역
이었는데(譯者) 말하기를......통역이 설명하여 말하길(譯者陳申.)...왕의 명령을
받아 3년에 한 번 그 섬으로 가서 전복을 잡아 바쳐왔다. 올 봄에도 그 섬으
로 가고자.....통역을 책망하니(譯者責問) 외국인이 답변하기를(唐人答申)...
여 譯者 唐人 外國人 異國人 등 같
직
표현
譯者
직
현
죽
업
잡
경
라고 하 ‘
’, ‘
’, ‘
’, ‘
’ 을 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통역을 역으로
한 것이 아니라 일본말을 할
아서 구별하기
위해 통역(
)로 기록한 것이며, 신분과 역에 해당하는 명확한 기준을 적
용한 것은 아니었다. 실적으로 도에서 어 을 하면서 외국인과 충돌할 일
은 없으며, 통역을 대동하면서 고기 이하는 우가 일상적이지 않기 때문이
다.
그러나 이들이 상행위를 한다면 문제는 다 다. 단 한 고기 이가 아니라
상
외국인과의 밀무역을 위한 것이라면 통역은 반 시 필요한 존재이다.
안용복이 통역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사실은 아마도 안용복의 배가 상선이었을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고기 이를 가장한 밀무역선을 운영한 것이라면 이
르
잠 즉
잡
죽
5 7쪽.
43)정영미 역(2010), 『 도고(상)·(하)』, 20 -20
줄알
순
드
잡
10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譯者 唐人 外國人 異國人
해할 수 있는 문제이다. ‘
’, ‘
’, ‘
’. ‘
’을 반복적으로 사용하
고 있는 점도
만하다.
이러한 시각에서 안용복이 납치된 상황을
더 자세하게
보자. 로
6년(16 3)의 안용복은 단 하게 조선인으로 기록되어 있다. 제 인 ‘오야의 선
들이 조선인을 아오다’에서
수 있 이 안용복은 그 조선인이었다.
눈여겨 볼
원
9
잡
순
좀
알
살펴
목
듯
겐 쿠
저
...그런데 그 해도 조선인들이 도래했을지도(朝鮮人共渡來) 모르므로.....우리
배 보다 먼저 朝鮮人이 도래한 것이므로...임시로 만든 헛간(움막집?) 안에 있
던 외국인 한 사람(唐人)과 만났는데....말이 전혀 통하지 않았다.....다이텐구라
는 쪽으로 돌아 갔더니, 외국인(唐人) 10명 정도가 일을 하고 있기에 가까이
다가갔는데, 그 중에 통역이 있어서(其中譯者)......통역(譯)이 말하길, ‘내가 사
는 곳은 조선국이며 경상도 동래현 사람으로서 안핑샤라고 <또는 안히샨, 안
펭치우라고 쓴다. 어떻게 쓰는 것이 바른가 하면, 그 나라 사람에게는 안씨 성
이 많다.’ 안 은 아마 성일 것이며, 힌샤와 히샨은 무관의 명칭으로 비장의 전
움일 것이다. 또 헨치우 라는 것은 이름일 것이다. 원래 그 때의 異客은 시종
붓을 잡지 않았기 때문에 본래의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데 진짜 그가 써서 남
긴 것이 아무것도 없는 것일까. 그 실정은 알기 힘든다고 한다>. 나이는 42세
이다. 이자는 울산사람으로 도라헤라고 한다, 나이는 34세이다. 올 봄에 산카
이(三界)의 샤쿠한으로부터 전복을 따바치라는 지시가 있었는데.... 작년에 조
선인들에게......이대로 내버려 두면 결국엔 반드시 그들에게 우리 영지를 약탈
당할 것이다. 이 두 사람을 데리고 가서 이 일에 대해 위에 자세히 말씀드리
고, 막부의 결정을 기다리자‘는데 의견이 모아져...이번에 조선인을 억지로 끌
고 온(押誘引) .......異客을 데리고 오라고 해서 그 곳의 지방관의 입회하에 심
문하고 구서를 작성하였는데, 오야의 선장들에게도 그 끝에 도장을 찍으라는
말이 있었으나, 그것은 강경히 거절했다고 한다.44)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조선인’, ‘당인’, ‘이객’. ‘통역’으로서의 안용복의
존재이다. 안용복은 왜 다양한 신분으로 인식되고 기록 되었을까? 그리고 안
용복은 무리 중 유일하게 통역의 일만을 했을까? 단순하게 일본어를 해독하여
통역이하고 불렀던 것일까?
안용복이 ‘안핑샤’,‘ 안히샨’, ‘안펭치우’, ‘무관’, ‘비장’, ‘핸치우’등 다양하게
불리우고 있는 점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사람은 한 사람인데 왜 이처럼 다양
못
잘못
등
44) 오야의 선장들이 심문조사서에 서명하지 않은 이유는 자신들의 일이 정당하지 했기 때문이고,
도에서의 일들이 다
적인 일이었다고 이해된다. 아니면 에도 부에 대한
한 일에 대
한(도해면 의 어 확보과정이나 독점하게 된 위, 부가
모 는 속지 주장 의 일) 자인되
는 일이 발생할 것에 대한
이 있었을 것이다.
죽
허
소 불법
업
두려움
경 막
잘 르
막
억
일본이 기 한 안용복 -『竹島紀事』와『竹島考』를 중심으로 - ···················· 김 병 우…101
칭
았 까?
등 였 까?
쓸 줄 몰랐 까?
잡
줄 알았 또 담
호
異客 왜 붓 잡
한 지 과 신분적 용어들이 장하 을
그리고 안용복(
)은
을
지 않 을
일본어를
을
결과적으로 안용복은 분명 고기 는 어부만은 아니었음은 분명해 진다. 일
본말을 할
고,
필 을 통해 상 간 의 을 교 하 했음도 분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안용복은 무관이며 비장이었고, 무리의
자이기도 했다.
관 은 조사를 일단
고 안용복에게 술과 안주를 보내 예우를 한 점
에서도 안용복은 단 어부나 민이 아니었음을 보 주는 것이다. 안용복이
노비일수가 없는 이유가 기에 분명히 있다.
그러므로 안용복은 주 들지 않고 자신의 주장을 히지 않은 강 한 태도
를 보 다. 이러한 태도에 대해 일본인들의 입장에서는 감당하기 어
을 것
이고, 기야
한 인물로 기록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전부 안
가
한 자라는 말이 있었다’는 기록은 이미 안용복의 존재를 고 있
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그
안용복의
한 행위가 구체적으로는
4
5
)
제시되지 않고 있다.
결국 안용복의 존재와 실체는
되어 기록되었다. 이러한
은 안용복의
기록에서 정에 이 게 된다.
윤슈 청
순
였
급 광폭
샤 猛性强暴
호패
절
락짖
여
눅
천
견
환 려
책임
여
굽
런데
경
려웠
터 핑
알
광폭
왜곡
르
두 람
허 춤
았
핑샤 답
목씩 금
왜곡
패 달려
吾邦
받았
엇 냐
살 힘
조선인
사 의 바지 리 에 작은 가
있기에 무 이 고 물어
보 더니, 안
가 대 하길, 우리나라(
)에서는 이
없이는 기 들
다. 그래서 은 40
의 세 을 내고
다 고 한다.
패
핑샤 요패 앞면
東萊
私奴 用卜 年三十三 長四尺一寸 얼굴은 검고 수염이 났다. 상처없음.
主京居吳忠秋
同裏面
庚午 釜山佐自川一里第十四統三戶
안
호패
밝
임
카
틀
이
는 안용복의 실체를 혀주는 결정적인 단서 에는 림없다. 그러나
내용을 자세히
보면 신 성이 어진다. 우선 오 지마 자신이 ‘지 생각
건대 이 의 자를 베
때 오 가 있었을 것이다. 일 식자에게 물어보
아 혀야 한다’라고 하 부정확하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
는 않된다.
살펴
빙
패 글
껴쓸
밝
여
떨
류
45) 정영미 역(2010), 『죽도고(상)·(하)』,227쪽.
후
금
10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호패
슨
급
목
알
금
조선에서는
를 발 하면서 은 40 의 세 을 부과하지 않는다. 안용복과
오 지마는 무 이유인지는 정확하게
수 없지만 안용복의 존재를 기
했다. 안용복도 자신의 신분이 적나라하게 노출되는 것을 리고 있다. 안용복
은 도(울 도)로 가면서, 일본으로 납치되면서 자신의 존재를 기기 위해
위조된 요 를 가
을 가 성을 상정할 수 있다. 요 의 가치를 지나치게
게 정한 것도 이와 관련 있을 것이다. 은 40 의 거 을 강조 으로 일본
인에게 자신이 지한 요 의 신 성을 이고, 결과적으로 위조요 가 아 을
강조하 한 것이다.
오 지마가 오 가 있었다고 진술한 것도 자료의 부족보다는 세
도
(울 도)가 일본 속도라는 주장을 유리하게 전 하기 위한
지 이었을 것
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안용복의
가 아 가 성이
하다고 하 다. 나
가사 진술에서 나이가 차이나는 것도 이러한
에서 이해할 수 있다. 아마
도 돗토리 조사내용이 쓰시마의 외교적 기록에 고가 되었을 것이다. 그래서
『 도기사』는 이나바에서의 나이와 나가사 에서의 나이 차이를
던 것
이다. 쓰시마가 보는 안용복과 돗토리가 이해한 안용복은 이 점에서 차별이
있었다. 쓰시마의 안용복과 돗토리의 안용복은 아주 미 하게 다른 사 으로
각인되었다.
일 통역이었던 안용복은 16 6년이 되면 그 이 아
로 화한
다. 무명의 통역이 아니라 관료 그것도 당상관의 신분을 가진 존재, 조선 정부
가 인정하는 공식적인 외교관의 지위를 가진 신분으로 인식되고 기록되었다.
이때 안용복은 사를 위해 돗토리 번으로 돌아온 것이며, 과거 납치되었던 시
과는 분명 다른 모 이다. 당시 안용복을 사한 기록을
보면46)
카
죽
릉
패 져갔
책
카
릉
려
소
꺼
능
패
빙
개
닐 능
맥락
참
키
호패
키
죽
절
9
송
높
함 써
패 님
후 즉죽
궁여 책
농후
겠
묘
개
숨
패
금
목
높
류
숨 려
런
알았
람
격 높 져 安同知 변
습
묘
겐 쿠9 9
키
쳐
포
城下
살펴
安同知
케
터 표류객
... 로
년(16 6) 우리 번 아오야 구로 온
의 배도 다 시마에서
오 국을 거 온 것이었다....마쓰에의
에는 예전부
을 위한 관사
가 마련되어 있었고 조선어 통역을 었다고 한다.
두
여불
城下
라고 하
과 3년 전의 통역이며 어부인 안용복을 조선의 관료로 대우했
다. 그것도
로 정중하게 모시고, 조선어 통역의 대기문제를
하기가지
했다. 이것은 안용복이 어부나 통역으로서의 인이 아니라 조선정부의 대 자
내지는 대리인의 자 으로 예우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3년 전 무 한으로
인식하던 것과 비교하면 세지감을
기에 충분하다.
이제 안용복은 단 한 인의 지가 아니었다. 조선을 대 하는
로
개
격
격
순 개
언급
처
느끼
46) 정영미 역(2010), 『죽도고(상)·(하)』, 137쪽.
뢰
표
표
通使 변
억
일본이 기 한 안용복 -『竹島紀事』와『竹島考』를 중심으로 - ···················· 김 병 우…103
였
通使
하 다. ‘조선국이 우리 번에 사신(
)을 보내다’47)를 보면 조선이 안용복을
사신으로
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3년 전 통역이었던,
한
어부 던 안용복을 이들이 라본다는 것 자체가 이해할 수 없지만, 16 6년을
기점으로 일본에서의 안용복의 신분과 지위는 상된 것이 분명하다. 안용복을
바라보는 입장의 화가 있었던 것이다.
파견
였
몰
격
변
겐 쿠9
광폭
9
9 월
또
호키 카 키 앞
앞 키
칸 代官
5월
척
척
호키 소송
여
여 異客
았
곤
담 소
<
승
칭
같
청 여 담
백
회소
런데 막
두
소
려
로
년(16 6) 6 4일
국 아 사
바다에 조선국 배가 들어왔
다는 보고가 있었다.
그보다 서 오 국 다이 (
)인 고토 가 자에
의 다이(
)들이 보고하길.
20일 조선 배 한 이 들어왔기 때문에 오
게 된 위를 자세히 물었더니, 이번에 그 나라 배 32 이 다 시마에 도해했
는 그 중 한 이
국에
할 것이 있어 왔다고 한다는 보고가 있었으
므로 필시 그 배일 거라고 하 가 보라고 하 .....
....
에게 다 시마
일 때문에 왔
고 물어 보 으나 통역이 없었으므로 자세한 내용을
수
없었기 때문에....이에 유학자 쓰지 인에게 필 으로 통하라는 명이 어
그가 아오야로 가서 선장 안동지와 안은 성, 동지는 관명, 우리 나라에서
하라 미치자
을 간 상이라고 하는 것과 다) 다른 이진사 위와
음 한 명을
지로 초 하 대 하게 되었고, 그러면 다 시마 일 때문에
사신을 보내 온 것인지에 대한 것은 명 치 않은 상태에서
다고 한다.....
위하 이 을 돗토리 정
로 보내고......그
부에서 그 이 을 상
시 지 말고 배에 그대로 라고 한다는 식이 들 왔다...
데
경
데
手代
척
느냐
네경
센넨
>
호 여 객
키
잘
쿠 몽
케
異客
<
케
끝났
케
알
떨 져
스
같
객
륙
일본말을
하는 안용복이 통역의 역할을 하지 않은 이유가 바로 신분의
화 다. 이제 그는 조선을 대 하는
사신이다. 사신은 사신으로서의
을 지 야 하며, 공식적인 외교에서 통역을 는 것이 관 이다. 그는 의도
적으로 일본말을 하지 않 고, 공식적인
식을 요구한 것이다. 필 으로
의 을 교 한 것은 이러한 외교적 의전을 고 한 행위 다. 돗토리 번도 이제
는 과거의 안용복을 어 사신으로서의 예우를 하 했다.
일본에서의 안용복에 대한 인식의 화는 쓰시마의 우에서와 은 적
을 고 있다. 이러한 이해는 부의 태도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 도기
사』의 기록과 유사하지만,  도고』도 부의 태도가 하고 있음을 보
준다.48) 부는 쓰시마에 명 을 내 통역을
하게 하 고, 하는 것은
나가사 로 보내게 했다. 이와 이 외국인의
을 공식
를 통해 해결하
는 모 에서도 안용복에 대한 예우의 화를 을 수 있다.
변 였
격 켜
견
표
두
회담형
려
았
환
넘
갔
변
례
려
막
죽
막
령 려
파견
같
소송
변 읽
막
키
려 습
7
8
通使 곧
죽
죽
쪽
9쪽
4 ) 정영미 역(2010), 『 도고(상)·(하)』, 243 .
4 ) 정영미 역(2010), 『 도고(상)·(하)』, 24 .
였
경
변
였 원
루트
담
같 궤
죽
여
10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막부는 평화적 교섭을 원했다. 그래서 ‘온화한 말투로 설득하고’ 그것이 실패
하면 돌아가게 하였다. 막부는 새로운 조선과의 관계 설정을 원하지 않았던 것
이다. 이것은 쓰시마의 존재와 정치적 역할을 유지하겠다는 의지였다. 그런데
주목할 것은 기록자의 고백이다. 그는 분명히 ‘지금은 이 일의 종말을 상세히
알지 못한다. 후일 박학다식한 군자에게 물어 내용을 보충하기 바란다’고 하여
본인의 한계를 분명하게 적시했다. 오카지마는 자신의 기록과 해석이 다소 주
관적이다는 것을 인정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돗토리번이나 오야, 무라야마 가
문에 불리하게 기술할 수 없는 입장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한계를 극복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죽도고』내용의 한계, 신빙성의 문제와 맥락
을 함께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분명한 것은 안용복은 결코 사노이거나 평범한 어부는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안용복 일행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기록하여 두었기 때문이다.49) ‘三
品堂上臣 安同知’, ‘金烏僧將釋氏 憲判事’, ‘進士軍官 李裨將, 金裨將’ 등의 기록
은 안용복이 결코 사노가 아님을 보여준다. 이제 안용복은 3품당상관 통사로
이해되고, 그것이 사실적으로 기록되었던 것이다.
안동지는 결국
인의 범주를 어 ‘
島
’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쓰시마에 온 것이다.
온 11명은 일종의 사 단의 성 을 지니고 있
다. 그러므로 안용복은 조선에서는 사 한 인물이 될지는 모 지만 쓰시마에서
는 적어도 통신사 단으로서의 위엄과 면모를 보 주었다. 오 지마의 기록은
이 점에서 사실 부와 치되는 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안용복은 사노, 비장, 관의
보다는 오히 당상관, 동지, 조울
양도감세장이라는
과 신분이 더
어울 수 있다. 그는 도의 어장을
확보하 조선 연안인들의 어 권을 확보하고, 한편으로는 조선과 이나바, 조
선과 쓰시마의 중계무역권 내지는 밀무역권의 확보를 위해 도해한 것으로 이
해할 수 있다. 안용복의 밀무역 활동을 가 하게 한 조선 내 배 을
수
있다면 안용복의 일본 기록에 대한 사실 부를 명확하게
수 있을 것이다.
소송
절
여
런
여
넘 朝鬱兩 監稅將
절
격
칭
르
여
카
함께
합
직책
군
업
칭호
잘 릴
여
능
려
밝힐
죽
경 밝힐
4. 맺음말
9 숙
9
람처
9 숙
처
안용복은 16 3년( 종 1 년) 바
럼 왔다가 16 6년( 종 22년) 연기 럼
사라진 신비의 인물이다. 그의 우리에게 남긴 적은 대단한 것이지만, 우리는
49) 정영미 역(2010), 『죽도고(상)·(하)』, 253-254쪽.
업
억
일본이 기 한 안용복 -『竹島紀事』와『竹島考』를 중심으로 - ···················· 김 병 우…105
살았 삶 궤
살았
그의 출생과 성장과정, 그가
던 의 적을 추적할 만한 기록을 가지고
있지 않다. 조선인으로 태어나 조선에서
지만 그가
던 적을 조선에
서 는 일은 운 일이 아니다. 이 때문에 안용복의 활동을 재조명하는 일은
지난하다.
안용복은 조선인이지만 그의 행적으로 인해 일본과 조선간 외교적 교 이
있었다. 일본 이 도(울 도)를 자신의 영역으로 주장하 지만, 결국 조선
의 영토로 인정하면서 분쟁이 종식되었다. 이 과정에서 안용복의 행적이 부상
되었고, 그의 울 도(독도) 영유권 확인 활동은 주로 일본에서 일어 다. 다행
러운 것은 일본이 안용복의 행적과 관련된 기록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안
용복은 한번은 납치되어 강제로
가고, 한번은 자발적으로 일본에 다. 그
는 돗토리(이나바,
), 나가사 , 쓰시마를 유하 부산으로
되어
되었고, 울 도를 거 양양으로 돌아와서는 양길에
다.
안용복의 일본 행적은 진실 부와 상관없이 일본이 기록하 다.50) 그 중 대
적인 것이  도기사와  도고이며, 필과정에서 사실의 사선 이 필
연적으로 작용하 다. 그래서 일본이 기록하고, 그리고 기 하는 조선인 안용
복의 인물을 복 하기 위해 일본의 자료를 있는 그대로 분 했다. 안용복이 일
본에서 무 일을 하 고, 울 도와 독도에 대해 어 게 진술하 는가를
에 면서 일본인들이 인식한 안용복의 실체를
보 다. 자료에 나 난 기
록을 중심으로 편 없이 이해하 했다. 그래서 문헌의 기록만을 검토하 고,
종래의 연구시각이나 연구 성과는 제한적으로 반영했다. 이 의 일차적 한계
는 기에 있다.
한국은 안용복을 영 시하는 향이 강하며, 일본은 안용복의 진술을 부정
하고 있다. 독도문제의 해결방안의 하나는 한·일간 역사인식의 리가 심한
안용복의 이해와 평가의 공통성을 확보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안용복 행적의
사실검증이 필요하며, 당시에 일본이 인식한 안용복의 실체를 구명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인식을 전제로 일본이 기록한 안용복을
보고자 한
것이었다.
일본이 기록하고 이해한 안용복은 고정적인 것은 아니었다. 시기에 따라, 지
역에 따라, 외교적 해결점에 따라 그의 존재는 다양하게 인식되고 기록되었다.
 도기사의
우 ‘조선인’, ‘어부’, ‘각별한 존재’, ‘무역인’, ‘상 ’, ‘
인’, ‘
찾
쉬
측 죽
살았 흔
릉
섭
였
릉
스
벌
호키
쳐
릉
표
두
슨
났
죽
였
원
였
견
웅
런
경
여
죽
경 여
귀
올랐
집
릉
떻
려
여
죽
끌려
키
경
갔
송환 처
였
억
석
취 택
였
살펴 았
타
글
괴
염두
였
극
살펴
매 소송
볼
50) 일본측 자료의 안용복 관련 내용에 대한 신뢰성은 그다지 높지 않다고 이미 지적되고 있다. 일본
측은 처음부터 안용복 일행을 번죄인으로 취급하여 자의적인 내용만을 진술서에 기술하였고, 최초
의 구두질술서와 동일한 진술만을 반복하여 기재하였다는 것이다. 박지영(2014), 「‘죽도기사’에서
새롭게 발견된 안용복의 활동사항」,안용복활동의 재조명학술세미나, 경상북도 독도사료연구
회.
10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등
였 죽
譯人 異客 異國人 朝鮮人 安同知
譯者 通使 三品堂上官 朝鬱兩 監稅將 등
릉
목
잡 개 돈벌
등
였
람 데
처
엇 까
여
론
였
틀 벗 날
씨
여
여 혼돈
목
런
볼
릉 현 파악
파견
즉
령 터 임
여받
품
직책
같
천착
파악
업
벗
려 같
모’
다양하 고,  도고에서는 ‘
’, ‘
’, ‘
’, ‘
’ ‘
’,
‘
’, ‘
’, ‘
’, ‘
島
’
다양하게 기록하고 있다. 안용
복이 울 도에 도해한 적도 ‘전복과 미역’, ‘고기 이’, ‘ 인적
이’, ‘밀무
역’
다양하 다. 안용복은 분명 한사 인 그의 신분과 인물을 이 럼 다
양하게 기록한 이유가 무 일 . 일본이 기록한 안용복의 실체를 구체화할 필
요가 기에 있다.
결 적으로 안용복은 ‘사노 용복’, ‘오충추의 사노’로 동래를 거점으로 한 역
관이거나 부상대고 다는 한정적인 인식의 에서 어 필요가 있다. 그는
안 성을 가지고 있으며, 비장이었고, 이와 관련하 일본은 다양한 신분으로
기록하
을 주고 있는 점을 주 해야 한다. 이 점에서 보면 안용복은
분명 노비는 아니었다. 그의 존재는 어부이면서 무역인이었고, 모이면서 통
사의 역할도 했다. 아니면 울 도의 황을
하기 위해
된 비장,
수
으로부 특수 무를 부
은 자일수도 있다. 그리고 3 당상관으로 ‘조울
양도감세장’의
을 가진 자이기도 했다. 이와 이 다양한 각도에서
되
어 안용복의 실체를
해야 할 것이지만, 상 행위, 지방관의 민정 수행과의
관련성은 어나기 어 울 것 다.
억
일본이 기 한 안용복 -『竹島紀事』와『竹島考』를 중심으로 - ···················· 김 병 우…107
参考文献】
【
숙
송병기(2007), 울릉도와 독도(재정판), 단국대출판부.
경상북도 독도사료연구회,정영미 역(2010), 죽도고(상)·(하),경상북도.
경상북도 독도사료연구회(2010), 2010 경상북도 독도사료연구회 연구보고서 ,경상북도.
권오엽/오오니시 토시데루 편역주(2011),『죽도기사』, 한국학술정보(주).
권오엽/오오니시 토시데루(2011), 죽도도해유래기발서공(상),(하)』,한국학술정보(주).
오오니시 토시테루 저 권정 역(2011),『안용복과 원록각서』, 한국학술정보(주).
경상북도 독도사료연구회(2012), 2011년 경상북도 독도사료연구회 연구보고서 ,
경상북도·(재)안용복재단.
경상북도 독도사료연구회(2013), 죽도기사1, 죽도기사2, 도서출판 지성인.
권혁성(2013),『죽도고(상)·(하)』, 인문사.
경상북도 독도사료연구회(2014), 안용복 활동의 재조명 학술세미나 발표문,
경상북도 독도사료연구회.
김병우(2011), 안용복 연구현황과 과제 ,경주사학34. 경주사학회.
김호동(2009), 조선 숙종조 영토분쟁의 배경과 대응에 관한 검토-안용복 활동의 새로운
검토를 위해 ,대구사학94. 대구사학회.
김호동(2010), ‘안용복’관련 자료 분석을 통한 안용복 활동의 복원 ,2010 경상북도 독도
사료연구회 연구보고서, 경상북도·(재)안용복재단.
김호동(2012), 竹島考 분석 독도영유권확립을 위한 연구, 영남대 독도연구소.
박지영(2014), ‘죽도기사’에서 새롭게 발견된 안용복의 활동사항 , 안용복 활동의 재조
명학술세미나, 경상북도 독도사료연구회.
이준구(2004), 안용복-어부의 신분, 울릉도·독도 파수꾼 ,영남일보(2004,6,22일 연재).
이준구(2005), 17세기 말 호패·호적이 말하는 울릉도·독도 파수꾼 안용복과 박어둔 ,
조선사연구14. 조선사연구회.
 종실록
10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要 旨
The dispute over possession of Dokdo in Korea and Japan should move on
to ascertain historical truths, based on it and seek means of common
awareness. Therefore, a clear criteria about fact verification and value
judgement should be built and the reality of An Yong-bok should be clarified
according to the criteria.
Hitherto the viewpoint of ‘Sano’ that paid attention to an identity tag the
Japanese citizens prescribed, ‘Busangdaego’ of the status of station house, and
‘Jamsang’ need to be reviewed. It have been took criticism that the Japanese
selected historical materials and facts in the process of documentation and
recorded to be subjectively favorable.
The fact that we can assure through Japan's record is that the Japanese
did not define a particular status or person but wrote ver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 Yong-bok was a person, but they described as a person
with a variety of positions and status. It have to be recognized the fact that
An Yong-bok turned out not to be slaves or the criminal, he was Chosun
people had commercial ventures and related to civil administration of county
magistrate.
キーワード:An
Yong-bok(안용복), Dokdo(독도), an identity tag(호패),
An article on J ukdo(죽도기사), A study on J ukdo(죽도고),
o
nt
a d cume (기록).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재확정일 : 2015. 7. 4
향(香)과 헤이안왕조(平安王朝)*
김 영**1)
(e-mail: [email protected])
1. 머리말
2. 향과 겐지이야기
3. 향과 헤이안왕조
4. 맺음말
目次
1. 머리말
일본에서 초기 향 문화는 왕과 귀족 등 상류계급의 전유물이었다. 고대 일본의 향
문화는 향기를 옷에 배게 하는 훈의(薰衣)에서 비롯된다. 옷을 펴서 걸친 다음 그 아
래 향을 피워 향기를 배도록 한 뒤 입는 방식이다. 특히 화려한 귀족문화가 꽃을 피운
10세기 이후 헤이안왕조는 종교적 의미로 향을 공향(恭香)하는 유행과 함께 훈물(薰物)
을 유희의 세계와 접목시켰다. 이것을 ‘다키모노아와세’(薫物合せ)라고 하는 데 이러한
향 문화는 동아시아 3국 중에서도 일본의 유일하고 독특한 전통이다. 이러한 향 문화
는 헤이안시대 궁정 소설이며 세계 최초의 장편소설인 겐지이야기(源氏物語)나 최초의
수필집인 마쿠라노소시(枕草子)에 잘 나타난다. 고대 일본 여성들이 훈의(薰衣)를 즐겨
입는 패션을 묘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향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표현하는 매개로 삼
았음1)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문학의 감상과 해석에서 신체적 묘사 및 인간의 감각에 대해 언급하기 시작
* 이 연구는 아모레퍼시픽재단의 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 대구한의대학교 일본어과 부교수 일본문화학, 일본문학 전공
1) 김영(2015)「일본 고대의 향도와 향문화 - 향의 문학적 기능을 중심으로-」『일본문화학보』65호,
pp.117-134
11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2). 예를 들면, 일본 고대 사회의 중요한 회화자료인 에
마키(絵巻)에서 당시의 여성들은 화려한 의상을 휘감고 얼굴과 손끝, 머리칼 부분만을
살짝 노출시킨 모습으로 등장한다3). 에마키는 1차적으로는 색채와 디자인에 지배된
‘시각’적 미의식의 표출이라 할 수 있지만, 그 이면에는 ‘후각’과 ‘촉각’이라는 감추어진
의식의 흐름이 있다.
가와조에(河添房江)는 신체론에서 한 걸음 확장된 ‘상징으로서의 신체’에 주목한다4).
고대문학에서 신체에 관련된 논술의 축적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그것을 신
체론의 언설에서 의식적으로 파악하는 것으로부터 무엇이 보일까. 신체론 뿐
만 아니라 신체의 연장으로서 의상과 화장, 調度와 주거 공간, 회화와 책 등
다양한 문화현상, 그 역사성, 시각·청각·후각·촉각·미각이라는 오감에 관련된
현상 등 <상징으로서의 신체>야말로 바로 향후 신체론의 가능성을 개척하는
것이다.
물론 가와조에 논리의 전거는 프랑스의 철학자 메를로퐁티에서 연유한다. ‘몸의 현상
학’으로 알려진 퐁티에 의해, 비로소 의식이 바라보던 외부 대상에 불과하던 <신체>가
우리 의식적 활동 자체를 가능케 하는 근본적 권좌, 즉 ‘몸’의 불가결한 근본성이 무엇
인지를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6).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신체의 확장에 해당하는, 화장과 조도(調度)와의 복합체라 할
수 있는 일본 고대의 ‘후각’의 미의식, 즉 향 문화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것은 인
간의 오감 중에서도 후각표현에 해당하며 극히 개인적 개성의 발현(發顯)에 해당하는
영역이기도 하다. 좋은 향기와 악취의 구별은 시대와 문화에 따라 상이하며 후각표현
에 대한 글쓰기 또한 문화와 작가의 개성에 따라 달라진다.
그렇다면 과연 헤이안시대 헤안쿄(平安京)에 감돌고 있던 향기는 어떤 것이며 당시
귀족들은 어떤 향기를 맡고 생활하고 있었을까, 그곳에 일본 왕조시대의 문화와 귀족
들의 생활문화가 응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라쿠(享楽真帆子)는 헤안
쿄는 거리의 심한 악취와 귀족 저택의 향기(芳香)가 복잡하게 뒤섞여 있었을 것이라고,
헤이안시대의 향 문화의 콘트라스트(대조)적 감각을 주장한다7). 헤이안 귀족들은 도시
2) 이러한 문학과 신체론에 대한 관심은 1960년대 프랑스의 철학・문화인류학・사회학 분야에서 부
상했는데, ‘행동은 육체적인 것만은 아니며 사유 역시 정신적인 것만은 아니다. 인식의 궁극적 완
성은 몸의 지각을 통해 이뤄진다’는 사고에서 비롯되었다.
3) 김영(2013)「일본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얼굴> 고찰-헤이안시대를 중심으로-」『일어일문학연
구』84호, pp.113-130
4) 河添房江(1994)「最近の物語研究から-王権論から身体論へ」「日本文学」/河添(1998)『性と文化の源氏
物語』筑摩書房, p.129
6) 메를로 퐁티(Maurice Merleau Ponty, 1908~1961)의 철학은 이른바 '몸철학'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는 '몸철학'을 가장 정교하게 잘 제시했다.
향(香)과 헤이안왕조(平安王朝) ························································································· 김 영…111
공간의 악취를 차단하고 자신의 생활공간의 방향(芳香)을 유지하기 위해 향을 향유하
고 있었다. 여기엔 귀족과 서민이라는 신분의 차이에서 오는 대비적 특이성과도 연결
된다. 헤이안 귀족은 향을 피워 실내 공간을 좋은 향으로 가득 채우고 훌륭한 향이 배
인 의복을 착용해 주위의 악취를 차단함으로써 귀족만의 ‘특권’을 누리고 있었다.
역사적으로 살펴보아도 일본은 세계에서 유래를 찾을 수 없을 정도로 향도(香道)가
가장 정교하게 발전해 전승되어 왔고 향도인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역사
적으로 향도와 향료에 관한 각종 서적들이 저술되어 왔고 향도 유파도 약 100여개에
이른다. 중국에서 불교와 함께 전래된 향 문화가 일본에서 화려하게 꽃을 피우고 향도
로 정착하게 된 것이다. 헤이안 궁중 귀족들은 1년 365일 향을 향유하는 화려한 생활
을 영위했다. 향은 자기표현의 정점이며 향으로 자신의 존재를 표출하는 시대였다.
현재까지 헤이안시대의 향문화에 관한 선행연구는 겐지이야기 우지주조(宇治十帖)에
집중되어 왔는데, 그것은 등장인물인 가오루(薫)와 니오미야(匂宮) 때문이다.
이에 관한 연구로 요시무라 아키코(吉村晶子)는 가오루(薫)의 체취가 그의 종교심에
서 비롯된 것이며 그의 신성성(聖性)을 각인시키는 것이라 주장한다. 한편 그의 체취가
종교심의 상징이 아닌 애욕의 표출이라는 논고도 있는데 스케가와 고이치로(助川孝逸
郎)8)는 ‘<향기>에 내재된 중층의 의미 구조 속에 “가오루의 애욕의 상징”이라는 영역
을 인지해도 착오는 없을 것이다’고 한다.
미타무라 마사코(三田村雅子) 또한 ‘안개에 젖어 하치미야의 공주들을 엿보며 마음이
동요한 뒤, 가오루의 이상하리마치 강조된 향기는 평소 남성으로서의 자신을 억제하고
여성에 대한 무관심을 표방해 온 가오루의 표면적 진실함과는 상반된, 참을 수 없는
정념과 충동의 노출임에 틀림없다’9)고 서술한다.
이와 같이 기존 연구에서는 주인공의 인물상을 표현할 때, <향기>가 종교적 신앙심
또는 애욕의 상징으로 표출되는 등 인물들 간의 중요한 매개체 혹은 미디어적 장치로
작용하고 있었음에 주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헤이안 사회에서 생산되고 꽃을 피운 향의 미의식과 당시 정형화된
미의식에서 비롯된 향(香)의 규범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향의 생활사에 주목해 모
노가타리 내부에서 실제 귀족들이 향을 제조하고 향유한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일본 왕
조시대의 향 문화사의 일면을 엿보고자 한다.
7) 享楽真帆子(2008)「平安京貴族文化とにおいー芳香と悪臭の権力構造ー」(三田村雅子編『薫りの
源氏物語』翰林書房、pp.68-85)
8) 助川孝逸郎(2008)「<見えるかおり>/<匂うかをり>ー薫の<香り>が表象するものー」(三田村
雅子編『薫りの源氏物語』翰林書房、pp.150-172)、「薫の<かをり>についてー愛欲とのかかわり
を中心に」『中古文学論攷』13、早稲田大学大学院中古文学研究会、1992年
9) 三田村雅子編(1997)「濡れる身体の宇治ー水の感覚・水の風景」『源氏研究』翰林書房、pp.103
11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2. 향과 겐지이야기
2.1 향의 제조과정
향에 관한 가장 유명한 일화는 겐지이야기(源氏物語)의 우메가에(梅枝)권에서 찾
아볼 수 있다. 당시 귀족들은 향을 즐길 뿐 아니라 향을 직접 제조하였음을 나타낸다.
우메가에(梅枝)권에는 향 제조에 직접 관여하는 겐지와 4명의 여성들의 향 제조 과
정이 구체적으로 그려질 뿐만 아니라, 완성된 향을 넣은 향 항아리(香壺)와 향합(香箱)
에 이르기까지 화려함의 극치를 이룬 재료와 세밀한 디자인(意匠)까지 상세하게 소개
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여성들이 제조한 향의 냄새를 맡고 그 질의 우열을 판정하
는 자(判者)로서 겐지의 남동생인 호타루노미야가 등장한다.
겐지는 자신과 아카시노우에(明石の上) 사이에서 태어난 아카시노 히메기미(明石の
姫君)의 11살 성인식(裳着)을 맞이하여 로쿠죠인(六条院)에 거처하는 여성들에게 ‘향
경합(薫物合せ)’을 제안한다. 아카시노 히메기미(明石の姫君)는 성인식 후에는 정식으로
황태자비가 되어 동궁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를 축하하기 위한 행사가 성대하게 벌어
지는데 겐지는 자신의 딸을 위해 귀중한 향료를 풍성하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직접 향 제조에 전력을 기울인다. 향 제조에 참여하게 된 것은 아카시노 히메기미(明
石の姫君)를 10년간 양육한 무라사키노우에(紫の上)와 겐지의 사촌인 아사가오(朝顔の
君),겐지가 마음으로 신뢰하는 여인 하나치루사토(花散里の君)와 아카시노 히메기미
의 생모인 아키시노우에(明石の上) 이상 4명이다. 겐지는 위 4명의 여인들에게 향 제조
를 명하게 되는데, 그 시기는 정월 말이다.
(1)正月のつごもり成れば、公私のどやかなるころほひに、薫物合はせたまふ。大弐の奉
れる香ども御覧ずるに、なほいにしへのには劣りてやあらむと思して、二条院の御倉開けさ
せたまひて、唐の物ども取り渡させたまひて、御覧じくらぶるに、「錦、綾なども、なほ古き
物こそなつかしうこまやかにはありけれ」とて、近き御しつらひのものの覆ひ、敷物、褥など
の端どもに、故院の御世のはじめつ方、高麗人の奉れりける綾、緋金錦どもなど、今の
世の物に似ず、なほさまざま御覧じ当てつつせさせたまひて、このたびの綾、羅などは人々
に賜す。(2)香どもは、昔今の取り並べさせたまひて、御方々に配り奉らせたまふ。「二種
づつ合はせさせたまへ」と聞こえさせたまへり。贈物、上達部の禄など、世になきさまに、
内にも外にも事しげく営みたまふに添へて、方々に選りととのへて、鉄臼の音耳かしがましき
ころなり。
(1)에서 겐지는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향의 원료를 직접 선택해 여인들에게 나
누어준다. 좋은 향이 들어오면 전해달라고 당시 대륙무역의 창구였던 다자이후(大宰府)
에 명령을 내린다. 하지만 손에 들어온 것은 예전 것과 비교하면 모두 질이 뒤떨어지
향(香)과 헤이안왕조(平安王朝) ························································································· 김 영…113
는 것이었다. 그래서 니조노인(二条の院) 창고를 열고 창고 안에서 당나라 때 전해진
훌륭한 향목(香木)을 선택한다. (2)에서 향의 원료를 여인들에게 전달한 겐지는 각각 2
종류씩 만들도록 한다. 향의 재료가 전달된 후 각각의 여인들은 향목을 절구로 분쇄하
는 분말 만들기 작업부터 시작한다.
(3)大臣は、寝殿に離れおはしまして、承和の御いましめの二つの方を、いかでか御耳には伝へたま
ひけん、心にしめて合はせたまふ。上は、東の中の放出に、御しつらひことに深うしなさせたまひて、
八条の式部卿の御方を伝へて、かたみにいどみ合はせたまふほど、いみじう秘したまヘば、「匂ひの
深さ浅さも、勝負の定めあるべし」と大臣のたまふ。人の御親げなき御争ひ心なり。いづ方にも、御
前にさぶらふ人あまたならず。御調度どもも、そこらのきよらを尽くしたまへる中にも、香壺の御箱どもの
やう、壺の姿、火取の心ばへも目馴れぬさまに、いまめかしう、様変へさせたまへるに、所どころの
心を尽くしたまへらむ匂ひどものすぐれたらむどもを、嗅ぎ合はせて入れんと思すなりけり。10)
(3)에서는 닌묘천황(仁明天皇)의 향 조제 비법(承和の御いましめの二つの方)과 모토야
스친왕(本康親王, 닌묘천황의 7번째 왕자로 천황의 향제조법을 전수받았다고 함)의 비
법이 소개되고 있다. 훈향의 종류와 명칭에 관해서는 『薫集類抄』에 그 제작자와 명
칭을 시대순으로 열거하고 있는데, 여기서 2가지 향은 구로보(黒方)와 지쥬(侍従)라고
한다11). 모토야스친왕(本康親王)의 향 제조법에 관해서는 「沈八両二分、麝香一分三
朱、甲香三両二分、甘松一分、白檀二分三朱、丁子二両三分、麝香二分、薫陸一分」라고
있고 또 다른 설은 「沈・丁子・甲香・甘松を合せたもの一種と、それらに熟欝金をあわ
せたもの」라고 2종류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덧붙여 구로보(黒方)와 지쥬(侍従)의 제
조 비법은 남자에게는 전수하지 않았다(不伝男子)고 한다.
당시 향 전수는 비전(秘傳)으로 비밀리에 전수되었으며 훈향의 조제비법 또한 일부
정해진 사람들만 그 비법을 알고 있었다. 만드는 자에 따라 향의 깊이가 달랐으며 그
에 의해 향의 품질이 정해지는 등 은밀하면서도 세밀한 향 제조작업을 연상시킨다.
여기서 여성에게만 전수되던 향 제조 비법을 남성인 겐지가 알아내 향을 만들어 냈
던 것도 무라사키시키부의 세밀한 고안과 수법이 함축되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즉
닌묘천황의 비법을 알아낸 것도 겐지, 황족만의 특권이며 겐지와 황권의 특별한 관계
10) 겐지는 홀로 침전에서 떨어져 닌묘천황(仁明天皇)의 향 조제 비법 2가지를 어떻게 전수받았는지
열심히 조합하고 계신다. 무라사키노우에는 자신의 거처인 동쪽 거처(東の対) 母屋에 은밀하게
거처를 마련해 모토야스친왕(本康親王, 닌묘천황의 7번째 왕자로 천황의 향제조법을 전수받았다고
함)의 비법을 전수받아 겐지대신과 서로 경쟁하며 조합하는데 비밀스럽게 하고 계시므로 ‘훈물의
향이 깊고 엷은 것도 승패를 정해야 한다’고 겐지는 말씀하신다. 승부에 집착하는 모습이다. 두 분
모두 옆에 두는 뇨보를 물리고 은밀하게 향을 제조하신다. 쵸도 물품도 화려하게 준비하는데 특히
향 항아리 모양, 형태는 당세풍으로 지금까지와는 취향을 달리해 만드시는데 여기에 온 정성을 담
아 조합하고 계신 훌륭한 향을 냄새로 분별한 후 넣으려고 생각하신다.
11)阿部秋生外(1996)『新編日本古典文学全集源氏物語3』p.488注참조
11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를 연상시킨다. 무라사키노우에 또한 모토야스친왕의 비법을 전수받았다는 표현은 무
라사키노우에가 보통의 귀족이 아닌, 최고의 권력층인 황족과 각별한 관계였으며 그
비법으로 향을 제조했다는 사실은 향을 손에 넣을 수 있는 경제적 재력과 문화적 지성
및 교양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4)二月の十日、雨すこし降りて、御前近き紅梅盛りに色も香も似るものなきほどに、兵部卿宮渡りた
まへり。(p.405)
(5)このついでに、御方々の合はせたまふども、おのおの御使して、「この夕暮のしめりに試みん」と
聞こえたまへれば、さまざまをかしうしなして奉れたまへり。(p.408)
(4)는 2월 10일경, 비가 조금 내려 습기가 남아있는 저녁 무렵에 아사가오(朝顔の君)가
가장 먼저 향을 가져오는 장면이다. 건조한 날씨보다는 약간 습기가 있어 축축한 날씨
에 향을 피우는 것이 더욱 잘 연기가 피어오른다는 사실을 이미 무라사키시키부는 숙
지하고 있었다. (5)또한 겐지가 로쿠조인의 여성들에게 훈향은 비가 내려 공기가 습한
저녁 무렵이 좋으니 어서 제조한 훈향을 제출하라 분부하는 장면이다.
(6)「これ分かせたまヘ。誰にか見せん」と聞こえたまひて、御火取ども召して試みさせたまふ。「知
る人にもあらずや」と卑下したまへど、言ひ知らぬ匂ひどもの進み、後れたる、香一種などが、いささ
かの咎をわきて、あながちに劣りまさりのけぢめをおきたまふ。
(6)에서 겐지는 호타루노미야(蛍宮)에게 아무에게도 보여주지 말고 향의 좋고
나쁨을 판정해 달라 부탁한다. 호타루노미야(蛍宮)는 겸손하게 ‘나도 향에 대해
선 잘 모르지만’이라고 말하지만 향이 지나치거나 부족하거나 등의 조합 재료
의 세밀한 결점까지 그 향을 판별해 훌륭한 훈향의 우열을 가린다.
(7)かのわが御二種のは、今ぞ取う出させたまふ。右近の陣の御溝水(みかわみず)のほとりになずら
へて、西の渡殿の下より出づる、汀近う埋ませたまへるを、惟光の宰相の子の兵衛尉堀りてまゐれ
り。
(7)에서 겐지는 자신이 만든 2종류의 향을 가져오는데 그것은 右近衛(궁중경비를 맡아
본 관아)의 정원을 통과하는 도랑 근처에 묻어 두는 관습에 따라 서쪽 복도 아래에
흐르는 연못가에 묻어 두신 것을 고레미츠 재상 아들인 兵衛尉가 땅속의 것을 파서 가
져 왔다. 습기가 있는 땅 속에 묻어두면 깊은 향이 난다는 관례에 따라 겐지는 자신이
제조한 향을 땅 속에 며칠간 묻어두었다가 파내어서 가져 오게 한다. 향 제조과정이
세밀하고 기술되어 당대 향 만들기 과정을 유추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향(香)과 헤이안왕조(平安王朝) ························································································· 김 영…115
(8)「いと苦しき判者にも当たりてはべるかな。いとけぶたしや」と悩みたまふ。同じうこそは、いづくに
も散りつつひろごるべかめるを、人々の心々に合はせたまへる、深さ浅さを嗅ぎ合はせたまへるに、い
と興あること多かり。
호타루노미야(蛍宮)는 어려운 판정자 역할을 맡게 된 것에 대해 괴롭다고 말하며 고민
한다. 훈향은 동일한 제조법이 전승되어 왔지만 향에는 각각의 개성이 묻어나므로 그
향의 깊이가 달라 정취가 있다고 기술한다. 위의 (3)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향 제조는
은밀하게 비전되던 비법이었지만 만드는 이에 따라 전혀 그 향이 달리 나오는 고도의
기술이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9)さらにいづれともなき中に、斎院の御黒方、さいへども、心にくく静やかなる匂ひことなり。侍従
は、大臣の御は、すぐれてなまめかしうなつかしき香なりと定めたまふ12)。(중략)対の上の御は、三
種ある中に、梅花はなやかにいまめかしう、すこしはやき心しつらひを添へて、めづらしき薫り加はれ
り。「このごろの風にたぐへんには、さらにこれにまさる匂ひあらじ」とめでたまふ。
다이노우에(対の上, 무라사키노우에)가 조합하신 향은 3종류(黒方, 侍従, 梅花) 있는데,
매화향은 화려하고 신선한 당세풍의 느낌이며 섬세한 감각이 돋보이는 훌륭한 향이다.
호타루노미야는 ‘오늘 같은 봄날 봄바람에 피우기에 가장 어울리는 향’이라고 칭찬하신
다. 역시 무라사키노우에는 당대 최고 교양의 여성답게 가장 많은 종류의 향을 만드는
데 단기간에 이렇게 많은 종류의 향을 만든다는 것 자체가 지성의 척도임을 암시한다.
(10)夏の御方には、人々の香心々にいどみたまふなる中に、数々にも立ち出でずやと、煙
をさへ思ひ消えたまへる御心にて、ただ荷葉を一種合はせたまへり。さま変り、しめや
かなる香して、あはれになつかし。
나쓰노온가타(夏の御方, 하나치루사토)는 다른 분들이 어떤 훈향이 좋을까 고심하며 경
쟁하고 있는 중에 그렇게 여러 가지 향을 선보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고 소극적으로 단
한 가지 향(荷葉)만을 만드셨다. 그런데 그 향은 독특한 취향의, 고요하고 차분한 향기로
애절한 느낌이 든다고 기술한다. 하나치루사토(花散里)는 자신의 신분과 교양 정도에 맞
게 한 가지 향만을 제조하는데 그 향기가 여름의 향기이며 독특한 취향의, 고요하고 차
분한 향기로 애절한 느낌이 든다. 향의 양보다는 적은 양이라도 자신의 개성이 묻어나는
향 제조를 통해 <향 = 하나치루사토>라는 강한 이미지를 심어주고 있다.
12)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가운데 아사가오가 만든 구로보는 겸손하게 말해도 역시 정취가 깊고 안정
된 향이 나는 것이 정말 각별하다. 겐지가 만든, 가을 향이라 일컬어지는 지주(侍従)는 우아하고 그
리운 향이라 판정하신다.
11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11)冬の御方にも、時々によれる匂ひの定まれるに、消たれんもあいなしと思して、薫衣香の方のすぐ
れたるは、前の朱雀院のをうつさせたまひて、公忠朝臣の、ことに選び仕うまつれりし百歩の方など思
ひえて、世に似ずなまめかしさをとり集めたる、心おきてすぐれたりと、いづれをも無徳ならず定めたまふ
を、「心ぎたなき判者なめり」と聞こえたまふ13)。
마지막으로 아카시노기미는 향 제조의 피날레를 훌륭하게 장식하는데 ‘훈의향(薰衣
香)’을 사용한다. 그리고 당시 헤이안시대는 각 계절에 어울리는 향이 정해져 있었다.
구로보는 겨울, 지주는 가을, 매화는 봄, 가요는 여름이라는 식으로 사계에 맞는 향이
결정되어 있어 상식처럼 통용된 것 같다. 그래서 아카시노기미는 관습 그대로 향을 만
들면 무라사키노우에나 아사가오 등 다른 여성에게 질 것은 뻔하다 생각해 계절에 상
관없이 옷에 향을 배게 하는 훈의향을 선택했을 것이다.
2.2 향과 인물상
겐지이야기 우메가에 권에서 나타난 향 제조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첫째, 아카시노 히메기미를 위해 겐지와 로쿠죠인 여성들이 만든 향은 성인식 이후
황태자비가 되어 궁으로 들어가게 될 공주를 위한 최고의 축하선물이라 할 수 있다.
아카시노 히메기미를 생각하며 아카시노 히메기미 단 한사람만을 위한 향을 제조해 그
향의 우열을 가리는 판정자까지 정하는 향 우열대결(薫物合せ)은 장래 황후가 될 여성
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으로 무라사키 시키부가 생각한 최고의 찬사라 할 수 있다.
둘째,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의 거처인 로쿠죠인(六条院)에 사는 여성들에게 향을
제조하라 했을 때 자신과 가장 잘 어울리며 각각의 개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향을 만
드는데 역시 사계에 맞는 향을 선택하고 제조한 것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을
주제로 하여 향료를 계절에 맞게 조합하는 것은 일본 왕조세계가 최전성기를 구가하던
시절이었음을 나타낸다.
즉, 봄의 궁궐에 살며 봄의 공주로 일컬어지던 무라사키노우에는 매화향(梅花)을 제
조했고 여름 공주인 하나치루사토는 대표적인 여름 향기인가요(荷葉)를, 겐지는 가을
13) 冬の御方(明石の君)는 계절마다 어울리는 향이 정해져 있으므로(구로보는 겨울, 지주는 가을, 매
화는 봄, 가요는 여름), 정해진 형식 그대로 만들면 다른 분들에게 질 것임에 뻔하다 생각해 취향을
달리해 독특한 훈의향(薰衣香)을 만드셨다. 본디 훌륭한 훈의향은 우다천황의 조제법을 지금 스자쿠
천황이 계승받아 긴타다(源公忠朝臣)가 음미하며 만들어 올린 ‘햐쿠부의 호(百歩の方: 훈의향의 일종
으로 백보 떨어진 곳까지 향기가 난다는 의미)’라고 전해지는 것이 있다고 하는데, 호타루노미야는 아
카시노기미가 이것을 생각하며 이 세상에 둘도 없는 우아하고 아름다운 향을 만드셨다고 판정하므로,
겐지는 이렇게 모든 향의 장점만을 언급하는 호타루노미야에 대해 ‘정말 공정치 못한 판정자’라고 하
신다.
향(香)과 헤이안왕조(平安王朝) ························································································· 김 영…117
향의 대표격인 지주(侍従)를 제조한다.
셋째, 겐지, 무라사키노우에, 아사가오 3인이 공통적으로 만든 향은 구로보(黒方)이
다. 역시 당대 최고의 향이라 평가받는 만큼 당대 최고의 풍류인이며 교양인인 이들은
구로보 제조를 통해서 자신의 예술성과 심미안을 평가받길 원했을 것이다.
아사가오(朝顔の君)는 청색 루리(紺瑠璃)와 백색 루리(白瑠璃) 항아리에 담은 2개의
향을 가져오는데 그것은 아카시노 히메기미(明石の姫君)의 성인식을 축하하는 자리에
서 빼놓을 수 없는 구로보(黒方)이다. 여기서 주안점은 구로보가 아닌 향 항아리(香壺)
에 있다. 향 자체도 중요하지만 향을 담은 항아리까지 치밀하게 고안한 아사가오의 섬
세한 기법이 돋보이는데 한 개는 매화나무(梅の枝)를 장식하고 또 다른 한 개는 소나
무(五葉の松)가지로 장식되어 있다.
무라사키노우에(紫の上)는 대표적인 봄의 향기로 분류되는 매화향(梅花)을 비롯해 3
종류의 향을 제조한다. 무라사키노우에가 봄의 거처에 머물고 있는 만큼 봄의 대표적
인 향이라 일컬어지는 매화향을 제조하고 있다. 열흘이라는 짧은 시간에 3종류의 향을
만들었다는 것은 4인의 여성 중에서는 가장 탁월한 향에 대한 심미안을 가졌음을 나타
내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하나치루사토(花散里)는 단 1종류의 향만을 만든다. 여름의
향기로 대표되는 가요(荷葉)인데 이 향은 여름 거처(夏の町)에 머물고 있는 하나치루사
토(花散里)의 캐릭터를 함축하고 있다.
겐지 또한 자신의 딸을 위해 구로보 제조에 전력을 다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하지만
이 비법은 여성에게만 전수된 비법이므로 본디 남성인 겐지가 만들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겐지는 천황이 여성에게만 전수하라는 비법의 정보를 알아내 이 금기를 깨고
구로보 제조에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겐지야말로 이 금기를 깰 수 있는 유
일한 사람이며 천황에 버금가는 최고의 권력과 교양을 갖고 있음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무라사키시키부는 누가 어떤 향을 제조하고 몇 종류 만들었는가 등에 의
해 작중인물들의 캐릭터와 이 작품에 있어서의 등장인물들의 신분과 위치, 나아가 인
물들의 교양과 지성을 조형하는 수단으로 삼고 있다.
넷째, 우메가에 권의 향의 우열가리기에서 우선적으로 판정을 받는 것은 구로보와
지쥬이다. 이 두 종류의 향은 방향(芳香)뿐 아니라 향의 레벨이나 격식 또한 높게 평가
받았던 것 같다14). 이들 향을 제조한 것은 황족신분의 아사가오와 황족신분에 가까운
겐지였는데 향의 계절감뿐만 아니라 등장인물의 신분과 위치에 맞는 향의 조합이 존재
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14) 다나카 게이코는 다음과 같은 논고에서 이미 ‘구로보’와 ‘지주’의 위상에 관해, 훈물(薫物)과 등장인물과의 격
식과의 균형이 고려된 결과라고 논한 바 있다. 田中圭子(2008)「紫上の薫物と伝承」(三田村雅子編(2008)『薫り
の源氏物語』翰林書房、p.135)
11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3. 향과 헤이안 왕조
위의 겐지이야기에 나타난 기술을 중심으로 일본 고대의 향 제조과정을 유추할 수 있
다.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겐지는 4명의 여성들에게 향 원료를 전해주며 아카시노 히
메기미(明石の姫君)의 성인식을 축하하는 향을 2종류씩 만들라 명한다. 명을 내리고 향
을 피우기까지 정확하게 1월말부터 2월10일까지 열흘간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것은 당
시 향 제조에 걸리는 시간과 향제조 순서를 사실적으로 전해주고 있다. 즉, 재료를 받은
후 바로 어떤 향을 만들 것인가 옛 비법을 문헌이나 자료를 통해 조사하고 제조할 향이
결정되면 우선 향 원료를 분말 형으로 만든다. 그 후 벌꿀이나 감미료 등으로 섞어 반
죽해 환약의 형태로 만든다. 그것을 항아리에 넣어 밀봉한 후 습기 차고 눅눅한 땅 속
에 며칠간 묻어 숙성시킨다. 이러한 땅 속에서의 숙성을 통해 깊은 향이 우러난다고 한
다. 이러한 구체적인 작업 일정을 통해 헤이안시대 향 제조의 실상을 유추할 수 있다.
시기적으로 보면, 향 제조를 명한 것은 정월 말이고 향을 피운 것은 2월 초순인데, 2
월 10일은 완성된 향을 피우기엔 가장 적합한 날씨였다. 비가 약간 내려 습기 찬 실내
에서 향을 피우는 것이 가장 잘 연기가 난다는 것이다.
마쿠라노소시(枕草子)에도 이와 비슷한 장면이 있다. 예를 들면 190단 (心にくきも
の)15)에는
薫物の香、いと心にくし。五月の長雨のころ、上の御局の小戸の簾に斎信の中将の寄りゐたまへり
し香は、まことにをかしうありしかな。その物の香ともおぼえず。おほかた雨にもしめりて、艶なるけしきの
めづらしげなき事なれど、いかでか言はではあらむ。またの日まで御簾にしみかへりたりしを、若き人な
どの世に知らず思へる、ことわりなりや16)。
당대의 재인(才人)이며 높은 교양의 소유자였던 다다노부(斎信の中将)가 중궁의 거처인
고키덴(弘徽殿)의 작은 문의 발(御簾)에 기대 앉아있었던 곳의 향기를 묘사하는데, 그
훌륭한 향기는 어떤 특정한 향기는 아니었지만 5월 장맛비가 내린 뒤의 눅눅한 공기에
는 더욱 그 정취를 더한다고 묘사한다. 이처럼 향은 습기가 많을수록 향기를 잘 내 뿜
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작가인 세쇼나곤은 예민한 관찰감각을 통해 향을 후각적으로
절묘하게 묘사하고 있다.
당시 무라사키시키부는 이러한 향 제조와 향 피우기, 그리고 어떤 향이 좋고 어떤
15) 松尾聡(1997)『新編日本古典文学全集 枕草子』小学館、p.332
16) 훈물의 향은 정말 정취가 있다. 5월 장마 무렵 중궁이 계신 고키덴(弘徽殿)의 작은 문의 발에 다
다노부가 기대 앉아있었던 곳의 향취가 정말 훌륭했다. 어떤 특정한 향기는 아니었는데 비가 온
뒤의 눅눅한 공기에 향기가 더욱 그 향을 발하는 정취는 특별하지는 않았지만 표현할 수 없을 정
도로 멋진 풍류였다. 다음날 까지 그 향기가 발에 스며들어 향이 나는 것을 젊은 뇨보들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훌륭하다고 생각하는 것도 당연한 일이다.
향(香)과 헤이안왕조(平安王朝) ························································································· 김 영…119
향이 떨어지는지 향의 우열판정까지 향에 관한 방대한 지식과 정보를 갖고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당대 귀족들은 향 제조가 교양인의 필수였으며 이러한 향은 당
대 교양인들의 교양과 감성을 함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훈의향에 대해 좀 더 살펴보기로 하자. 헤이안시대 일본인들은 의복에 향
을 옮기기 위해 후세고(伏籠)를 사용했다. 히토리(火取)라고 불리는 일종의 향로에 향
을 피우고 큰 대나무 소쿠리 같은 통을 향로에 뒤집어씌운 모양이다. 이 위에 의복을
펼쳐 향을 스며들게 한다. 이처럼 의복에 향을 스미게 한 것은 여성뿐만 아니었으며
남성귀족들도 단정한 옷차림을 위한 필수 교양의 한 가지로 훈의향을 사용했다.
헤이안 귀족의 남녀를 불문하고 의류에 자신의 개성이 담긴 향기를 스며들게 하는
훈의향의 관습은 꽤 오랫동안 헤이안 사회에서 지속되었던 것 같다. 겐지이야기의 마
키바시라(真木柱) 권에는
御火取召して、いよいよたきしめさせてまつりたまふ。(中略)なほ装束したまひて、小さき火取とり寄せ
て、袖に引き入れてしめゐたまへり。なつかしきほどに萎えたる御装束に、容貌も、かの並びなき御光
にこそ圧さるれど、いとあざやかに男々しきさましてただ人と見えず、心恥づかしげなり17)。
여기에는 본처인 기타노가타(北の方)가 세련되지 못한 히게쿠로 다이쇼(髭黒大将)인
남편의 의복에 훈향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렇게 훈향한 의복을 입은 히게쿠로 다이
쇼는 남자다운 풍채로 변모하여 젊은 애인 다마가즈라(玉鬘)를 만나러 간다. 하지만 출
발을 서두르는 모습에 슬퍼하며 울분을 참던 기타노가타(北の方)는 끝내 참지 못하고
후세고 밑에 있던 향로를 남편의 등에 던져 버린다는 내용이다.
헤이안 귀족들은 항상 신변 가까이 향과 훈향 기구를 두고 능숙하게 고귀한 향을 사
용했다. 당시 훈향은 남자의 필수교양이었으며 주로 남자의 의복을 훈향하는 것은 집
안 본처 여성의 몫이었다. 애인의 거처에 드나들며 다른 여성을 만나는 것을 알면서도
고통을 인내하며 남편의 의복에 향을 입히는 모습이 여성의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와카무라사키(若紫) 권에는
そらだきもの心にくくかをり出で、名香の香など匂ひ満ちたるに、君の御追風いとこと
なれば、内の人々も心づかひすべかめり18)。
위의 짧은 문장 안에 3가지 향이 등장해 주목을 끈다. 그것은 다키모노(たきもの)와 묘
고(名香), 오이카제(追風)인데 다키모노는 조합한 향을 연소시켜 실내 공기를 바꾸는
17) 阿部秋生外(1996)『新編日本古典文学全集 源氏物語3』p.364
18) 練香를 훈향한 향기가 어디선지도 모르게 실내에 가득 차고 불전에 봉헌하는 향기가 가득 차 있
는데다가 겐지의 의복에 밴 향기도 각별하므로 안에 있던 여인들도 무언인가하고 신경 쓰고 있는 것
같다. 阿部秋生外(1996)전게서『源氏物語1』p.211
12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것이고 묘고는 불전에 피우는 향을 말한다. 오이카제는 의복에 훈향한 향이 사람의 움
직임에 따라 향내를 풍기는 것이다. 고대 헤이안 귀족들이 오히려 현대인들보다 후각
에 예민하게 반응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향을 통해 향락의 극치를 구가하고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마쿠라노소시(『枕草子』215段)에서는 훈의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よくたきしめたる薫物の、昨日、一昨日、今日などは忘れたるに、引きあけたるに、煙の残りた
るは、ただ今の香よりもめでたし」(『枕草子』215段) 19)
향이 잘 배인 옷을 며칠 동안 잊어버리고 있었는데, 며칠이 지난 후 뚜껑을 열
었을 때, 그 옷에 남아있던 여향(餘香)이 오히려 풍류가 있다고 찬미한다. 잊
고 있었던 희미한 향기로부터 과거가 일순 회상, 돌이켜지는 데, 그러한 향기
가 지금 막 피운 향보다 정취가 있다는 것이다. 세쇼나곤은 짙은 향보다는 은은
하고 희미한 향을 즐겼는데, 다른 장단에도 이러한 감각이 돋보인다. 예를 들면,
「心ときめきするもの(中略)よき薫物たきて一人臥したる。唐鏡のすこし暗き、見たる。
よき男の、車とどめて、案内し問はせたる。頭洗ひ化粧じて、香ばしうしみたる衣など
着たる」(『枕草子』27段20))
가슴이 두근거리는 일 중에 한 가지는 머리를 감고 화장을 아름답게 하고 세련된 향이
잘 스민 옷을 입고 있는 것(頭洗ひ化粧じて、香ばしうしみたる衣など着たる)이다. 훈향
한 의복 외에도 멋진 향을 피우고 혼자 누워(よき薫物たきて一人臥したる)방안에 그
은은한 향이 퍼지는 것을 후각으로 느끼는 것 또한 당시 헤이안 귀족들의 도락(道樂)
적인 일상을 상징적으로 잘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당시 향은 일부 특권계층에 국한된, 고위 귀족층에 한정되어 있었다. 거의 수
입에 의존했던 향목은 경제력 있는 천황과 귀족들만이 향유할 수 있었고 그들은 최고
의 교양과 지성의 표현으로 향을 일상생활에 도입했던 것이다.
3. 맺음말
본 논문은 인간의 감각 중에서도 ‘후각코드’에 주목하여 당시 고대 ‘헤이안왕
조’과 ‘향’이라는 시각에서 일본 왕조미(王朝美)의 한 전형(典型)을 들여다보고
19) 松尾聡(1997)전게서, p.351
20) 松尾聡(1997)전게서, p.69
향(香)과 헤이안왕조(平安王朝) ························································································· 김 영…121
자 했다. 고대 일본 사회에서 생산되고 정형화된 후각-향기의 미의식과 당시
정형화된 미의식에서 비롯된 향(香)의 규범성, 그리고 이러한 규범적 후각미
(嗅覺美)에서 당대 향 문화의 실상을 모색해 보았다.
그동안 수많은 역사가·인류학자·사회학자들은 오랫동안 후각을 배제하고 시
각과 청각에만 관심을 집중해 오면서 감각에 대한 편견을 가져 왔다. 따라서
이와 같이 후각-향기에 집중하는 것은 지금까지 지속되어 온 우리의 감각에
대한 편견을 시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2013)「일본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얼굴> 고찰-헤이안시대를 중심으로-」『일어일문
학연구』84호, pp.113-130
(2015)「일본 고대의 향도와 향문화-향의 문학적 기능을 중심으로-」『일본
문화학보』65호, pp.117-134
・阿部秋生外(1996)『新編日本古典文学全集 源氏物語3』p.488
・
(1996)『新編日本古典文学全集 源氏物語1』p.211
・河添房江(1994)「最近の物語研究から-王権論から身体論へ」「日本文学」/河添(1998)『性と
文化の源氏物語』筑摩書房, p.129
・享楽真帆子(2008)「平安京貴族文化とにおいー芳香と悪臭の権力構造ー」(三田村雅子編
『薫りの源氏物語』翰林書房、pp.68-85)
・助川孝逸郎(2008)「<見えるかおり>/<匂うかをり>ー薫の<香り>が表象するものー」(三田
村雅子編『薫りの源氏物語』翰林書房、pp.150-172)
・田中圭子(2008)「紫上の薫物と伝承」(三田村雅子編(2008)『薫りの源氏物語』翰林書房、p.135
・松尾聡(1997)『新編日本古典文学全集 枕草子』小学館、p.332
・三田村雅子編(1997)「濡れる身体の宇治ー水の感覚・水の風景」『源氏研究』翰林書房、
p.103
・
12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要 旨
It is possible to fin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rough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incense indicated by "Genji".
First, incense women these Genji and Rokujoin is made for Akashi princess
becomes a gift of the best celebration for after the ceremony, was supposed to
go to the temple to become the Crown Princess princess.
Second, spring, summer, autumn, winter, four seasons of residence, when it
was a case manufacturing incense to women that live in Rokujoin, in order to
best match with yourself, smell each personality appears best I'm making. And
select the scent combined in four seasons, that it is than had been
manufactured, that it was a four seasons theme combined to match the
fragrance on the season, it was the age that the world of peace dynasty had
enjoyed a golden age my shows.
Third, Genji, scent purple on over, three of morning glory was making in
common is more black. At that time, as has been rated as the best flavor, is a
contemporary best wind flow people, through was educated person they black
how manufacturing, than is was hoping to be evaluated their artistry and
aesthetic eye .
In this way Murasaki Shikibu to produce the what incense, due to some
kind that you have made a, and in the work the person who character, identity
and the position of the characters in this work, in order to further shape the
culture and intelligence of the person I have the means of.
キーワード:Incense, Heian period, Genjimonogatari, Scent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재확정일 : 2015. 7. 4
『古今和歌集』의 恋歌와 헤이안문학*
1)南
二 淑**
(e-mail: [email protected])
目 次
1.
2.
3.
4.
5.
시작하며
『고킨와카슈』와 연가( 歌)
연가와 헤이안 귀족의 풍류생활
연가와 헤이안 산문문학의 영향관계
나오며
恋
1. 시작하며
일본의 전통시가는 57577로 우리의 시조보다 짧은 음수율로 이루어진 와카
やまと)를
(和歌)이다. 와카의 와(和)는 야마토(大和;
의미하기도 하지만, 본질
こたふる(화답하다)란 뜻을 가지고 있다. 마음을 상대방에 맞추어 화답
적으로는
하고 조화를 이룬다는 뜻이다. 이처럼 와카와 인간의 사랑은 떼래야 뗄 수 없
는 관계이다. 사랑에 관한 노래는 가장 오래된 가집인 만요슈에서도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恋草を 力車に 七車 積みて恋ふらくわが心から(만엽 廣河女王)
694 사랑을 하면 돋아나는 연초를 짐수레에 일곱 번이나 실을 정도로 사랑
하는 마음은 커졌다. 그것도 내 마음으로부터.....
家にありし 櫃に鍵刺し 蔵(をさ)めてし 恋の奴が つかみかかりて
3816 집에 있는 상자에 열쇠를 채워 가두어 둔 사랑의 노예가 달라든다
* 이 논문은 군산대학교 2014학년도 대학자체 학술공모과제 연구비 지원을 받아 작성함
** 군산대학교 교수
12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萬
『만요슈( 葉集)』에는 이러한 사랑에 관한 시가가 相思, 相別, 相聞,
述 緖
正 心
1),
戀慕,
寄物陳思2) 등의 항목으로 약 1/3을 차지하고 있으며, 여러 권에 흩
어져 채록되어 있다. 이토록 연가가 일본고전시가집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랑의 신비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보다 훨씬 크다. 그렇기 때문에 사랑을
위해 목숨까지 바칠 수 있다.’라는 말이 있다. 인간은 에로스의 산물인 이상 언
제나 사랑을 꿈꾼다. 그리고 그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며 그러한 산
물이 연가라고 생각된다.
편찬된 최초의 칙찬집인 『고킨와카슈(古今和歌
集)』에서는 사랑에 관한 연가(恋歌)가 5권에 걸쳐 앤솔로지화되어 체계적으로 편
집되어 있다. 『고킨와카슈』의 영향이라고 생각되는데 이후에 편찬되는 칙찬집에
도 다른 어떤 항목보다 연가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칙찬집이 아닌 개인에 의
해 편찬되었다고 일컬어지는 『고킨와카로쿠죠(古今和歌六帖)』의 경우도 연가란
항목을 보면 『고킨와카슈』와는 다른 관점으로 분류하여 세분화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사랑을 주제로 한 고킨슈의 연가는 동시대 문학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
지만 그 이후의 일본의 모노가타리 문학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하지만 필
자의 관견일지 모르지만 연가와 헤이안 문학의 관계에 주목하여 쓰인 논문은 아직
접한 적이 없다. 에도시대를 중심으로 한 연가의 역사 『고킨와카슈』의 연가의
구조론 을 다루거나 사적 연애감정이 아닌 寄物陳思와 같은 노래 중심으로 궁궐과
같은 공적인 장에서 읊을 수 있는 노래 중심으로 편찬되었다는 논문 정도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먼저 『고킨와카슈』의 「연가」가 헤이안시대 문학 속
에서 어떤 위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이후의 와카집과 산문 문학 작품에 어
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헤이안시대 천황의 명을 받아
3)
4)
5)
2. 『고킨와카슈』와 연가(恋歌)
眞名序에 「와카란 사람의 마음을 근간으로 삼아 모든 언어
되었다(ソレ倭歌ハ, 其の根ヲ心ノ地二託ケ, 其の花ヲ詞ノ林二發クモノ也)」 라는
『고킨와카슈』
가
6)
느끼
빗
岩井·茂樹
「恋 の歴史ー江戸時代を中心に」總硏大文化科學硏究
http; h d t
鈴木宏子
「古今 の恋 についてー‘構造論’の授業における可能性」『千葉大学敎育學部硏
究紀要
辰巳 明
「恋 ー古今 の文学景観論」『成城国文学紀要』12 1) 마음을
는 그대로 노래함
2) 사물에 대어 마음을 노래함
3)
(2005)
歌
// an le.ne /11094/24787
4)
(2006)
和歌集
歌
』54
5)
正 (1996)
歌
集
古今和歌集』의 恋歌와 헤이안문학 ······································································· 南 二 淑…125
『
말이 있다. 와카란
漢詩 즉 중국의
식
시를 의 해 일본의 노래를
칭한
데,
것인
느 틈엔지 한시와 관계없이 일본의 전통시가를 의미하는 용어가 되었다. 와
카를 일본 문학에서 어떻게 자리매김할 것인가의 문제는 중요하지만 일본의
모든 문학과 문화의 근간이라는 점에 이견을 제시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7세기경에 가키노모토노 히토마로(柿本の人麻呂)와 같은 위대한 가인이 출현
하고 수차례의 단계를 거쳐 8세기 말에 『만요슈(万葉集)』란 가집이 최초로
편찬된다. 그리고 905년 『고킨와카슈』를 필두로 천황의 칙령으로 만들어진
칙찬집은 15세기 말 21대집의 『新續古今和歌集』까지 편찬되고, 와카 경연대
회인 우타아와세도 헤이안 시대에만 460번 행해지고 있다. 칙찬와카집 편찬이
끝난 이후에도 와카는 연면히 계승되어 근세 메이지까지 읊어지고 있는 걸 보
아도 와카가 일본문학에서 어떠한 비중을 차지했는지는 충분히 짐작할 수 있
어
을 것이다.
급했지만 국가적 과업으로 가장 먼저 편찬된 勅撰集은 『고킨와
카슈』이다. 이 가집은 일본의 전통과 미의식의 전형이 담겨 있어 일본문화나
문학을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다. 가집은 춘·하·추·동, 축하, 이별, 사랑, 여행,
죽은 자를 위한 애상가, 잡가 등의 20권으로 1111수의 노래가 실려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주제는 5권 360수의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 恋歌이다.
恋歌의 비중이 왜 이렇게 클까?
편찬자 중의 한 사람인 기노쓰라유키가 쓴 『고킨와카슈』 ‘仮名序’를 참고
위에서도 언
해 보자.
今の世の中、色につき、人の心、花になりにけるより、あだなる歌、はかなきことのみい
でくれば色好みの家に埋もれ木の、人しれぬこととなりて、まめなるところには、花すすき穂
にいだすべきことにもあらずなりにたり。
(지금 세상은 너무 요란하여 사람 마음 또한 들떠 있으니 내용이 변변치 못
한 노래, 한심스런 노래만 불린다. 호색한들의 집에 파묻혀 있는 나무처럼 식
자들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공식적인 자리에는 나오지도 못하니 참억새의 이
삭만도 못하다.)
7)
세
었
편찬된 8세기
이후 일본의 관료들은 중국의 선진문화를 수용하는 정책으로 한시를 향유했다.
와카를 즐기는 대신 한시를 즐기고 한시에게 자리를 내어준 와카는 사적인 자
『고킨와카슈』이전 9 기 초 와카는 인기가 없 다. 만요슈가
6)
7)
片桐洋一 訳·注(1990)『古今和歌集』 創英社 440p
注6)20p
12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위의 예문에서도 와카에 대해 ‘호색한의 집에 파묻혀 있는 나무와 같다’고
표현하고 있는데, 연애 감정을 전할 때에는 와카가 사용되었다는 의미로 해석
할 수 있다.
문자생활에 주목해 보면 헤이안시대 남성들이 쓰는 공식적인 글은 모두 한
문이었다. 남성들은 한문을 배울 기회가 있어서 한시로 자신의 기분을 전달할
수 있었으나, 상대 여성이 해독할 수 없었으므로 무의미한 일이었다. 따라서
당시 이미 통용되고 있었던 히라가나를 사용하고자 했을 것이라고 본다. 남성
들이 가나로 적은 와카를 보내면 여성들도 가나를 통해 화답하는 식이었을 것
리에서만
이다.
런데, 만약 이때 호색한들이 사랑의 감정을 와카로 부르지 않았더라면 와
카의 존재는 어떻게 되었을까. 단언컨대,『고킨와카슈』는 세상의 빛을 보지
못했을 것이다. 위의 서문은 이런 문제의식을 환기시키며,『고킨와카슈』의 탄
그
생에 의미부여를 하고 있다.
세계는 어떠할까.
이들 노래들은 한 수 한 수 따로 감상도 가능하지만 관계성이 부여되어 있
다. 연가의 경우, 큰 시야에서 보면 사랑의 시작에서부터 이별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배열되어 있다. 이에 관해서는 많은 선행연구자들이 지적을 하고 있
지만 다른 분야 전공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랑노래 항목에 분류되어 있는
몇 수를 실례로 들고자 한다.
470 音にのみきくのしら露夜はおきて昼は思いにあへずけぬべし
소문으로만 듣던 님 때문에 밤엔 국화위의 이슬처럼 깨어 있고 낮에는
햇빛에 사라지는 이슬처럼 못 견디고 사라진다
475 世中はかくこそありけれ吹風の目に見ぬ人もこひしかりけり
남녀의 인연이란 이런 것인가 부는 바람처럼 눈에 뵈지 않아도 그리워지네
470번 노래는 소문으로만 듣고 그리던 사람을 국화 위에 내리는 이슬에 빗대
어 노래하고 있다. 당시엔 이와 같이 소문이나 이름만 듣고도 사랑에 빠질 수
있었다. 475의 ‘바람처럼 눈에 뵈지 않아도’란 당시 습관으로서 중류층 이상의
여자는 부모나 형제 이외의 남자에게는 얼굴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읊어진
구로, 그처럼 볼 수는 없어도 소문만으로 그리웠다는 심정을 노래하고 있다.
그러면서 실제로 만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차츰 고조되는 감정을 더욱 고조
되어 간절한 마음을 담은 와카들이 다음과 같이 배열된다.
그러면 채록된 연가들의
古今和歌集』의 恋歌와 헤이안문학 ······································································· 南 二 淑…127
『
たよりにもあらぬ思ひのあやしきは心を人につくるなりけり
심부름꾼도 아닌 불타오르는 감정이 신기하게도 마음을 님께 전하고 말았네
482 逢ふことは雲居はるかに鳴る神の音に聞きつつ恋わたるかな(古今)
당신을 만나는 일은 구름 아득히 멀리 있어 불가능하겠지요. 우레 소리를
듣는 것처럼 멀리서 들리는 소식만으로 사랑하고 있다오
483 片糸をこなたかなたによりかけてあはずは何を玉の緒にせむ
한 올 한 올씩 이리저리 엮듯이 만나지 않는다면 어찌 구슬이 엮어지리오
480
불타오르는 연정과 마음을 ‘思ひ’로 표현하여, 불타오르는 연정으
로 마음이 몸에서 빠져나가 생각하는 사람에게 가 있음을 읊고, 482에서는 멀
리 떨어져 만나지 못하지만 사랑하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483에서는 ‘실은
서로 꼬아야 엮이는 법, 그리워하는 당신을 만나지 않으면 무엇을 ‘생명의 끈
(玉の緒)’ 으로 살아가리오’ 하며 사랑을 위해서는 만남이 필요하다고 읊고 있
다. 이처럼 그리워하면서 만나지 못하는 안타까움은 점점 강도가 높아진다.
508 いで我を人なとがめそ大船のゆたのたゆたにもの思ふころぞ
사람들이여 날 책망하지 마소 큰 배가 흔들흔들 흔들리듯이 마음도 흔들
려 사랑의 수심에 잠겨 있다오
570 わりなくも寝てもさめても恋しきか心をいづちやらばわすれむ
자나 깨나 속절없이 그가 그립구나. 도대체 이 마음을 어디에 줘야 당신을
잊을 수 있을까
그리워하면서 만나지 못하는 사랑, 짝사랑으로 그리움에 번뇌하는 마음, 하
루빨리 임과의 만남을 기대하는 노래는 615까지 계속 이어진다.
그리고는 서로 만나 정담을 나누고 만난 후 다시 만나지 못하는 고통, 그렇
게 오랫동안 기다리다 만나는 마음을 읊은 노래들이 차례대로 배열되어 있다.
480에서는
起きもせず寝もせで夜を明かしては春のものとてながめ暮しつ
깨어 있지도 잠들지도 못하고 밤을 지샌 후 하염없이 봄비 바라보며 지냈소
634 恋ひ恋ひてまれにこよひぞ逢坂の木綿つけ鳥はなかずもあらなむ
몹시 그리다 어렵게 오늘밤 만나게 됐네 오사카관문의 닭 울지 않았으면...
616
참고로 하면 ‘삼월 초하루 은밀히 사랑하는 이와 대
화를 나눈 후에 비가 소리 없이 내릴 때에 (弥生の一日より、忍に人にものら言ひ
て、後に、雨のそほ降りけるに)’ 지어서 보낸 노래로 되어 있다. 마음이 있는 여성
616의 와카는 그 서문을
12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못하는 안타까움을 봄비를 소재로 하여 에둘러 잘 읊고 있다.
634는 오랫동안 기다리다가 오늘 밤에 만나니 못 다한 정을 오래 나누고 싶으
니 닭이여 제발 울지 말아다오 라고 호소하고 있다. 헤이안 시대에는 ‘가요이
콘(通い婚)’으로 남성은 밤에만 부인과 함께 보내고 동이 트기 전에, 즉 닭이
울기 전에 여성의 집을 나와 돌아가야 했다. ‘오사카(逢坂)’는 당시 동쪽의 관
문으로 도읍지를 떠나는 사람이나 돌아오는 사람을 맞이하고 송별하던 곳으로
이 노래에서는 ‘만나는 장소’를 의미한다.
이렇게 해서 함께 하룻밤 지낸 날 다음날은 하룻밤을 함께 보낸 감회를 와카
에 담아 보내야 한다. 이러한 와카를 ‘기누기누(後朝)’의 노래라고 일컫는다.
과 다시 만나지
644
寝ぬる夜の夢をはかなみまどろめばいやはかなにもなりまさる哉
함께 지낸 밤 꾸었던 꿈 덧없어 잠을 청하니 허무함만 더해간다
낸(人に逢ひて朝に、よみて遣はしける)’ 노
래라고 되어 있다. 함께 했던 지난밤이 꿈만 같기에 확인하려고 잠을 청했다.
어제의 만남이 현실이었기에 만남의 덧없음이 더욱 강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랑이 감정이 영원히 지속되는 것은 아니다.
691 今来むといひしばかりに長月の有明の月を待ち出でつるかな
금방 온다던 그 말만 믿고 기다렸건만 그대는 오지 않고 새벽달만 떴구나
821 秋風の吹きと吹きぬるむさしのはなべて草葉の色かはりけり
가을바람이 부는 무사시노는 풀잎색이 모두 변해버렸다 똑같이 그 사람
마음에 찬바람이 일어 나와의 인연도 시들어버렸구나
서문에 ‘여자를 만나 다음
날
지어 보
새벽달’로 번역한 달은 ‘9월 음력 하순에 뜨는 새벽달(長月の有明の月)’
로 긴긴 가을밤에 밤을 새워 님을 기다리는 여인의 처량한 모습을 묘사하는 소재로
쓰이고 있다.
정을 나눈 후 금방 온다던 말을 곧이곧대로 믿었건만 결국 홀로 밤을 지샌 것이다.
821의 노래 ‘가을바람(秋風)’의 ‘가을(秋)’에는 ‘싫증남(飽き)’이라는 의미가 포
함되어 있다. 가을바람에 의해 나무와 풀이 바뀌었다는 것은 상대방이 내게 싫
증을 느껴 마음이 바뀌었다는 의미가 된다.
이상과 같이 『고킨와카슈』의 노래는 보지 않은 사람을 사모하는 노래부터
실연의 슬픔을 읊은 노래로 연애의 모든 양상이 그 진행과정, 즉 프로세스에 따
라 배열되어 있다. 사랑을 위한 와카의 매뉴얼 내지는 참고서라고 할 정도의 구
성법으로 연가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바이블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691노래의 ‘
古今和歌集』의 恋歌와 헤이안문학 ······································································· 南 二 淑…129
『
3. 연가와 헤이안 귀족의 풍류생활
왜 이런 가집이 필요하게 되었을까.
당시 귀족사회는 와카 없이는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였다. 편지나 선물을
주고받을 때 문안을 할 때도 연애를 할 때도 와카는 항상 매개체 역할을 하였
다. 직접 대화를 하거나 만나는 일은 품위 없는 일이라고 생각되었던 것이다.
『고킨와카슈』가 여성들에게도 당시의 교양서이었던 것은 『마쿠라노소시(枕
草子)』 20단에 나타나 있다.
무라카미 천황 시대의 센뇨덴노뇨고(宣耀殿女御)라고 하는 분이 고이치죠
(小一條) 좌대신의 여식이었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아직 어린 아이
였을 때 부군이신 대신께서 가르치신 것을 보자.
“첫째로 서예를 배워라. 다음으로 거문고를 다른 사람보다 잘 연주해야 함
을 유념해라. 그리고 다음으로는 고킨슈의 노래 20권을 암기하여 너의 학문으
로 삼거라.”
대신은 언제나 이렇게 말씀하셨고 천황도 일찍이 그 사실을 전해 듣고 있
었던 차에 모노이미(物忌み) 의 날을 맞아 고킨슈를 가지고 센뇨덴노뇨고의
거처에 납시었다. 그리고는 휘장을 세우도록 하시기에 센뇨덴노뇨고는 이상하
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천황이 책을 펼쳤다.
“어느 날 어느 때에 아무개가 읊은 이 노래는 어떤가?”
천황이 이와 같이 노래 앞에 서문을 읽으며 물으셨다.
“아하, 나를 시험하려는 것이구나.”
분위기를 파악한 센뇨덴노뇨고는 재미있는 일을 하신다고 생각은 했지만.....
..후략...
여기 등장하는 무라카미 천황은 제62대 천황으로 태평성대를 상징하는 천황
중한 사람이다. 이 천황이 황후보다 한 단계 아래인 후궁비 가운데 귀여운 용
그러면
8)
9)
松尾聡·永井和子 校注·訳(1978)『枕草子』小学館 89p 본문은 「村上の御時、宣耀殿の女御と
聞えけるは、小一條の左大臣殿の御女におはしましければ、誰かは知り聞えざらん。まだ姫君におはしける時、父
大臣の教へ聞えさせ給ひけるは、一つには御手を習ひ給へ、次にはきんの御琴を、いかで人にひきまさらんとおぼ
せ、さて古今の歌二十卷を、皆うかべさせ給はんを、御學問にはさせたまへとなん聞えさせ給ひけると、きこしめし
おかせ給ひて、御物忌なりける日、古今をかくして、持てわたらせ給ひて、例ならず御几帳をひきたてさせ給ひけれ
ば、女御あやしとおぼしけるに、御草紙をひろげさせたまひて、その年その月、何のをり、その人の詠みたる歌はい
かにと、問ひきこえさせたまふに、かうなりと心得させたまふもをかしきものの、ひがおぼえもし、わすれたるなどもあら
ば、いみじかるべき事と、わりなく思し亂れぬべし。そのかたおぼめかしからぬ人、二三人ばかり召し出でて、碁石
して數を置かせ給はんとて、聞えさせ給ひけんほど、いかにめでたくをかしかりけん。」으로 되어 있다.
9) 陰陽道에 의한 당시의 풍습으로 부정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어떤 행위를 피하거나 장소를 옮김
8)
13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센뇨덴노뇨고, 즉 호시(芳子) 라는 여인을 총애해 고킨슈에 관해 얼
마나 많이 알고 있는가를 테스트했다는 일화의 한 부분이다. 호시의 아버지 모
로마사(師尹) 는 당시 좌대신, 권력욕이 강한 사람으로 딸 호시를 무라카미
천황의 배우자로 하기 위해 철저히 교육시켰는데, 서예·거문고와 함께 와카 암
송을 하게 했다는 것이다. 이어지는 이야기가 재미있는데, 무라카미 천황은 잘
못 알고 있거나 빠뜨리는 부분을 찾아내기 위해 와카에 조예가 깊은 상궁을
배석하게까지 했다. 그러나 한 자도 틀리지 않아 자신이 패했음을 인정하고 같
이 잠자리에 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호시가 『고킨와카슈』를 암송했다는 기록은 역사서인『오카가미(大鏡)』에
도 나와 있으므로 사실임에 틀림없다. 헤이안 시대 손꼽히는 재녀이기도 한
『마쿠라노소시』의 작자인 세이쇼나공은 ‘이 얼마나 우아하고 훌륭한 장면인
가! 배석한 뇨보가 부럽다’ 라고 하며 그 자리에 배석한 뇨보를 부러워하고 있
다. 『고킨와카슈』 1111수의 노래를 완벽히 외우는 호시의 실력이야말로 당대
상류 여성들이 갖추어야 하는 덕목이었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화이다. 974년 경
성립한 것으로 알려진 『가게로우일기(蜻蛉日記)』에도 작자가 맞아들인 양녀
교육에 관하여 ‘어린 아이에게는 서예와 와카를 가르쳐라(小さい人には、手習
い、歌よみなど教へ)’ 라고 기록하고 있는 것을 보면 와카를 공부해 두는 일이
아이의 장래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그녀들의 역량은 와카로 평가되었다. 호시와 같이 『고킨와카슈』의
노래를 잘 암기하고 있는 사람들은 그 가집의 노래를 패러디해 기지를 발휘할
수도 있었고 교묘히 바꿔 임기응변의 의사소통을 꾀하고 있다. 『가게로우일
기』와 『이즈미시키부일기(和泉式部日記)』를 쓴 여류작가들은 와카언어가
일상 언어와는 달리 심정 차원의 언어임을 깨닫고 와카를 통해 서로의 고독한
심정을 나누고, 갈등으로 인해 상처받은 마음을 위무하고, 때로는 연대감을 획
득하기도 한다. 특히 신선향씨가 지적한 것처럼 『겐지모노가타리』의 작자는
와카를 통해 주인공의 인물상이나 주제를 형상화시키기도 한다.
남성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4장에서 다루겠지만 당시 헤이안 문학의 주인
공들은 와카로 상대방 여성의 마음뿐만이 아니라 영혼까지 빼앗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와카, 그 중에서도 연가를 잘 읊는 남성들이 당대의 유명한 산문작
품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있다. 문학의 천재들이 연애도 잘 할 수 있었던 것
모를 한
10)
11)
12)
13)
이다.
역 역
국 분
타
읽
·木村 中·伊牟田経久 校注·訳
선
語文學
름 독
례임
土佐日記 蜻蛉日記 小学館
앤씨 p
10) 일본의 사 사와는 달리 문학 야에서는 여성의 이 을 음 하는 것이 관
11) 모로 다 로도 을 수 있음
12) 菊地靖彦
正
(2000)『
』
288p
13) 신 향 (2008) 일본 헤이안 시대의 物
과 和歌  , 제이
, 348
古今和歌集』의 恋歌와 헤이안문학 ······································································· 南 二 淑…131
『
후 칙찬가집의 경우도 연가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데 지면의 제한도 있으므로 4대집까지의 칙찬집의 연가에 관해 간단히 살펴보
『고킨와카슈』 이 의
자.
편찬자 중의 한 사람인 쓰라유키가 목표로 한 것은 궁정사
회에서의 와카의 복권이었다. 그리고 실제 고킨슈의 성립을 계기로 와카의 사
회적 지위는 상승했다. 하지만 그러면서 바로 질적 향상으로 연결되지는 않았
『고킨와카슈』
다.
14)
애 등의 감정 표현의 수단이 됨에 따라 사람들은 때때로
노래에 의해 일상사를 전달하고 와카가 센스 있는 회화를 대신하게 되었다. 특
히 남녀 간의 연정을 주고받을 때 이러한 현상은 심하고, 이 때문에 품격과 질
이 떨어지는 와카가 후궁을 중심으로 귀족사회에 범람하고 그 중 몇 수는 와
카의 전설로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게 되는데, 이러한 결과는 『大和物語』란
작품 속에 반영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정은 다음에 편찬되는 제2대 『고센와카슈(後撰和歌
集)』에도 계승되어진다. 고킨슈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던 병풍가나 우
타아와세 노래는 크게 감소하고 사랑을 중심으로 한 연가의 비중은 총 1425수
중 507수를 차지해 더욱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일상에서 주고받은 자
신들의 와카 창작 배경을 거르지 않고 있는 그대로 충실히 반영해 정착하려고
했기 때문에 와카 서문은 길어지고 고킨슈에서는 극히 적었던 증답가가 180여
조에 달할 정도로 많아졌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633 おほかたはなぞや我が名の惜しからん昔のつまと人に語らむ
대충 들어주지 않아도 내 이름 따위 아깝지도 않아요. 설령 헤어진다 해
도 과거의 반려라고 사람들에게 말할 테니…
634 人はいさ我はなき名の惜しければ昔も今も知らずとをいはん
당신의 경우는 어찌되든 사실도 아닌 일로 소문이 나는 게 싫으니 옛날
이나 지금이나 모른다고 할 거에요.
633의 노래는 사다모토(貞元) 황태자의 노래이다. 서문의 해석을 참고로 하
면 궁중에 기거하는 오호쓰부네란 여인에게 선물과 함께 와카를 보내도 반응
이 없자 가벼운 협박을 가하는 내용이다. 그런 황태자에게 오호쓰부네는 진실
과 무관한 소문만으로 당신이 원하는 대로 되지 않을 거리고 가볍게 응수하고
와카가 일상생활 연
14)
島津忠夫(1991)『和歌史』 和泉書院 71p
13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주목할 것은 후자의 634의 노래는 『고킨와카슈』의 630번의 노
래 그대로이다. 어떤 상황에 처했을 때 『고킨와카슈』의 와카를 적절하게 인
용해 활용하고 있다. 오늘 날 우리들이 좋은 시를 암송했을 때 좋은 표현이 있
으면 그것을 암기해 반복해서 인용하는 것과 같이 당시 사람들은 『고킨와카
슈』의 노래들을 받아들이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와카는 완전히 귀족의 일상세계에 침투해 있어 그들에게는 쓰라유키처럼 와
카 복권을 위해 자신의 노래로 모델을 제시할 필요는 없었다. 『고센와카슈』
편찬 목적 자체가 주로 후궁을 중심으로 한 와카 이야기나 전대의 유명 가인
에 관한 노래를 많이 모아 수록하는데 있었고 편찬자라고 하여 그들이 반드시
탁월한 가인일 필요는 없었던 것이다.
이어 간단하게 『슈이와카슈(拾遺和歌集)』부터 『긴요슈(金葉集)』의 연가
에 관해서도 일별해 보자.
『슈이와카슈』는 증보·개정의 과정을 거쳐 1008년경 성립하는데 『고센와
카슈』에서 보이는 일상생활에서 주고받은 와카는 모습을 감추고 대신 우타아
와세(歌合)나 병풍가에 의해 대표되는 공적인 자리에서 읊어지는 노래가 대량
으로 수록되어 있다. 『고센와카슈』에 대한 반작용으로 고킨슈가 지향한 세계
에 가까워지려고 하는 경향을 엿볼 수 있고, ‘연가’ 역시 1351수 중 379를 차지
하여 1/3의 비율을 점하고 있다. 당시 아카조메 에몽(赤染衛門) 미치쓰나노 하
하(道綱母) 세이쇼나공(清少納言)무라사키시키부(紫式部)이즈미시키부(和泉
式部)등 유명한 여류가인들이 활동하던 시기이지만 만요 고킨 고센 시대의
정평이 있는 가인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여 이들의 노래를 많이 수록하고 있다.
당시 유행하던 병풍가의 영향으로 공적인 자리에서 읊어지는 유명한 와카를
많이 채록하고 주제별로 배열한 부분도 눈에 띈다.
하지만 4대 칙찬집인 『고슈이슈(後拾遺集)』는 1086년 성립. 와카 경연대회
라 할 수 있는 우타아와세(歌合)가 많이 행해지고 지방관으로 역임하고 있는
수령층 가인들의 노래와 위에서 언급한 여류가인들의 노래를 많이 채택하고
있다. 연가의 비중은 1229수 중 228수 1/5의 비율로 공적인 세계에는 읊어지는
노래를 중시한 『슈이와카슈』의 작품세계와는 달리『고센와카슈』처럼 일상
생활과 관련된 남녀의 증답가를 다수 수록하고 있다.
다섯 번째 칙찬집인『긴요슈(金葉集)』는 여러 가지 경향을 가진 다양한 노
래를 수록하고 있어 간단하게 요약할 수 없다. 칙찬 삼대집(三代集)의 전통적
이 발상이나 표현기교를 계승하면서 참신성을 더하려고 새로운 가풍의 노래를
많이 수록하고 있다. 연가 항목을 보면 이전의 가집보다는 ‘사랑(恋)’이라는
있다. 여기서
15)
p
15) 앞의 책 71
古今和歌集』의 恋歌와 헤이안문학 ······································································· 南 二 淑…133
『
창작되는 題詠의 노래, 寄織女恋(363)·寄水鳥恋(364)·寄
水鳥恋(365)·寄夢恋(366)·後朝恋の心をよめる(381)·恋の心をよめる(383) 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나아가, 계절이나 풍경묘사의 노래가 시인의 연애감정을 묘사하고 있는 경우
도 많다. 대개의 경우 자신의 연정을 공공연히 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계절 등
다른 요소로 위장하여 간접적으로 사랑을 고백하는 기법이 발달한 것이다. 일
본어는 지금도 그렇지만 주어를 생략한다. 나를 너를 사랑한다는 말을 사랑한
다는 말만 해도 의미전달은 충분했던 셈인데 이러한 요소 때문에 다의적이고
여러 의미를 중첩시킨 표현을 쉽게 만들었다는 설도 있다.
충분히 수긍이
제목 아래 예술적으로
16)
가는 지적이다.
센와카슈』와 거의 동시에 편찬된 가집에 『고킨와카로쿠죠(古今和歌六
帖)』(970〜984年 성립 추정)가 있다. 이 가집은 천황의 명령으로 펴낸 칙찬
집이 아니라 개인이 편찬한 가집으로 4천 수 가량의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 이
엔솔로지의 특징은 전부 비슷한 항목의 노래들을 분류해 놓은 유제와카집(類
題和歌集)이라는 점이다.
가집의 제4첩(第4帖)에 사랑(恋)이란 노래와 제5첩(第5帖)에 잡념(雜思)이라
는 항목으로 분류되어 있는데 이는 매우 중요했다.
먼저 ‘제4첩 사랑(恋)’의 경우 다음과 같은 흥미로운 제목의 노래가 수록되어
『고
있다.
恋 · 片恋 · 夢 · 面影 ·転寝 · 涙川· 恨 · うらみず · ないがしろ · 雑の思
풀어보면 ‘사랑· 짝사랑· 꿈 · 님의 모습 · 선잠 · 눈물바
다 · 원망 · 원망하지 않음 · 소홀히 함 · 잡념’이 된다. 『고킨와카슈』처럼
순서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상황을 가정해 참고가 되도록 다
양한 내용의 노래들로 분류되어 있다.
우리말 제목으로
첩 雑の思(잡념)’에는 65수나 들어 있는데 지면관계도 있기 때문에 그
일부의 제목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知らぬ人 · 云ひ始む · 年へて云ふ · 始めて逢へる · あした · しめ· あひ思ふ · あひ
思はぬ · 異人を思ふ · 分きて思ふ · 云はで思ふ · 人知れぬ · 人に知るる · 一人寝 ·
ふせり · 暁に起く · 一夜隔てたり · 二夜隔てたり · もの 隔てたり· …中略… 遠道隔
제5 의 ‘
코
16) 오카 마 토 지음
왕숙영 옮김(2014) 『일본 시가의 마음과 민낯』 소명출판
p
113
13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てたり · 打ち来てあへる …後略…
석
같다.
모르는 사람 · 처음으로 말을 걸다 · 세월 흘러 말하다 · 처음으로 만나다 ·
내일 · 편지를 봉함 · 서로 그리워하다 · 그리워하지 않다 · 연인이 아닌 다
른 사람을 생각하다 · 완전히 사랑에 빠졌다 · 참는 사랑 · 남모르는 사랑 ·
남모르는 사랑 남들에게 들통나다 · 혼자 자는 잠자리 · 드러눕다 · 새벽에
잠이 깨다· 하룻밤 거르다 · 두 밤을 거르다·· 사이가 멀어지다 …중략… 님
이 멀리 살고 있다 · 갑자기 찾아와서 만나다 …後略…
『고킨와카슈』와 비슷하면서도 더욱 세밀한 단위로 사랑의 진행과정을 다
우리말로 해 하면 다음과
루고 있고 제목도 구체적이다.
당시의 기상천외한 천재 미나모토노 시타고우(源順)가 편찬했다
는 설이 유력 한데, 고킨슈처럼 순서대로는 아니지만 생각하지도 못했던 의
외의 노래들을 모아 편집하여 재미있게 감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
킨슈처럼 우아하고 격조 있는 노래만 채록하고 있지 않은 점도 이 가집의 특
징이라 할 수 있다. 다음 노래는 <知らぬ人>란 제목 하에 읊어진 한 수이다.
사랑하는 남녀가 서로 알기 이전 단계에 읊은 노래이다.
誰はかは知らぬ先より人を知る知らぬひとこそ知る人になれ
그 누구를 처음부터 안다고 할 수 있나. 모르는 사람을 차차 알아가는 법
大空に我を思はむ人もがなはかなきことは後に定めむ
드넓은 하늘 나를 생각해 주는 사람 있으면 좋겠네 후회는 만난 다음에 할 일
이 가집은
17)
거 격식을 차리는 게 아니라 직설법으로 상대방에게 호소하고
있다. 고킨에서는 볼 수 없었던 대중가요에서나 들을 것 같은 내용이다.
체면을 차리 나
人妻は森か社かから国のとらふす野べか寝て心みむ
저 유부녀는 숲인가 신사인가 조선 호랑이 누워있는 들판인가 어디 한 번 자 보자
紫に匂へる妹をにくくあらば人妻故に我こひめやも
궁궐로 들어간 당신 아직도 밉지 않으니 유부녀인데도 내 사랑은 여전하오
ゆめにのみききききききとききききときききききといたくとぞみし
꿈속에서만 당신을 꼬오옥 꼬옥 껴안아 보네
17) 犬養簾外六人 編纂(1986)『和歌大辞典』 明治書院 447p
古今和歌集』의 恋歌와 헤이안문학 ······································································· 南 二 淑…135
『
君によりよよよよよよとよよよよとねをのみぞなくよよよよよよと
당신 때문에 흐흑 흐으윽 소리내어 운다 흐으윽 흐윽
감성과잉으로 외설스럽고 유치하여 이러한 것들도 시가가 될 수 있는가 하
는 생각이 들 정도의 노래들이다. 우아하고 고상하고 기품 있는 세계를 지향하
는 『고킨와카슈』에서는 음미할 수 없는 노래들을 많이 싣고 있다.
지면의
제한으로 소개할 수는 없지만 이밖에도 비장미와 골계미를 자아내는 노래들이
18)
많다.
당시 편찬자들은 세상의 모든 연애는 발생 지속 소멸의 과정을 거치든지 아
니면 이 과정 중의 하나에 속한다고 판단했던 것 같다. 어찌 되었든 10세기에
사랑에 관한 참고서적 즉 처방전이 발간되었다는 것은 한국 문학사에 비추어
봐도 이례적이라 생각된다.
4. 연가와 헤이안 산문문학의 영향관계
코
岡信)씨의 지적처럼 와카와 산문의 관계를 보면 헤이안 초기
와 중기에는 와카가 우세하다가 점점 세력이 역전되어 산문이 우세해진다.
초기의 모노가타리 작품을 검토해 보면 모노가타리임에도 불구하고 산문은
와카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우타모노가타리(歌物語)’라 분류되는 『이세모노가
타리(伊勢物語)』 역시 와카를 중심으로 간결하게 전개되는 125개 이야기의
모음집이다. 자세히 설명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상상하면서 읽을 수 있는 즐거
움을 누릴 수 있는 작품인데 내용의 중심은 남녀 간의 다양한 사랑의 모습을
오카 마 토(大
19)
그리고 있다.
단
떤 남자가 성인식을 끝내고 자신이 다스리는 영지가 있는 곳에
사냥을 갔다가 울타리 너머로 아름다운 두 자매를 발견한다. 두 자매에 반한
남는 자신의 옷소매를 잘라 그 소매에 다음과 같은 노래를 읊어 보낸다.
春日野の わがむらさきの すりごろも しのぶのみだれ かぎりしられず
가스가 들녘 연보라로 물들인 흐트러진 옷무늬처럼 당신 그리는 마음 한없이
흔들리네
제1 의 어
岡信
あなたに語る日本文学史』親書館,127p 참조
18) 大
(1995)『
19) 15)의
185
注
책 p
13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입고 있던 옷의 색깔과 문양에 자신의 마음을 빗대어 두 자매의 매
력에 동요하는 심정을 읊어 보낸 것이다. 그리고 이야기 끝머리에는,
자신이
みちのくの しのぶもぢずりたれゆへに 乱れそめにし我ならなくに 미치노쿠의 시노부즈리처럼 누구 때문에 마음이 흔들리나 당신이 아니면...
취 습
설명하고 옛 사람들은 이런 식으로
정열적인 풍류를 즐겼다고 맺고 있다. 와카가 풍류인의 조건임을 이야기 말미
에서 강조하고 있다. 여기에서 와카란 즉 연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
서 와카는 사교적 수단으로 기능하며 대화의 역할을 하고 있다.
다른 이야기에서도 이러한 방식으로 주인공의 삶의 굽이굽이를 노래로 읊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을 설정하고 그 삶의 궤적을 와카를 중심으로 전개하고 있
다. 따라서 그 속에 삽입된 와카는 단지 부수적인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등
장인물의 내면세계를 대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와카가 존재함
으로써 산문의 서술 부분이 보다 강한 전달성을 갖게 된다. 연가와 산문이 상
호보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고전의 백미라고 일컬어지는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등장인물들의 연애묘사이다. 주인공 겐지가 여러 부류의
여성과 나누는 사랑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여러 여성과 주인공 히카루겐지가
정계의 한 파벌의 우두머리역할을 하면서도 정책에 관한 얘기나 집무에 관한
묘사는 거의 없다.『겐지모노가타리』의 주인공 히카루겐지에게는 현실을 초월
한 많은 속성과 능력이 부여되어 있다. ‘이로고노미’도 그 능력 중의 하나이
다. 스즈키히데오에 의하면 ‘이로고노미’란 상대방 여자의 마음뿐만 아니라 영
혼을 빼앗을 수 있는 힘이라고 한다 . 겐지는 이야기 속에서 ‘이로고노미’를
미덕으로 갖추고 있는 주인공으로 조형되어 있으며, 그 ‘이로고노미’는 와카를
통해 성취된다. 나카무라 신이치로(中村真一郎)씨의 지적처럼 문학의 천재가
연애의 천재이기도 했던 시대였던 셈이다.
이런 모습이 헤이안 귀족사회의 이상적인 남성상이었다. 연애도 와카도 인간
정신세계의 자유를 표현하고 있던 시기였다. 히카루겐지라는 이상형의 인물의
조형은 이런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탄생이 가능했던 것이다.
작품 속의 실례를 보자.
히카루겐지는 부친인 기리쓰보 천황의 총애를 받으면서 어려서부터 자유로
이 후궁에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새로운 황후로 맞아들여진 후지쓰보의 모습이
이라는 노래의 정 를 답 한 것이라고
20)
21)
즈키 히데오 지음 김홍래 옮김(2011) 『처음 읽어 보는 겐지모노가타리』 글누림 27p
中村真一郎 『源氏物語の世界』新潮選書 1990 20p
20) 스
21)
古今和歌集』의 恋歌와 헤이안문학 ······································································· 南 二 淑…137
『
머니와 닮았다는 사실을 알고 그녀를 더욱 더 흠모하게 되고 그것이
어느 새 사랑으로 바뀌기 시작한다.
「기리츠보권(桐壺卷)」에서 겐지는 이미 좌대신의 딸과 결혼한 처지이지만
후지쓰보를 이상적인 여인으로 생각한다. 후지쓰보의 미덕만을 계속 떠올린 겐
지는 상념에 빠지게 되고 막연한 동경과 연모로 「와카무라사키권(若紫卷)」
에서는 후지쓰보와 밀회를 갖는 관계로 발전되어 간다. 이 장면에서 겐지가 먼
저 흐느끼며 다음과 같이 와카를 읊는다.
죽은 어
見てもまたあふよまれなる夢の中にやがてまぎるるわが身ともがな
이렇게 만나기는 했어도 또 다시 뵐 수 있는 밤이 좀처럼 없을 테니 차라리
꿈속에서 이대로 사라졌으면 합니다.
후지쓰보는
世がたりに人や伝へんたぐひなくうき身を醒めぬ夢になしても
후세에 이야기거리가 되지 않을까요? 그 누구보다 괴로운 이 신세를 깨어나지
않는 꿈으로 만들어도..
라고 답하며 괴로워한다. 자신의 진정을 담아 와카에 의탁해 전달하고, 이를
와카로 답해 두 사람의 사랑의 감정을 확인하고 있다.
지위가 높은 후지쓰보와의 사랑이 여의치 않을 때 겐지의 마음을 충족시켜
준 여인은 로쿠죠 미야슨도코로이다. 미야슨도코로는 다른 여성보다 자부심이
강한 성격으로 주위사람들과 조화를 이루기 어려운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겐
지와의 관계에서도 자신의 나이가 겐지보다 많다는 점을 의식하며 항상 번뇌
하고 우수에 차 있다. 우차 자리다툼 이래로 겐지는 병문안을 와서 격조했던
이유를 늘어놓지만 그녀의 심정을 이해 못한다. 「아오이권(葵巻)」에는 두 사
람의 사랑과 집착을 묘사한 부분이 있는데, 다음과 같은 노래를 주고받는다.
袖ぬるるこひぢとかつは知りながら下り立つ田子のみづからぞうき(로쿠죠미야슨도코로)
소매 젖는 줄 알면서도 사랑에 빠졌네요 괴로운 것인지를 알기에 더욱 슬퍼요
浅みにや人は下り立つわが方は身もそほつまで深きこひぢを(겐지)
소매만 적시다니 당신은 얕게 빠졌나 봐요 나는 온 몸이 젖을 만큼 깊은 사랑이라오
그러자, 이 노래를 들은
22)
후 世がたりに〜
세 타
단
저 른
たぐひなくうき身
탄 데
드
않
점
후 쓰 불
런
22) 자의 ‘
’의 노래는 『이 모노가 리』 69 에도 나오는 노래이다. 지 보가 의
를 지 자신을 ‘
’라고 한 하는
비해, 『이 모노가 리』에서는 그 자각이
러나 있지 은 차이 이 있다.
세
타
13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첫날밤을 지낸 후 남자는 기누기누노우타(남녀가 하룻
밤의 정사를 나눈 다음 날 헤어지기 섭섭함을 부른 노래)를 보내야 하는데 와
카 없이 편지만 남기고 간 겐지를 원망하면서 그에게 집착하는 자신의 마음을
읊고 있다. 가케고토바를 사용해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고 있다 겐지의 노래는
미야슨도코로의 편지를 받고 고킨와카슈를 인용해 지은 노래이다.
텍스트에는 미야슨 도코로의 노래를 들은 겐지가 ‘袖ぬるるやいかに。深からぬ
御ことになむ (소매 적신다는 얘기는 무슨 의미지요. 저를 향한 정이 깊지 않
다는 건가요’라는 구절이 삽입되어 있다. 겐지는 미야슨도코로가 읊어보낸 이
노래가 『고킨와카슈』의 노래 <浅みこそ袖はひつらめ涙川身さへ流ると聞かばたのま
む(애정이 얕기에 소매만 젖는 거요. 젖는 정도가 아니라 눈물로 가득 채워진
강에 떠내려 간다고 하면 당신을 믿겠소)를 인용했다는 것을 알고 답가를 보
내고 있다. 작품 속의 사랑의 증답가는 이런 식으로 옛 연가를 인용해 예의를
갖추는 형태를 띠면서도 자신의 사랑이 매우 깊음을 호소하고 있다.
이밖에도 작품 속에는 『고킨와카슈』와 같은 전통가집이나 『이세모노가타
리』의 와카를 활용해 주인공들이 대화를 주고받게 하고 숨겨진 마음을 표현
하는 장면이 많다. 이는 작자가 『고킨와카슈』와 같은 가집으로 인해 형성된
와카언어가 매우 함축성이 강한 언어였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
미 표현매체로 자리잡은 전통가집의 연가에 의해 표현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충분히 깨닫고 있었던 것이다. 일일이 열거하지 않았지만 산문 속에도 이와 같
은 방법으로 함축성이 강한 와카 속의 한 구절을 도입하여 이야기를 속도감
있게 전개하는 부분도 있다. 모노가타리 속에 794수의 와카를 창작해 넣었다는
사실도 와카가 갖는 유효성을 중시했다는 반증이라 생각된다.
당시 작품 속에 나타난 겐지의 이로고노미의 행각은 헤이안 시대의 실생활
의 반영이라고 여겨진다. 당시 귀족의 생활이 전부 그랬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겐지가 일으킨 연애사건이나 연애관을 통해 당시 사람들이 어떤 연애관을 가
지고 있었는지 알 수 있다. 헤이안 시대 귀족들에게 있어서 연애란 현대인들과
비교가 안 될 만큼 대단한 관심거리였다고 생각된다. 현대어에서 <세상>을 의
미하는 용어인 <요노나카> 란 말은 헤이안시대에 남녀의 세계를 뜻함을 보면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이럴 때 연가는 남녀간의 사랑의 감정을 전달하는 촉
매제 역할을 했음에 틀림없다.
일기문학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가게로우일기』는 일기의 작자가 천황
다음으로 신분이 높은 섭관정치의 중심인물인 후지와라노 가네이에(藤原兼家)
23)
阿部秋生·秋山虔·今井源衛·鈴木日出男校注·譯(2000)新編日本古典文學全集, 源氏物語(2), 小學
館, 1995. 35p 23)
古今和歌集』의 恋歌와 헤이안문학 ······································································· 南 二 淑…139
『
결혼하여 그다지 행복하지 못했던 21년간의 결혼생활을 회고하는 내용이다.
여러 명의 처첩을 거느리고 정쟁에 바쁜 남편과 어떠한 생활을 영위했고 그
괴로움은 어떤 것이었는지에 관해 다루고 있는데, 이 일기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도 와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의 다음 구절을 보며 작자의 서술 방식에 관해 고찰해 보도록 하자.
가네이에가 결혼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새로운 여자 마치노고지(町の小路)란
여자를 찾아 다니기 시작해 이 여자에게 열을 올리에 되어, 작자는 남편에 대
한 불신과 질투로 번민을 계속한다.
와
臥し起きはただ幼き人をもて遊びて「いかにして網代の氷魚に言問はむ」とぞ心にもあらで
うち言はるる。
24)
밤 낮이나 다만 젊은 애를 상대로 지내면서 「어떻게든 나를 방문할 수
있는데 왜 찾아오지 않는가(いかにして網代の氷魚に言問はむ)」란 옛 노래가 자
기도 모르게 새어 나왔다는 것이다. 여기서「いかにして網代の氷魚に言問はむ」
란 『슈이와카슈』의 1134의 노래「いかで網代の氷魚に言問はむ何によりてかわれを
とはぬと」노래의 윗구를 인용한 것이다. 이 노래는 『고킨와카로쿠죠』에도 수
록되어 있다. 남편 가네이에가 다른 여자와 사랑에 빠져 자신을 찾아주지 않는
원망을 슈이슈의 ‘網代の氷魚’ 의 와카를 인용하여 담아내고 있다. 이처럼
『슈이와카슈』 내지는 『고킨와카로쿠죠』등의 옛 와카를 인용하는 방식은
중권 후반으로 갈수록 ‘∼と’ ‘∼といふ’ ‘∼にて’란 형태로 많이 등장한다.
또 다른 장면을 예로 살펴보자. 여자 문제로 우울해 있을 즈음, 어느 여름
달밝은 밤 두 사람이 서로 그리워하며 지내던 옛 시절이 생각나 남편인 가네
이에한테 노래를 읊어 보낸다.
曇り夜の月とわが身の行く末のおぼつかなさはいづれまされり
어디를 향하는지 몰라 걱정되는 구름 속의 달과 내 장래 중 어느 것이 더 불안할까
그러자 ‘답신은 농담처럼(返りごと、たはぶれのように)’ 되돌아 왔다.
おしはかる月は西へぞゆくさきはわれのみこそは知るべかりけれ ‘ 이나
25)
26)
주 앞 책 p
강 잡 올린 빙
궁중으로 출사하지 않으면 당신을
날
핑
른
月夜のころ よからぬ 語して あはれなるさまのことども語らひてもありしころ思ひ出でられて、ものしければ、かく
いはる 게 p
24) 12) 의 , 107
25) 노래의 서문을 보면, 우지 에서 아
어를 받기 위해
만 수 없다고 계대자 부 노래로 되어 있다.
26)
、
物
、
。가 로129
14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측컨대 달이 향하는 곳은 서쪽이고 그대가 의지할 곳은 나라는 알고 있을텐데…
추
왔다며, ‘듬직한 듯이 말하지만, 그 사람이 생각하는 아내란 내가 아닌
다른 곳이고 실로 기대한 것과는 다른 부부지간이었다(などたのもしげに見ゆれ
ど、わが家のおぼしき所は、ことになむあんめれば、いと思はずのみぞ世はありける)’라고
라고
기술하고 있다.
치
町の小路)란 여자의 등장으로 불안정한 위치에 있는 자신의 장래
의 불길한 예감 때문에 남편에게 ‘구름 속의 달’과 ‘장래가 불안한 자신’ 중
어느 쪽이 의지할 데 없는지 남편에게 읊어 보낸 것이다. 노래를 받아든 가네
이에는 자신이 다 책임질테니 아무 걱정 말라고 대범하게 노래로 답한다. 하지
만, 그런 태도는 작자의 불안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 대답이었다. 작자는 그 이
유를 ‘답신은 농담처럼(返りごと、たはぶれのように)’이라는 산문부분에 드러내고 있
다. 답가를 통해 가네이에는 자기 방식대로 상대방에 대한 애정을 보여주고 있
지만 작자에게는 진정성 없는 공허한 노래로 인식되었던 것이다. 그러한 작자
의 불안한 심정, 점점 수습이 어려워진 두 사람의 관계를 작자는 증답가를 통
해 보여주고 있다. 증답가나 독영가를 사용해 자신에 대한 남편의 사랑이 식어
감을 표현하는 것이 『가게로우일기』의 서술방식이다. 일기에는 권말 가집을
제외하고 작자와 정실부인인 도키히메(時姬)와 주고받은 렌가(連歌) 등을 포함
해 261수의 노래가 분포되어 있다.
『이즈미시키부일기(和泉式部日記)』의 기술 방식은 어떠한가. 이 작품은
주지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작자 자신을 온나(女)라는 3인칭으로 설정하고 이치
죠 천황의 황태자 소치노미야와의 사랑을 전개하고 있다. 이 일기는 『가게로
우일기』1/3에 해당하는 짧은 분량의 작품이지만, 142수와 렌가 5수라는 많은
수의 증답가를 포함한 와카를 축으로 전개되고 있다. 4월에 시작하여 다음 해
아쓰미치가 기거하는 곳으로 입궁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 단지 자신이
체험한 일이나 자신의 내면을 기술이라기보다 특정한 미적 관념에 따라 재구
마 노고지(
성하고 있다.
全講和泉式部日記』의 표제(標題)를 참고해 일기의 전반부 구성을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1夢よりも儚き世の中
2花橘の香
『
27)
3
はじめてものを思うあしたは
全講和泉式部日記』至文堂 目次 참고
27) 鈴木一雄·円地文子(1983)『
古今和歌集』의 恋歌와 헤이안문학 ······································································· 南 二 淑…141
『
あひてもあはで
5槙の戸口
6五月五月雨のころ
7あかつき起き
4
첫머리 1의 ‘夢よりも儚き世の中’의 장면은 작자가 이미 고인이 된 소
치노미야의 형을 그리며 꿈보다 덧없는 남녀간의 사랑을 한탄하며 비탄과 고
독감에 젖어 있음을 묘사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2의 ‘花橘の香’의 장면에서는
동생 황태자에게 심부름하는 시동이 나타나 귤꽃을 작자인 온나에게 건넨다.
그러자 온나는 귤꽃에 대한 연상으로 「昔の人の」라고 혼잣말을 하며 받아든
다. 이때의 「昔の人の」는 『고킨와카슈』의 노래
139 さつき待つ花たちばなの香をかげば昔の人の袖の香ぞする
오월 기다려 피는 귤꽃 향을 맡으면 옛날 정답게 지낸 님의 소매향이 난다
일기의
용한 것이다. 『고킨와카슈』노래의 한 구절 「昔の人の」로 돌
아가신 소치노미야의 형 다메타카친왕에 관한 그리움을 압축시켜 서술하고 있
다. 그리고는 곧장 소치노미야의 호의를 느끼고 받아들이는 마음을 와카㉠에
담아 적극적으로 전하자 새로운 사랑에 강한 의욕을 내비치는 미야의 답가㉡
의 제4구를 인
이 이어진다.
㉠ かほる香によそふるよりはほととぎすきかばや同じ声やしたると
귤향으로 고인을 그리워하기보다 당신(소쩍새)의 목소리가 형과 같은지 뵙고 싶구려
㉡ おなじ枝になきつつおりしほととぎす声はかはらぬものとしらずや
같은 가지에서 울던 형제(소쩍새)인 만큼 같은 목소리라오. 당신에 관한
마음까지도
あひてもあはで’ 7의 ‘あかつき起き’의 표제는
그것만으로도 『고킨와카슈』와 『고킨와카로쿠죠』의 배열방식을 참고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4의 ‘あひてもあはで’ 5의 ‘槙の戸口’의 부분에서
는 가타타가에(方違え) 로 찾아온 황태자를 두 번 거절하는 대목이 나오는데
이 또한 사랑 감정의 어긋남을 표현하기 보다 「逢ひても逢はぬ恋」「くれど逢は
ず」의 연가의 전형적 장면을 제시하려는 인상이 강하다. 이에 관해서는 구보
はじめてものを思うあしたは’
3의 ‘
4의 ‘
28)
양
28) 음 도에서 말하는
는일
별자리에 해당하는 지역에 있으면 불길하다고 하여 다른 지역으로 옮겨 지내
14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키 히사코(久保木寿子)씨가 이미 지적하고 있는데, 작자는 일기 전체의 구
상을 할 때 선행가집인 『고킨와카슈』와 『고킨와카로쿠죠』의 앤솔로지 방
식을 이해하고 있었고 이를 차용해 작품을 완성했던 것이다.
7의 ‘あかつき起き’의 장면에서 읊은 소치노미야의 노래「아침이슬 맞으며 헤어
지는 마음에 비하면 만나지 못하고 돌아가는 저녁이 더 낫다(朝露のおくる思ひに
比ぶればただに帰らむ宵はまされり)」는 『고킨와카로쿠죠』五帖의 「긴 밤을 지새
우고 아침이슬 내린 곳을 돌아오면 소매는 눈물로 가득 젖는다(長き夜を思ひ明
かして朝露のおきてしくれば袖ぞひちぬる)」는 인용한 노래이다.
두 사람이 주고받는 증답가는 다른 사람이 개입할 틈을 전혀 주지 않는 내밀
한 형식을 취하며 다양한 형태로 전개된다. 당시 와카는 한 수씩 주고받는 게
일반적인데 그들이 주고받는 노래는 감정이 깊어지거나 고양되면 주고받는 와
카의 형태가 두 수 내지는 다섯 수로 늘어난다. 뿐만 아니라 둘만의 키워드를
삽입해 캐치볼을 하는 듯한 모습으로 증답가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다.
『가게로우일기』의 작자 미찌쓰나하하도 이즈미시키부도 당대를 풍미한 유
명한 재녀이며 가인이었다. 그런 여류작가들이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작품의
완성이 가능했다고 할 수 있겠지만 당시 와카 참고서인 『고킨와카슈』와
『고킨와카로쿠죠』 그밖에 다른 선행 작품의 세례가 없었다면 가능했을까. 결
코 쉽지 않았을 것이다.
29)
5. 나오며
속의 와카와 연가의 위상, 그리고 연가가 헤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이상으로 두서없이 헤이안 문학
른 문학에
이안 시대 다
다음과
같다.
• 연가 없이 와카는 존속하기는 힘들었고 연가가 계속 읊어짐으로써 『고킨
와카슈』의 편찬이 가능했다.
•『고킨와카슈』속에 연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높고 그 내용은 연애의 모든 양상
이 그 진행과정, 즉 프로세스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 고킨슈 속의 연가는 헤이안시대의 일본문학 속에서 가인들의 필수 교양이
었고 후대의 칙찬집이나 산문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고킨와카슈』 편찬 이후에 『고킨와카로쿠죠(古今和歌六帖)』가 편찬되었
29)
久保木寿子(2000)『実存を見つめる和泉式部』 新展社 187∼189p 참조
古今和歌集』의 恋歌와 헤이안문학 ······································································· 南 二 淑…143
『
데 이 가집에서도 연가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가집의 앤솔로지
방식이나 『고킨와카슈』의 편찬 방침과는 달라 『고킨와카슈』와 함께 헤
이안 중기 이후의 산문문학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겐지모노가타리』, 『가게로일기』,『이즈미시키부일기』등의 작품은 『고
킨와카슈』『고킨와카로쿠죠』등의 와카 내용과 그 표현방식을 도입하여
등장인물의 대화 · 내면의 심리세계 · 고조된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산문
만으로 달성할 수 없는 문학세계를 전통와카를 활용해 창조해 낸 것이다.
는
늘날 연애는 젊은이들에게는 낭만적이고 달콤한 것 어른들에게는 칠칠치
못한 행동으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문학도 그런 식으로 치부되는 경향이 강하
다. 그러나 연애와 문학의 역사를 살펴보면 불가분의 관계에 있고 이는 인간정
신의 자유의 표현이다. 그리고 문화나 문명이라는 개념이 자유정신의 정상에
피는 꽃이라면 와카와 연애가 절정기였던 헤이안 시대는 문화가 꽃핀 시기라
고 할 수 있겠다.
오
参考文献】
【
쓰 키 외 엮음 구정호 옮김(2011), 고킨와카슈 상, 소명출판
즈키 히데오 지음 김홍래 옮김(2011) 『처음 읽어 보는 겐지모노가타리』 글누림 27p
신선향 (2008) 일본 헤이안 시대의 物語文學과 和歌  , 제이앤씨 348p
오카마코토지음、왕숙영옮김(2014)『일본시가의 마음과 민낯』,소명출판 113p
阿部秋生·秋山虔·今井源衛·鈴木日出男校注·譯(2000)新編日本古典文學全集, 源氏
物語2, 小學館, 1995. 35p
기노 라유
스
犬養簾 外 六人編纂(1986)『和歌大辞典』 明治書院 447p
岡信(1995)『あなたに語る日本文学史』親書館,127p 185p
菊地靖彦·木村正中·伊牟田経久 校注·訳(2000)『土佐日記 蜻蛉日記』小学館 288p
小島憲之·木下正俊· 東野治之 校注·譯 (2000)新編日本古典文學全集, 萬葉集1, 小學館,
1994. 346p 萬葉集4, 108∼109p
小町谷照彦校注 新日本古典文學大系, 拾遺和歌集, 岩波書店, 1990. 325p
大
14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岩井·茂樹(2005)「恋歌の歴史ー江戸時代を中心に」總硏大文化科學硏究 http;//handle.net/11094/24787
片桐洋一 訳·注(1990)『古今和歌集』 創英社 440p
久保木寿子(2000)『実存を見つめる和泉式部』 新展社 187∼189p
島津忠夫(1991) 『和歌史』 和泉書院 71p
鈴木一雄·円地文子(1983)『全講和泉式部日記』至文堂 目次
鈴木宏子(2006)「古今和歌集の恋歌についてー‘構造論’の授業における可能性」『千葉大学敎育
學部硏究紀要』54, 2006
辰巳正明(1996)「恋歌ー古今集の文学景観論」『成城国文学紀要』12
中野幸一譯注, 伊勢物語, 旺文社, 1990. 12p 中村真一郎(1990)『源氏物語の世界』新潮選書 20p
松尾聡·永井和子 校注·訳(1978) 『枕草子』小学館 89p
古今和歌集』의 恋歌와 헤이안문학 ······································································· 南 二 淑…145
『
要 旨
今回の論稿では、平安文学の中の歌と恋歌の位相、そして、恋歌が平安時代のその他の
文学にどのような影響を及ぼしたのかについて考察した。その結果は以下の通りである。
恋歌なしに和歌の存続は不可能であり、引き続き恋歌が詠まれたことで『古今和歌集』の
編纂は可能であった。
・『古今和歌集』の中の恋歌の比重は高く、配列は恋愛の進行のプロセスによる。
・ 『 古今 和歌集』 の 中 の 恋 歌 は 、 平安時代 の 日本文学 の 中 で 歌 人 たちの 必須教養 であ
り、後代の勅撰集や散文文学に多大な影響を及ぼしている。
・『古今和歌集』の編纂の後に『古今和歌六帖』が編纂されたが、この歌集でも恋歌は大
きな比重を占めている。しかし、この歌集のアンソロジー方式は『古今和歌集』の編纂方
針とは違い、『古今和歌集』とともに平安中期のの文学に大きな影響を与えている。
・ 平安中期以後の作品は『古今和歌集』『古今和歌六帖』などの和歌言語を取り入れ
て、登場人物の対話の贈答、内面の心理、高調した感情を表現している。散文だけでは
描写出来なった文学世界を和歌的方法を利用して作り出すのに成功したのである。
・
よく恋愛は人間精神の自由の表現であるといわれる。文化や文明という概念が精神の自由
の絶頂期に咲く花なら恋愛と文学が流行った平安時代は文化が花開いた時期と言えるだろう。
キーワード:『古今和歌集』 恋歌 勅撰集の和歌 平安散文文学 恋愛 自由の精神 투 고 일:
심 사 일:
게재확정일 :
2015. 5. 31
2015. 6. 13
2015. 7. 4
일본문학수업 방법론 연구
- 흥미유발을 위한 일본문화 도입방법을 중심으로 윤 혜 영*1)
(e-mail: [email protected])
目 次
1.
2.
3.
4.
5.
시작하며
영상매체의 모티브가 되는 일본문학
지역특성화에 활용되는 일본문학
일본지폐 속의 일본문학
마치며
1. 시작하며
일문학개론을 수강하는 학습자들에게 일본문학하면 떠오르는 것이 무엇인지
물어보면 히가시노 게이고(東野圭吾), 미야메 미유키(宮部みゆき) 등의 추리소설
작가나 그들의 작품을 주로 언급한다.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 요시모토
바나나(よしもとばなな)의 경우도 일본은 물론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작품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으며 젊은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테마이기 때문에 친숙한
느낌을 준다. 그러나 고전 및 근․현대문학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어렵다’
‘어둡다’는 선입견을 갖고 있다.
문학은 시대를 반영하는 대표적인 산물이고 문학작품이 인간의 삶을 변화시
키며 개개인의 상상력을 풍부히 할 수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문학을
통해 전문지식 습득, 일본사회와 일본인에 대한 이해, 감동과 삶의 성찰, 창의
적인 아이디어 창출이라는 원소스 멀티유즈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고전부
* 충남대학교 부교수. 일본근현대문학 전공
14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터 근․현대에 이르는 문학의 전반적인 흐름을 익힐 필요가 있는데 현재는 몇
몇 작가와 작품에 정보와 관심이 편중되어 있다.
대학에서 문학교육을 실시할 때 교수자들의 목표설정 및 수업내용은 다양하
지만 일반적으로 텍스트 분석 및 주제 도출이나 문학사 수업으로 대별(大別)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초점은 고전에서 근․현대에 걸친 문학의 흐름을 이해하
는 문학사수업을 하는데 있어서 흥미유발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방법을 제시하
고자 하는데 있다. 2학년 1학기에 실시하는 ‘일문학개론’은 일주일에 3시간의
수업시간이 주어진다. 이 수업은 문학전반에 걸친 흐름과 특징을 학습하는 것
이 목적이기 때문에 작품의 줄거리와 명구감상은 가능하지만 작품전체를 읽거
나 주제 분석을 하기에는 시간적으로 매우 힘들다. 기본적으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작가 및 작품설명을 해야 되는데 익숙하지 않은 용어와 내용에 학생들이
어려움을 느끼고 일본문학을 기피할 우려까지 있다. 따라서 흥미를 유발시켜
학업을 지속하게 하고 스스로 작품을 읽도록 유도하기 위한 일본문학교육방법
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지 까지 초․중․고를 중심으로 한 문학교육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의되어 고1) 일본어교육에 문학수업을 도입하는 방법도 다 도로
연구되고 있다.2) 그러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일본문학교육에 대한 연구는
아 미 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2 11년 두
에 걸친 심 지 이 개
이
그 방법론에 대한 모 이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대
학에서의 일본문학교육 발전에 있어서 매우 바
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
다.3) 대표적으로 한 의 일본문학 연구의 성과에 해 일본문학교육 연구가
상대적으로
한 것에
하여 전 의 일어일문학과를 중심으로 하여 그
실 와 개선방 에 대해 제 한 연구4)와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문학교육방법
론에 대한 연구5)가 진 되고 있다.
금
논
왔
각
직 흡
후
태
색
열악
안
국
행
착안
안
0
차례
국
포 엄
최된
람직
비
임중빈(2001)「고등학교 일본문학교육의 변천」『일본문화연구』4 동아시아일본학회 pp.
439〜460, 김정우(2010) 「기획 논문: 고등학교 문학 과목 교육과정의 내용과 구조」
『국어교육』 한국어교육학회 pp.193〜229, 김중신(2011)「2011, 문학교육의 현황과 과
제」『한국어문교육』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pp.237〜259 등
2) 이경옥(2004)「고등학교 일본어교육에 있어서의 문학수업 방법론 -나쓰메 소세키(夏目漱
石)의「봇짱(坊っちゃん)」을 중심으로」『일본연구』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pp.215〜
233, 문정희(2013)「일본문학을 매개로 한 일본어ㆍ일본문화연구」『人文科學硏究』40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p.83〜107 등
3) 2011년에 ‘한국대학에 있어서의 일본문학교육’(한국일본문화학회 제39회 국제학술대회, 4
월 23일 백석대학교)과 ‘글로벌시대의 디지털자료 활용과 일본학 연구’(한국일본학연합회
제9회 국제학술대회, 6월 30일 계명대학교)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4) 권혁건(2011)「한국의 일본근현대문학 교육의 과거․현재․미래 조명 -대학의 일어일문
학과를 중심으로-」,『일본어교육』55, 한국일본어교육학회. pp.175〜186
5) 이정희(2011)「일본문학 교육 방법Ⅱ 아베 고보의 『붉은 누에고치(赤い繭)』 읽기」
1)
일본문학수업 방법론 연구 ··························································································· 윤 혜 영…149
람직
색
낄
바
한 문학교육방법론에 대한 다양한 모 과 어렵다고 느 수 있는 문
학텍스트를 효과적으로 읽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필요하지만 본 연구의 초점
은 에서도 언급
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켜 일본문학사의 이해를 도모
하고 스스로 작품을 읽게 하도록 유도하는 데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대 젊
은이들의 트
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이에 텍스트보다는 영상매체에 익숙하
고 시 적인 효과에 감한 현대 젊은이들의 특성에
하여 인터 이나 만
화텍스트를 도입한 수업방법론에 대해 제 한 도 있다.6)
일본어의 학습동기가 학점이나 업을 위한 목적보다는 일본 문화에 관심
이 있어서 선 한 경우가 가 많 다 7)는 지적과도 이 현대 학생들은 일본
문화에 관심이 많다. 일본어 일본문학이 일본문화를 이해하지 않고는 가
능하며 문화를 활용하는 것이 학습에 있어서도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기 에 제시되
수업방법론을 보
대 과 동시에 일본어 수업
에서도 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문학교육과 관 지어
아 그 방법론이 언급되지 않은 일본문화를 도입하는 수업방법론에 대해 고
찰하고자 한다.
앞
했듯
각
“
렌드
민
안 논
취
장 았 ”
든
든
택
존
었던
착안
넷
같
불
완·확 함
련
직
2. 영상매체의 모티브가 되는 일본문학
털
존논
착안
현대 젊은이들은 디지 문화에 친숙하다. 기
에서는 이러한 점에
하여 일본문학교육 시 문학작품을 영화나 라마로 제작한 자 를 활용하는
방법과 구체적인 수업자 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고전작품의 경우 다 토리모노가 리(
) 나
보시(
) ,
모모 로(
) 등은 2 분 내 의 은 동화로 만들어 있고 원작과 거
의
하게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수업시간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학년 문학사 수업에서는 한 어자 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고대 편소설이나 근․현대 작품을 영상매체로 만 경우는 그
드
료
료
『 케
타 竹取物語 』 「잇슨 一寸法師 」
「 타 桃太郎 」
0 외 짧
져
비슷
단
저
국 막
장
든
길
『일본문화학보』48 한국일본문화학회 pp.209〜224, 임태균(2012)「일본문학 교육방법론
-이즈미 교카의 「고야산 스님(高野聖)」수업사례를 중심으로-」『日本學報』91 한국일
본학회 pp.307〜321 등
6) 이정희(2010)「다매체 시대의 일본문학 교육방법론」『일본문화학보』46 한국일본문화학
회 pp.313〜327, 임태균(2011) 「일본근현대문학 수업 사례 연구 -일본근대문학사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일본문화학보』51 한국일본문화학회 pp.321〜337 등
7) 김활란(2005) 「일본어 수업에 있어서의 문화교육의 필요성 -대학의 교양일본어 수업의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日語日文學硏究』54, 韓國日語日文學會. p.216
0
15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길
저
칫
저
이가 기 때문에 자 하면 수업의 흐름을 해하거나 문학자체에 대한 흥미
를 하시키고 작품에 대한 오해가 생 수 있다.
하면 영상 시 시간이
보통 1시간 3 분에서 2시간가 필요하고
으로 만들어진 것이 많고 내용
전개에 지루한 면이 있으며 원작과 다른 면이 많기 때문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수업
자가 충분히 원작과의
이점을 설명해 주는 것이 바
하
다 8)고 언급하고 있지만 소설을 접 읽지 않은 학습자들에게 서로 다른 부분
을 이해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고 그러다보면 수업의 초점이 흐려 수 있다.
따라서 작품을 그대로 영상화한 것이 아 라 일본문학에서 모티브를 따오거
나 일본문학이 언급되고 있는 현대 일본의 영화, 라마,
메이 등의 일
부를 사용하는 것이 시간적으로나 활용도에 있어서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의
영상매체에는 문학작품에서 모티브를
면이나 작가 및 작품
이 소개되는 가 의 로 많다. 수업도입부터 바로 작가와 작품, 문학사 등
에 대한 설명을 하는 것보다 자연스 게 작가와 작품에 관심을 갖게 할 수 있
는 흥미유발을 위한 교수법이 필요하다. 2학년을 대상으로 한 ‘일문학개론’이라
는 문학사 수업을 진 하면서 효과적으로 사용
실 를 몇 가지 들고자 한
다.
과 치히로의 방 명( と
の し) 으로 유명한 미야자키 하
야오(宮
) 감 은 현대 젊은이들이라면 구나 고 있을 것이다. 2 13년
미야자키 하야오는 5년 만에 바 이 분다(
ちぬ) 를 발표하 는데 이
메이 의 모티브가
리 다 오(
)의 작품이 그 인기에 힘입어
일본은 물론 한 에서도 주목을
다. 이
메이 의 스터에는 ‘ 리
시 지로(
)와 리 다 오에게 경의를 표하며 아가야 한다( きねば)’
라고 여 있다.
메이 의 주인공인 리 시 지로는 실 인물을 모 로 하고 있고, 리
다 오는 리 시 지로와 동시대를
작가이다. 미야자키 하야오는 리
다 오가
소설의 제목과 두 남 의 사 을 중심으로 한 내용의 일부만
메이 에 도입하 다. 소설은 ‘나( )’와 폐
에 걸려 요양을 하다 은 세
(
)의 사 과 이별이 주요내용인데, 두 작품이 전 하고자 하는 테마가
힘 시대와 상 속에서 아가는 사 들, 그리고 아남은 자들의 삶의 가치
를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는 일치한다.
구체적으로 수업진 방법을 제시하면 다 과 다.
메이
바
이 분다 의 제작 경과 작품에 대해 설명하고(1) 스터를 보여준다(2). 이어
0
량
담당
”
길
“
흑백
장
차
직
니
각종
예
외
행
왜냐
청
람직
질
드
애니 션
딴장
럽
했던 례
먼저 〈센
崎駿 독
행 불 千 千尋 神隠 〉
누 알
〈 람
風立 〉
애니 션
된 호 쓰 堀辰雄
국
받았
애니 션 포
堀越二郎 호 쓰
살
쓰
애니 션
호 코
존
델
쓰 호 코
살던
쓰 쓴
녀 랑
니 션
였
私
결핵
쓰코 節子 랑
달
든
황
살
람
살
〉
희 0 0「
p
배
행
조
0
였
生
후
호 코
죽
호
호
애
음 같 먼저 애니 션 〈 람
포
」『
』6 국
8) 이정 (2 1 ) 다매체 시대의 일본문학 교육방법론 , 일본문화학보 4 , 한 일본문화
학회. .318
일본문학수업 방법론 연구 ··························································································· 윤 혜 영…151
포스터에 적혀있는 호리코시 지로와 호리 다쓰오가 누구인지에 대해 물어본
뒤 학습자들의 의견을 듣고 그들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살아가야 한다’라는
문구를 확대하여 애니메이션의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뒤(3) 4분 분량의
애니메이션 홍보동영상을 보여준다(4). 여기까지가 문학도입을 위한 문화 활용
단계인데 이 시점에서 문학작품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애니메이션의 모티브가 되어 다시 주목받게 된 소설관련 영
상을 보여주고(5) 본격적으로 작가와 작품에 대한 설명을 한다(6).
〈그림1〉영상매체를 활용한 수업사례
신심리주의를 비롯하여 작가와 작품을 설명한 경우와 위의 방법을 도입하여
수업을 진행한 경우를 비교해 봤을 때 학생들의 관심과 집중력, 그리고 시험
후의 기억력이 매우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30년대의 소설을 현실감
있는 작품으로 느껴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시간과 학습자들의 능력을
고려하여 소설 속의 명구를 같이 감상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그리고 2008년에 제작된 영화〈미래를 걷는 소녀(東京少女)〉는 젊은이들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환타지 로맨스 영화다. SF작가를 꿈꾸는 여고생 미
호(未歩)는 우연히 지진으로 인해 핸드폰을 분실한다. 그리고 1912년을 살고
있는 소설가 지망생인 도키지로(時次郎)가 그 핸드폰을 주우면서 두 사람은
우여곡절 끝에 통화를 하게 된다. 이 영화는 1912년이라는 시대를 그려내고 있
어 현대 젊은이들에게 신선한 느낌을 주는데 도키지로가 나쓰메 소세키(夏目
15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漱石)의 문하생으로 등장하는 것이 주목된다. 영화 속 두 사람의 대화 중 일부
를 발췌하면 다음과 같다.
렇
없
니놀 워
도키지로: 하지만 이 게 작고 전선이 는 전화가 있다
라 .
미 : 아 그 . 그 시대에도 전화가 있구나.
도키지로: 우리 에는 지만
선생
에는 있어.
미 :
선생
도키지로: 도 대 출 소설가
선생 이지.
미 :
도키지로:
선생 은 자 이 걸고 어서 전화를 놓은 것이지 걸려오는
전화는 필요 다고 이 로 감
소리가 들리지 않게 해 .
미 : 정
도키지로: 소설을
때 소리에 방해를 고 지 않아 하는 것 아.
미 : 에... 하지만
도 전화를 구나.
도키지로:
선생
고 있어
미 : 연하지.
소설가야.
읽 어.
도키지로: 어 그 소설 고 있어
미 : , 그리고
라 지
라 지...
도키지로:
미 : 아,
은 교과서에도 나와.
(중 )
미 : 근데
가 선생 이라면 도키지로 도 소설가라는 거 .
도키지로: 나는
선생 의 문하생이야.
호
래
집
없
나쓰메
님집
호 나쓰메 님?
쿄 신
나쓰메 소세키 님
호 나쓰메 소세키!
나쓰메 님 신
싶
없
불 싸벨
둬
호 말?
쓸 벨
받 싶
같
호
나쓰메 소세키
썼
나쓰메 님 알
?
호당
엄청난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었
?
알
?
호응
『산시로』 든 『그 후』 든
응응
호 『마음』
략
호
나쓰메 소세키
님
씨
네
나쓰메 님
짧
홉번 복
싫 했던
삽
알
네
이 은 대화 속에 소세키의 이름이 아
반 되고 그의 작품도
개가
언급되고 있다. 그리고 실제 전화소리를 매우 어
소세키의 에피소 나
마
이 교과서에 실려 있는 것 등이 입되어 있어 작가의 성 과 교과서
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위의 인용문을 통해
수 있 이 본 영상은
나 메 소세키에 대한
을 유발시키면서 이름이나 작품명에 익숙해 부
지 식간에 절로 기 되는 효과를 발 한다. 이 미 가 소세키의 문하생
중 도키지로라는 사 이 있 는지를 사하는데 이 과정 속에서 소세키 문
학연구가나 관 서적이 영상을 통해 소개되기도 한다.
동시에 대 을 이용한 거리의 데이트 면이 있는데 여기에는 19 3년에 문
을 어 현재까지 영업을 하고 있는 카 라이스 가게가 등 한다. 이를 통해 변
화 도 거리 및 일본의 식문화는 물론 일본의 인정 까지
수 있다.
『 음』
쓰
불
열
된 쿄
저
련
휴 폰
궁금증
억
람 었
음
조
휘
레
장
듯
격
져
후 호
런
장
장 신 엿볼
드
0
일본문학수업 방법론 연구 ··························································································· 윤 혜 영…153
련
쓰
살았던
明治
호
된
따라서 수업 중에 관 영상을 보여주면 나 메 소세키에 대한 기심이 생
기면서 영상을 통해 자연스 게 소세키가
시대를 이해하게 다. 이어
나 메 소세키의 생 및 작품, 그리고 메이지(
), 다이 (大 )라는 시대에
대한 설명을 하는 방법으로 수업을 진 할 수 있다. 특히 작가 이름이나 작품
명 등을 어렵다고 생 하는 학생들이 많기 때문에 위의 방법은 학생들의 기
력 상에도 매우 효과적이다.
소세키의 편소설인
의 (
)
한 수업시간에 활용하기 매
우 다. 서로 다른 은
개의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어 수업시간에 접
읽어 수도 있고, 현재 일본고등학교 어교과서에 실려 있고, 소설발표
년이 되는 2 7년에 영화로 만들어 기 때문이다. 영화 제목은 유메주야
(ユメ
) 로
명의 감 이
의 개성을 려
스 식으로 만들
다. 상(
)문학에 속하는 이 작품은
개의 속에
다른 소, 시대
경, 등 인물이 등 하고 상징적인 어가 많아 주제토론이 가능하다. 물론
도입은 일본교과서나 영화가 다. 어교과서를 접 보여주면서 현대 일본교
과서의 특징 및 작품성 에 대해 설명하거나 영화의 고편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그 에
게 에 등 하는 일본 화 및 고전소설 속의 영 들,
메이
원피스(ワンピース) 나 명 정
(
コナン) 속에 영 일본
화이야기, 그리고 현재까지 스트 러로 읽 지는 만화가 원작인
메이
유리가면(ガラスの
)
속의 키 재기(たけくらべ) 연습부분, 편 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지만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 は である) 를 모
티브로 한 라마 나는 주부로소이다(吾 は
である) , 수업시간에 보여
주기 적 하지 않은 로 한 면이 많아 편 할 필요가 있지만 라마
상자매-문학이 이름 아 (
という のもとに) 9) 등도 매우 효과적
이다.
쓰
향
애
각
럽
행
쇼 正
억
단
『열흘 밤 꿈 夢十夜 』또
좋
짧 열 꿈
직
볼
국
후
백
00
졌
〈
十夜 〉 열
독 각각
살 옴니버 형
었
환 幻想
열
꿈 각각
장
배 장
장
단
된 국
직
향
예
밖 각종 임 장
신
웅 애니
션〈
〉 〈 탐 코난 名探偵 〉
투 된
건국신
베 셀
혀
애니
션〈
仮面 〉 『
』
집
『
輩 猫 』
드 〈
輩 主婦 〉
합
애 틱 장
집
드 〈망
란
래 妄想姉妹 文學 名
〉
9)
〈망상자매-문학이란 이름 아래〉는 총 12부작으로 된 심야드라마이다(일본 NTV
2009.1.16〜3.28). 20년 전 갑자기 죽은 문학가였던 아버지로부터 “20년 후의 나의 딸들
에게. 이것이 나의 비밀. 나의 사랑. 부디 이런 나를 용서해다오”라는 글귀가 적힌 편지
와 금고열쇠가 든 봉투가 세 자매에게 도착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현모양처의 면모
를 가진 장녀, 자유분방한 차녀, 병약한 막내 등 성격이 확연히 다른 세 자매는 편지내
용에 따라 11권의 책을 순서대로 읽으면서 아버지가 자신들에게 말하고 싶었던 메시지
를 풀어간다. 11편의 일본 근대소설의 핵심부분이 이야기의 흐름에 따라 유기적으로 연
결되어 있어 작품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기에 충분하다.
15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표1 망상자매의 각 편에 모티브로 쓰인 문학작품〉
1화 요사노 아키코(与謝野晶子) 『헝크러진 머리(みだれ髪)』
2화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우미인초(虞美人草)』
3화 호리 다쓰오(堀辰雄) 『바람이 분다(風立ちぬ)』
4화 이즈미 교카(泉鏡花) 『외과실(外科室)』
5화 다카무라 고타로(高村光太郎) 『치에코쇼(智恵子抄)』
6화 사카구치 안고(坂口安吾) 『백치(白痴)』
7화 에도가와 란포(江戸川乱歩) 『오세이의 등장(お勢登場)』
8화 다자이 오사무(太宰治) 『여학생(女生徒)』
9화 히구치 이치요(樋口一葉) 『흐린 강(にごりえ)』
10화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龍之介) 『덤불숲(藪の中)』
11화 유메노 규사쿠(夢野久作) 『병조림의 지옥(瓶詰地獄)』
3. 지역특성화에 활용되는 일본문학
람 차
략 꾀
살
살릴
현대사회는 다른 사 과 별화전 을 하지 않으면 진로설계에 있어 성공
하기 힘들다. 자기특성화를 하지 않으면 아남기 힘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는 자 의 점과 점을 대한
수 있는 창의적인 생 이 매우 중요한
데 지역발전에 적 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일본문학을 통해서 그 아이디어를
을 수 있다.
일본의 마을 만들기 로 트에는 지역과 관
문학가 및 문학작품을 활
용한 사 가 매우 많다. 그리고 이것은 지역의 특 을 리고 지역경제의 활성
화에도 기여한다. 많은 지역이 문학을 중심으로 한 스토리
의
를 구
하고 있는데, 유명한 관 명소나 여 중 그 지나 수 있는 이 일본문
학과 관 되어 있다는 것을 게 되면 일본문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 수
있을 만 아 라 여 의 거움도 만 할 수 있다. 그리고 특성화를 위한 그
들의 노력과정을
수 있는 것이다.
그 는 무수히 많지만 대표적으로 가구야히메(かぐや )가 남기고 간 로
초를
으로 려 있는 지산(
)10), 이 (
)의 한이 서
노우라( ノ ), 소 자키 주(
) 에 등 하는 오하 (お )의 동
상이 있는 오사카(大 )의 오하
진(
), 지
는 문학도시를 지 하는
신 장
단
극
찾
프 젝
례
축
뿐
련
최
광
니
행 즐
엿볼
든
각
련된
색 살
행
알
끽
냥
텔링 콘텐츠
칠
곳
킬
예
姫
불
태운 곳 알 져
후 富士山 헤 케 平家
린
단
壇 浦 『 네 신 曾根崎心中 』 장
쓰 初
阪
쓰텐 天神 붕 없
향
0
쓰
높
『다케토리모노가타리』의 배경이 된 후지
비롯하여 기타 문학과 관련된 마쓰리를 소개
1 ) 대학생들이 마 리에도 관심이 기 때문에
시의 ‘ 지가구야마 리(
かぐや り)’를
하는 것도 은 방법이다.
후
좋
쓰 富士
祭
일본문학수업 방법론 연구 ··························································································· 윤 혜 영…155
쓰
松山
타
岡山
森鴎外 좌천
貫
6
마 야마(
), 모모 로의 동상이 있는 오카야마(
), 간이치․오미야(
․お宮)의 동상이 있는 아 미(
), 모리 오가이(
)가
되어 1년
개 동 기거하며 문학작품을 남 고 라(
) 지역 등이다. 수업시간에
지역의 위치와 명소를 소개하고 작가와 작품에 대한 설명을 하면 문학
만 아 라 일본 도시문화를 이해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 모모 로 를 설명할 경우 전체적인 내용을
수 있는 1 분
내 의 은 동영상을 보여준다. 그리고 영상 속에 있 개, 원 이, 과
을 이마 위에 고
을 바라보는 모모 로 동상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어서 이것이 설치되어 있는 오카야마와 작품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소 자키 주 의 경우, 남 가 다정하게 아있는 작은 동상을 보
여준다. 이미지와
은 동영상을 보여주는 것도 다. 학습자들에게
그러한 동상이 이 사에 만들어 있는지를 생 하게 한
의견을 공유한다.
그리고 작품과 시대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다. 이에
여 동상제작의 경에
대해 소개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동상은 이루어 수 는 사 에 절하
여 동반자 을 한 두 사 의 을 기려 자 중 한 사 이 ‘오하
를 위하
여’라며 1 만 ( )을 기부한 것이 계기가 되 고 이에 상가 사 들도 동
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이것은 오하 의 을 위로하고자 하는 마 도 있지만,
지역특성화 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주 들의 노력의 일 이기도 하다.
지모노가 리(
) 의 경이 되
우지시(
)의 경우도 마
가지이다. 이 에서는 ‘ 지모노가 리 산
’을 만들어 지역문화 상, 관
진흥, 정감이 있는 마을 만들기 등 지역진흥에
성과를 거두고 있 11)고
관 이 트에 시 들이 적 적으로 가하고 있다.
간이치․오미야 동상은 한 남자가 여자를 발로 는 모습을 상화 한 것으로
동상만 보아도 의문을 자아내게 한다. 이것은 의고전주의(
)를 대표하
는 오자키 고요(
)의
야 (
) 에 등 하는 남 주인공의 모
습인데 두 사 이 어 때의 경이
이 아 미이기 때문에 이 에 동상
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수업방법을 제시하면 다 과 다.
수업 중에 이 동상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어 상 인지 생 하는 시간
을 부여한
개개인의 의견을 는다(1). 그리고 의고전주의, 오자키 고요,
야
에 대한 설명을 한다(2). 한 이 소설의 영 을 은 한 의
인 이수일과 심
의 설명을 들이고 이를 모티브로 한
를 보여
준다(3).
는 일반
수 고인데 유명 우가 모 이기 때문에 중도도
다. 여기에는 사 과
사이에서 등하는
남 가 등 하는데, 중 ,
一
월 안
먼저
니
외 짧
왼손
타 熱海
긴 쿠 小倉
『 타 』
얹 먼곳
『 네 신 』
함께 짧
신
타
녀
져
뿐
던
앉
각
알
0
숭 꿩 함께
좋
뒤
배
랑 좌
살
람 넋
신
쓰씨
00 엔 円
었
람
참
쓰 넋
음
또
민
환
『겐
타 源氏物語 』 배
었던
宇治市
찬
곳
겐
타 책길
“
향
광
큰
”
련 벤
민
극
참
차
형
擬古典主義
尾崎紅葉 『금색 차 金色夜叉 』 장
녀
람 헤 질
배 된곳 타
곳
음 같
먼저
떤 황
각
뒤
듣
『금색 차』
또
향 받 국 신
파극 「
순애」
곁
CF
CF
음료 광
배
델
집
높
랑 돈
갈
청춘 녀 장
김 배
11)
덧붙
질 없
람
왜
http://www.ashita.or.jp/publish/furu/f93/23.htm(검색일: 2015.5.10.)
6
15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순애
된
이수일, 심
등의 이름이 거론 다. 이 테마는 현대에도 위화감을 느끼지
않기 때문에 시대와 경을 초 한 문학의 힘에 대해 느 수 있다.
국
월
낄
〈그림2〉지역과 문학을 연계하는 수업사례
마쓰야마의 경우는 ‘문학의 도시 마쓰마야’라는 도시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
이곳은 유서 깊은 도고(道後)온천으로도 유명하지만 나쓰메 소세키가 체재한
적이 있고 그의 친구인 마사오카 시키(正岡子規)의 고향이기도 하다. 소세키의
초기 인기소설인 『도련님(坊つちやん)』은 이곳을 배경으로 하고 있고, 소세키
와 시키는 많은 하이쿠(俳句)를 남겼다. 또한 마쓰야마는 시바 료타로(司馬遼
太郎)의 소설이자 드라마로 제작되어 화제가 된 『언덕 위의 구름(坂の上の
雲)』에 등장하는 주인공 세 명의 출신지라는 점을 활용하여 “도시 전체를 지
붕 없는 박물관으로 하는 『언덕 위의 구름』필드 뮤지엄 정비를 진행함과 동
시에 『언덕 위의 구름』마을 만들기 시민강좌의 개최나 라디오 프로그램 등
을 통해 시민에게 이념의 침투와 참가 촉진을 꾀하고 있”12)기도 하다. 이와 같
이 마쓰야마는 문학도시를 지향한 마을 만들기에 성공하여 지역주민을 하나로
단결시키며 해마다 많은 관광수입을 걷어 올리고 있다.
특히 논자는 2년마다 대학원생들과 함께 문학기행을 실시하고 있는데, 직접
찍어온 사진이나 동영상, 그리고 에피소드를 이야기하면서 수업을 진행하고 있
다. 마쓰야마의 경우도 문학기행을 했던 곳인데, 시키기념박물관에서 발걸음을
멈추고 한동안 감상에 젖었던 사진이 있다. 푸른 정원이 내다보이는 방 안에
‘ㄷ자’로 잘린 책상이 있는 사진이었는데, 이것은 척추카리에스(spinal caries:
결핵성척추염)로 오랫동안 누워 있던 시키가 앉기 편하게 잘라놓은 것이라고
한다. 죽음 앞에서도 필사적으로 자신의 일에 전념했던 시키의 모습이 연상되
고 자연이 너무나도 푸르고 아름답기에 삶의 가치가 강하게 느껴져 깊은 감동
을 받았다. 이러한 실제경험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교수자가 직접
강좌 내용에 등장하는 작가와 작품에 관련된 곳을 방문하여 사진과 동영상으
로 촬영하는 것이 필요”13)하다는 말처럼 인터넷에서 찾은 영상과 이미지를 제
12)
http://www.mlit.go.jp/hakusyo/mlit/h15/hakusho/h16/html/F1012130.html(검색일: 2015. 5.15.)
일본문학수업 방법론 연구 ··························································································· 윤 혜 영…157
직 찍
집
높
련 료
확
롭
쿠
드
쇼 松尾芭蕉
꼽
쓰
결 킨
쿠
시하는 것보다 접 은 사진과 문학관 자 를 보여주고 에피소 를 이야
기할 때 학습자들의 중도가 아지는 것을 인할 수 있 다.
그리고 마 야마에는 시 들이 자유 게 하이 를 지어
에 설치
모
에 을 수 있는데, 이것을 보여주면서 학습자들에게도 하이 를 게 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일본 3대 절경으로 히는 마 시마(
)의 사진을 보여주
고 이것을 마 오 바 (
)와 연 시 다. 이어 오 노 소미치(おくの
ほそ ) 의 을 따라 도시를 소개하고 하이 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자
이 지은 하이 와 그에 어 리는 이미지를 제출하게 한다. 하이 대회는 보통
마지 수업시간에 실시하는데 자 의 하이 를 읽고 해석한 다 시를 게
경과 이미지의 의미에 대해 설명을 하게 한다.
이와 이 도시와 문학을 연 시키는 방법은 일본문학 만 아 라 도시 및
지리에 대한 이해와
테마가 있는 여 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지역특화에 성공한 사 를 통해 어 점을 느 는지, 그리고 이것을 자
이 고 있는 지역에 적용시 수 있는 방법은 는지, 자 의 점과 점
을 려 자기특성화를 할 수 있는 전 은 는지 등에 대해 생 하도록 유도
하고 그것을 학습자와 교수자가 공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함 넣
쓰
쓰
道』 길
쿠
막
된배
같
민
울
함께
신 살
살
신
쿠
결
행
떤
례
킬
었
곳곳
된응
쿠 짓
松島
『 쿠 호
신
쿠
음
짓
략 없
뿐
없
꼈
니
신 장
각
단
4. 일본지폐 속의 일본문학
외
향
처
찾
영상과 도시문화 이 에도 일본문화 속에 일본문학의 영 은 도 에서 아
수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지폐이다. 일본지폐인물은 일본사회에 대한
이해 만 아 라 일본문학에 대한 흥미를 기에 충분하다.
수업시간에 일본지폐를 보여주면서 지폐인물이 구인지를 물어보 는데 의
로 많은 학생들이 잘 모르고 있 다. 따라서 지폐를 보여주고 인물에 대한
소개와 그 인물이 선정
지 등을 설명하면서 일본사회의 방 을
한 일
본사회와 문화에 대해
이해를 시 다. 그리고 무라사키 시키부(
部),
자와 유키치(
), 히구치 이치요(
) 등의 작가와 작품, 사
등에 대해 설명을 하는 것이다.
근 지폐인물이
경에 대해
보면 다 과 다.
1984년,
일본에서 지폐인물에 대한 설문 사를 하 는데 그 과 37 의 사 들이 문
화인을 선 하 다. 이에 일본은 기 정치가에 편중되어 있 지폐인물을 문
화인으로 바 며 세계의 통화 ‘
에 어 리는 제성이 있는 인물을
볼
뿐
외
니
끌
된취
먼저
福沢諭吉
후쿠
최
채택된 배
택 였
꾸
13)
었
권혁건 0 「 국
」『
킨
누
존
YEN'
침 포함
紫式
樋口一葉
살펴
였
조
았
울
국
음 같 먼저
결 % 람
던
래조
조
채택
(2 11) 한 의 일본근현대문학 교육의 과거․현재․미
명 -대학의 일어일문
학과를 중심으로- , 일본어교육 55, 한 일본어교육학회. .184
』
국
p
15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였
니 베
후쿠
외
후쿠
국 류 쓴
조 新渡戸稲造 런던 험
쓰
였던
쓰
00 새
행
조
함께
장신
쓴
었
쓰
배
국민
알
척
쓰
앞
小泉 각 “
신뢰
함께
국민
랑받
” 밝
천엔 천엔
뀌었
천엔
술
헌
균
口英世 채택 었 천 엔 권
확
환
택 었
하 다. 이것이 해 사정을 일본에 소개한
자와 유키치, 제교 에 힘
토 이나 (
),
유학경 이 있는 나 메 소세키
것이다.
자와 유키치와 나 메 소세키는 모두 일본문학가이다.
그리고 2 4년
지폐를 발 하면서 위 방지와
일본정부가 가
경을
것은 디자인이 다. 화폐에 이는 인물과 경은 그 나라의 문화와
정서를
수 있는 도가 되기 때문이다. 현재 고 있는 지폐 개정에
서 고이즈미(
) 내 은 지폐가 그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지폐에 대한
와
지폐가 한 나라의 역사, 문화나 전통을 반영하고
에게 사
고
14)
친숙해지는 것이 중요하다 고 히고 있다. 5
과
의 인물이 바
는데,
의 지폐인물로는 지속적인 과학기 의 발전과 세계 공 을 목표로
하여 세 학자인 노구치 히데요(野
)가
되 고, 5
은 여성의
사회진출을 대하기 위한 일 으로 근대소설가인 히구치 이치요가 선 되
다.
먼저,
각
휘
래
21세기의 일본사회의 모습을 생 할 때, 여성의 활력이 충분히 발 되
고 진정한 의미에서 남 공동 여사회가 실현되는 것이 중요
다. 그 서
5
의 에는 전
으로 여성의 초상으로서 히구치 이치요를
습 다. 히구치 이치요는 여자 자의 힘으로 한
의 생계를
야 될 정도로 가
지만 가 의 화목을 이루면서 메이지를 대표하는 여 문
인으로서 수많은 명작을 남 습 다. 유감스 게도 요절하 지만 지만 나
는 일생을 보 히구치 이치요는 여성의 사회진출의 선구자로서 21세기의 일
본사회의 방 성을 제시하는데 어 리는 인물이라고 생 하고 있습 다.15)
새 천엔권 겉
채택했 니
난했
녀 참
후 처음
낸
향
000
족
겼 니
합니
혼
집안
럽
였
울
최된
책임져
류
짧 빛
각
담
념
絵巻
니
천엔권
행 었
그리고 2 년에 개
오키나와정상회 을 기 하여 2
이 발 되
는데 그 면에
지모노가 리 의 에마키(
)와 작가인 무라사키 시키부의
초상이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4
의 지폐 중 3
에 일본문학과 관
인물들이 입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업도입부분에 지폐를 이용하여
일본문학수업에 접근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를 들면 다 과 다.
5
지폐를 보여주고 구인지 문한다(1). 실제 지폐를 보여주
면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 인물을 선 한 일본정부의 지를 려주고
(2) 작가와 작품에 대한 소개를 한다(3). 지폐모 이 되어서인지 이치요기 관
은 2 7년 리모
을 하 는데 그에 대한 이미지(4)와 관 상품을 보여주는
것도 효과적이다. 이 기 관 역시 주 들의 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그
뒷
련된
『겐
삽
먼저 천 엔 권
더욱
00
델링
타 』
즉 종류
누
였
념
민
질
택
델
손
종류
예
음 같
취
련
http //www z t go jp/ / /06 go/honne.html(검색일: 2015.5.10.)
각
6호
14)
:
.mm .kan ei. . k mm 3
15) 상게주, 고이즈미 내 메일매거진 제 3
알
념
일본문학수업 방법론 연구 ··························································································· 윤 혜 영…159
배경에 대해 설명을 한다. 이어서 작품과 작가에 대한 소개가 담긴 짧은 영상을
보여주는데 여기에는 히구치 이치요가 남긴 작가로서의 사명감이 담긴 문장이
나 그녀의 묘가 소개되고 있어 깊은 여운을 남긴다(5). 그리고 대표작인『키재
기』에 대해 설명한다(6). 덧붙여 만화로 제작되어 현재까지 베스트셀러인 『유
리가면』은 1984년에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는데 이 영상에는 『키재기』라
는 작품으로 연극을 하는 장면이 있다. 짧지만 작품에 대한 소개도 하고 있고
소설내용 중 일부 연습을 하는 장면이 있는데 이 영상을 시청한 뒤 히구치 이
치요와 작품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이 매우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3〉지폐와 문학을 연계하는 수업사례
5. 마치며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일본문학사 수업을 실시할
때 문화를 도입하여 흥미를 제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 다. 수업
을 하면서 경 한 효과적인 방법을 세 가지 제시하 는데
는 일본문학
이 모티브가 되거나 일부 사용되고 있는 영화, 라마,
메이 등의 영상
매체를 이용하는 방법, 두
는 문학을 려 지역특성화에 성공한 사 를 이
용하는 방법, 세
는 문학가들이 모 이 되고 있는 일본의 지폐를 사용하는
방법이 다. 바로 문학사를 설명하는 것보다 위의 방법을 도입한
설명하는
것이 학생들의 관심과 중도, 그리고 학업유지능력이 상되는 것을 인할
수 있 다.
험
었
었
번째
번째
집
델
살
드
였
첫 번째
애니 션
향
았
뒤
례
확
6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1
맞
“
신장
듯
미디어 시대를 이한 현 시점에서 문학교육의 역할은 언어 및 문학 능력
이 문화 능력에 기여하고 동시에 문화 능력이 문학 능력
에 기여하는 선
적 소통 관계를 정 하는 것 16)이라는 이 시사하고 있 이 일본문학교육
에 있어서 문화를 매개로 하는 다양한 수업방법론은 계속해서 모 되어야 한
다고 생 한다. 이를 통해 문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전문지식을 습득하는
것 만 아 라 일본사회와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진시키고 생 하는
힘과 창의적인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멀티교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의 수업방법은 일본문학에 대한 흥미는 유발할 수 있지만 문학작
품에 대한 은 이해와 성찰은 힘들다. 기 문명의 이기를 대한 활용하되,
문학의 본 에 대한 이 있는 자기 명이
보 를
나가야 할 것 17)
이라는 지적
문학작품을 읽고 주제를 분석하는 교육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다른 의미에서 생 하고 고 하는 힘을 기를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해서는
연구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환
립
”
말
각
뿐 니
각
민
”
향후
【참고문헌】
래조
일본근현대문학 교육의 과거․현재․미
명 -대학의 일
어일문학과를 중심으로- , 일본어교육 55, 한 일본어교육학회. .184
5) 일본어 수업에 있어서의 문화교육의 필요성 -대학의 교양일본어
수업의 실
사를 중심으로- ,
54,
. .21
1 ) 다매체 시대의 일본문학 교육방법론 , 일본문화학보 4 , 한 일
본문화학회. .318
11) 일본근현대문학 수업 사 연구 -일본근대문학사 수업 사 를 중
심으로- , 일본문화학보 51, 한 일본문화학회. .335
9) 미디어 시대의 문학교육 , 문학교육학 28, 한 문학교육학회. .327
.mm .kan ei. . k mm 3
nne. ml(
일: 2 15.5.1 .)
.a i a. r. u li uru 93 23. m(
일: 2 15.5.1 .)
.mli . . aku y mli 15 aku
1 ml 1 1213 . ml(
일: 2 15.5.15.)
김활란(200 「
會p 6
이정희(20 0 「
임태균(20 「
찬 00
http //www
http //www
http //www
6
각
“ 술
최
조 함께 조 맞춰
깊
권혁건(2011)「한국의
정재 (2
:
:
:
색
촉
깊
질
처럼
또
순
」『
태조
』
국
」 『日語日文學硏究』 韓國日語日文學
」『
p
찬 00 「
임태균 0 「
『
』
』
』6 국
례
례
국
p
」『
』 국
p
z t go jp/ / /06 go/ho ht 검색 0 0
sh t o jp/p b sh/f /f / ht 검색 0 0
t go jp/h s o/ t/h /h sho/h 6/ht /F 0 0 ht 검색 0
「
」『
p
」『
례
p
』
국
p
1 ) 정재 (2 9) 미디어 시대의 문학교육 , 문학교육학 28, 한 문학교육학회. .327
17)
(2 11) 일본근현대문학 수업 사 연구 -일본근대문학사 수업 사 를 중심으로- ,
일본문화학보 51, 한 일본문화학회. .335
국
례
」
6
일본문학수업 방법론 연구 ··························································································· 윤 혜 영…1 1
要旨
本研究では、大学生を対象にした日本文学史の授業を行う時、日本文化を導入して日本
文学への興味・関心を高める方法について考察してみた。これは文学作品を映像化したものを
活用したり、文学作品の中に描かれている日本文化を理解する今までの授業方法論とは視点
が違う獨創的な研究であると言える。
ここでは長年に渡る様々な試行錯誤を経て体得した効果的な方法を三つ提案した。その一
つ目は日本文學作品を映像化したものではなく日本文學がモチーフになったり一部使われている
現代の映畵、ドラマ、アニメーションなどのメディアを利用する方法である。そして二つ目は文
学を生かして地域の特性を図ることに成功した事例を利用する方法であり、三つ目は文学者た
ちがモデルになっている日本紙幣を利用する方法である。
古典や近代文学作品が古い時代のものではなく、現代の日本社會と文化に生き続けている
例を確認させることによって、文学に対する親近感を感じさせると同時に、專門知識の習得、日
本社會と日本人に対する理解、感動と生の省察、創意的なアイディア創出というワンソースマ
ルチユースの効果を得ることができる。
キーワード:日本文学教育、日本文化、メディア、地域特性、日本紙幣、
ワンソースマルチユース
투
0
0 6
0
고 일 : 2 15. 5. 31
심 사 일 : 2 15. . 13
게재 정일 : 2 15. 7. 4
확
토론수업을 활용한 일본문학감상의
Active Learning
公房) 『모래의 여자(砂の女)』를 중심으로-
-아베 고보(安部
정 희*
(e-mail: [email protected])
1)이
目 次
1.
2.
3.
4.
5.
들어가기
Active Learning 도입
Active Learning 『모래의 여자』 토론수업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창작과 문학낭송회-문학치료의 실천적 의미
맺음말
–
–
1. 들어가기
일본문학 교육방법에 관해 관심을 갖고 연구하기 시작한지 어느덧 10여년이
되어간다. 그동안 이렇다 할 연구 성과는 미비하지만, 늘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하면 일본문학을 재미있게 가르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끊임없이 고민해 왔다.
더군다나 취업을 위해 실용 외국어 중심으로 교과과정이 바뀌어 가는 추세
에 ‘문학 수업’의 자리매김은 그 당위성부터 약화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과연 교육의 현장에서 문학이 언어와 분리되어 교육할 수 있느냐 하
면 그렇지 않다. 문학의 교육 기능이라고 하는 것은 어학 능력 향상뿐만 아니
라 이문화 이해, 나아가서 인간의 이해로 까지 가능한 것이다. 문제는 교육방
법에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논자는 그동안 「일본문학 교육 방법론Ⅰ-문학 교육
* 위덕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과 부교수
16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의 의의를 중심으로」1), 「다매체 시대의 일본문학 교육방법론」2), 「일본문학
교육 방법Ⅱ-아베 고보의 『붉은 누에고치』읽기」 3)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일본문학 교육 방법론Ⅰ-문학 교육의 의의를 중심으로」에서는 주로 대학
교육에서 외국문학 교육, 특히 일본문학 교육의 목표와 의의에 대해서 논하였
다. 문학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체험이야 말로 문학을 통한 전인적 교
육이 가능하다는 것에 대해서 기술했다.
「다매체 시대의 일본문학 교육방법론」에서는 대학 수업에서 실시한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일본문학 교육 방법의 한 예시를 제시해 보았다. 멀티미디어
시대에 다양한 매체를 통해 학습자의 욕구를 충족하면서 학습의 동기유발 및
흥미를 끄집어내는 데 주력했다.
그리고 문학이 추구해야 할 구조에 대해서 ‘읽기’, ‘쓰기’의 문자언어정보와
‘듣기’, ‘말하기’의 음성언어정보를 통해서 표현하는 힘, 이해하는 힘, 생각하는
힘을 길러 낼 수 있다고 역설하였다.
나머지 논문에서는 그 구체적인 수업 사례를 「일본문학 교육 방법Ⅱ-아베
고보의 『붉은 누에고치』 읽기」 란 논문을 통해 보여주었다. 작품을 전면으
로 부각시킨 만큼, 교수자의 작품 선택의 기준을 비롯해서 교재로서의 문학작
품 등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주로 일본 교과서 『지도자료』를 철저히 분
석했으며, 지도 포인트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4).
이러한 일련의 논문 성과를 통해서 끊임없이 연구하고 고찰한 결론은 학생
들 만족도 제고는 역시 수업진행 방법에 있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일본문학 관련 수업의 한 사례로 독서토론 수업 진행을 살펴보고
자 한다. 독서 토론이 단순한 토론 수업의 연장이 아니라 티 러 (Active
Learning)이라고 해서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여하는 수업을 독서 토론을
통해서 그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독서 토론을 중심으로 한 수업진행을 생각하기로 한 것은 그동안 문학교육
에 관한 다 연구자들의 논문을 살펴보아도 독서 토론에 관한 논문은 없었다.
예를 들어 임
의 「학습자 위주의 일본 현대문학 수업 사례 연구」5)나
「일본문학 교육방법론-이 미
의 『고야
(
)』 수업사례를
6)
중심으로-」 를 보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 기 위한 다양한 력들이
참
른
태균
즈 쿄카
9
액 브 닝
근
산 스님 高野聖
키
노
호
돋
pp 8 99
pp
7
pp 9
1) 이정희(200 ) 『국제언어문학』 20 , 국제언어문학회, 1 5~1
2) 이정희(2010) 『일본문화학보』 46집, 한국일본문화학회, 313~32
3) 이정희(2011) 『일본문화학보』 4 집, 한국일본문화학회, 20 ~224
8
4) 新国語編修委員会編(1992)『新国語Ⅱ 指導資料』三省堂
태균
태균
근
5) 임
(2011) 「학습자 위주의 일본 현대문학 수업 사례 연구」(『일본문화학보』제51집)
6) 임
(2012) 「일본문학 교육방법론-이 미
의 『고야
(
)』 수업사례
를 중심으로-」(『일본학보』제 1집)
9
즈 쿄카
산 스님 高野聖
활용한 일본문학감상의 Active Learning ················································ 이 정 희…165
토론수업을
넷 활
파워
극
활
텍스
보인다. 인터 을 용한 수업,
포인트를 용한 수업, 만화
트를 이용
한 수업 등 학습자들의 성을 자 할만한 매체들을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한 으로 시간적 제약으로 작품 전문을 다 지 하고 일부 발
한 인용문만을 다 고 작품을 고찰 할 수 에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하 다.
한 지 해에 발표한
성의 「 상을 이용한 일본문학 교육방법론-수업
사례를 중심으로-」7)를 살펴보면 화나 라 를 용한 수업을
하면서
학생들의 발표 사례 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 매체를 용한 수업
사례들을 중심으로 한 논문들이 이 나 는 것은 매 바
한 일이 아
수 없다.
그러나 이 음에서 다시 한 생각해 보고 은 것이
설을 읽는 재미를
어떻게 학생들에게 느 게 해 것인가 이다.
고전적 의미에서의 독서 토론 을 어떻게 하면 재미있고, 학습자들이 능동적
으로 여하면서
설을 읽는 재미 를 보게 할 것인가, 나아가 문학적 동
과 동 이외의 것을 어떻게 느 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적을 티
러 으로 어보고자 한다.
또
감
편
루
난
박혜
영
잘
즈
참
감
닝 풀
끼
'
'소
영
많
번
줄
'
끼
루 못
밖
겠
췌
드 마 활
소개
영
활
오
우 람직
닐
싶
'
'소
' 맛
감
액 브
흔
2. Active Learning 도입
2.1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요
패
너
대학 현장에서 정보화 시대에 구되는 교육의 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무나
하고 있는 정보의 양으로 인해 대학에서 어떻게 교육을 당해야
하나 가 하나의 제로
다. 게다가 그 정보의 대 생 유 뿐만 아니
라 그 화의 속도와
성으로 인해 정보의 실체를
하기란 매
하기만 하다. 무엇을
하고 무엇을 제외시 야 하는지 매 어
일이 되
어
다.
자
하면 미시시
의 어가
국이다. 지 미시시
에는 아
시아 어로
문제가 되고 있다고 한다. 래 미시시
인 에는 아시아
어가 재하지 않았다. 그 데 기 양식업자들이 해조 와 부유 을 제 하
기 위해
목적으로 아시아 어를 수입했는데, 어느 해 수로
이
하면서 미시시
으로 러들어가 리고 말았다.
그로부터 20여년이 지 지 은 미시시
전역뿐만 아니라 대 까지
'
범람
변
난
떠올랐
불규칙
섭렵
켜
버렸
칫 잘못 ' 피강 잉 ' 될 판
잉 큰
원
잉 존
런 메
친환경
잉
범람
피강 흘
버
난 금
피강
7)박혜성(2014) 「영상을
구』제59호)
'
담
량 산 출
파악
우 복잡
우 려운
금
피강
피강 근
류
물 거
홍 강물
오 호
북
이용한 일본문학 교육방법론-수업사례를 중심으로-」(『일본연
16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잉 떼
엄청난
번
종물
씨앗
상한 어 들은
식성과 식력으로 토
고기의
을 말리고 있
다고 한다.
한 에 100만 의 을 을 정도의 성한 식력, 매일 자기 중 의 50
정도의
을 는 식성으로 아시아 어가 지나간
다 어 은
아보기 힘들 정도라 한다.
이와
가지로 외부에서
이 들어 는 정보의 양이 인간의 부주의로
인해
실한 실체가 식되는 것을 을 수가 없었 것이다. 그러 로 교수
자는 론 학습자도 로 교육방법을 통해
실한 실체를 제대로
해
야만 할 것이다.
그동안 대학에서의 의가 특히 문학수업은 교사중심주의라 할 수 있을 정
도로 교수자의 역할이 지 적이었다. 심지어는 교수자의 세부전 에 라 읽
작품이 정해지기도 하고, 교수자의 바 해석이 학습자등에게
당하는 식
이었다.
티 러 의 기본은 학습자 위주로 수업을 진행해 간다는 것이다. 이에 학
습자에 관한 정보를 살펴보면, 학습자는 다음과 이
가지
일이 있다고
8
)
한다 .
는 적 적인 학습자이다. 적 적인 학습자는 정보를 발하게 이용하여
로 것을 적 적으로 시도하며, 정보를 기 하고 이해하 는 향이 있다.
이들은 일상의 문제들에 대하여
인 토 을 기고, 토론이나 자 의 생각
을 다 사 에게 설 하는 것을 아하기 문에 아무
동 없이 의 내
내 아서 기만 하는 수업 상 을 힘들어 한다.
로, 고하는 학습자이다. 고하는 학습자는 적 적인 학습자
성
하게 행동으로 기기 보다는, 문제에 대하여 ‘ 선 조용히 생각해 보자’라고
하는 향이 있고, 특히 이들은 그 보다는 자 학습하는 것을 선 한다.
는 논리적인 학습자이다. 논리적인 학습자는 정 되고 리적인 방식에
라
생각한다. 분석하고
하는 것을 아하며
한 이론이나
구조에 추어 이해하 고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인 방법으로 진행되는 대학
수업에 있어서 교수가 주제 단 를 어 으면 이들은 의를 라가 나 기
하는데 어
을 느 다고 한다.
로 실용적인 학습자이다. 실용적인 학습자는 실용적이고 현실적이다. 이
들은 어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고 결정하기를 아하며 로 생각이
나 이론, 기술 등이 실제로 과를 발 할 수 있는지 시험하는 일을
다고
한다. 일을 진 시 기를 아하며 매력을 느 는 아이디어를 자 있게 실행
번
개 알 낳
플랭크톤 먹
마찬
불확
물
증
새 운
강
왕
물밀듯
배
번
잉
막
오
불확
극
른 람
앉 필
둘째 숙
억
넷째
므
올 른
같 네
극
극
옮
려움
려
힐
스타
활
려 경
억
계 뛰 넘
낀
떤
척 키
파악
브레 스 밍 즐
신
좋
때
런활
강
황
숙
극
처럼 급
우
룹
혼
호
렬 합
종합
좋
명확
명
반응 경
셋째
따 차근차근
맞
던
공 따
강요
액 브 닝
첫째
새 운
량 %
곳엔 른 종 찾
좋
효
찾
휘
강
좋
끼
따 거
새 운
즐긴
신
8) 조용개 외 공저(2010)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학급전략 포트폴리오』 학지사, pp14~15
토론수업을
활용한 일본문학감상의 Active Learning ················································ 이 정 희…167
옮기기 때문에 장황한 생각이나 끝이 나지 않을 것 같은 토론은 싫어한다고 한다.
이러한 학습자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학습 유형을 진단하는 프로그램이 있는
데9), 이것을 이용해서 학습자 유형을 파악해 보는 것도 좋은 자료가 될 것 같다.
에
2.2 <수동적 문학교육>에서 <능동적 문학교육>으로
액티브 러닝의 또 하나의 중요한 포인트는 수동적인 교육에서 능동적인 교
육으로 교실에서 혁명을 일으키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학교육 하면 수동적인 성향이 강하다고 하겠다. ‘독서’나 ‘감상’
이라는 단어가 주는 느낌도 능동적이라고 보다는 수동적이다.
문학교육은 어떠한 형태로든 교수자가 중심에 있었다. 문학 작품 선택에서부
터 내용 파악에 이르기까지 교수자의 역할을 무시할 수가 없었다. 교수자의 해
석과 비판이 바로 정답이 되었고, 감동마저 획일화된 감동 속에서 감동을 맛보
아야만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러한 패러다임에서 작품을 읽는 독자를 학습자로 생각해 보자. 독자=학습
자인 것이다. 이러 틀에서 보면 작품을 보는 관점이 달라지는 게 많아진다.
아사쿠라(朝倉)씨는 논문 「文学教育における『教師中心主義』」10)에서 문학
교육에 있어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관계를 교수자를 문학 해석자로 보고, 학습
자를 독자의 위치에 두었다. 그리고는 소설 속 ‘중심인물’의 ‘중심’을 작품의
‘중심’인지, 아니면 독자의 의식 속의 ‘중심’인지를 밝혔다. 지금까지 ‘중심’을
작품 속의 중심으로 보아왔다면, 앞으로의 ‘중심’은 독자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어느 학습자가 『모래의 여자』의 중심인물이 <모래의 여자>라기 보다는
<모래의 남자> 쪽이 더 인상적이었다면, 그 학습자에게 있어서 중심인물은
<모래의 남자>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은 수동적이 아니라 능동적인 참여라고 볼 수 있다. 강의실 안에
서의 중심을 교수자가 아니라 학습자에게 둔다면 능동적인 학습 분위기를 만
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문학작품을 교재로 한다면
시 학습자가 주체가 되지 않으면 안 다고
생각한다. 주체적인 상 속에는
시 무언가 다양한 시 을 발 하게
것
이다.
감
반드
반드
점
된
견 될
9) wjs게서, pp12~13. 이밖에도 『새시대 교수법』(조벽, 한단북스,1999)에서는 학습자 유
형을 8가지로 나누었는데, 적극적인 학습자와 숙고하는 학습자, 감각적인 학습자와 직관
적인 학습자, 시각적인 학습자와 언어적인 학습자, 순차적인 학습자와 총체적인 학습자
로 나누고 있다.
10) 朝倉徹(1993)「文学教育における『教師中心主義』」日本大学『教育学雑誌』第27号, pp70~
71.
8
1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3. Active Learning 『모래의 여자』 토론 수업
–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
3.1 포트폴리오 제작
공
'
감 '
졸
명
3학년 전 수업에 일본문학 상 이라는 교과목이 있다. 그동안은
논
「다매체 시대의 일본문학 교육방법론」에서
이 일본문학작품 중 작
을 라
는 화로 제작한 것을 선 해서 상했다. 1주일에 2시간이라는
제한적 시간에 한 의 작을 동 상으로 상하고, 그 다음주 2시간에는 작
품에 대해 설 하고 작가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토론 위주로 진행했지만, 시간
부족으로 인해 만족할 만한 성과를
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그래서 1학기 15주, 주 2시간 수업 중 4주를 할 를 해서 독서토론 수업을
하였다. 저 작품 상 수를 이고, 한 작품을
더 시간을 갖고 학
습자가 적 적으로 여하는 토론 위주의 수업을 진행해 보았다. 학생들의
은 음에는 힘들어 하다가 작품에 대한 이해가 어지면서 만족도가 이
지는 것 았다.
치 한 수업지도안 준비 등을 위해 일본문학 상 과목 티 포트 리 를
작성하기로 했다. 티 포트 리 를 본 적으로 만들기 시작한 것은 이것이
음이다.
티 포트 리 의 구성 서는 다음과 다.
드 마또 영
편 명
명
계획
응 처
밀
처
극
먼
참
영
거두
감 편
좀
깊
칭
폴 오
감
애
줄
같
칭
별
밝혔듯
감
폴 오
'
요
격
높
반
감 '
칭
폴 오
같
①자신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1 -교육철학, 교육경력, 학습자정보
②자신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2 -수업목표, 수업방법, 수업자료
③타인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 -수업평가 결과 및 분석, 학습성과자료,
학습자 피드백 자표, 수업 관찰 자료
④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활동 자료 - 수업 개선 노력 및 결과
⑤자기 성찰 자료 -교수 계획 및 실행 분석, 전체 소감 및 기타
공
거 혼 틈틈 공
교수자들 중에 교육학을 전 으로 했 나 자
이 부한 교수자들은
나 자 의 교육철학이 어느 교육학 에 속하는지에 대해서까지
하고 있
지만, 대부분 은 교수자들이 자 의 교육철학을 로 의식하고 있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하 다.
논자의 교육철학은
동교육 이다. 논자의 수업을 통해 동을 는 학생이
있다면 성 이고,
역으로 학생의 학습 동을 통해 교수자가 동을 으면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름 신
많
겠
공
신
또
'감
'
파
파악
별
활
감
감
받
받
토론수업을
활용한 일본문학감상의 Active Learning ················································ 이 정 희…169
난
뷰 "
또
브 운
움직 마
루스 몬스총
마 "
휘
'감
그 지 2002년 한국을 방문한 미국 라 대학의
시
장은 인터
에서 교육은 학생의 음을
이는 술이고 교육자는 술사 라고 말하
였고,
학생이 동해야 수업시간에 창의력을 발 하는 만큼,
동교육 이야
말로 교육의 체라고 했다11).
이렇 교육철학은 학생들에게도 은 향을 뿐만 아니라 교수자 역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는가에 대한 기준이 서게
것이다.
그러 로 의를
더 충실히
하 면 교수자들이 자 의 교육철학을 정
히 인식하는 것이 중 하다고 본다. 자 의 교육철학을 기술해 고 보면 교
수자들이 의실에서 하는 행동 하나하나에 의미가 있음을 의식하게 되고
조가
의는 음을 하게 해준다고 한다12).
교육철학 외에 자 으로부터 수집 할 수 있는 자료로 수업목표, 수업방법,
수업자료를 정리하는 수업
서( 는 의
서)가 있는데, 이 수업
서
역시
작성해야 은 수업이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중 한 것은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동으로 수업 선을 위한
력이라고 하 다.
2015학년도 1학기에 전 수업 적 선을 위해 리대학 교수학습지
터에서 실시한
A E 연구회 를
해서 선정되어, 한 학기동안 지 을
으며 전 에 충실하자!! 라는 슬로건 하에 터디 동을 하였다. 학과 교수
들이 각자 자 이 당하고 있는 교과목을 전부 설 하고 수업 사례 발표를
하였다13).
각 전 수업은 교수 들의 수업
서를 열 해 보기 전에는 구체적인 수
업내용을 다 교수 들은 서로
모 다. 그러 로 수업내용 유 측면에서
본
A E 연구회 는 전 수업 선 등에 은 도 이 되었다.
본 논문의 분석 대상이 되는 일본문학 상 수업 역시 수업 선을 위한
력의 일 으로 저 포트 리 를 제작하고 기 의 일 적인 토론 수업 방식
을 업그 이 하여 로
티 러 (Active Learning)을 접목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요
듯
확
많 영
좀
강
깃든 강
또 요
겠
노
받
님
감
므 강
잘
' 공
공
마
될
잘 려
신
요
마 편
신
계획 또 강 계획
좋
될
'CH NG
공
신 담
'
질 개
' 신청
님
계획
른 님
잘 른
'CH NG
' 공 개
'
감
환 먼
폴 오
레 드
새 운액 브 닝
<
뷰
벽
명강 노 우 노
차 CH NG
차 CH NG
차 CH NG
줄
신
놓
신
계획
활
개
우
스
원센
원
활
명
람
므
많 움
'
존 반
첫
'
총
공
개
노
켜
브 운 루스 몬스>
11) 조선일보 2002년 10월 23일. 흑인여성
아이비리그 장 미 라 대
시
인터 기사.
12) 조 (2010), 『
의 하 & 와이』 해냄
사, 33
13) 제1
A E연구회(2015.5.12.이정희교수 발표), 제2
A E연구회(2015.5.26.
진문교수 발표), 제3
A E연구회(2015.6.2. 안희정교수 발표), 제4
A E연
구회(2015.6.16. 아베 토모코교수 발표회), 제5
A E연구회(2015.6.23. 이 이 리에
코교수 발표), 제6
A E연구회(2015. . .
토론)
출판 p
차 CH NG
차 CH NG
7 8 종합
차 CH NG
마
강
7
1 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3.2 워크북 제작
난
액 브 닝
강
활
公房
워크북
계획
이 수업 진행을 위해 지 겨울 방학 동안 의 자료의 일부로
을 제
작하였다. 이
에는 티 러 을 위한 동을 순 적으로
해서 작
성하였다. 몇 몇 작품 중에 아베 고보(安部
)의 『모래의 여자(砂の女)』를
중심으로 보고자 한다.
아베 고보의 『모래의 여자』를 택한 이유는 이 설책이야말로 나를 바꾼
한 권의 책 이었 것이다14). 나를 바꾼 한 권의 책 이라는
이 역시 학
습자들에게 수업 여를 유도 할 수 있는 은 주제가 되었다.
학생들에게도 각자 지 까지 읽었 책 중에서 가장
게 읽은 책 이
라 지, 아니면 자 의 가치관 성에 결정적인 도 을 준 책 이라 지에 대
해서 자연 럽게 그 토의를 이끌어갈 수가 있기 문이다. 론 이 에는 일
본문학 작품에 국한 하지 않는다15).
대부분 문학사를 하 , 작품 분석을 하 , 자연 럽게 작가
가 수적으
로 딸 들어간다. 특히 일본문학사에 나 는 작가들은 학습자들에게는 현대의
인기 있는 작가를 제외하면 생 하고 낯설게 련이다. 이러한 을 고 하여
작가
에 있어서 음으로 일괄적으로 작가 이력서 를 작성해 보았다( 표
1 아베 고보 이력서 조).
작가 아베 고보의 이력서를 보면 작가의 생 와 작품 세 를 설 할 수 있
도록 그와 관련
정보를 중심으로 입력하였다. 특히 학력의 이동을 중 시
한 것은 작가 아베 고보의 문학 세 를 이해하는 데 중 한 단서가 되기 문
이다. 아베 고보는 어린 시절을 만주(현재 중국의 동 부지역)에서 보냈고, 중
학교 업 이후는 도 에서 지내게 다. 특히 초등학교 시절 1년간 홋 이도
에서 지내게 되는데 이러한 사실도 아베 고보를 이해하는 데 중 한 사항이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작가 라고 하는 인 이 특 하고 멀리 느껴지는 재가
아니라 가깝고
한 재로 느 게 하는 과도 있다.
워크북
' 던
참
든
금
' 신
스
룹
형
던
든
려
소개
>
'
처
참
좋
'
감명 깊
움
' 든
때
물 때
스
'
쿄
점
'
계
북
된
끼
려
명
<
요
때
요
카
요
물 별
효
때 번
카프카 카
려 던
감명 깊
같
우
프 청
마
소
물
줄
낌
태
'
소개 필
마
계
' '
친근 존
'
소타 틀
애
된
졸
소
'
든
오
소
차
존
필
버
14) 대학교 3학년 에 역서로 읽은 『모래의 여자』는 자의 인생을 바꾸어 리고 말
았다. 그 까지
나 뮈에 쏠 있 관심이 아베 고보라는 작가에게로 전이되어
갔다.
15) 학생들이 가장
게 읽은 책은 다음과 다(일본문학작품에 한정하지 않았음).
『상실의 시대』『 동 한그릇』『아 니까 춘이다』『더 시 릿』 『리 팩트』『연
술사』『나무』『 시멜로 이야기』 『설득의 심리학』『나의 라임 렌지나무』『
를 부탁해』『멈추면 비로
보이는 것들』『삼국지』『정의란 무엇인가』『모모』
『1리터의 눈 』 『긍정의 한 』『아 없이 주는 나무』『 나기』『 중일기』『도
가니』『도토리의 집』『이 멋진 세상에 어나』『연을 쫓는 아이』
때
금
마
크
소
오
스
난
엄
토론수업을
활용한 일본문학감상의 Active Learning ················································ 이 정 희…171
<표1> 아베 고보(安部公房) 이력서
이
름 아베 고보(安部公房, Abe Kobo)
본
명 아베 기미후사
별 명 아베코베(あべこべ)
생년월일 1924년 3월 7일
사망월일 1993년 1월 22일
출생의고향 일본 도쿄(東京)
존재의고향 만주국 봉천(奉天, 현재의 瀋陽)
병 역 군사훈련 때는 언제나 농땡이를 쳤다
아버지 : 만주의대 교수
어머니 : 소설가
가족사항①
남동생 : 의사
여동생 : 디자이너
부인 : 무대장치가
가족사항②
딸 : 의사
취
미
발명, 수집, 드라이브
독서편력 니체, 하이데거, 릴케, 카프카
학
력
193?년 ?월 봉천치요다초등학교 입학
193?년 ?월 홋카이도 히가시다카스 킨분제일초등학교 전학(1년간)
193?년 ?월 봉천치요다초등학교 복학
1936년 4월 봉천제이중학교 입학
1940년 ?월 도쿄 세이죠고등학교 입학
1943년 9월 도쿄제국대학 의학부 입학
1944년12월 폐결핵 진단서를 위조해서 대학에 제출하고 만주 봉천으로 돌아감
1945년8월 만주에서 패전을 맞이함
1946년12월 일본으로 귀환
1947년4월 도쿄대학 복학
1948년3월 도쿄대학 의학부 졸업
주 요 작 품 발 표 경 력
1940년대 『無名詩集』,『終りし導の標に』,『デンドロカカリヤ』
『赤い繭』, 『壁-Sカルマ氏の犯罪』, 『けものたちは故郷をめざす』
1950년대
다수의 라디오, 드라마 각본을 씀
1960년대 『砂の女』,『他人の顔』,『燃えつきた地図』,『砂漠の思想』
1970년대 『箱男』,『密会』 아베스튜디오 결성, 극작가, 연출가로 활동
1980년대 『さくらの方舟』,『死に急ぐくじらたち』
1990년대 『カンガルノート』,『飛ぶ男』(미완성 유고작)
주 요 수 상 경 력
1950
제2회 전후문학상 수상(『赤い繭』)
1951
제25회 아쿠타가와상 수상(『壁-Sカルマ氏の犯罪』)
1963
요미우리문학상 수상(『砂の女』)
1967
다니자키 쥰이치로상 수상(『友達』)
1968
프랑스에서 최우수 외국문학상 수상(『砂の女』)
7
1 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밖 워크북
별 신
줄거 요
견
물
격
계
이 에
에는 작품
리 약하기, 등장인 들의 성 과 관 적어
보기, 토론 주제 자 의 의 적어 넣기, 지 으로는 상문 쓰기 등이 있
다.
한 관련 내용의 논자의 글을 함께 읽어 보는 시간도 할 를 했다. 관련 자
료로 2건을 삽입했는데, 하나는 설 속에 등장하는 주인 의 동료 교사로
비
의 띠 라는
을 지니고 있는데, 이
비
의 띠 에 대한 글이다.
비
의 띠 는 한 수학자가 띠를 한 꼬아 만들어 겉과 속, 안과 을 구
할 수 없는 띠를 만들어 자 의 이 을 넣어 비
띠라고 하고 무한대
를 상징하는 기 로 사용하였다.
그 데 이 무한대의 기 을
수 있는 화가 있다. 그게 바로 유로보로
라는 자기 꼬리를 무는 뱀의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를 자가 200 년도에
매일에 기고 한 적이 있는데 이 글을 함께 읽어보는 것이다16).
하나는 현재도 집 중인 대 일보의
설 속 주인 은 만나다 시리
의
인 「 모래의 여자 와 모래의 자 」다17). 이 글에서는 주로 주
인 에 초 을 고 작품에 등장하는 여자 와
자 의 성 , 관 등을 살펴
보았다.
이러한 글 역시
하나의 토론 꺼리를 제 하는 자료가 되기도 한다.
이 에 토론 주제를 미리 지한다. 수업시간에 실시한 토론 주제는 다음과
다.
또
소
우스 ' 별명
메 우스 '
별
신
호
런
원 알
또
즈 첫 번째 '
공 점 두
같
밖
마 막
또
필
경
' '
공
번
름
감
공
'메 우스
애
'
밖
메 우스
신
<소
남 '
' ' '남 '
필
스
경북
9
공
'메
'
>
격 계
공
①제목에서 나타난 <모래의 여자>의 뜻은?
②모래의 성질에 대해서.
③여자는 왜 모래사구 지역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일까?
④내가(학습자 개개인) 이 남자와 같은 상황에 처해 있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⑤여자와 남자는 밤마다 모래를 퍼내는 작업을 해야했는데, 노동의 의미에 대해서.
⑥남자는 소설 마지막 부분에 탈출 할 수 있었는데, 탈출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
⑦사막에서 살아가는 곤충들의 생존력과 경쟁력에 대해서.
⑧신분증을 비롯하여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
⑨소설 『모래의 여자』와 만화 <모래의 여자> 비교.
⑩소설 『모래의 여자』와 영화 <모래의 여자> 비교.
⑪이 소설의 뒷이야기를 연결 지어 창작해 보기.
⑫이 소설에서 인상 깊었던 문장 낭송하기.
16) 이정희 「유로보로스」(경북매일신문, 2009.5.26)
17) 이정희, 소설 속 주인공을 만나다 「'모래의 여자'와 '모래의 남자'」(대경일보, 2014.11.17)
토론수업을
활용한 일본문학감상의 Active Learning ················································ 이 정 희…173
담 워크북
같 효
금
워크북 메 감
워크북 마 막
배
이러한 내용을 은
을 제작해서 부하는 것은 예습과 일맥상통하는
사전 수업과도 은 과를 지닌다. 그 토론 동을 성화 시 는 한 , 학
습자들로 하여 작품을 보는 기준을 제시해 주는 역할이 되기도 한다.
은 모와 상 등 글짓기가 가능하도록 여 을 고 제작한다.
지 부분에는 작가 아베 고보의 다 작품 및 관련 연구 서적에
대한 정보를 싣는다.
『아베 고보의 단 집 (壁)』(이정희역, 위덕대학교
부, 2001)
『 구(友 )』(『 芸』3
, 1 6 )
『 인의 얼굴(他人の )』(이정희역, 문예
사, 200 )
『상자인간(箱男)』(송인선역, 문예
사, 2010)
『
린 지도(燃えつた地図)』(이 미역, 문학동 , 2013)
⑥『일본현대문학의 기수 아베 고보 연구』18)(이정희저, 제이
, 200 )
①
② 친 達
③ 타
④
⑤ 불타버
룹
활
른
활
키
편
백 두
편 벽
출판
文 月号 9 7
顔
출판
7
출판
영
네
엔씨출판 8
3.3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
액티브 러닝을 위한 필수 보완 조건으로 플립 러닝이라는 것이 있다. 플립
러닝은 수업 전에 이론 부분이나 예습해야 할 부분을 동영상 등을 이용하여
사전에 미리 학습을 하는 과정을 말한다. 그러니까 다음 수업을 위해 반드시라
고 해도 좋을 정도로 과제물을 제시해야 한다.
물론 독서 토론 수업 등에서도 대부분 예습 등으로 책을 읽어 오라고 한다.
그러나 학습자들 전원이 책을 다 읽어온다고는 기대할 수 없다. 그래서 독서
퀴즈를 만들어 간단히 테스트를 해야 한다.
학생들에게 실시한 독서 퀴즈는 다음과 같다.
①주인공 남자의 이름과 나이는?
②주인공 남자의 직업은?
③주인공 남자가 휴가를 이용해서 해안가를 찾은 이유는?
④사구에 사는 여자가 돈을 벌어서 꼭 사고 싶은 물건 2개는?
⑤주인공인 신뢰하는 동료교사로서 교조활동에 열심히 하는 교사의 별명은?
⑥빠져 나오지 못하는 사구지역을 무슨 지옥이라고 했나요?
⑦여자는 무슨 일로 들 것에 실려 밖으로 나가게 되었나요?
⑧모래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요?
⑨남자가 자신의 처지를 알리려고 까마귀를 잡으려고 했는데, 까마귀의 이름은?
⑩주인공 남자가 사고지역에서 새롭게 발견한 장치는!!
8
9
원 기초학문육성분야 우수학술도서 선정
1 ) 200 년도 대한민국학술
7
1 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⑪주인공 남자는 이 사구지역에서 몇 년을 살고 있는 것인가요?
⑫남자는 실종신고 이후 몇 년이지나 사망처리가 되나요??
⑬어른뿐만 아니라 곤충채집에 유난히 몰두하는 경향이 있는 아이는 대부
분 이 콤플렉스가 강한데 무슨 콤플렉스인가요?
⑭기호 무한대의 기원이 되는 신화에 나오는 자기 꼬리를 무는 뱀의 이름은?
⑮남자가 민박을 하기 위해 들어간 집에 살고 있는 사람은 모두 몇 명인가요?
즈
즈 ' 든 ' 같 형
응
또
위 독서 퀴 는 2회에 걸쳐서 실시한다. 독서퀴 는 골 벨 과 은 식으
로 진행하면서 퀴 를 이 힌 학생에게는 그에 상 하는 부상을 준다. 한
성적에
을 하여 성적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독서 퀴 를 통해 전제적인 토리를
할 수 있는 시간을 제 한다.
학습자들의 사전 학습은 설 책을 읽어 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서 만화로
돤 모래의 여자 (사진1 조)를 역해 는 작업이 주어진다19).
2 으로 표현 만화 모래의 여자
사진1 만화 모래의 여자
는 최단시간 내에 토리를
할 수
있는
을 지닌다.
만화는 사구지역에 살고 있는 주
을 포인트만 아 표현하고 있어서 학
습자가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 을
주고 있다.
한 작품의 전체 흐 중에 실 주의
적 한 상 을 단적으로
표현하고
있어서 만화
트가 주는 의미는 다
고 하 다.
게다가 일본어로
리를 역하면서
사진2
화 모래의여자
일본어 문장 역 연습까지 겸할 수 있어서 일석이조
의 과를
수가 있다.
하나의 립 러 으로 실시해야할 것은 화
모래의 여자 를 미리 상하고 수업에 임하도록
한다. 이 그
상을 권장한다.
수업시간에 화 모래의 여자 를 음부터 까지
상하는 것은 시간상 무리가 있으 로 학습자들에게
수업 전에 상할 수 있도록 과제로서 부여한다.
반영
즈
스
강점
경
효
또
<
계 황
텍스
겠
감
번
공
>
<
>
거환
잡
또
잘
파악
소
오
>
참 번 오
된 <
> <
스
파악
<
쪽
9
즈 많 맞
큰 움
름
된 줄거
존
잘
크
번
볼
플 닝
>
감
때 룹감
영 <
감
<
>영 <
영
> 처
므
끝
日本の名作文学案内』 集英社. pp250~251.
1 ) 三木卓監修(2001) 『
>
토론수업을
활용한 일본문학감상의 Active Learning ················································ 이 정 희…175
소
오
이러한 사전 과제는 설 『모래의 여자』를 미리 책으로 읽어 게 하는 과
제와 은 성 을 지닌다.
책으로 『모래의 여자』를 읽을 에는 각자 자 이 시간을 내어 읽을 수
있지만, 상으로 상 할
는 그 으로 상하게 하며, 상 포인트는 토
론 주제와 연관 지어서 상토록 한다.
이 사전 작업이 완료되면 수업시간에는 화에서 중 하다고 생각되는 장
면만 집해서 보여주고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가장 인상적인 장면, 이해가 안 되는 장면 등을 발표하면서 내용을
게 고들어 간다.
같
격
영
감
런
편
감
때
경우 룹
감
영
신
감
요
깊 파
3.4 액티브 러닝의 평가
액티브 러닝을 도입하면 학습자 평가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새로운 평가기준에는 평가 대상을 개인과 팀 단위로 했고, 팀 단위의 평가는
팀원 간의 평가를 활용하여 개별점수로 환산 했다.
개인평가 점수는 수업 시작시 시작하는 독서 퀴즈, 중간고사, 기말고사, 과제
물, 학습활동 참여도 등이고, 팀별 평가 점수는 팀별 학습활동에 대한 성과, 팀
별 과제수행, 토론 결과 보고서 등이다.
또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평가 기준을 두 가지 형태로 나누었다. 예를 들
어, 평가기준1에서는 중간고사 30%, 기말고사 30%로 하고, 평가기준2에서는
중간고사 20%, 기말고사 40%로 한다. 이렇게 하면 중간고사 성적이 낮은 경
우에도 열심히 해서 기말고사 성적이 좋을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높은 성적을
획득 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평가 기준을 두면 학습자로 하여금 중간에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최선을 다하게 만들므로 학습 분위기도 좋아지는 경향이 있다.
학습평가는 언제나 학습자에게는 민감하고도 중요한 성과물이기 때문에 신
중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물론 지나치게 경쟁의식을 조장하는 것은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지만,
협업에 의한 성취감을 맛본다거나, 팀 활동에서 개인의 역할과 기여도가 얼마
나 중요한지를 스스로 깨닫게 하는 과정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바이다.
그리고 성적은 교수자가 주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획득해 가는 거라는 것
을 인식시켜 줄 필요는 있다고 본다.
4. 창작과 문학낭송회-문학치료의 실천적 의미
'
감 '
수업 일본문학 상 의 하이라이트는 창작이라는 작업과 문학낭송회라고 하
7
1 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겠다. 창작은 작품 『모래의 여자』 뒷부분을 창작하는 작업이다.
『모래의 여자』는 독자로 하여금 작품 뒷부분을 얼마든지 상상 할 수 있
도록 여지를 남겨두고 막을 내렸다.
학습자들은 자유롭게 각자 상상의 날개를 펴고 스토리의 뒷부분을 이어서
창작해 본다. 이 작업이 얼핏 보기에는 어려워 보일지 모르지만, 실제 학습자
들이 참여를 해 보면 재미있고 활기차게 진행 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인간은 누구나 새롭게 만들어 내는 창작에 대한 욕망을 품고 산다고 한다.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창작하도록 유도한다.
지금까지 학생들이 창작한 것 중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모든 상항을 꿈으로 표현하였다. 사구지역의 개미지옥에 빠져 헤어나오
지 못한 것을 꿈으로 그렸다. 꿈에서 깨어나 다시 똑 같은 상황이 발생
했는데, 사구지역에 머물지 않고 마지막 버스를 타고 집으로 돌아온다는
이야기를 그렸다.
②남자는 결국 모래의 여자를 데리고 도시로 나가 행복하게 산다.
③모래의 여자는 다시 사구지역으로 돌아오고, 남자는 유수장치를 보급해
사구지역 사람들과 함께 연대해서 지역의 발전을 꾀하면서 산다.
④모래의 여자는 결국 자궁외임신으로 사망하고, 남자는 사구지역에서 혼
자 살고 있는 데, 어느 날 한 여자가 하룻밤을 지내기 위해 모래의 집으
로 들어온다. 그리고 그 여자는 으로 나가지 하고 그 에서 자와
함께 생 하게 다.
자는 여자가 자궁외임 으로 으로 나간 사이, 여자를 기다리지 않고
바로 그 을
다. 그리고 이전에 자 이 살
으로 아간다.
⑤남
활
밖
된
신
곳 떠난
명 <
밖
>
신
못
곳
던곳
찾
남
활
이러한 일
속 모래의 여자 창작 동은 의외로 학생들이 의욕적으
로 여했다.
가장 인싱적인 창작은 『모래의 여자』 작품에서 전 되는 모 상 을 꿈
으로 표현한 것이다. 다음으로 은 것은 미 터리 식의 사건 전 로 당무
, 기상천외한 내용들이 보였다.
지
동으로 문학 낭송회를 열었다. 지 학기에는 작은 시낭송회를 열
었다. 시 선정에 있어서도 일본문학에 있는 시 작품을 선택하도록 한정 짓지
않고 자 이 아하는 시로 정했다. 이렇게 결정한 이유는 문학치료학의 의미
에서
, 일본어 교육 측면 보다는 문학이 주는 초적인
르시 를 만
끽해 보자는 의미가 더 컸기 문이다. 나아가 문학을 향유하는 기본에는 전
참
계
마 막활
신 좋
볼때
돋
많
스
형
개
든 황
개 황
난
때
원
카타 스
공
토론수업을
영
활용한 일본문학감상의 Active Learning ················································ 이 정 희…177
뛰 넘
신 좋
감
요
의 역을 어 어 자 이 아하고 동을 느낄 수 있는 게 더 중 하다고
생각한다.
학습자들이 낭송한 대표적인 시를 보면 다음과 다.
같
①도종환의 '흔들리며 피는 꽃'
②윤동주의 '서시'
③이해인의 '풀꽃의 노래'
④프로스트의 '가지 않은 길'
⑤미야자와 겐지(宮沢賢治)의 '雨にもまけず'
⑥하이쿠(俳句) 낭송
⑦오사다 히로시(長田弘)의 '世界は一冊の本'
⑧요사노 아키코(與謝野晶子)의 '君死にたまふことなかれ'
금
싶
지 현 시대 일수록 대학교육에서 문학이 살아야 한다고 외치고 다. 문학
이 지니는
르시 나 치유의 기능은
더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으로의 문학은 문학치료학이 주를 이룰 것만 다.
앞
카타 스
점점
같
5. 맺음말
개
환
새
액 브 닝
'
일본문학 교육방법 선의 일 으로 롭게 티 러 을 도입해서 일본
문학 상 수업에서 실시한 토론 수업을 수업사례 발표식으로 정리해 보았다.
지 학기에 음 실시한 티 러 은 만족 러울만한 성과를
었다고
하기에는 이
도 없지 않아 있지만, 분 한 사실은 학생들이 래 기 에
는 동적인 수업이 되었다고 한 이다.
토론 수업을 진행하면서 얻은 성과 중 롭게 발 한 사실이 있다. 다 아
닌 일본어 구사 능력이 어 학생과, 토론에 한 학생이
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토론 수업을
이끌고 가는 학생의 발 은 논자에게는
수 이 아 수
없다.
한 롭게 도입해서 시작한 포트 리 제작은 한 좌에 머무는 것이 아
니라 전 교과목으로
해서 작성해야 다고 다짐을 했다.
감 '
난
남 감
처
른감
액 브 닝
점
뛰 난
잘
또 새
명
새
스
강
거두
오 억
견
반드
견
확산
폴 오
겠
큰 확
강
름
닐
7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1
【참고문헌】
公房(1962)『砂の女』新潮社
朝倉徹(1993)「文学教育における『教師中心主義』」(日本大学『教育学雑誌』第27号)
三木徹監修(2001)『日本の名作文学案内』集英社
박혜성(2014) 「영상을 이용한 일본문학 교육방법론-수업사례를 중심으로-」(『일
본연구』제59호)
安部
아베 고보(2001) 『모래의 여자』민음사
이의용(2010) 『 가르치는 교수』쌤앤 커
이정희(200 )「일본문학교육방법론Ⅰ-문학교육의 의의를 중심으로」(『국제언어문학』
20 )
이정희(2010)「다매체 시대의 일본문학 교육방법론」(『일본문화학보』46집)
이정희(2011)「일본문학교육방법Ⅱ-아베 고보의『붉은 누에고치』읽기」(『일본문
화학보』4 집)
임
(2011) 「학습자 위주의 일본 현대문학 수업 사례 연구」(『일본문화학
보』제51집)
임
(2012) 「일본문학 교육방법론-이 미
의 『고야
(
)』 수
업사례를 중심으로-」(『일본학보』제 1집)
조용 외 저(200 ) 『성 적인 수업을 위한 교수전략』 학지사.
조용 외 저(2010) 『성 적인 대학생 을 위한 학 전략 포트 리 』 학지사.
조 (2010), 『
의 하 & 와이』 해냄
사
EBS 최고의교수 제작팀(200 ) 『최고의 교수』예
호
태균
잘
9
8
태균
개 공 9 공
개 공
공
벽
명강 노 우 노
<
>
8
파 스
근
즈 쿄카
9
활
출판
산 스님 高野聖
급
담
폴 오
토론수업을
활용한 일본문학감상의 Active Learning ················································ 이 정 희…179
要 旨
패러다임도 바뀌고 있다. 너무나 범람하고 있는
정보의 양으로 인해 대학에서 '어떻게 교육을 담당해야 하나'가 하나의 난제로 떠
올랐다. 게다가 그 정보의 대량 생산 유출뿐만 아니라 그 변화의 속도와 불규칙성
으로 인해 정보의 실체를 파악하기란 매우 복잡하기만 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대학에서도 외부에서 물밀듯이 들어오는 정보의 양으로 인해 불
확실한 실체가 증식되는 것을 새로운 교육방법을 통해 제대로 파악해야 할 것이다.
그동안 대학에서의 강의가 특히 문학수업은 교사중심주의라 할 수 있을 정도로
교수자의 역할이 지배적이었다. 심지어는 교수자의 세부전공에 따라 읽힐 작품이
정해지기도 하고, 교수자의 올바른 해석이 학습자등에게 강요당하는 식이었다.
이에 본 논문은 일본문학 교육방법 개선의 일환으로 새롭게 액티브 러닝을 도
입해서 '일본문학감상'수업에서 실시한 토론 수업을 수업사례발표식으로 정리해
글로벌 정보화 시대에는 교육의
보았다.
티 러 의 기본은 학습자 위주로 수업을 진행해 간다는 것과 능동적으로
수업에 여한다는 것이다
지 학기에 음 실시한 티 러 (Active Learning)은 만족 러울만한 성과
를
었다고 하기에는 이
도 없지 않아 있지만, 분 한 사실은 학생들이
래 기 에 는 동적인 수업이라고 한 이다.
토론 수업을 진행하면서 얻은 성과 중 롭게 발 한 사실이 있다. 다 아닌
일본어 구사 능력이 어 학생과, 토론에 한 학생이
시 일치하지 않는다
는 사실이다.
토론 수업을
이끌고 가는 학생의 발 은 자에게는
수 이 아 수 없다.
한 롭게 도입해서 시작한 포트 리 제작은 한 좌에 머무는 것이 아니
라 전 교과목으로
해서 작성해야 다고 다짐을 했다.
액 브 닝
참
난
처
거두
억 남 감
액 브 닝
른감
뛰 난
또 새
잘
확산
점
새
스
명
강
견 필
폴 오
겠
견
오
름
반드
큰 확
강
닐
키워드:액티브 러닝(Active Learning),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
포트폴리오, 일본문학교육방법, 아베 고보, 모래의 여자, 문학치료학,
독서토론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재 정일 : 2015. . 4
확
7
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と高齢者像(その2)
―『厚生白書』(昭和45(1970)~平成12(2000)年版)を手がかりに―
*
金
恵
媛
(e-mail: [email protected])
目 次
1. 問題の所在: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と高齢者像
2. 長寿社会ビジョンのなかでの高齢者像:1970~80年代前半
3. 自立的な個人としての高齢者像:1980年代後半~2000年
4. おわりに
1.問題の所在: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と高齢者像 戦前の「人生50年」から「人生70年」へと発想を転換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
「老齢者問題」の背景として急激な高齢化現象、高齢期の長期化が指摘されてか
1)
ら早くも半世紀が過ぎようとしている 。人口高齢化の勢いはその後も続き、今
日では男女とも平均寿命が80歳を超え、総人口の4人に1人を高齢者が占める時代
2)
3)
となった 。100歳以上に達した人も6万人規模に迫っている 。多くの人が確実に
経験するだろう高齢期は長期にわたるものであり、社会構成員に占める高齢者の
* 『厚生白書』(昭和44=1969年版)の「総論
山口県立大学国際文化学部
第3節 高齢者の生活の充実 1 高齢者問題の
1)
背景」において「わが国は世界で経済成長の最も早い国であるが,人口の老齢化現象の面で
も変化のテンポの早さは群を抜いている。戦前『人生50年』という言葉があつたが今やそ
れは『人生70年』に置きかえなければならない。」と、急激な人口の高齢化にふさわしい
発想の転換が求められている。
2) 2014年10月1日現在総人口(1億2708人)に占める65歳以上人口比は26.0%(3300万人、
うち女性は1877人)と4人に1人が高齢者である。高齢人口のうち1592万人、12.5%が75
歳以上となっている。平均寿命も2013年現在女性が86.61歳、男性が80.21歳と男女ともに
80歳を超えており、高齢期の長期化は明らかである(内閣府、2015)。
3) 2014年9月発表によると、2014年9月1日で新たに百歳に達した2万9357人を含む100歳以上
の高齢者総数は5万8820人に達している(厚生労働省、2014)。
18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比重も高くなる一方である。したがって高齢者の個人としての人生設計の充実化
ニーズはもちろんのこと、高齢者に対する社会からの役割期待もおのずと高まっ
ていく。高齢期生活、長命の質が問われる所以である。
長寿の質を問う意見は、筆者が日本と韓国の85歳以上の超高齢者及びその家族
4)
を対象に行ったインタビューでも多くみられた 。高齢者本人のみならず支援関
係にある家族からも健康である場合のみ長寿したい、という認識が支配的であっ
た。理由としては、高齢期にも自律・自立的でありたいから、子どもに迷惑かけ
たくないから、といった意見が多く挙げられた。事実、NHKの番組「百歳バンザ
5)
6)
イ!」 や『いきいき人生』 に紹介されている元気な高齢者のように100歳を超え
てもなお農業や書道教室、あるいは趣味活動やボランティア活動を続けている事
例では長生きを否定的に捉える意見が相対的に少なかった。これらのことから、
高齢者個人のレベルでは、社会や家庭での役割の有無が生きがい、長命の意義に
7)
大きく影響していることが再確認できる 。また、「たとえ病気で動けない場合
でも、みんな長生きしたい、生きている方が満足」と述べる102歳女性の語りに
明らかなように、健康水準が低下している場合でも支援関係の質によって生きが
いを感じ、長寿を成し遂げたいという意欲の向上、長寿についての肯定的な評価
8)
につながることが指摘できる 。
高齢世代については、その集団名で一括されることが少なくない。暦年齢を根
拠に年齢集団への画一的なまなざしが向けられ、高齢者一人ひとりが持つ多様性
が看過される傾向がある。しかし前述の事例が示唆するように、健康状態や生活
環境によって高齢期の生活の質、長寿に対する認識は実に様々である。より質の
高い高齢期生活、高齢社会を実現するためには、そのような多様性を前提に健康
長寿への願望を具現化していかなければならない。高齢者の意識と実態の多様性
を尊重し、健康についての広義の解釈を用いた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の推進を
継続的・具体的に支援していくことである。併せて、高齢者像の多様な側面を可
視化することを通して、社会的共通理解、連携を促す基盤づくりが必要である。
4) JSPS研究費24616009助成を得て、日韓の超高齢者(85歳以上)のインタビュー調査を実
施した(2012~2014年度)。
5) 100歳前後の高齢者の元気な様子、活動ぶりを主に取り挙げた10分間のドキュメンタリー
番組で、2002年4月6日から2011年4月2日までNHKで放送された。
6) 内閣府が都道府県などの協力を得て実施した「エイジレス・ライフ」及び「社会参加活
動」の事例をまとめたものである(内閣府1999「発刊によせて」)。
7) 長寿認識を尋ねたところ、「あまり長生きすると心配事が増えるだけ」(101歳男性)、
「なぜお迎えが来ないのだろう」(100歳女性)といった内容の回答が複数あった。
8) 金恵媛(2015)「ホップ・ステップ100歳時代」(パンフレット:
http://www.hwkimlab.com/ホップ-ステップ100歳時代/ )。
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と高齢者像(その2) ········································································· 金
高齢に達するまでのライ
フコース特徴による高齢
恵 媛…183
図1高齢期生活の決定要因
世代内の多様性、生活の
質の観点からのアプロー
チとしてWHOが提唱する「
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
」の取組みは代表的な例
であろう。<図1>は、高
齢期の生活の質に重要な
影響を与える要因としてW
9)
HOが示したものである 。
高齢期の自律・自立性を
補強・決定づける要因として社会文化的要素や世代連携の重要性を説く。ライフ
コース全般での出来事と人間関係から高齢期の多様性を捉えている点も注目され
る。高齢者の健康長寿を決定付けるいずれの要因にも重要な影響を及ぼす環境要
因として、高齢者が所属する社会の文化やジェンダーが強調されている。すなわ
ち高齢者への見方、ライフコースを通してたどる高齢化過程のすべてに当該社会
の文化的特性が影響を及ぼしていることに自覚的であることを促している。
単に心身に障害のない状態ではなく、多少の障害がある場合でも必要な支援を
得ながら自立的に活動する状態を指す広義の健康解釈は、「何もしないよりも、
何かする」という、より包括的で能動的な健康長寿の認識に通底するものがある
(WHO、1998:23;26頁)。高齢期、健康に関するこのような認識は、高齢期の
生活自立、高齢者の社会貢献を提唱している日本の現在の高齢者像と重なるとこ
ろが多い。さらに、『厚生白書』を紐解くと、日本ではおよそ30年余り前から広
義の健康認識の普及、定着が試みられてきた。「従来のように『無病息災』だけ
を健康として狭く捉えるのではなく、『一病息災』も健康として広く捉える」こ
とが人生80年時代にふさわしい新たな健康観として推奨されたのである(昭和60
(=1985)年版)。
10)
拙稿の「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と高齢者像(その1)」 で検討した昭和45
(1970)年版までの『厚生白書』においては、社会・家庭内で孤立した、依存的
9) WHOは、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を「人々が歳を重ねても生活の質が向上するように、健
康、参加、安全の機会を最適化するプロセス」とすて定義し、個人のニーズや希望、能力
に応じた社会参加、必要な援助が受けられる社会への発展を目指す(WHO、1998:15頁)。
10) 金(2014.8)。
18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存在としての高齢者像が強調されてきた。依存的な存在から自立的存在への変遷
過程、言い替えると、高齢化社会入りしてからこの四半世紀の間の高齢者像の変
遷過程を考察することによって、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の実現に必要な私的・
公共的要件とその整備プロセスをうかがい知ることができよう。そこで、『厚生
白書』の創刊号(1956年)から高齢化社会入りした1970年版までを検討した「ア
クティブ・エイジングと高齢者像(その1)」に引き続き、本稿では、昭和45(1
970)年版から公的介護保険制度が導入された平成12(2000)年版までを手がか
りに高齢者像の変遷過程をみていく。
本考察結果は、類似した社会・文化的な背景を持ち、日本同様に急激な人口高
齢化現象が観察されるアジア地域の高齢社会ビジョン、高齢者像を展望するうえ
で有効であると考える。前述の<図1>の「高齢期生活の決定要因」に示された
ように文化的要因は高齢期の生活の質を左右する重要なファクターである。した
がって、日本の高齢者像の変遷過程は、類似文化圈が高齢社会に向けての基盤造
成を図るうえで活用できる重要な先行事例だと考えるからである。
2. 長寿社会ビジョンのなかでの高齢者像:1970~80年代前半
『厚生白書』では当該年度の重要いシューを副書に取り挙げ、「総論」などの
章において現状分析と対策を集中的に論じる形式を採用している。このような形
式が試みられたのは昭和45(1970)年版からである。「新しい試みとして,厚生
行政全般についてその動向をまとめてきた従来の厚生行政年次報告書とは視点を
かえ,今日の国民的課題の一つである老齢者問題を取り上げ,この問題について
深く掘り下げて検討を行なう」と、キーイシュー「老齢者問題をとらえつつ」を
11)
副書に取上げた理由が述べられている 。当該年度の主要イシューに比重をおく
『厚生白書』の内容構成を活用し、以下においては、『厚生白書』の昭和45(19
70)~平成12(2000)年版のうち、副書に「高齢」、「長寿」など高齢者(像)と
直接に関連のあるキーワードが用いられた版(表1)を取り挙げ、日本における
高齢者像の変遷についてみていく。
まず、<表1>と<表2>から昭和31(1970)~平成12(2000)年版の副書を
概観する。副書からうかがえる主な施策分野は、貧困対策、年金や医療などの社
会福祉・保障の個別領域から全般へと拡大してきた様子がわかる。厚生行政の対
象者という点からも、全年齢層から高齢層へ、再び全年齢層へとテーマの重心が
大きくシフトしていることが見てとれる。特に、1970~80年代にかけては、厚生
11) 『厚生白書』昭和45年版「総論」。
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と高齢者像(その2) ········································································· 金
恵 媛…185
行政の3分の2を高齢者関連のトピックが占めている。急速に進む人口の高齢化へ
の対応が急がれた1970~80年代にかけて、高齢期の生活基盤整備が集中的に行わ
れてきたことを示唆していよう。
<表1>『厚生白書』の副書(1956~1969年版)
副 書 昭和31(1956)年版
国民の生活と健康はいかに守られているか
昭和32(1957)年版
貧困と疾病の追放
昭和33(1958)年版
厚生省創立20周年記念号
昭和34(1959)年版
福祉計画と人間の福祉のための投資
昭和35(1960)年版
福祉国家への途
昭和36(1961)年版
変動する社会と厚生行政
昭和37(1962)年版
人口革命
昭和38(1963)年版
健康と福祉
昭和39(1964)年版
社会開発の推進
昭和40(1965)年版
(第1回目の年次報告書発足以来10年間におけるその進展
をふり返り)
昭和41(1966)年版
生活に密着した行政
昭和43(1968)年版
広がる障害とその克服
昭和44(1969)年版
繁栄への基礎条件
<表2>『厚生白書』の副書(1970~2000年版)
副 書 昭和45(1970)年版
老齢者問題をとらえつつ
昭和46(1971)年版
こどもと社会-児童憲章制定20周年-
昭和47(1972)年版
近づく年金時代
昭和48(1973)年版
転機に立つ社会保障
昭和49(1974)年版
人口変動と社会保障
昭和50(1975)年版
これからの社会保障
昭和51(1976)年版
婦人と社会保障
昭和52(1977)年版
高齢者社会の入口に立つ社会保障
昭和53(1978)年版
健康な老後を考える-厚生省創立40周年記念号
18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昭和54(1979)年版
日本の子供たち―その現状と未来―
昭和55(1980)年版
高齢化社会への軟着陸をめざして
昭和56(1981)年版
国際障害者年―「完全参加と平等」をめざして
昭和57(1982)年版
高齢化社会を支える社会保障をめざして
昭和58(1983)年版
新しい時代の潮流と社会保障
昭和59(1984)年版
人生80年時代の生活と健康を考える
昭和60(1985)年版
長寿社会に向かって選択する
昭和61(1986)年版
未知への挑戦-明るい長寿社会をめざして
昭和62(1987)年版
社会保障を担う人々-社会サービスはこう展開する
昭和63(1988)年版
新たな高齢者像と活力ある長寿・福祉社会をめざして(厚生省
創設50周年記念号)
平成元(1989)年版
長寿社会における子ども・家庭・地域
平成2(1990)年版
真の豊かさに向かっての社会システムの再構築・豊かさ
のコスト -廃棄物問題を考える-
平成3(1991)年版
広がりゆく福祉の担い手たち-活発化する民間サービス
と社会参加活動-
平成4(1992)年版
皆が参加する「ぬくもりのある福祉社会」の創造
平成5(1993)年版
未来をひらくこどもたちのために
-子育ての社会的支援を考える-
平成7(1995)年版
医療-「質」「情報」「選択」そして「納得」
平成8(1996)年版
家族と社会保障-家族の社会的支援のために-
平成9(1997)年版
「健康」と「生活の質」の向上をめざして
平成10(1998)年版
少子社会を考える-子どもを産み育てることに「夢」を
持てる社会を-
平成11(1999)年版
社会保障と国民生活
平成12(2000)年版
新しい高齢者像を求めて
-21世紀の高齢化社会を迎えるにあたって-
資料:<表1><表2>は、厚生省『厚生白書』(昭和31(1956)~平成12(2000)年版)
(http://www.mhlw.go.jp/toukei_hakusho/hakusho/kousei/)より引用作成。
注:表中のゴシック字体は、高齢者に直接関連するキーワードについて筆者が記
したものである。
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と高齢者像(その2) ········································································· 金
恵 媛…187
敗戦から1960年代まで、戦禍、高度経済成長によって日本社会にダイナミック
な変動が続くなか、高齢世代は経済的に弱者化していった。社会的な側面におい
ても、民法改正、都市化・核家族化の進行とともに家庭での居場所をなくした年
齢層として、その孤立状況が注目されてきた。昭和45(1970)年版をみると「現
在の老齢者問題は特別の断面をもっている。【中略】現在の青少年が,戦争のお
そろしさを実際体験しておらず,毎日の平和な生活をたのしんでいるのに対し,
現在の老齢者の多くは,戦争で家族を失い,過去の蓄積を失い,長い間わが国社
会の基盤となつてきた家族制度の崩壊を経験してきている。新しい社会との断絶
感は,どの時代の老齢者と比較しても劣るものではない」(「総論」:2-3)と、
戦後社会の混乱状況のなかで弱者化していく当時の高齢世代の特殊性が強調され
ている。老化現象そのものは「同じ年齢の人でも一様におこるのではなく個人差
がある」ことは否めないが「職業からの離脱,配偶者との死別,他人に対する依
存性の増大等生活のはりがなくなる方向への変化が強」いとして、高齢者につい
ては集団特性に基づく画一的な見方が続く(「総論」:20-21)。
その一方で、1970~80年代を通して依存的な高齢者像を変えていこうとする動
きも観察される。この時期の『厚生白書』の副書を手がかりに高齢者像を概観す
ると、「老齢者問題をとらえつつ」「高齢者社会の入口」「高齢化社会への軟着
陸」「高齢化社会を支える社会保障をめざして」と続く。急速に高齢化が進む人
口現象に対応できる社会へと基盤造成に厚生行政の総力を注いでいることがわか
る。昭和45(1970)年版の「総論」において、急速に高齢化する人口動向及びそ
の対策について「人類がいまだかつて経験したことのない」「民族に課せられた
課題」と、人口の高齢化に対応する政策姿勢、覚悟が全面に打ち出されている。
「時代に遅れないような知識、教養」を身につけ、孤独感や疎外感の解消するた
めの地域・社会活動が奨励されるなど、高齢者個人の観点から高齢者像の改善が
提唱されてきた。しかし1970年代頃からは「社会によって保護されるべき存在で
はなく、自ら選択し、自らの生活を切りひらく主体」といった、社会構成員とし
12)
て自立した高齢者イメージが明確に打ち出されている 。同年版「総論」の第6章
では「地域社会への奉仕活動を通じて社会参加性を強化し,地域社会の構成員と
しての老人層の役割形式を積極的にすすめてゆくことが望まれる」と、地域社会
を活性化させていく地域リーダーとしての高齢者像が提唱されている(金2014:
13)
209) 。人口の急速な高齢化が日本社会に与えたインパクトの大きさと、それに
12)
13)
金(2014:213)。
拙稿「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と高齢者像(その1)」(2014)では、厚生白書の創刊号
(昭和31年=1956年版)から日本が高齢化社会入りした昭和45年版(1970年版)にいたるま
18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伴って高齢者の社会的位置づけ、高齢者像に大きな転換が生じていることをうか
がわせる記述である。また、1960年代を通して社会保障制度の基盤づくりが一定
14)
水準達成できたことも背景として考えられる 。
前述の、この時期の高齢層が特有な世代特性を持つという記述からは、他の世
代からの支援提供を促す意図がうかがえる。高齢化社会の構成員としての当事者
認識をあらゆる世代において広く共有・連携していくことを目指した記述として
見受けられる。従来の高齢者関連政策が問題を抱える高齢者個人に対する対策で
あったのに対し、70年代以降は、日本社会の将来展望の観点から高齢者の社会的
位置づけに重点がおかれている。依存的な高齢者に対する救貧措置から社会保障
の権利対象へと高齢者像がシフトした原点として考えられる。具体的な提案の根
15)
拠として「豊かな老後のための国民会議」での国民的目標を紹介し 、高齢期の
生きがいと豊かな老後生活を送るための環境整備、特に老後の孤独・疎外感を改
善できる環境造成、高齢者理解と支援のための世代間連帯が強調されている。高
齢者をめぐる諸政策が問題状況に対応する「ニーズベース」から「老後も生活の
すべての側面で機会と待遇を平等に得る権利を尊重した『権利ベース』アプロー
チへとシフト」(昭和45年版:17)る過程で自立した高齢者像がくり返し強調さ
れるに至ったのである。
昭和52(1977)年版では、昭和30~40年代に社会保険と社会福祉分野に一定の
進展があったことから、「社会保障は,救貧から防貧へまた低所得階層のみなら
ず国民全体の生活安定へとその役割を拡げていった」、「現在我が国は高齢者社
会の入口に立っており,今後は世界に類をみない急速な人口の老齢化の進行に伴
い,社会保障に対する国民の需要と期待が高まる【中略】このことは同時に若い
人々の負担増につながる問題であるので,今後は長期的観点から給付と負担の両
面を配慮」すべきだと力説している。社会保障制度の整備状況並びに社会の長期
的展望から、給付と負担の均衡を意識した世代連携を進める、したがって高齢層
を要保護対象として特別扱いすることはもはやできないというメッセージであ
る。「100人中8人から14人へ―老人の増加」「老人人口の6割は70歳以上」「長
での高齢者像について考察した。
国民皆年金(1960年)・皆保険(1961年)の実現によって高齢期保障に一定の基盤ができ
たことが背景として考えられる。
15) 全国から約2,000人の各層代表が参加し1970年9月20~21日に東京で開催された「豊かな
老後のための国民会議」では、「高齢化社会の到来に備えて老後の問題に関する国民的目
標の設定」するために所得、健康、家庭、地域社会、住まい、仕事、社会参加の各問題に
ついて検討が行われた。その結果として、高齢者の経験と能力を生かす施策(生きがい創
造)、心身ともに豊かな老後を築くための諸条件の整備、家庭および地域の生活の充実
(孤独・阻害状況の改善)、支援が必要な高齢者の人間的尊厳の確保、老後期生活への深い
理解と世代間連帯を高めるための各種教育の徹底、が提案された(昭和45年版「総論」)。
14)
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と高齢者像(その2) ········································································· 金
恵 媛…189
い老後の期間―65歳から80歳前後まで」「家族の動向―空っぽの巣の増加」「老
人と子の交流」等、高齢層の相対的・絶対的規模増とその結果として現れる諸現
象を社会的支援関係の観点から解説している。将来を見据えた持続可能な支援関
係の形成、さらには非高齢世代にも当事者認識を促す内容と見受けられる。創刊
号から継続的に記述されてきた高齢層の世代特性ではなく、社会構成員みんなの
問題であることが世代連携ニーズの根拠となっている。
この頃から高齢者問題の具体的側面についても多くの記述が見られるように
なった。まず、高齢者問題が女性の問題とされる状況についてである(昭和52=
1977年版)。1976年現在、男性13.91年、女性16.80年に伸た65歳現在の平均余命
からして「人生70年」の想定(昭和44(1969)年版)の見直しが必要であるとと
もに、多くの女性は男性より長期の高齢期を経験しなければならないことを可視
化していく。さらに夫との死別後、妻は平均生存年数の8.46年を一人で生きなけ
ればならないため「高齢化社会は『おばあさん社会』」であると指摘する。
また、介護負担や寝たきりの観点から高齢期の健康が力説されるようになる。
小説『恍惚の人』(有吉佐和子、1973年、新潮文庫)の話題性と「ぽっくり信
仰」の流行が示唆するように医療・介護面の将来不安が社会的に蔓延していっ
た。そのため、長寿願望への懐疑とともに、高齢者像として「寝たきり」のイ
メージが強くなっていった。実際この時期の『厚生白書』の副書には「健康な老
後を考える」(昭和53=1978年版)、「人生80年時代の生活と健康を考える」
(昭和59=1984年版)など高齢期の健康づくりに着目したテーマが続く。1980
年代後半に「地域密着」の老人保健福祉サービスや福祉の公共の負担への関心が
広がっていく所以である。
高齢期の健康不安や負担意識の上昇が結果的に高齢化社会での当事者意識を
徐々に高めていった。『厚生白書』においても1970年代後半から1980年代前半ま
での高齢者像へのアプローチとして、日本社会の長期的展望から高齢者像を位置
づける傾向が特徴的に観察される。昭和52(1977)年版では、対外国比較によっ
て日本の社会保障の評価と課題発見を試み、解決策として諸外国と異なる日本の
高齢者の高い就労意欲と家族支援体制に着目する。「高齢化社会の入口」での将
来展望の手がかりとして、イギリスやフランス、西ドイツ、スウェーデン、イタ
リア、アメリカの社会保障動向から日本の今後を展望し、高福祉高負担がもたら
す問題状況と対策について解説している。高齢者像については、戦後社会の産業
構造の変動、物価変動、若年労働力の地域間移動による影響を大きく受けた「現
在の老人の特性が老人の福祉に対するニードを切実なもの」(138頁)にしてい
19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るという従来通りの見方を堅持しながら、高齢者の高い就労意欲と家族の扶養能
力の高さを日本の強みとして注目している。高齢者の雇用を促進する環境づくり
と、「日本人の資産ともいうべき親密な家族関係をいかす方向で諸施策をすすめ
るべき」(141頁)であり、「コミュニティ,家族,企業等の役割の評価と整理
等により社会保障をめぐる諸条件の整備を図る」(142頁)、と述べている。日
本の高齢者の労働意欲や家庭の支援機能の補強を促す、自助・互助の可能性を強
調する結果となっている。自助・互助を強調する認識はその後の『厚生白書』に
おいても繰り返し述べられるようになる。家族の犠牲を前提とし、社会保障の責
任を家族に転化する政策態度として批判が高かった「同居という、我が国のいわ
ば『福祉における含み資産』」、「日本型福祉」として高齢者扶養を担う自助・
互助の役割が強調される(昭和53(1978)年版の「総論:むすび」)。人口の高
齢化の急激な進展と高齢期の社会保障基盤のギャップに対する焦りのなか、高齢
社会展望の観点から高齢者像、家庭像が描かれていた時期と考えられる。
昭和55(1980)年版では高齢社会基盤づくりがさらに強調されている。「総
論」をみると、1970年代を通して社会保障制度が「西欧諸国と比較してほぼそん
色のない水準に達し」給付が人々の生活の中に定着してきたと解説する。そのう
えで、「1980年代は、社会保障が来るべき高齢化社会において効果的に機能する
よう計画的、体系的な整備を図っていかなければならない大切な時期」であり、
高齢社会への備えと対応が課題であると指摘する。長期的社会展望の観点から自
立した高齢者像、家庭・地域コミュニティの支援役割を力説する背景として注目
される。
昭和59(1984)年版では、高齢期の生活自立を個人の視点から捉える変化が
観察された。「人生80年時代は、自立性の求められる時代」であり「人生80年時
代」の実現によって「人生をより豊かにするための条件が広がった」という認識
が示された。高齢期を準備する主体として個人が強調されるようになったのであ
る。手に入れた「有利な条件を十分に活用していくためには、長い人生を前提と
した様々な準備が必要」であり、「これからは、自分で自らの人生を設計してい
くことが大切」であると、個人の人生設計のなかで高齢期を準備することを促し
ている(「厚生白書の刊行にあたって」)。さらに昭和60(1985)年版では、
「人生80年は、名実ともに現実のもの」であり「長い人生を通じて国民一人一人
がそれぞれの心身の状態に応じて積極的に社会に参加し、個性的で豊かな生活を
送る」ためには「我々の社会観、生活観を切り換え、社会の仕組みそのものを長
寿社会にふさわしいものに組み直していく」と記述している。人生80年にふさわ
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と高齢者像(その2) ········································································· 金
恵 媛…191
しいパラダイム転換において社会構成員の当事者認識、老後に向けての個人の備
え、そして世代間連携が提唱されているのである(「厚生白書の刊行にあたっ
て」)。1970年頃までに強調されていた依存的な高齢者像、その後の1980年代
前半までの社会保障基盤整備の観点からの画一的な高齢者像は段々と薄れ、個人
の生涯設計としての備えが強調されるに至ったのである。
高齢者問題に関する主要関心分野は経済面から医療・保健福祉サービスへシフ
トし、介護不安、社会的負担が強調され、個々人の一生涯に渡る健康づくりにむ
けて様々な取組みが行われた時代でもある。「健康をライフスタイルや社会参加
の在り方,家庭,地域など社会環境とのかかわり」(昭和60=1985年版)のな
かで「一病息災」という広義の健康認識、一生涯にわたる健康づくりが強調され
健康相談や健診・技能訓練に重点をおく「老人保健事業」(昭和58=1983年
版)が導入される一方で、寝たきり、介護不安・負担とともに負の高齢者像が広
まっていった。
以上、1970~80年代前半は、人生80年時代にふさわしい長期的社会展望のな
かで、1970年代以前とは異なる高齢者像が描かれた時代といえよう。人口面にお
いて日本社会のマジョリティ集団となった高齢世代の社会貢献に対する期待が具
体的に提示された。さらに、「限界のある個人努力」(昭和57=1982年版)を
支える家族や地域の役割、連携が一段と強調されるようになった。厚生施策の年
表において1975~1990年は「高齢化時代の厚生行政」にカテゴライズされてい
16)
る 。高齢者問題が喫緊の社会問題として位置づけられ、人生80年時代にふさわ
しい社会システム整備の観点から自助・互助が強調されたのである。「生涯にわ
たる労働と余暇の時間配分を組み換え【中略】人生50年時代から引き継がれてき
たこれまでの生活観、社会観を切り替え【中略】過度の行政介入を排除し【中
略】自らの能力と責任において方向転換」(昭和60=1985年版)することが、
長寿社会にふさわしい個人の生き方として提唱されている。非高齢層においても
当事者認識をもって自助・互助、公助の連携に参加すること、そのために一生涯
にわたる健康づくりと生涯設計・実践によって高齢期に備える個人像が強調さ
れ、そのロールモデルとして多様な価値観や生活意識を持つ高齢者像がクローズ
アップされた時期として特徴づけられる。
16) 厚生省(2000)『厚生白書』(平成12年版)、ぎょうせい:468-469。
19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3.自立的な個人としての高齢者像:1980年代後半~2000年
1970~80年代前半は「高齢化社会」「長寿」「人生80年」と、高齢化社会に関
連する副書が続いたが、1980年代後半から2000年の間の副書をみると、全年齢層
・領域へと厚生行政の主要関心が再び広がりを見せるようになったことがわかる
(表2)。「新たな高齢者像と活力ある長寿・福祉社会をめざして」(1988年版)
、「長寿社会における子ども・家庭・地域」(1989年版)、「広がりゆく福祉の
担い手たち―活発化する民間サービスと社会参加活動―」(1991年版)、「皆が
参加する『ぬくもりのある福祉社会』の創造」(1992年版)、「家族と社会保障
―家族の社会的支援のために―」(1996年版)と、高齢者とその家族、世代間連
携、さらには公共私の協調的関係の構築を呼び掛ける副書が続く。厚生行政の時
代区分でも1992~2000年を「少子高齢社会に対応した厚生行政」(平成12(2000
)年版)としており、喫緊の課題として少子化問題、高齢化問題がクローズアッ
プされているが、特定の年齢層だけを当事者とするのではなく、社会全体として
連携して取組むべき課題として位置づけられているのである。
1980年代半ばからは高齢者像の多様化に着目した記述が目立つ。長寿社会の基
盤づくりにふさわしい高齢者像として自立性が強調されてきた1980年代前半まで
とは異なるアプローチである。昭和61(1986)年版をみると、「高齢者と一口に
言っても男女別や年齢階層ごとに大きな差異がある【中略】ニードを的確に把握
して対処していくことが重要」だとし、高齢者の実態が長寿社会づくりの方向を
決める根拠として記述されている。「未来への挑戦―明るい長寿社会をめざして
」という副書を掲げて、「21世紀に至るここ10年間余りが、将来の超高齢社会す
なわち本格的な長寿社会にふさわしい経済社会システムの構築の準備に最も適切
な時期であり、同時に無為に過してはならない時期」であり、「本格的な長寿社
会への対応」するためには都市化と地域間格差、女性労働力の社会化、産業構造
の変化など、社会状況の変化によって高齢世代が多様化してきた実態を看過して
はならないと指摘する。さらに「人口の高齢化の進展は、ねたきり老人等の要介
護老人が増大する反面、健康な高齢者や経済的に恵まれた高齢者が増大し、社会
のマジョリティになっていく過程でもある」とし、「経済社会や地域社会の発展
に寄与するマンパワー」としての高齢者の社会貢献役割を強調している。絶えず
変化する社会に適応するための生涯学習を奨励する「リカレント型」のライフイ
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と高齢者像(その2) ········································································· 金
恵 媛…193
スタイルや「年齢区分概念の見直し」など、能動的な高齢者像を具現化する方法
についても様々な観点から言及している。社会サービスについても「かつての救
貧的、選別的な性格から一般的、普遍的な性格を有するサービスへという歴史的
な変容過程にある」という認識を示しており、高齢世代を依存的、あるいは集団
イメージから捉える画一的な見方はもはや希薄である。
高齢世代内の多様化については、ライフコースの観点からさらに強調されてい
く。WHOが提唱するライフコースの観点のように「単線型から複線型へのライ
フスタイルの変化」(昭和59=1984年版)という記述からも社会ビジョンの観
点から個人の生涯設計・実践の重要性を解説する意図がうかがえる。昭和63(19
88)年版でも「高齢期を迎えても社会に貢献できる一員として、長い生涯を常に
社会と関わりを持ちつつ、生きがいと喜びをもって過す」、平成3(1991)年版
をみると、高齢化は「予見できる」ものであり、「長い老年期における自分の生
活設計や生きがいについて、壮年期からより真剣に考える必要がある」とライフ
コース観が採用されている。「自立と参加」「自立のためのサービスの提供」、
「社会参加のひろがり」など、WHOの勧告と重なるキーワードが多用されている
点も注目される。
平成9(1997)年版では21世紀を「高齢者の世紀」と位置づけ、「問い直され
る『高齢者像』」について力説している。高齢期の健康と生活の質を向上させる
ために高齢者像を問い直し、高齢者を「より自由な立場を生かして、働き、楽し
み、地域社会に貢献する」「第二の現役世代」と位置づける。高齢期の「生きが
いづくり」と「健康づくり」に役に立つ具体的な活動事例を紹介するとともに、
高齢者の社会参加を働きかける上で重要な認識として「周囲の人々が、高齢者に
17)
対する先入観を取り除く」ことについて言及する。「老人神話の検証」 を通し
ての高齢者に対する正しい理解と、「さまざまな形で世代間交流の機会を拡大」
していく必要性を力説している。高齢社会入りを受けて、さらに間近に迫った超
高齢社会の到来によって社会全体に広がっている高齢社会危機意識、世代間不平
等感を緩和させ、長寿社会への明るい将来展望を図っていく政策姿勢がうかがえ
る。
2000年には、周囲の変化、社会全体の変化による高齢者ニーズの多様性に加え
17) 老人神話の一例として、「もう歳だから」「いまさら運動しても」「年甲斐もなく」など
といった先入観が挙げられる。
19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て、高齢者のライフコースの多様性に主眼が置かれている。「21世紀の高齢社会
を迎える」にあたって「新しい高齢者像」と「新しい高齢者像とふさわしい社会
保障システム」が強調されている。「新しい高齢者像」として「これまでの知識
や経験を生かしながら、多様な生き方を選択する、健康で活動的な高齢者や年齢
にとらわれない高齢者」と定義づける。「『高齢者の世紀』の始まり」という認
識の下に「高齢者の経済的実像」を把握し、「新しい高齢者像にふさわしい社会
保障システム」や「介護をサービスの観点から捉える試み」が行われたこと、そ
の結果として「世代間や世代内の公平性に配慮」する努力姿勢や期待が記述され
ている。
1980年代前半では、長寿社会の枠組み作りの観点から、社会構成員である高齢
者の自助・互助、制度間のバランスが強調されていたのに対し、1980年代後半以
降は個人のライフコースの多様性、結果的に多様な高齢者のあり方が前提となっ
ている。社会保障の給付のほぼ3分の2を高齢者関係の施策が占め、今後も人口の
高齢化が続く中、長期的に安定した制度運用が「国民的課題」だとする。その上
で、「自立した高齢者が多様な生き方を選択」できるように「家族・職場・地域
社会等を通じた自立の支援」を図り、それによって「すべての世代が共に支え合
う社会」の実現を目指すとし、そのための具体的な方向性、ビジョンが明記され
ている。高齢層を特別な世代とする認識はもはや見当たらない。
4.おわりに
『厚生白書』を手がかりに、高齢化社会入りしてからの日本の高齢者像の変遷
について検討した。WHOの提唱が示唆するように、高齢期の生活の質(QOL)は、
個人のそれまでの生き方が凝集された結果として捉えることができる。個人のラ
イフコースは所属する社会文化的側面、周囲の人々の影響を受けながら形成され
るものである。すなわち、日本の高齢社会・高齢者像の変遷過程は、類似した社
会文化的背景を持ち、日本同様に急速な高齢化過程をたどっているアジア地域の
先行事例として大きな意味をもつ。
創刊号が発刊された1956年から1960年代までのおよそ15年間の高齢者像として
は、戦後の急激な社会変動、家族機能の変化の影響を強く受け、また高度経済成
長から取り残され、社会でも家庭でも居場所を失った孤立層、経済的な支援対象
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と高齢者像(その2) ········································································· 金
恵 媛…195
として保護が必要な年齢集団という画一的なイメージが濃厚であった。高齢者に
対するこのようなステレオタイプに顕著な変化が表れたのは、日本が高齢化社会
入りし、社会保障の整備が進められた1970年代以降である。以降、1980年代前半
までは各社会保障制度の整備を受けて、高齢化社会への長期的な展望の観点から
能動的な高齢者像が注目されるようになった。対照的に1980年代後半からは、多
様化した高齢者像を中心軸に据え長寿社会の展望を描くようになった。
厚生行政の主要領域面に注目すると、1980年代までには、高齢層への支援、活
力のある長寿社会づくりの観点が強調されていたのに対し、1990年代では少子・
高齢社会を俯瞰するなかで自立した高齢期生活のあり方が議論されるようになっ
た。高齢社会入りした1990年代半ばからは具体的なロールモデルが多く紹介され、
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の可視化も図られた。健康長寿者のアクティブな活動事
例を紹介するなど、高齢期になお現役世代として生きる「生涯現役」の高齢者像
が打ち出されるにいたった。
高齢者像の変遷の背景としては、高齢期の社会保障基盤の整備、高齢期経験の
普遍化・長期化をもたらした急速な人口高齢化、さらに高齢世代内の個別性・多
様性が認められるようになる一連の過程、そして高齢期にいたるまでの個々の生
涯設計と公共的支援の取組みが定着してきたことが挙げられる。
19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参考文献】
金恵媛(2014)「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と高齢者像(その1)―『厚生白書』(創
刊号・昭和31~45年版)を手がかりに―」韓國日本文化學會『日本文化學
報』第62輯:197-218頁
厚生省『厚生白書』(昭和31~平成12年版)
http://www.mhlw.go.jp/toukei_hakusho/hakusho/kousei/
厚生労働省(2014年9月12日)「百歳高齢者に対するお祝い状及び記念品の贈呈について」
http://www.mhlw.go.jp/stf/houdou/0000057768.html
WHO編著・日本生活協同組合連合会医療部会翻訳・編集(2007)「いきいき高齢期 WHO
『 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 』の提唱―政策的枠組みと高齢者にやさしい都
市ガイド―」萌文社
内閣府(1999)『いきいき人生―エイジレス・ライフ及び社会参加活動事例集―』
(「発刊によせて」)、内閣府政策統括官(共生社会政策担当)
内閣府(2015)「平成27年版高齢社会白書」
http://www8.cao.go.jp/kourei/whitepaper/w-2015/gaiyou/pdf/1s1s.pdf
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と高齢者像(その2) ········································································· 金
恵 媛…197
要旨
It is almost certain for most of people will experience old-age over a long
perio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rious factors to determine “Quality of Life
(QOL)”, it is crucial to consider the cultural influence with the perspective of
“life course”. Based on “Annual Report on Health and Welfare”, this study
discusses the transition of the image of Japanese elderly in postwar years and
its background factors. The analysis period is from 1970, in the year that the
proportion of elderly has reached to 7%, to 2000, in the year that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has introduced.
From the postwar to the mid-1960s, the strong image for elderly had been
isolation from their families and societies with the needs of financial supports.
However, around 1970s, the years when Japan became the aging society, media
often brought up the social activities by elders. In 1980s, elderly population
increased as personal and social interests in health in old age have increased.
As the result, the public’s attitude of encouraging a sense of ownership toward
the aging society by focusing on intergenerational cooperation in the society
and sustainable preparation for old age are remarkable. Moreover, diverseness
in elderly generation is approved and elders are also expected to serve their
social roles. In 1990s, the image of elderly groups has changed dramatically;
from dependent and unified to lifetime leaders in the longevity society.
キーワード:厚生白書
高齢者イメージ 長寿社会ビジョン 高齢者像の多様化
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재확정일 : 2015. 7. 4
일본 시코쿠 지역의 임란포로에 관한 일고찰
-가가와, 도쿠시마, 고치 지역을 중심으로-
노 성 환*1)
(e-mail: [email protected])
目 次
1.
2.
3.
4.
5.
머리말
가가와현의 임란포로
도쿠시마현의 임란포로
고치의 조선 포로
맺음말
1. 머리말
시코쿠(四國)에는 과거에 이요(伊預), 사누키(讃岐), 아와(阿波), 도사(土佐)라
고 불리는 지역이 있었다. 그것이 바로 오늘날 에히메현(愛媛県), 가가와현(香
川県), 도쿠시마현(德島県), 고치현(高知県)이다. 임란 당시 이 지역들의 영주들
은 히데요시의 명에 따라 조선에 출병을 했고, 귀국 길에 많은 조선인들을 연
행하여 갔다. 그러므로 시코쿠 전역에는 지금도 그들에 관한 이야기와 흔적들
이 많이 남아있다.
이 지역으로 잡혀간 조선인들은 조선 측의 의지와는 달리 제대로 송환되지
못했다. 그 이유는 일본 측의 방해와 그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임란 직후 조선정부는 일본에 억류되어있는 조선인들을 송환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를 위해 1607년(선조40) 경섬 등을 회답겸쇄환사로 보냈
고, 그로부터 10년 뒤인 1617년 오윤겸 등을 회답사로 보내기도 했다. 이들의
* 울산대학교 일본어·일본학과 교수, 역사민속학, 비교신화학
20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주된 사명은 국교 수교라는 외교적인 목적보다는 억류되어 있는 조선인들을
송환하는 일이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말미암아 많은 사람들이 귀국할 수 있었
다.
그러나 시코쿠 지역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 단적인 예로 시코쿠에
도 사람을 보내어 송환해야 한다는 조선 측의 주장에 일본(대마도)측은 “시코
쿠는 다만 바닷길이 멀 뿐만 아니라, 인심도 좋지 못하여, 만약 근거가 없는
말을 만들어 내어 조선의 사신이 대마도 사람과 더불어 여러 곳에서 위력으로
겁주어 데려간다는 말이 쇼군(將軍)에게 들어가면 대마도에 매우 해로운 일이
있게 될 것이고, 또 조선인을 계속해서 쇄환하는 일에도 방해가 없지 않을 것
이니, 시코쿠에 보내는 것은 결코 명령대로 할 수 없습니다.”1)라고 응대했다.
이처럼 그 업무를 전적으로 맡고 있던 대마도 측이 먼저 시코쿠는 길이 멀
고, 인심도 나쁘고, 만일 그렇게 하는 경우 그 지역에서도 방해가 심할 것이며,
그 결과 대마도 측에게도 불리한 일이 생길 것이라고 하며 사람을 보내는 것
을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강력하게 조선 측이 반발하며 사람의 파견을
요구하고 나서자 일본 측은 “도사(土佐) 등 여러 곳까지 두루 보내지는 못하더
라도 가까운 아와지(談路), 아와(阿波) 등 여러 곳에는 보내는 것이 무방하다”
고 마지못해 응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조선 측은 시코쿠 지역의 포로에 대한 정확한 정보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조선 측이 오사 에서
(이요 에히메의 조선포로)으로부터 아와
지와 아와 지역에는 포로는 많지 않고, 이요(에히메)지역에는 고국으로 아가
고자 하는 포로들이 당수 있다는 말을 고 있었다. 그 말을 고
으
로 하여금 유시문(
)과 정의 문서를 주어 에히메 지역으로 보냈다. 여
기서 보 이 포로쇄환의 대 에서 에히메는 들어가 있었지만, 그 이외의 지역
은 제외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제로 시코쿠에는 조선인들이 많이 고 있었다. 그에 관한 것이 이
지역에서 출하여 귀국한 지 인들의 기 에서
나 나 있다. , 정
,
정경 , 정 인 등의 기 은 아와지역(도쿠시마)을, 강 의 기 은 이요(에히
메)지역의 조선인들의 사정을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포로문학과 사 이라는 이 하에 기 을 남 사람을 중
심으로 행하여
이 없지 않다. 고국으로 아 사람은
수이자 반
들이기 때문에 그곳에 남
사람들은 등한시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다행 러운 일은 근에 이러한 을
하기 위한 노력들이 조금
일어나기 시 했다는 이다. 가령 역사학의 윤유 은 에히메현과 고치현에
카
상
諭示文 집
상
듯
실
탈
득 호
록
온 느낌
씩
1) 이경직(1
양몽린
스
작
겨진
최
점
돌
믿 양몽린
듣
식
엿볼
=
록
상
살
잘 타
항
름
돌 온
점 극복
숙
989)「부상록」『해행총재(3)』 민문고, p.106
록
록
즉 희득
긴
극소
양
찰
일본 시코쿠 지역의 임란포로에 관한 일고 ··································································· 노 성 환…201
형성된 임란포로 조선인들의 집단거주지 당인정(唐人町)에 대해 언급한 바 있
으며,2) 그리고 정우택3)과 박은경4)은 미술사의 입장에서 이 지역에 남은 조선
불화를 파악하는데 주력을 기울인 적이 있다. 그리고 장한기가 도쿠시마현의
조선여인의 묘지에 대해 현장 조사한 바가 있으며,5) 필자도 이 지역의 문헌과
현지조사를 벌여 에히메현6)과 고치현의 임란포로 박호인과 그의 후예들7)에
대해서 살펴본 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지금까지 부분적으
로 행해졌던 범위를 전역으로 확대하고 선행연구와 지역의 문헌들을 통하여
지금까지 파악되지 않았던 시코쿠 지역 중 가가와, 도쿠시마, 고치의 3지역을
중심으로 임란포로의 실태와 전승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2. 가가와현의 임란포로
동북
生駒親正
가가와현은 시코쿠의
부 지역에 위치한 고장으로 임란 당시 이곳의 영
주는 이코마 치 마사(
:1526-1603)이었다. 그에 관해 기 한 생구기
(
) 에 의하면 임란 때 치 마사는 그의 아들 가 마사(
:1555-1610)
과
5500명의 군사를 이 고 조선으로 출병하였으며, 귀국할 때 로인
100여명, 말 여
그리고 목화
을 가지고 갔다고 되어있다.8) 일 에는
가 마사가 데리고 간 포로들 가운데는 도 들도 있었는데, 그들이 다 마 성
(高
) 아 에 면서 도자기 제 기 을 전파시 다고도 한다.9) 여기에서
보 이 이들도 다 영주들과 이 조선에서 사람뿐만 아니라 이들이 요한
까지도 치는 대로 잡아가고 가 갔음을
수 있다.
미 사가 은경의 연구에 따 면 이 지역의 사 에는 히 우리나라의 불
生駒記 』
함께
카
십 필
즈
松城 래 살
듯
른
물건
닥
술 박
끌
카
록 『
一正
피
설
카 쓰
즈
씨앗
같
르
공
작 술
져
켰
알
찰
필
특
숙 9 「 세초
집
」『史叢 8 』
소 pp
택 8「
」『동악 술 9 』 동악
술
pp 89
박
「西日本中 ․ 地域
~ 세 佛畵考」『석 논총 』동
석 술원 pp
988 「 中
地方
풍
」『
』동
소 pp 9
「
」『
』
pp 9
「
박호 승
」『
』
pp
8
8 尹達世
『 百年 長 道』
出版 p 8
9 國新聞社編 98 『鑽 人物風景』 國新聞社 p
2) 윤유 (200 ) 근
서일본 지역 조선인 단거주지
(6 ) 고려대 역사연구
, .116-120
3) 정우 (200 ) 일본 사국지역 조선조 전기 불화조사 연구
미 사학( )
미
사학회, .574) 은경(2010)
國 四國
의 조선 15 16 기
당
(46)
아
대학교 당학
,
.301-335
5) 장한기(1 ) 일본 國. 四國
에 있는 우리의 속문화
일본학(7)
국대 일
본학연구 , .20 -214
6) 노성환(2012) 일본 에히메현의 임란포로에 관한 연구
일어일문학(54) 대한일어일문
학회, .3 1-412,
7) 노성환(2012), 임란포로
인 전 에 관한 연구
일본어문학(55) 한국일본어문학
회, .235-25
)
(2003) 四
の い リーブル , .1
) 四
(1 0)
岐
四
, .161
20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분
왜
왜
탈
토 三豊市
곡 彌谷寺
왕
원長
壽院 석 육 살십육
석 설법 상덕 常 寺 열 변상
카
東 市
與田寺
육광 살 천
광 千光寺 석 열
온 観音寺市
觀音寺
왕 광원 蓮光院
삼존십
宝珠寺
타팔 살
카 丸亀市
來迎寺
품용 접
젠쓰 善通寺市
통 善通寺 진광
왕
카 쓰
옥 屋 寺
월 살
市
宝性寺 왕
원
작
8 天和 8 文化
차례 걸쳐
작
추
탈
평덕 平 里 느 절
추
상덕 열 변상
작
알
져
쟁
탈
순 쟁
점
탈 쟁
볼
종
련
찰
르
함께
건너
떤 취
?앞
언급 듯
카
떻
록상
찾
힘
죽
덤 겼
련
승
덤 통
떤
살
펴
카 쓰 松市
총 唐人塚
덤 개
山大寺
른
초 飯田町
카
田中
江戶
록 『삼 물 三代物語 』
카 쓰타
松內匠
「
죽
묻
총
」
재
화가 많은데 그 대부 이 임란과 정유의 란 때 군이 약 하여 간 것이라
한다. 그 예가 미 요시(
) 에는 미 사(
)의 지장시 도, 장수 (
)의 가 대보
나한도( 가
도),
사( 德 )의 반
도가
있으며,10) 히가시 가와시( 香川 )에는 여전사(
)의 지장
보 도,
사(
)의 가 반도가 있으며, 간 지시(
)에는 관음사(
)
의 지장시 도, 연
(
)의 약사
이신장도, 보주사(
)의 아미
대보 도가 있으며, 그리고 마루 메시(
)에는 내영사(
)의 서
방구
선 인회도가 있고,
지시(
)에는 선 사(
)의
대
도가 있고, 또 다 마 시에는 도사( 島 )의 수 관음보 도, 사누키시
(讃岐 )에는 보성사(
)의 시 명부사자도가 있다.11)
그 중 장수 의 것은 1553년에 제 되었으나, 16 1년(
1)과 1 15년(
12)에 두
나
일본에서 수리되었다. 그리고 보성사의 것은 1532-1556
년경에 제 된 것으로 정되며, 약 되기 전에는
리( 德 )의 어
에
있었던 것으로 정된다.
사의 반
도는 고려시대에 제 된 불화로
려 있다.
이처럼 많은 전 으로 인해 약 된 한국의 불화가 이 지역에 많다는 것은
임란 당시 조선으로 출병한 이 지역의 병사들이 단 히 전 만을 수행한 것이
아니었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에서 본다면 임란은 불
교문화의 약 전 이라고도
수 있을 것이다.
불화는 교와 관 된 것으로서 사 에 보관되어 오늘에 이 고 있지만, 그
들과
바다를
간 조선포로들은 어 자 를 남기고 있을까
에서
하였 이 이코마 치 마사가 귀국 시 조선인 100여명을 강제 연행하여 갔
다고 하지만, 그들이 그 이후에 어 게 되었는지 기
으로는 아보기 들
다. 그러나 이들은 어서 무 을 남 고, 또 그에 관 된 약간의 전 이 남아
있다. 그렇다면 이들 무 을 하여 어 조선포로들이 이곳에 있었는지를
보기로 하자.
다 마 시(高
)에는 당인 (
)이라는 조선인 무 이 2 나 있다.
하나는 산대사(
)라는 곳에, 또 다 하나는 이이다 (
)의 다나
(
)라는 지역에 있다. 에도(
) 중기의 기 인
대 어(
) 에
의하면 전자는 이코마의 가신인 다 마
쿠미(高
)가 조선으로 출병
하였다가 한인 3명을 연행 귀국하였는데, 그들이 어 이곳에 었는데, 이
를 지역민들은 당인 이라 하였다 는 것이다.12) 현 는 지역민들도 그것이
貫井正之 99 『豊臣政權の海外進出と朝鮮義兵硏究』 靑木書店, p.290
택 8 앞 논문, p.84
尹達世
앞 책, pp.19-20
10)
(1 6)
11) 정우 (200 ), 의
12)
(2003), 의
찰
일본 시코쿠 지역의 임란포로에 관한 일고 ··································································· 노 성 환…203
디
모른
어 에 있는지
다고 한다.
이에 비해 후자는 가라도가(
)의 역에 있었다. 이 에 대해 고금
기명 도회(
讃岐
) 에 려 있는 것으로 보아 지역에서는 비
교적 일 부터 려 있었음을
수 있다. 여기에 대해 지역민들은 이 를
당인 이라고 하며, 히데요시가 조선을 정 할 때 가라도 (
)가 한인
명을 데리고 는데, 이들이 어서 여기에 었다고 하는 것은 못이다.”고
적고 있다.13) 여기에서 보 이 저자는 당인 이 히데요시 전 때 잡혀간 조
선인 무 이 아니라고 하지만, 오늘날 이곳에 아가는 지역민들은 그의 의견
과는 반대로 조선인 포로들의 무 이라고 생 하고 있음은 다 마 시 교 위
회에서는 운 내 을 보더라도
수 있다.
, 그것에 의하면 임란 때 출병한 이코마 치 마사와 가 마사가 한반도에
서 수명의 포로들을 연행하여 귀국했다. 이들 중 명이 이이다 에 치되어
가라도
무 (
)에 의해 관리
되고 있었다. 그 데 이들은
장 에 대한 불
이 있었는지 은 치 을 견 기 어려 는지 그만 자 하
고 말았다. 지역민들은 이들을 가 게 여 가라도(
)
역의 한 에
14)
다 를 우고 장사를 치 다고 전해 다. 그 후 이 무 들은 4 년
가라도
사람들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이 무 의 비에는 “장당인
(
)”라고
있고, 우면
과 이면에 그 유 에 대해 적혀있는데, 마 가 심해
하기 어 다. 지역민
들에 의하면 이 무 의 유자는 이 지역에 사는 가라도
인데, 그들의 말
에 따 면 그의 선조인
무 는
으로 이이다 마을(
)의 700 을
는
무사이었다. 그는 임 과 정유의 란 때 조선으로 출병하였으며, 전
이 나고 조선인들을 관리
하고 있었는데, 그들이 자 하는 바람에
으로부터 문 당하여
이 수되었다고 한다.15) 또 그들은 의사의 가족이
었으며,
대로 목을 러 자 하였다고도 한다.16) 어 게
대로 일가족
이 자 하였는지는
수 없지만, 그들의 음으로 관리자가 문 을 당하였다
는 것은 그들의 명대로 의사가족이었을 가 성이 다.
하면 일본 측에
서도 의사는 매우 중한 인 이므로 그들의 자 은 지역에 있어서도 다란
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한 가가와현 부에 미키 (
)라는 곳이 있다. 그곳의 다 오 (高
唐戶家 묘
찬 승 古今 名勝図会 』 실 져
찍 알 져
알
총
벌
왔
죽
묻
듯
총
덤
살
덤
각
원
세 안 판
알
즉
카
묘
『
씨 唐人氏
잘
쟁
카 쓰
8
즈
묘
8
육
초 배
런
스케 네 唐戶=唐渡資宗
감독
래
안감
혹 욕 디
웠
살
엽 겨
唐戶 집안 묘
쪽
묘 세
렀
진
덤
백 동안
집안
덤 묘
팔원묘 葬唐人八員墓
새겨져
좌
래
모
판독
렵
덤 소
집안
르
스케 네 봉록
飯田村
석
받 상급
진
왜
쟁 끝
감독
살
번
책
식록 몰
담뱃
찔 살
떻 담뱃
살
알
죽
책
설
능 높 왜냐
소
재
살
커
손실
편
동
초 三木町
카 카 岡
梶原鹽水 9 『古今讚 名勝圖會』歷史圖書社, p.336
尹達世
앞 책p
松市弦打小學校 PTA 9 9 『弦打風土記』, p17
월
崎正視씨가 많은 편의를 제공하여 주었으며, 그 때 그가
필
준 용
13)
(1 76),
岐
14)
(2003), 의 , .20
15) 高
(1 7 ),
16) 2010년 5 5일 현지조사 때 川
자에게 들려 내 이다.
20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村)
편 백 白山
원래 변 논밭
家 타 베 渡辺家
형식 취
덤
설
녀
올
녀
좌
모셔져
턱
녀 朝鮮官女 덤
재
쪽
쪽편
센티 밖
모
진
山崎
륜탑
녀
덤
마을 뒤
산(
) 중 에 조선관 (
)의 무 이 2기가 전해
다.
는 주 에
이 있는 곳이었으나 현 는 산 으로 야마자키가(
)와 와 나 가(
)의 역 한
에 자리 잡고 있다. 2기 두 오
의
을 하고 있으며, 이가 약 50
정도 에 되지 않는 조그마한 무
이다.
일 에 의하면 그 들은
도 반가문의 출신이라고 전해지며, 그들이 잡
혀 때 7명의 남 하인들이 따라 다고 한다. 그들 무 역시 그 들의 무
우에 나란히
있다고 한다. 이것이 사 이라면 이곳에는 그 들뿐만
아니라 7명의 조선인 포로가 더 있었던 이 된다.
이 두 여인의 이 을 지역민들은 오조에(
), 고조에(
)라고 했다. 지역
에서는 이들에 관해 다음과 은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 이들은 이 지역
출신 무장인 다 오 무
(高
)에게 포로가 되었다. 이들을 일본으
로 연행해 간 이코마 군대는 먼저 히데요시에게 바 다. 이에 히데요시는 매우
족해 하였으나 어도 하지 않아 여러 가지 불 한 이 많았는지 이들을
다시 이코마에게 려주었고, 이에 이코마는 이들을 포로로 잡은 무
에게
17)
맡 다. 이들은 자매이며,
미려 (
)의 당인(
) 이라고 사
될 만 아 다 다고 한다. 그리고 이들은 조선의 관 (
)이라는 도 있
다. 이것이 사 이라면 그들은
도 반출신이 아니라
에서 일하는
또는 관 등에서 일하는 관기이었을 가 성도 없지 않다.
그리고 고조에는 자 이 없었지만 오조에는 결 하여 일본에서 은 자 이
있었다고 전해 다.18) 그러나 어 한 기 에도 오조에의 남 에 대한 기 은
보이지 않아 누구인지 확 하지 않다. 이들은 무
에게 맡
고, 또 그들
의 무 이 에서 말한 바와 이 야마자키와 와 나 의 가문 역에 있을
뿐만 아니라 무 관리를 400년 가까이 와 나 가문의 사람들이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와 나 무
의 측 이었을 가 성도 없지 않다.
이들이 자 다 오 일족들이 장 를 치 고 무 을 다고 전해 다. 이
들의 유 은 다 오
의 후예인 야마자키
에 보관되어 있었으나 지금
은 와 나
쿠(
) 에 의해 보 되어 오다가, 해 전 그가 사 한
후 현 는 그의
고바시(
) 가 관리하고 있다. 두 40여 으로 자
아리와 자주발, 가 ,
, 머리 , 대와 그 , 인도 의 은 불 등
이 있다고 한다. 이 유 들 중 12 이 지
5년
서울 데
에서
된 한일교류 3 년 전 때에 출 되어 전시된 바가 있었다. 그리고 와 나
묘
높
충청 양
왔
셈
름
같
카 카 네스케 岡宗弼
흡
언
돌
겼
큼 름 웠
실
녀
청
진
덤
실
大添
小添
즉
쳤
편 점
통
「백 모 白眉麗貌
충청 양
식
떠
록
녀
능
혼
네스케
唐人 」
묘
녀 官女
설
궁궐
궁
낳
식
록
편
실
네스케
겨졌
덤 앞
같
타 베
묘
덤
타 베
타 베 네스케 실
능
죽 카 카
례 르 덤 썼
진
품 카 카씨
씨 집안
타 베 쥰 渡邊順久 씨
존
몇
망
재
딸
小橋 씨
모
점 백 항
청
젓 락 삿갓
빗촛
릇 풍 작 상
품
점 난 9 8월
롯 월드 개최
「
천 」
품
타
內藤寯輔(1976) 『文祿慶長役における被擄人の硏究』 東京大學出版會, p.740
8 朝日新聞, 95年8月16日字
17)
1 )
찰
일본 시코쿠 지역의 임란포로에 관한 일고 ··································································· 노 성 환…205
베씨 집안에서는 매년 8월 15일 두 자매와 7명의 일행을 위한 제사를 지내고
있다고 한다.
이처럼 가가와현에는 무 을 하여 임란 때 강제 연행된 조선인의 의사가
족
오조에 고조에라는 조선여인들에 관한 이야기와 흔적이 있음을
수
있다.
및
덤 통
알
3. 도쿠시마현의 임란포로
스
蜂須賀家政 8 9
진
왜
받
특
왜
원 투
투 참
투
합
원작 참
浅野幸長
공 세
물론 물건 배 잔뜩 싣 돌
상황
희득 왜
닭 개
탈 배 실
술
물건
탈
희득
집
접
준
진
져 「천
」
집뜰
르
꿩
져
동물
탈물
집
彦 郞 집
박
르 흥 正興寺
타삼존
복 持福寺 석 살
왕
원 寶壽院
삼존
광 寶光寺 석 권
각 善覺寺 석천
왜
탈
각
석천
8
작
탈
망월
□ 敬□寺
절 탈
떤절
알
『 증동 승 新增東 輿地勝覽 』
망월
용 각 망월
술
□
용
능 높
도쿠시마현은 임란 당시 하치 가 이에마사(
: 155 -163 )의 영지
이었다. 그도 임 과 정유의 란 때 히데요시의 명을 아 조선에 출병하고
있다. 히 정유 란 때는 남 성 전 와 울산성 전 에 가했다. 울산성 전
에서는 조명 연 군에게 포위된 일본군의 구
전에 가하여 아사노 요
시나가(
:1576-1613)를 구출하는 무 을 우기도 했다.
이러한 그가 귀국할 때 사람들은
들도 에
고 아갔다.
이러한
을 도쿠시마에 포로로 잡혀있었던 정
은 “ 적들이 , 까지
약 하여 에다 었다”19)고 기 할 정도로 조선의
들을 대거 약 하여
갔다. 정
이 이에마사의 에서 직 확인한 것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의
말과 당마도 있었고, 또 임 년에 가 간
하여지도 도 있었다. 그 뿐만
아니었다.
에는 가두어 기 는 학, 거위, 기러기,
등 조선에서 가 간
여러
들도 있었다. 이러한 약
은 이에마사의 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그의 가신인 히코시로( 四 )의 에도 조선의 명화와 족자가 있었다.
그 뿐만 아니었다. 은경의 조사에 따 면 정 사(
)의 아미
도,
지 사(
)의
가대보 도와 지장시 도, 보수 (
)의 약사
도,
보 사(
)의 가제 속도, 선 사(
)의 제
도 등은 당시 군들
20)
에게 약 된 우리나라의 불화라 한다.
그 중 선 사의 제
도는 15 3년에 제 된 것으로 약 되기 전 부여
산 경 사(
)에 보관되어 있었다. 이 이 자가 있어서 정확히 어
인지
수 없으나,
신
국여지 람(
國
) 에 부여의
산에는 경 사, 보 사,
사가 있다고 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경 사는
그 중 경 사일 가 성이 다고 한다.21)
9 희득 989 「 상록(1)」『해행총재(8)』 민문고, p.227
박
앞 논문, p.306
박
앞 논문, pp.322-323
1 ) 정
(1 ), 해
20) 은경(2010), 의
21) 은경(2010), 의
20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같
탈
져 물건
추
별
활
듯 납
이 이 조선에서 약 하여 가 간
들이 많았 이 치하여 강제로 데리
고 간 사람들도 많았을 것으로 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두에서 보았던
은 이 지역에는 조선인 포로가 로 없다고 했다. 이것은 못된 정보이
었다. 제로 도쿠시마에서 억류생 을 보냈던 정
의 기 에는 이 지역의
조선포로는 무려 1 여 명이나 된다고 했다. , 이처럼 많은 조선인들이 이
지역에 강제 연행되어 았던 것이다.
이들에 관한 기 은 이곳에서 고국으로 아 자들에 의해 비교적 부하
게 남아있다. 정
의
해
(
) , 정경 의
만사 (
) , 정 인의 정유
기(
) 등이 바로 그것들이다. 그 중에서
정
의 해
은 다 어 기 보다 이곳에서 았던 조선인 포로들이
많이 등장하며, 그들의 근 에 대해서도 다 기 하고 있어서 당시 이 지역의
조선인 포로들의 생
을 파 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자 이다.
그것에 의하면 도쿠시마에는 기다란 강이 있고, 그 강에는 무지
다리가
22)
있었다. 그리고 그 다리를 지나가면 만나는 사람 중 - 명은 우리나라 사
람이라 했다.23) 이것만을 보더라도 당시 도쿠시마에는 마나 조선인 포로들
이 많이 았는가를 가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이 다리는 조선인들의 여 회
포를 는 장 이기도 했다. 그에 대해 정
은 “우리나라 사람들은 달 이면
다리 위에서 여,
노 도 부 고 파람도 불며, 은 회포도 말하고, 한
지어 울부 기도 하다가 이 어서야 어 다. 이 다리 위는 여 명이
을 만하다.”라고 서 했다.24)
한
해
에는 조선인들의
사 들도 서 하고 있는데 이들을
반과 인을 구 하여 관하면 다음과 다.
반출신으로는
( 德 ), 유중 (
), 유자 (
), 이
(
), 산(
), 유여 (
), 하 주, 주현남(
), 정 인(
), 임자경(
), 정 , 그리고 역인이라는 주사람이 있었다.
의 본명은
(
)이다. 그는 해에서 처자와
잡혀 포로가
되어 도쿠시마로 송되어 병으로 사 했다. 그 때 인들이 그의 시신을 가
지고 을 시 한다며 기 발기 라 았고, 이를 수습한 조선인들은 그를 강
에 고, 제 을 바치고 울었다고 정
은 기 하고 있다. 이처럼 이들의
시신은 인들에 의해 그야말로
하기 어려울 정도로 부로 다루어 다.
양몽린
실
천
살
즉
희득
록
잘
록
돌 온
풍
희득 『월봉 상록 月峯海上錄 』 득 「 록 萬死
錄 」 호 「 피난 丁酉避亂記 」
희득 『 상록』 른 느 록
살
황
소 술
활상 악
료
개형
열
89
얼
살
늠
모
푸 소
희득
밤
모 혹 래 르 휘
혹
숨
짖
밤 깊
헤 진
백
앉
술
편 『 상록』
개별 항
술
양
상
분 개
같
첫째 양
최덕양 崔 陽
원 柳仲源
평 柳子平 승
상 李丞祥 괴 槐山
굉 柳汝宏 천
朱顯男 호 鄭好
仁
林子敬=得悌 증
통
충
최덕양
홍건 弘建
진
함께
압
염
망
왜
칼 험
갈
갈 놓
언덕 묻 물
희득 록
왜
형용
함
졌
재
콘크
延宝
희득
희득
존재
트 든 식
스케토
록
름
스케토
추
989 앞 책 p 9
989 앞 책 p 9
스케토
助任橋
흐르
희득
22) 현 도쿠시마에는 이 다리가
하지 않는다. 다만
강이
고 있고, 그 위에
는
리 로 만 현대 의 다리인
바시(
)라는 다리가 있을 뿐이다. 1674
년(
2)의 기 에 이 다리의 이 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정
이 말하는 무지 다
리는 바로
바시일 것으로 정된다.
23) 정
(1 ), 의 , .23
24) 정
(1 ), 의 , .23
개
찰
일본 시코쿠 지역의 임란포로에 관한 일고 ··································································· 노 성 환…207
원
澳
둑
평
유중 은 본명이 오( )이었으며, 바 두기를 좋아했다. 그리고 유자 은 전
으로 인하여 아내와 아우를 었고, 시 기를 좋아하는 반이었다.
출신 이
은 지에서 포로가 되었는데, 아내와 생이 을 하고, 어
자 이 병들의 에 는 것을 지 본 사람이었다. 도쿠시마에서는 인의
하인이 되어 외 간과 나무 바라지를 하고 있었다. 이처럼 반가일지라도
인의 하인이 되는 경우도
있었다. 하 주와 주현남도 그와 비 했다.
하 주는 주의 이
족 출신이나 도쿠시마 인의 외 간 시중과 머
으로 고 있었으며, 주현남은 하 사람으로 인 이나다 시로(
四 )의
하인으로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일본어를 혀 조선인과 일본인 간에 의사
을 도와주는 역이라고 불리는 사람도 있었다. 그는 주사람인데, 임 년
에 잡혀와
에게 시중을 들고 있었다.25)
그 에 정 인의 제, 영 출신 정 , 전주출신 유여 의 제가 있었다.
그리고 나주 사람 임자경은 교 의 이에마사 에 머 면서 여러 가지 시중을
들고 있었던
이다. 그는 이에마사로부터 신임을 었는지 히데요시 사후
도쿠시마로 보내어 정
을 만나게 하였으며, 날 정
과
귀국길에
오 고 있다. 이처럼 주인의
이 있으면 여행도 가 했다.
그 중에는 어 을 때 잡혀간 사람도 있었다. 그 예가 산(
)이라는 자이
다. 그의 조선이 은
다. 다만 산출신이기 때문에 그 은 이 이 여
것이었다. 그는 임 년에
의 나이로 포로가 되었으며, 정
이 그를 만
을 때는 14 가 되어있었다. 그러나 자신이 조선의 반출신이라는 것도
지 않았다. 그리하여 정
과 은 조선인을 만나면
을
던 것이다.26)
민으로는
만(
),
(德 ), 여금(
), 후 (
), 비(
),
남(德 ),
어미라는 사람들이었다.
만은 억류생 에서 고국으로
출을 기도하는 사람이다. 노를
저으며, 제로 를
출하였다가 도
사(土佐)에서 포되어 을 고비를 기고 간신히 아남은 사람이다.
과
여금은 정
의 하인이었고, 비는 정
아내의
이었으며, 남은 정
부 의 하인이었다. 이 이 정
일가의 하인들도 다수 이곳에 포로로
잡혀와 있었다. 이들은 도쿠시마에서도 주인을 지 못했다. 그리하여
과
이 을 어다 정
에게 대 을 했고, 또 비처럼 정
아내의 기일에
을 어 제 을 마 하고 제 을 려 고
하기도 했다. 그 에 후 은
의 여 이었고,
어미는 임 (
)의 여 이었다. 그 중
어미는
선 가에 았으며, 정
일행이 날 때 그들에게
를 제 했던 인 이
쟁
담양
승상 육
식 왜
칼 죽
양 땔
왜
천
통
살
잃
뒷
종종
름난 벌
진
짓
켜
천
동
익
통
왜승
밖 호
모양
르
렸
름
진
났
세
상
덕
양돌
男 원덕
희득 친
체
희득
같 쑥 뜯
쌀 얻 물
공열 종
창 살
형
광
토
증
별
양
왜
왜
양
충
집
굉 형
왜
린
슷
꼴 슴
稻田 郞
소
진
물
얻
희득
훗 희득 함께
허락
능
괴 槐山
모른
괴
같 름 붙
진 8살
희득
양
잊
희득 같
눈물 흘렸
梁乭萬 덕용 龍
女今 옥 後玉 줄 乼非
양돌
활
탈
잘
실 배 훔쳐 탈
죽
넘
살
덕용
줄
희득
몸종
덕
같 희득
잊
덕용
희득
접
줄
희득
련
상 차 놓 통곡
밖 옥
원덕
박 林璞
종
원덕
희득
떠
숙소 공
물
희득(1989), 앞의 책, p.247
희득(1989), 앞의 책, pp.238-239
25) 정
26) 정
양
8
2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같
세
양
봉
온
모 왜졸
새
르짖 떼
래
왜
변 돌 갈
차
져 버렸
술
듯
분 왜
얼
짖
래
동
돌
알
형
갈 놓
래
평
헤 질
워
평
술
살
같
편 희득 같 양
식
받
동
웠 희득
동악
東岳禅師
長延
理庵 호죠 켄 北條見八
활
돌
협
탁
끼
각 올
감상
다. 이처럼 이들은 은 포로 신 이면서도 주인과 반가들에게 사를 했다.
이곳으로 잡혀 조선인들은 “ 두
의 하인, 로 간 자는 거리에서 부
어 를 이루었고, 오 된 자는 인으로 해서 아 심산조 이미 없
어
다.”고 서 하고 있 이 대부 이 인들의 하인이 되었으며, 간 지
마 되지 않은 사람들은 서로 어울려 울부 었고, 오 된 사람은 일본에 화
되어 고국으로 아가지 않으려고 했음을
수 있다. 그리고 “포로들을 여러
곳에 나누어 보내어도 제와 처자를 서로 라 지는 않았다. 그 서 나는 자
과 서로 어 까 두려 늘 자 을 내 아우라 하였다”는 기 처럼 가족들
은 한 곳에서 게 했던 것 다.
한 정
과 은 반들은 그의 지 을 인정 으면 비교적 행 에 자유
로 다. 정
자신도 지역의 영주인 이에마사 그리고 지역의 명사인
선
사(
), 장연(
), 이암(
),
파치(
) 등과 발히 교
류할 뿐만 아니라 그들에게 기회가 있을 때마다 고국으로 아가게 해달라고
조도 부 하기도 했다. 그리고 그들 리 산성의 누 에도 라 가을을
하기도 했다.
한 고 으로 아가는 비 을 기 위해서 심히 을
는 업을
했다. 여기에 대해 정
은 “
을 아서 은 은전으로 를 사서 환국할
계 을 하자니, 이
말고 다시 한 을 마 할 길이 없는 것이다. 그 서 부
이 그 로 을 아야 했다.”고 현했다.27)
고국으로 아가고자
하는 것은 민보다 반계 이 더 심했던 것
다. 그 단적인 예로 조선으로 아가는 를
정
일행을 들 수가 있을
것이다. 이들은 정
의 가족(정경 , 정정, 정응), 유오, 주현남, 정 , 유여
제, 정 인 제 두 12명이다. 이들 가운데 민은 단 1명도 어있지 않
은 것이다.
아가더라도 생 의 기반이 있는 반들은 당연한 처사일지도
지만, 그
렇지 못한 일반 민들은 사정이 다 다. 에서 본 “ 두
의 하인, 로
간 자는 거리에서 부
어 를 이루었고, 오 된 자는 인으로 해서 아
심산조 이미 없어
다.”28)라는 내 에서와 이 처음에는 고 을 그
리 하며 고달 하인생 로 시 되지만, 일본생 에
해지고 생 의 기반
이 다 지면 고국으로 아가지 않으려고 했다. 귀국에 있어서도 생 의 기반
과 신 계 이 중요 요인으로서
하고 있음을
수 있다.
그에 비해 일본 측에는 조선인포로에 관한 사 가 부한 이 아니다. 이들
편 향
돌
용 벌
열 책 베껴 쓰 작
희득 글품 팔 얻
배
획
짓
푼 련
래
득 괴 움 참
표
돌
열망
상
양 층
같
돌
배 탄 희득
희득
득
증 굉
형 호 형 모
상
끼
돌
활
양
모르
상
르 앞
모 왜졸
새
르짖 떼
래
왜
변 돌
갈
차
져 버렸
용
같
향
워
픈
활 작
활 익숙
활
져
돌
활
분 층
작용
알
료 풍 편
희득(1989), 앞의 책, p.254
8 희득(1989), 앞의 책, p.295
27) 정
2 ) 정
찰
일본 시코쿠 지역의 임란포로에 관한 일고 ··································································· 노 성 환…20
9
료 재
략
투 원
쟁
투 원 물
론 분 안
8
헌 『
志』 「
묘 韓人墓 」 항
진
쟁
타
仁木又五郞
죽
례 른 文禄中朝鮮之
役獲韓人三人賜之仁木又五郎死葬于此
록
듯
투 원
닌 분 힘
난 南
市
초 新野町 궁 神宮寺
덤
『 담 표 록 淡年表秘錄
베 片山半兵衛
철
획득
혹
세 알
같
틀림 『 담
州奇 雜話 』<권 >
스
모 진 베 森甚五兵
衛=森志摩守
삼
삼
「 칠랑 립
美馬與七郞家成立書 」
즉
스카베 美馬助兵
衛
美馬與七
삼
살
록
급
급
변
『 촌총팔
립 木村惣八家系圖幷成立書 』
용 소개
같
의 사 에 기 될 경우에는 대 두 가지 경우가 있었다. 전 요 (병사)으로
서 전 을 수행하다가 포로가 된 경우와 그것과 관계없는 비전 요 이다.
구 이 되는 경우도 있다. 1 15년의 문 인 아파지(阿波 ) 의 한인
(
) 라는 목에 “임 년 조선 전 때 잡은 3명의 한인을 니키 마
고로(
)에게 주었는데, 이들이 어서 장 를 치 것(
)”29)이라는 기 에서 보 이 임란 때 잡
아간 한인 3명은 전 요 인지 아 지 구 하기 들다. 그리고 아 시(阿
) 아라다노 (
)의 신 사(
)에도 조선포로들의 무 이 있다 하고,
또 아 연 비 (阿
) “가다야마 한 (
)가 포로 1명과 더
30)
불어 포 2정을
했다” 고 한 조선인들도 병사 은 민간인이었는지 자
히
길이 없다.
그러나 다음과 은 사람들은 조선의 병사들임에
없다. 아주기 잡화
(阿
談
)
2 에 “하치 가의 수군 대장이었던 리 고 (
)가 조선의 병사를 잡아와 자신의 가신으로 았다”31)는 것처럼
자신들이 잡은 조선병사는 부하로 았다. 그러한 예는 미마여
가성 서
(
) 에서도 보인다. , 목수이었던 미마
이(
)의 아들인 미마요시치(
)가 임란 때 조선으로 출병했다가 귀국 시
데라고 간 2명의 포로를 자신의 부하로 아 자신의 마을에 게 했다는 기
이 있다.32) 이처럼 하 병사들은 그들을 잡은 무사들의 부하가 되기도 했다.
그에 비해 장수 은 포로로 잡혀 일본에 갔어도 무사로서 신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한 예가
목
가가계도병성 서(
)
에 보이는데, 그 내 을
하면 다음과 다.
원
순 삼 충
왔
소
몬 木村惣市右衛門
衛 흥원원 興源院
왕래
동 케
寬文 월 9
공 秀吉公 삼
개
준덕원 俊 院
베 加次兵
봉록 8석
집 공받
조 영 은 한 주의 성주이며, 히데요시 (
)이 한에서 선하
였을 때 포로가 되어 다. 그 후 도쿠시마에 거주하며
( 德 )이 기무
라 이치우에 (
)이라고 하였으며, 그의 3남인 가지 (
)는
(
) 때에 사무라이가 되어 3인 부지,
을 하사했다.
그리고 에도로
할 때도 행 하였으며, 도 제
았다. 그리고 그는
33)
1664(
4) 6
일에 병사를 했다.
9 『阿波志』<卷10> 「勝浦郡」 「塚墓」
內藤寯輔(1976), 앞의 책, p.755
內藤寯輔(1976), 앞의 책, p.754
內藤寯輔(1976), 앞의 책, p.755
內藤寯輔(1976), 앞의 책, pp.754-755
2 )
30)
31)
32)
33)
21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듯
소
몬
충
여기에서 보 이 기무라 이치우에 은 포로가 되기 전에는 주의 성주이
었다. 여기서 말하는 성주란 구 적으로 어 지위를 말하는 것인지
수는
없으나, 당한 고위직을 가리키는 말임에는
없다. 그의 아들 가지 가 3
인 부지와
, 을 는 무사가 되었 이 그도 다 포로들과는 달리 무사
에 응하는 대우를 았을 것으로 정된다. 더군다나 군에게
한 자는
더 더 그러했다. 그러한 예가 아 연 비 (阿
) 에 있었다. 그
것에 의하면 “15 3년(
2) 주성을
할 때 조선인 고신(高 )이라는 자
가
하여 다. 그리하여 포로로 잡아두었다가 귀국할 때 데리고 와서 측근
에 두었다. 그리고 그의 아들 오니하루 우에 노부마사(
)에게 5
34)
인 부지를 내 다.” 고 되어있다. 이처럼 전 에서 포로가 되거나
한 무
장들이 일본에서 무사대우를 는 경우가 있었다.
한
군에게 력한 조선인 병사들도 있었다. 이들도 일본에서 무사대우를
았음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도쿠시마시의 남 오하라 (
)에 가고
( )라는 마을이 있다. 일 이
인
한은 이 마을은 지역의 영주 하치
가가 강제로 수많은
등을 정주시 곳이라고 그의 저서를 해
한
35)
바가 있다. 그러나 그는 어 한 조선인 포로들이 있었는지 히지 않았으나,
그에 대한 흔적을 지역문 에 을 수 있다. 먼저 아파 가계도병성 서(阿
波
) 에 의하면 “문 2년 조선에 귀국할 때 조선인 2명을
포로로 잡아 다. 서운 (
)이 이들을 도쿠시마에 게 하였는데, 그들이
지금 가고가와구치( 川 )의 어 인(
)을 하고 있는 오바마 와나이(
)와 오쿠야마 요우에 (
)의 시조이다.”고 기 하고 있다. ,
이곳에 조선인 두 명이 포로가 았는데, 그들이 오바마과 오쿠야마 가문의 시
조라는 것이다.
이것을
하 이 아파연 비 (阿波
) 에도 “ 사 마고우에
(
)이 조선인 2명을 생포하여 이들 두 데리고 다. 그들이 지금 가
고구치(
)의 어 인(
) 오바마 와 오쿠야마 의 시조이다. 그 후 마
고 이가 고 적자인 후지자에 나오무 (
)가 나이가 어려
500 중 300 정도를 내 다.”고 되어있다. 이처럼 이 의 두 문 에서 확인
되 이 이곳 가고 마을에는 두 명의 조선포로가 있었으며, 그들의 후예가 오바
마와 오쿠야마 임을
수 있다.
그 데 이들은 어 한
에서 군들에게 연행된 것일까 여기에 대해 지
역문 인
수하가가신성 서(
) 에 보다 자 하게 나와
상
상
욱
항복
봉록 집 받
받
왔
받
籠
듯
떤
틀림
른
협
몬
쟁
받
찍 언론 김승
볼모
킨
떠
헌 찾
藩家系圖幷成立書 』
록
왔
원 瑞雲院
籠 口 번 御番人
和內
몬 奧山要右衛門
살
뒷받침 듯 『
鬼治右衛門信正
항복
쪽
초 大原町
『 번
밝
스
통 소개
립
살
小濱
즉
술
표 록
年表秘錄 』 향
모
왔
씨
씨
네 藤左衛門直宗
상
헌
孫右衛門
籠口
번 御番人
베 죽
몬
석
석
렸
듯
씨 알
런
떠 상황 왜
헌 『봉
립 蜂須賀家家臣成立書 』
34)
35)
알
베
추
왜
항복
『 담 표 록 淡年表秘錄 』
9 文祿 진
함락
信
렸
편왜
체
內藤寯輔(1976), 앞의 책, p.755에서 재인용.
김승한(1979), 앞의 책, p.248
?
세
몬
봉록
찰
일본 시코쿠 지역의 임란포로에 관한 일고 ··································································· 노 성 환…211
스
느
쟁
물 진퇴양난 상
안
있다. 그것에 의하면 조선에 출병한 하치 가 이에마사가 어 지역에서 전 을
수행하고 있었을 때 심한 비바람을 만나 5일간 그곳에서 머 며
의
에 처해 있었다. 그 때 한성의 성주가 수 의 로 이에마사를 내하여 후
견성(
)을 령하는데
을
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귀국할 때 성주
의 부부를 데리고 으며, 오바마 요쿠로(
)라는 이 을 하사하고, 자
신이
하고 있던 의 한 을 하사하려고 하자 이를 거 하면서 자신의 자
들이 하면 무사대 을 해달라고 부 했다. 이에 이에마사는 그 사 을 기
을 남 두 다고 약속하고, 그를 자신의 성에서 근무하도 했다. 그 후 그는
이에마사로부터 무지를 간하라는 명을 고 오하라우라(
)의 가고지역
에 가서
하였고, 또 매 3
성으로 가서 인사를
고, 그 때마다 요
리가 제 되는
대우를 았다. 그는 장수하여 이에마사의 자인 하치 가
다다데루(
:1611-1652) 대까지 다가
의 나이로 일기를 마 다.
그 후 그의 자 들은 가고의
에 근무하게 되었다는 것이다.36)
이와 이 보았을 때 이곳에 처음으로 산 사람은 오바마의 시조 부부와 오
쿠야마의 시조 두 3명이었다. 이들은 위의 내 만으로 본다면 그들은 포로가
아니며 그와 반대로 군의 조력자이었을 가 성도 제하기 어 다.
란
하구에 출 하는 를
하고 행 를 수하는 일 의 문 와 은 관
이다. 조선인의 후예 오바마와 오쿠야마 두
사람들은 이곳에서 무사
로서 근무하였던 것이다.
지금도 이들의 역에는 자신의 리를
비를 아 수가 있다. 그
중 한 예가 “高
한(
)
,
國
,
,
,
,
”라는 것이 있고, 또 대의 비에는 “
高 ,
”이라고
것이 있다.37) 여기에 적 내 을 그대로
으면 그들의 시조는 고려 한성주이자, 산전응 국
의 후 이며, 또
제의 성은 고 (高 )가 된다.
여기서 말하는 한성은 어 이며, 또 산전응 국이라는 곳은 어 를 가리키
는 것인지 정확히
수는 없지만 15 2년 이에마사가 이 아와군은 부산
주를 거
에 주 하고 있었던 을 고하면 한은
이
며, 산전은 산 이며, 응 국은
( 川)을 가리키는 말일 가 성이 다.
그의 신 이 조선의 성주이었다는 것은 가계를 윤 하는 방 중의 하나일
것이다. 여하 이 의 예들은 군에 력한 조선의 장수와 병 들은 일본에
서도 무사의 지위를 누리는 경우가 많았음을 보여주는 것들이라 하 다.
황
厚見城 점
착용
손 원
겨 겠
황
캬
왔
개척
공 특별
蜂須賀忠英
손
같
모
청
입
척 배
큰 공 세웠
상
접
벌
탁
개
월 번씩
받
왜
배 점검
小濱與九郞
번소
받
살
통 세 징
98세
용
능
집 안
름
절
록
大原浦
올렸
손
실
록
스
쳤
배
렵 번소
종 검 소 같
묘
뿌 밝힌 묘 찾 볼
麗캬 キャハン 城主 山田應天 千天王末孫 奧山要右衛門妻
奧山與五郞母 行年八十六歲 俗名奈加
8 묘
8
代目 氏 俗名與五郞
새겨진
힌 용
읽
캬
천 천천왕 손
실
씨 氏
캬
디
천
디
알
9
끈
상륙
웅천함락 충
쳐 창원 둔
점 참
캬 창원
청
천 웅천 熊
능 높 물
론
분
색
법
튼 상
왜 협
졸
겠
36)
37)
內藤寯輔(1976), 앞의 책, p.753
內藤寯輔(1976), 앞의 책, pp.749-751
21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편『 담 표 록』
숨
녀 궁녀
倉 由久
녀
몸종
한
아 연 비
에 구라치 요시히사( 知
)가 “관 1인,
1인
을 목 을 구하여 데리고 와서 부하에게 주었다.”38)고 기 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관 란
, 관기, 의 , 또는 관리의 인지
수 없으나, 여인들도
연행해간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경우 일본 사무라이와 결 하는 사 가 많다.
도쿠시마
(
) 지(
)라는 곳에 관정사(
)라는 불교 사
이 있다. 이 사 의 역에 조선여인의 무 1기가 있다. 그 의 비에는 “관문
6년병오 27일,
대자, 조무시 조 , 고려관 야(
,
,
高
)”라고
있다. , 1666
년(관문6년)
27일에
이 비에 의하면 그 가 조선에 있었을 때의 신
은 관 였으며, 군에 의해 치되어 일본으로 가서는 다 이치마고
의
측 이 되었으며, 사 한 후에는 사 에서 은 명이
대자이었다.
나이
포에 의하면 그 의 남 인 다 이치 마고
(
)는 15 4
년(
3) 하치 가 이에마사의 군대에 속되어 조선으로 출병하였으며, 귀국
할 때 13, 4 의
를 데리고 와서 아내로 았으며, 그 는 1666년 5 의
나이로
을
는데,39) 그 무 이 이 에 있다는 것이다.
사 그 의
가 간에 려지게 된 것은 1 61년 이후이다. 당시 지역신
문인 도쿠시마신문(德島
)의 기사에 의하면
로운 사 이 적혀있다.
“이 (
)의 과거장(
) 에 의하면 그 의 남 인 다 이치 마고
는 아와 의 사무라이이자
지방의 사(
)이었으며, 또
수하연암
전(
) 에는 15 4년 조선출병 때 조선 여인 2명을 연행하여
다. 그중 1명은 일본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지역민들로부터
을 아
지 못하고 연못에 어들어 자 하였으며, 다 한명은 마고
의 아내가 되
어 이 을 오후쿠(
)라고 일본 명을 사 하였다.”고 한다. 다시 말하여 다
이치가 연행해 조선여인은 2명이 있었으며, 그 중 한명이 마고
의 아내가
되었다는 것이다. 일본이 을 오후쿠라고 한 조선여인은 5 까지 장수하여 생
를 마 했다. 그 의 비문에는
대자 라는 명과
고려관 였
다는 조선의 신 도
다. 아마도 관 란 일반 여성과는 다
이
거나 관기일 가 성이 다.
또 한명의 여인으로 정되는 조선여인의 지가 관정사에서 약 7 미터
어 아유쿠이가와(
川) 에 있으며, 지역민들의 말에 따 면 무 속에는
금 과 많은 보화가 들어 있었으며, 비에는 “이 사람은 조선에서
사람
40)
으로 속명은 전요 (
)이다”고
있다고 한다.
녀
딸
뉴타쵸 入田町 곤 金治
찰 묘
덤
8월 청월묘천 원 손 실
十七日 淸月妙泉大姉 元祖武市孫助室 麗館女也
8월
세워진 묘
녀
분 녀
왜
납
실
망
찰 받 법
토슌
녀 편 케
文祿
스
소
세 소녀
삼
세상 떠났
덤 절
실 녀 존재 세 알
9
新聞
새
절 觀正寺 『
過去帳 』
녀
케
번
뉴타
향 鄕士
공 蜂須賀蓮庵公傳 』
9
왔
뛰
살
른
름
お福
용
온
름
애 감
녀
「청월묘천 」
분 함께 새겨졌
녀
능 높
추
묘
진
鮎喰 변
황 옷
묘
복 田要福
새겨져
8 內藤寯輔 9 앞 책 p
9 內藤寯輔 9 앞 책 p
앞 논 p
3 )
(1 76), 의 , .755
3 )
(1 76), 의 , .754
40) 장한기, 의 문 .213
알
록
혼
례
觀正寺
찰
녀 묘
녀 寬文六年丙午八月二
새겨져
즉
케
스케
청월묘천
스케 武市孫助
9
녀
편
8세
실
케
『봉
즉
스
차별 받 참
스케
케
스케
8세
법 함께
녀
른 궁녀
르
백 떨
덤
온
찰
일본 시코쿠 지역의 임란포로에 관한 일고 ··································································· 노 성 환…213
편
실
북동
城山
한 영주(성주)의 측 이 된 조선여인은 또 있었다. 도쿠시마현
부에
위치한 곳에 요시노가와시(
川 ) 가와시마 (川島 )의 시로야마(
)에
있는 조선 (
)이다. 여기에 대해 달수는 단 히 임란 때 연행된 조선
여인의 무 으로
하는 데 그치고 있으나,41)
인
명은 이곳을 방문
하여 2000년에 로 운 오
의 조선 여인에 대한 지를 확인하고,
그 는 임
란 때 전했던 이곳 성주 가와시마 고 다다(川島
)의 귀국
할 때 데리고
여인이었다고 했다.42) 그러나 고 다다는 157 년(
7)에 와
키성(
) 전 에서 전사한 인 이다. 그러므로 임란 때 조선으로 간다는 것
은 불가 하다. 그 를 데리고 간 사람은 고 다다가 아니라 하야시 요시
(
:1534-1616)였다.
요시
는 하야시 도 (
)으로도 불리운 인 로 하치 가로부터
5540 을 는 가로 (
)로서 하치 가 이에마사가 조선으로 출병할 때
했던 것이다. 귀국 시 그는 조선인 여성 1명을 치 연행하여 데리고 가
서 측 로 았는데, 바로 이 여인이다. 불행히도 그 는 두 을 고 그만 병
을 어 일
고 말았다. 이러한 사정을
지역민들이 1 26년(
15)에 그
의 남 이 거주했던 성
에 “조선 ”라고
조그마한 비를
했다. 그리고 지역의 시인인 시노하라 마사이치(
)가 “
國
,
”라는 내 의 한시를 지어 바 다.
2000년 지역민들은 다시 지를 조성하고 “여인의 고국을 사 한
을
기리고 명 을 다”는 내 이 적 비 을
게
다. 이처럼 당시 주민
들이 이 도 성도
는 그 를 위해 무 때문에 비를
는지 그 이유
가 명치 않다. 아마도 선 이국 에 려와 병이 들어 은 불 한 조선
의 기 과 전 이 그들의 심금을 울 을 것이다.
吉野 市
초
町
녀 朝鮮女
김
순
덤 소개
언론 권태
새 세 륜탑 형식
묘
녀 진왜
참
레
惟忠
온
레
9 天正
脇城 투
물
능
녀
레
카쓰
林能勝=林五郞兵衛
카쓰
칸 林道感
물
스
봉록
석 받
급 家老級
스
함께
납
실 삼
녀 딸 낳
얻 찍죽
안
9 大正
녀 편
안 공원
녀 새겨진
묘 건립
篠原雅一 碧海千里空異 寒
月澄淚難止 哀愁幾歲偲故鄕安歸依一詩獻
용
쳤
묘
모 절절함
복 빈
용 힌 석 새롭 세웠
름
모르 녀
엇
묘 세웠
분
낮
땅 끌
죽 쌍
녀
록 승
렸
4. 고치의 조선 포로
초소카베 모토 카 長宗我部元親 9 99
福 正則
스
함께 번
번 총 천
천
낸
알 져
특 초소카베
고치의 영주
치 (
:153 -15 )는 후쿠시마 마사노
리( 島
:1561-1624), 하치 가 이에마사와
제5 대에 성이 되어 조
선으로 출병했다. 당시 제5 대는 2만5 여명이었으며, 그 중
치 는 3
여명의 군사를
것으로 려 있다. 히
군대는 사 성( 川
金達壽 「日本
朝鮮文化
』 三千里社 98 年 p
권태
『
德 県
県
p 88
,
のなかの
(11) -阿波, 土佐( 島 , 高知 )-(2)
(40) (
. 1 4 ) .222
42)
명(2012) 한민족이 주도한 고대 일본문화 시대정신, .3
41)
』
편
모토 카
천 泗
」『季刊 三千里
21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城)과 웅천성 전투에서 활약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러한 사정이었기 때문에 다른 지역의 군대와 마찬가지로 그들도 조선에서
전쟁을 수행하면서 많은 포로들을 잡아 본국으로 송환을 했고, 또 귀국할 때는
380여명의 조선인들을 잡아갔다고 전해진다. 지금도 조선포로들이 살던 곳으로
도진마치(唐人町), 도진야시키(唐人屋敷)라는 지명이 남아있으며, 또 이들이 농
사를 지었던 곳이 도친바다케(唐人畑)라는 이름도 남아있다.
그러나 이들에 관한 기록과 전승은 그다지 많은 편이 아니나 국내 측 기록
에는 노인(魯認)이 있고, 일본 측 기록에는 조선인 의사 경동(經東)과 조선국
녀(朝鮮國女)가 엿보인다. 노인은 고국으로 돌아온 자이지만, 경동과 조선국녀
는 돌아오지 못한 자들이었다.
노인(1566-1622)은 본관은 함평이며, 나주의 선비이다. 그는 1582년 진사과
에 합격하고 관직에 올랐으며, 임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권율의 휘하에 들어가
전공을 세웠으며, 1597년 남원성이 함락될 때 왜군의 포로가 되어 일본에 억류
생활을 하다가 중국으로 탈출하여 1600년에 고국으로 귀환한 자이다. 그는 자
신이 포로생활에서 경험한 것을 저서로 남기고 있는데, 그것이 『금계일기』이
며, 『금계집』이다. 금계는 그의 호이다.
이 중 『금계집』에 의하면 그는 순천 방납호에서 왜군에게 결박되어 일본
의 치쿠젠(筑前), 후젠(豊前)의 나카쓰(中津)를 거쳐 이요(伊豫)의 아케나(浮穴)
에 억류되었다가 도사에 잠시 머무른 후에 오늘날 가고시마인 사쓰마(薩摩)로
가서 중국으로 가는 배를 타고 탈출한 인물이다. 그런데 우리의 눈길을 끄는
것 중의 하나는 그가 도사에 머물고 있었을 때 도쿠시마의 정희득과 편지를
몇 차례나 주고받고 있다는 점이다. 정희득의 『해상록』에 의하면 무술년 9월
9일의 일기에 “어떤 왜인의 전하는 말에 노인이 도사(土佐州)에 산다 하기에
그 왜인의 편에 편지를 한통을 부쳤더니 뒤에 그 답을 보았었다.”43)고 적혀있
는 것이다. 그 때 노인과 정희득이 서로 주고받았던 시문이 『해상록』에 남아
있는데 그것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노인은 “호접은 황홀하여 참이 아니라 말하지 말라, 너 아니면 어떻게 내 어
버이 뵈울 수 있으리, 밤마다 물결 넘어 고국으로 돌아가노니, 여창에 찾아온
졸음 못내 사랑하노라”라는 시를 정희득에게 보냈다. 밤마다 꾸는 꿈을 통하여
자신이 나비가 되어 바다를 건너 고국으로 돌아간다고 했다. 그러므로 그에게
꿈은 귀국과 연결되어있는 수단이기 때문에 찾아오는 졸음을 사랑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마치 장자의 나비이야기를 연상케 해주는 내용이다.
이에 정희득은 “봉함을 뜯으매 마치 친구 얼굴 보는 것 같은데, 두 늙은 어
희득(1989), 앞의 책 pp.253-254
43) 정
찰
일본 시코쿠 지역의 임란포로에 관한 일고 ··································································· 노 성 환…215
버이를
별
워
네
함께
네
생이 한 그대가 오히려 부러 라, 다
나그 되어 서로 만나지
못하니, 그리운 마음 한 의 만 바쁘 ”라고 화답을 했다. 정
은 군에
게 잡 때
, 수, 아내, 누이 등 4명이 두 정 을 지키기 위해 바다에
을 던 목 을 거두었다. 그러므로 포로로 잡혀있는 자신들의 처지는 고사
하고,
이 아있다는 것만으로도 위로를 을 수 있다는 의사를 노인에게
보내며, 을 해서만 만날 수 있는 현 성을 한 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또 노인은 또 “만
다가 아남은 나그 ,
에서 외로이
하
, 어 이 생 에
리며, 임금 그리
는 간장,
연들 그 누가
말을 며, 회포 적은들 누가 주 사 하리, 의의히
한 그 자 로운데,
바람과 마저도 시 을 중매하 ”라 하며 고국을 그리 하며 도사에서 억류
생 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이 반지 계 들은 억류생 을 하는 가운데
서도 나 대로
를 성하고 있었으며, 인들을 하여 서로
을
주고 고 있었음을
수 있다.
경 (
)은 고치에서는 전 적인 명의(
)로 한다. 그가 았던 곳은
도사(土佐)라는 곳이었다. 이곳은 한국인들에게는 로 려지지 않은 곳이지
만, 임 과 정유의 란 때부터 한국과의 관계를 맺고 있었다.
하면 이 지
역민들도 히데요시에 의해 조선으로 출병된 관계로 이곳에서 심심 게 임란과
관 된 이야기들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 대 적인 예가 야
마우치 시치로 (
)의 아내 이야기와 조선인 명의 경 에 관
한 이야기이다. 야마우치 시치로 는 이 지역의 구보가와시게구시(
川
)
라는 은 마을의 성주이었다. 그가 조선으로 파견되었을 때 결 한 지 마
되지 않는 신 이었는데,
전 에서 그만 전사하고 말았다. 이에
한 그
의 아내가 음을 전 하고 어
다는 것이다. 이처럼 이 지역은 임란과 관
된
이야기가 오늘에 이 기까지 전해지고 있다.
이에 비해 조선인 경 은 15 3년 임란 때
치 에게 포로가 되
어 도사에서 정 한 자이다. 그에 관한 이야기가 에도시대에 있어서 도사 (土
佐 )에 관한 방대한 사 를
대성한
산 (
) (제5 )에 자 히
나와 있다. 그것에 의하면 조선에 있을 때 그는 을병도 고치고, 일어서지 못
하는 사람도 일으키며 사람을 리는 일이 많았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그
를 지역의 보 라고 하며
을 아 지 않았다. 이러한 그였지만 도사에 정
한 후 1년
은 병을 고치지만 조금도 과가 없고, 사람을 이는 일이 많
았다. 그리하여 지역민들은 그를 두고 외국에도 저러한 터리 의사가 있다고
하며 남 노 가리지 않고 려 다. 경 은 이에 게 부
게 여 으며 또
근심에
시 거생 에 들어가
으로 고민을 했다. 그 결과 어 날
그는 조선과 일본은
이 리며, 또 인성도 다 다는 사 을 달았다. 그
힐
모친 형
몸 져 숨
양친 살
꿈 통
밤 꿈
실
모
삼
렬
희득 왜
탄
번죽 살
네 타향
슬퍼
네 버 각 피눈물 흘
님 워타
입
알
재 랑
쓸쓸 림 괴
별
름
네
워
활
같 양 식 층
활
름 네트워크 형
왜
통
소식
받
알
동 経東
설
名醫 통
살
별 알
진
왜
왜냐
찮
련
표
베 山內七郞兵衛信秋
동
베
久保 茂串
작
혼
얼
혼
웅천 투
실망
식
폐 죽 버렸
련 슬픈
르
동 9
초소카베 모토 카
착
번
藩
료 집
『개 집 皆山集 』 권
세
죽
살
모든
배
칭찬 끼
착
동안
효
죽
엉
녀 소
놀 댔 동
크 끄럽 겼
빠져 잠 칩 활
밤낮
느
토양 틀
르
실 깨
21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감안
번 틀린
졌
『개 집』
얼
증
듯
같 개 피소드 소개
첫째
진맥
느
집 초
진맥
동 복맥 짚
살
앓
복용
괜찮
녀 편
듣
옛 편작 扁鵲 순 淳宇意 같
물
술
른
동
동 웃 욕
런
난 윽
차
낳
살
름 안색
변
색
살
봄
증세 띠 작
모
크 놀
동 찾
탁
동
린질
양
료
쉽
태
복용
깨끗
손
얼
죽
둘째 느 소녀 진맥
살
느 소녀 왼쪽 뒷꿈
워 손톱 끌
피
작 흰돌 왔
모
깜짝 놀 동 찾
동 앞
같 돌
올
칠
개 돌 왔
모
동 찾 물
돌
몸안 돌
깨
넘
돌 밖
왔
징
9살
탈
살
동안
9살 살 죽
셋째 동 죽
모토 카 동
뢰
토 京都 갈
드
토
났
료 활동
같
술 토
각광 받
질투 느낀 토
동 초청
식 독
타 먹
동
식 먹
독
실 알 차
것을
하여 약을 지었는데, 한 도
적이 없었다. 그러자 그의 명성은
다시 유명해 다고 한다.
산
은 그가 마나 유명한 명의이었는지 명
이라도 하 이 다음과 은 3 의 에
를
하고 있다.
는 임산부의
에 관한 이야기이다. 하루는 이러한 일이 있었다. 어
에 대되어 임산부를
했다. 경 이
을 고 말하기를 “이 아이는
사내아이인데, 3 때 역병을 을 것이다. 지금 임산부가 약을
하면 그
때가 되어도
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자 그 의 남 이 이를 고 화를
내며 ” 날
(
), 우위(
)과 은 신선들도 그러한 말을 하지 않
았다. 하 며 오늘날의 의사가 그러한 의 을 가지고 있을 리가 없다 하며 화
를 내었다. 그리고 다 사람들도 이에 조하여 경 을 비 으며, 을 했다.
그 일이 있고
후 이 고 달이 고 아이를 았는데, 과연 그의 예견대
로 여인은 사내아이를 생산했다. 그리고 그 아이가 2 이 되던 여 부터
이 하여 병 이 만연하더니 3 이 되던 부터 역병의
를 기 시 했
다. 부 는 이에 게 라고 경 을 아가 사정을 하며 약을 달라고 부 했
다. 그러자 경 은 역병은 하늘이 내
병이다. 음 의 기운이 일으키기 때
문에 치 하기가 지 않다. 중에 있었을 때 약을
하였더라면
이 나
았을 것을 발병한 후에는 사람의 길이 미치지 못한다 하며 처방을 내리지
않았다. 그 후 아이는 마 있지 않아 었다.44)
는 어
의
이야기이다. 5, 6 된 어
가
발
치가 가려
으로 었더니 부에서 은
이 나 다. 이에 부 가
라 경 을 아가 보였더니, 경 이 “ 으로 이 은 이 또 하나가 더
나 것이다.”하였다. 그의 말대로 며 후 또 한 의 이 나 다. 그리하여
부 가 다시 경 을 아가 었더니 “이 은 사람
에서 다가 어 를
어가면 불치의 병이 된다. 그러나 이 이 으로 나 다는 것은 장수할
조이니 0 까지는 아무
없이
것이다.”라고 하였다. 과연 그의 말대로
그 아이는 일생
무병하였으며, 0 까지 다가 었다고 한다.45)
는 경 의 음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곳의 영주인
치 도 경 을
매우 신 했다. 그리하여 히데요시가 있는 교 (
)로
때는 반 시 그를
데리고 갔다. 그에 따라 그는 교 에 머무는 시간도 늘어 으며, 그곳에서도
그의 의
도 계속되었던 것 다. 그의 의 은 교 에서도
을 았던
것이다. 이에
를
교 의 의사들이 연회에 경 을
하여 음 에
을 서 였다. 경 이 그 음 을 었을 때 이 들어있다는 사 을 아
平尾道雄外 4人 『土佐之國史料類纂 皆山集 (第5卷) -歷史編-』(高知縣立圖書館. 1976
年) p.40
45) 平尾道雄外 4人, 앞의 책, p.41
44)
찰
일본 시코쿠 지역의 임란포로에 관한 일고 ··································································· 노 성 환…217
독
독
용
번득
리고 말하기를 “이 정도의 이면 해 하는 것은 이한 일이다. 그렇지만 지
금 내가 지 않으면 다 날 반 시 그대들이
이는 날에 을 것이다.
그리하여 오늘 이 으로 내가 으마.”하고 말하고, 속에서 1 의 서 을
내더니 “이것은 만민을 구하는 비전이다. 일본에 전해지는 것이 한이 남는다.”
하며 불 속에 던
어
리고는 자신도 을 거두었다.46)
이 에서 보 이 조선 명의 경 에 관한 이야기는 당한 부 에
전
화되어 있음을
수 있다. 그러므로 그것을 두 사 로 아들이기는 어
다. 그러나 그러한 이야기가 오늘에 이 기까지 전해지고 있다는 것은 그가 도
사에서 자 할 수 있는 명의이었으며, 그의 명성이 무나 유명했음을 확인시
주는 자 로서
수 있을 것이다.
경 이 불행하게도 교 의 의사들에 의해
당하였지만, 그의 의 은 그
이후에도 도사에 전해 다. 그 장본인은 그의 제자 고가와 하루요( 川
)이
었다. 그는
기이( 伊)의 하사(
)의 려이었으나
치 의
이 되어 누노시다무라(
)에 았을 때 경 에게 의 을
으며, 그
47)
것을 자 들에게 전하였다. 이로 인하여 하루요의 7대 고가와
( 川
)는 경 이 직
의 (
)을 가지고 있으며, 그 전문이
기인전
(土佐
) 에도
되어있다. 그리고 고지현사고대중 사
(高知県
) 에도 고가와 인 장의 경 에 관한 고문서가 수 되어있
다. 이 이 경 은 포로가 되어 일본에서 약하다가
당하는 불운한 을
았지만, 그가 지 조선의 의 은 제자를 하여 일본에 리를 내려
되
었던 것이다.
한 조선국 (
國 )라고 불리는 여인이 구로시오 (
)에 있었다.
이곳은 2006년 3 오가다 (
)와 사가 (佐
)가 병하여 생
로운 행정구역이다. 그 중 오가 지역에 조선국 의 무 이 있다.
더 정확
히 말하자면 한적한 국 의 가미가와구치( 川 ) 역에서 내려 마을
아
산 으로
다리를 과하면 오다니(
) 가문의 역이 나오는데, 그곳
에 조선국 라고
약 50
정도가 되는 이의 자그마한 이 서 있
는 것이다.
의 면에는 “조선국 (
國 )”라고 되어있고, 우측면에는 정연간
(
: 1573-15 3)에 이곳에 다는 의미인 “ 정연중 (
)”라고
되어있고, 측면에는 사 한 해를
다는 의미인 “ 년부지(
知)”라고
있다. 이 말 그대로라면 그 는 조선국 출신의 여인으로서 정연간에
죽
독
동
랑
료
볼
토
졌
紀
분
布師田村
원래
객
드
죽
져 넣 태워버
듯
동
알
상
켜
른
손
晁
동 접 쓴 안 医案
畸人伝 』 소개
古代中世史料編 』
개
같 동
살
닌
술
숨
르
녀 朝鮮 女
월
초 大方町
타
철
쪽 난굴
통
녀 새겨진
센티
46)
47)
8
녀 朝鮮 女
왔
망
모른
녀
平尾道雄外 4人, 앞의 책, p.41
內藤寯輔(1976), 앞의 책, p.746
죽
권
책
상
분 걸쳐 설
실 받
렵
너
술
粉 春与
粉河寺 승
모토 카 빈
살
동
술 배웠
손
겐쵸 粉 玄
『토좌
『
세 료편
史
소
동
록
활
독살
삶
통
뿌
활용
편
묘석 앞
天正年間
좌
새겨져
모
품
칼
독살
초 黒潮町
초 賀町 합
겨난 새
녀 덤
좀
上 口
쪽 닌
小谷
묘
높
돌
천
천 래 天正年中來
졸
卒年不
천
8
21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살
언
망
왔
진
모른
즉
이곳으로 와서 다가 제 사 하였는지
다는 것이다. , 임란도 일어나
기 전에 이 여인이 이곳으로 다는 것이다.
이 이
내 을 가 조선여인은 무 때문에 이 시기에 일본으로 갔
으며, 또 그곳에서 무 을 하였을까 여기에 한 가지 마리를 제 해주는 자
가 있다. 그것은 다 아 1 기
문화연간(
)에 출간된
지 (土佐 土
) 가 바로 그것이다. 그것에 의하면 이 지역의
인
오다니 요 로(
)가 임란 때 이 지역의 영주인
치 의
하에 들어가 조선으로 출병하였으며, 귀국 때 한명의 조선여인을 데리고
다고 되어있다.48)
대부 의 지역 사 에서는 1명으로 현하고 있지만,49) 지역의 전 에 의하
면 요 로가 연행한 여인은 처음에는 3명이었다고 한다. 한명은 조선국내에서
도
고, 또 한명은 일본으로 려오던 도중 에서 어내려 자 하였으며,
나머지 한명이 바로 이곳에 혀있는 조선국 라는 것이다.
그 는
도 단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를 는 기 을 가지고 있었다.
, 직 이었던 것이다. 그 는 자신이 가지고 있던 기 을 마을 사람들에게
가
주었으며, 마음 도
하여 지역민들로부터 경을 았다고 전해
다. 그 가 전해 기 로
는 매우 시 에서는
수 없는 매우
된
것으로 흔히
(
)의 무기오리( ) 라 하였으며, 그 전 이 근대까지
이어 었다.
그 는 결 하지 않고 신으로 생 를 마 했다. 사후 처음에는 가미가와구
치 마을 계장사(
)의 오다니 가문의 역에 장되었다. 비를 운 것
은 요 로의 4대 인 오다니 야 지(
)이었다. 그는 의사로서 역사에
정 한 문인으로서 려 있다. 그러한 그가 그 의 비에
라고
것은 자신의 조 이 임란과 정유의 란 때 강제 연행해
아 역사
를
고자 했기 때문으로 정된다. 그 의 비가 현 이곳에 있는 것은
계장사의 역이 도로 사로 인해 사라지게 되자 오다니가의 후 들이 이곳으
로
기 때문이다.
이 비가 일반인들에게 려 것도 그다지 오 되지 않는다. 그것이 려
것은 0년대 반 나 무라시에 사는 오 무라 가 지역신문인 고치신문
(高知
)에 “어 조선인 여성의
”이라는 고한 한 의 지 때문이었
다. 그것은
의 한을 고 이국 에서 을 거 고 한 조선여인의 영 을
국으로 려보내고 다는 내 이었다.
같 새겨진 용
엇
엇
?
료
름 닌 9세 초
향토 료 鄕 志料 』
쥬 小谷與十郞
휘
분
쥬
망쳤
료
실
文化年間
『토좌
토호
초소카베 모토 카
왔
표
묻
끌
공
승
배
녀
베 짜
뛰
살
녀 용모
술
즉 녀
녀
술
르쳐
씨 상냥
존 받
진
녀
준 술 짠베
골
볼
세련
‘혼겐 本絹 츠
織’
통
졌
녀 혼
독
애 감
桂蔵寺
묘 안
묘 세
쥬
손
스 小谷安次
통
알 져
녀 묘 ‘天正年中来’
새긴
상
왜
온뼈 픈
감추
추
녀 묘
재
묘
공
손
옮겼
묘
알 진
래
알
진
8
초 카
카 씨
新聞
떤
표석
투
통 편
망향
안
땅 숨 둔 독
혼
모
돌
싶
용
8 寺崎宗俊 99 『肥前名護屋城の人々』 佐賀新聞社, p.213
9
縣 等學校敎育硏究會歷史部會(2006)『高知縣の歷史散步』,p.252, 大方町史改訂編纂
委員會 99 『大方町史』 大方町, p.208
4 )
(1 3)
4 ) 高知 高
(1 4)
찰
일본 시코쿠 지역의 임란포로에 관한 일고 ··································································· 노 성 환…21
98
월 재 총련
쥰 小野 俊二 씨
」
둔묘
새롭 묘 세웠
토 関田英里
썼
혼
양
호
9
초
「
이것을 계기로 1 1년 7
일조
고치현 지부 그리고 전 오가다 장
(
)을 역임한 오노가와 지(
川
) 등 일본관계자들이 조선
국 의 를 지키는 회 를 결성하고 방치해
역을 정비하고 이 여인의 내
이
비문을
게 역에
다. 비문은 당시 고치대학(高知
)의
교수 키다 히데사 (
) 회장이 는데, 그는 이것을 하여 비운의
조선여성의 영 을 위로하고 한일
민족의 우 와 연대를
한다고 했
다.50)
오노가와 는 이 조선여인을 주제로 “ 음보다 가 하게 다”는 장 시를
발 했다. 그 내 의 마지 에는 “하늘은 어 까지
고 고,
은 어
까지나 게 나고, 조선국
에
영 이여, 그대도
과 이, 여기에
윤회를
를 여, 사람들의 머리 위에 있도다.”라고 하였다. 그 후 매년 가
을 길일을 하여 이 여인의 위령제를 지내고 가미가와구치 회 ( 川
) 등에서 지역민들과 간 회를 가지며, 우 관계를 혀가고 있다고 한다.
고치에 있어서 조선인 포로들은 경 과 조선국 만 있는 것이 아 것이다.
아직도 려지지 않은 조선인들이 많이 있을 것이다. 그 예로 아키시(
)
의
요리 도 리 을 들 수가 있는데, 이곳 지역민들은 이를 “가시키리” 또
는 “가시 후”라 하며 12 중 에서 3 중 까지 만들어 마늘 과 된장과
들여 는다. 그렇게 해야 제 이 다고 지역민들은 전하고 있다. 일
본에서는 처럼 지 않는 마늘 마저 들여 는 것에서 보 이 이러한
습관은 이곳에 던 조선인들이 전한 것이라 한다. 그리고 이것은 경 지가 적
었던 산간지역에서는 구
으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처럼 아키
의 도 리 에서 보 이 이 을 남기지 않은 임란포로들이 고치의 전역에
이 어
았을 것이다.
大方町長
녀 묘
용 담긴
세
표
会所
씨
죽
용
향토
함께 곁
알
토
좀
담
토 묵
먹
살
토 묵
뿔 흩 져살
호
동
통
맹세
혹 살
편
푸르 높 태양 디
태양 같
막
디
녀묘 묻힌 혼
붉 빛
굴레 묶
택
녀
넓
월 순
맛 난
잎 곁 먹
집 소 上 口集
닐
월 순
먹
大學
황식품
듯 름
安藝市
잎
듯
작
식
뿔
5. 맺음말
살펴 듯
분
지금까지
보았 이 가가와, 도쿠시마, 고치 등지에서도 조선인 임란포로
들이 고루 포되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지역에는 조선에
서 가 간 조선불화뿐만 아니라 , , 말, 학, 거위, 기러기, 과 은
지도와 그 등 다 한 목들이 있었다. , 사람뿐만 아니라 귀한 문화
들도 아 없이 약 하여갔던 것이다. 히 사람인 경우 병사들은
남
노 , 신 고하를
한 일반인들을 가리지 않고 연행해 갔다. 그에 따라 본
골
져
및
재
낌
소 분
50)
림
양 품
탈
막론
닭 개
특
즉
大方町史改訂編纂委員會(1994) 『大方町史』 大方町, pp.208-209
꿩 같 동물
희
물론 녀
22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살
활
몇
의 아니게 이곳에서 시코쿠에서 아야 했던 조선인 포로생 에 대해
가지
을 지적하면 다음과 다.
는 고국으로 아오고자 하는
은 반계 일수
다는 사 이다.
도쿠시마의 정
의 예에서 보 이 그들이 아오는 에
대부 이 반
들이었다는 에서도 확인된다. , 귀국에 대한 구가 고국에 있어서 사회경
제에 대한 보장성 확보의 여부가 게
한다는 것이다. 바 어 말하면 그에
대한 보장성이
하고, 더군다나 일본인과 결 하여 가정을 이루고 생 기반
이 이미 일본에서 내 사람들이 귀국한다는 것은 현
불가 한 일이었다.
는 을 할
아는 선비계 들은 일본인을 매 로 한
지역과의 서
신 연 을 하고 있었다는 사 이다. 도쿠시마의 정
과 도사의 노인이 서로
주고 은 서신의 예가 바로 그것이다. 이것은 미약한
이 하지만 그들 나
대로의
를 성하고 있었으며,
정보도 교환하고 있었을 것으로
정되는 부 이다.
는 문화의 전수자로서 역할을 다하고 있다는 이다. 그러한 예로 경
은 의 을, 고치의 조선국 는 직조기 을, 그리고 고치의 조선인들은 두부와
도 리 의 제조 을 기 전하였던 것들을 들 수가 있을 것이다.
그
에도 그들을 하여 자연
게 한국의 문화가 일본사회에 전해지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다시 말하여 전 을 한 강제적인 인적교류가 문화의 전파에
게 기여한 것이다. 다시 말하여 임란은 노예의 전 이자 문화약 의 전 이
었던 것이다.
는 이들의 인생에 정하여 이들의 을 기리며 임란(전 )의 의미를 되
기고자 하는 일인들이 있다는 도
을 수 없다. 히 이러한 경우가 여
성에 대해서 강하게 나 나는 데 그 대 적인 예가 가가와의 오조에, 고조에,
고치의 조선국 , 도쿠시마의 조선 , 고려관 , 전요 이다. 이들을 위해 지역
민들은 비를 우고, 내 을 치하고, 날을 정해 제의를 리고 있는 것이
다. 이러한 직임들이
이 되어 한일 국의 어두운 역사가 되 이되지 않
는 다란 결 이 맺어지기를 바 뿐이다.
특징
첫째
점
돌
희득
같
희박
린
줄
욕망 양 층 록 높
실
듯
돌
배 탄 분 양
즉
희
크 작용
꾸
혼
활
실상 능
층
개
타
실
희득
상황 긴
상호
둘째 글
락
받
름
네트워크 형
추
분
셋째
술
녀
토 묵
법 각
통
스럽
크
넷째
새
커
술
쟁 통
동
물론
쟁
동
녀
세
움
실
넋
점 빼놓
타
표
녀
녀
안 판 설
씨앗
양
랄
점
탈
특
복
쟁
올
풀
밖
쟁
찰
일본 시코쿠 지역의 임란포로에 관한 일고 ··································································· 노 성 환…221
【참고문헌】
권태명(2012)『한민족이 주도한 고대 일본문화』 시대정신, p.388
김승한(1979) 『일본에 심은 한국(1)』 중앙일보사, pp.223-253
노성환(2012)「일본 에히메현의 임란포로에 관한 연구」『일어일문학(54)』 대한
일어일문학회, pp.391-412
노성환(2012) 「임란포로 박호인 전승에 관한 연구」『일본어문학(55)』 한국일본
어문학회, pp.235-258
박은경(2010) 「西日本中国․四国地域의 조선 15~16세기 佛画考」『석당논총(4
6)』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pp.301-335
이경직(1989) 「부상록」『해행총재(3)』 민문고,p.106
윤유숙(2009) 「근세초 서일본 지역 조선인 집단거주지」『史叢(68)』 고려대 역
사연구소, pp.116-120
장한기(1988) 「일본 中國. 四國地方에 있는 우리의 풍속문화」『일본학(7)』 동국
대 일본학연구소, pp.209-214
정우택(2008)「일본 사국지역 조선조 전기 불화 조사 연구」『동악미술사학(9)』
동악미술사학회, pp.57-89
정희득(1989) 「해상록(1)」『해행총재(8)』 민문고, p227
大方町史改訂編纂委員会(1994) 『大方町史』 大方町, pp208-209
金達壽,「日本のなかの朝鮮文化(11) -阿波, 土佐(德島県, 高知県)-(2) 」『季刊 三千
里(40)』(三千里社. 1984年) p.222
高知県高等学校敎育硏究会歴史部会(2006) 『高知県の歴史散步』, p252,
貫井正之(1996) 『豊臣政権の海外進出と朝鮮義兵硏究』 靑木書店, p290
四国新聞社編(1980) 『讃岐人物風景』 四国新聞社, p161
梶原鹽水(1976) 『古今讃岐名勝図会』, 歷史図書社, p336
高松市弦打小學校 PTA(1979) 『弦打風土記』, p17
寺崎宗俊(1993) 『肥前名護屋城の人々』 佐賀新聞社, p.213
內藤寯輔(1976)『文祿慶長役における被擄人の硏究』東京大学出版会, p.740
尹達世(2003) 『四百年の長い道』 リーブル出版, p.18
平尾道雄外 4人 『土佐之國史料類纂 皆山集 (第5卷) -歷史編-』(高知縣立圖書館.
1976年) p.40
22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要 旨
This study is about the Korean captiv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the Kagawa, Dokushima, Kouchi, Japan. At that time, local lords who
were commanded by Hideyoshi, they plundered Korean animals, plants, cultural
assets, Korean people. From this reason, there were a wide variety of Korean
class people lived in Shikoku area. There were characteristic differences
between Social classes. Firstly, There are different attitude toward the
returning to native country. YangBan(aristocratic class) were more eager to
going back to Korea due to social and economic rights in Korea. Secondly,
YangBan had been exchange letters with other inhabitance. In other words,
they were having a social network, and trading informations. Thirdly,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Korean culture introduce. For example,
KyungDong introduced Medical practice, ChosenKokujyo introduced weaving
technique to the local area. From this kind of forced personal exchange,
contributed to cultural diffusion. Lastly, There were local Japanese people who
were sympathize with the Korean prisoners and honoring their souls.
Especially honoring process were appeared more towards woman prisoners. For
example, Ozoe and Kozoe in Kagawa, Chousenkokujyo in Kouchi, Chousenjyo
in Dokushima. For these captive Korean, Monuments and information board
were built, and memorial events were held by local people. Personally I hope
that this movement will contribute to prevent repetition of Korea-Japan
historical tragic event.
キーワード:Japanese Invasion
Dokushima, Kouchi
f Korea, Korean captive, Kagawa,
o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 확정일 : 2015. 7. 4
재
別個の古代史『三国史記』と『三国遺事』*
ー『古事記』 『日本書紀』との対照からー
朴 正 義**
(e-mail: [email protected])
目次
Ⅰ.はじめに
Ⅱ.中国中心の世界観『三国史記』
1.高麗王朝の正当性確立期『三国史記』
2.中国を上国とする『三国史記』 3.新羅を継承した『三国史記』
Ⅲ.仏教の普遍的世界の『三国遺事』
1.民族存亡期の『三国遺事』
2.王朝の継承を示さない『三国遺事』
3.仏教の普遍的世界観により自己確証した『三国遺事』
Ⅳ.おわりに
Ⅰ.はじめに
純粋に民間伝承されてきたのではなく、国家または個人においても意図的に書かれた史
書は、王朝を保障すべくその時代の人々を納得させうる世界観を模索し続けてきた。日本
では、『古事記』がその理念である「天皇を中心」とする世界観をその時代に合わせ創
造し、『日本書紀』は自国を「日本」としてアジアにおける位地を確保すべく世界観を創
造した。このことは、神野志隆光氏がすでに明らかにしたところである。1)
さらに、『古事記』『日本書紀』、ともにその世界観は時代の要求に合わせ解釈され
てきた。中世に入ると、天皇も仏教に帰依していた時代に合わせるべく、『日本書紀』神
* 이 논문은 2015년도 원광대학교 교내연구비로 연구함
** 圓光大學校 日語敎育科 日本學 敎授
1) 朴正義(2001)「天皇を保障した『古事記』」『日本学報』第46輯 韓国日本学会 p.373~387
22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代巻の注釈書である一条兼良の著『日本書紀纂疏』や、北畠親房の著『神皇正統
記』は、仏教の普遍的世界観から「天竺・震旦・本朝」の三国からなる枠組みで世界
を解釈した。2)また、近世は西洋の宇宙構造論が入って来た時代で、これに合わせるべく
『古事記』の注釈書である本居宣長の『古事記伝』一七条巻附巻というかたちで、服
部中庸の著『三大考』が寛政九年(1779年)に刊行された。これは、天=日、地=地
球、泉=月として『古事記』の世界観を解釈した3)。このように、その時代時代を納得さ
せるべく新しい世界観が創り出されてきたといえる4)。
韓国でも事情は同じで、中世に入り、『三国史記』『三国遺事』がそれぞれの時代
を納得させるべく著された。1145年に『三国史記』が儒学者である金富軾によって編纂さ
れたのに対し、それより136年遅れた1281年5)に『三国遺事』は僧である一然によって著れ
たもので、それぞれの時代的状況かつ要求が異なるため、それぞれの時代的立場により世
界観をそこに描いているといえる。
本論文は、『三国史記』と『三国遺事』の二つの史書が、『古事記』と『日本書
紀』がそうであるように、全く別の理念(世界観)で著わされた別個の古代史であることを説く
ものである。
Ⅱ.中国中心の世界観『三国史記』
1.高麗王朝の正当性確立期『三国史記』
高麗初期、その政治体制は豪族連合政権であったため、高麗王朝の王権は弱く、豪
族間の力関係の均衡によってようやく王権が維持されていた。しかし、高麗王朝第四代目
の光宗が王座につくとその様相は一変した。
光宗は、その生涯を豪族の粛清と王権強化に費やした。まず、奴婢按検法の制定
(956年)によって地方豪族の所有する奴婢化した良民を解放することによって、公民の数を
確保し国家の収入源を拡大した。これは、豪族の経済力の弱体化を図るものでもあった。
次に、中国式科挙制度の実施(958)によって、従来の閥族中心の閉鎖された人材登用制
から脱皮し、一部有力豪族による官僚の独占を抑制した。さらに、文散階6)の設定と百官
2) 神野志隆光(1999)『古事記と日本書紀』 講談社現代新書 p.34
3) 金沢英之(1997)「宣長と『三大考』」(『国語と国文学』 第74卷 3号)東京出版局 p.39~53
4) 朴正義(2002)「日本神話における世界観の変遷」(日本文化学報第15輯)韓国日本文化学会 p.p.223~240
5)『三国遺事』がいつ編纂されたか確かなことは分からないが、一般に一然70歳以後、京師に召されて
国尊の称号を受けるまでの間(1275~1281)、即ち雲門寺にいたころの業績とされている。(金思燁
(1997)『完訳 三国遺事』明石書店 p.p.4~6)
別個の古代史『三国史記』と『三国遺事』 ······································································ 朴 正 義…225
の公服制定(960年)により王を中心とする階級制度を確立し、豪族に対して絶対的な王の
位地を確保した。これら一連の政策は、結果として豪族の弱体化とともに王権の相対的強
化もたらした7)。その後975年に死ぬまでの15年間、王権に従わない反対勢力を建国功
臣 宗親をとわず容赦なく粛清し、中央における権臣貴族の勢力を抑圧した。王権に対抗
できるほどの有力豪族がいなくなるとともに、中央集権化と豪族の貴族化がはじまった。この
時期、高麗の王はその称号を国内において皇帝とし、光徳 峻豊など独自の年号を使用し
た。光宗以後も貴族による反乱もあるにはあったが、『三国史記』が書かれた時期は王
朝の位置は揺るぎない時代であった8)。即ち、国内的に安定していた時代であった。
次に国外的には、『三国史記』が書かれた1145年までの高麗の外交関係は、基本
的に北方民族に対しては敵対し、中国宋に対しては友好関係を築くことであった。しかし、
その外交政策はどこにも与さない主体的なものであった。ここに、当時の高麗王朝の対外
政策を端的に示す重要な事件をいくつか挙げて見ることにする。
․10世紀末、契丹の太宗が駱駝を五十頭献上し通交を要請してきたが、拒否9)。
․985年に、契丹との戦いで宋から援兵を求められたが、拒否10)。
․986年に、契丹から高麗が宋と連合するのを防ぐため親善を求めてきたが、拒否11)。
․993年から1019年まで契丹によって三回も侵略を受け、不利になったときも契丹を上国として仕 えることを拒否し、結果として契丹を撃退12)。
․金王朝が成立し、契丹を攻略するため、両国の和親を求めてきたが、拒否。この時、同 時に宋は高麗を通じて金と連合し、契丹に対抗しようとしたが、拒否13)。
このように当時の高麗は、宋․契丹․金などの列強の中にあって、中立的立場を堅持
した。また、契丹の侵入を三回も撃退し、さらに、金に連れ行かれた皇帝徴宗 欽宗父子
を救出してくれるよう南宋から要請もされている14)。このように高麗は弱小国家でなく、列強
と張り合うだけの力があったことが確認できる。『三国史記』の時代は、高麗はどことも与
みさず自国の主体性を確保しており、王朝は対外的にも安定していたといえる。
6)高麗の位階制度で、「高麗史」百官志に「文宗代に二十九階の文散階を定めた」とある。その後
忠烈王一年(1275)には、元の干渉を受けて五品以上の名称を改めた。忠宣王即位年(1308にはじめて
正一品を置き、一品から九品までの正従が整備され、六品以下を郎とよんだ。その後も何度か変革され
ている。(李弘植篇(1992)『韓国史大事典』教育国書 p.556)
7) 河炫綱(1989)『韓國中世論』新丘文化社 p.7
8) 河炫綱(1989)『韓國中世史硏究』一潮閣 p.p.109~122
9) 韓㳓欣(1976)『韓国通史』学生社 p.150
10) 上掲書 p.151
11) 上掲書 p.151
12) 上掲書 p.p.151~156
13) 上掲書 p.168
14) 上掲書 p.169
22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高麗王朝の問題は、韓半島の支配者としてその正統性をいかに保障するかであった。
高麗以前の王朝、新羅 高句麗 百済の三国の王朝は、それらの始祖伝説から正統性
が保障されているが、高麗王朝は地方の豪族出身で、その始まりは豪族連合の代表でし
かなかった。つまり、高麗王朝独自の権威はなく、その正当性を保障するためには、他の
権威を借りるしかった。ここで考えられるのが、中国の権威を借りること、もう一つはそれ以
前に韓半島に成立した王朝の正当性を継承すること、によって自らの正統性を保障すること
であった。このような時、高麗王朝を保障すべき『三国史記』が編纂されたといえる。まさ
に、これが『三国史記』の主題である。
2.中国を上国とする『三国史記』
『三国史記』は、高麗仁宗23年(1145)に刊行された現存する韓国最古の紀伝体正
史である。しかし、河炫網は「この史書の編纂に多くの人が参加したが、編纂の責任者
である金富軾の史観が決定的な影響を与えている。即ち『三国史記』の史観はまさに金
富軾の所産といえる」15)と述べ、史書としての信憑性を疑っている。周知のごとく金富軾
は、『三国史記』を編纂するにあたって、儒教的な立場を強調した。今まで、金富軾の
『三国史記』に対して多くの批判が提起されてきたが、その核心の一つがこの儒教的史
観であった。崔南善がこの儒教史観を批判して『三国遺事解題』において、
(『三国史記』は)儒教からみて怪乱であれば抹削するのを躊躇せず、漢学上鄙野であれ
ば変改することをためらわず、字句の組合わせのために伸縮と刪添を勝手に行い、好悪の
情により剪裁を簡単に行い、その事実に忠実であろうとするよりむしろ文献に殉じて現相に即
する主観に拘われているため、『三国史記』から国義的古史を徴わすことは不可能に属す
る観がある16)。
と、『三国史記』は正確な古代史とは言えないと述べている。後述する『三国史記』の
本文に記載されている金富軾の史論17)でみられるように、主観によって語った古代史であ
る。即ち、金富軾は儒教的史観によって新しい古代史を創り出したといえる。その中でも、
中国を上国とする事大史観が今日までもっとも批判されているところである。
15) 前掲書 『韓國中世論』p.95 16)「儒敎的으로 보아서 怪亂하다하면 抹削하기를 거리지 않고 漢學上으로 보아서 鄙野하
다 하는 것이면 變改하기를 서슴치 않고 字句의 便을 為하얀 伸縮과 刪添을 임의로 하
고 好惡의 情을 因하얀 取捨와 剪裁를 예사로 하여 그 事實에 忠 하려 하는 것보담 차
라리 文辭에 殉하고 그 原相에 卽하는 것보담 차라리 主觀에 拘하려 한 것이기 때문에
三國史記에서 國儀的 古史를 徵하려 함은 不可能에 屬한 觀이 있나니」(前掲書『韓國
中世論』p.95からの二次引用)
17)『三國史記』卷第二十二 高句麗本紀 第十、『三國史記』卷二十八 百濟本紀 第六 の最後の部分、高句麗と百済が滅んだ記事にでてくる金富軾の史論を参照。
別個の古代史『三国史記』と『三国遺事』 ······································································ 朴 正 義…227
例えば、高句麗本紀に高句麗侵略対して出された隋煬帝の命令の記事が「22年の春
2月。煬帝は高句麗討伐の詔書を下した」18)と記されている。この記事の中の「討」に
注目したい。「討」は正義の軍隊を出動させて盗賊や外敵を征伐する意味を持つ字で、
つまり、中国を中心とする天下に対して高句麗が歯向かったので、これを「討」つというこ
とである。これに対して、河炫網氏は「『三国史記』はその編纂に当たって韓国側の史
料以外に、中国側の史料を多く引用している。即ち『三国志』『後漢書』『晋書』
『魏書』『唐書』『新唐書』『通典』『冊府元亀』『資治通鑑』などに収録された
三国の関係史料を引用する過程において、これらを自国の立場から消化できなかった例が
多く見られる」とのべている19)。
しかし、中世に入った時期に自国の立場かまたは中国の立場か区別ができないほど、当
時の学者の学問的レベルが低かったとは思われない。特に『三国史記』の編纂者たちは
当時を代表する学者たちの集まりであったはずである。そして、すでに414年高句麗の長寿
王によって建てられた『広開土王碑文』一面に、自国高句麗の立場から周辺国新羅や
百済に対し「討」という字が使われている。つまり、『三国史記』編纂当時の学者が
「自国の立場から中国の史料を消化できなかった」のではなく、「中国の立場で書い
た」と、考えるべきである。
これに関しては、『三国史記』編纂当時の歴史的状況と時代的精神を注意して見る必
要がある。当時、韓半島は中国文化圏の中にあった。特に『三国史記』編纂当時、
高麗の知識人たちは中国の先進文化を学ぶことに熱中していた。「進三国史表」に聖上
陛下(高麗第17代仁宗)の言葉として記されている「今日、学士大夫は五経諸子の書と秦
漢歴代の史を詳説する者はいるが、それに反し自国のことに関しては茫然としてその始まりも
終りも知らないことは実に嘆かわしいことだ20)」に代表されるように、当時の時代精神は中国
的価値観に支配されていた。この思想的背景として、事大主義が挙げられる。
また、『三国史記』は全編にわたって中国への朝貢の記事が載せられており、21)これ
からも『三国史記』が中国を上国視したことが確認できる。さらに、『三国史記』におい
て、自国の「王」の死に対する漢字表記を見れば、より一層明確になる。
人が死んだとき、その位によって使われる字が異なる。即ち、「天子」ー「崩」、
18)『三國史記』卷二十 高句麗本紀 第八 「二十二年春二月。湯帝下詔討高句麗」 19)「『三国史記』는 그 編纂 과정에서 한국 측의 사료 이외에, 중국 측의 사료를 많이 이
용하고 있다. 즉 『三国志』『後漢書』『晋書』『魏書』『唐書』『新唐書』『通典』『冊
府元亀』『資治通鑑』등에 수록된 삼국의 관계 사료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소화하지 못
하고 있는 예를 자주 보게 되는 것이다」(前掲書『韓國中世論』p.97)
20)『三國史記』進三國史表 「以爲今之學士大夫。其於五経諸子之書。秦漢歷代之史。或有
淹通詳說之者。至於吾邦之事。却茫然不知其始末。甚可嘆也」
21) 崔書寧「日本에 있어서의 天皇의 絶對性과 現在」圓光大学校大学院 2008年度博士論文 p.205~218
22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諸侯」ー「薨」、「貴人」ー「卒」、庶人ー「死」である22)。『三国史記』や
『三国遺事』と対照比較される『古事記』では、「崩」と「死」の二文字だけが使用さ
れ、「薨」と「卒」はみられず、「崩」は歴代天皇のみに使われた23)。暴君といわれた
武烈天皇、神託を無視して死んだ中哀天皇にも、「崩」の字が例外なく使われている。こ
のように一度「天皇」になった者にはその功績に関係なく、天下の支配者「天子」にだけ
使用される「崩」の字を使用したのに反し、それ以外の者にはその功績に関わらず「薨」
と「卒」の字を使わず「死」の字のみ使用することによって、天皇の絶対性を保障した。こ
れは、天皇を世界の秩序とする『古事記』の世界観と合致するものでもある24)。 また、
『日本書紀』においても、天皇の死には「崩」の字が間違いなく使われている。25)
自国の王の死に対する漢字表記の違いは、『三国史記』と『三国遺事』の違いを端
的にあらわしているものでもある。『三国史記』では調査結果「崩」は4個、「薨」は
115個、「卒」は60個、「死」は60個であった。『三国遺事』は、中国の皇帝と同じく
自国の王の死に関して、天子だけに使用する「崩」の字を使っている。26)
『三国史記』で「崩」は、湯王․唐太宗(文帝)․唐徳宗と中国の歴代の王のみに
使われ、韓半島の歴代の王には基本的に「薨」を使っている。また、真興王王妃․王
妃松氏 のように 王妃 、 東明王 である 朱蒙母 の 柳花 と 太后于氏 にも 王 と 同 じ 待遇 をして
「薨」を使用している。さらに、伽倻国の始祖の金首露王の十二代孫で三国統一を成し
遂げた新羅の将軍の金庾信と、太宗武烈王の次男(文武王の弟)で、新羅の将軍として
獐山城を築いて国を守り、外交家として羅唐連合軍の組織に成功した金仁文にも王と同じ
「薨」を使っていることにも注目すべきである。しかし、「崩」の字が使われることはない。
また、太子や王妃に「卒」を使う場合もあった。「卒」を使った太子や王妃は、新羅
十四代の真興王の息子の太子、炤徳王妃、新羅三十八代の元聖大王の息子の仁
謙、新羅四十二代の興徳王の妃の章和夫人、新羅四十八代の景文王の王妃である文
懿王妃である。この者たちは業績がないか、または早死したという共通点がある。
さらに、『三国史記』では百済21代王である蓋鹵王のように「死」を使った例もある。
蓋鹵王は、土木工事(宮廷の築造、土手の築造など)を行うことによって国力を疲弊化さ
せ、最後には、高句麗の長寿王が送った諜者である僧道琳の計略によって、漢江流域
一帯 を 奪 われて 虜 になって 殺害 された 。 王 という 地位 ではあったが 、 その 行跡 によって
「死」の漢字表記が使用されたと推測される。
22) 禮紀 曲禮「天子死曰崩 諸侯曰薨 大夫曰卒 士曰不祿 庶人曰死」
23) 例外として「天皇」以外にも、景行天皇の皇子倭建命などに「崩」という字は使われているが、こ
れは日本国土の完成などその功績甚だ大きく、天皇になるべき「天皇」に順ずるものとして使われた。
しかし、これは例外中の例外である。
24) 崔書寧 (2004) 「『古事記』においての死の漢字表記」日本文化學報第 20輯
25) 上掲書
26) 上掲書
別個の古代史『三国史記』と『三国遺事』 ······································································ 朴 正 義…229
即ち、『三国史記』は、「崩」という字を中国の皇帝にだけ使用し、自国の王に対し
ては「崩」より一段階下の「薨」という字を使用した。また、その行跡によっては、さらに
「薨」より低い「死」を使用する場合もある。このように、『三国史記』における「死」
の表記からも、中国を上国していることが確認できる。
3.新羅を継承した『三国史記』
次に、『三国史記』において、高麗王朝がその正統性を保障すべくどの王朝を継承し
たかと記されているかである。太祖王建は『訓要十条』の中で旧百済の地域を「車嶺の
南、錦江の外の山形地勢は背逆で、人心もこれに同じ」27)と述べており、三国の中でも
百済は除外して考えるべきである。問題は、高麗王朝が高句麗または新羅のどちらの王朝
を継承したかである。
高麗の前身である泰封時代、弓裔は高句麗の継承であることを標榜した。特に、高句
麗を継承し建国した渤海が926年に契丹に滅ぼされた後、その意識はさらに強くなった28)。
しかし、後三国を統一し韓半島唯一の支配者となった時点から、新羅王朝を正統と認識
する歴史意識への転換が見られる29)。新羅は自ら進んで高麗に降服したため、新羅の支
配階級はそのまま高麗の新しい支配階級として変身し、さらに高麗初期の思想界を新羅出
身の儒教学者が握った。また、『三国史記』の編纂者金富軾も新羅王族出身の儒教
学者であったことも無関係ではなかったと言える。
『三国史記』高麗本紀にある高句麗滅亡の記事に続いて、著者金富軾の史論が書
き加えられている。これをみれば、
高句麗は秦漢の後から中国の東北の隅にあって、その北隣はみな天子の司る所であった
が、世が乱れて英雄が起っていつわって王と名乗る者がいる住むのに恐ろしい所であった。
そして、謙遜の気持がなくその地域を侵し奪って互いに仇となって、その郡県に入って来て
住んでいた。これがために兵禍がやむことなく乱れ、ほとんど平安な歳月がなかった。その
兵乱が東に移ってわが国におよぶのであった。隋や唐の統一にあたってもそうであった。高
句麗は詔命に従わないで、むしろこれに反抗して(高句麗の)王は中国からの使者を土蔵に
閉じ込め、頑として中国の帝威を恐れなかった。そのような訳で、しばしば問罪の軍を起こ
すようになった。あるときは奇兵を設けて大軍を陥落させたこともあったが、終いには王は降服
して国家が滅亡して後が絶えてしまったのである。それで、その始めと終りをみれば、上下
27) 高麗の太祖が子孫に龜鑑として残した遺訓である訓要十條の中の第八條「車峴以南 公州江外 山形地勢 並趨背逆 人心亦然」。
28) 河炫綱(1975)「高麗時代の歷史継承意識」(李佑成 姜万吉(1976)『韓國의 歷史認識 上』 創作 批評社 p.192~193)
29) 上揭書、 p.192~193
23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が和し人民大衆が睦まじければ、大国と言えどもよくこれを攻めとることはできなかった。しか
し、国が不義で民が不仁で人民大衆が怨みをもてば、必ず崩壊して自ら振るわないもので
ある。故に孟子は「天の時と地の利は、人の和にしかず」といっているし、左氏は「国が
興るは福をもってし、その亡ぶは禍をもってする。国の興るは民を視ることあわれむ如くするは
これその福なり、その亡ぶるや民を土とあくたの如くするはこれその禍なり」といったが、この
言葉は意味のあることである。
しかれば、およそ国を治める者が、暴吏の圧迫と虐待とそして強い王族たちの過酷な収
奪をほしいままにして、人心を失って、治めて乱れず、存して亡ばないことを欲しても、それは
酒を飲みながら酔いを憎む者とどこが違うだろう30)。
とあるように、編纂者金富軾が高句麗をどのように認識していたか理解できる。まず、「そ
の北隣はみな天子の司る所であったが、世が乱れて英雄が起っていつわって王と名乗る者
がいる住むのに恐ろしい所であった。そして謙遜の気持がなくその地域を侵し奪って互いに
仇となって、その郡県に入って来て住んでいた」と、もともと天子すなわち中国の皇帝が治
めるところであるが、世の乱れに乗じて高句麗は国を建てたと、国の成り立ちから問題し、
高句麗の始まりを正統性のあるものとして認めていない。次に、「これがために兵禍がやむ
ことなく乱れ、ほとんど平安な歳月がなかった」と、正統性のない高句麗は建国以来ずっと
国内は乱れていた。
さらに、「隋や唐の統一にあたってもそうであった。しかし、高句麗は詔命に従わない
で、これに反抗して王は中国からの使者を土蔵に閉じ込め、頑として中国の帝威を恐れな
かった」と、中国に統一国家が成立してもこれに従わなかったとしている。中国を上国として
従うべきなのに従わなかったと記しているのである。このため、612年に高句麗の乙支文徳
将軍が隋の113万大軍を殲滅した薩水の大戦など、593年から648年までの隋4回唐3回の
侵略を全て撃破した韓民族の輝かしい歴史的事実も、「あるときは奇兵を設けて大軍を陥
落させたこともあったが」という表現にしかならない。つまり、中国に歯向かったのであるか
ら、高句麗は滅びて当然の国であった、と『三国史記』は記すのである。そして、高句
麗を最後に批評して「国が不義で民が不仁で人民大衆が怨みをもてば、必ず崩壊して自
ら振るわないものである」「およそ国を治める者が、暴吏の圧迫と虐待とそして強い王族た
30)『三國史記』卷第二十二 高句麗本紀第十 宝蔵王下「高句麗自秦漢之後。介在中國東北
隅。其北隣皆天子有司。亂世則英雄特起。潛竊名位者也。可謂居多懼之地。而無謙巽之
意。侵其封場以讐之。其郡縣以居之。是故兵連禍結。略無寧歲。及其東遷。値隋唐之統
一。而猶拒詔命以不順。囚王人於土室。頑然不畏如此。故屢到問罪之師。雖或有時設奇以
陷大軍。而終於王降國滅後止。然觀始末。当其上下和、衆庶睦、雖大國不能以取之。及其
不義於國、不仁於民、以興衆怨。則崩潰而不自振。故孟子曰。天時地利不如人和。左氏
曰。國之興以福。其亡也以禍。國之興也。視民如傷。是其福也。其亡也。以民爲土芥。是
其禍也。有味哉斯言也。夫然則凡有國家者。縱暴吏之驅迫、强宗之聚斂。以失人心。雖欲
理而不亂、存而不亡。又何異强酒而惡醉者乎」。
別個の古代史『三国史記』と『三国遺事』 ······································································ 朴 正 義…231
ちの過酷な収奪をほしいままにして、人心を失って、治めて乱れず、存して亡ばないことを欲
しても、それは酒を飲みながら酔いを憎む者とどこが違うだろう」と、高句麗王朝の正統性
だけでなく、その行跡の不備を糾しているのである。
次に、百済の滅亡を記した『三国史記』百済本紀の最後の部分に、付け加えられた
金富軾の史論に次のような記事が載せられている。
古史曰く、(略)秦漢の乱の時、中国人が多く海東に逃れてきた。即ち三国の先祖は古
聖人の遠い血筋で、国を受け継いで長い。百済の末期に至って所行の非道が多く、また
世々代々新羅と仇敵になり高句麗と連合して新羅を侵略し、利に因り便に乗じて、新羅の
重要な城と大きな鎮所をかすめ取ることをやめなかったのである。これは所謂仁親しみ燐国と
仲よくする良策ではなかった。ここにおいて唐の天子は再び詔書を下て、その怨みを平げよう
としたが、百済は表面では従うようなふりをし裏では違うことをして、大国に罪を得て滅んだの
であるから、これは当然のことである。31)
これは、新羅を侵すことが中国を中心とする秩序を犯すことを意味し、そのため百済が滅
亡する必然性があったと記すのである。ここで注目したいのは、「即ち三国の先祖は古聖
人の遠い血筋」の部分である。この部分は、『三国史記』本文に載せられている三国
の始祖伝説とは明らかに矛盾するものである。問題は、ここで古聖人とは誰かということにな
る。この時代は、既に述べた『三国史記』に載せらた聖上陛下(高麗第17代仁宗)の言
葉32)からも分かるように知識人においても中国に対する知識しかなく、また三国の始祖の前
に歴史に登場する聖人は存在しない。このため「古聖人」は中国の古聖人としか考えられ
ない。即ち、「三国の始祖が中国の古聖人の血を受け、国を受け継いだ」と語り、中国
の聖人の血を受けたことによって韓半島の国々を権威づけているのである。
さらに、高句麗本紀の最後に載された金富軾の史論「しかし、高句麗はなお詔命に従
わないで、これに反抗して、王は中国からの使者を土室に閉じ込め、頑然として、中国の
帝威を恐れなかった」33)も、既に述べたように、高句麗が滅亡したのは上国中国に歯向
かったためである。そして、この中国の権威を守った新羅が唯一韓半島の正統性のある国
と『三国史記』は記すのである。
31)『三國史記』卷二十八 百濟本紀第六 義慈王條 「古史曰。百濟與高句麗同出扶餘。又
云。秦漢亂離之時。中國人多竄海東。則三國祖先豈其古聖人之苗裔耶。何其亨國之長也。
至於百濟之季。所行多非道。又世仇新羅與高句麗連和以侵之。因利乘便。割取新羅重城巨
鎭不己。非所謂親仁善隣國之宝也。於是唐天子再下詔平其怨。陽從而陰違之。以獲罪於大
國。其亡也亦宜矣」。
32)『三國史記』進三國史表「以爲今之學士大夫。其於五経諸子之書。秦漢歷代之史。或有淹
通詳說之者。至於吾邦之事。却茫然不知其始末。甚可嘆也」。
33)『三國史記』卷二十二 高句麗本紀 第十 宝藏王下條「而猶拒詔命以不順。因王人於土
室。其頑然不畏如此」。
23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金富軾の史論は、三国は全て中国聖人の後裔であるが、中国の聖人の後裔として正
しく秩序を守ってきたのが新羅であるため、新羅が三国を統一することになり、さらに、新羅
の末期、世の中が乱れたので、新羅王朝を継承するように高麗が成立した、と結論付け
ている。ここで、重要なのは新羅が自ら進んで高麗に降伏した、つまり進んで譲位したの
で、高麗が新羅の正当性を継承したと主張できるのである。即ち、唯一韓半島に中国か
ら受け継いだ正統性を守った新羅王朝を継承したのが高麗王朝であり、このため新羅中
心の古代史として『三国史記』は存在しなけらばならなかったと言える。
また、『三国史記』は、新羅本紀から始まり、高句麗本紀 百済本紀へと続くように、
三国の歴史を紀伝体で記している。つまり、三国の話である。しかし、三国が韓半島にお
ける最初の国ではなく、『三国史記』自体が三国以前の国について言及している。新羅
本紀始祖赫居世居西干条「これより先、朝鮮の遺民たちは山谷にわかれて住み、六カ村
を為していた」34)から古朝鮮らしき国の存在が確認される。さらに、同じく始祖赫居世居西
干条に「居西干とは辰韓の言葉で王である」35)と辰韓が出くる。これら以外にも馬韓 加
耶などが記されているにもかかわらず、『三国史記』は三国から始まる。
古聖人の血を引くことによって三国を権威付けるのであって、それ以前の古聖人の血を引
き継いでいない国は意味をなさないのである。このため、『三国史記』は韓半島の始まりを
三国の歴史から記したと言える。ならば、三国以外の国が意味するところは何か。新羅本
紀をみれば、加耶など周辺国は頻繁に出てくるが、「加耶を征伐する」36)という記事があ
るように、これらは新羅が成長する過程に征服すべき対象でしかない。
しかし、倭 日本に関しては、他の周辺諸国とは異なる。倭 倭人 倭国の記事が頻繁
に出てくるが、ほとんどが倭からの侵略を撃退する記事で、倭まで出かけて征伐することは
ない、というより征服して国土に組み入れるという意図はどこからも読み取れない。そして、倭
という対象が初期において定かでない。新羅祇摩尼師今十二年(123)に「春三月、倭国
と講和した」37)とあるが、新羅阿達羅尼師今二十年(173)に「倭の女王卑弥呼が使者を
使わし礼物をもって交際を求めてきた」38)という記事ある。すでに「講和」しているのに、
「交際を求めてきた」のは明らかに矛盾する。初期において倭とは、大和(日本)政権を示
したものとはいえず、海を渡ってくる者たちを網羅した総称といえる。頻繁に出てきた倭の記事
が、炤知麻立干二十二年(500)の記事「倭人が長峯鎮を攻め陥した」39)を最後に、倭
の侵略の記事がみられない。その後、本文の内容は、三国の争いに終始する。
34)『三國史記』卷一 新羅本紀第一 始祖赫居世居西干條「先是。朝鮮遺民。分居山谷之間。
爲六村」
35)『三國史記』卷一 新羅本紀第一 始祖赫居世居西干條 「居西干。辰王」
36)『三國史記』卷一 新羅本紀第一 祇摩尼師今條 「加耶寇南辺。秋七月。親征加耶」
37)『三國史記』卷一 新羅本紀第一 祇摩尼師今條 「與倭國講和」
38)『三國史記』卷二 新羅本紀第二 阿達羅尼師今條 「夏五月。倭女王卑弥呼遣使來聘」
39)『三國史記』卷三 新羅本紀第三 炤知麻立干條 「倭人攻陷長峯鎭」
別個の古代史『三国史記』と『三国遺事』 ······································································ 朴 正 義…233
次に倭が出てくる記事は、文武王竜朔三年(663)「倭国の水軍が来て、百済を助け
た。倭船千隻」40)。文武王五年(665)「高句麗と結託して、倭国と通交して」41)。これ
らは新羅による統一期にあたる。そして、そこに出てくる倭国は大和政権を示していることは
明白である。今までの、得たいの知れない倭ではなく、燐国としてその存在が確認される。
その後、景徳王元年(742)「冬十月に、日本の国使が来たが、これを受付けなかっ
た42)」と、はじめて「日本」という表記がみられ、国使という表現も合わせて使われてお
り、燐国としてその存在が確認されている。次に、哀荘王三年(803)「秋七月に、日本と
修交して友好関係を結んだ43)」では、公式に日本を対等関係の燐国として認識することが
確認できる。以後、頻繁に日本の記事が見られる。
百済本紀では、百済阿莘王六年(397)「夏五月、王は倭国と友好関係を結び44)」
と、単なる侵略者でなく、燐国として存在していることが確認されるが、これは文武王五年
(665)「高句麗と結託して、倭国と通交して」と同じく、新羅に歯向かう行為として後々確
認される。高句麗本紀では、地理的な問題か、倭に関する記事は見当たらない。
『三国史記』は、倭 日本を『広開土王碑文』のように高句麗を中心とする世界の外
におくのではなく、中国を中心とした世界の中においている。しかし、韓半島の国々は中国
の古聖人の血を引くもので、その位地は日本より上にある。
『三国史記』は、中国中心の世界の中において、三国は全て中国に繋がり、その中
でも中国の権威を守り韓半島の正当な覇者となった新羅を高麗が継承するという図式を描
いている。
古朝鮮↘ 中国の聖人
↓ ↓ ↓
辰韓→ 新 高 百 倭・日本 馬韓→ ←句←
加耶→ 羅 麗 済
↓
高 後 麗←百
済 40)『三國史記』卷七 新羅本紀第七 文武王下條 「此時倭國船兵。來助百濟。倭船千艘」
41)『三國史記』卷六 新羅本紀第六 文武王條 「結託高句麗。交通倭國」 42)『三國史記』卷九 新羅本紀 第九 景德王條 「冬十月。日本國使至。不納」
43)『三國史記』卷十 新羅本紀 第十 哀莊王條 「秋七月。與日本國交聘結好」
44)『三國史記』卷二十五 百濟本紀 第三 哀莊王條 「夏五月。王與倭國結好」
23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Ⅲ.仏教の普遍的世界観『三国遺事』
1.民族存亡期の『三国遺事』
『三国遺事』が著わされた時期は、蒙古に侵略されはじめて属国として国の独立が犯
されていた1281年である。即ち、国家 王朝というより民族45)自体の存続への欲求が激しく
なった時期と言え、『三国史記』が書かれた時期と時代的要求が異なる。問題は、王
朝の正統性の保障というようなレベルでなく、もっと根本から国家と民族を見直さなければな
らなかった。つまり、韓民族の存続自体が問われた時期であった。
『三国史記』編纂後『三国遺事』成立までの歴史的背景を簡略して述べれば、次
のようになる。文臣に対し地位は低くまた待遇も劣悪であったのに不満を持った武臣は、鄭
仲夫を中心として1170年反乱(庚寅の乱)を起こし武臣政権を打ち立てた。以後100年間武
臣政権が継続した。しかし、互いの権力闘争によって政権の中心は目まぐるしく代わり、そ
の間国内は乱れ高麗王朝の王権は形だけのものとなった。1196年崔忠献の政変よって、
崔氏武臣政権が誕生し中央政治は安定し、蒙古の侵略によって崩れる(1258年)まで、約
60年間継続した。しかし、この時代は蒙古の侵略とそれに対する抗戦につきる。『三国遺
事』の著者一然(1206-1289)はまさにこの時代の人であった。
『三国遺事』が書かれた時期1275年から1281年は、蒙古との抗戦に破れ国家の正統
性が崩れさった時期であった。しかし、最後に済州島まで場所を移してまで蒙古に対する
徹底抗戦で見られるように、民族の存続を保つと言う信念が一番強い時期だったといえ
る。このような時、守るべき民族の存続価値そして正統性が問われたといえる。そこに、
『三国遺事』の主題があった。このため、安易に『三国遺事』は民族主義によって著わ
された、と現在に至るまで主張されてきた。しかし、この民族主義には疑問を呈したい。
2.王朝の継承を示さない『三国遺事』
『三国遺事』は、その著者一然をして「金富軾が著述した『三国史記』が儒教的な
合理主義の歴史的敍述方式により、わが国の上古時代の神話的伝説を主観的に刪削改
書したものに対し、自身はどこまでも神政時代の神話伝説を原型そのままに保存記述しとた
ものである」46)と言わせているほど、『三国史記』と比較し内容的に著しい相違をみせて
45)「民族」というのは近代ヨーロッパによってつくられた言葉であり、『三国遺事』の時代の人は「民
族」という言葉を使っていなかったのは確かである。しかし、『三国遺事』は、外に対して同じ歴史
文化を共有する共同体として韓半島の人々をえがいてい。そこに「民族」としての概念が存在している
ものと判断し、「民族」という言葉を使用した次第である。
別個の古代史『三国史記』と『三国遺事』 ······································································ 朴 正 義…235
いる。ここでは、始祖における相違だけを簡単に述べることにする。
․古朝鮮ー檀君
『三国史記』: 記述なし
『三国遺事』: 天帝桓因の子である桓雄の子47)
『三国遺事』では、桓雄は天降る時、天符印を与えられ、三千名を従え三危太白山
に降り立つ。これは天の意志によって古朝鮮が開かれたことを物語るものである。
․高句麗ー始祖朱蒙
『三国史記』: 天帝の子解慕漱と河伯の娘との間に出来た子48)
『三国遺事』: 天帝の子解慕漱と河伯の娘との間に出来た子49)
『三国史記』と『三国遺事』は内容が全く同じであるが、『三国遺事』の北扶余の
条では解慕漱は天帝の子ではなく天帝となっており、五竜車に乗って天から降りて来ると記
されている50)。ここでも、天の意志によって国が開かれたことを明確にしている。
․新羅ー始祖朴赫居世
『三国史記』: 馬の姿は忽然と消え、そこに大きな卵が残っていた51)。
『三国遺事』: 馬は空に舞い上がり、そこに大きな卵が残っていた52)。
『三国遺事』では、馬が空に消えていくことから、赫居世が出てきた卵は空から降りて
きたことを暗示し、人々も天子が天から降りて来たと言っている53)。また、赫居世は在位六
十一年に天に戻る54)。さらに、元々いた六村の祖先が全て天から降って来たと記載されて
46) 民族文化硏究所篇(1984)『三國遺事硏究上』嶺南大學校出版部 p.4
47)『三國遺事』卷一 紀異一 古朝鮮條「昔有桓因(謂帝釋也)庶子桓雄……雄乃仮化而婚之孕
生子號檀君王儉……」
48)『三國史記』高句麗本紀「。得女子於太白山南優渤水。問之曰。我是河伯之女。名柳花。
與諸弟出遊。時有一男子。自言天帝子解慕漱。誘我於熊心下。鴨淥邊室中私之。卽往不
返。……置於暖處。有一男兒。破殼而出。……扶餘俗語。善射爲朱蒙。故以名傳。……」
49)『三國遺事』卷一 紀異一 高句麗条「。得女子於太白山南優渤水。問之云。我是河伯之
女。名柳花。與諸弟出遊。時有一男子。自言天帝子解慕漱。誘我於熊心下。鴨淥邊室中知
之 。 而往不返 。 ……置於暖處 。 有一兒 。 破殼而出 。 ……國俗謂 。 善射爲朱蒙 。 故以名
焉。……」
50)『三國遺事』卷一 紀異一 高句麗条 「天帝降干訖升骨城(在大遼醫州界)乘五龍車。立都
稱王國號北扶餘。自稱名解慕漱。……」
51)『三國史記』新羅本紀 始祖赫居世居西干 「有馬跪而嘶。則往觀之。忽不見馬。只有大
卵。……」
52)『三國遺事』卷一 紀異一 新羅始祖赫居世王条 「有一白馬跪拜之狀。尋檢之。有一紫卵
(一云靑大卵)。馬見人。長嘶上天。……」
53)『三國遺事』卷一 紀異一 新羅始祖赫居世王条 「時人爭賀曰。今天子已降。……」
23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おり55)、これも天の意志によって国が開かれたことを明確にしている。このように『三国遺
事』は、三国の王朝すべてが天の意志によって開かれたとする。即ち、三国の始まりを
『三国史記』のように中国と関係づけることはない。
ここで、『三国遺事』において、高麗が三国のうちどこを継承しているのかという問題で
ある。一般的には新羅中心と言われているが、その理由として二つがあげられている。ま
ず、紀異篇で新羅の歴代の王はほとんど記載されているが、高句麗や百済の歴代の王の
記載は数えるほどでただ王暦でその跡を知るだけである。これは、新羅関係の資料が高
句麗よりも多く残されているのも重要な要因の一つであるが、一然の俗世は金氏でその出
身は新羅系統で、また居住地域が新羅国があった慶尚道という個人的な事情も少なから
ず影響を与えた56)といえる。これらのことから、『三国遺事』も『三国史記』同じく新羅中
心の歴史がそこに描かれていると主張されてきた。しかし、内容的に『三国史記』のように
明確に新羅中心の歴史は見られない。
また、王暦第一東明王に「壇君の子である」57)とある。高句麗の始祖朱蒙を韓民族
の始祖壇君の子と記すことは、高句麗を古朝鮮の継承とみることに繋がる。つまり、韓半
島の支配者としての正統性は古朝鮮→高句麗とつながり、当然それを高麗が引き継がな
ければ、高麗王朝の正当性を示すことができない。しかし、高句麗継承も本文の内容に
おいて明確に示していない。
このようにどの王朝を継承したかは、『三国遺事』において明確でない。つまり、『三
国遺事』にとって、王朝の継承は大きな意味を持たず、それが主題でもない。
3.仏教の普遍的世界の『三国遺事』
『三国遺事』において檀君朝鮮の始りの記事を見れば、『三国遺事』古朝鮮条に
「魏書」を引用して「與高(堯)同時」58)と、古朝鮮の檀君を中国伝説の聖帝尭と並列
して記している。また、「古記」を引用して、「以唐高即位五十年庚寅。都平壤城(今
西京)。始稱朝鮮」59)と、檀君朝鮮の始りを聖帝尭とほぼ同時期としている。『三国遺
54)『三國遺事』卷一 紀異一 新羅始祖赫居世王条 「理國六十一年。王升干天。……」
55)「天降った」と直接的には書かれていないが、六村の祖先すべて「峰や山に降り立った」と記されて
いる。これは「天降った」と考えていいと思われる。(『三國遺事』卷一 紀異一 新羅始祖赫居
世王条 「……一曰……初降于瓢嵓峰。……二曰……初降于兄山。……」)
56) 前掲書『韓國中世論』p.103
57)『三國遺事』王曆ー 「高句麗 第一 東明王……壇君之子」
58)『三國遺事』卷一 紀異一 古朝鮮條「魏書云。乃往二千載。有檀君王儉。立都阿斯達(經
云。無葉山。亦云。白岳。在白州地。或云。在開城東。今白岳宮是)。開國號朝鮮。與高
(堯)同時。(現代語訳)『魏書』にいうには、今から二千年前に檀君王倹がいて、都を阿斯達(経に
は無葉山といい、また白岳ともいっているが、これは白州にある。あるいは開城の東側にあるというが、
今の白岳宮がそれである)に定め、国を開いて朝鮮と呼んだ。高(尭)と同じ時代だといっている」。
別個の古代史『三国史記』と『三国遺事』 ······································································ 朴 正 義…237
事』は、「魏書」だけでなく「古記」まで引用して、中国の始まりと同時に古朝鮮檀君
の存在を確認する。中国の影響でなく独自に成立した、つまり中国と対等である、と主張
するのである。それ以後も、中国との関係は、中国を上国とすることなく対等である。これ
は、『三国遺事』に中国に対する朝貢の記事が見られないことからも明らかである。60)さ
らに、中国の皇帝と同じく自国の王の死に関して、天子だけに使用する「崩」の字を使っ
ている61)ことからも理解できる。問題は、中国と対等であることを、『三国遺事』はどのよう
に確証したのかである。
『三国遺事』は仏教関係の記事を多く載せているのがまず注目される。『三国遺事』
は[王暦][紀異][興法][塔象][義解][神呪][感通][避隠][孝善]の九篇から構成されている
が、その中で[興法]以下[孝善]までの七篇は全て仏教関係の記事で構成されている。そ
して、これら仏教関係の記事は一然の一貫した観点から整理されており、そこには自国中
心の主体的立場から整理する努力が窺える62)。
こうした視点から注目すべきは、仏教発祥の地天竺と韓半島とが関連する説話が『三
国遺事』に多く収録されていることである。『三国史記』に天竺に関する記事がないのと
は大きな違いである。『三国遺事』が仏教という世界の中で、そこに示された世界が地域
的にも拡大しているといえる。即ち、問題は中国と韓半島に極限するのではなく、全世界的
規模で、国家 民族を『三国遺事』は語ったっているのである。ここに、『三国遺事』に
載せられた天竺の記事のいくつかを紹介することにする。
まず、原宗興法の厭髑滅身条63)をみると、印度の高僧が韓半島の統一に力を尽くした
と記しており、印度が韓半島に関与したことを示す。さらに、歸竺諸師条64)の記事には、
印度が遠い国の新羅を意識し、新羅を「䃜說羅言貴也」と貴国と記している。何故、意
識し貴国というのか。それを具体的に述べる記事が先ほど記した駕洛國記条65)にある。こ
『三國遺事』卷一 紀異一 古朝鮮條「「古記云。……以唐高即位五十年庚寅。都平壤城
(今西京)。始稱朝鮮。(現代語訳)古記がいうには、……(王倹は)唐高(尭)が即位してから50年
たった庚寅に平壤(今の西京)に都し、はじめて朝鮮と呼ぶ」。
60) 崔書寧「『古事記』においての死の漢字表記」『日本文化學報』第20輯 韓国日本文化学会
2004年2月
61) 上掲書
62) 前掲書『韓國中世論』p.100
63)『三國遺事』卷三興法三 原宗興法条 「他方菩薩出現於世[謂芬皇之陳那浮石寶蓋。以至洛
山五臺等是也]。西域名僧降臨於境。由是倂三韓而爲邦。掩四海而爲家。(現代語訳)他界の菩
薩がこの世に現れて[これは芬皇寺の陳那と浮石寺の寶蓋。もって洛山の五臺などをいう]、西域(天
竺)の名僧が境内に降臨した。これによって三韓を併せて一つの国として、四海をおおって家とした」。
64)『三國遺事』卷四 義解五 歸竺諸師条「天竺人呼海東云矩矩吒䃜說羅也。矩矩吒言鶏
也。䃜說羅言貴也。(現代語訳)天竺の人は海東(新羅)を呼ぶのに矩矩吒䃜說羅といったが、矩
矩吒は鶏のことであり、䃜說羅は貴のことである」。 65)『三國遺事』卷二 紀異二 駕洛國記条「妾是阿踰陀國公主。(略)一作夢中。同見皇
天上帝。謂曰。駕洛國元君首露者。天所降而俾御大寶。乃神乃聖。惟其人乎。且以新家
邦。 未定匹偶 。卿等湏遣公主而配之。 言訖升天 。(現代語訳)私 は阿踰陀國の 姫である。
59)
23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こには、皇天上帝が阿踰陀國(印度)の王の夢に現われ「駕洛國の王は天が命じたものだ
から、王女を嫁に送れ」と告げた記事がある。この記事に関連して、同じ駕洛國記条
に、駕洛國の始祖首露が皇天上帝の命によって王となる記事66)が載せられている。この
記事と前の記事が対応し、天竺と韓半島が皇天上帝の命によって結ばれ、国を創っていく
物語が成立する。 さらに、塔像篇の皇龍寺九層塔条67)に、新羅の王の祖先を印度とする記事がある。こ
れも印度と韓半島の王が血と仏教で結ばれていることを示している。これらは全て、仏教と
いう一つの世界の中に印度と韓半島が共にあることを、語っているのである。
最後に、天竺関連の結論ともいえる記事が塔像篇の前後所將舍利条にある。
『三國遺事』前後所將舍利条:大敎東漸。洋洋乎慶矣哉。讚曰。華月夷風尙隔
煙。鹿園鶴樹二千年。流傳海外眞堪賀。東震西乾共一天。68)
(現代語訳)大敎(仏教)が東方へ広がってきたことは、限りなくめでたいことである。讚に曰く、
「華月(中国)と夷風(東方)、互いに煙波を隔て、鹿園の鶴樹二千年を経たり。海外(東国)
に流伝したことはまことに慶賀である。東震(東国)と西乾(印度)は一つの天を共にする」。
即ち、「東震(東国)と西乾(印度)は一つの天を共にする」と、韓国 (中国 )印度三国
が一つの世界にあると語る。これは、日本が中世に持ち得た「三国世界観」と酷似する
ものである。
中世を代表する『日本書紀』の註釈書として一条兼良の著『日本書紀纂疏』があ
る。この『日本書紀纂疏』は当時流行していた三国世界観をそのまま受け入れ、そこに日
本の位地を求めている。つまり、世界を天竺(インド)․震旦(中国) 本朝(日本)の三国
は、それぞれ経(天竺)․漢籍(震旦)․神書(本朝)に記されているように各々別々の世界
の始まりを持つが本質的には三国は一つの世界であり、それは経の説く宇宙論に基ずく世
界であることを確信し納得する仏教的世界観である。69)経(天竺)の説くところと、儒教․道
教(震旦)のいうところと、『日本書紀』(本朝)で述べるところが同じということは、すべては
(略)昨夜の夢の中で、皇天上帝にお会いした。(皇天上帝が)おっしゃるに、『駕洛國王の首露
は天が降して王位に就かせたものであり、この人こそは神聖そのものである。新しく国を治めている
が、未だ配偶者が決まっていない。卿達は姫を遣わしてその配偶者としなさい』。言い終わると天に
昇っていかれた」。 66)『三國遺事』卷二 紀異二 駕洛國記條 「皇天所以命我者。御是處。惟新家邦。爲君
后。爲玆故降矣。(現代語訳)皇天が私に命じるに、『ここに国を新しく建てて、(私にここの)君主に
なれ』。故に、いまここに降りてきたのだ」。
67)『三國遺事』卷三 塔像四 皇龍寺九層塔条 「文殊又云。汝國王是天竺刹利種王。預受
佛記。(現代語訳)文殊がまた云うに、『汝の(新羅の)國王は天竺の刹利種族の王で、かねてから
仏記(仏の予言を記した文)を受けていた』」。
68)『三國遺事』卷三 塔像四 前後所將舍利条 69) 前掲書「古事記と日本書紀」 p.p.38~41
別個の古代史『三国史記』と『三国遺事』 ······································································ 朴 正 義…239
一つの中にあるということである。天竺であれ、震旦であれ、同じ世界である。価値を共
有する世界、普遍的世界といえる。その世界の中にあるものとして日本を位置づけるのであ
る。70)さらに、吉田兼倶71)は『日本書紀纂疏』を基にして『日本書紀』神代巻を講釈
した時に、聖徳太子の言葉として「仏教はもと神道という(本朝の)種子から出て(天竺で始
まり)、文字という枝葉によってささえられ(震旦で)花開き、それが日本に戻った」と説き、む
しろ価値の源は日本にあると主張した。
『三国遺事』においてどうであるか。先に述べた前後所將舍利条「仏教が天竺に興
り、それが中国に伝わり、最後に韓半島に伝わった」は、一見仏教的世界の中でその価
値の源泉を天竺とし韓半島を末端に位置づけているようであるが、古朝鮮の檀君の存在に
よってその位置は逆転する。即ち、古朝鮮が「桓雄(帝釈天の子)降臨」により開かれた
仏教教化の世界の中に建国され、かつ檀君が帝釈天の孫であることを最初に確認した72)
ことで、仏教的世界での価値の源泉として天竺 中国に対し自分たちの立場を主張するの
である。檀君が桓雄の子即ち桓因(帝釈天)の孫であることが、ここで意味をもつ。
さらに、『三国遺事』義湘伝敎条の記事を見れば、次にように書かれている。
『三国遺事』義湘伝敎条:儼前夕夢。一大樹生海東。枝葉溥布。來陰神州。上
有鳳巢。登視之。有一摩尼宝珠。光明屬遠。73)
(現代語訳)智儼が前日の夜夢をみると、海東(韓国)に大樹が生えて枝と葉が茂り、それ
が延びて神州(中国)を蔽い、その上に鳳の巣があった。登ってこれをみると、一個の摩尼
宝珠があり、その光明が遠くまで照していた。
「海東(韓国)に大樹が生えて枝と葉が茂り、それが延びて神州(中国)を蔽い、その上
に鳳の巣があった」との話は、それまでの仏教的世界の中心だった中国に変わって、韓半
島が中心になることを暗示するものである。これは新羅時代の話とされているが、その後中
国が元に征服されることにより、中国の仏教的世界での中心的地位が崩壊したという歴史
的事実を踏まえ、高麗時代に作り直された説話ともとれる。
これ以外にも、『三国遺事』には仏教の中心地が天竺 中国から韓国に移ることを暗
示する説話が、多く収録されている。例えば、「皇龍寺丈六条」74)に、仏教の発祥地
70) 前掲書「古事記と日本書紀」 p.p.44~46
71) 吉田兼倶(かねもと)(1435ー1511)神祇官の家である卜部氏から出て、その家学を大成し、吉田神
道を確立したもの。
72) 朴正義(2007)「三国遺事が語る世界の始まり」 日本文化学報 34輯 韓国日本文化学会
73)『三國遺事』卷第四 義解第五 義湘伝敎条
74)『三國遺事』皇龍寺丈六条:未幾 。 海南有一巨舫 。 來泊於河曲縣之絲浦 。 檢看有牒文
云。西竺阿育王。聚黃鐵五萬七千斤 黄金三萬分。將鑄釋迦三尊像。未就。載舡泛海而祝
曰。願到有緣國土。成丈六尊容。幷載模樣一佛二菩薩像。……南閻浮提十六大國 五百中
國 十千小國 八萬聚落。靡不周旋。皆鑄不成。最後到新羅國。眞興王鑄之於文仍林。像
成。……後大德慈藏西學到五臺山。感文殊現身授訣。仍囑云。汝國皇龍寺。乃釋迦與迦
24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印度において造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仏像が、さ迷ったあげく仏教発祥1300余年後、新羅
に到り完成するという記事がある。印度で完成できなかった仏像が新羅でようやく完成され
たということは、仏教隆盛の地として印度より韓半島が適切な地であることを示すものであ
る。さらに、仏教発祥以来さ迷ったあげく新羅に到着したのは、新羅が最初からその適地
であることを示すものでもある。また、「前後所將舍利条」75)に、天から仏の歯が中国に
もたらされたが、道教の隆盛とともに無用となり捨てられようとしたところ、それを高麗人が本
国に持ち帰り伝えたという記事がある。仏教の隆盛としての中国はすでに失われ、その中心
が韓国に移ることを暗示した説話といえる。
このように、『三国遺事』は仏教の世界の中に自国を位置づけることによって、将来仏
教の中心地が天竺から中国そして韓半島へ移り、韓半島は未來永劫にわたって仏に護ら
れる国となることを主張している。仏教的世界の源泉であるという主張も、これら全て、韓半
島を帝釈桓因の孫檀君が最初に開いたことによって意味を持つ。
天竺の始まりは記されていないが、中国の始りは「尭帝」という語により、尭帝が名を連
ねる三皇五帝76)を踏まえて『三国遺事』に示されている。韓国 中国 天竺は別々にじまり
葉佛講演之地。宴坐石猶在。故天竺無憂王。聚黃鐵若干斤泛海。歷一千三百餘年。然後
乃到而國。成安其寺。蓋威緣使然也[與別記所載不同](現代語訳)まもなく南の海から巨船一隻
が、河曲縣の絲浦に来て停泊した。(船の中を)檢げてみると、公文があって、(そこに)「西竺(印
度)の阿育王が、黃鐵五萬七千斤と黄金三萬分を集めて、釋迦三尊像を鋳造しようとしたが完成で
きなかったので(仕方なく)船に載せて海に浮かべてだすが、願わくば因縁のある國土にいって、丈六
尊が完成できますよう。一の佛像と二つの菩薩像の模型も併せてのせる」と書かれてあった。……そ
れを船に載せ、海に浮かべて南閻浮提(南方の印度国)十六大國と、五百中國、十千の小國、
八萬の村落をくまなく回ったけれども、みんな鋳造に失敗した。最後に新羅國に到着した。眞興王が
文仍林において鋳造して完成し、(仏像の)相好(顔付き)も完備した。……その後、大德(高僧)の
慈藏が西方に留学し五臺山に至ると、文殊が現身して秘訣(秘密の方法)をくれながら、こうたのん
だ。「汝の国の皇龍寺は釋迦と迦葉佛が講演したところの地であって、宴坐の石がなおも残ってい
る。故に天竺の無憂王が黃鐵若干斤を集めて海に浮かべ、一千三百餘年をへた後に、はじめて
汝の国(新羅)に到着し、その寺を完成させた。思うにこれは偉大な因縁がそうさせたのである」。
75)『三國遺事』前後所將舍利条:崇奉左道。時國人傳圖讖曰。金人敗國。黃巾之徒 諷日官
奏曰。金人者佛敎之謂也。將不利於國家。議將破滅釋氏 坑諸沙門 焚燒經典。而別造小
舡 載佛牙泛於大海。任隨緣流泊。于時適有本朝使者 至宋聞其事。……密授佛牙。……
使臣等旣得佛牙來奏。於是睿宗大喜。奉安于十員殿左掖小殿。(現代語訳)左道(道教)を崇
奉するようになった。その時、國の人が「金人が国を滅ぼす」という圖讖(予言)を伝えた。黃巾(道
教)の徒が日官(気象庁の役人)を動かして「金人というのは佛敎をいうのであって、将来国家にとっ
てよからぬものとなるでしょう」と申し上げた。(そのため)朝廷の議論は釋氏(仏教)を破滅させ、經典
を焼き、別に小さい船を造って、それに仏牙を載せて大海に浮かべ、どことなりとも勝手に行かせよう
とした。その折、ちょうど本朝(高麗)の使者が宋に来ていて、その事を聞き付け、……こっそり仏牙を
もらいうけた。……(高麗)の使臣達はその佛牙をえてから帰ってきて(そのことを)申し上げた。そこで
睿宗が大いに大喜び、(それを)于十員殿の左側の小殿に奉安した)。
76) 三皇五帝は、中国の最初の世襲王朝夏の以前の時代とされる神話伝説時代の帝王で、三皇は神、
五帝は聖人としての性格を持つとされている。三皇は、以下のような5説がよく知られている。天皇 地
皇 泰皇(人皇)(『史記』秦始皇本紀)、伏羲 神農 黄帝(西晋 皇甫謐『帝王世紀』)、燧人
伏羲 神農(『礼緯含文嘉』ー『風俗通』皇覇篇に引く)などの諸説がある。五帝は、まとまった記
別個の古代史『三国史記』と『三国遺事』 ······································································ 朴 正 義…241
発展するが、仏教が最後に韓半島に傳教することにより、つまり「大敎(仏教)が東方へ広
がってきたことは、限りなくめでたいことである」を受けて、「東震(東国)と西乾(印度)は一
つの天を共にする」と仏教のもとに世界は一つになるのである。
中国の存在を無視することによってはじめて高句麗を中心とした世界観を確立しえた『広
開土王碑文』77)、中国中心の世界に入ることによって自国を保障した『三国史記』78)。
どちらにしても中国から自由ではなかったが、『三国遺事』は仏教という普遍的世界観の
中ではじめて中国に対し自由でいられ、中国を中心とする世界観から抜け出てた世界観を
確立することができたといえる。
『三国遺事』は、元の侵略による国家存亡期に、仏教の普遍的世界の中で自らの存
在を確証した。
Ⅳ.おわりに
現在の歴史書も、今の時代を保障し未來への方向性を示すべく、そこに虚偽を含む。
このことは、金日成ー金正日体制を保障すべく書かれた北朝鮮の歴史書79)を例に挙げる
までもなく、韓国においても軍事政権時代の歴史教科書を見れば一目瞭然であろう。時代
時代によって歴史書の記述が変化するのはこのためである。過去に遡れば遡るほど、それ
は顕著といえる。
『三国史記』は、中国を中心とする世界観のもとに、中国の正当性を受けた新羅を継
承する事によって、高麗王朝の正当性を確証した。『三国史記』の主題は、王朝の正
当性を保障することであったと言える。それに反し、『三国遺事』の時代は、蒙古に侵略
され、王朝の正統性の保障というようなレベルでなく、もっと根本から国家と民族を見直さな
ければならなかった。つまり、韓民族の存続自体が問われた時期であった。そこに『三国
遺事』があったといえる。『三国遺事』の主題は、仏教の普遍的世界観のもとに、仏教
的世界での価値の源泉として天竺 中国に対し自分たちの立場を主張する自己確証であっ
た。
録としては、司馬遷の『史記』であり、黄帝 顓頊 帝嚳 堯 舜となっている。これ以外に小昊 顓
頊 帝嚳 唐堯 虞舜(『帝王世紀』)などの説があるが。ともかく、堯帝は伝説上の聖君としてあらわ
れある。
77)『広開王碑文』にあらわれる天下観においては、中国は存在せず、そこには百済 新羅をはじめ高句
麗に支配される国々だけが存在する。
78) 朴正義「韓日古代神話と中世神話にあらわれた世界観の比較」『日本文化学報』12輯 韓国
日本文化学会 2002年 p.p.283~287
79) 1866年金日成主席の曾祖父金膺禹先生はじめピョンヤンの人民、『シャーマン』号を大同江に撃
沈」(鄭晉和編(1992年)「朝鮮史年表」雄山閣 p.45)
24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このように二つの史書は、それぞれの時代の要求によって、それぞれの世界観のもとに、
古代史を作り出してきた。『三国史記』と『三国遺事』の古代史は噛み合わないにもか
かわらず、この二つを合わせ韓国の古代史を形作ってきた。即ち、日本で『古事記』と
『日本書紀』を張り合わせて古代史を創り出してきた過ちを、韓国の古代史においても冒
すものである 。 さらに 、 韓日古代史 を 語 る 時 、 日本側 の 資料『古事記』『日本書
紀』、韓国側の資料『広開土王碑文』『三国遺事』『三国史記』は、お互いの資
料が噛み合わず、むしろ韓日古代史を混亂させている結果を招来している。互いを対照す
ることによって、古代史を解明することはできない。
古代東アジアは、中国王朝が世界の中心であるという価値観即ち中華思想の基に秩序
が保たれ、それを統括していたのが中国の皇帝である。その政治機構が冊封制度で、こ
の冊封制度とは中国国内の封建制度を周辺諸国まで拡大したもので、周辺諸国の君主
が中国皇帝に朝貢することによって皇帝から臣下として「王」「公」「候」に冊封される
制度をいう。これには朝貢の義務が課せられるが、冊封され臣下になることによって諸国の
君主たちは中国を中心とする世界においてその地位が保障された。古代の韓国と日本も中
国の冊封制度の中にいたと中国の歴代の史書に記されている。つまり、中国皇帝のもと
に、諸国の君主が互の関係を保つことによって秩序が維持された世界観である。
しかし、中国を中心とする世界観は外の問題で、東アジアの諸国は内にあっては中国か
ら独立した世界観を模索し続けてきた。特に東アジアの当時の先進国であり現在にまでその
国体を維持してきた韓国․日本は、それが顕著といえる。これを現在にまで物語っているの
が、日本では『古事記』『日本書紀』、韓国では『広開土王碑文』『三国遺事』
『三国史記』である。これらの書は確かに歴史書としての形式を保ってはいるが、書かれ
た時期の国家の理念を完成するのを目的として記されており、つまり書かれた当時の国家の
保障と永遠の繁栄を祈念すべく書かれたものといえ、そこに語られているのは正確な古代史
とは言い難い。さらに、それぞれ編纂された時代の相違から歴史に対する要求がことなり、
それぞれ別々の古代史を作り上げてきたといえる。神話を「一元的神話論」80)で考えてき
た過ちを改め「多元的神話論」でもって考えなければならないように、「史書」も「多元
的歴史論」として見なければならない。少なくとも古代中国文化の影響下にあった東アジア
ではそうである。
80) 過去の神話研究方法というのは、元々一つの神話というものが存在し、それからいろいろな神話が派
生したことを前提とする一元的神話論に基づくものであった。つまり、『古事記』に現れた神話も『日
本書紀』に現れた神話もまた他の神話も、元々同じ神話でありかつ同じ意味を持つものとして考え、さ
らに『古事記』神代全体としての意味を考えるのではなく、部分部分それぞれに独立した意味があると
考えるものである。このため『古事記』神代を解釈するにおいて、それと似かよった他の神話例えば
『日本書紀』神巻などの部分部分を引用し、さらに他国の神話まで引用するなどして、本來『古事
記』が持つ意味を大きく離れ、結果として新しい神話を作り出してきたと言える。これに対し、全て別々
の神話と見る「多元的神話論」が主流となってきた。
別個の古代史『三国史記』と『三国遺事』 ······································································ 朴 正 義…243
【参考文献】
神野志隆光(1999)『古事記と日本書紀』 講談社現代新書
金思燁(1997)『完訳 三国遺事』明石書店
李弘植篇(1992)『韓国史大事典』教育国書
河炫綱(1989)『韓國中世論』新丘文化社
河炫綱(1989)『韓國中世史硏究』一潮閣
韓㳓欣(1976)『韓国通史』学生社
李佑成 姜万吉(1976)『韓國의 歷史認識 上』 創作 批評社
民族文化硏究所篇(1984)『三國遺事硏究上』嶺南大學校出版部
◎『三国遺事』(年代順)
崔南善訳『三國遺事』崔南善 民衆書館 1954年8月
崔南善編『増補 三国遺事』瑞文文化社 1999年2月(1954年8月)
姜仁求 金杜珍 金相鉉 張忠植 黄浿江訳『註釈三国遺事』Ⅰ Ⅱ Ⅲ Ⅳ(韓国精神文
化研究院) 以文化社 2003年
◎『三国史記』(年代順)
井上秀雄訳『三国史記1 2 3 4』平凡社 1980 1983 1986年
金鍾權訳『新完譯 三國史記上・下』明文堂 1988年6月
24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要旨
『三国史記』の問題は、対外的なものでなく、あくまでも国内において高麗王朝の正統性を
いかに保障するかであった。このため『三国史記』は、中国を中心とする世界観のもとに、中
国の正当性を受け継いだ新羅を継承した国として、高麗王朝の正当性を確証した。『三国史
記』は歴史をそのように著わした。
それに反し、『三国遺事』の問題は、王朝の正統性保障というレベルでなく、蒙古に侵略
され国家民族の存亡の危機に際し、国家民族をいかに保障するかという対外的なものであっ
た。『三国遺事』には、仏教発祥の地天竺と韓半島が関連する説話が多く収録されてい
る。即ち、『三国遺事』は、仏教という世界のもとで中国は勿論天竺までいれた世界的な視
野で、国家民族を保障しようとしたのである。これは、日本が中世に持ち得た「三国世界観」
と酷似する。日本の「三国世界観」は、天竺 震旦 本朝それぞれの世界の始りの知識をも
つなかで、「天竺 震旦 本朝はその世界の始りは異なるが、仏教という一つの世界にある」と
語るのがそれである。『三國遺事』も、「東震(東国)と西乾(印度)は共に一つの天なり」(前
後所將舍利条)と韓国 中国 印度三国が同じ世界あると語り、仏教の普遍的世界観の中で
自己の存在を確認するのである。『三国遺事』は歴史はそのように著わした。
このように、『三国史記』と『三国遺事』は、別々の世界観の元に著わされた古代史とい
える。つまり、別々の古代史である。それにもかかわらず、現在も『三国史記』と『三国遺
事』を張り合わせて、韓国古代史を創り続けている。これは、日本において『古事記』と
『日本書紀』を張り合わせ日本古代史を創造してきた誤りを踏襲するものである。
キーワード:三国史記』 『三国遺事』 仏教の普遍的世界観 『古事記』 『日本書紀』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재확정일 : 2015. 7. 4
근세 일본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1)
-네덜란드동인도회사의 등장과 선교사의 무역개입을
중심으로 이 덕 훈**
(e-mail: [email protected])
2)
目
次
Ⅰ. 시작하는 말
Ⅱ. 선행연구와 연구범위
Ⅲ. 포르투갈과 네덜란드의 동방무역의 진출
1. 동방무역의 선구자 포르투갈의 향료무역
2. 네덜란드의 등장과 동방무역
Ⅳ 근세일본에서의 서양과의 접촉
1. 노부나가의 서양문화의 호기심과 그리스도교의 증가
2. 다카야마우콘과 히데요시의 파테렌 추방령
3. 도쿠가와 시기의 나가사키무역과 예수회의 개입
Ⅴ. 예수회 선교사의 2개의 얼굴-성직자와 무역인
1. 재무담당신부 프로쿠라도르(Procurador)의 역할
2. 재무담당신부 프로쿠라도르의 무역개입
Ⅵ. 맺는말
Ⅰ. 시작하는 말
일본과 포르투갈의 접촉은 1543년 포르투갈 무역선이 다네가시마( 種子
島) 에 표류한 이후 1639년의 포르투갈船 來港禁止 의 봉서발령에 이르기까지
* 본 논문은 2015년도 한남대학교 교비학술연구조성비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음.
** 한남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국제 경영학
24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96년간이라 하겠다. 복서(Charles. R Boxer) 는 사비에르가 일본의 薩摩(사츠
마)에 도착한 1549년을 크리스찬 세기의 시초로 보고 있다.1) 따라서 처음으로
일본에 서양문물을 전래한 것은 예수회 선교사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마카오(포르투칼)-나가사키무역은 1571년 이후 1639년의 70년 정도
의 기간을 지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571년 나가사키(長崎)항구가 포르투갈
에 개항되면서 무역이 시작되었다. 이 해부터 나가사키는 포르투갈선의 정기
기항지가 되었고 1580년에는 영주 오무라 스미타다(大村純忠)에 의해서 예수
회에 기증되어 포르투갈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그리고 7년 후인 1587년에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는 선교사추방령을 발포하였고 다음 해인 1588년
에는 예수회의 교회령이었던 나가사키를 히데요시의 직할령으로 하였으나 나
가사키에서의 무역은 계속되었다.
1603년의 에도(江戶)막부성립 후에도 나가사키(長崎)에서의 무역은 중요시되
어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는 나가사키를 막부직할령으로 정해, 나가사키
부교를 두어 감독하게 했다. 16 세기 후반의 포르투갈선에 의한 독점적인 무역
체제는, 에도 막부에 의한 슈인센(朱印船)무역선 제도의 개시나, 중국선의 무역
의 증가 그리고 네덜란드의 등장과 히라도(平戸)를 통한 무역의 개시 등에 의
해서 점차 쇠퇴해 간다. 또한 1636년에는 막부의 키리시탄 금제의 강화에 의
해서 나가사키에 데지마(出島)가 구축되어져 포르투갈인은 여기에 격리되었다.
그리고 3년 후의 1639년에는 포르투갈선의 일본의 출입이 금지되어 70년간 계
속된 마카오-나가사키(포르투갈) 무역은 종료되었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마카오를 거점으로 나가사키로 통하는 생사의 무역 과
정을 살펴보고 이시기에서의 일본에서의 포르투갈의 예수회의 선교와 무역의
발전과 종교박해 등의 과정을 분석해본다. 특히 네덜란드동인도회사의 등장으
로 마카오의 생사무역의 독점이 위태해지는 상황과 예수회 포교를 목적으로
생사무역에 관여했던 선교사의 개입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제2장에서는 마가오-나가사
키의 생사무역에 관한 선행연구와 연구범위를 제시하고 제3장에서는 포르투갈
과 동방무역의 진출과 갈등에 관해 살펴보기 위해 제1절에서는 동방무역의 선
구자 포르투갈의 동방무역의 발전배경을 분석하고 제2절에서는 네덜란드 동인
도회사(VOC: Vereenigde Oostindische Compagnie)의 설립과 동방무역의 진
출과정을 고찰한다. 제4장에서는 근세일본에서의 서양과의 접촉에 대해 제1절
1) C.R Boxer는 그의 저서 일본의 크리스찬 세기(The Christian century in Japan
1549-1650) 에서 사비에르가 일본에 도착한시기를 그 시초로 보고 있다. Charles Ralph
Boxer. The Christian century in Japan 1549-165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1.
근세 일본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 ······························································ 이 덕 훈…247
에서는 노부나가의 서양문화의 호기심과 그리스도교의 증가, 그리고 선교사들
의 진출과정과 포르투갈의 무역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2절에서는 히데요시의
종교와 무역에 관한 갈등배경과 키리시탄 영주인 다카야마 우콘의 등장과 파
테렌 추방령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분석하고 제3절에서는 도쿠가와 시대의 생
사무역에서 등장한 팡카다(Pancada)가격과 이토왓푸제도(糸割符制度)의 도입,
생사무역에서의 예수회 신부의 무역개입에 알아보았다. 제5장에서는 예수회 선
교사의 두 개의 얼굴 즉, 성직자와 무역인 으로서의 역할을 알아보고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에서의 재무담당신부인 프로쿠라도르(Procurado)의 역할
과 무역개입에 분석하였고 제6장 결론에서는 본 논문의 요약과 결론을 맺고자
한다.
Ⅱ. 선행연구와 연구범위
1.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에 관한 선행연구
근세 일본에서는 중국의 생사(生絲)에 대한 수요가 컸기 때문에 일본의 권력
자들은 마카오와의 교역을 위태롭게 만들지 않기 위해 초기에는 종교를 묵인
하고 그들의 존재를 자발적으로 받아 들였다. 비록 도요토미 히데요시나 도쿠
가와 이에야스 두 통치자들 모두 선교사의 포교를 일본통치권과 그들이 새로
취득한 권위에 대한 잠재적인 위협으로 여겼지만 둘 다 생사(生絲)무역으로부
터 축적되는 이익을 위해 종교적 위협을 기꺼이 참았다.
마이클 쿠퍼(Michael. Cooper) 는 생사 무역이 없었다면, 일본과 서양 사이
의 초기의 무역관계는 매우 짧았을 것이고 96년 동안 계속되지 않았을 것이라
고 하였으며 구조적으로는 선원들뿐만 아니라 기독교 선교사(신부)들도 실제
로 생사무역에 참여했다고 주장하고 있다.2)
찰스 복서( Charles Ralph Boxer) 는 일본제품보다는 중국의 생사나 비단
이 뛰어 났기 때문에 일본권력층의 중국의 비단수입을 원했으며 이에 대한 지
출로서 일본산 은의 교역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매년 한두 번 갈레온船을 통
해 600,000쿠루사드 (Cruzado)의 일본산 銀이 거래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3)
플린과 하랄데스( Dennis O. Flynn; Arturo Giraldez) 는 17세기의 은과 비
단의 교역으로 알려진 마닐라 아카풀코 갈레온 무역시기에 등장한 마카오-나
2) Michael. Cooper, The Mechanics of the Macao-Nagasaki Silk Trade, Monumenta
Nipponica ,Vol.27,no.4,1972.p423.Sophia University,
3) Charles Ralph Boxer, The Great Ship from Amacon — Annals of Macao and the Old
Japan Trade, 1555-1640, Lisbonne, Centro de Estudos Historiées Ultrama- rinos, 1959
24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가사키무역과 이 무역이 종료되는 1639년 이후의 마카오의 생존 항로이며 생
사연결로인 마닐라-마카오무역에 대해 논하였다. 4)
죠앙 파우로 (Oliveira e Costa Joao Paulo)는 1597년부터 1617년까지의 마
카오와 나가사키의 무역을 연구를 하였는데 이시기의 마카오-나가사키 무역로
를 중심으로 1587년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파테렌(선교사)추방령과 도쿠가
와 이에야스의 등장배경과 그이후의 무역과 종교에 대한 변화를 논하였다. 5)
다카세(高瀬 弘一郎)는 일본 예수회의 포교에 대한 경비의 조달에는 여러 방
법이 있었으나 가장 주된 방법은 마카오의 생사(生絲)를 취급한 무역이었으며
이 수입이 교회경비의 2/3를 조달하였다고 주장하였다6) 그리고 마카오 -나가
사키의 생사무역의 총거래액과 생사의 거래량, 그리고 생사가격을 년도별, 국
가별 즉, 스페인, 포르투갈 화폐와 네덜란드화폐와의 가격을 비교 하여 당시의
국제적 흐름으로서의 생사와 은을 비교 설명하였다. 7)
토조( Natália Tojo)는 일본으로부터 추방되는 포르투갈무역에 대해 네덜란
드선원의 눈으로 인식된 상황, 즉, 무역과 종교를 세트로 교역을 했던 포르투
갈과는 달리 조용히 무역만 했던 네덜란드의 입장을 설명하였다.8)
구리하라(栗原福也)는 네덜란드동인도 회사가 국제적 상품으로 등장한 생사
를 아시아지역에서 생사를 대량으로 매입했을 뿐 아니라 서유럽사회에서도 판
매를 위해서 포르투갈과 경쟁을 벌여 네덜란드동인도 회사의 주요상품으로서
의 생사무역에 대해 설명하였다.
프탁(Roderich Ptak)과 신용철은 1513년부터 1640년간의 포르투갈의 극동무
역은 일본 권력층의 가톨릭의 수용반대로 1597년, 1613년, 1616년 1636년의 그
리스도교 탄압으로 이어져 비단의 수용은 증가하였으나 생사무역은 위협의 기
로 에 있었으며 종교보다는 무역만 일관했던 네덜란드에게 점차 밀려 마카오
무역은 쇠퇴하였다고 주장하였다.10)
9)
4) Dennis O. Flynn; Arturo Giraldez, Silk for Silver: Manila-Macao Trade in the 17th
Century, Philippine Studies vol. 44, no. 1 (1996): 52–.68
5) João Paulo Oliveira e Costa. A ROUTE UNDER PRESSURE. Communication
Between Nagasaki and Macao. (1597-1617). New University of Lisbon.
6) 高瀬弘一郎著『キリシタン時代の貿易と外交』、p.328、八木書店、2002
7) 高瀬 弘一郎, マカオ=長崎間貿易の総取引高・生糸取引量・生糸価格『社会経済史学』 48巻 1号, 社会
経済史学会,1982年 5月.pp51-84.
8) Natália Tojo, THE Anxiety of the Silent Traders. Dutch perception on the
Portuguese banishment from Japan. Bulletin of Portuguese Japanese Studies,
Universidade Nova de lisboa, 2000, pp111-128.
9) 栗原 福也, 連合東インド会社と生糸, 『史論 』35, 東京女子大学1982 pp40-55,
10) Roderich Ptak, 신용철, 포르투갈 극동무역의 성쇠 (成衰) - 1513∼1640년간 마카오와
일본을 중심으로, 『동양사연구』,22집, 동양사학회,1977,PP151-155.
근세 일본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 ······························································ 이 덕 훈…249
나카다(中田易直)는 마카오-나가사키무역의 주요상품인 생사(生絲)는 매년
16-20만斤 정도로 한정 수입되어 포르투갈은 5배-10배의 이익을 얻고 있었고,
이러한 생사의 독점적 이익을 저지할 목적으로 에도막부는 교토・사카이・나
가사키의 상인에 이토왓뿌 나카마(糸割符仲間)를 결성시켰다11)고 주장하고 있
다.
알바레스 탈라드리즈( Jose Alvarez-Taladriz) 는 포르투갈의 일본과의 생
사교역은「마카오에 거점을 두는 포르투갈의 무역조합인 아루마상계약
(armação contract)은 일본에로의 생사의 연간 수출량을 1,600 피컬로 한정한
다는 1610년의 자료를 통해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 일본에서는 이토왓푸 (糸割
符)가 생성되고 주요거래는 팡카다(Pancada)로 불리는 일괄매각 방식으로 이
루어졌음을 주장하였다.12)
와카스치(若土正史) 는 17세기 초 네덜란드의 방해로 본국의 자금공급이 끊
어져 지금까지의 중국-일본과의 생사를 중심으로 삼각무역을 유지하기 위해
포르투갈 상인들은 그 자금의 대부분을 일본의 거상들로부터 빌리게 된다. 이
때 등장한 것이 나게카네(投銀)라고 주장하였다.13)
마츠다케 (松竹秀雄)는 일본상인들이 17세기초 포르투갈 상인들에게 돈을
빌려주는 방식을 서양의 Respondentia와 비슷하다고 하였으며, 침몰, 해적 등
의 포획으로 인해 무역선이 귀항하지 않을 경우에는 원금 이자를 받을 수 없
지만 무사히 귀항한 경우 에는 고율의 이자를 약속한 것으로 이를 일본형의
投銀이라고 주장한다.14)
상술한 연구들을 보면 마이클 쿠퍼(Michael. Cooper), 찰스 복서( Charles
Ralph Boxer), 플린과 하랄데스( D『ennis O. Flynn; Arturo Giraldez)는 은과
비단의 교역을 중심으로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을 보았으며 죠앙 파우로
(Oliveira e Costa Joao Paulo), 다카세(高瀬 弘一郎)등은 일본예수회의 포교에
대한 경비의 조달로서의 생사 무역이었음을 가톨릭교회 사료중심으로 접근하
였다. 토조( Natália Tojo), 쿠리하라(栗原福也), 프탁(Roderich Ptak)과 신용철
등은 포르투갈의 독점무역이었던 생사무역이 네덜란드동인도회사의 등장으로
마카오무역은 쇠퇴하였다고 주장하였다. 나카다(中田 易直) , 알바레스 탈라드
리즈( Jose Alvarez-Taladriz)등은 팡카다(Pancada)의 일괄매각방식에 대응하
11) 中田 易直, 糸割符仕法の起源, 『中央史學』, 創刊号,中央大学文学部,1977, pp3-8.
12) Jose Alvarez-Taladriz, マカオ・長崎間貿易船のアルマサン契約に関する一六一〇年の資料
野間一正訳,『キリシタン研究』 第12輯, キリシタン文化研究会,1967
13) 若土正史,ポルトガルにおける大航海時代の海上保険と日本,『海事交通研究』62券, pp83-92,
2013 山県記念財団
14) 松竹秀雄, 朱印船時代とそれ以後の長崎の海外貿易 (1).『経営と経済』, 69卷(2), pp.168-169,
1989年 9月. 長崎大学経済学会
25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기 위해 이토왓푸 (糸割符)제도를 도입하였음을 무역사적으로 접근하였다. 와
카스치(若土正史) 마츠다케 (松竹秀雄) 등은 보험 또는 투기적 접근으로서의
나게카네(投銀) 즉, 포르투갈상인에게 돈을 빌려주고 높은 이자를 취하는 마카
오-나가사키무역과 이에 투자한 일본상인들을 연구하였다.
즉, 선행연구들이 노부나가, 히데요시, 도쿠가와시대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
무역을 글로벌화의 초기단계로서의 은과 비단의 교역, 교회사료 중심적 접근으
로서의 생사무역,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등장, 팡카다(Pancada)와 이토왓푸(糸
割符)등의 상업사적 접근, Respondentia와 투은 등의 보험학적 접근으로 논하였
다. 그러나 근세일본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이 어떻게 등장, 발전하였으
며 포르투갈과 네덜란드의 경쟁에서 일본이 어떻게 생사무역에 접근하였고 파테
렌(선교사)이 생사무역에 접근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의 연구는 아직 없다.
2. 연구의 범위
1570년대는 세계무역에 있어서 중요한 시기이다. 1571년에 시작된 마닐라 갈
레온무역과 1571년에 개항된 나가사키항구는 마카오(포르투갈)-나가사키(일본)
무역이 주를 이루는데 이들을 연결시킨 것은 1570년대에 시작된 중국의 일조
편법(一條鞭法)이었다.15) 일조편법이란 여러항목으로 되어 있던 세금제도를 하
나로 정비하여 銀으로 납부하게 하는 조세제도로 1580년대에는 전 중국이 이
제도로 움직이는데 이는 은의 세계화로 이어지며 유럽과 중국, 인도, 일본 및
동남아는 銀으로 무역을 하게 되는 글로벌화의 초기단계를 이루게 된다.
이시기의 동서양의 무역의 하나인 마카오-나가사키무역은 무역, 포교 그리
고 문화적소통의 상호관계가 혼합된 복합적요소로 이루어진 것은 물론이고 더
욱 중요한 요인은 중국과 일본, 포르투갈, 스페인, 그리고 네덜란드사이에 이뤄
진 국제적인 정치경제적인 교역이었다는 점이다. 아울러, 16세기와 17세기에
마카오와 나가사키무역은 일본인과 중국인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포르
투갈인에 의해 행해졌으며 그 무역의 주체는 생사(生絲)였으며 상업적인 중요
성 그 이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1550년대 부터 마카오와 일본무역은 성립되지만 1571년의 나가사키개항으로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은 꽃을 피우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포르투갈과
일본의 총포 무역기(1543년-1582년))와 히데요시의 파테렌추방령과 무역기
(1582년-1598년) 도쿠가와의 등장과 키리시탄 탄압기(1598-1640)로 나누어 분
석하기로 한다.
15) 이덕훈, 스페인 식민지시기의 필리핀에서의 중국계 메스티조의 등장과 역할, 『동남아
시아연구』24권4호, 2014,11,p252
근세 일본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 ······························································ 이 덕 훈…251
Ⅲ. 포르투갈과 네덜란드의 동방무역의 진출
1. 동방무역의 선구자 포르투갈의 향료무역
1497년 포르투갈 왕 마누엘 (Manuel) 1세의 명을 받아 바스코 다 가마 (Vasco
da Gama)는 리스본을 출항하여 남아프리카의 희망봉을 돌아, 1498년 5월 20일 인
도의 캘리컷(Calicut)에 도착하였다. 이들은 “그리스도와 향신료를 위해(christos e
espiciarias!)”라는 표어로 그리스도교 전도와 향신료무역을 위해 이 항로를 개척하
였다. 이로써 포르투갈이 인도무역을 독점하는 길이 열렸다. 이 항로는 ‘인도 항로’
라 불렸으며 유럽인이 아시아에서 활약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16)
포르투갈의 바스코 다 가마가 인도에 도착하기 전 몇백년 간 향료 무역은 베네
치아 상인들이 독점하고 있었다. 15세기 말에 베네치아에 입하하던 향료가 극단적
으로 감소하고 가격은 급등하였다. 예를 들면, 1497년까지 후추(胡椒)가격은 1 hw
당42-48 두카트(ducat)였는데 1499년에는 2배가량의 80 두카트, 1500년에는 130 두
카트까지 급등하였으며, 정향 (丁香)과 육계(肉桂) 와 육두구(肉豆蔻) 등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17) 15세기 말의 이른바 대항해 시대에 유럽의 아시아 진출이 시작되
었는데 1498년 바스코 다 가마(Vasco da Gama) 는 희망봉을 돌아 인도 서남의 후
추해안으로 불렸던 말라바르 해안(Malabar Coast)으로 부터 대량의 향신료를 를
갖고 돌아가면서 베네치아의 향료무역은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포르투갈의 해외진출은 포르투갈 왕실의 생존이 걸려있을 정도로 중요하게 생각
하여 1507년 무역을 총괄하는 기관으로서 설립된 왕실의 직속기관인 카사 다 인디
아 (casa da india: 인도상무원)가 설립되어 향료를 취급하는 인도관, 금을 취급하
는 미나(mina)18)관, 노예를 취급하는 노예관의 3부문으로 나뉘어져 관리되었다.
1508년 네덜란드의 안트웨르펜(Antwerpen)에 카사 다 인디아의 대리점을 배치하
여 유럽지역의 향신료를 취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유럽의 상인들은 향신료의 주문
처를 베네치아에서 안트웨르펜(안트워프)으로 점차 바뀌어가면서 베네치아의 향신
료무역은 쇠퇴해간다.
카사 다 인디아 의 역할은 아시아, 아프리카의 각지에 산재해 있는 상관에서 보
내진 향료, 금, 사탕 등의 상품을 수집하여 프랑스의 플랑드르 상관으로 보내져 유
럽의 각 시장에 매각하여 대금을 은으로 받아 이를 각지의 상관에 다시 보내지는
16) 이덕훈, 글로벌무역으로서의 마닐라 갈레온 무역과 중국인과 일본인의 교역, 『일본문
화학보』제62집, 2014년 8월,p264.
17) V. M Gordino,1953, le repri venetian et egyptien et la route du cap 1496-1533, in
Eventail del' histoire vivante , hommage a lucien febure 2, 1953.p289 과 ヴァスコ・
ダ・ガマのインド航海記,大航海時代叢書, 第1『航海の記録』,岩波書店 ,1965,pp450-457.
18) 지금의 아프리카의 가나에 있는 엘미나 를 지칭함.
25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집산지역할을 포함한 소위 해외무역의 중추기관이었다.19)
아사다 미노루(浅田実) 는 카사 다 인디아 는 재분배 기업체, 즉 군사력의 이
용과 지배를 통하여 지배하의 상품(후추,향료)을 집합시켜 이것을 상인들에게
재분배하는 기관 이었다고 주장하였다.20)
이런 이유로 포르투갈의 인도 총독 알부케르케(Alfonso de Albuquerque)는 1505
년 실론(Ceylon)를 점령한 후, 1510년 인도의 고아(Goa)와 1511년에는 말레이
(Malay) 반도의 말라카(Malacca)를 점령하여 동방무역의 향료무역을 장악했다.
1512년, 알부케르케는 향료제도로 불리는 몰루카(Moluccas) 제도에 도착해 이곳 사
람들과 직접 교역하면서 육두구와 정향(丁香)무역을 독점하여 곧 베네치아 향신료
무역을 능가했다.21) 1515년에 포르투갈은 호르무즈 해협(Strait of Hormuz) 등의
식민지를 쟁탈하면서 향료무역에 앞장섰고, 16세기에는 세계의 정향 무역을 지배했
다. 포르투갈이 무역면허증과 통행증에 해당하는 카르타즈(cartaz) 제도를 후추를
나르는 선박에게 주면서 카르타즈의 수를 제한하며 무역을 독점하였다.22)
16세기의 포르투갈의 향료무역은 년도 별로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1503년 리스본의 후추입하량은 15,000퀸탈(quintal: 1,500톤)이었고,23) 1504년부터
1509년 까지는 다소 뒤쳐진 12,000퀸탈을 기록하였지만24) 12년 뒤인 1515년-1518
년에는 20,000-30,000퀸탈을 그리고 약 50년 뒤인 1550년대 후반에는 30,000-40,000
퀸탈로 성장하였다.25) 16세기 후반(1587-88년)이 되면서 유럽의 향신료수요는 배로
증가하여 인도산만 으로는 부족하게 되었다. 이것을 보충하기위해 등장한 것이 동
남아시아의 후추였다.26)
동방제국기(Suma Oriental)의 저자 토메 피레스(Tome Pires) 는 포르투갈의 아
시아 점령 후 얼마 되지 않아 1511-1512년과 1512-1515년에 말라카에 체류 한 기
록 속에 당시의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각지의 후추의 생산과 무역에 관한 귀중한
기록이 포함되어 있다. 이 기록에 의하면 말라바르(Malabar)지방의 연간 후추생산
19) 金七 紀男 ,『ポルトガル史』,増補版. 彩流社 2003, pp104-105
20) 浅田実, 『商業革命と東インド貿易』, 法律文化社,1984,p61
21)増田義郎,ポルトガルとアジア(1)『国際関係紀要』第8巻第2号,亜細亜大学国際関係研
究所,1999. pp35-37
22) 김동엽,15-16세기 동남아 해상무역의 특성과 변화: 포르투칼의 진출과 영향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연구』 21권2호, 2011 ,pp22-23.
23) 1 퀸탈은 100kg
24) Jan Kieniewicz (1969), “"The Portuguese Factory and Trade in Pepper in Malabar
during the 16th Century,”" India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Review 6: 61-84.
25) 山田憲太郞,『東亜香料史硏究』,中央公論美術出版,1976,p259.
26) Anthony Reid: Southeast Asia in the. Age of Commerce, 1450-1680. Vol. n:
Expansion and crisis, xv,. 390 pp.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
1993.pp9-10.
근세 일본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 ······························································ 이 덕 훈…253
량은 약 3,750톤 정도의 후추가 생산되고 있었다고 추정하며27) 이 생산량은 세계의
후추 생산량의 40%정도로 추정하고 있다.28) 또한 16세기말의 네덜란드 항해가 린
스호텐(J.H.van Linschoten)은 1580년대 당시의 포르투갈 무역선에 의한 후추 연간
수송량을 2,000톤 내지 2,400톤으로 추정하고 있으며29) 말라바르지방의 2/3는 포르
투갈로 수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동아시아로 향하는 포르투갈은 고아(Goa)를 시발지로서 유럽과 아프리카의
상품과 인도의 제품을 적하하여, 말라카를 경유하여, 마카오로 향했다. 포르투
갈인은 1543년 프란시스코 사비에르의 일본도착이래 14년이 지난 1557년에 마카오
의 거주권을 중국으로부터 인정받자 마카오를 기지로 일본무역에 적극적으로 나
서기 시작하여 많은 포르투갈선이 1571년에는 마카오-나가사키무역이 시작되었다.
포르투갈은 아시아진출 초기부터 이지역의 무역을 원칙적으로 국왕의 독점적경
영하에 두었지만 1550년경부터 對中國 및 일본무역을 국왕 또는 고아총독이 임명
하는 항해와 무역의 총책임자로서 전권대사격인 카피탕 모르 (capitao mor)의 통제
하에 운영하기로 하였다.30) 카피탕 모르는 포르투갈의 왕으로부터 임명되어 무역
의 이익을 관리하여 마카오체류 중에는 마카오 최고의 행정권, 사법권을 장악하고
일본체재 중에는 일본에 체류 중인 포르투갈인 에 대해 같은 권리를 행사하거나
일본에 대해서는 공사 겸 영사의 위치에 있었다.
포르투갈은 아시아지배의 중심지로서의 리스본-고아- 말라카-마카오- 나가사키
로 이어지는 정기항로가 이어지면서 마카오와 나가사키의 아시아무역은 카피탕 모
르의 관할 하에 놓여 매년 600- 800톤의 대형범선이 거의 1척 또는 2척의 정크를
동반하여 일본항구에 입항하는 것이 관례였다. 16세기 후반의 일본은 조선으로부터
의 회취법(灰吹法)이라 불리는 銀정련기술도입으로 은을 생산하여 세계유수의 銀
생산국으로 등장하였고 중국의 비단과 교역된 銀은 매년 2만-2만5천 Kg에 달했다
고 한다.31) 이 액수는 점점 상승하여 17세기 초에 이르면 일본에서 해외로 나간 銀
은 년간 15만kg 까지 상승했다고 추정되고 있다.32)
17세기의 일본의 銀 생산량은 세계의 銀생산량의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대
27) 「Tomé Pires, "Suma Oriental" トメ・ピレス 『東方諸國記』, 生田滋・池上岑夫・加藤栄
一・長岡新治郎譯注(大航海時代叢書),p182.
28) 山田憲太郞,『東亜香料史硏究』,中央公論美術出版, 1976, p242.
29) Jan Huygen van Linschoten, Itinenan voyage of schipvaertnaer Dost ofle PortzrgaelS Indien,Amsterdam,1596.岩生渋沢、中村訳注『リンスホーテン、東方案内
記』大航海時代叢書皿、東京、岩波書店、1968年,p762
30) Charles Boxer, The Great Ship from Amacon. Annals of Macao and the Old Japan
Trade, 1555-1640 (Lisbon:) Centro de Estudos Histo ricos Ultramarinos, 1959; pp8-11
31)リンスホーテン『東方案内記』岩生成一・渋沢元則・中村孝志訳、岩波書店、大航海時代叢書
8,1968, p250.
32) 岩生成一, 『朱印船貿易史の研究』, 吉川弘文館,1958,p329
25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량의 은을 생산하여 아시아의 은의 수출국으로 등장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銀생산
은 포르투갈(마카오)을 나가사키로 끌어들이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2. 네덜란드의 동인도회사(VOC)의 등장과 동방무역
네덜란드는 세계최초의 주식회사인 네덜란드 동인도회사(V.O.C)가 설립되기 전
인 1594년에 9명의 암스테르담 상인에 의해서 설립된 원격지 회사(원거리회사:De
Compagnie van Verre:Voorby Capodi Bona Sperunza)가 있어 동양무역에 종사하
고 있었다. 이 회사는 9인의 사원으로 구성되어 총독(stadthoulder)과 연방의회로부
터 여러 가지 많은 상업상의 특권을 받아 상선대(商船隊)를 조직하여 1595년에는
동인도를 출발하여 1597년에 귀항하였다.33) 1597년 말에는 암스테르담에서 新암스
테르담 동인도회사(Nieuwe Compagnie te Amsterdam)가 설립되어 연방회의와 호
란토 (Holland) 주회에서 각종의 특권이 주어지면서 상선대의 준비가 완료되면서
앞의 원격지회사(선구회사)와 합병되어 구회사(Oude Compagnie)가 설립된다.34)
이 구회사는 1598년초에 상선대를 파견함과 동시에 1600년에 이르기 까지 4회의
항해를 실행하였다. 또한 1599년 8월에 암스테르담의 상인들에게 중국과의 무역특
권을 주어진 신 브라반트회사(Nieuwe Brabantse Compagnie)가 설립되어 1599년
말에 상선대를 보냈다. 그리고 1600년에 이르면서 구회사와 신 브라반트회사가 합
병하여 암스테르담의 시정부로부터 동인도 무역독점권을 부여받은 연합암스테르담
동인도회사(Verenigde Oostindisch Compagnie te Amsterdam)가 성립되어 상선대
를 파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 65척이 15개의 상선대로 나뉘어져 동인도를 향해 출항하였다.
그러나 이 회사들이 서로 경쟁적이다 보니 동인도의 후추, 향료 등의 매입가격의
등귀와 암스테르담에서도 이들 수입상품의 판로가격의 하락세를 보여 네덜란드의
상업자본은 이익을 위해 동인도무역에 종사하는 각종의 기업을 합병할 수밖에 없
었다. 기업합병의 결과 세계최초의 주식회사 형태의 네덜란드(연합)동인도회사
(VOC:Verenigde Oostindisch Compagnie)가 설립되었다.35)
네덜란드 동인도회사(VOC:Verenigde Oostindisch Compagnie)는 1602년 3월 20
일에 올덴바르네페르트(Johan van Oldenbarnrevelt)에 의해 네덜란드에서 출발되었
다.36) 또한 정식으로는 네덜란드 의회(Staten-Genraal)로 부터 네덜란드 동인도회
사에게「특허」(Octrooi)가 주어진 날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특허」(Octrooi)란,
33) 大塚久雄, 『株式会社発生史論』 ,大塚久雄著作集〈第1巻〉,岩波書店, 1969年,pp,334-335.
34) 이덕훈 .네덜란드의 동방무역과 동인도회사의 발전과 역할,『경제연구』 20집, 한남대학교
경제연구소,2015년2월.p26.
35) Kerry Ward, Networks of Empire: Forced Migration in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pp126-128.
36) 이덕훈 .네덜란드의 동방무역과 동인도회사의 발전과 역할,p25.
근세 일본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 ······························································ 이 덕 훈…255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게 남아프리카 희망봉 동쪽의 모든 지역에 거래상의 독점권
을 21년37)간 주어지는 것을 지칭하며 다른 의미로는 「특허회사」(Geoctrooieoer
de compagnie)라고도 하여 이「특허 회사」로 지정된 된 날이 네덜란드 동인도회
사 창립의 날이기도 한다.38)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는 1603년 2월25일 조호바루(Johor Bahru) 해안근처에서 포
르투갈의 산타카타리나( Santa Catarina) 호를 나포했는데 네덜란드 국내가격으로
225만 굴덴(gulden)이 넘는 거액의 생사가 적재해 있었다. 생사는 다음해인 1604년
여름에 암스테르담에서 경매에 부쳐졌는데 유럽에서 압도적인 성공을 거둬 암스테
르담은 유럽의 생사시장으로 등장하게 되었다.39) 따라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성
립 직후부터 생사는 향료와 함께 동방무역의 가장 중요한 상품이 되었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는 17 세기의 최성기에는, 나가사키로부터 동남아시아, 인도
대륙, 페르시아까지 50개소 이상의 요새나 상관을 갖고 있었다.40)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포르투갈 왕실주도의 카사 다 인디아와는 다른 어디까지나 영리를 주목적
으로 한 기업이다. 나가사키 데지마(長崎出島)와 교역을 하고 있던 주최는, 국가인
네덜란드가 아니고, 기업으로서의 동인도회사이며, 「네덜란드 상관장은 외교관은
아니고 기업의 최고경영자였으며 포르투갈의 거점인 마카오의 공격이나 대만 점거
(1622년)로 나타난 것처럼 군대를 보유한「무장商社」이기도 했다. 해양 대국으로
서 빛났던 17세기의 네덜란드는 당시의 유럽 11개국의 보유하는 배에 필적하는 소
유 선박 수(1만5천척)를 자랑하고 있었다.
1500년부터 1599년 까지는 포르투갈이 705척을 아시아로 보낸 것에 비해 네덜
란드는 65척으로 상대가 되지 않았으나 동인도회사 설립 후 인 17세기에는 1,770
척으로 포르투갈의 약 5배로 증가하였다. 17세기의 동방무역은 네덜란드 동인도회
사(VOC)에 의해 움직이고 있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18세기에도 네덜란드의
선박수가 2,950척으로 17세기와 비교하여 67% 증가하였다. 전체유럽의 선박수인
6,691척의 44%를 차지하여 최대의 아시아무역국으로 등장하게 된다.41)
네덜란드 동인도회사(VOC)는 단지 아시아로부터 향신료나 생사와 은의 중계무
역시스템이 아니고,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정보 교류의 회로이기도 하였다. 네
덜란드 동인도회사의 목표는 향료 무역을 독점하는 것 이었다.42) 이 목표를 달성할
37) 후에 21년 마다 갱신되어 사실상은 1799년까지 계속되었으며, 이 독점권은 후에, 화폐 주조
권, 군대, 사법, 행정에 대해 무제한하게 주어졌음
38) Wil O. Dijk, Seventeenth Century Burma and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1634-1680 ,Singapore: Singapore University Press, 2006.,p 58.
39) Kristof Glamann,. Dutch-Asiatic Trade, 1620- 1740,. Copenhagen-The. Hague, 1958, p13.
40) 이덕훈. 네덜란드의 동방무역과 동인도회사의 발전과 역할,,p19.
41) Angus Maddison, The World Economy : A Millennial Perspective Paris:OECD
Publications, 2001. p.63.
25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수 있도록 네덜란드는 향료제도(몰루카제도: 말루쿠제도)로부터 잉글랜드와 포르투
갈을 쫓아냈지만 향료무역만으로는 생존하기 어렵게 되면서 1603년 이후부터 네덜
란드 동인도회사(VOC)가 결국 마카오-나가사키무역에 등장하면서 아시아지역내의
무역에 진입하며 나가사키의 은과 마카오의 생사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한편 포르투갈은 케이프타운-고아-말라카-마카오등의 항구도시를 발전으로
성장했지만 1590년대에 발전한 네덜란드는 1602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VOC)
가 포르투갈의 항구도시를 하나씩 점거했지만 마카오만은 공격에 실패하여 마
카오-나가사키무역은 1639년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가톨릭포교를 두려워한 일
본막부에 의해 포르투갈은 축출당하고 나가사키의 데지마는 1641년부터 1859
년까지 일본에서 유일하게 네덜란드동인도회사의 무역만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Ⅳ. 근세일본에서의 서양과의 접촉
1. 노부나가의 서양문화의 호기심과 그리스도교의 증가
일본과 서양과의 최초의 접촉은 1543년(天文12년) 8월 포르투갈 무역선이 가
고시마(鹿児島)의 다네가시마(種子島)에 표류하여 조총을 전해준 것으로 포르투
갈인이 일본에 처음 온 것에 관한 일본 측의 자료는 南浦文之의 鐵炮記43)이다.
1546년에도 포르투갈 무역선 3척이 사츠마(薩摩)에 정박(碇泊)한 기록44)을
보면 이 시기에 이들은 총포무역을 하려고 온 것으로 파악된다. 서양인과의 접
촉은 총포무역으로 간헐적으로 있었던 것은 사실이나 무엇보다도 일본인에게
서양의 문화를 피부로 느끼게 해준 것은 그리스도교(가톨릭)와의 만남이었다.
1549년 8월 15일 프란시스코 사비에르(St. Francis Xavier)는 토레스(Cosme
de Torres) 신부와 페르난데스(Juan Fernández) 신부 등 3인과 일본인 신자
야지로(弥次郞)를 포함한 7명의 일행(인도인, 중국인 봉사자 등)들과 일본 최
남단 사츠마(薩摩)에서 표류하며 가톨릭을 전도하기 시작했다. 1년 뒤인 1550
년 8월, 사비에르 일행은 히젠 히라도(平戶)에 들어가 선교 활동을 실시하였으
며, 1562년 요코세우라(横瀬浦)의 개항과 1563년 오무라(大村)의 영주 오무라
스미타다(大村純忠)가 세례를 받음으로 그리스도교(가톨릭)가 큐슈의 서쪽지방
42) 이덕훈, 네덜란드의 동방무역과 동인도회사의 발전과 역할,p20.
43) 난포분시(南浦文之) (玄昌) 가 저술했음。1607年에 다네가시마 히사도키(種子島久時)의
의뢰로 조부 다네가시마 도키다카(種子島時堯)가 처음으로 鉄炮를 받아들인 사적(事跡)
을 기념하기 위해 기술되었다. 『南浦文集』에 소장되었음.
44) 岡本良知『長崎開港以前欧舶来往考』日東書院,1932年,P13, 松竹 秀雄, 朱印船時代と
それ以後の長崎の海外貿易 (1). 『経営と経済』長崎大学経済学会 1989年 9月. p165.
근세 일본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 ······························································ 이 덕 훈…257
에 뿌리내리기 시작하였다.
1564년에는 히라도(平戶)에 포르투갈 무역선이 정박했지만 선교사 루이스 프
로이스( Luís Fróis)의 허가 없이는 입항할 수 없었다. 히라도의 영주인 마츠
라 다카노부(松浦隆信)는 포르투갈 무역선의 입항을 재촉하지만 포르투갈은
지금까지 그리스도교에 대한 배격행위를 사과하고 교회의 건설을 승인하도록
요구하였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다카노부는 이 조건에 따를 수밖에 없었
다.45) 즉, 다카노부는 무역을 위해서 그리스도교의 포교를 인정한 것인데, 당
시 전국다이묘의 영국(領國)경제에서 포르투갈과의 무역은 가장 중요한 수입
원이었다. 포르투갈무역선의 입항후 그리스도교의 포교를 묵인하면서 단기간
내에 당시로서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거액의 이익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
이다. 특히 포르투갈상인이 갖고 온 화승총과 화약의 군수품입수는 영지쟁탈전
의 성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일 이었다.
예를 들면 그리스도교를 열심히 보호하고 스스로도 키리시탄(그리스도교 신자)
이 된 아리마 하루노부(有馬晴信), 오무라 스미타다(大村純忠), 오토모 요시시게(大
友義鎭)등은 포르투갈과의 무역이익을 영국(領國)경영의 기본정책으로 한 키리시
탄 영주였다. 분고(豊後) 1개국의 영주였던 오토모 요시시게(大友義鎭)가 약10년
뒤인 1576년에는 5개국의 영주로 된 것은 뛰어난 군사력의 뒷받침인데 이를 지탱
해준 것은 포르투갈의 총포무역 때문이었다. 그리스도교 포교와 세트로 이루어진
포르투갈무역은 근세 일본에서 이렇게 영주 중심으로 출발할 수밖에 없었다.
1568년 9월,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는 상경하면서 막부 본가의 혈통의 아
시카가 요시아키(足利義昭)를 옹립하여 14대 征夷大将軍이 되게 만들었다.
1570년에 프로이스는 노부나가를 알현하여 포교허가를 얻고, 교토에 남만교회
인 永祿寺를 건립하기도 하였다. 이 같은 노부나가의 예수회 보호정책은 전국
의 가톨릭교의 포교에 큰 영향을 끼쳐 신자는 급증하였다. 1581년의 일본인 예
수회신자는 15만명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46)
1571년에 나가사키 항구가 개항되면서 1571년부터 1640년간의 일본의 나가
사키와 포르투갈의 마카오를 연결한 것은 비단과 은의 교역이었다. 1600년까지
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은 일본 측의 생사를 중심으로 한 영주들의 소
비적 욕구에 의해 포르투갈의 독점적 이익을 암묵적으로 묵인하였다.47)
노부나가는 남만의 화승총(火繩銃)의 성능을 중시해, 1575년 나가시노 전투
(長篠の戦い)에서는 3,000정의 조총을 이용해 당시 최강의 다케다 가츠요리(武
45) ルイス・フロイス『日本史 』제25장, 東洋文庫.
46) 村上直次郞 譯 『耶蘇會の日本年報』.第1輯 拓文堂, 1943, p33.
47) C.R. Boxer, South China in the Sixteenth Century (1550-1575)
: Hakluyt Society, Second Series: 106, pp179-181
25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田勝賴)의 기마대에 대승리를 거두면서 포르투갈에 대한 평가는 더욱 높아졌
다고 하겠다.48) 또한 노부나가는 당시의 불교의 부패에 대한 분노, 특히 일향
종(一向宗)에 대한 그의 증오는 대단했다고 한다. 우선 일향종과 노부나가와의
전투는 1570年 10월 11일부터 1580년 4월 20일까지 약 10년간에 이뤄지면서
종교로 인한 전쟁 때문에 일본의 통일이 늦어져서 초조해있던 노부나가는 전
략적으로도 구 불교세력에 대응하는 참신한 새로운 종교를 원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의미에서 노부나가는 일본의 불교승려가 결혼하고 아들에게 주지직을
세습시키며 종교적 권력과 세력이 커지는 것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반
대로 서양의 예수회 선교사들이 결혼도 하지 않고 남루한 복장으로 신앙만을
지키는 모습을 높이 평가하기에 이르렀다.49) 또한 노부나가는 갈레온 무역선,
지도, 조총 등의 새로운 무기 등을 높이 평가하여 키리시탄에 대해 매력을 갖
게 되었고 포교에 적극적이지는 않았지만 묵시적 후원자가 되었다.
큐슈지역의 키리시탄 영주의 오무라 스미타다(大村純忠)도 본인의 영지의 백
성을 강제적으로 그리스도교로 개종시키면서 영내의 절과 신사를 파괴했다. 오
무라 스미타다는 키리시탄을 우대 하는 과정에서, 영내의 나가사키의 토지(현:
나가사키항구 주변부)와 모기(茂木)( 현: 나가사키시 모기마치)를 예수회에 기
부까지 하였다. 스미타다는 1580년 4월27일에 예수회와의 사이에 다음과 같은
4개의 항목을 계약하며 나가사키를 예수회에 기증한다.50)
1. 예수회에 나가사키・모기(茂木)를 영구히 무상 증여한다.
2. 파드레(사제)가 선택한 사람에게 사형을 포함한 재판권을 준다.
3. 입항하는 선박의 입항세, 정박세를 영구히 준다.
4. 다만, 포르투갈선 등이 항구에 입항하는 배로부터의 물품 수입세는 우리(오
오무라)에게 유보한다.
이렇게 해서 나가사키는 예수회령이 되면서 포르투갈령의 마카오와의 무역
은 더욱 발전하였고 그리스도교 신자는 계속 증가하기에 이르렀다.
2. 다카야마우콘과 히데요시의 파테렌 추방령
1582년 6월에 노부나가의 가신인 아케치 미츠히데(明智光秀)의 모반 (혼노지
48) 이덕훈 ,글로벌무역으로서의 마닐라 갈레온무역과 중국인과 일본인의 교역,p274.
49) 이덕훈, 대항해시대의 일본의 남만무역과 그리스도교, 『기독교문화연구』,19집,2014,.한
남대학교 기독교문화연구원,p20.
50) 이덕훈, 대항해시대의 일본의 남만무역과 그리스도교,p26
근세 일본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 ······························································ 이 덕 훈…259
의 변: 本能寺の変)으로 노부나가(織田信長)가 사망하면서 권력은 히데요시에
게 집중되어 히데요시의 천하가 된다. 1560년부터 1582년의 노부나가시기의 포
르투갈인의 일본진출과 특히 교토에의 진출은 노부나가의 협력 없이는 불가능
했으므로 노부나가의 죽음은 그리스도교로서는 일본에 적극적으로 정착할 기
회를 놓쳤다고 볼 수 있다.51)
히데요시의 집권기인 1584년 6월 포르투칼의 정크선이 마닐라에서 마카오
로 귀환도중 히라도(平戶)에 정박하게 된다.52) 이 배에는 스페인의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신부가 승선하고 있었는데 히라도의 번주인 마츠라 시게노부(松浦鎮
信)는 이들과 접촉 후 가톨릭포교를 인정하고 그들을 통해서 포르투갈이 아닌
새로운 강대국 스페인의 식민지인 필리핀 총독과의 수교를 요구한다.53)
이 시기의 일본의 최고 권력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로 바뀌었으며
키리시탄을 묵인했던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원래 오다 노부나가의 정책을 계승
해, 그리스트교 포교를 용인하고 있었다.54)
그러나, 큐슈 평정 후의 1587년 7월 24일, 치쿠젠 하코자키(筑前箱崎)에 체재
하고 있던 히데요시는 포르투갈측의 통상 책임자이며 카피탕・모르인 도민고
스・몬테이로(Domingos Monteiro) 및 당시의 예수회 일본지역의 책임자인 코
엘요Gaspar Coelho)에 대해서 선교사의 퇴거와 그리스트교 선교의 제한을 표
명했다. 소위, 파테렌(선교사:伴天連)55)추방령이라고 하는 키리시탄(切支丹, 가
톨릭신자:Cristão) 금교령을 공포 한다56).
원래 히데요시의 큐슈 평정은 2년 전인 1585년 예수회의 일본 지역 구역
장57)의 가스파르・코엘요(Gaspar Coelho)가 히데요시에 키리시탄 영주를 히데
요시의 편으로 만들겠다고 진언하면서 실현된 것이었다. 오무라・아리마(大
村・有馬) 등의 키리시탄 영주는 사츠마번의 시마즈에 수차례에 걸쳐 위협당
하고 있었으므로, 예수회로서는 히데요시의 큐슈 공격은 키리시탄포교를 위해
서도 더 바랄 나위 없는 기회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키리시탄 영주인 다카야마
우콘(高山右近)은 코엘요(Coelho)선교사의 지시를 따라 헌신적으로 전투에 임
51) Joao Paulo Oliveira e Costa,The Portuguese Presence in the Central Japan,
1560-1582.日埜博司譯, 信長天下平定期の畿内におけるポルトガル人の動静(一五六〇〜一五八
二年) 『流通経済大学流通情報学部紀要』 1(1), 59-90, 1997-03
52) 이덕훈, 글로벌무역으로서의 마닐라 갈레온무역과 중국인과 일본인의 교역,p 275.
53) 『長崎県史』藩政編.
54) 이덕훈, 대항해시대의 일본의 남만무역과 그리스도교,p23.
55) 포르투칼 어로 padre를 말하는데 사제, 신부를 의미하고 사제직에 있는 성직자를 지칭
한다.
56) 神田千里, 伴天連追放令に関する一考察 : ルイス・フロイス文書を中心に.『東洋大学文学
部紀要』.2011,pp65-110.
57) 일본은 준관할구역이었고 코엘요는 예수회의 일본에서의 활동의 최고 책임자였다.
26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했다. 저항하고 있던 사츠마번의 시마즈는 1587년 5월 8일에 히데요시에게 항
복하여 6월 7일에 히데요시는 하카타(博多)에 무사히 개선하였다. 일본전역을
거의 정복했던 히데요시는 큐슈마저 정복하였으나 큐슈각지를 이동하면서 많
은 절과 신사(寺社)가 파괴되고 있는 상황과 이지역의 키리시탄 영주들이 선
교사의 명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을 보고 선교사추방령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
키리시탄 영주의 다카야마 우콘(高山右近)은 본인의 영지인 다카츠키(高
槻)에서 절과 신사를 우상숭배로 간주하여 파괴가 진행되고 있었으며 영주를
통한 대량의 수세(受洗)가 진행되고 있었다. 58)
「우콘(右近)의 영지에는 1만4천명의 키리시탄이 있는데 그중 3,000 명은 금년
에 키리시탄이 된 사람이고 다수의 절과 신사를 파괴하여 몇 개의 교회를 건립해
서 6-7,000명 정도가 세례를 받으려고 하고 있다」
실지 다카야마 우콘이 파괴한 절과 신사는 다음과 같다. 濃味神社 磐手社神
社 金龍寺 安岡寺 本山寺 本山寺 靈山寺 靈佛寺 善門寺 八幡大神宮 春日神社
神峯山寺 山田寺 護國寺 光松寺 高法寺 善福寺 등의 25개의 절과 신사가 파괴
되었다.59)
키리시탄 영주의 활약에 의해 큐슈 평정에는 성공하였지만 키리시탄 들에
의해 절과 신사가 파괴되고 있음을 안 히데요시는 키리시탄 영주인 다카야마
우콘(高山右近)에게 그리스도의 기교(종교포기)를 강요했다. 하지만 신앙심이
깊었던 우콘이 이에 저항하자 히데요시는 키리시탄이 종교를 내세워 국가를
위협한다고 판단하여 우콘(高山右近)을 추방하였다.
일본의 무사도는 주군에게 대해 맹목적인 충성이 본질인데 키리시탄 들은
그리스도교 신앙 속에서 행동하고 단합하였으므로 무사도의 파괴자로 판단하
여 키리시탄을 사교(邪敎)로 보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외에도 히데요시는 본
인의 주군이었던 노부나가가 불교종파인 일향종(一向宗) 때문에 심한 고충을
겪은 것을 보고 종교에 대한 거부감이 우선 작용하였고 또한 서양종교의 이국
신부가 키리시탄 다이묘들을 모이게 할 정도의 종교적인 힘에 대한 거부감이
컸던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키리시탄들이 자기종교를 앞세워 타종교의 종
교시설인 신사와 절을 심하게 파괴 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과 정치적 불안감
이 작용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58) 『十六・七世紀イエズス会 日本報告集』同朋舎出版 ,1996.3-5.174号.p259.
59) 山下洋輔, 高山右近の寺社破壊に関する一考察『早稲田大学大學院敎育學硏究科紀要』,15卷
2号.2008年3月.
근세 일본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 ······························································ 이 덕 훈…261
3. 도쿠가와 시기의 나가사키무역과 예수회의 개입
토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가 1598년에 사망하자 뒤를 이은 도쿠가와 이
에야스(徳川家康)는 즉시 선린외교내지는 적극적인 평화 무역정책을 내세웠다.
슈인센(朱印船)제도60)를 정착화 하여 필리핀으로부터 교역을 요구해 온 스페
인인과 우호적으로 접촉하여 멕시코(누에바 에스파니아), 네덜란드, 영국과도
무역을 원하였다.
막부는 이러한 자세를 취하면서 그리스도교에 대해서는 히데요시 정권이 발
표한 선교사 추방령(1587년)을 파기 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포르투갈, 스페인
그리고 영국, 네덜란드의 국가와 통상 하기 위해서는 그리스도교를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일도 어려웠으므로 이 시기의 막부의 대외 정책은 그리스도교 국가
와의 무역을 중시하는 자세와 그리스도교 금교(禁教)지향과의 2개의 기본방침
의 미묘한 균형에서 막부가 취한 행동은 복잡하였다고 할 수 있다.
마카오에서 일본으로 수출되는 생사의 가격 형성에 대해서 바리냐노
(Alessandro Valignano)의「변박서『弁駁書』(1598年1月)」에 의하면, 「생사
는 중국 에서는 피컬(picul)당 대체로 90 두카트(Ducat)로 매입해 일본에서
140 두카트로 팔리지만, 그중 10 퍼센트는 운임으로 3 퍼센트는 세금으로 지불
해 공제되므로, 피컬(picul)61)당 약 121 두카트(Ducat)로 팔리고 있다」고 기록
하고 있다.62) 마카오와 일본에 있어서의 가격은 조금씩 변동하지만, 1625년의
예로는 133 두카트(Ducat)로 사서 200 두카트로 팔았다고 한다.
이에야스가 사실상 정권을 잡은 세키가하라의 전투(1600년)직후인 1602년에
입항한 포르투갈선의 적하의 구입 가격에 대해 일본인 상인과의 사이에 대립
이 생겼다. 분쟁은 예수회측의 상인과 나가사키 부교와의 대립의 형태로 나타
났지만, 이에야스는 다이칸(대관:代官)의 데라자와 히로타카(寺沢広高)를 그만
두게 하고 무라야마도안(村山当安) 등 키리시탄 5명에게 나가사키의 통치를
맡겨 중요한 문제는 나가사키 통역관의 로드리게스(João “Tçuzu” Rodrigues)
와 예수회 일본 準관할구역장인 파시오(Francisco Pasio)와 상담하도록 명했
다.63)
이러한 이에야스의 호의적 태도에 의해 로드리게스와 파시오도 적극적으로
생사무역에 가담하여 예수회는 나가사키의 통치와 무역 면에서 절대인 권력을
잡았다.
60)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1603년부터 주인장(朱印壯)제도를 실시하는데 막부의 지배자인 쇼
군의 주인장(해외도항허기증)을 받아 해외교역을 하는 선박
61) 1피컬은 60-63kg
62) 高瀬弘一郎著『キリシタン時代の研究』 岩波書店, 1977,p28
63) 小島幸枝『長崎代官 村山等安 その愛と受難』 聖母文庫, 聖母の騎士社,2002, pp28-32.
26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포르투갈선이 나가사키에 기항하게 되는 1년전의 1570년경에 마카오에 아루
마상(armação contract)이라고 하는 생사 수출 조합이 결성되어 일본에의 생사
(生絲) 수출을 독점할 권리를 가지게 되었다. 이들에게는 각각 수출양의 몫
(baque)이 있어 그 총수량은 1,600 피컬 이었다. 그 때문에, 일본에의 생사의
수출은 엄격하게 단속되게 되었다.64)
마카오의 생사는 조합원들이 공동 출하하는 수출규제 상품으로서 하나의 적
하로서 정리되어 품목별로는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나가사키에 있어서는 동
일한 가격 즉 팡카다(pancada) 가격으로 팔리게 되었다. 이러한 조치는, 마카
오에서의 생사의 수출 경쟁을 눌러 일본에서의 생사의 매각가격을 비싸게 유
지하면서, 마카오에 거류 하는 포르투갈의 상인들에게 일정한 영업이익을 보증
하기 위해서 있었다고 보여 진다.
한편, 막부는 포르투갈무역선의 생사거래에 일정한 틀을 제시하였다. 소위
이토왓푸(糸割符)라고 불리는 제도이다.65) 즉 1604년(慶長게이쵸 9년), 막부는
나가사키, 사카이, 교토의 상인들에게 조합형태인 이토왓푸나카마(糸割符仲間)
를 결성시켜 이 세 도시의 유력 상인중 대표자를 선택하여, 이토도시요리(糸年
寄)로 정하여, 이토도시요리는 우선 포르투갈무역선이 갖고 온 생사의 구입 가
격을 결정하여 이것을 일괄 구입하여(생사의 독점적 수입권), 糸割符조합의
상인들에 배분, 판매하는 방법(독점적 도매권)으로 대응하였다.
에도 막부는 마카오의 수출 카르텔인 상술한바와 같이 아루마상 ((armação
contract: 対日生糸貿易組合)에게 배워 수입 카르텔로서의 이토왓푸제(糸割符
制)를 만들게 하고, 수입 가격을 교섭하여 수입가격에 의해 생사수요의 증대와
생사의 매입 경쟁을 제한하려고 했다. 여기서 정해진 가격은 팡카다 가격인 것
만이 아닌 동시에 이토왓푸 가격이기도 했다. 단지, 수입 카르텔인 이토왓푸제
(糸割符制)는 일본인의 수요의 증대로 부터 전면적으로는 제한하거나 기능하
지 는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구매자로서 생사 수입 조직이라고 할 수 있는 이토왓푸조합이 형
성된 것과 나가사키, 사카이, 교토의 세 도시의 이토왓푸 나카마(糸割符仲間)에
게 각각 생사 인수가격을 결정할 수 있게 하였던 점, 그리고 그 대표자로서의
이토왓푸도시요리가 가격 교섭하게 된 것과 여기서 정해진 가격으로 생사가
일괄구입 되면서 이토왓푸제가 계속 상승하고 있는 생사의 수입 가격의 억제
에 기여한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64) Jose alvarez-taladriz, マカオ・長崎間貿易船のアルマサン契約に関する1610年の資料,(野間一
正訳) 『キリシタン研』 第12輯,キリシタン文化研究会 ,p370-374
65) 加藤栄一「成立期の糸削符に関する一考察J (貨月圭吾先生還暦記念会編『日本社. 社会経
済史研究』近世編,1967, pp68-70.
근세 일본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 ······························································ 이 덕 훈…263
1608년 11월, 마카오에 기항한 아리마 하루노부(有馬晴信)의 무역선의 선원과
포르투갈선인 데우스(Madre de Deus) 호의 선원과의 난투극으로 하루노부(晴
信)측의 선원 약 60여명이 살해되면서 적하물건까지 약탈되는 사건이 일어났
다. 소위 데우스호 사건이다.66) 이에 하루노부(晴信)는 1609년 12월 12일, 나가
사키로 생사무역차 방문한 데우스호를 공격하여 침몰시켜 버렸다.67)
하루노부는 데우스호 격침의 공적으로 옛 영토 회복을 시도하여, 주선을 부
탁해 오카모토 다이하치(岡本大八)에게 6,000両이 넘는 고액의 금품을 보냈다.
이것이「오카모토 다이하치(岡本大八) 事件」의 발단이 되었다. 결국 막부로부
터 다이하치(大八)는 1612년 3월에 화형에 하루노부는 할복(切腹)을 명받았다.
하루노부도 다이하치도 키리시탄 이었고 불순한 의도로 나라의 기강을 흔든다
고 판단한 이에야스는 키리시탄에 대해 나쁜 감정을 갖게 되었으며 이는 키리
시탄 금교령을 유발하는 계기가 되었다.68)
이에야스는 1612년(慶長 17년) 3월말, 우선 직할령인 순푸(駿府)에 대해 키리
시탄 금지령을 내렸으며, 4월 21일에 교토에, 9월 1일에는 교토를 포함한 나
가사키에도 그리스도교 금교령을 전달하면서 그리스도교 박해가 시작되었다.
1614년1월 이에야스는 콘치인(南禪寺金地院)승려인 수우덴(崇傳)에게 금교령
을 작성하게 하여 아들인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徳川秀忠)의 이름으로
공표하게 한다. 이것이 소위 게이초 금교령(慶長禁敎令)69)이다.
1614년 11월 키리시탄 의 대추방령이 이루어져 일본의 키리시탄 148명이 나
가사키에서 마카오와 마닐라를 향하여 추방당했는데 그중에는 우콘(高山右近)
과 타다도시(內藤忠俊)등 키리시탄 영주도 포함되어 있었다.70)
1616년 7월에 마닐라 갈레온 무역에 관심 있던 이에야스가 75세에 사망하고 2
대 쇼군 히데타다(秀忠)가 등장하면서 키리시탄의 단속은 한층 더 강화되면서 무
역에도 엄격하게 제한을 가했다. 히데타다는 포르투갈선의 일본입항에 의한 포교
활동을 우려하여 우라가를 폐지하고 나가사키와 히라도에 한정하였다. 이에 따라
서양 선박의 출입은 나가사키(長崎)와 히라도(平戸)의 2개의 항구만으로 제한되
었다.71)
66) 外山幹夫著『長崎奉行 江戸幕府の耳と目』中央公論社 1988.12
長野暹編『街道の日本史50 佐賀・島原と長崎街道』1997. 吉川弘文館
67) 데우스호로 알려졌던 배의 본래 이름은 포르투칼語로 노샤 세뇨라 그라샤((Nossa
Senhora da Graça) 인 것으로 알려졌다
68) C.R Boxer, Notes on the Portuguese trade in Japan during the Kwanei period
(1624-1643)', Shigaku, organ of the Keio Historical Research Society (hereafter
KHRS), 1 (1963).pp4-7
69) 岩生成一. 『朱印船貿易史の研究』 吉川弘文館, 1985 p177
70) 片岡 弥吉, 浦上四番崩れ―明治政府のキリシタン弾圧 ,ちくま文庫,1991. p23
71)張慧珍,徳川家康の駿府外交体制─駿府外交の構想について,『WASEDA RILAS JOURNA
26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1621년, 포르투갈선의 나가사키 입항은 6척이며, 그 적하는 네덜란드 가격으
로 300만 플로린(florin)이상, 일본 銀으로 환산하면 약 8,423貫의 견적이었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VOC)의 히라도(平戸)의 상관장인 캄프스(Leonaldo
Campus)의 1622년의 기록에 의하면, 포르투갈 무역선은 일본으로부터 매년
평균 銀 약120-150만 두카트, 즉 연평균 1만2,000-1만 5,000관을 수출한 것으
로 되어 있다.72)
1622년 사카이(堺)의 상인 히라야마(平山常陳)의 무역선에 마닐라에서 선교
사2명이 잠입해 있다가 적발당해 히라야마와 선교사등 14명이 처형당했다. 이
것이 元和大殉敎 이다.73)
1623년 히데타다의 뒤를 이어 이에미츠(家光)가 3대 쇼군 직을 이으면서 막
부는 포르투갈인에 대해서는 일본 거주 및 일본선의 선원이 되는 것과 일본인
의 마닐라 도항을 금지했다. 마닐라로부터 탁발 수도회를 중심으로 선교사가
계속해서 일본으로 잠입해 오기 때문에 막부는 1624년에는 스페인 왕국 필리
페 4세(1621-1665재위)의 즉위를 고하기 위해서 일본 방문한 필리핀 사절의
에도막부의 인사 및 거래를 금지해 이것으로 마닐라와 스페인과의 국교를 전
면적으로 단절하였다.
1635년에는 일본인의 해외도항과 해외정주일본인의 귀국을 전면적으로 금지
하였으며 1636년에는 나가사키의 바다를 메워 인공섬인 데지마(出島)를 완성
시켜 포르투갈인 들을 이곳으로 이전시켰다.74)
히라도 네델란드상관의 분개장에 의하면, 1635년 네덜란드선 7척은 銀 3,600
관, 銅 26만 9,173근, 동전 1,350만개, 그 외 총액으로 299만 4,372 플로린
(florin) 을 수출했다. 즉, 이 당시의 포르투갈 무역선의 은 수출량은 네덜란드
선의 약 6배반이며, 포르투갈선의 수출한 은의 가액은 네덜란드선의 일본품의
수출총액의 약 2.2배에 해당된다고 기록되어 있다.75)
1637년 12월에는 키리시탄의 시마바라의 난(島原の乱)이 일어나고 5개월 뒤
인 1638년 4월에서야 겨우 진압하면서 키리시탄은 국가전복을 꾀하는 것으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막부는 키리시탄의 단속을 강화하여 키리시탄인가 아닌
가를 조사하는 宗門改를 실시하였고 모든 사람을 절에 소속하게 하여 그 사람
이 불교도인 것을 절이 증명하는 데라우케(寺請)制度가 실시되었다.76) 1년 뒤
L』 NO.1,2013.p18
72)山脇悌二郎稿「近世の対外関係(森克己他編『大系日本史叢書5対外関係史』山川出版社、
1978,p.124-29
73) 浅田毅衛, 鎖国政策下の日本貿易. 『明大商學論叢.』 82巻1号,p36
74) 浅田毅衛, 『鎖国政策下の日本貿易』. p37
75) 山脇悌二郎稿「近世の対外関係」(森克己他編『大系日本史叢書5 対外関係史』山川出版
社,1978,pp.124-129.
근세 일본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 ······························································ 이 덕 훈…265
인 1639년에는 포르투갈의 무역을 금지하고 그리스도교국가와의 국교와 무역
을 완전히 단절하고 그리스도교와 관계가 없는 네덜란드와 중국의 무역선만이
왕래가 이루어졌다.
Ⅴ. 예수회 선교사의 2개의 얼굴-성직자와 무역인
1. 재무담당신부 프로쿠라도르(Procurador)의 역할
예수회는 수도회이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운영되는 것은 예수회 회헌(會憲)에
의해 금지되고 있었다. 그러나 일본예수회는 일본의 포교(전도)를 촉진하기 위
하여 전국각지에 교회, 수도원, 신학교인 코레지오(colegio), 병원, 전도소 등의
약 200개를 넘게 보유했으며, 신부, 수도사, 도주쿠(同宿)77)등을 보살피는 사용
인등 약 500명이 넘는 대가족이었다. 또한, 가난한 자에 의한 자선, 선교지역에
서의 각 영주에 대한 선물과 교통비등을 포함하면 년간 약 1만 2,000두카트
(ducat) 이상의 경비가 필요하였다. 이정도 거액을 일본 예수회만으로 자립적
으로 보충하기는 불가능 하였다.
여기에서 아루마상계약(armação contract)을 기초로 마카오-나가사키무역 간
의 포르투갈상선에 의한 생사무역에 관여해 막대한 이익금을 일본예수회의 경
비에 충당하였다. 그리고 이 생사무역에 관한 생사의 가격결정권을 예수회가
갖고 마카오는 물론, 예수회에서 막대한 이익이 계상되었다.78) 이처럼 매년의
생사무역에 의한 수입의 변화는 예수회의 운영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일본에서 생사무역이 시작된 것은 포르투갈의 상인인 루이스 데 알메이다
(Luís de Almeida)가 일본에서 1556년에 예수회에 입회하면서 이것이 계기가
되어 예수회가 생사무역을 시작하였다고 보고 있다. 카브럴(Francisco Cabral)
은 1571년 9월6일의 서한에서 “이루만79)(irmão, 伊留満) 루이스 데 알메이다가
약 5,000쿠루사드의 거액을 갖고 입회하면서 이 돈으로 인해 일본과 중국(마카
오)에서 악덕한 거래가 시작되었으며 이 무역으로 막대한 수익을 얻게 되었기
때문에 일본예수회내부에서 초기의 청빈한 모습이 사라지게 되었다.”고 한탄하
76) 朴澤 直秀, 近世後期における寺檀関係と檀家組織 : 下越後真宗優勢地帯を事例として,
『史学雑誌 』史学会 104卷6号, 1995年6月, pp1119-1121,
77) 신부나 수도사보다 등급이 낮은 일본인 전도계급
78) Jose alvarez-taladriz, マカオ・長崎間貿易船のアルマサン契約に関する1610年の資料,(野間一
正訳) 『キリシタン研究』 第12輯,キリシタン文化研究会 ,p372
79) 신부보다는 아래계급인 보조수사급, 기독교에서는 전도사격임
26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고 있다.80) 또한, 1570년 일본예수회가 소속하고 있던 인도의 고아(Goa)관구
의 관구장이 예수회총회장 인 비레라(Vilella )에게 다음과 같은 서신이 도착하
였다.
생사무역으로 벌어들인 자금이 점점 커져서 20,000 쿠루자드(cruzado)의 저축이
생겨 인도의 관구장의 이름으로 12,000 쿠루자드가 인도로 보내졌다 81)
12,000 쿠루자드가 보내진 것은 인도의 몇 개의 마을을 자산으로서 취득하여
선교를 위해 자금을 불리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상술한 두개의 서신에서 나
타난 일자를 보면 일본예수회의 생사무역은 1550년대 후반이나 1560년대 초에
시작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1581년에 인도의 고아의 관할구역인 나가사키가 準관할구역으로 승격하면
서 일본의 準관할구역장의 다음 지위의, 재무담당 신부인 프로쿠라도르
(Procurador)를 배치하고 있었다. 프로쿠라도르(Procurador)의 직무는82) 일본
예수회에서 필요로 하는 물자의 조달과 보급과 금이나 은의 보급과 보관 및
각종 장부의 작성, 그리고 수입 및 지출상황의 감사 및 자산의 증대에 관한 직
무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포교(전도)자금의 부족으로 생사를 포함한 일반무
역의 관리와 일본인의 마카오 교역에 대한 중개 알선, 그리고 나가사키에서의
팡카다(pancada 가격)의 결정에 대한 개입 등이 포교보다 더 중요하게 작용하
였다. 이 자리는 포교(전도)비용의 보충과 생사무역개입 등이 필요한 자리로
다른 직무와는 달리 사제로서 고도의 정치적・경제적인 수완이 요구되기에 이
르렀다.
2. 재무담당신부 프로쿠라도르(Procurador)의 무역개입
팡카다(pancada) 가격의 결정에 대한 프로쿠라도르(Procurador)의 개입은 표
면으로서는 금지되고 있었지만 일상적으로는 거의 모든 거래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선교사 죠안・로도리게스는 1601(게이쵸 6)년 이에야스로 부터 교역에
의 참가면허장을 받아 팡카다가격의 통역및 조정에 대해 개입하고 있었다.83)
예수회는, 주로 마카오와 일본과의 사이의 교역에 여러가지 형태로 관련되
80) 高瀬 弘一郎,キリシタン教会の 貿易収入額について,『社會經濟史學』 40(1), 1-24, 1974, p3
81) 高瀬 弘一郎, キリシタン時代、インドにおける日本イエズス会の資産について(上), 『史学』 46(1),
1974 慶應義塾大学 , p45
82) 高瀬弘一郎著, 『キリシタン時代の研究』, p529
83) 岡 美穂子,近世初期の南蛮貿易の輸出入品について,『東京大学史料編纂所研究紀要』18
号,2008年3月, p57
근세 일본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 ······························································ 이 덕 훈…267
어 왔지만, 그 주 형태는 자기 자금에 의한 교역에 머무르지 않고, 예수회의
신용을 이용하여 일본인으로부터 銀을 빌려(投銀), 특정의 물건을 매입하는 교
역의 중개 알선이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마카오의 생사 무역에
의 적극개입 이었다.
예수회의 초기의 교역에 대해서 카브럴(Francisco Cabral)의 1583년 10월 5
일자 마카오발총회장 앞 서한에는, 마카오에서 ‘일본의 프로쿠라도르
(Procurador)인 선교사 소아레스(Miguel Soares)는 콜레지오(colegio)내에 자신
의 거래의 사무실이 있어 그곳에서 상품의 출납을 하고 있었으며 또한 중국
상인도 빈번히 출입하고 있다’ 고 기록하고 있다.84)
프로쿠라도르(Procurador)가 실시하는 교역은 예수회 공인의 교역이었지만,
그 사무소는 파테렌(선교사)의 거래소라고 불렸을 정도로 생사무역에 관여하
고 있었다. 또한 1570년 이전부터 많은 선교사가 비공인의 교역에 손을 대어
돈을 대하다보니 초기의 청빈한 기풍을 잃어, 일반상인처럼 사치의 길로 빠져
들고 있었다.
1590년 8월, 바리냐노가 소집한 제2회 일본 예수회 전체 협의회의 기록에는
일본이 예수회가 실시하고 있는 교역 모델을 나타나고 있다.85)
「일본 항로를 항해하는 중국인들의 범선으로 항상 일정액수의 자산을 보낼 필
요가 있었다. 이것은 1만-1만 2000 크루자드(cruzado)의 이상이었다. 그중 3,000
쿠르자드는 일본 예수회가 유지하고 있는 교회, 사무실, 그 외 모든 포교(전도)
시설에서 사용하는 필요한 의복을 위한 면직물・면직물・모직물을 사는데 소비하
였으며 그 나머지의 돈으로 50 피컬의 생사와 약간의 돈을 매입한다. 그리고 거
기에서 이익을 챙겼다.〔중략〕이 투자에 의해서 매년 대개 3,000 크루자드 까지
이익이 생겼다」
이러한 교역의 거래액이나 이익은 꽤 큰 폭으로 변동하지만, 대개 연간 거래
액 9,000-12,000크루자드 인데 거래이익은 4,000-8,000크루자드이고 이익율은
30-50%를 차지하였다. 이정도의 이익금은 예수회의 연간 경비의 3분의 1에서
3분의 2에 해당되는 거액으로 예수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수입이 되고 있었
음을 알 수 있다.
일본인에 대한 무역의 중개 알선은, 가톨릭 포교의 초기부터 행해져 왔다.
당시 마카오에서는 일본인이 마카오에서 교역 하는 것이 금지되고 있었으므로,
예수회 선교사에게 그 알선을 의뢰하는 것이 가장 유효한 방법 이었다. 예수회
84) 高瀬弘一郎著『キリシタン時代の研究』,p272
85) 高瀬弘一郎著, 전게서, p.610
26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에서도 이렇게 마카오의 무역에 개입하면서 생사무역에 관심이 많은 큐슈지역
의 영주들의 환심을 사면서 포교 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믿음이 있었
다. 다시 말하면 일본 예수회의 재무 내용의 악화, 일본 예수회 수뇌의 방침
의 전환, 국내 정세의 변화 등의 제 요인이 겹쳐, 17 세기 초부터 생사의 중개
무역이 일본예수회의 중요 수입원의 하나로 작용하게 되었던 것이다.
예수회가 막부로부터 이런 종류의 의뢰를 받게 된 것은 시기적으로 일본 예
수회의 재무 내용이 악화되면서 포교자금의 부족으로 고민하였을 시기와 일치
한다. 당시의 일본예수회의 재무담당역할은 準관할구역장 프란시스코・파시오
(Francisco Pasio)와 재무담당신부(Procurador)였던 죠안・로드리게스(João
“Tçuzu” Rodrigues )가 담당하고 있었다. 이들은 일본인을 포교하는 것 보다
는 생사무역으로 이익을 추구하다보니 선교사의 청빈함보다는 무역 중개 알선
으로 인해 거액이 생기면서 상인처럼 행동하고 있었다.86)
이것뿐만 아니라 1620년대 예수회선교사 들의 퇴폐상은 성경중심의 가난한
선교사의 역할보다는 거액을 취급하면서 본인도 모르게 거상처럼 사치스럽게
행동하여 가톨릭 포교에 대한 열의는 없어져가고 있어 선교사의 무역개입 활
동은 예수회뿐 아니라 탁발수도회의 비판까지 등장할 정도였다. 그러나 무엇보
다도 포교대상인 일본의 막부 및 영주들까지도 예수회신부의 사치적인 행동을
비판하면서 일본인들을 그리스도교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Ⅵ. 맺는말
1571년부터 시작된 마카오-나가사키무역은 무역, 포교 그리고 문화적소통의
상호관계가 혼합된 복합적 요소로 이루어졌으며 더욱 중요한 요인은 중국과
일본, 포르투갈, 스페인, 그리고 네덜란드사이에 이뤄진 국제적인 정치경제적인
무역이었다는 점이다. 아울러, 16세기와 17세기에 등장한 마카오와 나가사키무
역은 일본인과 중국인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포르투갈인 에 의해 이뤄
진 중계무역이었으며 그 무역의 주체는 생사(生絲)였으며 상업적인 중요성 그
이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생사무역은 세계사적 사건으로 등장하는데 네덜란드동인도회사(VOC)가
1602년 설립되면서 동방무역에 진입하고 1603년에 포르투갈의 무역선을 나포
86) 高瀬弘一郎, キリシタン時代の日ポ外交におけるイエズス会宣教師.『史学』三田史学会. Vol.70,
No.1 ,2000年 9月 ,pp.73- 76
근세 일본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 ······························································ 이 덕 훈…269
하여 생사를 포획하여 이를 암스테르담으로 가져가 암스테르담을 유럽의 생사
시장으로 만들었다는 점이다. 포르투갈은 1543년부터 진출하여 1549년의 사비
에르의 등장으로 무역과 종교의 일체화로 이뤄져 무역이 시작되었지만 1570년
에 나가사키를 예수회에 기증하여 1571년에 나가사키항구가 개항되면서 마카
오-나가사키는 포르투갈의 아시아간 무역의 한 루트로 등장하였다. 케이프타
운-고아-말라카-마카오-나가사키로 이어지는 포르투갈의 항로는 네덜란드동
인도회사가 등장하면서 포르투갈의 항로가 이어지지 못하여 아시아간 무역(마
카오-나가사키무역)에 한정되기에 이르렀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는 포르투갈
의 항로를 점거하면서 나가사키-자카르타-말라카-케이프타운-암스테르담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아시아-유럽 간의 무역을 개척하였다고 할 수 있다.
마카오-나가사키무역은 노부나가를 거쳐 히데요시로 정권이 바뀌면서 예수
회의 무역개입과 정치개입으로 파테렌 추방령으로 위축되지만 중국의 비단에
관심이 많았던 히데요시의 암묵적 후원으로 생사무역은 계속 이뤄지고 있었다.
히데요시가 사망하면서 등장한 도쿠가와는 생사무역을 중시하여 그리스도교를
묵시적으로 인정하였으나 네덜란드의 등장으로 그리스도교가 포르투갈과 스페
인의 국가정복적인 요소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고 포르투갈의 쇠퇴와
함께 종교보다는 무역에만 관심이 많았던 네덜란드동인도회사에게 관심을 갖
게 되어 스페인과 포르투갈을 축출하게 되었다.
약 70년간 이어진 생사중심인 마카오-나가사키무역은 마카오의 아루마상
(armação contract: 対日生糸貿易組合)에게 배워 도쿠가와 막부는 수입 카르텔
로서의 이토왓푸나카마(糸割符仲間)를 만들게 하였고 여기에 중개인으로서의
재무담당 선교사격인 프로쿠라도르(Procurador)가 일본예수회의 포교를 위한
전도비 구실로 개입하게 되었으며 이것이 일본예수회의 가장 중요한 수입원이
되었다. 이러한 선교사의 생사무역개입은 오히려 그리스도교의 전도 및 엄숙한
신앙인으로서의 신부가 아닌 무역중개인으로서의 상업중시경향은 일본인들에
게 그리스도교를 멀리하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27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참고문헌】
김동엽(2011)「15-16세기 동남아 해상무역의 특성과 변화: 포르투칼의 진출과 영 향을 중심으로」『동남아시아 연구』 21권 2호, pp.22-23.
이덕훈(2014)「글로벌무역으로서의 마닐라 갈레온무역과 중국인과 일본인의 교
역」『일본문화학보』 제62집, p.264.
이덕훈(2014,)「대항해시대의 일본의 남만무역과 그리스도교」『기독교문화연구』
19집, 한남대학교 기독교문화연구원, p.20.
이덕훈(2014) 「스페인 식민지시기의 필리핀에서의 중국계 메스티조의 등장과 역
할」 『동남아시아연구』 24권 4호, p.252.
이덕훈(2015) 「네덜란드의 동방무역과 동인도회사의 발전과 역할」『경제연구』 20
집, 한남대학교경제연구소, p.26.
加藤栄一(1967)「成立期の糸削符に関する一考察」(貨月圭吾先生還暦記念会編『日本
社会経済史研究』近世編, pp.68-70.
岡本良知(1932)『長崎開港以前欧舶来往考』日東書院,p.13.
岡美穂子(2008)「近世初期の南蛮貿易の輸出入品について」『東京大学史料編纂所研究
紀要』18号, 2008年3月, p.57.
高瀬弘一郎著(1977)『キリシタン時代の研究』 岩波書店, p.28.
高瀬弘一郎(1974)「キリシタン 教会の 貿易収入額について」『社會經濟史學』40(1),
pp1-24,
高瀬 弘一郎(1982) 「マカオ=長崎間貿易の総取引高・生糸取引量・生糸価格」『社会
経済史学』 48巻 1号, 社会経済史学会, pp.51-84.
朴澤直秀(1995) 「近世後期における寺檀関係と檀家組織 : 下越後真宗優勢地帯を事例
として」『史学雑誌 』史学会 104卷6号, pp.1119-1121.
松竹秀雄(1989) 「朱印船時代とそれ以後の長崎の海外貿易 (1)」『経営と経済』長崎
大学経済学会. p.165.
山下洋輔(2008)「高山右近の寺社破壊に関する一考察」『早稲田大学大學院敎育學硏
究科紀要』, 15卷2号.
山脇悌二郎稿(1978)「近世の対外関係(森克己他編)」『大系日本史叢書5対外関係
史』山川出版社, pp.124-29.
小島幸枝(2002)『長崎代官村山等安その愛と受難』聖母文庫, 聖母の騎士社, pp.28-32.
外山幹夫著(1988)『長崎奉行 江戸幕府の耳と目』中央公論社. 12.
岩生成一(1985) 『朱印船貿易史の研究』 吉川弘文館, p.177.
栗原 福也(1982) 「連合東インド会社と生糸」 『史論』35, 東京女子大学 pp.40-55.
若土正史(2013)「ポルトガルにおける大航海時代の海上保険と日本」『海事交通研究』62
券, pp.83-92, 山県記念財団.
근세 일본의 마카오-나가사키의 생사무역 ······························································ 이 덕 훈…271
張慧珍(2013)「徳川家康の 駿府外交体制─駿府外交の構想について」『WASEDA
RILAS JOURNAL』 NO.1, p.18.
中田易直(1977)「糸割符仕法の起源」『中央史學』創刊号, 中央大学文学部, pp.3-8.
幸田成友(1942)『日歐通交史』. 岩波書店, p65.
Angus Maddison(2001) The World Economy : A Millennial Perspective Paris:
OECD Publications, p.63.
Anthony Reid(1993) Southeast Asia in the. Age of Commerce, 1450-1680. Vol.
n: Expansion and crisis, xv,.390 pp.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pp.9-10.
Charles Ralph Boxer(1959) The Great Ship from Amacon—Annals of Macao
and the Old Japan Trade, 1555-1640, Lisbonne, Centro de Estudos Historiées
Ultramarinos.
Dennis O. Flynn; Arturo Giraldez(1996) Silk for Silver: Manila-Macao Trade in
the 17th Century, Philippine Studies vol. 44, no. 1: 52–68.
Jan Kieniewicz (1969), “The Portuguese Factory and Trade in Pepper in
Malabar during the 16th Century," India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Review 6: 61-84.
João Paulo Oliveira e Costa(2000) A Route Under Pressure Communication
Between Nagasaki and Macao. (1597-1617). New University of Lisbon.
Jose alvarez-taladriz(1967), マカオ・長崎間貿易船のアルマサン契約に関する1610年の
資料,(野間一正訳) 『キリシタン研究』第12輯,キリシタン文化研究会, p.372.
Kerry Ward(2009) Networks of Empire: Forced Migration in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26-128.
Michael Cooper(1972) The Mechanics of the Macao-Nagasaki Silk Trade,
Monumenta Nipponica, Vol.27, no.4, p423, Sophia University.
Natália Tojo(2000) THE Anxiety of the Silent Traders. Dutch perception on
the Portuguese banishment from Japan. Bulletin of Portuguese Japanese
Studies, Universidade Nova de lisboa, pp111-128.
27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Abstract
The 1570s was an important period in the world trade history. Both Manila
Galleon trade that began in 1571 and Nagasaki harbor that opened in 1571
focused on the Macau-Nagasaki trade. These are connected by the China’s
single whip tax reform that started in 1570s.
The single whip tax reform is a tax system that the tax payment of several
methods were unified to be paid in silver, which were able to the first step of
globalization among Europe, China, India, Japan and Southeast Asia. In this
period, one of West-East trades was Macao-Nagasaki Trade composed of
several characteristics, such as trade, propagation, and cultural communica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s were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trade among
China, Japan, Portugal, Spain, and Netherlands.
キーワード:Macau-Nagasaki
trade, single whip tax reform,
Manila Galleon trade, first step of globalization, West-East trades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재확정일 : 2015. 7. 4
일계인 디아스포라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 고찰*1)
2)임
영 언**․김 태 영***3)
(e-mail: [email protected][email protected])
目次
Ⅰ. 연구 목적
Ⅱ. 기존연구 및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조사대상
Ⅳ. 일본거주 일계인의 브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I. 연구 목적
일본과 브라질의 관계는 1895년 11월에 체결된 ‘일본-브라질 수호통상항해
조약(
日 伯修好通商航海条約
-
)’사건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일본과 브라질
은 상호 이민정책을 통한 외교관계를 지속해왔으며 점차 일본으로부터 브라질
로 진출하는 일본기업이 많아지게 되면서 실질적인 지리적인 거리감은 ‘멀지만
양국의 사회적 관계는 가까운 나라’라고 불릴 정도로 외교관계를 돈독히 유지
해 왔다.
笠戸丸
일본인의 브라질 이민은 공식적으로 1908년 일본 배인 카사토마루(
)
가 브라질 산토스항에 도착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일본경제는 불황에
허덕이고 있었으며 농촌경제는 특히 피폐한 상황이었다. 이로 인해 일본농촌
이 논문은 2010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0-413-2013S1A5B8A01055017).
**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연구교수(제1저자).
*** 강릉원주대학교 인문대학 일본학과 교수(교신저자).
*
27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의 빈곤이 심화되어 일본정부는 농촌 빈곤의 해결책으로서 새로운 이주지를
찾게 되었다. 일본정부가 브라질로 이주지를 선택하고 농촌 출신의 이민희망
자를 모집하는 과정에서 브라질에서 일본인 노동자의 특별대우와 고임금을 요
구하여 브라질 정부가 이를 수용했기 때문에 이민자들 대부분은 단기간 브라
질 커피농장에서 계약노동자로 일하며 많은 돈을 모아 귀국할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브라질 이주지에서의 일본인 이민노동자의 실상은 현실과는 크게 달랐
다. 당시 브라질 정부는 노예해방령에 따른 노동력 부족을 메우기 위해 외국
인 노동자를 대량 수용한 것으로 일본인노동자들은 법적 지위에서 자유로운
시민에 속하기는 했지만 대부분의 노동자들은 노예생활과 다를 바 없었다.
일본인들은 이주지에서의 힘든 노동생활 때문에 커피농장에서 이탈하는 자
들이 점차 많이 생겨났다. 이들 중에는 농지를 취득하여 자작농을 선택하거나
이민자들끼리 자금을 공동으로 모아 ‘식민지’라는 집단 입식지 및 농업협동조
합을 형성하기도 했다. 이후 많은 일본인 이민노동자들이 자작농으로 독립하
여 일부는 커피농장으로 성공하기도 했지만 대부분 커피가격의 폭락으로 또
다시 목화농장이나 후추재배, 녹차재배나 감자농업의 노동자로 전락하였다.
일본인 이민자 일부는 상파울로를 중심으로 일본인 이민자를 대상으로 각종
잡화점을 개업하거나 제조공장이나 의사로 창업하는 자영업자들이 출현하였
다.
일본과 브라질 간의 이민은 한때 제2차세계대전의 여파로 일시적으로 중단
되고 외교관계도 거의 전무한 상태였다. 그러나 1950년대 초 일본과 브라질
간의 국교가 정상화되면서 일본정부가 공식적으로 이민정책을 중단하기 전까
지 브라질 정부의 일본인 노동자의 수용은 지속되었다. 이러한 일본인의 브라
질 이민열기의 여파로 현재 브라질에는 약 150만 명의 일계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브라질에서 일계인 사회의 최대 집거지를 형성하여 일본 국내가
아닌 해외에서 가장 큰 집거지 중의 하나인 일계인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브라질에서 일본인 최대 집거지는 브라질 상파울로 중심부 리베루다지(평등)
라는 일본인타운이다. 상파울로에 최초 일본인 이민노동자들이 과거 일본 영
화관으로 사용했던 리베루다지 주변에 거주한 역사적 경험을 계기로 이곳에
일본인타운을 형성하게 되었다. 현재 리베루다지는 중국이나 한국으로부터 몰
려온 이민자들로 동북아시아로부터 이주한 동양인 이민자들의 타운으로 불리
고 있다.
브라질에서 일계인의 정의는 일본으로부터 브라질로 건너간 일본인 후손들
을 지칭하며 이민 100여년 지난 지금 일계인들은 일계인4-6세대를 형성하고
있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의 일계인 거주국으로 1908년부터 일본인을 대상으
로 한 브라질정부의 이민정책이 시행된 후 2008년에는 약 150만 명의 일계
일계인 디아스포라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 고찰 ········· 임 영 언․김 태 영…275
인공동체 사회를 형성하였다. 1950년 이후 브라질에서 태어나 브라질인으로
서 민족정체성을 가진 일계인들이 증가하면서 사회적 지위가 높은 직업에 진
출하는 등 일계브라질인들의 직업도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브라질은 1980년대 이후 세계 여러 나라의 채무국으로 전락하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일본은 고도경제성장을 달성하여 아시아 최대의 경
제대국으로
안
정적인 경제성장을 지속해 왔다. 일본 경제의 부상과 노동력 부
족으로 1989년 일본 출입국관리법이 개정되면서 1990년 일계인에 대한 출입
완
국정책이 대폭
화되어 브라질 출신 일계인 노동자들이 일본으로 대거 이주
벌
하는 돈
出稼ぎ
이 노동이민(
)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3
비
일본 출입국관리국에 의하면 201 년도
는 206만 6,445명으로 전년도에
7
33
%
6, 4 명으로
11.8
81.1
류
일본에 체
해 1.6
%
2, 29만 명 중 1.62
말
%
하고 있는 외국인 수
% 남미
류
,
페
%
류
지역(브라질,
루
외국인 전체 92.9
류
로 구성되어 있다. 지역별 체
류
남미
체
능 습
남미
3 7
생’ 이었다. 또한
자에서 영주자가 15만
3 %
.9
7
류
자를
음
차지하였으며 다
필 핀
리
순
면
보
을
순
류
다. 일본 체
프
류
외국인들은
류
음 오
보
고 다
%
37
으로 지리적 집중을
치
류
먼쇼
%
7 7
,06 명
환
향
일본인으로, 일본에서는 브라질인으로 불리는 경
적도 있지만 2008년 리
를
현, 가나가와 현, 사이다마 현
였다. 이들 일계인들은 일본 귀
1990년대 이후 일본에 체
1.4
, 브라질이 18만 1, 1 명으로 8.8
사카 부, 아이
을 겪고 있다.
3 %
였다. 계속해
외국인의 특성은 지역별로는 동경도가 40만
으로
%
소 비율
외국인의 감
7
7
%
생’
리카 지역이 6.1
으로 한국 조선이 51만 9, 40명으로 25.2
3
학
이 ‘유
면 중국이 64만 9,0 8명으로 전체에서
이었다. 일본 내 체
았
았
지역은 일본에서 체
이 20만 9,18 명으로 10.1
으로 가장 많
면 영주자
고 그 다
여 특히 아
살펴보
지역 출신자들
루 등) 출신자의 경우 전체
(9,99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적별 체
서
페
,1 1명으로 가장 많
반 남미
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246명으로
남미
징 살펴보
았
음
자격의 특
지역(브라질,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증가세를
이
7
3
24만
가 아시아 및
외국인의 체
7
등)이
(영주자 및 특별영주자)가 82만 9,5 4명으로 가장 많
실
억
인구 1
를 차지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지역이 16 만
을 차지하여 체
과 ‘기
총
정도 증가하여 일본
이후 브라질에서는
이 있어 민족정체성의
7
하는 일계인은 200 년 전후
3
혼란
2만 명에 달한
크 이후 일본 국내 불경기에 따른 구조조정으로
약 10만 명 정도가 브라질로 귀국하였으며 그 후 브라질 귀국자가 계속 증가
악
해 왔다. 2015년 현재 일본에 거주하는 일계인들은 약 18만 명 정도로 파
되고 있다.
이
연
치
구의 목적은 일본거주 일계인들 중 아이
현에 거주하는 일계인을 대
27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떻
상으로 그들의 민족정체성에 따라 브라질 모국과의 사회경제적 관계를 어
설
형성하고 있는지
찰 데
문조사를 통해 고
하는
연
있다. 특히 이
게
구는 1990년
대 이후 일본에 거주하기 시작한 일계인을 대상으로 그들이 모국 브라질과의
떻
사회경제적 관계를 어
찰
게 형성하고 있는지를 고
하여 다문화 사회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Ⅱ. 기존연구 및 이론적 배경
존연
일본인의 해외이주에 관한 기
측
원
접근
연
살펴보 남미
면에서
면, 일본인 이주의 역사적인
하고 있는 임성모(2008)의
(2009)의
사를
살펴보
연
연 참
페
구를
구를 들 수 있다. 이들
면,
이주는 1899년
측
구, 이민정책적인
구를
송석
면에서
고로 일본인의 이주배경과 역
루이민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일본
인의 경제생활은 빈곤했고 특히 농촌지역경제가 피폐하여 일본정부는 경제적
으로
궁핍
극
한 농민들을 대상으로 적
적으로 이민을 장려했다. 일본정부가 농
강병
민대상의 이민을 추진한 배경에는 ‘부국
져
겨
있다. 당시 일본정부는
풍
급
부한 노동력 공
발
다산 장려정책을 실시하여 인구가 폭
흥
’과 ‘식산
데
업’의 이
강병
과 부국
올로기가
반
의 기
남미
일본인들이 중
남
페
루이민은
쿠
로 이주하는 최초 이민선인 사
성으로 구성된 4년간의 계약노동자
니
7
반
7
탄
생한 것
라마루는 1899년 대부분
90명을 태우고
가타 현 농촌 출신 농부들이 과
다시 카사토마루로
이 되는
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일
본인의 해외이주정책은 농촌경제의 피폐와 인구증가라는 배경에서
이다.
숨
페
루로
향
했다. 제1차
수를 차지하였다. 1908년에는
91명이 브라질 산토스항으로
향
했다. 그 이유는 당시
페
루와 브라질정부가 노예제 폐지로 인해 노동력 부족으로 대체노동력을 해외
렇
이민자들로 채우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게 하여
남미
버
동력으로 진출한 일계인 노동자들은 나중에 농지를
발
목수나 상업, 이
일본인 이민노동자들은
문에 현지 주민과의
원래 벌
접촉
돈
이 적었다.
쇄
한 일본인의 폐
운동으로
번
설
다.
반
대로 이주지에서 일본인 간의
반
지기도 했다.
청
족 중심의 초
연
대와
다. 결국 이러
감을 사게 되었고 나중에는 일본인 배
브라질에서는 192 년경 외국인노동자 수요가
친
졌
하려는 시도가 계속 이어
성은 현지 거주민의
3
리고 대도시로 진출하여
이 노동을 목적으로 브라질로 이주했기 때
결속으로 ‘일본인 마을(타운)’을 건
척
갔
업 등으로 생계를 이어나
브라질 커피농장의 노
급
감하여 일본인 계약이민은
이민 이외에는 금지되었다. 1924년에는
미
국에서 제정된 ‘배
일계인 디아스포라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 고찰 ········· 임 영 언․김 태 영…277
펼쳤
일이민법’으로 하와이정부가 일본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배일정책을
남미 떠날 밖
휘청
연
문에 일본인들은 새로운 이주지를 찾아
로
수
에 없는 상황에 직면
하였다. 1929년에는 세계적인 대공황으로 일본 경제가
미
하자 일본인의
이주는 본격화되었다. 제2차세계대전 중에는 브라질이
잠
기 때문에 일본인 이민자의 수용은
3
7
기 때
남
합국에 속해 있었
쟁
정 중단되었다. 1945년 태평양전
이
후인 195 년부터 브라질 정부는 일본인 이민자의 수용을 재개했다. 1945년
류
처음
부터 195 년까지 브라질에 체
같
이 일본인의
남미
이민은
즘
사회경제적 이유로 차
하는 일계인은 약 2만 명 정도였다.1) 이와
벌
에는 돈
이 이민노동자로 시작되어 나중에는
브라질 현지사회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환
그러면 브라질에 거주하던 일계인 노동자의 일본 귀
환
한다. 1990년대 이후 일계인들이 일본으로 귀
견
양한 의
완
르
임채
따
들이
3
존
남미
재한다.
언
반 남미
외(201 ), 임영
환
일계인의 귀
면, 1980년대 후
전체를
강
존연
연
플레
글 벌
역시
표
연
구들은 대
타한 경제위기로 많은
남미
남미
포함
이주대열에
구에
브라질인들
경제위기와 브라
데
현상으로 이민노동자들이 해외로 이주하기 시작했는
로
적으로
구를 들 수 있다. 이들
이 해외이민, 특히 일본을 이민지로 선택하게 되었다.
질의 인
고자
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다
에 관한 기
외(2014, 2015)의
살펴보
에 대하여
일계인들
되었다. 일계인들이 브라질에서 일본으로 본격적
반
으로 이동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전
이며 1945년 이후 브라질로 이민
간 일계인 1세들이 귀국한 이후부터 시작되었다.2)
일계인의 일본이주 당시 일본경제는
노동력부족으로
먼저
버블
경제가 한창이었고 고령화에 따른
기업에서 이민노동자의 수용을
촉
구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일본정부는 1990년 입국관리법을 개정하여 일계인
3
류
세와 그 배우자에게
활동제한이 없는 ‘정주자’라는 ‘신분 또는 지위에 의한 체
자격’을 부여했다.
이러한 일본정부의 이민정책의 제도적 개정이 일계인들의 일본유입을
키
접
같
촉발
시
는 직
적인 요인이었다.
이와
이 일본에서 1990년 출입국관리법이 개정되면서 일본에 거주하는
일계인들이
급
데
증하였는
이때
처음
으로 ‘일계인’이라는
류
다. 이 법에 의하면 일본에 입국하여 체
반 능
세까지였으며 동
가
능
가 가
한 가족은 일계인
3
란 엇
그러면 일계인이
무
인지 간단히 개
념 완
과 개
이
성되었
한 일본인 후손은 일계인
미
포함
세의 배우자와
해당되었다. 또한 일계인 4세 이상에 대해서는 취업을
동을 제한하였다.
틀
성년의
친 녀
3
자
만
한 일본에서의 활
념
을 정의하고자 한다. 해외일계인협
1) 吉田忠雄(2006)『南米日系移民の軌跡』人間の科学社。
2) 梶田孝道・丹野清人・樋口直人(2005)『顔の見えない定住化ー日系ブラジル人と国家・市場・移民ネット
ワーク』名古屋大学出版会。
27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회는 일계인에 대하여
“
옮
일본으로 본거지를 해외로
기고 영주목적을 가지고
혼혈
생활하고 있는 일본인 및 그 자손 2세-4세 등으로 국적과
보
일계인이나 일계인사회에 계
야 前山
또한 마에
디
마(
적으로 관
련
람”
이 있는 사
람
혼
키 치 関口
소 논 혼
”
4)
할 수 있다.
논
는 ‘피의
그러나 세
리’와 ‘장
란
녀
르
의
구
으로 현지 태생의 자
(
3
, 200 )에 따
리’가
권
에서 ‘특별영주
받
혈
’을 인정하여 ‘
3
다.
이 시기부터 일본정부는 일계인
권
논
받
일본인의 피를 이어
연
는 당
히 일계인이라
둘 싼
면 일계인을
러
3
보
하여 부여했다고 주장하고 있
존
존
재’라고 경계
재’라고 정의하기 시작했다.
면 일본정부에 의한 일계인의 경계선에는
소 논
의
리’가
혼
혈
통을 중시하는
재하고 있다는 사실
을 간파할 수 있다.5) 현재 일본정부는 국적취득에 있어 전통적인
소
고수하고 있고 브라질은 태어난 장
혈
통주의를
의 국적을 부여하는 출생지주의(속지주
녀
의)를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브라질에서 태어난 일본인 자
들은 일본과 브
녀
라질 국적을 동시에 취득할 수 있다. 브라질 거주 일계인들은 자
쪽
미
다는 의
리’의 관점에서 일본인의
세까지를 ‘일본인에 가까운
리’, 출생지나 거주를 중시하는 ‘장
면 양
정의
깝
논
설
리를 신
선을 그어 일계인 4세 이상은 ‘외국인에 가까운
‘피의
일계인을 한마
세’를 ‘일본인’에 가
통주의’라는 ‘피의
은 일계인에게도 동등의
이러한 관점에서
)
재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1990
년대 일본의 입국관리법 개정이 ‘재일한국인
피를 이어
“원래
, 2001)는 일계인의 정의에 대하여
이다. 일본인 간의 결
3
으로 정의하고 있다.
로 정의한다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지만, 일계인이
은 사
을 불문하고
가 태어나
국가기관에 신고만 하면 이중국적을 취득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에
록권
서는 20세가 되면 한 개의 국적을 선택하도
고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일계인들의 민족정체성은 일본에서는 브라질인으로, 브라
급
쪽
략
코 黒田陽子 7
략
념 Ideal Type
류
류
류
벌 향
향
향
벌
질에서는 일본인 취
을 당하면서 양
고 있다. 구로다 요
(
복
하기 위한 생활전
국가에서 생활전
향
을 6개의 이
렇
별로 ‘돈
극
논
류
, 200 )는 이러한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을
형(
)으로 분
문에서 일계인을 거주형태별로 ‘정주형’, ‘단기 체
하고 거주지
도 다양하게 나타나
이 지
게 일계인들은 초기 돈
’, ‘귀국지
하였다. 그는
형’, ‘장기 체
’, ‘영주지
형’으로 분
’으로 구분하였다.6) 이
이 이민목적이 일본에서 생활이 장기화되면서 다양
3) 財団法人海外日系教会, http://jadesas.or.jp(검색일: 2015년 5월 21일)
4) 前山隆(2001)『異文化接触とアイデンティティ』お茶の水書房。
5) 関口知子(2003)『在日日系ブラジル人のこどもたち』明石書店。
6) 黒田陽子(2007)「フィールドワークによる日系人の生活戦略分析ー人間関係と言語習得から見る支援の一つの
可能性ー」『生態人類学会』No.14, pp.2-3. 이 논문에서 생활전략이라 함은 일본에서 일계인의 거
주유형과 생활지향에 따른 전략으로 대략 3년을 기준으로 생활전략을 세웠다. 그 이유는 일계인
노동자들이 우선 일본에서 3년 체류라는 목표를 세웠기 때문이다.
일계인 디아스포라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 고찰 ········· 임 영 언․김 태 영…279
탕
한 생활경험을 바
향
으로 그들의 거주 지
계인의 일본생활은 과거, 현재,
향
거주형태와 지
술
전
한
미래
소 매 강
같 글 벌
이
로
화
가
이후
우
게
때 일
하고 있지만 그들의
하다고 할 수 있다.
일계인의
1980년대부터 1992년까지 지속된 일본경제의
이주배경의
버블
반
큰
이유는
노동의 현장에서는
대로 당시 150만 명의 일
비롯 남미
보완
한
가장
순
로 단
만성적인 노동력부족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러나
계인들이 거주하고 있던 브라질을
렇 볼
어 왔다. 이
의 경험을 모
성은 현실적인 요
바와
뀌
두 포함
성도 바
국가들은 경제적 불황이 지속되
고 있었다. 일본 내 기업들은 노동력 부족을
능
하기 위해 대체 가
순
한 단
노동자로서 동족인 일계인들을 선호하였다. 이러한 국가와 기업의 이해관계로
7
먼쇼
일본으로 이주한 일계인들이 200 년 세계적인 경제위기였던 리
3
지
2만 명에 달했다.
소
그 후 일본에서 일계인은 지속적인 감
버블붕괴
악
년
세를
보
급
여 왔다. 주된 이유는 1992
이후 일본기업들의 대량 해고, 시
노동조건이
하락과
잔
규 보
웃소싱
동력의 아
고용
패턴
청
웃소싱 늘
다는 아
을
소
업의 감
화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일본기업의 고용
화하였다. 일본기업들은 정
크 이전까
등으로
도 크게 변
리고 하
업체들도 노
을 수용하는 부문에서 성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노동력의
청
단가가 높은 자동차공업이나 전기산업의 하
알
낮
확 켰
선업자들이 단가가
을 일시적으로
품 야
은 식
대시
분
만을
받
척
아들였던 일계인 노동자
까지 업종을 개
하여 일계인의 노동시장
다.
이로 인해 일시적으로 일계인 노동자들이 일할 수 있는 일자리가 증가하여
일계인의
류
일본
체
편
가
한
될
으로는
장기화
수
있는
요인을
벌
1990년대 초기 일계인들은 일본에서 1-2년 노동하여 돈
귀국할 예정이었지만
연
향 강
5-6년
지
다.7
버블
경기가
붕괴
면 바로
정해지자 체
기간을
장하는 이들이 나타났다. 일계인들의 일본체
가 장기화되면서 정주
한 일계인 노동자들이 일계인 대상의 에스
스를 창업하였
이
)
닉 비즈니
곧
일계인 대상의 에스
영업을 시작했지만
처음
스는
에는 일본인 주인이 일계인을 상대로
저축
닉 비즈니
브라질 노동자들이 공장노동으로
창업하는 경우도 생겨났다. 그리고 일계인들이 에스
역할을
치
류
이를 마
안
류
닉 비즈니
되고 수입이 불
제공하였다.
담
한 자금을 가지고
스의 중심적인
접 품
당하게 되었다. 이들 일계인 자영업자들은 브라질로부터 직
닉
을 수입하였으며 그 결과 일계인의 에스
능
서 경영이 가
완
한 자기
성의
비즈니
상
경제는 일본 경제와 분리된 상태에
스를 달성할 수 있게 되었다.
7) 이 논문에서는 브라질에서 일본으로 이주한 일계인들이 창업한 자영업 수준의 가게를 지칭한다.
대부분 종업원이 10명 이하이고 가족경영이 많은 소규모 가게를 말한다.
28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같
벌
이상과
었던 돈
안
낮
이 일계인 노동자들은 일본경제의 불
이 목적을 위해 단가가 높은 노동에서
래
정에 따라 본
이주목적이
은 노동으로 이동하면서 제
류
닉 비즈니
한된 업종이지만 일자리 증가에 따라 일시적으로나마 일본체
를 장기화하는
이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일계인의 정주지
스의 출현으로
품 래 촉 킨
야 前山
3
련
브라질 모국과의 상
마에
마(
거
를
진시
향
은 에스
것으로 생각된다.
, 200 )에 의하면 이러한 일계인의 브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는 일계인의 민족정체성과 관
설
되어 있는 것으로
징
의 민족정체성은 브라질의 다인종적인 특
명하고 있다. 일계인
접
과 일상적이고 직
호작용에 의해 형성되어 온 것으로 주장한다.
즉
적인 사회적 상
일계인 이민노동자들이 형성
연
한 민족정체성은 일본으로부터 배양된 일본인 의식의
니
장선이나 계속이 아
급
혀
라는 주장이다. 브라질에서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은 일본인으로 취
되는 사회
적 상황과
다른 성격
맞물
려 있으며 일본에서의 국가적 민족정체성과는 전
의 형태이다.
왜 런
절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에 대하여
쟁
에서 태평양 전
능 ?
이
에 의한 국교단
주장이 가
한가
그 이유는 브라질
, 배일운동 경험으로 인하여 일계인 2세들
의 민족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대폭 수정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일계인들은 민
측
족정체성 형성과정에서 브라질과 일본이라는 양
향 받
의 민족주의에 영
을
게
되었다. 때문에 일계인 2세들은 일본정신을 가진 브라질 시민과 브라질 정신
을 가진
수 있다.
완
즉
일계인 1세와 2세의 차이에 대하여 2세 이후의 일계인들은
향
히 브라질인으로 동화되는 경
져
냐
볼
급
전한 브라질 시민 사이에서 분리와 동화의 과도기에 서 있다고
이 있고 일본인으로서의 귀속의식도 점차 사라
냐
가고 있다. 따라서 일계인 2세 이후의 민족정체성은 일본인이
보
에 의해 결정된다고
속
렵 오
기는 어
다.
일계인이
념
히려 특정 국가나 민족이라는 개
의해 결정되기 어려운 것이 2세 이후의 민족정체성이다.
에
이상과
응
게 대
같
떻
은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은 일본정부가 일계인을 정책적으로 어
갈
해 왔는가에 따라 일본인과 브라질인으로
논
리고 있다. 이
문에서는
일계인들이 일본에서의 차별과 배제경험으로 점차 브라질을 모국으로 생각하
향 강
는 경
이
발
하다는 관점에서 출
하고 있다.8) 이러한 브라질 중심의 일계인
민족정체성의 형성은 일본사회의 공생과 통합이라는 다문화정책 시행과정에서
축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적 경제적 관계 구
있다. 따라서 이
논
느냐
족정체성을 선택하
향 미칠
에도 영
을
것으로 가정할 수
느쪽
향 미칠
문의 차별성은 일계인들이 일본과 브라질 중 어
축
에 따라 그들의 사회경제적 관계 구
에도 영
의 민
을
8)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임영언외(2014) 「일계인의 일본 정착과정에서 나타난 차별의식과 차
별유형에 관한 고찰」『日本文化研究』第52輯, pp.433-454 참조.
일계인 디아스포라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 고찰 ········· 임 영 언․김 태 영…281
설
수 있다는 가
음
에 주목하고 있다. 그러면 다
장에서는 일계인의 민족정체성
두 설
에 따른 브라질과의 사회적 경제적 관계에 초점을
고
석
구체적으로 분
문조사에
근
거하여
하고자 한다.
Ⅲ. 연구방법 및 조사대상
연
료 근
료
3
이
구의 통계자
는 201 년 2월부터 5월까지 실시된 일본 현지조사 자
에
거하고 있다. 일본 아이
하는 일계인을 대상으로
트
집주하고 있는 아파
근
트
총
7 3
치
들이 인
설
아파
설
야
번
현 나고
시 9
논
석
문의 분
원
동하는 사
람
사
저
근
붐
단지 내 여기
,
용차로 출
람
등 다양한 사
들로
볼
람 버
번
기에서 찾아
하는 사
3
포
침7
오두막
말
슈퍼 켓 맞 편
말
비롯
홈
번
있으며 주
리아’
에는 주
은
번
오두막
소
한 개는 9
마
학
슈퍼 켓
교로 통
슈퍼 켓
하는
마
이
으로 일본인들
단지 내 주차장에 일계인들이
집에는 브라질 식당이 들어서
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브라질
드
찬
리고 있다.
단지는 다른 단지와 마
치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아이
가지로 일본인 주민의
현 운영주택은 입주제한이
걸
려 있기
년 10가구 정도가 입주할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단지 주변
밭
은 개
당시부터 현재까지 산과
택지개
이 진행되어 타운이 형성된 곳이다.
야
2006년 시점에서 나고
록
합형
리스 등 약 400-500명이 모여 예배를
매
발
발
학
한 아시아 각국으로부터 유입된 이민자들, 그리
현재 일계인 집주지역인 9
때문에
을 타고
복
하는 통
에는 일계인들이 모이는 교회가 들어서 있다. 이 교회
이면 일계인을
고 일본인
철
향
스로 공장으로 이
단지의 상점가는 브라질계
에는 일계인들이 모이는 집합장
의
근버
수 있다. 통
스나 전
집 형태이다. 이 작은
마
단지
주택지였다.
시부터 공장으로
세가 운영하는
도 이용하고 있다. 또 다른 점
만든 작은
,
빈다. 9
2개가 있으며 한 개는 일계인
시 9
일가족에게 임대를 개시한 1980년대부터
일계인의 입주가 시작되었다. 이곳은 이른 아
번
람 승
9
현 운영주택 및 분양주택으로 구성된 신
일본도시공단이 기업에 임대나 사
스를 9
야
원래 번
흥
에 활용하였다. 나고
월부터 일계인의 주택입주가 시작되었다.
는 도시주택과 아이
근버
수지역에 거주
단지가 들어서 있는 곳으로 약 2,000명 정도의 일계인
100부 수집되어
단지는 19 5년
오
단지 및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지역은 일계인들이
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이다.
문조사결과
번
치
이 대부분이었던 농촌지역이었지만 현재는
번
총
3 3
3 %
시 9
자 4,110명 중 브라질국적자는
단지의
인구는 9,149명으로 외국인 등
,8 8명으로 9 .4
을 차지하였다. 2015
28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번
년 2월 현지조사에 의하면 9
소
로 계속 감
연
설
본
단지에 거주하는 일계인은 1,500
2,000내외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본 거주 일계인의 모국 브라질과의 관계에 대
총7
친척
넷 접촉 접촉
한
~
문조사는
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질문항목의 기본적인 내용은 브
라질에 가족이나
인터
,
친척
의 유무, 일본
이나
접촉
구와의
접촉
빈도, 전화
,
빈도, 브라질 방문정도 등이다. 일본과 브라질 모국과의 사
녀참
회적 관계의 항목은 단체나 조직 자
청
화시
친
넷 트
송
, 신문, 인터
사이
제적 관계의 항목은
투표
가, 선거
, 정당 활동,
TV
및 영
방문 등이다. 또한 일계인의 브라질 모국과의 경
물 보낸
금 및
선
을
경험,
보
유무 등이며 기타 모국 브라질에서의 재산
송
물 받
금 및 선
유 정도 및
향
을
은 경험의
후 브라질 귀국 예
정 등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Ⅳ. 일본거주 일계인의 브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
분석
1. 브라질 모국과의 관계 빈도분석
살펴보
음 <표 > 같 먼저
%
응답
응답
환
친척
응답
일계인의 브라질 모국과의 관계를
석
결과는 다
살펴
응답
벌 데
머
환
를
1 과
본 결과 89.0
다.
문조사에
머
했으며 나
친척
근
거한 빈도분
이 있는지의 유무
지 11.0
%
은 ‘없다’라고
결과는 1990년대 이후 일계인노동자들 대부분이 돈
카세기)목적으로 일본에 귀
다. 나
설
브라질에 가족과
가 ‘있다’라고
하였다. 이러한
이(
기 위해
지 브라질에
석
했기 때문인 것으로 해
이 ‘없다’고
%
한 11.0
할 수 있을 것이
두
의 경우는 가족모
가 귀
두
당시 일본으로 이주했거나 이민개시 25년이 경과되는 과정에서 가족모
청
브라질로부터 일본으로 초
풀
한 경우로
이된다.
친척
그러면 일계인들은 일본에 거주하면서 그들의
주
접촉
았
? 접촉
하고 있는가
장 높
음
못
고 다
거의 만나지
순
야근
했다는
접촉
응답
이 20.0
빈도는
비
노동자, 요식 서
이나
잔
살펴
낮
%
%
구들과
얼
마나 자
3 %
친척 친
를 차지했다. 또한
았
정도로 많
5.0
로 가
이나
구를
으면 대부분이 한 달에 1-2
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계인들이 직업상 제조업
스업에 종사하는 이들이 많기 때문에 직업의 특성상
업 등으로 시간제약을 많이
있을 것이다.
친
본 결과, 한 달에 1-2회가
으로는 월 1회가 22.0
회 정도로 상호
의 단
빈도를
이나
를
받 접촉
아
빈도가
낮
은 것으로
볼
수
일계인 디아스포라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 고찰 ········· 임 영 언․김 태 영…283
<표 >
1
질문항목
브 라 질
가 족 과
친척
유
석
모국관계의 빈도분
%
빈도(
)
음
89(89.0)
음
11(11.0)
있
없
결과
질문항목
브라질
녀 참
모
친척
친 접
촉
이나
구
빈도
기타(0회)
20(20.0)
1-5회
12(12.0)
한 달 1-2
3 3
회
일 주 일 에
1회
참
국
과
사
회
적
관계
브라질 선거
TV
,
청
넷
화시
11(11.0)
영
월 1회
22(22.0)
인 터
브 라 질
방문빈도
4. )
18(1
82(8
8.0)
2.0)
9(9.
91(9
국
과
경
제
적
0)
1.0)
52(5
48(4
2.0)
8.0)
65(6
5(
터
5.0)
5.0)
(
6 (6
3 3
물 보 33 3 7
3 7
물 받
7 7
금, 선
을
금, 선
.0)
을
.0)
25(2
5(
5.0)
5.0)
2 (26.4)
형제
14(16.1)
브
라
거의 없
1( 5.6)
재
이하
2 (28.1)
19(21.8)
질
1
구
1
5
14(14.6)
부모
9(10. )
5
10
형제
1 (20.2)
10
이상
계
산
유
정
도
46(54.8)
전
구
11(1 .1)
지
기타
1(1.2)
1주간 1회
1(1.1)
1개월 1회
6개월 1회
1년 1회
거의 없
떤
친척
통신수단을 통해
그
52(54.2)
7
33
( .1)
0(0.0)
게 생각하
라
질
귀
조금 그
게 생각
12(12.4)
5(5. )
국
예
통 그
게 생각
49(50.5)
1(1.1)
정
자주 그
게 생각
20(20.6)
항상 그
게 생각
0(0.0)
(8.0)
4(84.1)
쁜
접촉
았
데
직장 생활가운
고, 인터
자.
은
함
함
함
함
그들의
살펴보 먼저
넷 접촉 친척
하고 있는지
이나 부모가 가장 높
친척
친
접촉
이나
전화로
구와
한 경
이나 형제가 가장 높
다. 일계인 대부분은 부모에게는 전화로 형제에게는 메일로
가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16(16.5)
브
그러면 일계인들은 일본에서 바
았
5. )
부모
전화
우는
8 (8
브라질 신문, 인
송
매
냄
송
3
연 음
접
음
촉
친척
3 3
억엔
친
억엔
보 억엔~
7
억엔~ 억엔
7
억엔
넷
친척
혀 렇
접촉
친
3
않음
렇
7
보 렇
렇
7
음 7
렇
모
음
3
7
15(1
브라질 정당활동
브라질
5( 5.0)
여
)
없
3
자
가
무
는 어
음
있
단체나
조직에
%
빈도(
구분
접촉
하는 경우
28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얼
일계인들은 그들의 모국인 브라질에
과를
보
응답 비율
면 ‘거의 없다’고
한
?
마나 자주 방문하고 있는가
%
이 84.1
조사결
를 차지하여 대부분의 일계인들
은 브라질을 방문하는 기회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
품
계인 대부분이 제조업의 노동자나 식
향
례
요리사로 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
에 방문할 경제적 여력이나 시간이 없다는 것을 단적으로
사
로 생각된다.
연
일계인의 모국과의 사회적
TV 청
시
이나 신문구독 등은
치
포르투갈
에 의하면 일계인들이 브라질의 정
보
정
활동은 대부분 일본에서
소극
비율 보
안
점을 감
충
하면
계에 대해서는
이나 가족에게
둘째
송
33 %
보 보 비율
보 받
반드 보
을
내는 경우가
선
을
는 경우
화를 생각해
.0
다
두
면
은 경우
보 낮
빠르
보
이 생각
다
은 것을
존
으로부터
을
측
안
이인 점을 감
유정도를
안
석
결과를 종합해
의 사회적 관계는 점차
강
야
할
송
금
큼
해 경제생활도 그만
어려
류 절반
정도가
면 모국과의 경제적 교
교
는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일
%
이상이 모국과의 경제적
하면 현재 개인의 경제적 사정이나 직업상의
류 보류
이유로 많은 일계인들이 점차 모국과의 경제적 교
이상의 분
하다. 하지만
비
보
혀 류
은 전
경험이 있었다는 점을 감
생각된다.
능
이 가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일계인의 일본 정주와
보
머 절반
류
금이나
하면 높게 나타나
계인의 일본 입국목적이 경제적 이유로 인하여 90
교
금이나 선
면 브라질로
재한다는 추
여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지
경험이 있
내는 경우가 예의이기 때문에 일본인의
다는 것을
지속하고 있으며 나
을
문
게 진행되고 있으며 과거에
일계인의 브라질 재산
는
물 보낸
친척
송
물
살펴보
송
물 받
%
물
금 또는 선
정착이 상당히
워졌
첫째
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일본사회의 선
벌
알
어인
로
문화적 성격이 일계인들 사이에 아직도
비율
포르투갈
어가
은 경우가 25.0
시
일계인들이 일본에 온 목적이 돈
통
가지로 질문하였다.
, 브라질로부터 선
내는
하고
한 대부분의 일계인 1-2세
은 경험이 있는지의 유무였다. 조사결과를
선
존
어 신문에 의
는 모국 브라질에 거주하는 가족이나
받
물 보
물 받
을
과
및 신문의
연
친척
였다. 현지조사
송 포르투갈
환
송
소 언
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계인들이 모국 브라질
을
이고 있
현상에는 무관심하고 일계인 사회 내부의
고 그들 간의 방
일계인의 모국과의 경제적
는지,
우 높은
하고 있다. 이점은 일본에 귀
들이 일본어가 서
보
적인 현상을
매
어 방
치
투르
있는 현상과도 일
여주고 있는
계는 단체, 제도, 활동 등에 질문하였다. 일계
인들은 브라질과의 단체 및 정당활동에는 상당히
으며 브라질
보
를
보
하고 있는 것으로
면 일계인들의 일본 정주가 진행되면서 모국과
화되고 있지만 경제적 관계는
더욱 소원
해지고 있는
송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일계인 사회가 일본어 부족에 따른 신문과 방
의
일계인 디아스포라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 고찰 ········· 임 영 언․김 태 영…285
포르투갈
래
절
어 사용으로 일본사회로부터 단
초
니컬
하는 아이러
한 상황이
반복
되는 또 다른 ‘정보 게토화’ 현상을
9)
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2. 브라질 모국과의 관계 교차분석
음 <표 >
일계인의 모국관계와 사회적 관계에 대해 다
석
2 는 교차분
결과를
녀
나타내고 있다. 일계인의 사회적 관계 항목은 ‘브라질 단체와 조직에 자
참
투표
넷 트 검색
두
살펴보
미 설
녀참
보
석
살펴보
향
보
록향
록
강
같
석
친척 친
향 강 록
가’, ‘브라질 선거
신문 및 인터
’, ‘브라질 정당활동, ‘브라질
사이
’ 등 모
면 통계적으로 유의
조직의 자
가, 정당활동, 모국 브라질
계에 영
’, ‘브라질
한
결과를 상세히
문항목은 일계인의
유재산 정도,
면 일계인의
있을수
유정도가 적을수
접촉
향
빈도, 단체나
후 브라질 귀국예
빈도에서 사회적 관
았
향
후 브라질에 대한 귀국할 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적 관계는
이상과
은 교차분
회 정도
이나
이
다.
<표 >
2
고 모국
을 가지고
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면 일계인의 사회적 관계는 1주일에 1
구를 만나고 브라질에 재산
할수
석
접촉
을 주는 요인은 1주일에 1회 정도 만나는 것이 가장 많
브라질에 재산
귀국의
청
및 영화시
5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차분
결과를
정 등이었다. 분
TV
의
보
유정도가
모국 브라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낮 향
강
고
후 브라질
한 것으로 나타났
석
사회적 관계(단체활동)에 따른 모국관계 교차분
P
% 11
%
% 7
3 %
%
%
%
%
접촉
3% 3
7%
3 7 3%
7 7%
매
7 3 %
%
3%
7%
매
%
7 %
접촉
3 7
친척
%
3 %
친
3%
73 7%
%
%
매
%
7 %
친척
넷 접촉
3 %
7 %
3
친
%
%
%
%
9) 이제환・김연옥(2005)「재일한인의 정보행태에 관한 연구」『한국민족문화』26, pp.357-384.
친척
가족
유무
빈도
질문항목
음
음
있다
없
0
있
15
16.9
0.0
100.0
4
8 .1
0회
0
0.0
20
100.0
1-5회
0
0.0
12
100.0
한 달에 1-2회
5
일주일간 1회
14.
2 .
일 1회
전화

없다
1.8
0
85.
8
2.
15
68.2
22
95.
부모
1
형제자
4
28.6
10
1.4
5
16.1
26
8 .9
26.
14
4.
구
5
부모
0
0.0
9
형제자
5
29.4
12
0.6
6
1 .0
40
8 .0
구
2
18.2
9
81.8
기타
0
0.0
1
100.0
인터
2.181
.209
11.84
1
.015
5.06
.15
4.624
. 46
.
100.0
28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일주일에
브라질 방문
정도
%
%
%
3%
3 7 %
% 7
%
% 7
7 % 3
%
7% 3
7
%
%
% 3
%
3 %
% 7
%
%
%
%
7 % 3
7%
3%
7% 7
% 3
3
% 7
1회
0.0
1
100.0
0
0.0
5
100.0
6개월에 1회
1
0
0.0
1년에 1회
1
음
거의 없
니
니
니
니
니
니
니
아
단체나 조직
자
녀참
투표
예
아
선거
요
예
아
정당활동
요
아
, 영화시
요
아
신문, 인터
요
예
방문
아
금, 선
요
예
아
금, 선
요
예
음
억엔
억엔~ 억엔
억엔~ 억엔
혀 렇 않
렇 않
끔 렇
렇
모국 재산
거의
없
1
이하
1
유 정도
5
5
브라질 귀국
그
그
지
가
예정
지
다
다
그
다
자주 그
다
6
9.6
6
40.0
10
12.2
5
2 .8
90.4
9
60.0
2
8 .8
1
2.2
82
14.6
41
8
15.4
44
4
11.4
1
11
16.9
54
9
1 .4
58
6
18.2
2
9
12.0
66
6
24.0
19
6
11.5
46
6
22.2
21
.1
66.
1
1
6.
15
5
41.
6
12.2
4
15.0
1
9.564
.00
2.811
.1 8
77
90.1
20. 0
.
3
85.4
84.6
88.6
.000
1.00
0
3
.566
3
.560
2.118
.194
8.242
.042
7 733
.046
81.8
6.0
3
. 91
86.6
88.0
7
.01
.5 9
8 .1
88.5
.8
1
2
.2 9
82.4
5
9.9
7
6.152
85.
61
66.
1
10
전
14.
8
6
예
100.0
1 .6
9
예
TV
사이
1
요
가
청
넷
트
송 물
보냄
송 물
받음
보
%
%
%
7%
%
%
%
7 %
7 %
%
33 3%
%
%
%
3 %
%
%
%
7 %
%
77 %
%
33 3%
3 %
3%
7 %
%
0
1개월에 1회
92.9
.
9 .8
58.
.
8 .8
85.0
3. 모국과의 사회경제적 관계의 차이분석
번
뢰 석
이
신
석
살펴보
에는 일계인의 모국과의 사회적 경제적 차이분
도 분
뢰
을 신
뢰
하였다. 신
두
투표
넷 트 검색
사회적 관계의 항목은 모
녀 참
의
결과를
친척
물 받
같
에게
송
과
TV
Cronbach 알
석
’, ‘브라질 정당활동, ‘브라질
사이
’ 등에 대한
및 선
을
상과
이 전체 항목에 대한
을
’,
결과, ‘브라질 가
경험’, ‘브라질 가족이나
은 경험’ 등이었으며
청
및 영화시
파는 0.521로
물 보낸
Cronbach 알
Cronbach 알 값
금 및 선
다.
먼저
먼저
결과, ‘브라질 단체와 조직에 자
나타났다. 일계인의 경제적 관계의 항목은 2개 항목으로 분
족이나
음 같
면 다
석
5개 항목으로 분
가’, ‘브라질 선거
‘브라질 신문 및 인터
석
도 분
을 실시하기 위해
친척
에게
송
금
파는 0.690으로 나타났다. 이
파
은 0.5이상으로
설
문지 항목
일계인 디아스포라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 고찰 ········· 임 영 언․김 태 영…287
비
음 <표 3>
학
석
녀 참
투표
넷 트
연
향
미
미
석
연
록
별 평가는
교적 일관된 내용을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은 일계인의 인구사회
차이분
적 특성과 모국과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일계인의 모국과의 사회적 관계(브라질 단체
및 조직에 자
사이
의
여, 선거
방문 등)는
차이분
청
영화시
류
발
살펴보
보
혼 보 미혼
참
적
록
은 가족경제인수가 적을수
류
더 발
톨릭
의 특성을
면 영주자
보
활
다 가
록
가경험이 없는 일계인일수
사
자격별 사회적 관계
다 정주자의 사회적 관계가
자, 종교별로는 불교
이 없고 사회활동
령대가
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계인의 체
향
면
더욱 극
징
회적 관계가 활
다
의
살펴보 연
령별 사회적 관계의 특성을
일계인의 가족경제인수별 사회적 관계의 특
자
류
자격별, 종교별, 체
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라질 모국과의 사회적 관계도
부별로는 기
, 신문잡지와 인터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항목에서
결과, 일계인의
높아질수
TV
령대별, 가족경제인구별, 체
별, 단체활동여부별 유의
는 항목간의 유의
, 정당 활동,
혼
류
하고 결
여
, 일본 계속체
의
모국과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브라질 국가의 종교적 성
향
톨릭
이 가
표
국가를
향
방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영
이 큰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표 3>
남
질문항목
성
성별
N
3
5
0.2 5
1. 28
0.2 9
10대
8
1.025
0.0 1
20대
11
37
1.218
0.189
1. 95
0.228
24
1. 42
0.191
14
1. 68
0. 0
1.2
0.151
1.200
0.2 1
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수
6
7
7
3
초등
교
업
중등
교
업
5
1.291
0.21
고등
교
업
18
1.
0.216
대
업
1
1.442
0. 1
기타
부모직업
차
1. 0
a
ab
3
b
연
b
b
ab
학 졸
학 졸
육 준
학 졸
학졸
교
균 표준편 FTor
33
3
3
3
7
3
3
3
37
33
3
7
37
33
3
33
3
77
평
65
여성
령대
석
모국과의 사회적 관계 차이분
1.200
0.16
사무직
1. 6
0.285
서
비
16
24
1. 65
0.214
51
1.290
0.224
기타
9
1.289
0.285
스직
생산직
4
8
P
-.51
4
.609
4.66
6
.001
2.15
1
.081
.
.51
0
3
28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엔
~ 엔
~ 엔
엔
b
b
3
a
200만
연
수입
이하
1.2 4
0.284
400만
55
1. 41
0.2 8
400
600만
21
1. 62
0.16
37
7
3
7
5
1.080
0.1 9
2세
세
600만
가족경제
인수
이상
1명
2명
명이상
류
체
영주자
자격
정주자
1.5세
3
세대구분
기타
녀
자
의 교
육
적 지지
일본거주
기간
일본 내
학
일본
학
일계브라질
교
교
기타
10년 이하
~
미혼
혼
혼
천
10
혼
여부
20년
계속 체
향
류
의
0.215
.002
1
1.141
0.19
6.42
0
4
1.
0.246
5
1.2
0.22
2.09
1
.0 9
25
1.224
0.194
19
1.
0.26
44
1. 40
0.2 6
2.25
1
.08
12
1.41
0.2
19
1. 58
0.255
2
1.259
0.265
.288
54
3
1.
6
0.214
1.26
2
5
1. 60
0.205
50
1.2 9
0.24
.24
14
1. 5
0.2 4
1.41
8
7
3
7
3
33
6
7
7
7
1. 28
0.25
1. 0
0.242
이
11
1. 82
0.166
0.241
기타
b
ab
잘 르겠 a
28
1.41
0.221
있다
1
1.412
0.180
없다
60
1.
9
0.21
2
1.200
0.28
있다
15
1.490
0.256
없다
85
1.289
0.221
.6
5
7
7
3
4. 5
9
3
.15
8
학
3
.011
.002
적 특성과 모국과의 경제적 관계에 대한
석
살펴보
)여부문제를 분
석
것이다. 차이분
결과를
육 준
특성의 차이는 교
수
7
.0 0
0.2 0
1.250
송
살펴보
학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모국과의 경제적 관계는 일계인의 모국
(
7
3 3 3
1. 05
28
다.
3
.621
44
7
3
7
7
.4 9
불교
4 은 일계인의 인구사회
차이분
1. 4
69
음 <표 >
석
remittance
다
0.249
45
20
모
단체활동
.0 1
기
주교
종교여부
2.41
4
1. 66
3
3
7
7
20년 이상
결
7
3
3
3
37
37
77
337
3
7
3
33
3
7
37
3
37
3
3
3
33
19
200
하여 모국과의 경제적 재정적
연
계를
면 일계인의 경제적 관계에 따른 인구사회
류
별, 부모직업별, 가족경제인구별, 체
금
는
적
자격별, 세대별,
종교여부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육 준
즉
향
보
살펴보
교
나타났다.
하는 경
수
학 낮 록
환
벌
육 준
학
음
보
비
력이
대부분의 귀
을수
수
은 초등
여주고 있다. 다
면 전문직
모국과의 경제적 관계가 높은 것으로
일계인들이 돈
이 높고 그들의 교
것을 단적으로
관계를
별로는
다는 서
이를 위한 노동자로 일본에 입국
학 졸
교나 중등
교
업자들이 많다는
은 일계인의 부모직업별 모국과의 경제적
류
스직이나 생산직이 높고 체
자격별로는
일계인 디아스포라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 고찰 ········· 임 영 언․김 태 영…289
보
영주자
보 3
다는 정주자, 가족경제인수가 많고, 세대별로는 1세
보
로는 불교
톨릭 믿
다는 가
을
다
세, 종교별
는 일계인들이 모국과의 경제적 관계가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표 >
4
질문항목
남
N
3
10대
20대
성
성별
65
1.285
8
1.000
0.000
3
11
37
1.182
0.
1. 51
0.454
1.4
24
1.
0.408
4
50대
14
1.250
0. 25
학 졸 a
학 졸 a
학 졸 b
학 졸 ab
ab
b
비 ab
ab
a
엔
~ 엔
~ 엔
엔
b
b
3 a
6
1.41
0.
0.189
기타
4
7
3
1.0 1
사무직
16
서
정주자
40대
60대 이상
육 준
교
수
초등
교
업
중등
교
업
고등
교
업
수입
1
1.42
0.449
1.125
0.250
1.469
0.464
24
1.4 8
0.
생산직
51
1.196
0. 62
기타
9
1.111
0.
스직
이하
1.26
0. 48
55
1. 2
0.422
400
600만
21
1.2 8
0.
5
37
7
3
7
1.200
0.44
2명
영주자
자격
a
1.5세
c
3 b
c
육
학
학
의
적 지지
교
.80
1
5
1. 24
0.412
45
1. 6
0.418
1
1.029
0.121
4
1.465
0.414
5
1.158
0. 29
25
1.000
3
7
3
0.000
.00
0
4.10
.00
2
9
. 89
.
7
6
1
4.99
.00
6
9
4.00
.00
3 3
37 7
3
3
3
0
19
1.6 2
0. 6
1
44
1.22
0. 81
66
0
기타
12
1.58
0. 59
19
1. 68
0.4 6
2.28
.10
2
1. 89
0.424
1.21
0. 58
일본 내
녀
자
.21
세
2세
세대구분
0
19
이상
4
9
37
3
333
3
37 3
7
400만
명이상
류
3
37
3
3
37
6
200
1명
체
3
3
.85
6
0. 8
업
.184
3
37
33 7
33
0.
600만
가족경제인구
337
1.66
교
5
0.405
1.184
200만
연
7
3
333
7
7
7
3
0. 8
18
대
부모직업
차
1. 00
0대
령대
균
3
평
5
여성
연
석
표 준 F or P
편
T
37
모국과의 경제적 관계 차이분
라질
교
일본
교
기타
일계브
7
54
3
3
3
3
5
.5
.00
7
29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3
10년 이하
~
미혼
혼
혼
천 b
a
b
일본거주기간
10
20년
20년 이상
혼
결
여부
류
계속체
여부
0.40
1.260
0. 81
14
1.429
0.4 2
3
3
3
7
20
1.225
1.28
0.415
이
11
3
33
0. 80
69
1.455
0.2 0
0.41
1.
28
1.018
0.094
기타
28
0.408
있다
1
1.412
0.404
없다
잘 르겠
60
1. 00
0.414
2
1.1 4
0. 24
있다
7
3
1.500
15
1.400
0.4 1
없다
85
1.2 1
0. 82
다.
0
3
7
7
.
.991
1.2
1
37
5
3
.29
2
7 3
44
불교
모
단체활동
1.286
기
주교
종교여부
7
5
50
6
.4
.00
12
0
1.8
3
7
3 7
3
.16
4
5
1.16
.24
6
4. 일계인의 모국과 사회경제적 관계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음
다
석
해 상관분
다.
련
은 일계인의 사회적 관계와 경제적 관계의 상호 관
먼저
석
을 실시하였다. 상관분
음 <표 >
결과는 다
성을
살펴보
기 위
5 에 제시하는 바와
균
일계인의 브라질 모국과의 사회적 관계와 경제적 관계의 평
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록
사회적 관계가 많을수
즉
같
사이에
일계인들이 브라질 모국과의
경제적 관계도 많아진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일계인의 브라질 모국과의 사회적 관계와 민족차별과의 관계는 양의 상관관계
로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을
높아지는 결과를
보
강
하게
느낄 록
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적 관계도
여주고 있다.
결국 일본사회에서 일계인의 차별은 일계인들이 그들 모국 브라질에 관심을
돌
리는 계기를 제공하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일계인의 모국과의 사회적 관
계는 민족정체성과 양의 상관관계로 모국과의 사회적 관계가
강 록
할수
그들의
모국 브라질인으로서 정체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일계인의 모국과의 경제적 관계와 민족정체성은 양의 상관관계로 모국과의
강 록
경제적 관계가
할수
민족정체성도 높다는 것을
보
석
여주고 있다. 그러나 일
계인의 모국과의 경제적 관계와 민족차별 간의 상관분
냈
로 나타
결과는
다. 이것은 일계인들이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이
미
관계가 약화되는 것을 의
한다. 이상과
같
석
은 상관분
음
의 상관관계
강 록
볼
할수
결과를 종합해
경제적
때 일
계인의 브라질 모국과의 사회적 관계와 경제적 관계는 민족정체성과는 별도로
민족차별이
강
화되면 모국브라질과의 사회적 관계는
약화되는 현상을
보
여주고 있다.
강
해지고 경제적 관계는
일계인 디아스포라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 고찰 ········· 임 영 언․김 태 영…291
<표 >
5
균
모국과의 사회적 및 경제적 관계와 민족차별 및 민족정체성 평
석
과의
상관분
Pearson
확률 쪽
N
Pearson
확률 쪽
N
준 **= P<
항목구분
사 회
적 관
계
경 제
적 관
계
경제적
관계
계
유의
(양
유의
(양
3 **
음
은 사회적 관계의
100
0.05.
규
인을
통계량은
2은 0.2 8로
은
다. 각각의 회귀계수의
유의수
5
균
(-0.005)
데
석
이를 해
100
100
음
을 실시하였다. 다
준 %
유의수
균
5
에서
확률
은 유의
향
즉
으로 나타났다.
음
보
여주고 있
회귀모형에
포함
된 독립
을 주는 요인은 민족정체성으
균
3 >
(0.5 0) 민족차
향
의 영
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하면, 일계인들이 모국 브라질에 대한 민족정체성이
일계인 단체활동에
회에서 민족차별을
더욱 극
강 느낄 록
적
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게
수
유의하고,
이 0.000 으로
력이 큰 정도는 민족정체성평
민족차별은 모국과의 사회적 관계에
는
.000
이지만 회귀모형의 적합성을
향
순
.118
결과 추정된 회귀모형의 적합도에 대한
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에 영
**
.484
석
변수 중 일계인의 모국과의 사회적 관계에 영
별평
7
정 결과 민족정체성평
이하에서 유의
100
-.15
100
0.000)으로서
명력은
.000
100
으로 하여 회귀분
이 회귀분
18. 1 (유의
**
.528
.04
균
석
같
7 7 확률
7 설
낮 편
t검
준 %
미
6 에 제시한 바와
3*
3
명하기 위해 종속변수를 사회적 관계로 독
립변수를 민족차별과 민족정체성 평
<표 >
F
R^
균
.20
*= P<
원
평
균
1
.001
0.01,
평
100
. 26
)
민족정체성
.001
100
상관계수
민족차별
. 26
)
관
3 **
1
상관계수
주) 유의수
다
사 회 적
반
강 록
할수
면 일계인들이 일본사
일계인 단체활동에는
소극
적인 것으로 나
타났다.
번
살펴보
석
이
에는 일계인의 민족차별과 민족정체성에 따른 모국과의 경제적 관계를
석
기 위해 회귀분
분
결과
추정된
회귀모형의
적합도에
준 %
0.000)으로서 유의수
편
5
t검
준 %
유의수
균
미
정 결과 민족차별평
5
이하에서 유의
에 제시한 바와
대한
에서 유의하고,
이지만 회귀모형으로서 적합한 것으로
의
음 <표 7>
같
F
확률
R^
377 설
낮
판
균
확률
즉
포함
을 실시하였다. 다
통계량은
2은 0.
이 회귀
29.296((유의
로
명력은
은
명되었다. 따라서 각각의 회귀계수
, 민족정체성평
은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각각 0.000으로
회귀모형에
된 독립
29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향
변수 중 모국과의 경제적 관계에 영
균
성평
향
으로 나타났다. 모국 브라질과의 경제적 관계에 영
균
족정체성평
>
균
(0.645) 민족차별평
<표 >
6
항목구분
순
(-0.410)
균
비표준
B 표준오
7
민족차별평
균
표준
석
t
계수
차
베타
.0 6
11.818
.000
민족차별평
-.001
.029
-.005
-.050
.960
민족정체성평
.162
.029
.5 0
5.64
.000
균
균
F
R^
2
3
균
그러나 민족차별평
은 모국과의 경제적 관계에
석
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
강 록
할수
연
이상과
같
관계는 민족정체성이
강
하게
느낄 록
수
보
적
하게
볼
결과를 종합해
할수
단체활동에
균
, 민족정체성평
음
향
의 영
을 주고 있는 것
적이라는 것이다.
수
반
면 일계인
연
브라질과의 경제적
계는
때 일계인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적
극
단체활동에 적
소극
적이고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이
적이고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
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계인의 모국 브
강 록
강 록
라질과의 경제적 관계는 민족정체성이
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7
.2 8
여주고 있다.
석
강 록
은 회귀분
더욱 극
강 느낄 록
계에
들이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을
적이라는 결과를
77<
18. 1 ( .001)
하면, 일계인들이 브라질인으로서의 민족정체성이
브라질과의 경제적
더욱 소극
7
균
주) 종속변수: 사회적 관계, 독립변수: 민족차별평
극
소극
확률
유의
.895
(상수)
을
력이 큰 정도는 민
과 사회적 관계의 회귀분
화
계수
, 민족정체
으로 나타났다.
및 민족정체성평
화
균
을 주는 요인은 민족차별평
할수
할수
브라질과의 경제적
연
모국 브라질과의 경제적
계에 적
연
계는
일계인 디아스포라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 고찰 ········· 임 영 언․김 태 영…293
<표 7>
균
민족차별평
균
및 민족정체성평
비표준
B 표준오
화
항목구분
석
과 모국과의 경제적 관계 회귀분
표준
화
계수
t
계수
차
베타
.800
.118
-.214
.045
-.410
.045
.645
확률
유의
7
균
77
균
33
73
F
<
R^
377
주) 종속변수: 경제적 관계, 독립변수: 민족차별평균, 민족정체성평균
(상수)
민족차별평
민족정체성평
.
1
6. 81
.000
-4. 0
.000
. 99
.000
29.296( .001)
2
.
Ⅴ. 결론 및 시사점
이
연
치
구의 목적은 1990년대 이후 도일하여 일본 아이
현에 거주하는 일
계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민족정체성에 따른 모국인 브라질과의 사회적 경제적
관계에
설
대하여
3
문조사를
201 년 2월부터 5월
말
음 같
석
, 빈도분
찰 데
설
고
하는
까지 진행된
정리하면 구체적으로 다
첫째
통해
과
있다.
문조사에
근
연
석 료
연
구방법과
분
거하고 있다.
자
구결과를
다.
결과 일계인들의 일본 정주가 진행되면서 브라질 모국과의
사회적 관계는 점차
강
화되고 있었지만 경제적 관계는
더욱 소원
송
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일계인 사회가 일본어 부족에 따른 방
포르투갈
절
어 사용으로 일본사회와 단
이나 신문의
되는 또 다른 ‘정보 게토화’ 현상을
벌
여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민 초기의 일시적인 돈
보
석
친
향 강 록
, 교차분
여
결과 일계인의 사회적 관계는 일계인 상호간 1주일에 1회 정
이나
질 귀국의
구를 만나고 모국 브라질에 재산
이
할수
보
유정도가
모국 브라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언젠
록
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계인들이
획을 가지고 있는 일계인들일수
키
보 준
인다.
둘째
친척
도
보
이노동자에서
정착단계로 들어서면서 경제적 관계는 점차 약화되는 현상을 단적으로
것으로
는
낮
강
향
으며
후 브라
한 것으로 나타
가는 모국 브라질로 귀국할 것이라는 계
남
일본 내에서 일계인들 간의 만
을 지속시
고 브라질에 대한 관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째
석
셋 , 상관분
결과 일계인의 민족정체성과 모국과의 사회적 경제적 관계는
민족정체성과는 별도로 민족차별이
강
화되면 모국과의 사회적 관계는
강
해지
29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반
고
즉
면에 경제적 관계는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 록
넷째
석
강 록
더욱 극
록
소극
강 록
강 록
민족정체성이
할수
, 회귀분
성이
사회적 경제적 관계도
강
모국 브라질에 대한
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일계인들은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적 관계에서 민족정체
할수
단체활동에
단체활동에
적
할수
강
브라질과의 경제적 관계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이
할수
화에
밀 히 관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워 록
의 생활이 어려
략
질수
적
적이고
적인
반
결론적으로 일계인의 일본생활은 그들의 민족정체성의 기
련
더욱 극
소극
모국 브라질과의 경제적 관계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
수
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계인의 모국과의 경제적 관계에
서는 민족정체성이
과
느낄
적이고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을
향
인 모국 브라질
후 일계인들이 일본에서
존
일본생활을 회고하게 되고 일본에서 생
하기 위한
으로서 다양한 변화와 개혁을 시도하게 되며 브라질과의 관계개선에도 적
전
극
될
적으로 나서게
것이다. 일본에서 일계인들은 법적으로 ‘일본’과의 관계
때문에 일본인으로 우대되었지만 내면적으로는 일본인과의 차이 때문에 일본
인이 아닌 ‘외국인’으로 인식되어 온
기 정체성으로서 일계인
측
면이
연
향
태별, 거주지
략
생활전
인다.
두
략
별 생활전
었다.
연
구결과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에 따른 거주형
포
은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국적 중국조선족 동
포
선족 동
급
증으로 다문화사회를
표
향
방하기 시작했지만 국내 거주 중국조
들의 경우 국적과 민족적 성
록
국내에서 차별과 ‘다름’을 경험할수
될
연
의
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에서도 1990년대
이후 외국인의
이
보
구는 일계인의 민족차별과 민족정체성에 따른 브라질 모국과의 사회적
경제적 관계에 초점을
게
재한다. 따라서 일계인들은 자
혹은 일본인이라는 양자의 선택 결과에 따라 모국 브
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도 결정된 것으로
이
존
이 일계인들과
중국과의 관계
것이고 중국과의 사회경제적 관계도
구는
향
후 중국조선족은
의 다양한 정책적 배려가
매
물론
강
같
강
은
맥락에서 그들이
극
화에 적
적으로 나서
화할 것이다. 이러한
이고 다문화사회
소
측
면에서
수민족을 위한 한국정부
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일계인 디아스포라의 모국 브라질과의 사회경제적 관계 고찰 ········· 임 영 언․김 태 영…295
【参考文献】
임성모(2008)「근대 일본의 국내식민과 해외이민
송석원
「
日系人
」『 연 』
환・김연옥
「
보
완・ 언・박
3『 디 포
(2009)
중심으로
민족
이제
임채
일본정부의 일계인(
구
(2005)
임영
」『 학 학연 』
JICA
동
)정책-
구용(201 )
행태에 관한
일계인
아스
구
3
원
제10 집.
의 해외일계인 지
.
재일한인의 정
사
연 」『
구
사업을
』
한국민족문화
라: 초국적 이주루트와
26.
글로벌네
트워크』북코리아.
언・ 석
「
네트워
징
응 트레
연 」『日本文化研究』第 輯
언・ 규
「
환 연
치
」『日語日文学』第 3輯
언・ 완
「
연 」『日本文化研究』第 輯
언・ 석
「
日系人
연 」『 연 』
黒田陽子 7 「フィールドワークによる日系人の生活戦略分析ー人間関係と言語
習得から見る支援の一つの可能性ー」『生態人類学会』No
梶田孝道・丹野清人・樋口直人
『顔の見えない定住化ー日系ブラジル人と国
家・市場・移民ネットワーク』名古屋大学出版会。
財団法人海外日系教会 http://jadesas or jp 검색 :
。
関口知子 3 『在日日系ブラジル人のこどもたち』明石書店。
前山隆
『異文化接触とアイデンティティ』お茶の水書房。
吉田忠雄
『南米日系移民の軌跡』人間の科学社。
임영
한
임영
최
신(2014)
구
50
임온
(2014)
인 우수인재 유
임영
한종
한
최
구
일본의 이민정책과 일계인의 모국귀
6
구
스
스에 관
정책
구-재외방
.
일계인의 일본 정착과정에서 나타난 차별의식과 차별유
52
신(2015)
과 문화적
.
구
민족
크 특
정책을 중심으로-
(2014)
형에 관한
임영
재한일본인의
일계인(
.
)의 민족차별경험과 민족정체성 형성에 관
제61집.
(200 )
.14.
(2005)
,
(200 )
(2001)
(2006)
.
.
(
일
2015년 5월 21일)
29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要旨
本研究の目的は1990年代以降日本愛知県に住んでいる日系人を対象に彼らの母国
であるブラジルとの社会的経済的関係を調べることである。研究の方法と分析の資
料は日本名古屋地域9番だ地に住んでいる日系人を対象に質問調査を行い、回収され
た100部のデータを活用した。分析の結果は次の通りである。 第一に、頻度分析の結果、日系人の日本定住が進めば進むほどブラジル母国との
関係は強化されたが、経済的な関係は遠くなる傾向があった。
第二に、分散分析の結果、日系人の社会的関係は日系人同士間で1週間1回ほど親
戚や友だちに会い、ブラジルに財産保有程度は低かった。日系人たちは今後ブラジ
ルへ帰国する意向が強いほど母国ブラジルにに対する社会的関心も高い傾向があっ
た。
第三に、相関分析の結果、日系人の母国との社会的経済的関係は民族アイデン
ティティとは関係なく、彼らに対する民族差別が強化されれば母国との社会的関係
は強化される傾向があった。
第四に、回帰分析の結果、日系人の母国ブラジルとの社会的関係で民族アイデン
ティティと民族差別が強いほど団体活動に積極的であった。
結論的に、分析結果をみると日系人の母国ブラジルとの関係は民族アイデンティ
ティが強いほど経済的関係は積極的で民族差別が強いほど社会的な関係が活発にな
る傾向があった。このような日系人の生存戦略は韓国多文化社会の外国人生存戦略
にそのまま適用できると考えられる。
キーワード:日系人、社会的関係、経済的関係、民族差別、民族アイデンティティ、
多文化社会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재확정일 : 2015. 7. 4
일본 아동수당제도의 변화과정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아동복지정책의 방향성 연구*1)
2)전
호 성**
(e-mail : [email protected])
目 次
1.
2.
3.
4.
5.
문제제기
아동수당제도의 개념
일본 아동수당제도의 변천
아동( 童)수당제도와 어린이(子ども)수당제도
시사점
児
1. 문제제기
2014년도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21명으로 현재 인구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2.1명의 합계출산율을 크게 밑도는 이른바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고 있
前
다. 저출산 문제는 비단 2014년 단년도만의 문제가 아니라 2000년을 전후(
起
後)로 꾸준히 제기(提 )되어 왔던 사회문제이다. 이에 정부는 출산율 제고(提
高)를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에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 영유아보
육료지원, 가정양육지원 및 3-5세 누리과정 등의 제도를 들 수 있다.
영유아보육료 지원제도는 만0-5세 보육료 사업, 장애아 보육료 사업, 다문화
보육료 사업, 시간연장형 보육료 사업 등 부모의 자녀양육에 대한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한 사업이다. 특히 만0-5세 보육료 지원 사업은 소득수준과 무관하게
兒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0-5세아( )를 지원대상1)으로 최소 220,000만원에서 최
* 본 연구는 강남대학교 2013년도 연구지원비에 의하여 수행되었음.
**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29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대 609,000원의 보육료2)를 지원한다. 가정양육수당 지원제도는 만0-5세 보육료
지원사업과 달리 어린이집ㆍ유치원ㆍ종일제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全
초등학교 미취학 84개월 미만 가정양육아동 전( )계층을 지원대상3)으로 한다.
한편 3-5세 누리과정4)은 만3-5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어린이집 표준보육
과정과 유치원 교육과정을 통합한 공통과정으로 모든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대
해 국가가 관리하는 양질의 보육ㆍ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보건
복지부와 교육부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도시행에
도 불구하고 [표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출산율은 반등(反騰)하지 않고 있으
며, 향후 그 심각성은 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표1] 합계출산율 및 출생아 수
(단위: 천명, 가임여성1인당 명)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출생아 수
435
448.2
493.2
465.9
444.8
470.2
471.3
484.6
436.6
합계 출산율
1.08
1.12
1.25
1.19
1.15
1.23
1.24
1.30
1.19
출처 : 통계청, 『2013년 출생통계(잠정), 국가승인통계 제10103호 출생통계』
이러한 저출산 현상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유럽복지선진국을 포함한 대부
분의 선진국이 겪고 있는 문제로 향후 해결해야 할 핵심과제 중에 하나이다.
이에 유럽복지선진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에서 그 해결수단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 출산전후휴가제도, 출산장려금제도이며, 또한 아동수당제도이나 출산율
향상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출산전후휴가제도나 출산장려금제도와는 달리 아직 우리나
1) 다음의 경우는 지원대상에서 제외된다.
- 아동복지시설(생활시설) 재원중인 아동 중 2012년 1월1일 이후 출생아동 및 방과후 아동
- 가정위탁 보호중인 입양대상 아동 중 2012년 1월1일 이후 출생아동
- 유치원을 이용하여 유아학비를 지원받고 있는 아동
- 가정ㆍ농어촌ㆍ장애아동양육수당을 지원받고 있는 아동
- 종일제아이돌봄서비스를 지원받고 있는 아동
2) 2015년 기준
3) 단, 장애아동 양육수당은 등록장애인일 경우, 농어촌 양육수당은 농어촌 지원자격에 적
합한 경우에 한해 지원한다.
4) 자세한 내용은 보건복지부(2015) 『2015년 보육사업안내』, 241~251쪽
석
일본 아동수당제도의 변화과정분 을 통한 우리나라 아동복지정책의 방향성 연구 전 호 성…299
법
난
라에 도입되지 않고 있지만 이미 입 화가 시도5)되었으며, 지
대선에서도
막론하고 핫이슈로 쟁점화 되었던 아동수당제도의 도입여부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아동수당제도의 도입에 찬성이 아
닌 비판적 측면에서 이를 논증(論證)하고자 한다. 그 가장 큰 이유로서 현재
우리나라는 아동수당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재원확보가 어렵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서, 재원확보방안이 부실한 상태에서 아동수당제도를 도입하게 되면, 아동
수당제도 자체를 포함하여 사회보장제도 전체 틀을 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를 논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우리나라와 유사한 저출산 상황에
처해 있으나, 이미 ‘아동수당제도’(이하, 구분이 필요할 경우 편의상 구(舊)아동
수당제도로 칭함)를 도입하였고, 그 후 ‘어린이수당제도’라는 제도적 수정을 거
치면서 다시 ‘아동수당제도’(이하, 구분이 필요할 경우 편의상 신(新)아동수당
제도로 칭함)로 복귀하는 등 시행착오(試行錯誤)를 겪고 있는 일본의 제도과정
분석을 통하여 그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여야를
2. 아동수당제도의 개념
란
아동수당제도
람에게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사
현금을
급여함으로써
가정
생활의 안정에 기여함과 동시에 다음세대의 사회를 담당할 아동의 건전한 육
목적으로 하는 제도 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脈絡)의
아동수당에 대한 관점을 조애저 외(2000)는 크게 경제적 관점, 정치적 관점, 인
성과 자질의 향상을
6)
구학적 관점, 사회복지적 관점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7)
경제적 관점
(전략)
가족에 대한 국가의 지원은 서비스나 보조금을 통해 자녀양육비를 줄이거나,
직/간법 보조금지급을 통해 가계소득을 인상함으로써 아동에 대한 수요에 영
향을 줄 수 있다고 봄.
자녀수에 대한 경제학 이론에 의하면 아동에 대한 수요는 소득이란 제약조건
에 지배되며, 이와 유사하게 가족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예산이란 제약조건에
의해 지배됨.
낙
발
법 児 手当法 목
폐
5) 2009년 11월25일 이 연의원 대표 의 되었으나, 임기만료
기되었음.
6) 일본 아동수당 ( 童
)의
적임.
7)
애저 외(2000)『아동수당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한국보건사회연구원, .41~45쪽
조
30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정치적 관점
(전략)
여성들이 노동시장과 노동조합 그리고 의회에 진출한 것과도 관련이 있음. 즉,
여성의 참여가 높은 것은 근로여성 지원을 목표로 하는 정책개발을 채택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음.
인구학적 관점
논의)이 증가하고 여성인력의 노동시장 참여가 증
가하면(정치적인 논의) 자녀를 둔 직장여성을 위한 정책이 많아지고, 국가의
예산이 삭감되고(경제적인 논의) 좌파와 종교적인 성향의 표가 적어지면(정치
적인 논의) 가족에 대한 국가의 지원도 적어짐.
아동의 기회비용(경제적인
사회복지적 관점
아동복지는 아동의
괄
권리 측면에서
삶을
최소한의 인간적인
영위할 수 있는
생활수준을 포 하는 것임. 아동수당은 이러한 아동복지의 기본이념에 입각하
급함으로써 아동의
장하는 제도로서 위치 지워져야 함.
여 아동의 양육비를 지
건전한 보호육성을 사회적으로 보
술(旣述)한
이와 같은 아동수당에 대한 여러 관점을 종합하여 기
“아동을 양육하고
람
있는 사 에게 현금을
바와 같이
급여함으로써 가정생활의 안정에 기
여함과 동시에 다음세대의 사회를 담당할 아동의 건전한 육성과 자질의 향상
목적”으로 하는 일본 아동수당제도의 변천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단순히 출산율 향상에 기여함을 주요목적으로 하고 있던 우리나라의
‘아동수당에 관한 법률안’과는 근본적인 차이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 이
유는 임기만료로 폐기된 아동수당에 관한 법률안 제1조(목적)을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즉, “이 법률은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사람에게 아동수당을 지급함으
로써 가정생활의 안정과 출산율 향상에 기여함과 더불어 아동의 건전한 육성
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법률안의 제안이유를
보면, “(전략) 세계적으로 저출산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06년
합계출산율 1.13명으로 OECD 국가의 합계출산율 평균 1.65명보다 매우 낮음.
’06년 미국 2.1명, 프랑스 1.98명, 스웨덴 1.85명, 노르웨이 1.90명 등 영미권 및
북유럽 국가보다 매우 낮으며, 이웃 일본의 1.32보다도 낮은 수준임. 아동수당
지급을 통해 일본보다 낮은 우리나라 출산율을 제고하고자 함”이라고 설명하
고 있다. 다시 말해서, 명목(名目)상으로는 가정생활의 안정과 출산율 향상 및
을
석
일본 아동수당제도의 변화과정분 을 통한 우리나라 아동복지정책의 방향성 연구 전 호 성…301
두고 있지만 실질(實質)적으로는 출산율 향상에
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앞서 언급한 아동수당
의 경제적 관점, 정치적 관점, 인구학적 관점, 사회복지적 관점 보다는 단순히
출산율 향상에만 초점을 두는 또 다른 의미의 정치적 관점에 역점(力點)을 두
고 있다. 그렇다면 일본의 아동수당제도는 제도도입을 전후하여 어떠한 변천과
정을 거쳐 왔는지를 분석해 보자.
아동의 건전한 육성에 초점을
3. 일본 아동수당제도의 변천
1) 아동수당제도 도입 전
앙
1972년에 도입된 아동수당제도는 1961년 6월 중 아동복지심의회 아동수당
검토를 시작으로 1964년 10월, 중앙아동복지심의회 아동수당부회는 중
간보고(이하, 중간보고)를 통하여 아동수당의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①아동복
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방안, ②사회보장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방안, ③임
금체계 재검토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방안, ④소득격차시정과 인간능력개발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방안 등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중간보고에서 제시된 각각의 구체적인 방안은 다음과 같다.
부회의
8)
① 아동복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방안(아동육성설)
아동의 인권을 확립하고 아동복지 이념에 서서 그 보호육성을 도모하기 위하
여 아동의 생계비를 급여한다. 아동의 보호육성(방빈:防貧)을 목표로 하는 점
에서는 최저생활 보장을 목표로 하는 생활보호(구빈:救貧)와는 구별되므로(사
회보장+α) 급여액은 아동의 최저생계비에 구애(拘碍)될 필요는 없다.
② 사회보장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방안(다자녀보험설)
다자녀를 빈곤의 유력한 원인으로 인식하여 다자녀로 인한 빈곤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사회보험방식에 의한 최저양육비를 지급한다. 방빈(防貧)의 관점에
서 첫째, 둘째 자녀는 비급여도 가능하지만, 사회보험방식에서는 자력(資力)에
따라 급여액을 바꾸는 것은 적당하지 않다. 보험료는 노동력의 재생산이라는
8)
江口隆裕
「
手当」 少 化対策 法律文化社
닌 江口
副題
닌
험
(2011)『 子ども
と 子
』
、108-109쪽.
여기서는 보고서 원문이 아
가 정리한 중간보고를 인용함. 이는
가 중간보고
가 제시된 각각의 방안에 대한 부제(
)를 명명하였고, 특히
사회보장의 관점을 중심
으로 한 방안에서 ‘사회보장’이 아
‘사회보 ’으로 부제명을 명시한 것에 필자가 공 하
였기 문임.
때
②
江口
감
30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메리트(merit)가 있으므로 사업주 부담을 중심으로 하여야 하나 본인부담에
대해서는 찬반양론(贊反兩論)이 있다. 국고부담 도입도 고려해야 하겠지만 자
산조사 등의 제한은 추가해서는 안 된다. 다만 획일적인 아동수당을 세금재원
으로 감당하는 것은 생활개인책임의 원칙을 기본으로 하는 우리나라(일본)에
서는 무리(無理)가 있다.
③ 임금체계 재검토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방안(임금체계 재검토설)
임금 중에 가족급여 상당액을 사회보장으로 대체하여 아동수당으로서 노동자
에게 분배한다. 이로써 연공서열(年功序列)형 임금의 재검토가 가능해 지고
중고년(中高年)노동력의 유동화에도 이바지한다. 가족급여 폐지의 보상(見返り)
인 이상 아동수당은 첫째 자녀부터 지급하여야 한다. 대상아동 연령은 최대공
약수적인 18세까지로 한다.
④ 소득격차 시정(是正)과 인간능력개발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방안(생산력 확
보설)
차 시정 및 인간능력개발 내지 미래 우수한 사회적 생산력 확보
를 위해 아동수당을 모든 국민에게 지급한다. 재원은 사업주 부담을
중심으로 근로자 (被用者) 뿐만 아니라 자영업자, 농림어업종사자도 사
회보험으로 조직화(組織化)하지만, 사실상 농업, 영세(零細)기업 등을
위하여 대기업에 의한 대체부담을 시인(是認)한다.
중간보고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①아동복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방안과
③임금체계 재검토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방안은 ‘수당방식’을 ②사회보장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방안과 ④소득격차시정과 인간능력개발의 관점을 중심으
로 한 방안은 ‘사회보험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중앙아동복지심의
회 아동수당부회는 ②사회보장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방안과 ④소득격차시정
과 인간능력개발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방안을 추천하였다. 이는 사실상 현재
시행되고 있는 ‘수당방식’이 아닌 ‘사회보험방식’ 을 추천한 것이다. 그렇지만
실질적으로는 1968년 12월, 후생대신(厚生大臣)의 사적자문기관인 아동수당간
담회 보고와 1969년 7월, 아동수담심의회가 설치되고 대신구상(大臣構想) 및
아동수당심의회안, 그리고 1970년 11월, 집권당인 자민당(自民党)사회부회가
‘아동수당제도의 구상’을 승인하게 되고 이에 따른 정부안(政府案)이 결정되면
서 ‘사회보험방식’이 아닌 ‘수당방식’인 아동수당제도가 시행된 것이다.
소득격
9)
10)
被用者는 샐러리맨 즉, 급여생활자를 의미하나 여기서는 편의상 ‘근로자’로 통칭하여 사
용한다.
10) 완전한 사회보험방식이 아닌 변형된 사회보험방식이라고 할 수 있음.
9)
석
일본 아동수당제도의 변화과정분 을 통한 우리나라 아동복지정책의 방향성 연구 전 호 성…303
2) 구(舊)아동수당제도 도입 후
1972년
제도
발족
혁
[표2] 아동수당제도의 주요 연
*대상자 및 기간
셋째 자녀 이후, 의무교육 취학 전(前)까지 지급
*수당금액 3,000엔(당시 어린이 1인당 양육비의 1/2를 목표로 설정)
*비용부담
1974년
1975년
1982년
근로자(被用者) 사업주7/10, 공비(公費)3/10(그 중 국가2/10, 지방1/10)
자영업자(非被用者) 공비(公費)(국가2/3, 지방1/3)
*수당금액 4,000엔
*수당금액 5,000엔
*소득제한 강화와 근로자에 대한 특별금여 도입
*비용부담
1986년
1992년
2000년
근로자, 자영업자 종전과 같음 - 본칙(本則)급여
근로자만 전액 사업주 부담 - 특별급여
*둘째 자녀 이후로 확대
*수당금액
둘째 자녀 2,500엔, 셋째 자녀 이후 5,000엔
*첫째 자녀 이후로 확대, 3세 미만
*수당금액
첫째, 둘째 자녀 5,000엔, 셋째 자녀 이후 10,000엔
*의무교육 취학 전까지로 확대
*비용부담
2001년
2004년
확대부분 재원은 전액 공비(公費)
*소득제한 완화
지급율 72.5%에서 85.0%로
*대상기간
前
초등학교 3학년 수료 전( )
2006년
*대상기간
前
자료:鈴木真理子編(2002)『育児保険構想』筒井書房、p.165
초등학교 수료 전( )
로 필자 재구성.
舊
지급함으로서
및
厚生労働省자료
람
구( )아동수당제도는 1971년 5월,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사 에게 아동수당
을
가정생활안정에 기여함과 동시에 다음세대의 사회를 담당할
30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아동의 건전한 육성 및 자질의 향상에 기여함을
条)으로 제정되었다.
급
목적’(児童手当法制定法、第一
셋째
규
제도도입 당초에는 아동수당의 지 대상을
자녀이후 아동으로
정하
였으며, 그 아동의
위는 1972년 1월에는 5세 미만 아동이었으나, 1973년 3월
범
터
액
확
터
前 까
확
급
엔
엔
에는 월5,000엔으로 상향되었다. 한편, 아동수당의 비용은 근로자(被用者)인 경
우, 사업주가 7/10, 공비(公費)가 3/10(국가 2/10, 지방 1/10)을 부담하였으며,
자영업자(非被用者)인 경우는 전액 공비(국가 2/3, 지방 1/3)부담이었다.
1982년에는 1981년의 소득제한의 강화와 더불어 행정개혁특별법에 따른 근
로자에 대한 특별급여가 도입되었는데, 비용부담에 있어서는 본칙(本則)급여는
근로자와 자영업자 모두 종전과 변함이 없었으나, 근로자 또는 공무원에 대해
서는 전액 사업주 부담으로 아동수당과 같은 금액의 특별급여를 지급하였다.
1985년 개정에는 지급대상 아동이 셋째 자녀이후 아동에서 둘째이후 아동으
로 확대되었으며, 수당액은 둘째는 월2,500엔, 셋째 자녀이후는 월5,000엔으로
둘째에 대하여 월2,500엔 부분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지급기간이 기존 의무교
육종료전의 기간에서 의무교육 취학전까지 로 단축되었다. 그 외에 소득제
한 , 특별급여, 비용부담은 기존과 동일하였다.
구(舊)아동수당제도는 1991년 개정에서 제도적 큰 변화를 가져온다. 먼저 지급
대상 아동을 기존의 둘째 자녀이후에서 첫째 자녀이후로 확대되고, 지급금액은
첫째, 둘째 자녀는 각각 월5,000엔, 셋째 자녀이후는 월10,000엔으로 크게 증액된
다. 그러나 지급기간이 기존의 의무교육 취학전에서 3세까지로 단축되었으며, 소
득제한은 4인세대 수입기준으로 358.9만엔, 특별급여는 4인세대 수입기준으로
625.0만엔 이었다. 반면 비용부담은 기존과 동일하여 근로자는 사업주7/10, 국가
2/10, 지방1/10, 자영업자는 국가2/3, 지방1/3, 특별급여는 사업주 전액부담이었다.
그 후 지급금액의 변화는 없었으나, 지급기간은 2000년에 기존의 ‘3세까지’에
서 ‘의무교육 취학전’까지로 확대되었고, 2004년에는 다시 ‘초등학교 3학년 수
료전’까지로 확대되었으며, 2006년에는 ‘초등학교 수료전’까지로 확대되었다. 또
한 비용부담에 있어서는 3세이상에서 의무교육 취학전까지의 아동에 드는 급
여의 지급비용은 전액공비(公費)로 국가 2/3, 특별시광역시도(都道府県) 1/6,
시도(市町村) 1/6 부담하였다. 동시에 2001년에는 소득제한을 완화하여 지급율
부 는 10세 미만의 아동으로 대되었고, 1974년 4월부 는 제도가 당초에 예
정하였던 의무교육 종료전( )11) 지의 아동으로
대되었다. 아동수당의 지
금 은 제도도입 당시 월3,000 에서 1974년에는 월4,000 으로 또다시 1975년
12)
13)
졸 까
小学校
世帶
11) 중학교
업 지
12) 초등학교(
) 입학 지
13) 1982년도-1985년도:행정개 관 특
세대(
) 수입기준으로 409.4만 )
까
혁 련 별법으로 인한 소득제한 강화조치로 1985년도는 6인
엔
석
일본 아동수당제도의 변화과정분 을 통한 우리나라 아동복지정책의 방향성 연구 전 호 성…305
%
%
확
은 72.5 에서 85.0 로 대상자를 대하였다.
그리고 2007년 4월부 는 지 대상 아동에
터
급
따른 지급금액이 구분되어 0-3세
미만 아동에게는 일률적으로 월10,000엔, 3세부터 초등학교 수료까지는 첫째와
둘째 자녀는 각각 월5,000엔, 셋째 자녀이후는 월10,000엔을 지급하였으며, 소
득제한은 근로자 연수(年收)860만엔이었다. 이러한 변화과정을 거친 구(舊)아
동수당제도는 2009년 이후 어린이(子ども)수당제도가 실시 때까지 지급대상과
지급금액 및 지급기간은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2012년 이후 다시 아동수당제도
로 부활한다. 신구(新舊)아동수당제도의 중간과정인 어린이수당제도에 관해서
는 다음 장(章)에서 상세히 분석한다.
3) 신(新)아동수당제도
現
급대상을 중학교 수료까지 일본
국내에 주소를 두고 있는 아동으로 15세가 된 해 년도말까지로 하였다. 지급금
액은 0-3세미만은 일률적으로 월15,000엔, 3세-초등학교 수료전까지 첫째, 둘
째 자녀는 각각 10,000엔, 셋째 자녀이후는 월15,000엔, 중학생은 일률적으로
월10,000엔을 지급하며, 소득제한(전업주부, 아동 2명세대, 연수입 960만엔 미
만)이상은 일률적으로 월5,000엔을 지급하는 4가지로 분류하였다. (표3 참조)
2012년 이후 부활한 현( )아동수당제도는 지
림
[그 1] 현행 아동수당제도의 비용부담
별급여
특
근로자
국가
지방
13
/
/
(소득제한이상)
자영업자
23
국가
23
/
0-3세
미만
아동수당
별급여
특
3세-
(소득제한이상)
중학교
사업주
/
7 15
국가
/
23
수료
전(
前)
국가
국
지
가
방
16 45
8 45
/
/
지
방
13
/
지
방
13
공무원
지
방
13
/
국가
23
/
지
방
13
국가
23
지
방
13
/
국가
소속청
/
10 10
/
/
지
방
13
소속청
/
10 10
2/3
/
/
/
출처 : 児童手当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平成24年法律第24号)附則 일부수정 필자작성
아동수당
23
30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별급여와
비용부담에 있어서는 0세-3세미만의 특
별급
3세-중학교 수료전 특
근로자, 자영업자 모든 국가가 2/3, 지방이 1/3을 부
담하며, 0세-3세미만의 아동수당 부문은 근로자의 경우 사업주가 7/15, 국가가
16/45, 지방이 8/45를 부담하며, 자영업자의 경우는 국가가 2/3, 지방이 1/3을
부담하는 구조이다.(그림1 참조)
여 및
아동수당 부문은
4. 아동(児童)수당제도와 어린이(子ども)수당제도
1) 구(舊)아동수당제도와 어린이수당제도의 시행
앞장과 같은 변천과정을 거친 아동수당제도는 유럽 복지선진국에 비해 불충
분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었다. 특히 출산율 1980년대 이후, 회복세를 보이지
았
갱신해 갔다. 이에 민주당은 제45회 중의원 총선거
‘매니페스토(Manifesto) 2009’ 정책집에서 “다음 세대의 사회를 담당할 어린이
한 사람 한 사람의 성장을 응원하는 관점에서 소득세의 부양공제나 배우자공
제를 재검토하여 어린이(子ども)수당을 창설합니다. 어린이가 성장하기 위한
기초적인 비용(피복비, 교육비 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중학교 졸업까지의 어린
이 한 명당 월액2만6000엔(연간31만2000엔)을 지급합니다”라는 공약을 내걸었
다. 이 공약은 주효하였고, 선거결과 민주당은 정권창출에 성공하였다.
민주당은 집권 후, ‘다음세대의 사회를 담당할 어린이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
하기 위하여 2010(平成22)년도의 어린이수당 지급에 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
정’하기 위한 취지로 2010년도의 어린이수당 지급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이 법률은 어린이수당 지급대상은 0세부터 중학교 종료까지이며, 소득제한 없
이 월1만3,000엔을 부모 등에게 지급하는 내용이었다. 어린이수당에 대한 재원
은 아동수당분을 아동수당법의 규정에 근거하여 국가, 지방, 사업주가 비용을
부담하고 그 외의 비용은 전액 국가가 부담하는 것이었다.(그림2참조)
않 고 출산율 최저기록을
석
일본 아동수당제도의 변화과정분 을 통한 우리나라 아동복지정책의 방향성 연구 전 호 성…307
림2] 2010년도의 어린이수당 지급에 관한 법률 개요
어린이수당의 창설(국고부담금) 1조4,722억엔
그 중, 급여비 : 1조4,556억엔(10개월분 계상)
사무비 : 166억엔(시정촌분 164억엔)
[그
어린이수당
조
억엔
국가 1 2,230
아동수당분
국가
억엔
2,326
지방
4,652
억엔
사업주
억엔
1,236
※1 위의 별개로 공무원에 대해서는 소속청이 지급한다
(국가공무원분:425억엔, 지방공무원분:1,486억엔)
※2 지방공무원에 해당하는 금액의 인상 등에 따라 지방공공단체의 부담이 증가하지
않도록 별도 ‘아동수당 및 어린이수당 특별교부금’(2,337억엔)을 조치
※3 어린이수당의 원만한 실시를 도모하기 위해 시스템경비(123억엔)을 2009년도 2차
보정(추가경정)예산에 계상
노
출처 : 2010년 1월22일 제8회 후생 동성 정책회의 자료
민주당이 매니페스토 2009에서 내세웠던 지급금액이 어
린이수당의 지급금액이 1인당 2만6,000엔 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 절반수준
이었는데 그 주요 원인은 어린이수당제도 시행에 있어 국가부담분을 확보하지
못하였기에 임시(2011년 4월 - 2011년 9월)적 성격이 강했다고 볼 수 있다. 그
러나 이마저도 2011년 9월까지 확보된 재원이었으므로 2011년 10월 이후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2011년 10월 이후 어린이수당의 지급을 위해 2010년 12월, 5대신
(大臣) 합의가 이루어진다. 합의 중에서 특히 소요액(所要額)에 대한 주요
하지만 이것은 당초
14)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엔
(1) 3세미만의 어린이 1인당 월20,000 을, 3세 이상 중학교 수료
엔 급
두지 않는다.
1인당 월13,000 을 지 한다.
(2) 소득제한은
14)
까지 어린이
国家戦略担当大臣、総務大臣、財務大臣、厚生労働大臣、内閣府特命担当大臣(少子化対策)
30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써 아동수당법에 근거한 아동수당을 지급하는 구조로
써 아동수당분에 대해서는 아동수당법의 규정에 근거하여 국가, 지방, 사
(3) 어린이수당의 일부로
업주가 비용을 부담한다.
액을 국고가 부담한다.
급
(6) 보육료를 어린이수당에서 직접 납부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실효성이 나
타날 수 있도록 대처한다.
(7) 지급대상이 되는 어린이는 유학중인 경우 등을 제외하고 국내에 거주하고
(4) (3)이외의 비용에 대해서는 전
(5) 공무원에 대해서는 소속청이 지 한다.
있는 것을 요건으로 한다.
(8) 아동양호시설에 입소하고 있는 어린이 등에 대해서도
급한다.
법률에 근거하여 지
거
(9) 현행 아동육성사업에 대해서는 계속하여 사업주 출금을 원자금으로
한다.
(10)
실시
차세대육성지원대책교부금을 개조(改組)하여 지방이 지역의 실정에 맞는
육아지원서비스(현물서비스)를 확충할 수 있도록 새로운 교부금을 만든다.
실질적으로 ‘(1) 3세미만의 어린이 1인당 월20,000엔을, 3세 이상 중
학교 수료까지 어린이 1인당 월13,000엔을 지급한다.’는 합의조차 달성할 수 없
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고재원 미확보가 가장 큰 원인으로 5대신
(大臣) 합의에 앞선 4대신(大臣)
합의 에서 재원확보와 관련된 내용문 에
도 불구하고 유명무실화 되었다. 또한 5대신 합의문에서 “2011년도 세제개정에
의한 소득세ㆍ주민세의 성년부양공제
감축(縮減) 및 소득세의 급여소득공제
의 감축에 관한 세제개정의 취지에 근거하면서 이로 인한 지방재정의 증수(增
收)분에 대하여서는 지방재정이라는 성격을 감안하여 어린이수당에 충당하지
않지만 각 시책의 재검토 안에서 국가, 지방의 적절한 역할분담ㆍ경비부담을
실현하기 위한 검토를 행하여 그 결과와 정합(整合)적인 일반재원화 등의 적
절한 조치를 강구 … 2011년도 후생노동성 예산의 재검토로 소요액(200억엔)
를 확보한다”고 합의하였다.
그러나
15)
16)
17)
18)
国家戦略担当大臣 内閣府特命担当大臣 総務大臣 財務大臣 厚生労働大臣
급
민
폐
감축 縮減 따
증
민
증
조
급
친족
15)
ㆍ
、
、
、
16) ‘2010년도 예산에 어린이수당 등의 취 에 대하여’ 2009년 12월23일
17) 어린이수당에 대해서는 국가부담을 기본으로 시행하지만, 소득세ㆍ주 세의 부양공제
지 및 특정부양공제의
(
)에
른 지방재정의
가분에 대해서는 최종적으로
는 어린이수당의 재원으로 활용하는 것이 국 에게 부담 가를 부탁하는 취지로 합의
한다. 또, 아동수당의 지방분담분에 대하여서도 국가, 지방의 부담 정을 도모할 필요
가 있다.(‘2010년도 예산에 어린이수당 등의 취 에 대하여’ 2009년 12월23일 4대
합
의 중에서)
18) 만 23세 이상 만 69세 미만의 부양
에 대한 부양공제
신
석
일본 아동수당제도의 변화과정분 을 통한 우리나라 아동복지정책의 방향성 연구 전 호 성…309
럼
터 2012년도 3월까지의 어린이수당제
도는 ‘어린이수당 특별법’ 에 의하여 2012년도 6월분부터 소득제한을 실시하
기로 하고, 0세-3세미만 어린이는 월15,000엔, 3세-초등학교 수료까지 첫째, 둘
째 자녀는 월10,000엔, 셋째 자녀이후는 월15,000엔을 중학생에게는 월10,000엔
을 지급하기로 하였다.
이는 2012년도부터 어린이를 위한 항구적인 현금급
여의 구조로의 원활한 이행(移行)을 위한 조치였다. 어린이수당제도는 그 시행
을 위한 4대신 합의, 5대신 합의라는 노력(합의)에도 불구하고 어린이수당제도
의 시행초기와는 달리 여전히 거의 반쪽짜리(0세-중학생 일률적으로 월15,000
엔 지급)로 전락하였다.
다시 말해서 어린이수당제도는 명확한 재원확보 방안이 확립되지 못한 상태
에서 진행된 것으로 ‘2010년도 어린이수당의 지급에 관한 법률’, ‘2011년도 어
린이수당의 지급등에 관한 특별조치법’ 등으로 이어지는 임시방편적이었다. 이
에 덧붙여 당초 예정했던 현금급여가 어려워지자 민주당 정권은 나머지 부분
을 바우처로 지원하는 방법까지 고민하였다. 이와 같이 재원확보가 원활하지
못했던 것은 민주당 정권의 안일한 재원확보 방안이 주요 원인이었지만, 2011
년 3월 발생한 동일본대지진(東日本大震災)이라는 외부요인으로 인한 복구재
원 마련이 우선(優先)시 된 것도 한 몫 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 에도 불구하고 2011년 10월 이후부
19)
20)
2) 어린이수당제도와 신(新)아동수당제도
민주당의 획기적인 어린이수당제도는 본래의 취지와는 달리 재원확보의 불
확실성이라는 벽이 부딪히면서 연착륙에 실패한 누더기법이 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민주당(民主党), 자유민주당(自由民主党), 공명당(公明党)의 여야 3당은
어린이수당제도의 재원확보 문제점을 절충하고 공약으로 내건 민주당정권이나
당시 야당인 자유민주당, 공명당이 서로 윈윈(WIN-WIN)할 수 있는 명목상
어린이를 위한 항구적인 현금지원을 위한 구조로의 개편에 합의하기에 이른다.
2011년 3월에 발생한 동일본대지진에 대한 민주당정권의 미흡한 대처는 국
민으로부터 외면 받으며 지지율은 급락하게 되었고, 2012년 11월에 실시된 총
선거에서 민주당이 참패하면서 자유민주당과 공명당 연립정권이 재집권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2010년도 어린이수당의 지급에 관한 법률’, ‘2011년도 어린이수
당의 지급등에 관한 특별조치법’ 등 단년도 법률인 어린이수당제도는 더 이상
의 존속(存續)이 어려워지고 다시 기존의 아동수당법으로 귀로(歸路)하게 된
“平成23年度における子ども手当の支給等に関する特別措置法”
대한 수당제도의 나아갈 길에 대하여’ 2011년 8월4일에 민주당(民主党) 간사
조사회장, 자유민주당(自由民主党) 간사장, 정무조사회장, 공명당(公明党) 간사
조사회장에 의한 3당합의임.
19) 원명
20) ‘어린이에
장, 정무
장, 정무
31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다.
즉 한시적이던 ‘어린이수당제도’는 ‘어린이수당특별제도’를 거쳐 ‘신(新)아동
수당제도’로 변모한다.
살펴보면,
그 주요변화를
엔
터
대상아동은 0세부
까
률
월15,000엔,
중학생 지 일 적으로 월
급
3세-초등
학교 수료까지 첫째ㆍ둘째 자녀는 월10,000엔, 셋째 자녀이후는 월15,000엔, 중
학생에게는 월10,000엔을 지급하는 어린이수당특별제도를 거쳐, 신(新)아동수당
제도로 변모한다. 어린이수당특별제도와 신(新)아동수당제도는 소득제한의 유
무(有無)외에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신(新)아동수당제도가 소
득제한을 두는 조건으로 소득제한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하여서는 일률적으로
월5,000엔을 지급하게 된다. (표3 참조)
13,000 을 지 하던 어린이수당제도가 0세-3세 미만에
신(新)아동수당제도의 비교
[표3] 어린이수당제도와
별
어린이수당제도
어린이수당특 제도
(2010년4-2011년 9월)
(2011년 10월-2012년 3월)
0세-중학생
률적 월13,000엔
0세-3세미만
일
대상아동
및
급액
지
소득제한
없음
엔
월15,000
3세-초등학교 수료
(2012년도-)
소득제한 내
0세-3세미만
엔
월15,000
첫째ㆍ둘째 월10,000엔 3세-초등학교 수료
셋째 이후 월15,000엔 첫째ㆍ둘째 월10,000엔
중학생
셋째 이후 월15,000엔
월10,000엔
중학생
월10,000엔
소득제한 초과
월5,000엔
없음
있음
(단, 특별조치법 부칙에 연수입960만엔
거
의
2012년
터
6월부
소득제한)
출처 :
신(新)아동수당제도
(전업주부, 아동2명 세대)
厚生労働省 資料를 기초로 필자작성.
3) 구(舊)아동수당제도와 신(新)아동수당제도
렇 면 어린이수당제도가 도입되기 이전의 구(舊)아동수당제도와 어린이수
그 다
석
일본 아동수당제도의 변화과정분 을 통한 우리나라 아동복지정책의 방향성 연구 전 호 성…311
폐지 이후의 신(新)아동수당제도와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 먼저, 0세
부터 초등학교 수료까지이던 구(舊)아동제도의 대상범위가 신(新)아동수당제도
에서는 0세부터 중학교 종료까지로 확대되었다. 동시에 각각 대상별 월5,000엔
의 지급액이 증액되었는데, 0세부터 3세 미만에게 월10,000엔 지급되던 것이
월15,000엔으로, 3세에서 초등학교 수료까지 첫째ㆍ둘째 자녀에게 월5,000엔이
월10,000엔으로 또한 셋째 자녀이후는 월10,000엔에서 월15,000엔이 되었다.
한편, 어린이수당제도에는 보편적 복지 측면에서 소득제한을 두지 않았으나
신구(新舊)아동수당제도 모두 소득제한을 설정하였는데, 연수입이 860만엔이던
구(舊)아동수당제도의 소득제한액이 신(新)아동수당제도에서는 960만엔으로 상
향되었다는 점에 차이는 있었으나, 전업주부와 아동2명이 있는 세대라는 조건
은 동일하였다.
(표4 참조)
[표4] 구(舊)아동수당제도와 신(新)아동수당제도의 비교
구(舊)아동수당제도
신(新(2012년도-)
)아동수당제도
(2011년 10월-2012년 3월)
소득제한 내
당제도
21)
0세-3세미만
월10,000
대상아동
3세-초등학교 수료
첫째ㆍ둘째 월5,000엔
셋째 이후 월10,000엔
및
급액
지
엔
중학생
급
지 하지 않음
있음
소득제한
엔
연수입 860만
(전업주부, 아동2명 세대)
친족 수에 따라 차이 있음
단, 부양
출처 :
21)
厚生労働省 資料를 기초로 필자작성.
0세-3세미만
엔
월15,000
3세-초등학교 수료
중학생
첫째ㆍ둘째 월10,000엔
셋째 이후 월15,000엔
소득제한 초과
있음
연수입 960만엔
엔
월10,000
엔
월5,000
(전업주부, 아동2명 세대)
친족 수에 따라 차이 있음
단, 부양
신(新)아동수당제도에서는 소득제한을 초과한 세대에 대해서는 일률적으로 월5,000엔을
당분간 지급한다.
31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5. 시사점
람에게 아동수당을 지급함으로서 가정생활
1972년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사
안정에 기여함과 동시에 다음세대의 사회를 담당할 아동의 건전한 육성 및 자
목적’으로 시행된 아동수당제도는 시대적 상황에 맞추어
지급대상과 지급액 등의 내용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 아동수당제도가 출산
율 향상을 위하여 시행된 것은 아니지만 계속되는 출산율의 저하에 따른 아동
인구의 감소는 미래 전체인구감소로 이어져 사회보장제도 전체의 근간을 흔드
는 사회문제가 되기에 충분하였다. 동시에 앞서 분석한 바와 같이 아동수당의
지급대상범위나 지급액의 조삼모사(朝三暮四)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
급받는 국민의 입장에서는 아동의 양육에 있어 큰 도움이 되지 못했던 것이다.
이를 반증하는 것이 2009년 민주당 ‘매니페스토(Manifesto) 2009’ 정책집에서
밝힌 “다음 세대의 사회를 담당할 어린이 한 사람 한 사람의 성장을 응원하는
관점에서 소득세의 부양공제나 배우자공제를 재검토하여 어린이(子ども)수당
을 창설합니다. 어린이가 성장하기 위한 기초적인 비용(피복비, 교육비 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중학교 졸업까지 어린이 한 명당 월액2만6000엔(연간31만
2000엔)을 지급합니다”라는 슬로건이었다. 즉, 민주당은 기존의 아동수당제도
의 지급대상 범위나 지급액 수준으로는 저출산, 다시 말해서 아동인구의 감소
(사회문제)를 막을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에 기존의 제한적인 아동수당
제도에서 탈피하여 아동을 미래의 자원으로 인지하여 부모의 소득과는 상관없
는 보편성을 강조한 어린이수당제도로의 전환을 꾀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민주
당의 그 야심적인 어린이수당제도는 제도 실현을 위한 가장 중요한 부문 중
하나인 재원확보에 실패하였고, 기존의 아동수당제도로 귀로(歸路)할 수밖에
없었다.
본래(本來) 민주당의 육아ㆍ교육비젼은 ‘아동수당제도’를 ‘어린이수당제도’로
전환과 더불어 출산시 55만엔을 일시금으로 지급하고, 고교의 사실상 무상화
(無償化)(공립고등학생 수업료의 무상화(無償化)화, 사립고등학생에는 년간
12-24만엔 조성) 및 대학생과 전문학교생에게는 희망하는 전원이 받을 수 있
는 장학금제도를 창설하고자 하였다. 즉, 아동을 ‘개인의 아동’이 아닌 ‘사회적
아동’으로 간주하고 미래사회를 위하여 사회전체가 아동을 함께 키우는 구조를
만들고자 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장밋빛 비전에도 불구하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재원확보가 어려워지자 당시 야당인 자유민주당과 공명당과의 3당합의에
의한 신(新)아동수당제도로 귀착(歸着)하고 말았다. 신(新)아동수당제도가 구
(舊)아동수당제도에 비하여 지급대상의 범위가 확대되고 지급액이 일부 상향
질의 향상에 기여함을
석
일본 아동수당제도의 변화과정분 을 통한 우리나라 아동복지정책의 방향성 연구 전 호 성…313
민주당이 실현코자 하였던 아동을 ‘개인의 아동’이 아닌
‘사회적 아동’ 즉, 아동을 공공재로 보고 사회전체가 함께 키우는 사회로의 전
환은 당분간 쉽지 않아 보인다. 이는 민주당이 재집권하더라도 재원확보가 명
확하지 않는 한 재추진은 어려울 것이다.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아동수당제도의 변천과정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보육료지원사업,
급식제도가
가정양육수당, 누리과정사업 등과 더불어 무상
재정적인
걸림돌로
면적 시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재 우리나라 아동복지정
책의 방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더불어 일본의 구(舊)아동수당제도
도입 전(前)인 1964년 10월, 중앙아동복지심의회 아동수당부회가 중간보고에서
제시한 ①아동복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방안, ②사회보장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방안, ③임금체계 재검토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방안, ④소득격차시정과 인
간능력개발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방안 등을 포함하여, 아동수당제도의 도입만
이 아닌 사회보험제도의 도입
등 폭넓은 범위의 논의를 포함하여 검토할 필
인하여 제도의 전
22)
요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ㆍ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61호’
ㆍ대한 국정부(2011) 『2011-2015 제2
저출산ㆍ고 사회 기본계 』
ㆍ보건복지부(2015) 『2015년 보육사업안내』
ㆍ육아정책연구소(2014) 『2014 해외 육아정책동향 정보자료집』
ㆍ 정 ㆍ이지 (2012) 『국가 사회 정책으로서 통합적인 저출산 정책
진 방안』한국보건사회연구원
ㆍ전호성(2010) 저출산고 사회 위기 복을 위한 사회보장시스
구 에
관한 연구-공적아동보 제도 도입방안을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제44
집
ㆍ이 연의원
아동수당에 관한
안 2009.11.25.
ㆍ 애저 외(2000)『아동수당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민
신 윤
조
낙
차
혜
「
획
추
령
험
극
실「
」
템 축
법률 」
험제도
22)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보
연구를 참 바 .
조 람
령
도입 방안에 관한 상세한 부분은 전호성(2010)의
31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広井多鶴子(2012)「戦後の家族政策と子どもの養育-児童手当と子ども手当をめ
ぐって-』実践女子大学人間社会学部紀要 第8集
ㆍ江口隆裕(2011)『「子ども手当」と少子化対策』法律文化社
ㆍ是枝俊悟(2011)「新旧児童手当と子ども手当の比較分析」大和総研
ㆍ安宅川佳之(2010)「少子高齢化時代の社会保険制度の 展望」日本福祉大学
経済論集 第40号
ㆍ鈴木真理子編(2002)『育児保険構想』筒井書房
ㆍ植木信一(1997)「児童手当に関する論争史」県立新潟女子短期大学研究紀要
第34集
ㆍ平成22年度における子ども手当の支給に関する法律
ㆍ平成23年度における子ども手当の支給等に関する特別措置法
ㆍ児童手当法
ㆍ児童手当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
ㆍ 厚生労働省「平成22年度予算における子ども手当等の取扱いについて(4 大臣合
意)」
ㆍ厚生労働省「子ども手当に関する5大臣合意」
ㆍ厚生白書 昭和47年版
ㆍ厚生白書 昭和48年版
ㆍ厚生白書 昭和49年版
ㆍ厚生白書 昭和50年版
ㆍ厚生白書 昭和57年版
ㆍ厚生白書 昭和61年版
ㆍ
석
일본 아동수당제도의 변화과정분 을 통한 우리나라 아동복지정책의 방향성 연구 전 호 성…315
要 旨
本論は、わが国において既に立法化の試みはあったものの未だ導入されていない児童手当
制度に焦点を当てた。しかし、制度導入の肯定論より否定論の立場に立っている。その理由は
わが国と似通う状況に陥っている日本が1972年に「児童手当制度」を導入したもののその後
「子ども手当制度」という制度的な修正を経て再び「児童手当制度」に戻った点に注目した
からだ。日本の児童手当制度の変遷を分析することは、今後児童手当制度の導入を含めた
わが国の児童福祉政策の方向性を模索できるからである。
結果的に、2009年日本の民主党の子育て 教育ビジョンは既存の「児童手当制度」の支
給対象範囲や支給額の面で朝三暮四的な性格の限界を越え、出産時の一時金給付をはじ
め、高校の事実上の無償化を実現して、未来を担う児童を社会全体が共に育てる社会の実
現であった。しかし、このようなビジョンをもっていたにも関わらず、その財源の未確保から制限的
な「児童手当制度」へ帰着したのである。
このような日本の児童手当制度の変遷過程は、2012年総選挙と大統領選挙において児童
手当を含めて保育料支援事業、家庭養育手当、ヌリ課程事業などとともに無償給食制度が財
政的な問題によって全面的に実施できないままの停滞しているわが国の児童福祉政策のあり方を
示しているといえよう。さらに児童を個人のみでなく、将来の社会資源としてみなすなら社会全体
が共に育てるという考えも必要であり、児童手当制度の導入のみではなく、1964年、日本の中
央児童福祉審議会児童手当部会の中間報告が示した①児童福祉の観点を中心とする考え
方、②社会保障の観点を中心とする考え方、③賃金体系見直しの観点を中心とする考え方、
④所得格差是正と人間能力開発の観点を中心とする考え方などの4つの提案も含めた幅広い
議論が必要であろう。
キーワード:児童手当制度、子ども手当制度、社会保険制度、社会保障制度、
財源論、低出産、少子化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재확정일 : 2015. 7. 4
동일본대지진 이후 정부개발원조
예산삭감을 둘러싼 일본사회 내의 갈등
정 기 숙*
(e-mail: [email protected])
目 次
1. 연구 목적과 방법
2. 일본의 ODA특징과 일본국민의 ODA에 대한 인식
3. 일본 정부의 ODA예산삭감과 이를 둘러싼 논쟁
4. 국익에 바탕을 둔 일본의 ODA 이념
5. 결론: 한국 ODA에 대한 시사점
1. 연구목적과 방법
2011년 3월 11일, 일본 북동쪽 연안에서 발생한 규모 9.0의 강력한 대지진
岩手県),
은 거대한 지진 해일과 함께 일본 동북부 지방을 강타했다. 이와테현(
宮城県), 후쿠시마현(福島県)등 일본 동북부 연안지역 약 600킬
미야기현(
로미터가 지진 해일에 초토화되고 이로 인해 후쿠시마 제 1원자력 발전소가
1)
노심융용 으로 폭발하면서 다량의 방사능이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寛 直人)는 “세계 2차 대전의 종결 이래, 일본이 닥친
일본 수상 간 나오토(
* 일본 上智大学, Institute of Global Concern, 연구원
1) 노심융용은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 사용하는 원자로의 노심(core) 냉각이 불충분한
상태가 계속되거나 또는 노심의 이상 출력상승에 의해 노심 온도가 상승하여 노심이
녹아내리는 사고이다.
31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2)
가장 혹독하고 어려운 재난이다”며 대재해에 직면한 참담함을 드러냈다 . 그
피해규모는 과거 일본이 겪어왔던 어떤 재해와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최악의
대재앙이다. 일본 정부의 집계에 따르면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 및 행방불명자
는 18,483명, 부상자수 5,951명, 피난자수 46만명, 붕괴 가옥 수는 933,520동
3)
에 달해 피해총액 16조 9천억 엔에 이른다 .
대재해 발생 직후, 일본 정부는 즉각 피해지역의 긴급구제에 나섰다. 간 일
4)
본 총리대신을 본부장으로 하는 ‘긴급재해대책본부’ 를 세우고, 2010년도의 정
부예산 예비비로부터 678억 엔, 2011년도의 예비비로부터 503억 엔, 합계
1,182억 엔을 투입하여 피해자 수색과 구조, 피난자의 지원과 라이프 라인의
수복 등 모든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를 총동원해 긴급구제에 나선 것이다.
한편, 최대 38미터의 지진 해일이 일본연안을 휩쓰는 영상이 미디어를 통해
세계 각국에 생생히 보도되면서, 각국의 정부, 단체, 국민들은 깊은 위로와 함
께 재해구제에 대한 적극 지원을 표명했다. 미국(GDP 15조 달러, 2011년)에
서 투발루(GDP 3,500만 달러, 2011년)까지 국가규모의 크고 작음을 떠나 전
세계가 일본 국민이 겪는 재해고통을 위로하고자 힘을 보탰다. 국제개발센터
가 2011년 3월 11일부터 2012년 3월 말까지 약 1년 간 조사한 보고서에 따
르면, 일본이 해외로부터 받은 금전적 지원은 174개국·지역으로부터 합계 약
1,640억 엔 이른다. 또한 99개국·지역으로부터 합계 160건의 인적 지원과 73
개국·지역으로부터 식료·음료 104건, 지원물자 158건, 연료 14건 등 305건의
5)
물적 지원도 받았다 .
6)
이번 대재해가 국제협력 의 관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일본의 대참사에
물적·인적자원을 보내준 174개국·지역 중에서 119개국·지역이 일본의 정부개
7)
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이하 ODA) 의 수혜국이라는
2) CNN Wire Staff (2011.3.14) “Anxiety in Japan Grows as Death Toll Steadily Climbs”, CNN.
3) 警察庁(2015.1.9)「東日本大震災について被害状況と警察措置」.
4) 2011년 6월 26일 「동일본대지진부흥기본법」이 책정되면서, ‘긴급재해대책본부’는 동일본 대지진부흥대책본부’로 바뀌었고, 2012년 2월에 ‘부흥청’으로 재편되었다.
5) 国際開発センター(2013) 『東日本大震災への海外からの支援実績のレビュー調査』, pp.18-46.
6)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 그리고 발전을 위해 개발도상국 지역의 주민들을 지원하는
것으로, 국제협력은 정부, 조직, 단체, 기관 그리고 시민 등 다양한 주체에 의해 실시되고
있으며, 정부가 실시하는 정부개발원조(ODA)는 국제협력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7) OECD/DAC의 정의에 따르면, 정부개발원조란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 및 복지향상을
동일본대지진 이후 정부개발원조 예산삭감을 둘러싼 일본사회 내의 갈등 ····· 정 기 숙…319
점이다. 즉, 지원국 전체의 약 7할에 해당하는 국가들이 과거 일본에게 받은
ODA에 보답하기 위해 재해복구에 힘을 보태고자 했으며, 이들 중 35개국은
8)
이른바 최빈국으로 불리는 아시아, 아프리카의 개발도상국이다 . 그 뿐만 아니
라 정세 및 경제가 불안정한 나라들도 일본의 대참사를 위로하며 지원에 나섰
다. 그 결과, 1977년 이래 원조공여 국으로서 ODA를 제공해 온 일본이 2011
9)
년에는 ‘긴급인도지원’ 최대 수혜국이 되었다 . 사실, 해외로부터 지원을 받은
関東大震災)과 한신·이와지대지진(阪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관동대지진(
神·淡路大震災)이 발생했을 때도 일본은 세계 각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아왔다.
그러나 이번과 같이 많은 지원을 받은 것은 처음이라고 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은 이번 대재해가 그 동안 일본 국민들이 경험하지 못한 해외와
의 공감(sympathy)과 연대(solidarity)를 강화시키므로서 일본 국민의 ODA
대한 긍정적인 견해를 확산시키고 지지율 상승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될 것으
10)
로 예상했다 . 그러나 이러한 기대와는 달리 대재해 후에 닥친 현실과 세계
각국으로부터의 관심과 지원은 국제협력의 정책방향을 둘러싼 일본 국민간의
논쟁을 촉발시켰다.
논쟁의 핵심은 대재해 복구비용이 23조 엔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개발도상국의 발전을 도모하는 국제협력을 적극적으로 실시해야 하는가, 혹은
소극적인 태도에 머무는 것이 바람직한가 라고 하는 국제협력 예산의 증액을
둘러싼 대립이다. 즉, 전례 없는 대재해 발생으로 심각한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세계와의 연대를 강화시키고 선진국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ODA
를 지속적 및 적극적으로 해 나가야 한다는 여론이 있는 반면, 세계가 보여준
따뜻한 격려와 지원에 감사를 표하면서도, 대재해 이후 일본이 닥친 현실은
너무나 혹독하며 ODA의 지속은 자국민을 더욱 압박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일본의 재해복구·부흥을 위하여 ODA를 삭감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주목적으로 공적 기관에(중앙정부 혹은 지방정부 등의 공공기관이나 원조 집행기관)의해
제공되는 무상자금협력, 기술협력, 유상자금협력(증여율 25%이상) 및 국제기관의 출자(出資)
・거출(拠出)등을 말한다.
http://www.oecd.org/dac/stats/officialdevelopmentassistancedefinitionand
coverage.htm#Definition
8) 国際開発センター(2013) pp.18-46.
9) 国際開発センター(2013) pp.47-48.
10) 中村(2012)「海外からの共感と連帯」『垣根のない連帯と共感』 pp.8-12.
32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본고의 목적은 대재해 이후 가중되고 있는 일본 사회 내의 ODA를 둘러싼
논쟁을 살펴보고 이러한 갈등이 발생하게 된 원인과 사회적인 배경을 고찰하
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일본의 국제협력이 나아가야 할 발전방향에 있어서 시
사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한국의 ODA를 점검하고 향후 정책방향을 논의하는데
좋은 선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고의 초점과 고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 1절에서는 대재해로 일본이 입
은 피해규모와 세계 각국의 지원을 설명하고 대재해 통해 얻은 ‘세계와의 연
대’ 형성이 그 후 일본의 ODA에 어떤 영향을 가져왔는가에 주목하는 본고의
연구 과제를 명확히 한다. 제 2절에서는 일본의 ODA역사를 간단하게 기술하
고, 서구 선진국과는 다른 일본 ODA의 특징과 일본 국민의 ODA에 대한 인식
을 확인한다. 본 절에 해당하는 제 3절에서는 재해복구를 위한 거액의 예산마
련이 불가피한 가운데 민주당이 내각에 제안한 ODA삭감 예산안과 이를 둘러
싼 찬반여론의 논쟁을 들여다보고, 제 4절에서는 ODA논쟁을 불러일으킨 중요
한 배경으로서 ‘국익’을 강조하는 일본정부의 ODA 이념과 이것이 일본 국민들
의 인식에게 미치는 영향을 논한다. 제 5절에서는 앞 절에서 고찰된 내용을
바탕으로 일본의 ODA논쟁이 한국의 ODA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시기적으로 2011년도 제1차 보정예산의 전후를 중심으로 고찰하
며, ODA 대한 일본 국민의 여론을 파악하기 위해서 일본 내각부와 외무성, 그
리고 리서치 조사기관의 여론조사 결과를 활용한다.
2. 일본 ODA의 특징과 일본국민의 ODA에 대한 인식
ODA의 주요목적은 개발도상국의 경제·사회 발전과 복지증진에 있지만, 실제
의 동기는 국가마다 상이하다. 일본의 경우 전후(
戰後)
국제사회와의 관계를
구축하고 대외관계를 조정하기 위한 외교정책상의 중요한 역할로서 ODA를 실
11)
시해 왔다 .
12)
일본의 ODA는 1954년 콜롬보 계획(Colombo Plan) 의 가맹으로 시작되었
11) 日本 外務省(2006)『政府開発援助(ODA)白書』,p.4
12) 콜롬보 계획(Colombo Plan)이란, 전후 개발도상국의 원조를 위해 조직된 국제기관이다.
동일본대지진 이후 정부개발원조 예산삭감을 둘러싼 일본사회 내의 갈등 ····· 정 기 숙…321
다. 초창기의 ODA는 제2차 세계대전의 전후 처리의 일환으로 동아시아 국가
13)
들을 대상으로 한 경제협력이 주를 이루었다 . 이후 1960년대에서 70년대에
걸쳐 일본이 고속경제성장기에 접어들어서면서 일본정부는 국제사회에서의 위
상을 제고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ODA의 양적 확대를 도모하였다. 이러한 계
획적인 ODA의 양적 확대는 1980년대 이후에도 계속되었는데, 이 시기에는
미국과의 경제·무역마찰이 격화된 것을 반영하여, ‘흑자감소’, ‘자금환류’와 같은
슬로건 하에 실시되었다. 그 결과 1989년에는 일본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
14)
대의 ODA공여국이 되었다 .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일본의 경제의 거품이 꺼
지고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ODA 예산은 계속적으로 삭감되게 된다.
<표1> 일본의 ODA 예산 추이 (1964-2014)
14000
단위: 억 엔
11,687
12000
10152
10000
9106
8578
8000
6,722
6,187
6000
5,612
5502
5181
3,965
4000
5,573
5,727
2,332
1149
2000
158
0
1964
1976
1978
1981
1984
1997
2001
2002
2003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출처: 日本外務省 정부개발원조(政府開発援助) 웹사이트(2015년 6월3일 검색)
일본 ODA의 특징 중에 하나는 자국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수출촉진 구
조를 유지하면서 국내 여론과 국제적인 동향에 반응하는 형태로 발전시켜왔다
주로 기술협력을 통해서 아시아 태평양지역제국의 경제•사회개발을 촉진하고, 그
생활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식명칭은 ‘Colombo Plan for Co-operativ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n Asia and The Pacific’이다.
13) 日本 外務省(2006) p.5.
14) 日本外務省(2004)『日本ODA白書―日本のODA50年の成果と歩み』.
32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는 점이다. 유럽 국가들이 초기부터 명확한 원조 이념과 정책을 가지고 있었
던 것과 달리 일본의 경우는 원조를 개시한지 약 40년 후인 1992년에 처음으
旧 政府開発援助大綱)을 각의결정 하였다
15)
로 ODA대강( ・
. ODA 대강은 일본의
중장기적인 국제협력 정책을 체계화 한 것이지만, 유럽국가와는 달리 법률로
제정되어 있지 않으며 국제협력의 예산책정은 매년 의회의 승인을 얻어야 하
는 것뿐만 아니라, 정책담당이 외무성을 시작으로 하는 여러 관계 부처에 분
산되어 있어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국제협력을 실시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
16)
다 .
또한 정부주도 및 행정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다른 서구 선진국에
비해 일본 국민이 가진 ODA에 대한 역할과 관심이 적다는 점도 일본 ODA의
17)
특징이라고 하겠다 . 그 배경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본의 ODA가 전후
배상을 원형으로 시작되었기 때문에 국가의 책무로서 여겨지는 부분이 크다는
18)
점과
아프리카 난민 및 이민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지도, 그리고 ODA 수혜
국들의 대부분이 다른 경제·사회 환경과 언어를 가지고 있어 친근감을 느끼기
어려운 점 등을 들 수 있다.
일본 국민이 가진 ODA에 대한 관심은 서구 선진국 국민들에 비해 전반적으
로 낮지만, 오바마(
小浜)에
따르면 ODA에 대한 일본 국민의 관심이 비교적
높았던 시기는 1989년으로 일본 역사상 처음으로 원조공여국 세계 1위로 등
19)
극했던 해이다 . 그 시점 이후 많은 언론사들이 ODA 대한 정보를 계속적으
로 보도하면서 ODA라고 하는 용어는 일반국민들에게 빠르게 침투되었지만 보
도의 대부분이 비판적인 논조였기 때문에 일본 국민들의 ODA에 대한 관심은
20)
곧 부정적인 인식과 비판으로 바뀌게 되었다 . ODA 예산액으로 보면 1997년
을 최고점으로 계속 하락하여 2010년도 예산액은 1997년도의 2분의 1까지
떨어졌으며, 각국 비교에서도 과거 세계 1위였던 ODA 실적 액은 세계 5위로
15) 日本 外務省(2004) 『政府開発援助(ODA)白書 2004年版~日本のODA50年の成果と歩み』.
16) 鄭基淑(2009)『グローバル化時代における新しい国際協力のあり方―途上国の地域発展と自治
体間の国際協力』 富士ゼロックス 小林節太郎記念基金2009年度研究助成論文, pp.11-19.
17)
塚本(2004) 「我が国のODA世論の把握とその調査方法についての一考察―インターネットニュー
ス記事選考分析から得られた我が国国民のODAに対する評価」『外務省調査月報』 No.4. p.81.
18) 日本 外務省(2006) p.4.
19) 小浜(1992) 『ODAの経済学』日本評論者, pp.45-60.
20) 塚本(2004) pp.78-79.
동일본대지진 이후 정부개발원조 예산삭감을 둘러싼 일본사회 내의 갈등 ····· 정 기 숙…323
전락했다 (표1 참조). 일본의 ODA 예산액이 18년 연속 감소할 수밖에 없었던
배경에는, 정부주도로 실시되어 오던 ODA 양적 확대의 피로와 버블경제 붕괴
후의 경제 불황과 재정악화 등 많은 복합적인 요인이 존재하지만 근본적으로
는 ODA 대한 일본 국민들의 무관심 혹은 부정적 인식이 크게 작용했다라고
21)
할 수 있다 .
따라서 일본 ODA의 특징과 일본 국민의 낮은 관심도를 고려했을 때, 일본
정부가 ODA예산을 더욱 삭감하더라도 일본 내에서 정치적 이슈가 될 소지는
적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런 점에서 대재해 이후 거세진 ODA예산 삭감 논쟁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다.
3. 대재해 이후의 ODA예산삭감과 이를 둘러싼 논쟁
일본 정부는 긴급지원 외에도 지진피해 복구 및 주택건축, 도로, 항만정비,
산업 활동의 재생, 원자력 피해의 부흥 및 재생, 피해자의 생활지원 등 광범위
한 분야에 걸친 대폭적인 지원이 불가피하게 되면서 이를 위한 예산마련에 고
심하게 된다. 일본 정부가 발표한 ‘부흥기본방침’에 따르면, 재해 복구 및 부
흥에 걸리는 시간은 최소 10년으로, 이 기간 동안의 사업규모는 국가·지방을
22)
합쳐 적어도 23조 엔을 넘는다 . 이것은 일본이 세계 각국에서 받은 지원금
1,640억 엔의 약 140배에 달하는 예산규모이다.
재해복구를 위한 재원마련이 시급한 가운데 ODA를 둘러싼 논쟁을 직접적으
로 점화시킨 것은 민주당이 발표한 ODA 예산 삭감안이었다. 2011년 4월 6일,
전 외상(外相) 오카다(岡田克也)가 이끄는 민주당
‘지진재해복구·부흥검토위원
회(地震災害復旧·復興検討委員会)’는 2011년도 제 1차 보정예산의 재원 확보
를 위해 당해 연도 ODA예산의 2할인, 약 1,145억 엔을 삭감하도록 하는 예산
23)
안을 내각에 제출했다 . 무너진 주택철거와 가설 주택 건설 등에만 4조엔 이
21) 田中(2010) 「国際協力と国民的合意形成」『季刊 政策・経営研究』 p.81.
22) 東日本大震災復興対策本部(2011.7.29) 「東日本大震災からの復興の基本方針」.
23) 朝日新聞(2011.4.7) 『「ODA削減し復興財源に」民主党、内閣に申し入れ』 웹사이트, http://
www.asahi.com/special/10005/TKY201104060573.html.
32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상의 재원이 필요한 가운데 적자국채를 발행하지 않고 주요 정책을 재고하는
것으로 재원을 염출하는 방안이 검토되었고 그 대상이 된 것이 ODA이었던 것
24)
이다 . 민주당이 ODA 예산 삭감안을 내각에 제출했다는 사실이 미디어를 통
해 보도되자 그 당위성을 둘러싼 논쟁이 점차 확산되었다.
민주당의 ODA 예산 삭감안에 가장 먼저 항의를 표명한 것은 일본 NGO 단
체들이었다. 일본국내 최대 규모의 NGO 네트워크인 「動く→動かす(소속단체:
61단체)와 국제협력 NGO센터(Japan NGO Center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JANIC, 소속단체: 96단체)는 ODA 예산의 2할 삭감안에 대한 반대성명을 4월
6일과 8일에 각각 발표하고 삭감안의 재고와 당초예산의 유지를 강하게 촉구
25)
했다 .
ODA 2할 삭감 예산안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는 이유로, 1) 세계 빈
곤문제와 재해로 고통 받는 사람들이 직면한 과제가 ‘인간의 안전보장’ 이라
는 측면에서 동일한 과제라는 점, 2) 대재해로 인해 확인된 세계와의 연대를
단절해서는 안 되며, 국제공헌을 지속해 나감으로써 일본이 세계로부터 신뢰
를 얻을 수 있는 점, 3) 일본의 ODA는 1998년 이래 13년간에 걸쳐서 삭감을
해 오고 있으며, 이에 더해 2할을 삭감할 경우 도상국의 빈곤층에 큰 영향을
26)
미치기 때문이라는 점을 들고 있다 . 다시 말해, 이들 단체들은 인간의 안전보
장과 세계와의 연대의 측면에서 ODA 삭감은 재해부흥의 재원확보의 수단으로
서 적절치 않다고 주장했다.
또한 일본 정부 여야당과 각계 주요 인사들도 민주당의 ODA 삭감안에 격렬
하게 반대했다. 자민당(19명), 민주당 (5명), 공명당(2명), 기타 정당(4명) 등의
초당파 의원들은 14일 오전에 국회 내의 회의를 열고, 1차 보정예산안의 재원
으로서 검토된 ODA 삭감에 반대하는 안을 내각에 제출했다. 삭감된 ODA예산
은 재해복구예산의 1할에도 미치지 못하며 효율적인 예산분배를 통해 충분히
대체가능하기 때문에 ODA를 삭감하는 것은 현명한 방법이 아니라는 것이다.
마츠모토(松本剛明) 외상도 정부 ODA 삭감에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그는
24) 福嶋(2011.6)「4兆円規模となった平成23年度第1次補正予算―課題を残した復興財源の確保」
『立法と調査 』 No.317, pp.26-32.
25) 動く→動かす・国際協力NGO センター(2011.4.5) 『震災救援・復興と世界の貧困解消の両立の
ために「政府開発援助(ODA)」予算の維持を強く求めます!』.
26) 動く→動かす・国際協力NGO センター(2011.4.5)
동일본대지진 이후 정부개발원조 예산삭감을 둘러싼 일본사회 내의 갈등 ····· 정 기 숙…325
2011년 4월 13일에 열린 중원외무위원회 (衆院外務委員会) 자리에서 “ODA를
잘 이해하고 있을 의원으로부터 삭감의 의견이 나온 것은 매우 통탄스러운 일
이다”라고 밝혔다. 이는 ODA 예산의 2할 삭감을 외무성에 요청한 사람이 다
27)
름 아닌 전 외상 오카다 간사장이었음을 염두 한 발언이다 . 한편 일본 무역
업계를 대표하는 일본무역회(日本貿易会) 우츠다(槍田松瑩) 회장도 20일 오전
에 개최한 정례 기자회견에서 “국제협력에서 ODA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히
크기 때문에 재해복구에 어려움이 있더라도 ODA를 성실하게 실행해 나가는
28)
자세를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결국 NGO단체와 정부 여야당을 시작으로 한 사회각계로부터의 강한 반발에
부딪혀 민주당은 당초 밝힌 1,145억 엔에서 500억 엔으로 제1차 보정예산에
서의 ODA 삭감액 폭을 축소할 방침을 2월 15일에 결정한다. 최종적으로 500
억 엔 삭감된 ODA 예산안은 2월 22일에 각의 결정되었고, 재해 발생 48일
후인 4월 28일에 국회에 제출되어 5월 2일 참의원 본회의에서 가결·성립되었
다. 일본 정부는 어쩔 수 없는 조치로서 양해를 부탁하고 있지만, ODA 예산
삭감안이 가결·성립된 데에 대한 논란은 더욱 가열화 되었다.
ODA 삭감을 강력하게 반대해 온 NGO 단체들은 재차 반대성명을 발표했다.
AIDS & Society 연구회의와 아프리카 일본협의회(Africa 日本協議会)는 항의
성명을 통해 삭감된 ODA 예산 501억 엔 중 세계 에이즈, 결핵, 말라리아 대
책기금 등의 거출금 159억 엔이 전부 삭감되었으며 이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
29)
에게 해야 하는 역할을 일부 방기한 것이라며 비난했다 . 니시다(西田) 유엔
대사도 5월 14일에 열린 기자회견에서 거론되고 있는 ODA 예산 삭감에 대해
서 “일본이 해온 국제공헌은 ODA에 상당 부분 의존해 온 것이 사실이며, 대
폭 삭감될 경우 외교상 많은 걸림돌이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며 ODA 삭감에
30)
대한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 한편 마츠모토(松本剛明) 일본 외상은 ODA가
삭감된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재원부흥 재원으로서 삭감된 500억 엔을
27) 日本経済新聞(2011.4.22) 『外相、ODA削減「大変残念」』.
28) 日本経済新聞(2011.4.20) 『貿易会会長、ODA予算「震災後も削るべきではない」』
29) エイズ&ソサエティ研究会議・アフリカ日本協議会(2011.4.25)「2011
年度第1次補正予算に関する声明震災復興と世界の感染症対策の両立を=世界エイズ・結核・マラリ
ア対策基金への拠出見送りの再考を求めます」.
30) 弟子(2011.4.15) 「西田国連大使「ODA削減なら外交に支障」『日本経済新聞』.
32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2011년도 2차 보정예산 때 부활을 요구할 생각을 내비쳤다.
그러나 ODA삭감에 대한 NGO단체와 정부여야당 등의 거센 반발은 일본 국
민들의 여론과 큰 온도차이가 있었다. 2011년 대재해 이후 실시된 내각부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경제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라고 답한 응답자
는 전체의 27.4%, “지금 수준으로 만족 한다”가 47.4%, “가능한 삭감해야 한
다”가 17.8%, “중지해야만 한다”가 2.6%로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2010년
도에 실시한 결과에 비해,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의 비율이 31.5%에서
27.4%로 4.1% 하락했고, “지금 수준으로 만족한다”는 43.1%에서 47.4%로
상승했다. 한편, ‘일본 정부의 ODA 삭감을 어떻게 평가하는가’에 대한 여론
조사에서는 “삭감에 찬성한다”가 38.5%, “더욱 삭감해야 한다”가 27.9%, “삭
감에 반대 한다”가 33.6% 로, 전체 응답자의 66.4%가 ODA 삭감을 찬성하고
31)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삭감된 ODA 예산을 부활시켜야 한다고 생각하
는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84.2%가 “부활시킬 필요는 없다”고 삭감지지
32)
의사를 밝혔다 .
이러한 논쟁을 의식하여 일본 정부는 ODA 예산의 소폭 삭감이라는 애매한
결정을 내린다. 표1의 ODA 예산 추이와 같이, 2011년도부터 2014년 현재까
지의 ODA는 적은 예산이 지속적으로 삭감되었음을 알 수 있다. 2010년 12월
24일에 각의 결정된 2011년도 일반회계 ODA예산은 정부 전체에서 전년도 대
33)
비 7.4% 감소한 5,727억 엔에 머물렀으며 , 2012년도의 ODA예산도 115억
엔, 즉 전년도 대비 2% 삭감되어 5,612억 엔 계상되었다. 이어 2013년에는
39억 엔 삭감, 2014년에도 71억 엔 삭감되는 등 소폭이지만 계속적으로 ODA
를 삭감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ODA 삭감을 지지하는 대다수의 국민들
과 이를 반대하는 사회 각계각층의 의견을 절충시킨 결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일본 국민들의 ODA지지율은 더욱 하락했지만 대재해 이후의 ODA를 둘러
싼 논쟁이 이전과 다른 점은 ODA를 단순한 외교적 수단으로서 지지해 왔던
ODA지지자들에게 ODA의 가치와 의의를 재고하는 기회를 마련해 주었으며,
31) 日本経済新聞이 2011년 5월 23~24일에 걸쳐서 실시. 자세한 내용은 웹 페이지를 참조,
http://www.nikkei.com/article/DGXNASFK2402U_U1A520C1000000/?df=2
32) Yahoo 리서치가 7,656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조사기간:2011년5월24일~6월3일.
33) 柴崎(2011.2)
「平成23年度政府開発援助予算~限られた予算の中での戦略的なODAを目指して~」『立法と調査』
No.313 p.53.
동일본대지진 이후 정부개발원조 예산삭감을 둘러싼 일본사회 내의 갈등 ····· 정 기 숙…327
이것이 ODA를 지지하는 새로운 이유 및 동기부여가 되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변화는 2011년도 여론조사에서도 눈에 뛴다. ‘ODA를 지지한다’라고 답한
27.4%의 지지자들 중 60.8%가 “대재해에서 받은 세계 각국의 지원에 보답하
기 위해서 ODA를 계속적으로 실시해 나가야 한다”고 답한 것이다(표2 참조).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ODA에 대한 새로운 변화가 기존에 있는 대다수의
ODA 반대여론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은 어려운 경제상황을 이유로
ODA를 반대하는 여론이 압도적으로 강했기 때문이다.
<표2> 일본 국민이 ODA를 지지하는 이유
(단위 %)
출처: 日本 内閣府(2011)「平成23年度世論調査」
일본의 누적채무가 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 GDP) 대비 200%
를 초과해 심각한 재정위기에 놓여 있고 일본 자국민의 사회복지와 안정을 위
해 증세와 사회보장제도의 재고가 크게 의논되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개발도상
국에 세금을 투입하는 ODA를 반대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것은 아닐 것이
34)
다 . 위의 여론조사에서도 ODA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답한 응답자 중 75.1%
34) 누적채무 국제비교는OECD “Economic Outlook 94”을 참조(2013.11).
32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가 “일본 국내 경제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에”, 52.1%가 “국내 재정상황이 좋기
않기 때문에”이라고 답해 대다수의 일본 국민들은 일본 국내의 경제상황 악화
로 인해 ODA를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표3 참조).
<표3> 일본 국민이 ODA를 지지하지 않는 이유
(단위 %)
출처: 日本内閣府(2011)「平成23年度世論調査」
그러나 대재해가 ODA를 지지하지 않은 여론을 형성한 주요 요인으로 보기
는 어렵다. 표3에서도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재해가 발생하기 전인 2010년의
조사에서 경제 불황과 재정악화를 이유로 ODA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답한 응
답자의 비율은 각각 52.1%, 75.1%로, 대재해 발생 후인 2011년도의 55.4%,
75.9% 와 비교하면 거의 차이가 없다. 대재해가 발생하기 전부터 대다수의 일
본인들이 경제적인 이유로 ODA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답한 것을 고려하면, 대
재해가 ODA 반대 여론을 확산시킨 주요 원인이 되었다고는 보기 힘들며, 대
재해로 인한 일본 내 위기 상황이 기존의 ODA 반대여론이 더 큰 목소리를 내
는데 힘을 실어주는 결정적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동일본대지진 이후 정부개발원조 예산삭감을 둘러싼 일본사회 내의 갈등 ····· 정 기 숙…329
4. 국익에 바탕을 둔 일본의 ODA 이념
2000년대 이후, 계속된 예산삭감의 대책마련으로서 일본 정부는 ODA 예산
을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한 제도개선을 도모하는 한편, 국민들의 낮은 지지
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국익추구’가 일본 ODA의 목적임을 대대적으로 강조하
기 시작했다. 2003년에 각의 결정된 ODA대강 (政府開発援助大綱)에서 ODA의
목적은 “국제사회의 발전에 공헌하고, 이것을 통해 일본의 안전과 번영을 확
보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외에도, 일본 외무성의 공식 발언과 공적인
35)
문서에서도 ODA가 일본의 국익과 직결된 것임이 자주 언급되었다 .
그러나 2003년의 ODA대강이 발표된 지 10년 남짓 경과했지만 ‘국익’을 강
조한 개념이 일본 국민의 ODA 인식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보기는 힘들다.
2010년 6월 일본 외무성이 발표한 ‘ODA발전방향에 관한 검토 보고서(ODAの
あり方に関する検討報告書)’는 ODA 거출이 국익에 연계된다고 하는 인식은 국
36)
민들에게 충분한 공감을 얻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이 점에 대해서 北野
(2006)는 양국 간의 국제협력으로 얻어지는 국익은 상대국에 따라 크게 다르
기 때문에 국익을 일반화하는 것은 곤란하며, 또한 국제협력에 의해 얻어지는
국익 그 자체는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을 상당부분 포함하고 있어, 국익에 초
37)
점을 둔 ODA는 국민들의 이해를 혼란스럽게 한다고 지적 한다 . 즉, ODA을
통해서 얻어지는 국익이 무엇인가라고 하는 명료한 관련성을 도출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ODA의 목적이 국익추구에 있다는 주장은 국민들의 ODA에 대한 이
해도를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정부는 ‘국익’이 일본의 ODA 목적임을 계속해서
강조해 나갈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ODA 발전방향에 관한 검토’의 최종보고
서에서도 일본 국민들의 이해가 저조한 현황을 극복하기 위한 대책방안으로서
ODA가 일본의 국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인식을 국민들에게 심어
35) 예를 들어, 日本 外務省『2004年版ODA白書』에서 타무라(町村) 외무대신의 들어가는 말,
日本 外務省『2010年版ODA白書』에서 히라바야시(平林) 외무성 경제협력국장의 말머리 등.
36) 日本外務省(2010)『開かれた国益の増進―世界の人々とともに生き、平和と繁栄をつくる―ODA
のあり方に関する検討』,p26.
37) 北野充(2006)「戦略的なODAをどう実現するか」『GRIPS開発フォーラム』, GRIPS.
33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38)
주어야 할 필요성이 재차 제기되었다 . 그 연장선으로 2015년 2월에 새롭게
각의 결정된 ‘개발협력대강(開発協力 大綱)’에서도 ODA의 목적이 일본의 ‘국
익’ 추구에 있음이 직접적으로 명기되었다. 개발협력대강에 따르면 ODA 목적
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 및 번영의 확보에 보다 적극적으로 공헌하는 것”,
“그러한 협력이 일본의 평화와 안정의 유지, 안정성 및 투명성을 높여 예측하
39)
기 쉬운 국제환경의 실현 등의 국익확보에 공헌 한다”는 것이다 . 새로운 대
강은 구 대강에서 밝힌 ‘국익’추구를 한층 강화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
러나 ODA와 국익의 연관성이 불명확하고, 국익강조가 ODA의 인지도 개선에
큰 영향을 못 미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일본정부의 계속적인 국익강조는
그 유효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나아가, 국익우선의 ODA 목적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ODA의 지지층 확보
를 저해할 수 있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즉, 자국의 이익추구가
ODA에 있어서의 가장 큰 명분이라면 대재해로 고통 받는 일본의 피해지역 주
민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것이 개발도상국의 빈곤문제보다 우선시 되어야 하고,
자국의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는 개발도상국의 어려움보다 자국의 발전과 안
정이 선결과제라고 인식되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이
번 대재해 후에 거세진 ODA 예산삭감 여론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 흐름이
라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대재해 후에 세계 각국으로부터 받은 관심과 지원이 ODA의 지
지자들에게 높게 평가되고, 이것이 ODA를 지지하는 동기부여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ODA를 지지하는 여론이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한 것은 국익을 이유로
ODA를 반대하는 여론이 당위성을 얻고 절대 다수의 여론이 위압적으로 일본
정부에 ODA 삭감을 강요하는 사회분위기가 상대적으로 열세인 ODA 지지자
들을 위축시킨 면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일례로 일부 ODA 삭감 지지자들은
NGO단체들과 여야당 의원들이 ODA 삭감에 반대성명을 내고 강력하게 항의
하는 것에 대하여, 이들 단체와 의원들을 국익에 반하는 “매국노”라고 비난하
고 ODA 삭감을 반대하는 의원들의 명단을 만들어 인터넷에 배포시키는 등의
40)
행동으로 그 분노를 표출하기도 했었다 .
38) 日本外務省(2010)『開かれた国益の増進』,pp26-27.
39) 国際協力局 (2015.2)「開発協力大綱の決定」外務省.
40) 예를 들어, 「ODA削減に反対する議員」웹사이트, http://yarakashita0311.wiki.fc2.com/wiki/ ODA
동일본대지진 이후 정부개발원조 예산삭감을 둘러싼 일본사회 내의 갈등 ····· 정 기 숙…331
오랜 세월에 걸쳐 일본 정부가 강조해 온 ‘국익’추구는 단기적인 전략이며
장기적인 관점으로 봤을 때 경제상황에 매우 위약한 지지 층을 만들어 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번 대재해에서 세계가 보여준 지원에 감동을 받고, 이를
다시 개발도상국에 환원하고자 하는 ODA 지지층들에게도 힘을 실어 주지 못
했다. 오히려 역으로 회의적인 ODA 여론에 더욱 힘을 실어주는 결과를 초래
했다. 따라서 향후 일본이 탄탄한 ODA 지지기반을 확보하고 국제사회에 보다
큰 공헌을 위해서는 국익을 넘어 인류 공동체적 관점에서 세계시민과의 연대
를 강화하고 세계의 발전에 공헌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ODA의 이념과 목
적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5. 결론: 한국 ODA에 주는 시사점
한국은
Cooperation
2010년
and
OECD개발원조위원회(Organization
Development-Development
for
Assistance
Economic
Committee:
OECD-DAC) 에 가입함으로써 ODA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되었다. 2015
년은 한국이 OECD-DAC에 가입한지 6년째 되는 해이다. 1월 11일 미국 세계
개발센터(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CGD)가 발표한 ‘2014년도 개발공헌
지수(Commitment to Development Index: CDI)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ODA
41)
공헌도는 OECD-DAC회원국 27개국 중 8년 연속 최하위이다 . 이제 막 출범
한 ODA 신흥 원조공여국으로서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으며, 평
가결과에 연연하기 보다는 향후 한국 ODA 발전을 위해 정책방향을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절에서는 일본의 사례가 주는 시사점을
논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현재 한국의 공여 규모는 OECD-DAC 회원국 평균 56억 달러에 비해 적은
42)
액수지만 2010년 가입 직후 9억 8천만 달러에서 2013년 10억 4천만 달러 ,
%E5%89%8A%E6%B8%9B%E3%81%AB%E5%8F%8D%E5%AF%BE%E3%81%99%E3%82%8B%E8%AD%B0%E5%93%
A1, 2015년6월7일 검색.
41)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2014) “Commitment to Development Index (CDI) 2014 Results|”,
웹사이트 http://www.cgdev.org/article/commitment-development-index-cdi-2014-results
42) 권율 외2명(2011) p.126.
33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43)
2015년에는 23억 달러로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 국제사회의 한국
에 대한 기대치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2008년 한국정부는 당해 한국
국민총소득(GNI) 대비 0.05%인 ODA 비율을 2015년까지 0.25%로 끌어올릴
44)
방침을 밝혔다 . 현재까지의 한국 ODA를 평가해 보면 정부의 일방적인 주도
하에 양적 성장이 꾸준히 확대되어 오고 있는 한편, 통합적인 추진체계가 자
45)
리 잡지 않아 ODA의 효율적 운영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따라서 향후 한국 ODA가 해결해 나가야 하는 가장 큰 과제는 통합적·효율적
체제의 구축이라고 하겠다.
먼저 체제 구축을 위해 절실히 필요한 것은 한국 ODA가 나아갈 방향성을
대내외적으로 명확히 하는 것이다. 2014년에 출간된 ODA백서는 한국정부가
발행한 첫 ODA 백서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지만, ODA에 관한 일반적인 정
보가 주를 이루고 있을 뿐, ODA의 목적과 이념, 기본원칙, 정책방향 등 ODA
실시에 관한 방향성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ODA의 이념과 목적이 불분명한
점은 ODA를 수행함에 있어 국민적 합의를 도출하는 데 장애가 되고 소모적인
논쟁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점에서 뚜렷한 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ODA의 이념
과 목적을 정립하는데 있어서 일본과 같이 ‘국익우선’을 제 1의 목적으로 삼
는 것은 장기적인 측면에서 ODA 지지 층의 기반을 약화시키고 국제 사회의
충분한 공감을 얻지 못한다는 측면에서 지양해야 한다. 국민적인 합의를 도출
해 낼 수 있는 한국적인 가치를 이념과 목적으로 삼되 국제사회에 통용되는
가치와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ODA를 실시해야만 하는 당위성을 한국의 과거 경험에 상당부분 의존
하고 있는 점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물론 원조수혜국에서 원조공여국
으로 탈바꿈한 경험은 큰 의미를 지니고 한국 국민들에게 ODA의 필요성을 강
조하는 하나의 큰 동기부여가 될 것이다. 실제 많은 한국 국민들은 ODA나 밀
46)
레니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에 대한 이해가 부족
43) 손철(2015.1.9) 「정부, 올해 개도국에 2조 3800억 원 원조」『서울경제』. 백민정(2015.1.9)
「올해 정부개발원조(ODA) 2조3,782억 원…… 지난해보다 1,116억 늘어」 『국민일보』.
44) 김윤태(2009.7.16)「해외원조에 인색한 한국」『경향신문』.
45) 현대경제연구원(2013.11.01) 「한국 DAC 가입 4년차 사업 현황과 시사점」 『경제주평』
13-46. pp.1-17.
46) 2000년 9월 뉴욕 유엔본부에서 개최된 밀레니엄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의제다. 당시
참여국은 세계의 빈곤 문제를 개선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2015년까지 목표를 실행해 가는
동일본대지진 이후 정부개발원조 예산삭감을 둘러싼 일본사회 내의 갈등 ····· 정 기 숙…333
하지만, 국제사회의 도움으로 경제발전을 달성한 자신들의 경험에 비추어 한
국 정부가 아프리카나 아시아 등의 개발도상국의 빈곤층을 돕는 것에 대한 의
47)
의와 중요성에 크게 공감하고 있다 . 그러나 ODA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구체
적인 지식 없이 실시되는 ODA는 일관적이고 흔들림 없는 국민의 공감대를 유
지하기 어렵다. 일본도 과거 국제사회로부터 원조를 받은 수혜국이었으며 일
본이 ODA를 시작했을 당시 이러한 이유를 국제협력의 동기로 이용했었다. 그
러나 ODA에 대한 인지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버블붕괴와 함께 경제위기가 닥
치면서 ODA지지율은 하락했고, 추락하는 지지율 상승을 위해 일본 정부가 내
세운 ‘국익’강조는 일본의 ODA기반을 더욱 취약하게 만들어 버린 결과를 가
져왔다.
따라서 확고한 국민적인 공감대를 얻기 위한 체계적인 개발협력 교육시스템
의 확립과 실행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한국 개발교육의 현실은 교육이라
기보다는 ODA를 단순히 홍보하기 위한 수단적인 측면이 강하며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 그리고 발전을 위해 개발도상국의 지역과 사람들을 지원하는 것
이 어떤 의의와 가치가 있는가를 이해하기에는 매우 미흡하다. 한국 국민의
ODA 혹은 밀레니엄개발목표와 같은 중요한 정책이슈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크게 낮다는 점을 감안할 때,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ODA 의의와 가치, 그리고
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일본의 ODA와 비교해 약 40년 뒤쳐진 한국은 아직 정립된 ODA의 목적이
없고 ODA의 여론형성 과정에 있어서도 매우 초기단계에 있지만, 긍정적으로
본다면 오히려 국민들의 ODA에 대한 편견과 오해가 적으며 체계적인 개발교
육을 통해 ODA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형성해 나갈 충분한 여지와 시간이 있
다고 하겠다.
데 동의했다. 8대 목표는 다음과 같다. ① 극한적인 가난과 기아 퇴치 ② 초등교육의
확대와 보장 ③ 남녀평등과 여성 권익 신장 ④ 유아 사망률 감소 ⑤ 임산부 건강 개선 ⑥
에이즈, 말라리아, 기타 질병 퇴치 ⑦ 지속 가능한 환경 보호 ⑧ 개발을 위한 전 세계적
협력 구축. 자세한 것은, 유엔개발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UNDP) 웹
사이트를 참조, http://www.undp.org/content/undp/en/home/mdgoverview/
47) 개발협력의 당위성을 묻는 질문에, 한국 국민의 29.2% 는 ‘매우 중요하다’하고 답해,
EU 회원국보다는 낮지만 국제사회가 개발도상국을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 전체의 90.9%로 EU 회원국보다도 개발도상국 지원의 중요성을 다소 높게
인식하고 있다. 권율 외2명(2011) p.126.
33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참고문헌】
<한국어문헌>
권 율ㆍ박수경ㆍ이주영(2011) 「ODA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결과 및 국제
비교」, 『ODA정책 연구』11-02, 대외경제경책연구원.
현대경제연구원(2013.11.01) 「한국 DAC 가입 4년차 사업 현황과 시사점」『경제
주평』13-46.
<일본어 문헌>
動く→動かす・国際協力NGO センター(2011.4.5)
『震災救援・復興と世界の貧困解消の両立のために「政府開発援助(ODA)」
予算の維持を強く求めます!』.
エイズ&ソサエティ研究会議・アフリカ日本協議会(2011.4.25)「2011
年度第1次補正予算に関する声明震災復興と世界の感染症対策の両立を=世
界エイズ・結核・マラリア対策基金への拠出見送りの再考を求めます」.
北野充(2006)「戦略的なODAをどう実現するか」、『GRIPS開発フォーラム』、
GRIPS。
警察庁(2015.1.9)「東日本大震災について被害状況と警察措置」.
国際開発センター(2013) 「東日本大震災への海外からの支援実績のレビュー調査」.
国際協力局 (2015.2)「開発協力大綱の決定」外務省.
国際協力NGOセンター(JANIC)(2012)「政府開発援助(ODA)予算の維持を強く
求めます!」.
小浜裕久(1992) 『ODAの経済学』 日本評論者.
鄭基淑(2009)『グローバル化時代における新しい国際協力のあり方―途上国の地域
発展と自治体間の国際協力』 富士ゼロックス
小林節太郎記念基金2009年度研究助成論文, pp.11-19.
田中秀和(2010)「国際協力と国民的合意形成」『季刊 政策・経営研究』.
塚本剛志(2004) 「我が国のODA世論の把握とその調査方法についての一考察―インターネッ
トニュース記事選考分析から得られた我が国国民のODAに対する評価」『
外務省調査月報』 No.4.
동일본대지진 이후 정부개발원조 예산삭감을 둘러싼 일본사회 내의 갈등 ····· 정 기 숙…335
中村安秀(2012)「海外からの共感と連帯」『垣根のない連帯と共感』.
日本 外務省(1995.2)『外交フォーラム』.
日本 外務省「経済協力に関する世論調査平成23年度」.
日本 外務省(2011)『世界が応援団―届いたエール…日本とともに!』.
日本 外務省(2004)『政府開発援助白書』.
日本 外務省(2006)『政府開発援助白書-日本のODA50年の成果と歩み』.
日本 外務省(2010)『政府開発援助白書』.
日本外務省(2010)『開かれた国益の増進―世界の人々とともに生き、平和と繁栄を
つくる―ODA のあり方に関する検討』.
日本 外務省(2011.5-7)『わかる国際情勢!』Vol.72-75.
日本 外務省「ODAに関する世論調査平成23年度」.
日本 内閣府(2011)「平成23年度世論調査」
東日本大震災復興対策本部(2011.7.29)「東日本大震災からの復興の基本方針」.
福嶋博之(2011.6)「4兆円規模となった平成23年度第1次補正予算―課題を残した復
興財源の確保」『立法と調査 』No.317, pp.26-32.
柴崎敦史(2011.2)「平成23 年度(2011
年度)政府開発援助予算~限られた予算の中での戦略的なODAを目指して~」
『立法と調査』No.313 .
<영어>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2014) “Commitment to Development Index (CDI)
2014 Results”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2009) “Public Attitude towards
Development: TNS Report prepared for COI”.
ODA Watch (2012) “Shadow Report on Kore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ubmitted to the OECD/DAC Peer Review Korea 2012”.
<웹사이트>
일본 외무성: http://ww:w.mofa.go.jp/mofaj/saigai/shien.html/
33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내각부대신관방정부홍보실:
http://survey.gov-online.go.jp/h25/h25-gaiko/2-2.html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http://www.cgdev.org/
OECD/DAC : http://www.oecd.org/dac/stats/
OECD /Economic Outlook 94: http://www.oecd-ilibrary.org/
Publish What You Fund: http://ati.publishwhatyoufund.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http://www.undp.org/content/undp/en/home/mdgoverview/
<뉴스>
김윤태(2009.7.16)「해외원조에 인색한 한국」『경향신문』.
백민정(2015.1.9)「올해 정부개발원조(ODA) 2조3,782억원…… 지난해보다
1,116억 늘어」 『국민일보』.
손철(2015.1.9) 「정부, 올해 개도국에 2조 3,800억 원 원조」『서울경제』.
秋田浩之 (2011.5.25) 「ODA削減、ケチは日本のためにならず」『日本経済新聞』.
朝日新聞(2011.4.7)『「ODA削減し復興財源に」 民主党、内閣に申し入れ』.
弟子丸幸子(2011.4.15)「西田国連大使「ODA削減なら外交に支障」『日本経済
新聞』
日本経済新聞(2011.4.20)『貿易会会長、ODA予算「震災後も削るべきではない」』
日本経済新聞(2011.4.22)『外相、ODA削減「大変残念」』.
CNN Wire Staff (2011.3.14) “Anxiety in Japan Grows as Death Toll Steadily
Climbs”, CNN.
동일본대지진 이후 정부개발원조 예산삭감을 둘러싼 일본사회 내의 갈등 ····· 정 기 숙…337
要旨
On March 11, 2011, a magnitude 9.0 earthquake occurred near the Northeast
coast of Honshu, Japan. The earthquake subsequently affected the Tohuku region
(Northeastern Honshu) with a series of large tsunamis. However, this terrible
disaster brought not only a huge amount of suffering, but it also presented an
opportunity for the Japanese people to strengthen sympathy and solidarity with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Many people expected that the tremendous amount
of support from countries around the world would change the Japanese people’s
negative views toward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nd cause them to
rethink the significance of it.
My study is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Japanese public opinions on ODA
after the Tohuku earthquake. Specificall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ODA budget among ruling-opposition parties, non-government
organizations, and citizens, as well as an examination of the main factors leading to
the conflict.
キーワード:International Cooper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Charte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Tohoku earthquake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재확정일 : 2015. 7. 4
정경(鄭經)의 조선침공설에 관한 고찰*1)
정 응 수**
(e-mail: [email protected])
2)
目 次
1. 서론
2. 정경의 1차 침공설과 도선의 예언서
3. 정경의 편지와 2차 침공설
4. 결론
1. 서론
1673년 11월 21일, 운남성의 평서왕 오삼계가 반청복명의 기치를 내걸고 반
란을 일으킨다. 이듬해 3월에는 복건성의 정남왕 경정충이, 1676년 2월에는 광
동성의 평남왕 상지신이 한발 늦게 이에 합류한다. 소위 삼번의 난이다. 타이
완의 정경도 1674년 이에 호응하여 한때는 양자강 이남 일대, 사천, 섬서가 그
들 지배하에 들어갔다. 이후 1678년 8월 오삼계가 죽고 뒤를 이은 손자 오세번
이 1681년 자살할 때까지1), 이 난은 9년간이나 중국만이 아니라 동아시아를
격랑 속에 몰아넣었다. 물론 조선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 삼번의 난 이후 정경(鄭經, 1642-1681)만큼 조선에서 주목받은 사람도 드물
것이다. 정경은 명청교체기에 동아시아를 무대로 반청복명운동을 펼친 정성공(鄭
成功, 1624-1662)의 아들로 1642년 태어났다. 1662년 정성공이 죽자 스무 살의 젊
* 이 논문은 2013년도 남서울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
** 남서울대학교, 교수, 일본학(한일비교문학․비교문화).
1) 진순신, 『중국의 역사』11, 권순만 외 옮김, 한길사, 1995년, 26-33쪽
34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은 나이로 아버지의 뒤를 이어 반청복명운동을 벌인다. 1664년에는 타이완에 동
녕왕국(東寧王國)을 세우고, 1673년 삼번의 난이 발발하자 이에 적극 동조하여 한
때 복건성 일부를 장악하기도 했다. 그러나 1680년 대륙의 거점을 모두 상실하고
타이완으로 귀환하여 이듬해 1월 39세의 아까운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동녕왕국
은 그 2년 후인 1683년 아들 정극상이 청에 항복함으로써 역사에서 사라진다. 이
렇게 보면 동녕왕국은 사실상 정경과 그 운명을 같이 했다고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네덜란드가 타이완의 제란디아성에서 정성공에게 항복한 1661년
부터 정극상이 청에 항복한 1683년까지의 23년간을 정씨 타이완시대라 부르는
데, 이 정씨 타이완시대 23년 중에서 20년이 정경의 시대였던 것이다. 그는 당
시 동남아시아에 진출해 있던 서양 세력들에게 ‘타이완 왕’이라 불릴 정도로,
17세기 후반 동아시아에서 상당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2).
정경이란 이름이 조선정부의 공식기록인 『조선왕조실록』(이하 『실록』이
라 표기)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1667(현종8)년 10월 3일이다. 이는 임인관 이
하 표류민 95명의 심문 결과를 정리한 기사인데, 당시는 이들의 송환문제가 가
장 중요한 현안이었기에 정경은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다3). 정경이 조선에서
관심의 대상이 된 것은 앞에서 이야기한대로 삼번의 난이 일어나면서부터였다.
『실록』을 검색하면 정경의 이름이 67번 등장하는데, 이 중에서 삼번의 난 이
후 기사가 58건이나 된다4). 당시 조선에서 정경에게 얼마나 큰 관심을 기울이
고 있었는지 말해주는 수치이리라. 정성공은 총 7번밖에 등장하지 않는다5).
삼번의 난의 도화선이 되었던 오삼계의 난이 조선에 알려진 것은 1674년(현
종 15) 3월 2일이었다. 중대한 사안이라 생각했는지 사은사 김수항이 역관 김
2) 林田芳雄, 『鄭氏台湾史―鄭成功三代の興亡実紀』, 汲古書院, 2004. 76쪽.
3) 송환문제를 둘러싼 논쟁에 대해서는 강창룡의 「17世紀 中葉 中國人의 濟州 漂到 -顯宗 8年(1667)
明나라 林寅觀 一行의 濟州 漂着과 處理를 中心으로」(『耽羅文化』 25, 濟州大 耽羅文化硏究所,
2004, 28-32쪽)와 김문식의 「成海應이 증보한 『丁未傳信錄』」(『진단학보』 115, 2012-08, 동국
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2, 100-102쪽)을 참고할 것.
4) 『실록』에서는 정경을 정금(鄭錦), 정금사(鄭錦舍)라고도 표기한다. 이 세 이름으로 나오는 기사를
검색하면 모두 67건이 된다.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실록』 관련 기사는 모두 조선왕조실록 홈
페이지(http://sillok.history.go.kr/main/main.jsp)에 탑재된 『조선왕조실록』에서 인용한 것이다.
5) 사실 조선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는 정경보다 정성공이 더 유명했다. 일본에서는 어머니가 일본
인이라는 등의 이유로 일찍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어 지카마쓰 몬자에몬(近松門左衛門)의 『고큐센
야캇센(国性爺合戦)』을 비롯해 그를 모델로 한 작품들이 다수 창작되었다. 타이완에서는 그가 네
덜란드 동인도회사가 점령하고 있던 타이완을 탈환하여 동녕왕국의 기초를 만들었기 때문에 건국
의 아버지로 추앙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중국에서도 그를 외세로부터 중국을 지킨 인물이라며 높
이 평가하고 있다. 또한 타이완을 탈환하여 유럽의 동방무역을 뒤흔들었기 때문에 유럽에서도 ‘콕
싱아(Coxinga)’라 불리는 유명인이 되었다. 이 때문에 서양에서도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조너
선 클레멘츠는 『해적왕 정성공』과 같은 뛰어난 평전을 쓰기도 했다.
정경(鄭經)의 조선침공설에 관한 고찰 ····································································· 정 응 수…341
시징을 먼저 보내 조정에 이 사실을 알렸지만, 사절이 귀국한 3월 5일의 『실
록』에는 “사은사 김수항, 부사 권우, 서장관 이우정이 청나라로부터 돌아왔
다.6)”라고만 기록되어 있다. 이에 대한 추가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보아 대수롭
지 않게 생각한 것 같다. 그렇지만 곧 이어 복건성의 경정충, 타이완의 정경이
이에 호응하여 군사를 일으키자 이에 대한 조선정부의 대응도 급박해졌다. 즉
조선이 정경과 제휴하여 청을 공격할 것이라는 소문과, 정경의 군대가 명에 대
한 의리를 지키지 않고 청나라를 섬기는 조선을 정벌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청이 산해관 밖의 방어 시설을 보수하고 군사를
증강하고 있다는 기사가 『실록』에 여러 번 등장한다. 또한 정경의 조선 침공
설로 인해 조선 국내정세도 매우 어수선해지는데, 이제부터 이 조선침공설에
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또한 17세기 후반에 등장한 도선의 예언서
와 조선에서 오해한 정경의 편지 등에 주목하여, 이 침공설이 당시 이렇게 쉽
게 침투할 수 있었던 요인에 관해서도 함께 생각해보기로 하자7).
2. 정경의 1차 침공설과 도선의 예언서
1) 윤휴의 정경 제휴론
조선이 정경과 제휴하여 청을 침공할 것이라는 이야기는 이미 1674년 여름에는
북경에 퍼져 있었다. 1674년(현종 15) 8월 3일, 조선과 정경이 연합한다는 말이
북경에 전해져 북경 사람들이 동요를 일으켰다는 유창의 보고8)가 이를 뒷받침한
다. 이에 따라 청이 산해관 밖에 있는 방어시설을 보강하고 있다는 사절들의 보
6) 『현종개수실록』, 현종 15년 3월 5일
7) 조선과 정경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외국인들이 먼저 시작했다. 神田信夫(1951)의「三藩の亂と朝鮮」
(『駿台史学』1호), 浦廉一(1953)의「台湾鄭氏(特に鄭経)と朝鮮との関係」(『広島大学文学部紀要』
3), 孔立(1983)의「朝鮮與鄭成功父子」(『清史研究通讯』1983-4), 松本真輔(2013)의 「韓國の予言書
『鄭鑑録』と東アジアを駆けめぐった鄭経の朝鮮半島侵攻説」(『アジア遊学』161, 勉誠出版) 등이 그것이
다. 우리가 이 방면에 관심을 가진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로 최관(2008)의 「정성공과 동아시아」
(『일본학보』74-2), 우인수(2010)의 「17세기 후반 대만 정씨해상세력에 대한 조선의 정보 수집
과 그 의미」(『대구사학』제100권), 정응수(2012)의 「정성공 일가에 대한 조선정부의 인식 변
화」(『일어일문학』55집)와 「조선 후기의 해상진인과 정경 부자」(『일본문화학보』58집, 2013)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중에서 정경의 조선침공설에 관해 언급한 논문으로는 浦廉一와 松本真輔의
논문을 들 수 있다. 그러나 浦廉一는 조선과 정경의 전체적인 관계 속에서 조선침공설을 다루고
있으며, 松本真輔는 정감록과 정경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에 정경의 조선침공설을 본격적으
로 다룬 논문이라고 하기 어렵다. 특히 도선의 예언서나 조선에서 오해한 정경의 편지가 당시 조
선침공설 유포와 어떤 관련을 갖고 있었는지 등은 본 논문에서 처음 언급한 것이다.
8) 『현종개수실록』, 현종 15년 8월 3일, 유창만이 아니고 진향정사 민점(숙종 즉위년 11월 23일), 심
익현(숙종 1년 1월 26일) 등도 조선과 정경 연합군의 청 침공설이 북경에 퍼져 있었다고 한다.
34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고9)도 잇따르고 있는데, 청에서도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정경이 이러한 제휴설을 이용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조선에 퍼져
있었다. 즉 정경군이 조선군과 연합한 것처럼 보이기 위해 조선군 복장을 하고
청과 싸우거나10), 조선군 복장을 구입하기 위해 정경군이 부평까지 왔다11)는
것이다. 내용의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당시 정경과 조선의 제휴설이 상당히 현
실감 있는 이야기로 받아들여졌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런데 이처럼 정경과 조선 연합군의 청 침공설이 퍼져 있던 이 시기에 실
제로 정경과의 제휴를 주장하는 그룹이 조선에 있었다. 윤휴를 중심으로 한 북
벌론자들이다. 당시 조정은 1674년(현종15) 2월 현종의 친어머니인 인선왕후
(효종비)의 사망을 계기로 시어머니인 조대비의 복상문제가 다시 대두되어 2
차 예송논쟁이라 불리는 갑인예송이 시작되었다. 여기서 현종은 장인 김우명
(인경왕후 김씨)과 그의 조카 김석주의 의견에 따라 1차 예송 때와는 달리 남
인의 기년설을 채택했다. 서인인 김우명이 송시열을 제거하고 서인정권의 주도
권을 장악하려고 1차 예송 때와는 반대로 남인을 지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대
공설을 주장하던 서인들이 실각하고 남인들이 정권을 장악했다. 정권을 잡은
남인은 송시열의 처벌 문제를 둘러싸고 강경파인 청남과 온건파인 탁남으로
나뉘었는데12), 이들은 북벌론을 둘러싸고도 서로 의견을 달리한다. 북벌론자들
은 주로 청남에 속했다.
청남의 우두머리인 윤휴는 오삼계의 난이 조선에 알려지고 얼마 지나지 않
은 1674년 7월 1일 임금에게 북벌의 밀소를 올렸다. 오삼계의 난으로 중국이
혼란에 처한 지금이야말로 청에게 당한 치욕을 씻고 명의 은혜에 보답할 수
있는 기회라며 군대를 동원하여 천하의 의리를 바로 세워야 한다고 했다. 그러
면서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지금 오랑캐의 운수가 전환되어 오삼계가 난을 일으키자 중국 안이 뒤숭숭해
졌으니 일역(日域)의 힘이 넉넉히 천하를 뒤흔들 수 있으며, 정인(鄭人)의 마음
을 예측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도 우리가 스스로 수립하지 못하면 저들이 우리
보다 먼저 채찍을 추켜들고 우리를 나무라거나 혹은 광복이 된 날에 우리들이
9) 예를 들어 진향정사 민점은 “봉황성과 개주위에 장차 성을 쌓는다고 하는데, 신의 어리석은 생각
으로는 유독 정금만을 염려하는 것이 아니고, 필시 우리를 의심하여 그렇게 하는 것인 듯합니다.”
(숙종 즉위년 11월 23일)라 했다. 심익현(숙종 1년 1월 26일), 동지사 겸 사은사 복창군 이정(숙종
1년 3월 5일)도 우리쪽을 향한 청의 방어시설에 관해 보고하고 있다.
10) 『숙종실록』, 숙종 1년 4월 3일
11) 『숙종실록』, 숙종 1년 6월 3일
12) 이덕일, 『당쟁으로 보는 조선역사』, 석필, 1997, 253-263쪽
정경(鄭經)의 조선침공설에 관한 고찰 ····································································· 정 응 수…343
그들과 협심하고 끝끝내 마음을 고쳐먹지 않은 내막을 추궁한다면 비록 지혜가
있는 자라 하더라도 나라를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것입니다13).
우리가 정경을 비롯한 반청세력과 제휴하여 청에 진격하지 않으면 그들이 우
리의 의리 없음을 따지려 들 거라는 이야기다. 그러나 이 상소는 다음 달 현종
이 죽으면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렇지만 윤휴는 이에 굴하지 않고 이후에
도 기회 있을 때마다 정경과 연합하여 북벌할 것을 주장했다.
1675년 1월 24에는 “또 우리가 청국을 섬기는 것이 정금이 전에 의심하여
분노하던 것인데 이제는 오삼계(吳三桂)와 힘을 합쳐 그 형세가 매우 확장되
었으므로 세상에 대고 죄를 말하고 치러 올 걱정이 있을 듯하니 한 사신이 바
다를 건너가서 성심(誠心)을 보이는 것은 그만둘 수 없을 듯합니다.14)”라고 했
다. 즉 정경이 오삼계와 제휴하여 세력이 매우 강대해졌으므로 이제 조선에 죄
를 물으러 쳐들어올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명 황제의 후손인 주씨를
도와 반청복명운동을 벌이는 정경이 임진왜란 때 우리를 도와준 명나라의 재
조지은을 잊고 청을 따르는 조선의 의리 없음을 징치하러 온다는 것이다. 소위
대명의리론이다. 즉 정경과 제휴하여 청을 공격하는 것이 명에 대한 의리를 지
키는 일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정경과의 제휴가 명분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정
경과 연합하지 않으면 명에 대한 의리를 배반하는 것이 되고, 그러면 반청세력
이 대명의리를 배반한 조선을 징치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정경의 조선침공론이
명분을 얻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당시 쓰시마번 정보에 의하면, 실제로 백성들 사이에서는 청이 망한 후
에 오삼계 등에게 추궁당할 것을 염려한 조선정부가 오삼계군에게 구원병을
보내기로 했다는 소문이 돌고 있었다15)고 한다. 그리고 약속이나 한 듯이 이
무렵 외적이 쳐들어 왔다는 소문이 나서 전국이 커다란 소란에 휩싸인다. 그러
나 이때까지는 아직 침공군이 정경군이라고 확정된 것은 아니었다.
2) 정경의 1차 침공설
밤에 서울 안팎이 갑자기 경동(驚動)하여, 호(胡)가 온다고도 하고 왜(倭)가
온다고도 하며, 집집마다 짐을 지고 나서고, 사녀(士女)가 붙들어 안고 나오는
경우가 있기까지 하였는데, 이튿날 아침이 되어서야 비로소 진정(鎭定)되었다.
13) 『현종실록』, 현종 15년 7월 1일
14) 『숙종실록』, 숙종 1년 1월 24일
15) 「対馬注進」, 『華夷變態』上, 林春勝·林信篤 編, 동양문고총간 제15, 동방서점, 1981, 107-109쪽
34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뜬소문은 해서(海西)의 장련(長連) 등지에서 비롯되었는데, 그 전언(傳言)에 ‘왜
선(倭船)이 이미 해안(海岸)에 정박하여 해서의 여러 고을이 여리(閭里)를 텅 비
우고 산골짝에 도망하여 숨은 것이 며칠 되었다.’ 하였으므로, 안으로 경성(京
城)에서부터 밖으로 삼남(三南)에 이르기까지 진동(振動)하지 않음이 없었다.)
16)
1674년 9월의 기사인데, 한양에 ‘호가 온다고도 하고 왜가 온다고도’17) 할 수
있는, 바꿔 말해 ‘호일 수도 있고 왜일 수도 있는’ 정체불명의 외적이 쳐들어온
다는 소문이 나서 한양만이 아니고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에 이르기까지 전국
에서 피난하느라 난리가 났다는 이야기다. 그런데 이 소동은 황해도 장연 등지
에서 잘못 전해진 소문, 즉 왜선이 황해도 해안에 정박하여 그 근처 사람들이
모두 산으로 도망하여 숨은 지 며칠 되었다는 소문 때문에 일어난 것이다. 다
시 말해 ‘왜선’ 때문에 벌어진 소동인데, 이것이 한양에 와서는 ‘호일 수도 왜
일 수도’ 있는 것으로 바뀌었다. 그런데 1675년이 되면 이 ‘호일 수도 왜일 수
도’ 있는 정체불명의 외적이 ‘정경의 수군’으로 바뀐다. 1675년 6월 3일 『실
록』을 보면 “갑인년 10월 에 해서지방으로부터 와언이 있기를 ‘경외가 크게
시끄러웠다.’ 하였고, 혹은 말하기를 ‘이는 괜히 놀란 것이 아니라 정금이 이끄
는 수군이 해상에서 등주(登州)와 내주(萊州)로 향하였다고 바닷가의 사람들이
서로 전파하여 이 말이 나게 되었다.’고 하였다.”는 기록이 나온다. 즉1674년 9
월에 벌어진 해서지방의 소동이 ‘왜선’ 때문이 아니고 정경의 군대에 의한 것
이라는 이야기다. 처음 ‘왜선’에서 시작한 소란이 ‘호일 수도 왜일 수도’ 있는
18)
『숙종실록』, 숙종 즉위년 9월 4일
17) 김탁은 1748년(영조 24) 「청주와 문의 괘서사건」에서 등장한 ‘왜인 같지만 왜인이 아닌 것이 남
쪽에서 온다(似倭非倭, 自南而來)’라는 표현이 현전하는 『정감록』 속 「도선비기」에 나오는 ‘푸
른 옷을 입고 남쪽에서 오니 오랑캐도 아니요 왜적도 아니다(野着靑衣而自南, 非倭非倭)’라는 표현
과 비슷하다고 한 다음, 현전하는 「도선비기」의 일부 구절이 당시에도 상당히 알려졌을 것이라
했다(『정감록』, 살림, 2005년, 157쪽). 그런데 「청주와 문의 괘서사건」에는 또한 ‘왜가 온다느
니 호가 온다느니(倭來胡來)(『영조실록』 영조 24년 5월 25일)’라는 표현도 등장하는데, 이는
1674년의 해서지방 소란 시 등장한 ‘호(胡)가 온다고도 하고 왜(倭)가 온다고도 하는(或云胡來,
或云倭來)’ 표현과 매우 유사하다. 아직 정밀한 검증이 더 필요하지만, 1차적으로 해서지방의 표현
은 「청주와 문의 괘서사건」이나 현전 「도선비기」에 등장하는 표현의 원형적 형태라 할 수 있
을 것이다. 사실 뒤에서 언급하겠지만 당시에 이미 정진인설, 다시 말해 정씨가 조선을 지배할 것
이라는 도선의 예언서가 등장해 있었다.
18) 갑인년이 1674년이므로, 이 기록을 그대로 믿으면 해서지방에서 1674년 10월에 큰 소란이 있었다
는 말이다. 그런데 『실록』을 아무리 찾아보아도 1674년 10월에 이러한 기록이 발견되지 않는다.
다만 앞에서 인용한 1674년 9월 4일의 기사만 있을 뿐이다. 게다가 같은 해 9월과 10월, 즉 한 달
간격으로 거의 동일한 사건이 발생했다고 보기도 어렵기 때문에, 이 둘은 같은 사건을 가리키는
것이라 생각된다.
16)
정경(鄭經)의 조선침공설에 관한 고찰 ····································································· 정 응 수…345
적으로, 다시 ‘정경의 군대’로 바뀐 것이다.
물론 외적의 성격이 이처럼 바뀐 것은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와 밀접한 관련
이 있다. 이 1675년 여름 무렵, 조선은 정경의 조선침공설로 엄청난 혼란에 빠
져 있었다. 즉 쓰시마에서 ‘정금이 이미 병선을 정돈하고 장차 본국과 함께 중
원에 사변을 일으키려고 하여 귀국과 더불어 일을 함께 하려고 하는데, 전일의
서계에 귀국은 막연하여 알지 못한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면 정금의 군사가 마
땅히 먼저 귀국에 이를 것이니, 교호하는 사이로서 고하지 아니할 수 없습니
다.19)’는 내용의 왜서가 도착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조선 전역이 들끓고 있었
다. 다시 말해 정경이 일본, 조선과 연합하여 중국을 구원하려 하는데 조선이
이에 응하지 않으면 정경이 먼저 조선에 쳐들어 올 것이라는 내용의 이야기다.
이로 인해 “여염 사이에 소란이 크게 번져 마치 변란이 아침저녁에 일어날 것
처럼 하였고 겨울 사이에 이르러 더욱 심했20)”다고 한다.
그러자 당시 정권을 잡고 있던 허적을 중심으로 한 탁남 세력들이 조사를
진행하여 나라를 원망하는 무리들이 거짓 소문을 만들어내 민심을 동요시키려
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즉 정부에 불만을 가진 세력들이 가짜 왜서를 만들어
유포시켰다는 것이다. 범인으로는 서인인 조창한 등이 지목되었지만, 구체적인
혐의를 찾을 수 없어 이내 석방되었다. 심문받을 때 조창한이 “시골의 소란스
러움이 서울보다 심하여 사람들이 만나면 모두 정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
다”고 한 것이나, 그 아들 조송이 “여름과 가을 사이에 일종의 왜서에 대한 말
이 갑자기 번져 입 달린 사람은 모두 전파”했다고 한 것을 보면, 당시 정경의
침공설은 서울과 지방을 막론하고 전국적인 규모로 유포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창한은 이후 의령현감으로 재직 중이던 1681년(숙종7), 사간원으로부터 재
차 탄핵을 받아 관직에서 삭직되었다21). 사유는 이 가짜 왜서 사건과 송시열
에게 사문난적으로 몰린 윤휴에게 아첨했다는 것22)이었다. 당시는 1680년(숙종
6)의 경신환국으로 인해 그때까지 정권을 잡고 있던 남인들이 몰락하여 허적,
윤휴 등 남인의 주요 인사들이 대거 살육을 당하던 때였다23). 조창한은 서인
19) 『숙종실록』, 숙종 2년 2월 15일
20) 『국역비변사등록』 32책, 「倭書를 僞造하여 人心의 動搖를 일으킨 자들의 治罪를 청하는 許積
의 啓」, 숙종 2년 3월 11일.
21)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6JOc_A9999_1_0033456&isEQ=tru
e&kristalSearchArea=B
22) 『숙종실록』, 숙종 7년 10월 11일
23) 이성무, 『조선시대당쟁사2』, 동방미디어, 2000년, 30-34쪽
34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이라 처음에는 남인 허적에게 탄압을 받았지만, 이때는 윤휴와 친하다는 이유
로 같은 서인으로부터 탄핵을 받은 것이다.
그런데 위조되었다는 왜서의 내용을 보면 그 바탕에 대명의리론이 깔려 있
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을 구원하는 일, 즉 반청복명운동에 조선이 참여하지 않
으면 정경이 조선을 침공할 것이라는 이야기는 윤휴가 주장한 정경 제휴설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이렇게 보면 정경의 1차 침공설의 직접적 원인이 되었
던 가짜 왜서의 작성자는 북벌론자들과 사상적으로 아주 가까운 거리에 있었
을 지도 모른다.
3) 도선의 예언서
사회가 혼란해지면 이를 틈타 유언비어나 와언들이 널리 퍼지게 되어 있다.
당시에도 정경의 조선침공설을 뒷받침하는 여러 유언비어들이 난무하고 있었
다. 예를 들어 영남 인동(仁同)의 약목촌(若木村)에서는 무너져 내린 산벼랑에
서 돌이 나왔는데, 그 돌에 ‘홍무(洪武) 후 310년에 산동의 마장군(馬將軍)이
군사를 이끈 패’라 적혀 있었고, 이 때문에 사람들이 오삼계나 정금의 장수 중
에서 마가의 성을 가진 자가 쳐들어올까 봐 두려워했다고 한다24). 정경의 침
공을 예언하는 예언석을 등장시킴으로써 정경의 침공설을 더욱 그럴 듯한 것
으로 만들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뿐만 아니라 그 유명한 도선의 예언서도 등장한다.
금사(錦舍)가 이번에 활약이 컸기에, 오삼계가 금사에게 “이번 싸움에서 마침
내 승리한다면 (당신이) 조선을 지배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한 것이 조선에 전
해졌다고 들었습니다. 금사로 말하자면 정씨이기 때문에 조선 6대성에 들어가고
(조선에서의) 유서도 있기 때문에, 이런 이야기가 사실일 수도 있어 걱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5, 6백년 전에 승려 도선이라는 자가 있었는데, 이 자가 말세에
관해 적어놓은 책에 5백년 쯤 뒤에 정씨가 조선을 지배하게 될 것이라고 쓰여
있습니다. (도선의 이러한 예언들도 감안하면 정말로) 그러한 일이 벌어지는 것
은 아닐까 하고 아래 것들이 더욱 걱정하고 있습니다25).
24) 『숙종실록』, 숙종 1년 6월 3일
25)「朝鮮國ニ而風説之覺書」, 『華夷變態』上, 林春勝·林信篤 編, 동양문고총간 제15, 동방서점, 1981,
135-136쪽.
錦舍今度之働强御座候故、吳三桂錦舍江爲申聞候者、今度之戰彌得勝利候はゞ、朝鮮国支配可為仕と
申候由、朝鮮国に伝承、錦舍儀者鄭氏に候故、朝鮮六姓之内に候由緒も有之間、若右之説実正に而も可
有之候哉と気遣申候、殊五六百年以前、釈氏道説と申者御座候処、此者末世之儀書置申候書に、五百年
程之後、鄭氏之者朝鮮をも支配仕事可有之由御座候、ケ様之儀に而も候半かと下々彌気遣由申候事 (인용
문 중의 ‘석씨도설(釈氏道説)’은 ‘석씨도선(釈氏道詵)’의 오자이다. 이에 관해 자세한 사항은 정응수
정경(鄭經)의 조선침공설에 관한 고찰 ····································································· 정 응 수…347
1675(숙종1)년 11월 8일 쓰시마도주가 에도막부에 보낸 「조선에서 들은 풍문
에 관한 각서(朝鮮國ニ而風説之覺書)」란 보고서의 일부분이다. 여기서 우리는
두 가지 사실을 알 수 있다. 먼저 오삼계가 정경에게 조선을 지배하라고 했다
는 소문이 조선에 퍼졌다는 것이다. 당시 조선에는 오삼계의 세력이 대단하다
고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이 소문은 더욱 큰 위협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둘째
로는 정씨가 조선을 지배하게 될 것이라는 내용의 도선 명의의 예언서가 존재
하고 있었으며, 마침 정경이 정씨이므로 이 예언이 정말로 실현되는 것이 아닐
까 하고 걱정한다는 것이다. 말하자면 정경 침공설이 정진인설과 결합한 것이
다26). 이렇게 되면 정경의 조선 침공은 단지 대명의리를 세우려는 명분론만이
아니고 정진인의 출현, 다시 말해 도선의 예언이 실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조선에서 이처럼 정경의 조선침공설이 현실감을 더해가던 1674-5년
무렵, 정경은 복건성(福建省)의 천주(泉州), 장주(漳州), 장포(漳浦) 및 광동성
(廣東省)의 조주(潮州) 등을 점령하고 있었지만 산동성이나 조선을 공격할 여
력은 없었다. 복건성 연해지방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경정충(耿精忠)과 쟁탈전
을 벌이는 중이었고27), 또 조선은 거리가 너무 멀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경
의 조선침공설은 전혀 현실성이 없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정금(鄭錦)은 해도
(海島)에 웅거하고 있었는데, 우리나라의 호서(湖西) 지방과 아주 가까웠다28)”
라는 말처럼, 우리는 타이완이 아주 가까운 곳에 있다고 생각했다. 정경의 조
선침공설을 실현 가능한 것으로 받아들인 데에는 이러한 요인도 있었을 것이
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도 정경의 조선침공이 이루어지지 않자 이 침공설은 수
면 아래로 잠복한다. 대신 타이완으로의 도해설이 등장한다. 즉 정경이 오지
않자 정경을 데리러 직접 타이완으로 건너가려 한다는 이야기다. 예를 들어
1682년 노계신의 거짓 고변 사건에서는 오시항이 정진인인 정경을 찾아 타이
완으로 도해하려는 것29)으로 되어 있다. 1679(숙종5)년 3월 12일에 있었던 강
화 흉서사건의 투서자 이유정도 일본을 거쳐 중국에 가서 주씨(朱氏)를 세워
천하를 정한 다음 정금(鄭錦)과 함께 돌아오려 했다30)고 한다. 또한 1679년 12
월 28일 임창군과 임성군의 유배지 변경 시 허적이 제주도는 정금이 사는 곳
의 「조선 후기의 해상진인과 정경 부자」(『일본문화학보』58집, 한국일본문화학회, 2013년,
371-374쪽)를 참조할 것.
26) 정경이 정진인에 포함되는 과정에 관해서는 정응수의 「조선 후기의 해상진인과 정경 부자」
(『일본문화학보』58집, 한국일본문화학회, 2013년, 371-374쪽)를 참조할 것.
27) 林田芳雄, 앞의 책, 85쪽
28) 『숙종실록』, 숙종 1년 6월 3일
29) 『推案及鞫案』9, 「壬戌 盧繼信推案」, 500쪽.
34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과 가깝다며 걱정하는 대목31)이 나온다. 이를 보면 조정은 여전히 불만 세력
과 정경의 연계를 걱정하고 있었고, 또 불만세력은 이를 이용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3. 정경의 편지와 2차 침공설
1) 조선에서 오해한 정경의 편지
삼번의 난 종료 소식이 조선에 알려진 것은 1682년 3월이었다. 주청사 겸 동
지사로 청을 방문한 사절단이 3월 2일 선래장계로 “북경은 운남, 귀주가 평정
된 뒤부터 위아래가 서로 경하하여 문득 태평을 즐기”고 있다고 알려온 것이
다. 그들은 3월 20일의 귀국 보고에서도, 남방이 평정되었다는 보고가 사실이
냐고 묻는 숙종에게 거짓이 아닌 것 같다고 했다. 이로써 삼번의 난에 대한 조
선의 근심은 없어졌다.
그러나 정경 일가는 아직 타이완에서 건재하고 있었기에 여전히 조선의 두통
거리로 남아 있었다. 따라서 사절단은 정경 일가에 대한 정보 수집을 게을리 할
수 없었다. 앞에서 언급한 1682년의 사절단도 당연히 정경 일가에 대한 정보를
열심히 수집했고, 그 결과를 장계에 기록했다. 그들은 3월 2일 보낸 선래장계에
서 정경이 1677년 청군에게 대패하여 타이완으로 철수했는데 아녀자가 부족하여
아녀자 한 사람의 값이 수 백금이나 된다고 한 다음, 아래와 같이 적고 있다.
전에 정금이 복건 총독(福建總督)에게 답한 글에, ‘본도(本島)는 바람을 받은
배가 남으로는 고료(高遼)까지 가고 북으로는 동영(東瀛)까지 가니, 어느 곳인들
둔소(屯所)를 개척할 수 없으며, 어느 곳인들 군사를 모을 수 없겠는가? 선왕(先
王)부터 나에 이르기까지 쟁집(爭執)하는 것은 삭발(削髮) 두 자(字)뿐인데, 태
만(台灣)은 바다 밖에 멀리 있어 중국의 판도(版圖)에 들어가지 않고, 섬 안은
백성이 유통하고 상고(商賈)가 모여들며 의관(衣冠)이 훌륭한 것이 중국보다 못
하지 않으니, 태왕(太王)이 빈(邠)에 천도(遷都)한 것에 비하지는 못하겠지만,
백성을 늘리고 재물을 불리고 가르치면 또한 만세에 망하지 않을 기업(基業)을
세울 수 있다. 이것은 다 그대로 사자(使者)가 눈으로 본 것인데, 내가 어찌하여
작위(爵位)를 생각하겠으며, 어찌하여 강토(疆土)를 탐내겠기에 이 삭발하는 일
을 감수하겠는가?’ 하였다 합니다32).
30) 『숙종실록』, 숙종 5년 5월 2일
31) 『숙종실록』, 숙종 5년 12월 28일
32) 『숙종실록』, 숙종 8년(1682) 3월 2일(경술), 前者鄭錦答福建摠督書云 : 本島風帆所指,本島風帆所
정경(鄭經)의 조선침공설에 관한 고찰 ····································································· 정 응 수…349
‘전에 정금이 복건 총독에게 답한 글’이란 정경이 청과 화평교섭을 진행할
때 보낸 편지를 가리킨다. 그는 이 편지에서 타이완은 남으로는 고료(高遼),
북으로는 일본까지 갈 수 있으며, 원래부터 중국에 속한 나라가 아니다. 게다
가 백성과 상업이 번창하고 문물이 발달하여 만세의 기업을 세울 수 있는데
어찌 중국의 작위와 영토를 탐내어 변발을 하겠느냐고 했다는 것이다.
청은 정경과 전쟁을 수행하면서도 한편으로는 화평교섭도 벌였다. 물론 이
화의는 모두 청에서 먼저 제안한 것이지만, 그렇다고 청이 정경을 대등한 상대
로 인정한 것은 아니다. 청은 타이완을 중국 황제가 다스리는 영토로 간주하고
있었으므로 정경을 반란자로 취급하고 있었다. 이 화평 교섭은 대체로 정경이
약간 열세에 놓여 있을 때 제안한 것으로, 청의 전략적 필요에 따른 것이었다.
아무튼 정경이 타이완을 다스리던 약 20년간 정경과 청은 1663년부터 1679년
까지 모두 7차례에 걸쳐 화평교섭을 벌였다33).
그런데 이 일곱 번의 화의 중 1667년에 있었던 제2차 화의 때 정경이 청의
총병관 공원장(孔元章)에게 보낸 편지에 다음과 같은 부분이 있다.
선왕 때부터 귀국과 화의하면서 다툰 것은 오직 삭발 두 글자뿐인데 지금 동
녕은 멀리 바다 밖에 있어 중국의 판도에 속하지 않는다. 동쪽으로는 일본, 남쪽
으로는 루손(呂宋) 섬과 접해 있으며 백성들이 모여 들고 상인들이 유통되어 원
래부터 왕후의 부귀가 나에게 있다. 또한 만세의 터전을 이미 세워 놓았으니 어
찌 새삼스럽게 삭발까지 하면서 작호나 영토를 받을 필요가 있겠는가?34)
즉 당신들은 우리에게 강화의 조건으로 변발을 강요하지만 동녕은 중국의
영토 밖에 있다. 게다가 일본, 루손 섬과 인접해 있으며, 백성도 많고 상업도
번창하여 이미 만세의 기틀을 세웠는데 이제 새삼스럽게 변발까지 하면서 작
호나 영토를 받을 일이 없다는 것이다. 1682년의 사절들이 전한 내용과 대동소
이하다.
다만 타이완에 인접한 국가만 다를 뿐이다. 즉 『실록』에서는 타이완의 ‘남
指, 南極高遼, 北止東瀛, 何處不可以開屯, 何地不可以聚兵乎? 自先王以至不侫, 所爭者只是削髮二
字。台灣遠在海外, 不入於中國版圖, 島中人民流通, 商賈輻奏, 衣冠之盛, 不輸於中土。雖未能遽比於
太王之遷邠, 而生聚敎訓, 亦可以樹萬世不磨之基業。 此皆貴价所目覩者, 不侫何慕乎爵位, 何貪乎疆
土, 而甘爲此削髮之擧哉?
33) 林田芳雄, 앞의 책, 125-126쪽.
34)「鄭經復孔元章書」, 『康熙統一臺灣檔案史料選輯』, 福建人民出版社, 1983년, 70쪽
自昔貴朝之議和者屢矣, 從先王以至不侫, 只緣爭此(削髮)二字, 況今東寧遠在海外, 非屬版圖之中, 東連
日本, 南蹴呂宋, 人民輻奏, 商賈流通, 王侯之貴, 固吾所自有, 萬世之基, 已立於不拔, 此自貴介所目睹
者, 不侫亦何慕於爵号, 何貪於疆土, 而爲此削髮之擧哉.
35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쪽에 고료(高遼), 북쪽에 동영(東瀛, 일본)’이, 정경의 편지에서는 ‘동쪽에 일본,
남쪽에 루손(呂宋)’이 있다고 했다. 그런데 지도를 펴보면 타이완의 동북쪽에
일본이 있고 남쪽에 루손 섬(필리핀)이 있다. 정경의 편지에 나오는 기록과 일
치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실록』에 나오는 ‘고료(高遼)’란 무엇인가? 바로 뒤
에 나오는 동영이란 단어와 연관 지어 생각하면, 국명이나 지명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타이완 남쪽에는 루손 섬이 있다. 따라서 ‘고료’에 루손 섬이라
는 뜻이 있으면 문제가 간단하다. 그러나 루손 섬을 ‘고료’라 부른 예를 찾을
수 없다.
그렇다면 ‘고료’는 어디인가? 혹시 ‘고려(高麗)’를 잘못 쓴 것인가? 한글 발음
은 비슷하지만 한자가 너무 달라 그럴 가능성은 낮다. 그렇지만 당시 이 ‘고료’
를 우리나라라 생각한 사람이 있었다. 바로 사절단의 부사였던 남이성이다. 그
는 3월 20일에 있었던 귀국보고에서 남방이 평정되었다는 데 사실이냐고 묻는
임금에게 거짓이 아닌 것 같다고 한 다음, “신들이 접때 바친 문서는 이미 예
람(睿覽)하셨을 것입니다. 정금의 글 가운데서, ‘남으로는 고료(高遼)까지 가고
북으로는 동영까지 간다’는 따위 말이 있는데, 동영은 일본을 가리키는 듯하고
고료는 우리나라를 가리키는 듯하나, 이것은 겉으로 큰소리하는 것일 뿐이고
실은 곤궁하여 스스로 떨치지 못한다 하니, 우리에게는 걱정할 것이 없을 듯합
니다.35)”라고 했다. 정경이 침공해 올 일이 없을 것이라는 말인데, 여기서 ‘고
료’가 우리나라를 가리킨다고 했다. 물론 왜 그런지에 대한 설명은 없다. 또한
‘고료’가 우리나라를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된 예도 아직 찾지 못하고 있다. 역
시 ‘고료’가 ‘고려’와 발음이 비슷해서인가? 그런데 만약 그렇다면 문제가 더
심각해진다. 우리나라가 타이완 남쪽에 위치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이는 실
제의 지리상 위치와 너무 다르다. 현재로서는 ‘고료’가 어디인지 알 수 없다.
따라서 3월 2일의 장계에 나오는 ‘고료’는, 우리나라가 아니라 루손(呂宋)36)
이라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렇다면 정경의 이 편지는 우리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이 된다. 그런데 남이성이 이를 우리나라로 해석했기 때문에 이
편지는 우리와 밀접한 관련을 갖게 된다. 앞에서 인용한 3월 2일의 선래장계에
나오는 “전에 정금이 복건 총독에게 답한 글에, ‘본도(本島)는 바람을 받은 배
가 남으로는 고료(高遼)까지 가고 북으로는 동영(東瀛)까지 가니, 어느 곳인들
둔소(屯所)를 개척할 수 없으며, 어느 곳인들 군사를 모을 수 없겠는가?’”라는
부분도 심상치 않은 내용이 된다. 즉 정경이 청나라 관리에게 자기들은 언제든
35) 『숙종실록』, 숙종 8년 3월 20일
36) 실제로 동녕왕국은 정성공, 정경, 정극상 3대에 걸쳐 필리핀 원정계획을 세우기도 했다.(林田芳雄,
앞의 책, 219쪽)
정경(鄭經)의 조선침공설에 관한 고찰 ····································································· 정 응 수…351
지 일본이나 조선에 갈 수 있고 그곳에서 군사를 모으고 주둔시킬 수 있다고
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정경 본인이 언제든지 조선에 쳐들어와 점령할 수
있다고 했다는 것이다. 이로써 정경의 조선침공설은 더욱 현실성 있는 이야기
가 된다. 실제로 이 발언은 이후 사람들에 의해 인용되면서 정경의 조선침공설
를 더욱 신빙성 있는 것으로 만들어간다.
그리고 이렇게 되면 정경의 침공 여부가 당장 발등의 불이 된다. 왕으로서는
당연히 이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3월 20일에 있었던 귀국보
고에서 임금이 정경에 관해 꼬치꼬치 따져 물었던 것이다. 이에 대해 남이성은
정경이 언제든지 일본이나 조선에 갈 수 있다고 했지만 이는 허풍에 불과한
것으로 실제로는 걱정할 것이 없다고 했다. 그러자 신완은 정경이 1667년 청과
의 싸움에서 크게 패해 타이완으로 달아났지만, 그가 타이완으로 만족할 사람
이 아니므로 우리의 근심거리가 될 수도 있다고 했다. 즉 조선을 침공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여기서 두 사람이 묘한 대비를 보이고 있다. 즉 남이성은 호
기를 부리는 정경의 글을 인용하면서도 실제로는 걱정할 것이 없다고 하고, 신
완은 그가 타이완으로 쫓겨갔다고 하면서도 걱정거리라 했다. 같은 정보를 접
한 사람들의 이야기치고는 너무나 결론이 다르다.
그런데 사절단이 정경의 문제로 이렇게 갑론을박을 하던 1682년 3월, 정경은
이미 죽고 없었다. 삼번의 난을 이용하여 1674년 5월 대륙에 진출한 정경은 한
때 복건성 동남쪽 연해지방의 대부분과 광동성 연해부 및 동북부의 일부지역
을 차지했다. 하지만 점차 청군의 반격에 밀려 1680년 2월에는 대륙의 거점부
를 모두 잃고 팽호도 서쪽 지역에서 완전히 철수하게 된다. 그리고 1681년 1월
28일 세상을 떠난다. 이후 내부 항쟁을 거쳐 차남 정극상이 12살의 나이로 정
경의 뒤를 잇는다. 따라서 사절단이 정경에 대해 보고하던 이 시기에 타이완은
정극상이 다스리고 있었다.
아무튼 정경의 편지에 나오는 ‘고료’를 잘못 해석한 탓에 묘당에서 이런 논
의들이 오가던 1682년 5월 9일, 황해도 평산군에 있는 허사(許沙) 앞 초도(椒
島)에 황당선 9척이 10여 일간 머물다 간 사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당시 허
사 첨사 장후량이 참수형을 당했다. 조정에 보고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였
다37). 다소 과한 처벌이라는 생각도 드는데, 이는 당시 이 이양선이 정경의 군
대였을 거라는 소문이 돌았기 때문이다. 1682년 10월 임술3고변으로 역모에 몰
린 왕족 낙서령이 심문 도중 ‘정금의 이야기를 왜 헛소문이라 하는가? 정금의
군대가 이미 허사에서 모습을 나타내었다. 듣건대, 그 배에 풍신이 좋고 금관
자를 단 자가 장후량의 생일잔치에 참석했다가 시종하는 두 사람이 해가 저물
37) 『숙종실록』, 숙종 8년 5월 9일
35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어 빨리 돌아가기를 재촉하자 바로 수상한 배로 돌아’갔다고 한38) 것을 보면,
당시 이 황당선39)이 정경의 군대라는 이야기가 퍼져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1682년을 지나면서 수면 밑에 잠복해 있던 정경의 조선침공설이 다시
서서히 수면 위로 부상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것이 표면화 되는데 결정적 역할
을 하는 것은 바로 1683년 12월 22일 쓰시마도주가 보낸 편지였다.
2) 쓰시마 서계와 정경의 2차 침공설
정경이 사망한 것은 1681년 1월 28일이다. 그렇지만 그의 죽음이 조선에 바
로 전해진 것은 아니다. 그의 사망설은 1683년 『실록』에 처음 등장한다. 청
에 사은사로 갔던 김석주가 그해 3월 7일, 정경이 병이 나서 아우 정현이 대신
다스린다고 하는데 혹자는 정금이 이미 죽었고 그 맏아들은 죽임을 당해 둘째
아들이 자리를 이어받았다고도 한다고 보고해, 정경의 죽음이 조선에 처음 알
려졌다. 정경이 죽은 지 2년이나 지난 후였다. 김석주는 4월 29일 열린 귀국
보고회에서도 정경이 이미 죽고 동생이 대신 다스린다고 한 다음, 이는 일본에
서 통보한 것이므로 믿을 만하다고 했다.
사실 1680년 이후 정경은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 있었다. 즉 대륙 연안부의
거점을 모두 잃고 타이완으로 철수한 1680년 3월 이후, 정치를 큰아들 정극장
에게 맡기고 있었다. 죽기 직전에는 측근들로부터 정극장에 대한 충성 서약까
지 받아냈지만, 그가 죽자 측근들은 정극장이 친자가 아니라는 누명을 씌워 살
해했다. 그리고 둘째인 정극상을 왕으로 추대했다40). 그렇다면 당시 김석주의
정보는 상당 부분 정확했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당시 조선정부는 정경의
죽음을 확신하지 못했다.
그러던 차에 쓰시마로부터 한 통의 서계가 도착한다. 1683년 12월 22일 쓰시
마도주가 예조에 보낸 편지인데, 거기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들어 있다.
근래에 남경(南京)의 치란(治亂)은 어떠합니까? 저으기 듣건대, 병혁(兵革)이
그치지 아니하여, 요사이 동녕(東寧)의 정금사(鄭錦舍)가 크게 기병(奇兵)을 모
38) 『연려실기술』 제34권, 「숙종조 고사본말(肅宗朝故事本末)」, 「임술년 역변을 고한 세 가지의
옥사와 김환(金煥)ㆍ김중하(金重夏)ㆍ김익훈(金益勳)의 아방(兒房) 밀계(密啓) 노ㆍ소론의 분열」
39) 『국역비변사등록』(36책, 숙종 8년 6월 1일, 「左議政 閔鼎重 등이 入侍하여 來泊한 荒唐船을 隱
諱하려한 張後良의 罪에 대해 논의함」)에 보면, 이 사건에 대해 행판중추부사 김수흥(金壽興)이
“다른 나라 선척이 근처에 와서 정박해도 전연 몰랐다면 어찌 변장을 설치한 본래의 뜻이겠습니
까?”라고 한 말이 있다. 이를 보면 황당선이 외국 배였던 것은 틀림없다. 그러나 어느 나라 배였
는지에 관한 기록은 없다.
40) 조너선 클레멘츠, 『해적왕 정성공』, 허강 옮김, 삼우반, 425쪽
정경(鄭經)의 조선침공설에 관한 고찰 ····································································· 정 응 수…353
집(募集)하고 만리(萬里)에 배를 띄워 귀국(貴國) 지방(地方)을 침범하고, 올량
합(兀良哈)은 곧장 북경(北京)으로 들어가 장차 전공(戰攻)을 결행(決行)하려 한
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또 듣건대, 청왕(淸王)이 웅간 오강(雄奸傲强)하여 도
리에 맞지 않는 어려운 일로써 귀국을 견책(譴責)하였다 합니다. 두 가지의 떠
도는 이야기는 모두 한상(漢商)의 구관(口欵)에서 나온 것입니다. 귀국은 다시
모역(耗斁)함이 없는지요? 인교(隣交)가 바뀌지 않았으니, 정성을 다함에 어찌
그침이 있으리오? 만약 급변(急變)이 있다면 모름지기 속히 신유(申喩)해야 할
것이오니, 모호하게 하지 아니하기를 바랍니다.41)
즉 정경이 조선을 침공하려 한다는 소문을 중국 상인에게 들었다는 것이다.
정경의 2차 조선침공설이다. 이에 대해 조선은 동지사 조사석의 보고, 즉 정극
상이 윤6월 8일과 7월 15일에 청군에 항복문서를 보냈다는 보고를 근거로 중
국 상인의 이야기는 사실이 아닌 것 같다는 회신을 보냈다.
실제로 정극상은 1683년 윤6월 8일 팽호에 주둔하고 있던 청군의 지휘관 시
랑에게 항복을 청원했다. 그러나 시랑은 내용이 마음에 안 든다고 이를 거절하
여 정극상은 7월 15일 다시 2차 항복문서를 제출해야 했다. 그리고 8월 13일
시랑이 이끄는 청군이 마침내 타이완에 상륙42)하여 동녕왕국은 최후를 맞이했
다. 즉 당시 조사석의 보고는 매우 정확했던 것이다. 따라서 정경의 2차 조선
침공설은 전혀 사실무근의 헛소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조선정부는
이 보고를 신뢰하지 못했다.
그런데 이 침공설이 관리들을 통해 시중에 유포되면서 일대 혼란을 야기하
게 되었다. 『실록』은 그 모습을 “이윽고 나라 사람들이 마치 구적(寇賊)이
문정(門庭)에 와 있는 듯이 크게 소요하여, 성안에 있던 자는 성 밖으로 나가
고 성밖에 있던 자는 경기 땅으로 나가고, 경기의 백성은 또 옮겨서 다른 데로
갔으며, 조사(朝士)·대부(大夫) 중에도 깊은 산골짜기로 가족을 거두어 보낸 자
가 많았다. 중외(中外)에서 짐을 메고 떠나는 것이 몇 달을 두고 그치지 않”43)
았다고 묘사하고 있다. 혼란은 이에 그치지 않았다. 양반을 살해하고 재물을
약탈하려는 목적을 가진 검계 등이 사방에서 조직되었다. 이들은 밤에 남산에
올라 태평소를 불어 군사를 모으는 것 같은 행동을 하거나 피란하는 사람의
재물을 탈취하는 등44) 세상을 더욱 어수선하게 만들었다. 그러자 이 서계의
41)『숙종실록』, 숙종 9년 12월 22일
42) 林田芳雄, 앞의 책, 289쪽
43)『숙종실록』, 숙종 10년 1월 11일
44)『연려실기술』 제36권, 「숙종조 고사본말」, 「난민을 잡아 다스리다」
35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내용을 궐 밖으로 유출하여 혼란을 야기한 사람들에 대한 책임문제가 제기되
어 승정원을 비롯해 사헌부와 사간원 등의 관리들이 줄줄이 사표를 제출하기
에 이르고, 서계의 진위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한다.
1684년 1월 19일 숙종이 대신들을 모아 놓고 이 편지의 진위에 대해 논의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 회의에서 김석주는 오삼계가 이미 멸망하여 정경은 청을
막기에도 바쁠텐데 어떻게 만 리 바다를 건너 조선을 침공할 수 있겠냐고 했
다. 그런 다음 앞에서 남이성이 언급한 ‘돛 하나만 달면 고려(高麗)까지 갈 듯
한데, 어느 땅엔들 나라를 세울 수 없겠는가?’라는 정경의 글을 인용한 뒤, 이
걸 보면 또한 정경이 조선을 침공하려 한다는 쓰시마 서계가 거짓이 아닐지도
모르겠다고 했다. 침공설의 신빙성을 높이는 자료로 정경의 편지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자 예조판서 윤지완이 정경의 침공설은 거짓이라 한 다음 대마도주
의 밑에 있는 자들이 모두 간사한 자들이라 다른 저의가 있어 이런 소문을 내
는 것이라 했다45). 윤지완은 2년 전인 1682년 통신사의 정사로 일본을 다녀온
사람으로 숙종이 일본과 관련된 사안에 대해 종종 자문을 구하는 사이였다. 그
러나 그도 역시 정경이 사망하고 타이완이 항복했다는 사실을 확신하지는 못
했다.
그래서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역관 박재흥에게 많은 은을 지참시켜 쓰시마에
파견한다. 쓰시마에서 탐문하고 돌아온 박재흥은 중국 상인의 말이 허황된
것46)이라고 보고했다. 1684년 하지정사로 재차 청에 다녀온 조사석도 정극상
의 귀순이 헛소문이 아니라며 타이완의 멸망을 확인하고 있다47). 그러나 당시
조선정부는, 앞에서 언급한 정경의 사망 소식과 마찬가지로, 조사석의 이 보고
를 신뢰하지 못했다. 조선에서 타이완의 멸망을 확신한 것은 1685년 3월 6일
사은사 남구만의 장계를 통해서였다. 남구만은 심양에서 보낸 장계에서 정경이
사망하고 그 아들 정극상이 이미 항복했다48)고 썼다. 이로써 조선에서 정경의
침공설을 걱정해야 할 이유가 없어졌다.
45) 앞에서 김석주는 일본의 정보라 믿을 만하다고 했지만, 윤지완의 이 발언에서 알 수 있듯이, 당시
조선은 일본, 특히 쓰시마의 정보를 그다지 신뢰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 전해에는 동래부
사가 정경과 관련된 밀계를 보내면서 “그러나 왜인(倭人)이 전하는 문자(文字)는 말에 이해하지
못할 것이 많고, 말한 바가 허망(虛妄)한 데 관계되니, 믿을 수 없는 것이 있습니다.”(숙종9(1683)
년 7월 28일)라 했다.
46)『숙종실록』, 숙종 10년 3월 11일. 이에 대해 사관은 “대개 도이(島夷)는 속이는 일도 많고 작은
꾀로 우리를 속이기를 좋아하는데, 조정에서는 그 간사한 정상을 알아서 깨지 못하고 또 따라서
뇌물을 주고 비밀히 염탐하여 스스로를 깔보이니, 식자가 한탄하였다.”고 하며, 조정의 행태와 일
본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다.
47)『숙종실록』, 숙종 10년 3월 14일
48)『숙종실록』, 숙종 11년 3월 6일
정경(鄭經)의 조선침공설에 관한 고찰 ····································································· 정 응 수…355
그런데 이 쓰시마 서계는 1689년에 다시 문제가 된다. 기사환국으로 정권을
탈환한 남인이 서인을 공격하기 위해 정경의 2차 침공설과 관련된 쓰시마 서
계를 조사한 것이다. 그들은 쓰시마 서계가 도착하기 전인 1683년 봄에 이미
그와 똑같은 내용의 익명서(왜서)가 있었다며, 이 두 문건(익명서와 서계)이
일본의 손을 빌려 반대파를 제거하기 위해 서인 이사명 등이 위조한 것이라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서인들이 자기들 집권 시기에 일부러 사회 혼란을 일으
킬 이유가 없다는 점, 박재흥의 보고에서도 쓰시마가 서계를 보낸 것은 인정한
다는 점 등으로 볼 때 별로 설득력이 없다. 이는 이미 윤지완이 언급한 것처
럼, 조선 국내의 불안정한 정세를 이용하려는 쓰시마의 농간에서 비롯된 것49)
으로 보인다.
4. 결론
이상에서 2번에 걸친 정경의 조선침공설에 관해 살펴보았다. 먼저 1차 침공
설은 1674-5년 경, 조선이 정경과 제휴하여 함께 청을 공격하지 않으면 정경
이 먼저 조선을 공격할 것이라는 내용의 쓰시마 서계가 유포되면서 시작되었
다. 이 논리의 근거는 소위 대명의리론이다. 즉 명에게 재조지은의 은혜를 입
고 있는 조선이 정경을 도와 반청복명운동에 참가해야 하는데 오히려 청의 눈
치를 보고 있으니 먼저 조선을 정벌해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 쓰시마 서계는 정말로 쓰시마에서 보낸 것이 아니고 누군가 가짜로
위조한 것이었다. 그 사람이 누군지는 알 수 없지만, 당시 실각한 서인 그룹에
서 작성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아니면 당시 정경과의 제휴를 주장하던 청남
그룹과 관계있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가짜 왜서의 논리가 당시 정경과 제휴하
여 청을 정벌해야 한다는 청남들과 같은 논리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더
구나 처음에 범인으로 지목되었던 조창한의 경우를 보면 나중에 윤휴와 관련
된 혐의로 탄핵을 받는다. 이는 이 두 그룹의 연계를 시사해 주는 것이라 생각
된다.
1683-4년 무렵 유행한 2차 침공설도 역시 정경이 조선을 침공하려 한다는
내용의 쓰시마 서계에서 비롯되었다. 1차 침공설의 단초를 제공했던 쓰시마 서
계가 가짜였던 것에 비해 이 서계는 물론 진짜였다. 그렇지만 정경의 뒤를 이
은 정극상이 이미 1683년 8월 청에 항복했기 때문에 이 2차 침공설은 전혀 사
49) 우라 렌이치(浦廉一)도 「台湾鄭氏と朝鮮との関係」(『広島大学文学部紀要』3, 1953년, 90쪽)에서
이 서계가 쓰시마의 작위(作爲)에 의한 것이라 했다.
35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실무근의 헛소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문으로 인해 조선은 극심한
혼란을 겪어야 했다.
이처럼 객관적으로 보면 전혀 근거없는 침공설로 조선이 몸살을 앓아야 했
던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그것은 먼저 수집한 정보를 신뢰하지 못하는
데에서 기인한 것이다. 당시 조선정부는 1년에도 몇 차례나 파견하는 청나라
사절단을 통해 최신 정보를 수집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정보는 비교적 정확한
정보들이었다. 그러나 이를 크로스 체크할 정보가 없었기에 수집한 정보를 그
대로 신뢰할 수가 없었다. 크로스 체크에 사용해야 할 쓰시마 정보가 오히려
혼란을 더 부채질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2차 침공설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던
쓰시마 서계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당시 그런 소문들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사회분위기가 형성되어 있
었던 점도 빼놓을 수 없다. 예를 들어 정경과 제휴하여 청을 공격해야 하는 대
명의리를 실행하지 못하는 데에서 오는 미안한 감정, 정씨가 조선을 새로 지배
할 것이라는 정진인설의 유포, 잘못 전해진 정경의 편지 등이 모두 이러한 침
공설을 더욱 현실감 있는 것으로 만드는데 일조한 것이다. 그리고 이런 상황들
이 이후 정경의 침공설이 해상진인과 결합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든 것으로 보
인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http://sillok.history.go.kr/main/main.jsp)
『국역비변사등록』32권, 36권
『연려실기술』34권, 36권
『추안급국안』9
강창룡(2004), 「17世紀 中葉 中國人의 濟州 漂到 -顯宗 8年(1667) 明나라 林寅觀
一行의 濟州 漂着과 處理를 中心으로」, 『耽羅文化』25, 濟州大
耽羅文化硏究所
김문식(2012), 「成海應이 증보한 『丁未傳信錄』」, 『진단학보』115,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정경(鄭經)의 조선침공설에 관한 고찰 ····································································· 정 응 수…357
김탁(2005), 『정감록』, 살림, 68쪽
이덕일(1997), 『당쟁으로 보는 조선역사』, 석필
이성무(2000), 『조선시대당쟁사2』, 동방미디어
우인수(2010), 「17세기 후반 대만 정씨해상세력에 대한 조선의 정보 수집과 그
의미」, 『대구사학』제100권, 대구사학회
정응수(2012), 「정성공 일가에 대한 조선정부의 인식 변화」, 『일어일문학』55
집), 대한일어일문학회
(2013), 「조선 후기의 해상진인과 정경 부자」, 『일본문화학보』58집, 한국
일본문화학회
최관(2008), 「정성공과 동아시아」, 『일본학보』74-2, 한국일본학회
浦廉一(1953), 「台湾鄭氏(特に鄭経)と朝鮮との関係」, 『広島大学文学部紀要』3
神田信夫(1951), 「三藩の亂と朝鮮」, 『駿台史学』1호
林田芳雄(2004),『鄭氏台湾史―鄭成功三代の興亡実紀』, 汲古書院
林春勝, 林信篤(1981). 『華夷變態』上, 東方書店
松本真輔(2013), 「韓國の予言書『鄭鑑録』と東アジアを駆けめぐった鄭経の朝鮮半
島侵攻説」, 『アジア遊学』161, 勉誠出版
孔立(1983),「朝鮮與鄭成功父子」, 『清史研究通讯』, 1983-4, 中国人民大学清史
研究所主办中国社会科学院历史研究所清史研究室, 中国社会科学出版社
廈門大學臺灣硏究所·中國第一歷史檔案館編輯部編(1983), 『康熙統一臺灣檔案史料選
輯』, 福建人民出版社
진순신(1995), 『중국의 역사』11, 권순만 외 옮김, 한길사
조너선 클레멘츠(2008), 『해적왕 정성공』, 허강 옮김, 삼우반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6JOc_A9999_1_003
3456&isEQ=true&kristalSearchArea=B
35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要 旨
これは鄭経の朝鮮侵攻説について調べたものである。鄭経の朝鮮侵攻説は二回あった。一
次侵攻説は1674-5年頃広まった。朝鮮が鄭経の東寧王國と提携して清を攻撃しないから、鄭
経が先に朝鮮に攻めてくるという内容である。いわゆる対明義理論に基づいたものである。もち
ろん、これは朝鮮政府に不満を持っていた人々が偽造したものである。
二次侵攻説は1683-4年頃流行した。しかし、すでに1683年8月、鄭経の後をついだ鄭克
塽が清に降伏したので、この時に東寧王國はもはや存在していない。したがって、この二次侵
攻説は全く事実無根のデマであった。にもかかわらず、この噂のため朝鮮は激しい混乱に陥っ
たのである。
朝鮮が、このようにつまらない噂に悩まされ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理由は幾つかある。それはま
ず、自分が収集した情報を信頼しないところにある。当時、朝鮮政府は年に何回も派遣する清
への使節を通じて最新の情報を集めていた。その情報はかなり正確なものであった。しかしなが
ら、これをクロス·チェックするほかの情報がなかったので、清からの情報をそのまま信頼することが
できなかった。クロス·チェックする際使われるはずの対馬からの情報が、逆に混乱を煽り立てるか
らである。二次侵攻説の直接の原因になった対馬からの書契が、その代表的な例である。 また、当時の朝鮮社会に、このようなデマが浸透しやすい雰囲気があったのも事実である。
たとえば、対明義理を実行できないところからくる後ろめたい感情、鄭氏が朝鮮を支配するという 鄭真人説の流布、朝鮮で誤解していた鄭経の手紙などが、鄭経の朝鮮侵攻説をより現実的
なものに作り上げていたのである。そして、このような状況が以後、鄭経の朝鮮侵攻説と海上真
人説とが結び付く土台になったと思われる。
キーワード:鄭経、朝鮮侵攻説、対馬の書契、対明義理論、道詵の予言書、
『華夷變態』、高遼、海上眞人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재확정일 : 2015. 7. 4
『녹기(綠旗)』에 나타난
‘내선일체(內鮮一體)’와 ‘황국신민화’*1)
정 창 석**
2)
(e-mail: [email protected])
1. 머리말
2. ‘녹기연맹’의 활동상
1) 일반사회 교화
2) 생활 향상
3) 문서 지도
4) 중견 인물 양성
5) 보건 활동
目 次
3.『녹기』와 ‘국어 상용’
4.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
5. 맺음말
1. 머리말
일본 제국주의 시대 식민지 한국에서 발행된 잡지 『녹기(綠旗)』는 경성부
(京城府) 초음정(初音町, 현재의 중구 오장동)에 자리하고 있던 ‘녹기연맹(綠旗
聯盟)’의 기관지로, 1936년 1월에 창간되어 1944년 12월까지 간행되었다. 도중
1944년 3월부터는 『흥아문화(興亞文化)』로 개제되었다.
‘녹기연맹’은 도쿄제국대학 이학부 출신의 경성제대 예과 교수(화학) 쓰다 사
카에(津田榮)가 창립한 사회 교화 단체이다. 쓰다 사카에는 학생 시대부터 일
본의 일련종(日蓮宗)을 신봉하여 일본의 국체학(國體學)을 창시한 다나카 치가
쿠(田中智學)의 ‘국주회(國柱會)’ 활동에 참여했다. ‘일련종’은 일본 제국주의 시
대 법화경(法華經)에 기대어 ‘일본 통합[一國同歸]’, ‘세계 통일[一天四海皆歸妙
* 본 논문은 2012년도 동덕여대 연구년 규정에 의해 작성된 것임.
** 동덕여대 교수. 일본사
36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法]’, ‘이상세계[佛國土] 건설’을 내건 어용 불교 종파이다. 쓰다 사카에는 1924
년 경성제대에 부임하자 이것을 식민지 한국에 이식하려는 의도로 1925년 1월
‘경성제대예과 입정회(立正會)’를 조직하고, 이 모임을 1925년 2월 ‘경성천업청
년단(京城天業靑年團)’으로, 1930년 5월에는 다시 ‘녹기동인회(綠旗同人會)’로
개편하였다가, 1933년 2월 11일(紀元節) ‘녹기연맹’으로 재조직했다.
‘녹기연맹’은 강령으로 세 가지를 내걸었다.
1. 우리는 사회 발전의 법칙에 따라 인류의 낙토(樂土) 건설에 기여한다.
2. 우리는 우리 일본의 국체 정신에 입각하여 건국 이상의 실현에 공헌한다.
3. 우리는 인간 생활의 본질에 기반을 두고 각자 인격 완성에 노력한다.
또한 『녹기』는 창간사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현대 문화는 우리에게 비약과 향상을 가져다 주었다. 모든 시설은 약진하여
상향선(上向線)을 그리고 있다. 그러나 반면에 이것은 구원하지 않으면 안 되
는 분열을 내재하여 멈출 줄 모르는 상극(相克)을 드러내고 있다. 불안과 위
기가 외쳐지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바야흐로 시국이 중대해지고 세상의
혼란은 점점 심해져 우리 임무의 중대성이 가중되고 있음을 실감한다. 여기에
우리는 월간 잡지 『녹기』를 창간하여 전 일본에 외치고자 한다.1)
주요 인물로는 회장 쓰다 사카에, 주간(主幹) 쓰다 가타시(津田剛, 쓰다 사카
에의 동생) 형제와 ‘녹기연맹’이 운영하는 일본식 여성 사회 교화 단체 ‘세이와
여숙(淸和女塾)’ 숙장 쓰다 요시에(津田 よしえ, 쓰다 형제의 모), 쓰다 세쓰코(津
田節子, 사카에의 처), 쓰다 미요코(津田美代子, 가타시의 처) 등 쓰다 일족(一
族)과 경성제대 사학과(조선사) 출신의 모리타 요시오(森田芳夫), 한국인으로
현영섭(玄永燮, 天野道夫), 이영근(李泳根, 河本龍男·上田龍男) 등이 활동했다.
초기에는 일본의 국체론(國體論), 여성의 사회 활동 등 계몽적인 문장이 많았
으나 경성제대 교수들이 합류하고(高木市之助, 安倍能成 등), 중일전쟁(1937)과
태평양전쟁(1941)의 발발 등 전쟁 분위기가 고조되자 일본인 문학자들의 기고
가 두드려졌다.
또한 ‘녹기연맹’은 조선총독부의 어용 역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식민지 지배
정책을 앞서 가는 선견성(先見性)까지 보이며, 식민지 한국과 한국인의 동화
(同化)를 위한 사회 교화를 부르짖어 ‘황국신민화(皇國臣民化)’와 ‘내선일체(內
1) 『綠旗』, 創刊號, 1936. 1. 1쪽.
『녹기(綠旗)』에 나타난 ‘내선일체(內鮮一體)’와 ‘황국신민화’ ·························· 정 창 석…361
鮮一體)’의 실현에 광분했다. ‘녹기연맹’의 인물들은 1940년 식민지 한국의 ‘신
체제운동(新體制運動)’을 주도한 ‘국민총력조선연맹(國民總力朝鮮聯盟)’에도 대
거 참여해 쓰다 가타시는 선전부장으로, 모리타 요시오는 기관지 편집위원으로
활동했다.
이윽고 ‘녹기연맹’은 1942년 4월에 미나미 지로(南次郞) 조선 총독을 명예고문
으로, 오노 로쿠이치로(大野綠一郞) 정무총감과 가와기시 분자부로(川岸文三
郞) 국민총력조선연맹 총장을 고문으로 위촉함에 따라, ‘내선일체’와 ‘황국신민
화’ 지배 이념의 선견성을 뛰어넘어 적극적으로 선도하는 역할도 서슴지 않았
다. 1942년 3월 ‘녹기연맹’은 회장인 쓰다 사카에가 도쿄 제일고등학교 교장으
로 부임하는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교수 아베 요시시게(安部能成)를 따라 도
쿄로 이주하게 되자, 주간인 그의 동생 쓰다 가타시가 주도하게 된다.
‘녹기연맹’은 ‘녹기’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봄이 되면 온 산에 초목이 푸른 빛으로 뒤덥힙니다. ‘녹기’는 언제나 생생한
생명이 넘치는 푸른색의 표징(表徵)입니다. ‘적기(赤旗)’의 빨간색이 투쟁을 의
미하고, ‘흑기(黑旗)’의 검은색이 죽음을 의미하는 것과 달리 푸른색은 언제나
온화한 마음을 나타냅니다. 황공하옵게도 메이지 천황(明治天皇) 어제(御製)에
‘투명하게 퍼져나간 하늘’이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그 유구의 하늘도 푸른색입
니다. 생명의 발전, 평화, 진리 같은 것들도 푸른색입니다.2)
그러나 사실은 ‘적기’와 ‘흑기’에 대항하여 ‘헐벗은 황토(黃土) 조선’에 ‘내선일
체’와 ‘황국신민화’를 펼쳐 ‘푸른빛’을 입히겠다는 ‘지배와 동화’의 논리를 합리
화한 표현인 것이다. ‘녹기연맹’이 강령으로 내건 ‘국체 정신’과 ‘건국의 이상’에
대해 ‘녹기연맹’ 본부 강사 모리타 요시오(三田芳夫)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일본은 건국 이래 만세일계(萬世一系) 천양무궁(天壤無窮)의 천황을 혈연적·
신앙적 중심으로 우러러 발전해 왔습니다. 이민족은 이것에 동화되고 이문화
는 이것에 통합되어 천황을 중심으로 뭉쳐서 내부의 사회 모순과 외부의 강
적도 극복해 왔습니다. 이러한 국체를 단지 역사적 과거로, 혹은 단지 연구의
결론으로 보지 않고 의식적인 신념으로 다지자는 것입니다.
일본 국체 정신이란 만세일계(萬世一系) 천양무궁의 국체를 기초로 만세일계
와 천양무궁을 더욱 계속시키려는 정신입니다. 여러 민족 문화를 동화하고 통
합했던 국체에 기반을 두고 더욱 널리 동화하고 통합해 나가는 정신입니다.
사회 조직의 변혁에 항상 중추가 되었던 국체를 자각하여 현재의 꽉 막힌 사
2) 社告, 「綠旗聯盟の運動を語る」, 『綠旗』1940. 10. 120쪽.
36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회 조직의 변혁을 일으키려는 정신입니다. 외부의 강적에 대하여 모든 것을
천황에게 바쳐 지켜온 조국의 장래를 위해 더욱더 천황 중심의 결속을 굳게
다져 외부의 모순 극복에 나아가는 정신입니다.3)
결국 ‘녹기연맹’은 식민지 한국을 ‘동화’시켜 일본의 일부로 ‘통합’하려는 일본
제국주의 식민지 지배 이념을 앞장서 선도하고 실천했던 어용 단체였던 것이
다.
이러한 ‘녹기연맹’의 어용성과 선동성은 조선 총독부에 의해 공식적인 인정을
받았고, 기관지 『녹기』는 식민지 한국에서 절대적인 권위를 휘둘러 이 책 한
권만 지참하면 감시가 철저하기로 악명 높았던 ‘현해탄(玄海灘, 대한해협)’을
헌병과 ‘특고[特別高等警察]’의 검열 없이 건널 수 있었다고 할 정도였다.4)
이러한 ‘녹기연맹’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잡지 『녹기』의 소개와 해설에 그
치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본고에서는 ‘녹기연맹’이 일본 제국주의가 식민지
한국에 펼친 동화정책의 실현을 위해 주도한 사회 운동과 ‘국어(일본어) 상용’
운동 등의 활동상과 ‘녹기연맹’의 주요 인물들이 잡지 『녹기』에 기술한 문장
을 중심으로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의 양상을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녹기연맹’의 활동상
‘녹기연맹’은 식민지 한국에서 소기의 목적 달성을 위해 많은 활동을 벌였다.
그 중의 중요 사항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일반사회 교화
‘녹기연맹’은 사회 교화를 위해 ‘녹기연구소’를 세우고 경성(京城)을 비롯해 각
지역에 강사를 파견하여 강연회를 개최했다. 특히 소위 지식 계급의 의식 향상
을 위해 부민강좌(府民講座), 부인강좌(婦人講座) 등을 열어 도시 교화에 힘쓰
3) 森田芳夫, 「朝鮮文化の今後」, 『綠旗』1940. 1. 7쪽.
경성제대 사학과(조선사) 출신인 모리타 요시오는 ‘녹기연맹’의 ‘녹기일본문화연구소’ 연
구원으로 ‘국민총력조선연맹’에도 가담하여 기관지의 편집과장으로 활동했고, 일본 제국
주의 패망 후 1972년부터 1975년까지 주한일본대사관 참사관으로 근무했다. 정년으로 대
사관 퇴임 후에는 1975년 10月부터 1979년 2월까지 일본 ‘국제교류기금’ 파견 일본어 교
수로 한국의 성신여자사범대학(誠信女子師範大学)에서 교편을 잡았다.
4) 임종국, 『친일문학론』, 평화출판사, 1979, 52쪽.
『녹기(綠旗)』에 나타난 ‘내선일체(內鮮一體)’와 ‘황국신민화’ ·························· 정 창 석…363
는 한편으로 라디오 방송 등 전파를 통한 교화에도 영역을 넓혔다.
2) 생활 향상
‘녹기연맹’은 ‘혼란스러운 현대 생활을 향상시킨다’는 명목으로 ‘국민을 신사
(神社)를 중심으로 통일시키기 위해’ 월례 신사 참배, 집회, 녹색 생활 강습회,
가정 생활에 관한 전람회 및 불용품(不用品) 정리하기, 복주머니 만들기, 양모
(羊毛) 모으기 등을 벌여 공제회, 보험 특약 등 경제 생활 전반에 대한 절약
운동을 벌였다.
3) 문서 지도
‘녹기연맹’은 1936년 1월부터 기관지 『녹기』를 발행하여 매호에 ‘국체(國體)
의 명징(明徵)’, 생활 지도, 식민지 한국의 교화 등을 내걸고 ‘반도 최고의 교화
잡지’임을 자부했다. 또한 20여 종의 팜프렛을 발행해 시국 해설, 일본 국체 해
설과 입문서 등 식민지 한국의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진력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국어 상용’을 강조하여 한국인에게 일본어의 생활
화를 강요했다.
4) 중견 인물 양성
‘녹기연맹’은 연맹 발전의 원동력은 중견 인물의 양성이라는 점을 중시하여 여
성 사회인을 대상으로 하는 부인부(婦人部)를 두고 월례회 및 각종 연례회를
열었고, 대학과 전문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부를 두어 월례회 및 연구회
등 각종 행사를 열었다. 또한 여성 교화 단체 ‘세이와여숙(淸和女塾)’를 개설하
여 여학교 졸업생을 받아들여 일본식 여성 교화 활동을 벌였다. ‘녹기연맹’의
이러한 활동들은 소위 ‘풀뿌리(草の根)’ 식민 교육을 목적으로 한 것들이었다.
5) 보건 활동
‘녹기연맹’은 부속 시설로 ‘녹기의원’을 설립하여 일반 진료, 건강 상담, 예방
주사, 의료 지식의 전파 등 의료 행위를 했다. 또한 충남 대천(大川) 해수욕장
에는 ‘바다의 집[海の家]’을 개설했고, 금강산에 ‘산마을[山の村]’을 세워 계절에
따라 수련회를 열었다. 36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이러한 ‘녹기연맹’의 식민지 한국에서의 활동에 대해 경성제대 영문과 출신
현영섭(玄永燮, 天野道夫)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녹기연맹은 완전히 일본인이 되어 인류 평화를 위해, 사회 생활의 정의를 위해,
개인의 인격 완성을 위해 일하려는 조선인을 쌍수를 들어 환영한다. 녹기연맹
이 제창하는 녹색으로 상징되는 종합 생활 운동은 전 일본 아니 전 세계에 펼
쳐지는 것이나, 현실적으로는 우선 조선에서의 내선일체 완성 운동이야말로 가
장 중요하다고 믿는다. 내선일체는 일본 국가의 사명이며 세계사에 커다란 전
환을 가져와 인류가 한마음으로 실현시킬 이상이다. 일본은 세계를 한집[一家]
으로 하는 대이상을 추진하고 있다. 녹기연맹은 일본 국민으로서 이 이상의 실
현을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 녹기연맹은 조선인의 참가를 필요로 하고 있으
며, 조선인도 이 단체의 발전에 이바지해야 할 의무가 있다. 특히 조선의 미래
의 새로운 시대를 짊어질 젊은 세대가 이 운동의 본질을 깨달아 솔선하여 참
가하기를 기대한다.5)
현영섭은 뒤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녹기연맹’의 열성적인 한국인 회원으로
서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의 실현에 최후까지 광분한 인물이다.
3. 『녹기』와 ‘국어 상용’
일본 제국주의는 식민지 한국의 지배 이념인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 정책
을 펼치기 위해서는 한국인에게 소위 ‘국어’의 보급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기회
있을 때마다 ‘국어 상용(常用)’을 강요했다. 이것은 일본어를 한국인에게 확산
시켜 한국어를 폐지하려는 문화 파괴 행위였다. 언어의 일반성에 의해 일본 문
화의 원천은 일본어이므로 일본어를 ‘국어’로 강요하고 한국어를 폐지하는 것
은 곧 한국 문화와 한민족의 민족혼을 말살하는 동화 정책이었던 것이다.
일본 제국주의의 이러한 식민지 한국에 대한 교육 정책은 일찍부터 마각을
5) 玄永燮, 「綠旗聯盟の朝鮮に於ける役割」,『綠旗』1938. 2. 21쪽.
현영섭은 대학 졸업 후 상해의 ‘남화한인동맹(南華韓人同盟)’이라는 아나키스트 단체에
가입해 일본에 건너가 아나키즘 운동에 참가하다 1935년 도쿄에서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조선총독부 중추원(中枢院) 참의(參議)였던 아버지(玄櫶)의 보증으로 1936년 출옥한 후
아마노 미치오(天野道夫)로 ‘창씨개명(創氏改名)’하고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 실현에
광분하다 해방 직후 생명의 위협을 느껴 일본으로 밀항했다. 한때 일본 오키나와 현(沖
繩縣) 미군 기지에서 북한 관계 정보 수집 업무를 담당하다가, 말년에는 사이타마 현(埼
玉県) 오미야 시(大宮市)에서 영어 학원을 경영했다 한다.
『녹기(綠旗)』에 나타난 ‘내선일체(內鮮一體)’와 ‘황국신민화’ ·························· 정 창 석…365
드러내 1911년 8월에 나온 ‘조선 교육령(칙령 제229호)’에 잘 드러나 있다. 한
국인에 대한 식민지 교육의 방침을 정한(제1조에 명시하고 있다) ‘조선 교육령’
은 제2조에서 ‘교육은 교육에 관한 칙어의 취지에 따라 충량(忠良)한 국민을
육성하는 것을 본의(本義)로 한다’고 규정하여 일본 제국주의 소위 ‘교육칙어
(1890년 제정)’에 바탕을 둔 ‘천황주의’와 ‘황국신민’ 육성을 한국인 교육의 강
령으로 내세웠다. 제4조에서는 한국에서의 교육을 ‘보통 교육, 실업 교육, 전문
교육’으로 나누고, ‘보통 교육은 지식과 기능 특히 국민다운 성격을 함양하고
국어의 보급을 목적으로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6) 또한 ‘조선 교육령’을 공포하
며 당시의 조선 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도 ‘국어 상용’을 강조하는
유고(諭告)를 발표했다.
제국 교육의 대본(大本)은 일찍이 교육에 관한 칙어에 명시되어 있듯이, 국체
로부터 나오고 역사가 증명하여 확고한 불변의 것이다. 조선 교육의 본의 또한
여기에 있고 ……… 교육은 특히 덕성의 함양과 국어의 보급에 힘을 기울여
제국 신민의 자질과 품성을 갖추는 것이 요구된다.7)
결국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한국 교육의 목표는 ‘국어를 통한 황국신민 양
성’이었던 것이다. 이후 ‘조선 교육령’은 네 차례 개정되었고(1922, 1938, 1943,
1945), 그때마다 ‘황국신민화’와 ‘내선일체’가 강화되어 갔다. 소위 ‘국어 상용’의
강화는 그대로 ‘황국신민화’와 ‘내선일체의 필수 요소였던 것이다.
‘총동원 통치 시대’의 조선 총독 미나미 지로(南次郞)도 이 점은 마찬가지였
다.
국어는 국민의 사상, 정신과 한 몸으로 떼어낼 수가 없다. 국어를 떠난 일본 문
화는 없다. 반도인(조선인-인용자)의 진정한 황국신민화는 반도 민중이 국어를
해독하고 사랑하도록 해야 커다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국어의 보급이야말로
내선일체의 절대적인 요소이다.8)
일본 제국주의는 ‘조선 교육령’에 따라 기회 있을 때마다 ‘국어는 국민 정신의
원천’이라는 미명으로, 일본어의 학습을 강요하는 ‘국어 상용령(常用令)’을 내놓
았다. 이 ‘국어 상용령’은 교육 기관은 물론 관공서, 언론 기관, 일반 민중에 이
르기까지 전 민족적으로 강요되었다. 이것은 이윽고 한국어의 폐지로 연결되어
6) 한국학 문헌 연구소, 『조선총독부 관보』5. 아세아문화사, 1985. 9∼10쪽.
7) 朝鮮總督府編, 『施政二十五年史』, 朝鮮總督府, 1935, 168면.
8)『京城日報』, 1942. 4. 12.
36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선택 과목이었던 한국어 과목이 1941년 3월부터는 국민 학교에서 완전히 모습
을 감추었고, 1943년에는 모든 학교에서 폐지되었다. 이리하여 식민지 한국에
서 한국어는 금지어(禁止語)가 되어버리는 운명이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일본 제국주의 식민지 한국 지배 방침에 따라 ‘녹기연맹’이 그 실천에
앞장 선 것은 물론이다. ‘녹기연맹’은 조선 총독부의 ‘국어 보급’과 ‘국어 상용’
활동을 실천하기 위해 1941년도 ‘녹기연맹 사업 계획’에서 ‘내선일체는 일본 국
체 정신에 기반을 둔다’는 방침을 정하여9), 일본 정신을 고양(高揚)하기 위해
각지에 강사를 파견하여 강연회를 개최한 것을 비롯해 연맹 내의 각부(各部)
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국어 보급 운동에 필요한 교수법 연구, ‘반도인’에의
국어 연성 교수법 연구, ‘반도’ 문화 연구자를 ‘국어’로 소개했다. 또한 ‘내선일
체의 문화적 완성에 기여하기 위해’ 『녹기』가 ‘반도 작가’의 국어 작품 발표
지면을 제공할 것 등을 선전했다.
‘녹기연맹’은 기관지 『녹기』에도 ‘국어 보급’ 특집을 내어 조선 총독부의 정
책을 선도했다. 『녹기』는 1942년 3월호에 ‘국어 상용의 이념’이란 특집을 내
어 각급 학교의 교수, 교사들을 중심으로 ‘국어 보급’의 방법과 실천을 논했다.
같은 호에는 한국인 문학자의 ‘국어 작품 창작’ 특집을 내어 이효석, 한설야,
마키 히로시(牧洋, 李錫薰), 정인택, 허준, 미야하라 소이치(宮原惣一, 金聖珉)가
‘국어 작품 창작의 신념’을 밝히고 있다.
1942년 4월호에는 ‘대동아공영권과 일본어의 진로’라는 특집을 실어 ‘팔굉일우
(八紘一宇)10)의 대의(大義)’에 따라 ‘대동아공영권’ 내에서 일본어가 ‘공용어’가
되지 않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1942년 6월호의 특집은 ‘국어 생활의 철저’로 구성하여, ‘일상 생활에서의 국
9)「昭和16年度に於ける綠旗聯盟の事業計畫」,『綠旗』1941. 3. 190쪽.
10) ‘팔굉일우(八紘一宇)’란 ‘온 천하가 하나의 집’이라는 의미로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주의
를 대표하는 사상이다. ‘팔굉’은 중국의 『회남자(淮南子)』 「추형(墜形)」의 ‘八澤之外
有八紘’과 『열자(列子)』 「탕문(湯問)」의 ‘八紘九野之水’가 원전으로, 『일본서기(日本
書紀)』의 ‘掩八紘而為宇不亦可乎’(神武天皇即位前紀己未年三月丁卯条) 부분을 1914년
‘국주회(国柱会)’를 창립하고 ‘국체학(國體學)’을 제창한 일본 ‘일련종(日蓮宗)’의 다나카
치가쿠(田中智學, 1861∼1939)가 ‘天祖(天照大神-인용자)は之を授けて「天壌無窮」と訣し,
国祖(神武天皇-인용자)は之を伝へて「八紘一宇」と宣す’(「宣言-日本国体の研究を発表するに
就いて」 国柱会日刊紙 『天業民報』 1920. 11. 3. 뒤에 책으로 출간. 智学田中巴之助,
『日本國體の研究』, 天業民報社, 1922)로 확대 날조 해석하여 주장한 데에서 나왔다.
이것이 확산되어 일본 제국주의는 1937년 중일전쟁과 중국 침략을 합리화하기 위해 내
각·내무성·문부성 이름으로 『日本精神の発揚·八紘一宇の精神』(国民精神総動員 資料 第
4輯)이란 책자를 발행하여 ‘팔굉일우’를 내세웠다. 이것은 다시 1940년 7월 제2차 고노에
[近衛文磨] 내각에서 ‘대동아 신질서’를 ‘기본 국책 요강’으로 채택하고 ‘황국(皇國)의 국
시는 팔굉을 일우로 하는 건국의 대정신이 기본’이라 선언하여 ‘대동아공영권’ 구상으로
구체화되었다. 이윽고 도조 히데키[東條英機] 내각은 1941년 12월 8일 태평양전쟁으로
치달았다.
『녹기(綠旗)』에 나타난 ‘내선일체(內鮮一體)’와 ‘황국신민화’ ·························· 정 창 석…367
어 실천’을 논했으며, 1942년 7월호에는 식민지 한국에 징병제 실시 결정에 호
응하여 ‘국어 보급 운동’이란 특집을 내, ‘국민 정신’, ‘일본 정신’, ‘팔굉일우’,
‘대동아공영권’, ‘대화혼(大和魂)’ 등 일본 제국주의 선전 문구를 남발하며 ‘국어
상용’의 정당성을 외쳐대고 있다.
이러한 ‘국어 상용’에 대한 『녹기』에 나타난 발언들을 살펴본다. 경성제대
사학과 교수 마쓰모토 시게히코(松本重彦)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국어는 국가의 기본이다. 이것이 있음으로써 국권(國權)이 신장되고, 국세(國
勢)가 번영할 수 있다. 근본을 기르지 않고 가지를 뻗어 잎을 우거지게 하는
것은 어떠한 세상에서도 이룰 수 없는 것이다. 실로 국가를 사랑하는 자는 국
어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풍부하게 하는 일부터 염두에 두지 않으면 안 된다.
국어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풍부하게 하지 않으면 국가의 발전은 있을 수 없고,
국민의 팽창도 있을 수 없다. ………… 황국신민은 우리의 자랑이며 즐거움이
다. 이러한 자랑스러움과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황국어(皇國
語)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풍부하게 사용하도록 마음에 새기지 않으면 안 된다.
황국어가 바르게 되고 풍부해지면 이외의 것은 저절로 이루어진다.11)
마쓰모토 시게히코는 더 나아가 식민지 한국에 이주한 일본인들이 사용하는
‘국어’ 속에 ‘조선어’가 섞여 있는 점을 지적하며, 올바른 ‘국어 상용’을 위해 이
것을 일본어로 순화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마쓰모토 시게
히코는 일본 제국주의 ‘황국사관(皇國史觀)’ 학자로 ‘야마토숙(大和塾)’에서 일
본 제국주의 소위 ‘국체’를 강의하며, 한국인에게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를
강요했던 전형적인 식민주의자였다. ‘야마토숙’은 한국인을 일본인으로 전향시
키고 교화시킨다는 목적으로 1940년 12월 설립되었으며, 경성보호관찰소장이며
사상 검사였단 가와사키 유조(川崎祐三)가 숙장(塾長)이었다.
한편 ‘녹기일본문화연구소’ 연구원 모리타 요시오(森田芳夫)의 발언은 다음과
같다.
조선인은 일본인이므로 그 언어는 아무리 계통을 달리 하더라도 일본어권에
들어오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은 일본어와 조선어의 언어학적 연구의 결과가
아니라, ‘일본’이 발전했기 때문에 ‘일본어’의 개념에 포용된 것이다. 사쓰마(薩
摩) 사투리나 기타구니(北國) 사투리는 도쿄 사람에게는 통하지 않는 발음과
어휘를 가지고 있지만 일본어에 포함되었던 말이고, 조선어는 새롭게 일본어권
에 들어온 말이다. 이런 측면에서 국어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 조선어는 일본
11) 松本重彦, 「國語の問題」, 『綠旗』1938. 7. 13쪽.
36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어의 지방어이다. 이 지방어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의 생활 자체를 부정할 수
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세계가 공통어를 가지려 노력하고 있는 것과 같이, 아
니 한걸음 더 나아가 한 나라의 문화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표준어
를 명확히 정해, 그 표준어에 바탕을 둔 문화 보급을 철저하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조선어를 지방어로 인정은 하더라도, 국어를 더욱더 보급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더구나 국어로 표현되고 있는 일본 문화가 가장 우
수한 문화라는 것, 국어를 습득해야만 세계 문화를 배울 수 있다는 것, 국어의
사용 범위가 동아시아 전체로 확산되고 있다는 사실을 생각할 때, 조선인은 국
어를 철저하게 익히는 것이야말로 무엇보다 중요하다.12)
경성제대에서 조선사를 전공한 모리타 요시오의 신념은 ‘조선은 일본의 일부’
라는 철저한 영토욕이었다. 그에게 한국인을 교화시키기 위해 ‘국어’의 강요는
필수적인 요소였던 것이다.
한국인으로 ‘녹기연맹’에서 ‘녹기일본문화연구’ 연구원으로 열성적인 활동을
전개했던 현영섭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일본은 정신 문명과 물질 문명, 동양과 서양의 최선의 것을 포섭하여, 이윽고
전 세계를 선도할 운명을 지니고 있다. 지금 전 세계를 이끌고 있는 나라는 영
국이지만, 영국을 대신하여 세계를 이끌어갈 운명을 가진 나라는 일본이다
……… 우리 조선인은 일본인이 되어 일본 문화를 세계에 보급할 중대한 역할
을 해야 하기 때문에, 조선어 문제는 작은 가지에 불과하다는 태도를 명확히
해야 할 필요성을 통감한 나는 기회 있을 때마다 조선어 폐지를 주장했다. 조
선인이 만주에 가서 살더라도 국어를 상용해야 내선일체의 이상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혹은 조선인이 내지인과 평등하게 정치 경제
에 참여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조선인은 조선어를 버리지 않으면 안 된다. 조선
인이 국어로 사물을 생각할 때야말로 조선인이 가장 행복해질 수 있을 것이
다.13)
현영섭에게 한국인의 목표는 일본인이 되는 것이므로 ‘조선어’는 한갓 방해물
에 불과했던 것이다. 경성제대 영문과를 졸업한 그는 학생 시절 영국인 교수
(Bryth)로부터 ‘영어의 천재’라는 말을 들었다 한다.14) 그러한 그가 보이는 일
본어 편향은 일본인이 되려는 지향 의식의 발로이며 한국어에 대한 멸시 감정
이라고 볼 수 있다.
12) 森田芳夫, 「朝鮮文化の今後」, 『綠旗』1940. 1. 18∼19쪽.
13) 玄永燮, 「世界の帰一と言語の統制」, 『綠旗』1937. 6. 42∼43쪽.
14) 조용만, 『30년대의 문화예술인들』, 범양사 출판부, 1988. 24쪽.
『녹기(綠旗)』에 나타난 ‘내선일체(內鮮一體)’와 ‘황국신민화’ ·························· 정 창 석…369
제국주의 국가의 식민지 침략에서 언어 문제는 기본적 요소라 할 수 있다. 지
배와 피지배의 관계에서 의사 소통 없이는 지배가 불가능하다. 언어가 통하지
않는 민족을 지배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일본 제국주의는 처음부터 한국어 학
습의 의욕이 없었다. 그러므로 한국인에게 일본어를 강요하는 것은 필연이었
다. 일본 제국주의는 한걸음 더 나아가 소위 ‘대동아공영권’의 공용어로 일본어
를 강요하는 야만성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녹기연맹’의 기관지 『녹기』도 초창기에는 일본인 중심의 필진으로 지면을
메웠으나, ‘국어 특집’ 이후부터는 친일 한국인이 쓰는 글의 분야도 다양해져,
‘내선일체’를 논하는 논문뿐만 아니라 소설, 창작, 시, 수필, 주장, 좌담회 등 전
부문에 걸친 문장들이 등장하게 된다. 1944년 3월 제호(題號)를 『흥아문화』
로 개제(改題)한 이후에도 이러한 활동은 계속되었다. ‘녹기연맹’의 ‘국어 상용’
강요는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라는 일본 제국주의 한국 지배 정책을 충실히
실천하고 선도한 침략과 지배의 ‘풀뿌리’ 식민 활동의 일환이었다.
4.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한국 지배 기본 정책은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였
다.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는 동화정책의 가장 중요한 두 기둥으로 이 둘은
혼연일체(渾然一體)를 이룬다. ‘황국신민화’가 주로 도덕적 규범으로 정신면을
강조하여 한국인의 충성을 강요한 것이라면, ‘내선일체’는 한국인과 일본인이
‘동조동근(同祖同根)’이라는 미명으로 역사적인 혈연 관계를 합리화하여 한국
지배를 정당화한 것이다.
일본 제국주의에 의하면, ‘내선일체’란 ‘선조대(先祖代)의 혈연적 연계성에 기
반을 둔 필연적이고도 발전적인 환원’이며, ‘황국신민화’란 ‘조선 민족 이천 오
백만 전부가 국체의 본의(本義)를 투철히 하여 철저하게 황국신민적 수양 연
성(修養鍊成)을 실천 궁행하는 것’15)이라고 선전했다. ‘내선일체’가 역사적 정당
성을 날조한 지배 논리라면, ‘황국신민화’는 도덕적․정신적 지배 논리였다. 그
리고 이 두 가지 지배 이데올로기는 ‘천황 귀일’로 완결된다고 했다. 그러나
‘내선일체’는 ‘동조동근’의 이면에 순혈론을 내포해 일본 민족의 우월성을 주장
하며 한국인에 대한 ‘차별’의 논리로 작용했고, ‘황국신민화’는 ‘팔굉일우의 현
현(顯現)’으로 무한 확대를 계속하며 자기 방어와 자기 폐쇄성을 내포한 ‘국체
(國體)의 명징(明徵)’16)을 내세워 이민족에 대한 배타성을 노골적으로 드러냈
15) 朝鮮總督府, 『新しき朝鮮』, 朝鮮總督府, 1944: 15~25쪽.
37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다.
그리고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의 논리는 원인과 결과의 인과 관계와 상호
보완의 대응 관계를 구축하여 형식과 내용을 형성해갔다. 일본 제국주의는 ‘내
선일체’를 일러, 한국인이 일본인과 동등하게 될 수 있는 날은 ‘조선 동포 스스
로가 완전한 황국신민이 되는 그날부터’라고 했다.17) 따라서 한국인이 ‘완전한
황국신민’이 되지 않으면 ‘내선일체’는 없는 것이 된다. ‘내선일체’를 구실로 ‘황
국신민화’를 무한정 강요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내선일체’와 ‘황국신민
화’의 순환 논리는 궁극적으로 한국인에게 ‘황국신민’의 의무는 가중되어 가는
대신, 권리는 부여하지 않는 일본 제국주의 식민지 지배의 허위성을 상징하는
것이다.
일본 제국주의 소위 ‘국체’는 ‘대일본 제국은 만세일계(萬歲一系)의 천황이 황
조(皇祖)의 신칙을 받들어 영원히 이를 통치한다. 이것이 우리나라 만고불역의
국체이다’로 되어 있다.18) 이 ‘국체’ 의식은 1889년 제정의 대일본제국 헌법 제
1조에도 명시되어 ‘대일본제국은 만세일계의 천황이 통치한다’로 되어 있고, 제
3조에는 ‘천황은 신성하여 범할 수 없다’는 신격 규정을 두었다. 천황은 법적으
로도 소위 ‘살아 있는 신[現人神]’이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국체’ 의식은 일본
의 건국 신화『고사기(古事記)』에서 유래한 ‘신국(神國) 사상’의 ‘천황주의’를
날조 윤색한 것이나, 이것은 그대로 일본 제국주의 침략 전쟁과 일본 민족 우
월감으로 합리화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일본 민족 우월성의 날조는 그대로 식
민지 한국에 적용되어 한국인이 우수한 민족인 일본인에 ‘동화’되어야 한다는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의 논리가 되어 한국 침략과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시
켰다.
‘녹기연맹’ 창립자 쓰다 사카에는 일본의 성격을 다음과 같이 말했다.
황공하옵게도 역대 천황은 아마테라스오미카미(天照大神)의 신칙에 따라 오로
16) ‘국체의 명징’은 1935년 헌법 학자 미노베 다쓰키치(美農部達吉)의 ‘천황기관설(天皇機
關說)’을 배격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국수주의 운동이다. ‘천황기관설’은 미노베가 국가
법인설을 채용하여 천황과 국가의 위상을 설정하면서 통치권을 가지는 것은 법인인 국
가이고, ‘천황은 국가 최고 기관’에 속하므로 헌법에 따라 통치권을 행사한다고 보아, 천
황이 헌법에 종속된다고 주장한 학설이다. 이것은 천황의 절대 권력을 규정한 일본 제국
주의의 제국헌법 하에서도 그때까지 정설로 통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1935년 우에스기
신키치(上衫愼吉)를 비롯해 국수주의자와 군부가 ‘천황주권설’을 들고 나와 미노베의 학
설은 일본의 ‘국체’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공격하였다. 이것은 당시의 오카다 게이스케(岡
田啓介) 내각을 뒤흔들어, 정부가 공식적인 정의를 내린 것이 1937년 문부성이 발행한 
국체의 본의이다.
17) 朝鮮總督府, 『新しき朝鮮』, 朝鮮總督府, 1944, 82쪽.
18) 文部省, 國體の本義, 文部省, 1937, 9쪽.
『녹기(綠旗)』에 나타난 ‘내선일체(內鮮一體)’와 ‘황국신민화’ ·························· 정 창 석…371
지 신민(臣民)의 평안만을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충량(忠良)한 신민은 그 대어
심(大御心)을 나의 마음으로 받들고 있습니다. 이러한 일본이야말로 신(神)의
나라인 것입니다. 불국토(佛國土)를 만들고 천국이 다가온다 해도 이 일본 정
신을 펼치는 이외에는 길이 없습니다. 이렇게 고마운 나라는 세계의 어디에도
없습니다.19)
쓰다 사카에는 학창 시절부터 다나카 치가쿠(田中智學)의 ‘천주회(天柱會)’ 활
동에 참여하였고, 경성제대 예과 교수로 부임한 뒤 이것을 이식하여 ‘녹기연맹’
을 조직했다. 그는 ‘국주회’의 ‘천업청년단(天業青年団)’의 활동과 사토미 기시오
(里見岸雄, 田中智學의 3남)가 제창한 ‘국체과학(國體科學)’을 식민지 한국에서
실천하기 위해 ‘녹기연맹’을 설립했던 것이다(쓰다 사카에의 전공은 화학이다).
쓰다 가타시는 형인 사카에가 1942년 3월 도쿄로 이주하자, ‘녹기연맹’을 이어
받은 인물이다. 그는 ‘내설일체’를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내선(內鮮) 관계는 우선 내선이 융화하는 협동 관계로부터 내선일체라는 일체
(一體) 관계의 완성으로 나갈 수 있다. 진정한 내선일체의 완성이야말로 동아
협동체의 완성을 의미하는 동아의 일체성을 성립시키는 불가결한 문제이다
……… 실로 반도의 내선일체 완성은 동아 블록 안의 유기화의 최고요 최종적
인 단계를 완성하는 일이다. 따라서 이의 완성을 현대 일본이 이루지 못한다면
동아 협동체 건설은 불가능할 것이고, 동아 협동체는 근본으로부터 동요하고
붕괴될 것이다. 만약 일억의 일본 국민이 내선일체를 완성하지 못한다면 동아
공동체는 일본인의 손에 붕괴되는 날이 올 것이다 ……… 진정한 내선일체는
내지에서 정치 경제 기타 여러 문화가 진정한 황도(皇道) 위에 선 일본 문화
본래의 모습으로 복귀하는 대개혁이 진행되는 그 흐름을 따라 반도가 무조건
귀일, 동화하는 것을 의미한다.20)
쓰다 가타시는 경성제대 철학과 출신이다. 이 쓰다 가타시에 대해 1930년대
식민지 한국의 ‘조선문인협회’에서 활동했던 일본인 작가 다나카 히데미쓰(田
中英光)는 소설 『취한 배(酔いどれ船)』에서 다음과 같이 풍자하고 있다.
‘쓰다 지로(都田二郞)는 전의 대학 총장, 지금은 도쿄대학의 총장이 된 아베 노
세(安部能誓)의 심복으로 불리며 그의 밑에서 죽 학생감을 해온 쓰다 이치로
(都田一郞)의 친동생이다. 그는 불량 소년으로부터 문학 청년으로 자라 최후에
19) 津田榮, 「神國日本」, 『綠旗』1939. 6. 13쪽.
20) 津田剛, 「東亞協同體の建設と內鮮一體の完成」, 『綠旗』1939. 1. 8∼11쪽.
37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는 모 사립대학의 철학과를 나왔다. 그후 형이 있는 경성에 와서 저널리즘에
논문 등을 발표하는 중에 언제랄 것도 없이 미나미(南)총독의 눈에 들어 총독
부의 후원을 받으며 청인초연맹(靑人草聯盟)이라는 사상 선도 단체를 주도하게
되었다. 그 연맹으로부터는 두 세 종류의 잡지가 나오고 있고 그는 조선의 저
널리즘에 막강한 세력을 휘두르고 있다 ‥‥‥‥ 이 빈약한 조선 문단을 좌지
우지하고 있는 것은 일찍이 터줏대감이라고 불린 작가 이광수도 아니고, 수재
로 유명한 유진오도 아니다. 대학 교수 가라시마(唐島) 박사와 청인초연맹의
쓰다 지로와 경성일보(京城日報)의 다무라(田村) 학예부장 세 사람이었다. 그
중에서도 다무라는 술을 좋아하고 고생을 한 사람으로 정치적 야심은 전혀 없
다. 다만 그는 고풍스런 인정가(人情家)에 충군 애국주의자였으므로 그런 그의
선량함을 다른 두 사람이 매사에 이용하여 그를 표면에 내세우고 자신들은 배후
에서 흑막(黑幕)이 되어 조선의 저널리즘을 그들이 하고 싶은 대로 조종하며 군
부에는 충성을 바치고, 그래서 그들이 좋아하는 권력에 빌붙으려 하는 것이다.21)
이 인용에서 쓰다 지로(都田二郞)가 쓰다 가타시(津田剛), 아베 노세(安部能
誓)가 경성제대 법문학부 교수와 문부대신(文部大臣) 등을 역임한 아베 요시시
게(安部能成), 쓰다 이치로(都田一郞)가 가타시의 형 사까에(津田榮), 가라시마
(唐島) 박사가 경성제대 교수(지나문학) 가라시마 다케시(辛島驍), 다무라(田
村)가 『경성일보(京城日報)』 논설위원 겸 학예부장 데라다 아키라(寺田瑛)를
각각 풍자하고 있고, ‘청인초연맹(靑人草聯盟)’은 ‘녹기연맹’을 바꾼 이름이다.
여기에는 식민지 한국에 몰려들어온 일본 제국주의의 삼 요소 ‘미코시[神輿], 관
리, 무법자’22)들이 다 갖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쓰다 사카에든 가타시든 식민
지 한국에 몰려들어온 삼류 문화인 떨거지로, 일본 제국주의라는 힘의 논리를 배
경으로 거침없이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라는 ‘동화’의 논리를 떠벌렸던 것이다.
현영섭은 일찍부터 ‘녹기연맹’에 가입해 ‘녹기일본문화연구소 연구원’이 되어
열성적으로 활동했다. 그는 ‘조선 청년의 임무’를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일본 정신, 일본 국체 정신-이것이야말로 다가올 시대의 으뜸되는 화두다-은
결코 파시즘이 아니다. 조선인은 조선인의 결점을 100% 청산할 때 제군은 일
본 정신의 지도자적 지위에 설 수 있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사소한 것에 불과
한 조선적인 것을 버리고 청산하는 일이다. 조선어와 조선옷, 조선의 가옥, 형
식적인 조상 숭배, 조선 역사 등을 버려 정신적으로 일본인적인 감정에 침윤되
어야 한다.23)
21) 田中英光, 『酔いどれ船』, 『田中英光全集』 第2卷, 芳賀書店, 1970. 236~237쪽, 244쪽.
22) ‘미코시’는 신을 모신 가마로 천황의 권위에 빌붙은 무리들을 의미하고, ‘관리’는 권력,
‘무법자’는 폭력을 의미한다(丸山眞男, 『現代政治の思想と行動』, 未來社, 1988, 129쪽).
『녹기(綠旗)』에 나타난 ‘내선일체(內鮮一體)’와 ‘황국신민화’ ·························· 정 창 석…373
현영섭은 한국 민족의 해소를 통해 ‘내선일체’를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
하여 ‘내선일체’야말로 ‘인간의 행복’으로 몽상했다.
내선일체는 자신과 세계의 행복을 원하는 사람에게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우
리의 사상을 만족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내선일체는 단순히 우리의
이상을 만족시키는 것뿐만이 아니라, 우리의 감정을 살리는 것이기도 하다. 내
선일체는 예술의 세계이기도 하다. 그것은 단지 도덕적 당위가 아니라, 우리의
세계를 한층 아름답게 하는 것이다.
현영섭은 ‘내선일체’ 논리를 ‘세계를 아름답게 하는’ 예술론으로까지 비약시키
고 있다. 현영섭은 1938년 『조선인이 나아갈 길(朝鮮人の進むべき道)』이라는
책을 썼다. 이 책에서 그는 “한일병합 이전의 조선은 지옥이었다 해도 좋을 것
이다. 오랜 동안 중국의 지배와 어리석고 탐욕스러운 지배 계급 때문에 민중의
생활은 철저히 유린당해 민중은 살아 있음을 저주했다”24)며 철저한 한국 역사
부정의 태도를 보였다. 그리하여 그는 ‘일본 국민과 천황 신앙의 절대성’을 논
하며, “일본 천황은 인류의 절대 탐구의 표현이었다. 천황은 일본인만의 신앙
의 대상이 아니라, 전 세계의 인류가 숭배해야 할 대상이다. 공산주의자는 스
탈린 만세를 인류에게 외친다. 우리 일본인은 전 인류에게 ‘천황 폐하 만세’를
외치라고 권해야 한다”25)고 말해 천황을 절대 신앙의 대상으로 선전했다.
모리타 요시오는 ‘조선 문화의 금후’라는 글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내선일체는 조선의 비약이며 또한 일본의 비약이다. 종래의 일본관(日本觀)의
수정은 동시에 일본 문화가 세계로 진군(進軍)하는 기지(基地)가 된다. 조선인
을 일본인으로 생각하고 조선어를 일본어로 생각할 수 있는 일본, 거기에 조선
인을 진정한 황국신민답게 만들어 국어생활로 통일시킬 수 있을 때, 처음으로
아시아 신질서 운동은 가능해지고, 세계를 지배할 수 있는 일본 문화 건설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조선 문화를 포용하여 순화시키고 조선의 역사를 일본의
역사권으로 편입시킬 수 있는 일본 문화인이 될 때, 처음으로 세계 문화의 지
도자의 권리를 가지고 새로운 세계사를 쓸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팔굉
일우’의 일본 문화 진로가 처음으로 구체성을 가져 내선일체 운동의 세계적 의
의가 성립되는 것이다.26)
23) 玄永燮, 「朝鮮人青年の任務」, 『綠旗』1937. 9. 7쪽.
24) 玄永燮, 『朝鮮人の進むべき道』, 綠旗聯盟, 1938. 4∼5쪽.
25) 위의 책. 129∼130쪽.
26) 森田芳夫, 「朝鮮文化の今後」, 『綠旗』, 1940. 1. 21쪽.
37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모리타 요시오는 ‘내선일체’를 일본 제국주의가 ‘세계를 지배할 수 있는 건설
기지’로 위치시켜 ‘세계사적 세계성’으로 파악하고 있다.
모리타 요시오는 1939년 『국사(国史)와 조선』이라는 책을 썼다. 이 책에서
그는 한일병합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한국병합은 무혈(無血)의 병합이었다. 일본의 건국 신화에 오쿠니누시(大国主
命)가 아마테라스오미카미(天照大神)에게 나라를 양도하는 아름다운 이야기가
나온다. 몇 번의 교섭 후에 아시하라노나카쓰쿠니(葦原中国, 일본-인용자)는
‘명령에 따라 헌상한다’며, 오쿠니누시는 은퇴하고 백성과 국토를 니니기노미코
토(瓊瓊杵尊)에게 양도한다. 한국병합도 인류 역사에 이와 같이 아름다운 이야
기로 전해질 것이다.27)
모리타는 늑약(勒約)으로 맺은 한일병합을 일본『고사기(古事記)』 건국 신화
의 ‘나라 물려주기’ 정도로 미화하고 합리화하여 자화자찬에 빠져 있다. 경성제
대 조선사학과 출신 모리타 요시오의 사이비성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순간이
다.
한편 『녹기』 1939년 10월호에는 ‘일진회(一進會)’ 회장이었으며, ‘합방청원
서’를 제출했던 이용구(李容九)의 아들 이석규(李碩奎, 大東國男)28)의 발언이
실려 있다.
동해의 일본은 딴 나라가 아니다. 우리의 조상이 건너가 살았던 곳이다. 현재
의 한국은 본래의 면목(面目)을 대부분 상실하여 지나화(支那化)된 부분이 많
다. 진정한 우리의 정신이나 문화는 바다 건너 섬나라 일본에 건너가 훌륭하게
성숙되고 발전했다. 이러한 좋은 것들을 받아들여 키우는 것은 결코 억지가 아
니라 자연의 섭리인 것이다.29)
이 부분은 이석규가 이용구의 발언을 인용하여 발언한 것이다. 이용구를 ‘내
선일체 운동의 선구자’로 그리고 있다. ‘매국노’ 이용구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27) 森田芳夫, 『国史と朝鮮』, 綠旗聯盟, 1939. 127쪽.
28) 이석규는 창씨명을 다루이 도키치(樽井藤吉)가 지은 ‘대동합방론(大東合邦論)’의 영향을
받은 이용구의 뜻을 기려 다이토 구니오(大東國男)로 지었다. 1912년 이용구가 죽자 일
본 나고야(名古屋)에서 자랐다. 대륙낭인 우치다 료헤이(內田良平) 등의 후원으로 1938
년 ‘일진회’의 후신 ‘대동일진회’의 조직에 참가하여 ‘내선일체’ 활동을 전개했고, ‘대동숙
(大東塾)’, ‘일한회담 촉진회’ 등에서 활동했다. 1960년 『李容九の生涯』(時事通信社)를
출판하여 아버지의 ‘한일합방’ 활동을 옹호했다. 1989년 일본에서 사망했다.
29) 李碩奎, 「內鮮一體運動の先驅者-父·李容九を語る」, 『綠旗』1939. 10. 44쪽.
『녹기(綠旗)』에 나타난 ‘내선일체(內鮮一體)’와 ‘황국신민화’ ·························· 정 창 석…375
부분이다.
1931년의 만주사변과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일본 제국주의는 ‘동아신질서’의
일환으로 ‘일·지·만일체(日支滿一體)’를 부르짖었다. 이에 대해 쓰다 다카시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새로 일어나는 것, 그것은 우리 일본을 중핵으로 하고 만주국을 일덕일심(一德
一心)의 동포로, 신생 지나(支那)를 맹방으로 커다란 원을 그어 육억의 창생(蒼
生)을 그 산하에 포함하는 동아 협동체이다. 거기에는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항상 선두를 달려온 지나 대륙의 빛나는 문명이 있다. 또한 이윽고 전 세
계를 통일할 천부의 사명을 띠고 삼천년 동안 면면히 그 이상 실현을 위해 노
력해 온 일본이 있다.30)
또한 쓰다 가타시는 1940년 7월의 일본 제국주의 ‘대동아 신질서’, 소위 ‘대동
아공영권’ 구상을 선도하여 다음과 같은 발언도 하고 있다.
대체로 세계에는 다섯 개의 문화적인 흐름이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인도 문화, 다른 하나는 지나에 원천을 둔 문화, 또 하나는 우리의 황도 문화이
고, 여기에 헤브라이, 그리스에 바탕을 둔 서양 문화입니다. 우리 일본은 동양
의 대륙 문화를 모두 자기 것으로 하였고, 지금은 서양 문명을 소화하여 완성
했다고 할 수는 없지만 완성을 향해 제일보를 내딛고 있습니다. 이것은 실로
우리 문화가 장래 인류의 지도 문화가 될 수 있는 본질을 내포하고 있다는 의
미인 것입니다. ……… 세계 문화의 동향를 살펴보면 아메리카의 데모크라시보
다는 팔굉일우의 황도가 인류에게 진정한 행복을 가져다줄 수 있다고 확신합
니다. ……… 일본은 세계 신질서를 기원 이천 육백년대에 완성하지 않으면 안
되는 책임을 세계 인류에 가지고 있습니다. 동아 신질서는 그것의 제일보가 되
지 않으면 안 됩니다. 기원 이천 육백년대에도 세계 육십 여개국은 없어지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지구상에는 우리의 천황이 이끄는 인류일가(人類一家),
팔굉일우의 대정신에 의해 통일되어 인류는 처음이자 최후의 평화에 도달할
것입니다.31)
쓰다 가타시는 일본 제국주의 침략 전쟁 논리인 ‘팔굉일우’에 의해 결국 ‘대동
아공영권’은 다음과 같이 완성된다고 보았다.
30) 津田剛, 「世界政勢の急展開と日本の立場」, 『綠旗』1939. 10. 8쪽.
31) 津田剛, 「皇道文化と世界新秩序」, 『綠旗』1940. 4. 26∼27쪽.
37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아시아 십억의 백성을 배경으로 하는 대동아공영권의 완성은 일본으로 하여금
화(和)의 방식으로 세계의 편성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 경우 아시아 공영권
이 동아 영원의 평화를 확보하려는 대어심(大御心)의 발현에 의해, 받들지 않
는 자들을 받들게 하려는 황군의 실력 발동으로 대동아공영권 구상이 가능해
진 것과 같이, 이십억 인류에게 있을 자리를 얻게 하려는 대어심은 인류 사회
의 구체적 계획을 실천하고 있는 황군의 실력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마치 조
국(肇國)의 태고에 천손(天孫)이 천신(天神)을 이끌고 휴가(向日)에 강림한 것
과 같이 대어심은 세계의 제국(帝國), 왕국, 민주국, 황인종, 백인종, 흑인종의
여러 나라 각자의 문화 방식에 맞게 전 세계를 배분할 것이다.32)
결국 ‘녹기연맹’의 목적은 ‘국어 상용’ 운동을 기반으로 식민지 한국에 ‘내선일
체’와 ‘황국신민화’를 펼쳐 식민지 한국을 ‘대동아공영권’의 ‘병참기지’로 재편하
여, 일본 제국주의 ‘팔굉일우’의 실현을 위해 아시아는 물론 전 세계를 침략한
다는 ‘침략’과 ‘지배’에 있었던 것이다.
5. 맺음말
‘녹기연맹’은 경성제대 예과 교수 쓰다 사카에가 일본 일련종 다나카 치가쿠
의 ‘국주회’를 식민지 한국에 이식한 민간 단체였다. 그러나 그 종교성에도 불
구하고, 한국에 이주한 일본인이 식민지 한국 사회를 교화하여 ‘내선일체’와
‘황국신민화’를 실현시킨다는 ‘풀뿌리’ 침략에 앞장서 식민지 지배 권력의 첨병
역할과 여용성을 철저히 보여준 악질적 단체였다.
특히 ‘녹기연맹’은 식민지 한국 지배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일본어의 보급
이라고 보아 ‘국어 상용’을 강요하고, 한국 지배의 미래 세대 담당자로서 한국
이주 일본인 청년층의 중요성을 일찍부터 깨달아, 식민지 한국 지배의 ‘풀뿌리’
세대 육성을 위해 학생들을 중심으로 ‘황국신민 연성’의 청년부 활동을 중점적
으로 전개했다. 이러한 다면적인 사회 활동은 식민지 권력의 지배 방침의 실천
자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침략 전쟁의 확대로 시국이 긴박해졌을 때에는 선도
적인 역할도 서슴지 않았다. 이러한 ‘녹기연맹’ 활동의 성격은 식민지 한국 이
주의 식민이 단순한 생활인으로서가 아니라, 한국인에 대한 철저한 ‘풀뿌리’ 침
략 세력이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일본 제국주의 침략 전쟁이 확대됨에 따라 ‘녹기연맹’은 사회 교화 단체의 역
32) 津田剛,「日本的世界圖像の構造-八紘一宇文化論序說」, 『綠旗』1942. 10. 14쪽.
『녹기(綠旗)』에 나타난 ‘내선일체(內鮮一體)’와 ‘황국신민화’ ·························· 정 창 석…377
할에 그치지 않고, 일본 제국주의 및 식민지 지배 권력의 선전 역할도 서슴지
않아 갈수록 그 위상이 높아져 갔다. 이러한 ‘녹기연맹’의 특징은 그 기관지
『녹기』에도 그대로 나타나,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사상 통제와 언론 통제 일
환으로 1920년대 이후 나타났던 한국인의 잡지와 언론들의 폐간이 속출하고
검열이 강화된 데 비해, 『녹기』는 오히려 필진들이 대학 교수, 교사, 관료,
법조인, ‘내지(內地)’의 일본인 등 더욱 다양해지고 발언들이 강력해지는 데에
서도 어용성과 선도성이 드러난다.
‘녹기연맹’은 출발의 원천이 종교성이었으나, 그 표방한 강령에서 드러나듯
일본 제국주의 ‘국체’ 의식을 식민지 한국에 확산시켜 ‘내선일체’와 ‘황국신민
화’의 실현을 위해 최후까지 일본 제국주의 나팔수 역할을 아끼지 않은 단체였
다. 여기에 사회 교화 단체 ‘녹기연맹’의 사이비성이 숨어 있다.
【참고문헌】
임종국, 『친일문학론』, 평화출판사, 1979, 52쪽.
한국학 문헌 연구소, 『조선총독부 관보』5. 아세아문화사, 1985. 9∼10쪽.
조용만, 『30년대의 문화예술인들』, 범양사 출판부, 1988. 24쪽.
『綠旗』, 創刊號, 1936. 1. 1쪽.
『綠旗』1937. 6. 42∼43쪽.
『綠旗』1937. 9. 7쪽.
『綠旗』1938. 2. 21쪽.
『綠旗』1938. 7. 13쪽.
『綠旗』1939. 6. 13쪽.
『綠旗』1939. 10. 8쪽. 44쪽.
『綠旗』1940. 1. 7쪽. 18∼19쪽. 21쪽.
『綠旗』1940. 4. 26∼27쪽.
『綠旗』1940. 10. 120쪽.
『綠旗』1941. 3. 190쪽.
『綠旗』1942. 10. 14쪽.
『京城日報』1942. 4. 12.
朝鮮總督府編, 『施政二十五年史』, 朝鮮總督府, 1935, 168면.
文部省, 國體の本義, 文部省, 1937, 9쪽.
玄永燮, 『朝鮮人の進むべき道』, 綠旗聯盟, 1938. 4∼5쪽. 129∼130쪽.
森田芳夫, 『国史と朝鮮』, 綠旗聯盟, 1939. 127쪽.
朝鮮總督府, 『新しき朝鮮』, 朝鮮總督府, 1944: 15~25쪽. 82쪽.
田中英光, 『酔いどれ船』, 『田中英光全集』 第2卷, 芳賀書店, 1970. 236~237쪽,
244쪽.
丸山眞男, 『現代政治の思想と行動』, 未來社, 1988, 129쪽.
37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要 旨
雑誌『緑旗』は京城府初音町の緑旗聯盟から1936 年1 月に創刊され、1944 年12 月ま
で刊行された(1944 年3 月号から『興亜文化』と改題)。1924 年4 月、東京帝大理学部
を卒業した化学者・津田栄が京城帝大予科教授として赴任した。津田栄は学生時代から日
蓮宗を信奉し、とりわけ田中智学が主宰する「国柱会」の活動に参加していて朝鮮の地にもこ
れを根付かせようとした。1925 年2 月に設立された緑旗聯盟は、1930 年5 月設立の緑旗同
人会が1933年の紀元節に緑旗聯盟として再組織されて雑誌発刊にこぎつけたのである。
主要執筆者は津田栄のほか森田芳夫、津田剛(栄の弟)、津田節子、津田美代子などで
津田一族が重要人物であった。創刊の初期には啓蒙的な文章が多かったが、京城帝大の日
本人教授が執筆するようになり例えば高木市之助、安倍能成)、大東亜戦争が近づくあたり
から、日本の文学者の寄稿、インタビューなどが増えてくる。その後、韓国人特に玄永燮、李
泳根などが活発に活動したほか文学者たちも加わるようになった。
緑旗連盟は、「内鮮一体」と「皇国臣民化」の実現のため、その基本として「国語」普
及・常用問題の事業方針に基づき、『緑旗』誌上では、従来からの連盟幹部及び主要な
朝鮮人連盟員の論文を掲載し、その影響力を拡大することに加えて、「国語」特輯を組んだ
のである。そして朝鮮人の文章が、それまでの論文中心から主張・随筆随想・訪問記・葉
書訪問・小説・創作・詩・短歌・座談会という多様な形態をもって誌面を飾り、以後、
『興亜文化』と誌名を変えた後も途切れることなく続けたのである。
結局、緑旗連盟は宗教性を表に飾って社会を教化する名目で植民地支配権力の支配方
針とイデオロギーを忠実に実践し、その尖兵として「内鮮一体」と「皇国臣民化」、進んでは
「八紘一宇」、「大東亜共栄圏」などを叫びながら最後まで「草の根」侵略と支配者とし
て、その一翼を担っていたのである。
キーワード:緑旗連盟、緑旗、内鮮一体、皇国臣民化、国語常用、八紘一宇、
大東亜共栄圏、草の根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재확정일 : 2015. 7. 4
최양일 영화의 마이너리티 양상
- 인간소외와 폭력에 대하여 주 혜 정*1)
(e-mail: [email protected])
目 次
1. 머리말
2. 최양일의 마이너리티성
2.1 최양일과 단카이 세대
2.2 최양일과 하드보일드 소설
3. 최양일 영화의 마이너리티 양상
3.1 메이저리티의 추락 -<10층의 모기>
3.2 마이너리티의 탈출 -<꽃의 아스카 조직>
4. 맺음말
1. 머리말
재일코리안1) 2세인 영화감독 최양일은 마이너리티2)에 관한 영화들을 주로
제작하였다. 최양일 영화에 나타난 마이너리티는 크게 일본인 내부 마이너리
*1)전남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박사과정수료. 일본문화학 전공.
1)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들의 명칭은 국적이 조선, 한국국적 그리고 이중 국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관된 호칭이 아직도 통일되지 않고, 재일조선인, 재일한국인, 재일조선·한국인, 재일,
자이니치, 재일코리안 등으로 불리고 있다. 본고에서는 재일코리안이란 명칭을 현재 3세대들이
‘在日’이라는 의미에다가 남쪽이나 북쪽의 선택을 거부하는 존재로서 자신을 표상하기 위해 사
용하는 용어로, 최양일이 지닌 아이덴티티와 가장 부합된다고 여겨지므로 선택하였다.
이은영(2005) 「이름과 언어를 통해 본 재일한국인의 아이덴티티」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30
2) 岩間曉子·ユヒョンヂョン(2007) マイノリティとは何か, ミネルヴァ書房. pp.26∼32.
이 연구에서 마이너리티는 국제인권법이 규정한 민족적·인종적·종교적·언어적 특성
을 가진 소수파인 에스닉 마이너리티라고만 한정짓지 않고 일본사회에서 ‘약자’로 취
급 받는 주변인을 포함하는 확산된 의미에서의 마이너리티라고 규정짓고 있다.
38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티, 오키나와인, 재일코리안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그는 기
존의 재일코리안 감독들과는 달리 자신의 이야기인 재일코리안에 관한 영화로
데뷔하지 않고, 일본인 내부 마이너리티에 대한 영화로 시작하였다.
이는 최양일이 일본 사회에서의 다양한 마이너리티를 재현함으로써 마이너
리티의 삶과 지향점을 보여주고자 함을 알 수 있다. 마이너리티 문학이 주류
에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마이너리티문학에 작용하는 소수가 다수와의 긴장관
계를 표출하기 위해 자신들의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주류문학의 언어로 다수
의 방식을 차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3) 이렇듯 최양일도 상업적인 영화라는
주류의 방법을 차용함으로써 마이너리티에 관한 이야기가 주류사회에 공감이
되도록 제작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그는 마이너리티의 소재를 다양하
게 하면서 대중들과 융화되도록 하는 영화의 재현 방식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
을 드러내고 있음이 관찰된다.
본고에서는 최양일의 마이너리티 작품들 중 주로 1980년대 제작된 데뷔 초
기 작품들로 일본인 내부에서 약자(소외된 자)로 취급되는 마이너리티를 연구
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그의 데뷔작 <10층의 모기(十階のモスキー
ト)>(1983)와 <꽃의 아스카 조직(花のあすか組)>(1988)을 통해서 살펴보고
자 한다.4) 이 작품의 선택은 일본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서 파생된 인간소외에
대한 탈출로 마이너리티가 어떤 선택을 하였는지 뚜렷이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작품이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최양일의 영화에 나타난 인간소외와 폭력으로 재현된 마이너리티
의 삶들이 현대 일본 자본주의 구조적 모순에 기인되었는가에 대한 고찰이 이
글의 목적이다.
2. 최양일의 마이너리티성
2.1 최양일과 단카이 세대
최양일의 영화 소재들은 재일코리안을 비롯하여 오키나와인과 같은 에스닉
3) 강우원용(2010)「일본 마이너리티문학의 양상과 가능성 –오키나와문학과 재일국한인·조선인문
학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제14집,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p.206
4) 이 작품들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다음의 두 편의 논문을 들 수 있다. 1. 加藤健次(1994) 「崔洋一
論 ─ 物語の磊落性と笑いによる高度なエエカゲンについて」, 現代詩手帳 37輯 7号, 新潮社.
2. 四方田犬彦(1998) 「電影風雲 日本映畵の新銳たち--崔洋一 エスニシティー顯現」, 世界,
岩波書店. 그러나 이 논문들은 최양일 작품들을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으므로 본고의 연구 대상 작
품들은 영화 해설이나 의의에 그치는 정도로 본격적인 연구라 보기에는 어렵다.
최양일 영화의 마이너리티 양상 ················································································
주 혜 정…381
마이너리티뿐만 아니라 일본사회에서 소외된 약자로서 마이너리티까지 포함하
고 있다. 이러한 소재는 그가 일본사회에서 재일코리안 감독이라는 시선으로
만 규정하기 이전에, 그는 1949년생으로 전후 일본에서 베이비세대라고 일컫
는‘단카이(団塊) 세대’5)라는 점을 주시할 만하다. 일본사회에서 태어나고
자란 그에게는 재일코리안이라는 정체성과 일본의 단카이 세대로서 대학생활
과 사회생활을 같이 하면서 자기인식에 대한 새로운 확립이 되었으리라 생각
된다.
‘단카이 세대’는 선행하는 일본의 그 어느 세대에 비교해도 유례가 없을
만큼 ‘자기 자신’에게 몰두한 세대이며, 이러한 단카이 세대의 전공투 운동
역시 정치적 주장 이전에 ‘자기’의 존재에 대한 근본적 물음과 그에 대한
대답의 모색 과정에서 불거진 일종의‘자기표현’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는
점을 많은 사람들이 지적하는 바이다.6) 또한 최양일이“영화를 만들고 싶다는
창작 의욕은 자신이 어떤 사람인가를 알고 싶어 하는 근본적인 것이라 생각합
니다. 이는 살아가는 데에 테마로 있는 것입니다.”7)라는 언급은 그와 단카이
세대의 근원적인 가치관 문제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동질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그가 재일코리안에 대한 생각도 다음과 같이 각각 개인의 삶에
맞추어 이야기하고자 함을 알 수 있다. “한국적·조선적을 합하여 지금 재일
코리안이 1세부터 4세까지 70만 명이 있다고 하면 70만 명이 각자 나름대로
살아가는 생각이 있습니다. 그 하나하나를 기축으로 하자는 것입니다”8) 최양
일이 주류보다는 주변부에 관심을 가지며 그들의 존재는 어떠한지에 대해 사
유하는 점은 곧 재일코리안으로서 자신의 정체성과 단카이 세대로 자란 자신
에 대한 물음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그가 개개인의 삶들 속에서 마이너리티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를 가늠하게 한다. 그가 기존의 재일코리안 감독과 달리 재일
5)‘단카이 세대’란 일본 전후 베이비 세대인 1947년부터 1949년 사이에 태어난 세대를 말한다.
이들은 청춘을 통과하던 1960년대 말, 일본의 대학은 유례없는 규모의 학생운동에 직면한다.
‘전공투(全学共闘会議의 약어)’로 대표되는 학생 운동의 열기로, 그 시절 일본 대부분의 대학들
짧지만 강렬한 저항의 소용돌이를 체험해야 했다. 그로부터 40년이 지난 2000년대 후반, 60세를
맞이하는 단카이 세대의 정년퇴직 문제가 이른바 ‘2007년 문제’로 불리며 일본 매스컴의 단골
주제로 부상했다.
송인선(2013) 「반역하는‘단카이(団塊)’-전공투(全共鬪)와 일본의 대중사회-」, 현대문학의
연구 50집, 한국문학연구학회. pp.179-180
6) 송인선(2013), 앞의 책, p.198
7) 崔洋一(2002) 「在日コリアンの目をとうして見た日本と韓国の子供・若者たち(全体シンポジウム ア
シアにおける共生:若い世代のこれからの日韓関係・人的交流,発表要旨)」,日本教育学会大会研究発表要旨.
p.61
8) 宮崎学・崔洋一(1998)「「在日」も文化も混在すればもっと面白くなる」,『論座, 朝日新聞社. p.13
38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코리안이라고 부여받은 자신의 정체성을 데뷔부터 영화소재로 제작하지 않았
다는 점이 이해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최양일의 영화는 그가 언급했듯이 사람 개개인을 중심으로 재일코리안과 오
키나와인 또는 일본인의 마이너리티가 ‘일본사회’와 갈등을 그리지 않고 세
부류 집단들의 현실적인 삶의 모습들을 그대로 영화에서 재현하고 있다. 양인
실은“1990년대 이후 가족 서사와 더불어 등장한 다큐멘터리들은 정치, 사회
와 역사보다 개인에 초점을 맞춘 작품이 많았는데, 최근에는 개인의 삶을 통해
사회와 역사를 보려는 움직임도 있다. 이런 작품들은 예전에 카메라를 저항의
무기로 삼았을 때보다 유연하게 개인의 시점에서 국가를 보려고 하고 있다.”9)
라고 언급하는바와 같이 최양일 영화에서도 일본을 상대화하기 보다는 개인의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로서 최양일은 단카이 세대
와 함께 형성된 가치관을 그의 예술세계에 잘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2.2 최양일과 하드보일드 소설10)
최양일의 영화들은 하드보일드 소설을 원작으로 한 필름 느와르 장르11)와
코미디 장르로 구분되어 진다. 최양일은 다양한 마이너리티가 각기 지니고 있
는 소재를 장르라는 형식을 통해 표상되어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장르는 작
품에 형식과 호소력을 작용 시켜서, 영화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뿐만 아니라
왜 작용을 하는가를 제시해 준다.12)
9)
양인실(2013) 「일본 TV 영상물의 재일제주인의 표상」, 일본비평 8호, JIS 서울대학교 일본
연구소. p.116
10) 하드보일드 소설이란 1920년대부터 미국의 단행본 잡지에 실린 탐정 소설에서 주로 원형을 찾
는다. 이러한 작품들은 불안한 대도시의 현대 남성들의 실존에 대한 문제와 부패한 사회 등이
그려지며, 주인공들은 현실의 냉혹하고 비정함에 대해 감정을 표현하지 않고 간결한 문체로 묘
사한다. 대표적으로 헤밍웨이의 문체가 하드보일드 소설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장윤정(2004) 「모더니즘의 알레고리와 비전으로서의 필름 느와르 -팜므파탈, 검열, 하드보일드
의 중충 결정으로서의 장르적 재구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 박사 학위 논문.
pp. 76~77
11) 필름 느와르 영화는 하드보일드 스타일에 강한 영향을 받은 미국 시나리오 작가들에 의해 제작
되었다. 이 영화들이 제기하는 문제는 주로 소외, 오도된 야망, 동시대의 도시인의 성적혼돈이다.
영화가 해결책으로 내놓은 암시는 대개 생존과 자존 유지를 가능케 하는 금욕적 절제다. 그리고
이런 느와르가 찬미하는 것은 법과 질서의 가치나 추리의 위력이 아니라 고립된 영웅의 개성적
스타일이다.
전평국(2014) 「필름 느와르(film noir)의 역사적 특수성에 관한 연구」 현대영화연구Vol.19,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p.345
12) 더들리 앤드루 저·김시무 외 역(1995) 영화이론의 개념들, 시각과 언어. p.161
예를 들어서 공포 영화를 논의함에 있어서 심리학에 의탁한다든지 또는 갱스터를 분석
함에 있어서 사회학에 의탁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영화의 능력뿐만 아니라 그
의미까지도 설명 될 수 있는 것이다.
최양일 영화의 마이너리티 양상 ················································································
주 혜 정…383
최양일은 영화 데뷔 이전 몇 편의 TV드라마를 제작하면서 미국 하드보일드
소설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영화감독 데뷔 이전 미국 하드보일드 소설을 원
작으로 일본 방송국에서 <고독한 사냥꾼(弧獨な狩人)>(1981)이라는 드라마를
제작하였다. 경찰에 관한 이야기인 이 드라마는 베트남 전쟁 후 고향으로 돌
아 온 주인공의 심리적 불안과 허무, 그리고 굴절된 가족의 모습을 그린 작품
이다. 최양일은 영화감독 데뷔 이전, 이미 하드보일드 소설에 기인한 자신의
영화 스타일이 자리 잡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가 제작한 하드보일드 작품
들은“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귀향 군인의 재적응, 매카시즘과 냉전의 영향,
남성의 정체성 불안과 회복, 강하고 독립적인 여성의 위협, 대도시의 발달로
인한 범죄, 소외”13)라는 필름 느와르 장르가 구축된 사회적 측면을 잘 보여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최양일은 하드보일드라는 장르에 대해서는 이렇게 말하였다.“조금은
알 것 같다. 미국이라는 근대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자아이다. 미성숙한 채
발전할 수밖에 없었다. 민주주의적 자유와 고독한 반민주주의적 자유와의 갈
등이다. 미국의 뜨거운 정의는 사실 패권을 뒤집는 것임을 지금은 주지하였을
지라도, 개인의 자아가 그 정의와 본질적으로 서로 통하지 않는 상황자체를
하드보일드(완숙된 달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사람들의 정신세계로서 확
립되어졌다.”14)라고 언급한다.
그리고 그는 미국에서 1980년대 유행한 하드보일드 소설을 읽으면서 “고
도로 계속 발전한 미국 자본주의는 형이상적으로 향상되었지만, 아웃사이더로
나아가는 사람들을 계속적으로 생산해 간다.”15)고 하면서 마이너리티에 관심
을 가짐과 동시에 이들이 일으키는 반동이나 폭력은 자신의 카타르시스가 되
었다고까지 말한다. 따라서 그가 마이너리티를 영화로 재현하는 방식에 있어
서 하드보일드라는 장르는 마이너리티가 지니고 있는 인간 소외의 문제와 폭
력을 거침없이 보여 줄 수 있는 장치로서 기능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13) 장윤정(2004) 앞의 책. p.8 느와르 영화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분류하였다.
①시각적 스타일, ②서사적 스타일, ③사회적 스타일, ④주제적 측면-실존주의
(Existentialism),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Freudianism), 파멸적 운명론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가운데 사회적, 주제적 관점의 중요한 논의들을 주로 살
펴보았다.
14) 崔洋一(1994) 崔洋一の世界, 日本テレビ. p.8
15) 앞의 책. p.9
38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3. 최양일 영화의 마이너리티의 양상
최양일은 마이너리티를 영화로 재현함에 있어서 주류사회와 마이너리티가
확실히 구분되기 보다는 주류사회의 이야기는 배제한 채 마이너리티의 이야기
만으로 각자의 삶의 방식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초기 작품들을 살펴보면 주류
와 비주류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마이너리티의 이야기가 존재한다. 본고에서
논하는 영화 두 편은 주류와 비주류와의 갈등을 각각 다른 구도로 이야기해
나간다.
첫 번째 작품인 <10층의 모기>는 주류였던 경찰관이 강도가 되면서 마이너
리티로 전락되어 가는 영화로 즉 메이저리티에서 마이너리티로 이행되어 가는
구도이다. 그리고 <꽃의 아스카 조직>에서는 비주류였던 소녀가 중심에 서게
되는 이야기로 마이너리티가 메이저리티로 부상하는 이야기를 보여준다.
따라서 최양일이 작품들을 통해 마이너리티의 양상과 그 변화가 인간소외와
폭력을 어떻게 재현하였는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3.1 메이저리티의 추락 - <10층의 모기>
3.1.1 일본 주류사회로부터 이탈
<10층의 모기>는 주인공인 우치타 유야(內田油谷)16)가 실제로 교토(京都)
에서 일어난 사건을 모티브로 각색을 하여 최양일이 제작한 작품이다. 이 영
화에서 최양일은 주인공과 각색을 겸비한 우치타를 단일 시점과 천천히 움직
이는 동작들로 이야기의 전개를 이끌어 가며, 카메라를 움직이지 않고 주인공
만을 한 시점으로 담아낸다. 이러한 장면들은 직장에서 경비를 할 때도 움직
이지 않는 모습, 하라주쿠(原宿)에 가서 역동적인 젊은이들의 춤추는 공간사
이에서 딸을 찾아내는 모습에도 주인공의 정지된 표정과 동작을 보여준다.
16) 구마시로 다츠미(熊代辰巳), <오호! 여자들·외가(嗚呼!おんなたち·猥歌)>(1981)와
와카마츠 고지(若松孝二), <물이 없는 풀(水のないプール)>(1982)의 작품에서 무표
한 얼굴로 여자들을 강간하는 연기하였으며, <10층의 모기>에서도 내면을 보이지 않
는 같은 맥락으로 연기를 하였다.
崔洋一・インタビュー編集部(1983) 「<プロフイル崔洋一, 自分のアイデンテイテイ─がいかに
時代と切り結ぶか…」, シナリオ 1983年 7月号, シナリオ作家協會. p.75 최양일 영화의 마이너리티 양상 ················································································
<그림 1>
주 혜 정…385
<그림 2>
위의 <그림 1>과 <그림 2>처럼 주인공 남자는 어떠한 움직임이나 말도
표
정도 없이 응시하는 장면으로 일관 된다.
이에 대해 영화 평론가 야마네 사다오(山根貞男)는“카메라는 묘사 대상을
차갑고 냉정하게 주시하면서 그린다. 인물의 클로즈업은 매우 적고, 항상 카메
라가 거리를 어느 정도 두고 대상을 찍는다는 점, 작중인물이 다른 인물을 볼
때의 시선이 건조하게 그려지는 등, 작자의 눈에 비정함이 느껴진다. 화면전개
의 전체에 똑같이 메말라 버린 인상을 준다.”17)라고 언급 하였다. 현대의 시
민주의의 반발로 생겨난 미국의 관념을 담은 하드 보일드 소설로 통해 익힌
최양일은 자신의 첫 작품에 그대로 투영시켰다.
말단 경찰관으로 살아가는 주인공은 진급시험을 보지만 매번 떨어지고, 부인
과는 이혼하여 위자료와 딸 양육비를 주어야하는 실의에 빠진 상황이다. 이 때
유일한 위로는 술과 도박, 여자, 그리고 혼자 사는 아파트에 둔 컴퓨터이다. 주
인공에게는 술집은 자신의 위로이며, 도박은 미래이고, 컴퓨터는 친구였다. 그
리고 여자는 자신의 권력을 마음대로 내세우며 다룰 수 있는 상대로 표현된다.
그에게는 하루하루 돈이 필요하므로 대출을 받아가며 위자료와 양육비를 대
며 도박인 경정(競艇)을 하면서 이기기만을 기대한다. 그러다가 그는 대출금
에 독촉을 받기 시작하면서 자신도 모르게 점점 타오르는 분노와 자기 파괴가
시작된다.
이러한 추락을 알리기라도 하듯 주인공 남자가 자전거를 타고 가는 모습은
불안하다. 이러한 미장센은 감독이 의도적으로 주인공의 앞으로 이야기를 암
시해 준다고 볼 수 있다.
17) 山根貞男(1983) 「十階のモスキートの崔洋一監督, 期待の第二作 性的犯罪」, キネマ旬報 866
号, キネマ旬報社. p.94
38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그림 3>
<그림 4>
<그림 3>과 <그림 4>는 상공에서 주인공의 모습을 연속적으로 보여 주면서
주인공의 행위의 태양을 보여준다. 위와 같은 카메라 앵글은 느와르 영화에서
인물을 왜소하고 무기력하게 보이게 하는 하이 앵글이나 수직으로 내려찍는
극단적인 하이앵글로서 화면 구도에 비일상적이며 불안하고 답답한 효과를 내
는데 사용된다.18) 최양일은 이처럼 주인공이 자전거 타는 모습을 객관적인 장
면으로 담기 위해 상공에서 내려다보는 풍경으로 처리하다가, 주인공이 계속
해서 주행하고 있는 차들을 방해하면서 자전거를 타고 가는 주인공의 모습에
대한 주관적인 장면을 담고 있다.
주인공은 이러한 장면 이후부터는 이유 불문하고 조금씩 외부와의 타협을
거부하기 시작한다. 그는 술집에서 알게 된 종업원과도 관계가 끝이 나자 무
작정 여자들을 만나면 경찰이라는 이유로 안심하는 여자들을 집으로 데려와
강간을 한다. 소매치기를 하다가 걸린 여자, 주차 단속을 하는 여경찰, 그리고
전 부인 집으로 가서도 갑자기 강간을 한다.
마침내 주인공은 빌린 돈이 해결되지 않자 은행을 털기로 한다. 그는 막무가
내로 은행으로 들어가 궁지에 몰린 자신의 분노를 폭발시키며 돈을 뺏기 시작
한다. 그리고 마침내 경찰에 잡힌 주인공은 절규한다. 주인공의 시종일관 조용
하고 정지된 모습으로 한 시점을 보는 긴장감은 은행에 들어가 난동을 부리는
장면에 극대화 효과를 준다.
이처럼 최양일은 하드보일드 장르의 특징을 살려서 대도시를 중심으로 소비
중심주의로 변해가는 현대인들이 느끼게 되는 소외나 불안이 사회 속에서 더
18) 남승석(2011) 「느와르 장르에서 반영웅 캐릭터의 변화 양상」, 씨네포럼 제12호,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p.58
최양일 영화의 마이너리티 양상 ················································································
주 혜 정…387
욱 이방인으로 되어간다는 모습을 재현했다고 할 수 있겠다.
3.1.2 소외와 폭력
이 영화는 주인공이 아키하바라(秋葉原) 전자상가에서 컴퓨터를 사는 장면
으로 시작된다. 주인공 방에는 오직 이 컴퓨터만 있으며 주인공 남자는 말없
이 컴퓨터 게임만 한다. 그러나 최후 주인공이 거의 광기적인 강도를 저지르
러 가기 전 이 컴퓨터를 10층에서 던져 없애버린다.
일본은 1950년대 고도성장을 통해 1980년대는 일본의 고도성장기 중에 가
장 활기를 띄었던 시기이다. 반면 이러한 사회 속에서 일본인들은 더욱 더 치
열한 경쟁과 돈에 승부를 거는 물질만능주의에 의한 냉혹한 삶들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면서 컴퓨터라는 문명의 이기는 소외된 인간을 위로하면서 더욱 더
소외된 상태로 만들어 버리는 이율배반적인 작용을 하였다. 현재에 훨씬 발전
된 형태로 컴퓨터가 유발하는 인간소외가 큰 사고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30여 년 전 컴퓨터가 보급되기 시작할 즈음에 이미 최양일은 직감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이 영화 중간 중간에 한 장면씩 공장에서 품는 연기와 공단의 풍경이 나온
다. 이는 자본주의의 발달로 오는 도시의 삭막함, 냉정함을 나타내고자 함을
알 수 있다. 주인공은 이러한 냉혹한 삶을 하나씩 밟아 가면서 무너져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홍균(2004)은“상품경제에서는 돈의 사회적 힘이 강화된다. 상품 경제의
도입과 확장은 사회구성원의 삶의 조건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상품 경
제 도입 이후, 사회구성원들은 자신의 욕구를 상품을 통해서 충족시키게 되었
고, 상품 경제는 인간의 새로운 욕구를 끊임없이 개발·자극하고 있다.”19)라
고 하면서 허버트 마르쿠제(1993)의 현대 사회에서 인간소외 현상을“발전한
산업문명의 노예는 승화(昇華)된 노예이기는 하지만, 그들도 여전히 노예임에
는 다를 바 없다.”20)라는 문장을 인용하였다.
이러한 상품경제에서의 인간소외는 영화에서 주인공의 진급 시험 실패, 이
혼한 전 부인과 딸이 돈을 요구하는 모습, 도박과 사채 등으로 재현되었다. 이
렇게 연결되는 구도는 주인공이 타락되어 갈 수 밖에 없는 필연성으로 계속
펼쳐나간다. 그리고 주인공이 경찰이기 이전 인간이라는 것을 통해 인간소외
에 대한 자아주체에 대한 상실감을 보여 준다. 다음 영화장면은 주인공이 돈
을 빌리기 위해 전 부인의 집에 찾아가 애원하지만 거절당하고, 그 뒤 또 다
19) 이홍균(2004)『소외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p.35
20) 허버트 마르쿠제(1993) 일차원적 인간, 육문사. p.36 재인용
38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시 주인공은 밤에 한 번 더 찾아가 부인을 만나면서 나누는 대화이다.
S#93 TOSIE의 아파트‧ 거실
중략
TOSIE : 「빨리 말하고 돌아가요」
남자
: 「……」
TOSIE : 「돈이랑 RIE의 이야기면 예전과 똑같아요」
남자
: 「그건 아니야, 나랑 너랑 이야기야」
TOSIE : 「나랑 너랑?」
중략
남자
: 「나 무너질 것 같다. 너가 이유 없이 머리에 맴돈다. 부탁이야!
오늘은 아무 말도 하지 말고 TOSIE」
중략
남자
: 「나도 인간이야」
TOSIE의 슬픈 얼굴.
남자, 깊은 숨을 쉬던 중, 난폭한 자신이 보여 진다.21)
주인공도 자신이 무너지는 모습에 잡아줄 수 있는 부인을 의지하지만 이미
마음을 돌린 부인은 차갑기만 하다. 이 냉정과 소외의 극대화는 참을 수 없는
광기를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주인공의 폭력은 어떻게 보면 단순한 범죄, 테러행위, 사회폭동, 국
제 분쟁과 같은 것으로 명확히 식별 가능한 행위자가 저지르는 것으로 국가가
처벌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폭력의 본질을 살펴보면 자본주의가 낳은 구조적
폭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슬라예보 지젝은 폭력이란 무엇인
가에서 폭력을 주관적 폭력과 객관적 폭력 그리고 상징적 폭력으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주관적 폭력은 일반적인 육체적 폭력을 의미하는 것이라 하며, 객관
적 폭력은 자본주의가 낳은 구조적 폭력을 이야기 한다. 그리고 상징적 폭력
이란 언어적 폭력을 뜻한다.
22)
최양일의 영화 속에 나타난 폭력에 대하여 슬라예보 지젝의 이론을 대입하
여 살펴보면 주관적 폭력으로만 그치지 않고 자본주의 모순 속의 주인공이 하
나의 탈출로서 폭력을 행사함으로써 거대한 구조적 모순에 저항하는 것이라고
21) 内田裕也・崔洋一(1983) 「10階のモスキート」, 月刊 シナリオ, シナリオ作家協会. p.157
이하 시나리오의 인용은 内田裕也・崔洋一(1983)에 의한다. 시나리오의 시퀀스 숫자는 인용문의
앞에 S#숫자로 표시한다.
22) 슬라예보 지젝 저ᆞ이현우·김희진·정일권 역(2011) 『폭력이란 무엇인가 - 폭력에 대한 6가
지 삐딱한 성찰』, 난장이. p.23~34, 참조
최양일 영화의 마이너리티 양상 ················································································
주 혜 정…389
도 파악할 수 있겠다.
최양일은 이 작품 이후 20년 뒤에 제작한 재일코리안 영화 <피와 뼈(血と
骨)>(2004)에서도 주인공 김준평을 점점 폭력적인 괴물로 변해가는 모습을
묘사하는 것을 통하여 탈출로서 폭력을 또 한 번 보여준다. 최양일이 영화에
서 계속해서 실행되는 폭력은 단순한 폭력이 아닌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대한
해방을 의미하는 폭력이라고도 볼 수 있다.
3.2 마이너리티의 탈출 -<꽃의 아스카 조직>23)
3.2.1 가상의 시공간
<10층의 모기>는 일본 사회 속에서 메이저리티에서 마이너리티로 이행되는
삶을 그렸다면, <꽃의 아스카 조직>은 마이너리티의 조직이 가상의 도시를 지
배한다는 이야기로 마이너리티에서 메이저리티로 가는 구도이다. 최양일은 이
두 편의 영화가 서로 다른 구도로 마이너리티를 그리지만, 결국은 주인공이
살아가는 사회에서 느껴지는 인간 소외로부터 오는 불안에 대하여 탈출의 시
도를 그린 것이다. 최양일은 이러한 마이너리티의 탈출의 방법을 폭력으로 표
현하였으며, 그러한 폭력을 통해 마이너리티가 나타내고자 하는 정체성에 대
해 이야기한다. 그는 다양한 정체성을 각 영화의 틀 속에서 마이너리티의 변
이 혹은 진화로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마르티아 센(2009)은“정체성이 다원적 성격과 다양한 함의를 지닌다는
것을 인식함과 더불어 불가피하게 다양한 정체성들의 타당성과 적절성을 판단
하는 데 있어‘선택’의 역할을 파악하는 것이 결정적으로 필요하다.”24)고
이야기한다. 이처럼 최양일은 영화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정체성은 그의 각 영
화 틀 속에서‘선택’한 탈출을 통해 마이너리티의 변이로 혹은 진화로 재현
하고자 하였을 것이다.
<꽃의 아스카 조직>은 1988년에 제작되었을 당시와 그다지 멀지 않는
199X년이라는 미래에‘네오가부키 타운(ネオカブキタウン)’이라는 시간과
23) <꽃의 아스카 조직>은 가도카와 쇼텐(角川書店)에 의해 발행된 월간 소녀 만화잡지 「月刊Asuka」를
원작으로 제작된 영화이다. 이 만화는 창간된 1985년 8월부터 1995년 2월까지 연재 되었으며,
Asuka라는 잡지이름과 만화 주인공 Asuka의 이름이 같다. 창간된 1985년은 소녀 만화계 뿐
만 아니라 일본의 만화 관련 산업이 절정을 이르렀던 시기였다. 따라서 최양일은 그 당시 TV
드라마로도 제작되어 방영 중이었던 만화를 가도카와사의 요구로 영화를 제작하였다. 최양일은
학원내에서 벌어지는 따돌림이나 불량소녀들의 이야기를 그린 원작과는 완전히 다르게 그가 직
접 각색하여 영화를 제작하였다. 崔洋一· 山根貞男(1988) 「檄論「花のあすか組!」から"荒井
晴彦の映畵評"批判」, シナリオ 44호, シナリオ作家協會. p.29
24) 아미르티아 센 저·이상환,김지현 역(2009) 정체성과 폭력, 바이북스. p.35
39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공간을 설정하고 이야기를 시작한다. 소녀 아스카가 미래의 시점에서 가상으
로 설정된 신주쿠(新宿)를 장악한다는 이야기이다.
이 영화는 폭력과 마약이 난무하는 가상의 신주쿠가 대부분 공간적 배경이
되고 그들에게 타협이 아닌 배반과 죽음으로 서로의 힘들을 과시한다. 마치
조지 오웰이 1948년에『1984년』이라는 작품을 통해 앞으로 미래에 대한 현
대의 험악한 분위기를 구체적인 장면을 표현한 것처럼25) 이 영화에서도 과장
된 인물과 배경일지라도 신주쿠의 미래에 대한 모습을 예견한 듯하다. 최양일
이 이 작품 이후 10여년 후 <개, 달리다(犬, 走る)>(1997)에서 이러한 가상
의 공간이 현재의 시점에서 구체적으로 재현되어, 다문화적인 문화와 경찰이
라는 권력의 타락을 신주쿠의 풍경으로 담았다. 따라서 최양일이 이미 <꽃의
아스카 조직>을 통해 이러한 모습을 암시하고 예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영화는 야간배경, 표현주의적 조명 배합과 무대, 복합적이고 때로는 냉소
적이며 반영웅적인 인물들, 그리고 범죄 음모와 사기와 폭력의 비틀리고 종종
비관적인 서사 등이 등장하는 필름 느와르 장르의 스타일을 갖추고 있다.26)
또한 필름 느와르의 시각스타일의 특징인 로우키(low-key)조명의 사용과 강
한 콘트라스트를 살려서 어두운 밤의 암흑세계를 다루었다. 이러한 특징은 인
물의 소외, 사회의 불안이라는 사회의 그늘진 이면뿐만 아니라 이 영화 장르
의 인물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데도 효과적이라 여겨진다.27)
<그림 5>
<그림 6>
아래 <그림 5>는 위의 설명과 같이 느와르 장르의 영화의 특징을 잘 보여
준다. 이 영화는 그림과 같이 시종일관 어두운 배경과 폭력과 마약이 난무하
25) 로제 다둔 저·최윤주 역(2006) 폭력, 동문선. p.76
26) 배리 랭포드 저·방혜진 역 영화의 장르 -헐리우드와 그 너머, 한나래. p.353
27) 남승석(2011) 앞의 책. p.58
최양일 영화의 마이너리티 양상 ················································································
주 혜 정…391
다. <그림 6>은 최양일이 직접 각색을 하여 설정한 가상의 시공간을 설명하고
있다. 물론 가토가와(角川) 영화사가 요구하는 작품으로 제작하기 위해 폭력
과 돈이 지배하는 거리로 변해 버린 신주쿠(新宿)라는 설정과 소녀 영웅을 그
려 넣었다.
가토 슈이치(2010)는 일본 문학의 경우에서 시공간의 초월을 다루는 작품
의 시도에 대한 작가의 동기를“외부에 대해 폐쇄적인 소속집단-전형적으로
는 도쿠가와 시대의 무사 가족·마을 공동체·일본 등-의 습관이나 규칙은
개인의 집단 편입을 강화하는 동시에 개인의 자유나 감정의 움직임을 제한하
고 억압하며 파괴하기도 한다. 이러한 집단에서 탈출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우
선 경계를 넘어야 하는데 경계 출입의 자유 결여는 집단의 질서 중 한 부분이
며, 집단 질서를 변화시킬 가능성 -합법적으로도 비합법적으로도-이 거의 인
정되지 않는다는 점이 탈출 소망의 동기 그 자체이다.”라고 이야기하였다.28)
그리고 가토 슈이치는 그 예로서 18세기 막번 체제에서 일본을 탈출하기 위
하여 망명을 꿈꾸다 끝내 이루지 못했던 지식인으로 공상적인 세계 여행기를
쓴 히라가 겐나이(平賀源内:1728~1780년)와 같은 인물을 언급했다.29)
위와 같이 최양일이 이 영화에서 가상의 시공간은 일본사회에서 마이너리
티의 삶으로부터 자신의 탈출을 꿈꾸게 하는 소망으로 표현되어 나타내고자
했다고 여겨진다. 또한 최양일은 가상의 공간에 대해서 다문화적인 사람과 다
문화적인 언어와 문화로 창출하였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최양일의
의도적인 장치는“결국 나는 이 나라에서는 애매한 추상적인 관념의 이방인이
아니라 외국인이지요. 이것은 광장한 것이라고 어느 대담에서 결론으로 말했
는데, 이것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이 영화에서도 조금 나옵니다만, 이러한 공
간이 창출된다면 오히려 좋다고 생각합니다. 근미래의 신쥬쿠의 뉴가부키 타
운이라는 가공의 거리가 아시아색으로 매워지는 것을 생각했던 것이지요.”30)
라는 이야기 속에서 확인할 수 있다.
즉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란 최양일은 일본의 단일민족국가라는 미명하에서
그가 마이너티리로서 살아가기에 힘들었던 소외감과 주류사회에서 넘지 못할
많은 벽들을 체험하였기에 자신이 꿈꾸는 세상을 영화에 이러한 장치를 통해
서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요모타 이누히코(1998)는“토지에 뿌리를 내린 공
동체라는 환상이 이미 소멸해버리고, 이방인끼리의 대립과 경합 속에서 더욱
혼돈의 정도가 심해지는 도쿄, 어떤 실재의 도쿄와도 관계없이 묘사하면서도
28) 가토 슈이치 저·박인순 역(2010) 일본문화의 시간과 공간, 작은이야기. p.248
29) 가토 슈이치 저·박인순 역(2010) 앞의 책. p.249
30) 崔洋一· 山根貞男(1988) 앞의 책. p.31
39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최양일은 마약제조공장의 세트를 비롯하여 몇 가지 메시지를 영화 속에 숨겨
놓았다. 한 예를 들자면 가죽점퍼 집단의 두목이 실은 한국계 일본인이라는
것이 악덕경찰에 의해 죽은 그의 장례식에서 어머니가 입은 흰 옷으로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흰 옷조차도 나란히 있는 등장인물들의 원색 의상속의 하나
에 불과하게 한 혼돈이야말로 감독이 노렸던 점이었을 것이다. 한국의 이장호
감독이 자신의 슬랩스틱 희극작품에 <바보선언>(1983)이라고 이름 붙인 듯이
최양일은 세트 한 구석에 한글로 ‘도시선언’이라 써 놓았다.”31)라고 구체
적으로 설명하였다.
최양일은 이 영화 후에 <A사인 데이즈(Aサインデイズ)>(1989), <달은 어
디에 떠 있는가(月はどっちに出ている)>(1993), <개, 달리다>등의 작품에서
도 다문화적인 배경으로 영화를 제작하였다. 이 영화는 최양일의 다문화적인
배경 영화의 원형이라 할 수 있겠으며, 그가 자신의 마이너리티성을 관객들에
게 인식시키는 시작이었다고 보여 진다.
3.2.2 탈출의 선택
이 영화의 시작은 세 부류로 세력권을 형성하고 있는 악의 축이 뉴가부키
타운을 지배하고 있다는 배경으로 시작한다. 세 부류의 악의 축은 거리깡패,
소녀비밀 결사대, 악덕 K관으로 나누어지고, 이곳에서 지향하는 것은 마약이
며, 오직 이를 위해 폭력만이 해결방법으로 존재한다. 최양일은 이러한 악이
지배하는 세상에 정의로운 영웅이 나타나서 새로운 세상을 지배한다는 헐리우
드식의 영웅을 등장시키지 않는다. 단, 아스카라는 소녀가 소녀비밀결사라는
조직을 떠나 친구 마코(マコ)와 함께 마약과 현금을 강탈하며, 이 때문에 K관
과 거리 깡패들 그리고 소녀비밀결사대는 아스카를 계속 추격하며 찾아 나선
다. 그러나 아스카는 항상 승리한다는‘슈퍼 히로인’으로 그려진다.
이 영화에서의 폭력은 객관적 폭력을 탈출하는 데 있어서 주관적 폭력을 행
사함으로써 자신의 소외로부터 벗어나려고 한다. 다시 말해 최양일 영화의 주
인공들은 돈을 중심으로 도는 도시의 일상 속에서 소외된 자의 탈출의 모습은
폭력을 통해 그리지만 결국 그 구조적 모순을 깨는 저항의 수단으로 폭력은
분명하다고 생각된다.
폭력으로 들끓는 도시의 한 복판에 10대 소녀 아스카가 모든 조직을 장악한
다는 내용은 다소 오락적이기도 하며, 그 당시 유행하였던‘스트리트 파이
31) 四方田犬彦(1998) 「電影風雲 日本映畵の新銳たち ─ 崔洋一 エスニシティーの顯現」,
世界. p.338
최양일 영화의 마이너리티 양상 ················································································
주 혜 정…393
타’라는 오락 게임과도 연관성을 띤다.32) 아스카의 영웅적 승리는 마이너리
티의 탈출로 이행되는 것이라는 점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아스카의 모
습은 처음부터 끝까지 싸워서 통쾌하게 이긴다는 카타르시스로 작용한다. 최
양일은 당시 1980년대 후반의 소비자들의 유행하는 경향과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제작사의 요구에 맞추어 영화를 제작하였다고 보여 진다. 그러나 최
양일은 이러한 오락성이 부각되는 영화 안에서도 자신의 가치관을 투영시켰다
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는 주인공 아스카의 맹목적인 승리에 초점을 두지
않고, 이러한 단순 구조를 극복하기 위한 설정으로 요코(ヨーコ)라는 인물을
등장시킨다. 요코는 아스카와 같은 조직에 있으면서 아스카와 함께 다니는 미
코의 언니이다. 요코는 비밀결사대의 우두머리 히바리(HIBARI)를 배신하고
아스카를 도와주다가 자신의 동생 미코를 자기 손으로 죽여야 하는 비참함을
느낀다. 그리고 요코는 그 비참함을 아스카와의 격투전에서 승리함으로서 극
복하려고 한다.
이러한 요코의 설정은 마이너리티로서 살아가는 이들이 주류와 합류했을
때 오는 갈등이라 할 수 있겠다. 큰 줄기의 조직에서 떨어져 나가는 마이너리
티는 아스카처럼 맹렬히 맞서 싸우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한
편 요코처럼 굴절되어 버린 마이너리티는 그 안의 조직에서도 제 목소리를 낼
수 없게 되어 버린 채 더욱 순종하며 살아야 되는 안타까움을 보여준다. 최양
일은 아마도 요코라는 인물 설정으로 마이너리티의 정체성에 대한 방황과 갈
등하는 자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그리고자 하였을 것이다. 최양일은 이러한 인
물 관계에 대한 제작 의도를“나는 일본에서는 외국인이긴 하지만, 나의 가장
청춘시절이었던 시기에 순조롭지 않았다고 생각하는데요. 그것은 컵에서 이는
폭풍우와 같은 작은 개인 문제가 아니라 잔속의 정치 같은 것이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총괄할 수 없으며, 총괄할 수도 없는 큰 사정이 있었지요. 이러한
부분에 대해 관계를 잘라 버릴 수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대해 자신의 작
품에 투영하려고 하지 않으려고 생각합니다만, 실제로 책을 써 보니 나와 버
렸네요,”33)라는 이야기를 통해 알 수 있으며 그의 마이너리티의 삶이 영화의
인물 속에 스며들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최양일의 이러한 인물 설정은 10
32) 崔洋一· 山根貞男(1988) 앞의 책. p.31
‘스트리트 파이터(ストリートアァイター)’는 일본에서 최초로 1980년대에 나온 게임으로, 이
게임의 세계관은 오직 스스로 강해지기 위해 수련하는 류의 일대기를 다룬다. 게임 방식은 1P는
무조건 류, 2P는 무조건 켄으로 플레이하게 되어 있으며 일본, 영국, 중국, 미국 등을 돌며 한
곳에서 2명의 무술가와 대결을 벌이고 총합 8명의 무술가를 모두 이기면 마지막 태국으로 건너
가서 중간 보스인 아돈, 최종 보스인 사가트를 쓰러뜨리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넷 검
색 http://ko.wikipedia.org/ 위키백과. 검색일 2015. 5. 30.>
33) 崔洋一· 山根貞男(1988) 앞의 책. p.32
39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년 후 <개, 달리다>에서 재일코리안이 자신의 정체성을 밝히지 않고, 일본인
경찰관과 불법 체류 알선자 중국인 틈에서 힘을 키우다가 결국 재일코리안 야
쿠자 우두머리에게 죽음을 당하는 모습과 비슷한 구조이다.
<꽃의 아스카 조직>에서 거리의 풍경은 일본도 아닌 중국도 아닌 묘한 아시
아적인 식당들과 일본어를 구사하는 사람보다 아시아의 여러 언어를 섞어서 소
통하는 사람들을 배경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아스카
의 영웅적인 모습을 재현하는 것은 마이너리티의 삶을 부정하지 않고 자체를
수용함으로서 미래지향적인 승리를 예견한 듯하다. 또한 최양일이 일본사회에
서 에스닉 마이너리티들이 상생하는 점을 암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맺음말
이상으로 최양일 영화 <10층의 모기>와 <꽃의 아스카 조직>에 나타난 마이
너리티가 인간소외와 폭력을 통해서 재현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최양일의
마이너리티 영화들은 크게 재일코리안과 오키나와인 그리고 일본인 내부의 마
이너리티로 나누어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최양일의 영화에서 표현하고 있는
인간 소외로부터 오는 폭력을 주관적 폭력에서 파생된 객관적 폭력으로 설명
하였다. 필자는 폭력에 대한 지젝의 객관적 폭력을 더 상세화시켜서 최양일
영화에 나타난 폭력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겠다.
재일코리안과 오키나
와인의 마이너리티에 대한 영화는 자본주의에서 가장 확장된 형태인 제국주의
의 구조적 모순에서 파생된 폭력을 형상화시킨 것이라고 본다면, 본고의 두
편의 영화는 일본인 내부의 소외된 자(마이너리티)의 자본주의 자체의 구조적
모순에서 파생된 폭력을 형상화시킨 것으로 구분 할 수도 있다.
본고에서는 최양일의 영화에 나타난 인간소외와 폭력으로 재현된 마이너리티
의 삶들이 현대 일본 자본주의 구조적 모순에 기인되었는가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또한 본고에서 다루는 작품들은 최양일의 작품들 중에서 마이너리티
가 선택한 양상이 두드러진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최양일의 영화에 나타난 마이너리티가 추락 혹은 부상을
하는 본질은 인간소외에 대한 탐구에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마
이너리티가 이를 극복하는 과정으로 폭력은 사회적 모순에 대한 도발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따라서 향후의 연구에서는 최양일의 제국주의의 구조적 모순
을 다룬 재일코리안과 오키나와인에 관한 영화를 중심으로 인간소외와 폭력이
어떻게 재현되었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최양일 영화의 마이너리티 양상 ···················································································
주 혜 정…395
【참고문헌】
·가토 슈이치 저·박인순 역(2010) 일본문화의 시간과 공간, 작은이야기. p.248
·강우원용(2010)「일본 마이너리티문학의 양상과 가능성 -오키나와문학과 재일국한인·
조선인문학을 중심으로-」, 일본연구 제14집,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p.206
·더들리 앤드루 저·김시무 외 역(1995) 영화이론의 개념들, 시각과 언어. p.161
·로제 다둔 저·최윤주 역(2006) 폭력, 동문선. p.76
·배리 랭포드 저·방혜진 역 영화의 장르 -헐리우드와 그 너머, 한나래. p.353
·송인선(2013) 「반역하는 ‘단카이(団塊)’-전공투(全共鬪)와 일본의 대중사회-」, 현
대문학의 연구 50집, 한국문학연구학회. pp.179-180
·슬라예보 지젝 저 · 이현우,김희진,정일권 역(2011) 『폭력이란 무엇인가 - 폭력에 대
한 6가 지 삐딱한 성찰, 난장이. p.23~34 참조
·아미르티아 센 저·이상환,김지현 역(2009) 정체성과 폭력, 바이북스. p.35
·양인실(2013) 「일본 TV 영상물의 재일제주인의 표상」, 일본비평, 8호, JIS 서울대학
교 일본연구소. p.116
·이은영(2005)「이름과 언어를 통해 본 재일한국인의 아이덴티티」,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30
·이홍균(2004)『소외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p.35
·장윤정(2004) 「모더니즘의 알레고리와 비전으로서의 필름 느와르 -팜므파팔, 검열, 하
드보일드의 중충 결정으로서의 장르적 재구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
박사 학위 논문. p.8
·岩間曉子·ユヒョンヂョン(2007) マイノリティとは何か, ミネルヴァ書房. pp.26∼32
·内田裕也・崔洋一(1983) 「10階のモスキート」, 月刊 シナリオ, シナリオ作家協会
·加藤健次(1994) 「崔洋一論 ─ 物語の磊落性と笑いによる高度なエエカゲンについて」, 
現代詩手帳 37輯 7号, 新潮社.
·崔洋一・インタビュー編集部(1983), 「<プロフイル崔洋一、自分のアイデンテイテイ─が
いかに時代と切り結ぶか。。。」, シナリオ '83 7月호, シナリオ作家協會. p.75 ·崔洋一·山根貞男(1988) 「檄論「花のあすか組!」から"荒井晴彦の映畵評"批判」, シ
ナリオ 44호, シナリオ作家協會.
·崔洋一(1994) 崔洋一の世界 日本テレビ. p.8
·______(2002) 「在日コリアンの目をとうして見た 日本と韓国の子供・若者たち(全体シンポ
ジウム アシアにおける共生:若い世代のこれからの日韓関係・人的交流,発表要旨)」, 日本
教育学会大会研究発表要旨, p.61
·宮崎学・崔洋一(1998)「「在日」も文化も混在すればもっと面白くなる」『論座』朝日新
聞社, p.13
·山根貞男(1983), 「十階のモスキートの崔洋一監督,期待の第二作 性的犯罪」, キネマ旬
39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報, 866호, キネマ旬報社. p.94
·四方田犬彦(1998) 「電影風雲 日本映畵の新銳たち ─ 崔洋一 エスニシティーの顯現」, 
世界, 岩波親書. p.338
·DVD(2009) <十階のモスキート>, 日活株式会社.
·DVD(2007) <花のあすか組>, 角川映画株式会社.
최양일 영화의 마이너리티 양상 ···················································································
주 혜 정…397
要 旨
This study aims to speculate on how human isolation and violence
mass-produced through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in Japanese
society was reproduced in the minority lives as shown in movies
directed by Choi Yang Il.
This study gave focus to minority who were considered weak in
Japanese society in movies produced in the early period of director
Choi's career in the 1980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osquito on the 10th Floor> and <ASUKA gang of flower>.
These films depicted different aspects of the minority due to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in Japanese society.
In <Mosquito on the 10th Floor>, a policeman who is in a higher
place in society is reduced to a robber who is in the minority of
society. This indicates a change in status moving from a higher
level to a lower one.
In <ASUKA gang of flower>, a girl who was
minority moved up and became part of a majority class. Choi
Yang-Il explored human isolation based on the nature of the drop
or rise in class through movement.
Choi Yang Il considered a violent minority used as a means to
overcome
human
isolation
as
an
attack
on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in society. He configured minorities inherent in the
Japanese as violence derived from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in
capitalism.
キーワード: 마이너리티(minority),
자본주의(capitalism), 폭력(Violence),
인간소외(Human isolation), 최양일(Choi Yang Il),
자본주의(Capitalism)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재확정일 : 2015. 7. 4
中国经济의 不安定性 增大와
日本企業의 對應戰略
1)崔
聖 伯*
(e-mail: [email protected])
目 次
1.서론
2.재도약을 위한 부정부패 척결
3.중국경제의 관제버블화
3.1 관제버블의 배경
3.2 관제버블의 위험증대
3.3 과제버블과 도시화
4.민영기업의 역할 증대
4.1 민영기업의 역할
4.2 민영기업의 기술혁신
4.3 민영기업 성장의 한계
5.일본기업의 대응전략
5.1 일본기업의 현지화 상황
5.2 대중국 진출기업의 애로점
5.3 일본기업의 대중국 전략
5.4 중일관계 개선과 경제협력
6. 결론
1.서론
2015년 3월 중국 북경에서 전국양회가 개최되었다. 이곳에서 중국정부는 ‘15
년 업무보고를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 하향조정과 개혁심화 그리고 일대일로
등 실현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주목할 부문은 올해 중국의 GDP증가율 목표를
7%수준(2014년 목표는 7.5%)으로 하향 조정한 부분이다. 2년 연속 경제성장률
의 하양조정이다. 같은 시기 세계은행도 세계경제전망보고서를 통해 올해 중국
의 경제성장률을 7.1%로 하향조정하였고 IMF는 이보다 낮은 6.8%로 전망하
고 있다. 각 기관이 제시한 달성 목표치는 지난해 7.5%보다 크게 후퇴한 것이
다. 중국은 지난해 부동산 침체 등으로 24년 만에 경제성장률이 7.4%로 최저
를 기록했다. 특히 부동산시장의 불안은 중국경제성장을 더욱 혼란스럽게 하고
华 学 商学院 教授
* 西安培 大
40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있다. 현재 중국에는 부동산개발업자의 파산과 건설공사 중단이 빈번하게 발생하
고 있다. 뿐만 아니라 부동산 평균가격도 하락 압력을 받고 있는 가운데 만성적
인 공급과잉 상태다. 문제는 상당수 건설관련 회사들은 자금조달을 비제도권 금
융을 이용하고 있어 위험의 실체파악도 힘들다. 부동산시장의 혼란으로 중국경제
는 더욱 어려운 환경에 놓여 있다. 중국 국내총생산(GDP)에서 부동산 부문이 차
지하는 비율은 15%정도로 은행이나 건설 등 다른 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것 까
지 감안하면 중국경제도 일본경제도와 같은 잃어버린 시대가 도래 할 수 있다.1)
현재 중국은 세계 500대기업들의 격전지가 되었다. 그러나 최근 중국정부는
자국산업보호를 위해 해외기업에 대한 규제강화를 언급하고 있어 글로벌 기업
들은 대중국 사업전략을 수정하고 있다. 이미 중국진출 해외기업들 일부는 중
국 국내의 임금 및 원자재 가격상승 그리고 중국정부의 일관성 없는 정책 등
으로 제조시설을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거나 자국으로 U턴하는 사례가 증가하
고 있다. 특히 의류, 신발, 완구 등 노동집약적 산업이 집중적으로 철수하고 있
다. 아디다스가 중국내 마지막 생산 공장을 폐쇄하였고 미국 완구기업 웸-오
(Wham-O)도 중국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50%를 미국에서 생산하기로 했다.2)
중국내 해외투자기업 중 투자금액이 많은 일본기업들 역시 중국내 기업환경
변화와 중일관계 악화 등으로 철수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일본기업들은
투자액과 진출기업 수가 대중국 해외진출기업 중 가장 많다. 일본기업들의 대
중국진출은 비교적 빠른 시기에 이루어졌다. 1978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이
선포될 때부터 진출이 시작되어 1989년 톈안먼 사건으로 잠시 위축되었으나
덩샤오핑의 남순강화를 계기로 1993년경부터 다시 급증하였다3). 하지만 1997
년 아시아 외환위기 여파로 일시적으로 둔화 시기가 있었지만 이후 일본기업
들의 대중국진출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일본기업들의 진출형태는 합작형태가
많고 진출지역은 연안부에 집중되어 있다. 이들 기업은 섬유, 전기, 기계 등 일
본을 대표하는 산업들이다.
일본기업들이 중국에서 다른 지역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하는 것은 중국내의
생산비 상승으로 인한 것도 있지만 중일관계의 악화 영향도 미친 것으로 보인
다. 작년 북경 APEC(아세아 환태평양경제협력회의)에서 각국 영수회담에서
중일 정상회담은 없었다. 뿐만 아니라 시주석은 올해 난징대학살 추모식에서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시했다.
양국 여론도 국교수립 이후 최악의 관계다. 최근 관영 영자지 차이나데일리
1) 부동산 버블 붕괴는 과거 미국과 일본 등 많은 선진국의 경제하강으로 이어졌다. 중국도 부동산대
책이 실수하게 되면 중국경제의 혼란에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2) 코트라(2013)『중국의 한국기업 진출현황』,p83
3) 최성백(2014)「동북아의 신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상과 그 가능성」『일본문화학보제61집』, 한국
일본문화학회,p215
중국경제의 불안정성 증대와 일본기업의 대응전략 ·············································· 최 성
와 일본의 비영리단체
…401
백
로는 ’14년 7월 14일 중국인 1천539명과 일본인 1천명
겐
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면 일본 응답자의
따르
3%가 중국에 대해 부
9
정적이며 중국인 응답자 86.8%도 일본에 대해 부정적이다.4).
이런 배경으로 최근 일본의 대표적인 기업 도시바, 시티즌에 이어 파나소닉
도 중국에서
자처를
투
수했다. 일본기업들은 대중투자 대신 인도네시아나 태국 등에
철
기고 있다. 그동안 외국기업의 대중국진출은 저렴한 생산비
옮
었다. 그러나 중국의 생산연령인구는 ‘15년을 정점으로 감소하여
력을
게 제공하는 발전모델
싸
문이
때
부한
풍
동
노
지도 힘들게 되었고 고정자산투자에 의존하든
유
성장전략도 수정을 해야만 한다.
올해 중국정부는 내수확대를 통한 국민의
있다. 지난 30년에
대의 수정에
걸쳐
력을
이는데
구매
연평균 10%이상 성장에
점을
높
초
고
맞추
해진 중국은 고도성장시
익숙
면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주의 시장경제라는
조적 문제가 있
직
구
다. 사회주의 경제체제하에서 경직된 조직문화로 자율성 저하, 부정부패로 시
장경제의
왜곡
이 심각하다. 더구나 지방정부지도자의
장률이
영되고 있어 무분별한 난개발과 부동산 공급과잉 그리고 그에
반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게다가 특권에 안주하여
민영기업의 발전 기회마저 저해하고 경제자원의
으로 부정부패의
착
제성장의
본
력 평가에 지방 경제성
능
화를
변
는 국유기업은
않
점뿐 아니라 국가권력과
독
상이 되고 있다. 지금 중국정부는 부패척결로
온
유
로운 경
새
하고 있다.
모색
문은 중국경제의 급속한 성장으로
래된 부정부패와 관제버블 그리고
논
국유기업의 문제점에 대해
들의 이탈
력하지
노
른
따
초
보기로 한다.
살펴
한 최근 중국시장에서 해외기업
또
임 있는 가운데 비화교계 기업으로 대중국
움직
일본기업들의 대응전략에 주목할
을 뿐 아니라 중국시장 이탈
많
이러한 일본기업들의
자가 가장
투
은
많
가 있다. 일본기업들은 대중투자가 가장
필요
임도
움직
게 나타나고 있다.
빠르
임을 한국기업들은
움직
으로
교훈
아야할 것이다. 일본기
삼
업들은 다른 해외지역에서도 한국기업들과 경쟁관계에 있지만 대중국에서도
은
많
부문이 한국기업과 경쟁관계에 있다. 이런 관계에 있는 일본기업들의 대응전략은
으로 한국기업들의 대중국 진출 전략에
앞
은 시사점을
많
줄
것으로 생각된다.
2. 재도약을 위한 부정부패 척결
중국의 10대 경제학자
4)
PO(2014.7.14)
特定営利団体活動言論N
(
)5)은 현재의 중국경제를 위기로 진단하
랑셴핑 朗咸平
40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고 있다.
수는 중국경제성장으로 대변되는 주식, 자동차, 부동산시장의 회
랑교
세와 사치품시장의 성장은
자환경의 불균형과 과잉생산을 가져왔고 제조
복
업에
투
자될 자금이 비생산적인 곳으로 이탈을 지적하고 있다.
한 한국국회
투
또
연구포럼6)에서도 중국경제를 위기로 진단하고 있다. 사실 중국은 제도권금융
외의 금융부실문제, 기업의
문제, 부동산/지방정부 부실
대 등 해결해
디폴트
확
할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 중국정부도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지만 그 중
야
에서 가장 심각하게 보는 것이 중국사회의 부정부패다. 부정부패는 자원분배를
시킬 뿐 아니라 사회불평등에 대한 국민의
감을 증폭시켜 사회불안을
왜곡
기하기
야
척결에
패에
반
문이다. 지난 정부도 중국사회의 부정부패 심각성을 인식하고 부패
때
력은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노
동안 관행처럼 이루어져
오랫
부정부
왔던
해져 있는 고위층의 저항으로 개혁이 실패하였다.
익숙
시진핑정권은 부정부패척결에 대한 의지가 강하다. 부정부패를 그대로
는
로운 경제성장을 기대하기 어렵기
새
결을 위한
공경비의
삼
와 호화 연회를 금지시켰다.
이다. 비공개로 이용되던
감독이 강화되었다. 이에
및 운행유지비, 공무접대비를 일컫는
공경비 사용에 대한 규정과 조례도 제정되어 관리
삼
라 중국의 주류시장과 고급요식업이
따
다. 20년 전만 해도 중국의
사치품과
주(名酒)인
명
이주(白酒)는 일반국민들이
바
(
)
큰
격을 받
타
이주(茅台
우량예 五粮液 ,
마오타
비할 수 있을 정도의 가격이었지만
소
자소장품 등으로 이용되면서 가격은 급등하였다. 그러나 관료에 대
투
한 부정부패척결이 실시되면서 다시 대부분의
중국사회의
부패는
공경비(三公经费)란
삼
삼
았
)와 같은
구입
우
공경비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09년 후반
말
부터 내역이 공개되었고
선 부정부패척
때
축소
공무로 인한 해외출장비, 공무차량
酒
문이다. 중국정부는
고
두
주 가격이
명
락하고 있다.
폭
불평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공산당의 일당
제로 인한 부정
소득
독
불평등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특히 중국정부는 부정부패에 대한
소득
단속을 실시하면서
치를
법
난히 강조하고 있다. 그 이유는 저항이 강한 고위
유
을 대상으로 부패단속을 하기 위함이다. 현재 개혁의 대상에는 과거
층
는 고위층이
래 없
유
되어 있다. 공산당 중앙 기율검사위원회에 의하면 지난해
포함
반
부패 협의조사 공무원은 400명에 이르고 이중 성, 시 당위원회 서기나 성장,
시장,
장, 이사장, 총장 등 고위급 공무원이 160명에 이른다.7) 이미 지난해
청
저우융캉 전정치국 상무위원과
차이허우 전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쉬
전국자위 주임, 리둥셩 공안부 부부장 등 장관급 28명이
물
및 공금
횡령
등
범죄
속되었다.
구
지에민
쟝
한
또
뇌
금액이 100만 위안 이상 사건이 3664건이나 되고 현
5) 랑센핑․郞咸平(2011), 『새로운 중국을 말하다』한빛비즈p24
6) 국회의원연구회(2014), 『한․중 정치경제포럼』「중국경제의 기회와 위기,
7) www.moneyweek.co.kr제8381호
리의 대응방안」p32
우
중국경제의 불안정성 증대와 일본기업의 대응전략 ·············································· 최 성
단위 이상 지방정부 공무원도 4000명이상이
대상이 은행권으로
…403
백
속되었다. 최근에는 부패척결의
구
산되고 있다.
확
한 지방정부에 대한 권력견제를 위해 행정최고책임자에게
또
신책임을
종
묻
는 제도도 만들어졌다. 중국은 지방정부지도자의 실적 평가수단으로 경제성장
률이 이용되고 있어 이
나
문에 지방정부지도자는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개발이
때
비성 공공사업을 강행하는
낭
로는 책임자에게
가 적지
예
신으로 책임을
종
다. 이러한 행동방지를 위해
않
으
앞
을 수 있게 되었다.
물
중국이 공업주도형 경제에서 서비스업주도형 경제로,
자주도형 경제에서
투
비주도형 경제로 조정되는 과정에서 개혁은 중국경제에 호제로
용할 수
소
작
있다.
3.중국경제의 버블화
3.1 관제버블의 배경
중국의 경제성장도 건설산업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부동산 서비스
(CBRE) 조사기관에 의하면 ‘14년부터 2년간
공될 세계
완
10개 중 8개가 중국에서 건설되고 건설지역은 주로 상해,
하여 스추안성(四川省)
롯
시까지
(
)나 후베이성(湖北省)
청두 成都
자로 이루어졌으며 향후 10년 동안 그 수가 급증하여
00년에 비해 20배로 증가하게
명
다.8)
년 신규고용자가 1000만
매
지에
력했지만 현재는 고용흡수력이
노
7.2%를 적정 수준으로 보고 있다.
준을
에 달한다. 연
명
의 신규고용자를 고용하기 위해서는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7%이
지를 해야만 한다. 과거 중국정부는 실업률 상승을
유
장면적은
매
된
중국은 건설업 경기의 영향으로
유
한(武汉) 등 내륙도
우
투
’
상
진 등 연해부를 비
천
넓
원 규모의
1000만
위)
순
게 전개되고 있다. 내륙에는 아시아자본의 재개발업체가 1000억
폭
간
(면적
쇼핑센터
큰
기 위해 8%성장률
막
3차 산업 점유를
이기 위해
높
라서 ‘14년도 경제성장률 7.4%는 목표수
따
은 것으로 중국정부의 목표치를 달성했다고
넘
볼
수 있다.
문제는 부동산시장의 비정상적 과열로 부동산시장의 위험이
출되고 있다.
노
중국(증권일보)은 지난해 75개 상장사의 평균 자산대비 부채비율(이하 자산부
율)이 지난해에 이어 70%를
채
도는 기업이 74.05%에 달한다. 일반적으로 부
웃
동산개발업체의 자산부채율 안전선은 최대 60-70%정도다. 75개 상장사 중 부
규모가 100억 위안(약 1조 7600억 원) 이상인 기업도 34개에 달하고 중국의
채
8)
hina(Cmmercial
CBRE C
eal
R
state
E
e ice)(2014)
S rv
40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대표 부동산 개발업체인
(
)
완커 萬科 ,
리(保
바오
) 자오상부동산(招商地産)의
利 ,
부채규모는 각각 3925억1500억 위안, 2848억9300억 위안, 1079억4600억 위안으
로 1000억 위안을 크게
고 있다. 최근 중국정부는 부동산시장 회복을 위한
웃돌
각종 부양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수급문제는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다. 부동산
수급문제는 시장에 의한 것도 있지만 지방정부정책의 영향이 크다.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지도자의 실적평가기준을 경제성장률이 중요한
단기준이 되기
문
판
때
이다. 이런 환경에서 각 지방정부는 단기간 성과를 만들기 위해서는 부동산개
발
자에 적극적일 수밖에 없다. 문제는 부동산개발이 시장의 수급에 의한 것
투
이 아니라 지방정부의 자의적인
단에 의한 부동산정책과 부동산개발에 부족
판
한 자금을 차입에 의존하는 것이 문제다. 최근 은행을 경유하지
즉 그림자
d
은행(Sha
g
bankin )
ow
9
)을
13년 6월말시점에서 지방정부채권과
통한 지방채권
발채권의
’
대를 용인하고 있다.
확
계는
우
는 자금조달
않
합
누계
17.9%로 이는
국민총생산의 34.4%에 달한다. 최근에는 지방정부의 무분별한 차입 규제를 위
해 제도권은행을 통하지
는 차입은 규제하고 있다.
수요에는 지방채 발행과 민간자본을
망이지만 지방채 발행의
아지게
앞
질전
용하는 관민연대 중심으로 이루어
활
가 등으로 지방정부
허
자에 제동이
투
겪게 되고 부동산시장도 어려 을 겪게
위기나 도산이
값하락으로 이어 중국
달에 어려움을
개발업자의
으로 지방정부의 자금
않
움
집
져
될
형
리면 자금조
걸
것이다. 결국 부동산
관제버블위험성이
높
다.
된
3.2 관제버블의 위험 증대
중국은 리먼
크 당시 총액 4조 위안에 달하는 버블안정화 정책자금과 부
쇼
택
동산 가격안정을 위한 주
상
의 경우
구매
택
기목적으로 보고 주
투
택
제한령을 실시하였다.10) 주
구입
택
자는 2채 이
구매
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였다.
구입
한
또
3채 이상은 기본적으로 주 대출을 할 수가 없게 하였다. 그 결과 ‘11,’12년 부
동산가격은 비교적 안정되었다. 그러나 시진핑정권 들어서면서 여전히 부동산
시장의 수급불균형은 지속되고 있어 시진핑정부는(중국인민은행과 은행업무감
관리위원회) 3채
독
림
의 경우 보증금비율을 30%로 내리고 대출도 기준금리
구매
d
g
슷
엄
)그 자 금융(Sha ow Bankin )이란 은행과 비 한 신용중개 기능을 하면서도 은행처럼 격하게
건전성 규제를 받지 않는 금융기관과 금융상품을 통 어 일컫는 말이다. 그 자 금융(Sha ow
Bankin )은 말의 어감이
가 부정적인 새를 풍 비리와 부정과 연관된 것처럼 보이지만 유사
금융(
)이라고 하는 표현이 더 적 할 것 같다. 은행처럼 을 려주는 기능을 하지만 은
행처럼 격한 규제를 받지 않는다는 의미다.
10) 2009년 이후 부동산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자, 도시에 거주하는 외지인의 1가구 2주 구입을
제한하는 주 구입 제한조치를 전국적으로 실히 했다. 올해부터 집 이 하락세가 지속되자 일부지
역에서 규제를 완화하고 있다.
9
g
類似金融
엄
택
뭔
냄
절
겨
틀
돈 빌
값
림
택
d
중국경제의 불안정성 증대와 일본기업의 대응전략 ·············································· 최 성
렸
의 0.7배 내 다. 뿐만 아니라 대출도 은행의
단에
부동산투자하락으로 중국경제의 불안정성이
동산
라 가능하도록 하였지
판
만 부동산시장은 수급불안과 가격하락의 위험이
따
지고 있다.
커
아지는 가운데 중국정부는 부
높
성화를 위한 도시화정책에 기대를 하고 있다. 중국은
활
도시이주가 1000만
명
택
이상에 달한다. 그러나 현재 주
택
세지만 인구감소 등으로 주
구입
농촌주민의
년
매
의 평균연령은 27
구입
연령층이 ‘20년 이후는 크게 낮아지게
택
결국 중국정부는 도시화정책에 기대하고 있지만 주
가능성도 있어 중국경제의 관제버블화 위험관리가
화정책으로 부동산시장 안정에 도움을
창
…405
백
자의 감소로 실패할
구매
하다. 중국정부의 도시
필요
것인지 의문이
줄
다.
된
다.
든
찌
를 들어
예
앙
江蘇 常州市)는 상해에서 북서로 170 로 이동하거나 북경에서
상해고속 도로 약1시
이동하면 도시와 농촌부의 인 부분 있다. 이곳은 상
해나 찌 수(江蘇) 무시(無錫) 난찡(南京) 등 주 대도시에 경 의 도 있어
수성 지우시(
省
철
키
간
앙
접
,
,
변
쟁
식
지방정부가 대규모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그런데 부동산공급은 현지인들의
구
갈 수 없는 공급과잉이다. 이곳은 중국의 10대 가격하락지역이기도
하다. 다른 지 의 사정도 비슷하다. 지 정부 주도의 주택공급정책은 수급과
력을
매
라
따
방
방
는 다르게 진행되고 있다. 실적과 지방정부의 자의적인
되기
단으로 정책이
진
판
추
문이다.
때
이러한 현상은 중국특유의 부동산정책
문이다. 중국의 부동산개발은 정부
때
농민들에게 토지를 수용하여 국 화하고 민 주택개발업자에게 각
(토지사용권)한다. 토지사용권
각은 지 정부의 주
수 원이
다. . ‘13
년 중국 지 정부의 토지사용권 각 수 은 3조 위안에 달한다. 이 금 은 지
정부 전체수 의 5할에 달한다. 즉 지 정부가 중국최대의 민 택지개발업자
인 것이다. 토지사용권
각 차 의 감 는 지 정부 재정위기를
래하기
문에 무엇보다
과 가격 지를 해 만 재정자 도를 지할 수 있다. 이
가
선
우
매
방
방
매
유
간
방
요
매
입
입
입
액
방
매
익
판매량
간
소
유
방
초
야
립
때
유
정부의 비정상적인 정책이 부동산의 수급불균형과 가격
런
11)
된
을
왜곡
기하고
야
있다. 다른 하나는 지방정부지도자의 단기실적 수단으로 부동산(건설)시장이
이용되면서 수급을 어렵게 하고 있다. 부동산(건설)업이 단기적으로 경제적 파
효
급 과가 크고 실적도
게 나타나기
높
문이다.
때
중국은 그동안 자본투입으로 성장해왔는데 자본이 부동산으로 과잉
면서 공실 부동산이 증가하고 있다. 만약 자본투입속도가
층
아져 중국경제의 관제버블은 한층
높
토
아지게
높
다.
자되
투
늦춰지면 위기는 한
된
토
11) 중국의 경우 지는 개인소유가 아니라 국유이다. 각 용도에 따라 지사용권이 주어지는데 주거
용은 70년, 공업용 50년, 교 , 과학, 문화, 위성, 체 용지 50년, 상업, 여행업, 오락업 40년 등으로
지매매시 한국과 같이 개인소유가 아니라 사용권이 매매된다 중화인민공화국 도시와
국유
지사용권 판매 및 양도 임시조례
토
육
>
육
<
읍
토
40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3.3 과제버블과 도시화
중국은 저출산,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도시화가
농촌의 잉여인력을 도시로 하게
찬가지로 산업 조의 전환 등을 통해
다.
유입
마
써 과거 고도경제성장기 일본과
으로
함
구
진되고 있
추
생산성향상을 기대하기
문이다.12)
때
일반적으로 저출산, 고령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지금과 같은 생산성 증가를
지하는 것은 결코
쉽지는
유
다. 그래서 나온 것이 ‘13년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않
도시화정책이다.13) 중국의 도시화율(전체 인구 가운데 도시 인구 비율)은 2011
년 기준 51.3%로 다른 선진국의 70%이상인 점을 고려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
< 프1>.
에 있다 그래
충분하다.
라서 도시화를 통해 미래의 경제성장 여력은
따
<그래프1>세계 각국의 도시화율
100
90
90
80
89
82
70
82
79
74
60
50
52
50
세계평균
중국
40
30
20
10
0
일본
호주
한국
T M MIT UI T
国経済 長の可能性 3
자료:SUMI
O
O
S
成
US
R
미국
T
BAN
영국
독일
K(2013.2) 調査月報
『
市化による中
2013.2』「都
」p
도시화는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농촌주민의 도시 이주로 산
업별 1인당 생산성은 제2차 산업에서 제1차 산업의 5배 이상, 제3차 산업에서
도 4배 이상
났
은 것으로 나타나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
높
촉진시
경제성장을 가 하도록 하고 중 도시(상해시등의 대도시는
외)는 농촌에서
이주해
사람에게 도시주민과 같은 호적을 부여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농촌
에서 이주해
사람들은 사회보장이나
육 등에서 도시호적이 갖는 권리를
다.14) 중국정부계획은
농촌에서
능
도시로 인구를 이동시켜 도시화를
소
켜
예
온
온
교
于涛(2013) 中国人口老龄化与老年消 问题研究 人口、资源与环境 济学 吉林大学 34
UMIT M MIT UI T U T
K(2013.2) 市化による中国経済 長の可能性 調査月
報 2013.2 3
14) UMIT M MIT UI T U T
K(2013.2) 市化による中国経済 長の可能性 調査月
報 2013.2 4
12)
13)
「
S
O
S
O
O
费
」『
经
』,
,p
S
R
S
BAN
「都
成
」『
S
R
S
BAN
「都
成
」『
』,p
O
』,p
중국경제의 불안정성 증대와 일본기업의 대응전략 ·············································· 최 성
…407
백
갖지 못해 사회문제가 되었다. 중국정부는 도시화로 경제성장의 달성과 빈부격
차를 해소한다는 것이다.
중국의 생산연령인구는 ‘15년을 정점으로 감소한다. 생산연령인구의 감소는
질수
동력 감소로 이어지고 중국경제성장도 한계를 가
노
에 없다. 그래서 무
밖
엇보다 1인당 생산성을 어떻게 끌어올리는가가 과제다. 도시화의 가속화는 농
촌에서 공업 서비스 산업의 조전환을 촉진시 고 도시에는 규 경제나 위
,
구
경제로 생산성을
키
젊은 인
구
이는 역할을 한다.
~
인구조사에서 20 39세
기할 수 있다. 도시화로
야
농촌의 고
이동이 가속화되면서
화를
령
젊은 경제
농촌에
게 할 수 있다. ‘10년
빠르
동인구는 약 3할 이상이 도시부에
은 것
노
났다. 이것은 가속도적인 인
으로 나타
범
높
그러나 급속한 도시화는 여러 가지 문제를
서
모
많
농촌에서 고 화 사회를 지탱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이주자에 대해
이동으로
구
령
하는 연령층이 급속하게 감소
도시호적이 부여되면
젊은
동인구의 도시이동이 가속화되고 그 후도 이주자
노
의 대부분은 도시에 거주하게
차를
대시켜 지역
확
인구는 2억
현재
취
이
초
)이
넘
젊은 인
명
가 도시부에 이동하면
구
농촌에
농촌은
농촌에서
거주한다.
고령화 사회로 진입될
초
곤
까지 일어날 위험성이 있다. 도시화는 생산성향상에 기여하지만 동시에 적절한
시책이 이 어지지 못하면 지역
격차를
대시 고 농촌에서 고 화를
가속화시
양쪽
불균 이 심화
뿐이다. 셋째 이주자의 도시호적 부여는
가능성이
다.15) 더구나
높
농촌의
성 격
구구
래할 수 있다. ‘25년에는 중국의 고령자
소득
지만 그 6할(1억2000만
명
중
학
격차를
간
농촌부의 인
다. 이로 인해 도시부와
된
루
낮은
간
켜
간
형
수준을
소득
소득
치하면 고령화에 빈 화
방
확
키
령
될
도시호적자의 사회보장부담 증가를 강하게 한다. 중국뿐 아니라 중소득국가의
대부분은 사회보장제도의 일원화에 어려움을 격고 있다. 공무원이나 민간기업
자에게 적용되고 있는 사회보장제도를
자에게 동등하게 적용하는 것은
있는 중소득국가의 공통점은
쉽지
농촌이주
다. 사회보장제도정비의 어려 을 겪고
않
격차가
소득
수준이 낮은 자영업자나
소득
움
큰
가운데 공평한 제도를 만들기
문이다. 고소득자에서 저소득자로 자금이전의 강제는 사전에
최근 태국이나
수 있다.
볼
중국은
레시아의 정치
말
,
사회불안은 사회보장제도
것으로 전망되지만
하다.
합
필요
의의 어려움을
합
농촌부에서 도시부로 2-3
常州市의 사례를 보듯 도시화로 인한 인
으로 도시화의 진전으로
앞
의가
억
때
엿
이 이동할
명
이 부동산
구유입
의 실수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조건이 있다. 그것은 공급된 부동산이 근
구매
로자가
살
수 있는 가격이어야만 한다. 그러나 지방정부는
15) 정국정부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25년에 고령화률을 20%이상으로
토지사용권
정하고 있다.
추
각을
매
40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통해 재정수입을 조달해야 하기
택개발업자의 재고부
문에 가격인상의 주체가 되고 있다.
한 주
때
또
으로 가격폭락 위험성도 상존하고 있다. 결국 관제버블
담
의 위험성이
아 보인다.
높
중국의 도시화 건설
찰에 국
입
기업
유
참가율이 압도적이다. 이것은 공정한 가격
경쟁이 아니라 정경유착의 산물로 각종 문제점을
이고 부실공사 위험에
출될 수 있다.
노
기하고 있다. 부정부패는
야
엇
참가가 중
라서 무 보다 민영기업
따
론
물
하
요
고 동시에 민영기업에 시장의 자율성도 보장되어야만 한다. 민영기업은 시장원리
됨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다.
적인 참가를 도할
가 있다.
가 적용 으로 부동산의 가격안정과 수급안정에
된
라서 부동산안정을 위해서 민영기업의 적극
유
따
필요
4.민영기업의 역할 증대
4.1 민영기업의 역할
짧은 기 에 눈부신 성장을 이룩하였다. 중국 경제성장에는 국
기업의 역할이 컸다. 중국정부는 전략적 파 너인 국 기업에 금융과 행정적
지원의 특혜를 주었다. 이
과정에서 국 기업과 정부는 더욱
이 심화되
었고 부정부패라는 사회적 부 용을
래했다. 국제
성기 (TI 2014))에
면 중국은 세계 175개국 중 부패인 지수(
u ti n Pe ce ti n Index PI)
중국경제는
간
유
트
런
유
유
작
유착
초
르
투명
식
Corr
p
o
r
가 100위권으로 하위권에 있다. 국가권력의 힘은 이권과
행위가 일반화되어 있어 사업의 부실성은
런
구
p
,
따
o
,
C
로 연계된다. 이
뇌물
론 자원배분의
물
을
기하
왜곡
야
고 있다.
중국정부는 국유기업의 개혁을 통해서 민영기업
로
효율성이 낮은 국
진하고 있다. 이는 경영
추
성화를 국가 주요정책으
활
기업에서
유
효율성이
기업들로 재배치하는 것이다. 민영기업은 국유기업에 비해 규모는
효율이
창
고 고용 출력이
높
기업이 강한 지역일수록
비와
자가
소
중국 민영기업은 역사는 아직
질가
발해
투
활
성이
능
지만 생산
작
다. 뿐만 아니라 혁신능력이 강하기
높
은 민영
높
문에 민영
때
다.
높
짧은 편이다. 중국 민영기업의 역사는 1 87년
9
을 기점으로 생각할 수 있다. 중국의 민영기업은 중국내 개혁개방이 심화되면
서 자연스럽게 출현하여 현재는 중국경제의 한
업은 중후장대형 국유기업의
틈
를
새
을 이루고 있다.
려 개혁개방
노
초
기 5개 경제특구를 중심
초
으로 가공무역종사기업이 대부분이었다. 정부의 정책적 배려에
른
따
농촌지역
농촌 외곽지역에 공장을 세
을 중심으로 하는 향진기업형태로 성장하였다.(
농민이 비농업에
기 민영기
축
고
우
사하는 기업형태) 중국 민영기업이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하
종
중국경제의 불안정성 증대와 일본기업의 대응전략 ·············································· 최 성
…409
백
기 위해서는 이제 중국기업도 자율성이 보장되고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져할
편중에서 피하여 민영기업의 역할을 증대시 는
국 기업이 번영하고 민영기업이 쇠퇴하는 국진
시점이다. 그동안 국유기업
탈
것이 중요하다. ‘00년대 후반
유
젠 시장경제의
민퇴가 문제가 되었다. 이
키
성화와 국가경쟁력 향상에는 민영기
활
창의적인 사고전환이 급
업의 역할이 더욱 증대되었다. 민영기업의 자율성과
하는 글로벌 환경에 도움이
될
변
것이다.
현재(2013) 중국은 중소기업이 4200만개에 달한다.
한 중국을 대표하는 대
또
기업들은 이미 세계 500대기업 중 100개가 중국계 기업이다.16) 중국 민영기업
의 성장도
게 진전되고 있다.
빠르
<그래프3>과
같이 국유기업과 민영기업의
평균수입이 동시에 증가하고 있지만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는 국유
기업의 특성을 고려하면 민영기업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
<그래프2>중국 국
기업과 민영기업의 평균연수입
이(2014)
유
추
중국 국영기업과 민영기업의 평균연수입
6
5
4
3
민영기업
2
국영기업
1
0
2009
2010
2011
2012
2013
中国国家统计局(2014) 52
자료:
p
중국 최대 민간경제단체(중화전국상공업연합회)17)는
뢰
년 전국민간기업 중
매
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발표하고 있다. 비교적 신 도가
매
은 현지 미디어에서
개되고 있다. 동 조사에
소
닝콩푸(蘇寧控服)그룹이다.
룹은
수는 1700개에 이른다. 일본의 La X
업은 수
국점포
동그
O
은 기관으로
높
많
면 중국민간기업의 최대기
따르
중국가전판매점 최대기업으로 전
18)을
룹
‘09년에 인수한 그 으로 일본
16) 국무원발전연구센터 중소기업연구소(2014)p12
17)
商
(2014)『전국민영기업 상위 10대그 』,p8
18) 아키하바라를 본거지로 하는 중견가전판점으로 많은 점포가 중국관
을 비롯한 외국인 관
을 주축으로 한 면세점업이 특징이다. 회사의 라 스 ( aO )는 라 어 ar(가정의 수호신)과
o 」(목소리)을 합친 것으로 가정에 행복을 부르는 소리라는
이다
中華全國工 業連合會
Vx
룹
광객
옥 L X 틴 L
뜻
광객
41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룹이다. 2위 리엔콩푸(聯想控服)는 컴퓨 레 버로 알
려진 그룹으로 주로 P i ate quit (P ) 자에 주력하고 있다. 3위 산동웨치아
(山東魏桥)창업그룹은 면
으로 세계최대기업이다. 상위 2그룹과 비하여 국
제지 도는 낮지만 찌 서 (張士 )이사장은 중국국내 몇 안 되는 자산가이
에서 지명도가
은 그
높
터
r v
E
y
노
E 투
방직
명
앙
핑
平
다.
떨어진다. 국 회사인 중국
화공그룹은 ‘13년도
출 은 2조 45
위안으로 수닝(蘇寧)의 10배가
는
규 다. 그러나 이 위는 기업측의 동의를 얻어 조사를 실시한 것으로 조사에
동의하지
는 기업은
위에 들어가지
다.
를 들면 보험대기업
꾸어
안(中國 安)보험그룹은 蘇寧을
는 규 지만
위에 없다.
게임
최대그룹 텅신공푸(騰訊控服)그룹은 32위 전자사거래 최대기업 알리
그룹도 37위 등 위에 누락되었다.
그러나 중국 토 기업들의 경 력 상승과 국내 생산비상승 등으로 외국계기
업들은 잇달아 중국공장이나 현지기업을 수하고 있다.
민영기업은 규모면에서 국영기업보다
유
매
모
9
유석유
석
9억
넘
순
않
핑
액
이
많
순
않았
平
넘
예
모
종
순
SNS
또
네트
,
․
바바
순
종
쟁
철
<표1>2013년 중국민영기업 상위10대그룹(
출액기준)
매
순위
기업명
소재지
업종
매출액(억 위안)
1
蘇寧控服그룹
江蘇省
소매업
2,798.13
2
聯想控服
北京市
전기기기․재료
2,440.31
3
山東魏桥창업그룹
山東省
어패럴․방직
2,413.87
4
華爲投資控服
廣東省
전기기기․재료
2,390.25
5
正威國際그룹
廣東省
비철금속
2,338.26
6
江蘇沙鋼그룹
江蘇省
철강
2,280.36
7
中國華信能源그룹
上海市
도매업
2,099.85
8
大連万達그룹
遼寧省
부동산
1,866.40
9
浙江吉利控服그룹
浙江省
자동차
1,584.29
10
万科企業
廣東省
부동산
1,354.19
中華全國工商業連合會(2014)
자료:
룹
전국민영기업 상위 10대그
『
세계의 공장으로
8
』p
주되어왔던 중국에서 이 같은 외국기업의
간
출은 산업공
탈
질 수 있다. 특히 세계를 대표하는 기업 이크로 프 가 중국
아폰 공장을
한 데 이어 일본 파나
과
프 등 세계 수의 IT 기업
들이 잇달아 중국을 떠나고 있다. 세계 최고수준의 시계제조업체인 일본 시
도 광저
공장을
했다. 인건비와 부동산값 상승으로 더 이상 중국에서
생산성
력이 약화되었기
문이다. 뿐만 아니라 인도와
그리고 미얀
동화로 이어
키
마
폐쇄
소닉
샤
소
트
노
유
티
즌
우
매
폐쇄
때
베트남
중국경제의 불안정성 증대와 일본기업의 대응전략 ·············································· 최 성
등 인근 동남아 국가의 외국기업유치정책도
마
있고 미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의 주요
탈
인으로
요
탈
용하고 있다. 미국의
작
귀환을
쳐 탈
취임
엔저
중국
진 해
추
문에 중국보다는 일본
때
리한 국면이다. 일본 기업들은 더구나 중국 현지에서
유
후부터
직
려하면서 강력한 지원정책을
독
다. 중국에 진출해 있는 일본기업들도 계속되는
겹
대통령은
오바마
왔
까지
산시키고
확
럽 등 선진국들의 자국기업에 대한 환류유인 정책도
유
해외에 나가있던 미국 기업들의
에서 생산이 더
중국 분위기를
…411
백
일정서
반
혹을 더 강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국내 토
유
기
종
업의 경쟁력상승과 해외기업의 경쟁력약화가 주된 이탈의
인이 되고 있다.
요
4.2 민영기업의 기술혁신
중국의 민영기업은 다방면에서
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미 세계
두
슈퍼컴퓨
터
기술, 고속철도 기술, 국제 주요 과학기술논문 등 중국의 과학 기술력은 급속히
워 경제성장의 한계를 하
였고 기술혁신의 향상은 더욱 진보하고 있다. 중국의 &D지출은 연평균 성장률
이 23%에 달해 연 분 에서 세계적으로
은 수준이다. 특히 &D지출 의
70%이상이 기업에 의한 것으로 기업 주체의 이
이션 시스템이 성되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도 인 넷 보안시장은 원래 미국의 mcafee 혹은 s mantecst e
러시아의 secu it 등 글로벌기업이 주력경 자였다. 그러나 이들 세계적 대기
업은 단기 에 중국의 치후(奇虎)에 의해
위자리를 빼앗기고
다. 그 원
성장하고 있다. 중국기업들은 저비용의
위를
세
우
앞
극복
R
구
야
높
R
노베
완
터
r
액
y
y
or ,
쟁
간
우
말았
인은 치후의 시장판단이 해외 다른 기업들보다
찍이
와 대중이라는 사업모델을 일
게
빠르
용했다. 치후는 무료
작
창업자 奇虎는 창업
도입했다. ‘05년
기
초
espersky 보안대기업의 제품판매를 수익원으로 하고 있었다. 하지만 연간
k
컴퓨
100위안이라는 서비스료는
카
시는 신용
도 보급되지
드
알고 당
음으로
이용자들에는 부담이 크다는 것을
터
편
아 지불도 불
않
전무료모델을 만들었다.
였다. 그래서 업계
때
처
완
倍倍 게임으로 경 력을 보하여 보안기 의
고객을 무기로 관람 프
엔진 스 폰의 보안이나 st e 게
임에 사업을 장하여 경 력을 도했다. 사업 대에 라 광고수 이나 게임
무료보안서비스는 (베이베이)
소
확
수입료로 수입원도
트,
쟁
검색
쟁
,
마트
유
보되어 ‘13년
확
확
반
App
확
따
or
,
네트
입
출액은 6.7억 달러로 전년도보다 배 증가
매
뉴욕시장에 상장하여 시가총 이 0 달러에 달했다.
이 힘은 중국
시장에 이 을
래했다. mcafee 등 인 넷 보안 세계최대
기업들을 중국에서 경 력을 약화시 을 뿐 아니라 국내인 넷시장
최대
기업인 이 (百度)를 위협하고 있다.
했다. ‘11년3월에는 미국
네트
변
쟁
바
두
액
초
켰
9
억
터
터
검색
41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그래프3>기업
별
폰 시장점
스마트
률(%)
유
삼성전자
31.3%
기타
39.5%
애플
15.2%
레노버
4.5% LG전자
4.7%
華爲기술
4.8%
자료:2013년 기준,『IDC(International Date
J
ation apan』p32
Corpor
음
메
웨이(華爲)의 기술
재감이다. 스
폰시장에서는 한국 성과 미국 애플에 이어 3위이다<그래프
3>. 통신기지국의
통신 인프라로는 스웨덴의
icss n에 이어 2위이고 과
다 으로 주목을 받는 기업은 통신설비, 기기 이커, 화
마트
삼
모델
거 경쟁한
하여 ‘13년
NEC
존
Er
등 일본기업들은 경쟁이 되지
o
는다. 업적도 지속적으로 증가
않
출액은 약 4조 위안(전년대비8.5%증가)이다.
매
웨
정페이(任正非)는
전화교환기를 수입판매하든 영세기업으로 1987년에 시작한 화 이가 지금은
중국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머
1.18%정도만 보유하고 나 지
웨
태이다. 화 이는
면서 대표직을
당시 전문지식과
8.82%는
9
업원지주회사1 )가
9
종
을
CEO
력을 가진
간접
복
종
능
때
수한 인재가
했기
우
전주식의
런
맡고 있다( 수의 이사가
업원지주제도는 任회장이 창업
부
환으로
순
맡음).
창업자인
필요
터
문에
때
보유한
1년마다
형
아가
돌
고안한 것이다.
업원이 통상
종
템으로 인 브제도가 고안되었다. 중국은
로부
財散人聚(자신을 재산을 공 하면 은 사람이 이게 다)라는 속
이 있다. 화웨이는 이 사상을 실 했다. 이제도로 은 인재가 여들었다.
의 임금 외에 이익을 공유하는 시스
예
터
유
담
런
또
된
환
순
많
모
천
책을
직
된
많
는 경영에 있어 하나의 실험대였다. 여러
CEO
라는
CEO
센티
맡게 되면 한 사람의 고
집
모
의 경영자로
명
성
구
문에 회사가 경직화되는 것
때
19) 1997년 기아자동차의 부도 당시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국내 유일의 대기업으로 많은 관심을 받
았다. 그런데 주식소유구조를 보면 포드차9.4%, 마
다7.5%, 이
2%, 업자가족1.%, 종업원지
주사14.2, 당시 선 사장의 소유률은 미세함. 문제는 전문경영인이 종업원지주사를 활용하여 그
을 개인 기업처럼 움직였든 시기도 있었다. 따라서 화 이도 상황은 다르지만 종업원지주사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룹
김 홍
쯔
토츄 창
웨
중국경제의 불안정성 증대와 일본기업의 대응전략 ·············································· 최 성
을
을 수 있다. 중국과
템
구
지속적으로 경영혁신을 하고 있다.
한국
격동이 심한 산업이다. 최근 일본기업은 하락
매우
웨
LT
성전자도 성장속도가 감속하고 있다. 화 이의
삼
건수는 세계
유
네트
통판확대도 위협적이다.
를 비롯하여 중국
뉴욕주
년 9월에
작
관련 중요 특허보
E
알리
바바
가 있다. ‘13년은 전년에 비해
네트
필요
42.8%증가하여 1조8851억 위안(중국전자상무연구원)로 급속하게
프
혁을 주
변
시장에 상장한
식
통판시장 성장에도 주목할
세에 있고
추
톱이다. 지금은 기술표준의 책정을 준비하여 업계의
도하려고 하고 있다.
중국
웨
미기업문화를 융합한 시스 인 것이다. 화 이는
막
전기산업은
…413
백
웨
대하고 있다.
확
일 통신 인 라에 있어 중국계 화 이의 시장점유률은 이미 세계 2위로
모바
성장하였다. 중국계 기업들은 다분야에서 글로벌기업들에게 위협적인
프4>.
(그래
재다
존
으로 중국계기업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으면서 글로벌
앞
기업에 더욱 공세를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모든
기업들이 민영기업이라
는 점이다. 거대시장 중국에서 중국민영기업의 경쟁력 강화로 선진 글로벌기업
들이 고전하고 이다.
<그래프4>
프
일 통신 인 라 기업
모바
별
점유율
NEC
3%
삼성전자
6%
기타
6%
中興通訊
8%
Ericsson
34%
Alcatel
11%
NOKIA
14%
화웨이
18%
자료: 자료:2013년 기준『IDC(International Date
Corpor
4.3 민영기업 성장의 한계
시진핑체제의 경제정책은 성장보다 분배
통한
야
동자들의
노
리증진과 국유기업의
복
한다는 등 공평
컨
쪽에 무게를
점을
독
서스가 정부내에서
센
J
ation apan』p32
고 있다. 임금인상을
두
아 민영기업의 영역을
막
성되고 있다. 올 상반기
형
혀
넓
자를
투
41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보면 국유기업보다 민영기업이 더
다. 이는 중국경제가 내수시장
높
기업 지원 등에서 성장의 동력을
알리
래소에서 주식을 공개한
중 최고액이다. 3억
명
찾겠다는 것이다. ‘14년
월19일
9
대, 민영
확
뉴욕증권거
의 시가총액은 250억 달러로 과거 신규상장
바바
이용자의 중국
워크 통
네트
기업 성장력에 세계투자가들은 주목하고 있다.
중국정부가 기술혁신을 중시하는 가운데
알리
인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문제는
시장 8할을 점유하고 있는
판
윈(馬雲)회장은
그것을 실현한
마
가 계속해서 세계적으로 평가받는
바바
민영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가이다.20)
중국경제는 개혁․개방이 시작된 1978년 이후 자본과
동의
노
속한 성장을 이루었으나 생산연령인구의 감소와 과잉투자의
대로 급
투입확
해가 나타난 상
폐
황에서 정책의 한계성도 나타나고 있다. 이제부터는 생산성향상을 통한 성장이
한 시점이다.
라서 기업의 기술혁신이
필요
은 해외에서
따
하면
구입
하다. 하지만 중국에서 기술
필요
다는 의식이 강하여 연구개발을
선시 하는 경향이
된
우
낮다. 인도의 경우는 연구개발자의 대부분이 연구자출신이지만 중국기업의 경
&
는 기업매수(M
우
A
)전문가인 경우가
다. 뿐만 아니라 국유기업의 경우는
많
기술혁신의 동기도 약하다. 국유기업 경영자의 인사는 공산당이 결정할 뿐 아
니라 정부가 빈번하게 개입하기
문에 경영의
때
성도 약하다.
국유기업은 중앙정부의 적극적 지원으로 시장의
독
특히
독
나 전력, 전기통신 등 국가기간산업을
석유
점상태는
한 중국의
독립
점적 지위를
또
지하고 있다.
유
점하고 있는 국유기업의 과
점금지법의 적용대상도 아니다. 나아가 국유기업에 대한 정부의 특
독
혜
한 지원과 특 가 민영기업의 성장마저 저해하고 있다.
별
리먼
크 이후 실시된 총액 4조 위안의 공적자금도 국유기업이
쇼
써 국진민퇴의 현상은 더욱
대되었다. 이런
확
국유기업에 민간자본 도입을
해
폐
문에 ‘13년 3중전회에서
때
용하는 혼합소유제개혁이
허
‘14년 8월말 공산당은 국유기업 임원 급료 50%를
화하기 위한 여러 정
다. 하지만 국유기업에 대한 문제의 근원이
정부에 있다는 것 있다.
한
또
완
와 지배가 중
졌
앙
알
진되고 있다.
추
삭감했다. 나아가 공용차의
사용도 제한하는 등 국유기업에 대한 국민들의 저항을
책들이 만들어
점함으로
독
라서 정부정책의 민영기업의
따
소유
성화 정책들이 근
활
큼
뢰 흔
20) 리바바가 정상을 지키지 위해서는 모바일 체제를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수요만 체제가
안정적이진 하다. 리바바의 모바일 고료는 PC에 비해 낮아 리바바의 수익마진이 줄어들
수 있다. 또 경영권 리스크가 불안하다는 지적이다. 기업 지배구조 등 경영진에 대한 신 가 들
수 있다.
마 CEO를 비롯한 30명의
업 파트 에게 권한이 집중된 기업 지배구조가 문제
다. 회사 경영을 책임지는 이사회 선출 권한을 독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주자본주의의 기본원리
에 어 난 지배구조로, 언제든
마 CEO를 비롯한
업 파트 들이 일반 주주의 이익에 반하는
의사결정을 내 수 있다는 위험성 안고 있다는 의미이다. BDA차이나 대표는
마 CEO가 마치
종교단체의 수장 같다고 표현할 정도로 그의 영향력이 지배적이라고 지적했다.
못
잭
릴
긋
릴
알
광
알
창
잭
너
창
너
잭
중국경제의 불안정성 증대와 일본기업의 대응전략 ·············································· 최 성
…415
백
본 해결책은 아니다.
현재 중국은
W
T
O
가입 이후 빈부격차의
대와 산업간․지역간 불균형이
확
심화되면서 사회불안이 증폭되어 후진타오는 조화로운 사회건설이라는 중국판
경제민주화를
진하였고
추
뒤이어
시진핑은 정치권력의 부정부패 척결을
진
추
하면서 중국식 사회주의 건설을 표방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중국
기업으로 하여금 사회적 책임의 중시, 환경
강하게
하게 되면서 기업의 자율성을
요구
있다. 하지만
부문에 국가정책이
모든
맥
화적 경영,
친
큼 좁아 질 수
동범위는 그만
활
노
하는 민영기업이 더욱 중시되고
선시 되고 강력한 중앙집권체제하에서
우
에 없다.
밖
는 국유기업을 민영기업으로 과감한 전환과
이 이루어
사상생을
,
추구
절대적이다.
정부의 권력과 인 을 가진 국유기업의 영향력은
의
윤리경영
라서 민영기업
따
라서 민영기업의 성장을 위해서
따
께 국가에서 분리
함
질 수 있도록 자율권 보장이 무엇보다 중
독립된
하다. 지금과 같은
요
질수
나 중앙정부정책 발표만으로는 민영기업의 역할은 한계를 가
경영
호
구
에 없다
밖
5.일본기업의 대응전략
5.1 일본기업의 현지화 상황
일본기업의 대중국진출은 ‘80년대는 불과 6.5%였으나
80%가 진출하였다. 그 후 제3차
진출하였으나 이때는
자
투
붐이 진행한
00년대에 20%의 기업들이
’
첨단기술을 가진 기업들의 진출이
기업들은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민주화와
한 출자형태별로 보면 ‘00년대 이후
고
자37.8%,
합
탁
자환경을
투
탐
하면서 연대별로
색
자(100%)가 53.2%로
독
2.5%, 위 가공 등이 6.5%로 ’00년대 이후
합작
태가 급증하였다. 이는 중국이
출자비율규제나
러졌다. 이는 일본
두드
전략적으로 진출한 현상이다.
또
0년대에 이르러 약
’9
W
자에 의한 국내
독
T
O
가입에
판매
절
이상이었
반
자투자진출
독
형
른 외자기업법 등을 개정하고
따
규제를 대폭
화한 것이 원인으로
완
작
용하였다.
일본기업을 진출지역별로 보면 운남성, 감숙성, 신강위구르 자치구 등 3개성
을 제외한 27개성, 시, 자치구에 진출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상해시, 강소성,
절강성지역의 “장강
환발해지역은 33.3%이고
만
”
지역 이 44.6%로 가장
델타
광동성
등
“화
고 북경시,
많
지역은 16.9%로 이들 연해지역에서
남
2%가 진출을 하고 있어 중국정부의 국가경제정책에
9
심으로
중진출하고 있다.
집
진시, 대련시 등
천
른 연해지역을 중
따
41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기업형태별로는
중소기업은
52.2%, 이외 대련,
장강델타지역으로
진, 산동의 환발해와
천
있으며 대기업은 수도 북경과 서부의 사천,
상해,
절강에서만
강소,
광동에 거의 대부분
중 진출하고
집
서 등 각 성, 시 등 내륙까지
섬
괄
집
중 진출하고 있다. 특히 수도 북경에는 대기업의 주재원 사무소와 총 거점의
서비스업이
중진출하고 있고
집
한 최근 대륙 지역의 관심이
전기통신 업체진출이
형
아지고 있는 가운데
높
다.
많
찍
또
서(시안)도 일 부터 대
섬
이 진출하고 있다. 일본기업은 중국전역에 진출하여
많
염
다국적기업들과 경쟁을
중경은 자동차 관련업종 진출이
청두,
해
두
고 거점을
성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일본
두
형
기업들이 중국에서 가장 강력한 경쟁군으로 등장한 것은 과거 진출 전략과 무
관하지
다.
않
특히 중소기업의 진출은 제조업이 83.7%, 비제조업16.3%인데 비해 대기업은
슷
제조업이 71.2%, 비제조업이 28.8%으로 거의 비율이 비 하다. 그러나 비제조
업 분야에서는 대기업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컨설팅과 음
식,
신, 도소매,
텔 등에 진출 비중이
호
다. 중소기업은 주로
높
은
높
류에서는 대기업이 경쟁기반을
물
류, 세무,
법
면 비제조업분야 금융, 보험, 통
반
하고 있다.
구축
5.2 대중국 진출기업의 애로점
중국은 아직 사회주의체제를
지하고 있는 국가이다.
유
正否)에 관계없이
대적인 하에서 국가행정명령은 정부(
정명령이 부당할 지라도
지
따르
중국진출 외국기업들의 가장
미비나 그 운영의 불투명성,
어려움을
명,
의 미비나 불투명성, 세제의
법령
의 자의적인 운용이나 불투명성 등으로
년 사회보장규정이
매
잡하게
은
많
경되고 보험료율 인상도 불투
복
변
인지세에 대한 해석 불투명, 상해나 강소성간에 증치세에 대한 세무서의
대응이 다를 뿐 아니라
이
은 제재를 받을 수 있다.
많
애로 사항은
큰
라야만 한다. 비록 행
따
법령
겪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으면 더
않
절
라서 국가권력이
따
정비 그 자체나 운용에 대해서 현지기업들의 불만
법령
다.
높
중국은
년 대외무역이 증가하는 가운데 관세율, 지적재산권보호, 무역권부
매
여, 외지기업들
건설,
이나 외자와 중국자본
간
에 차별적 대우, 서비스 무역(통신,
간
통, 금융, 운수분야)에 대한 시장개방 문제 등은 여전히 문제가
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 외
동현장에서 문화적 차이
노
문에
있다. 최근 중국에서 외국기업과 중국국내
질
문화적 이 성이
사
노
간
사
때
노
갈등이
중요한
은
많
수가 되고
변
동자간에 분쟁이 증가하고 있다.
노
이해관계의 대립과
겹
쳐
있는 해외 진출 기업에서는
중국경제의 불안정성 증대와 일본기업의 대응전략 ·············································· 최 성
사
노
의사소통이 양자
간
서 이런 기업들의
엇
뢰
의 신
간
갈등
사
노
엇
성과 관련하여 무 보다 중요하다.
형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
노
지가
입
좁아지고 있어 대화와 신뢰
이
구축
라
따
의사소통이
간
무 보다 중요하다. 특히 중국진출 일본기업들은 중일 역사왜곡문제가
본기업의
…417
백
한 시점이다.
겹
일
쳐
필요
5.3 일본기업의 대중국전략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외국인
자(FDI)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였다.
직접투
특히 중국은 1992년 이후 시장경제체제 이행으로 발전도상국 중 최대 규모의
FDI 수용국이 되어 있다. 외국인
의
자는 중국의 산업구조변모와 대외무역
직접투
대를 가져왔으며 동시에 중국과
자 상대국의 경제․무역 관계를
확
투
하게 하였다. 그러나 중국의 FDI 대부분은
업의
홍콩
대만,
,
싱가
포르
긴밀
등 화교계 기
자이고 비화교계기업으로는 일본계 기업이 선두다.21) 일본기업의
직접투
대중국 진출은 1980년대 중반부터 서서히 증가하다가 1992년 이후부터 본격화
하였다. 중국정부의 통계에 의하면
본의 비율은 비화교계 중 가장
자
직접투
태가
형
화하고
변
년 해외기업의 대중국
매
자액에서 일
직접투
다. 하지만 최근에 일본계 기업의 대중국
높았
있다22).
‘14년 일본의 대외직접투자액은 전년도 보다 10.4% 증가한 1,350억 달러로
과거 5년 만에 최고액이다. 이중
면 중국에 대한
반
ASEAN
지역
자는 236억 달러로 가장
은
투
높
자는 30%(91억 달러)감소 하였다. 뿐만 아니라 최근 일본
투
편
기업의 해외생산거점재
임도
움직
관계 악화 등으로 중국에서
발하다. 중국 국내의 생산비상승과 중일
활
ASEAN
지역으로 생산거점을 이전하고 있다.23) 특
+
+
러지게
나 나고 있다. 일본 제 로(일본무역진흥공사)가 신흥국 진출 개 희망 설문
조사에서 일본기업들은 동아시아 및
지역에 진출을 희망하고 있지만
중국지역은 감 하고 있다. 특히 중 ·중 기업은 중 미이나 서 아지역 진출
희망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히 태국에서 주변국으로
타
장하는 태국 1 현상이나 중국 1현상이
확
트
두드
별
ASEAN
소
견
소
남
남
‘14년도 현재 대중국진출 일본기업은 2만 5천개 정도이고 업종별로는 제조업
이 전체 42.2%로 가장
다. 기업 규모별로
많
~
원 수는 10 50명 미만이 32.9%
직
益財 法人 国際東アジア研究センター(2014) 中国における日系企業の立 戦略の変化と影響要
因 23
22) 商務部 外商投資統計 とJ T (2013)
23) 国際協力銀行(2014) わが国製造業企業の海外事業展開に関する調査報告 : 중기적인 망 국에서
는 조사기업 상위 3개국의 표율은 45% 이었고 이중 인도 인도 시아 중국에 이어 태국
위였다.
최근 각국·지역의 정치 사회 정세의 문제에 관계없이 해당 국가·지역과 경제 관계
가 강한 나라·지역을 중심으로 널리 의 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 났다. 아 중국에 대한 경제적
21)
公
団
,
地
p
「
」
E
RO
p9
『
』
득
남순
또
,
유
,
,
,
식
이점을 인식하고 있다.p42
네
타
직
베트
41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로 중소기업 진출이
러진다.24)
한 전체 진출기업 중 약 8천사 정도는
두드
또
겪고 있는 것으로 나 났다. 일본의 시장 조사기업 테이
뱅크(帝国データバンク) 가 실시한 일본기업의 해외진출관련 설문조
경영에 어려움을
쿠데이
25)
타
코
26)
터
사에서도 중국에 이미 진출한 업체 중 82.0%가 현지 생산거점을
렇
이 없다고 응답하고 있다. 이
다른 지역으로
든
대할 의향
확
중국진출 일본기업들은 생산기지를 중국에서
기든지 아니면 중국에서 생산시설을
옮
났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중국내
으로 나타
로운
새
대할 의향이 없는 것
확
장 개척을 위한
력
새
노
도 나타나고 있다.
찌
日立)는 무역결제시스템 대행을 개시하였고 쯔다(松田)는 환경
기술을 응용한 자동차
대수를 7할로
대생산을 계획하고 있다.
L
(エルナー)는 선난(深南)電路有限 司와 전략 파 너를 맺고 중국시장에 사업
을 전개하였고 미쯔이 산( 井物 )은 중국에서 기업과 병원에
공급 사
히타
류(
물
마
판매
확
또
公
물
三
식품
로운 시장개척을 적극
새
하고 있다.
하고 있다.
모색
춰 건강관련 사업에도 적
뿐만 아니라 중국정부의 8대 전략산업에
진출을
NA
트
産
업을 전개하는 등 중국시장에서
E
맞
적인
극
I I는 일본 중견양호회사다. 일본국내 양호시설은 43
모색
R E
개소이지만 ‘03년에 태국을 진출하는 등 해외진출에 적극적이다. 중국에는 ’12
밀
년 지역
착형
규모다기능형의
소
병원 케어
․
택
서비스 등 재 양호서비스를 준
․
비하고 있다. 중국에도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하고 있다. 현재 약1억
명
세 이상 인구는 연간 600만
명
할 것으로
상된다.
예
에는 민간자본의
인
노
인
노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고 ‘30년에는 2억
명
봄은 자
돌
케어는 아
직
이
식
가운데
I I는
R E
케
인
노
에 달
문에 중국
때
다. 그러나 자식들이 부모와
드물
시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어
런
본다는 전통적인 생각
돌
의 65
떨어
도
져
케어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
인 어를 일본과 같은 위생관리로 중국에서 일본식 양호
노
좋은 것은 일본 認知症케어다.
중국에서는 인지증의 이해가 낮고 정신병 취급으로 침대에 묵어 는 경 가
다. I I는 행동을 면밀히 파악 후 경지 내를 자 롭게 다닐 수 있도록 하
서비스를 계획하고 있다. 그 중에서 평판이
식
두
많
R E
우
유
고 있다.
홀딩스는 2016년까지 중국에서 대중 약
를 계획하고 있다. 현지
통업체인
이리엔그룹(百聯集 ) 그리고
의 상하이메이러통 상업(上海毎日通販商業)과
으로 리엔후화 이러링
상업(聯華毎日鈴商業)을 설 했다. 동사는 ‘12년부
화장
잡화를 주로
하는 벚꽃 업장(桜工房)이라는 점 를 상하이시와 쑤지 시(蘇州市) 등 5개
또
약 전문판매로
한
유명
매
elcia
W
판
유
매
빠
団
판
합작
립
작
터
포
営
14
』,p
판
매
품,
우
帝国データバンク
中国進出する日本企業の経 難
帝国データバンク
24)
(2010.10.22),p7
25) 경제계50(2014.2.24)『
26)
(2014),p13
네트
판매
중국경제의 불안정성 증대와 일본기업의 대응전략 ·············································· 최 성
점을 가지고 있다. 동회사는 각 점포를
회사의 이온 등이 전개하는 일본
판매
계
(
쇼핑센터 SC
)로
…419
백
모
대하고 향후 3년 안에 점포수와
확
출액을 현재의 4배인
매
늘릴 계획이다. 이는 중국정부의 8대 전략산업 중 국민의 관련 산업에
부 하는 것으로 전망이 밝은 업 이다.
통번역서비스의 &Pe le사는 중국에서 화장
를 시 했다. 중국 국
내 부
을 상대로 자 브랜 의 스킨케어 화장 을
하고 있다. 아 규
20개로
료
합
종
A
유층
는
모
op
품
독
지만
작
선 ‘15년
드
품
작
판매
출액은 약 40억 원 목표로
우
연내에 600점까지
판매
직
점도 현재 150점에서
매
판매
대할 계획으로 있다. 현재 중국에는 한국산 화장품이
위
확
를 점하고 있으나 일본계 화장품이
망을
판매
우
대하고 있어 향후 화장품시장
확
의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정부가 환경문제에 대한 정책도 강하게
진하고 있다. 이에
추
질
라 일본
따
의 산업환경관리협회는 전업체가 공급자의 화학물 관리체제를 조사하여 감사
를 일체화하는 제도로 올해부터 일본과 중국에서 동시에 시작한다. 제도를
용하는 공급자는 개별적으로 감사를 받지
일본기업들은
이면서
선 경쟁력이 어려운 분야는 해외 이전이나 사업
로운 사업가능성이
은 분야에 적극적인 진출을
높
히 중국정부의 전략산업 진출에
생존을
다.
된
우
새
대시장이
아도
않
갈수록 경
나아가 중일관계개선도 하루
절대적으로
술력과 자본력은
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이라는 거
러진
두드
모
빨리 풀어
엇
로운 전략으로
새
할 과제다. 중국입장에서 일본의 기
야
하다. 일본기업의 이탈은 자본력과 선진기술
필요
력이 동시에 이탈함을 의미한다. 일본의
기업성장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에서 중국은 거대시장에서
입
력 있는 지역이다.
추구
매
위와
우
혜
라서 상호호 협력
따
이 무 보다 중요하다.
5.4 중일관계 개선과 경제협력
최근 중국의
줄
하고 있다. 특
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일본기업도
하고 있다.
장을
확
모색
쟁
모색
활
각에 국제사회가 주목하고 있다. 20세기는
두
팍스 아메리카시대
였다면 21세기는 미국의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의 등장이다. 중국은 이미 세계
2위 경제대국을 비롯하여
사대국,
군
비대국, 외환보유1위, 문화대국 등
소
거할 수 없을 정도로 강국이 되었다. 미국의
열
center가
“중국이
미국을
가하여
능
겠 ”
강대국이 되 는가
초
하면 대부분 선진국들로 중국의 위상을 인정하는
은 부정적이다. 그러나 부정적으로
력조사기관
유
eseach
r w
r
라는 설문조사에 의
면 일본,
반
e
모두
베트남,
토
핀등
리
필
한 국가들은 중국과 영 분쟁으로 대립하
답
는 국가들로 국제사회의 일반적인 분위기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그래프6>.
42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프
최근 중국경제의 위상적 실험대가 중국 주도의 아시아 인 라
f
u u
(Asia In rastr ct re Investment
=
ank
B
프라건설에
로운 국제금융기관으로 인
새
IIB)의 설립이다.
A
대상을
둔
권 분쟁을 하고 있는
참가하지
들도
상된다.
참가가
일,
프
독
IIB와 경
지만 영유
않았
리 은
필
스, 이탈
랑
않
유
예
중국정부는
A
핀 참가했다. 그 후 미국의 동맹국인 영
리아도 참가하였고 머지 아
럽 여러 나라
과
베트남
국을 비롯하여
IIB는 중국 주도의
A
것이 특징이다.
하는 아시아개발은행에 역대 총재를 보내온 일본은
쟁
자은행
투
됨
IIB을 주변제국과 관계 안정화의 수단으로 이용 을 강조하면
A
서 중앙아시아 제국은 실크로드경제벨트, 동남아시아제국과는 21세기 해양실크
로드를 건설한다는
상을 하고 있다. 중국
장주의에 불안을
구
프
국에 인 라개발자금을 제공하는 실리로
확
느끼는 주
제
변
근하고 있다. 과잉 생산력에 있는
접
재산업의 수출처도 되고 중국에 있어 일거양득이다.
소
<그래프5> 중국이 미국을 대신하는 대국이
될
?
것인가
영국
프랑스
독일
중국
한국
미국
그렇게
러시아
태국
인도
생각한다
일본
베트남
필리핀
%
자료:
ew
R
eseach
R
0
10
20
enter(2014)『2014년
C
30
40
봄 국제여론조사
50
60
70
27
』,p
써 한국은 창 회원국으로 참
가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과거사문제 및 영토 분 으로 참여하지
다. 한국
의 참가는 한중관계가 크게
용하였다. 현재 한중 관계는 역대 그 어느
보
다
호적이다. 한국관광광사(2014)에 의하면
한 중국인은 ‘06년 0만
에서
13년433만
으로 20-25%증가하였다. 한편
중 한국인은 같은 기
년
400만
정도가 중국을
문하고 있다. 하지만 중일관계는 갈수록 악화되고
중국은
IIB에 한일
A
참가를 강하게 희망
으로
함
립
쟁
않았
작
때
우
방
’
명
명
9
명
방
간
매
방
있다. 일본외무성(외교청서백서,2014)의 중일 인적교류에 대한 조사를 보면 ‘07
년
일 중국인 수는 114만
방
이었으나
명
중 일본인 수는 398만
방
에 달하였
명
중국경제의 불안정성 증대와 일본기업의 대응전략 ·············································· 최 성
다. 그러나 ’13년 현재는 각각 420만
였다.
라서 중일
따
모두
288만
명,
으로 일본인의
…421
백
중은 급감하
명
방
관계개선이 시급하다. 실제로 중일 무역은 달러기준으
로 ‘10년, 13년 2년 연속 감소하고 있다. 이것은 과거 없든 일이다.
벤
일본경제단체는 올해 중국에서 환경협력에 대한 대규모 이
토
있다. 그러나 영 분쟁문제나 아베 수사의
굽이지
을
쿠 참배에 대해 중국은 원칙
스 니
야
를 준비하고
트
고 있어 중일관계가 근본적으로 개선될 가능성은 크지
않
다. 올해
않
중국은 대일본승전 70주년을 준비하고 있어 정치면에서도 관계 개선에 한계가
있다.
으로 중국이 정치, 경제,
앞
없다.
라서 중국을 무조건
따
사 등 각
군
봉
면으로
방
울 수가 있다.
하는 정책은 어려
쇄
틀림
대 해 나가는 것은
확
한 장기적
또
떻게 관리해
으로 중일은 전략적인 경쟁관계이다. 경쟁관계인 국가와 관계를 어
갈 것인가가 중
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략적 대화가 중요하다. 상호 관계개
요
선을 위해 적극적인 자세가
평화안정이 공존할 수 있기
하다. 주변국과 관계개선만이 경제적 실리와
필요
문이다. 최근
때
회의에서 중일 정상이 만난 것
반둥
름 의미가 있다. 중일관계의 개선은 동아시아 지역의 평화뿐 아니라 한
중일 번영에 꼭
하다. 라서 한국이 중심으로 하는 한중일 정상회 을 위
은 나
극
필요
한
력도
노
큰
따
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6.결론
최근 중국정부의 부정부패 단속으로 사치품 시장에는
히 부정부패로 특수를
누렸
음
고급
던
점, 고급선물점,
큰
격을 주었다. 특
타
주 등의 업종은 도산
식
명
잇고 있다. 하지만 부패척결은 정치개혁이지 비를 제하기 위한 정책은
아님으로 가격이 적정수준으로 하락하면 일 인들의
비가 가 하여
비시
장은 더욱
기를 찾을 것이다. 부정부패의 척결은 중국기업에도 덕이
다.
중국사회의 공정한 경 은 미래 중국기업이 글로벌기업들과 경 을 위해
듯
이
소
반
억
소
능
소
활
된
쟁
쟁
반
이 거쳐야만 하는 과정이다. 나아가 중국정부의 과도한 권한도 문제다. 과도한
권한은 부정부패를
래하게
초
다. 그 대표적인 것인 부동산시장의 관제버블징
된
후다. 최근 중국은 부동산시장의 관제버블의 위험성이
아지고 있다.
높
중국정부는 부동산시장의 안정을 위한 정책으로 도시화를
촌인 를 도시로 시 게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실제
구
유입
키
농촌인
되면 부동산 가격안정과
년
매
농촌인
진하고 있다.
추
의
구
의 도시 이주가 1000만
구
농
증대에
소득
에 달하고
명
느 정도 역할을 하고 있
있다. 이들 인구의 도시유입으로 부동산가격 안정에 어
42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지만
효
으로 실 성이 문제다. 부동산시장은 수급에
앞
풀어
야
한다. 과도한 정부개입은 여러 가지 문제를
은 특유한
으로 부동산시장을
지해
방법
메 니즘으로
른 가격
따
커
낳을 수 있다. 그동안 중국
다. 중국의 부동산개발은 정부가
유
왔
농민들에게 토지를 수용하여 국 화하고 민 주택개발업자에게 각한
다. 이
토지사용권 각은 지 정부의 주 수 원이 다. 토지사용권 각
차 의 감 는 지 정부 재정문제를
래하기
문에 무엇보다
과 가격
선
우
유
때
매
익
을
소
방
요
방
초
지해야만 한다. 부동산의
입
매
된
매
때
판매량
과공급과 부동산의 가격유지 정책은 정부의
유
영향력이 크게
간
초
용한다. 그 결과 부동산은 공급 과잉되었고 시장가격의
작
을 가져왔다. 그러나 실제
자들은 그보다 낮은 가격을 원하지만 정부는 재
구매
정확보를 위해 가격유지에
로 가격폭락의 위험성이
왜곡
력하고 있지만 중국부동산 시장은 수급불균형으
노
아지고 있다. 그 위험성은 정부가 원인제공자로 관
높
제버블이다. 결국 도시화정책이 부동산의 공급과잉과 가격유지에
얼
나
마
큰
할을 할지 주목할 부문이지만 도시화가 실패하면 관제버블로 중국경제에
역
큰
혼란을 가져 올 것이다.
나아가 글로벌기업의 중국시장 이탈현상도 문제다. 글로벌기업의 중국시장
토
이탈현상은 중국 국내의 생산비상승과
기업들의 경쟁력 상승으로 외국계
종
잇달아 중국을 떠나고 있다. 중국 진출 해외기업들은 인도나
그리고 미얀
등 인근 동 아 국가의 외국기업 치정책 그리고 미국과 일본
기업들이
베트남
마
남
유
,
럽 등 선진국들의 자국기업에 대한 환류유인 정책이 크게
유
외기업들의 이탈은
자금 이탈뿐 아니라 선진기술 이탈까지 더해져 중국경제
투
의 선진화에 어려움을
수 있다.
용하고 있다. 해
작
뿐 아니라 대외 이미지 하락 등 부정적인
줄
라서 중국정부는 해외기업의
대정책유지와 차별화
따
우
효과를
줄
로 공정한
철폐
경쟁이 보장되어야 한다. 공정한 경쟁은 결국 중국기업들의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중국의 대표적인 기업들은 국영기업이지만 최근에는 민영기업의 역할이
러지고 있다. 이미 세계
드
술
슈퍼컴퓨
터
두
기술, 고속철도 기술, 국제 주요 과학기
문 등 중국의 과학 기술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중국기업들은 저비용
논
워 경제성장의 한계를 하였고 기술혁신의 향상으로 더욱
진보하고 있다. &D지출의 연평균 성장률은 23%에 달해 연
분 에서 세계
적 수준이다. 특히 &D지출 의 70%이상이 기업에 의한 것으로 기업 주체의
이
이션 시스템이
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부문에 국가정책
이
선시 되고 강력한 중
권체제하에서 정부의 권력과 인맥을 가진 국
기업이 선시 되고 있어 민영기업의 동 위는 그만큼 좁아 질 수 에 없다.
의
위를
우
세
앞
극복
R
구
R
노베
야
액
완
우
모든
앙집
우
유
활
범
밖
라서 민영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의 과감한 국유기업을 민영기업으로
따
전환하거나 국가에서 분리
독립된
경영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자율권이 보장
중국경제의 불안정성 증대와 일본기업의 대응전략 ·············································· 최 성
…423
백
이 선행되어야한다.
중국경제가 내부적인 어려움이 있는 가운데 중국 진출해외기업마저 이탈
움
임이 나타나고 있어 중국경제에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비화교계
직
중 대중국투자가
ASEAN
지역
은 일본기업에 주목할
많
자를
투
편 대중국
대하는 한
확
가 있다. 최근 일본기업들은
필요
자는 크게
이고 있다. 중국 국
투
내의 생산비 상승과 중일관계 악화 등으로 중국에서
줄
ASEAN
지역으로 생산거
점을 이전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태국에서 주변국으로
장하는 태
확
+
흥
흥국 진출 개
희망 설문조사에서 일본기업들은 동아시아 및
지역에 진출을 희망
하고 있다. 특히 중 ·중 기업은 중 미이나 서 아 지역 진출 희망도 크게
국 1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일본 제트로(일본무역진 공사)가 신
별
ASEAN
견
소
남
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기업들의 중국 이탈현상은 사업의 전략적인 수정으로 나타나는
부문도 있다.
하거나 사업
출을
선 경쟁력이 어려운 분야는 중국시장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전
우
장을
확
로운 사업가능성이
새
은 분야에 적극적인 진
높
하고 있다. 특히 중국정부의 전략산업 진출에
모색
갈수록 경
이라는 거대시장이
업보호도 점점
기업들은
중일
이면서
줄
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정부의 자국산
쟁
골화 되고 있다.
노
로운 전략으로 생존을
새
모두
러지고 있다. 중국
두드
라서 중일관계에 어려움을
따
할 수밖에 없다.
겪고 있는 일본
모색
관계개선이 중요하다. 중일관계는 지리적인 조건과 무역량으로 보
떻
아 중요한 전략적인 경쟁관계이다. 상호 경쟁관계인 국가와 관계를 어 게 관
갈 것인가가 중
리해
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략적 대화가 중요하다. 현재
요
상태에 있는 상호관계 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자세가
하다. 상호 관계개
착
선만이 경제적 실리와 평화안정으로 공존할 수 있기
름 의미가
서 중일 정상이 만난 것은 나
지역의 평화뿐 아니라 한중일 번영에도
한중일 정상회담
력도 미래의 한중일 관계에
닌 진정한 상호공
리가 아
하다.
회에
반둥
동아시아
극
한 한국을 중심으로 하는
또
긍정적인 영향을
따
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호 정치적
논
필요
의 협력을
존
문이다. 최근
때
것이다.
노
라서 상호이해와 심도 있는 대화가
필요
있다. 중일관계의 개선은
필요
교
닌가 생각한다.
할 시점이 아
모색
줄
42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참고문헌】
堀江 蔵(1 50) 外資輸入の回顧と展望 有斐閣
ジェフリー・ジョーンズ(桑原哲也他訳)(1 8) 国際ビジネスの進化 有斐閣
高橋直樹(2007)
〈解説〉2006
年わが国の対外直接投資
向(国際収支統計ベース)
国際協力銀行
開発金融研究所報
2007年10月第35号
八木 木男ト(2008.2)
京 業大学中国経済プロジェク
京 日本企業の対中国進出
業大学
保
9
『
』,
99
『
』,
動
『
三
「
』,
郞咸平
』
」『
都産
都産
(2011)『새로운 중국을
하다』,한빛비즈,p24
말
라(2013)『중국의 한국기업 진출현황』,p83
코트
国際協力銀行(2014) わが国製造業企業の海外事業展開に関する調査報告
『
』
최성백(2014)「동북아의 신실크로드 경제벨트
상과 그 가능성」『일본문화학보제61집』,
구
한국일본문화학회,p215
국회의원연구회(2014)『한․중 정치경제포럼』「중국경제의 기회와 위기,
리의 대응방안」,p32
우
봄 국제여론조사 27
中華全國工商業連合會(2014) 전국민영기업 상위 10대그룹 8
UMIT M MIT UI T U T
K(2013.2) 調査月報 2013.2 市化による中国経
済 長の可能性 3 4
商務部(2013)
外商投資統計 とJ T
益財 法人国際東アジア研究センター(2014) 中国における日系企業の立 戦略の変化と影
響要因 23
国際協力銀行(2014) わが国製造業企業の海外事業展開に関する調査報告 42
帝国データバンク(2010.10.22) 7
帝国データバンク(2010.10.22) 1
경제계50(2014.2.24) 中国進出する日本企業の経 難
14
ew
R
R
eseach
C
enter(2014)『2014년
』,p
『
S
O
O
S
R
成
S
BAN
『
』「都
」,p , p
『「
公
』,p
』
E
RO
団
,p9
『
地
』,p
『
』, p
,p
,p 9
『
営
』,p
PO(2014.7.14)
特定営利団体活動言論N
國務院發展硏究中心中小企業硏究所(2014) 중 기업연 12
于涛(2013) 中国人口老龄化与老年消 问题研究 人口、资源与环境 济学 吉林大学,
周学东(2013) 我国国有企业产权改革最优路径研究 济思想史 大学
『
「
费
소
구』,p
『
「
经
」『经
』,武汉
.moneyweek.co.kr제8381호
www
T
국제투명성기구( I,2014))『Corr
中国国家统计局(2014)
52
u ti n Pe ce ti n Index
p
o
r
p
,p
2013년 기준『IDC(International Date
Corpor
』」,
o
,
J
PI』
C
ation apan』,p32
34
p
중국경제의 불안정성 증대와 일본기업의 대응전략 ·············································· 최 성
…425
백
要 旨
f g the inc eased ssibilit
f a ice c lla se due t the imbalance bet een su l and demand. The is
is c ming f m the g e nment a ticula l the bubble in the g e nmental
s stem. It is needed t
a attenti n t h
g eat les u banizati n lic
la s f the eal estate s
e su l and ice maintenance but if u banizati n
fails it ill be im ssible t a id the bubble in its g e nmental s stem. In
this situati n the e is a hen men n that
e seas c m anies a e lea ing the
hinese ma et. Due t the inc ease in
ducti n c sts inside hina and
se e e c m etiti n against indigen us c m anies the a e lea ing
hina
successi el . ince the hen men n f
e seas c m anies lea ing hina leads
t n t nl
educti n in in estment but de i ati n f ad anced techn l g
hinese ec n m
ill face negati e effects afte all such as difficult in its
ad ancement and its dete i ated image sh n t
the c unt ies.
s eciall
am ng n n- e seas
hinese
e ha e t
a attenti n t
Ja anese c m anies ma ing a l t f in estment t hina. Latel Ja anese
c m anies a e inc easing thei in estment t
egi ns hile educing
thei in estment t
hina significantl .
ut the hen men n f Ja anese
c m anies lea ing hina can be seen as thei st ategic c ecti n f business.
Fi st the a e educing
e seas t ansfe
business ex ansi n f
a eas
he e c m etiti n is fie ce and a e l
ing f
the
a s f agg essi e
ad ancement int the a eas ith high
tentials f ne business.
Presently, the
o
pr
o
o
hinese
C
p
ro
ov
or
,
r
C
,
o
r
o
o
S
o
y
r
o
o
o
p
y,
o
p
r
o
o
,
r
o
o
o
ov
y
o
r
p
C
o
r
r
o
r
o
C
v
ook
po
r
o
o o
y,
r
v
o
p
p
r
o
y,
r
o
w
o
o
orr
or
or
w
y
o
p
r
o
o
p
or
y
C
ASEAN
B
r
C
y
o
v
r
w
v
v
o
w
r
r
r
p
v
y
ov
v
C
y
o
o
,
o
C
r
キーワード: order
o
o
r
o
,
r
C
o
p
y
y
p
o
po
r
r
k
r
o
r
r
o
r
r
o
pro
ow
ov
r
v
r
pr v
k
o
p
v
ov
v
o
ro
ov
w
v
r
,
v
p
r
ow
o
y
r
ov
vo
o
po
pp y
pr
r or
E
w
o
o
o
r
r y
r
p
y
r
pp y
o
y
p
r
r
p
v
o
p
o
o
p
v
C
o
ov
r
rk
r
,
y
po
o
v
p
’
w
w
r
o
y
eal estate market is acin
o
y
p
r
p
or
o
o
or
r
r
v
w
imbalance, urbanization, deviate from market,
investment in china, emigration ,Japanese Corporation,
china real estate market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재확정일 : 2015. 7. 4
‘竹島’일본영토론자들의
특징에
관한
사고논리의
분석
*
1)
-시모조 마사오를 한 유형으로 장 근**
(e-mail: [email protected])
2)최
目 次
1. 들어가면서
2. 비논리적인 왜곡된 역사인식
3.‘죽도문제’1)에 대한 왜곡된 관념
4.일본 국내의 한국 시민단체 활동에 대한 부정적 사고
5.한중일 3국의 문화론에 대한 오류
5. 맺으면서
1.
들어가면서
종전 후 연합국최고사령부가 SCAPIN 677호로 독도에 대한 관할권과 통치
권을 한국에 인정함으로써 한국정부가 실효적으로 점유하게 되었다.2) 대일평
* 이 논문은 2014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4S1A5B8A02068830).
** 대구대학교 일본어일본학과 교수, 정치학전공
1) 독도는 역사적 권원에 의거하여 한국이 실효적으로 관할, 통치하고 있는 한국영토로서 아무른 문제가 없
는 섬이다. 그런데 일본이 주장하는 ‘죽도’는 일본 입장에서 보면 문제 제가를 하므로 ‘죽도문제’가 있다
고 할 수 있다. ‘독도문제’라는 표현은 옳지 않다. 굳이 사용하려면 ‘죽도문제’라고 하는 것이 타당하다.
2) 한국이 1952년 1월 18일 ‘이승만라인’으로 불법적으로 점령하였다고 하는 일본의 주장은 억지이다.
그것은 대일평화조약에서 독도가 일본영토로 결정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사실 대일평화
조약에서 독도가 일본영토로 결정되지 않았다. 자유진영의 연합국은 독도의 지위를 별도로 결정하
지 않았다는 것은 1946년의 SCAPIN 677호를 묵인한 것이다. 그 결과 대일평화조약의 영토지도를
보면 독도가 한국영토에 포함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병준,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과 독
도」, 『광복 후 독도영유권을 둘러싼 쟁점』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개소1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
움, 2015년5월8일, pp.95-114.
42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화조약에서도 연합국은 한국의 실효적 점유를 중지하거나 취소하지 않았다.3)
한국은 1965년 한일협정에서 일본정부로부터 한국의 실효적 점유를 인정하도
록 했다.4) 1974년 대륙붕협정에서도 한국의 실효적 점유에 대해 아무런 이의
를 제기 하지 않았다.5) 그 이후 일본은 한국의 독도 점유에 대해 그다지 문
제시 하지 않았다. 그런데 일본은 한국의 금융위기 상황을 악용하여 새로
운 한일어업협정6)을 강요하여 독도를 중간수역 안에 포함하는 잠정합의수
역(일본식 속칭 ‘공동관리수역’)의 어업협정을 체결했다. 그후 7년간도 일본
은 독도에 대해 그다지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다. 그런데 시마네현은
1952년 대일평화조약을 체결한 후 53년이 지난 후 2005년 갑자기 ‘죽도의
날’을 지자체 조례로서 제정했다. 왜 그랬을까? 시모조 마사오(下条正男)라
는 한 우익인사의 선동에 의한 것이다.7) 시모조는 당시 한국에서 ‘신한일
어업협정’이 체결되는 것을 보고 독도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 이전에는
독도에 대해 연구하지 않았기 문에 독도의 역사 에 관해
알지 했
다. 실제로는 한일 어업협정에서 독도의 표를 잠정합의수역
‘공동 관
리수역’ 속에 포함하는 어업에 관한 협정을 체결하였기 문에 독도의 영
토주권에 관한 결정이 아 었다. 라서 한국이 실효적으로 관할통치하고
있는 독도와 그 영해도 당연 어업협정에서는 논의 대상이 아 다. 그런
데 시모조는 이를 왜곡적으로 대해 함으로써 독도마 도 공동으로 관리
해 한다는 논리를 조 했 것이다. 시모조는 선행적으로 연구되어진 ‘죽
도’영토론자들의 논리를 그대로 동원하여 시마네현과 현의 , 현 신의 국
의원을 동원하여 죽도 영유권 강화를 선동하여 기
묵의 일본정부
8)
9)
10)
( 무 )를 움 이기 시 했고,
한 내 관
도 ‘영토대 기 조정실’
때
니
야
작 던
회
외 성
직
히
확
작
좌
따
석
또
처
성
때
저
잘
즉
못
니
회 출
급 야침
각 방
책 획
분 백산 료
회
회
3) 최장근, 「대일평화조약의 영토 리」, 『일본의 영토 쟁』
자 원, 2005, pp.33-112.
4) 최장근, 「한일협정 시기의 일본국 의 공 」, 『일본의 의사록이 인정하는 ‘다 시마’가 아
한국영토 독도』제이
, 2014, pp.131-210.
5) 최장근, 「한일협정 후시기의 일본국 의 공 」, 『일본의 의사록이 인정하는 ‘다 시마’가
아 한국영토 독도』pp.269-304.
6) 1965년 한일기본조약을 체결할
어업협정도 체결하였다. 1965이 이후 한일 간에는 어업 서가
유지되고 있었다. 그런데 일본이 일본에 유리한 새로운 어업협정을 체결하기 위해 한국의 금융위
기상황을 악용하여 1997년 일 적으로 이를 기했다.
7) 최장근, 「시마네현 ‘죽도문제연구 ’의 일본영토론 조
식」, 『일본근대학연구』제44 , 2014년
5월, pp. 293-412
8) 일본 「 무 」, h p:
.mo a.go. p mo a area ake hima inde .h ml(
일: 2015년 5월 31일)
9) 일본정부가 ‘죽도의 날’행사에 정부고관을
하여 동조함으로써, 자민당과 시마네현 국 의원을
포함하여 제9 와 제10 행사에는 국 의원도 대거 여하게 되었다.
10) 「
・
(내 관 )」, h p:
.ca .go. p p r odo r odo ake hima.h ml(
일: 2015년 5월 31일)
닌
앤씨
직
방
회 방
때
방
색
회
회
케
닌
케
질
파
작방
집
외 성 tt //www f j / f j/ /t s / x t 검색
파견
회
회
회
회
참
領土 主權對策企劃調整室 각 방 tt //www s j /j / y / y /t s t 검
‘
竹島’일본영토론자들의 사고논리의 특징에 관한 분석 ········································ 최 장 근…429
설
렇
극
방
떠
계
拓殖大学
松江
좌
찰
작
을 치하여 ‘죽도문제’에 적 적인 활동을 시 했다.
그 다면 오 날 ‘죽도문제’를 선동한 장본인인 시모조의 독도에 관한 영유
권 인식과 그의 사고 식은 어 할까? 본 연구에서는 시모조의 역사관과 일본
론, 한일관 관, 국제관 관에 관해서 토하는 것이 그 적이다. 연구 법으
로서는 다
대학(
) 시모조 마사오(下 正男) 라는 이 으로 2015
년 1월 24일 마 에(
)에서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제 4 죽도문제(
11)
)를
한다
강 에서 「죽도문제와 한국의 ‘역사인식문제12)」라는 강
연13)내용을
하여 고 하려고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역사적 국제법적 관점에서 본고에서
하는 것
은 식으로 ‘죽도’가 일본영토라고 주장하는 일본국적의 연구자도 있지만,14)
대부 일본국적의 역사학자들은 ‘독도는 일본영토가 아 고 한국영토’라는 연
구 과를 내었다.15)
題
늘
계
“ 쿠쇼쿠
쓰
생각 ”
분석
검
목
條 ”
“ 4회
름
분석
같 방
분
성
방
竹島問
처럼
니
2.
비논리적인
왜곡된
역사인식
竹島問題의 역사
배경
李承晩
日韓国交正常化交渉,
日韓 課題 日韓基本 約 締結 竹島問題
朝鮮侵略 最初 犠牲地’
워드
출
시모조는 ‘죽도’가 역사적으로 일본영토라고 주장하기 위해 ‘
적
’이라는 주제로 논리를 전개하면서 ‘
라인’과
‘
’, ‘
条 ’
과
, 독도는‘
의
라는 키
로 독도에 대한 왜곡된 역사인식을 표 했다.
條
竹島問題と韓国の 歴史認識問題 平成 年度 竹島問題を考える講座 の開催について
第回 月 日
tt //www f s
j / / f/t s /w t s /t s
/t
s /H z t
竹島問題と韓国の 歴史認識問題 “第4 回竹島問題を考える”
습
tt //www f s
j / / f/t s /w t s /t s /t s /H
z t / MG_ J G 검색
외
틀
같 경
분
작 케
쉽 접
판
때
奥原碧雲 저술 竹島及鬱陵島 松江:報光社
竹島経営者中井養三郎氏立志伝
竹島沿革考 歴史地理 第 巻 第 号
등
川上健三 저술 竹島の歴史地理学的研究 古今書院
竹島の領有
日本外務省 約局 등
田村清三郎 저술 島根県竹島の 研究
島
根県竹島の新研究 島根県総務部総務課
등
야 베 켄 山辺健太郎
히 梶村秀樹
카즈 堀和生
세 츄 内藤
中등
성 두드
판
内藤
中
金柄烈
저 歴史的検証独島 竹島 岩波書店
朴炳涉 저 竹島=独
島論争ー歴史から考えるー 新幹社 등
11) 下 正男, 「
‘
’」, 『 26 ‘
’
』
( 4 , 1 24 ),
h p:
.pre . himane.lg. p admin pre ake hima eb- ake hima ake hima06 akehima07 26kou a.h ml.
12) 상동.
13) 「
‘
」,
4
에서 강의하는 시모조의 모 ,
h p:
.pre . himane.lg. p admin pre ake hima eb- ake hima ake hima06 ake hima07
26kou a.da a I
5112. P (
일: 2015년 5월31일)
14) 일본영토론을 내는 학자들은 일본 국적의 국제법학자들이 다소 있고, 그 이 는 학자라는 타이
로 어용학자와 은 우가 대부 이다. 일본의 국제법학자들이 일본영토론을 지지하는 이유는 일
본국내에 어용학자들이 조 한 ‘타 시마영토론’을 게 할 수 있고, 그것을 무비 적으로 수용
하기 문이다. 대표적인 일본영토론으로서,
이
한 『
』
,
1906. 『
』1906.「
」,『
』 8
6 , 1907
이있고,
가
한『
』
, 1966, pp. 1-291. 『
』
条
, 1953 이 있고,
가
한『
』, 1954, pp. 1-83.『
』
, 1965, pp. 1-159 이 있다.
15) 마
타로(
), 가지무라 데키(
), 호리
오(
), 나이토 이 (
正 ) 의 연구 과가
러진다. 이들의 연구를 논리적으로 비 한 일본영토론은 없다.
正
연구로서
과의 공 ,『
・
』
, 2007.
과의 공 , 

, 2007 이 있다.
43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1)‘李承晩라인’16)과 ‘日韓国交正常化 교섭’에 관해서
‘李承晩라인’과 日韓国交正常化 교섭에 관해서 언급하면서 전혀 다른 내용으
로 설명하고 있다. 즉, 시모조는 한국이 1952년 1월 18일 ‘李承晩라인’을 선포
하고 나서 일본어민을 나포 억류하여 한국이 인질외교를 벌였다고 한다. 한일
간에 1952년 2월에 ‘日韓国交正常化’ 교섭의 본 회담이 시작되었다. 산케이(産
経)신문 카토(加藤) 지국장이 在宅 기소된 것이 한국의 전형적인 ‘인질외교’라
고 한다.17) 시모조는 ‘李承晩라인’, 또는 ‘日韓 国交正常化’ 교섭이라는 아카데
믹한 주제를 가지고 두 키워드에 대한 설명은 없다. 시모조의 의도는 산케이신
문 지국장이 박근혜 대통령의 명예 훼손으로 기소되어 출국이 금지된 것인데
이를 비판하기 위해 ‘인질외교’라는 논리를 만들기 위해 ‘이승만라인’을 동원한
것이었다. ‘李承晩라인’은 한국대통령이 연합국이 결정한 독도를 비롯한 해양주
권을 보호하기 위해 선언한 평화선으로서 불법적인 것이 아니었다. 일본은 ‘이
승만라인’을 불법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기 위한 논리를
조 한 것이다. 그런데, 토 지국장이 국금지된 것과는 그것은 학문적으로
비교 대상이 아 다. 이상의 내용으로
시모조 논리의 논리적 모
은
다 과 이 지적할 수 있다.
로 평화선 선 후 이를
한 일본어선에 대해 나포하여 억류한 것은
일본어선이 한국의 타적 제수역을
하였기에 국권 수호 원에서 국제법
적으로 불 적인 일본 어선을 나포한 것이다. 이를 ‘나포 교’라고 하는 주장은
‘타
대학 교수’라는 학자의 신 으로서는 비논리적이고 정적인 표현이다.
둘 로,
이신문
지국장이
기소된 것은 한국 대통령에 대해
사실이 아 것을 론에 보도하였다고 하여
으로 기소된 것이다.
토 지국장이 한 인 의
를
했다고
이 단을 하였기 문에 법원
의 결이 요했 것이다.
일본으로 국을 해 리면 재 이 되지 않는
다. 이를 ‘인
교’라고 하는 것은 비논리적이다.
이
시모조는 타
구대학 교수이기 문에 학자라는
으로 죽도문
제연구 의 장이 되었는데, 이 연구 가 독도의 역사를 학 적이고 관적으
로 연구한다고 주장하는 것18)과는 사 모 된다. 라서 시모조는 형적으
작
음 같
첫째
범
카
니
언
배
경
출
볼때
침범
침범
순성
외
차
쿠쇼규
분
감
째 산케
加藤
在宅
닌 언
명예 훼손
카
격 명예 훼손
검찰 판
때
판 필 던
특히
출
버
판
질외
처럼
쿠쇼
때
명목
회 좌
회
술
객
뭇 순 따
외
언
언 즉
언
뿐
더
셔널 즘
바탕
두 음
條 氏 竹島問題と韓国の 歴史認識問題 平成 年度 竹島問題を考える講座 の開
催について 第 回 月 日 참
島根県 竹島問題硏究會 tt //www f s
j /s /w t s / 竹島問題硏究
會
最終報告書 竹島 関 調査研究 竹島問題硏究會 참
16) 일본은 이승만대통령이 선 한 「대한민국 주권선 」
‘평화선’에 대해 「이승만라인」이라고
부른다. 이유는 이승만 대통령 개인이 불법적으로 선 한 ‘라인’이라는 것이다. ‘평화선’에 대해 불
법이라고 하는 나라는 일본 이다. 이를 보 라도 일본의 주장이 내
리 적인 인식에
을
고 있 을 알 수 있다.
17) 상동, 下 正男 「
‘
’」『
26
「
」
』( 4 , 1 24 ) 조.
18)
,「
」, h p:
.pre . himane.lg. p oumu eb- ake hima ,
(2007.3), 『
:
に する
』
조.
‘
竹島’일본영토론자들의 사고논리의 특징에 관한 분석 ········································ 최 장 근…431
름
세워
로는 학자라는 이 을 내
자신의 주장이 합리적이고 논리적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내
리스 로서의 한(
)운동가이다.
셔널 트
(2)‘일한과제’에 관해서
혐 嫌韓
언급
‘일한과제’라는 주제를
하여 한일협정이 체결되고 난후, 재일한국인의 법
적 지위(주로
입국자), 재
구권, 어업문제가 재한다고 주장한다. 일본
에서 주로
입국자들로 이 어진 재일한국인의 법적 지위에 관해 정주권을
주는 것은 일본이
적으로 려한 것이라는 입장이다. 일본인이 종전과
불어 국하면서 한국에 있 재 에 대한 재
구권을 포기하도록 한 것에
대해서는 일본이 재 권을 구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어업문제에 관해서
도 한국이 ‘이승만라인’을 불법적으로 선 하여 어업권을 강제로 점유했다는
주장이다.19) 이러한 주장에 대한 시모조의 모
은 다 과 다.
로, 재일한국인의 법적 지위에 관해서는 재일한국인의 재는 불법적인
일본의 식민지 지 로 인해
한 문제이다.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는 다른
선진국에 비교한다면 영주권을 인정하는 것은 최소한의 법적 조치에 불과하다.
이를 가지고 일본이 선의적으로
나게 려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행위이다.
둘 로, 강제점령기에 일본제국 국민이 한국에 거주할
소유하고 있 재
을 종전과 불어 국할
재
구권을 포기한 것은 포
선 에 의거
하여 불법적인 식민지 지 이었기 문에 연합국이 그런 조치를 내 것이다.
그것은 합법적인 조치이다. 이러한 역사적
을 무시하고 현상만을 갖고 자
국의 이익만을
하여 단하는 것은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행위이다.
로, 어업문제에 관해서는 평화선을 이승만 대통령이 불법으로 선 한 것
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행위이다. 평화선은 연합국최고
사령부가 인정한 SCAPIN 677호와 아 라인에 의거한 것으로서, 대일평화조
약이 체결되어 아 라인이 기 으로써 독도를 비 한 타적 제수역이
일본으로부터 불법적으로 도 당할 것을
하고 취한 합법적인 조치이다.
1965년 한일 어업협정도 일본이 이 ‘평화선’을 대체로 인정하는 것을 전제로
된 것이다. 한일협정에서는 정 정부가 오 려 이승만대통령이 평화선으
로 보한 어업권에 대해 이를
하려는 일본의 요함 문에 평화선에서
후 하는 어업협정을 체결하게 되었 것이다.20)
밀항
밀항
귀
첫째
산청
루
희생
배
던 산
산 청
배
산
셋째
더
귀
생각
맥 더
확립
확
퇴
더
산청
언
순성
음 같
존
발생
엄청
째
존
때 산청
배
때
판
배
때
츠담 언
린
배경
던
언
맥 더
파 됨
발
예견
박 희
철폐
던
롯 배
히
집
경
때
條
竹島問題と韓国の 歴史認識問題 平成 年度 竹島問題を考える講座 の開催
について 第 回 月 日
및 EEZ
련성
회
김명
양
19) 상동, 下 正男, 「
‘
’」『
26
「
」
』( 4 , 1 24 ).
20) 최장근, 「어업협정과 독도
과의 관
」, 『한국의 독도영유권 연구사』 독도연구보전협
, 2003, pp. 315-358.
기, 「1998년 한일협정과 독도」, 『독도의 영유권과 국제해 법』선인,
2014, pp. 85-268.
43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3)‘일한기본조약’ 체결과 '竹島'문제에 관해서
‘일한기본조약’ 체결과 ‘竹島問題’라는 주제로 시모조는 일본이 1905년 합법
적으로 일본영토로서 ‘竹島’를 편입 조치한 것인데, 한국이 1952년 ‘이승만라인’
으로 불법적으로 점거했다는 것이다. 사실 1905년 합법적으로 편입한 영토로서
정당한 영토조치라고 주장하지만, 종전한 이후 일본이 연합국과 약속한 카이
로선언과 포츠담선언에 의거하여 1895년 청일전쟁 이후 침략한 일본제국주의
의 영토는 모두 일본 영토에서 분리한다는 연합국의 전후 영토조치에 의해 한
국이 독도를 실효적으로 관할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1905년 일본이 ‘竹島’를
편입했다고 하여 합법적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미 1877년 메이지 정부도 ‘태정
관문서’를 통해 울릉도와 더불어 독도를 한국의 고유영토로 인정했던 것이다.
이를 보더라도 독도는 일본이 침략한 영토이기 때문에 포츠담선언에 의거해
한국영토가 되는 것이 맞다. 이를 바탕으로 1965년 한일협정에서 일본과의 합
의 하에 한국이 독도를 실효적으로 관할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일본정부가
한국의 독도관할을 인정하지 않으려면 한일협정을 체결하지 말았어야했다. 이
러한 이유 때문에 일본은 한국이 독도를 실효적으로 관할하고 있는 상황을 ‘불
법 점유’라고 한국의 영토주권을 부정할 수 없다는 최종적인 결론에 달한다.21)
이러한 내용에 입각하여 시모조 논리의 모순성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시모조는 1905년 일본의 죽도 편입조치가 정당한 영토조치라고 주장
한다. 그것은 연합국의 SCAPIN 677호 명령 등 모든 역사적 사실을 부정할 때
가능한 주장이다. 죽도 편입조치인 시마네현고시 40호는 무주지를 일본이 선
점했다는 주장이다. 그렇다면 1905년 이전에 한국영토로서의 근거자료를 차치
하더라도 일본이 스스로 독도 영유권을 부정했던 막부의 조치, 메이지정부의
조치까지 부정할 수 없다. 게다가 일본영토를 결정할 기준으로 연합국이 결정
하여 일본이 무조 적으로 수용한 이로선 , 포
선 ,
이들 선 에 의
해 1895년 러일전쟁 이후 일본이
한 모 영토를 일본영토에서 제 한다
고 결정되었 것이다. 이 게
1905년 무주지를 선점했다고 주장하는 일
본영토론자들의 논리는 옳지 않다.
둘 로 1954년에 한국이 독도를 불법적으로 점령했다고 주장한다. 1954년은 한
국의 독도의용수비대가 독도에 상주하기 시 한 해이다. 해 이후 SCAPIN 677
호에 의한 연합국의 조치로 한국이 독도를 점유하여 관할하기 시 했 것이다.
일본이 한국전쟁기를 악용하여 독도에 불법적으로 상륙하여 점유하려고 하였기
문에 이를 기 위해
도의 민간인이 주 이 되어 수비대를 결 하여 스스로
건
던
카
침략
렇 볼때
째
언 츠담 언 즉
든
작
막
울릉
축
방
언
외
작 던
성
때
條
竹島問題と韓国の‘歴史認識問題’」『平成26年度「竹島問題を考える講座」の開催に
第 回 月 日 참조.
21) 상동, 下 正男, 「
ついて』( 4 , 1 24 )
‘
竹島’일본영토론자들의 사고논리의 특징에 관한 분석 ········································ 최 장 근…433
던
차
던
상주하게 되었 것이다. 제2 대전을 전후에서 독도가 합법적으로 일본영토였
적은 한 도 없었다. 일본이 주장하는 영토적 근거는 1905년 입조치를 들고 있
다. 입조치는 위에서도
하였 이 이로선 , 포
선 에 의해 불법적인
조치임이
되었다. 이를
으로 1946년 1월 연합국은 SCAPIN 677호를
령하여 한국이 독도를 실효적으로 관할 통치하는 것을 인정했 것이다. 1954년
의용수비대가 독도를 무 으로 점유했다는 주장은 논리적으로 지 않다.
편
번
언급 듯 카
바탕
명확히
명
편
언 츠담 언
던
맞
력
(4)독도의 ‘조선침략의 최초 희생지’에 관해서
시모조는 독도가 1905년 일본이 합법적으로 편입한 정당한 영토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卞栄泰 외무부장관이 1954년 10월 28일 성명문을 발표하여 ‘조선침략의 최
초 희생지’라고 처음으로 주장했다는 것이다.22) 마치 변영태 외무부장관의 잘못 때
문에 한국이 독도를 ‘조선침략의 최초 희생지’라고 주장한다고 하는 듯하다.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기 시작한 것은 사이고 다카모리(西郷隆盛)가 ‘정한(征韓)
론’을 주장했고, 일본은 조선을 침략하기 위해 1870년에 조선국정을 밀탐한 후,
1875년 강화도를 침입하여 강화도 사건을 일으켰다. 이를 빌미로 조일수호조규(강
화도조약)을 강제하여 일본인들의 조선 국내 거주를 인정하도록 했다. 그 후 일본
은 조선 전체를 장악하기 위해 이를 해하는 국
을
하기 위해 일전
쟁을 일으키고, 나라에 대해 조선을 ‘자주국’임을 인정하도록 했다. 한 조선
에 해가 되는 러시아를
하기 위해 러일전쟁을 일으 조선에서 정치적,
사적, 제적으로 러시아가 간 하지 하도록 했다. 이 게 해서 조선에 있어
서 나라와 러시아의 간 을 제한 이후 러일전쟁 중에 은 한 법으로 내
의에서 독도를 취할 것을 결정하고 일본영토에 일 적으로 입 조치했다. 독
도는 무인도이기 문에 입조치를 취하 러도 대한제국정부에서는 이 사실을
인할 수는 없었다. 1910년 불법적인 한일병 조약에 의해 한국이 일본에 전적
으로
당하지만, 하자면 이 그 이전에 일본에 의해 일 적으로 한국의 고
유영토가
으로 일본의
에
되었 것이 독도였다. 그런데 이러한 역
사적 사실을 무시하고 일본이 무주지를 선점하여 국제법적으로
‘가 합법적으
로 입한 일본의 새로운 영토라고 주장하는 것, 한
적인 행위이다.
여기서 시모조 논리의 모 은 영
무부장관이 마치 사실과 다 게 ‘조
선
의 최
지’라고 사용했 것을 오 날 한국정부가 아무런 비 없
이 그대로 사용하기 문에
표현이라는 주장이다. 이
시모조는 합리
적이고 논리적인
은 없고 어 현상만 갖고 그것을 부정하는 식으로 사
실관 를 왜곡하는 식으로 영유권을 조 한다. 이것이 시모조식의 논리이다.
청
략 방
군 경
청
회
확
침략
방
배척
섭
섭 배
때
처음
말
편
침략
계
편
청 세력 배척
못
렇
더
미
방
탄
때
분석
방
켜
밀 방
편
침
각
방
침략 노출 던
또 침략
초 희생
또
청
순 변 태외
던
늘
생긴
떤
작
竹島
르
처럼
판
방
條
竹島問題と韓国の‘歴史認識問題’」『平成26年度「竹島問題を考える講座」の開催に
第 回 月 日 참조.
22) 상동, 下 正男, 「
ついて』( 4 , 1 24 )
43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5)칙령41호의 ‘石島=독도’에 관해서
징
특히
산
벌
칙
울 군
石島
창 때
시모조는 독도가 한국영토라는 한국의 주 이, 512년 신라가 우 국을 정
한 이후 오 날까지 한국영토가 되었고,
1900년 고종황제의 ‘ 령 제41호’
로 동해 다에 있는 모 섬을 관리하기 위해 도 을 치하고 도 의 관
23),
할 위로서 「
,
」로 한다고 정했다. 여기서 ‘
’는
오 날의 독도이다. 그런데 일본이 ‘
’을 일으 서 전쟁이 한 일 에
1905년 2월 22일 ‘
’라는 이 으로 ‘
’에 입하는 조치를 취했지만, 그
것은 한국의 고유영토에 대한
행위라는 것이다. 이러한 한국의 독도에 대
한 역사인식은 아주 문제가 다고 하는 주장이다.24)
한국의 이러한 주장은 고문 에 의해 논 된 것이다.25) 령41호의 ‘ 도’는
독도가 다. 동해 다에
도와 그 주 에 나무가 자라고 있는 섬으로 관
도와 죽도가 있다. 그 에 나무가 없고 전
은
어리로 된 위가 4개
있다. 령41호에 도 의 관할 위로서 나 된 섬은 「
전도, 죽도,
도」이다. ‘ 도’가 독도임을 가장 간단하게 논 할 수 있는 법을
하면 다
과 다.
, 「
전도」라고 하는 것은 죽도와 도를 제 한
도 주
의 복수의 섬
위를 포함하는 모 섬을 한다. ‘ 도’는 로
하고 있
으므로 ‘
전도’에서 제 된다. ‘죽도’도
하고 있기 문에 제 된다. 라
서 ‘ 도’도 아 고, ‘죽도’도 아 므로 ‘ 도’와 ‘죽도’ 내 에 있는 모 섬이 ‘
전도’가 된다. 라서 ‘ 도’는
도에서 87.4km나 어 있는 오 날의 독
도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있는 논 을 무시하고, 아무런 논 없이
으로 오 날의 ‘관 도’가 도라고 주장하는 것26)이 시모조식의 논리이다.
거기에는 아무런 합리 이나 논리 이나,
은 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을 부정하는 시모조의 논리는 리 독도가 일본영토라는 것을
전제로 하고 무조 적으로 한국영토로서의 논거를 부정하는데서 비 된 것이
다. 라서 시모조의 주장은 역사적 사실을 조 하는 행위이다.
바
늘
든
울 군 설
범
鬱陵全島 竹島 石島
규
늘
日露戦争
켜
竹島
름 日本領 편
침략
많
헌
증
칙
석
맞
바 울릉
변
음
외
순 히 작 돌덩
바
칙
울 군
범
열
울릉
석
석
증
설명
음
같 첫째 울릉
석
외 울릉 변
즉바
든 말 석 따 언급
울릉
외
언급
때
외 따
석
니
니 석
측
든
울
릉
따 석 울릉
떨 져
늘
설득력
증
증
추
측성
늘
음 석
성
성 설득력 존
미
건
롯
따
작
늘
니 울릉
댓 말
條 氏 竹島問題 韓国 歴史認識問題 平成 年度 竹島問題 考 講座 開催
第回 月 日 참
메
작성
말 탐
태
명확히 울릉 더
님 명확히
송
地方官制 編入 石島 鬱陵島 獨
島
출
송
光武
칙 勅令
료 료총
림
메
성 태
왕
확
족
산
条
竹島 歴史 領土問題 竹島 北方領土返還要求運動島根県民会
23) 이 섬은 오 날 일본이 한국영토인 독도를 가리키는 ‘죽도’가 아 고,
도 본섬에서 2km 지점
에 있는 섬을 한다.
24) 상동, 下 正男 「
と の‘
’」『
26
「
を える 」の に
ついて』( 4 , 1 24 ) 조.
25) 일본 이지정부가
한 「조선국교제시 내 서」, 「 정관지령」은
도와 불어
독도가 일본영토가 아 을
하고 있다. 병기, 「
과
」, 『
와
』단국대학교 한부. pp.112-132. 병기, 「광무(
)4년(1900) 령(
) 제41호」, 『독도영
유권 자 선』자
서34, 한 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04, pp.237-241. 신용하, 「일본 이지
정부 내무 과 정관의 조선 조의 독도 영유권 재 인」, 『독도의 민 영토사연구」지식 업
사, 1996, pp.164-171.
26) 下 正男(2005) 『
ーその と
』
・
, pp. 132-171.
‘
竹島’일본영토론자들의 사고논리의 특징에 관한 분석 ········································ 최 장 근…435
(6)‘위안부문제, 역사교과서’에 관해서
잘못
시모조는 한국이 독도가 한국영토라는
된 역사인식을 갖고 있다고 주장
하고, 한국이 모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그 사례로서 위안
부문제를 악용하고 있다. 그 서 일본이
런
문제를 전적으로 부정하
고, 일본의 역사교과서에 일본이 주 국가를
했다고 하는 모 기 을
제해 하고, 한 한국이 주장하는 ‘동해’라는 칭은 대로 통용되도록 해서
는 안 된다. ‘일본해’라는 칭을 국제사 에서 통용되도록 일본이 국제사 를
동원하여 ‘국제법’으로 대 해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27) 이
시모조의 모
28)
은 선행연구에서 기정사실화된 내용 을 전적으로 무시하고, 마치 한국이 일
본의 고유영토인 ‘죽도’를 한국이 불법 점령하고 있고, 한국이 선 한 일본에
대해
전쟁을 일으 다고 호도하고 있는 것
주장하면서 일본의 행위는
국제법적으로 아주 합당하다는 도이다.
시모조는 국제법적으로 ‘죽도’가 일본영토라고 주장하지만, 대로 국제법적으
로 일본영토가
수 없다. 일본이 일본영토로서 주장하는 유일한 근거가 1905년
‘시마네현고시 40호’에 의한 ‘죽도’를 입 조치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이 무
조 적으로 연합국의 요구를 수용하도록 한 ‘ 이로선 ’과 ‘포
선 ’에 의해
1895년 일전쟁 이후에 취한 모 영토는 일본영토에서 리되는 것이 국제법
의 기준이기 문에 시모조의 주장은 비논리적이다. 라서 한국은 독도를 국제
사법재 소에서 어 나라의 것인지 기 하여 해결하자고 하는 일본의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 그 이유는 종전 후 연합국의 조치인 SCAPIN 677호에 의해
국제법적으로 독도가 한국영토로 결정 으로써 한국이 실효적으로 점유하여 관
할 통치하고 있다. 한 연합국의 이러한 결정은 512년 신라가 우 국을 복속한
이후부터 오 날까지 독도가
하게 한국영토로서 역사적 권원을 갖고 있기
문이다. 시모조가 주장하는 것
대로 독도는 일본영토가
수 없고, 일
본이 일 적으로 영유권을 주장하여
문제로서 ‘독도문제’는 없고 ‘죽도문
제’만이 재할 이다. 라서 ‘죽도문제’는 한국이 기 의 상대가 되기를 원치
않기 문에 국제사법재 소에서 해결되어 할 사안이 아 다.29)
든
야
래
또
저질 慰安婦
변
침략
명 절
회
명
처 야
침략
켰
건
청
판
때
방
존
카
탁
뿐
량
언
따
분
됨
또
늘
때
편
느
처럼
절
든
때
따
판
회
순
처럼
태
될
든 술 삭
명백
처럼 절
생긴
야
츠담 언
산
될
탁
니
條 竹島問題 韓国 歴史認識問題 平成 年度 竹島問題 考 講座 開催
第回 月 日 참
청
침략
차 세계
침략
발생 침략
항
츠담 언 카 언
건
확 됨
성
판
27) 상동, 下 正男「
と の‘
’」『
26
「
を える 」の につ
いて』( 4 , 1 24 ) 조.
28) 일전쟁 이후에 일본이
한 영토와 제2
대전이 일본의
에 의해
한
전쟁이
라는 사실은 일본이 연합국에 복하여 연합국이 요구한 포
선 과 이로선 을 무조 적으
로 수용하였다는 사실로 인 .
29) 제 호, 「독도 영유권 문제와 국제사법재 소의 관할권」, 『광복 후 독도영유권을 둘러싼 쟁
점』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개소1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움, 2015년 5월 8일, pp.151-178.
43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3.‘죽도문제’에
“竹島問題
대한
왜곡된
관념
”
음 같
멀
시모조는
는 왜 해결되지 않을까 라는 주제로 다 과 은 문제점
을 지적하고 있다. 시모조의 인식은 보 적인 인식과는 거리가 다. 이를 구
체적으로 토해보면 다 과 다.
편
검
음 같
(1)‘竹島의 날’ 지자체 조례 제정의 당위성 주장의 모순성
시모조는 유엔해양법조약에 의거하여 12해리 영해, 200해리 배타적 경제수
역, 200해리가 되지 않을 경우는 직선의 중간선으로 경계를 정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죽도’가 일본영토이기 때문에 한국의 울릉도와 ‘죽도’ 사이의 중간선으
로 한일 간의 배타적 경제수역이 확정되어야한다는 주장이다. 그런데 일본정부
가 2005년 ‘한일우정의 해’라고 하여 ‘죽도’의 영유권에 대해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였기 때문에 시마네현의회가 '竹島의 날」(2월22일)의 조례를 정했다는 것
이다.30)
독도가 일본영토라면 당연 독도기점으로 12해리 영해와 200해리의 타적
제수역을 가 수 있다. 그러나 독도는 일본영토가 아 다. 시마네현고시 40
호에 의한 입조치는 일본이 무조 적으로 수용한 이로선 과 포
선
에 의해
한 영토에 해당된다는 사실, 대일평화조약에서의 독도 지위, 평화
선에 의한 대한민국의 영토주권 선 , 한일협정에서의 독도 지위, 대륙붕협정
에서의 독도 지위 과 은 전후 독도에 대한 일본정부조치를 보 라도 일본
정부는 적 적으로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 그 이유는 만일 적
적으로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였다면 국, 영국
대일평화조약 체
결에 가 한 자유주의국가들은 일본이 과거
전쟁에 대한
이 없는 나
라로 고 되기 문에 이를 하기 위해서였 것이다. 최소한 조약체결의
심국가였
국과 영국은 대일평화조약에서 일본이 주장하는 것
독도가
일본영토로 결정되었다고 하는 것이 사실이 아 라는 것을
알고 있기 문
이다.31)
이
현 아 정권과는 리, 전후 일본정부는 도의적으로 최소한의 상식적
인 사고정도는 갖고 있었기 문에 함부로 영유권 도 을 하지 했다. 그런데
2005년 시마네현이 죽도의 날」 조례를 정한 것은 우 국간의 우의를
아주 무모한
적인 행위이다. 한국의 모 지자체가 ‘대마도의 날’을 조례로
제정하여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과 동일한 면이 있다.32) 아 정권에 들어와
경
극
편
침략
히
질
건
담
착 때
던미
처럼
피
베
침략
'
니
언
언
등 같
극
카
배
츠담 언
더
미
침략
던
등
니
잘
달
때
발
방
측
반성
처럼
못
핵
때
저버린
베
條 竹島問題と韓国の‘歴史認識問題’」『平成26年度'竹島問題を考える講座」の開催につい
第 回 月 日 참조,
對日平和條約』每日新聞社, 1952, 참조.
30) 상동, 下 正男,「
て』( 4 , 1 24 )
31) 「일본영역도」, 『
‘
竹島’일본영토론자들의 사고논리의 특징에 관한 분석 ········································ 최 장 근…437
침략 며
서 이런 시마네현이 무모하고
적이 불법적인 행동에 동조하는 것은 공
동의 가치관을 갖고 있는 우 국인 자유주의 가들에 대한 신행위이다. 이
는 국 하원의 무위원장이 독도는 역사문제로서 한국의 입장이 정당하다고
한 점으로도 인된다.33)
그 에도 불구하고 시모조는 독도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일본
무 이 자신의 임무와 역할을 소
하여 적 적으로 영토 복을 위해
하지 않고 소 적인 자 를 취했기 문이라고 주장한다. 시모조의 이러한
인식은 독도는 론이고 일본역사, 동아시아역사,
역사에 대한 역사적 인
식이 결여되었기 문이다.
미
언급
럼
외 성
력
방
외
확
극
물
때
굮
홀히
때
세
배
극
회
노
세계
(2) 신‘일한어업협정’에 대한 인식 결여
시모조는 1998년 한일 양국 간에 신‘일한어업협정’을 체결하여 독도문제에
관해 유보하였기 때문에 ‘일본해’가 ‘난획의 바다’가 되었다고 주장한다.34) 신
한일어업협정은 일본정부가 1965년에 한일 양국의 국교정상화 과정에서 체결
한 어업협정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일본에 유리한 신 어업협정을 한국정부에
강요하여 체결된 것이다. 일본의 입장에서 보면 구 한일 어업협정 보다는 신
어업협정이 어업적 면에서 유리한 지위를 보한 것이다. 그 결과 신 어업협
정에 의해 동해의 어업 서는
유지되고 있다. 그런데 시모조는 한국의 동해
를 ‘일본해’라고 부 는데, ‘일본해’가 ‘난 의 다’가 되었다는 주장이다. 시모
조의 논리는 독도가 일본영토라고 전제하고 하는 이다. 사실은 독도는 일본
영토가 아 다. 한국이 실효적으로 관할통치하여 주 의 12해리 영해를 타적
으로 통치하고 있다. 시모조는 한국이 실효적으로 통치하는 12해리 영해, 그리
고 한국이 실효적으로 관할하여 통치하고 있는 독도를 기점으로 200해리 타
적 제수역을 일본이 전적으로 보하고 있지 하고 있다는 것을 고 한
다. 시모조의 이러한 주장은 관 도 없고, 합리적이지 않으 전 논리적이
지 하고 그 게
가
도 전 없다. 독도가 역사적 권원에 의거하여 연
합국이 한국의 실효적 관할 통치를 인정하였기에
한 한국영토이다. 그
문에 일본에 보할 일은 없다. 그런데 시모조는 일본정부가 독도 영유권은 다
지 않고, 소 적인 자 로 영토문제를 유보하고 어업협정만 체결했다고 주장
하는 논리는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다.
측
르
질
잘
확
획 바
말
변
니
경
못
루
확
객 성
렇 될 능성 혀
양
극
못
배
며 혀
명백
배
두 말
때
세
발
같 차
응 산 '
미 외
"
땅"
경
tt //www y
/ ws/ / wsv w
=
검색
條
竹島問題と韓国の 歴史認識問題 平成 年度 竹島問題を考える講座 の開催
について 第 回 月 日 참
32) 시마네현의 무모한 도 에 대해 은 원에서 대 하여 마 시가 대마도의 날‘을 조례로 지정했다.
33) 「 하원 교위원장, 독도는 한국 」, 『한국 제』,
h p:
.hank ung.com ne app ne ie .php?aid 201505209863C(
일: 2015년 6월4일)
34) 상동, 下 正男, 「
‘
’」『
26
「
」
』( 4 , 1 24 ) 조.
43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존
질
신 한일어업협정은 일본이 한국의 금융위기 상황을 악용하여 기 의 어업
서를 일 적으로 기하고 일본에 유리한 새로운 어업협정을 강요한 것으로서,
국제사 의 보 적인 을 어 것이다.
다시 하면 국제법적
를 무시
한 도 적인 행위의
이다.
방
파
회 편 룰 긴
발
산물
즉
말
절차
(3)동아시아정세와 영토문제에 대한 인식 결여
시모조는 자신이 주도가 되어 2005년 ‘죽도의 날’을 제정한 것에 대한 불가
을 다 과 이
하고 있다. 2005년 4월 중국 국내에서는 ‘ 일데모’를
하게 하는데 러시아가 일데모에 동조하여
에 이용했다는
35)
주장이다.
중국과 일본 사이에는 다오위다오(
제도-일본 칭)를 둘러싼
영유권 쟁을 하고 있다. 다오위다오는 원
나라의 해역에 속하 지역을
36)
나라가 승한 지역인데, 일본이 나라를
하여 1895년 전쟁 중에 은
한 법으로 입조치를 취하여 일본의 신 영토가 되었다는 것이다. 그런데
중국 입장에서는 일본이 이로선 과 포
선 을 무조 적으로 수용하였기
문에 일전쟁 이후에 일본이
한 모 영토를 일본영토에서 제 되었고,
그 서 다오위다오는 일본 제국주의가
한 영토로서 일본이
해 할 섬
이므로 중국은
일본의 다오위다오 점유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할 수 있
다는 것이다. 그리고 일본과 러시아 사이에는
도 남 4도(
-일
본 칭)를 둘러 고 영유권 쟁을 하고 있다.
도는 전근대시대에는 지
금 일본의
이도와 불어 아이 민 의 의 터전이었다. 사실상 일본과
러시아는 타민 의 영토를 서로 할하여 점유하고 있는 것이다.
도 남
4도는 1854년 러일 화 조약으로 평화적으로 일본영토에 속되었다, 그런데
1875년 사할 과
도 교 조약을 체결하여 사할 은 러시아령,
도
의 전부는 일본령으로 결정되었다. 그런데 일본은 1905년 러일전쟁을 일으
사할 남부를 할 했다. 이러한 사실관 로 비 어
, 화 조약으로
4
도를 일본영토로서 평화적으로 결정하였는데, 일본이 다시 러일전쟁을 일으
평화적인 국 간의
를
하였 것이다. 이로 인해 불안정했 러일
국 선은 제2
대전에서 연합국의 요 으로 러시아가 연합국 에 가 함
으로써 다시 러시아가 연합국과 합의한 타협정에 의거하여
도 남 4
도를 포함한 모
도를 점유하여 통치지역이 되었 것이다. 이러한 역
피성
격렬
음 같 피력
분
계
청
밀 방
때
래
명
방
반
카
청
언
침략
충분히
싸
홋카
족
더
분
친
린 쿠릴열 환
린
경
北方領土問題
釣魚島; 센카쿠
래명
청
침략
편
양
양
차세계
경계
든 쿠릴열
반
분
명
츠담 언
든
침략
건
쿠릴열
쿠릴열
누 족 삶
방
린
귀
던
외
반환 야
北方領土
쿠릴열
쿠릴열
켜
계 추 볼때 친
북방
켜
파괴 던
던
청
측 담
얄
쿠릴열 방
던
條
竹島問題と韓国の‘歴史認識問題’」『平成26年度「竹島問題を考える講座」の開
催について 第 回 月 日 참
井上清 釣魚諸島は明の時代から中国領として知られている」, <<尖閣列島ー釣魚諸島の史的解
明>>現代評論社
35) 상동, 下 正男、「
』( 4 , 1 24 ) 조.
36)
, 「
, 1974, pp.24-33.
‘
竹島’일본영토론자들의 사고논리의 특징에 관한 분석 ········································ 최 장 근…439
센카쿠
명 북방
사적 사실을 부정하고 다오위다오(
제도)는 일본이 점유하고 있는 고유
영토로서 합법적인 영토라고 주장하고, 일 ‘
4도’라고 하는 섬에 관해서도
러일 화 조약에서 평화적으로 일본영토가 된 것을 러시아가 제2
대전을
기로 점령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행위이다.
그런데 시모조는 중국에서의 일데모가 러시아에 영 을 주어 러시아가 이
를 이용하여
영토에 대한 영유권을 강화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시
모조의 주장에 대한 아무런 논 없는 주장에 불과하다. 시모조는 역사적 사실
관 를 무시하고
으로 본인이 하고 은 은 대로 한다는 것이 그
이다.
친
계
반
북방
계
특징
향
증
추측성
차세계
싶 말 멋
(4)한국의 ‘동북아역사재단’ 설립에 대한 인식 결여
시모조는 한국이 2005년 4월‘ 동북아 평화를 위한 올바른 역사정립기획단’을
발족했고, 이를 2006년 9월 변경하여 ‘동북아역사재단’을 설립하여 ‘18억엔’이라
는 엄청난 예산으로 독도수호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비해, 당시 시마네현(島根
県)은 ‘죽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예산이 ‘1천만엔’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이처
럼 한국은 정부가 나서서 엄청난 예산으로 영토수호정책을 펴고 있는데 일본정
부는 전적으로 손을 놓고 있고 고작 시마네현의 1천만엔의 예산이 전부이기 때
문에 독도를 한국에 불법으로 점령당하는 것은 당연한 논리라는 주장이다.37)
사실 당시 ‘동 아 평화를 위한
른 역사정 기 단’은 중국이 동 공정
으로 한국의 고대 국가였 고구려를 중국의 소수민 의 국가로 역사를 왜곡
하는 업을 하고 있어서 여기에 대 하기 위해 ‘고구려연구재단’을
했
것이다. 2005년 일본 시마네현이 ‘죽도의 날’ 조례를 제정함으로써 일본의 독도
도 에도 불어 대 하기 위해 새 게 ‘동 아 평화를 위한
른 역사정
기 단’이 만들어 그것이 법제화되어 ‘동 아역사재단’이 된 것이다. 다시
하면 시모조가 선동하여 ‘죽도문제연구 ’를 만들지 않고, ‘죽도의 날’을 조례로
제정하지 않았다면 ‘동 아역사재단’도
하지 않았고, 당연 동 아역사재
단의
도 대하지 않았을 것이다. 시모조는 전 한국정부가 독도수호정
만을 위해 ‘18억 ’의
을 사용하여 독도영유권을 강화하고 있다고 하는
주장은 옳지 않다.
시모조는 사실과 다른 내용으로 선동적인 행동을 스스 없이 하고 있다. 이
북
던
작
발
획
책
더
예산 확
져
응
올바
응
롭
북
엔 예산
립 획
족
북
설립 던
북
북
회
탄생
올바
립
말
히 북
순 히
럼
條
竹島問題 韓国 歴史認識問題 平成 年度 竹島問題 考 講座 開催
第 回 月 日참 찾
길; 넷창
tt //www f s
j / / f/t s /w t s /t s /t s /H
z t
[
県政 統計 県情報 竹島関係 W 竹島問題研究所
研修 研修 H 年度考 講座開催状況]
37) 동상, 下 正男, 「
と の‘
’」『
26
「
を える 」の に
ついて』( 4 , 1 24 ) 조, 아가는 인터
(h p:
.pre . himane.lg. p admin pre ake hima eb- ake hima ake hima06 ake hima07 2
6kou a.h ml)에서 トップ 」
・
」
」
」 eb
」 パンフ
レット・ 」
」 26
える
.
440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양
력
계 저
발
작
야
는 결국 국은 서로 협 하여 동아시아의 전을 위해 도약해 할 시기임에
도 불구하고, 한일관 를 해하는 요인으로 용하여 한일관 를
시 다.
일본의 독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은 결코 일본의 국익에 부합하지 않고 역행하
는 행위임을 알아 한다. 시모조는 한일관 의 역사에 이 이 악인으로 새
것임에
하다. ‘죽도문제연구 ’
이후 시모조의 선동으로
한 한
일 간의 ‘죽도문제’는 모 시모조의
된 선동으로 국의 우호관 를 해
하는 것은 론이고 국익에도
난 실을
되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시모조의 의도는 일본정부를 자 하여 ‘죽도문제’를 교문제로 장하
려는 의도를 갖고 악의적으로 한국의 독도수호정 의
을 부 인 것이다. 이
를 보 라도 시모조의 주장이 마나 비논리적이고 선동적인가를 알 수 있다.
계 냉각 켰
야
계
길 길
겨
질
분명
회 발족
발생
두
잘못
양
계 저
물
엄청 손 초래
극
외
확
책 예산 풀
더
얼
(5)조작된 '竹島問題를 이해하기 위한 10포인트」의 제작 경위
시모조의 선동으로 시마네현은 2005년 6월 ‘竹島問題研究会’를 발족했고, 연
구회는 2년간의 활동 성과로서 2007년 3월 ‘第1期 最終報告書’를 시마네현에
제출했다. 2008년 2월에는 ‘外務省’의 의뢰를 받고 ‘竹島問題를 이해하기 위한
10포인트’를 제작했다.38)
시모조가 좌장으로 이끄는 죽도문제연구회는 독도가 일본영토라는 것을 전
제로 일본영토론을 조작하는 단체이다. 조작 방법으로서는 한국영토로서의 근
거를 해석적으로 조작하는 방식으로 전적으로 한국영토론을 부정하고, 오히려
일본영토를 입증하는 사료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일본영토를 입증하는 근거라
고 해석을 조작하여 일본영토론을 조작했다. 따라서 일본외무성의 이름으로 제
작된 '竹島問題를 이해하기 위한 10포인트」는 전적으로 객관성과 논리성이
없는 조작된 일본영토론이다.
이처럼 만일 독도의 영유권에 문제가 있다면, 일본정부가 한국을 상대로 외
교적으로 담당해야할 업무임에도 불구하고 시마네현의 죽도문제연구회가 나서
는 것은 지나친 행위이다. 과거 일본정부가 독도 영유권에 관해서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했던 것은 죽도가 일본영토로서 영토적 권원이 충분하다고 생각하지
않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시마네현의 죽도문제연구회가 선동하여 영유권
을 주장하는 것은 세계보편적인 가치관을 무시하고 일본 민족주의에 의한 잘
못된 행위임을 알아야한다.
이러한 경위로 만들어진 ‘竹島問題를 이해하기 위한 10포인트’에는 사실상
‘죽도’가 일본영토임을 논리적이고 설득력 있는 논증은 없다. 오히려 일본의 논
리가 얼마나 허접한 것인가를 스스로 폭로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한국은
條
竹島問題 韓国の‘歴史認識問題’」『平成26年度「竹島問題を考える講座」の開催に
第 回 月 日참
38) 동상, 下 正男, 「
と
ついて』( 4 , 1 24 ) 조.
‘
竹島’일본영토론자들의 사고논리의 특징에 관한 분석 ········································ 최 장 근…441
차
독도영유권을 수호하는 원에서 일본의 논리가
가에 관해
한
과 지적할 요가 있다.
철저 분석
필
얼마나 과장되고 문제가 많은
(6)일본정부의 ‘竹島’ 근해의 測量船 파견 진의에 대한 오해
시모조는 2006년 4월 일본정부가 ‘죽도 해저’를 조사하기 위해 측량선을 파
견했다가 한국측의 요청으로 철수했다고 주장한다. 즉 독도의 해저를 측량하려
고 계획을 했으면 성과를 내었어야 하는데 일본정부가 도중에 나약한 독도외
교를 펼쳤다는 주장이다.39)
시모조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 한국이 2006년 독일에서 열리는 국제수로기
구에 독도 해저의 해산명칭을 한국식으로 등재하려는 계획하고 있었다. 일본은
이를 차단하기 위해 측량선을 독도근해에 파견하여 시위를 벌였다. 한일 양국
정부는 일촉즉발의 공선 간의 충돌상황을 피하기 위해 한국측이 해산 등재를
보류함으로써 일본의 측량선이 후퇴하게 되었던 것이다. 일본정부는 소기의 목
적을 달성했다. 독도에 있어서 한일 양국이 물리적으로 충돌한다는 상황은 과
거 일본정부에서는 감히 생각도 할 수 없었던 도발적인 행위이다. 시모조는 독
도에 있어서 전례없는 도발행위가 자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정부가 나약
한 독도외교를 했다는 입장이다. 시모조는 무력으로 사용해서라도 한국의 실효
적 점유 상태를 변경해야한다는 입장으로 오늘날 한국이 독도를 불법적으로
점령하고 있는 것은 일본정부의 소극적인 자세 때문이라는 것이다. 시모조의
인식은 잘못되었다. 일본의 역대정부들이 한국을 상대로 한 독도정책을 보면
독도가 일본영토로서 강력한 영토적 권원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을 스스로 인
식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40) 이처럼 시모조가 사실관계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추측성으로 독도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7)자민당의원의 ‘울릉도 방문’(2011년 8월)41)에 대한 인식 결여
시모조는 “2005년 3월 15일 시마네 현의 죽도의 날 제정 시 정부(당시 자민
당)에서 제정을 중단하도록 방해가 있었다.”42) 또한 “2011년 8월 하루 신도 요
시타카(新藤義孝) 일본 중의원 의원, 이나다 토모미(稲田朋美) 중의원 의원, 사
토 마사히사(佐藤正久) 참의원 의원은 독도 기념관이 있는 한국의 울릉도를
條
竹島問題 韓国 歴史認識問題 平成 年度 竹島問題 考 講座 開催
第 回 月 日참
39) 동상, 下 正男, 「
と の‘
’」『
26
「
を える 」の に
ついて』( 4 , 1 24 ) 조.
40) 1965년 한일협정에서는 일본정부가 한국의 실효적 점유를 인정했고, 1974년에는 독도에 대한 한
국의 실효적 점유를 인정하는 것을 전제로 협정을 체결한 것이었다.
41) 「下 正男
のインタビューから」,
h p: anago.2ch.ne e read.cgi ildplu 1346798367 4(
일: 2015년 6월 4일)
42) 상동, 「下 正男
のインタビューから」 조.
条 教授
tt //
t/t st/
条 教授
/w
s/
참
/ 검색
442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찰
방
건
히
카츠야 平沢勝也
참
참 짜
회
야
쿠 山崎卓
울릉 방
말
락
던
히
겁
노 테루 石原伸晃
말렸
측
森喜朗
맹
회
베
渡辺恒三
울릉 방 저
청
청
래
름
찰
던
바뀐
버렸
건
쿠 쇼쿠
발
볼때
던
”
올바 처
시 하려고 한했으나 입국을 거부당한 사 으로 라사와
(
)
의원은 다른 일정이 있어서 여하지 않았지만, 불 의 진 이유는 한국 전
국 의장으로부터 마사키 타 (
)에게
도 문을 하지 도록 연
을 받았 것으로 라사와는 쟁이다. 이시하라 부
(
)도 중개
하여
다. 한국 은 모리 요시로(
) 한일의원연 의 전 장)와 와타
나 고조(
)에게
도 문을 지하라고 요 했다. 모리 요시로가
자민당에 요 하여 원 자민당 이 으로 시 하려고 했 것이 개인적인 여
행으로
것이 되어
다. 이 에 대해서는 다
대학의 시모조 마
사오 교수가 그 해 7월 31일 선 대로 한국에 입국하려다가 거부당하는 것으
로
사실 있었 일이다. 라고 주장했다. 그것은 일본의 국익을 위해서
라도
른 사였다. ‘죽도문제’는 한일협정을 체결하기 위해 당시 일본정부
는 한국영토로서의 권원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한국의 실효적 관할
을 인정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위를 갖고 있는 독도에 대해 일 적인 도 을
했을 우에 한일관 가 악화되어 일본의 국익에 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었기 문에 시마네현이 교적 문제를 일으 서는 안 된
다고
했 것이다. 시모조는 이러한 독도를 둘러싼 한일관 의 정치과정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모 거나 무시하고 있다.
일본
선의 독도근해로 이동하다가
한 것에 대해서도 모리 요시로
는 2006년 4월 한국이 유 수로기구에 ‘죽도’의 해 지 을 재하려고 할
사 이
인근에
고 있 해상 보안 의 선 을 거시 다. 고 주장한
다. 마치 모리 리가 국 인 것
표현하고 있다.43) 원
선
의
적이 실제로 독도근해를
하기 위한 것이 아 었다. 사실 한국이 독도 근
해 해 지 을 재하려는 것을 으려 한 것이었기 문에 실제로 국이
을 하기 위해 한국이 해 지
재를 보류하여 수한 것으로
한
적을
한 것이다. 시모조의 주장과는 전 다 다. 시모조는 자 를 취사선
함으로써 본인이 요한 내용을 왜곡하는 것이
이다.
경
경
계
생각 던
때
외
르
측량
혀
계
귀항
엔
방
발
켜
“
저 명 등
때
카 항
머물 던
청 박 철 켰 ”
총 매 노 처럼
래 측량 파견
목
측량
니
저 명 등
막
때
양 충
돌 피
저 명등
철
충분 목
달성
혀 르
료
택
필
특징
4.일본 국내의 한국 시민단체 활동에 대한 부정적 사고
외 성
극
응
시모조는 일본정부에 대해 무 이 ‘죽도문제’에 소 적으로 대 하고 있는
사이에 한국에서는 다 한 법으로 독도 영유권을 강화하고 있다고 적 적인
양 방
총
43) 일본의 우익들은 이러한 행동을 한 모리 리를
のインタビューから」 조).
참
극
매국노로 몰아세우고 있다(상동, 「下条正男教授
‘
竹島’일본영토론자들의 사고논리의 특징에 관한 분석 ········································ 최 장 근…443
책
판
방
또
책
경향
응
독도정 을 주문했다. 한 일본인들도 한국의 독도정 에 동조하는
이 있
다고 비 하면서 자 을 구했다.
한국은 ‘죽도의 날’ 행사에 대 하여 여
러 가지 법으로 행동을 표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44)
2013년 2월 21일, 독도를 일본에 알리기 운동연대 (독도 )」
준
장이 시마네현 지사를 상대로 독도는 일본과 무관하다는 내용의
정관 지령
(1877년) 을
하 독도가 일본 이라는
된 주장을 전제로 행한 시
마네 현 조례는 무효라는 내용으로, 마 에(
)지 재 소에 행정소 45)을
했으나, 행정소 의 대상이 아 라고 기 되었다라고 하여 한국의 시민단체가
모 적으로 무모하게 일본의 법원에 독도소 을 제기했다고 비난했다. 2013
46)은 일본사
년 5월 23일 ‘
의 날’을 다시
하는 모임」
장
에 고 있는 재일 한인 단체로서 ‘
’에 상륙했다고 하여 재일 시민단체
가 일본영토인 ‘죽도’에 도 적으로 상륙했다고 비난했다. 2013년 6월 시마네
현의 가 시마네현에 대해 일본 ‘위안부’문제에 대한 실한 대 을 요구하
는 의 서」47)를 제 했다고 하여 일본정부에 제 하지 않고 지 정부에 제
했다고 비난했다. 2014년 4월 14일에 한국의 시민 단체 ‘독도를 일본에 알리
는 운동연대’
준 장은 지 법원 결에 불복해서 원 10 과 함 2월
21일에 로시마(
)고 재 소 마 에(
)지부에 2월 22일을 죽도의 날
에 정한 일본 시마네 현의 조례의 취소를 요구하는 소
을 했다.48) 3월
31일, 지 법원은 조례 제정 행위는 고 소 의 대상이 되는 행정
에 해
당되지 않다 독도 관 소 을 기 했다. 시모조는 고사실을 지적하 한
국 시민단체의 도 이 요하다고 비난하고 있다.
독도사 모임’ 이 2014년 8월 아사 (
)신문이 위안부문제에 관해서
오류를 인정하여 정정 하자, ‘
이신문 가토(
) 지국장을 고소했다’고 하
여 시모조는 가토 지국장 고소사 이 마치 위안부문제가 없었다고 하는 일본
에 의한 대 조치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위안부문제와 토 지국장의 고소문
제는 전 별개의 문제다. 이를 관 시
토 지국장 고소문제를 한일 간의
정문제로 해 하는 것은
이다.
①
"
성 촉
'
등 언급 며
출
즉
잘못
쓰 松江 방 판
송
송
니
각
순
송
②
竹島
생각
(회 尹濚夏)
회 살
竹島
발
③
회
' 군
성
응
견
출
출
방
출
④
배삼 회
방 판
회 명 께
히
広島 등 판 쓰 松江
"
"
항 控訴
방
항 송
처분
며
련 송 각
항
며
발 집
⑤ 랑 등
히 朝日
“
”
산케
加藤
건
항
응
카
혀
련 켜카
감
석
잘못
條 氏
第回 月
판
tt // v
윤
島根県議会 可決
韓国団体が"
tt //www s
검색
땅
련 배삼 회
"태
竹島問題 韓国 歴史認識問題 平成 年度 竹島問題 考 講座 開催
日참
확 송
출 습니
/ stV w
=qtw & =
검색
慰安婦決議 tt //s t t
/
검색
"
송
/s t / t / t _ / / / /
t t_ _ ws
44) 상동, 下 正男 「
と の‘
’」『
26
「
を える 」の に
ついて』( 4 , 1 24 ) 조.
45) 「독도재 (죽도의 날 무효 인 소 ) 소장을 제 했
다」,
h p: blog.na er.com Po ie .nhn?blogId
21 logNo 30185761114(
일: 2015년 5월20일)
46) 영하, 재일본 시민활동 운동가.
47) 「
で された
」, h p: unon he ree.blog.me 110177367777( 일: 2015년 5월 20일).
48)「
죽도의 날 정한 현 조례 취소 소 」,
h p:
.cho unonline.com i e da a h ml dir 2014 04 14 2014041402887.h ml?en rank ne
(
일: 2015년 5월 20일).
444 日本文化學報……第 66輯
처럼
이
시모조는 독도를 일본영토라고 전제하고 한국의 시민단체가 일본국
내에서 활동하는 것에 대한 거부
을 보였다. 시모조는 독도문제를 관적으
로 해결하기 보다는 일본정부를 자 시
국 간의 교문제로서 적 적으로
취 할 것을 부
다. 그러나 시모조는 해 이후 일본정부가 독도문제에 대해
적 적으로 교정 화 하지 했 이유가 일본이 적 적으로 관여할만한 영
토적 권원을 갖고 있지 않다는 사실49)에 대해서는 전 알지 했 것이다.
급
극
반응
극 켜양
방
못 던
추겼
외 책
5.한중일
3국의
문화론에
객
극
외
극
혀
대한
못 던
오류
북 북
북
명 같
封建制
두 郡県制 채택
때
회
르
설명
책
극성
낸
방분
질 봉건
때
야
또 세습
때
극
책
못
반
북
앙집
질 군
책봉
성
때
북
능성 높
경계 야
늘
회 특성
니
일본과 한국, 중국, 한( 조선-일본 )은 은 동아시아의 유교국가이지만,
일본은 ‘
’, 한국 중국 한은 모 ‘
’를
하고 있었기 문에 사
상이 ‘일본과 중국 한국이 근본적으로 다 다’50)라고 주장한다. 왜 이런
을 하는가 하면 일본정부의 독도정 에 대한 소
을 지적하기 위해 만들어
논리이다. 일본은 역사적으로 ‘지
권적 체 인
제’국가였기 문에
오 붕과 고붕 는
적인 문화 문에 적 적인 독도정 을 시행하지
한다고 지적했다. 면, 한국 중국 한은 중
권적 체 인 ‘ 현제’를 취함
으로써 ‘
체제’를 갖은 역사 을 갖고 있기 문에 중국 한국 한은 서로
연대가
이 다고 하여 3국간의 연대를
해 한다고 주장한다.51)
오 날 독도문제는 그런 사 적인
에 의한 것이 아 라. 종전 후 연합국
이 SCAPIN 677호로 역사적 권원에 의거하여 한국의 관할권과 통치권을 인정
하여 한국이 실효적으로 관할하고 있 에도 불구하고, 대일평화조약에서 독도
가 일본영토로 결정되었다는 일본의 억지 논리에 의해
문제이다. 현재
제라는 역사
문에 일본정부가 독도문제에 소 적으로 대 하여
문
제라고 주장하는 것은 시모조식의 황당한 논리이다.
시모조의 논리조
법은
적인 관 이 없는 사례를 본인의 취 대로 취
사선 하여 갖고 와서 본인이 의도하는 결론을 도 하는 논 자 로 활용하
는 것으로서,
난 오류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모조는 한국과 중국 사이에 문제가 되고 있는 영토에 대해 일본정부가
하고도 적 적으로 영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근거를 갖고 있 에도 불구하
고 영유권을 소 적으로 다 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일본영토로서의 근거자
음
건
성때
택
분
작방
엄청
극
극
극
직접
련
범
루
응
증 료
음
생긴
봉
향
충
료
족
竹島問題と韓国の 歴史認識問題 平成 年度「竹島問題を考える講座」の開催
月 日참
竹島問題と韓国の 歴史認識問題 平成 年度「竹島問題を考える講座」の開催
月 日참
49) 신용하(1996) 독도의 민 영토사연구지식사업사, pp.2-322.
50) 상동, 下 正男, 「
‘
’」『
26
』( 4 , 1 24 ) 조.
51) 상동, 下 正男, 「
‘
’」『
26
』( 4 , 1 24 ) 조.
條
について 第 回
條
について 第 回
출
생긴
‘
竹島’일본영토론자들의 사고논리의 특징에 관한 분석 ········································ 최 장 근…445
를 소개하고 있다.
다오위다오(
제도-일본 )가 중국영토가
수 없다는 거자
로서
「
」에는
와
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
협정」(
에 의함)52), 그리고 독도가 한국영토가
수 없
는 거자 로서, 「
」53)를 들고 있다.
로, 「
」에는
와
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라고 하는데, 이 자 에는 일본이 하는
제도가 일본영토로서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 자 의 대만지도 부 에
제도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해서
로 대만영토가 아 고 일본영토라고 단정할 수 없다. 수 은 지도에 중국이나
대만지도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지도만 라서 그 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문
에 중국영토가 아 라고 주장하는 것은 논리적 모 이다. 모 관 자 를
하여 전체적이고 종합적으로 조 하여 단하는 것이 옳은 법이다.
둘 로, 「
협정」
에 의함 에 관해서도 이 협정은 영토문
제를 다른 것이 아 라 영토문제를 제 한 어업문제를 다 것이다. 한 이
협정은 전 일본이 하는
제도의 영토적 권원을
으로 결정한
것이 아 라, 일본과 대만 사이의 어업 서를 위해 정치적으로 타협한
이
다. 영토주권과 무관한 협정이다.
신한일 어업협정에 관한 ‘
’에 관해서도 일본이 한국의
금융위기 상황을 악용하여 일 적으로 1965년 구 한일어업협정을 기하고 신
어업협정 체결을 강요하여 영토문제를 제 하고 전 어업문제만을 다 것
이다. 시모조는 이
영토문제와 전 상관없는 어업협정을 갖고 와서 이것
이 마치
신
을 갖는 자 인 것
우기는 것이 시모조 논리의
이다. 이러한 이유로 시모조의 논리는 전
관적이지도 공정하지도 논리적이
지도 않기 문에 학 적 연구라고 할 수 없다. 단지 우주의자들이 오로지
국가를 위해
하 , 전형적인 내
리스 의 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죽도문제’에 대한 시모조의 논리를 토해본 결과, 일본영토론자들
의 논리는 시모조와 이 일본영토로서 합당한 자 가 재하지 않 에도 불
구하고 일본영토라는 것을 전제로 논리를 조 하기 문에 시모조의 논리와
대동소이하다고
수 있다.54)
먼저
센카쿠
명
될
증 료
“① 欽定古今図書集成
台湾府 尖閣諸島
② 日台漁業
東京新聞
될
증 료
日韓漁業協定水域図
첫째 “ 欽定古今図書集成
台湾府 尖閣諸島
”
료
말 센카쿠
료
분 센카쿠
바
니
많
골
곳
때
니
순
든 련 료 분석
명 판
방
째 日台漁業 (東京新聞
)
니
외
룬
또
순 히
말 센카쿠
바탕
니
질
산물
③
처럼
엄청 빙성
때
술
충성 듯
같
볼
파
룬
특징
음
명
日台漁業取決め」임.
條
竹島問題と韓国の‘歴史認識問題’」『平成26年度「竹島問題を考える講座」の開催に
第 回 月 日 참조.
참
52) 일본식의 칭은 「
53) 상동, 下 正男, 「
ついて』( 4 , 1 24 )
54) 주 (16) 조.
각
日韓漁業協定水域図
방
외 순 히
혀
료 처럼
혀객
극
셔널 트
검
료 존
작 때
446 日本文化學報……第 66輯
6.
발생
늘
맺으면서
이상으로 전후에
한 ‘죽도문제’가 한일협정으로 한국의 실효적 점유를
일본이 묵인함으로써 오 날까지 조용했는데, 시모조 마사오가 신 한일어업협
정을 독도영유권 문제와 관 시 ‘죽도문제연구 ’를
하도록 선동하고 ‘죽
도의 날’을 선동함으로써 ‘죽도문제’로 한일관 를 한상황으로
시 다.
본 연구를 통해 이런 상황을
하게 한 시모조의 ‘죽도문제’의 인식과 현재
상황인식에 관해서 고 해보았다. 그 과를 정리하면 다 과 다.
, 시모조의 학문적
을 보면 시모조의 연구가 학문으로 논리적인 논
문으로서 인정받는 것은 없다. 현재 소속된 다
대학도 독도 영유권을 주
장하 시기에
되었기에 우수한 학문적 업적을 인정받아 교수 을 은
것이 아 라. 국익에 도움이 되는 자55)로 단되어 입사한 것이다.
둘 , 죽도문제연구
을 의한 사 이 시모조이다. 시모조는 시마네현지
사를 움 이고, 현의원을 움 여서 ‘죽도의 날’의 조례를 정하도록 선동했고, 한
시마네현 국 의원을 선동하여 자민당 국 의원을 통해 일본국 를 움 이려하고
있고, 자민당의원을 통해 일본 무 도 움 이려고 하고 있다. 이 시모조의
으로 일본 무 , 아
리를 움 이게 하여 상당
효과를 내고 있다.
, 일본 무 의 정 으로
된 ‘10포인 ’는 선 오 무라 키운, 가
와
조, 다무라 이자부로 에 의해 조 된 일본영토론자들의 논리를
으로 시모조가 주도하는 ‘죽도문제연구 ’가 논리를 보 한 것이다. 이를
보 라도 시모조의
이 일본정부를 움 이게 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시모조는 죽도가 일본영토라는 것을 전제로 하고 이를 위해 한국영토
론을 부정하고, 사 를 왜곡 해 하고 영토문제로 다 고 있는 주 국가
한
국, 중국, 러시아의 입장을 전적으로 부정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라서 그
의 논리는 논리적이지도, 관적이지도, 공정하지도 학 적이지도 않다.
다
, 시모조는 오 날 ‘죽도문제’,
제도문제,
도문제가 해결되
지 않는 이유에 관해 일본정부가 소 적이기 문이고, 그나마 이 정도라도 권
리를 주장하게 된 것은 시모조 본인을 비 한 ‘죽도문제연구 ’의
이라는
논리가
에 려있다.
여
, 시모조 논리의
은
본인이 원하는 결과를 정하고 이를
위해
적으로 관 없는 것을 갖고 와서 사례로 다거나, 전 관 없는
자 를 갖고 와서 마치 결론이 아주 관적이고 논리적으로 논 된 이 본인
찰
첫째
던
째
초래
경력
초빙
니
직
련 켜
회
회 설립 발
직
회 설립
계 극
성
냉각 켰
음 같
쿠쇼쿠
판
람
직 얻
또
회
회 직
외 성 직
미
노
력
외 성 베총
직
히 파급
셋째 외 성 책 채택
트 앞 쿠 헤
카미 겐
세
등
작
바탕
회
완
더
노력
직
넷째
료
석
투
변 즉
따
객
술
섯째
늘
센카쿠
쿠릴열
극
때
롯
회 노력
바탕 깔
섯 번째
특징 먼저
설
직접
련
든
혀 계
료
객
증 듯
55) 이 대학에는 모국인 한국을 부정하고 일본
교수로 재 하고 있다.
직
극우와 손을 잡고 한국을 비방하는 신친일파 오선화도
‘
竹島’일본영토론자들의 사고논리의 특징에 관한 분석 ········································ 최 장 근…447
긴
의 주장이 옳다고 우 다.
이상
, 시모조의 논리는 한일관 의 현안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전 도움
이 되지 않고 오 려 문제해결 법을 국적인
으로 제시하여 일본의
는 론이고 한일관 , 동아시아의 영과 안정,
나아가서
평화에도
악영 을
한다는 사실을 간과할 수 없다. 일본영토론자들의 논리는 일본영
토로서 합당한 자 가 재하지 않 에도 불구하고 일본영토라는 것을 전제로
논리를 조 하므로 시모조의 논리와 대동소이하다고
수 있다.
처럼
래 물
향 초래
작
히
계
료 존
계
방
파
번
방향
더
음
혀
세계
미
볼
【參考文獻】
김명기(2014) 『독도의 영유권과 국제해양법』출판사 선인, pp. 85-268.,
송병기(2005) 『鬱陵島와 獨島』단국대학교출판부. pp.112-132.
송병기(2004) 『독도영유권 자료선』자료총서34,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pp.237-241.
신용하(1996) 「일본 메이지정부 내무성과 태정관의 조선왕조의 독도 영유권 재확인」,
『독도의 민족영토사연구』지식산업사, pp.164-171
정병준(2015)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과 독도」, 『광복 후 독도영유권을 둘러싼 쟁점』영
남대학교 독도연구소 개소1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움, 2015년 5월 8일, pp.95-114.
제 호(2015) 「독도 영유권 문제와 국제사법재 소의 관할권」, 『광복 후 독도영유권을
둘러싼 쟁점』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개소1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움, 2015년 5월 8일,
pp.151-178.
최장근(2005) 『일본의 영토 쟁』
자 원, pp.33-112.
최장근(2014) 『일본의 의사록이 인정하는 ‘다 시마’가 아 한국영토 독도』제이
,
pp.131-210.
최장근(2014.5) 「시마네현 ‘죽도문제연구 ’의 일본영토론 조
식」, 『일본근대학연구』
제44 , pp. 293-412
최장근(2003) 「어업협정과 독도
과의 관
」, 『한국의 독도영유권 연구사』 독
도연구보전협 , pp. 315-358.
(1974) 『
ー
の
』
, pp.24-33.
(1906) 『
』
.
(1906) 『
』.
-------(1907) 「
」,『
』 8
6 .
(1966) 『
の
』
, pp.1-291.
-------(1953) 『
の 』
.
성
판
회
집
井上清
奥原碧雲
奥原碧雲
川上健三
분 백산 료
케
회
및 EEZ
닌
작방
련성
회
尖閣列島 釣魚諸島 史的解明 現代評論社
竹島及鬱陵島 松江:報光社
竹島経営者中井養三郎氏立志伝
竹島沿革考 歴史地理 第 巻 第 号
竹島 歴史地理学的研究 古今書院
竹島 領有 日本外務省条約局
앤씨
448 日本文化學報……第 66輯
島根県編(田村清三郎)(1954), 『島根県竹島の 研究』, pp.1-83.
下条正男(2005) 『竹島ーその歴史と領土問題』竹島・北方領土返還要求運動島根県民会, pp. 132-171.
竹島問題硏究會(2007.3) 『最終報告書: 竹島に関する調査研究』竹島問題硏究會, pp. 90-181.
田村清三郎(1965) 『島根県竹島の新研究』島根県総務部総務課, pp.1-159.
内藤正中・金柄烈(2007) 『歴史的検証独島・竹島』岩波書店, pp.46-61.
内藤正中・朴炳涉(2007) 竹島=独島論争ー歴史から考えるー新幹社, pp.53-71.
每日新聞社編(1952) 『對日平和條約』每日新聞社 참조.
島根県(2015) 「竹島問題硏究會」, http://www.pref.shimane.lg.jp/soumu/web-takeshima/(검
색일: 2015년 5월20일)
下條正男(2015)「竹島問題と韓国の‘歴史認識問題’」『平成26年度「竹島問題を考える講座」の開
催について』(第4回, 1月24日),
http://www.pref.shimane.lg.jp/admin/pref/takeshima/web-takeshima/takeshima06/takesh
ima07/H26kouza.html(검색일: 2015년 5월20일)
-------(2004) 『竹島は日韓どちらのものか』文春親書377.
‘
竹島’일본영토론자들의 사고논리의 특징에 관한 분석 ········································ 최 장 근…449
要 旨
The Takeshima issue between Korea and Japan came after World War II. Japan
admitted to South Korea the effective jurisdiction of Dokdo in the Korean-Japanese
normalization treaty, 1965. The issue of Takeshima was quiet up until today. The
New Fisheries Agreement between Japan and Korea was signed in 1998. It was not
a convention on territory but an agreement on fisheries. However, Shimozyo Masao
insisted that it was on Dokdo territorial agreement. He argued that Dokdo is
Japanese territory,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s very
bad. This study analyzes Shimozyo Masao's perception on the Takeshima problem
and his perception of history. The study of Shimozyo Masao did not get recognized
for academic studies. So he proposed a workshop on Takeshima issues. He moved
the governor of Shimane Prefecture. He also moved some congress members of the
Shimane Prefecture. He suggested the ordinance of the ‘Day of the Takeshima.' He
persuaded the lawmakers of Shimane Prefecture. He also persuaded the Japanese
Foreign Ministry through the Congress. He finally moved the Prime Minister Shinzo
Abe. His logic on the Takeshima issue is not originally his. His logic is the studies
of Okuhara Hekiun, Kawakami Kenzo, and Tamura Seizaburou. Shimozyo Masao
premised that Takeshima is the territory of Japan. He denied that Dokdo is Korean
territory. He deliberately incorrectly interpreted historical data. He completely denied
the logic of South Korea, China and Russia. Therefore, his logic is not logical. It is
not objective. It is unfair. It is not academic.
キーワード:죽도문제(Takeshima Problems), 독도이슈(Dokdo Issues)
시모조 마사오(Shimozyo Masao), 한일관계(History of Japan–
Korea relations), 한국영토(Korean Territory)
투 고 일 : 2015. 5. 31
심 사 일 : 2015. 6. 13
게재확정일 : 2015. 7. 4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51
合評會
-일본학 제1분과-
김 영 순
『일본문화학보』66집의 일본학 제1분과에 투고된 논문은 총 8편으로,
심사결과 5편에 해당되는 논문이 게재 평가를 받았다. 일본학 제1분과는
역사・문화 분야라고 하는 학문의 카테고리를 두고 있으나 용어에서도 가
늠할 수 있듯이 다양한 학제 영역의 논문이 투고되고 있다. 이번 호에도
연구 방법론적으로 보면 역사학적, 사회학적, 지역학적 등 다양한 어프로치
의 논문이 투고되었고, 이는 다원화되어 가는 현 시대를 학문영역에도 그
대로 반영되어 학제간의 다원화를 이루고 있는 것이기에 연구자로서는 흥
미진진하지 않을 수 없다.
합평은 게재가 확정된 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한다. 먼저 「일본 시코쿠
지역의 임란포로에 관한 일고찰」은 지금까지 알려진 단편적인 내용을 사
료 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실증한 논문으로 평가 되었다. 그러나 본문에
서 임란은 ’노예의 전쟁이자 문화약탈의 전쟁’으로 표현한 것은 오해를 불
러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임란은 어디까지나 ‘영토 침략 전쟁’이며, 그 결
과 전리품으로서의 문화 침탈이라는 측면이 배제되어서는 안 된다는 지적
이 제기되었다.
「정경의 조선침공설의 추이와 성격」은 임란 이후 실제로 있었던 대만의
정씨 왕조가 조선을 침공한다는 소문에 대하여 자료를 통해 구체적으로 검
증한 논문이다. 17세기 당시의 동향에 대한 사료 분석이 학술적 논문으로
평가된 반면, 선행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고 본 논문이 타 연구와 비
교해 어떠한 차별성이 있는지에 대한 서술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
다.
の
照からー」는
国
と
「別個 古代史『三 史記』 『三
国遺事』ー『古事記』 『日本書紀』との対
같은 삼국시대를 다루고 있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52
는 전혀 다른 세계관에 입각해서 쓰여진 별개의 고대사이며 『고사기』와
『일본서기』 또한 서로 다른 시대적 요청에 의해 서로 다른 세계관 아래
작성된 것이라는 것을 비교 검토한 논문이다. 서로 다른 시대논리에 의해
편찬된 만큼, 서로 다른 세계관을 갖고 있으며 별개의 역사서라는 주장은
고대 한국사에 시사하는 바가 큰 논문으로 평가 받았다. 다만 『삼국유
사』의 시대를 몽고의 침략으로 한민족으로서의 위기를 느낀 시대라고 보
았는데, 흔히 민족이란 개념이 근대 이후에 생긴 개념이라고 보면 당시 우
리에게 민족이란 의식이 얼마나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는다는 지
적이 제기되었다.
アクティブ・エイジングと高齢者像(その2)-『厚生白書』(昭和45(1970)~平成
12(2000)年版)を手がかりに-」는 타이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본 정부 간
「
물인 『후생백서』를 통해 전후 70년간 일본 고령자 상의 변천사를 1편
에 이어 다룬 것이다. 이미 초 고령사회를 맞이한 일본고령자들의 시대적
인 흐름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한국의 고령자 이미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핵심적 요소가 된다는 점에서 평가를 받았다. 단, 『후생백서』라고 하는
후생행정을 중심으로 하는 자료 분석이기 때문에 향후 고령기에 대한 개인
의 사회참여활동 등 조사연구가 같이 이루어진다면 행정과 개인의 고령자
상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는 제언이 있었다.
「최양일 영화의 마이너리티 양상-인간소외와 폭력에 대하여-」는 최양
일 영화에 나타난 마이너리티 삶들이 일본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의해 양
산된 인간소외와 폭력이 어떻게 재현되었는가를 고찰한 논문이다. 일본사
회에서 소외를 받고 있는 마이너리티의 극복과정이나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평가를 받은 반면, 본문에는 일본사회 자본주의의 구조적
모순 및 인간소외와 폭력양상의 구체적 기술 없이 결론에서 ‘일본인 내부
마이너리티가 자본주의의 구조적 모순에 의해 어떻게 양산되었으며, 인간
소외를 극복하려는 과정이 폭력으로 표현되었다는 점에서 고찰’한 것으로
제시, 명확한 규명 없이 일반론적으로 맺음 지었다는 지적이 제시되었다.
또한 마이너리티로 재일·오키나와(아이누)·부락·기타 소외층을 한 묶음으로
다루고 있는데, 그 생성 과정이나 소외 구조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고 거
기에서 발생하는 분노와 폭력도 본질적으로 다르다 점이 지적되었다.
행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
45
韓國日本文化學會 任員名簿
職 責
會 長
副會長
姓 名
所 屬
金泰永
江陵原州大
李珍鎬
圓光大
崔長根
大邱大
林盛奎
白石大
邢鎭義
韓南大
陸根和
大田大
林永彦
全南大
安容柱
鮮文大
金漢洙
全北科學大
黃慧瓊
南서울大
吉美顯
又松大
閔丙勳
大田大
申玟澈
韓南大
都基弘
한밭大
金昌男
金剛大
趙英姬
金剛大
金直洙
烏山大
林昌奎
濟州漢拏大
宋彙榮
嶺南大
鄭相哲
極東大
柳椿姬
鮮文大
總 務
財 務
涉 外
實
務
學 術
理
事
編 輯
評 価
情 報
事務局
連絡處
電 話
(033) 640-2157
010-5469-0892
(063) 850-6533
011-656-4778
(053) 850-6065
010-5553-5733
(041) 550-2417
010-4548-3278
(042) 629-8136
010-3146-1933
042-280-2257
010-3440-2257
(062) 530-2703
010-9883-2428
(041) 530-2422
010-8823-4132
(063) 530-9293
010-4600-6655
(02) 913-3948
010-9476-3947
(042) 630-9806
010-3456-8440
042-280-2259
010-2638-8841
(042) 629-7332
010-3096-0312
(070)4405-5662
010-3432-5662
(041) 731-3455
010-8604-6768
(041) 731-3461
010-9478-4936
031-370-2636
010-6473-8889
(064) 741-7433
010-5848-0311
(053) 810-8677
010-7588-8622
(043) 879-3642
010-3656-3389
010-4137-4172
e-mail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54
職 責
姓 名
所 屬
李香蘭
圓光大
金鎔均
中央大
語學分科
分
科
金
大邱韓醫大
古典文學
理
事
英
近代文學
日 本 學Ⅰ
(政治、経済、社会)
日 本 學Ⅱ
(歴史、文化、民俗)
朴相鉉
慶熙사이버大
尹惠暎
忠南大
田鎬成
江南大
金英順
建陽大
連絡處
電 話
(063) 850-6524
010-7277-6559
(031) 670-3183
010-8641-6361
(053) 819-1535
010-4152-8081
(02) 3299-8573
010-9179-3592
(042) 821-5376
010-7140-3328
(031)280-3712
010-4587-9803
(041) 730-5386
010-8978-5386
e-mail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Journal of Japanese Culture
韓國日本文化學會 會則
455
제1장 총칙
명칭) 본 학회는 ‘한국일본문화학회’라 칭한다.
제2조(목적) 본 학회는 일본 관련 제학문의 연구를 위한 국내외 회원간의 학술 교류를
통하여 일본학 연구의 활성화와 학문 발전을 도모하고, 국제간 교류를 통한
상호 협력과 이해 증진에 기여하도록 한다.
제3조(사업) 본 학회는 제2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각 항의 사업을 수행한다.
1. 정기적인 학술연구발표회(연 2회)
2. 학술지 발간(연 4회)
3. 학술 진흥을 위한 세미나 및 심포지엄 개최
4. 외국 학회와의 학술교류 및 공동연구
5. 외국의 대학도서관 및 학술단체와 학술지 교류
제1조(
6. 일본문화의 소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학회사무실 및 지부를 두며, 상
시 업무를 담당하는 사무국장을 둘 수 있다.
제4조(위치) 본 학회의
제2장 회원
롯
제5조(자격) 본 학회의 회원은 일본어문학을 비 한 일본학 연구에
을 갖고 있는 자로 한다.
제6조(구분) 본 학회 회원의 구분은 회원
건
제7조(가입요 ) 본 학회에
종사하는 자나 관심
규정 에 따른다.
신규로 회원가입을 원하는 자는 원칙적으로 기존 회원의 추
천을 받아야 한다.
제8조(권리와 의무) 본 학회의 회원은 다음과 같은 권리와 의무를 갖는다.
1. 임원의 선거권 및 피선거권(단, 명예회원은 제외)
2. 학회활동 참여의 권리와 회칙 준수의 의무
3. 회비 납부의 의무
제9조(징계) 회원이 의무를 수행하지 않고 본 학회의 명예를 현저히 손상하였을 경우에
는 이사회의 결의를 거쳐 회원자격의 박탈이나 정지 등 징계할 수 있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56
제 3 장 기구 및 임원
음
제10조(기구) 본 학회는 다 과 같은 기구를
둔다.
1. 집행위원회(회장, 부회장, 상임이사)
2. 이사회
3. 해외지부
제11조(임원) 본 학회는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임원을 둔다.
회장(1인), 부회장(약간 명), 상임이사(약간 명), 해외이사 및 이사(적정인
원), 감사(2인)
제12조(임원의 선출) 회장 및 감사는 총회에서 선출하고, 기타 임원은 회장이 위촉한다.
제13조(임원의 임기) 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제4장 총회
종류) 본 학회의 회의에는 총회, 이사회, 각종 위원회가 있다.
제15조(총회의 소집 및 의결)
1. 본 학회는 매년 1회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필요에 따라 회장이 임시총
제14조(
회를 소집할 수 있다.
음
․
(1) 회장 및 감사의 선출 및 해임
(2) 회칙 개정
(3) 사업계획의 수립
(4) 예산과 결산의 승인
(5) 기타 중요사항
3. 총회에서의 의결은 출석회원 과반수 이상으로 한다.
제16조(이사회의 소집 및 의결)
1. 이사회는 실무이사회와 확대이사회가 있으며, 회장이 필요하다고 인정
2. 총회는 다 의 의안을 심의 의결한다.
할 시 이를 소집한다.
무
2. 실 이사회는 회장, 부회장, 상임이사로 구성하고, 확대이사회는 회장,
함
3. 이사회는 제 규정의 개정, 회칙 개정의 발의, 회장 위임사항의 심의, 자
문위원의 추대, 특별 및 명예회원의 승인, 기타 중요한 사항을 처리한다.
제17조(각종 위원회의 구성 및 임무)
부회장을 포 한 전이사가 대상이 된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57
1. 회장은 분야별
업무의 능률적 수행을 위해 각종 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다.
2. 위원회는 위원장과 위원으로 구성하며, 위원장은 회장의 제청으로 이사
회에서 선임한다.
3. 위원회의 안건은 출석 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5장 사업
제18조(재정) 본 학회의 재정은 회원의 회비와 기타 수입금으로 한다.
책
제19조(회비 정) 본 학회의 회비는 총회에서 결정한다.
3월부터 익년 2월까지로 한다.
제21조(국제학술교류상 선정) 본 학회의 학술발전에 지대한 공헌이 인정되는 해외회원
을 대상으로 회장의 추천에 의해 이사회에서 결정한다.
제20조(회계연도) 본 학회의 회계 연도는
제6장 부칙
칙
칙
제22조(회 개정) 본 회 의 개정은 정기총회에서
3
칙
확정한다.
출석인원 3분의 2 이상의 동의를 얻어
칙 시행에 필요한 제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얻어 시행하되, 본
회칙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례에 따른다.
제24조(시행일) 본 개정 회칙은 2003년 10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5조 개정된 규정은 정기총회의 의결을 거쳐 2007년 5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6조 개정된 규정은 정기총회의 의결을 거쳐 2008년 10월 25일부터 시행한다.
제2 조(시행세 ) 본 회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58
한국일본문화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제1장 총 칙
칭한다.
제2조 본 위원회는 한국일본문화학회 회칙 제17조에 의거하여 설치한다.
제3조 본 위원회가 관장하는 학회지 『일본문화학보』는 다음과 같은 지침 하에 발행한다.
1. 연 4회(2월호, 5월호, 8월호, 11월호)로 발행한다.
2. 발행 날짜는 해당호의 월 말일을 원칙으로 한다.
3. 투고일, 심사일, 게재확정일은 영문초록 키워드 아래 표기한다.
예) 투 고 일: 2015.02.28
심 사 일: 2015.03.14.
게재확정일: 2015.04.04
4. 기타 발행 과정은 ‘『일본문화학보』 발행 계획’에 준한다.
제1조 본 위원회는 ‘한국일본문화학회 편집위원회’라
제 2 장 편집위원회 구성
음
제4조 편집위원회는 다 과 같이 구성한다.
외 위원
위원장, 편집간사, 국내
제5조
제6조
제7조
중에서 회장의 제청으로 이사회에서 선임한다.
편집위원회 위원장은 위원회를 대표하며, 편집간사는 학회지 논문의 심사 및 편
집을 통괄한다. 임기는 공히 2년으로 한다.
편집위원회 위원은 이사회의 인준을 받아 회장이 임명한다. 임기는 2년이며, 본
인의 동의를 얻어 연장 가능하다.
편집위원은 아래와 같은 기준에 따라 선정한다.
1. 대학의 부교수 이상 또는 이에 상응하는 자격을 갖춘 자, 혹은 해당 전공분
야에서 20년 이상의 연구경력을 가진 자로서 학술 연구 실적이 뛰어난
국․내외 회원 중에서 선정한다.
편집위원회 위원장은 편집위원
2. 각 학문분야의 대표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3. 분과위원회의 분과이사는 당연직으로 임명한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59
제3장 기능
발행횟수, 발행부수, 논문의 분
량, 투고 및 심사규정 등 학회지 발행과 관련한 제반 사항을 결정한다.
편집위원회 편집간사는 각 분과이사와 협의 하에 학회에 투고된 논문의 심사위
원을 선정․의뢰하고, 편집위원회는 심사위원의 심사결과를 토대로 논문게재 여
제8조 편집위원회는 학회지 『일본문화학보』의 체제,
제9조
부를 결정한다.
항 이외에 편집위원회가 의결한 사안은 이사회의 인준을 거친
제10조 제8조에 제시된 사
후에
효력이 발생한다.
제 4 장 편집위원회 회의
발간 계획에 따라 위원장이 소집한다.
제12조 연 4회의 정규 편집회의 이외에 필요할 경우에 위원장이 임시 편집회의를 소집할
제11조 편집위원회 회의는 학회지
3
수 있다.
칙
제1 조 편집회의는 원 적으로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제 5 장 논문 평가 기준
발
칙
종
항목 음
발
년
제14조 게재 논문은 학회에서 구두 표된 것을 원 으로 하되(단, 구두 표 후 2 간
유 ), 이사회의 추 이 있는 경우에는 그 기고 논문도 심사 후 게재할 수 있다.
제15조 논문의 심사는
별 평가와 합평가로 이루어진다.
제16조 논문심사에 적용되는 평가
은 다 과 같다.
1. 내용의 적 성
2. 내용의
성
. 식의 적 성
4. 전개의 논리성
5. 연구방법의 적 성
제17조 합평가는
별 평가를 근 로 심사자가 다 의 4등 으로 평가한다.
1. 학술논문으로서 우 우수하다.
2. 학술논문으로서 우수하나 간단한 수정이 요하다.
. 학술논문으로서 내용
체제면에서 미 하여 수정 후 다 호에 재투고를
요한다.
4. 학술논문으로서 부적격하다.
효
천
항목
절
독창
3형 절
절
종
항목
거
매
3
및
음
필
흡
급
음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60
제 6 장 논문심사 기준 및 절차
준
3
책임심사위원의 심사 결
과와 지적 사항에 대한 집필자의 처리 결과 및 투고 규정의 준수를 바탕으로, 다
음과 같이 해당 논문의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제18조(심사 기 ) 편집위원회에서는 투고 논문에 대한 인의
1. 게재
점 23점 이상인 논문이 대상이 된다.
심사위원 평가평
2. 수정후 게재
점 20~22점인 논문이 대상이 된다.
심사위원 평가평
3. 수정후 재심
점
점
심사위원 평가평 이 10~19 인 논문이 대상이 된다.
4. 게재 불가
점
점 미만인 논문이 대상이 된다.
심사위원 평가평 이 10
제19조(심사
절차) 논문심사는 다음과 같은 2단계 절차로 이루어진다.
1. 1차 심사(심사위원 심사)
a. 제출된 논문에 대하여 3인의 책임심사위원에게 심사 의뢰한다.
b. 편집위원회에서는 심사위원 평가평점이 23점 이상인 논문은 <게재>, 20~22
점인 논문은 <수정후 게재>, 10~19점인 논문은 <수정후 재심>, 10점 미만
인 논문은 <게재 불가>의 판정을 내린다.
c. 투고자에게 1차 심사 결과보고서와 심사결과를 통보하고, <수정후 게재>
판정을 받은 논문에 대해서는 수정․가필을 요구한다. <수정후 재심>, <게
재 불가> 판정을 받은 논문은 이의 신청을 할 수 있다.
d. <수정후 게재> 판정을 받은 논문은 수정․가필하여 <수정 보고서>와 함께
편집위원회에 제출한다.
2. 2차 심사(편집위원회 심사)
a. 1차 심사에서 <수정후 게재> 판정을 받은 논문에 대하여 2인의 편집위원
에게 수정 이행 및 투고규정 준수 여부의 심사를 의뢰한다.
b. 심사위원회 평가평점을 합한 종합평점을 감안하여 게재 논문을 최종 결정
하고 투고자에게 통보한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61
c. 논문 심사 결과에 대하여 이의 신청이 있을 경우 분과위원회에 재심을 의
뢰한다.
d. 투고 논문의 게재율에 관한 편집위원회의 의결 사항은 종합평점에 우선한다.
3월․6월․9월․12월)에 실시하는
제20조(심사 시기) 투고된 논문에 대한 심사는 연 4회(
칙
것을 원 으로 한다.
최종 심사에 통과한 논문의 게재호는 편집위원회에서 결정하며, 동
일 집필자의 연속호 게재는 불허함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집필자가 복수인 경
우, 제1필자를 상단에 표기하고 공동필자는 하단에 표기한다.
제21조(논문 게재호)
제7장 기타
제22조 편집위원회
3
를
둔다.
및 분과별 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편집위원회와 별도로 분과 위원회
출
최종심사에 통과되어 본 학회지에 게재되면 학회가 본 논
문에 대한 저작권을 갖는다.
제2 조 제 된 논문이
제8장 부칙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1999년 10월 9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 본 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일반 관례에 따른다.
제3조 개정된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2002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4조 개정된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2006년 8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5조 개정된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2008년 8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6조 개정된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2011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7조 개정된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2015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1조 본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62
한국일본문화학회 연구윤리 규정
제1장 총 칙
제1조 (개요)
및 교육
학술활동의
본 한국일본문화학회(이하 ‘학회’라 한다)는 한국에서의 일본학 연구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학술단체로 설립되었다. 본 학회는
일환으로 회원들의 학술연구결과를 엄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하여 학술대
회에 참여시키고, 그 결과를 학회지에 게재시키고 있다. 본 학회는 지속
적으로 높은 수준의 학술지 발표를 통하여 학회의 발전 및 궁극적으로
한일 양국의 문화교류 및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회원들
의 학술연구 수행 및 연구논문 발표 시 국제수준의 연구윤리를 준수함이
우선적으로 중요하며, 학회는 회원들의 진정한 학문적 발전을 위하여 학
회연구윤리규정을 제정하고자 한다.
목적)
본 규정의 목적은 본 학회의 학회지 및 학술대회 발표 논문에 관한 연
구윤리의 규정을 엄격히 정하고 명문화함으로써 신뢰받는 연구풍토를 확
립하고, 회원들의 바른 학술활동을 유도하여 학회의 위상을 효율적으로
제고하기 위함이다.
제2조 (
제 2 장 연구윤리위원회의 조직
3
제 조 (위원회 설치)
본 학회는 연구
윤리 규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회 내에 연구윤
리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설치한다.
제4조 (위원회 구성)
무이사,
1. 위원회는 편집위원장, 부회장, 총
학술이사, 편집이사
및 3인
함하여 15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 위원장은 편집위원장이 겸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서
는 위원회 내에서 회장이 임명한다.
이상의 편집위원을 포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
46
제5조 (임기)
위원의 임기는 각 위원의
직책임기에 따른다.
제 3 장 연구윤리위원회의 운영 및 권한
운 범위)
1. 학회 연구윤리와 관련된 제반 규정들을 세우고 실행한다.
2. 연구윤리 위반에 대한 제보를 접수하고 이를 규정에 따라 처리한다.
3. 제보자 및 피조사자의 인격과 명예에 대한 사항을 규정하고 이를 준
제6조 ( 영
수한다.
최종 조사결과에 대한 공문을 상임이사회에 통보한다.
5. 상임이사회의 최종 판정결과에 따라서 후속 사항 및 징계사항을
4.
집
행한다.
윤리)
제7조 (연구자의 연구
및 연구물에서의 표절, 조작, 위
조 및 변조, 이중출판 등을 심각한 범죄행위로 간주하고 이러한 부정
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 연구자는 제1항에 제시한 부정행위로 의심되는 사례를 발견했을 경
우 적절한 방법으로 이를 학회에 보고해야 한다.
3. 연구자는 자신의 이익과 타 연구자 또는 타 기관의 이익이 상충하거
나 상충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 이를 공표하고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
1. 연구자는 각자가 수행하는 연구행위
제 4 장 심의 절차 및 징계
제8조 (심의
절차)
1. 위원회는 제보된 사안을
접수일로부터
․의결․집
60일 이내에 심의
칙으로 한다.
2. 제보자의 신원 및 제보내용에 대해서는 비공개를 원칙으로 하되, 공
행하는 것을 원
3.
공기관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통보할 수 있다.
위원회는 제보된 사안의 적부를 자체 심사평가하며, 전문적 의견이
필요한 경우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검토를 의뢰할 수 있다.
4. 위원회는 판정을 내리기 전에 피제소자에게 연구윤리 저촉혐의 내용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64
충분한 소명기회를 준다.
5. 심의 결과 제보된 사안이 부적절하거나 피제소자의 소명이 타당하다
고 인정될 경우, 피제소자의 무혐의를 제보자와 피제소자에게 즉시
을 알려주고
통보한다.
윤리 저촉이 사실로 인정될 경우, 심사결과를 제보자
와 피제소자에게 각각 통보하고, 피제소자로 하여금 일정 기간 내에
재 소명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7. 위원회는 피제소자의 혐의가 인정될 경우, 부정행위의 형태, 범위 및
고의성을 판별하여 보고서를 작성한다.
8. 위원회의 징계의결은 재적위원 3분의 2 이상의 출석과 출석위원 과
6. 심의 결과 연구
반수의 찬성으로 행한다.
피제소자의 소명이 없거나 소명의 타당성이 인정
되지 않을 경우, 징계 내용을 최종 결정하여 이를 피제소자에게 공식
통보하는 한편, 학회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지한다. 단, 징계를 받은
논문 중 기관의 연구비를 받은 논문은 당해 기관의 확인 요청 여부
와 관계없이 당해 기관에 징계 결과를 통보한다.
제9조 (징계)
연구윤리 위반이 공식적으로 확정된 저자나 논문에 대해서는 그 위반행
위의 경중에 따라 다음 중 하나 또는 복수의 항목에 해당하는 징계를 가
하도록 한다.
1. 학회 견책 서한 발송
2. 해당 연구결과물에 대한 취소 또는 수정 요구
3. 3년간 투고자격 제한
4. 제명
5. 소속기관에의 통보
6. 법률기관에의 고발 등
9.
명시된
기간 내에
제 5 장 기타
윤
혐의가 인정된 경우, 논문 투고 및 심사에 사용한 제반 경비를
반환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11조 본 규정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2008년 8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10조 연구 리 위반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65
『일본문화학보』 투고 규정
1. (논문)
육
화와 관련한 참신하고 창의적인 것이어야 한다.
2. (사용언어)
일본어문학, 일본어교 , 일본학, 한일어 대조연구, 한일비교 문학 등
廣義의 일본문
한국어나 일본어로 작성한다.
3. (원고작성)
및 해외 회원 공히 워드프로세서 <글>이나 <MS-Word>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원고는 <글> 및 <MS워드>의 <편집 용지>에서 (사용자 정
의 폭 180, 길이 255)를 선택하고, 위 20, 아래 10, 머리말 13, 꼬리말 13, 왼쪽 23, 오
른쪽 23, 제본 0으로 조정한 후 작성한다. 논문 내용의 각 글자 크기는 다음과 같다.
논문 제목 - 신명조(약자) 20, 진하게, 가운데 정렬
부제목 - 신명조(약자) 15, 가운데
필자 명, e-mail - 신명조(약자) 12, 오른쪽 정렬
목차 - 신명조(약자) 12, 진하게, 가운데
목차 내용 - 신명조(약자) 10, 줄간격 140
큰제목 - 신명조(약자) 15, 진하게, 줄간격 155, 가운데
본문 - 신명조(약자) 10.5, 줄간격 155
인용문 - 신명조(약자) 10, 줄간격 155, 왼쪽 여백 (한글2002는 20, 한글97은 4)
각주 - 신명조(약자) 9, 줄간격 130
기타 간격 등의 설정, <MS-Word> 작성은 학회 홈페이지의 <한국일본문화학회
논문 작성 요령>을 참고한다.
4. (원고분량)
원고지 200자×100매 내외로 한다. 이는 투고규정에 따라 작성한 문서 약 19매에 해당
하며, 15매~22매를 원칙으로 한다. 원고가 요지문을 포함하여 22매를 초과할 경우에
는 1매당 1만원의 게재료를 추가로 부담한다.
국내 회원
5. (요지문)
초록은 영문초록으로 통일하되 분량은 A4 절반 내외로 작성한다. 영문초록은 제목,
투고자 성명, 내용 순으로 한다. 투고자 영문 아래 괄호 속에 소속을 영어로 명기한다.
예) Kim, Tae Young
(Department of Japanolog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논문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66
키워드)
영문키워드는 영문초록 아래 5개 단어 이상으로 기재한다. 키워드는 영어와 괄호 속에
본문언어를 병행 표기한다. 영어 단어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7. (외래어)
일본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는 한글맞춤법의 <외래어표기법>에 따른다.
8. (논문작성 요령)
a. 저서는 『 』, 논문이나 단편은 로 표시한다.
b. 注는 각주로 하며, 인용 또는 참고한 쪽수를 명기한다.
c. <참고문헌>은 필자명(연도), 논문명(또는 저서명), 게재지 권 호, 발행처의 순으로
배열하되, 마지막에 참고 혹은 인용한 쪽수를 필히 기재한다.
예) 安增煥(2001) 言語와 文化 『日本文化學報』 11, 韓國日本文化學會. 110쪽
影山太郞(1993) 『文法と語構成』ひつじ書房. 212頁
Stein, Dieter(1995) “Subjectivity and Subjectivisation” : Cambridge
University Press. p.113
d. 배열은 한국어 문헌, 일본어 문헌, 영어 문헌의 필자명을 기준으로 각각 가나다,
오십음, 알파벳 순으로 한다. 내용적으로 <사전류>, <전집류>, <단행본>, <잡지>,
<논문> 순으로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9. (원고제출)
투고논문은 e-mail로 제출한다. 원고와 학회 소정의 논문투고신청서를 작성하여 함께
제출한다. 또한 집필자가 복수인 경우, 제1필자와 공동필자를 함께 표기한다.
6. (
10. (원고교정)
필요에 따라 집필자에게 원고의 가필․수정을 요구할 수 있으며,
원고의 교정은 집필자가 책임진다.
11. (심사비 및 게재료)
논문 투고를 희망하는 자는 학회 계좌에 심사비로 6만원을 입금하여야 하며, 게재가
확정되어 출판사의 편집이 완료되면 집필자는 게재료(일반논문 : 10만원(무발표 논
문 15만원), 연구비 수혜논문 : 20만원(무발표 논문 30만원). 단, 22쪽을 초과할 경우
1쪽당 1만원을 추가 부담)를 입금하여야 한다. 게재료는 출판사의 편집이 완료되면
사무국에서 안내한다.
12. (별쇄본)
게재된 논문에 대하여 학회지 2부와 별쇄본 20부를 증정한다. 단, 별쇄본의 추가를
희망할 경우 인쇄비용은 집필자가 부담한다.
13. (기타)
편집위원회에서는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67
복잡한 도표 및 투고 규정 위반 등으로 인하여 출판 비용이 많이 들 경우에는 집필
자에게 그에 대한 비용을 청구할 수 있으며, 접수된 원고는 반환하지 않는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68
『일본문화학보』 논문 작성 요령
【편집용지】 <사용자 정의 폭180, 길이255> 위20(19.99), 머리말13(12.99), 왼쪽23, 오른
쪽23, 제본0, 아래10, 꼬리말13(12.99)
한국일본문화학회
【논문제목】
(신명조(약자) 20, 진하게, 가운데 정렬)
【소제목】 한국일본문화학회(신명조(약자) 15, 가운데)
** 4줄 (소제목이 없으면 5줄) **
【필자명】
洪 吉 東*(신명조(약자) 12, 오른쪽 정렬)
【e-mail】
([email protected])(신명조(약자) 12, 오른쪽 정렬)
(필자가 2인 이상인 경우, 제1필자를 상단에, 공동필자를 하단에 표기한다. 필자명
끝에 *표를 위 첨자 “*”(“모양”→“글자모양”에서 “속성-위 첨자”를 선택)로 한 후
소속, 직위, 전공분야를 각주로 기입한다. 각주번호 “1)”은 블록을 씌워 “글자모양”
에서 글자색을 흰색으로 지정하여 감추고, 본문에서 각주가 시작될 때는 “모양”의
“새 번호로 시작”에서 각주번호를 “1”로 한다.)
** 2줄 **
目 次 (신명조(약자) 12,진하게, 가운데)
신명조(약자) 10 , 줄간격 140
** 2줄 **
【큰제목】 1.
【본 문】
연구 목적 및 방법 신명
** 1줄 **
(
조(약자) 15, 진하게,
줄간격 155, 가운데 정렬)
大野씨는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
이 논문은 상대일본어의.....
신명조(약자) 10.5, 줄간격 155)
** 1줄 **
(
〔인용문〕
상대에 있어서...
신명조(약자) 10, 줄간격 130, 왼쪽 여백(한글2002는 20, 한글97은 4))
(
** 1줄 **
이처럼 상대일본어의.....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69
** 2줄 **
2. 상대 일본어의 특징 신명
(
조(약자) 15, 진하게,
줄간격 155, 가운데 정렬)
** 1줄 **(작은 제목과 본문 사이는 떼지 않음)
【각 주】 ―――――――――
* 한국대학교 조교수 일본고전문학
1) 이에 대해 ****은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신명조(약자) 9, 줄간격 130)
(인용 및 참고자료에 대해서는 발행 연도와 쪽수를 표기한다.)
** 2줄 **
5. 맺음말
** 1줄 **
이 논문에서는....
** 2줄 **
【참고문헌】 (신명조(약자) 15, 진하게, 줄간격 155)
** 1줄 **
․ 허웅(1985)『국어음운학』, 샘문화사. p.131-133 (신명조(약자) 10, 줄간격 155)
* 전체 글꼴은 신명조 또는 신명조 약자, 전체 줄간격은 155, 각주 130 표 140.
* <필자명(연도) 논문명(또는 저서명), 게재지 권 호, 발행처>의 순서로 배열
* 문헌 배열 : 국문, 일문, 영문 순으로 하여 필자명을 기준으로 각각 가나다, 오십음, 알파벳 순
* 인용 또는 참고한 쪽수를 명기
** 쪽을 바꿔서 **
【요지】 신명
(
조(약자) 15, 진하게,
줄간격 155)
** 6줄 **
本論は、上代日本語を通して...... (신명조(약자) 10, 줄간격 155)
( 작성언어 : 영어. 분 량 : 1장 내외)
** 1줄 **
* 키워드 : 검색의 편의를 위해 주제어(key word)를 명시(요지문과 동일 양식으로 6-10단어)
** 2줄 **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70
학회 발표에 관한 규정
발
1. ( 표자격)
거
력 5년 이상인 자, 또는 이사회의 추
천을 받은 자로 한다. 단, 석사과정의 대학원생인 경우는 지도교수 혹은 해외지부장
의 추천이 필요하며, 발표 요지문을 해당 분과에서 심사 후 채택 여부를 결정한다.
2. (발표신청)
발표신청은 사무국으로 하며, 신청 시에는 학회 홈페이지상의 발표신청서 양식을 이
용하도록 한다.
3. (신청기한)
춘계대회 발표 희망자는 3월 둘째 주 토요일, 추계대회 발표 희망자는 9월 둘째 주 토요일
까지 신청하도록 한다.
4. (발표 요지문)
a. <발표요지문>은 한국어 또는 일본어로 작성한다.
b. 분량은 B5용지 5장(가로쓰기) 이내로 한다.
c. 춘계대회 때는 3월 셋째 주 토요일까지, 추계대회 때는 9월 셋째 주 토요일까지 제
출을 원칙으로 한다.
d. 원고는 가능한 한 E-mail(첨부파일)로 하여 사무국으로 전송한다.
e. 우편의 경우는 학회 사무실로 발송한다.
f. 발표 요지문은 사무국으로 제출하고 요지집 인쇄비 10,000원은 학회 당일 접수에서 납
본 학회 정회원으로서 대학원생이 나, 교원 경
부한다.
외 류
구두발표 신청 시 외국 학술교류학회지(일본비교문화학회 『비교문화연구』)에 투고
를 희망하는 경우는 국내회원이 대상이 된다. 교류학회 측의 투고요청 희망자수 범위
내에서 본 학회의 내부 선정 기준에 의하여 대상자를 선정․추천한다.
5. ( 국 교 학술지 투고)
< 게재료 입금처 >
韓國) 국민은행 758001-01-558912 김한수(한국일본문화학회)
(日本) 郵便局 00920-9-147169
韓國日本文化學會 日本支部
(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71
외국학회와의 학술교류에 관한 규정
1. (日本)
表現學會
a. 표현학회는 한국일본문화학회로부터 추천 받은 1명에 대하여, 전국대회(연 1회)에
서 연구발표의 기회를 제공한다.
b. 한국일본문화학회는 표현학회로부터 추천 받은 수명에 대하여, 학술대회(연 2회)에
서 연구발표의 기회를 제공한다.
c. 표현학회는 한국일본문화학회로부터 추천 받은 발표 논문에 대하여 학회지 『表現
硏究』에 게재할 수 있다.
d. 한국일본문화학회는 표현학회로부터 추천 받은 발표 논문에 대하여 학회지 『日
本文化學報』에 게재할 수 있다.
比較文化學會
2. 日本
a. 일본비교문화학회는 한국일본문화학회로부터 추천 받은 회원에 대하여, 전국 대회
(연 1회)에서 연구발표의 기회를 제공한다.
b. 한국일본문화학회는 일본비교문화학회로부터 추천 받은 회원에 대하여, 학술 대회
(연 2회)에서 연구발표의 기회를 제공한다.
c. 일본비교문화학회의 학회지 『比較文化硏究』에 한국일본문화학회 국내회원의 논
문을 게재할 수 있다.
d. c항의 논문은 한국일본문화학회에서 구두 발표한 논문 중에서 학회가 추천하며,
투고자의 추천에 있어서는 학회의 내부 규정에 따라 해당자를 선정한다.
e. 추천 논문의 심사와 게재료는 일본비교문화학회의 규정에 따른다.
f. 한국일본문화학회는 학회지 『日本文化學報』에 일본비교문화학회로부터 추천 받
은 논문을 게재할 수 있으며, 추천 논문의 심사는 해당 학회의 규정에 따른다.
g. 일본비교문화학회는 전국대회(연 1회)에서 발표하는 한국일본문화학회로부터의 추
천 회원에 대하여 1년간의 회비를 면제한다.
h. 한국일본문화학회는 학술대회(연 2회)에서 발표하는 일본비교문화학회로부터의 추
천 회원에 대하여 1년간의 회비를 면제한다.
3. 臺灣日本語文學會
a. 각 학회의 학술적 축적의 교류를 서로의 학문분야에 대한 지적 자극으로 받아들이
고, 나아가, 양 학회 및 양 학회 회원 상호의 자주적 교류에 의해 각각의 학술활동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72
층 더 실질화하는 것을 기대한다.
이한
b. 매년 간행된 양 학회의 학회지에 대하여 상호의 학술교류를 위해 그 연도에 발간
된 학회지를 취합하여 연 1회 상호 교환한다. 송료 등은 각 학회의 자기부담으로
한다.
c. 양 학회 회원의 학술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상호 학회로의 투고를 인정한다. 상호의
투고조건 등은 필요에 따라 양 학회의 담당자간 협의 후 절차를 정한다. 또한, 투
고와 게재에 관련한 비용 부담은 대등하게 한다. 그리고 상대 학회에 투고할 수
있는 논문 수의 상한에 대해서는 별도 정하기로 한다.
d. 각 학회의 회원은 상호 학회의 「자매회원」으로서 상호 학회의 전국대회에서의
연구발표에 자유롭게 신청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발표의 채택 가부, 종류, 일정
등의 대회 운영에 관해서는 상대국 학회의 결정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발표
에 관련한 항공료, 체재비, 참가비, 간친회 비용 등은 원칙적으로 발표자 개인의
부담으로 한다.
e. 각 학회는 상호 학회의 전국대회 개최 시 패널 디스커션, 강연 등에 적합한 회원
을 상대 학회의 추천에 의해 초청할 수 있다. 패널 디스커션, 강연 등의 종류, 일
정 등의 대회 운영에 관해서는 상대국 학회의 결정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초빙에 관련한 항공료, 체재비, 참가비, 간친회 비용 등은 협의를 통해 정한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
47
해외이사에 관한 규정
1. (자격)
출석하여 연구발표를 한 외국 학자 중에서, 본 학회의 연구 활동
에 관심을 가지고 협력하는 자로 한다.
2. (활동)
a. 자국 내에 본 학회를 소개하고 학회의 활동 내용이나 정보 등을 제공한다.
b. 본 학회의 연구발표회에서 발표를 희망하는 자를 모집한다.
c. 본 학회의 학회지 게재 대상 논문을 심사할 수 있다.
d. 본 학회의 자국 내 회원을 관리한다.
3. (임기)
2년 단위로 하고, 본인의 동의를 얻어 연장 가능하다.
4. (임명)
이사회에서 심의․결정하고, 회장이 위촉한다.
본 학회에 1회 이상
5. (시행)
본
규정은 1997년 5월 5일부터 시행한다.
해외지부에 관한 규정
취
1. ( 지) 일본 국내에
둔다.
거주하는 회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본 학회 일본 지부를
2. (구성) 일본 지부는 본 학회의
를
중심으로 결성한다.
취지에 찬동하고 적극적으로 협조할 수 있는 해외이사
3. (대표자) 일본 국내 회원을 관리하고 일본 지부의 운영을 총괄하는 대표자는 일본 거
주의 해외이사 중에서 이사회의 추천을 받아 회장이 위촉한다.
4. (임기) 일본 지부 대표자의 임기는 2년이며 본인의 동의를 얻어 연임도 가능하다.
6. (시행) 본 내규는 2011년 6월 3일부터 시행한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74
회원규정
모든 회원은 [국내회원](국내에 소속이나 근무처가 있는 내국인이나 외국
인)과 [해외회원](국외에 소속이나 근무처가 있는 외국인이나 내국인)으로 구분하며, 가
입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단, 한국인 유학생은 국내회원으로 분류한다.
본 학회의
1.(정회원)
본 학회의 회원 가입을
필한 자. 단, 3년 간 회비를 납부하지 않을 경우에
는 정회원의 자격을 상실한다.
준
회원 중 정회원의 자격을 상실한 자.
3.(종신회원) 본 학회의 발전에 기여한 회원 중에서 이사회의 동의를 얻은 자로, 소정의
종신회비(30만원)를 납부한 회원으로, 실무이사를 겸하고 있는 경우 이사
2.( 회원)
회비는 2만원으로 한다.
특
발전에 기여한 회원 중에서 이사회의 추천을 받은 자.
5.(명예회원) 본 학회 초청강연자 중에서 이사회의 추천을 받은 자.
6.(단체회원) 소정의 단체회비(8만원)를 납부하는 국내외 학술단체 및 기관. 단, 해외의
[학술지교류단체]도 단체회원의 범주에 포함한다.
4.( 별회원) 본 학회의
명
점 변 항
께 즉
무
락
3년
납
명
삭 니
要 점
협 탁드립니
학회비 납부 안내 (가입비 1만원 / 년회비 3만원)
* 이사회비 년5만원
(韓國) 국민은행 758001-01-558912 김한수(한국일본문화학회)
(日本) 郵便局 00920-9-147169 韓國日本文化學會 日本支部
회원 단 상에 상위 이나 경사 이 있는 회원 서는 시 학회 사 국
으로 연 바라며,
동안 회비를 부하지 않는 경우에는 회원 단에서
자동 제되 (재가입 ) 이
양지하시고 조 부
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75
『日本文化學報』發行 計劃
∙ 原稿 投稿 依賴 (2月初․5月初․8月初․11月初)
∙ 論文 原稿 마감 (2月末․5月末․8月末․11月末):1次 提出
∙ 論文 審査 (3月․6月․9月․12月)
∙ 審査委員 審査結果 通知 (3月中旬․6月中旬․9月中旬․12月中旬)
∙ 論文 修正原稿 마감 (3月末․6月末․9月末․12月末):2次 提出
∙ 編集委員會 最終 揭載可否 通知 (4月初․7月初․10月初․1月初)
∙ 1次 校正:筆者
∙ 2次 校正:編集委員會
∙ 發行 (5月․8月․11月․2月 末日)
學會 住所 및 連絡處
☞ 韓國
學會事務局
(300-150) 대전광역시 동구 대전로 815번길 45,
신영BLDG. 201호(메트로문화사)
Tel (042)488-9155 Fax (042)488-9156
☞ 日本
本學會의 關西支部 : 藤井寺市春日丘3-8-1 大阪女子短期大學 水谷隆硏究室
關東支部 : 東京都日野市大坂上4-1-1 實踐女子大學 山內博之硏究室
中部支部 : 名古屋市昭和區山里町18番地 南山大學 坂本正硏究室
☞ 학회 Homepage address : //www.bunka.or.kr
各種樣式
〔제반 양식은 학회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아 사용 바랍니다.〕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76
編輯委員會
編輯委員長 : 鄭應洙(南서울大)
編輯幹事 : 趙英姬(金剛大)
編輯委員 : 康永富(慶熙大) 郭眞吾(東北亞歷史財團) 金昌男(金剛大) 林永彦(全南大)
崔長根(大邱大) 張元哉(啓明大) 朴正義(圓光大) 蘇明仙(済州大)
金仁德(靑巖大) 尹一(釜慶大) 崔圣伯(中國西安培華學院) 島村恭則(關西學院大) 大谷鉄平(江陵原州大)
分科委員會
〔日本語學分科〕 *李香蘭(圓光大) *金鎔均(中央大)
趙來喆(順天大) 辛碩基(建陽大) 吳美寧(崇實大)
金東郁(白石大) 尹錫南(建陽大) 張元哉(啓明大)
〔古典文學分科〕 *金 英(大邱韓醫大) *朴相鉉(慶熙사이버大)
金裕千(詳明大) 金泰燾(韓瑞大) 南二淑(群山大)
裵貞烈(韓南大) 李市埈(崇實大) 李珍鎬(圓光大)
〔近代文學分科〕 *尹惠暎(忠南大) 王泰雄(慶北大)
陸根和(大田大) 尹 一(釜慶大) 李錦宰(南서울大)
林盛奎(白石大) 任苔均(聖潔大) 鄭相哲(極東大)
洪善英(翰林大)
*郭眞吾(東北亞歷史財團) *金英順(建陽大)
〔日本學分科〕
金雄基(弘益大) 김현석(光州大) 南相虎(京畿大)
이지영(國民大)
鄭昌石(同德女大)
黃光吉(檀國大)
崔彰完(가톨릭大)
金秀美(高麗大)
閔丙勳(大田大)
鄭順粉(培材大)
尹在石(한밭大)
李貞熙(威德大)
許培寬(東義大)
金容儀(全南大)
朴正義(圓光大)
※ (*는 分科理事)
◉ 會則および規定
▸ 學會會則
▸ 編輯委員會規定
▸ 投稿規定
▸ 學會發表に關する規定
▸ 海外理事に關する規定
▸ 海外支部に關する規定
▸ 會員規定
◉ 『日本文化學報』發行計畵
◉ 各種樣式
◉ 2015年度 學會日程表
Journal of Japanese Culture
韓國日本文化學會 會則
478
第1章 總 則
第1條(名称) 本學會は 韓國日本文化學會 と称する。
第2條(目的) 本學會は日本關連諸學問硏究のための國內外相互の學術交流を通じて、日本學
硏究の活性化と學問の發展を図り、國際交流を通じた相互協力と理解增進に寄与
する。
第3條(事業) 本學會は第2條の目的を達成するために各項の事業を行う。
1. 學術硏究發表會(年2回)
2. 學術誌發刊(年4回)
3. 學術振興のためのセミナー及びシンポジウムの開催
4. 外國學會との學術交流及び共同硏究
5. 外國の大學図書館及び學術団体との學術誌交流
6. 日本文化の紹介
第4條(位置) 本學會の目的を達成するために學會事務室及び支部を置き、常時業務を担當する
事務局長を置くことができる。
第2章 會 員
第5條(資格) 本學會の會員は日本語文學をはじめとする日本學硏究に從事する者や關心を持つ
者とする。
第6條(區分) 本學會の會員の區分は「會員規定」に從う。
第7條(加入要件) 本學會に新規に加入しようとする者は旣會員の推薦を受けることを原則とする。
第8條(權利と義務) 本學會の會員は次のような權利と義務を有する。
1. 役員の選擧權及び被選擧權(但し、名譽會員を除く)
2. 學會活動參加の權利と會則遵守の義務
3. 會費納付の義務
第9條(懲戒):會員が會員の義務を遂行せず、本學會の名譽を著しく損なった場合は、理事会の
決議を経て、会員資格の剥奪または停止など懲戒することができる。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79
第 3 章 機構及び役員
第10條(機構) 本學會には次のような機構を置く。
1. 執行委員會(會長、副會長、常任理事)
2. 理事會
3. 海外支部
第11條(役員) 本學會の円滑な運營のために次のような役員を置く。
會長(1名)、副會長(若干名)、常任理事(若干名)、海外理事及び理事(適
宜)、監事(2名)
第12條(役員の選出) 會長及び監事は總會で選出し、その他の役員は會長が委囑する。
第13條(役員の任期) 役員の任期は2年とするが再任することができる。
第4章 會 議
第14條(種類) 本學會の會議には總會、理事會、各種委員會がある。
第15條(總會の招集及び議決)
1. 本學會は每年1回の定期總會を開催し、必要に応じて會長が臨時總會を招集
することができる。
2. 總會は次のような議案を審議․議決する。
(1) 會長及び監事の選出․解任
會則改定
(3) 事業計畵の樹立
(4) 予算と決算の承認
(5) その他の事項
3. 總會での議決は出席會員の過半數の贊成による。
第16條(理事會の招集及び議決)
1. 理事會には實務理事會と擴大理事會があり、會長がこれを召集する。
2. 實務理事會は會長、副會長、常任理事により構成され、擴大理事會は會
長、副會長を含む全理事が對象となる。
3. 理事會は諸規定の改定、會則改正の發議、會長委任事項の審議、諮問委
員の迎え入れ、特別․名譽會員の承認、その他重要事項を處理する。
第17條(各種委員會の構成及び任務)
1. 會長は分野別業務の能率的遂行のため各種委員會を設置することができる。
(2)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80
委員會は委員長と委員から成り、委員長は會長の任命動議により理事會で選任する。
3. 委員會の案件は出席委員の過半數の贊成により可決される。
2.
第5章 財 政
第18條(財政)本學會の財政は會員の會費とその他の收益金による。
第19條(會費)本學會の會費は總會で決定する。
第20條(會計年度)本學會の會計年度は3月から翌年2月までとする。
第21條(國際學術交流賞選定)本學會の學術發展に多大な貢獻が認められる海外會員を對象
とし學會長の推薦により理事會において定める。
第6章 付 則
第22條(會則改正)本學會の會則の改正は定期總會で出席者の3分の2以上の同意
を得て確定する。
第23條(施行細則)本會則の施行に必要な諸規定は理事會の議決を得て施行する。本會則に
明示されていない事項については慣例に從う。
第24條(施行日)本改正會則は2001年10月1日から施行する。
第25條 改正された規定は、定期総会の議決を経て、2007年5月1日から施行する。
第26條 改正された規定は、定期総会の議決を経て、2008年10月25日から施行する。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81
韓國日本文化學會 編輯委員會規定
第1章 總 則
第1條 本委員會は「韓國日本文化學會編集委員會」と称する。
第2條 本委員會は韓國日本文化學會會則第17條により設置する。
第3條 本委員會が管掌する學會誌『日本文化學報』は次のような指針のもとに發行する。
1. 年4回(2月号、5月号、8月号、11月号)發行する。
2. 發行日は當該月の末日を原則とする。
3. 投稿日、審査日、掲載確定日はすべて英文要旨の下に明記する。
例) 投 稿 日: 2015.02.28
審 査 日: 2015.03.14.
掲載確定日: 2015.04.04
4. その他の發行過程は「『日本文化學報』發行計畵」による。
第 2 章 編集委員會の構成
第4條 編集委員會は次のように構成する。
委員長、編集幹事、国內外委員
第5條 編集委員會委員長は編集委員の中から会長の提請により理事会で選任する。編集委員
會委員長は委員會を代表し、編集幹事は學會誌に投稿された論文の審査及び編集を統
括する。任期は共に2年とする。
第6條 編集委員會委員は理事會の認定を経て會長が任命する。任期は2年とし、本人の同意を
得て延長が可能である。
第7條 編集委員は次のような基準により選定する。
1. 大學の副敎授以上またはこれに相當する資格を持つ者。或いは該當專攻分野で20
年以上の硏究経歷を持つ者で學術硏究實績が優れた國內外會員
2. 各學問分野の代表性を考慮して選定する
3. 分科委員會の分科理事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82
第3章 機 能
第8條*編集委員會は學會誌『日本文化學報』の樣式、發行回數、發行部數、論文の分
量、投稿及び審査規定など學會誌發行と關連した諸事項を決定する。
第9條1編集委員會の編集幹事は各分科理事との合意のもとに投稿論文の審査委員を選定․依
賴し、編集委員會は審査委員の審査結果を踏まえて論文揭載の可否を決定する。
第10條1第8條の事項以外に編集委員會が議決した事案は、理事會の認定を経たのちに効力が
發生する。
第 4 章 編集委員會會議
第11條1編集委員會會議は學會誌の發行計畵により委員長が召集する。
第 12條 1年4回の定期編集會議以外に、必要に応じて委員長が臨時編集會議を招集す
ることができる。
第13條1編集會議は原則として出席委員の過半數の贊成で議決する。
第 5 章 論文評価基準
第14條 揭載論文は學會の硏究發表會で發表されたものとするが(但し、口頭發表後2年間有
効)、理事會の推薦がある場合にはその寄稿論文も揭載することができる。
第15條 論文の審査は項目別評価と總合評価からなる。
第16條 評価項目は次の通りである。
1. 内容の適切性
2. 内容の独創性
3. 形式の適切性
4. 展開の論理性
5. 研究方法の適切性
第17條 總合評価は項目別評価をもとに審査者が次の4段階で評価する。
1. 學術論文として非常に優秀である。
2. 學術論文として優秀であるが、一部修正を要する。
3. 學術論文として內容․形式面で修正を要する部分が比較的多く、修正後再投稿を要する。
4. 學術論文として不適格である。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
48
第 6 章 論文審査基準․審査過程
第18條(審査基準) 編集委員會では投稿論文に對する3名の責任審査委員の審査結果と、指摘
事項に對する執筆者の處理結果及び投稿規定の遵守を基準として、次のように論文の揭
載可否を決定する。
1. 揭載
審査委員評価23点以上の論文が対象になる。
2. 修正後掲載
審査委員評価20~22点の論文が対象になる。
3. 修正後再審査
審査委員評価10~19点の論文が対象になる。
4. 揭載不可
審査委員評価10点未満の論文が対象になる。
第19條(審査過程) 論文の審査は次の2段階の過程からなる。
1. 一次審査(審査委員審査)
2. 二次審査(編集委員會審査)
第20條(審査時期) 投稿された論文の審査は年4回(3月、6月、9月、12月)實施することを原則とする。
第21條(論文揭載号) 最終審査に通過した論文の揭載号は編集委員會で決定する。
第 7 章 その他
第22條 編集委員會及び分科別の業務を處理するため編集委員會とは別に分科委員會を置く。
第23条 本学会に提出された論文が最終審査に合格し、本学会の学術誌に掲載されれば、論
文の著作権は本学会に帰属する。
第8章 付 則
第1條 本規定は理事會の議決を経て1999年10月9日から施行する。
第2條 本規定に明示されていない事項については慣例に從う。
第3條 改正された規定は理事會の議決を経て2002年3月1日から施行する。
第4條 改正された規定は理事會の議決を経て2006年8月1日から施行する。
第5條 改正された規定は理事會の議決を経て2008年8月1日から施行する。
第6條 改正された規定は理事會の議決を経て2011年3月1日から施行する。
第7條 改正された規定は理事會の議決を経て2015年7月1日から施行する。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84
韓国日本文化学会の硏究倫理の規定
第1章 總 則
第1条 (槪要)
韓國日本文化学会(以下‘学会’と称する)は韓国における日本学の硏究及び敎育活動を
活性化するための学術団体として設立された。本学会は会員の学術硏究を厳正に審
査し学術大会に参加資格を与え、その結果を学会誌に掲載している。本学会は持続
的に高いレベルの学会誌の発表を通じて、学会の発展はもとより韓国と日本の文化交流及
び発展を図っている。そのために会員の学術研究及び研究論文の発表において、国際レベルの
研究倫理を守ることは重要である。したがって、本学会は会員の学問的な発展のために学会の研
究倫理の規定を設ける。
第2条 (目的)
本規定の目的は本学会の学会誌及び学術大会での発表論文に関する研究倫理
の規定を厳正に定め文書化することにより、信頼できる研究の風土を作り上げ、会員
の正しき学術活動を導き、学会の位相を高めるためである。
第 2 章 硏究倫理委員會の組織
第3条 (委員会の設置)
本 学会 は 研究倫理 の 規定 の 目的 を 達成 するために 、 学会内 に 研究倫理委員会
(以下 ‘委員会’と称する)を設ける。
第4条 (委員会の構成)
1. 委員会は、編集委員長、副会長、総務理事、学術理事、編集理事及び3人以上の編
集委員を含む15人以内の委員で構成する。
2. 委員会は編集委員長が兼任することを原則とするが、必要に応じて委員会内で学会長が任
命することとする。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85
第5条 (任期)
委員の任期は、各委員の職責任期に準ずる。
第 3 章 硏究倫理委員會の運營及び權限
第6条 (運営の範囲)
1. 学会の研究倫理に関わる諸規定を設けて実行する。
2. 研究倫理の違反に関する通報を受け付け、規定に沿って処理する。
3. 通報者及び被調査者の人格と名誉に関する事項を規定し、これを遵守する。
4. 最終の調査結果を公文書とし、常任理事会に通報する。
5. 常任理事会の最終の査定結果をもって、後続事項及び懲戒事項を執り行う。
第7条 (研究者の研究倫理)
1. 研究者は各自が行っている研究行為及び研究物における剽窃、捏造、偽造、
作り替え、二重出版などが深刻な犯罪行為であることを自覚し、このようなことを
しないようにしなければならない。
2. 研究者は第1項に示した不正行為と疑われる事例を見つけた場合、これを適切
な方法で学会に報告しなければならない。
3. 研究者は自信の利益と他の研究者又は他の機関の利益が衝突するか、衝突
する可能性がある場合、これを公表し適切に対応しなければならない。
第 4 章 審議の手順及び懲戒
第8条 (審議の手順)
1. 委員会は通報された事項を受付日から60日以内に審議․議決․執行することを
原則とする。
2. 通報者の身元及び通報の内容については非公開を原則とするが、公共機関の
要請がある場合は公開することもある。
3. 委員会は通報された事項の適否を審査し、専門的な意見が必要な場合はその
分野の専門家に検討を依頼することができる。
4. 委員会は判定を下す前に被調査者に研究倫理に抵触の疑いがあることを知らせ、
十分な釈明の機会を与える。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86
審議の結果、通報された事項が不適切か、被調査者の釈明が妥當と認められ
た場合、被調査者の疑いが晴れたことを早速通報者と被調査者に知らせる。
6. 審議の結果、研究倫理への抵触が認められた場合、その結果を通報者と被調
査者に知らせ、被調査者には一定の期間内に再釈明できる機会を与える。
7. 委員会は被調査者の疑いが認められた場合、不正行為の形と範囲、故意性
を判別して報告書を作成する。
8. 委員会の懲戒議決は在籍委員2/3の出席、出席委員の過半数の賛成で行う。
9. 定められた期間内に被調査者の釈明がないか、釈明の妥當性が認められない場
合、懲戒の内容を最終決定し、これを被調査者に告知する一方、学会のホーム
ページを通じて公示する。但し、懲戒を受けた論文の中で機関の研究費をもらっ
たものは、當該機関の確認要請とは無関係に當該機関に懲戒の結果を通報す
5.
る。
第9条 (懲戒)
研究倫理の違反が正式に確定した著者や論文については、その違反行為の軽重
に応じ、次の内、一つ又は複数の項目の懲戒を下す。
1. 学会の譴責文書発送
2. 當該の研究結果物に対して取り消し、又は、修正要求
3. 3年間の投稿資格の制限
4. 除名
5. 所属機関への通報
6. 法律機関への告発など
第 5 章 その他
第10条 研究倫理の違反が認められた場合、論文の投稿及び審査にかかった諸経費は
一切返還しないことを原則とする。
第11条 本規定は、理事会の議決を経て2008年8月1日から施行する。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87
『日本文化學報』 投稿規定
【海外會員用】
原稿は<アレアハングル>か<Ms-Word>で作成する。
2. 原稿の分量は原稿用紙400字×50枚以內とする。<アレアハングル>の文書作成の初期畵面で
作成する場合は、A4用紙15枚から22枚までとする。要旨を含めて22枚を超えたときは、超過分1
枚當り1万ウォンの揭載料を徵收する。
3. 原稿は<アレアハングル>の<編集用紙>で<使用者定義 幅180、縱255>を選擇し、上20、下1
0、ヘッダー13、フッター13、左23、右23、製本0に調整した後作成する。フォントは韓國語文は新
明朝、日本語文は新明朝略字とする。各文字のポイント數は次の通りである。
論文題目 - 新明朝(略字) 20、 太字、 中央寄せ
副題 - 新明朝(略字) 15、 中央寄せ
筆者名, e-mail - 新明朝(略字) 12、 右寄せ
目次 - 新明朝(略字) 12、 太字、 中央寄せ
目次の內容 - 新明朝(略字) 10、 行間隔 140、 中央寄せ
大見出し - 新明朝(略字) 15、 太字、 行間隔 155、 中央寄せ
本文 - 新明朝(略字) 10.5、 行間隔 155、 兩側混合
引用文 - 新明朝(略字) 10、 行間隔 155、 兩側混合、左余白:ハングル2002は20、ハ
1.
ングル97は4
脚注 - 新明朝(略字) 9、 行間隔 130、 兩側混合。 表 - 行間隔 140
その他の設定や<Ms-Wordで>の作成については学会ホームページの<『日本文化學報』論
文作成要領>を參照する。
4. <參考文獻>の後に600字未滿の要旨(英文のみ)を記入する。投稿者の英文の下に所属を英語 で明記する。
예) Kim, Tae Young
(Department of Japanolog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5. 要旨のすぐ下にその論文を理解するために必要なキーワード(6~10語)を英語と同一の言語で明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88
する。
6. 原稿上の図表やイメージ資料は必要に応じて原本を添付する。
7. 注は脚注とし、必ず引用․參考したページを明記する。
8. <參考文獻>は、筆者名(年度)、 論文名 (または『著書名』)、揭載紙と卷号、發行所の順
とする。最後に參考あるいは引用した頁を必ず明記する。
例) 西隈俊哉(2001), -AS使役に關する一考察 , 『日本文化學報』11, 韓國日本文化
記
學會, 110面.
影山太郞(1993), 『文法と語構成』, ひつじ書房, 212頁.
Stein, Dieter(1995), “Subjectivity and Subjectivisation” : Cambridge
University Press. p.113
9. <參考文獻>の配列は韓國語、日本語、英語の文獻の順とし、筆者名を基準にして、それぞれ
アイウエオ、abc順にする。
10. 論文投稿の場合は原稿と学会所定の論文投稿申請書とをE-mailで事務局に提出する。なお、
執筆者が複数の場合は、第1筆者と共同の筆者を併記する。
11. 編集委員会は必要により、執筆者に原稿の加筆․修正を求めることがある。この場合の原稿の
加筆․修正は執筆者が担當する。
12. 投稿論文の査讀費として6万ウォンを学会の口座に振り込む。また揭載が確定した場合、執筆者
は所定の揭載料(一般論文 : 10万ウォン(無発表論文 15万ウォン), 研究費受給論文 : 20万
ウォン(無発表論文 30万ウォン). 但し、22頁を超えた場合は、1頁に付き1万ウォンが追加される)
を負担する。揭載料は編集が終わってから、事務局から案内する。
13. 揭載された論文に對しては學會誌2部、抜き刷り20部を贈呈する。但し、抜き刷りの追加を希望
する場合は印刷の費用を執筆者が支払う。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89
『日本文化學報』 論文作成要領
【編集用紙】
<使用者定義 幅180, 縱255> 上20(19.99), 下10, ヘッダー13(12.99), フッター13(12.99),
左23, 右23, 製本0
【論文題目】
【副 題】
韓國日本文化學會 新明朝 略字
(
韓國日本文化學會 新明朝 略字
(
(
(
) 15,
) 20,
中央寄せ)
太字, 中央寄せ)
** 4行空け (副題がない場合は5行空け) **
【筆者名】
【e-mail】
** 2行空け **
洪 吉 東(新明朝(略字) 12, 右寄せ)
[email protected])(新明朝(略字) 12, 右寄せ)
(
目 次 (新明朝(略字) 12, 太字, 中央寄せ)
新明朝(略字) 10 , 行間隔 140
【大見出し】1.
** 2行空け **
硏究の目的と方法 新明朝 略字
(
(
) 15,
太字, 行間隔 155, 中央寄せ)
** 1行空け **
【本 文】 この論文は上代日本語の.....大野氏は次のように述べている
(新明朝(略字) 10.5, 行間隔 155, 兩側混合)
** 1行空け **
〔引用文〕上代において.....
(新明朝(略字) 10, 行間隔 130, 兩側混合, 左余白:ハングル2002は20、ハングル97は4)
** 1行空け **
このように、上代日本語の.....
** 2行空け **
2. 上代日本語の特徵 (新明朝(略字) 15, 太字, 行間隔 155, 中央寄せ)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90
** 1行空け **(小見出しがある場合, 小見出しと本文の行間は空けない)
【脚 注】 ―――――――――
1) これについて ****は次のように論じている。(新明朝(略字) 9, 行間隔 130, 兩側混合)
(引用及び參考資料については發行年度とページ數を明記する。)
** 2行空け **
5. 結び
** 1行空け **
本論文では....
** 1行空け **
【參考文獻】 (新明朝(略字) 15, 太字, 行間隔 155, 中央寄せ)
** 1行空け **
․影山太郞(1993) 『文法と語構成』, ひつじ書房, 212頁。(新明朝(略字) 10, 行間隔 155, 兩側混合)
* 筆者名(年度) 論文名(あるいは著書名), 揭載誌 卷 号, 發行所〉の順に配列する。
* 文獻配列は韓國語、日本語、英文の文獻の順とし、筆者名を基準にして、それぞれ가나
다、アイウエオ、abc順にする。
* 參考あるいは引用したページは必ず明記する。
** ページを変える **
【要 旨】 新明朝 略字
太字, 行間隔 155, 兩側混合)
** 6行空け **
本論は、上代日本語を通して...... (新明朝(略字) 10, 行間隔 155, 兩側混合)
* 作成言語 : 英語
* 分 量 : 1枚前後
** 1行空け **
【キーワード】論文を理解するために必要なキーワード(6~10語)を要旨と同一の言語で明記。(新
明朝(略字) 11, 行間隔 155, 兩側混合)
** 2行空け **
(
(
) 15,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91
學會發表に關する規定
發表資格) 口頭發表者の資格は本學會の正會員で、大學院生、敎員経歷5年以上の者、
または理事會の推薦を受けた者とする。但し、修士課程の大學院生の場合は、指導敎授か海
外支部長の推薦が必要である。提出した發表要旨文を該當の分科で審査の上、採擇の可否
を決める。
2. (發表申請) 該當の分科理事や學術理事に口頭で申請可能だが、できるだけ學會ホームペー
ジ上の申請樣式を利用する。
3. (申請期限) 春季大會は3月第2土曜日、秋季大會は9月第2土曜日までとする。
4. (發表要旨文)
a. <發表要旨文>は“ハングル”か“MS-Word”を使い、韓国語または日本語で作成する。
b. 分量はB5用紙5枚(橫書)以內とする。
c. 春季大會は3月第3土曜日、秋季大會は9月第3土曜日までに提出することを原則とする。
d. 發表要旨文の原稿はE-mail(File添附)で事務局へ提出する。
e. 發表予稿集の印刷費として10,000ウォンを學會發表の當日受付にて納める。
1. (
<學會の口座>
韓國) 758001-01-558912 김한수(한국일본문화학회)
(日本) 郵便局 00920-9-147169 韓國日本文化學會 日本支部
(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92
外国学会との学術交流に関する規定
表現學會
a. 表現学会は韓国日本文化学会から推薦を受けた1名に対して、全国大会(年1回)におけ
る研究発表の機会を提供する。
b. 韓国日本文化学会は表現学会から推薦を受けた数名に対して、学術大会(年2回)にお
ける研究発表の機会を提供する。
c. 表現学会は韓国日本文化学会から推薦を受けた発表論文を学会誌『表現硏究』に掲載
することが出来る。
d. 韓国日本文化学会は表現学会から推薦を受けた発表論文を学会誌『日本文化學報』に
掲載することが出来る。
1. (日本)
比較文化學會
a. 日本比較文化学会は韓国日本文化学会から推薦を受けた会員に対して、全国大会(年1
回)における研究発表の機会を提供する。
b. 韓国日本文化学会は日本比較文化学会から推薦を受けた会員に対して、学術大会(年
2回)における研究発表の機会を提供する。
c. 日本比較文化学会の学会誌『比較文化硏究』に韓国日本文化学会の国内会員の論文
を掲載することが出来る。
d. c項の論文は韓国日本文化学会において口頭発表した論文の中で学会が推薦する。その
推薦においては学会の内部規定により候補者を選定する。
e. 推薦論文の審査および掲載料は日本比較文化学会の規定に従う。
f. 韓国日本文化学会は学会誌『日本文化學報』に日本比較文化学会から推薦を受けた論
文を掲載することが出来る。推薦論文の審査は當該学会の規定に従う。
g. 日本比較文化学会は全国大会(年1回)において発表をする韓国日本文化学会からの推
薦会員に対して1年間の会費を免除する。
h. 韓国日本文化学会は学術大会(年2回)において発表をする日本比較文化学会からの推
薦会員に対して1年間の会費を免除する。
2. 日本
3. 臺灣日本語文學會
a. それぞれの学会における学術的蓄積の交流を、お互いの学問分野への知的刺激として捉え、
さらに、両学会ならびに両学会員の相互の自主的交流によって、それぞれの学会活動がより
Journal of Japanese Culture
3
49
一層実質化することを目指すものとする。
b. 各年度に刊行された両学会の学会誌について、相互の学術交流のためにその年度に発刊
された学会誌をまとめて年に一回相互に交換する。送料等は各学会の自己負担とする。
c. 両学会員の学術交流を促すために、相互の学会への投稿を認める。相互の投稿条件等は
必要に応じて両学会の担當者で話し合いの上、手続きを定める。また、投稿と掲載に関わる
費用負担は対等とする。なお、相手学会へ投稿できる論文数の上限数については別途定め
るものとする。
d. それぞれの学会員は、お互いの学会の「姉妹会員」として、お互いの学会の全国大会での
研究発表に自由に申し込むことができるものとする。発表の採択の可否、種類、日程などの
大会運営に関しては、相手国の学会の決定に従うものとする。また、発表に関わる渡航費、
滞在費、参加費、懇親会費用等は、原則として、発表者個人の負担とする。
e. それぞれの学会は、お互いの学会の全国大会開催に際して、パネルディスカッション、講演
などに相応しい会員を相手学会の推薦によって招聘できる。パネルディスカッション、講演な
どの種類、日程などの大会運営に関しては、相手国の学会の決定に従うものとする。また、
招聘に関わる渡航費、滞在費、参加費、懇親会費用等は、協議の上これを定める。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94
海外理事に關する規定
資格) 本學會に1回以上出席して硏究發表した日本の學者の中で、本學會の硏究活動に關
心を持ち、ご協力してもらえる方。
2. (活動)
(1) 日本國內において本學會を紹介し、學會の活動內容や情報などを提供
(2) 韓國國內で行われる年二回の硏究發表會で發表を希望する人の窓口役割
(3) 學會誌揭載對象論文の審査
(4) 日本國內の會員の管理
3. (任期) 2年單位とし、本人の同意を得て延長可能。
4. (任命) 理事會で協議․決定し、會長が委囑する。
5. (施行) 本內規は、1997年5月5日から施行される。
1. (
海外支部に關する規定
趣旨) 日本国内に居住する会員の便宜を図るために、本学会日本支部を置く。
2. (構成) 日本支部は、本学会の趣旨に賛同し、積極的に協力する海外理事を中心に結成する。
3. (代表者) 日本国内の会員を管理し、日本支部の運営を総括する代表者は日本居住の海外理
事の中から、理事会の推薦を受け会長が委嘱する。
4. (任期) 日本支部代表者の任期は2年で、本人の同意により連任も可能である。
6. (施行) 本内規は2011年6月3日から施行する。
1. (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95
會員規定
學會のすべての會員は、 國內會員 (韓國內に所屬や勤務先のある內國人や外國人)と 海
外會員 (外國に所屬や勤務先のある外國人や內國人)とに分け、加入の內容により次のように分
類される。ただし、日本での留學生は國內會員とする。
本
正會員) 本學會の會員として登錄を濟ませた者。但し、会費が3年間未納の場合は、正會員の
資格を失う。
2. (準會員) 會員の中で、正會員の資格を失った者。
3. (終身會員) 理事會の同意を得た者で、所定の會費(30万ウォン)を納付した會員。
4. (特別會員) 本學會の發展に貢獻した人の中で、理事會の推薦による方。
5. (名譽會員) 本學會の招聘講演者の中で、理事會の推薦による方。
6. (団体會員) 所定の會費(年8万ウォン)を納付する國內外の學術団体および機關。但し、海外
(日本)の 學術誌交流団体 も団体會員の範囲に含む。
1. (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96
『日本文化學報』 發行計畵
∙ 投稿 依賴 (2月初․5月初․8月初․11月初)
∙ 論文原稿 締切り (2月末․5月末․8月末․11月末):1次 提出
∙ 論文審査 (3月․6月․9月․12月)
∙ 審査委員審査結果 通知 (3月中旬․6月中旬․9月中旬․12月中旬)
∙ 論文修正原稿 締切り (3月末․6月末․9月末․12月末):2次 提出
∙ 編集委員會 最終揭載可否 通知 (4月初․7月初․10月初․1月初)
∙ 1次校正:筆者
∙ 2次校正:編集委員會
∙ 發行 (5月․8月․11月․2月末日)
各種樣式
〔諸樣式は學會のホームページからダウンロードしてください。〕
Journal of Japanese Culture
497
2015年度 學會日程表
實行豫定日
活
2. 2(月)
消息誌 15-1号(通算73号) e-mail 發送
2. 28(土)
『日本文化學報』第64輯(2月号) 發刊 및 硏究財團 登錄
編 集
2. 28(土)
『日本文化學報』第65輯(5月号) 投稿論文 原稿 마감
事務局
2. 28(土)
第4回 韓國日本硏究總聯合會(第48回 國際學術大會) 發表 申請 마감
事務局 / 學術
3. 6(金)
第4回 韓國日本硏究總聯合會(第48回 國際學術大會) 要旨文 마감
事務局 / 學術
3. 14(土)
編集理事會
3. 30(月)
消息誌 15-2号(通算74号) e-mail 發送
涉外 / 總務
4. 4(土)
常任理事會 / 編集理事會
總務 / 編集
4. 10(金)∼11(土)
動
內
容
擔當理事
涉外 / 總務
編 集
第4回 韓國日本硏究總聯合會(第48回 國際學術大會)
聯 合
5. 31(日)
『日本文化學報』第65輯(5月号) 發刊 및 硏究財團 登錄
編 集
5. 31(日)
『日本文化學報』第66輯(8月号) 投稿論文 原稿 마감
事務局
6. 13(土)
編集理事會
編 集
7. 4(土)
常任理事會 / 編集理事會
8. 31(月)
『日本文化學報』第66輯(8月号) 發刊 및 硏究財團 登錄
編 集
8. 31(月)
『日本文化學報』第67輯(11月号) 投稿論文 原稿 마감
事務局
9. 5(土)
第49回 國際學術大會 發表申請 마감
9. 12(土)
編集理事會
9. 12(土)
第49回 國際學術大會 發表要旨 마감
10. 3(土)
常任理事會 / 編集理事會
總務 / 編集
10. 5(月)
消息誌 15-3号(通算75号) e-mail 發送
涉外 / 總務
10. 24(土)
第49回 國際學術大會
學 術
11. 30(月)
『日本文化學報』第67輯(11月号) 發刊 및 硏究財團 登錄
編 集
11. 30(月)
『日本文化學報』第68輯(2月号) 投稿論文 原稿 마감
事務局
12. 12(土)
編集理事會
編 集
2016. 1. 2(土)
總務 / 編集
事務局 / 學術
編 集
事務局 / 學術
常任理事會 / 編集理事會
總務 / 編集
2. 1(月)
消息誌 16-1号(通算76号) e-mail 發送
涉外 / 總務
2. 29(月)
『日本文化學報』第68輯(2月号) 發刊 및 硏究財團 登錄
編 集
2. 29(月)
『日本文化學報』第69輯(5月号) 投稿論文 原稿 마감
事務局
Journal of Japanese Culture
∙第 66 輯∙
發行日 2015년 8월 31일
發行處
韓國日本文化學會
(300-150) 大韓民國 大田広域市 東区 大田路 815番길 45, 新榮BLDG. 201号
Tel (042)488-9155
Fax (042)488-9156
<학회계좌번호>
(韓國) 국민은행 758001-01-558912 김한수(한국일본문화학회)
(日本) 郵便局 00920-9-147169 韓國日本文化學會 日本支部
製作處
메트로문화사
Tel (042) 488-9155 Fax (042) 488-9156
e­mail : [email protected]
※비매품
ⓒ 韓國日本文化學會2014 Printed in korea
ISSN 1226-3605
* 이 학술지는 2013년도 정부재원(교육부)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출판되었음.